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520A -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520A
KR20240062520A KR1020220144132A KR20220144132A KR20240062520A KR 20240062520 A KR20240062520 A KR 20240062520A KR 1020220144132 A KR1020220144132 A KR 1020220144132A KR 20220144132 A KR20220144132 A KR 20220144132A KR 20240062520 A KR20240062520 A KR 2024006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screw
coupling groove
coupl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루다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루다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루다움
Priority to KR102022014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520A/en
Publication of KR2024006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5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나사가 장선의 홈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장선의 강도를 높이고, 부재를 결합할때 피스와 장선의 접합 지점의 수 및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정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여, 하자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of metal joists.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joist by increasing the area where the screw contacts the groove of the joist, and increases the number and area of joining points between pieces and joists when joining members. By doing this, the fixing force is increased and a solid connection is possible, which reduces defects and improves quality such as durability.

Description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floor joist fixing structure}Joint structure of metal joists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철재 장선에 피스가 탈락이나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metal joists, and to a technology for firmly fixing a piece to a steel joist without falling off or shaking.

마루나 벽에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하부틀이 있는데 목재나 철재를 재료로 사용하며 멍에와 장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선의 위에 올려지는 마루널은 장선에 피스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In order to attach finishing materials to a floor or wall, there is a lower frame, which is made of wood or iron and consists of a yoke and a joist. The floor boards placed on top of the joists are generally fixed to the joists using pieces.

하부틀은 목재 각재나 철제 각관을 주로 사용하며 멍에와 장선으로 이루어 저 있다. 전통적으로는 방부목재를 하부틀로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내구성이 좋고 변형이 없는 철제 각관이나 철제 전용 장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The lower frame mainly uses wooden squares or steel square pipes and is made up of yokes and joists. Traditionally, preservative wood was used as the lower frame, but recently, steel square pipes or iron joists, which are durable and do not deform, are mainly used.

철제 장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 0.8mm~2.3mm의 박판이나 각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철제 장선과 부재를 피스로 체결함에 있어서 강하게 체결할 경우 철재 장선의 박판이 파열되어(소성변형으로 찢어지면서) 스크류가 무너져 빠지는 하자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iron joists, they are generally made of thin plates or square pipes of 0.8mm to 2.3mm depending on the purpose. When fastening a steel joist and a member with a piece, if the steel joist is tightened strongly, the thin plate of the steel joist ruptures (tearing due to plastic deformation), causing the screw to collapse and fall off.

또한 반복하중을 받을 경우 부재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함으로 피스가 빠지거나 또는 피스가 느슨해지면서 발생하는 마찰로 소음이 발생하거나 탈락하기도 한다. 특히 반복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되는 실내체육시설의 마루바닥이나 기후변화가 심한 외부 데크용 마루틀의 경우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더 심각하다. In addition, when subjected to repeated loading, the movement of the member cannot be firmly held, so the piece may fall out, or the piece may become loose and generate noise or fall off due to friction. This problem is especially serious in the case of floors in indoor sports facilities that are continuously subjected to repeated loads or floor frames for external decks that are subject to severe climate change.

또한 종래의 방식은 장선의 두께가 얇은 면에 피스를 고정한 것이어서 장선의 얇은 면과 나사의 사이에서만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나사의 풀림이 발생하기 쉽고, 나사가 체결된 구멍의 마모로 인하여 나사와 구멍의 사이에 이격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iece is fixed to the thin side of the joist, so contact is made only between the thin side of the joist and the screw, so loosening of the screw is easy to occur, and the screw and hole are damaged due to wear of the hole where the screw is fastened. There is a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them.

장선 결합구조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33723호(고강도 스틸장선 마루구조)가 있다.The prior art regarding the joist joint structure includes Korean Patent No. 10-1233723 (high-strength steel joist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장선의 강도를 높이고, 부재를 결합할때 피스와 장선의 접합 지점의 수 및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정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여, 체결력의 저하로 인한 하자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선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joist and increases the number and area of the joining points between the piece and the joist when joining members,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and enabling solid fasten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of joists that can reduce defects due to deterioration and improve quality such as durability.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나사의 외경보다 좁은 폭의 공간을 형성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결합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장선과, 상기 장선에 결합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금속재 장선의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장선의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는 상기 결합홈의 상기 접촉부에 밀착된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l joist with a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including a contact portion forming a space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an installation member coupled to the joist, and the metal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member. A metal joist comprising a screw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joist, and in a state where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joist, the scre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This is achieved through a bon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장선의 강도를 높이고, 부재를 결합할때 피스와 장선의 접합 접점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여, 하자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joist and increases the joint contact area between the piece and the joist when joining members, thereby enabling a solid connection, reducing defects and improving quality such as durability.

본 발명은 장선에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켜서 특정 지점에만 나사를 체결해야 하거나 또는 특정 지점을 피해서 나사를 체결해야 하는 경우에도 나사체결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rea where screws can be fastened to a joist, so that even when screws must be fastened only at specific points or screws must be fastened by avoiding specific points, the range of screw fastening is expanded, allowing workers to perform work smoothly.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 결합구조가 적용된 마루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금속재 장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 결합구조의 일예로서 마루널이 금속재 장선에 체결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의 다른 적용예로서 서로 인접한 장선들을 장선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선과 장선연결브라켓이 체결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의 다른 형태로서 2개의 장선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데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되는 금속재 장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홈의 중앙 지점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도 12에 도시된 금속재 장선에 나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floor frame to which a metal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joist used in a metal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board fastened to a metal joist as an example of a metal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djacent jois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joist connection bracke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the joist of Figure 5 and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are fasten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connecting two jois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coupling groove of Figure 9.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rew is coupled to the metal joist shown in Figure 12, which can be applied to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실내 체육관 등의 마루바닥의 하부틀, 실외 목재데크의 하부틀 및 벽면의 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하부틀에서의 금속제 장선(10)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structure of metal joists (10) in the lower frame of a floor in an indoor gymnasium, etc., a lower frame of an outdoor wooden deck, and a lower frame for attaching finishing materials to a 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10) 결합구조가 적용된 마루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10)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금속재 장선(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10) 결합구조의 일예로서 마루널(100)이 금속재 장선(10)에 체결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floor frame to which the metal joist 10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ure 2 is a metal joist (10) used in the metal joist 10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floor board 100 is fastened to the metal joist 10 as an example of a metal joist 10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3.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재 장선(10)의 결합구조는 결합홈(12)이 형성된 금속재 장선(10)(이하 '장선(10)'이라 함)과 금속재 장선(10)에 체결되는 나사(1)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etal joist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joist 10 in which a coupling groove 12 is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joist 10'). ) and a screw (1) fastened to a metal joist (10).

장선(10)은 위쪽의 상면(11)과 양측의 측면(15)들로 구성되며 아래쪽은 개방된 구조이다. 상면(11)과 측면(15)들은 금속재가 굽힘가공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장선(10)은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며, 대표적으로는 철재 재질로 형성된다.The joist 10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11 and side surfaces 15 on both sides, and the lower part is open. The top surface 11 and the side surfaces 15 are formed as one piece by bending a metal material. The joist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typically made of a steel material.

장선(10)의 상면(11)에는 장선(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직선으로 연장된 결합홈(12)을 가지며, 결합홈(12)은 소정의 깊이를 갖는다. 결합홈(12)은 위쪽은 폭이 넓고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장선(10) 아래쪽의 폭이 좁은 부분을 접촉부(13)로 지칭한다. 이러한 결합홈(12)의 단면의 형상은 대략 영문자 "브이(V)"의 형상과 유사하다. 장선(10)의 측면(15)에도 상면(11)과 마찬가지 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11 of the joist 1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st 10, and the coupling grooves 12 have a predetermined depth. The coupling groove 12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wide at the top and relatively narrow at the bottom. The narrow portion below the joist 10 is referred to as the contact portion 1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is coupling groove 12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V”. A coupling groove 12 of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11 is formed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결합홈(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접촉부(13)는 마루널(100) 등의 부재를 장선(1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1)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결합홈(12)에 나사(1)가 결합할 때에 나사(1)의 나사산은 결합홈(12)의 위쪽에는 걸리지 않지만 아래쪽의 접촉부(13)에는 걸리게된다. 다시 말하면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공간의 폭은 체결될 나사(1)의 외경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위쪽의 공간의 폭은 나사(1)의 외경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즉 나사(1)가 위쪽에서 아랫방향으로 결합홈(12)에 진입할 때에 결합홈(12)의 위쪽에서는 나사(1)가 걸리지 않지만 아래로 내려오면서 접촉부(13)에 도달하면 나사가 접촉부(13)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1)를 접촉부(13)의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나사(1)를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외력을 가해주어야만 나사(1)가 접촉부(13)를 통과할 수 있다. 결합홈(12)의 단면의 형상이 대략 영문자 "브이(V)"의 형상이기 때문에 위쪽의 공간은 폭이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공간의 폭이 좁아지는 것이다. 영문자 "브이(V)"의 형상의 결합홈(12)은 따라서 장선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게 된다.The contact portion 13 located below the coupling groove 12 has a smaller dimension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for fixing a member such as the floor board 100 to the joist 10. Therefore, when the screw 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 the thread of the screw 1 is not caught on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groove 12, but is caught on the contact portion 13 below.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space of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is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to be fastened, and the width of the space above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is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to be fastened. ) has a wider width than the outer diameter. That is, when the screw (1) enters the coupling groove (12) from top to bottom, the screw (1) is not caught at the top of the coupling groove (12), but when it moves down and reaches the contact portion (13), the screw (1) enters the coupling groove (12) from the top to the bottom. 13). Therefore, in order to move the screw 1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13, an external force that causes the screw 1 to move downward must be applied so that the screw 1 can pass through the contact portion 13.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2 is roughly in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V,” the space at the top is wide and the width of the space becomes narrow as it goes down. The engaging groove 12 in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V" therefore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joist.

장선(10) 상면(11)의 결합홈(12)은 다수개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한 개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joist 10 are formed, and an appropriate number can be formed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ly one.

장선(10)의 측면(15)에 형성되는 결합홈(16)은 앞서 설명한 장선(10) 상면(11)의 결합홈(12)과 유사하며 다만 결합홈(16)의 단면의 형상이 영문자 "유(U)"자에 유사하다. 결합홈(16)의 외측은 폭이 넓고 결합홈(16)의 내측은 나사(1)의 외경보다 폭이 좁은 접촉부(17)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6)의 단면 형상이 대략 영문자 U자에 가깝기 때문에 결합홈(16)의 내측의 접촉부(17)는 결합홈(16)의 안쪽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다. The coupling groove 16 formed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is similar to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upper surface 11 of the joist 10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6 is written in English. It is similar to the letter “U”.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6 is w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6 is formed with a contact portion 17 whose width is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Here,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6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English letter U, the contact portion 17 inside the coupling groove 16 has approximately the same width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16.

이하 본 발명의 금속재 장선(10) 결합구조에서 장선(10)에 마루널(100)(부재)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ixing the floor board 100 (member) to the joist 10 in the metal joist 10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장선(10)의 상면(11)에 마루널(100)을 포개어 놓고 마루널(100)에 형성된 체결구멍(101)에 나사(1)를 삽입한다. 이때 마루널(100)의 체결구멍(101)은 나사(1)선이 형성된 나사축(2)은 통과시키지만 나사(1)의 머리는 걸려서 통과하지 크기로 형성된다. The floor planks 100 ar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11 of the joist 10 and the screws 1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101 formed in the floor boards 100.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101 of the floor board 100 is formed to a size that allows the screw shaft 2 on which the screw 1 line is formed to pass, but does not allow the head of the screw 1 to pass through.

마루널(100)의 체결구멍(101)을 통과하여 장선(10)의 결합홈(12)으로 진입한 나사축(2)은 결합홈(12)의 위쪽부분은 통과하지만 결합홈(12)의 아래쪽의 접촉부(13)에는 걸리게 된다. 이렇게 나사축(2)의 나사선이 접촉부(13)에 걸린 상태에서 작업자가 아랫방향으로 나사(1)를 밀어주면서 동시에 나사(1)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나사산이 접촉부(13)의 내측 양쪽면을 긁어서(마찰하면서) 나사산이 자리잡을 수 있는 홈을 형성하게 되고 그 접촉부(13)의 내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나사(1)선이 회전하면서 나사(1)는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결합홈(12)의 저면을 뚫어서 장선(10)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장선(10)에 나사(1)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장선(10)의 결합홈(12)의 저면에 형성되는 구멍은 그 내측면(15)이 나사(1)의 나사선과 나사결합을 하는 상태가 된다.The screw shaft (2), which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01) of the floor board (100) and enters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passe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groove (12) but does not pass through the coupling groove (12). It is caught in the lower contact part 13.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screw (1) downward and simultaneously rotates the screw (1) in a state where the thread of the screw shaft (2) is caught in the contact part (13), the rotating screw thread is attach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contact part (13). By scraping (rubbing), a groove is formed into which the screw thread can be positioned, and as the screw (1) line rotates along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 the screw (1) descends downward to the coupling groove (12). )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joist (10) by drilling the bottom of the joist (10) to form a hole in the joist (10). The inner surface 15 of the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is screwed with the thread of the screw 1.

접촉부(13)의 내면을 나사산이 마찰할 때에 접촉부(13)의 내면에는 반드시 홈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사산이 접촉부(13) 내면과 마찰할때에 내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나사산과 내면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나사(1)는 결합홈(12)의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When the screw thread rub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3, a groov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13. When the screw thread rub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 even if a groove is n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screw (1)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2) due to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crew thread and the inner surface.

나사(1)의 뾰족한 나사(1)끝이 결합홈(12)의 아래쪽 저면에 도달하면 뾰족한 나사(1)끝이 저면을 뚫어서 장선(10)에 구멍을 형성하며 그 구멍에 나사(1)가 나사(1)결합되는 것이다. When the pointed end of the screw (1) reaches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2), the pointed end of the screw (1) pierces the bottom to form a hole in the joist (10), and the screw (1) is inserted into the hole. It is connected by screw (1).

본 실시예에서는 장공의 결합홈(12)의 저면에 별도로 나사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장선(10)의 결합홈(12)의 저면에 나사구멍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나사구멍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구멍이 복수개가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나사구멍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나사(1)를 체결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orm in which no separate screw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ng coupling groove 12 is described, but if necessary, a screw hole may be formed in advance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may be formed. If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the user can fasten the screw (1) by selecting the screw ho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앞서 장선(10)에 고정되는 설치부재로서 마루널(100)을 예를 들었으나, 장선(10)에 결합되는 설치부재는 마루널(100)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Previously, the floor board 100 was given as an example as an installation member fixed to the joist 10, but the installation member coupled to the joist 10 is not limited to the floor board 100 and can be of various forms.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장선(10)의 결합구조는 이하의 장점이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etal jois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장선(10)에 나사(1)의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나사(1)와 장선(10)이 접촉하는 부분은 장선(10)의 나사구멍만이 아니라 접촉부(13)의 양측의 내면의 일부분도 함께 나사(1)와 밀착하여 접촉하고 있다. 장선(10)의 결합홈(12)에 나사(1)가 체결되었을 때에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양측의 내면의 일부분이 나사(1)에 밀착되어 접촉하는 이유는, 장선(10)의 결합홈(12)에 나사(1)가 체결될 때에 장선(10)의 결합홈(12)의 접촉부(13)를 나사(1)가 통과하게 되는데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공간의 폭은 나사(1)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나사(1)는 접촉부(13)를 양측으로 강제로 벌리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선(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서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나사(1)가 통과하면서 강제로 벌어진 접촉부(13)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오므려지려할 것이고 접촉부(13)가 오므려지는 힘에 의해 접촉부(13)는 나사(1)의 양측을 가압하고 그 결과 나사(1)에 밀착되는 것이다.1)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1) is completely fastened to the joist (1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crew (1) and the joist (10) is not only the screw hole of the joist (10) but also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13). A portion of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1). When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1 because the joist ( When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the screw (1) passes through the contact part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Since the width of the spac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the screw 1 moves downward while forcibly spreading the contact portion 13 to both sides. Here, since the joist 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the contact portion 13 that is forcibly opened as the screw 1 passes through will tend to retract due to the nature of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contact portion 13 Due to the retracting force, the contact portion 13 presses both sides of the screw 1 and as a resul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1.

이에 더해서 장선(10)의 접촉부(13)의 양측의 내면에는 나사(1)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나사산이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장선(10)과 나사(1)는 장선(10)의 나사구멍 및 장선(10)의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내면에 모두 밀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장선(10)에 대한 나사(1)의 고정력은 증대되게 되며, 외력에 저항하는 힘이 커져서 장선(10)에 대한 나사(1)의 체결력이 증대되고 또한 장선(10)에서 나사(1)가 잘 빠지지 않는다. 또한 장선(10)에 대하여 나사(1)가 접촉하는 부분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장선(10)에 대하여 나사(1)를 좀 더 강하게 조여줄 수 있어서 결국 더욱 증대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joist 10 dur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screw 1, and since the screw thread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the joist 10 and the screw 1 are ultim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the screw hole of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are in close contact. Accordingly, the fastening force of the screw (1) to the joist (10) increases, and the force to resist external force increases, so the fastening force of the screw (1) to the joist (10) increases, and also the screw (1) from the joist (10) increases. does not fall out easily. In addition, because the contact area of the screw 1 with the joist 10 increases, the screw 1 can be tightened more strongly with respect to the joist 10, ultimately resulting in a further increased fastening force.

2) 나사(1)체결의 작업이 힘이 덜 들어간다. 기존 장선 결합구조는 장선(10)의 상면(11)에 단순히 나사(1)를 체결하는 것이어서 나사(1)를 아랫방향으로 강하게 눌러주면서 나사(1)를 회전시켜야만 장선(10)의 상면(11)을 뚫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나사(1)가 회전할때에 장선(10)의 결합홈(12)의 접촉부(13)의 내면을 나사산이 파고들면서 나사(1)를 아래로 하강시키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나사(1)를 아랫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을 작게하더라도 나사(1)가 장선(10)에 구멍을 뚫을 수가 있다. 따라서 나사(1)가 장선(10)에 구멍을 뚫는 작업에 힘이 덜 들어가게 된다.2) Fastening the screw (1) requires less force. The existing joist coupling structure simply fastens the screw (1) to the upper surface (11) of the joist (10), so the screw (1) must be rotated while strongly pressing the screw (1) in the downward direction. ) was able to penetrat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rew (1) rotates, the screw thread penetrate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and a force is generated to lower the screw (1) downward. Even if the force pressing 1) downward is small, the screw (1) can make a hole in the joist (10). Therefore, less force is required for the screw (1) to drill a hole in the joist (10).

3) 장선(10)의 결합홈(12)은 장선(10)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결합홈(12)의 어떤 지점에도 나사(1)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선(10)에 나사(1)를 체결하는 지점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3) The coupling groove 12 of the joist 10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st 10 extends, and the screw 1 can be fastened to any point of the coupling groove 12, so the screw 1 can be attached to the joist 10. ), the user can freely select the point where the connection is fasten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의 다른 적용예로서 서로 인접한 장선들을 장선연결브라켓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장선과 장선연결브라켓이 체결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djacent joist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joist connection bracket a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jois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portion where the joist of Fig. 5 is fastened to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장선연결브라켓(30)은 서로 인접한 장선(10)들의 이격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가운데에 연결부(31)가 형성되고 연결부(31)의 양측 단부에는 연결부(31)에서 수직으로 꺾여져서 연장되는 판재구조의 결합편(32)이 형성된다.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is us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adjacent joists 10, and is made of metal. A connection part 3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connection parts 3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31. A connecting piece 32 of a plate structure that extends by being bent vertically is formed.

결합편(32)에는 나사체결공(34)이 형성되고, 결합편(32)을 장선(10)의 측면(15)에 밀착시킨 후 결합편(32)의 나사체결공(34)을 통해 장선(10)의 측면(15)의 결합홈(16)에 나사(1)를 체결함으로써 장선연결브라켓(30)이 장선(10)에 고정된다. 이 때 나사(1)는 결합편(32)을 관통하여 장선(10) 측면(15)의 결합홈(16)에 고정된다. A screw fastening hole 34 is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32, and the coupling piece 3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15 of the joist 10, and then the joist is connected through the screw fastening hole 34 of the coupling piece 32.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is fixed to the joist (10) by fastening the screw (1) to the coupling groove (16) on the side (15) of (10). At this time, the screw 1 penetrates the coupling piece 32 and is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16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장선(10)의 측면(15)에 형성된 결합홈(16)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유자형 단면을 가지며 결합홈(16)의 내측부분은 나사(1)의 외경보다 폭이 좁은 접촉부(17)를 가지므로, 결합편(32)을 나사(1)를 통해 장선(10) 측면(15)의 결합홈(16)에 체결하면 나사(1)가 장선(10)의 결합홈(16)의 안쪽을 관통하여 나사(1)체결이 완료되며, 나사(1)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나사(1)의 외측부분이 결합홈(16)의 접촉부(17)와 밀착하는 상태가 되어 체결력의 증가를 가져온다. 나사(1)가 장선(10) 측면(15)의 결합홈(16)에 체결되어 체결력의 증가를 가져오는 효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선(10)의 상면(11)의 결합홈(12)에 나사(1)를 체결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coupling groove 16 formed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has a U-shaped cross-s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part of the coupling groove 16 has a contact portion 17 whose width is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Therefore, when the coupling piece 32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6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through the screw 1, the screw 1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joist 10. Thus, the fastening of the screw (1) is completed, and in the state where the fastening of the screw (1) is completed, the outer part of the screw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7) of the coupling groove (16), resulting in an increase in fastening force. Details of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y fastening the screw 1 to the coupling groove 16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are show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1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ince it is the same as fastening the screw (1) to the coupling groove (12) of (11),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따라서 장선(10)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선연결브라켓(30)을 통해 서로 인접한 장선(10)들을 연결할 경우 장선(10) 측면(15)의 결합홈(16)에 나사(1)가 결합되면 나사(1)와 장선(10)의 사이의 앞서 설명한 접촉지점의 증대를 통해 향상된 체결력이 발생하며 나사(1)의 풀림이나 이격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when connecting adjacent joists (10) through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joists (10), the screw (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 on the side (15) of the joist (10). ) is combined, an improved fastening force occurs through an increase in the contact point described above between the screw (1) and the joist (10), and loosening or separation of the screw (1) rarely occurs.

또한 본 발명의 장선 결합구조는 멍에 없이 시공이 가능하여 원가 절감과 함께 시공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joist joi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out a yoke, which can reduce costs and increase the speed of constru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의 다른 형태로서 2개의 장선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데 적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connecting two jois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장선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도 7과 같이 장선(10)이 연장되는 길이방향으로 그 다음의 장선(10)과 서로 인접하는 부분에 장선연결브라켓(30)을 통해 2개 장선(10)의 인접한 양단 부분을 각각 장선연결브라켓(30)의 결합편(32)에 나사(1)로 체결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2개의 장선(1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선연결브라켓(30)의 한쪽 단부의 결합편(32)을 통해 2개의 장선(10)들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장선연결브라켓(30)의 반대쪽 단부는 폭방향으로 인접한 장선(10)의 소정 지점에 연결함으로써 2개의 장선(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접한 장선(10)들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장선(10)들을 연결하는 것이 함께 달성된다. By applying the joist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wo joists (10) are connected to the next jois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joist (10) extends through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Two joists (10) can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astening both adjacent end portions of each to the coupling piece (32) of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with screws (1). That is, two joists (10)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coupling piece (32) at one end of on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opposite end of the joist connection bracket (30) is connected to a joist (10)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By connecting at a predetermined poin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two joists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connect the joists 10 to maintain a certain separation distance from adjacent joists 10 in the width direction.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장선(10)에 나사(1)를 체결할 때에 나사(1)의 나사산이 결합홈(16)의 내측의 폭이 좁은 접촉부(17)에 억지로 밀착한 상태로 나사(1)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선(10) 체결 구조와 마찬가지로 나사(1)와 장선(10)의 사이의 접촉지점 또는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체결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견고한 체결이 가능해진다. In this case as well, when fastening the screw (1) to the joist (10), the screw (1) is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ead of the screw (1) is forci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narrow contact portion (17) inside the coupling groove (16). Because this is achieved, like the joist 10 fastening structur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ct point or contact area between the screw 1 and the joist 10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fastening force, and thus enabling solid fastening.

위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장선(10)의 결합구조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즉 "1) 마루틀 하부 철재 장선(10)과 마루판(마루널(100)) 또는 합판 등 상부부재의 결합, 2) 벽 하부틀의 철재 장선(10)과 마감재의 합, 3) 외부 데크용 철재 하부틀과 그 위쪽의 데크와의 체결, 4) 다수개의 장선(10)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선연결편을 장선(10)과 체결하는데 적용, 5) 기타 장선(10)과 다양한 부재들 사이의 결합" 등 다양한 건축 시공 분야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etal jois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various forms as follows. That is, "1) the combination of the steel joist (10) at the bottom of the floor frame and the upper member such as floorboard (floor board (100)) or plywood, 2) the combination of the steel joist (10) of the lower wall frame and the finishing material, 3) for the external deck. Connection between the steel lower frame and the deck above it, 4) Application of the joist connection piece for connecting multiple joists (10) to the joist (10), 5) Connection between other joists (10) and various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rchitectural construction fields such as ".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나사(1)와 장선(10)의 접촉지점을 증대시키는 결합홈(12,16)의 형상을 영문자 브이(V)자형, 유(U)자형을 예로 들었으나, 결합홈(12,16)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선(10)을 관통하는 나사(1)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 또는 작은 폭을 갖는 접촉부(13)를 형성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다양한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s 12 and 16, which increas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crew 1 and the joist 10, is given as an example of the English letter V (V) shape and U (U) shape. ,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s 12 and 16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shapes that satisfy the conditions for forming the contact portion 13 having an inner diameter or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1 penetrating the joist 10. All can be appli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되는 금속재 장선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금속재 장선(110)은 결합홈(112)의 형상을 달리한 점에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FIG. 8, other types of metal joists 110 applied to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 in that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12 is different.

장선(110)의 상면(111)의 결합홈(112)은 결합홈(112)의 안쪽의 접촉부(113)가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결합홈(112)의 단면 형상이 영문자 "유(U)"자의 형상이다. 즉 결합홈(112)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장선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16)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영문자 "유(U)"자 형상의 결합홈(112)은 위쪽은 공간의 폭이 넓게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공간의 폭이 좁아지다가 이후 영문자 U자의 단면을 갖는 접촉부(17)에서는 공간의 폭이 동일하게 소정길이 유지되다가 반원형으로 공간이 수렴되게 된다.The coupling groove 112 of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joist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113 inside the coupling groove 112 has approximately the same wid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12 has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U”. That is, the coupling groove 11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upling groove 116 formed on the side of the joist in FIG. 2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roove 112 in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U" is formed with a wide space at the top, and the width of the space narrows as it moves downward, and then the width of the space becomes narrower at the contact portion 17, which has a cross section of the letter U. The same predetermined length is maintained, and then the space converges into a semicircle.

여기서 장선(110)의 U자 형상의 결합홈(112)의 접촉부(113)의 공간의 폭은 나사(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결합홈(112)에서 접촉부(113)의 위쪽의 공간은 전체 또는 최소한 일부분은 나사(1)의 외경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Here, the width of the space of the contact portion 113 of the U-shaped coupling groove 112 of the joist 1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and the space above the contact portion 113 in the coupling groove 112 is formed. The whole or at least part of the screw (1)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U자형 결합홈이나 V자형 결합홈이나 모두 나사축(2)의 직경이 동일한 것 및 나사축(2)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 중의 어떤 것을 사용해도, 접촉지점(접촉면적)의 증가를 가져와 체결력 향상의 효과가 발휘되는 점은 큰 차이는 없다. Regardless of whether a U-shaped coupling groove or a V-shaped coupling groove is used, both with the same diameter of the screw shaft (2) or with a reduced diameter of the screw shaft (2), the contact point (contact area)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clamping for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improvement effec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홈의 중앙 지점을 절개한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coupling groove of Figure 9.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선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금속재 장선(120)은 상면(121)의 결합홈(122)이 원추형에 가까운 형상이다. 원추형의 결합홈(122)도 장선(10)에 나사(1)체결시에 나사(1)의 나사산이 결합홈(122)의 내측의 원형의 내면에 소정의 폭만큼 밀착한 상태로 나사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장선 체결구조와 마찬가지로, 나사(1)와 장선(120)의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해진다. 즉 도 9의 장선(120)도 마찬가지로 원형의 결합홈(122)의 내측에는 나사(1)의 나사축(2)의 외경보다 폭이 좁은 접촉부가 마련되며 그 접촉부에 나사(1)의 나사산이 억지로 나사결합되면서 밀착되어 '장선(120)과 나사(1) 사이의 접촉지점 및 접촉면적의 증대'를 가져온다.As shown in Figures 9 and 10, another type of metal joist 120 used in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groove 122 of the upper surface 121 that is close to a cone shape. When fastening the screw (1) to the joist (10), the cone-shaped coupling groove (122) is also fastened with the thread of the screw (1)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la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22) by a predetermined width. Because this is done, like the joist fastening structure described in FIGS. 1 to 4,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crew 1 and the joist 120 is increased, thereby enabling robust fastening. That is, the joist 120 of FIG. 9 is also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shaft 2 of the screw 1 on the inside of the circular coupling groove 122, and the thread of the screw 1 is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 They are forcibly screwed together and come into close contac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ntact point and contact area between the joist 120 and the screw 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장선(130)의 결합홈(132)의 접촉부(133)는 나사(1)의 외경보다 폭이 좁은 부분으로서 본 형태의 경우에는 접촉부(133)가 결합홈(132)의 가장 아래쪽이 아니라 중간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장선(130)에 나사(1)를 체결하였을 때에 결합홈(132)의 중간지점의 접촉부(133)에서 나사(1)와의 추가적인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접촉지점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tact portion 133 of the coupling groove 132 of the joist 130 is a portion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and in this form, the contact portion 133 is of the coupling groove 132. It is formed in the middle, not at the bottom. In this case, when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joist 130, additional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1 is achieved at the contact portion 133 at the midpoint of the coupling groove 132,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ntact point.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 모두에 있어서, 장선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접촉부의 폭은 나사(1)의 외경보다 작지만, 장선의 재질에 따른 탄성을 고려하여 나사(1)를 진입시켜 조여주는데 소요되는 힘이 적당할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부의 폭은 장선의 재질이나 두께 그리고 결합홈의 형상마다 제각기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될 장선마다 적절한 횟수의 시행착오(나사를 체결하는 시험)를 통해 접촉부의 적절한 폭의 치수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In all of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s of metal joi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1 to 11,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joists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1, but considering the elasticit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joists The force required to enter and tighten the screw (1) is formed at a width that is appropriate. Since the width of the contact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joist and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the appropriate width of the contact area can be designed through an appropriate number of trials (screw fastening tests) for each joist to be used. .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재 장선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선 결합구조에 적용될 수 있는 도 12에 도시된 금속재 장선에 나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metal joist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screw in the metal joist shown in Figure 12 that can be applied to the joi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선의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장선(140)은 상면에 도 1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구성의 결합홈(142)을 틈새없이 연속하여 형성한 것이다. 장선(140)의 위에 마루널(100)이 올려지고 마루널의 위에 나사(1)가 장선(140)에 체결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s 12 and 13, the joist 140 used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jois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upling groove 142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formed in Figure 1 on the upper surface continuously without any gap. It was formed by doing so. The floor board 100 is placed on the joist 140, and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joist 140 on the floor board.

이와 같이 장선(140)의 상면에 다수개의 결합홈(142)들이 틈새없이 연속하여 형성된 구조에서는, 장선(140)의 어느 지점에 나사(1)를 체결하더라도 장선(140)의 다수의 결합홈(142)들 중의 어느 하나에 나사(1)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장선(140)의 상면에 다수의 결합홈(142)들을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장선(140)에 나사(1)가 체결될 수 있는 범위(영역)를 더욱 확장시키거나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장선(140)에 나사(1)를 체결할 수 있는 범위를 증가시키면 작업자에게 선택의 폭이 넓어져서 간혹 치수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면 꼭 특정 지점에만 나사(1)를 체결해야 하거나 또는 특정 지점을 피해서 나사(1)를 체결해야 하는 경우에도 나사체결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지므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wher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42 are formed continuously without ga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140, no matter where the screw 1 is fastened to the joist 140,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42) of the joist 140 ( The screw 1 may be fastened to any one of 142). That is, by continuousl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4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140, the range (area) in which the screw 1 can be fastened to the joist 140 is further expanded or increased. Increasing the range in which the screw (1) can be fastened to the joist (140) increases the range of choices available to the operator, so that if an error in dimensions occasionally occurs, for example, the screw (1) must be fastened only to a specific point or Even when the screw (1) must be tightened by avoiding a specific point, the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because the range where the screw can be fastened is expanded.

1 나사
2 나사축
10, 110, 120, 130, 140 장선
11 상면
12, 16 결합홈
15 측면
13, 17 접촉부
30 장선연결브라켓
32 결합편
100 마루널
1 screw
2 screw shaft
10, 110, 120, 130, 140 joists
11 upper surface
12, 16 joining groove
15 side
13, 17 contact area
30 Joist connection bracket
32 Combination
100 floor boards

Claims (4)

체결되는 나사의 외경보다 좁은 폭의 공간을 형성하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의 위쪽은 상기 나사의 외경보다 넓은 폭의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이 일면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장선;
상기 장선에 결합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금속재 장선의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상기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장선의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는 상기 결합홈의 상기 접촉부에 밀착된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
A joist made of metal having a contact part that forms a space narrow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to be fastened,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part to form a space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w;
An installation member coupled to the joist; and
It includes the screw that passes through the installation member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etal joist,
A coupling structure of a metal jois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joist, the scre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단면은 영문자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
According to clause 1,
A coupling structure of a metal j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is V-shaped or U-sha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가 상기 장선의 상기 결합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나사를 측방향에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가 상기 결합홈의 상기 접촉부에 밀착되어 상기 장선에 대한 상기 나사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With the screw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joist,
A coupling structure of a metal joi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rt of the coupling groove by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pressing the screw in a later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screw to the jo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장선의 상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장선의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upling structure of a metal jois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continuous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KR1020220144132A 2022-11-02 2022-11-02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KR202400625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32A KR20240062520A (en) 2022-11-02 2022-11-02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32A KR20240062520A (en) 2022-11-02 2022-11-02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520A true KR20240062520A (en) 2024-05-09

Family

ID=9107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132A KR20240062520A (en) 2022-11-02 2022-11-02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5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467B2 (en) Decking system with clip apparatus
US9976298B2 (en) Concealed structural pos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CA1042621A (en) Pressed-in dovetail type joint
US5251996A (en) Element for connecting two parts
US6675544B1 (en) Composite wood panels having tongue and groove edges
US20050028473A1 (en) Hidden deck fastener system
KR101170293B1 (en) Hidden clip for fixing the wood panels and fixing structure for wood panels using the same
KR20240062520A (en)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DE202006006672U1 (en) Fastening device for floor boards has slots between the boards to fasten them on a substructure for floor coverings on terraces, balconies or outer wall cladding
KR20230158270A (en) floor joist fixing structure
EP1746218B1 (en) Panel, particularly a floor panel
US20220056692A1 (en) Tongue-and-groove panel for improved interpanel fit
DE3734797C2 (en)
EP0619406B1 (en) Clamping wedge for laying parquet planks
JP5171552B2 (en)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JP4570498B2 (en) Member connector
KR102321284B1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JP4080419B2 (en) Mounting structure of the joint fitting at the beam-column joint
JP2019143336A (en) Connection structure
KR102034843B1 (en) Coupling device for wood deck, wood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689198A1 (en) Asymmetrical engineering flooring nail
DE10118256A1 (en) Flooring panel of tenoned wood core, has tenon angled out of core towards underside and beveled lip towards groove here recessed for opposing tenon nosing so panels keep locking tight together as laid.
JP3816943B1 (en) Equipment for joining structural members of wooden buildings
KR102486808B1 (en) Panel Bonding Structure with Easy Processing and Strong Bonding Force
JP2009156014A (en) Structure of preventing denting of wood due to abutment of machine scr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