KR20240072842A -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842A
KR20240072842A KR1020220154895A KR20220154895A KR20240072842A KR 20240072842 A KR20240072842 A KR 20240072842A KR 1020220154895 A KR1020220154895 A KR 1020220154895A KR 20220154895 A KR20220154895 A KR 20220154895A KR 20240072842 A KR20240072842 A KR 2024007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storage box
schedule
caregiver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숙연
윤여은
구주혁
강은비
장상희
곽건
박태완
Original Assignee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7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8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며, 기 설정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고, 기 등록된 치매 환자의 접근시에만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토출시키는 스마트 약통; 간병인 앱을 설치 및 실행하고, 상기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 스케쥴을 설정하거나, 복용 이력을 수집 및 관리하면서 사용자 안내하거나, 복용약 정보의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하는 간병인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매칭 동작을 수행하고, 매칭 완료된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rug intake in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 환자의 능동적인 약 복용을 유도하고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증 암 환자의 경우 특수 항암제와 함께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진통제를 장기간 동안 투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항암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은 그 투여량이 유효량 보다 과다할 경우, 환자가 혼수상태나 심하면 쇼크사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이 있고, 반대로 투여량이 유효량에 이르지 못하면 원하는 치료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허용범위 안에서 일정한 양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당뇨 대사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인 인슐린의 종류에는 식사형 인슐린과 기초형 인슐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식사형 인슐린은 통상 식사전 공복시 사람에 1일 3회 주입하며 이는 식후 당뇨 대사 질환자의 혈당이 급속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초형 인슐린은 24시간 지속적으로 체내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서서히 유지되게 하는 인슐린이다.
여기서, 당뇨병이란 우리 몸이 인슐린을 충분히 만들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혈당 즉 포도당을 에너지로 전환시키지 못 할 때 나타나는 질환으로 이 당뇨병 환자에게 정해진 시간에 인슐린을 정량 주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중, 특히 인슐린을 주입하는 도중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도 정해진 시간에 주입하여야 하므로, 인슐린을 정량을 주입하는 것보다 정해진 시간에 주입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에, 당뇨병 환자는 치료제인 인슐린을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언제든지 주사 받을 수 있도록 휴대용 주입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 주입 장치는 내부에 인슐린이 채워지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 및 상기 카트리지를 푸싱하여 인슐린을 토출부로 토출시켜 환자에게 주입시키는 푸셔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입 장치로는 환자가 인슐린을 언제 주입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환자가 인슐린을 정해진 시간보다 더 빠르게 주입할 경우 인슐린 과다 주입으로 인한 저혈당에 의해 치명적인 쇼크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더 늦게 주입할 경우 인슐린 부족으로 인한 고혈당으로 의해 당뇨병보다 더 무서운 당뇨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환자가 치매를 가지고 있을 경우, 환자가 언제 인슐린을 주입하였는지 전혀 인지하지 못하므로, 상기와 같은 쇼크 현상과 당뇨 합병증으로 인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린 질환 등의 환자뿐만 아니라 치매 환자들에게도 정량을 정확한 시간에 복용하는 화학적인 치료 또한, 물리적인 치료와 함께 상당히 중요하다. 그러나 치매 환자들은 상기 병의 습성상 약을 복용할 시간이나 약의 복용여부를 자주 잊어버림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42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907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매 환자의 능동적인 약 복용을 유도하고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매 환자에게 약 복용 시간을 환기시키고 치매 환자의 약 복용 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치매 환자의 약 복용을 도와주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며, 기 설정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고, 기 등록된 치매 환자의 접근시에만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토출시키는 스마트 약통; 간병인 앱을 설치 및 실행한 후 상기 스마트 약통을 연동시키고, 상기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 스케쥴을 설정하거나, 복용 이력을 수집 및 관리하면서 사용자 안내하거나, 복용약 정보의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하는 간병인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매칭 동작을 수행하고, 매칭 완료된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약통은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한 후,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선택하여 약 토출부로 배출하는 보관함; 상기 약 토출부의 개방 여부를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장치; 상기 보관함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는 알람부; 상기 보관함의 약 토출부쪽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 상기 스마트 약통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 및 분석하여 기 등록된 치매환자인지 확인하는 인공지능 카메라; 및 상기 복용 스케쥴에 따라 알람 장치를 통해 구동시켜 복용 알람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람 감지 센서와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릍 통해 기 등록된 치매 환자가 스마트 약통에 접근하는지 확인한 후 상기 보관함을 통해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약 토출부로 토출하며, 상기 서버와의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함은 구절판 형태로 구획 분리된 다수의 보관 공간을 구비 하고,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는 내부 보관함; 상기 내부 보관함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며, 약 토출부가 바깥쪽으로 도출 형성된 외부 보관함; 상기 내부 보관함이 외부 보관함(112)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내부 보관함의 다수의 보관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약 토출부에 통로 연결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병인 단말은 복용 스케쥴과 복용 이력에 기반하여 병원 방문 일정을 산출 및 안내하고, 방문 예약 동작을 자동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병인 단말은 상기 보관함의 다수의 보관 공간에 배분된 다회차의 복용약 모두를 카메라 촬영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복용약 각각의 촬영 위치 및 외관을 분석하여 복용 스케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은 치매 환자의 능동적인 약 복용을 유도하고 도와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치매 환자에게 약 복용 시간을 환기시키고 치매 환자의 약 복용 상황을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치매 환자의 약 복용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약 복용 상태에 따라 병원 예약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간병인의 관리 편이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유닛과 알람유닛을 통해서 약 복용 시간을 알려주고 컨트롤러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정보를 송신하여 환자의 보호자에게도 실시간으로 복용상황 및 복용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스마트 약통(100), 병인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약통(100)은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며, 기 설정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선택하여, 치매 환자에 제공하도록 한다.
간병인 단말(200)은 간병인 앱(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고, 상기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 스케쥴을 설정하거나, 복용 이력을 수집 및 관리하면서 사용자 안내하거나, 복용약 정보의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한다.
서버(300)는 스마트 약통(100) 및 간병인 단말(200)간 매칭 동작을 수행하고, 매칭 완료된 스마트 약통(100)과 간병인 단말(200)간의 정보 공유를 지원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약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약통(100)은 보관함(110), 잠금 장치(120), 무게 센서(130), 알람 장치(140), 사람 감지 센서(150), 인공지능 카메라(160), 및 제어 장치(170) 등을 포함한다.
보관함(110)은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고, 제어 장치(170)의 제어하에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선택하여 치매 환자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보관함(110)은 도 2와 같이, 구절판 형태로 구획 분리된 다수의 보관 공간을 구비 하고,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는 내부 보관함(111), 상기 내부 보관함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며, 약 토출부가 바깥쪽으로 도출 형성된 외부 보관함(112), 내부 보관함(111)이 외부 보관함(112)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내부 보관함(111)의 다수의 보관 공간 중 어느 하나가 약 토출부에 통로 연결되도록 하는 회전 장치(113)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잠금 장치(120)는 제어 장치(170)의 제어하에 보관함(110)의 약 토출부의 개방 여부를 결정한다.
무게 센서(130)는 보관함(11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한다.
알람 장치(140)는 복용 알람 정보에 상응하는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1)와 복용 알람 정보에 상응하는 안내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142)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한다.
사람 감지 센서(150)는 보관함(110)의 약 토출부쪽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한다.
인공지능 카메라(160)는 치매환자의 영상을 사전 등록한 후, 스마트 약통(100)의 전방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한 후 사전 등록된 영상과 분석하여 기 등록된 치매환자인지 확인하도록 한다.
제어 장치(170)는 기 설정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알람 장치(140)를 통해 구동시켜 복용 알람 동작을 수행하고, 사람 감지 센서(150)와 인공지능 카메라(160)릍 통해 기 등록된 치매 환자가 스마트 약통에 접근하는지 확인한 후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보관함(110)에서 토출하여 치매 환자에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보관함(110)의 무게 변화를 통해 복용 여부를 판단한 후 통신 모듈(171)을 통해 외부에 통보하는 제어 장치(150) 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보관함(110)에 보관 중이던 복용약이 치매 환자에 의해 복용되는 경우, 해당 복용약의 무게만큼 보관함 무게가 줄어든다는 점을 고려하여 무게 센서(130)의 무게 변화를 통해 복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다만, 보관함(110) 각각에 대해 무게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제작 비용 증가 요인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보관함 전체를 대상으로 하나만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 다르게는, 인공지능 카메라(160)를 통해 약 토출부로 토출된 복용약이 일정 시간내에게 없어지는 지를 추적 모니터링하여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도록 한다.
더하여, 제어 장치(17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171)을 구비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171)은 IoT 통신 기능만을 구비하여 치매 환자의 댁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된 후, 홈 네트워크의 원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 LTE, 5G 등과 같은 원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병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간병인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프로세서(220),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및 간병인 앱(240) 등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210)은 서버(300)와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20)는 간병인 단말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특히 간병인 앱(210)을 다운로드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터치 스크린, 스피커, 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간병인 앱(240)은 치매 환자 간병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도 5a와 같이 스마트 약통(100)을 연결 및 등록하여 연동시키는 스마트 약통 관리부(241), 도 5b와 같이 간병인(또는 치매환자)이 복용 스케쥴을 입력 및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용 스케쥴 관리부(242), 5c와 같이 스마트 약통(100)이 통보하는 복용 이력을 수신 및 정리한 후, 사용자 안내하는 복용 이력 관리부(243), 도 5d와 같이 복용약에 대한 상세 정보(복용 방법, 효능 및 부작용 등)를 검색하여 사용자 안내하는 복용약 정보 제공부(244), 복용 이력에 기반하여 잔여 약 수량을 파악하고, 복용 스케쥴에 기반하여 잔여 약 소진 시기를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약 처방을 위한 병원 방문 일정을 자동 산출하여 안내하거나, 기 등록된 병원으로부터 방문 예약을 자동 수행하는 병원 예약부(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복용 스케쥴 관리부(241)는 간병인(또는 치매환자)이 복용 스케쥴을 수동 입력하는 방식으로 복용 스케쥴을 등록하는 방법 이외에,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복용 스케쥴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즉, 간병인이 보관함(110)의 다수의 보관 공간에 배분된 다회차의 복용약 모두를 카메라 촬영하면, 복용약 각각의 위치 및 외관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분석하여 보관 공간별로 분리 배분된 약들이 무엇인지 자동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 결과를 반영하여 보관 공간별 복용약 리스트를 기록한 후, 보관 공간을 보관 시점으로 환산함으로써, 복용 스케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인공지능 기술은 복용약 위치 및 외관에 대응되는 보관 공간 위치 및 복용량 명칭이 사전 학습된 신경망 모델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의 인공 지능 기술에 기반한 복용약 식별 기능을 이용하여, 복용약 정보 제공 동작도 보다 간단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용약 정보 제공부(243)는 간병인으로부터 복용약의 명칭을 직접 입력받아 복용약을 식별하는 방식 이외에, 복용약을 사진 촬영한 후 이의 외관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복용약을 자동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완료된 복용약의 상세 정보를 기 획득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인터넷 상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 스케쥴이 등록되면, 간병인 단말(200)은 해당 복용 스케쥴을 스마트 약통(100)에 공유한다(S1).
그리고 간병인이 복용 스케쥴에 따른 복용약들을 스마트 약통(100)의 다수의 보관 공간에 배분한 후(S2),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약들이 배분된 보관 공간의 위치 값을 획득한 후, 이에 대한 정보 또한 스마트 약통(100)에 공유하도록 한다(S3).
이러한 상태에서 복용 스케쥴에 따른 약 복용 시점이 되면(S4), 무게 센서(130)를 통해 현재의 보관함 무게를 측정 및 저장한다. 그리고 알람부(140)를 통해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함과 동시에 잠금장치(120)를 통해 복용약이 배분된 보관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뚜껑 개방하도록 한다(S5).
뚜껑 개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무게 센서(130)를 통해 현재의 보관함 무게를 다시 한번 측정한 후, 단계 S5에 측정한 무게와 비교하여 무게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S6).
만약, 보관함 무게가 변화하였으면, 치매 환자가 해당 보관함에서 복용약을 꺼내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후 복용 알람 정보 재생 동작을 중단하고, 이와 동시에 현재의 복용 이력을 간병인 단말(200)에 업데이트하도록 한다(S7).
반면, 보관함 무게 변화가 없으면, 복용 알람 정보 재생 동작을 기 설정 횟수 또는 시간 동안 반복하도록 한다(S8).
단계 S8의 복용 알람 정보 재생 동작에도 불구하고, 보관함 무게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복용 실패를 확인한 후, 간병인 단말(200)에 이를 통보하여 간병인의 직접 개입을 통한 후속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S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며, 기 설정된 복용 스케쥴에 따라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고, 기 등록된 치매 환자의 접근시에만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토출시키는 스마트 약통;
    간병인 앱을 설치 및 실행한 후 상기 스마트 약통을 연동시키고, 상기 간병인 앱을 통해 복용 스케쥴을 설정하거나, 복용 이력을 수집 및 관리하면서 사용자 안내하거나, 복용약 정보의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하는 간병인 단말; 및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매칭 동작을 수행하고, 매칭 완료된 상기 스마트 약통과 상기 간병인 단말간 정보 공유를 지원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약통은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한 후,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선택하여 약 토출부로 배출하는 보관함;
    상기 약 토출부의 개방 여부를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장치;
    상기 보관함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복용 스케쥴에 상응하는 복용 알람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재생하는 알람부;
    상기 보관함의 약 토출부쪽으로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사람 감지 센서;
    상기 스마트 약통에 접근한 사람을 촬영 및 분석하여 기 등록된 치매환자인지 확인하는 인공지능 카메라; 및
    상기 복용 스케쥴에 따라 알람 장치를 통해 구동시켜 복용 알람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람 감지 센서와 상기 인공지능 카메라릍 통해 기 등록된 치매 환자가 스마트 약통에 접근하는지 확인한 후 상기 보관함을 통해 특정 회차의 복용약을 약 토출부로 토출하며, 상기 서버와의 정보 공유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구절판 형태로 구획 분리된 다수의 보관 공간을 구비 하고, 다수의 보관 공간을 통해 다회차의 복용약을 분리 보관하는 내부 보관함;
    상기 내부 보관함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며, 약 토출부가 바깥쪽으로 도출 형성된 외부 보관함;
    상기 내부 보관함이 외부 보관함(112)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내부 보관함의 다수의 보관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약 토출부에 통로 연결시키는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 단말은
    복용 스케쥴과 복용 이력에 기반하여 병원 방문 일정을 산출 및 안내하고, 방문 예약 동작을 자동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 단말은
    상기 보관함의 다수의 보관 공간에 배분된 다회차의 복용약 모두를 카메라 촬영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복용약 각각의 촬영 위치 및 외관을 분석하여 복용 스케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1020220154895A 2022-11-17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KR2024007284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842A true KR20240072842A (ko) 2024-05-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2463A1 (en) Infusion system and pump with configurable closed loop delivery rate catch-up
CN112041936A (zh) 治疗辅助信息和/或跟踪设备及相关方法和系统
JP2020032251A (ja) 薬物送達のための改良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27520B2 (en) Management of pending medication orders
US99736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lf-administration of medicine
CN114760918A (zh) 血糖控制系统
WO2019157208A1 (en) Security features for an electronic metered-dose inhaler system
JP2020513998A (ja) コンピュータ化経口処方薬投与装置並びに関連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527009A5 (ko)
CA258516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KR20190047566A (ko)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88701A (ko) 약물 투여 시스템의 상호 연결
WO2021059211A1 (en) Drug delivery adjustment
Paldus et al. Insulin pumps in general practice
US20200246225A1 (en) Drug dispenser
EP3773417A1 (en) A system to manage the safe distribution of medicines and to control healthcare variables
KR20240072842A (ko) 치매 환자 약 복용 관리 시스템
US7129819B2 (en) Modular drug releasing system
EP4039291A1 (en) Connected infusion pump device
US20210350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translating natural language prescription medication label to programmatically operable structure for use with smart pill containers
WO2014164877A1 (en) Infusion order and delivery consistency
Bain The Cellnovo insulin delivery system
Manavalan et al. Diabetes technology: the present and the future
US20240013900A1 (en) Active patient-specific monitoring system
Brindha et al. Implementation of Multi-Functional Pump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