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604A -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 Google Patents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604A
KR20240068604A KR1020240058192A KR20240058192A KR20240068604A KR 20240068604 A KR20240068604 A KR 20240068604A KR 1020240058192 A KR1020240058192 A KR 1020240058192A KR 20240058192 A KR20240058192 A KR 20240058192A KR 20240068604 A KR20240068604 A KR 2024006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late
opening
elastic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허혜숙
Original Assignee
(주)루루안
이동진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루안, 이동진 filed Critical (주)루루안
Publication of KR2024006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3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에 관한 것으로, 늘어났다가 수축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전방에는 세정수 개폐부가 형성되고, 후방은 세정수를 주입할 때 수압으로 개방되고 세정수가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방수되는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으로 막혀 있는 탄성튜브와;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후방 외측의 둘레에 연결 고정되는 전판을 포함하는 전방캡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의 외측 둘레에 연결 고정된 후판을 포함하고 후판의 전방 둘레에는 외측 둘레에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둘레판이 형성되는 후방캡과, 전,후방캡의 사이에 고정된 둘레 커버판으로 구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패킹 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을 포함하고 고정링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신축성을 가진 돌출 판형 패킹링이 형성된 밀봉패킹과; 상기 전판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둘레의 상부에는 조작부 관통부가 형성된 원형관을 포함하고, 원형관의 전방은 중앙에 노즐 관통부가 형성된 전방판으로 막혀 있는 전방 케이스와; 상기 전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 관통부에 관통되게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를 조절 개폐하는 조절 개폐수단과;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 전방에 후방이 삽입되고, 전방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이 형성된 세정수 분사관과; 둘레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주면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면이 내면과 밀봉 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밀봉 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의 외측 둘레 단부에 밀착되는 세정수 주입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A sanitary bidet for refilling washing water with a function of repeatedly injecting washing water into an elastic tube}
본 발명은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본체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누르는 부하량을 최소화하여 더 적은 힘으로도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하고, 사용 후 재 사용시 세정수를 주입 하고자 세정수 주입통을 분리시킬 때 부하량을 최소화하여 가볍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용변 후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 청결성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변기에 직접 설치하여 용변 후 항문이나 여성의 국부를 세척하는 변기 고정식 비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비데가 가정 중심으로 대중화가 되고 사용됨에 따라 일상적인 야외 활동 중에 비데가 비치되지 않은 화장실에서도 비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는 휴대용 비데가 알려져 있고, 휴대하여 일회 사용 후 바로 버리는 일회용 비데가 최근 개발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에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는 휴대용 비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43030호의 "휴대용 비데"(이하, "종래의 휴대용 비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휴대용 비데는 세정수를 받을 수 있는 세정수 공급통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노즐을 다단식으로 접어 케이스 내부로 은폐시킴으로서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동시에 사용시에는 상기 노즐을 펼치거나 뽑아서 케이스 내부의 세정수를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로 분사시켜 세정을 하는 휴대용 비데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어 세정수주입구를 통해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고 신축작용에 의해 내부의 세정수를 노즐로 공급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체크밸브에 의해 유입시키는 신축튜브와, 상기 신축튜브를 가압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어 신축튜브의 상측부와 접촉하고 있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가압 거리를 단속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돌설되는 걸림돌조와, 상기 누름판을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통공을 구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휴대용 비데를 사용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누름판을 손가락으로 눌러 신축 튜브를 압축하면서 사용해야 됨으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눌러서 사용해야 하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어린이, 노약자들은 손의 힘 정도에 따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비데는 누름판의 가압 거리가 단속됨으로써, 누름판의 반복 누름을 통해 세정수를 조금씩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는 있으나, 세정수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분사하는 세척은 어려움이 있어 세척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비데는 비데 사용 전 세정수를 통에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데를 사용한 후에는 노즐의 주위에 용변과 미세정 수질이 묻게 되는데, 노즐을 접는 과정에서 노즐 주위의 용변과 이물질이 사용자에 손이나 인체에 묻는 경우의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고, 이후 노즐부 세척을 꼭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537500호의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이하,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전,후방이 개방된 원통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전방에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후방에는 세정수를 주입할 때 수압으로 인해 벌어져 개방되고 세정수가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방수되는 칼집이 형성된 세정수 주입 방수캡이 구비된 탄성튜브와, 상기 개폐부의 후방 외측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 고정되는 전판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캡의 외측 둘레에 연결 고정된 후판 및 전,후판의 사이 둘레를 감싸는 둘레판으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내부를 조절 개폐하는 조절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부의 내부 전방에 후방이 삽입되고, 전방에는 분사 노즐이 삽입 구비되어 상기 탄성튜브가 수축되면서 개폐부에서 배출되는 세정수를 항문이나 국부에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관과, 둘레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 세정수 주입통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주입통은 개폐부가 막힌 상태에서 케이스로부터 분리시켜 내부에 세정수를 채운 후 바닥에 세우고 상기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캡의 칼집에 통과시켜 탄성튜브가 늘어나게 하면서 탄성튜브의 내부로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후판의 둘레에는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에는 세정수 주입통의 둘레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되는 고무재질의 오링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링은 공지된 것으로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본체 케이스의 후판 둘레의 오링홈에 설치된 오링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오링이 외측 둘레와 세정수 주입통 내면의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을 바닥에 세우고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오링이 외측 둘레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강함으로써,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과정에서 많은 힘이 필요하여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인이 세정수를 주입할 경우에 힘이들고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 후판 둘레에 설치된 오링의 외측 둘레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강함에 따라, 케이스를 하강시켜 세정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케이스의 하강 속도가 느려 세정수의 주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케이스 후판 둘레에 설치된 오링의 외측 둘레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강함에 따라, 재 사용시 세정수를 주입하기 위해 케이스로부터 세정수 주입통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어려움에 따라 쉽게 잘 분리되지 않고 힘을 가해야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케이스 후판 둘레에 설치된 오링의 외측 둘레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강함에 따라, 비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링의 외측 둘레가 단기간에 마모되어 세정수의 주입시 오링의 방수력이 단기간에 상실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휴대용 비데는 세저수 주입통이 상부쪽을 향하고 개폐관을 개폐하는 회전관이 하부 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회전관을 회전시켜 세정수가 분사되는 사용 구조로써, 세정수 분사관 노즐을 삽입한 후 분사 노즐 방향을 국부 또는 항문 방향으로 맞춘 상태에서 한 손은 세정수 주입통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전방의 회전관을 잡고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노즐 분사관과 분사홀의 방향이 돌아가 분사 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여 순간 속옷 등이 젖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관은 사용자의 용변보는 자세에서의 좌,우 회전 방향에 대한 혼선이 발생되고 세정수 개패부를 회전시키는 방법에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탄성튜브의 후방 세정수가 주입되는 반구형부의 중앙에 칼집이 형성됨으로써, 칼집을 통해 세정수를 탄성튜브에 주입한 후에 탄성튜브의 내에 채워진 세정수가 탄성튜브의 압축 탄성력으로 인하여 압축되어 상기 칼집 부위가 역으로 조금 까지거나 미세하게 벌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칼집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상기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고무 경도를 높이거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세정수 주입시 칼집이 형성된 부위가 역으로 쉽게 벌어지지 않아서 어린이, 노약자, 여성 등이 세정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걸려 많은 힘이 들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케이스의 전판이 막혀 있음에 따라, 탄성 튜브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탄성튜브의 내부로 세정수가 주입되어 탄성튜브가 확장되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어딘가로 배출되지 못함으로 내부 압력이 걸려 탄성튜브가 잘 팽창되지 않음으로써, 세정수의 주입시 케이스를 하강시키는 힘이 많이 들게 되고, 세정수의 주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정수 리필용 비데는 탄성튜브의 외주 면이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튜브에 세정수를 여러번 반복 주입하면 탄성튜브가 단기간에 찢어지는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43030호의 "휴대용 비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537500호의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는 후방캡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에는 외측 둘레 단부가 마찰력을 줄이면서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에 밀착되는 돌출 판형 패킹링을 가지는 밀봉패킹을 적용함으로써, 세정수 주입시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과 밀봉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돌출 판형 패킹링의 신축성을 통해 최소로 줄이면서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세정수의 주입시 본체 케이스의 누르는 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세정수 주입통을 본체 케이스에서 분리할 때에도 밀봉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링의 단부 구조가 신축성에 의해 쉽게 열리게 되므로 세정수 주입통의 내측 둘레와 본체 케이스의 외측 둘레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세정수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세정수 개폐부를 회전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의 조작시 개폐 온, 오프 방향성에 대한 혼선을 줄이고 사용자가 세정수 개폐부를 쉽게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세정수 개폐과정에서 분사관과 분사홀 위치가 돌아가 속옷이 젖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관의 전방 둘레에 하부 연결부가 형성되게 수직 절개부를 형성하여 탄성튜브의 후방에 형성된 반구형부가 세정수의 주입시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회전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게 하고, 세정수가 탄성튜브에 주입되면 탄성튜브의 내부의 수압으로 인하여 반구형부가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견고하게 닫히게 할 수 있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본체 케이스의 전판에 공기 배출부를 형성하여 탄성튜브의 내부로 세정수가 주입되어 탄성튜브가 확장되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본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탄성튜브가 잘 팽창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튜브의 외측면의 둘레에 나선형 보강 돌출부를 더 형성하여 탄성튜브에 세정수를 여러번 반복 주입하고 장기간 동안 주입하더라도 탄성튜브가 단기간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는 늘어났다가 수축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전방에는 세정수 개폐부가 형성되고, 후방은 세정수를 주입할 때 수압으로 개방되고 세정수가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방수되는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으로 막혀 있는 탄성튜브와;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후방 외측의 둘레에 연결 고정되는 전판을 포함하는 전방캡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의 외측 둘레에 연결 고정된 후판을 포함하고 후판의 전방 둘레에는 외측 둘레에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둘레판이 형성되는 후방캡과, 전,후방캡의 사이에 고정된 둘레 커버판으로 구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패킹 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을 포함하고 고정링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신축성을 가진 돌출 판형 패킹링이 형성된 밀봉패킹과; 상기 전판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둘레의 상부에는 조작부 관통부가 형성된 원형관을 포함하고, 원형관의 전방은 중앙에 노즐 관통부가 형성된 전방판으로 막혀 있는 전방 케이스와; 상기 전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 관통부에 관통되게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를 조절 개폐하는 조절 개폐수단과;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 전방에 후방이 삽입되고, 전방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이 형성된 세정수 분사관과; 둘레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주면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면이 내면과 밀봉 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밀봉 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의 외측 둘레 단부에 밀착되는 세정수 주입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과 밀봉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세정수를 주입할 경우에도 어려움이 없이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과 밀봉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본체 케이스를 하강시켜 세정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본체 케이스의 하강 속도가 빠르게 하여 세정수의 주입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의 내면과 밀봉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비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밀봉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링의 외측 둘레가 단기간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패킹의 방수력이 단기간에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를 주입하고자 세정수 주입통을 본체 케이스에서 분리할 때에도 밀봉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링의 단부 구조가 신축성에 의해 쉽게 열리게 되므로 세정수 주입통의 내측 둘레와 본체 케이스의 외측 둘레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세정수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개폐부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의 조작시 세정수 분사관과 분사홀이 세정수 개폐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조작부의 조작시 세정수 분사관의 전방에 형성된 분사홀의 분사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세정수의 분사 방향으로 비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관의 전방 둘레에 하부 연결부가 형성되게 수직 절개부를 형성하여 탄성튜브의 후방에 형성된 반구형부가 세정수의 주입시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게 함으로써 세정수 주입이 원활해지는 효과도 있고, 세정수가 탄성튜브에 주입되면 탄성튜브의 내부의 수압으로 인하여 반구형부가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견고하게 회전되어 닫히게 함으로써 세정수를 탄성튜브에 주입한 후에 탄성튜브의 내에 채워진 세정수가 탄성튜브의 압축 탄성력으로 인하여 압축되더라도 수직 절개부의 밀착력이 더해져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의 전판에 공기 배출부를 형성하여 탄성튜브의 내부로 세정수가 주입되어 탄성튜브가 확장되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본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탄성튜브가 쉽게 잘 팽창되게 함으로써, 세정수의 주입시 본체 케이스를 하강시키는 힘이 적게 들게 하고, 세정수의 주입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튜브의 외측면의 둘레에 나선형 보강 돌출부를 더 형성하여 탄성튜브에 세정수를 여러번 장기간 동안 주입하더라도 탄성튜브가 단기간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탄성튜브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비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조절 개폐수단를 확대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c는 탄성튜브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에서 개방부가 개방되어 비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일부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부 확대도이고,
도 4d는 도 4b의 D부 확대도이며,
도 4e는 도 4a의 E-E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f는 도 4a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에서 개방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G-G선 일부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H-H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세정수 주입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세정수 방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J부의 확대도이며,
도 7c는 체크밸브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비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에서 개방부가 개방되어 비데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에서 개방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의 세정수 주입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이하,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라 한다.)는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는 것으로, 탄성튜브(1), 본체 케이스(2), 밀봉패킹(3), 전방 케이스(4), 조절 개폐수단(5), 세정수 분사관(6), 세정수 주입통(7)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튜브(1)는 늘어났다가 수축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후방이 개방된 원통관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튜브(1)의 전방에는 세정수 개폐부(11)가 형성되고, 후방은 세정수를 주입할 때 수압으로 개방되고 세정수가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방수되는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12)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12)은 탄성튜브(1)에 세정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세정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튜브(1)의 후방 내주면에 삽입되고 전방은 반구형부(122)로 막혀 있는 삽입관(121)과, 상기 삽입관(121)의 후방 둘레에서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후판(221)에 연결 고정되는 둘레판(123)과, 상기 둘레판(123)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튜브(1)의 후방 외주면에 삽입되는 외측 삽입관(124)과, 상기 삽입관(121)의 전방 둘레에 상부에서 양측과 양측의 하부로 절개되어 하부에는 하부 연결부(126)가 형성되게 절개된 수직 절개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절개부(125)는 삽입관(121)의 전방 둘레에 상부에서 양측과 양측의 하부로 절개되어 하부에는 하부 연결부(126)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수직 절개부(125)를 통해, 상기 반구형부(122)의 후방에서 압력을 가지면서 세정수가 주입되면 반구형부(122)가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회전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고, 세정수가 탄성튜브(1)에 주입되면 반구형부(122)가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닫히게 회전되어 탄성튜브(1) 내부의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튜브(1)는 외측면의 둘레에서 일체형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나선형 보강 돌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튜브(1)의 외측면의 둘레에 나선형 보강 돌출부(14)를 더 형성하여 탄성튜브(1)에 세정수를 여러번 반복 주입하고 장기간 동안 주입하더라도 탄성튜브(1)가 단기간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탄성튜브(1)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2)는 세정수 개폐부(11)의 후방 외측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결 고정되는 전판(211)을 포함하고 전판(211)의 후방 둘레에는 후방 둘레판(212)이 형성된 전방캡(21)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12)의 외측 둘레에 연결 고정된 후판(221)을 포함하고 후판(221)의 전방 둘레에는 외측 둘레에 패킹 삽입홈(223)이 형성된 둘레판(222)이 형성된 후방캡(22)과, 전,후방캡(21)(22)의 사이에 고정된 둘레 커버판(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캡(21)의 전판(211)에는 공기 배출부(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24)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배기홀(241)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2)의 전판(211)에 공기 배출부(24)를 형성하여 탄성튜브(1)의 내부로 세정수가 주입되어 탄성튜브(1)가 확장되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본체 케이스(2) 내부의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탄성튜브(1)가 잘 팽창되게 함으로써, 세정수의 주입시 본체 케이스(2)를 하강시키는 힘이 적게 들게 하고, 세정수의 주입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밀봉패킹(3)은 패킹 삽입홈(223)에 삽입되는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31)을 포함하고 고정링(31)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신축성을 가진 돌출 판형 패킹링(3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돌출 판형 패킹링(32)은 고정링(31)의 외측면의 둘레의 전방에서 고정링(31)의 외측 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형 링(3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삽입홈(223)은 전,후 수직면과 내측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31)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 삽입홈(223)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케이스(4)는 전방캡(21) 전판(211)의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둘레의 상부에는 조작부 관통부(411)가 형성된 원형관(41)을 포함하는 것으로, 원형관(41)의 전방은 중앙에 노즐 관통부가 형성된 전방판(42)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 관통부(411)는 전방 케이스(4)의 둘레에 횡방향의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개폐수단(5)은 전방 케이스(4)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 관통부(411)에 관통되게 설치된 조작부(57)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57)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세정수 개폐부(11)의 내부를 조절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조절 개폐수단(5)은, 상기 세정수 개폐부(11)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고 후방이 상기 전판(211)에 일체화되게 형성되며 전방 일,타측에는 일,타측 수평관(511)(512)이 형성된 원형관(51)과, 상기 원형관(51)의 외측 둘레에 이격되게 전판(211)에 일체화되게 형성된 외측 원형관(52)과, 상기 일,타측 수평관(511)(512)의 내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타측 누름부재(53)(54)와, 상기 외측 원형관(52)의 외측에 후방 둘레가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측 둘레에는 상기 일,타측 누름부재(53)(54)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 개폐부(11)를 폐쇄하거나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 개폐부(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열림 조정수단(56)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조작부 장착홀(551)이 형성된 회전관(55)과, 상기 조작부 장착홀(551)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조작부 관통부(411)에 관통되어 상기 전방 케이스(4)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림 조정수단(56)은 상기 세정수 개폐부(11)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관(55)을 전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타측 누름부재(53)(54)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눌러 일,타측 누름부재(53)(54)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세정수 개폐부(11)를 폐쇄하고 회전관(5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위치의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일,타측 누름부재(53)(54)의 누름을 해제하여 상기 일,타측 누름부재(53)(54)를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세정수 개폐부(11)의 열림 정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일,타측 돌출캠(561)(5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분사관(6)은 세정수 개폐부(11)의 내부 전방에 후방이 삽입되고, 전방이 막혀 있으며, 전방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61)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은 둘레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2)의 외주면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면이 내면과 상기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밀봉패킹(3)의 돌출 판형 패킹링(32)의 외측 둘레 단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의 내부 후방의 둘레에는 외접기어(73)가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22)의 후방에는 상기 외접기어(73)에 체결되어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내접기어(224)가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데의 사용시 상기 세정수 주입통(7)에 형성된 외접기어(73)에 후방캡(22)의 후방에 형성된 내접기어(224)가 체결됨으로써, 비데의 조작부(57)의 조작 사용시 세정수 주입통(7)이 헛돌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수 리필용 위생 비데를 구성하는 탄성튜브(1)에 세정수를 채울 경우에는, 상기 조절 개폐수단(5)의 조작부(57)를 전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 개폐수단(5)을 구성하는 일,타측 누름부재(53)(54)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세정수 개폐부(11)를 압축시킴에 따라 세정수 개폐부(11)를 폐쇄한다.
다음 사용자가 세정수 주입통(7)의 내부에 세정수를 체운 후 바닥에 세우고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2)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2)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면, 세정수 주입통(7)의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가 압축되어 세정수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세정수를 통해 상기 탄성튜브(1)의 후방에 구비된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12)의 반구형부(122)가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반구형부(122)가 개방됨으로써, 세정수 주입통(7)에 채워진 세정수가 상기 탄성튜브(1)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본체 케이스(2)를 완전히 하부까지 눌러준 후에는 세정수의 주입이 완료됨에 따라, 탄성튜브(1)가 세정수의 주입으로 늘어나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튜브(1)의 후방에 구비된 반구형부(122)가 탄성튜브(1)의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의 수축 압력으로 인하여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닫히게 됨으로써 탄성튜브(1)가 방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세정수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볼록 형태의 반구형부(122)의 둘레로 수압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튜브(1)의 후방이 견고하게 밀봉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튜브(1)의 후방에 형성된 반구형부(122)가 세정수의 주입시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게 함으로써 세정수 주입이 원활해지는 장점도 있고, 세정수가 탄성튜브(1)에 주입되면 탄성튜브(1)의 내부의 수압으로 인하여 반구형부(122)가 하부 연결부(126)를 중심으로 견고하게 회전되어 닫히게 함으로써 세정수를 탄성튜브(1)에 주입한 후에 탄성튜브(1)의 내에 채워진 세정수가 탄성튜브(1)의 압축 탄성력으로 인하여 압축되더라도 수직 절개부의 밀착력이 더해져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세정수 주입통(7)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운 후 바닥에 세우고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2)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2)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는, 후방캡(22)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223)에는 외측 둘레 단부가 마찰력을 줄이면서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에 밀착되는 돌출 판형 패킹링(32)을 가지는 밀봉패킹(3)이 설치됨으로써,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과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세정수 주입시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과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돌출 판형 패킹링(32)의 신축성을 통해 최소로 줄이면서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여 세정수의 주입시 본체 케이스(2)의 누르는 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과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세정수를 채운 세정수 주입통(7)의 상부쪽에 본체 케이스(2)를 삽입한 다음 본체 케이스(2)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눌러주어 탄성튜브(1)의 내부에 세정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적은 힘으로도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게 하여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가 세정수를 주입할 경우에도 어려움이 없이 세정수를 주입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과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본체 케이스(2)를 하강시켜 세정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본체 케이스(2)의 하강 속도를 빠르게 하여 세정수의 주입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7)을 본체 케이스(2)에서 분리할 때에도 밀봉패킹(3)의 돌출 판형 패킹링(32)의 단부 구조가 신축성에 의해 쉽게 열리게 되므로 세정수 주입통(7)의 내측 둘레와 본체 케이스(2)의 외측 둘레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세정수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주입통(7)의 내면과 밀봉패킹(3)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비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밀봉패킹(3)의 돌출 판형 패킹링(32)의 외측 둘레가 단기간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패킹(3)의 방수력이 단기간에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튜브(1)에 세정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필용 위생비데를 사용할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2)에 삽입된 세정수 주입통(7)을 한 손으로 잡고 탄성튜브(1)의 전방에 형성된 세정수 개폐부(11)에 세정수 분사관(6)의 후방을 삽입한다.
다음 세정수 주입통(7)을 한 손으로 잡은 비데를 전방을 하향되게 경사지게 한 다음, 세정수 분사관(6)의 전방에 삽입된 분사홀(61)을 항문이나 국부와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다음 다른 한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조절 개폐수단(5)의 조작부(57)를 전방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탄성튜브(1)의 세정수 개폐부(11)를 적정한 수압으로 개방시키면, 상기 탄성튜브(1)가 원래의 상태로 확장 복원되면서 탄성튜브(1)에 채워진 세정수가 세정수 개폐부(11)를 통과하여 상기 세정수 분사관(6)의 분사 노즐의 한 개 이상의 분사홀(61)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항문이나 국부의 세정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방 케이스(4)에 관통되게 조작부(57)를 설치하여 전방 케이스(4)가 볼트 체결의 고정 없이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부(57)의 회전시 전방 케이스(4)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작부(57)의 개폐 조작시 세정수 분사관(6)이 세정수 개폐부(11)를 중심으로 미세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세정수 개폐부(11)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57)의 조작시 세정수 분사관(6)이 세정수 개폐부(11)를 중심으로 미세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조작부(57)의 조작하는 세정수 개폐과정에서 세정수 분사관(6)과 분사홀(61) 위치가 돌아가 속옷이 젖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 개폐부(11)를 회전 개폐 조작하는 조작부(57)의 조작시 개폐 온, 오프 방향성에 대한 혼선을 줄이고 사용자가 세정수 개폐부를 쉽게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세정수 방수수단(12)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튜브(1)에 세정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세정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튜브(1)의 후방 내주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방홀(128)이 형성된 삽입관(127)과, 상기 삽입관(127)의 후방 둘레에서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판(221)에 연결 고정되는 둘레판(129)과, 상기 둘레판(129)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튜브(1)의 후방 외주면에 삽입되는 외측 삽입관(130)과, 상기 삽입관(127)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고 세정수가 주입되면 닫혀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부(131)는 중앙에 개방홀(132b)이 형성된 후판(132a)과 후판(132a)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관(132c)으로 구성된 케이스(132)와, 상기 케이스(13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중앙홀(133b)이 형성된 둘레판(133a)을 포함하고 둘레판(133a)의 중앙홀에는 상부 연결부(133d)를 통해 둘레판(133a)에 연결되어 상기 후판(132a)의 개방홀(132b)의 전방을 닫고 상부 연결부(133d)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에서 세정수의 주입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고 세정수가 주입되면 상기 후판(132a)의 개방홀(132b)을 닫아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원형 개폐판(133c)이 구비된 체크밸브판(133)과, 상기 케이스(13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둘레판(133a)을 눌러주어 상기 케이스(132)의 후판(132a)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전방 삽입관(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수 주입통(7)의 후판의 중앙에는 내부에 탭홀(71)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탭홀(71)에는 외부에서 회전 조작을 통해 탭홀(71)을 개폐하는 개폐 체결부(72)가 더 체결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 체결부(72)는 상기 탭홀(71)에 체결되는 나사축(721)과, 나사축(721)의 후방에서 형성되어 조작으로 회전되는 회전판(722)과, 상기 나사축(721)의 외측에 삽입되어 회전판(722)의 후면과 탭홀(71)의 후방 둘레인 세정수 주입통(7)의 후방 사이에 위치되는 밀봉링(7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체결부(72)를 풀게 되면 밀봉링(723)이 후방으로 후퇴되어 개폐 체결부(72)의 나사축(721)과 탭홀(71)의 사이 틈으로 공기가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탄성튜브(1)에 1회 세정수를 채운 다음, 세정수의 분사 수압을 높이기 위하여 재차 세정수를 주입할 경우에는, 먼저 세정수를 1회 채운 다음 세정수 주입통(7)을 본체 케이스(2)에서 분리한 다음, 세정수 주입통(7)에 반정도 이하로 세정수를 채운다.
다음 반정도의 이하의 세정수를 채워진 세정수 주입통(7)을 본체 케이스(2)의 후방에 삽입한 후, 상기 개폐 체결부(72)을 풀어 개방한 다음, 세정수 주입통(7)과 본체 케이스(2)를 거꾸로 세운 후 세정수 주입통(7)을 손으로 눌어 본체 케이스(2)에 삽입하면서 세정수 주입통(7)의 상부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킨다.
다음 개페 체결부(72)를 다시 막고, 세정수 주입통(7)과 본체 케이스(2)를 다시 바로 세워 바닥에 세운 후, 본체 케이스(2)를 하부로 눌러 재차 세정수의 주입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튜브(1)에 1회 세정수를 채운 다음, 필요에 따라 세정수의 분사 수압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튜브(1)에 재차 세정수를 용이하게 채울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탄성튜브
11 : 세정수 개폐부
12 :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
13 : 나선형 보강 돌출부
2 : 본체 케이스
21 : 전방캡
22 : 후방캡
23 : 둘레 커버판
24 : 공기 배출부
3 : 밀봉패킹
31 : 고정링
32 : 돌출 판형 패킹링
4 : 전방 케이스
41 : 원형관
42 : 전방판
5 : 조절 개폐수단
51 : 원형관
52 : 외측 원형관
53 : 일측 누름부재
54 : 타측 누름부재
55 : 회전관
57 : 조작부
6 : 세정수 분사관
7 : 세정수 주입통
71 : 탭홀
72 : 개폐 체결부
73 : 외접기어

Claims (13)

  1. 늘어났다가 수축 복원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전방에는 세정수 개폐부가 형성되고, 후방은 세정수를 주입할 때 수압으로 개방되고 세정수가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방수되는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으로 막혀 있는 탄성튜브와;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후방 외측의 둘레에 연결 고정되는 전판을 포함하는 전방캡과,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의 외측 둘레에 연결 고정된 후판을 포함하고 후판의 전방 둘레에는 외측 둘레에 패킹 삽입홈이 형성된 둘레판이 형성되는 후방캡과, 전,후방캡의 사이에 고정된 둘레 커버판으로 구성된 본체 케이스와;
    상기 패킹 삽입홈에 삽입되는 탄성력을 가진 고정링을 포함하고 고정링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신축성을 가진 돌출 판형 패킹링이 형성된 밀봉패킹과;
    상기 전판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둘레의 상부에는 조작부 관통부가 형성된 원형관을 포함하고, 원형관의 전방은 중앙에 노즐 관통부가 형성된 전방판으로 막혀 있는 전방 케이스와;
    상기 전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 관통부에 관통되게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를 조절 개폐하는 조절 개폐수단과;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내부 전방에 후방이 삽입되고, 전방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이 형성된 세정수 분사관과;
    둘레와 후방이 막혀 있고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주면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면이 내면과 밀봉 패킹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밀봉 패킹의 돌출 판형 패킹의 외측 둘레 단부에 밀착되는 세정수 주입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판형 패킹링은
    상기 고정링의 외측면의 둘레의 전방에서 고정링의 외측 방향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형 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삽입홈은 전,후 수직면과 내측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관통부는 전방 케이스의 둘레에 횡방향의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 개폐수단은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둘레를 감싸게 구비되고 후방이 상기 전판에 일체화되게 형성되며 전방의 일,타측에는 일,타측 수평관이 형성된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외측 둘레에 이격되게 전판에 일체화되게 형성된 외측 원형관과,
    상기 일,타측 수평관의 내부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타측 누름부재와,
    상기 외측 원형관의 외측에 후방 둘레가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측 둘레에는 상기 일,타측 누름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 개폐부를 폐쇄하거나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열림 조정수단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조작부 장착홀이 형성된 회전관과,
    상기 조작부 장착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부 관통부에 관통되어 상기 전방 케이스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조정수단은
    상기 세정수 개폐부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관을 전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인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타측 누름부재의 외측을 내측 방향으로 눌러 일,타측 누름부재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세정수 개폐부를 폐쇄하고 회전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원위치의 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일,타측 누름부재의 누름을 해제하여 상기 일,타측 누름부재를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세정수 개폐부의 열림 정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일,타측 돌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은
    상기 탄성튜브의 후방 내주면에 삽입되고 전방은 반구형부로 막혀 있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후방 둘레에서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판에 연결 고정되는 둘레판과,
    상기 둘레판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튜브의 후방 외주면에 삽입되는 외측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전방 둘레에 상부에서 양측과 양측의 하부로 절개되어 하부에는 하부 연결부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반구형부의 후방에서 세정수가 주입되면 반구형부가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개방되게 회전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게 하고 세정수가 탄성튜브에 주입되면 반구형부가 하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닫히게 회전되어 탄성튜브 내부의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직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주입 방수수단은
    상기 탄성튜브의 후방 내주면에 삽입되고 전방에 개방홀이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후방 둘레에서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판에 연결 고정되는 둘레판과,
    상기 둘레판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튜브의 후방 외주면에 삽입되는 외측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방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고 세정수가 주입되면 닫혀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부는
    중앙에 개방홀이 형성된 후판과 후판의 전방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관으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중앙홀이 형성된 둘레판을 포함하고 둘레판의 중앙홀에는 상부 연결부를 통해 둘레판에 연결되어 상기 후판의 개방홀의 전방을 닫고 상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에서 세정수의 주입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어 세정수가 주입되고 세정수가 주입되면 상기 후판의 개방홀을 닫아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원형 개폐판이 구비된 체크밸브판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둘레판을 눌러주어 상기 케이스의 후판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전방 삽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캡의 전판에는 공기 배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하나 이상의 배기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튜브는
    외측면의 둘레에서 일체형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나선형 보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주입통의 후판의 중앙에는 내부에 탭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탭홀에는 외부에서 회전 조작을 통해 탭홀을 개폐하는 개폐 체결부가 더 체결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주입통의 내부 후방의 둘레에는 외접기어가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캡의 후방에는 상기 외접기어에 체결되어 상기 세정수 주입통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내접기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KR1020240058192A 2024-04-30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KR2024006860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604A true KR20240068604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732B1 (ko) 일회용 위생 비데
KR102244498B1 (ko) 일회용 위생 비데
US10076215B1 (en) Portable bidet seat
KR20240068604A (ko)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KR102381601B1 (ko) 탄성튜브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세정수가 자동 분사되는 휴대용 위생비데
JP2023540117A (ja) 足健康管理器付き洋式便器
KR102248729B1 (ko) 일회용 위생 비데
KR102089985B1 (ko)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102537500B1 (ko) 탄성튜브에 세정수 반복주입 기능을 구비한 세정수 리필용 위생비데
CN110130452A (zh) 一种高压直排节水无噪声多功能马桶结构
CN205625781U (zh) 一种护理用坐便椅
KR100922185B1 (ko) 비데 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변기
KR20090013300A (ko) 휴대용 비데
KR101985145B1 (ko) 변기 시트용 방향 장치
KR100899460B1 (ko) 좌변기용 배출관의 막힘상태 뚫음장치
KR20100090498A (ko)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CN110629843A (zh) 防溅水马桶
KR200208295Y1 (ko) 좌식 변기용 시트 회전장치
KR100475698B1 (ko) 비데용 노즐
KR200232537Y1 (ko) 소변기 기능을 갖는 변기 좌판
KR200253066Y1 (ko) 휴대용 위생 세정기
KR100597478B1 (ko) 휴대용 비데
JP3488356B2 (ja) 携帯用洗浄器
JP3488355B2 (ja) 携帯用洗浄器
KR200263489Y1 (ko) 휴대용 세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