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935A -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 Google Patents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935A
KR20240065935A KR1020220147252A KR20220147252A KR20240065935A KR 20240065935 A KR20240065935 A KR 20240065935A KR 1020220147252 A KR1020220147252 A KR 1020220147252A KR 20220147252 A KR20220147252 A KR 20220147252A KR 20240065935 A KR20240065935 A KR 20240065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rotation
support
pedest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흥순
김춘현
김재현
Original Assignee
한보일렉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일렉트(주) filed Critical 한보일렉트(주)
Priority to KR102022014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935A/en
Publication of KR2024006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93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는 다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받침대(10); 상부 받침대(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부 받침대(1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받침대(20); 및 상부 받침대(10)를 하부 받침대(20)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도 모듈(3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The por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includes an upper suppor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A lower stand (20) located below the upper stand (10) to separate the upper stand (10) from the ground; and a movement guidance module 30 that moves the upper pedestal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pedestal 20.

Description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Facility with a movable structure Pot support device for tree seedling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본 발명은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부 받침대가 하부 받침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트레이 받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ies with a movable structure, and specifically to a tray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ies with a movabl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tand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tand.

시설 양묘는 시설 내에서 묘목의 생육 단계별로 온도, 광, 시비, 시비, 일장 또는 이와 유사한 생육 조건을 조절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에서 우량 묘목을 단기간에 대량으로 생산하는 양묘 방법을 말한다. 시설 양모는 온실과 같은 설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온실 내부에 다수 개의 용기가 정렬될 수 있는 용기 받침대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다수 개의 용기 받침대가 온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용기 받침대에 많은 수의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묘목을 생육 과정에서 온실 내의 묘목은 일정 기간 동안 실외에서 생육이 되고, 이후 다시 온실 내부로 이동되어 생육된다. 그리고 다시 묘목이 자연 조건에서 자생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수준이 되면 다양한 장소에 식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설 양묘에 사용되는 용기 받침대는 묘목이 식재된 용기의 취급이 편리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22-0137450은 딸기 고설 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22-0039177은 이앙기에 사용되는 육묘판 지지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받침대의 상부가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용기 또는 포트의 취급이 편리한 받침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Facility nursery refers to a nursery method that produces high-quality seedlings in large quant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by controlling temperature, light, fertilization, fertilization, day length, or similar growth conditions for each stage of seedling growth within the facility. Facility Wool can be grown in a facility such as a greenhouse, and a container stand on which multiple containers can be aligned needs to be installed inside the greenhouse. A plurality of container pedestals may be placed in the greenhouse, and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may be placed on each container pedestal. In the process of growing seedlings, seedlings in a greenhouse are grown outdoo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moved back inside the greenhouse to grow. And once the seedlings reach a level where they can grow naturally under natural conditions, they can be planted in various places. Container stands used in such facility nurseries need to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convenient handling of containers in which seedlings are plant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37450 discloses a seedling tray support for strawberry high snow cultivation. Additionally,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9177 discloses a seedling plate support device used in a rice transplanter. Such prior art or known technology does not disclose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is movable, thereby allowing convenient handling of containers or pots.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s.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22-0137450(김영석, 2022.10.12. 공개)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37450 (Kim Young-seok, published on October 12, 2022) Seedling tray stand for strawberry high-slope cultivation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10-2022-0039177(윤석수, 2022.03.29. 공개) 폴딩 가능한 육묘판 지지장치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39177 (Seoksoo Yoon, published on March 29, 2022) Folding seedling plate support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받침대가 하부 받침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에 의하여 용기 또는 포트의 취급 편의성이 향상된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ies with a movabl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pport is movable relative to the lower suppor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handling containers or pots.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는 다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받침대; 상부 받침대(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부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받침대; 및 상부 받침대를 하부 받침대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도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includes an upper suppor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A lower pedestal located below the upper pedestal 10 to separate the upper pedestal from the ground; and a movement guidance module that moves the upper pedestal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pedestal.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받침대는 상하로 이층 구조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edestal is formed in a two-layer structure from top to bottom.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동 유도 모듈은 기어 모듈; 기어 모듈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유도 부재 및 회전 유도 부재에 결합된 유도 롤러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guidance module includes a gear module; It consists of a rotation guidance member rotated by a gear module and a guidance roller coupled to the rotation guidance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받침대는 유도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edestal is moved by rotation of a guide 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어 모듈은 제1 회전 기어; 및 회전 유도 부재의 한쪽 끝이 결합되면서 제1 회전 기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회전 기어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module includes a first rotating gear; and a second rotation gear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otation gear.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는 상부 받침대가 하부 받침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하여 용기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포트의 취급이 편리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 생육을 위한 포트 또는 용기의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또는 포트는 적절한 트레이, 팔레트 또는 상자에 수용되어 상부 받침대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고, 상부 받침대는 이와 같은 트레이, 팔레트 및 상자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포트 또는 용기를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는 설비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The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pper st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wer stand, thereby allowing the container to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king handling of the pot convenient.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pots or containers for growing various types of plants. The container or pot may be accommodated in a suitable tray, pallet or box and positioned above the upper pedestal, and the upper pedestal may support the pot or container by moving such tray, pallet or box.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fac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상부 받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하부 받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이동 유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s 1 and 2 show an embodiment of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an upper pedestal forming a pedest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a lower support forming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a movement guidance module forming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but the example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description below,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unles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not be repeated,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s.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1 and 2 show an embodiment of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는 다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받침대(10); 상부 받침대(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부 받침대(1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받침대(20); 및 상부 받침대(10)를 하부 받침대(20)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도 모듈(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includes an upper suppor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A lower stand (20) located below the upper stand (10) to separate the upper stand (10) from the ground; and a movement guidance module 30 that moves the upper pedestal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pedestal 20.

상부 받침대(10)의 위쪽에 육묘용 포트 또는 용기가 위치할 수 있고, 포트 또는 용기는 트레이, 팔레트 또는 받침 상자에 수용되어 상부 받침대(10)의 위쪽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받침대(10)는 직접적으로 또는 다양한 매개 수단에 의하여 용기 또는 포트를 받칠 수 있다. 상부 받침대(10)는 이층 구조로 될 수 있고, 위쪽 층과 아래쪽 층은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받침대(10)의 위쪽 층은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 및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를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 개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K)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 및 다수 개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K)는 조인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 부재가 될 수 있다.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 및 다수 개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K)에 의하여 상부 받침대(10)의 위쪽 층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와 상하로 나란하게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가 연장될 수 있고,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는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는 다수 개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의 각각은 다수 개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K)와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와 다수 개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 되는 상부 받침대(10)의 아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받침대(10)의 위층과 아래층은 조인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아래층은 위층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받침대(2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될 수 있다. 하부 받침대(20)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보면서 연장되는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와 아래쪽에서 제1, 2 상부 받침 부재(21a, 21b)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를 폭 방향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받침 폭 상부 부재(22_1 내지 22_K);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를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받침 폭 하부 부재(24_1 내지 24_K); 및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 다수 개의 받침 폭 부재(22_1 내지 22_K, 24_1 내지 24_K)를 연결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받침 수직 부재(25_1 내지 25_N)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하부 받침대(20)를 기준으로 상부 받침대(10)가 이동 유도 모듈(30)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 pot or container for seedlings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pedestal 10, and the pot or container may be accommodated in a tray, pallet, or support box and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edestal 10. The upper support 10 can support the container or pot directly or by various intermediate means. The upper pedestal 10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and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may have a structu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upper layer of the upper pedestal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upper long members 11a and 11b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and the plurality of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K may be pipe members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joint. The upper layer of the upper pedestal 10 may have an overall square shape due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and the plurality of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K. The first and second lower length members 13a and 13b may extend vertically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length members 13a and 13b may extend alo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 2 may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The first and second lower length members 13a and 13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is a plurality of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K) and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up and down. The lower layer of the upper pedestal 10 having an overall square shape may b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lower length members 13a and 13b and the plurality of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upper pedestal 1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a joint, and the lower layer may have a shorter length and the same width as the upper layer. The lower pedestal 20 may have an overall hexahedral shape. The lower pedestal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pedestal upper members 21a and 21b extending in parallel and facing each other;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21b)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23b) extending from below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upper support members (21a, 21b); A plurality of support width upper members (22_1 to 22_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21b) in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width lower members (24_1 to 24_K)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23b)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luralit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21b),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23b), and a plurality of support width members (22_1 to 22_K, 24_1 to 24_K). It includes two support vertical members (25_1 to 25_N). The upper pedestal 10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movement guidance module 30 based on the lower pedestal 20 having this structure.

이동 유도 모듈(30)은 기어 모듈(31); 기어 모듈(31)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유도 부재(34a, 34b) 및 회전 유도 부재(34a, 34b)에 결합된 유도 롤러(35a, 36b)로 이루어진다. 기어 모듈(31)은 핸들(33)에 의하여 또는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기어 모듈(31)에 하나의 회전 유도 부재(예를 들어 34a)의 끝 부분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 2 회전 유도 부재(34a, 34b)는 상부 받침대(10)와 하부 받침대(2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부 받침대(10) 또는 하부 받침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2 회전 유도 부재(34a, 34b)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각각의 한쪽 끝 부분이 연결 부재(3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회전 유도 부재(예를 들어 34a)의 끝 부분이 기어 모듈(31)에 결합되어 기어 모듈(3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회전 유도 부재(예를 들어 34b)는 연결 부재(3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유도 부재(34a, 34b)의 중간 부분에 유도 롤러(35a, 35b)가 결합될 수 있고, 유도 롤러(35a, 35b)는 하나의 하부 폭 부재(14_L) 및 하나의 받침 폭 상부 부재(22_L)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핸들(33)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 모듈(31)이 회전되면서 제1 회전 유도 부재(34a)가 회전되고, 이에 의하여 제1 유도 롤러(35a)의 회전에 의하여 상부 받침대(10)가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도 부재(34b)는 제2 유도 롤러(35b)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부 받침대(1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부 받침대(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ovement guidance module 30 includes a gear module 31; It consists of rotation guidance members 34a and 34b rotated by the gear module 31 and guidance rollers 35a and 36b coupled to the rotation guidance members 34a and 34b. The gear module 31 can be rotated by the handle 33 or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and the end of one rotation inducing member (for example, 34a) is connected to the gear module 31 to be rotated. You ca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s 34a and 34b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pedestal 10 and the lower pedestal 2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edestal 10 or the lower pedestal 20.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s 34a and 34b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each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32. Additionally, the end of one rotation inducing member (for example, 34a) may be coupled to the gear module 31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gear module 31. And the other rotation guiding member (eg, 34b)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32. Guide rollers 35a, 35b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tion guide members 34a, 34b, and the guide rollers 35a, 35b include one lower width member 14_L and one support width upper member 22_L. ) may come into contact with. In this structure, the gear module 3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33 and the first rotation guidance member 34a is rotated, and thereby the upper stand 1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uidance roller 35a. can be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 34b may induce movement of the upper stand 10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guiding roller 35b. The upper stand 10 can be mov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상부 받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an upper pedestal forming a pedest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받침대는 두 개의 층이 서로 겹쳐진 형상이 될 수 있고, 위층이 되는 제1 층은 아래층이 되는 제2 층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양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층은 한 쌍의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 및 일곱 개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7)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2 층은 한 쌍의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 및 다섯 개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 하부 길이 부재(13a, 13b)는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제1, 2 상부 길이 부재(11a, 11b)의 상하로 층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는 각각의 상부 폭 부재(12_1 내지 12_K)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받침대에 적어도 하나의 제한 부재(15a, 15b)가 결합될 수 있고, 제한 부재(15a, 15b)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의 아래쪽 방향으로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한 부재(15a, 15b)의 양쪽 끝 부분은 결합 부재(151)에 의하여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의 양쪽 끝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부 폭 부재(14_1 내지 14_K), 결합 부재(151) 및 제한 부재(15a, 15b)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는 사각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제한 부재(15a, 15b)는 상부 받침대가 하부 받침대의 위쪽에 놓인 상태에서 상부 받침태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한 부재(15a, 15b)는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pedestal may have a shape in which two layers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layer, which is the upper layer,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ed to the second layer, which is the lower layer. Specifically, the first layer may be formed by a pair of first and second upper length members 11a and 11b and seven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7. In comparison, the second layer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lower length members 13a and 13b; and five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The first and second lower long members 13a and 13b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and second upper long members 11a and 11b and are layered above and below the first and second upper long members 11a and 11b. It may be extended. Additionally, each of the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may have the same length as each of the upper width members 12_1 to 12_K and may extend parallel to the top and bottom. At least one limiting member (15a, 15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edestal, and the limiting members (15a, 15b) are positioned separately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lower width member (14_1 to 14_K) and the lower width member ( 14_1 to 14_K) and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limiting members 15a and 15b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by a coupling member 151. As a result, the lower width members 14_1 to 14_K, the coupling member 151, and the limiting members 15a and 15b may be rectangular shapes facing downward. The limiting members 15a and 15b having such a shape may have a function of restricting movement of the upper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upper support is placed above the lower support. The limiting members 15a and 15b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하부 받침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a lower support forming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받침대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고,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 및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는 다수 개의 받침 폭 상부 부재(22_1 내지 22_K)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는 다수 개의 받침 폭 하부 부재(24_1 내지 24_K)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받침 상부 부재(21a, 21b)와 제1, 2 받침 하부 부재(23a, 23b)는 다수 개의 받침 수직 부재(25_1 내지 25_N)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받침대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에 각각 한 쌍의 보강 부재(41a, 41b)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 부재(41a, 41b)는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받침 폭 상부 부재(22_1)의 중간 부분과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받침 폭 하부 부재(24_1)의 양쪽 끝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받침대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보강 부재가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41a, 41b)는 하부 받침대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하부 받침대가 안정적인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the lower support may have an overall hexahedral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and 21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and 23b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They can be extended side by sid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and 21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support width upper members 22_1 to 22_K,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and 23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support width upper members 22_1 to 22_K.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24_1 to 24_K).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pper members 21a and 21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lower members 23a and 23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support vertical members 25_1 to 25_N.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41a and 41b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lower pedestal, respectively.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41a and 41b may connect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width support member 22_1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and both ends of the lower width support member 24_1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Additionally,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located at the rearmost part of the lower pedestal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he reinforcing members 41a and 41b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lower pedestal to ensure that the lower pedestal has a stable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 장치를 형성하는 이동 유도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a movement guidance module forming a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기어 모듈(31)은 제1 회전 기어(311); 및 회전 유도 부재(34a, 34b)의 한쪽 끝이 결합되면서 제1 회전 기어(3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회전 기어(312)로 이루어진다. 핸들(33)의 작동에 의하여 기어 모듈이 작동될 수 있고, 기어 모듈은 핸들(33)에 연결되면서 원형 기어 구조를 가지는 제1 회전 기어(311); 및 제1 회전 기어(311)와 맞물려 회전하는 원형 기어 구조를 가지면서 제1 회전 기어(3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회전 기어(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 기어(312)에 제1 회전 유도 부재(34a)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 기어 모듈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2 회전 유도 부재(34b)의 한쪽 끝 부분은 사각 판 형상의 연결 부재(3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2 회전 유도 부재(34a, 34b)의 중간 부분에 제1, 2 유도 롤러(35a, 35b)가 결합될 수 있고, 제1, 2 유도 롤러(35a, 35b)에 하나의 하부 폭 부재(14_L)와 하나의 받침 폭 상부 부재(22_L)가 접촉될 수 있다. 제1 회전 기어(311)의 회전에 의하여 제2 회전 기어(312)가 회전될 수 있고, 제2 회전 기어(312)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회전 유도 부재(34a)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유도 부재(34a)의 회전에 의하여 유도 롤러(35a)가 회전되면서 상부 받침대가 이동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도 부재(34b)는 연결 부재(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부 받침대가 이동되면서 제2 유도 롤러(35a)가 회전되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회전 유도 부재(34b)는 상부 받침대의 이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대에 대하여 상부 받침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gear module 31 includes a first rotation gear 311; and a second rotation gear 312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otation gear 311 while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members 34a and 34b. The gear module can be operated by operating the handle 33, and the gear module includes a first rotating gear 311 connected to the handle 33 and having a circular gear structure; And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rotation gear 312 that has a circular gear structure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otation gear 311 and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otation gear 311.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guiding member 34a is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gear 312 and can be rotated by rotation of the gear module.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s 34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quare plate-shaped connecting member 32.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35a, 35b) may be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guide members (34a, 34b), and one lower width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35a, 35b). (14_L) and one support width upper member (22_L) may be in contact. The second rotation gear 312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gear 311, and the first rotation guiding member 34a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gear 312. Additionally, the upper stand may be moved as the guide roller 35a rotat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guide member 34a. The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 34b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32, and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guiding roller 35a rotating as the upper pedestal moves. In this way, the second rotation guiding member 34b may have a function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stand. With respect to the lower pedestal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upper pedestal may be moved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appended below.

10: 상부 받침대 20: 하부 받침대
30: 이동 유도 모듈 31: 기어 모듈
34a, 34b: 회전 유도 부재 35a, 35b: 유도 롤러
311: 제1 회전 기어 312: 제2 회전 기어
10: upper stand 20: lower stand
30: Movement guidance module 31: Gear module
34a, 34b: rotation guidance member 35a, 35b: guidance roller
311: first rotation gear 312: second rotation gear

Claims (5)

다수 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받침대(10);
상부 받침대(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부 받침대(1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하부 받침대(20); 및
상부 받침대(10)를 하부 받침대(20)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유도 모듈(30)을 포함하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
An upper pedestal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to each other;
A lower stand (20) located below the upper stand (10) to separate the upper stand (10) from the ground; and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ies with a movable structure including a movement guidance module (30) that moves the upper stand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tand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받침대(10)는 상하로 이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The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pport (10) is formed in a two-layer structure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유도 모듈(30)은 기어 모듈(31); 기어 모듈(31)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유도 부재(34a, 34b) 및 회전 유도 부재(34a, 34b)에 결합된 유도 롤러(35a, 36b)로 이루어지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guidance module 30 includes a gear module 31; A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ies with a movable structure consisting of rotation guiding members (34a, 34b) rotated by a gear module (31) and guiding rollers (35a, 36b) coupled to the rotation guiding members (34a, 34b). 청구항 3에 있어서, 상부 받침대(10)는 유도 롤러(35a, 35b)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The pot support device for facility nursery with a movabl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pper support (10) is moved by rotation of the guide rollers (35a, 35b). 청구항 3에 있어서, 기어 모듈(31)은 제1 회전 기어(311); 및 회전 유도 부재(34a, 34b)의 한쪽 끝이 결합되면서 제1 회전 기어(3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회전 기어(312)로 이루어지는 이동 가능 구조의 시설 양묘용 포트 받침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ear module 31 includes a first rotating gear 311; and a second rotation gear 312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otation gear 311 while one end of the rotation guide members 34a and 34b is coupled to each other.
KR1020220147252A 2022-11-07 2022-11-07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KR202400659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252A KR20240065935A (en) 2022-11-07 2022-11-07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252A KR20240065935A (en) 2022-11-07 2022-11-07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935A true KR20240065935A (en) 2024-05-14

Family

ID=9107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252A KR20240065935A (en) 2022-11-07 2022-11-07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593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77A (en) 2020-09-22 2022-03-29 윤석수 Device for supporting rice seeding plates in rice transporter having multi-stage
KR20220137450A (en) 2021-04-02 2022-10-12 김영석 Tray for Growing-Seedlings of Strawberry Cultiv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77A (en) 2020-09-22 2022-03-29 윤석수 Device for supporting rice seeding plates in rice transporter having multi-stage
KR20220137450A (en) 2021-04-02 2022-10-12 김영석 Tray for Growing-Seedlings of Strawberry Cultiv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7376B2 (en) Fully automatic multi-stage seedling raising system
CA3028899C (en) A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absence of soil
KR101430728B1 (en) Tilting apparatus for cultivation a plant container of multistage lamination layers
KR101145342B1 (en) High-position cultivating device for strawberry
JP5221627B2 (en)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method
US11452271B2 (en) Hydroponic apparatus and hydroponic method
KR20240065935A (en) A Movable Type of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ot of Container Tree Seedling
WO2011067548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RU2391812C2 (en)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device for growth of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and collapsible multi-tier rack for growing plants in conditions of protected ground
JP2018164441A (en) Greenhouse cultivation method of horticultural crop, and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same
CN110352799A (en) A kind of cultural method of culture shelf for edible fungi and edible mushroom
KR102146069B1 (en) Hydroponic automation process line
KR101651750B1 (en) transfer device of flate to rise seed
CN112470776B (en) Matrix is cultivated plant and is used transfer system that grows seedlings
CN209420439U (en) A kind of energy-saving vegetable planting rack
KR20220016719A (en) Plant cultivatation apparatus
KR20170124230A (en) Automatic System For Earth Cultivation
CN207219526U (en) A kind of adjustable gardens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LU500038B1 (en) Intelligent lifting foster shelf for pear seedling
JP7382296B2 (en) Parent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2647494B1 (en) Crop cultivation tray and it us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CN217284224U (en) Planting table with built-in tomato matrix bags
WO2011007112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KR20230141998A (en) Plants cultivating apparatus
KR20110101545A (en) Container bench for container nurs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