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749A - Removable quick connector - Google Patents
Removable quick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6749A KR20240066749A KR1020220147926A KR20220147926A KR20240066749A KR 20240066749 A KR20240066749 A KR 20240066749A KR 1020220147926 A KR1020220147926 A KR 1020220147926A KR 20220147926 A KR20220147926 A KR 20220147926A KR 20240066749 A KR20240066749 A KR 202400667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
- fixing members
- elastic member
- connector body
- peripher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지상태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리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가압유지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해제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body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decreases toward one side; One or more fixing members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rranged to form an insertion space therein; an insert that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other side opposite th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engag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moved to the one side;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such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in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presse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or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does not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Includes a remover connected to, wherein whe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in the pressurized stat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bu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s reduced. The movement of the insert to one side is blocked by pressing the inser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may be provided that allows movement of the insert to said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커넥터는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 파이프, 볼트, 핀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복수 개의 철근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거나 수밀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내부에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리브가 고정구의 나사산 또는 돌기에 치합되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구가 가압되어 철근이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철근을 커넥터 내부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철근이 고정될 수 있다. Connectors can secure rebar, pipes, bolts, pins, etc. inserted inside. For example, a connector may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r when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that require watertightness. When a rebar is inserted into this general connector, the ribs of the rebar engage with the threads or protrusions of the fixture, and the fixture is pressed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o that the rebar can be fixed to the connector. In these connectors, the reinforcing bar can be fixed simply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connector.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커넥터는 철근 등을 고정시키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 한번 고정된 철근 등을 다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However, these general connectors only have the function of fixing reinforcing bars, etc., and do not have the function of selectively separating the reinforcing bars, etc., once fixed.
이에, 철근과 같은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할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nnector that can selectively fix or unfix members such as reinforcing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서트를 고정시키거나, 필요시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with the above background in mind, and can optionally fix the insert by preventing the inser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insert fixture, or allow the insert to be separated from the insert fixture when necessary. We would like to provide a quick connector that can be fixed and releas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지상태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리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가압유지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해제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body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decreases toward one side; One or more fixing members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rranged to form an insertion space therein; an insert that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other side opposite th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engag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moved to the one side;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such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in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presse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or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does not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Includes a remover connected to, wherein whe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in the pressurized stat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bu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s reduced. The movement of the insert to one side is blocked by pressing the inser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may be provided that allows movement of the insert to said side.
또한, 제1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리무버는, 상기 커넥터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바디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리무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가압유지상태가 되고,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리무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가압해제상태가 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upport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nd the remover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and when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the remover moves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quick connector can be provided that supports and maintains the pressure, and when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ody, the remover releases suppor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enter the pressure released state.
또한, 리무버에는, 상기 인서트의 타단부가 상기 삽입공간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맞물렸을 때, 상기 인서트의 타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제공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ver includes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tha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insert can penetrate when the other end of the insert is engaged with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can be provided.
또한, 커넥터바디에는 내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무버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리무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커넥터바디의 타측 내주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무버는, 상기 리무버돌기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3 홈부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리무버돌기가 상기 제3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홈부의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remover is formed with a remover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 second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remover operates when the remover protrusion is moved to the third groove through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 quick connector can be provided that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and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ody when the remover protrusion is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roove via the thir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press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moved to the other side.
또한, 커넥터바디의 일측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타측이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일측에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is form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has a releasable member,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nd the one side supported by the locking portion. A quick connector may be provided.
또한, 제1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큰,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a quick connector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인서트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릴 때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nd when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engages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ther side. A quick connector capable of being released may b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또한,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one side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supports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has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can be provided.
또한, 인서트에는 인서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체결부가 맞물리는 고정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결부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진,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 fastening part is formed on the insert, and a fixed fastening part that engages the insert fastening part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ed fastening part ha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decreases toward the protruding direction. A releasable quick connector may be provided,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from an axis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또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는,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제3 고정부재 및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 second fixing member, a third fixing member, and a fourth fixing member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may be provided, includ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여 인서트를 인서트 고정구에 고정시키거나,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인서트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인서트를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block movement from the insert fixture to one side of the insert to secure the insert to the insert fixture, or allow movement from the insert fixture to one side of the insert to separate the insert from the insert fixture. there is.
예를 들어,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가 고정부재의 삽입공간으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압해제상태일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가 인서트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 인서트가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어 인서트는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를 커넥터바디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인서트를 인서트 고정구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surized state, when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xing member for a predetermined length,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pressurize the insert, preventing the insert from moving to one side from the insert fixture, thereby preventing the insert from moving to one side of the insert fixture. can be strongly fixed to. Additionally,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plurality of holding members do not pressurize the insert, allowing the insert to be moved to one side from the insert fixture, so that the inser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ert fixture. Additionally, by separating the remover from the connector body, the inser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sert fix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 인서트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 인서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인서트 고정구에서 인서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리무버, 제1 탄성부재, 지지부재 및 커넥터바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넥터의 고정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 fixture of the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 fixture of the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 separated from the insert fixture of the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mover, first elastic member, support member, and connector body of the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ure 7 is a diagram of a support member and a fixing member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ing member of a quick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as being 'connected' or 'supported' by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supported by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and side in this specification are expla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n question changes.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dditionally,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means to embody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o specify other specific property, area,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group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은 도면에서의 상하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수평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은 도면에서의 하측을 의미하며, 타측은 도면에서의 상측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1)(이하 퀵커넥터(1)라 한다.)는 인서트(20)와 이러한 인서트(20)를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 고정구(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 내부에 삽입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고정구(10)는 커넥터바디(100), 고정부재(200), 리무버(300), 제1 탄성부재(400), 제2 탄성부재(500) 및 지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3, in this embodiment, the quick connecto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ick connector 1) that can be released is an
커넥터바디(100)는 내부에 고정부재(200)가 소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바디(100)는 고정부재(200), 리무버(300), 제1 탄성부재(400), 제2 탄성부재(500) 및 지지부재(600)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00)는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의 타측은 횡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의 일측은 일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이 맞닿을 수 있다. 한편, 커넥터바디(100)는 상부에 리무버(30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커넥터바디(100)에는 체결홈(110) 및 걸림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체결홈(110)에는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리무버(300)의 후술할 리무버돌기(311)가 체결홈(110)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체결홈(110)은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1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홈부(111), 제2 홈부(112) 및 제3 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제1 홈부(111)는 커넥터바디(100)의 타측 내주면에 제1 방향(일 예로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부(111)의 타측 단부는 커넥터바디(100)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홈부(112)는 제1 홈부(111)로부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일 예로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홈부(113)는 제2 홈부(112)의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홈부(113)의 타측 단부는 커넥터바디(100)의 타측 단부에 도달하기 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홈부(113)의 연장길이는 제1 홈부(111)의 연장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제1 홈부(111), 제2 홈부(112) 및 제3 홈부(113)는 리무버돌기(3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체결홈(110)에 삽입되는 리무버(300)의 리무버돌기(311)가 제1 홈부(111) 및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3 홈부(113)로 이동되었을 때 리무버(300)는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는 리무버돌기(311)가 제1 홈부(111)에 삽입되어 일측으로 이동되고, 제2 홈부(112)를 통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3 홈부(113)에 걸리도록 이동됨으로써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리무버돌기(311)를 제1 홈부(111)에 삽입하고, 리무버(300)를 일측으로 누른 후 제2 방향(일 예로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돌리면 리무버돌기(311)가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3 홈부(113)에 걸리면서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리무버(300)의 리무버돌기(311)가 제3 홈부(113) 및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1 홈부(111)의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리무버(300)는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제3 홈부(113)에 리무버돌기(311)가 걸린 상태에서 리무버(300)를 일측으로 누른 후 제2 방향(일 예로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돌리면 리무버돌기(311)가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1 홈부(11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면서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걸림부(120)에는 제2 탄성부재(50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20)는 커넥터바디(100)의 일측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재(500)의 타측은 고정부재(20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second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부재(200)는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00)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가압유지상태란,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가압해제상태란,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3 to 5, when the fixing
고정부재(20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인서트(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삽입공간(S)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S)에는 인서트(20)가 삽입되어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술할 고정체결부(210)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정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고정부재(200)는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커넥터바디(100)의 외주면에 맞닿을 수 있다. The fixing
고정부재(200)는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일측에 배치된 제2 탄성부재(500)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일측으로 가압되는 가압유지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또한, 고정부재(200)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고정부재(200)와 인서트(2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어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일측에 배치된 제2 탄성부재(500)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500)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가압되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00)에는 고정체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ing
고정체결부(210)는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체결부(210)에는 인서트(20)의 후술할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가 맞물릴 수 있다. 고정체결부(210)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결부(210)는 돌출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체결부(210)는 돌출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결부(210)의 경사면은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도 8). 한편, 고정체결부(210)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고정체결부(210)에는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 또는 나사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가 맞물릴 수 있다.A plurality of fixed
고정부재(200)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201), 제2 고정부재(202), 제3 고정부재(203) 및 제4 고정부재(204)의 타측면은 지지부재(600)의 일측면과 맞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The fixing
도 6을 참조하면, 리무버(300)는 커넥터바디(10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가압유지상태 또는 가압해제상태가 되도록 제1 탄성부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되었을 때,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가압유지상태가 될 수 있고,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가압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300)는 플랜지(310) 및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플랜지(310)는 연장부(320)의 타측단부로부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310)는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 크기와 대응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10)의 일측면에는 제1 탄성부재(400)의 타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310)에는 리무버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리무버돌기(311)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리무버돌기(311)는 커넥터바디(100)의 체결홈(110)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돌기(311)가 체결홈(110)의 제1 홈부(111) 및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3 홈부(113)로 이동되었을 때 리무버(300)는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무버돌기(311)가 체결홈(110)의 제3 홈부(113) 및 제2 홈부(112)를 경유하여 제1 홈부(111)의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리무버(300)는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연장부(320)는 플랜지(310)의 내측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부(320)의 일측단부는 지지부재(600)의 후술할 안내부(62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320)의 크기는 지지부재(600)의 안내부(62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320)의 크기가 지지부재(600)의 안내부(6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부(320)에는 관통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관통공(321)에는 인서트(20)의 타측단부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맞물렸을 때, 인서트(20)의 타단부가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는 인서트(20)의 타측단부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 내에 배치되도록 고정부재(200)에 맞물릴 수 있으나, 인서트(20)의 타측단부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부재(200)에 맞물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서트(20)의 타측단부는 관통공(3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other end of the
제1 탄성부재(40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400)는 타측이 리무버(300)의 플랜지(31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400)는 일측이 지지부재(600)의 지지부(610)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탄성부재(400)의 일측은 지지부재(600) 및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계수는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계수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은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되었을 때,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계수보다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 탄성부재(400)에 의해 고정부재(200)는 일측으로 가압되어 가압유지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어 가압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The first
제2 탄성부재(50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탄성부재(500)는 타측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일측에 지지되고, 일측이 커넥터바디(100)의 걸림부(120)의 타측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제2 탄성부재(500)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타측으로 가압하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리무버(300)가 커넥터바디(100)에 체결된 가압유지상태일 때,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일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The second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600)는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재(200)의 내주면에 맞물릴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가 타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될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나머지 고정부재(200)와 동일한 위치에서 벗어나 타측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600)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모두를 지지함으로써 인서트(20)가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맞물릴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600)는 지지부(610) 및 안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지지부(610)는 안내부(620)의 일측단부로부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610)는 제1 탄성부재(400)와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610)는 리무버(300)의 플랜지(310)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610)의 타측면에는 제1 탄성부재(400)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고, 지지부(61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타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The
안내부(620)는 지지부(610)의 내측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620)에는 리무버(300)의 연장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부(320)와 연통되는 가이드공(6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621)에는 인서트(20)의 타측단부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맞물렸을 때, 인서트(20)의 타단부가 관통될 수 있다. 안내부(620)의 가이드공(621)의 크기는 리무버(300)의 연장부(3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내부(620)의 가이드공(621)의 크기는 리무버(300)의 연장부(3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인서트(20)는 인서트 고정구(10)에 대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어 인서트 고정구(10)와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20)에는 고정부재(200)의 고정체결부(210)에 맞물리도록 인서트체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에 형성된 인서트체결부(21)는 고정부재(200)의 고정체결부(210)에 맞물릴 수 있다. 인서트(20)는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된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20)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가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어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인서트체결부(21)는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돌기 형태의 고정체결부(210)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인서트돌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인서트돌기는 복수 개가 일방향(도 2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인서트(20)의 연장방향(도 2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The
한편, 인서트체결부(21)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돌기 형태의 고정체결부(210) 또는 나사산 형태의 고정체결부(210)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 형태의 인서트체결부(21)는 인서트나사산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인서트나사산은 복수 개가 인서트(20)의 연장방향(도 2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인서트나사산은 1.0 pitch 이하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인서트헤드(22)는 인서트(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헤드(22)는 사용자가 인서트헤드(22)를 파지하여 인서트(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다각형(일 예로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된 경우 인서트헤드(22)를 이용하여 인서트(20)를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20)와 고정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허용응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인서트(20)와 고정부재(200)의 접촉면 등이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만으로는 인서트(20)를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인서트헤드(22)를 파지하여 일방향(일 예로 도 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200)에 의한 인서트(20)의 가압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퀵커넥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에 고정시키는 경우, 리무버(300)의 리무버돌기(311)를 체결홈(110)에 삽입시켜 리무버(300)를 커넥터바디(100)에 체결시킨다.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지상태일 때, 인서트(20)를 고정부재(200)의 삽입공간(S)으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시키면,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은 커넥터바디(10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고,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인서트(20)의 중심방향으로 인서트(20)를 가압함으로써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제2 탄성부재(500)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제1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이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일측으로 가압되는 가압유지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fixing the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리무버(300)의 리무버돌기(311)를 체결홈(110)으로부터 인출시켜 리무버(300)를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제1 탄성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일 때,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인서트(20)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어 인서트(20)는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제2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는 타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When separat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커넥터(1)는 선택적으로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여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에 고정시키거나,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인서트(20)의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여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무버(300)를 커넥터바디(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20)가 고정부재(200)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된 경우 인서트헤드(22)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서트(20)를 인서트 고정구(1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In this way, the quick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blocks movement from the insert fixture (10) to one side of the insert (20) to fix the insert (20) to the insert fixture (10) or to the insert fixture (10). By allowing the
1: 퀵커넥터 10: 인서트 고정구
20: 인서트 21: 인서트체결부
22: 인서트헤드 100: 커넥터바디
110: 체결홈 111: 제1 홈부
112: 제2 홈부 113: 제3 홈부
120: 걸림부 200: 고정부재
201: 제1 고정부재 202: 제2 고정부재
203: 제3 고정부재 204: 제4 고정부재
210: 고정체결부 300: 리무버
310: 플랜지 311: 리무버돌기
320: 연장부 321: 관통공
400: 제1 탄성부재 500: 제2 탄성부재
600: 지지부재 610: 지지부
620: 안내부 621: 가이드공1: Quick connector 10: Insert fixture
20: Insert 21: Insert fastening part
22: Insert head 100: Connector body
110: Fastening groove 111: First groove portion
112: second groove 113: third groove
120: Hook 200: Fixing member
201: first fixing member 202: second fixing member
203: Third fixing member 204: Fourth fixing member
210: fixed fastener 300: remover
310: Flange 311: Remover projection
320: extension 321: through hole
400: first elastic member 500: second elastic member
600: support member 610: support member
620: Information Department 621: Guide Ball
Claims (11)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인서트;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지상태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일측으로 가압하지 않는 가압해제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리무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가압유지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주면에 맞닿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면서 상기 인서트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인서트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해제상태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상기 인서트의 상기 일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 connector body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decreases toward one side;
One or more fixing members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arranged to form an insertion space therein;
an insert that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connector body to the other side opposite th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engag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moved to the one side;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to be in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presse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or a pressurized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does not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o the one side. Includes a connected remover,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the pressurized stat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press the inser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insert while the spacing between them is reduced. Blocking movement to one sid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increased to allow movement of the insert to the one side.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리무버는,
상기 커넥터바디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바디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리무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가압유지상태가 되고,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리무버가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지지를 해제하여 상기 가압해제상태가 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upport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The remover is,
It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When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the remover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maintain the pressure,
When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ody, the remover releases suppor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enter the pressure release state,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리무버에는, 상기 인서트의 타단부가 상기 삽입공간의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에 맞물렸을 때, 상기 인서트의 타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제공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remover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insert can penetrate when the other end of the insert is engaged with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space.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커넥터바디에는 내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무버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리무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커넥터바디의 타측 내주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무버는,
상기 리무버돌기가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3 홈부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리무버돌기가 상기 제3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홈부의 타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The remover is formed with a remover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he fastening groove is,
a first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 second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It includes a third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mover is,
When the remover protrusion is moved to the third groove via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t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body,
When the remover protrusion is mov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roove via the thir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t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ody,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상기 타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press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re moved to the other side,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커넥터바디의 일측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타측이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의 일측에 지지되고,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지지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5,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is form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The second elastic member has one side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and one side supported by the locking portion.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보다 큰,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5,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great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 맞물릴 때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When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to preven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side. ,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one side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supports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인서트에는 인서트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체결부가 맞물리는 고정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결부는 돌출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의 단면적이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경사진,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An inser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insert,
A fixed fastening part with which the insert fastening part is engage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fixed fastener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decreases toward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from the axis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는, 서로간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고정부재, 제2 고정부재, 제3 고정부재 및 제4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해제 가능한 퀵커넥터.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fixing members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 second fixing member, a third fixing member, and a fourth fixing member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Quick connector that can be releas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926A KR20240066749A (en) | 2022-11-08 | 2022-11-08 | Removable quick connector |
PCT/KR2023/007374 WO2024101560A1 (en) | 2022-11-08 | 2023-05-30 | Releasable quick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7926A KR20240066749A (en) | 2022-11-08 | 2022-11-08 | Removable quick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6749A true KR20240066749A (en) | 2024-05-16 |
Family
ID=9103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7926A KR20240066749A (en) | 2022-11-08 | 2022-11-08 | Removable quick connec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6749A (en) |
WO (1) | WO2024101560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2838U (en) * | 1996-06-25 | 1997-01-17 | 秀馨 邱 | Safety fasteners for high altitude crash prevention |
JP2001140837A (en) * | 1999-11-11 | 2001-05-22 | Cic:Kk | Position adjusting nut |
KR200277731Y1 (en) * | 2002-03-20 | 2002-06-07 | 김준홍 | Removal anchor to possess the deactivation means |
KR102167075B1 (en) * | 2018-12-19 | 2020-10-19 | 주식회사 유테크 | Rebar coupler having sequential insert assembling structure |
KR102179723B1 (en) * | 2020-04-24 | 2020-11-17 | 주식회사 세계주철 | Manhole cove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with screw |
-
2022
- 2022-11-08 KR KR1020220147926A patent/KR2024006674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5-30 WO PCT/KR2023/007374 patent/WO2024101560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01560A1 (en) | 202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15558B1 (en) | Structure members or mechanical parts combining apparatus and its parts | |
US5377939A (en) | Device for mounting elongated components, such as electrical wiring, especially in an aircraft | |
US7422404B2 (en) | Facilitated tightening device | |
KR100838962B1 (en) | Connectting structure of steel bar | |
GB2130162A (en) | Link-conveyor with inserted rods | |
JP2014167324A (en) | Fixing mechanism | |
CN112664523B (en) |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retaining clip,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and assembly connection with the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 |
KR20240066749A (en) | Removable quick connector | |
KR20060040688A (en) | Locking element | |
US20160073742A1 (en) | Fastener member, fastener structure, and support member | |
JP5968387B2 (en) | Frame connector | |
JP6064844B2 (en) | Wire harness fixing member and wire harness with fixing member | |
CN210240956U (en) | Detachable quick connecting device for camera equipment and camera equipment assembly | |
US7614835B2 (en) | Simple fastening device | |
US20100166494A1 (en) | Device for fastening an add-on part, which is formed with tongue-like projections, to a support part | |
KR102214055B1 (en) | Plate clamp for profile | |
KR20240040559A (en) | Connector for modular building joined without fastening | |
JP2008193794A (en) | Fixture on wall hole | |
WO2011161801A1 (en) | Front release buckle | |
JP2007224933A (en) | Binding band for stud bolt | |
US20100124504A1 (en) | Structure of ceiling fan blades their frames | |
JP2582117B2 (en) | Vehicle seat belt device | |
KR20110032881A (en) | Connector assembly | |
US10383667B2 (en) | Bone plate system with inserts for contacting an adjacent bone surface | |
KR101350982B1 (en) | A cable ch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