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406A - check valve assembly - Google Patents

check valv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406A
KR20240063406A KR1020220144995A KR20220144995A KR20240063406A KR 20240063406 A KR20240063406 A KR 20240063406A KR 1020220144995 A KR1020220144995 A KR 1020220144995A KR 20220144995 A KR20220144995 A KR 20220144995A KR 20240063406 A KR20240063406 A KR 2024006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guide member
passage
check valv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4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406A/en
Publication of KR2024006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4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바디 내에 밸브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부재 중 선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선단의 끝으로 갈수록 점차 확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면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둘레면 일부를 파지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로써 가이드부재의 입구측 개방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어 통과 유량이 최대화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동작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member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a valve body within a valve body, and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end of the tip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guide member,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h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a check valve assembly is provided,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guid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guide protrusions that grip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This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opening area on the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thereby maximizing the passing flow rate and achieving excellent operability.

Description

체크밸브 어셈블리{check valve assembly}check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작성이 우수한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valve assembly that maximizes flow rate and has excellent operability.

일반적으로, 정수기나 비데 등과 같이 물을 전달하는 기기에 사용되는 호스는 피팅 장치를 이용하여 또 다른 호스 혹은, 장치(예컨대, 필터 등)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Generally, hoses used in devices that deliver water, such as water purifiers or bidets, are connected to another hose or device (eg, a filter, etc.) using a fitting device.

특히, 상기한 호스나 각종 바이패스유로 등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면서 정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유동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역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유동은 빠르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check valves are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hoses and various bypass channels, and serve to ensure smooth flow of water flowing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quickly block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이러한 체크밸브의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유체의 유압 혹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몸체 내를 밸브체가 이동하면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이다.The structure of such a check valve can be various, and is usually structured so that the valve body moves within the valve body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or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이러한 체크밸브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535560호, 등록특허 제10-1126755호, 공개특허 제10-2013-0006018호, 등록특허 제10-1666025호, 등록특허 제10-1561962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Regarding these check valves, those described in Registered Patent No. 10-1535560, Registered Patent No. 10-1126755, Published Patent No. 10-2013-0006018, Registered Patent No. 10-1666025, Registered Patent No. 10-1561962, etc. It's like a bar.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밸브들은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측의 통로보다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부위의 통로가 좁음에 따라 유로 저항이 크게 발생되었고, 이러한 유로 저항에 의해 유량을 증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heck valv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assage in the area opened and closed by the valve body is narrower than the passage on the side flowing through the hose, resulting in a large flow resistance,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flow rate due to this flow resistance. There was this.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밸브는 밸브체가 단순히 스프링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체가 유동되는 도중 밸브체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한 동작 불량이 야기되어 소비자의 신뢰가 저하되었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made so that the valve body is simply supported by a spr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valve body trembles while the fluid is flowing, which causes malfunction and reduces consumer trust, is a problem. there was.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체크밸브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체가 구형이나 경사형 또는, 수직면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오랜 사용시 마모 발생으로 기밀이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d a problem in that the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was not completely airtight due to wear due to wear during long-term use because the valve body was formed only in a spherical shape, inclined shape, or a vertical surface.

등록특허 제10-1535560호Registered Patent No. 10-1535560 등록특허 제10-1126755호Registered Patent No. 10-1126755 공개특허 제10-2013-0006018호Public Patent No. 10-2013-0006018 등록특허 제10-1666025호Registered Patent No. 10-1666025 등록특허 제10-1561962호Registered Patent No. 10-1561962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최대한 증가시켜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 valve assembly that can reduce flow resistance by maximally increasing the passage through which fluid pass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에 의해 밸브체가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정확한 개폐가 가능하며 떨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 valve assembly that allows accurate opening and closing of a flow path by the valve body and prevents vibration by stably moving the valve body when moved by flui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체의 오랜 사용으로 일부의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기밀이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ck valve assembly that can maintain airtightness even if some wear occurs due to long-term use of the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밸브바디 내에 밸브체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면서 상기 밸브체의 지지샤프트를 파지하면서 지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guide member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s provided within the valve body, and at least two or more guide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guide member to support the support shaft of the valv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support while holding.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밸브바디는, 유입측 호스가 연결되는 제1안착부와, 유출측 호스가 연결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으로부터 제1안착부로 연장되면서 동작 공간을 제공하는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제2안착부 및 제3안착부보다 작은 내경의 통로를 가지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inlet hose is connected, a second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outlet hose is connected, and an operation while extending from the second seating portion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It includes a third seating portion providing space, and a passag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hird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passage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가이드부재는, 상기 밸브바디 내에 구비되며, 전후로 관통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the valve body and is formed in a pipe structure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가이드부재는, 선단의 내주면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관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end.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밸브체에 형성되는 지지샤프트의 둘레면 일부를 파지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guide member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m are provided with guide protrusions that grip a por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formed on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밸브체는, 선단은 상기 밸브바디의 통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통로를 개폐하고,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각 가이드돌기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는 지지샤프트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has a front end that selectively contacts the passage of the valve body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and a support shaft whose movement is supported by each guide projection formed on the guide member at the rear end. have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탄력부재는, 상기 밸브체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체를 탄력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guide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돌기는 둘 또는, 세 개로 제공되면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s of the guide member are provided in two or three pieces and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후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guide member.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각 가이드돌기 중 지지샤프트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ipping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guide projection facing the support shaft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선단측 끝단에는 상기 지지샤프트를 향해 절곡되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턱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ip jaw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each guide protrusion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while bending toward the support shaft.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후면은 상기 밸브바디의 제1안착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 내로 수용되는 유출측 호스의 끝단을 받쳐주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of each guide protrusion is formed to support the end of the outlet hose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seating portion of the valve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member.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경은 상기 통로부가 제공하는 통로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memb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ssage provided by the passage part.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밸브체의 전면은 상기 통로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밸브체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밸브체의 둘레에는 상기 탄력부재를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턱이 돌출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the valve body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toward the passage, the support shaf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center of the valve body, and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around the valve body. At least one support ledge that supports the member protrudes.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밸브체는 상기 통로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진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통로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돌출된 수평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includes an inclined end that gradually slopes inward toward the passage, and a horizontal end that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inclined end to be partially received into the passa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가이드부재가 추가로 제공되면서 유출측 호스의 결합 부위로 제공될 뿐 아니라 밸브체의 이동을 지지하기 때문에 밸브체가 기울어짐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통로의 폐쇄시에는 상기 밸브체의 패킹부재가 통로의 전 부위에 정확히 접촉되면서 밀폐할 수 있고, 통로의 개방시에는 해당 밸브체를 지나는 유체가 밸브체(300)의 둘레로 균일하게 타고 넘어 유출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guide member, which not only serves as a coupling portion of the outlet hose, but also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so that the valve body can be moved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out tilting. do. As a result, when the passage is closed, the packing member of the valve body can be sealed by accurately contacting all parts of the passage, and when the passage is opened,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valve body flows evenly around the valve body 300. It can leak out.

특히,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체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의 유체 유입측 개구를 최대화할 수 있고, 이로써 유체의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fluid inlet opening of the guide member because the guide protrusion provided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s formed to protrude outside the guid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각 가이드돌기가 평판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가이드부재의 전방에서 방사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flow of fluid because each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 a radial direction in front of the guid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단면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12은 도 11의 “C”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도 11과는 다른 방향에서 단면한 단면도
도 14은 도 13의 “D”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 중 가이드부재와 밸브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3.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in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in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in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member among the check valve assembl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11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11.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D” in Figure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among the check valve assembl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among the check valve assembl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in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valve body in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1 to 18.

설명에 앞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Prior to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can be connect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의 방향에 대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유체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측을 전방 또는, 선단측으로 지칭하고, 유체가 유출되는 측을 후방 또는, 후단측으로 지칭한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direction of each component is basically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In addition, based o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the side from which fluid flows is referred to as the front or front end, and the side from which fluid flows out is referred to as the rear or rear end.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각 방향별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6은 각 단면도의 요부 확대도이다.The attached Figures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FIGS. 3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n each direction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6 are enlarged views of the main portion of each cross-sectional view.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들의 방향이나 배치 위치에 관련한 설명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ptions regarding the direction or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밸브 어셈블리는 밸브바디(100) 내의 피팅장치(400)와 밸브체(300) 사이에 상기 밸브체(300)의 이동을 지지하면서 호스의 끝단이 안착되는 별도의 가이드부재(200)가 추가로 제공됨을 제시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between the fitting device 400 and the valve body 300 in the valve body 100 and the hose. It is proposed that a separate guide member 200 on which the end is seated is additionally provided.

특히, 상기 밸브체(3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 부위가 가이드부재(2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가이드부재(2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유체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by ensuring that the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is located outside the guide member 200, the flow resistanc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guide member 200 can be minimized and the fluid flow rate can be maximized. It was made to be so.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바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100.

상기 밸브바디(100)는 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단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타단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관체로 형성된다.The valve body 100 forms the exterior of the valve assembly and is formed as a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in at one end and flows out at the other end.

첨부된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밸브바디(100)는 일단을 이루는 제1안착부(110)와 타단을 이루는 제2안착부(120)와 동작 공간을 제공하는 제3안착부(130) 및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3안착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통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1 to 6, the valve body 100 includes a first seating part 110 forming one end, a second seating part 120 forming the other end, and a third seating part 130 providing an operating space. and a passage portion 140 locat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여기서, 상기 제1안착부(110)는 유입측 호스(10)(도 3 참조)가 연결되고, 상기 제2안착부(120)는 유출측 호스(20)(도 3 참조)가 연결된다.Here, the first seat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inlet hose 10 (see FIG. 3), and the second seat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outlet hose 20 (see FIG. 3).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120) 내에는 피팅장치(400)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피팅장치(400)는 상기 호스(10,20)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콜렛부(401)와, 상기 콜렛부(401)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홀더(402)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403)과, 콜렛부(401)의 가압시 해당 콜렛부(401)가 호스(10,20)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벌리는 가이드부재(4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팅장치(400)를 이루는 지지홀더(402)는 상기 각 안착부(110,120)의 끝단에 융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오링(403)과 가이드부재(404)가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 fitting device 400 is provided within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respectively. The fitting device 400 includes a collet portion 401 that hol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s 10 and 20, a support holder 402 that prevents the collet portion 401 from being separated, and an O-ring to maintain airtightnes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403) and a guide member 404 that spreads the collet part 401 to release the grip of the hoses 10 and 20 when the collet part 401 is pressed. At this time, the support holder 402 forming the fitting device 400 is fused and fixed to the ends of each of the seating parts 110 and 120, thereby maintaining the O-ring 403 and the guide member 404 in their correct positions.

상기 제3안착부(130)는 상기 제2안착부(120)로부터 연장되면서 내부에 동작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안착부(130)는 통로부(140)에 연결되며, 상기 제3안착부(130) 내의 동작 공간은 상기 통로부(140) 내의 통로(141)와 연통된다.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extends from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n internal operating space. At this time,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passage portion 140, and the operating space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141 within the passage portion 140.

상기 제3안착부(130)는 상기 제2안착부(120)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부(120)는 제3안착부(130)로부터 확관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2안착부(120)의 내주면과 제3안착부(130)의 내주면 사이에는 후술될 가이드부재(200)의 설치를 위한 장착턱이 형성된다.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inner diameter than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That is,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is formed by expanding from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As a result, a mounting jaw for installing the guide memb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상기 통로부(140)는 유체의 통과를 위한 통로(141)를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기 제3안착부(130)와 제1안착부(110)보다 작은 내경(통로)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passage portion 140 is a portion that provides a passage 141 for the passage of fluid, and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passage)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상기 통로부(140)의 통로(141) 내에는 호스안착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스안착홈(142)은 상기 제1안착부(110)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유입측 호스(10)의 끝단이 안착되면서 더 이상 통로(141) 내측으로 삽입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hose seating groove 142 may be formed within the passage 141 of the passage portion 140. At this time, the hose seating groove 142 serves to prevent the end of the inlet hose 10 inserted through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from being further inserted into the passage 141 while being seated thereon.

한편, 상기 제3안착부(130) 내의 동작 공간과 상기 통로부(140)의 통로(141) 사이의 모서리(102)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동작 공간으로부터 통로(141)로 갈수록 점차 축관될 수 있도록 각 공간 간의 연결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edge 102 between the operating space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and the passage 141 of the passage portion 14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each sp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pipe can be gradually axialized from the operating space to the passage 141.

상기 통로(141)는 전 부위가 동일한 내경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The passage 141 is formed so that all parts maintain the same inner diamet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가이드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2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member 200, and the guide memb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 구비되면서 후술될 밸브체(3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member 200 is provided within the valve body 100 and serves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전후로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내주면은 상기 유출측 호스(20)가 삽입 또는,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guide member 200 is formed as a pipe structure that is open front and rear. At this tim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that allows the outlet hose 20 to be inserted or passed through.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선단이 상기 통로(141)가 형성된 측을 향해 위치되고, 후단은 제2안착부(120) 내의 피팅장치(400)를 받쳐주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후단 둘레면에는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 형성된 장착턱(101)에 맞물리는 장착돌기(2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장착돌기(201)와 장착턱(101)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3안착부(130) 내의 특정 위치(유체 유출측 위치)에 놓인 상태로 유지되고, 제2안착부(120)에 피팅장치(4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leading end of the guide member 200 is positioned toward the side where the passage 141 is formed, and the rear end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fitting device 400 within the second seating portion 120. For this purpose, a mounting protrusion 201 that engages the mounting jaw 101 formed in the valve body 100 is formed on the rea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00. That is, the guide member 200 is maintained at a specific position (fluid outflow side position)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by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protrusion 201 and the mounting jaw 101, and 2 When the fitting device 400 is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120, the guide member 200 remains fix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가이드부재(200) 중 선단(통로부 측에 위치되는 부위)의 내주면에는 상기 선단의 끝으로 갈수록 점차 확관되는 경사면(202)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선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경사면(202)을 타고 가이드부재(200) 내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202)은 곡면(예컨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더욱 커지는 형태의 라운드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202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end of the tip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located on the passage side) of the guide member 200. As a result, the fluid flowing in from the tip of the guide member 200 can flow smoothly into the guide member 200 along the inclined surface 202.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202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for example, a round surface whose inner diameter becomes larger as it goes outward).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경사면(202)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10)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10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202 of the guide member 200.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서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경사면(20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된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돌기(210)는 두 개로 제공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도록 배치되거나 세 개로 제공되면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120°간격)에 각각 배치된다.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210 is individually formed and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02. 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s 210 of the guide member 200 are provided in two pieces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r are provided in three pieces and are arranged at symmetrical positions (120° apart).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양 측벽면(유체의 유동 방향과는 좌우로 수직한 방향측의 벽면)이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210)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길이(유동 방향측의 길이)가 좌우 폭(유동 방향과는 좌우로 수직한 방향의 폭) 및 상하 높이(유동 방향과는 상하로 수직한 방향의 높이)보다 큰 판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10)의 각 모서리(유체가 유동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측의 면에 형성되는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210 is formed to have a flat plate-like structure with both side walls (wall surfac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being flat.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210 has an anteroposterior length (length on the flow direction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 left and right width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flow direction), and a top and bottom height (up and down heigh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It is formed of a plate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each edge (an edge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of the guide protrusion 210 is rounded.

또한,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의 후단측 어느 한 모서리는 상기 경사면(202)에 일체를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향해 세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one rear edge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formed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202. At this time,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210 is installed to stand in a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axial center of the guide member 200.

이와 함께, 상기 각 가이드돌기(200)의 선단은 상기 경사면(20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상기 경사면(202)에 일체화되는 후단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유체 유입측 개구는 최대화될 수 있고, 유체 유동을 가로막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유체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유체 유입측으로 유동됨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tip of each guide protrusion 200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inclined surface 202. That is,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formed so that the rest of the guide protrusion 210, excluding the rear end side integrated with the inclined surface 202, is located outside the guide member 200. With this structure, the opening on the fluid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200 can be maximized, and there is no structure blocking the fluid flow. In particular, each guide protrusion 210 can serve to guide fluid to flow toward the fluid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200.

한편,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의 후면은 유출측 호스(20)가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완전히 통과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밸브바디(100)의 제1안착부(110)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00) 내로 수용되는 유출측 호스(20)의 끝단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의 후면에 부딪혀 해당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rear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serves to prevent the outlet hose 20 from completely passing through the guide member 200. That is, the end of the outlet hose 20, which passes through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of the valve body 100 and is received into the guide member 200, hits the rear of each guide projection 210 and moves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t can be maintained in its installed state.

또한,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벨브체(300)를 이루는 지지샤프트(310)의 둘레면 일부를 파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 중 상기 지지샤프트(310)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310)의 외면 일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2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홈(211)은 상기 지지샤프트(310)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formed to grip a por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310 forming the valve body 300. For this purpose, a gripping groove 2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opposite to the support shaft 310 to grip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310. At this time, the grip groove 21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support shaft 3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밸브체(3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300, and the valve body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상기 밸브체(300)는 통과부(140)의 통로(1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valve body 30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141 of the passage portion 140.

상기 밸브체(300)는 상기 밸브바디(100)의 제3안착부(130) 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valve body 3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of the valve body 100.

상기 밸브체(300)의 선단은 상기 통로(1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300)의 후단에는 지지샤프트(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샤프트(310)는 상기 밸브체(300)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각 가이드돌기(210)에 의한 지지를 받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valve body 300 is form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141, and a support shaft 31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valve body 300. At this time, the support shaft 310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center of the valve body 300, and is configured to move while being supported by each guide projection 210 of the guide member 200.

상기 밸브체(300)의 선단에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320)가 제공되며, 상기 패킹부재(320)가 제3안착부(130) 내의 동작 공간과 통로부(140)의 통로(141) 사이의 경사진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320)는 상기 밸브체(300)의 선단 둘레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acking member 320 made of rubber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valve body 300, and the packing member 320 is positioned between the operating space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and the passage 141 of the passage portion 140. It is made to contact the inclined edge of. At this time, the packing member 320 may be formed to be fitted while surrounding the tip of the valve body 300.

상기 패킹부재(320)는 상기 경사진 모서리와 동일한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단(321)과, 상기 경사단(321)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통로(141)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돌출된 수평단(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단(322)은 상기 패킹부재(320)가 통로(141)를 폐쇄할 경우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acking member 320 has an inclined end 321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inclined edge, and a horizontal end 322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end 321 to be partially received into the passage 141. It consists of: At this time, the horizontal end 322 serves to prevent tilting to one side when the packing member 320 closes the passage 141.

또한, 상기 밸브체(300)의 둘레에는 후술될 탄력부재(500)를 받쳐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턱(30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턱(301)은 상기 밸브체(300)의 후단 둘레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support ledge 301 is formed protruding around the valve body 300 to support an elastic member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301 is formed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rear end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00.

상기 받침턱(301)은 상기 밸브체(300)의 전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받침턱(301)이 유체 유동을 가로막는 부위로 제공되기 때문에 유동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받침턱(301)은 최소의 폭으로 최소의 개수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각 받침턱(301)의 전면은 상기 패킹부재(320)가 이루는 경사단(321)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upport 301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00. However, in this case, the flow resistance may increase because the support 301 is provided as an area to block the fluid flow. Considering this,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minimum number of support ledges 301 are provided with the minimum width.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each support 30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end 321 formed by the packing member 32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탄력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탄력부재(500)에 대하여 도 2와 도 4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500, and the elastic member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4, and 6 to 9.

상기 탄력부재(500)는 상기 밸브체(300)와 가이드부재(2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체(300)를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안착부(110)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밸브체(300)의 후퇴 이동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유체 유입이 중단될 경우 복원되면서 상기 밸브체(300)를 통로(141)에 밀착시킨다.The elastic member 500 is located between the valve body 300 and the guide member 200 and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valve body 300. That is, when fluid flows into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it is compresse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and when the fluid inflow is stopped, it is restored and the valve body 3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ssage 141. Let's do it.

상기 탄력부재(500)는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일단(후단)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전면에 위치되고, 타단(선단)은 상기 밸브체(300)의 각 받침턱(301) 후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500)의 일단은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와 가이드부재(200) 간의 연결 부위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200) 내로 삽입됨은 방지된다.The elastic member 500 is formed of a coil-shaped compression spring, one end (rear e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guide member 200, and the other end (front end) is located at each support 301 of the valve body 300. ) is located at the rear. At this tim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00 is 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each guide protrusion 210 and the guide member 200, thereby preventing insertion into the guide member 200.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각 상황별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each situation.

먼저,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은 유체 유동이 차단된 상태이다.First, the attached FIGS. 3 to 6 show a state in which fluid flow is blocked.

이의 경우 밸브체(300)는 탄력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통로(141)를 막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case, the valve body 300 is maintained in a state blocking the passage 14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0.

상기 밸브체(300)가 통로(141)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300)를 이루는 패킹부재(320)의 경사단(321)은 제3안착부(130) 내의 동작 공간과 통로부(140)의 통로(141) 사이의 경사진 모서리에 접촉되어 밀착되고, 상기 패킹부재(320)의 수평단(322)은 통로(141) 내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수평단(322)은 상기 패킹부재(320)가 통로(141)를 정확히 폐쇄하도록 기울어지지 않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 state where the valve body 300 is blocking the passage 141, the inclined end 321 of the packing member 320 forming the valve body 3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pace 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and the passage portion (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edge between the passages 141, and the horizontal end 322 of the packing member 320 i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141. At this time, the horizontal end 322 serves to guide the packing member 320 so that it does not tilt so as to accurately close the passage 141.

이로써, 유입측 호스(10) 내에 잔존하거나 혹은, 체크밸브 어셈블리가 허용되지 않는 수압의 유체가 유출측 호스(20)로 누수됨을 방지하게 된다.As a result, fluid remaining in the inlet hose 10 or having a water pressure that is unacceptable for the check valve assembly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outlet hose 20.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설정 수압 이상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가 유입측 호스(20)로부터 유입되면 상기 수압에 의해 밸브체(300)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탄력부재(500)가 점차 압축 변형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300)의 지지샤프트(310)는 가이드부재(2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0)에 의해 그 이동을 안내받는다. 즉, 상기 지지샤프트(310)는 각 가이드돌기(210)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동되기 때문에 밸브체(300)가 제3안착부(130) 내에서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fluid having a pressure higher than the set water pressure flows in from the inlet hose 20 while the flow of fluid is blocked, the valve body 300 is pushed rearward by the water pressure and the elastic member 500 gradually moves. compressed and deforme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support shaft 310 of the valve body 300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guide member 200. That is, since the support shaft 310 moves while being supported by each guide protrusion 210, the problem of the valve body 300 being tilted to one side within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can be prevented.

이로써 유입측 호스(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밸브바디(100)의 통로(141)를 통과하여 제3안착부(130) 내로 유입되는 도중 상기 밸브체(300)의 선단(패킹부재의 외면)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해당 밸브체(300)의 둘레를 타고 균일하게 넘는다.As a result, the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hose 10 passes through the passage 141 of the valve body 100 and flows into the third seating portion 130 while flowing into the tip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member) of the valve body 300. ) uniformly goe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valve body 300 due to the inclination formed by it.

이후, 상기 유체는 가이드부재(2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가이드부재(20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가이드부재(200) 내에 연결된 유출측 호스(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reafter, the fluid flows into the guide member 200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guide member 200 and then flows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hose 20 connected within the guide member 200. In relation to this, it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1 to 14.

한편, 상기 유체가 상기 가이드부재(200) 내로 유입될 때 상기 유체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10)의 안내를 받는다. 즉, 해당 가이드돌기(2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의 양 측벽면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가이드부재(200) 내로 유입된다.Meanwhile, when the fluid flows into the guide member 200, the fluid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210 protruding forward of the guide member 200. That is,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guide protrusions 210 flows along the surfaces of both side walls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and flows into the guide member 200.

물론, 각 가이드돌기(210)의 존재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유체의 유동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면서 폭이 좁은 둘레면이 유체의 유동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유동 저항은 최소화된다. 더욱이, 각 가이드돌기(210)들 서로는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 가이드돌기(210)는 가이드부재(200)와의 연결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위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200)로의 입구측 개구는 최대화된다. 이로써 가이드부재(200)로 유입되는 유체 유량 역시 최대화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ce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may cause fluid flow resistance at that location. However, since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and its narrow circumferential surface is arranged to face the direction of fluid flow, flow resistance is minimized. Moreover,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made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ll parts of each guide protrusion 210 excep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guide member 200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guide member 200. Because it is positioned, the inlet opening to the guide member 200 is maximized. As a result, the fluid flow rate flowing into the guide member 200 can also be maximized.

특히, 상기 유체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전면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면(202)에 의해서도 안내받기 때문에 유동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200)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fluid is guided by the inclined surface 202 formed at the front edge of the guide member 200, it can flow into the guide member 200 with minimal flow resistance.

한편, 상기 유입측 호스(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이 설정 수압보다 낮게 되면 탄력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300)는 점차 통로(141)를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통로(141)를 폐쇄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inflow side hose 10 is lower than the set water pressure, the valve body 300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passage 14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0, and the passage 141 ) will be closed.

이러한 밸브체(300)의 전진 이동시에도 상기 밸브체(300)를 이루는 지지샤프트(310)가 각 가이드돌기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없이 정확히 통로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Even when the valve body 300 moves forward, the support shaft 310 forming the valve body 300 is supported by each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passage can be accurately closed without tilting to either side.

이와 함께, 상기 밸브체(300)를 이루는 패킹부재(320)의 수평단(322)은 통로(141) 내로 일부 수용되면서 상기 패킹부재(320)의 경사단(321)이 상기 통로(141)를 정확히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horizontal end 322 of the packing member 320 forming the valve body 300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assage 141, and the inclined end 321 of the packing member 320 provides the passage 141. Make sure it can be closed accurately.

이렇듯,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가이드부재(200)가 추가로 제공되면서 유출측 호스(20)의 결합 부위로 제공될 뿐 아니라 밸브체(300)의 이동을 지지하기 때문에 밸브체(300)가 기울어짐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통로(141)의 폐쇄시에는 상기 밸브체(300)의 패킹부재(320)가 통로(141)의 전 부위에 정확히 접촉되면서 밀폐할 수 있고, 통로(141)의 개방시에는 해당 밸브체(300)를 지나는 유체가 밸브체(300)의 둘레로 균일하게 타고 넘어 유출될 수 있다.As such,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200, which not only serves as a coupling portion of the outlet hose 20, but also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so that the valve body 300 It can be moved in the correct direction without tilting. As a result, when the passage 141 is closed, the packing member 320 of the valve body 300 can be sealed by accurately contacting the entire passage 141, and when the passage 141 is opened, the valve body ( The fluid passing through 300 may flow uniformly around the valve body 300 and flow out.

특히,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체(300)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가이드돌기(210)가 가이드부재(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200)의 유체 유입측 개구를 최대화할 수 있고, 이로써 유체의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210 provided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30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member 200, so that the fluid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200 The opening can be maximized, thereby maximiz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또한,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는 각 가이드돌기(210)가 평판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가이드부재(200)의 전방에서 방사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코안다 효과를 유도하여 유체가 해당 가이드돌기(210)의 표면을 타고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부재(200)의 유체 유입측에서 난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flow of fluid because each guide protrusion 210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and is installed in a radial direction in front of the guide member 200. In other words, by inducing the Coanda effect and allowing fluid to flow along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guide protrusion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urbulence from occurring on the fluid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200.

한편, 본 발명의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이루는 가이드부재(200) 또는, 밸브체(300)의 경우 전술된 실시예의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guide member 200 or the valve body 300 forming the check val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other than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대, 첨부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돌기(210)는 셋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5 and 16, the guide protrusions 210 of the guide member 200 may be formed in three or more.

또한,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210)의 선단측에는 상기 지지샤프트(310)를 향해 절곡되면서 상기 지지샤프트(310)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턱(21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구조는 가이드부재(310)의 유체 유입측에서 각 가이드돌기(210) 간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해당 부위에서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5 to 18, the tip side of each guide projection 210 is provided with a grip jaw 212 that is bent toward the support shaft 310 and grips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310. More may be formed. This structure is designed to minimize flow resistance in that area by maximiz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guide protrusion 210 on the fluid inlet side of the guide member 310.

특히, 밸브체(300)에 형성되는 지지샤프트(310)에는 걸림턱(311)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파지턱(212)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11)은 상기 지지샤프트(31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조는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밸브체(300) 및 탄력부재(500)가 서로 조립된 상태로 밸브바디(100) 내에 일괄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상기 걸림턱(31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밸브체(300)가 탄력부재(500)의 복원력으로 원치않게 가이드부재(200)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써 조립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locking protrusion 311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support shaft 310 formed on the valve body 300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gripping protrusion 212.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311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310. Its structure is designed to make assembly work easy. That is, the guide member 200, the valve body 300, and the elastic member 500 can be mounted in the valve body 100 in an assembled state. If the locking protrusion 311 does not exist, the valve body 300 may be undesirably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200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0, which may cause difficulty in assembly work.

또한,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00)와 패킹부재(3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밸브체(300) 전체를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Additionally,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15 to 18, the valve body 300 and the packing member 320 may be formed as one piece. That is, the entire valve body 300 can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 어셈블리의 가이드부재(200) 또는, 밸브체(300)는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As such, the guide member 200 or the valve body 300 of the check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유입측 호스 20. 유출측 호스
100. 밸브바디 101. 장착턱
110. 제1안착부 120. 제2안착부
130. 제3안착부 140. 통로부
141. 통로 142. 호스안착홈
200. 가이드부재 201. 장착돌기
202. 경사면 210. 가이드돌기
211. 파지홈 212. 파지턱
300. 밸브체 301. 방지턱
310. 지지샤프트 311. 걸림턱
320. 패킹부재 321. 경사단
322. 수평단 400. 탄력부재
10. Inlet hose 20. Outlet hose
100. Valve body 101. Mounting jaw
110. 1st seating section 120. 2nd seating section
130. Third seating section 140. Passage section
141. Passage 142. Hose seating groove
200. Guide member 201. Mounting projection
202. Slope 210. Guide projection
211. Grasping groove 212. Grasping jaw
300. Valve body 301. Bump
310. Support shaft 311. Locking jaw
320. Packing member 321. Inclined end
322. Horizontal end 400. Elastic member

Claims (9)

유입측 호스가 연결되는 제1안착부와, 유출측 호스가 연결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제1안착부로 연장되면서 동작 공간을 제공하는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안착부와 제2안착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제2안착부 및 제3안착부보다 작은 내경의 통로를 가지는 통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 내에 구비되며, 전후로 개방된 파이프 구조의 가이드부재;
상기 밸브바디 내에 구비되며, 선단은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후단에 지지샤프트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지지를 받아 이동되는 밸브체; 그리고,
상기 밸브체와 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체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 중 선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선단의 끝으로 갈수록 점차 확관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둘레면 일부를 파지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 first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inlet hose is connected, a second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outlet hose is connected, a third se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eating portion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providing an operating space,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inlet side hose is connected. A valve body including a passag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passage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the third seating portion;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valve body and having a pipe structure open forward and backward;
a valve body provided within the valve body, the front end of which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and a support shaft protruding at the rear end, which move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and,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valve body and the guide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valve body,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guide member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end of the tip,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to grip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돌기는 평판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둘 또는, 세 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경사면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trusions of the guide member are formed in a flat plate structure and are provided in two or three pieces, each disposed at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inclin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후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rotrusion is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돌기 중 지지샤프트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외면을 파지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assembly, wherein a grip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each guide protrusion facing the support shaft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선단측 끝단에는 상기 지지샤프트를 향해 절곡되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외면을 파지하는 파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grip jaw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guide protrusion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while bending toward the support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후면은 상기 밸브바디의 제1안착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 내로 수용되는 유출측 호스의 끝단을 받쳐주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of each guide protrusion is formed to support the end of the outlet hose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seating portion of the valve body and is received into the guid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경은 상기 통로부가 제공하는 통로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memb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ssage provided by the passag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전면은 상기 통로부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밸브체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밸브체의 둘레에는 상기 탄력부재를 받쳐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턱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of the valve body is gradually inclined inward toward the passage portion,
The support shaf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center of the valve body,
A check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upport ridge that supports the elastic member protrudes around the valv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통로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진 경사단과,
상기 경사단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통로 내로 일부 수용되도록 돌출된 수평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body is
A slope gradually sloping inward as you go along the passage,
A check valve assembly comprising a horizontal end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inclined end to be partially received into the passage.
KR1020220144995A 2022-11-03 2022-11-03 check valve assembly KR202400634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95A KR20240063406A (en) 2022-11-03 2022-11-03 check valv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95A KR20240063406A (en) 2022-11-03 2022-11-03 check valv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406A true KR20240063406A (en) 2024-05-10

Family

ID=9107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995A KR20240063406A (en) 2022-11-03 2022-11-03 check valv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406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55B1 (en) 2010-01-25 2012-03-29 김지용 check valve type coupling apparatus
KR20130006018A (en) 2011-07-08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heak valve and water purifier
KR101535560B1 (en) 2009-03-25 2015-07-10 코웨이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KR101561962B1 (en) 2015-04-23 2015-10-20 이경미 Distributor and discharge hose connector
KR101666025B1 (en) 2015-02-17 2016-10-14 명화공업주식회사 One-way check val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60B1 (en) 2009-03-25 2015-07-10 코웨이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KR101126755B1 (en) 2010-01-25 2012-03-29 김지용 check valve type coupling apparatus
KR20130006018A (en) 2011-07-08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heak valve and water purifier
KR101666025B1 (en) 2015-02-17 2016-10-14 명화공업주식회사 One-way check valve
KR101561962B1 (en) 2015-04-23 2015-10-20 이경미 Distributor and discharge hose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470B2 (en) Check valve
JP4123350B2 (en) Backflow prevention valve
JP2008514891A (en) Dome check valve
US5195552A (en) Check valve with exchangeable valving elements
US11156304B2 (en) Check valve
AU624842B2 (en) One way flow valve
KR100590399B1 (en) Valve element for check valve
JP2004232833A (en) Check valve
JP4158148B2 (en) valve
KR20240063406A (en) check valve assembly
JP2007024159A (en) Check valve
ZA200101004B (en) High gai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JP5295861B2 (en) Check valve
KR101592875B1 (en) Valve assembly
US20050263187A1 (en) Check valve barbed casing
KR101885050B1 (en) Check valve
KR200438690Y1 (en) Union typed connection valve for preventing flowing backward
KR102561519B1 (en) Valves and valve elements for controlling fluid flow
CN113404867A (en) Expansion valve
JP2001056059A (en) Valve sealing structure
WO2020222710A1 (en) Thermostat assembly having valve alignment structure
KR102550332B1 (en) Hydrogen check valve
JP4464489B2 (en) Check valve
KR100356058B1 (en) Check valve
KR102483082B1 (en) Safety valve for low pressur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