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315A - PET container with label-cup - Google Patents

PET container with label-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315A
KR20240068315A KR1020220149586A KR20220149586A KR20240068315A KR 20240068315 A KR20240068315 A KR 20240068315A KR 1020220149586 A KR1020220149586 A KR 1020220149586A KR 20220149586 A KR20220149586 A KR 20220149586A KR 20240068315 A KR20240068315 A KR 2024006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up
container body
auxiliary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김순호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filed Critical 김순호
Publication of KR2024006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3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라벨 제거시 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컵을 얻으면서 제거된 라벨의 분리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료수가 담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부착되는 라벨(200)과; 상기 라벨(200)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100)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310)을 갖는 라벨컵(300)과; 상기 라벨(200)과 라벨컵(300) 사이의 경계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벨(200)의 제거 과정에서 절개되면서 상기 라벨(200)에서 라벨컵(300)이 분리되게 하는 절단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container, which increases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a cup to be obtained when the label is removed, and has a cup with a label that facilitates separation and discharge of the label removed while obtaining the cup.
In order to sol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body 100 in which beverages are stored; A label 20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A label cup 300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200 and has a receiving space 310 inside while surrounding the container body 100; A cutting line 400 is formed a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nd is cut dur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label 200 to separate the label cup 300 from the label 200. It consists of:

Description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PET container with label-cup}PET container with label-cup}

본 발명은 페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라벨 제거시 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컵을 얻으면서 제거된 라벨의 분리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container, which increases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a cup to be obtained when the label is removed, and to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that facilitates separation and discharge of the label removed while obtaining the cup.

일반적으로, 음용을 위한 용기는 음료수 등을 보관하며, 필요 시 보관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리병, 페트병이 대표적이다.In general, containers for drinking store beverages, etc., and allow the stored beverages to be easily consumed when necessary, 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glass bottles and plastic bottles.

그 중 페트병은 가볍고, 저렴하며, 식품위생상 안전하고, 유리보다 내구성이 우수하여 최근에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음료수는 페트병으로 음료를 보관하여 판매하고 있다.Among them, PET bottles are light, inexpensive, safe in terms of food hygiene, and are more durable than glass, so most beverage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stored and sold in PET bottles.

이러한 페트병은 페트 칩을 녹여 투명한 시험관 모양의 프리폼을 만들고, 프리폼을 병 모양의 금형 속에 넣고 공기를 불어 넣어 페트병을 완성하며, 완성된 페트병에 음료를 분주한 후 페트병의 입구를 뚜껑으로 밀봉시켜 내용물을 보관되게 하였다.These PET bottles are made by melting PET chips to create a transparent test tube-shaped preform, placing the preform into a bottle-shaped mold and blowing air to complete the PET bottle. After dispensing beverage into the completed PET bottle, the mouth of the PET bottle is sealed with a lid to release the contents. was kept.

한편, 페트병은 상표와 상품정보에 대한 내용으로 소비자가 상품 구매시 품질, 원료, 성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라벨이 띠 형태로 만들어져 페트병의 외주에 감겨 부착된다.Meanwhile, PET bottles contain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and labels are made in the form of a strip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ET bottle so that consumers can know information such as quality,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when purchasing a product.

여기서 페트병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제작되어 재활용이 필요하고, 대량생산에 의해 막대한 양으로 배출되는 페트병의 재활용 방안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Here, PET bottles ar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require recycling, and the importance of recycling methods for PET bottles, which are discharged in huge quantities due to mass production, is increasing.

이때, 페트병의 외주에 부착된 라벨은 상표 및 상품정보가 인쇄되어 있어 페트병을 재활용하는데 방해 요소로서 작용하며, 이에 따라 페트병의 재활용 과정에서 라벨의 제거가 필요하다.At this time, the label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ET bottle has the trademark and product information printed on it, which acts as an obstacle to recycling the PET bottle. Accordingly, the label needs to be removed during the recycling process of the PET bottle.

그러나 종래에는 페트병에 부착된 라벨은 페트병 외주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어 있어 라벨의 제거가 어렵고, 라벨의 제거가 용이하더라도 사용자가 라벨 제거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해 라벨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페트병이 분리수거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label attached to a PET bottle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ET bottle with adhesive,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label. Even if the label is easy to remove, the user does not feel the need to remove the label, so the PET bottle is separated without the label being removed. There are many cases of collection.

또한, 페트병은 음료수의 보관을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야외에서 페트병에 보관된 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 종이컵과 같은 별도의 컵이 필요하며, 컵의 구매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종이컵 사용에 의한 재활용의 부담을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In addition, plastic bottles are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beverages, and a separate cup such as a paper cup is required to drink beverages stored in a plastic bottle outdoors. User convenience due to purchasing a cup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use of paper cups is difficult. There were problems that caused the burden of recycling.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5537호(등록일:2018.08.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95537 (registration date: 2018.08.3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벨에 음용을 위한 컵을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라벨을 용기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컵이 용기에 구비되게 하고, 라벨 제거시 컵이 라벨로부터 분리되어 라벨은 재활용을 위해 버리고, 분리된 컵은 음용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cup for drink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so that the cup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dur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label to the container, and when the label is removed, the cup is separated from the label and the label 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ET container with a cup that doubles as a label so that the cup can be discarded for recycling and the separated cup can be used for drinking.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To sol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음료수가 담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와;A container body in which beverages are stored and stored;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부착되는 라벨과;A label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라벨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을 갖는 컵과;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and includes a cup that surrounds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receiving space inside;

상기 라벨과 컵 사이의 경계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벨의 제거 과정에서 절개되면서 상기 라벨에서 컵이 분리되게 하는 절단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PET container with a cup that also serves as a label, which is formed a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label and the cup and includes a cutting line that is cut during the removal of the label and allows the cup to be separated from the label.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제공함에 따라 컵 사용을 위해 용기에서 라벨 제거의 필요성이 생겨 라벨이 제거된 페트 용기를 용이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라벨 제거 시 분리된 컵을 얻을 수 있어 별도 컵의 구매가 필요 없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is provide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label from the container to use the cup, so the PET container with the label remove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when the label is removed, the separated cup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by eliminating the need to purchase a separate cup.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라벨과 컵의 분리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의 전체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separation of a label and a cup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s of a PET container with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of the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that are widely known and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r not are omitted. This not only omits unnecessary descriptions, but also omits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is is to convey the point more clearly.

또한, 도면의 도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거나 통상의 구성요소를 기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부호의 도시를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the illustrations in the drawings, when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or common components are described, the symbols for these elements are omit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음료수가 담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부착되는 라벨(200)과; 상기 라벨(200)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100)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310)을 갖는 라벨컵(300)과; 상기 라벨(200)과 라벨컵(300) 사이의 경계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벨(200)의 제거 과정에서 절개되면서 상기 라벨(200)에서 라벨컵(300)이 분리되게 하는 절단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100 in which beverages are contained and stored; A label 20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A label cup 300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200 and has a receiving space 310 inside while surrounding the container body 100; A cutting line 400 is formed a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nd is cut dur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label 200 to separate the label cup 300 from the label 200. It consists of: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1)를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looking at the PET container 1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페트로 제작되며, 내부에 물, 탄산수 등의 음료수가 담겨 보관되는 공간을 갖고, 상부에 음료수의 음용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는 별도 뚜껑을 통해 밀폐된 형태이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ntainer body 100 is made of PET, has a space inside to store beverages such as water and carbonated water, and has an inlet for drinking beverages at the top, and the inlet is sealed with a separate lid.

이때, 용기 본체(100)는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어 다양한 외형으로 용기 본체(100)를 제작할 수 있으며, 특별히 용기 본체(100)의 외형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ntainer body 100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can contain all beverages sold on the market, so the container body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external shapes,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tainer main body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그리고, 상기 라벨(200)은, 용기 본체(100)의 중앙 부분에 감겨 부착되며, 라벨(200)은 용기 본체(100)에 보관되는 음료수의 종류에 따른 상표 및 소비자가 상품 구매시 참고할 수 있는 품질, 원료, 성분 등의 상품정보가 인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abel 200 is wound and attach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abel 200 is a bran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100 and a quality that consumers can refer to when purchasing the product. , product information such as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is printed.

이때, 라벨(200)은 상표 및 상품정보가 인쇄되어 있어 페트병을 재활용하는데 방해 요소로서 작용함으로 페트로 제작되는 용기 본체(100)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라벨(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제거가 할 필요성이 있다.At this time, the label 200 has the trademark and product information printed on it, so it acts as an obstacle to recycling PET bottle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cycling the container body 100 made of PET, the label 20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0. There is a need for removal.

여기서, 상기 라벨(200)은 띠 형태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감기며, 상기 라벨(200)의 끝 부분에 부착을 위한 부착지점(210)이 마련되고, 상기 부착지점(210)의 분리를 통해 라벨(200)과 라벨컵(300)의 분리를 이루어지도록 한다.Here, the label 20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in the form of a strip, and an attachment point 210 for attachmen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abel 200, and the attachment point 210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re separated through separation.

상기 부착지점(210)은 라벨(200)이 끝 부분에 접착성을 갖도록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부착지점(210)의 접착력을 통해 띠 형태의 라벨(200)이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감기며 부착될 수 있고, 부착지점(210)을 기준으로 떼어 내면 라벨(200)을 용기 본체(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attachment point 210 is formed by applying adhesive to the end of the label 200 to have adhesiveness, and the strip-shaped label 200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through the adhesive force of the attachment point 210. It can be attached by being wound around, and the label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0 by peeling it off based on the attachment point 210.

도 2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착지점(210)을 파지한 상태에서 라벨(200)을 서서히 떼어 내면, 라벨(200)과 라벨컵(300)은 절단선(400)을 기준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라벨(200)을 떼어 내는 힘에 의해 절단선(400)이 절개되면서 라벨(200)이 용기 본체(100)를 한 바퀴 돌아 가면서 라벨컵(300)과 라벨(200)을 완전히 분리시키게 된다.According to Figure 2, when the user slowly removes the label 200 while holding the attachment point 210,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re integrally connected based on the cutting line 400. Therefore, the cutting line 400 is cut by the force that removes the label 200, and the label 200 rotates around the container body 100, completely separating the label cup 300 and the label 200.

이때, 분리된 라벨(200)은 폐기하고, 라벨컵(300)은 음료수를 담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ed label 200 can be discarded, and the label cup 300 can be used to hold beverages.

그리고,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용기 본체(100)의 외부를 감싸면서 형성되는데, 용기 본체(100)를 감싸는 측에 안쪽으로 음료수를 담기 위한 수용공간(310)이 형성되도록 기본적으로 용기 본체(100)의 하부를 감싸면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label cup 3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200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is formed on the side surrounding the container body 100 with a receiving space ( 310) is basically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한편, 라벨컵(300)은 라벨(200)에서 분리되면 상향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310)이 마련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라벨컵(300)의 수용공간(310)에 음료수를 담아 컵의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bel cup 300 is separated from the label 200, it has a shape with a receiving space 310 having an upward opening,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up by holding a beverage in the receiving space 310 of the label cup 300. there is.

여기서,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과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한다.Here, the label cup 300 further includes a label 200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이 통상 비닐 재질로 제작됨으로 라벨(200)과 동일 두께로 이루어지면 비닐 재질의 특성상 라벨컵(300)의 형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음료수가 담긴 상태에서 라벨컵(300)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종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The label cup 300 is usually made of a vinyl material, so if it is made of the same thickness as the label 200,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label cup 300 due to the nature of the vinyl material, so it is filled with a beverage. In order to easily maintain the shape of the label cup 300, it can be manufactured from different materials.

이때, 이종 재질은 라벨(200)의 두께 대비 라벨컵(3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강도를 확보하거나, 또는 라벨컵(3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라벨(200)의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물을 담기 위해 방수가 가능해야 한다.At this time, the heterogeneous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that secures strength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label cup 300 thick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label 200, or is strong enough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label cup 300. ) can be molded as one piece during the molding process, and must be waterproof to contain water.

그리고, 상기 절단선(400)은, 라벨컵(300)과 라벨(200)의 경계에 점 또는 짧은 선이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연속 절단된 형태의 선이며, 이를 통해 라벨(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절단선(400)을 기준으로 절개되면서 라벨(200)과 라벨컵(300)이 분리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utting line 400 is a line in which dots or short lines are continuously cut in a row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label cup 300 and the label 200, and through this, the label 20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In the process of removal from (100),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re separated by being cut based on the cutting line (400).

상기 절단선(400)은 라벨(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떼어지는 힘 정도로 쉽게 절개될 수 있고, 절단선(400)의 점 또는 짧은 선의 절단 형태를 기점으로 라벨(200)과 라벨컵(300)의 경계선이 완전 절개되어 라벨컵(300)과 라벨(200)을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The cutting line 400 can be easily cut with enough force to separate the label 200 from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tarting from the cut shape of the point or short line of the cutting line 400. The border of 300 is completely cut, so that the label cup 300 and the label 20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도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따르면,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또는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3, the label cup 300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label 200, or is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abel 200.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2에서는 라벨컵(300)이 라벨(200)의 하부에만 형성된 상태를 기본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3에서는 라벨컵(300)이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The label cup 300 can be selectively formed on either the top or bottom of the label 200, or on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In Figures 1 and 2, the label cup 300 is formed only on the bottom of the label 200. It is shown based on the formed state, and in Figure 3, the label cup 300 is shown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abel 200, respectively.

한편, 라벨컵(300)이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면, 2개의 라벨컵(300)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라벨컵(30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 라벨컵(300)과 라벨(200)의 경계선에 절단선(400)이 각각 형성되면서 상부 및 하부 라벨컵(300)을 라벨(200)에서 각각 분리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bel cups 300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abel 200, two label cups 300 can be obtained. To this end, label cups 300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abel 200, respectively. It is formed as one piece, and a cutting line 400 is formed on the boundary line of the upper and lower label cups 300 and the label 200, there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label cups 300 from the label 200.

이때, 상부 라벨컵(30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310)을 형성시키고, 하부 라벨컵(300)은 용기 본체(100)의 하부 전체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310)을 형성되게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label cup 300 surrounds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form a receiving space 310 on the inside, and the lower label cup 300 surrounds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forms an inner receiving space 310. An accommodation space 310 is formed in .

이 경우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라벨컵(300)이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절단선(400)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라벨컵(300)이 각각 분리됨에 따라 2개의 라벨컵(300)을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label cup 3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abel 200, and as necessary, the upper and lower label cups 300 are separated based on the cutting line 400, creating two label cups. (300) can be provided in a very simple manner.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에 따르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끼움 체결 구조로 용기 본체(100)에 탈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조컵(110)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Figure 4, the container body 10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auxiliary cups 110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container body 100 through a fitting structure.

상기 보조컵(110)은 도 1의 제1 실시 또는 도 2의 제2 실시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컵(110)은 페트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조컵(110) 역시 내부에 음료수를 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제작되고, 용기 본체(100)에 끼워지는 형태로 보조컵(110)을 탈착시킬 수 있다.The auxiliary cup 110 can be used in both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or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2. The auxiliary cup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ET, and the auxiliary cup 110 may also have an internal It is manufactured with a space for containing beverages, and the auxiliary cup 110 can be detached in a way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한편, 상기 보조컵(110)은 끼움 체결 구조를 위해 보조컵(110)과 용기 본체(100)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부(111)를 갖고, 상기 끼움부(111)는 끼움돌기(111a)와 끼움홈(111b)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auxiliary cup 110 has a fitting portion 111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cup 110 and the container body 100 for a fitting structure, and the fitting portion 111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111a and It consists of a fitting groove (111b).

이때, 끼움부(111)는 보조컵(110)의 개구부 끝단에 구비되는데, 끼움돌기(111a)가 용기 본체(100)에 형성되면 보조컵(110)은 끼움홈(111b)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111a)와 끼움홈(111b)의 끼움 체결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tting portion 111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cup 110. When the fitting protrusion 111a is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100, the auxiliary cup 11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111b and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cup 110. Fitting between the protrusion 111a and the fitting groove 111b can be induced, and vice versa.

여기서, 상기 보조컵(11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Here, the auxiliary cup 110 further includes being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0, respectively.

도 5에 따르면, 상기 보조컵(11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보조컵(110)이 구비되는 측에 라벨컵(300)이 구비되는 경우 라벨컵(300)의 외측으로 보조컵(110)이 덮어지는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Figure 5, the auxiliary cup 1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ntainer body 100, respectively. If the label cup 300 is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auxiliary cup 110 is provided, the label cup (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auxiliary cup 110 to cover the outside of 300).

이 경우 보조컵(110)이 끼움 결합 구조로 별도로 마련됨에 따라 컵을 추가로 필요로 하는 경우 보조컵(110)을 용기 본체(100)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최대 4개의 컵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auxiliary cup 110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fitting structure, if an additional cup is needed, the auxiliary cup 110 can be easily provided by fitting it into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up to 4 cups.

또한, 상기 보조컵(110)이 용기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조컵(110)의 외측에 보조라벨(200a)이 감싸면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cup 110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 auxiliary label 200a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cup 110.

상기 보조라벨(200a)은 보조컵(110)이 용기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 양쪽에 구비되면, 페트 용기(1)의 외측 전체 부분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보조컵(11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보조라벨(200a)의 중앙 측에 형성된 보조절단선(400a)을 통해 절단되면서 보조라벨컵(300a)을 제공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label 200a is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portion of the PET container 1 when the auxiliary cup 110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has the function of fixing the auxiliary cup 110. In addition, the auxiliary label cup 300a is provided by cutting through the auxiliary cutting line 400a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auxiliary label 200a.

이때, 보조절단선(400a)은 보조라벨(200a)에 상부 및 하부 양쪽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하측 2개의 보조라벨컵(300a)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cutting line 400a is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uxiliary label 200a, thereby providing two auxiliary label cups 300a, upper and lower.

또한, 상기 보조컵(11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하나 이상 서로 겹치게 끼워지고, 하나 이상 겹치게 끼워진 보조컵(110)의 외측을 보조라벨(200a)이 감싸 형성되면서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ups 110 are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one or more overlapping each other, and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abel 200a surrounding and securing the outside of the one or more overlapping auxiliary cups 110. do.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보조컵(110)이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하나 이상 서로 겹치게 끼워지는데, 도면에는 바람직하게 3개의 보조컵(110)이 서로 겹친 상태로 끼워지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며, 3개의 보조컵(110)의 하부 외측으로 보조라벨(200a)이 감싸지면서 형성되어 3개의 보조컵(110)을 용기 본체(100)에 고정되게 한다.Referring to FIG. 6, one or more auxiliary cups 110 are f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00, overlapping each other. The drawing shows a form in which three auxiliary cups 110 are preferably fitted overlapping each other. An auxiliary label (200a) is formed by wrapping aroun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three auxiliary cups (110) to secure the three auxiliary cups (110) to the container body (100).

이때, 보조라벨(200a)을 제거하면 3개의 보조컵(1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라벨(200a)에 보조절단선(400a)을 하부 측에 마련하면 보조라벨(200a)을 이용한 보조라벨컵(300a)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uxiliary label (200a) is removed, three auxiliary cups (110) can be used. In this case, if an auxiliary cutting line (400a)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label (200a), auxiliary label (200a) can be used to An additional label cup (300a) can be provided.

한편, 3개의 보조컵(110)이 서로 겹치게 끼워지는 경우 보조컵(110)에 끼움부(111)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겹친 3개의 보조컵(110)을 보조라벨(200a)이 감싸 고정함으로, 도 6에서는 끼움부(111)가 없는 상태로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ree auxiliary cups 110 are fitted overlapping each other, the fitting part 111 can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auxiliary cup 110, and the auxiliary label 200a is attached to the three overlapping auxiliary cups 110. Because it is wrapped and fixed, in Figure 6 it is shown without the fitting portion 1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 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으로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ressed through descriptions and drawings illustrating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rms used herein are intended to easi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these terms is limited or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describ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various ways in order to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one can easily see that changes, modifications, modifications, etc. may be possible.

1; 페트 용기 100; 용기 본체
110; 보조컵 200; 라벨
210; 부착지점 300; 라벨컵
310; 수용공간 400; 절단선
One; PET container 100; container body
110; Auxiliary cup 200; label
210; Attachment point 300; label cup
310; Accommodating space 400; cutting line

Claims (5)

음료수가 담겨 보관되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부착되는 라벨(200)과;
상기 라벨(200)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100)를 감싸면서 안쪽에 수용공간(310)을 갖는 라벨컵(300)과;
상기 라벨(200)과 라벨컵(300) 사이의 경계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벨(200)의 제거 과정에서 절개되면서 상기 라벨(200)에서 라벨컵(300)이 분리되게 하는 절단선(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a container body 100 in which beverages are stored;
A label 20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A label cup 300 tha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bel 200 and has a receiving space 310 inside while surrounding the container body 100;
A cutting line 400 is formed as a boundary line between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and is cut during the removal process of the label 200 to separate the label cup 300 from the label 200.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with a label,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200)은 띠 형태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주에 감기며, 상기 라벨(200)의 끝 부분에 부착을 위한 부착지점(210)이 마련되고, 상기 부착지점(210)의 분리를 통해 상기 라벨(200)과 라벨컵(300)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한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abel 20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0 in the form of a strip, and an attachment point 210 for attachmen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abel 200, and the attachment point 210 is separated.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for labeling, further comprising separating the label 200 and the label cup 300 through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또는 라벨(2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abel cup (300) is formed on either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label (200), or is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abel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컵(300)은 라벨(200)과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한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abel cup (300) is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that serves as a label and further includes a label (200)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는 끼움 체결 구조로 용기 본체(100)에 탈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조컵(110)을 더 포함한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ainer body 100 is a PET container having a cup that also serves as a label, further including one or more auxiliary cups 110 that are detachable from the container body 100 through a fitting structure.
KR1020220149586A 2022-11-10 PET container with label-cup KR20240068315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315A true KR20240068315A (en)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899B2 (en) Liquid filled bottle having a cover member with a label forming extension
EP1084065A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EP2928780B1 (en) Drink-through lid with a straw compartment
EP2718195B1 (en) Liquid filled bottle having a cover member with a label forming extension
KR20110005550U (en) label sheet for drink bottle with accommodate part
KR20240068315A (en) PET container with label-cup
US9908658B2 (en) Liquid filled bottle having a thin cover member provided with a flexible reinforcing element
KR200307944Y1 (en) Drinking water can for having transparent sanitary cover
JP2019189341A (en) Beverage container
KR100429708B1 (en) Drinking water bottle having double division structure of the body and cup combined use structure of the stopper
JP2004099098A (en) Resin-made container
KR200339897Y1 (en) A case that can insert in bottle
JP3086712U (en) Beverage bottle containers
KR200192087Y1 (en) Alcoholic liquors receptacle
KR20130005900U (en) reusable bottle cap of bottle
JP2006519147A (en) Internal safety sealing device
RU27375U1 (en) DRINK TANK WITH A GLASS (OPTIONS)
KR200171239Y1 (en) Drinking vessels
KR200365527Y1 (en) Disposable package for tea
RU53654U1 (en) TARE FOR LIQUID
KR200263944Y1 (en) accept of a bevergae case
BG1730U1 (en) Beverage container with cup
BG436Y1 (en) Bottle packaging for drinks
KR20170141860A (en) PET bottle cup
JPH11124141A (en) Packaging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