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301A -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301A
KR20240062301A KR1020220142162A KR20220142162A KR20240062301A KR 20240062301 A KR20240062301 A KR 20240062301A KR 1020220142162 A KR1020220142162 A KR 1020220142162A KR 20220142162 A KR20220142162 A KR 20220142162A KR 20240062301 A KR20240062301 A KR 2024006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d
server
use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브로소프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브로소프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브로소프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4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301A/ko
Publication of KR2024006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2CAD in a network environment, e.g. collaborative CAD or distributed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웹캐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드서버에는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된 권한데이터베이스(30)가 연결되어, 사용자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인 단말캐드와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간 도면정보 처리에 있어서 객체별 속성정보에 따라 가용한계가 설정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별 도면정보 처리가 통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웹캐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웹캐드 서비스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브라우저 종속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웹캐드의 보급 및 활용도를 제고하고, 제품 설계 및 생산 전반에 있어서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VARIABLE PERMISSION TYPE WEB CAD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웹캐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드서버에는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된 권한데이터베이스(30)가 연결되어, 사용자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인 단말캐드와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간 도면정보 처리에 있어서 객체별 속성정보에 따라 가용한계가 설정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별 도면정보 처리가 통제되는 것이다.
웹캐드(web CAD) 서비스는 개별 컴퓨터에 전용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지의 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를 연결하여 온라인상에서 CAD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6-125399호 등을 들 수 있다.
즉, 공개특허 제2006-125399호를 비롯한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는 도면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개별 사용자 컴퓨터에 도면정보를 직접 처리하는 고가의 캐드 소프트웨어를 각각 설치하지 않고도 실행 가능한 캐드 서비스로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함에 따라, 당해 서버에서 구동되는 웹캐드 프로그램이 사용자 컴퓨터가 요구하는 도면정보를 처리하고, 개별 사용자 컴퓨터는 도면정보의 처리과정 및 처리결과를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에 있어서, 도면정보 처리의 수요자인 개별 사용자 컴퓨터에는 당해 컴퓨터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이자 범용 프로그램으로서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이 브라우저가 웹캐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지의 서버에 클라이언트(client)로서 연결되며, 개별 사용자 컴퓨터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작동하고, 상기 서버에 서버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된 웹캐드 서비스 프로그램에 접속되면,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부가 기능을 기반으로 웹캐드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도면정보가 사용자 컴퓨터에서 출력 내지 구현된다.
특히, 개인용 컴퓨터의 처리 용량 및 연산 속도 등 성능은 물론 인터넷 통신 속도가 비약적으로 발전되고,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전통적인 개별 설치형 캐드 프로그램과 대비하여도, 웹캐드 서비스가 충분한 처리 속도 및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써 설치 및 유지 비용 절감, 보안 확보 등 웹캐드 서비스의 이점이 일익 부각되고 있다.
또한, 웹캐드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주체는 물론 사용자 전체의 인터넷 연결을 전제로 수행되는 바, 다수 사용자간 의사소통 및 정보유통 등 협업이 용이하며, 이러한 협업이 도면정보의 처리와 동시 내지 동반하여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렇듯, 공개특허 제2006-125399호를 비롯한 웹캐드 서비스를 통하여, 전통적인 개별 설치형 캐드 소프트웨어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환경이라면, 도면정보를 직접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없이도 도면정보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웹캐드 서비스를 매개로한 다수 사용자간 협업 역시 가능하게 되었으나, 이러한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는 실제 협업 적용시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에서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가 통상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서와 같이 적격 인증을 통하여 웹캐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소기의 도면정보에 대한 접근, 생성, 수정, 복사, 삭제 및 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웹캐드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초기 접속 과정에서 수반되는 적격 인증에 대한 효율성 및 보안에 주안점이 두어져 있을 뿐, 실제 도면정보 처리 과정상 세부 단계 또는 구성에 대한 권한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는 웹캐드를 활용한 제품의 설계 및 제조 전과정에 걸친 협업 체계 구축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에서도 그 세부 기능에 있어서 다수 적격 사용자간의 협업이 상정되고 있으며, 일례로 전술한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제2006-125399호에서도 웹캐드 실행 화면상 제공되는 사용자간 실시간 채팅 기능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간 채팅은 별도의 PIP(Picture-in-picture)형 메신저 프로그램을 병용하는 방식과 기능상 차이점이 없을 뿐 아니라, 실시간 의사 전달 이외에는 협업상 특별한 효과를 발현하지도 않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종래 웹캐드의 소통 보조 기능은 웹캐드가 동일 공종 내지 공정상 다수 사용자 예컨데, 다수의 설계자가 동일 제품의 설계에 참여하고 이들 다수 설계자가 동시에 접속하는 극히 특수한 조건에서만 활용 가능한 것이며, 그 실질적 기능 역시 별도의 일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바, 다양한 공종 참여자간 유기적인 협업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그 실효성이 극히 미미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웹캐드 서비스의 협업 지원 기능상 미비점은 웹캐드의 태생적 한계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종래의 웹캐드는 전통적인 개별 설치형 캐드의 설치 및 유지상 도출되는 비용 및 부정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인 바, 사용자의 적격성만 확인되면 전통적인 개별 설치형 캐드의 기능이 일괄 수행될 뿐 각 사용자의 개별적인 요구 및 실제 세부 기능 수행상 필요한 요구는 경시되었던 것이다.
즉,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개별 설치형 캐드 프로그램의 운용에 수반되는 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캐드 프로그램을 일종의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로 판매함으로써 개별 설치형 캐드 프로그램의 무단 복제 등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당초 다수 사용자간 협업에 대한 고려는 사실상 전무하였으며, 단지 서비스 접속 과정에서 사용권을 구매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함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이렇듯, 웹캐드는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경제적 필요에 따라 개발 및 보급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성이 부여된 일련의 도면정보에 접속하는 특유의 기본적 특성으로 인하여, 점차 다수 사용자가 협업에 응용되게 되었으며, 특히, 제품 설계 및 생산 과정의 다양한 공종(工種) 및 공정에 참여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웹캐드를 활용하여 협업함으로써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는 협업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캐드 프로그램의 서비스형소프트웨어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것인 바, 기초적인 의사 전달 기능을 상회하는 협업 지원 기능이 전무하였으며, 특히 제품 설계 및 생산 과정상 다양한 공종 및 공정에 참여하는 개별 사용자에 특화된 협업 지원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공종 및 공정상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웹캐드의 활용 방식에 충분히 부응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공종 및 공정별 사용자에 대한 차등적 권한 부여도 불가능하여 심각한 보안상 문제점이 도출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별 특화 기능 미비 및 보안상 한계로 인하여 웹캐드 서비스 특유의 장점이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됨에 따라, 웹캐드 보급은 물론 관련 산업의 발전이 지체되고, 제품 설계 및 생산 전반에 있어서의 생산성 및 효율성 저하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특히, 공개특허 제2006-125399호를 비롯한 종래의 웹캐드 서비스는 웹표준(web standards) 정보의 처리를 기본 기능으로 제작된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바, 도면정보의 처리에 있어서 상당한 장애가 빈발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시로 플러그인(plug-in)이 장착되거나, 기능 패치 내지 부프로그램(sub-program) 또는 프로그램모듈 형식으로 브라우저에 대한 개조가 반복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브라우저 기반 웹캐드에 있어서 반복되는 브라우저 개조는 브라우저를 비롯한 웹캐드 서비스 실행상 상당한 비효율성을 야기할 뿐 아니라, 막대한 전산자원 소모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브라우저는 웹캐드 뿐 아니라 여타의 웹기반 서비스를 수시로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인 바, 이로 인한 별도의 개조 역시 반복됨에 따라. 개조 사항의 상호 충돌 가능성이 상존할 수 밖에 없이며, 이는 웹캐드는 물론 여타의 웹기반 서비스 수행에 있어서 심각한 오류를 야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면정보 전달 및 처리상 브라우저를 배제하면서도 협업 효율성 및 보안 확보가 용이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웹캐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과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단말캐드가 탑재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서버(20)에는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가 탑재되며, 캐드서버에는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된 권한데이터베이스(30)가 연결되어,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사용자 식별정보와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접속단계(S10)와, 캐드서버가 작업정보에 대응되는 도면정보 원본을 복제하여 복제본인 도면정보를 생성하며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고 권한정보를 인출하여 도면정보내 객체별 속성정보에 가용한계를 설정하는 복제단계(S20)와, 캐드서버가 도면정보를 단말캐드로 전송하고 단말캐드가 캐드서버로 객체별 속성정보를 전송하는 작업단계(S30)와, 캐드서버가 전송된 객체별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별 가용한계에 부합되면 도면정보내 당해 객체의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수정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도면정보내 개별 객체에 직접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객체별 속성정보 중 층서정보 또는 기하정보내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단계(S10)가 컴퓨터(10)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캐드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접근웹페이지(29)에 접속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요청단계(S11)와, 식별정보가 유효할 경우 캐드서버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임시 식별정보로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하는 수락단계(S12)와, 상기 브라우저가 접근웹페이지(29)에 권한정보를 입력하고 캐드서버가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갱신하는 설정단계(S13)와, 컴퓨터(10)에서 별도로 가동된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맥어드레스를 사용자 식별정보로 전송하며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연결단계(S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웹캐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웹캐드 서비스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브라우저 종속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웹캐드의 보급 및 활용도를 제고하고, 제품 설계 및 생산 전반에 있어서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제품 생산의 다양한 공종 및 공정에 참여하는 다수 사용자에 대하여 개별적인 권한을 차등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면정보에 대한 다수 사용자의 접근 및 처리를 적절하게 보장하면서도 당해 도면정보의 효용성 및 활용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안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에게 부여된 도면정보에 대한 처리 권한을 기능별로 차등 적용함은 물론, 영역별 또는 객체별로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도면정보 접근 제약에 따라 다수 사용자간 협업상 발생될 수 있는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별 권한 차등 설정에 있어서, 웹캐드 서비스 접속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일시적 사용자 지위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면정보 활용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의 보안 역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단계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위 권한정보 적용 복제단계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위 권한정보 적용 복제단계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단계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 시스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 스마트폰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과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와, 역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컴퓨터(10)와 연결되는 서버(20)와, 이 서버(20)와 연결되고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되는 권한데이터베이스(30) 등에 의하여 수행된다.
사용자 컴퓨터(10)에는 당해 컴퓨터(10) 운영체계의 응용프로그램이자 후술할 캐드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단말캐드가 탑재되며, 이 단말캐드는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반 브라우저와는 구분되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의 수행과정에서 서버(20)와의 통신, 도면정보의 전달 및 도면정보의 시각적 구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수행하는 단말캐드에는 다수의 심층적 기하정보가 포함되는 도면정보의 원활하고 정확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웹표준에 부합되지 않는 다양한 형식의 전자문서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부여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웹캐드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주체는 서버(20)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0)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단말캐드와 연결되어 도면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가 설치되며,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드서버가 구축되는 서버(20)는 클라우드 서버(20) 형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전산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와 연결되는 사용자 컴퓨터(10) 역시 통상의 데스크탑 컴퓨터는 또는 휴대가 가능한 랩탑 컴퓨터는 물론 무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터치스크린 정보기기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캐드서버와 연결되는 권한데이터베이스(30)는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도 1의 도면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서버(2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기기에 구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20)의 자체 기억장치는 물론, 서버(20)와 연결된 별도의 스토리지(storage)에 구축될 수도 있는 것으로, 서버(20)에 탑재된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구축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권한서버(20)는 캐드서버와 유기적이고 긴밀하게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캐드서버는 후술할 본 발명의 각 단계별 수행과정 전반에 있어서, 권한서버(20)를 자유롭게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컴퓨터(10)에 응용프로그램으로서 탑재된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사용자 식별정보와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접속단계(S10)로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계(S10)에 있어서 단말캐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데, 접속단계(S10)에서는 단말캐드 탑재 컴퓨터(10) 사용자의 적격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정보와 작업정보를 사용자가 단말캐드에 입력함에 따라 입력된 식별정보와 작업정보가 캐드서버로 전송되며, 전송된 식별정보와 작업정보가 유효할 경우 캐드서버는 상기 단말캐드와의 통신로(session)을 개설 및 유지하게 된다.
접속단계(S10)에서 단말캐드로부터 캐드서버로 식별정보와 동반 전송되는 작업정보는 후술할 도면정보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그 구체적인 형식으로는 제도(製圖) 대상 사업명(project title), 공종명(work class) 또는 도엽명(sheet nam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제도 대상 제품(product) 또는 부품(part) 등을 들 수 있다.
즉, 접속단계(S10)에서의 사용자 컴퓨터(10) 화면을 예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적격성을 확인할 수 있는 ID 및 패스워드 등의 식별정보를 컴퓨터(10)가 캐드서버로 전송하면 캐드서버가 당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프로젝트내 도엽 목록 등을 컴퓨터(10)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캐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캐드를 실행시킨 후 도 3의 도면 중 배후에 도시된 화면에서와 같이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캐드서버가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한 후, 동 도면의 전면(前面) 도시 화면에서와 같이 당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도면정보를 수지상(樹枝狀) 목록 형식 등으로 사용자 컴퓨터(10)로 전송하고 단말캐드는 이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렇듯, 작업정보는 사용자의 필요 또는 제도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부여되는 도면 구분용 정보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위 분류에서 하위 분류로 구분되는 계층적 내지 수지상 체계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지위의 다수의 카테고리 형식으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작업정보 처리의 수락 여부는 사용자별 식별정보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즉, 접속단계(S10)에서 단말캐드가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작업정보를 캐드서버로 전송하면 캐드서버는 이를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1차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가 본 발명 웹캐드 서비스의 이용자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하고, 당해 식별정보에 부여된 지위에 따른 작업정보의 유효성을 2차 확인하여 도면정보에 대한 접근을 수락 또는 거부하는 것으로, 이때 식별정보에 부여된 사용자의 지위에 따라 전술한 작업정보상 계층적 구성에 입각한 정보 접근 수준이 캐드서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별정보 및 작업정보의 처리과정에서 제반 정보의 유효성 등의 확인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캐드서버가 조회함으로써 수행되며, 따라서 식별정보 및 작업정보 역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데, 다만 전술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별로 부여된 지위는 후술할 도면정보내 객체별로 설정되는 권한정보와는 구분되는 것으로서, 여기서의 지위는 해당 사용자가 작업정보로 특정되는 특정 사업(project) 또는 제품(product)관련 작업을 실제 수행하는 참여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듯, 접속단계(S10)와 완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캐드서버가 작업정보에 대응되는 도면정보의 원본을 복제하여 복제본인 도면정보를 생성하며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고 권한정보를 인출하여 도면정보내 객체별 속성정보(property data)에 따라 객체별 가용한계를 설정하는 복제단계(S20)가 수행된다.
즉, 복제단계(S20)에서는 접속단계(S10)에서 적격성이 확인된 사용자가 프로젝트내 도엽명 등을 입력함으로써 작업 대상 도면정보를 특정함에 따라 캐드서버가 해당 도면정보를 컴퓨터(10)로 전송하여 도면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에서 제공되는 도면정보는 캐드서버내 수록된 원본이 아니라 권한정보를 기초로 원본을 가공한 복제본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 특유의 복제단계(S20)를 통하여 도면정보 원본의 안정적인 보존 및 무결성 확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별 권한정보에 따라 도면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객체에 가용한계를 설정함으로써 다수 참여자간 협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보 유출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통상의 파일 복사에서는 원본과 복사본이 동일한 정보라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복제단계(S20)에서 도면정보의 원본이 가공되어 생성되는 복제본이 항상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인 것은 아니며, 도면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 자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권한정보에 따라 개별 객체에 부여되는 가용한계가 상이한 정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도면정보 원본에는 권한정보상 최상위 권한이 설정되어 객체별 사용단계 역시 최상위 단계로 설정되며, 도면정보의 복제본은 원본에 적용된 권한정보 및 사용단계 이하의 지위가 부여된다.
물론, 사용자의 권한정보가 최상위 권한으로 설정된 경우 복제단계(S20)에서 사용자 컴퓨터(10)의 단말캐드로 제공되는 도면정보의 복제본은 캐드서버에 수록된 도면정보 원본과 동일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제단계(S20)에서는 도면정보의 원본은 캐드서버에 존치한 상태에서 당해 작업시 활용될 도면정보를 복제본으로 별도 생성하여 제공하게 되는데, 이로써 전술한 보안 확보 및 오류에 따른 도면정보 훼손 방지 효과를 일층 강화할 수 있다.
한편,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도면정보내 개별 객체에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개별 객체에 대응되는 가용한계란 도면정보를 구성하는 선분(line) 또는 원(circle) 등의 개별 객체에 대하여 객체 자체의 활용을 통제하는 가용한계가 부여되는 것으로, 사용자별 권한정보에 따라 도면정보내 특정객체의 처리 작업을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면정보내 특정 객체에 부여되는 가용한계를 은폐, 열람(v, view) 및 수정(m, modify)의 단계로 설정하는 등의 방식을 들 수 있으며, 최하위 가용한계인 은폐의 경우 해당 객체 자체를 당해 사용자는 전혀 확인할 수 없고, 중간 가용한계인 열람(v)의 경우 해당 객체를 화면상 확인은 할 수 있으나 편집 또는 수정은 불가하며, 최상위 단계인 수정(m)의 경우 해당 객체에 대한 자유로운 편집, 수정, 이동, 복사 및 삭제가 가능한 방식이다.
이러한 사용자 권한정보에 따른 객체별 가용한계가 적용된 복제단계(S20) 실행 상황이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는데, 이들 도면은 각각 상이한 사용자의 본 발명 활용 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창호(窓戶)의 설계 및 제작 상황이 상정된 도면정보가 예시되어 있으며, 도 4는 최상위 권한정보가 부여된 사용자의 복제단계(S20) 실행 컴퓨터(10) 화면이고 도 5는 최상위 미만 권한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복제단계(S20) 실행 컴퓨터(10) 화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최상위 권한정보를 보유한 사용자 컴퓨터(10)에서 사용자가 포인터로 특정 객체를 지정하여 속성정보를 조회하면, 당해 객체의 속성정보가 팝업(pop-up) 출력되는데, 동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속성정보의 세부 항목 전단부에 표시되는 가용한계가 모두 최상위 단계인 수정(m)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5에서와 같이, 최상위 미만의 하위 권한정보를 보유한 사용자 컴퓨터(10)에서 사용자가 포인터로 상기 도 4에서 지정된 객체와 동일한 객체를 지정하여 속성정보를 조회하면, 속성정보의 세부 항목 전단부에 표시되는 가용한계가 모두 중간 단계인 열람(v)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v) 가용한계가 설정된 객체로서 수정이 불가능한 객체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당해 객체의 표시선을 여타 객체와 상이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권한정보에 따른 상술한 객체별 가용한계 설정은 각 객체에 1대1 대응되는 직접 부여방식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 4 및 도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객체별 속성정보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에 대하여도 설정할 수 있다.
즉,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객체별 속성정보 중 층서정보(層序情報, layer data) 또는 기하정보(geometry data)내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층서정보에 가용한계를 설정할 경우 도면정보내 특정 층(lay)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처리를 사용자별로 통제할 수 있고, 기하정보내 위치정보에 가용한계를 설정할 경우 도면정보내 특정 영역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처리를 사용자별로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층서정보란 다층구조(multi-layer structure)의 도면정보 체계에서 당해 단위 요소의 소재 층을 특정하는 정보이고, 기하정보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단위 요소의 실질적 형태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기하정보에는 해당 단위 요소의 위치를 특정하는 좌표 형식의 위치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객체별 속성정보에 대한 항목별 가용한계 설정을 통하여, 다수의 참여자가 혼재되어 특정 제품의 설계 내지 제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업무 분장 및 작업 배분 등 인적 분산 처리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인적 분산 처리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통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도면정보의 훼손도 억제할 수 있다.
이렇듯, 복제단계(S20)가 완료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캐드서버가 도면정보를 단말캐드로 전송하고 단말캐드가 캐드서버로 객체별 속성정보를 전송하는 작업단계(S30)가 수행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단계(S30)는 도면정보를 실질적으로 생성 내지 수정하는 즉, 실제 제도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단말캐드가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 컴퓨터(10)의 입력장치를 조작하고 작도(作圖)를 수행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업단계(S30)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웹캐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실제 작도가 수행되는 것으로, 선분 또는 도형 등의 단일 객체 또는 다수의 단일 객체가 조합된 블록 객체가 생성 및 수정되는데, 본 발명을 비롯한 캐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술한 작도 처리는 도면정보를 구성하는 객체별 속성정보(property data)를 생성 내지 수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바, 작업단계(S30)에서 실질 수행되는 정보처리는 객체별 속성정보를 구성하는 기하정보(geometry data) 또는 층서정보(layer data) 등이 수정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다만 이 과정이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이렇듯, 작업단계(S30)가 완료되면, 캐드서버가 전송된 객체별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별 가용한계에 부합되면 도면정보내 당해 객체의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수정단계(S40)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실질적 작도 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객체의 속성정보가 수정되는 도면정보는 전술한 복제된 도면정보이며, 이후 해당 사용자의 권한정보에 따라 수정된 복제 도면정보와 캐드서버내 도면정보 원본이 병합되어, 도면정보 원본이 최종 갱신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정보에는 다수의 객체(object) 정보가 포함되고, 이들 객체는 단위 객체(unit object) 및 다수의 단위 객체가 조합된 조합 객체(block object)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객체에는 기본 속성(basic property)이 부여되는데 이 기본 속성으로는 선분(line), 연속선(polyline), 호(arc), 원(circle), 운형선(spline) 또는 타원(elipse) 등을 들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객체에 부여되는 속성정보(property data)로는 전술한 층서정보 및 기하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즉, 단위 객체는 도면정보를 구성하는 객체 중 기본 속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더이상의 분할이 불가능한 객체로서, 시각적으로는 작도된 도면을 구성하는 개별 선분 또는 도형을 의미하며, 단위 객체에 부여된 기본 속성이란 해당 단위 객체를 규정하는 특성으로서, 상술한 선분 내지 타원 등으로 분류되는 속성이고, 단위 객체에 부여되는 속성정보에는 해당 객체의 도면상 위치, 치수 및 형태를 특정하는 층서정보 및 기하정보가 포함되는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단계(S30) 및 수정단계(S40) 수행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10) 입력장치를 조작하면 화면상 출력되는 단위 요소의 형태 및 위치 등이 변동되면서 그 상황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는 당해 단위 요소에 부여되는 속성정보가 수정되는 처리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속성정보의 수정은 단말캐드를 통하여 캐드서버로 전송되어 캐드서버에서 처리된 후 처리 결과가 단말캐드로 전송됨에 따라 단말캐드가 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처리과정 및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정단계(S40) 수행에 있어서, 웹캐드에 접속된 사용자의 명령을 단순히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복제단계(S20)에서 객체별 속성정보에 설정된 가용한계에 따라 수정 여부를 캐드서버가 결정하는 것으로, 이로써 다수 사용자에 의한 협업 수행 과정에서의 편의성 및 효율성은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도면정보의 체계적 관리 및 고도의 보안 확보 역시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사전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불특정 다수의 외부인에게 도면정보에 대한 일시적인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일시 개방형 실시예로서, 이는 특정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소수의 사전 설정 내부 사용자 이외에 외부의 전문가 또는 현업 기술자 등의 참여가 일시적으로 필요한 경우 제한된 여건에서도 도면정보의 일시적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데, 상위 권한정보를 보유한 사용자가 제작 공장 등을 물색하는 상황에서, 현장에 방문하여 현장 관계자가 소지한 컴퓨터(10)를 활용하여 도면정보를 일시적으로 공개하는 상황을 상정할 수 있으며, 후술할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등록 및 관리 절차나,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도 상기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방문한 상위 권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활용하여 도면정보를 열람하는 등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캐드서버와 연결되고 인터넷상에 구축된 접근웹페이지(29)가 구성되며, 이 접근웹페이지(29)는 통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체계를 활용하여 접속 가능한 일반적인 웹페이지로서 현장 관계자 등 임시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정보기기 즉, 컴퓨터(10)에 탑재된 일반 상용 브라우저를 통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단계(S10)는 도 8에서와 같이, 컴퓨터(10)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캐드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접근웹페이지(29)에 접속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요청단계(S11)로 개시된다.
여기서 컴퓨터(10)란 전술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권한데이터베이스(30)상 기 설정된 사용자 즉, 당해 제품의 설계 또는 제조 과정에 직접 연관된 참여자로서 그 구성원이 사전에 확정되어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된 사용자의 컴퓨터(10)가 아니라, 이들 기 설정 사용자 이외에 일시적으로 사용자로서의 적격성이 부여될 필요가 있는 외부인의 컴퓨터(10)로서, 이 역시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는 물론 다양한 무선망 접속 스마트 정보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서버(20)와 연결되는 접근웹페이지(29)는 전술한 권한데이터베이스(30)의 구축 방식과 같이 서버(20)에 직접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 서버(20)에 탑재된 캐드서버의 자유로운 접근이 보장된다면 서버(20)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별도의 정보기기에 구축될 수도 있다.
요청단계(S11)가 완료되면, 캐드서버가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여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식별정보가 유효할 경우 캐드서버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임시 식별정보로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하는 수락단계(S12)가 수행된다.
맥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란 통신망 접속 정보기기의 네트워크어댑터에 부여되는 유일무이한 고유정보로서,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에 있어서 임시 식별정보로서 맥어드레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의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해당 컴퓨터(10)를 소지한 사용자가 전술한 사전 설정 사용자가 아닌 일시적 접근 허용 사용자인 바, 인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를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신규 등록할 경우 복잡한 절차 및 개인정보 취급상 문제가 발생될 뿐 아니라, 향후 임시 부여된 지위를 악용하여 도면정보에 무단 접근하는 보안상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도 1 내지 도 6 실시예에서와 같은 접속단계(S10)를 비롯한 통상의 사용자 적격 인증 기법을 적용할 경우 상당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10)의 네트워크상 위치 즉, IP등을 특정하여 임시 지위를 부여할 경우에도 동일 IP를 경유한 타 기기의 무단 접속을 차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실제 운용상 빈번하게 사용되는 변동 IP 등이 적용되는 경우 기기의 특정 또는 부정 접속의 차단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맥어드레스를 일종의 ID이자 패스워드로 활용함으로써, 자타 기기의 용이하고 정확한 식별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소기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향후 관리에 있어서도, 용이하고 간편한 임시 사용자 식별정보의 권한데이터베이스(30) 등록이 가능하며,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서 당해 맥어드레스를 삭제 또는 차단하는 등의 지극히 간단한 조치만으로 도면정보의 일시 개방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일시 개방형 실시예의 수행 전반에 있어서도 임시 사용자 컴퓨터(10)의 IP주소는 활용되지만, 이는 해당 컴퓨터(10)의 초도 접속시 적격성 확인에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로의 개설 및 유지에 활용되는 것이며, 적격성 확인에는 맥어드레스가 활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에서는 서버(20)에 탑재된 캐드서버의 접속에 활용되는 URL이외에 별도의 URL이 부여되어 구축되는 즉, 캐드서버와 별도로 구동되고 인터넷상에 구축되는 별도의 접근웹페이지(29)가 구성되어, 이 접근웹페이지(29)에 임시 사용자 컴퓨터(10)의 단말캐드가 아닌 브라우저가 우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가 용이하게 추출되어 캐드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듯, 수락단계(S12)가 완료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우저 즉, 임시 사용자의 컴퓨터(1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가 접근웹페이지(29)에 권한정보를 입력하고 캐드서버가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갱신하는 설정단계(S13)가 수행되는데, 이러한 요청단계(S11) 내지 설정단계(S13)가 수행되는 임시 사용자 컴퓨터(10)의 화면이 도 9 및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도 9는 임시 사용자의 컴퓨터(10)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랩탑 컴퓨터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10은 임시 사용자의 컴퓨터(1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이 입출력 장치로 장착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 또는 드래그 하는 등의 제스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컴퓨터(10)에서 브라우저와 별도로 가동된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맥어드레스를 사용자 식별정보로 전송하고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연결단계(S14)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 일시 개방형 실시예의 접속단계(S10)가 완료되며, 후속되는 각 수행 단계는 전술한 도 2에서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렇듯, 일단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근웹페이지(29)에 대한 접속 및 맥어드레스 추출을 유도함으로써, 복잡한 가입 내지 인증 절차 없이도 임시 사용 자격의 부여 및 획득이 가능하며, 임시 사용 자격 확보 이후 비로소 단말캐드가 실행됨으로써 캐드서버의 개조 없이도 일시 개방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식별정보가 맥어드레스를 활용하여 기 확보된 상태에서 접근웹페이지(29)와 컴퓨터(10) 브라우저간 연결을 종료하고, 새롭게 실행된 단말캐드가 캐드서버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로써 복제단계(S20)를 포함한 이후 과정이 도 1 내지 도 6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바, 캐드서버에 대한 일체의 개조 없이도 임시 개방형 실시예를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시 개방형 실시예를 통하여, 사전 설정된 제한된 사용자 사이의 협업 뿐 아니라, 해당 작업에 일시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는 불특정 다수 외부인에게도 도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당해 제품 설계 및 제조 업무의 효율성 및 다양성은 물론 웹캐드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방에도 불구하고 보안성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 : 컴퓨터
20 : 서버
29 : 접근웹페이지
30 : 권한데이터베이스
S10 : 접속단계
S11 : 요청단계
S12 : 수락단계
S13 : 설정단계
S14 : 연결단계
S20 : 복제단계
S30 : 작업단계
S40 : 수정단계

Claims (4)

  1. 웹캐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과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10)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단말캐드가 탑재되고, 인터넷과 연결된 서버(20)에는 서버프로그램인 캐드서버가 탑재되며, 캐드서버에는 사용자별 권한정보가 수록된 권한데이터베이스(30)가 연결되어,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사용자 식별정보와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접속단계(S10)와;
    캐드서버가 작업정보에 대응되는 도면정보 원본을 복제하여 복제본인 도면정보를 생성하며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조회하고 권한정보를 인출하여 도면정보내 객체별 속성정보에 가용한계를 설정하는 복제단계(S20)와;
    캐드서버가 도면정보를 단말캐드로 전송하고 단말캐드가 캐드서버로 객체별 속성정보를 전송하는 작업단계(S30)와;
    캐드서버가 전송된 객체별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객체별 가용한계에 부합되면 도면정보내 당해 객체의 속성정보를 수정하는 수정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도면정보내 개별 객체에 직접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되는 사용자별 권한정보는 객체별 속성정보 중 층서정보 또는 기하정보내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가용한계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단계(S10)는
    컴퓨터(10)에 탑재된 브라우저가 캐드서버와 연결된 별도의 접근웹페이지(29)에 접속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요청단계(S11)와;
    식별정보가 유효할 경우 캐드서버가 컴퓨터(10)의 맥어드레스를 임시 식별정보로서 권한데이터베이스(30)에 수록하는 수락단계(S12)와;
    상기 브라우저가 접근웹페이지(29)에 권한정보를 입력하고 캐드서버가 권한데이터베이스(30)를 갱신하는 설정단계(S13)와;
    컴퓨터(10)에서 별도로 가동된 단말캐드가 클라이언트로서 캐드서버에 접속되고 맥어드레스를 사용자 식별정보로 전송하며 작업정보를 전송하는 연결단계(S1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KR1020220142162A 2022-10-31 2022-10-31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KR20240062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62A KR20240062301A (ko) 2022-10-31 2022-10-31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162A KR20240062301A (ko) 2022-10-31 2022-10-31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301A true KR20240062301A (ko) 2024-05-09

Family

ID=9107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162A KR20240062301A (ko) 2022-10-31 2022-10-31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3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615B2 (en) Managing project tasks using content items
US115376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external content objects
US10719807B2 (en) Managing projects using references
US10114964B2 (en) Role-based content rendering
US68509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data access and workflow in a network environment
JP2012504274A (ja) エンティティの組織情報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技術
CN113692582A (zh) 用于建立数据隐私管线和合约协议以共享数据的用户接口
EP28606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management in an on-demand environment
CN102571815A (zh) 一种电子采购私有云集成erp用户身份认证的方法
CN103136621B (zh) 工程送审表单的审核流程的在线管理方法
KR20240062301A (ko) 권한 가변형 웹캐드 서비스 방법
KR20240062895A (ko) 권한 가변형 브라우저 기반 웹캐드 서비스 방법
Argiolas et al. Enabling secure and collaborative document sharing in BIM processes
US2024011396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unified data control policy in distributed and product-oriented computing platforms
Goebel et al. SAP enterprise portal
Tia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atabase of Government Finance System Based on Net Framework
Xue Application Analysis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Zibuschka et al. Mapping Identity Management in Data Lakes
Sisheng et al. Shop job scheduling informationization service research based on ERP thoughts
CN115061988A (zh) 一种计算机处理文档编辑冲突优化方法
Bussche Finite Cursor Machines in Database Query Processing
Yu et al. Research and Design of Logist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IS Technology
Baojiang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virtual planning system for urban underground power pipelines
Kereković et al. Build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BIMS. The develope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S Machine" method
Dong et al. Research on integrated model and design reuse for development of complex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