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59A -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59A
KR20240067659A KR1020220148916A KR20220148916A KR20240067659A KR 20240067659 A KR20240067659 A KR 20240067659A KR 1020220148916 A KR1020220148916 A KR 1020220148916A KR 20220148916 A KR20220148916 A KR 20220148916A KR 20240067659 A KR20240067659 A KR 2024006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optical cable
loose tube
loose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환
이승준
김동학
이기복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6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Abstract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Propylene-Ethylene copolymer);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FOR LOOSE TUBE WITH EXCELLENT SHRINKAGE AND IMPACT STRENGTH INCLUDED IN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압출 이후 수축율이 작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광학적, 기계적 및 환경 조건에 맞도록 배치된 몇 개의 광섬유 혹은 광섬유 다발과 이들을 감싸는 외피를 갖추고 있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광케이블은 대량의 정보를 원거리까지 빠르게 전송할 수 있으며,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케이블은 구조에 따라 리본형, 타이트버퍼형 또는 루즈튜브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포설 형태에 따라 관로용, 직매용, 가공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충격 및 외부 환경(트위스트, 압축, 장력, 온도 변화 등)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루즈튜브로 사용되기 위하여는 우수한 인장강도, 충격강도, 내킹크성 및 유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압출 후 수축 및 팽창의 정도가 작아야 한다.
이러한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루즈튜브의 조성물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예를 들면 나일론-12)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언급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가공 및 핸들링이 어렵고 제조 단가가 비싸며, 유연성이 낮고 물에 의해 가수분해 되는 등 수분에 취약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 특허에서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루 즈튜브(12)를 제시하고 있으나, 종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에 비해 압출 후 길이 방향 대한 수축율이 커서 광섬유의 전송 특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제안으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강도 루즈튜브형 광케이블'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449 호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이 작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Propylene-Ethylene copolymer);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phr)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로오스는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phr)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 하에 중합된 것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190℃에서 1 내지 5 g/10min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루즈튜브의 수축율은 1.0 내지 1.4%의 범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는 40 내지 50 kJ/m2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의 범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루즈튜브는 충격강도가 40 내지 50 kJ/m2 이내이고, 압출 이후 수축율이 루즈튜브의 초기의 길이 대비 1.0 내지 1.4% 이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루즈튜브의 길이 방향의 수축으로 인하여 광케이블에 포함된 복수의 광섬유가 노출되어 발생된 광케이블의 광 효율 및 동작 신뢰성의 저하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핵제는 기존의 유기 핵제가 아닌 친환경 소재인 셀롤로오스를 사용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인 루즈튜브형 광 케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광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명세서를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명세서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명세서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특정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단계들을 포함한다는 언급이 있는 경우는, 그 외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명세서의 개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아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광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광케이블(100)은 중심 인장선(10), 복수개의 광섬유(11),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12) 및 보강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인장선(10)은 루즈튜브형 광케이블에 항장력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12)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Propylene-Ethylene copolymer),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폴리에틸렌은 밀도를 이용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941 내지 0.965 g/cm3의 밀도 범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0.925 내지 0.94 g/cm3의 밀도 범위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0.915 내지 0.925 g/cm3의 밀도 범위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ow Density Polyethyle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0.91 내지 0.94 g/cm3의 밀도범위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0.88 내지 0.90 g/cm3의 밀도범위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ery-Low-Density PolyEthylene, 이하 'VLD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phr)일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phr)일 수 있다.
한편,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12)를 제작하기 위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는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의 범위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12)에 단일 성분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사용될 때, 단일 성분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의 범위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은 메탈로센 촉매하에 중합된 것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190℃에서 1 내지 5 g/10min의 범위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의 합성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유기 핵제가 아닌 셀룰로오스가 핵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유기 핵제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가 사용되므로, 보다 친환경적인 루즈튜브가 제작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12)는 복수개의 광섬유(11)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루즈튜브(12) 및 상기 루즈튜브(12)에 의해 감싸도록 구현된 복수개의 광섬유(11)는 루즈튜브 광섬유 유닛(13)으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 광섬유 유닛(13)은 중심 인장선(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즈튜브 광섬유 유닛(13) 내에 형성된 공간(14)에는 광케이블의 제작 방식에 따라 수밀을 위한 젤리 또는 탈크 분말 및 얀(yarn)이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재(15)는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 광섬유 유닛(13)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하기 표 1은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 하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가공은 특별한 한정을 하지 않는 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한편, 하기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예에 따라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함량별로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수지 조성물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루즈튜브로 제작하였다.
수지 조성물 제조예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를 미리 정해진 비율로 준비한 후 이축 스크류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한다.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통해 용융 및 혼련된 혼합물 수지는 냉각수조를 통해 냉각되고, 펠렛타이저를 통해 최종적으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 펠렛으로 획득될 수 있다.
시편 제조예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는 핫 프레스를 통해 평판 형태의 시트(Sheet)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시트의 규격은 10 cm x 10 cm이며, 두께는 1 내지 3.2 mm일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평판 시트는 고체상 혼합물 수지의 물리적 특성 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시편은 각각의 시편 규격에 따라 가공될 수 있다.
루즈튜브 제조예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는 단축 스크류 압출기를 통해 루즈튜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루즈튜브의 규격은 루즈튜브형 광케이블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루즈튜브의 규격과 동일하게 압출하였다.
한편,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 펠렛 및 루즈튜브 상태에서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 강도 및 용융지수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방법 - 압출 후 수축율
하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루즈튜브의 초기 길이(예로, 1 m) 대비 오븐 에이징 후 길이를 비교하여 길이 방향 대한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 초기 길이를 갖는 루즈튜브를 8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에이징 시키고,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루즈튜브의 수축된 길이를 측정하였다. 특성의 기준점은 루즈튜브의 수축된 길이가 루즈튜브의 초기 길이 대비 1.4% 이내일 경우 루즈튜브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시험방법 - 충격 강도
하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위해 제조된 평판 시편을 ASTM D256 규격에 따라 물성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고, 충격시험기(Izod Impact Test, Tinius Olsen사)를 이용해 측정온도 23℃ 조건하에서 시편의 충격강도(kJ/m2)를 측정하였으며, 특성의 기준점은 40 kJ/m2 이상일 경우 루즈튜브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시험방법 - 용융지수
하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위해 제조된 고체상 혼합물 수지를 ASTM D1238 규격에 따라 멜트 플로우 인덱서(MFR, Tinius Olsen사)를 이용해 하중 2.16kg, 측정온도 230℃ 조건하에서 고체상 혼합물 수지의 용융지수(g/10min)를 측정하였으며, 특성의 기준점은 1 내지 3 g/10min일 경우 루즈튜브로 사용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에 관한 시험 방법은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수지 조성물 제조예 및 루즈튜브 제조예에 따라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는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5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1 중량부(phr)의 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3 g/10min에 상응하는 단일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190℃에서 1 내지 5 g/10min의 범위에 상응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실시예 2의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는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10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1 중량부(phr)의 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실시예 3의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는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5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5 중량부(phr)의 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실시예 4의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에는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10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5 중량부(phr)의 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4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비교예 1에서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총합 100 중량부(phr)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만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비교예 2에서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1 중량부(phr)의 셀롤로오스만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비교예 3에서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5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만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를 위한 고체상의 혼합물 수지가 획득되나, 비교예 4에서 미리 정해진 비중에 따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Block PP)의 총합 100 중량부(phr) 기준으로 15 중량부(phr)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1 중량부(phr)의 셀롤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에 따른 고체상 혼합물 수지 및 루즈튜브의 압출 후 수축율, 충격강도 및 용융지수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압출 후 초기 길이 대비 1.4% 미만의 수축율, 40kJ/m2 이상의 충격강도, 가질 뿐만 아니라 1 내지 3 g/10min의 범위에 상응하는 융융지수를 가질 뿐만 아니라 튜브 가공성 모두 만족하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국,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 및 광케이블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비교예 1에 따라 제작된 루즈튜브의 경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셀롤로오스가 첨가되지 않음에 따라, 압출 후 수축율이 1.7%로 기준 값(1.4%)보다 높고, 충격강도는 37 kJ/m2로 기준 값(40 kJ/m2)보다 낮아 실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에 따라 제작된 루즈튜브의 경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이 첨가되지 않음에 따라, 압출 후 수축율이 1.6%로 기준 값(1.4%)보다 높고, 충격강도는 36 kJ/m2로 기준 값(40 kJ/m2)보다 낮아 실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에 따라 제작된 루즈튜브의 경우, 셀롤로오스가 첨가되지 않음에 따라, 압출 후 수축율이 1.6%로 기준 값(1.4%)보다 높고, 융융지수가 3.2 g/10min으로 기준 범위(1 내지 3 g/10min)보다 높아 실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에 따라 제작된 루즈튜브의 경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이 과량으로 첨가되어 융융지수가 3.6 g/10min으로 기준 범위(1 내지 3 g/10min)보다 높아 튜브 가공 시 외경 편차가 커짐에 따라 실제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따른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 시, 친환경 소재인 폴리프로필렌(PP)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를 사용하면서도 압출 이후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광케이블의 내구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 유기 핵제를 대체하는 셀롤로오스의 적용을 통해 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이 제공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광케이블
10: 중심 인장선
11: 복수개의 광섬유
12: 하나 이상의 루즈튜브
13: 루즈튜브 광섬유 유닛
14: 공간
15: 보강재

Claims (9)

  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Propylene-Ethylene copolymer);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190℃에서 1 내지 5 g/10min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phr)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 하에 중합된 것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총합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phr)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루즈튜브의 수축율은 1.0 내지 1.4%의 범위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는 40 내지 50 kJ/m2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는 하중 2.16kg 및 230℃에서 1 내지 3 g/10min의 범위에 상응하는 광케이블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KR1020220148916A 2022-11-09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KR2024006765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59A true KR20240067659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8874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部品用に適したポリオレフィン物質
KR101070489B1 (ko) 광케이블 부품
US6658185B2 (en) Optical fiber cable with components having improved compatibility with waterblocking filling compositions
CN104884523B (zh) 纤维光缆的光纤余长改善的高密度聚乙烯基缓冲管
KR102330603B1 (ko) 광섬유 케이블 부품
KR102466728B1 (ko) 광섬유 케이블 부품을 위한 중합체 조성물
EP0760108A1 (en) Polypropylene-polyethylene copolymer buffer tubes for optical fiber cab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466887B2 (en) Optical fiber cable with dimensionally stable polymeric component
US11698499B2 (en) Low shrink and small bend performing drop cable
BR112020003981A2 (pt) composição polimérica, componente de proteção de cabo óptico extrudado, e, cabo de fibra óptica.
KR20240067659A (ko) 광케이블에 포함되는 수축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루즈튜브용 수지 조성물
KR101205449B1 (ko)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강도 루즈튜브형 광케이블
AU2002316911B2 (en) Optical fiber cable with dimensionally stable polymeric component
AU776800B2 (en) Optical fiber cable with components having improved compatibility with waterblocking filling compositions
GB2170019A (en) Submarine optical fiber cable having graft polymer jacket
AU2002316911A1 (en) Optical fiber cable with dimensionally stable polymeric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