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69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691A
KR20240066691A KR1020220147791A KR20220147791A KR20240066691A KR 20240066691 A KR20240066691 A KR 20240066691A KR 1020220147791 A KR1020220147791 A KR 1020220147791A KR 20220147791 A KR20220147791 A KR 20220147791A KR 20240066691 A KR20240066691 A KR 2024006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ncell
present disclosur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민
김영범
류현석
신철규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73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101780A1/ko
Publication of KR2024006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LTITUDE SPECIFIC MOBILITY FOR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er)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변화에 따른 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별 NCell(neighboring cell) lis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delobe를 통해 제공되는 aerial link 및 기지국 안테나의 vertical domain beam gain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inlobe를 통해 공중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단말에 대하여 cell 별 NCell list 선택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ll/기지국 간 인접성 지도에 기반한 NCell list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에 대한 vertical angle에 따라 serving cell이 달라지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단말의 고도 변화에 따라 NCell list가 변경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지시에 의하여 NCell list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선택에 의한 NCell list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UE)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Node B, BS (Base Station), eNB (eNode B), gNB (gNode B),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의 5G는 기존의 LTE, LTE-A 및 유사한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또는 NF(network function)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 및/또는 3GPP NR(new radio)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UAV(unmanned aerial vehicles), UAM(urban air mobility) 등으로 대표되는 공중 통신(aerial communication)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 안정적인 원격 제어,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지원 등을 목적으로 기존의 지상 네트워크를 공중 통신(aerial communication)에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은 LTE(long-term evolution) 지상망을 사용하여 UAV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Rel-18(release-18)을 통하여, 3GPP은 NR(new radio) 지상망을 통하여 공중 통신(aerial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공중 단말(aerial UE)의 모빌리티 개선 방안, 공중 단말(aerial UE)의 identification 및 추적 기술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3GPP은 공중 통신(aerial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기존에 설치된 지상망을 재사용 하는 방식을 고려하며, 이는 지상망을 구성하는 기지국들은 main beam 또는 main lobe을 통한 link access가 아닌 기지국들의 side beam 또는 sidelobe을 통한 link access로 구현될 수 있다.
array antenna system은 directivity gain을 통해 link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며, 높은 directivity gain은 sidelobe을 통해 유출 또는 손실되는 전력 및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방법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즉, sidelobe은 좁은 beam width와 낮은 beamforming gain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우수한 array antenna 또는 정밀한 directional antenna 일수록 sidelobe의 beam width 및 beamforming gain이 감소할 수 있다.
sidelobe의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3GPP가 고려하는 공중 통신(aerial communication)은 낮은 링크 품질(link quality)만을 지원 가능하다. 또한 제어 되지 않은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의 좁은 beam이 생성되는 sidelobe의 특성에 의하여 3GPP에서 고려하는 aerial link은 많은 기지국 또는 지상 cell에 대하여 간섭을 발생시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좁은 beam width와 낮은 beam gain에 의하여, 공중 단말이 이동 시 잦은 handover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네트워크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빔 생성 기능이 있는 공중 단말의 빔 제어와 기지국 접속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공중 단말이 수신 빔 정보 및 탐색된 셀 또는 기지국 정보를 생성하고 보고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수신 빔 정보 및 탐색된 셀 또는 기지국 정보에 기반하여 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제어부가 공중 단말에 대한 기지국 또는 셀 부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중 단말은 자신의 빔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기지국에 보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빔 생성에 따른 inter-cell interference 변화 또는 빔 별 inter-cell interference 생성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inter-cell interference 변화 또는 생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는 공중 단말의 link quality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uplink interference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전반적인 cell throughput 증가 및 cell load balanc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UE)의 위치 이동, 통신 환경 변화 등에 의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기지국이 변동되는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는 일반적으로 handover라 정의되는 동작을 통해 단말이 현재 기지국 보다 더 우수한 통신 성능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기지국으로 접속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handover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serving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에 대한 link quality을 측정하고 이를 serving cell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어야 한다. handover의 대상이 되어 단말이 link quality 측정을 수행하는 cell을 neighboring cell(이하 NCell) 이라 정의할 수 있다. network은 각 단말의 채널 상태, 각 단말의 통신 환경, 또는 각 cell의 traffic load 등을 고려하여 각 단말 별 NCell을 설정하고 이를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network은 각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NCell을 포함하는 neighboring cell list(이하 NCell list)을 설정하고 이를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단말은 NCell list을 수신 시, list에 포함된 복수 cell에 대하여 link quality 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보고하거나 또는 보고 조건에 부합되는 결과가 측정된 경우 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측정 또는 보고 결과에 기반하여 단말 또는 network은 단말의 handover 수행 필요성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별 NCell(neighboring cell) list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단말의 위치, 각 기지국의 물리적 배치 및 각 기지국의 전파 방사 방향에 따라 NCell이 선택될 수 있다.
3GPP LTE study에 의하면, 지상 기지국을 통한 공중 단말의 통신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중 단말과 기지국 간 무선 연결(link)은 지상 단말과 기지국 간 링크와는 상이한 특성을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중 단말은 대부분의 경우 light-of-sight(이하 LoS) 환경 및 이에 대응하는 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상 단말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 안테나가 down-tilt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므로 공중 단말은 기지국 안테나가 생성하는 mainlobe가 아닌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신호 방사, 즉 sidelobe을 통해 생성된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sidelobe link를 통한 통신으로 인하여, 공중 단말은 불특정 복수의 cell을 NCell로 인지하게 되며, 공중 단말이 인식하는 NCell은 동일한 cell을 serving cell로 하는 지상 단말이 인식하는 NCell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이 기존 연구 결과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delobe 통해 제공되는 aerial link 및 기지국 안테나의 vertical domain beam gain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극단적으로 angular coverage가 좁은 빔을 통해 통신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지상망을 통해 공중 단말 통신 지원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에 up-tilt된 안테나를 부착한 공중 단말 전용 기지국을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vertical angular domain에서 기존 sidelobe 대비 넓은 coverage 및 보다 높은 antenna gain 또는 beam gain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inlobe 통해 공중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중 단말의 지원을 위해 별도의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지상 단말의 통신 지원을 위해 이미 설치된 기지국을 사용하여 공중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도 지상 단말과 공중 단말은 다른 특성을 가지는 link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다. 따라서, network은 공중 단말에 대하여 별개의 cell 인접성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공중 단말의 NCell list을 작성 및 관리함에 있어, network은 서술되는 아래의 특성에 의해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단말 별 serving cell 선택 및 NCell 선택은 단말과 각 기지국 간 link qualit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link quality은 다시 경로 감쇄, blockage/fading, 그리고 beam gain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지상 단말의 경우, 단말은 horizontal domain에서 wide angular coverage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통신을 지원 받으며, 이에 대부분의 단말은 serving cell로 동작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유사한 beam gain을 안정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다. 경로 감쇄는 주로 단말과 각 기지국 간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상 단말의 경우, 기지국에 인접한 소수의 일부 단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단말이 non-line-of-sight(이하 NLoS) 환경에서 서비스를 지원 받는다. NLoS 환경에서는 전송단과 수신단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의 경로 감쇄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단말은 대부분의 경우, 물리적으로 가장 인접한 기지국을 serving cell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선택하게 되며, 또한 물리적으로 인접한 기지국들을 NCell을 담당하는 기지국으로 인식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상 통신에서의 NCell list은 각 단말의 물리적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단말의 위치가 크게 변하지 않는 한 NCell list가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공중 단말의 경우, horizontal domain에서는 wide angular coverage을 가지는 반면 vertical domain에서는 narrow angular coverage을 가지는 기지국 빔을 통해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인 sidelobe 기반 통신의 경우 극단적으로 angular coverage가 좁은 빔을 통해 통신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와 같이 mainlobe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vertical domain angular coverage은 horizontal domain angular coverage 대비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각 기지국이 넓은 범위에 대하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기지국 antenna 구현 기법일 수 있다. 좁은 vertical angular coverage을 가지는 공중 빔의 특성에 의해, 단말의 위치가 변동될 경우 각 단말이 제공 받는 beam gain은 빠르게 그리고 크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공중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과 LoS link가 성립되는데, LoS link은 전송단과 수신단 간 거리의 증가에 따른 경로 감쇄의 증가가 비교적 적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좁은 vertical angular coverage을 가지는 공중 빔의 특성 및 LoS link은 전송단과 수신단 간 거리의 증가에 따른 경로 감쇄의 증가가 비교적 적다는 특성에 의해, 공중 단말의 serving cell 선택 및 NCell 선택은 공중 단말과 기지국 간 거리 보다는 각 기지국이 제공할 수 있는 beam gain에 의해 결정되는 성향이 강하며, beam gain은 단말의 위치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결국 각 공중 단말은 많은 수의 cell을 NCell로 고려하여야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위치의 작은 변화에서도 NCell list가 변동될 수 있다.
지상 단말의 무선 link와 공중 단말 무선 link에 대한 특성 차이를 NCell list 작성 및 관리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지상 단말의 경우 NCell이 단말과 각 기지국 간 물리적 거리에 의해 선택되는 경향이 강하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각 단말의 serving cell로 동작하는 기지국과 물리적으로 인접한 기지국들에 의해 NCell list가 구성될 수 있다. 지상 단말에 대한 NCell list에 대한 구성은 도 4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서술된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 단말에 대하여 cell 별 NCell list 선택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serving cell을 담당하는 기지국과 물리적으로 인접한 기지국의 수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 단말의 경우 serving cell 별 또는 serving cell을 담당하는 기지국 별 NCell list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NCell list 설정에 관한 일 예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서술된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ll/기지국 간 인접성 지도에 기반한 NCell list 설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NCell list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경우, network은 기지국 간 인접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큰 지도를 생성한 후, NCell list을 원하는 단말의 serving cell에 따라 큰 지도의 일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NCell 관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반면 공중 단말의 경우, sidelobe link 특성에 의하여, 각 단말과 각 기지국을 연결하는 link의 기지국 단 vertical angle에 근거하여 NCell이 선택되며, 따라서 동일한 기지국을 serving cell로 하는 단말들이 상이한 NCell list을 가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지상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serving cell을 담당하는 기지국 별 NCell list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각기 다른 NCell을 가지는 복수의 공중 단말에 대하여 모두 지원 가능하여야 하므로 매우 많은 수의 cell들을 NCell list에 포함시켜야 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cell detection 부담을 크게 증가시킬 위험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handover 지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6을 통해, 공중 단말의 경우, link 특성에 의하여, 각 단말과 각 기지국을 연결하는 link의 vertical angle에 근거하여 NCell이 선택되는 방안이 설명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에 대한 vertical angle에 따라 serving cell이 달라지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공중 단말의 vertical angle에 따라 serving cell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또한, vertical angle에 따라 NCell 또한 달라질 수 있다. NCell은 일반적으로 serving cell 다음으로 좋은 link quality을 지원하는 cell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vertical angle에 따라 NCell을 관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개시는 단말의 고도 및 serving cell에 따라 NCell list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측정 난이도가 높으며 또한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angular direction 정보에 무관하게, 본 개시가 제시하는 방법은 공중 단말의 NCell list를 작성 및 관리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시로서, 공중 단말의 고도가 변경되거나, 공중 단말의 serving cell이 변경되거나, 공중단말에 serving cell을 제공하는 기지국 이 변경되는 경우, 단말은 변경된 NCell list을 적용할 수 있다. 변경 및 적용 작업은 기지국 지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단말의 판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및 적용 작업은 도 7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서술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단말의 고도 변화에 따라 NCell list가 변경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고도 B(711)에서는 NCell list에 포함된 NCell이 cell 3(701) 및 cell 4(705)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도 A(721)에서는 NCell list에 포함된 NCell이 cell 1(702) 및 cell 2(704)임을 알 수 있다. 도 8을 통해, 기지국 지시에 의한 NCell list을 선택하는 절차가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통해, 단말의 선택에 의한 NCell list를 선택하는 절차가 설명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지시에 의하여 NCell list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개시가 제시하는 공중 단말의 고도에 따른 NCell list 설정 및 관리 기법 중, 기지국 지시에 의해 변경된 NCell list를 적용하는 작업이 결정되고 수행되는 방법은 하기의 절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801)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고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기지국은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S805)에서, 기지국은 예상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S807)에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Ncell로 구성된 하나의 NCell list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써,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NCell 들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NCell list을 전달할 수 있다. 각 NCell list은 공중 단말의 각기 다른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되는 경우에, 단말의 고도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현행 고도에 대한 NCell list와, 단말의 target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 각각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S809)에서, 단말은 전달 받은 NCell list에 대응하는 NCell 들에 대하여 cell 또는 link quality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811)에서,
- 하나의 NCell list가 전달된 경우, 공중 단말은 NCell list에 대하여 인접 cell 탐색 작업을 수행하며(단계(S811-1)), 필요한 경우 탐색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단계(S811-2)).
-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된 경우, 단말은 각 NCell list에 대하여 별도의 인접 cell 탐색 작업을 수행하며(단계(S811-1)) 측정 결과를 NCell list 별로 구분하여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된 경우, NCell list에 무관하게 최적의 N개의 NCell의 형식으로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단계 S811-2).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된 경우, 최적의 N개의 Ncell 형식으로 기지국에 보고하고(단계(S811-2)), 보고된 각 NCell이 어느 NCell list에 대응하는지 보고할 수 있다.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된 경우, 설정 받은 NCell list 중 어느 list가 Ncell 탐지 및 관리에 더 적합한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 된 경우 단말의 NCell 측정 및 보고에 대한 또 다른 방식으로, 기지국은 설정된 복수의 NCell list에 대하여 단말이 NCell 측정 또는 보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NCell list만을 고려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지시는 특정 측정 및 보고 단계, 특정 시구간, 특정 cell에 대한 측정 또는 보고를 수행하는 경우에 한정, 또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NCell list을 사용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813)로써, 단말의 고도 변경이 발생하여 NCell link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제 2 단계 보고에 의해 NCell list의 변경이 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은 변경된 고도에 대하여 신규 NCell list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NCell list을 신규 전달 받은 내용으로 업데이트 하며, 이를 cell/link quality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선택에 의한 NCell list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개시가 제시하는 공중 단말의 고도에 따른 NCell list 설정 및 관리 기법 중, 단말에 의해 변경된 NCell list를 적용하는 작업이 결정되고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하기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901)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고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903)에서, 기지국은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S905)에서, 기지국은 예상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S907)에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Ncell로 구성된 하나의 NCell list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써,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NCell 들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NCell list을 전달할 수 있다. 각 NCell list은 공중 단말의 각기 다른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NCell list가 전달되는 경우에, 단말의 고도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현행 고도에 대한 NCell list와, 단말의 target 고도에 대응하는 NCell list 각각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NCell list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단계(S909)에서, 단말은 수신 받은 복수의 NCell list에 대하여, NCell list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S911)에서, 단말은 하나의 NCell list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복수의 NCell list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913)에서, 단말은 선택한 NCell list을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한 NCell list를 Ncell list 인덱스를 통해서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NCell list를 선택한 경우, 둘 이상의 Ncell list를 Ncell list 인덱스를 통해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선택된 NCell list 정보를 보고할 때, 선호도 정보를 추가로 보고할 수 있다.
단계(S915)에서, 단말은 선택한 NCell 측정 및 탐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917)에서, 기지국은 NCell list를 업데이트하거나 재선택할 수 있다.
단계(S919)에서, 단말은 선택된 NCell list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NCell list index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UE)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은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10), 메모리(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10) 및 메모리(10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지상 단말과 공중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종류의 단말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수행되도록 단말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회로(circuit), 어플리케이션 특정(application-specific)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0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0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010)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10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0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0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0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03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30)는 단말이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기지국은 프로세서(1120), 송수신부(1110), 메모리(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120), 송수신부(1110) 및 메모리(11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2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NF가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수행되도록 기지국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110)는 네트워크 엔티티, 다른 기지국, 또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다른 기지국, 또는 단말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110)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11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110)는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1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1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30)는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기지국이 송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의 고도를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고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웃 셀 목록(neighboring cell list, Ncell list)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Ncell list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cell list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복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20147791A 2022-11-08 2022-1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66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7386 WO2024101780A1 (ko) 2022-11-08 2023-11-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691A true KR20240066691A (ko) 2024-05-1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502B2 (en) First radio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adjusting a set of beams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2011306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Al-Falahy et al. Design considerations of ultra dense 5G network in millimetre wave band
EP3089513A1 (en)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stablishment of an association between one or more base station transceivers and a mobile transcei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3508541A (zh) 车辆、用于移动通信系统中的车辆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20220361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by sidelink remote terminal over sidelink relay
KR202400666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751029B2 (en)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vehicl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241017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고도 별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684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수행하는 공중 단말을 위한 모빌리티 관리 방법 및 장치
Capone et al. Context-based cell search in millimeter wave 5G networks
KR202400488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스 스위치를 위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US202401258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ris)
KR202400636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전환을 위한 tci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489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ue policy based on network slicing
EP4329213A1 (en) Apparatus, method, program products for maximizing desired multi-transmission point signal to inter-layer-group-interference via ue beam control
WO2023197139A1 (en) Relay switching and mobile handovers for relay aircrafts
US20240147263A1 (en) Scheme of mobilit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240137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utput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9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th switch operation of remote ue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2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effective power headroom of terminal
KR202400624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71523A (ko) 비지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31377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spot alignment on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224227A1 (en) Supporting slices on a cell level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