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5093A -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Google Patents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5093A
KR20240065093A KR1020247009393A KR20247009393A KR20240065093A KR 20240065093 A KR20240065093 A KR 20240065093A KR 1020247009393 A KR1020247009393 A KR 1020247009393A KR 20247009393 A KR20247009393 A KR 20247009393A KR 20240065093 A KR20240065093 A KR 2024006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interest
geoloc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올리비에 이쏭
르노 마티
Original Assignee
유나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비즈 filed Critical 유나비즈
Publication of KR2024006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50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01S5/02524Creating or updating the radio-map
    • G01S5/02525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 G01S5/02526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using non-dedicated equipment, e.g. user equipment or crowd-sour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63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s derived from two or more separate position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과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 사이의 협력뿐만 아니라 단말기들(20)의 동작 모드의 제어에 기반한다. 단말기(20, 20i)가 제1 동작 모드로 구성될 때, 그것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102)할 수 있게 한다.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추정된 위치들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103)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어서, 일단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단말기(20i)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104)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보다 더 정확하지만, 단말기(20)에 대해 더 많은 전력 소비 및/또는 라디오 리소스들을 요구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100) for geolocating a terminal (20i) by an access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invention is based on control of the operating mode of the terminals 20 as well as coope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olocation methods. When the terminal 20, 20i is configured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t allows the access network to estimate 102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The locations estimat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re used to train (103)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Then, once the algorithm has been trained, it becomes possible to estimate (104)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20i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but requires more power consumption and/or radio resources for the terminal 20.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2개의 방법들 사이의 협력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geolocate)하는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특히, IOT(사물 인터넷) 또는 M2M(기계 간(Machine-to-Machine)) 유형 연결 객체들의 지오로케이션에 잘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field of geolocating terminal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well applied to the geolocation of IOT (Internet of Things) or M2M (Machine-to-Machine) type connected objects.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많은 솔루션들이 존재한다.Currently, many solutions exist for obta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terminal in an access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예컨대, 단말기에는, 단말기가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GPS(전역 위치결정 시스템) 수신기가 내장될 수 있다. 단말기는 이어서, 이러한 지리적 위치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위성 지오로케이션이 특히 정확하지만, 위성 지오로케이션은 복수의 단점들, 특히, 객체에 GPS 수신기를 통합하고 사용하는 것에 수반되는 비용 및 전력 소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또한 단말기의 전력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가 처리량 및 전력 소비에 대한 상당한 제약들로 인해 가능한 한 짧아야 하는 IoT 또는 M2M 유형 통신 시스템에 대해 특히 그러하다. 게다가, GPS 유형 위성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은 폐쇄되거나 가려진 영역들에서(예컨대, 격납고들, 건물들, 또는 울창한 숲 영역들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 비들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답 비"는, 위치를 결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횟수와 관련하여 위치가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었던 횟수 사이의 비를 의미한다.For example, a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that allows the terminal to determine its geographic location. The terminal may then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is geographic location to the access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though satellite geolocation is particularly accurate, it is subject to a number of drawbacks, particularly the cost and power consumption involved in integrating and using a GPS receiver on the object. Additionally, sending messages conta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access network also negatively affec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This is especially true for IoT or M2M type communication systems where message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must be as short as possible due to significant constraints on throughput and power consumption. Additionally, GPS type satellite geolocation methods are known to have relatively low response ratios in closed or obscured areas (eg, hangars, buildings, or dense forest areas). “Response ratio” means the ratio between the number of times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a location relative to the number of times the location could be effectively determined.

송신기 디바이스(예컨대, WiFi 또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와 송신기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사이의 연관이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이 또한 존재한다. 그러한 방법에서, 단말기는 송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검출한다(식별자는, 예컨대, 비컨 신호 상에서 송신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 내에 포함됨). 단말기는 이어서, 검출된 식별자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후속하여, 송신기 디바이스들의 식별자들과 그들 개개의 지리적 위치들 사이의 연관이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오로케이션 서버에 질의할 수 있다. 지오로케이션 서버는 이어서, 상기 송신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이어서, 이러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는 단말기의 추정 지리적 위치에 대응한다.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는 가능하게는, 단말기에 의해 비컨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에 따라 정교화될 수 있다. 단말기가 식별자들을 검출한 복수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들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은 여기서 다시, 비컨 신호들을 청취하고 검출된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들의 식별자들을 송신하기 위해 단말기들의 상당한 전력 소비를 수반한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인구 및/또는 경제 활동의 밀도가 낮은 영역들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 비들을 갖는다.Geolocation methods also exist based on databases in which an association is made between the identifier of a transmitter device (eg, a WiFi or Bluetooth access point) and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ransmitter device. In such a method, the terminal detects the identifier of the transmitter device (the identifier is included in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device, eg, on a beacon signal). The terminal may then transmit the detected identifier to the access network. The access network can subsequently query the geolocation server, which contains a database with a table where associations are made between the identifiers of the transmitter devices and their respective geographic locations. The geolocation server may then determine the geographic location associated with the transmitter device and then transmit this information to the access network.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ransmitter device corresponds to the estimated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may possibly be refined according to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s for which the terminal has detected identifiers. Nevertheless, these geolocation methods here again involve significant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s for listening to beacon signals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ers of detected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s. Moreover, these methods generally have relatively low response ratios in areas with low densities of population and/or economic activity.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고 액세스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들에 따라 추정하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그러한 프로비전(provision)들은 특히, 단말기 측 상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단말기를 단순화함으로써 단말기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실제로, 더 이상 단말기에 GPS 수신기 또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합할 필요가 없음).In an access network, it is also known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message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nd received by one or more base stations of the access network. Such provisions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by saving energy on the terminal side and by simplifying the terminal (in fact,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integrate a GPS receiver or a WiFi or Bluetooth module into the terminal) ).

예컨대, 대체적으로 알려진 지리적 위치들의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동일한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는,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메시지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자들을 비교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파라미터들(장애물들, 다수의 트립(trip)들 등)이 기지국에 의한 메시지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와 같이 추정된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가 항상 매우 정확하지는 않다.For example, when the same message is received by multiple base stations of generally known geographic locations,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s (RSSI) of the messag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there is. Nevertheless, many parameters (obstacles, multiple trips, etc.) may influence the signal strength indicator of the reception of a message by a base station and, thus,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so estimated. is not always very accurate.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는 또한, 다양한 기지국들에 대한 메시지의 도달 시간(TOA) 및/또는 도달 주파수(FOA)를 비교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기지국들을 서로 동기화하는 것을 수반하며,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정확도는 기지국들이 동기화되는 정확도에 의존한다. IoT 및/또는 M2M 유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기지국들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동기화를 구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것이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조하는 복잡도 및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이다.The geographic location of a terminal can also be estimated by comparing the time of arrival (TOA) and/or frequency of arrival (FOA) of the message to various base stations. Nonetheless, this involves synchronizing the base stations with each other in time and/or frequency, and the accuracy of estimating geographic location depends on the accuracy with which the base stations are synchronized. For IoT and/or M2M type applications, it is generally undesirable to implement precise synchronization of base stations to each other, since this would increase the complexity and cost of manufacturing the access network.

다른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은 기계 학습 기법들에 기반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는, 교정 단계 동안, 시스템의 기지국들의 세트에 대한 알려진 위치에서 단말기에 대해 측정된 RSSI 모두에 대응하는 라디오 시그니처를 알려진 지리적 위치들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수반한다. 후속하여, 탐색 단계 동안, 가장 유사한 시그니처(들)에 대응하는 위치(들)로부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알려진 위치에 로케이팅된 단말기에 대해 관측된 라디오 시그니처가 데이터베이스의 시그니처들 모두와 비교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지오로케이션 정확도의 부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커버될 지리적 영역이 방대한 경우에, 그 방법들은 복잡도(용량 및 컴퓨팅 시간)의 관점에서 꽤 상당한 제약들을 갖는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정 단계를 규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Other geolocation methods are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pecifically, this involves building a database that, during the calibration phase, associates radio signatures corresponding to all of the measured RSSIs for terminals at known locations for a set of base stations in the system with known geographic locations. Subsequently, during the discovery phase, the observed radio signature for a terminal located at a known location is compared with all of the signatures in the databas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location(s) corresponding to the most similar signature(s). do. Nevertheless, these methods are generally affected by a lack of geolocation accuracy, and especially when the geographical area to be covered is vast, they have quite significant limitations in terms of complexity (capacity and computing time).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calibration steps regularly to keep the database up to date.

특허 출원들 제US2022/053285A1호, 제US2018/279251A1호, 및 제US2018/372854A1호는 각각 라디오 시그니처로부터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기계 학습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러한 문헌들은 또한, 이것이 다른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는 교정 단계를 요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Patent applications US2022/053285A1, US2018/279251A1, and US2018/372854A1 each describe using a geolocation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to determine geographic location from radio signatures. These documents also demonstrate that this requires a calibration step using different geolocation methods.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상이한 장점들 및 단점들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협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들, 특히 위에 기재된 것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해결하는 것이다.The ai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prior art, in particular some or all of those listed above, by proposing a solution that allows two different geolocation methods, each with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cooperate.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리고 제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관심 단말기"로 지칭되는 단말기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and 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e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geolocating a terminal, referred to as a “terminal of interes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y an access network of sai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criteria for caus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 관심 단말기로부터 오고 가능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단말기들로부터 오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으로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각의 메시지는 제1 유형을 갖고,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됨 ―,-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ssages coming from a terminal of interest and possibly from other terminal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d by the access network, estimating, by a first geolocation metho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 Each message of the plurality of messages has a first type and is sent when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is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단계 ―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도록 훈련됨 ―,- train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a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where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not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Trained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terminal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when not -,

- 일단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관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관심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trained, estim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본 발명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과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 사이의 협력뿐만 아니라 단말기들의 동작 모드의 제어에 기반한다.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로 구성될 때, 그것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특히, 지오로케이션 서버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예컨대, WiFi 또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들)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고 이어서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 고도계, 온도 또는 압력 센서 등)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을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신호의 도달 시간 및/또는 주파수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명시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단말기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따른 TOA 및/또는 FOA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The invention is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geolocation method as well as control of the operating mode of the terminals. When the terminal is configured for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t allows the access network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may be based, in particular, on determ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one or more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s (eg WiFi or Bluetooth access points) detected by the terminal, using a geolocation server. Nonetheless, other geolocation methods may be implemented as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may be determined by the terminal using a receiver of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cc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measurements taken by the terminal using one or more sensors (such as an accelerometer, gyroscope, magnetometer, altimeter, temperature or pressure sensor) to enable the access network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explicitly transmit to the access network the arrival time and/or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based on TOA and/or FOA according to measurements taken by the terminal). geolocation method).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추정된 위치들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어서, 일단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locations estimat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re used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Subsequently, once the algorithm is trained, it becomes possi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보다 더 정확하다. 그러나,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일반적으로 단말기들에 대해 더 높은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실제로,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요망되는 단말기로부터 오는 수신된 임의의 메시지와 연관된 메타데이터에 기반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형성한다. 시그니처는, 예컨대, 액세스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특징(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메시지가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을 포함한다. 시그니처는, 예컨대, 다양한 기지국들에 연결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서버에 의해 결정된다. 그때,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대해, 지오로케이션에 특정적인 어떠한 특정 동작도 단말기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다(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기반하는 메시지는 특히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목표 이외의 목표로 전송되었을 수 있고,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주요 목적을 갖지 않는 종래의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사실은 지오로케이션에 특정적인 동작으로 간주되지 않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단일 메시지는 복수의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이는,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generally more accurate than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However,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generally requires higher power consumption for terminals.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may in fact be based on metadata associated with any message received coming from the terminal for which it is desired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This metadata forms the signature of the message. The signature includes, for exampl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reception of the message by the base st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 an access network (eg,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message wa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The signature is determined, for example, by a server in the access network connected to the various base stations. Then, for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no specific action specific to geolocation is required by the terminal (messages on which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based are sent to targets other than those on which the terminal is geolocated in particular). (and the fact of sending a conventional message that does not have the primary purpose of geolocating a terminal is not considered a geolocation-specific operation). A single message transmitted by a terminal can be received by multiple base stations, making it possible to form a signature of the message.

지오로케이션 정확도와 전력 소비 사이의 절충이 반드시 2개의 지오로케이션 방법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선호하는 데 고려될 수 있는 유일한 절충은 아니라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예컨대, 응답 비, 라디오 리소스들의 사용 등과 같은 다른 기준들이 고려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rade-off between geolocation accuracy and power consumption is not necessarily the only trade-off that can be considered in favoring one or the other of the two geolocation methods. Other criteria may be considered, such as response ratio, use of radio resources, etc.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관심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가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또는 관심 단말기의 대략적인 위치로 충분한지 여부에 따라, 관심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필요성에 따라,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사용 가능성 여부에 따라,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킬 필요성 여부에 따라,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the first operating mode and/or exi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from the first operating mode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exac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is required or whether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is sufficient.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whether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available, whether there is a need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whether the terminal is moving. It can be defin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특정 구현들에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에 따라 취해지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taken alone or in any technically possible combinations.

특정 구현들에서, 제1 유형의 메시지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first type of message explicitly includes parameters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이는, 예컨대, 메시지가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를 코딩하는 비트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코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이는, 메시지가,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기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된 정보 항목을 메시지의 데이터 내에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for example, that the message comprises a set of bits that code the data carried by the message, and that at least one part of the bits codes a parameter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message includes within its data at least one encoded information item that contributes to determ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예컨대, 제1 방법이 다양한 기지국들에 대한 메시지의 도달 시간 및/또는 도달 주파수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한 측정에 기반하는 경우, 명시적 파라미터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Nevertheless,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may not require explicit parameters, for example if the first method is based on measurements by the access network of the arrival time and/or arrival frequency of the message to various base st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특정 구현들에서, 파라미터는,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에 의해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이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parameter is at least part of the identifier of the transmitter device detected by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송신기 디바이스는, 예컨대, WiFi 또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또는 RFID(라디오 주파수 식별) 태그에 대응한다.The transmitter device corresponds, for example, to a WiFi or Bluetooth access point, or to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하나의 변형에서, 파라미터는 또한, GPS 유형 위성 위치 시스템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결정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파라미터는 또한, 단말기의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추정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에 따르면, 파라미터는 또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 고도계, 온도 또는 압력 센서 등)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의 세트에 대응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또한,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신호의 도달 시간, 방향, 및/또는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단말기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따른 TOA 및/또는 FOA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In one variation, the parameters may also correspond to a geographic location determined by the terminal using a receiver of a GPS typ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variant, the parameter may also correspond to a geographic location estimated by the terminal using measurements taken by one or more sensor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variant, the parameter may also correspond to a set of measurements taken by the terminal using one or more sensors (accelerometer, gyroscope, magnetometer, altimeter, temperature or pressure sensor, etc.). The parameter may also correspond to the time of arrival, direction, and/or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geolocation method based on TOA and/or FOA according to measurements taken by the terminal).

특정 구현들에서, 제2 유형의 메시지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이는, 제2 유형의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에 인코딩된 어떠한 정보도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second type of message does not explicitly include information used by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any information encoded in the data carried by the second type of message is not used by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특정 구현들에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지리적 위치와 연관시키도록 훈련된다. 시그니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특징을 포함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trained to associate a message's signature with a geographic location. The signature includ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 an access network,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reception of the message by that base station.

특정 구현들에서, 기지국에 의한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상기 특징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의 측정이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characteristic associated with the reception of a message by a base station is a measurement of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특정 구현들에서, 제2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은,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보다 더 적은 라디오 리소스들 및/또는 더 적은 관심 단말기에 대한 전기 에너지를 요구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ransmission of the second type of message requires fewer radio resources and/or less electrical energy for the terminal of interest than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특정 구현들에서, 기준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들에 따라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해 관심 단말기에 의해 저장된 구성에 의해 정의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criterion is defined by a configuration stor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for entering and/or exiting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periods of time.

특정 구현들에서,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관심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에 의존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criteria for causing a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a first mode of operation depend on an indication provided by a sensor of the terminal of interest.

특정 구현들에서, 표시는 다음과 관련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indication relates to:

- 관심 단말기의 이동성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 및/또는- Start or end of the mobility phase of the terminal of interest, and/or

- 센서에 의해 취해진 측정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작다는 사실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경고, 및/또는- Alerts triggered by the fact that a measurement taken by a sensor is greater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or

- 제1 유형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것의 불가능성의 검출.- Detection of the impossibility of forming a message of the first type.

특정 구현들에서,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정의되고, 다운링크 상의 구성 메시지에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관심 단말기에 전송된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criteria for causing a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a first mode of operation are defined by the access network and sent to the terminal of interest by the access network in a configuration message on the downlink. do.

구성 메시지는, 예컨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학습 기간 동안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구성 메시지는, 관심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요망될 때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구성 메시지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 등에 의해 상기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품질 수준의 추정에 따라 관심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message makes it possible to enter the terminal of interest into a first operating mode, for example during a learning period programmed by the acc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configuration message enables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 first mode of operation when it is desired to know exactly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 configuration message may be sent to a terminal of interest according to an estimate of the quality level of geolocating said terminal, such as by a second geolocation method.

구성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연결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국한될 수 있다.Configuration messages can be sent by unicast or broadcast connection. Broadcasts may be limited to specific geographic areas.

제2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선행하는 구현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구현하게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computer, cause the computer to implement steps of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implementations. do.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서버에 관한 것이다. 서버는 다음을 행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of an access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server is configured to do the following:

- 관심 단말기로부터 오고 가능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오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으로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 ―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각의 메시지는 제1 유형을 갖고,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됨 ―,-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ssages coming from a terminal of interest and possibly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d by the access network, estimat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by a first geolocation method. - each message of the plurality of messages has a first type and is sent when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is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것 ―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도록 훈련됨 ―,- train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a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messages of a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where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terminal is not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Trained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terminal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when not -,

-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는 것,- determining criteria for caus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 그에 따라 결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구성 메시지를 상기 관심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 sending a configur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interest for caus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criteria determined accordingly;

- 일단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관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관심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 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trained, estim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에 따라 취해지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taken alone or in any technically feasible combinations.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유형의 메시지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type of message explicitly includes parameters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특정 실시예들에서, 파라미터는,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에 의해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자이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parameter is an identifier of the transmitter device detected by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2 유형의 메시지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type of message does not explicitly include information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특정 실시예들에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지리적 위치와 연관시키도록 훈련되며, 상기 시그니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상기 기지국에 의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특징을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trained to associate a signature of a message with a geographic location, wherein the signature represents,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 an access network,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receipt of the message by the base station. Includes.

특정 구현들에서, 기지국에 의한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상기 특징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의 측정이다.In certain implementations, the characteristic associated with the reception of a message by a base station is a measurement of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특정 실시예들에서,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미리 결정된 학습 기간들에 따라, 또는 관심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긴급성의 수준에 따라, 또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상기 관심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품질 수준의 추정에 따라 결정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criteria for causing a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a first mode of oper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s, or according to an emergency response for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quality, or according to an estimate of the level of quality of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by a second geolocation method.

제4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서버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network comprising a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이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access network is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제5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 단말기는 다음을 행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being configured to:

-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는 것,- determining criteria for entering and/or exiting the first mode of operation;

-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에만,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파라미터를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제1 유형의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 Only when the terminal is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 message of the first type explicitly containing parameters intended to be used by the access network to geolocate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sent to the access network. sending to,

-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제2 유형의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 ― 제2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은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보다 더 적은 라디오 리소스들 및/또는 더 적은 전기 에너지를 요구함 ―.- When the terminal is not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sending a second type of message to the access network that can be used by the access network to geolocate the terminal using a second geolocation method—second type. The transmission of a message of the first type requires fewer radio resources and/or less electrical energy than the transmission of a message of the first type.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다음의 설명을 읽을 시 그리고 다음을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의 예의 개략적인 표현.
[도 2] 단말기의 실시예의 예의 개략적인 표현.
[도 3]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의 일 구현의 주요 단계들의 개략적인 표현.
이러한 도면들에서, 하나의 도면과 다른 도면 간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지정한다. 명확성의 이유들로 인해,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도시된 요소들이 반드시 동일한 축척일 필요는 없다.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upon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given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an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which illustrate the following.
[Figure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igure 2]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a terminal.
[Figure 3]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main steps of one implementation of a method for geolocating a terminal.
In thes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bers from one drawing to another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For reasons of clarity, elements shown are not necessarily to sca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단말기들(20), 및 복수의 기지국들(31)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3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ing terminals 20 and an access network 30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

단말기들(20)은, 업링크를 통해 메시지들을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송신하도록 적응된다. 각각의 기지국(31)은, 단말기(20)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상기 단말기(20)가 자신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통상적으로, 단말기(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는 단말기(2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기지국(31)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메시지는, 예컨대, 가능하게는 다른 정보, 이를테면, 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31)의 식별자,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상기 메시지의 도달 시간, 메시지가 수신된 주파수 등을 동반하여,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에 송신된다. 서버(32)는, 예컨대, 다양한 기지국들(31)로부터 수신된 모든 메시지들 모두를 처리한다.The terminals 20 are adapted to transmit messages to the access network 30 via an uplink. Each base station 31 is adapted to receive messages from a terminal 20 when the terminal 20 is within its range. Typically, a message sent by terminal 20 includes an identifier of terminal 20. Each message received by a base station 31 may contain, for example, possibly other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31 that received the messag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of the received message, and a time of arrival of the message. ,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2 of the access network 30, accompanied by the frequency at which it was received, etc. Server 32 processes all messages received from, for example, various base stations 31 .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단방향일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단말기들(20)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30)로의 업링크 상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것만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 따르면, 어떠한 것도 양방향 교환들의 가능성을 막지 않는다. 적용가능한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30)는 또한, 기지국들(31)에 의해, 다운링크 상에서 메시지들을 단말기들(20)에 송신하도록 적응되며, 이 단말기들은 그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may be unidirectional, that is, enabling only the exchange of messages on the uplink from the terminals 20 to the access network 30. However, according to other examples, nothing prevents the possibility of two-way exchanges. Where applicable, the access network 30 is also adapted by base stations 31 to transmit messages on the downlink to terminals 20, which are adapted to receive the messages.

액세스 네트워크(30)로의 업링크 상에서의 메시지 교환들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Message exchanges on the uplink to access network 30 us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통신 프로토콜이다.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범위가 길고(1 킬로미터 초과, 또는 심지어 십여 킬로미터 초과), 전력 소비가 낮고(예컨대, 메시지의 송신 또는 수신 동안의 100 mW 미만, 또는 심지어 50 mW 미만, 또는 심지어 25 mW 미만의 전력 소비), 처리량들이 일반적으로 1 Mbits/s 미만인 액세스 네트워크이다.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특히 IoT 또는 M2M 유형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적응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s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communication protocol. Suc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e long ranges (more than a kilometer, or even more than a dozen kilometers), low power consumption (e.g., less than 100 mW, or even less than 50 mW, or even less than 25 mW during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messages). of power consumption), an access network where throughputs are typically less than 1 Mbits/s. Suc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particularly adapted for IoT or M2M type applications.

IoT 또는 M2M 유형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교환들은 본질적으로 단방향인데, 즉, 단말기들(20)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액세스 네트워크(30)로의 업링크 상에서 이루어진다. 단말기(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를 손실할 위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계획은 종종, 송신기 디바이스(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가 복수의 기지국들(3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주어진 지리적 영역이 복수의 기지국들(31)에 의해 동시에 커버되도록 수행된다.In an IoT or M2M type communication system, data exchanges are essentially unidirectional, i.e., on the uplink from the terminals 20 to the access network 3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s of losing a message transmitted by terminal 20, the scheme of the access network is often such that a message transmitted by transmitter device 20 can be received b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 This is done in such a way that a given geographical area is simultaneously covered b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

설명의 나머지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초협대역 및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인 것으로 고려된다. "초협대역"(UNB)은, 단말기들에 의해 송신된 라디오 신호들의 순간 주파수 스펙트럼이 2 킬로헤르츠 미만, 또는 심지어 1 킬로헤르츠 미만의 주파수 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remainder of the description,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s considered to be an ultra-narrowband and low-power wide area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Ultra-narrowband” (UNB) means that the instantaneous frequency spectrum of radio signals transmitted by terminals has a frequency width of less than 2 kilohertz, or even less than 1 kilohertz.

단말기(20)는 또한, 상기 단말기(20) 근방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디바이스(4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송신기 디바이스(4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들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송신기 디바이스(40)는 무선 통신 시스템(10)과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고,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The terminal 20 is also adapted to receive messages transmitted by at least one transmitter device 40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20 . Messages transmitted by transmitter device 40 us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t should be noted that transmitter device 40 may be completely independ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nd need not suppor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에서 고려되고 예시된 예에서, 단말기(20a)는,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는 2개의 송신기 디바이스(40)에 가깝다. 단말기(20i)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송신기 디바이스(40)에 가깝다.In the example considered and illustrated in FIG. 1 , terminal 20a is close to two transmitter devices 40 that can receive messages. Terminal 20i is close to another transmitter device 40 that can receive messages.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범위보다 더 짧은 범위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 따르면, 범위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보다 짧은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has a shorter range than the range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ccording to other example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whose range is shorter tha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예컨대 WiFi 유형(IEEE 802.11 표준들) 등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통신 프로토콜이거나, 또한, 예컨대 블루투스 또는 BLE(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유형 등의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통신 프로토콜이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예컨대 NFC(근접장 통신) 기술 또는 RFID(라디오 주파수 식별) 기술에 기반한 근접장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s, for exampl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of the WiFi type (IEEE 802.11 standards), or also of the Bluetooth or BLE (Bluetooth Low Energy) type, etc. It is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 near-field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for example, 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지오로케이션 서버(50)는, 송신기 디바이스(40)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지오로케이션 데이터베이스"로 지칭된다. 각각의 송신기 디바이스(40) 식별자는, 테이블에서,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항목과 연관된다.Geolocation server 50 includes a database containing tables that store transmitter device 40 identifiers, referred to as the “geolocation database.” Each transmitter device 40 identifier is associated, in the table, with at least one location information item indic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ransmitter device 40.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식별자는, 예컨대, 송신기 디바이스(40)의 MAC(매체 액세스 제어) 주소에 대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WiFi 액세스 포인트의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 또는 BSSID(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블루투스 또는 BLE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 RFID 탭의 식별자 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이 송신기 디바이스(40)에 대한 식별자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identifier of transmitter device 40 corresponds, for example, to the MAC (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of transmitter device 40. Nevertheless, other parameters, such as, for example, the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r BSSID (Basic Service Set Identifier) of the WiFi access point, the identifier of the Bluetooth or BLE access point, the identifier of the RFID tap, etc., are used as identifiers for the transmitter device 40. can play a role as a field.

위치 정보는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지리적 위치의 직접 좌표(경도, 위도, 및 가능하게는 고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치 정보는 또한, 예컨대, 우편 주소, 상점 이름, 지구(district), 지역, 또는 국가 이름 등과 같은,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컨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 coordinates (longitude, latitude, and possibly altitude) of the geographic location of transmitter device 40. Nonetheless, loc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context information for estim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ransmitter device 40, such as, for example, a postal address, store name, district, region, or country name.

지오로케이션 서버(50)는, 예컨대, 인터넷 연결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에 연결된다.Geolocation server 50 is connected to server 32 of access network 30, for example by an Internet connection.

도 2는 단말기(20)의 실시예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terminal 20.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는,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기지국들(31)과 메시지들을 교환하도록 적응되는 제1 통신 모듈(21)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모듈(21)은, 예컨대, 장비(안테나, 증폭기, 국부 발진기, 믹서, 아날로그 필터 등)를 포함하는 라디오 회로의 형태이다.As illustrated in FIG. 2 , the terminal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 adapted to exchange messages with base stations 31 according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 i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adio circuit comprising equipment (antenna, amplifier, local oscillator, mixer, analog filter, etc.).

단말기(20)는 또한, 제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관심 송신기 디바이스(4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제2 통신 모듈(22)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모듈(22)은, 예컨대, 장비(안테나, 증폭기, 국부 발진기, 믹서, 아날로그 필터 등)를 포함하는 라디오 회로의 형태이다.The terminal 20 also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 adapted to receive message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device of interest 40 according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 i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adio circuit comprising equipment (antenna, amplifier, local oscillator, mixer, analog filter, etc.).

또한, 단말기(20)는 또한, 제1 통신 모듈(21) 및 제2 통신 모듈(22)에 연결되는 처리 회로(23)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23)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및 메모리 수단(자기 하드 드라이브, 전자 메모리, 광학 디스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 수단에는,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지오로케이션 방법은 후속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임)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실행될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세트의 형태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다.Additionally, the terminal 20 also includes a processing circuit 23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 The processing circuit 23 comprises, for example, one or more processing units and memory means (magnetic hard drive, electronic memory, optical disk, etc.), the memory means including a method for geolocating the terminal (the geolocation method i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stored in the form of a set of program instructions to be executed to implement some or all of the steps (as will subsequently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가 또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및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며, 메모리 수단에는,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의 세트의 형태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다.The server 32 of the access network 30 also comprises one or more processing units and memory means, the memory means comprising a program to be executed for implementing some or all of the steps of the method for geolocating a terminal.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stored in the form of a set of code instructions.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는 특히,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제1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서, 관심 단말기(20i)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40)에 대해,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식별자를 검출한다(식별자는 예컨대,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수신된 비컨 신호 상에서 송신기 디바이스(4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에 포함됨). 관심 단말기(20i)는 이어서, 검출된 식별자를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32)는 이어서, 지오로케이션 서버(50)에 질의할 수 있다. 지오로케이션 서버(50)는 이어서, 상기 송신기 디바이스(40)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이어서, 이러한 정보를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지리적 위치는 관심 단말기(20i)의 추정 지리적 위치에 대응한다.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는 가능하게는,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비컨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에 따라 정교화될 수 있다.The server 32 of the access network 30 is particularly configured to implement a first method for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n this first geolocation method,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detects, for at least one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 40, an identifier of the transmitter device 40 (the identifier is e.g. included in a message transmitted by transmitter device 40 on the received beacon signal). Terminal of interest 20i may then transmit the detected identifier to server 32 of access network 30. Server 32 may then query geolocation server 50. Geolocation server 50 may then determine the geographic location associated with the transmitter device 40 and then transmit this information to server 32 of access network 30. The geographic location of transmitter device 40 corresponds to the estimated geographic location of terminal of interest 20i.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possibly be refined according to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이러한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경우, 단말기가 식별자들을 검출한 복수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들(40)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단말기(20a)에 대한 경우이다.For this first geoloc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s 40 for which the terminal has detected identifiers. This is, for example, the case for terminal 20a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1.

이러한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20, 20a)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 디바이스(40) 식별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메시지들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This first geolocation method includes one or more transmitter device 40 identifiers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nd possibly by one or more other terminals 20, 20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May be repeated for various messages.

단말기(20)는,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20)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단말기(20)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40) 식별자를 검출하고 그 식별자를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서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The terminal 20 may be configured to enter a first mode of operation and/or exit a first mode of operation. When terminal 20 is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terminal 20 is configured to detect one or more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 40 identifiers and transmit the identifiers in one or more messages to access network 30.

단말기(20)에 의해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전송되고 상기 단말기(20)에 의해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제1 유형의 메시지이다. 따라서, 고려된 예에서, 제1 유형의 메시지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명시적인 파라미터는 송신기 디바이스(40)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다. 이는, 예컨대, 비트들의 세트 상에 코딩된다. 단말기(20)에 의한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은, 단말기의 전력 소비 및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스펙트럼 도메인 및/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라디오 리소스들의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단말기(20)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그 단말기는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들(40)의 비컨 신호들을 청취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한다.A message transmitted by a terminal 20 to the access network 30 and comprising at least one part of a transmitter device 40 detected by the terminal 20 is a first type of message. Accordingly, in the considered example, the first type of message explicitly includes parameters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These explicit parameters correspond to at least part of the transmitter device 40 identifier. This is coded, for example, on a set of bits.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by the terminal 20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the use of radio resources (in the spectral domain and/or time domai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 Additionally, when the terminal 20 is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t consumes electrical energy to listen for beacon signals of the detected transmitter devices 40 .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는 또한,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제2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상기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로부터 그리고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구축된 참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도록 훈련된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기반한다.Server 32 of access network 30 is also configured to implement a second method for geolocating terminal of interest 20i. This second geolocation method provides a terminal of interest 20i from a reference database built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nd from messages sent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t is based o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rained to estimate the geographic location of (20i).

참조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다양한 기지국들(31)에 의해 제1 유형의 메시지가 수신된 다양한 신호 강도 표시자들에 대응하는 시그니처 라디오를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각각의 지리적 위치와 연관시킨다.The reference database may, for example, identify signature radios corresponding to various signal strength indicators at which messages of the first type were received by various base stations 31 of the access network 30,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ssociated with each geographical location.

일단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관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로부터 관심 라디오 시그니처가 결정된다. 관심 라디오 시그니처는 후속하여,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시그니처들 모두와 비교된다. 이어서, 관심 라디오 시그니처와 가장 비슷한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시그니처(들)에 대응하는 위치(들)로부터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has been trained, it becomes possi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using a second geolo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the radio signature of interest is determined from the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The radio signature of interest is subsequently compared to all of the signatures in the reference database.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may then be estimated from the location(s) corresponding to the signature(s) in the reference database that are most similar to the radio signature of interest.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정확도는, 특히 커버될 지리적 영역이 방대한 경우 및/또는 참조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의 양이 충분히 많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보다 더 낮은 정확도를 갖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제2 방법의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단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정확도만큼 양호하거나 또는 그보다 훨씬 더 양호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함).The accuracy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especially if the geographical area to be covered is large and/or the amount of data in the reference database is not large enough (nevertheless, As indicat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in cases where the accuracy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only as good as, or even better than, the accuracy of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송신된 임의의 유형의 메시지가 관심 단말기(20i)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메시지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할 필요가 없다. 실제로, 고려된 예에서,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30)의 기지국들(31)이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 강도 표시자들에 기반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명시적 정보 항목에 기반하지 않는다.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대해, 지오로케이션에 특정적인 어떠한 특정 동작도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다(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기반하는 메시지는 특히,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목표 이외의 목표로 전송되었을 수 있음). 따라서, 관심 단말기(20i)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은, 관심 단말기(20i)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그 관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에 기반할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것도,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제2 유형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함). 고려된 예에서, 제2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은,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보다 더 적은 라디오 리소스들 및 더 적은 관심 단말기(20i)에 대한 전기 에너지를 요구한다.Nevertheless,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any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can be used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n particular, these messages need not explicitly include information used by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ndeed, in the example considered,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based on signal strength indicators at which the base stations 31 of the access network 30 received the message, and not on explicit information items contained in the message. . For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no specific action specific to geolocation is requir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e message on which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based is, in particular, directed to other than the goal of geolocating the terminal). may have been sent to the target). Accordingly,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may be based on a second type of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when the terminal of interest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Nevertheless, it should be noted that nothing prevents the terminal from being able to transmit messages of the second type when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n the example considered, transmission of the second type of message requires fewer radio resources and less electrical energy for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an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 및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협력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들(20)의 제1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에 기반한다.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로 구성될 때, 그것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추정된 위치들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어서, 일단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dvantageously, the invention is based on controlling the first mode of operation of the terminals 20 in order to advantageously allow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nd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to cooperate. When the terminal is configured for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t allows the access network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The locations estimat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re used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Subsequently, once the algorithm is trained, it becomes possi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예컨대, 관심 단말기(20i)의 정확한 위치가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또는 관심 단말기(20i)의 대략적인 위치로 충분한지 여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관심 단말기(20i)의 정확한 위치가 요구될 때, 관심 단말기(20i)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한 관심 단말기(20i)의 정확한 지오로케이션을 허용하기 위해, 그 관심 단말기가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들(40)을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들을 송신하도록 제1 동작 모드에 진입되어야 한다. 관심 단말기(20i)의 대략적인 위치로 충분할 때, 관심 단말기(20i)는,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고/거나 통신 시스템(10)의 라디오 리소스들의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해야 한다.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the first operation mode and/or to exit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depending on whether the exac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required or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t can be def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approximate position of (20i) is sufficient. When the exac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required,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configured to transmit transmitter devices with which the terminal of interest is neighboring, to allow accurate geo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 first operating mode must be entered to detect 40 and transmit the detected identifiers. When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sufficient,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may perform 1 You must exit the operating mode.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또한 관심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필요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may also be defined according to the ne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관심 단말기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또한,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사용 가능성 여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관심 단말기(20i)가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40)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우, 관심 단말기(20i)는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해야 한다.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may also be defin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For example, if it is known that it may be impossible for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detect a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 40,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should exi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또한,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킬 필요성 여부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참조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러한 데이터가 쓸모없게 될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관심 단말기(20i)는, 그 관심 단말기가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제1 유형의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해야 한다.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may also be defined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need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data in the reference database is insufficient, or if there is a risk that such data will become useless,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will be provided with a first type that will enable the terminal of interest to update the reference database. The first operation mode must be entered to transmit the message.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저장된 미리 결정된 구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defined by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stor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기준은 특히,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들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관심 단말기(20i)는, 규칙적인 간격들 또는 순환적이고 점점 덜 빈번한 간격들 등으로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고/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riteria may in particular be defin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time periods. For example,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may be configured to enter/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at regular intervals or at cyclical, increasingly less frequent intervals, etc.

다른 예에 따르면,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관심 단말기(20i)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에 의존한다. 이러한 표시는 특히, 관심 단말기(20i)의 이동성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와 관련될 수 있다(예컨대, 단말기의 이동성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 시 제1 동작 모드를 활성화함으로써 정확한 지오로케이션을 선호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임). 관심 단말기(20i)의 이동성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는 가속도계일 수 있다. 실제로, 관심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2개의 지오로케이션 방법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선호하는 것이 관심의 대상일 수 있다. 특히,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송신기 디바이스들과의 협업에 기반하는 고려된 예에서,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을 때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통한 지오로케이션을 선호하고,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을 때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지오로케이션을 선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단말기에 내장된 GPS 수신기에 기반하는 경우, 단말기가 움직이고 있을 때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통한 지오로케이션을 선호하고,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을 때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지오로케이션을 선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criteria for entering and/or exiting the first operating mode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depend on an indication provided by a sensor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is indication may in particular be related to the start or end of a mobility phase of the terminal 20i of interest (e.g. it is of interest to prefer accurate geolocation by activating the first operating mode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mobility phase of the terminal). target). The sensor used to determine the start or end of the mobility phase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may be an accelerometer. In practice, it may be of interest to prefer one or the other of the two geolocation methods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of interest is moving. In particular, in the considered example where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based on collaboration with transmitter devices, geolocation via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preferred when the terminal is stationary, and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preferred when the terminal is moving.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fer geolocation ov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f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based on a GPS receiver built into the terminal, geolocation through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preferred when the terminal is moving, and geolocation through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preferred when the terminal is not moving.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fer geolocation ov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e method.

이러한 표시는 또한, 센서에 의해 취해진 측정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높거나 낮다는 사실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경고와 관련될 수 있다(경고가 검출될 때 제1 동작 모드를 활성화함으로써 단말기의 정확한 지오로케이션을 획득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음).This indication may also relate to a warning, which is triggered by the fact that the measurement taken by the sensor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obtaining the correct geolocation of the terminal by activating the first operating mode when the warning is detected) may need to be done).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은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정의되고, 다운링크 상의 구성 메시지에서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관심 단말기(20i)에 전송될 수 있다. 기준은 특히, 미리 결정된 학습 기간에 따라, 또는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긴급성의 수준에 따라, 또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는 품질 수준의 추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예컨대, 정확도가 불충분한 경우, 단말기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더 정확한 지오로케이션을 획득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 제1 동작 모드에 진입되어야 함).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re also defined by the access network 30 and are sent to the access network 30 in a configuration message on the downlink.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e criteria are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 or according to the level of urgency for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or by a second geolocation method.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estimate of the level (e.g., if the accuracy is insufficient, the terminal may use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to obtain a more accurate geolocation and/or to enrich the reference database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1 operation mode must be entered).

구성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연결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국한될 수 있다.Configuration messages can be sent by unicast or broadcast connection. Broadcasts may be limited to specific geographic areas.

도 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통신 시스템(10)에서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100)의 구현의 일 예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3 schematically shows the main steps of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a method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geolocating a terminal of interest 20i in a communication system 1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do.

방법(100)은,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101)를 포함하며, 이러한 기준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을 결정하기 위한 특정 방법의 선택은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일 뿐이다.The method 100 includes determining 101 criteria for caus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such criteria being as described above. can be decided together.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method for determining these criteria is only one variation of the invention.

방법(100)은, 관심 단말기(20i)로부터 오고 가능하게는 다른 단말기들(20, 20a)로부터 오며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10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각의 메시지는,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되는 제1 유형의 메시지이다.The method 100 uses a first geolocation method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ssages received by the access network 30 and coming from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nd possibly from other terminals 20, 20a. This includes a step 102 of estimat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at the source of the message. Each message of the plurality of messages is a message of a first type that is transmitted when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is in a first operation mode.

방법(100)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단계(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훈련은,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수행된다.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임의의 메시지(및 특히, 지오로케이션에 대한 명시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도록 훈련된다. 또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가 추정된 정확도를 결정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확도는 특히, 관심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진입 하게 하고/거나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Method 100 includes training 103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a second geolocation method. This training is performed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a first geolocation metho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trained to estimat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terminal from any messages sent by the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second type of message that does not contain explicit information about the geolocation). Additionall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be trained to determine the accuracy with which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is estimated. This accuracy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particular,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일단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방법(100)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정(104)은 특히, 관심 단말기(20i)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그 관심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trained, the method 100 includes a step 104 of estim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This estimation 104 may be performed in particular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when the terminal of interest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그들의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이 설정된 목적들을 달성하는 것을 명확하게 예시한다. 특히, 단말기들의 제1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 및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지능적으로 협력하게 하여 단말기들의 전력 소비 및/또는 통신 시스템의 라디오 리소스들이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above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various features of the invention and their advantages, clearly illustrates how the invention achieves its set objectives. In particular, controlling the first operating mode of the terminals advantageously allows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and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to cooperate intelligently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s and/or the radio resource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re reduced. Let it be done.

위에서 고려된 구현들 및 실시예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써 설명되었고, 결과적으로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implementations and embodiments considered above have been described as non-limiting examples, and consequently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LPWAN 유형 네트워크와 IoT 또는 M2M 유형 연결된 객체들의 지오로케이션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되지만, 제한적인 방식은 아니다. 그러나, 어떠한 것도 다른 유형들의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들이 고려되는 것을 막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UMTS(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LTE(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어드밴스드 프로(LTE-Advanced Pro), 5G 유형 등의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The invention applies particularly advantageously, but not in a limited way, to geolocation of LPWAN type networks and IoT or M2M type connected objects. However, nothing prevents other types of wireless wide area networks (WWANs) from being considered. Fo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 (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Pro, 5G type, etc. there is.

본 발명은, 단말기(20)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제1 방법이 지오로케이션 서버(50)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기반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설명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a first method for geolocating a terminal (20) is based on using a geolocation server (50) to determine the geographic location of one or more neighboring transmitter devices (40) detected by the terminal. It was explained by considering what to do.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오로케이션 방법들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20)의 지리적 위치는,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결정되고 이어서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액세스 네트워크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 고도계, 온도 또는 압력 센서 등)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을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신호의 도달 시간 및/또는 주파수를 액세스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에 따른 TOA 및/또는 FOA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Nonetheless, other geolocation methods may be implemented as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geographic location of terminal 20 may be determined by the terminal using a receiver of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ccess network 3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measure measurements taken by the terminal using one or more sensors (such as an accelerometer, gyroscope, magnetometer, altimeter, temperature or pressure sensor) to enable the access network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transmit to the access network the arrival time and/or frequency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geolocation method based on TOA and/or FOA according to measurements made by the terminal ).

(예컨대,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취해진 측정들에 따른 TOA 및/또는 FOA에 기반한 지오로케이션 방법인 경우) 어떠한 것도, 제1 유형의 메시지들이 단말기(20)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명시적 파라미터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을 부과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유의되어야 한다.(e.g., if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is a geolocation method based on TOA and/or FOA according to measurements taken by the access network 30).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re is no requirement to include explicit parameters associated with .

본 발명은,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이, 통신 시스템(10)의 다양한 기지국(31)에 의해 메시지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들을 나타내는 라디오 시그니처에 기반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것도,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단말기(20)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의 다른 특징들에 기반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다음의 특징들, 즉, 메시지를 반송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 다양한 기지국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또는 주파수, 메시지를 반송하는 라디오 파들의 도달 각도,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의 식별자들 등이 고려될 수 있다.The invention has been explained by considering that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use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based on radio signatures that indicate signal strength indicators at which messages are received by various base stations 31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0. Nevertheless, nothing will prevent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from being based on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message transmitted by terminal 20. For exampl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signal carrying the message, the time or frequency for receiving the message at various base stations, the angle of arrival of the radio waves carrying the message, and the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that received the message. etc. may be considered.

게다가, 다양한 유형들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들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분류 알고리즘들뿐만 아니라 회귀 알고리즘들과 관련될 수 있다.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대한 특정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선택은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일 뿐이다.Additionally, various types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possible. This can also relate to classification algorithms as well as regression algorithms. The selection of a specific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just one variation of the invention.

통신 시스템(10)의 모든 단말기들(20)이 반드시 제1 동작 모드를 지원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또한 유의되어야 한다. 실제로, 제1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단말기들(20)의 일 부분만으로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자마자,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제1 동작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를 지오로케이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not all terminals 20 of the communication system 10 necessarily suppor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n fact, it is possible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with only a fraction of the terminals 20 of the access network 30 that suppor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s soon as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trained, it becomes possible to geolocate terminals that do not suppor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어떠한 것도,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제2 유형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게다가, 어떠한 것도,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유형의 메시지에 기반함으로써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또한 사용하여 제1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한 프로비전들은, 2개의 추정 위치로부터 더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방법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정확도 등을 개선하기 위해, 각각의 방법에 따른 추정 위치들을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비전들은 또한, 단말기의 지오로케이션에 대한 응답 비를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예컨대, 일부 경우들에서, 2개의 방법 중 하나만이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두 방법들 모두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 관심의 대상임).As mentioned above, nothing prevents the terminal from being able to send messages of the second type when it is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Moreover, nothing prevents one from being a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a terminal using a second geolocation method by basing it on a first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not only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but also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Such provisions may make it possible to compare the estimated positions according to each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a more accurate position from the two estimated positions and/or to improve the accuracy of one or the other of the methods, etc. there is. Such provisions may also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response ratio for the geolocation of the terminal (e.g. in some cases, where only one of the two methods enable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t is of interest that both methods can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laims (19)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관심 단말기"(20i)로 지칭되는 단말기(20)를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지오로케이팅(geolocate)하기 위한 방법(100)으로서,
-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101),
- 상기 관심 단말기(20i)로부터 오고 가능하게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다른 단말기들(20, 20a)로부터 오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102) ―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각의 메시지는 제1 유형을 갖고, 상기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됨 ―,
-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상기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는 단계(103) ―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지리적 위치와 연관시키도록 훈련되고, 상기 시그니처는, 단말기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복수의 기지국들(31) 각각에 대한, 상기 기지국(31)에 의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특징을 포함함 ―,
- 일단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상기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104)
를 포함하는, 방법(100).
Method (100) for geolocating a terminal (20), referred to as a “terminal of interest” (20i),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by an access network (3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s,
- determining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101),
-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ssages coming from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nd possibly from other terminals 20, 20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nd received by the access network 30, a first Step 102: estimat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 terminal at the origin of a message using a geolocation method - each message in the plurality of messages has a first type, and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performs the first operation. Sent while in mode ―,
- training (103)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a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where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configured to: trained to associate a signature with a geographic location, the signature being able to estimate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from a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compris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 of the access network (30), features relating to reception of the message by the base station (31);
- 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trained,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determined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the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Step 104: Estimating location
Method 100,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100).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ethod (100) wherein the data carried by the first type of message encodes information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제2항에 있어서,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20a)에 의해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40)의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인, 방법(100).
According to paragraph 2,
Method (100), wherein the parameter is at least part of an identifier of a transmitter device (40) detected by a terminal (20a) at the origin of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에 인코딩된 어떠한 정보도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Method (100) wherein no information encoded in data carried by the second type of message is used by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31)에 의한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상기 특징은, 상기 기지국(31)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인,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method (100) wherein the characteristic associated with reception of a message by the base station (31) is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3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은,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보다 더 적은 라디오 리소스들 및/또는 더 적은 상기 관심 단말기(20i)에 대한 전기 에너지를 요구하는,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Method (100), wherein transmission of the second type of message requires fewer radio resources and/or less electrical energy for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han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들에 따라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관심 단말기에 의해 저장된 구성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criterion is defined by a configuration stored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according to predetermined time periods. , method (10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상기 기준은 상기 관심 단말기(20i)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에 의존하는,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method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mode of operation depends on an indication provided by a sensor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10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 상기 관심 단말기(20i)의 이동성 단계의 시작 또는 종료, 및/또는
- 상기 센서에 의해 취해진 측정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작다는 사실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경고, 및/또는
-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것의 불가능성의 검출
과 관련되는, 방법(100).
According to clause 8,
The above indication is,
- the beginning or end of the mobility phase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nd/or
- an alert triggered by the fact that the measurement taken by said sensor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or
- detection of the impossibility of forming a message of the first type
Related to, method 10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상기 기준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정의되고, 다운링크 상의 구성 메시지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상기 관심 단말기(20i)에 전송되는, 방법(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interested terminal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are defined by the access network 30, and are defined by the access network 30 in a configuration message on the downlink. Method (100) transmitted by a network (30) to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100)의 단계들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comprising: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 computer, cause the computer to implement steps of the method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서버(32)로서,
- 관심 단말기(20i)로부터 오고 가능하게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20, 20a)로부터 오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으로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하고 ― 상기 복수의 메시지들의 각각의 메시지는 제1 유형을 갖고, 상기 메시지의 발신지에 있는 단말기가 제1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됨 ―,
-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들, 및 상기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정된 연관된 지리적 위치들로부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훈련시키고 ― 상기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메시지의 시그니처를 지리적 위치와 연관시키도록 훈련되고, 상기 시그니처는, 단말기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복수의 기지국들(31) 각각에 대한, 상기 기지국(31)에 의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특징을 포함함 ―,
-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기준을 결정하고,
- 결정된 상기 기준에 따라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구성 메시지를 상기 관심 단말기에 전송하고,
- 일단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훈련되면, 상기 관심 단말기(20i)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유형의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관심 단말기(20i)의 지리적 위치를 추정
하도록 구성되는, 서버(32).
A server (32) in an access network (30)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comprising:
-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ssages coming from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and possibly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s 20, 20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nd received by the access network 30, a first estimating the geographic location of a terminal at the origin of a message by a geolocation method, wherein each message of the plurality of messages has a first type and is transmitted when the terminal at the origin of the message is in a first operation mode; ,
- trai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a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messages of the first type and associated geographic locations estimated using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where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converts the signature of a message to a geographic location; trained to associate with the access network (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 (30), comprising features related to reception of the message by the base station (31) -,
- determining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and/or exit the first operating mode,
- sending a configur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for entering the first operation mode and/or exiting the firs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riteria,
- Once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of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is trained,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is determined using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from the second type of message sent by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estimate location
A server 32 configured to do so.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서버(32).
According to clause 12,
Server (32), wherein the data carried by the first type of message encodes information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유형의 메시지의 송신의 발신지에 있는 상기 단말기(20a)에 의해 검출된 송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자인, 서버(32).
According to clause 13,
The parameter is the server 32 identifier of the transmitter device detected by the terminal 20a at the origin of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type of message.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메시지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에 인코딩된 어떠한 정보도 상기 제1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서버(3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Server (32), wherein any information encoded in the data carried by the second type of message is not used by the first geolocation metho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31)에 의한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상기 특징은, 상기 기지국(31)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는 신호 강도 표시자인, 서버(32).
According to clause 15,
The characteristic associated with the reception of a message by the base station (31) is a signal strength indicator at which the message is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31).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상기 제1 동작 모드에 진입하게 하고/거나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퇴장하게 하기 위한 상기 기준은, 미리 결정된 학습 기간들에 따라, 또는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기 위한 긴급성의 수준에 따라, 또는 상기 제2 지오로케이션 방법에 의해 상기 관심 단말기(20i)를 지오로케이팅하는 품질 수준의 추정에 따라 결정되는, 서버(3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6,
The criteria for allow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enter the first operation mode and/or exit the first operation mode are, according to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s, or to allow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to Server 32,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urgency for categorizing, or according to an estimate of the level of quality of geolocating the terminal of interest 20i by the second geolocation method.
액세스 네트워크(30)로서,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버(32)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30).
As an access network 30,
An access network (30) comprising a server (3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30)는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인, 액세스 네트워크(30).
According to clause 18,
The access network 30 is a low-power wide area network.
KR1020247009393A 2021-09-24 2022-09-22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24006509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10108 2021-09-24
FR2110108A FR3127666A1 (en) 2021-09-24 2021-09-24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of geolocation of a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EP2022/076414 WO2023046852A1 (en) 2021-09-24 2022-09-22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a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5093A true KR20240065093A (en) 2024-05-14

Family

ID=8044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393A KR20240065093A (en) 2021-09-24 2022-09-22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65093A (en)
AU (1) AU2022351075A1 (en)
FR (1) FR3127666A1 (en)
WO (1) WO2023046852A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1850A1 (en) * 2015-09-11 2017-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ngerprint positioning for mobile terminals
DE102015225388A1 (en) * 2015-12-16 2017-06-22 Osram Gmbh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 ENVIRONMENT OF A MOBILE TERMINAL
EP3888381A4 (en) * 2018-11-30 2021-1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7666A1 (en) 2023-03-31
WO2023046852A1 (en) 2023-03-30
AU2022351075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320B2 (en) Initial access of wireless access network using assistance information
US11959750B2 (en) Mobile transceiver with adaptive monitoring and reporting
US9279877B2 (en) Technique for using cached information with a WLAN positioning system to obtain an estimate of a position of a mobile device
EP2926158B1 (en) Position location system architecture: messaging and ranging links
US8457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fingerprint distribution
CN116982360A (en) Positioning reference information measurement for joint positioning
CN108459317B (en)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positioning server, core network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68889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positioning
WO2022090315A1 (en) Dual asset tracking based o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60095051A1 (en) Assisted discovery scans for indoor position determination
KR20130034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KR101044522B1 (en) Position recognition system and position recognition method
US20210223354A1 (en) Method for positioning of a user equipment operating in a cellular network
KR20240065093A (en) Cooperation between two methods for geolocating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284175A1 (en) Position estim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CN115804115A (en) Area location assistance data
CN115176487A (en) Network assisted positioning signal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