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762A -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762A
KR20240067762A KR1020220180500A KR20220180500A KR20240067762A KR 20240067762 A KR20240067762 A KR 20240067762A KR 1020220180500 A KR1020220180500 A KR 1020220180500A KR 20220180500 A KR20220180500 A KR 20220180500A KR 20240067762 A KR20240067762 A KR 2024006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housing
mounting portion
prevention device
scatte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9265B1 (en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ublication of KR2024006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7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2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ter supply unit through which water flows, a housing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forming an exterior, a guide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and a guide unit provided in the guide unit. It includes a spraying part that sprays the water guided by the guide part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to form a water film, and a mounting part that mounts the housing to the toilet, wherein the moun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housing mounted on the toilet. Provided is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supporting and a faste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o secure the housing to a toilet.

Description

소변비산방지장치{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소변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urine scattering.

하루 중 사람의 정상 소변 횟수는 4~7회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변기를 사용하여 소변 또는 대변을 해결한다. 변기에는 물이 채워져 있어서 사용자가 소변이나 대변을 볼 때 변기에 소변이나 대변이 남아 얼룩지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normal number of times a person urinates is 4 to 7 times per day. In a typical home, a toilet is used to dispose of urine or feces. The toilet is filled with water, so when the user urinates or defecates, urine or feces remain in the toilet to prevent it from becoming stained or dirty.

다만, 소변의 경우 떨어지는 속도나 방향에 따라 변기에 채워진 물이나 변기 내벽에 튀어서 변기 밖으로 비산될 수 있다. 또한, 변기 내 채워진 물도 소변과 함께 바깥으로 비산될 수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speed or direction of urine falling, it may splash onto the water filled in the toilet or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and scatter out of the toilet. Additionally, water filled in the toilet may scatter outside along with urine.

이러한 상황은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소변을 볼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감이 있었다.This situation is undesirable in terms of hygiene and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is situation, users felt uncomfortable and had to be careful when urinating.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변기의 내벽 또는 물에 부딪혀 튀고 비산되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이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 to provide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urine from hitting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or water and splashing or scattering when urinating, thereby contaminating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한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 to provide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 to provide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hat operat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면서도 변기 내측을 세척할 수 있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 to provide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hat can clean the inside of a toilet bowl while preventing urine scattering.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through which water flows, a housing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forming an exterior, a guide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t is provided in a guide part and includes a spray part that sprays water guided by the guide part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to form a water film, and a mounting part that mounts the housing to the toilet, wherein the moun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mounted on the toilet. It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housing and a tighten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secures the housing to the toile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bent form to surround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of the toile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의 상면에 거치되는 제1 거치부, 상기 제1 거치부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측벽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being bent and extending to surroun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It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portion.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제1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에서 변기의 내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의 단부에서 변기의 내측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holder extends furth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second holder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holder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It can be extended to be inclin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거치부에서 변기의 내측 방향으로 더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거치부는 변기 내측 도기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third mounting portion that is further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to provide support to the housing.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는 변기와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거치부에는 변기 내측과 상기 제3 거치부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도록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close contact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toilet and the housing are in close contact, and a third holder so that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third holder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A second close contact part is provided, and the tightening par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lose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part to press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oile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제2 거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분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분사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pray angle adjuster provided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or the spray portion is fix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pray portion. You can.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분사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2 거치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pray angle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 guide connection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extension portion.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unit provided to discharge or block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guide unit. there is.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변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닫힘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됨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 the housing or the mounting part and further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ilet cover, and the operating unit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ed by the sensor. ,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is discharged to the guide unit, an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closed, the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can be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guide uni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거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되어 구비되는 함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함입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in the recessed por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at which the housing is supported on the mounting portion.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하는 세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may include a cleaning unit that accommodates a liquid or solid cleaning agent.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는 상기 세정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상기 분사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n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as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flows into the guide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spray unit together with the water. It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방지장치의 과제 해결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is.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변기의 내벽 또는 물에 부딪혀 튀고 비산되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이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rine from hitting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or water and splashing or scattering when urinating, thereby contaminating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다.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stallation and removal are simpl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면서도 변기 내측을 세척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side of the toilet can be cleaned while preventing urine from scattering.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또는 변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범용성이 크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versatility is great regardless of the user's convenience or the shape of the toilet.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와 하우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사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하우징과 거치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ter supply unit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pray angle adjustment unit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part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includ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술하는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의 숫자 또는 문자가 부여된 것이며, 해당 도면부호들은 구성간의 상위 또는 하위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are assigned arbitrary numbers or letters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indicate higher or lower concepts between componen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urine scat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urine scatt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급수부(1), 하우징(2), 가이드부(3), 분사부(4) 및 장착부(5)를 포함한다.1 and 2,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 a housing (2), a guide unit (3), a spray unit (4), and a mounting unit (5). ) includes.

급수부(1)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 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급수부(1)에 물이 유입되어 하우징(2)측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1)는 변기가 설치된 공간의 물 공급원(미도시)로부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 내로 물이 안내될 수 있도록 튜브 또는 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 is provided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Water may flow into the water supply unit (1) and guide the water toward the housing (2).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or tube so that water can be guided into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from a water source (not shown) in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하우징(2)은 급수부(1)와 연결되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우징(2)과 급수부(1)의 연결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하우징(2)과 급수부(1) 사이에 부가적인 구성이 연결될 수도 있고, 하우징(2)과 급수부(1)가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housing (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1) and forms the exterior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water supply unit (1).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water supply unit 1, or the housing 2 and the water supply unit 1 may be directly connected.

예를 들어, 사용목적에 따라 Y자형 관이 급수부(1)와 하우징(2)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분수(分水)될 수도 있고, 물 공급원의 수압이 너무 강할 경우 감압기와 같은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 Y-shaped pip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part (1) and the housing (2) to separate the water, and if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ource is too strong, a part such as a pressure reducer may be used. It may be installed.

하우징(2)에는 함입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2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recessed portion 22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2. The indented portion 22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2)은 내부 공간을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부와 차단하거나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외부에 대해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오작동할 때 내부의 수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housing 2 may block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or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ortion 23 so as to be open to the outside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ly, whe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malfunctions, internal repairs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가이드부(3)는 하우징과 연결되어 하우징(2)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는 하우징(2)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술하는 분사부(4)로 안내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an guide wate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2. Specifically, the guide unit 3 can guide wate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2 to the spray unit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하우징(2)은 가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4)는 후술하는 조임부(52)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하우징(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우징(2)이 지나치게 가압되면 하우징이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 하우징(2)은 조임부(52)에 의해 가압되므로 가압부(2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 housing 2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24. The pressing part 24 is a part where the tightening part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es into contact. Since the housing 2 is generally made of plastic, if the housing 2 is excessively pressurized, the housing may crack or break. The housing 2 is pressed by the fastening portion 52 and thus can be protected by the pressing portion 24.

하우징(2)은 제1 밀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부(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변기에 결합될 때 하우징(2)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우징(2)이 지나치게 가압되면 하우징이 깨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The housing 2 may include a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may serve to buffer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ousing 2 when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toilet. Since the housing 2 is generally made of plastic, if the housing 2 is excessively pressurized, the housing may crack or break.

제1 밀착부(25)는 하우징(2)을 보호하며 하우징(2)이 변기에 결합될 때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밀착부(25)는 변기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변기 외측면을 따라 기울어진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밀착부(35)는 상부 보다 하부가 더 길게 형상이 되어 접촉면이 정 측면 보다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protects the housing 2 and can prevent the housing 2 from shaking when coupled to the toilet.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inclin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Specifically,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35 may be shaped to be longer at the bottom than at the top so that the contact surface is inclined toward the top rather than the front side.

가이드부(3)는 튜브 또는 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3)는 변기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3)는 하우징(2) 내로 유입된 물을 분사부(4)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는 휘어지거나 절곡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art 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or tube. The guide portion 3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guide portion 3 may serve as a passage for guid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 to the spray portion 4.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ortion 3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bent or bent.

가이드부(3)가 튜브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의 힘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고, 가이드부(3)가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절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guide part 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it can be easily bent by the user's force. If the guide part 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bent form or so that it can be bent.

가이드부(3)가 관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절곡되는 지점은 변기의 내측과 같거나 변기의 내측 경계보다 조금 더 내측일 수 있다.When the guide portion 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the bending point may be the same as the inside of the toilet or may be slightly inside the inner boundary of the toilet.

분사부(4)는 가이드부(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4)는 가이드부(3)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3)로부터 안내된 물이 분사부(4)를 통해 변기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injection unit 4 may be combined with the guide unit 3. Additionally, the injection unit 4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unit 3. Water guided from the guide unit 3 may be sprayed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through the spray unit 4.

분사부(4)는 노즐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4)는 유입된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물은 변기의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물은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The spray unit 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zzle. The spray unit 4 can spray the introduced water into the toilet. At this time, water may be sprayed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At this time, water may be sprayed in the form of mist.

미스트는 분사부(4)로부터 분사될 때 변기의 내측 횡단면을 가리도록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미스트가 변기의 내측 횡단면을 모두 가리지 않아도 무방하다.When the mist is sprayed from the spray portion 4, it can be sprayed so as to obscure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toilet. At this time, the mist does not have to cover the entire inner cross section of the toilet.

분사부(4)에서 분사되는 미스트는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이 사용자 또는 변기가 설치된 공간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분사부(4)에 의해 분사된 미스트는 중력에 의해 변기 내부로 유입이 되므로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할 필요가 없다.The mist sprayed from the spray unit 4 can form a water film that prevents urine from splashing onto the user or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when the user urinates. Of course, since the mist sprayed by the spray unit 4 flows into the toilet by gravity, there is no need to clean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to remove the mist.

또한, 미스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기 내측으로 가라앉지만, 급수부(1)로부터 물이 계속 공급되는 동안 분사부(4)에서 지속적으로 미스트가 분사된다. 따라서, 미스트는 변기의 개구부 부분을 차폐하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ist settles inside the toilet over time, but the mist is continuously sprayed from the spray unit 4 while water continues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Therefore, the mist can form a water film that shields the opening portion of the toilet.

장착부(5)는 하우징(2)을 변기에 장착시키도록 구비된다. 장착부(5)는 거치부(51) 및 조임부(52)를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5 is provided to mount the housing 2 to the toilet. The mounting portion 5 includes a mounting portion 51 and a fastening portion 52.

거치부(51)는 강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부(51)는 조임부(52)에 의해 변기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거치부(51)는 하우징(2)의 무게를 지지하게 되므로 작은 힘에도 쉽게 변형이 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의 극대화를 예상하기 어려워진다.The mounting portion 5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rigidit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portion 51 is pressed toward the toilet by the tightening portion 52.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portion 51 supports the weight of the housing 2, if it is easily deformed even with a small force, it becomes difficult to maximize the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거치부(51)는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후술하는 제1 거치부(511), 제2 거치부(512) 및 제3 거치부(5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portion 51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ortion 511, a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nd a third mounting portion 513.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are merely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at is,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s one body or may be integrally combined in an assembled manner.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2)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에 연결되어 하우징(2)에 지지력을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거치부(511)에는 하우징(2)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거치부(511)는 변기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2).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rectly provide support to the housing 2. In detail, the housing 2 may be seated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b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toward the toilet.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거치부(511)는 변기의 횡방향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부(511)는 변기의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의 상면은 변기 커버가 놓이는 면일 수 있다. 제1 거치부(511)는 하우징(2)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oilet. Specifically,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Here, the top surface of the toilet may be the surface on which the toilet cover is placed.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2.

제1 거치부(511)는 조임 연결부(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 연결부(5111)는 후술하는 조임부(52)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조임 연결부(5111)는 제1 거치부(511)의 일측에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may include a tightening connection portion 5111. The tightening connection part 5111 is a part connected to the tightening part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ightening connection portion 511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상세히 설명하면, 거치부(51)는 하우징(2)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우징(2)측과 변기측에서 절곡되어 폐(閉)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2) 측에서 절곡된 부분에 조임 연결부(5111)가 구비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unting portion 5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2 and may be bent at the housing 2 side and the toilet side to have a closed structure. At this time, a tightening connection portion 5111 may be provid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housing 2.

조임 연결부(5111)는 후술하는 볼트부(522)가 결합되는 너트부(511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ghtening connection portion 5111 may include a nut portion 5111a to which a bolt portion 522 described later is coupled.

제2 거치부(512)는 제1 거치부(511)의 타측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거치부(512)는 변기 중 변좌와 닿는 부분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거치부(512)는 변기의 내측벽을 따라 구비되거나, 변기의 내측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may be a portion bent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an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toilet. In detail,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may extend below the portion of the toile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Specifically,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or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제3 거치부(513)는 제2 거치부(512)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주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3 거치부(513)는 제1 거치부(511)와 함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제2 거치부(512) 보다 더 변기의 내측벽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is a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nd extends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can couple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o the toilet.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may extend to be inclined further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tha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즉, 제3 거치부(513)는 변기 내측에 밀착되어 하우징(2)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can provide support to the housing 2.

제3 거치부(513)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가 없는 경우 제1 거치부(511)에서 절곡되어 변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거치부(512)가 변기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may be removed as needed. If there is no third mounting portion 513,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which is bent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and extends inside the toilet,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ilet to provide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can be combined with the toilet.

제3 거치부(513)는 제2 밀착부(5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는 필요에 따라 제2 밀착부(5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우징(2)에 비해 변기는 강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밀착부(5131)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31.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may not include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31, if necessary. This is because the toilet has superior rigidity compared to the housing (2). Accordingly,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31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즉, 하우징(2)에는 변기와 하우징(2)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25)가 구비되고, 제2 거치부(512)에는 변기 내측과 제2 거치부(512)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5131)가 구비되고, 제1 밀착부(25)와 제2 밀착부(5131)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며 하우징(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2 is provided with a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toilet and the housing 2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is provided so that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re in close contact. A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31 is provided, and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31 can press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oilet and prevent the housing 2 from moving.

조임부(52)는 조임 연결부(5111)에 연결되어 하우징(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tightening part 52 is connected to the tightening connection part 5111 and is provided to pressurize the housing 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임부(52)는 캡부(521)와 볼트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522)는 상술한 너트부(5111a)에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2)을 밀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ightening part 52 may include a cap part 521 and a bolt part 522. The bolt portion 522 is coupled to the nut portion 5111a described above and can push the housing 2 as it rotates.

이때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트부(522)를 회전시키기 위해 캡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ap portion 52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otate the bolt portion 522.

도 1 내지 도 10에서는 조임부(52)를 회전시키면서 하우징(2)을 가압하여 하우징(2)을 변기측으로 움직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임부(52)를 눌러서 하우징(2)을 변기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2)을 가압하는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1 to 10 illustrate a method of moving the housing 2 toward the toilet by pressing the housing 2 while rotating the fastener 52,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The housing 2 may be fixed to the toilet by pressing the fastener 52.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method of pressurizing the housing (2).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와 하우징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water supply unit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급수부(1)는 하우징(2)과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supply unit 1 may be double coupled to the housing 2. This can preven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from contaminating the space where the toilet is instal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부(1)가 하우징(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급수 연결부(21)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하우징(2)에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art 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 and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21 can be rotated to one side to connect to the housing 2.

사용자는 급수 연결부(21)를 타측으로 회전하여 쉽게 급수부(1)를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쉽게 제품을 설치, 교환 및 제거가 가능하다.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water supply part (1) from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by rotating the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21) to the other side, and the user can easily install, replace, and remove the produc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분사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pray angle adjustment unit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2 거치부(512)에는 분사각도 조절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may be provided with a spray angle adjusting portion 514.

분사각도 조절부(514)는 연장부(5141)와 가이드 연결부(5142)를 포함한다.The spray angle adjusting part 514 includes an extension part 5141 and a guide connection part 5142.

연장부(5141)는 제 2거치부(5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는 후술하는 가이드 연결부(5142)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5141 is a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51. The extension portion 514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The extension portion 514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guide connection portion 5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freely rotate.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 중 제2 거치부(512)를 감싸는 부분의 일측과 타측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써, 연장부(5141)의 탈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5141)의 재질이나 결합형태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길이는 서로 같을 수도 있다.The extension portion 514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The length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5141 surround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extension portion 5141 can be facilit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combination type of the extension portion 5141, the leng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the same.

연장부(5141)는 제2 거치부(51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5141)가 제2 거치부(512)를 감싸도록 구비되면 제2 거치부(5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거치부(512)를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변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소변비산방지수막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514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mounting part 512. When the extension portion 5141 is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it can be easily moved alo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As a result,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water film can be effectively created regardless of the type and size of the toilet.

가이드 연결부(5142)는 가이드부(3)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3)는 변기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로써, 소변비산방지수막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guide connection part 5142 is a part where the guide part 3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ortion 3 may be appropriately bent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toilet.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water film can be maximized.

가이드 연결부(5142)는 연장부(5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가이드부(3)의 방향을 전환시켜줌으로써, 소변비산방지수막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5142)가 회전됨에 따라 분사부(4)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The guide connection portion 51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5141.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guide part (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reate a water film to prevent urine scattering. As the guide connection part 5142 rot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ay unit 4 faces may change.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제2 거치부(512)에는 가이드부(3)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분사부(4)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분사각도 조절부(514)를 포함한다.That is,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 spray angl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3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12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pray portion 4. Includes an adjusting unit 514.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작동부가 회전하지 않아 가이드부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작동부가 회전하여 가이드부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part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guide part because the operating part does not rotate, and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part rotates an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guide par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작동부(6)를 포함한다. 작동부(6)는 하우징(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움직임에 따라 급수부(1)에서 유입된 물을 가이드부(3)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ng unit 6. The operating unit 6 is rotat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 and is provided to discharge or block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to the guide unit 3 according to its movement.

도 5는 작동부(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3)로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작동부(6)의 움직임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Figure 5 shows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guide part 3 when the operating part 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ut the form of movement of the operating part 6 is not limited.

작동부(6)는 하우징(2) 내로 유입된 물을 가이드부(3)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족하다.It is sufficient for the operating part 6 to discharge water flowing into the housing 2 into the guide part 3 or to block it from being discharg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부(6)는 급수부(1)와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6)는 작동부(6)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3)와 급수부(1)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작동부(6)가 회전됨에 따라 급수부(1)로부터 안내된 물이 가이드부(3)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작동부(6)의 회전방향에 따라 급수부(1)부터 공급된 물이 가이드부(3)로 안내되거나 가이드부(3)로의 안내를 제한할 수 있다.To be specific, the operating unit 6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1. The operating unit 6 is provided so that the guide unit 3 and the water supply unit 1 communicate when the operating unit 6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operating unit 6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operating unit 6 rotates. Water gu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unit (3). That is,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6,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may be guided to the guide unit 3 or the guidance to the guide unit 3 may be restricte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method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pecifically, Figure 7(a)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before installation, and Figure 7(b) is a diagram showing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being install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변기(T)의 상단에 안착되어 설치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거치부(513)가 변기에 밀착하지 않으면 제1 거치부(511)가 변기(T)의 상단부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toilet (T) and can determine the installation location. This is because if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can move freely at the upper end of the toilet T.

설치할 위치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조임부(52)를 통해 하우징(2)을 변기(T)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Once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determined, the user can move the housing (2) toward the toilet (T) through the fastener (52).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부(52)가 캡부(521)와 볼트부(522)로 구비된 형태라면, 사용자는 캡부(5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522)가 너트부(5111a)를 통과하여 하우징(2)의 가압부(24)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부(24)는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므로 볼트부(522)가 하우징(2) 방향으로 전진할수록 하우징(2)은 변기(T)에 밀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ightening part 52 is provided with the cap part 521 and the bolt part 52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otate the cap part 521. Accordingly, the bolt portion 522 can pass through the nut portion 5111a and transmit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24 of the housing 2. Since the pressing portion 24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ousing, as the bolt portion 522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2, the housing 2 can come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toilet T.

다시 말하면, 하우징(2)과 제3 거치부(513)와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변기(T)의 외측면에 제1 밀착부(25)가 접촉하고, 변기(T)의 내측면에 제3 거치부(513)가 접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can be shortened.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T),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T).

제1 밀착부(25) 또는 하우징(2)이 변기(T)의 외측에 연결되고, 제3 거치부(513)가 변기(T)의 내측에 연결된 후에는 하우징(2)과 제3 거치부(513)의 길이는 달라지지 않거나 미세하게 짧아질 수 있다. 이후에는 볼트부(522)가 회전할수록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고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볼트부(522)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거나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탈거되지 않는 상태라고 판단하면, 조임부(52)의 작동을 멈추고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25 or housing 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513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T), the housing (2)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ength of (513) may not change or may be slightly shortened. Afterwards, as the bolt portion 522 rotates, the fixing force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increase.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bolt part 522 is no longer rotating or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cannot be removed, the user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part 52 and complete the install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적인 장비없이 간편하게 소변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적인 장비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device that can easily prevent urine scattering without electronic equipment can be provided. Since electronic equipment is not used, the production cost can be lowered, and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at a reasonable pric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clea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세정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부(7)는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다.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unit 7. The cleaning unit 7 can accommodate liquid or solid cleaning agents.

세정부(7)는 하우징(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정부(7)는 급수부(1)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이드부(3)로 유입됨에 따라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분사부(4)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7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 The cleaning unit 7 may be provided so that as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1 flows into the guide unit 3,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spraying unit 4 together with the water.

세정제가 배출되는 구조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정제가 고체인 경우 하우징(2)내로 유입될 물이 세정부(7)를 통과하여 가이드부(3)로 안내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세정제가 액체인 경우 하우징(2)과 세정부(7)가 연통되어 있으면 물에 세정제가 녹아 가이드부(3)로 함께 안내될 수 있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detergent is discharged. For example, if the cleaning agent is solid,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 may pass through the cleaning part 7 and be guided to the guide part 3. Similarly, if the cleaning agent is a liquid and the housing (2) and the cleaning unit (7) are in communication, the cleaning agent may be dissolved in water and guided to the guide unit (3).

세정부(7)는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세정부(7)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7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Accordingly, the cleaning unit 7 can be easily replaced.

이로써,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세정부(7) 더 포함하더라도 별도의 전장품이 없어도 변기(T) 내부를 세척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further includes the cleaning unit 7, it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cleaning the inside of the toilet T without any separate electrical components.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하우징(2) 내에 전장품 수용부(미도시)가 수용되고, 작동부(6’)가 전장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6’)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수용부 또는 하우징(2)의 외측에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have an electrical component receiving portion (not shown) accommodated in a housing 2, and an operating portion 6' may be provided as an electrical component. At this time, the operating unit 6'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A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electrical equipment receiving part or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2.

센서부가 사용자의 변기(T) 사용을 감지하여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detects the user's use of the toilet (T) and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operat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부는 변기(T)의 상면에 놓인 변기 커버의 개패를 감지할 수 있다. 변기 커버는 사용자가 자리에 않는 시트 부분과 시트 부분을 덮는 덮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는 시트 부분과 덮개 부분이 모두 열리고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o be specific,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toilet cov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T). The toilet cover may be composed of a seat portion that the user does not sit in and a cover portion that covers the seat portion. Here,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both the seat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구체적으로, 센서부는 근접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는 근처에 변기 커버가 감지되는 경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로 감지하고, 근처에 변기 커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변기 커버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는 변기 커버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로 감지하고,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변기 커버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unit may us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or a pressure sensor. If a toilet cover is detected nearby,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at the toilet cover is in a closed state, and if a toilet cover is not detected nearby,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toilet cover in an open state.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may detect that the toilet cover is closed when pressure is applied by the toilet cover, and may detect the toilet cover as open when no pressure is applied.

센서부가 변기(T)의 덮개 또는 변좌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면, 작동부(6’)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가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cover or toilet seat of the toilet (T) is opened, the operation unit (6') can operate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이로써, 사용자는 소변을 볼 때 별도의 행동이 없어도 소변비산 방지장치로 인해 청결하게 변기를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use the toilet cleanly due to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without any special action when urinating.

마찬가지로, 센서부가 변기(T)의 덮개 또는 변좌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면, 작동부(6’)는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Likewise,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cover or toilet seat of the toilet T is closed, the operation unit 6'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이로써, 사용자의 사용시간동안만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사용하여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only during the user's usage time.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는 간단한 전장품을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고도 외관을 단순하고 심미감있게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 and aesthetic appearance using simple electrical components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하우징과 거치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의 하우징(2)의 함입부(22)는 걸림부(221) 및 버튼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2 of the housing 2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atching portion 221 and a button portion 222.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설치하는 변기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높이 조절이 필요하다고 느낄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부(511)를 항상 함입부(22)의 최상측에만 위치할 수 있으면 사용자가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사용할 때 얻는 만족감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변비산 방지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걸림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221 may fix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at a specific position. To be more specific, the user may feel that height adjustment is necess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toilet in which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is time, i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can always be located only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22, the satisfaction that the user gets when using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may not be great. Therefore, a locking portion 221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가 하우징(2)에 결합되면 제1 거치부(51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변기에서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소변비산 방지장치(1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버튼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221 ma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wh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is coupled to the housing 2. If there is a need to remove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from the toilet, a button portion 22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00 can be easily removed.

버튼부(222)는 하우징(2)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버튼부(222)를 누르면 걸림부(221)가 하우징(2)에 내입되어 거치부(51)의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22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2,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222, the locking portion 22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 thereby enabling removal of the mounting portion 51. .

걸림부(221)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걸림부(221)는 제1 거치부(511)의 이동을 제한하면 족하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hape of the engaging portion 221. It is sufficient for the catching portion 221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거치부(511)를 하우징(2)에 결합할 때 버튼부(222)를 눌러 걸림부(221)가 하우징(2)의 내측에 내입된 상태에서 제1 거치부(511)의 위치를 조정하고, 버튼부(222)에서 손을 떼서 제1 거치부(511)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provided in a concavo-convex shap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is coupled to the housing 2, the button portion 222 is press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221 is attached to the housing 2. The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part 511 can be adjusted while it is inside, and the first mounting part 511 can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by releasing the button part 222.

또한, 걸림부(221)가 함입부(22)의 양측에서 함입부(22)의 내측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거치부(511)를 단순히 함입부(22)에 끼워넣음으로써, 제1 거치부(5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버튼부(222)를 누름으로써, 제1 거치부(511)의 제거가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221 is provided in a form that extends up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indentation portion 22 on both sides of the indentation portion 22, the user simply inserts the first holding portion 511 into the indentation portion 22. By inserting it, the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1 can be removed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22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0: 소변비산 방지장치 1: 급수부 2: 하우징
21: 급수 연결부 22: 함입부 221: 걸림부
222: 버튼부 23: 개폐부 24: 가압부
25: 제1 밀착부 3: 가이드부 4: 분사부
5: 장착부 51: 거치부 511: 제1 거치부
5111: 조임 연결부 5111a: 너트부 512: 제2 거치부
513: 제3 거치부 5131: 제2 밀착부 514: 분사각도 조절부
5141: 연장부 5142: 가이드 연결부
52: 조임부 521: 캡부 522: 볼트부
6: 작동부 6’: 작동부 7: 세정부
T: 변기
100: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1: Water supply unit 2: Housing
21: water supply connection part 22: recessed part 221: catching part
222: Button portion 23: Opening/closing portion 24: Pressure portion
25: first contact part 3: guide part 4: spray part
5: Mounting portion 51: Mounting portion 511: First mounting portion
5111: Tightening connection part 5111a: Nut part 512: Second mounting part
513: Third mounting portion 5131: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514: Spray angle adjustment portion
5141: extension part 5142: guide connection part
52: fastening part 521: cap part 522: bolt part
6: Operating part 6': Operating part 7: Cleaning part
T: toilet

Claims (15)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물을 변기 내측으로 분사하여 수막을 형성하는 분사부; 및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장착시키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에 거치된 상기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변기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 water supply where water flows;
A housing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forming an exterior appearance;
A guide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a spray unit provided in the guide unit to spray water guided by the guide unit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to form a water film; and
It includes a mounting part for mounting the housing to the toilet,
The mounting part,
A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housing mounted on the toilet; and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tightening part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and fixing the housing to the toi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 및 내측벽을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bent form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inner wall of the toi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변기의 상면에 거치되는 제1 거치부, 상기 제1 거치부에서 절곡되어 변기의 내측벽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bent from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extending to surroun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부는 변기의 상면에서 변기의 내부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의 단부에서 변기의 내측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된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mounting portion extends furth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second holder is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holder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 거치부에서 변기의 내측 방향으로 더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거치부는 변기 내측 도기에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mounting portion that is further bent and extended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third hold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ttery inside the toilet to provide support to th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변기 외측과 상기 하우징이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거치부에는 변기 내측과 상기 제3 거치부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는
상기 제1 밀착부와 상기 제2 밀착부가 변기의 외측과 내측을 가압하도록 간격을 조정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close contact portion provided to bring the hous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toilet,
The third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provided to bring the inside of the toile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mounting portion,
The fastening part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hat adjusts the gap between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lose contact portion to pressurize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toil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는 변기 외측면에 밀착하도록 변기 외측면을 따라 기울어진 접촉면을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is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contact surface inclin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에는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분사부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분사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분사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device for preventing urine scattering, including a spraying angle adjusting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or the spraying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spray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or block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or block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guide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변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열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센서에서 변기 커버가 닫힘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급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가이드부로 배출됨을 차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or the mounting part and further includes a sensor that detect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ilet cover,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 the operating unit discharges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guide unit, and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closed, the operating unit discharges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to the guide unit.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that blocks discharge into the blad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거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using is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including a recessed portion at the bottom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t which the housing is supported on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액상 또는 고상의 세정제를 수용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leaning unit that accommodates a liquid or solid cleaning ag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가이드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세정제의 적어도 일부가 물과 함께 상기 분사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소변비산 방지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cleaning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as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supply unit flows into the guide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spray unit together with the water.
KR1020220180500A 2022-11-09 2022-12-21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KR1026692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458 2022-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762A true KR20240067762A (en) 2024-05-17
KR102669265B1 KR102669265B1 (en) 2024-05-2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108B1 (en) Tankless toilet
US5720055A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9850646B2 (en) Flush toilet
CN112513386B (en) Toilet with hip bath sprayer
JP2007315110A (en) 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KR102669265B1 (en)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JP4863458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KR20240067762A (en)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JP4300235B2 (en) Men's toilet
KR100767287B1 (en) Device removing bad smell for toilet stool
KR100697254B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US11879244B2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US20090276948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JP4296843B2 (en) Wash water supply structure for flush toilet
JP4706946B2 (en) Human body local cleaning equipment
JP4889099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and toilet device
JP2003313921A (en) Bidet
KR100668579B1 (en)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CN113143085A (en) Multifunctional toilet seat ring, intelligent toilet cover assembly and intelligent toilet
JPH09125504A (en) Western style stool
JP3801930B2 (en) Chemical supply device for flush toilet
KR101998129B1 (en) Device for washing nozzle of bidet and bide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7458866B2 (en) Toilet flush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