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88A -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88A
KR20240067688A KR1020220148986A KR20220148986A KR20240067688A KR 20240067688 A KR20240067688 A KR 20240067688A KR 1020220148986 A KR1020220148986 A KR 1020220148986A KR 20220148986 A KR20220148986 A KR 20220148986A KR 20240067688 A KR20240067688 A KR 20240067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gear
rotating element
torque vectoring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최광민
김백유
안철민
변성곤
권순성
허준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US18/139,9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49668A1/en
Publication of KR2024006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ifferential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10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 F16H48/11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orbital spur gears having intermeshing planet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3Planetary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0Differentials
    • B60Y2400/802Differential loc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0Differentials
    • B60Y2400/804Torque vector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디퍼렌셜; 제1회전요소가 고정되고,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제2회전요소가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 제1회전요소에 모터가 연결되고, 제3회전요소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2회전요소를,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와, 상기 디퍼렌셜에 결합된 두 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TORQUE VECTO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토크벡터링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직진 주행 뿐만 아니라, 조향에 따른 선회 주행을 수행하므로, 선회 내륜과 외륜의 속도차가 허용되어야 하며, 구동륜의 경우 좌우 구동륜의 속도차를 허용하기 위해 디퍼렌셜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디퍼렌셜은 차량의 선회 시, 좌우 구동륜에 발생되는 저항의 차이에 따라 좌우 구동륜의 속도차를 기계적으로 허용하는 수동적인 장치로서, 차량의 선회 주행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으나, 좌우 구동륜 양측의 노면 마찰력 차이가 현저한 험로 등의 탈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퍼렌셜의 차동기능을 제한하는 차동제한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좌우 구동륜으로 제공되는 토크를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크벡터링(Torque Vectoring)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1-0089817 A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양쪽 구동륜의 토크벡터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는,
디퍼렌셜;
제1회전요소가 고정되고,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제2회전요소가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
제1회전요소에 모터가 연결되고, 제3회전요소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2회전요소를,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와, 상기 디퍼렌셜에 결합된 두 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제1링기어이고, 제2회전요소는 제1캐리어이며, 제3회전요소는 제1선기어이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제2링기어이고, 제2회전요소는 제2캐리어이며, 제3회전요소는 제2선기어일 수 있다.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된 제1클러치기어;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된 제2클러치기어;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구비된 허브기어;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와 제2유성기어장치는 상기 디프케이스를 중심으로 선정드라이브샤프트가 배치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에는 입력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연결되며;
동심축으로 연결된 제1아이들러기어와 제2아이들러기어가 각각 상기 입력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제3유성기어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선기어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링기어는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캐리어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에 직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는,
디퍼렌셜;
한 회전요소는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
한 회전요소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1클러치기어에 연결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
상기 제2클러치기어를 상기 제1클러치기어 또는 상기 디퍼렌셜의 양쪽에 결합되는 두 드라이브샤프트 중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일체로 구비되는 허브기어;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함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는 제1링기어가 상기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고, 제1캐리어가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연결되며, 제1선기어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는 제2링기어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입력 받도록 연결되고, 제2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되며, 제2선기어가 상기 연결부재 및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와 제2유성기어장치는 상기 디프케이스의 일측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와 선정드라이브샤프트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링기어에 외접기어 방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링기어에 제3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하여 감속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양쪽 구동륜의 토크벡터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토크벡터링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상태를 도시한 레버선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동력의 흐름을 표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토크벡터링 장치가 구동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상태를 도시한 레버선도,
도 6은 도 4의 상태에서 동력의 흐름을 표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토크벡터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토크벡터링 장치가 구동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1)의 실시예는, 디퍼렌셜(DF); 제1회전요소(E1)가 고정되고, 상기 디퍼렌셜(DF)의 디프케이스(DC)에 제2회전요소(E2)가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PG1); 제1회전요소(E1)에 모터(M)가 연결되고, 제3회전요소(E3)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제3회전요소(E3)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PG2);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2회전요소(E2)를,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3회전요소(E3)와, 상기 디퍼렌셜(DF)에 결합된 두 드라이브샤프트(DS) 중 어느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S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선택연결기구(SC)로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2회전요소(E2)를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3회전요소(E3)와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 중 어떤 것에 연결시키는가에 따라 작동모드가 토크벡터링 모드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은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와 제1유성기어장치(PG1)를 차례로 통해 상기 디프케이스(DC)로 전달됨과 아울러,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를 통해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제1회전요소(E1)는 제1링기어(R1)이고, 제2회전요소(E2)는 제1캐리어(C1)이며, 제3회전요소(E3)는 제1선기어(S1)이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1회전요소(E1)는 제2링기어(R2)이고, 제2회전요소(E2)는 제2캐리어(C2)이며, 제3회전요소(E3)는 제2선기어(S2)이다.
따라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제1선기어(S1)는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2선기어(S2)에 직결된 것이다.
상기 선택연결기구(SC)는 상기 제2선기어(S2)에 연결된 제1클러치기어(CG1); 상기 제2캐리어(C2)에 연결된 제2클러치기어(CG2);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에 구비된 허브기어(HG); 상기 제2클러치기어(CG2)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클러치기어(CG1)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HG)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리브(S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SB)를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시키면, 도 1의 장치는 도 1의 상태와 도 4의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방향'은 상기 드라이브샤프트(DS)의 길이방향 및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 및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슬리브(SB)에는 상기 슬리브(SB)를 직선 슬라이딩시키는 별도의 액츄에이터와 컨트롤러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슬리브(SB)를 직선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상황에 적합한 모드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슬리브(SB)와 상기 제1클러치기어(CG1) 및 제2클러치기어(CG2)는 종래의 도그클러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종래의 싱크로메시타입(Synchromesh Type) 장치와 같이 싱크로나이저링과 키이 등을 구비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와 제2유성기어장치(PG2)는 상기 디프케이스(DC)를 중심으로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가 배치된 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2캐리어(C2)를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에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상기 선택연결기구(SC)를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1회전요소(E1)에는 입력기어(IG)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M)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DG)가 연결되며, 동심축으로 연결된 제1아이들러기어(ID1)와 제2아이들러기어(ID2)가 각각 상기 입력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M)의 동력은 상기 구동기어(DG), 제2아이들러기어(ID2), 제1아이들러기어(ID1), 및 입력기어(IG)를 통해 상기 제1선기어(S1)로 입력되게 된다.
한편, 도 8와 도 9에 예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1회전요소(E1)와 모터(M)의 연결관계가 상이하다.
즉, 도 8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의 제1회전요소(E1)는 상기 모터(M)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제3유성기어장치(PG3)를 통해 상기 모터(M)에 연결된 구성이다.
즉, 상기 모터(M)는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PG3)의 제3선기어(S3)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PG3)의 제3링기어(R3)는 변속기케이스(CS)에 고정되며;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PG3)의 제3캐리어(C3)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제1회전요소(E1)에 직결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M)의 동력은 상기 제3캐리어(C3)를 통해 감속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제2회전요소(E2)에 입력되게 된다.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토크벡터링 장치(1)를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하나에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비된 차량 중 하나를 예시하고 있다.
즉, 도 7에서 전륜은 별도의 전기모터(EM)나 엔진 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후륜은 본 발명의 토크벡터링 장치(1)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구동 모드는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을 보조하거나, 전륜이 험로에 빠진 경우, 상기 본 발명 토크벡터링 장치(1)의 모터(M) 동력으로 후륜을 구동하여 차량이 험로를 탈출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SB)가 제1클러치기어(CG1)와 제2클러치기어(CG2)를 연결시켜서, 상기 제2선기어(S2)와 제2캐리어(C2)가 직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는 자체 록킹되어 모든 회전요소가 단일 회전체로 회전하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2링기어(R2)로 입력된 동력이 그대로 제1선기어(S1)로 전달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의 감속비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C1)가 디프케이스(DC)로 감속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프케이스(DC)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와 드라이브샤프트(DS)는 상기 디프케이스(DC)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양쪽의 후륜을 구동함으로써, 차량을 이동시켜서, 전륜이 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토크벡터링 모드에서는, 상기 슬리브(SB)가 제2클러치기어(CG2)를 상기 허브기어(HG)에 연결시켜서, 상기 모터(M)에서 공급되는 동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캐리어(C1)와 제2캐리어(C2) 사이의 속도차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M)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프케이스(DC)와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의 속도 및 토크를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상황에 적합한 양쪽 후륜의 구동상태를 능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성능 향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는, 디퍼렌셜(DF); 한 회전요소는 상기 디퍼렌셜(DF)의 디프케이스(DC)에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변속기케이스(CS)에 고정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PG1); 한 회전요소는 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상기 연결부재(CM)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1클러치기어(CG1)에 연결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제2클러치기어(CG2)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PG2); 상기 제2클러치기어(CG2)를 상기 제1클러치기어(CG1) 또는 상기 디퍼렌셜(DF)의 양쪽에 결합되는 두 드라이브샤프트(DS) 중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S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택연결기구(SC)는,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에 일체로 구비되는 허브기어(HG); 상기 제2클러치기어(CG2)에 치합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함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기어(CG1)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HG)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리브(S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는 제1링기어(R1)가 상기 변속기케이스(CS)에 고정되고, 제1캐리어(C1)가 상기 디퍼렌셜(DF)의 디프케이스(DC)에 연결되며, 제1선기어(S1)가 상기 연결부재(CM)에 연결된다.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는 제2링기어(R2)가 상기 모터(M)로부터 동력을 입력 받도록 연결되고, 제2캐리어(C2)가 상기 제2클러치기어(CG2)에 연결되며, 제2선기어(S2)가 상기 연결부재(CM) 및 제2클러치기어(CG2)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CM)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선기어(S1) 또는 제2선기어(S2) 자체가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PG1)와 제2유성기어장치(PG2)는 상기 디프케이스(DC)의 일측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선택연결기구(SC)는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PG2)와 선정드라이브샤프트(SDS)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제1링기어(R1)에 외접기어 방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제1링기어(R1)에 제3유성기어장치(PG3)를 이용하여 감속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토크벡터링 장치
DF; 디퍼렌셜
DC; 디프케이스
PG1; 제1유성기어장치
PG2; 제2유성기어장치
PG3; 제3유성기어장치
M; 모터
DS; 드라이브샤프트
SDS; 선정드라이브샤프트
SC; 선택연결기구
CG1; 제1클러치기어
CG2; 제2클러치기어
HG; 허브기어
SB; 슬리브
CS; 변속기케이스
CM; 연결부재

Claims (14)

  1. 디퍼렌셜;
    제1회전요소가 고정되고,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제2회전요소가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
    제1회전요소에 모터가 연결되고, 제3회전요소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2회전요소를,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3회전요소와, 상기 디퍼렌셜에 결합된 두 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제1링기어이고, 제2회전요소는 제1캐리어이며, 제3회전요소는 제1선기어이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제2링기어이고, 제2회전요소는 제2캐리어이며, 제3회전요소는 제2선기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된 제1클러치기어;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된 제2클러치기어;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구비된 허브기어;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와 제2유성기어장치는 상기 디프케이스를 중심으로 선정드라이브샤프트가 배치된 쪽에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에는 입력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가 연결되며;
    동심축으로 연결된 제1아이들러기어와 제2아이들러기어가 각각 상기 입력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제3유성기어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선기어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링기어는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3유성기어장치의 제3캐리어가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의 제1회전요소에 직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토크벡터링 장치를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하나에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디퍼렌셜;
    한 회전요소는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유성기어장치;
    한 회전요소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한 회전요소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1클러치기어에 연결되며, 나머지 한 회전요소는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된 제2유성기어장치;
    상기 제2클러치기어를 상기 제1클러치기어 또는 상기 디퍼렌셜의 양쪽에 결합되는 두 드라이브샤프트 중 하나인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연결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선정드라이브샤프트에 일체로 구비되는 허브기어;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축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함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기어에 치합된 상태와 허브기어에 치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는 제1링기어가 상기 변속기케이스에 고정되고, 제1캐리어가 상기 디퍼렌셜의 디프케이스에 연결되며, 제1선기어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는 제2링기어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입력 받도록 연결되고, 제2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되며, 제2선기어가 상기 연결부재 및 제2클러치기어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장치와 제2유성기어장치는 상기 디프케이스의 일측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선택연결기구는 상기 제2유성기어장치와 선정드라이브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링기어에 외접기어 방식을 통하여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링기어에 제3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하여 감속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KR1020220148986A 2022-11-09 2022-11-09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KR20240067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39,990 US20240149668A1 (en) 2022-11-09 2023-04-27 Torque vectoring device for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88A true KR20240067688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6771B1 (en) Hybrid drive system and vehicle equipped therewith
CN101415577B (zh) 车辆驱动力分配装置
RU2532211C2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привода между режимом тяги и режимом векторизации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CN101450607A (zh) 混合动力驱动系统及其驱动方法
US10974593B2 (en) Powertrain for an electric vehicle
US11739818B2 (en) Powertrain for electric vehicle
JPS6130933B2 (ko)
US4875978A (en) Vehicle four wheel drive system
US10605345B2 (en) Device for torque vectoring
US10744876B2 (en) System for torque vectoring
CN109990060A (zh) 变速器、动力驱动系统及车辆
US4768399A (en) Four wheel dr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clutch between central torque non balanced differential device and one wheel pair
US9435402B2 (en) Planetary gear train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KR20240067688A (ko)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EP0213958B1 (en) Four wheel dr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with clutch between central torque non balanced differential device and one wheel pair
KR20240067687A (ko) 차량의 토크벡터링 장치
US20240149668A1 (en) Torque vectoring device for a vehicle
CN110966360A (zh) 变速装置及其控制方法、汽车
US20240151300A1 (en) Torque vectoring device for a vehicle
US10913350B2 (en) Ranged power take-off unit for transaxle
JP2563629B2 (ja) 四輪駆動車用パワートレーン
JPS6359888B2 (ko)
US11927253B2 (en) Powertrain for electric vehicle
JPS6130934B2 (ko)
EP4101671A1 (en) A transmission, a powertrain, and a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