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524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524A
KR20240065524A KR1020220143087A KR20220143087A KR20240065524A KR 20240065524 A KR20240065524 A KR 20240065524A KR 1020220143087 A KR1020220143087 A KR 1020220143087A KR 20220143087 A KR20220143087 A KR 20220143087A KR 20240065524 A KR20240065524 A KR 2024006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ncentration
processor
disea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상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14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5524A/en
Publication of KR2024006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5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삽입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eas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n electrode unit that is contacted or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ocessor that outputs a stimulation pattern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the electrod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Disease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본 발명은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질환에 의한 증상 또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relieve symptoms or pain caused by a disease.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장비들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혈당과 같은 검체의 농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혈당과 같은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침습적인 방식이 이용되는데, 침습적인 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의 경우 정확도가 높지만,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고통, 감염 등의 위험을 유발할 가능성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종래 측정기의 경우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체내에 존재하는 검체의 농도가 과다 또는 과소함에 따라 환자에게 발생하는 증상이나 통증을 완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Various medic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diagnose a patient's health condition. These medical devices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samples such as blood sugar in the process of diagnosing a patient's health condition. Generally, an invasive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such as blood sugar. Although devices using the invasive method have high accuracy, they may cause risks such as pain and infection to the patient during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Not only does the possibility exist, but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poor usability. Meanwhil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s only provide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but have the limitation that they cannot provide the function of relieving symptoms or pain that occurs in patients due to excessive or under-concentration of the sample present in the body. exis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5110호(2016.03.15.)의 '휴대용 혈당 측정기'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Portable Blood Sugar Meter'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05110 (March 15, 2016).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로 다양한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that can improve a disease by applying various stimuli to the user's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삽입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unit that is in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ocessor that outputs a stimulation pattern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the electrode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 신호의 전압, 전류,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voltage, current, period, and du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본 발명은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해 검출되는 검체 신호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검출되는 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that detect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wherein the processor detects a specim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the specimen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the The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estim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광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 및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상기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outputs an opt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disease with the user's body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stimulation patter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발광부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wavelength, period, and duration of the optical signal.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opt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본 발명은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해 검출되는 검체 신호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검출되는 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that detect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wherein the processor detects a specim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the specimen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the The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estim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light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상기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outputs an ultrasonic signal to the user's body, wherein the processor uses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to transmit an ultrasonic signal to the user's body.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stimulation pattern to improve the disea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로 다양한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iseases by applying various stimuli to the user's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에 기반하여 자극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timulus based 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치, 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장치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by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atch, band, etc.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가 부착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전극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전극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부에 포함된 전극의 조합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임피던스에 따른 검체의 농도에 대한 관계 정보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검체 농도 추정 효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치료 효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ttached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ode uni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ode portion of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combinations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according to impedance.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estimating sample concentration of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treatment effect of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가 부착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전극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전극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전극부에 포함된 전극의 조합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임피던스에 따른 검체의 농도에 대한 관계 정보를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electrode unit,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ode unit of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mbination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according to impedanc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10)는 기판(110), 전극부(120), 발광부(130), 광수신부(140), 초음파발생부(150), 초음파수신부(160), 통신부(170), 배터리(180), 메모리(190) 및 프로세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외에 다양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위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10)는 밴드, 패치, 이어클립 등 웨어러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체내에 임플란트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질환 관리 장치(10)는,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n electrode unit 120, a light emitting unit 130, a light receiving unit 140, and an ultrasound generator. (150), it may include an ultrasonic receiver 160, a communication unit 170, a battery 180, a memory 190, and a processor 200.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FIG. 1, or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omitted.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wearable form such as a band, patch, or ear clip,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implanted into the body.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may be attached to the user's body, as shown in FIG. 3 .

전극부(120)는 기판(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전극부(120)는 후술하는 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극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미세 전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미세 전류의 전압은 수mV~수kV일 수 있고, 미세 전류의 interval은 1us~1sec일 수 있으며, duration은 1분~180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극부(120)는 전압이 3kV이고, interval이 20ms이고, duration이 15분인 미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전극부(120)는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질환을 개선한다는 것은 질환에 의한 증상 및 통증을 완화하거나, 질환을 치료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기하는 질환은 대사성 질환, 내분비 질환, 만성 질환, 심뇌혈관 질환, 감염성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20)는 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검체에 대한 신호(이하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체 신호를 프로세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체 신호는 전류, 전압, 임피던스, 주파수 및 공진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에 대한 정보는 저항, 임피던스, 임피던스 스펙트럼, Magnitude, Phase, 커패시턴스, 인덕턴스, 전자파 임피던스 및 유전율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체는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단백질, 미네랄, 케톤 및 락테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10 .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in contact with or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The electrode unit 12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a micro curr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oltage of the microcurrent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several mV to several kV, the interval of the microcurrent may be 1us to 1sec, and the duration may be 1 minute to 180 minutes. . By way of example, the electrode unit 120 may output a micro-current with a voltage of 3 kV, an interval of 20 ms, and a duration of 15 minutes. The electrode unit 120 may output an electric sign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 disease, or may output an electric signal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Here, improving a disease may mean relieving symptoms and pain caused by the disease or treating the disease. Diseases indicated in this example may include metabolic diseases, endocrine diseases, chronic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etc. The electrode unit 120 may detect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ample signal) for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from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00 and output the detected sample signal to the processor 20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ample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current, voltage, impedance, frequency, and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impedan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resistance, impedance, impedance spectrum, magnitude, phase, capacitance, inductance, electromagnetic wave impedance, and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amp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ood sugar, cholesterol, triglycerides, protein, minerals, ketones, and lactate.

전극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삽입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21)은 사용자의 신체(즉, 피부)에 정확하게 접촉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극(121)의 이탈에 따라 피부에 화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121)은 침습형 또는 비침습형일 수 있다. 침습형 전극은 사용자의 신체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침습형 전극은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침습형 전극은 건식 전극 또는 습식 전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침습형 전극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침습형 전극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비침습형 전극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사각형과 원형이 결합된 모양일 수 있다. 다만, 전극(121)의 모양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121)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121 provided to contact or be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The electrode 121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while accurately contacting or inserting into the user's body (i.e., the skin), thereby preventing burns, etc. from occurring on the skin due to separation of the electrode 121. there is. Electrodes 121 may be invasive or non-invasive. Invasive electrodes may be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user's body. Invasive electrode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needles or microneedles. Non-invasive electrodes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dry electrodes or wet electrodes. Non-invasive electrodes can be formed to contact the user's body. For example, non-invasive electrodes may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he cross-section of the non-invasive electrode may be triangular, square, circular, or a combination of square and circular. However, the shape of the electrode 1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electrode 1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전극부(12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부(120)는, 도 4c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부(120)는, 도 4d와 같이, 플랫형 전극(예: 건식 전극)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as shown in FIGS. 4A and 4B. Additionally,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microneedles, as shown in FIG. 4C. Additionally,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flat electrode (eg, a dry electrode), as shown in FIG. 4D.

전극(121)은 카본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의 경우 전도성이 우수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electrode 121 may be made of carbon nanotubes (CNTs) or graphene. Carbon nanotubes or graphene have excellent conductivity, so sample signals can be detected from the user's body more accurately.

전극(121)의 전체 또는 단부에는 효소층(122)이 형성될 수 있다. 효소층(122)은 효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효소는 사용자의 신체 내에 포함된 검체를 반응시켜 전기화학적 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효소는 GOx, GDH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효소층(122)은 전극(121)이 침습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극(121)의 전체 또는 단부에는 멤브레인(123)이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123)은 효소층(12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분석 대상에 포함된 검체가 효소와 반응할 수 있도록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 및 제한시킬 수 있다. 즉, 멤브레인(123)은 검체 외의 물질 또는 세포가 효소와 반응하지 않도록 검체 외의 물질 또는 세포를 배제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멤브레인(123)은 생체친화성, 검체선택성 및 제한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멤브레인(123)은 농도를 추정하고자 하는 검체에 대응되게 생체친화성(Biocompatibility) 정도를 조정하는 특성, 농도를 추정하고자 하는 검체만을 투과시키면서 투과되는 검체의 농도를 조정하는 검체선택성, 및 농도를 추정하고자 하는 검체 외의 특정 검체들이 투과되지 않도록 제한시키면서 그 제한 정도를 조정하는 제한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123)은 친수성 고분자 물질과 소수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21)의 영역 중 분석 대상에 접촉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절연층(124)이 형성될 수 있다.An enzyme layer 122 may be formed on the entire or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121. The enzyme layer 122 may include an enzyme, and the enzyme may induce an electrochemical action by reacting a sample contained in the user's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zyme may consist of GOx, GDH, etc. The enzyme layer 122 can be formed only when the electrode 121 is implemented in an invasive manner. A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the entire electrode 121 or at an end.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top of the enzyme layer 122 and may selectively transmit and restrict substances so that the sample included in the analysis object can react with the enzyme. In other words, the membrane 123 can exclude or block substances or cells other than the sample so that they do not react with the enzyme.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membrane 123 may utilize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biocompatibility, sample selectivity, and restriction. More specifically, the membrane 123 has characteristics that adjust the degree of biocompatibility to correspond to the sample whose concentration is to be estimated, sample selectivity that allows only the sample whose concentration is to be estimated while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transmitted s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 limitation that limits the penetration of specific specimens other than the specimen whose concentration is to be estimated while adjusting the degree of limitation. This membrane 123 may include a hydrophilic polymer material and a hydrophobic polymer material. An insulating layer 124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electrode 121 exclud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nalysis target.

한편, 전극(121)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복수의 전극(121)에 멤브레인(123)이 형성되는 경우, 각 전극(121)에 형성되는 멤브레인(123)의 형상 및 크기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멤브레인(123)의 형상과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적혈구의 탄성, 밀도 등의 변화를 임피던스로 측정하는 경우에서 방해종들을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s 121 ar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membrane 123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shape and size of the membrane 123 formed on each electrode 12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interfering species by adjust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membrane 123, for example, when measuring changes in the elasticity and density of red blood cells using impedance.

도 5a는 전극에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는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효소층(122)은 전극(121)을 감싸는 형태로 전극(121)의 상부(외측)에 적층되고, 멤브레인(123)은 효소층(122)을 감싸는 형태로 효소층(122)의 상부(외측)에 적층될 수 있다. 도 5b는 전극(121)에 효소층(122), 멤브레인(123) 및 절연층(124)이 형성된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절연층(124)은 멤브레인(123)의 상부 중 일부 영역(첨두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절연층(124)이 멤브레인(123)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멤브레인(123)이 전극의 첨두 부분에만 형성되는 경우 절연층(124)은 효소층(122) 또는 전극(1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Figure 5a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ase where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are formed on the electrode. Referring to Figure 5a, the enzyme layer 122 is laminated on the top (outside) of the electrode 121 in a form surrounding the electrode 121, and the membrane 123 is lamina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nzyme layer 122, forming an enzyme layer ( 122) can be laminated on the top (outside). Figure 5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n enzyme layer 122, a membrane 123, and an insulating layer 124 are formed on the electrode 121. Referring to FIG. 5B, the insulating layer 124 may be laminated o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embrane 123 (excluding the peak portion).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 124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top of the membrane 123, but when the membrane 123 is formed only at the tip of the electrode, the insulating layer 124 is formed on the enzyme layer 122.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electrode 121.

전극부(120)는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는 침습형 전극이고, 나머지는 비침습형 전극일 수 있다. 즉, 전극부(120)는 침습형 전극과 비침습형 전극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20)의 형태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121) 모두가 침습형 전극이거나 비침습형 전극일 수도 있다. 비침습형 전극은 효소가 형성된 침습형 전극에 비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비침습형 전극은 효소가 형성됨에 따라 전극에 대한 개별적인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침습형 전극과 달리,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한편, 침습형 전극은 검체의 농도 검출에 이용 시 비침습형 전극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검체의 농도 측정 시 침습형 전극과 비침습형 전극을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침습형 전극의 장점과 침습형 전극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may be invasive electrodes and others may be non-invasive electrodes. That is,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both invasive electrodes and non-invasive electrodes. The shape of the electrode unit 1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invasive electrodes or non-invasive electrodes. Non-invasive electrod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semi-permanently compared to invasive electrodes formed with enzymes. In addition, non-invasive electrodes have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calibration, unlike invasive electrodes that require individual calibration of the electrode as enzymes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invasive electrodes have the advantage of higher accuracy compared to non-invasive electrodes when used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invasive electrodes and non-invasive electrodes in combination when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and thus can have both the advantages of non-invasive electrodes and the advantages of invasive electrodes.

전극부(120)가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효소층(122)은 복수의 전극(121)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에만 효소층(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부(120)는 효소층(122)이 형성된 전극(121)과 효소층(122)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121)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효소층(122)은 침습형 전극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enzyme layer 122 may be formed on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enzyme layer 122 may be formed only on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In this case, the electrode portion 120 includes the electrode 121 on which the enzyme layer 122 is formed and the electrode on which the enzyme layer 122 is not formed. It can include all (121). The enzyme layer 122 may be formed on an invasive electrode.

전극부(120)가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멤브레인(123)은 복수의 전극(121)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에만 멤브레인(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부(120)는 멤브레인(123)이 형성된 전극(121)과 멤브레인(123)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121)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123)은 효소층(122)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효소층(122)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는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고, 일부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b는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고, 일부에는 효소층(122)만이 형성된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c는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고, 일부에는 멤브레인(123)만이 형성된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In this case, the electrode portion 120 includes an electrode 121 on which the membrane 123 is formed and an electrode 121 on which the membrane 123 is not formed. It can include everyone.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enzyme layer 122, or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enzyme layer 122. Figure 6a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are form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and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are not form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6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are form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and only the enzyme layer 122 is form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and Figure 6c show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is is an example showing a case where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are formed in some of them, and only the membrane 123 is formed in some of them.

예를 들어, 전극부(120)가 4개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4개의 전극(121) 중 3개는 침습형 전극이고, 나머지 1개는 비침습형 전극일 수 있다. 이때, 3개의 침습형 전극 중 하나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효소층(122)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을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의 전극(121)을 포함하도록 전극부(12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극부(120)에 포함된 서로 다른 형태의 전극(121)을 통해 검출되는 정보들은 프로세서(200)에 의해 비교될 수 있으며, 그 비교 결과에 대한 정보는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 또는 검체 신호들로부터 산출되는 검체의 농도를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수의 형태 차이가 있는 전극(121)들을 이용함으로써 검체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체 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검체에 대응되게 농도 추정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four electrodes 121, three of the four electrodes 121 may be invasive electrodes and the remaining one may be a non-invasive electrode. At this time, one of the three invasive electrodes includes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the other includes only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remaining one includes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It may not include everything.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unit 12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electrodes 121 of different shapes, and thus various signals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s body.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different types of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compared by the processor 200, and information on the comparison result may be stored in the sample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It can be used to correc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calculated from a signal or sample signals.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more accurately by using electrodes 121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hapes, but als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sample concentration, and estimate the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e sample to be measured. errors can be corrected.

도 7을 참고하면, 전극부(120)는 제1 전극부(120-1) 및 제2 전극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120-1)와 제2 전극부(120-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120-1)와 제2 전극부(120-2)는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부(120-1)가 침습형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극부(120-2)는 비침습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극부(120-1)가 효소층(122)이 형성된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극부(120-2)는 효소층(122)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부(120-1)가 멤브레인(123)이 형성된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극부(120-2)는 멤브레인(123)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1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전극부(120-2)는 전극(121)의 유형(침습형, 비침습형), 효소층(122) 형성 여부, 멤브레인(123) 형성 여부 및 절연층(124) 형성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전극부(120-1)와 다르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unit 120-1 and a second electrode unit 120-2.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2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electrode 121.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2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includes an invasiv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2 may include a non-invasiv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When it includes the electrode 121 on which the enzyme layer 122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0-2 may include the electrode 121 on which the enzyme layer 122 is not formed, and the first electrode portion ( When 120-1 includes the electrode 121 on which the membrane 123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0-2 may include the electrode 121 on which the membrane 123 is not formed.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2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de 121 (invasive type, non-invasive type), whether the enzyme layer 122 is formed, whether the membrane 123 is formed, and whether the insulating layer 124 is forme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electrode portion 120-1.

도 8a를 참고하면, 제1 전극부(120-1)에 포함된 전극(121)들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전극부(120-2)에 포함된 전극(121)들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고하면, 제1 전극부(120-1)에 포함된 전극들 중 일부에는 효소층(122) 및 멤브레인(123)이 형성될 수 있으나, 나머지에는 효소층(1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극(121)에 멤브레인(123)이 형성되는 경우, 멤브레인(123)은, 도 8b와 같이, 복수의 전극(121)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c와 같이, 복수의 전극(121)을 동시에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 형성된 전극 그룹과 멤브레인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 그룹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검체의 농도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각 그룹을 통해 측정되는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방해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체 농도 추정 시 방해종에 대한 정보를 통해 방해종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검체 농도 추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but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may not be formed on the included electrodes 121. Meanwhile, referring to FIG. 8b, the enzyme layer 122 and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some of the electrodes included in the first electrode unit 120-1, but the enzyme layer 122 may be formed on the rest. It may not work. Meanwhile, when the membrane 123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membrane 123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as shown in FIG. 8B, or may be form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s shown in FIG. 8C. It may also be formed in a form that covers (121)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more accurately b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by using a combination of an electrode group with a membrane and an electrode group without a membrane, and by comparing the signals measured through each group. You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nuisance specie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sample concentration estimation results by performing correction for interfering species through information on interfering species when estimating sample concentration.

발광부(130)는 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30)는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기판(110)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광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광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30 may output an opt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00.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3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generates light. The light emitting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10 to face the user's body. The light emitting unit 130 may output an optical sign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 disease or may output an optical signal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광수신부(14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 신호를 프로세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수신부(140)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140)는 필요에 따라 수신된 광 신호를 변환(예: 분광)할 수 있다. 광수신부(140)는 기판(110)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er 140 may receive an optical signal reflected from the user's body and output the received optical signal to the processor 200. 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may include a photo diode. The light receiver 140 may convert (e.g., spectrally) the received optical signal as needed.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10 to face the user's body.

초음파발생부(150)는 프로세서(2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발생부(150)는 초음파 트랜스듀서(transducers)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150)는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초음파발생부(150)는 기판(110)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output an ultrasonic signal to the user's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00. For example,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include ultrasonic transducers. The ultrasound generator 150 may output an ultrasound sign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 disease or may output an ultrasound signal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10 to face the user's body.

초음파수신부(16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프로세서(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수신부(16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수신부(160)는 필요에 따라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초음파수신부(160)는 기판(110)의 하부에 사용자의 신체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ltrasonic receiver 160 may receive an ultrasonic signal reflected from the user's body and output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 to the processor 200. For example, the ultrasonic receiver 16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The ultrasonic receiver 160 can convert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 as needed. The ultrasonic receiver 1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10 to face the user's body.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70)는 프로세서(200)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기판(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NFC, RFID, Bluetooth, Long Rang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processor 200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ircuit.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bstrate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NFC, RFID, Bluetooth, Long Range, etc.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배터리(180)는 전극부(120), 발광부(130), 광수신부(140), 초음파발생부(150), 초음파수신부(160), 통신부(170) 및 프로세서(200)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80)는 무선 충전 방식 및/또는 유선 충전 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180)는 기반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180 provides the power required to operate the electrode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he light receiver 140,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the ultrasonic receiver 160,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processor 200. can be supplied. The battery 180 may be charged using a wireless charging method and/or a wired charging method. The battery 1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se.

메모리(190)에는 프로세서(2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0)에는 프로세서(2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산출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90)는 기판(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memory 19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200. Additionally, the memory 19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calcul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200. The memory 1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bstrate 110 .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 발광부(130), 광수신부(140), 초음파발생부(150), 초음파수신부(160), 통신부(170) 및 메모리(190)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SoC(System on Chip)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00)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19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고, 그 실행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19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기판(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the ultrasonic generation unit 150,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60,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the memory 190. You can. The processo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system on chip (SoC), and runs an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to run the processor.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connected to 200 can be controlled,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90 is executed, and the execution resul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 190). The processor 2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ubstrate 110.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 발광부(130) 및 초음파발생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기하는 자극 패턴은 일련의 자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극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극 패턴은 해당 질환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거나, 발광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광 신호를 출력하거나, 초음파발생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거나, 전극부(120), 발광부(130) 및 초음파발생부(150) 중 2개 이상의 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함으로써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외에도 열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질환 관리 장치(10)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 stimulation pattern for improving a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nd the ultrasound generator 150. The stimulation pattern indicat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a series of stimulation and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stimulation, and this stimulation pattern may be a signal set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dise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or outputs light to the user's body to improve the disease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Output a signal, output an ultrasonic signal to improve a disease in the user's body through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or use two or more of the electrode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The unit can simultaneously output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to improve the disease.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improve the disease by outputting at least one of an electrical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und signal to the user's body.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rmal signals in addition to electrical signals, optical signals, and ultrasonic signals, and in this case,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may include a heating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hea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전기 신호의 전압, 전류,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라 전기 신호의 크기, 주기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the processor 200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and calculates at least one of the voltage, current, cycle, and du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You can control it. The processor 200 can improve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by adaptivel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ize, period, and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90)에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전기 신호의 특성에 대한 관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관계 정보로부터 검체의 농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의 특성을 검출함으로써 전극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전기 신호의 특성(전압, 전류, 주기, 지속시간 및 파형 등)이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를 참고하여 전기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190 may store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and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the sample's characteristics from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By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 (voltage, current, cycle, duration, waveform, etc.)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can be set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memory 190, and the processor 200 stores the memory 190 in the memory 190. You can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 by referring to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0.1~2MHz인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0.1~2MHz일 수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는 질환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전기 신호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of 0.1 to 2 MHz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hat is,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0.1 to 2 MHz, and this frequency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ease improvement effec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electrical signal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0)가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전극(12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전극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121) 모두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121)을 통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각 전극(121)을 통해 동일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각 전극(121)을 통해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120)가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제1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전기 신호와 전압, 전류, 주기, 지속시간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기 신호를 제2 전극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at is,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using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120, or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included in the electrode unit 120. You can als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using 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the same electrical signal through each electrode 121, and may output the same electrical signal through each electrode 121. Other electrical signals can also be output. 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period, duration, and waveform. Other electrical signals can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이용하여 자극을 출력함과 동시에 전극부(120)를 이용하여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전극부(120)가 제1 및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제1 및 제2 전극 각각 또는 모두를 통해 자극을 출력하는 작업과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작업(즉, 검체 신호를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제1 및 제2 전극 모두를 통해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출력한 이후, 제1 및 제2 전극 모두를 통해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200)는 제1 전극을 통해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출력하고, 제2 전극을 통해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의 출력 작업과,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검체 신호를 검출하는 작업을 전극부(120)를 통해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can output stimulation using the electrode unit 120 and simultaneousl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using the electrode unit 120.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air of electrodes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processor 200 outputs stimulation through each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he task (i.e., detecting the sample signal)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outputs a stimulus to improve the disease through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n detects a sample signal for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hrough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You can.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 stimulus to improve a disease through a first electrode and detect a sample signal for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hrough a second electrode.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operation of outputting a stimulus to improve a disease and the operation of detecting a sample signal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광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광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라 광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200 outputs an optical signal, the processor 200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selects the wavelength, period, and duration of the opt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You can control at least one. The processor 200 can improve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by adaptivel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wavelength, period, and duration of the optic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90)에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광 신호의 특성에 대한 관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관계 정보로부터 검체의 농도에 대응하는 광 신호의 특성을 검출함으로써 발광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광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광 신호의 특성(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를 참고하여 광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190 may store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the sample size from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By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ignal (wavelength, period, duration, etc.)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can be preset and stored in the memory 190, and the processor 200 refers to the memory 190 to determine the optical sig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발광부(130)를 통해 가시광 및 적외선에 대응하는 파장 대역의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신호의 파장은 400~1300nm일 수 있으며, 이러한 파장은 질환 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광 신호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n optical signal in a wavelength band corresponding to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For example, the wavelength of the optical signal may be 400 to 1300 nm, and this wavelength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ease improvement effec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optical signal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초음파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라 초음파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200 outputs an ultrasonic signal, the processor 200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selects the wavelength, period, and duration of the ultrasonic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You can control at least one. The processor 200 can improve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by adaptivel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wavelength, cycle, and duration of the ultra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90)에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초음파 신호의 특성에 대한 관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관계 정보로부터 검체의 농도에 대응하는 초음파 신호의 특성을 검출함으로써 초음파발생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초음파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른 초음파 신호의 특성(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를 참고하여 초음파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190 may store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signa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the sample size from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By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trason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trasonic signal output through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can b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trasound signal (wavelength, cycle, duration, etc.)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can be preset and stored in the memory 190, and the processor 200 refers to the memory 190 and performs the ultrasound sig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추정된 검체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 stimulus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whe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outside a preset setting range. That is, the processor 200 outputs at least one of an electric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to the user's body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is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e.g.,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 광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광 신호, 및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검출되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출력하는 동시에,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에 기반하여 자극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is configured to use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an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140, and an ultrason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ltrasonic receiver 160. Based on this, the concentration of samples related to the disease can be estimated. That is, the processor 200 ma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using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und signal related to the disease detected from the user's body.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timulus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stimulus based 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thereby improving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검체의 농도에 대한 관계 정보가 학습된 농도 추정 모델이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농도 추정 모델에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 광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광 신호,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함으로써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검체의 농도 간의 상관 관계를 딥러닝 또는 기계학습 등을 통해 미리 학습시켜 농도 추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농도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 광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광 신호,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검체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도 추정 모델이 검체별로 메모리(1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 추정 시 해당 검체에 대응하는 농도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임피던스와 검체의 농도는 상관성을 가지며, 프로세서(200)는 이러한 상관성을 이용하여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in which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is learne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0, and the processor 2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0. By applying at least one of the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he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140, and the ultrason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ltrasonic receiver 160 to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stored in 190.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estimated. A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can be created by learning in advance the correl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pecimen signal, optical signal, and ultrasonic signa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pecimen through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and the processor 200 uses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to generate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he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140, and the ultrason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ltrasonic receiver 160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0 for each sample, and the processor 200 ma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using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sample when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You can. As shown in Figure 9, the impedanc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have a correlation, and the processor 200 can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using this correl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메모리(190)에 저장된 농도 추정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와 검체의 농도 간의 상관 관계는 개인별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 데이터(즉, 전극부(120)를 통해 수집된 검체 신호, 광수신부(140)를 통해 수집된 광 신호,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수집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농도 추정 모델을 추가적으로 학습시킴으로써 농도 추정 모델을 사용자에 맞게 최적화하여 보다 정확하게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collects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and estimates the concentr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lected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The model can be calib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und signa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may vary for each individu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personal data (i.e., sample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optical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140, ultrasonic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ultrasonic receiver 160)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By additionally learning the estimation model, the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can be optimized for the user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200)가 검체 신호, 광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농도에 기반하여 질환 관리 장치(10)를 통해 출력되는 자극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질환과 관련된 정보 또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질환 관리 장치(10)를 통해 출력되는 자극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using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an optical signal, and an ultrasound signal, and uses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control of the output stimulus is perform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ease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Control of output stimuli can also be achiev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검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전극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압, 전류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사용자의 신체로 대상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전원의 인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전극부(12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미리 설정된 대역에서 주파수를 변경시키면서 사용자의 신체로 교류 전원을 인가하고, 교류 전원의 인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전극부(12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는 스펙트럼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0)는 전기 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검출하고, 검출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검체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검체의 농도를 추정함으로써 빠르게 사용자의 상태 이상(예: 저혈당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부정확하게 검체의 농도가 추정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예: 착오 알람 등)를 해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미리 설정된 신호를 사용자의 신체로 인가하고, 해당 신호의 인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전극부(12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검체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o detect a sample sig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applies power to the user's body while changing the voltage, current, or frequency,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o generate a sample signal. It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applies AC power to the user's body while changing the frequency in a preset band, and detects a sample signal b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C power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You c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may be spectrum data.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detects the impedance spectrum of the user's body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uses the detected impedance spectrum as a sample signal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identify abnormalities in the user's condition (e.g., hypoglycemia, etc.) b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hrough impedance measurement, and solve problems that occur due to inaccuratel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e.g., error alarm, etc.). can be sol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detect a sample signal by applying a preset signal to the user's body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signal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0)가 복수의 전극(121)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검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하고, 나머지 전극(121)을 사용자의 신체로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즉, 검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극(121)과 사용자의 신체로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극(121)은 구분될 수 있다. 검체 신호를 위해 이용되는 전극(121)과 사용자의 신체로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극(121)이 구분되는 경우, 검체의 농도 추정 및 자극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극(121)을, 사용자의 신체로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he processor 200 uses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o detect a sample signal from the user's body, The remaining electrodes 121 can be used to output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That is, the electrode 121 used to detect a sample signal and the electrode 121 used to output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can be distinguished. When the electrode 121 used for sample signals and the electrode 121 used to output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are distinguished, concentration estimation of the sample and stimulation outpu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electrode 121 used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may be used to output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부(120)가 제1 내지 제4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제1 및 제2 전극이 포함된 제1 전극 그룹(120-1)을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하고, 제3 및 제4 전극이 포함된 제2 전극 그룹(120-2)을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극부(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121) 중 일부를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하고, 동시에 복수의 전극(121) 중 다른 일부를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함으로써 자극을 출력하는 작업과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200)는 내지 제4 전극 모두를 자극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하고, 그 이후에 제1 내지 제4 전극 모두를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electrode unit 120 includes first to fourth electrodes, the processor 200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group 120-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 can be used to output stimula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group 120-2 including the third and fourth electrode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uses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constituting the electrode unit 120 to output stimulation, and simultaneously uses other part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21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utputting a stimulus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Meanwhil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ocessor 200 uses all of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s to output stimulation, and then uses all of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s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t may be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발광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발광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광을 출력하고, 광수신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으로부터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수신된 광을 분광시키고, 분광된 광으로부터 라만 스펙트럼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0)는 라만 분광법(RS: 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Raman spectrum)을 검출하고, 검출된 라만 스펙트럼을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light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to detect an optical signal. The processor 200 outputs light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30,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user's body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40, and generate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from the received light. It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split received light and detect a Raman spectrum from the split light.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detect a Raman spectrum for the user's body using Raman spectroscopy (RS) and use the detected Raman spectrum a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amp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초음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초음파발생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초음파발생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로부터 검체에 대응하는 초음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ultrasonic waves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to detect ultrasonic signals. The processor 200 outputs ultrasound to the user's body through the ultrasound generator 150, receives ultrasound reflected from the user's body through the ultrasound receiver 160, and receives an ultra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from the received ultrasound. can be detec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는 심전도 및 맥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심전도 및 맥파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detect biosignals about the user's body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io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n electrocardiogram and a pulse wave.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detect at least one of the user's electrocardiogram and pulse wave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에 기반하여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심전도 및 맥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예: 두통, 배고픔, 경련, 실신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극부(120)를 통해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검체 신호에 기반하여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90)에는 사용자의 신체의 생체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에 관한 관계 정보가 학습된 상태 추정 모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상태 추정 모델에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생체 신호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심전도 및/또는 맥파에 기반하여 심박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 및/또는 맥파변이도(PRV: Pulse Rate Variability)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산출된 심박변이도 및/또는 맥파변이도를 상태 추정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심전도 및/또는 맥파와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 간의 상관 관계를 딥러닝 또는 기계학습 등을 통해 미리 학습시켜 상태 추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00)는 이러한 상태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특정 상황 발생 시에만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user's body based on the biological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and generates an event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based on the state of the user's body. It can occur.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e.g., headache, hunger, convulsions, fainting, etc.) has occurred in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cardiogram and pulse wav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user, A sample signal can be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detected sample sig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190 may store a state estimation model in which relationship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biosignals is learned, and the processor 200 stores the memory 190. The state of the user's body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bio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o the state estimation model stored in .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calculates at least on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or pulse rate variability (PRV) based on the electrocardiogram and/or pulse wave, and the calculat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Or, the state of the user's body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pulse wave variability to the state estimation model. T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cardiogram and/or pulse wave and the state of the user's body can be learned in advance through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to create a state estimation model, and the processor 200 uses this state estimation model to generate electrodes. The state of the user's bod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biosignal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unit 120.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generating an event that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nly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전극부(120)는 써멀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써멀 전극을 통해 분석 대상에 대한 온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body can be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hat is, the electrode unit 120 may include a thermal electrode, and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analysis targe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thermal electr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생체 신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생체 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o the user's or guardian's user terminal so that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dditionally, the processo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body's biosignals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biometric signals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m. Additionally, the processo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user's body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검체의 농도가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경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하인 경우 해당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하로 저하되었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상인 경우 해당 검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상으로 증가되었음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within a preset rang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not within the set range, the processor 200 sends a preset user messa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 warn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at i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the processor 200 can notify the user or guardia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has decreased below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the user or guardian can be notifi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has increased above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가 추정될 때마다 검체의 농도에 대한 추정값과, 해당 추정이 이루어진 시각을 메모리(19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190)에 저장된 추정값과 추정 시각을 토대로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ver time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Each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estimated, the processor 200 can store the estimated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nd the time at which the estimate was made in the memory 190, and can store the estimated value and the estimated time stored in the memory 190 in time.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calculated. The processo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ver time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에 기반하여 미래 시점에서 검체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 이후 시점에서 검체의 농도를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설정 시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단위 시간에 대한 검체의 농도 변화량(이하 검체의 농도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농도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 농도 변화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t a future point in time based on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ver time. 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fter a preset time and provide the predicted concentration to the user. The sett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can calculate the concentration change amount of the sample for a preset unit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mple concentration change rate) based on the sample concentration change amount over time, and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change rate and the preset concentration change rate. The set standard concentration change rate can be compared, and a warning signal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notify the user of this fac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suddenly increases or decreases.

일 실시예에 다르면, 프로세서(200)는 시간에 따른 검체의 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검체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경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calcul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to reach a preset set valu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sample over time, and the calculated time may be based on the preset standard. If it is less than the time, a warn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의 수치가 미리 설정된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미리 설정된 하한치 미만이거나, 전극부(120)를 통해 검체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전극부(12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이상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lectrode unit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exceeds a preset upper limit, is less than a preset lower limit, or if the sample sig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If not,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lectrode unit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he processor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o a prese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통신부(170)를 통해 관계 정보에 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반하여 메모리(190)에 저장된 관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후 임상적 유의성에 따라 질환에 효과적인 자극의 특성(예: 전기 신호의 주파수, 광 신호의 파장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환에 효과적인 자극의 특성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질환 관리 장치(10)를 통해 출력되는 자극의 특성이 변경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receive update information regarding relationship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nd update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based on the received update information. Depending on clinical significance, the characteristics of stimulation effective for disease (e.g., frequency of electrical signals, wavelength of optical signals, etc.) may change in the fu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a stimulus effective for a disease, an update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output through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are chan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0)는 검체의 농도를 추정한 내역, 및 자극을 출력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0)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질환과 관련 검체의 농도 측정 내역과 자극을 인가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details of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nd the details of the stimulu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at is, the processor 200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details of disease-related samples and the details of stimulation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m.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스 및 사용자의 신체의 상태를 판단하는 프로세스가 질환 관리 장치(10)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전술한 프로세스는 농도 추정 모델 또는 상태 추정 모델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외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관리 장치(10)는 해당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user's body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independently by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but the above-mentioned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concentration estimation model or state. It may also b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where the estimated model is stored. When this process is performed by an external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10 may transmit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the process to the external device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process from the external devic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검체 농도 추정 효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종래의 CGM(Continuous Glucose Monitor, 적색)의 경우 혈당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지연 시간(약 15분)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MGM, 보라색)의 경우 종래의 CGM보다 신속하게 혈당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저혈당의 경우 15분 정도면 인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신속하게 검체의 농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저혈당과 같이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는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estimating sample concentration of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0,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 red), there is a delay time (about 15 minutes) in checking changes in blood sugar.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MGM, purple) can confirm changes in blood sugar more quickly than the conventional CGM. In the case of hypoglycemia, i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uman body in about 15 minut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quickly confirmed, so i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user even in situations that require a rapid response, such as hypoglycemia.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의 치료 효과를 보인 예시도이다. 질환 관리 장치(10)를 착용한 경우 점차적으로 질환과 관련된 바이오마커(예: 혈당)의 수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질환 관리 장치(10)가 질환 환자에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treatment effect of a diseas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earing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biomarkers (e.g., blood sugar) related to the disease gradually decreases, and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is effective for disease patients.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10)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그 시계열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하는 과정 중 일부 과정은 후술하는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dise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Meanwhile,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time-series configuration. Some of the processes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order described later or may be omitted.

먼저,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S100).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를 통해 검출된 검체 신호, 광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광 신호, 및 초음파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First, the processor 200 can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a disease (S100). The processor 200 is related to the disea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120, the optic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140, and the ultrason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ltrasonic receiver 160.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estimated.

이어서, 프로세서(200)는 추정된 농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S200). 프로세서(200)는 전극부(120), 발광부(130) 및 초음파발생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에 따라 자극의 특성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a stimulation pattern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S200). The processor 200 may output stimulation to improve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120, the light emitting unit 130, and the ultrasound generator 150. The processor 200 can effectively improve the disease by adaptivel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u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로 다양한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질환과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에 기반하여 자극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은 패치, 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장치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isease by applying various stimuli to the user's body. Additionally,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isease more effectively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stimulation based 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device by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atch, band, etc.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method or process, device, software program, data stream, or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devices or programs).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device such as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질환 관리 장치 110: 기판
120: 전극부 121: 전극
122: 효소층 123: 멤브레인
124: 절연층 130: 발광부
140: 광수신부 150: 초음파발생부
160: 초음파수신부 170: 통신부
180: 배터리 190: 메모리
200: 프로세서
10: Disease management device 110: Substrate
120: electrode part 121: electrode
122: enzyme layer 123: membrane
124: insulating layer 130: light emitting unit
140: Light receiver 150: Ultrasound generator
160: Ultrasonic receiver 170: Communication unit
180: Battery 190: Memory
200: processor

Claims (9)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또는 삽입되어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n electrode unit that is contacted or inserted into the user's body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ocessor that outputs a stimulation pattern to improve a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the electrode unit;
A diseas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 신호의 전압, 전류,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diseas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cycle, and du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processor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해 검출되는 검체 신호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검출되는 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It further includes a light receiver that detect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The processor detects a sampl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ample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using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an optical signal det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A diseas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광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 및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상기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light emitting unit that outputs an optical signal to the user's body;
It further includes,
The processor is a diseas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processor outputs a stimulation pattern for improving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 신호의 파장, 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When 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The processo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wavelength, cycle, and duration of the optical sig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질환에 관련된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검체의 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광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processor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related to the diseas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optical signal based on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he samp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광 신호를 검출하는 광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검체에 대응하는 검체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극부를 통해 검출되는 검체 신호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검출되는 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검체의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It further includes a light receiver that detects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men,
The processor detects a sampl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ample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estim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using at least one of a sampl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and an optical signal det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A diseas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극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 상기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자극 패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outputs an ultrasonic signal to the user's body;
It further includes,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utput a stimulation pattern for improving the disease to the user's body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ultrasound generator.
KR1020220143087A 2022-10-31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KR202400655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87A KR20240065524A (en) 2022-10-31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87A KR20240065524A (en) 2022-10-31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524A true KR20240065524A (en) 2024-05-14

Family

ID=9107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087A KR20240065524A (en) 2022-10-31 2022-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55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577B2 (en) Electrode arrays for biological monitoring and equipment containing or utilizing the same
US20160166187A1 (en)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metabolite levels
JP6087819B2 (en) Single fully integrated handheld device
RU2532498C2 (en) Device for non-invasive glucose measurement
JP2017538474A (en) Server apparatus and wearable device for blood glucose monitoring, and related method
KR101280449B1 (en) Glove type multi purpose electric needle capable of automatical acupuncturing based on pulse diagnosic
Hassan et al. Low cost and flexible sensor system for non-invasive glucose in-situ measurement
TW201119698A (en) Sleep assistant system
KR20210020941A (en) Method for detecting the amount of NO produced by a subjec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400655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seases
US20140228654A1 (en)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
KR202400655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alyte concentration
US20200352482A1 (en) Device for non-invasively measuring glucose concentration
KR20210091559A (en) Blood pressure an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arable device
KR20170040918A (en) Bio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KR1015048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marker using bio-electricity
WO2023286254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US20210196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sis risk evaluation
EP4193916A1 (en) Noninvasive medical diagnostics using electrical impedance metrics and clinical predictors
EP4349245A1 (en) Writing instrument for measuring skin conductanc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assonville et al. Implementation of new dry electrodes an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Ag/AgCl electrodes for whole body electrical bioimpedance application
KR102013495B1 (en) Sensor for bio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7370704U (en) Wisdom electronics medicine device
US20130261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diagnostic of mammals
Venkatesan et al. Investigation and Validation of Non 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