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004A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004A
KR20240062004A KR1020220143996A KR20220143996A KR20240062004A KR 20240062004 A KR20240062004 A KR 20240062004A KR 1020220143996 A KR1020220143996 A KR 1020220143996A KR 20220143996 A KR20220143996 A KR 20220143996A KR 20240062004 A KR20240062004 A KR 2024006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hamber
cabinet
clothing
hang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웅
임재명
최정근
오민규
조연아
조유나
김현기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004A/en
Priority to PCT/KR2022/017033 priority patent/WO2023080634A1/en
Publication of KR2024006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004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배열은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이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제1배열, 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행어지지부로 분리하여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2배열, 및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를 수직하게 배열하는 제3배열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n inlet at the front, a first chamber located inside the cabinet to receive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let, and a cabinet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and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 a hanger body portion for holding the clothing, and a hanger support portion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and movably supporting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is such that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 first arrangement in which both ends are combined to match, a second arrangement in which the hanger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art and moved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hanger body part is rotated based on the hanger support part to form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third arrangement in which the hanger support portion is arranged vertically.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부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detail, it relates to a clothing support unit provided in a space that accommodates clothing or articles.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developed to wash and dry clothing at home and in laundries, and to remove wrinkles from clothing. Classified as clothing processing devices include washing machines that wash clothes, dryers that dry clothes, washer/dryers that have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clothes care machines that refresh clothes, and clothes that remove wrinkles from clothes.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steamers, etc.

특히,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clothes care machine is a device that helps keep clothes comfortable and clean. The clothes care device can shake off fine dust attached to clothes, deodorize odors, dry clothes, and add fragrance to cloth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remove wrinkles from clothing using dehumidified air or steam, and sterilize and disinfect cloth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454호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여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의 하부에는 의류관리에 필요한 기계장치들을 포함하는 기계실이 위치하여 열풍 및 스팀을 상기 처리실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의류를 옷걸이를 이용하여 행어바에 거치하는 경우, 의류는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실에 가방, 모자 등 기타 관리가 필요한 물품등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할 수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8454 discloses a typic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That is, in the case of a typical clothing treatment device, a processing room is form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clothing and manage it using steam and hot air, and hanger bars for holding clothing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inside the processing room. A machine room containing mechanical devices necessary for clothing car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eatment room, and hot air and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treatment room. Additionally, when clothing is placed on a hanger bar using a hanger, the clothing may b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dditionally, the processing room may be equipped with a shelf on which bags, hats, and other items requiring management can be placed.

그러나, 이는 단순히 의류를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장치이다. 따라서, 내부에 의류를 전시하거나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리할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처리실을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전면을 통한 단열성능이 떨어져, 의류 관리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is a device that focuses on simply taking care of your clothes. Therefore, there is no separate space inside to display or store clothing. Additionally, even if the amount of clothing to be managed is small, using a treatment room may not be efficient in terms of energy.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of the doo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lothing mounted inside, the insul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front of the door is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clothing management.

또한, 행어바는 고정된 위치에서 좌우로만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 처리실의 안쪽으로 팔을 뻗어 의류를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ger bar only moves left and right from a fixed position, there may be inconvenience in the user having to extend his or her arms inside the processing room to place the clothes.

또한, 다양한 소재의 의류 및 소품이 발달함에 따라, 가죽제품이나 실크제품과 같이 섬세한 관리가 필요한 옷을 별도로 보관하고 진열하는 공간이나, 가방이나 모자와 같은 소품을 보관하고 진열하기 위해 평상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lothing and accessories made of various materials, there is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clothes that require delicate care, such as leather products or silk products, or for storing and displaying accessories such as bags and hats. A separate space that can be controlled may be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286호는 의류를 수용하여 관리하는 처리실과 관리가 끝난 옷들을 보관하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보관실을 별도로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처리실과 보관실을 좌우로 배치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실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실을 위한 공조기를 별도로 구비하는 게 아니라, 처리실을 위한 공조기와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처리실의 사용 중, 보관실에 보관되는 의류만을 위한 독립적인 온도, 습도 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41286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includes a treatment room for receiving and managing clothing and a separate storage room for storing managed clothes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However, since the treatment room and storage room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occupies a large amount of space indoors. In addition, because the air conditioner for the storage room is not provided separately, but i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air conditioner for the processing roo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depend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only the clothes stored in the storage room is not possible during use of the processing room.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400호는 처리실과 보관실을 전후방향으로 구획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의류를 관리하는 기능은 처리실에만 구비하고 있고, 보관실의 온습도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처리나 관리가 끝난 의류를 단수히 보관실에 보관하게 되면 주변의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보관중인 의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온습의 조절없이 보관하는 경우, 의류의 함습도가 올라가 눅눅하게 되거나, 주변의 냄새가 다시 흡착되는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관시에도 의류의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해줄 장치가 필요하다. Meanwhi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9400 disclose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with a processing room and a storage room di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ut the function of managing clothes is provided only in the processing room, and the function for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torage room is provided. There is no separate mechanical device. If clothes that have been processed or managed are stored in a storage room, the stored clothes may be affected by changes in surroun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xample, if stored withou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the moisture content of clothes may increase and become damp, or surrounding odors may be absorbed again. To solve this problem, a device is needed to manag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lothing even during storage.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400호는 전방의 처리실과 후방의 보관실을 구분하여, 상기 처리실이 상기 보관실의 측면에 힌지결합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는 사용환경을 고려하면, 의류처리장치의 크기는 일반적인 옷장과 같은 가구의 표준적인 크기를 고려할 수 밖에 없다.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실내에서 옷장과 떨어져서 단독으로 배치되기보다는 옷장과 같이 옆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도어의 힌지결합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처리실과 상기 보관실이 결합하는 경우, 상기 처리실의 크기로 인한 힌지의 내구성 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처리실을 상기 보관실에서 회전시 주변에 위치한 가구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처리실의 크기만큼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주변 가구와 힌지와의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데, 다른 가구들보다 튀어나오는 경우 주변가구와의 통일감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9400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a front processing room and a rear storage room are separated, and the processing room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storage room. Howev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s used, the size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cannot help but take into account the standard size of furniture such as a typical wardrob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t is placed adjacent to the side like a closet rather than being placed alone indoors, away from the closet. Therefore, when the processing room and the storage room are combin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hinge combination of a typical door, the durability of the hinge due to the size of the processing room may be a problem, and when the processing room is rotated in the storage room, furniture located around the processing room may be damaged. Interference may occur. To achieve this, it must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equal to the size of the processing room in order to solve interference between surrounding furniture and the hinge. However, if it protrudes more than other furni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spoil the sense of unity with surrounding furniture.

또한, 진열공간을 위한 구조 및 상기 진열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새로운 힌지구조를 필요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a new hinge structure may be needed that can withstand the load of the structure for the display space and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display space.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3197호는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바의 경우, 옷을 거치하기 위해선, 내부로 손을 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3197 shows a hanger bar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to hold clothing inside. In the case of the hanger bar, there may b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ach inside to hold clothe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3197호는 공기배출포트와 공기흡입포트가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의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실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의류를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거치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기배출포트와 공기흡입포트가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의류가 거치되는 위치에 따라 공기배출포트에서 배출된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Additionally,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3197, the air discharge port and air intake port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However, if the size of the processing room that accommodates the clothing inside becomes small,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clothing cannot be pl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Even in this case, if the air discharge port and air intake port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may not be supplied uniforml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clothes are placed.

첫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의 관리를 위한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분된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First, the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having a spac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for managing clothing or articles.

둘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의 살균, 냄새제거, 건조 및 구김제거를 위해 온도와 습도가 조절가능한 제1챔버와 독립적으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econd,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second chamber whose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hamber w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adjusted for sterilization, odor removal, drying, and wrinkle removal of clothing or articles. .

셋째, 본 개시는 제2챔버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2챔버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의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Third,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econd chamber,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hinge structure that can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econd chamber.

넷째, 본 개시는 상기 제2챔버로 인해 전후방향 길이가 축소되는 제1챔버의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행어바 및 이에 따른 공기의 순환방향이 설정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Four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device in which a hanger bar and a corresponding air circulation direction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pace of the first chamber, whose front and rear length is reduced due to the second chamber. .

다섯째, 본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어셈블리 개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한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Fif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door assembly that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from a cabinet by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ssembly by a user.

여섯째, 본 개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ix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enabling identification of clothing or article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through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일곱째, 본 개시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행어바디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even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hanger body part to improve user convenience.

여덟째, 본 개시는 행어바디부의 배치방향 변경에 따라 공기배출포트, 공기흡입포트 및 스팀배출포트의 배치를 변경하여 의류에 공기나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Eighth,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uniformly supply air or steam to clothe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air discharge port, air intake port, and steam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치하되, 전방으로 인출가능힌 행어바디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안출된 행어바디부를 회전시켜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hanger body portion that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d can be withdrawn forward.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es handling device that can be 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by rotating the designed hanger body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와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a cabinet including an input port at the fro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put port; a first chamber locat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put port; a hanger body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d holding the clothes; and a hanger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ody portion and supports the hanger body portion to be movabl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부에서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운동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movement guide provided in the hanger body unit and connecting the hanger body unit and the hanger support unit so that the hanger body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unit and move forward or rotate based on the hanger support unit. It can be included.

상기 운동안내부는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The movement guide part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hanger support part so that the hanger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art, moved forward, and then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행어바디부의 일단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의 타단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When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and moving forward, one end of the hanger body may be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hanger body may be positioned forward of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 및 제2서포팅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행어지지바디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홈이나 홀 형상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hanger support body that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supports the hanger body portion; a first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and a hanger body guide extending from the hanger support bod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to move the hanger body unit from the hanger supporte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바디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바디에 연결시키는 운동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part may include a movement guide part provided in the hanger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support body so that the hanger body part can move in the hanger support body.

상기 운동안내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운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운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행어지지바디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다.The motion guide portion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anger body portion can move along the hanger body guide portion by the motion guide portion or rotate relative to the hanger support body by the motion guide portion.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는 상기 행어지지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동안내부가 삽입되는 행어바디안내홀; 및 내부에 상기 운동안내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결합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안내홀은 상기 운동안내부가 상기 행어바디안내홀을 따라 상기 행어지지바디 상의 제1행어위치 및 상기 제1행어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행어지지바디 상의 제2행어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제2행어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hanger body guide portion passes through the hanger support body and extend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includes a hanger body guide hole into which the movement guide portion is inserted. and a coupling guide member rotatably accommodating the movement guide therein, wherein the hanger body guide hole is such that the movement guide moves along the hanger body guide hole to the first hanger position and the second hanger on the hanger support body. It extend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so as to be movable between second hanger positions on the hanger support body located ahead of the first hanger position, 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상기 운동안내부가 상기 제2행어위치에 위치시,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중 일단은 상기 제1서포팅부 및 상기 제2서포팅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exercise guide part is located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one of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par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는 상기 행어지지바디에 결합되는 행어바안내부재; 및 상기 행어바안내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행어바디안내홀과 중첩되어 상기 행어바디를 제1행어위치 및 상기 제2행어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행어바디이동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행어바안내부재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guide part includes a hanger bar guide member coupled to the hanger support body; and a hanger body movement hole that penetrates the hanger bar guide member and overlaps the hanger body guide hole to enable movement of the hanger body between the first hanger position and the second hanger position. The guide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hanger bar guide member.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행어바안내부재에서 돌출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개구될 수 있다.The coupling guide member protrudes from the hanger bar guide member and may be open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내부에 상기 운동안내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가능하다.The coupling guide member can rotatably accommodate the movement guide part therein.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지지부와 상기 행어바디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to detachably couple the hanger support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 및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다른 하나에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hanger bar fixing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and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the hanger body portion and insertable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상기 이동방지돌기는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 또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와 결합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 또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중 다른 하나의 전단에 구비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hook provided at eithe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o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a hook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o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to engage the hook.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의 일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의 일부가 함께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크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후크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further includes a hook receiv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are formed when the hook is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ok receiving groove.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어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치가능한 행어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art supports the hanger body part and includes a hanger support body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the hanger body part may include a hanger bar that can be pla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to hold clothes.

상기 행어바디부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 및 상기 행어바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행어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portion includes a hanger bar that holds clothing; and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provided in the hanger bar.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motor to reciprocate the hanger body por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구동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구동부프레임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상부면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상부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frame supporting the motor, wherein the motor and the driving unit frame are positioned between a first chamber upper surfac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a cabinet upper surfac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can do.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지지부를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includes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away from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a conversion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to reciprocate the hanger support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변환부재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부프레임 및 상기 제1챔버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변환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version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support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ng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driving unit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conversion member.

한편,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보조챔버;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n auxiliary chamber located separately below the first chamber; an air supply unit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and circulating air in the first chamber; an air intake por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and sucking air from the first chamber into the air supply unit; and an air discharge por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and discharg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into the first chamber.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air intake port and the air discharge port may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한편, 상기 행어바디부는 복수 개의 행어홈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의 상부에 이격되어 상기 행어바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행어바디;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의 양단과 상기 행어바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nger body portion includes a hanger bar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 upper hanger body spaced apart from an upper part of the hanger bar and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ar;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hanger body and both ends of the hanger bar, respectively.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 및 제2서포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hanger support body that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supports the hanger body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행어바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행어바디에 구비되는 이동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moving rail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anger support body to move the hanger body portion forward, and the hanger body por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hanger body to move the hanger body portion along the moving rail. It may include a provided moving guide.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와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이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제1배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행어지지부로 분리하여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2배열; 및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를 수직하게 배열하는 제3배열;로 변형가능허더,Meanwhile,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cabinet including an input port at the front; a first chamber locat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put port; a hanger body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d holding the clothes; and a hanger support part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ody part and movably supporting the hanger body part, wherein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support part include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support part. A first arrangement in which both ends are combined to match; a second arrangement for separating the hanger body portion in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moving the hanger body por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and a third arrangement in which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vertically by rotating the hanger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 상기 제1배열로 배열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2배열 및 상기 제3배열로 변형가능하다.It further includes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put port, wherein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in the first arrangement when the door is closed,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re arranged in the first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transform from the first arrangement to the second arrangement and the third arrangement.

첫째, 본 개시는 의류나 물품을 수용한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별도로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로 구분된 공간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has a space divided into a first chamber accommodating clothing or articles and a second chamber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mber accommodating clothing or articles.

둘째, 본 개시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온도 및 습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Second, the present disclosure can independ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셋째, 본 개시는 도어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챔버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by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econd chamber provided inside the door assembly,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when the door assembly is opened and closed.

넷째, 본 개시는 상기 제1챔버 중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의 축소룰 감안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의 배치 및 상기 행어바의 배치방향에 따라 공기의 순환방향이 설정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air circulation dire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a hanger bar for holding clothes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anger bar, taking into account the reduction of the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in the first chamber. You can.

다섯째, 본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어셈블리 개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캐비닛에서 인출가능한 도어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Fifth,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ovide a door assembly that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from a cabinet by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ssembly by a user.

여섯째, 본 개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의 전면을 통해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의류나 소품을 확인할 수 있다.Sixth, in the present disclosure, clothing or accessorie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일곱째, 본 개시는 의류를 거치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venth, the present disclosure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when carrying clothes.

여덟째, 본 개시는 행어바디에 거치된 의류에 공기나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Eighth, the present disclosure can uniformly supply air or steam to clothes mounted on the hanger body.

도 1은 통상의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이다.
도 3은 도어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기계장치의 일례이다. 도 4(b)는 기계장치에 포함되는 압축기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을 도와주는 개폐구동부 및 입출력부의 일례이다. 도 5(b)는 캐비닛 내부에서 제1챔버, 제2챔버, 및 보조챔버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개폐구동부 및 제1힌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 개폐구동부 및 제1힌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어어셈블리의 일 측면에 결합하는 힌지를 사용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어셈블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챔버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2챔버에 구비되는 행어부 및 선반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도어어셈블리의 폐쇄시 제1힌지의 상태이다. 도 10(b)는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시의 제1힌지의 상태이다. 도 10(c)는 도어어셈블리를 타 측면으로 개폐시 사용되는 다른 일례의 제1힌지이다.
도 11은 제2힌지의 일례이다.
도 12(a)는 제2챔버의 도어의 폐쇄시 제2힌지의 상태이다. 도 12(b)는 제2챔버의 도어의 개방시 제2힌지의 상태이다. 도 12(c)는 제2힌지의 분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일례이다.
도 14는 제1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의류지지부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16은 행어바디부가 행어지지부의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이다.
도 17(a)는 의류지지부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b)는 행어바스토퍼의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 삽입되어 행어바디부가 고정된 모습이다. 도 17(c)는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서 분리된 모습이다.
도 18은 의류지지부의 다른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19는 의류지지부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a)는 행어바디부가 행어지지부에 고정되어 제1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b)는 도 20(a)의 상태에서 상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1(a)는 행어바디부가 행어지지부에서 전방을 향해 인출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b)는 도 21(a)의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1(c)는 도 21(a)의 상태에서 결합안내부재와 운동안내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22(a)는 전방으로 인출된 행어바디부가 회전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b)는 도 22(a)의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2(c)는 도 22(a)의 상태에서 결합안내부재와 운동안내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23(a)는 행어바스토퍼의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 삽입되어 행어바디부가 고정된 일례의 모습이다. 도 23(b)는 이동방지돌기가 행어바고정홈에서 분리된 일례이다.
도 24(a)는 행어바디부와 행어지지부를 결하시키는 고정후크의 일례이다. 도 24(b)는 고정후크가 결합된 일례이다. 도 24(c)는 고정후크가 분리된 일례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of a typical clothing treatment device.
Figure 2 is an exampl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Figure 3 shows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with the door assembly open.
Figure 4(a) is an example of a mechanical device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Figure 4(b)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mpressor included in the mechanical device.
Figure 5(a) is an example of an opening/closing drive unit and an input/output unit that helps open the door assembly. Figure 5(b) schematically shows the positions of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 and the auxiliary chamber within the cabinet.
Figure 6(a) shows the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and the first hinge when the door assembly is closed. Figure 6(b) shows the state of the opening/closing actuator and the first hinge when the door assembly is opened.
Figures 7(a) and 7(b) illustrate problems that occur when using a hinge coupled to one side of a door assembly.
Figure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with the door assembly open.
Figure 9 shows a hanger portion and a shelf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Figure 10(a) shows the state of the first hinge when the door assembly is closed. Figure 10(b) shows the state of the first hinge when the door assembly is opened. Figure 10(c) is another example of a first hinge us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from the other side.
Figure 11 is an example of the second hinge.
Figure 12(a) shows the state of the second hinge when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Figure 12(b) shows the state of the second hinge when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Figure 12(c)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hinge.
Figures 13(a) and 13(b) are another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Figure 14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direction of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Figure 15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clothing support portion.
Figure 16 shows the hanger body portion being pulled out toward the front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Figure 17(a) shows one side of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Figure 17(b) shows the hanger body portion being fixed by inserting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of the hanger bar stopper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Figure 17(c) show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Figure 18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lothing support portion.
Figure 19 shows a cross-section of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viewed from one side.
Figure 20(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body part is fixed to the hanger support and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hamber. Figure 20(b) is a view from the top in the state of Figure 20(a).
Figure 21(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body portion is pulled out from the hanger support portion toward the front. Figure 21(b) is a top view of the state of Figure 21(a). Figure 21(c)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and the movement guide part in the state of Figure 21(a).
Figure 22(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body portion drawn forward is rotated. Figure 22(b) is a top view of the state of Figure 22(a). Figure 22(c)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and the movement guide part in the state of Figure 22(a).
Figure 23(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of the hanger bar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and the hanger body portion is fixed. Figure 23(b)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Figure 24(a) is an example of a fixing hook that connects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Figure 24(b) is an example of a fixed hook being combined. Figure 24(c) is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hook is separ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Spec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illustrated embodiments.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For example, expressions such as “same” and “is the same” not only indicate a strictly identical state, but als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re is a difference in tolerance or the degree to which the same function can be obtained.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For example, expressions that express relative or absolute arrangement such as “in a certain direction,” “along a certain direction,” “side by side,” “perpendicularly,” “at the center,” “concentric,” or “coaxial,” Not only does it strictly represent the arrangement, but it also represents the state of relative displacement with a tolerance, or an angle or distance that achieves the same function.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a spati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with X, Y, and Z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Each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refers to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The '+' sign in front of each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positive direction, which is one of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The '-' sign in front of each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negative direction, which is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X)/후(-X)/좌(+Y)/우(-Y)/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front (+X)/back (-X)/left (+Y)/right (-Y)/up (+Z)/down (-Z)” mentioned below are I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axis, but this is for explanation so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of course,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in front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about the components to which they are referred, as well as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is irrelevant. For example, an invention that includes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can also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의류란,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같은 상의뿐만 아니라, 청바지와 같은 하의를 포함한다. 또한, 한 벌의 정장, 점퍼, 가죽옷 등과 같이 평상시 관리가 필요한 모든 의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교복이나 사복(company uniform)과 같은 유니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물품은 통상적인 의류를 제외한 모자, 스카프, 손수건 가방, 또는 인형과 같은 소품(items)등을 포함하며, 시계나 장신구 같은 물건(things)까지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명세서에서는 비록, 의류와 물품중 어느 하나의 단어만을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명세서의 문맥상 의류와 물품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양자는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롤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this specification, clothing includes not only tops such as dress shirts and blouses, but also bottoms such as jeans. In addition,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clothing that requires daily care, such as a suit, jumper, leather clothes, etc. Therefore, it may include uniforms such as school uniforms or company uniform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goods include items such as hats, scarves, handkerchief bags, or dolls other than ordinary clothing, and are used as a term to encompass things such as watches and accessories. However, in this specification, even if only one of the words clothing and goods is used, it can be interpreted to include both clothing and goods in the context of this specification. In other words, the two are not used to exclude each other, but to include both.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일면에 투입구(12)를 포함하는 캐비닛(15), 상기 캐비닛(15)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0), 상기 제1챔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20),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제1챔버(10)에 공급하는 스팀유닛(미도시), 상기 캐비닛(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40)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사용방법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12)는 상기 캐비닛(15)의 전면에 구비될 것이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1.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 includes a cabinet 15 including an inlet 12 on one side, a first chamber 10 located inside the cabinet 15 and receiving clothes through the inlet 12, An auxiliary chamber 20 is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10 and forms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0, and is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20 to generate steam and to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0. It includes a steam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chamber 10, and a door 4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5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2. Considering the usage method of general users, the input port 12 will preferabl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5.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0)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유닛(미도시) 및 상기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후 상기 제1챔버(10)로 내보내는 히트펌프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is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20, and includes a blowing unit (not shown) that sucks air from the first chamber 10 and dehumidifies and heats the sucked air.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pump unit (not shown) that is then discharged to the first chamber 10.

상기 캐비닛(15)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챔버(1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이너케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0)는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5)에 결합될 수 있다.The cabinet 15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also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s long as it can maintain strength. Additionally, the first chamber 10 may be formed by an inner case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The first chamber 10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5 by a frame (not shown).

관리(care)가 필요한 의류는 상기 제1챔버(1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미도시), 히트펌프유닛(미도시) 및 스팀유닛(미도시)을 통해 의류를 리프레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유닛(미도시), 히트펌프유닛(미도시) 및 스팀유닛(미도시)을 통해 스팀 및/또는 가열공기를 이용하여 의류를 살균하고 탈취하며, 사용에 의해 형성된 구김을 제거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Clothing requiring care can be placed in the first chamber 10, and a blowing unit (not shown), a heat pump unit (not shown), and a steam unit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20. (not shown) allows you to refresh and manage your clothes. That is, sterilize and deodorize clothes using steam and/or heated air through a blower unit (not shown), a heat pump unit (not shown), and a steam unit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20. I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formed by use.

상기 제1챔버(10)는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상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의류지지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지지부(90)를 좌우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의류지지부(90)의 운동은 의류를 흔들게 되고, 결국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지지부(90)에 거치되는 의류를 흔드는 동안 보조챔버(20)에서 공급되는 스팀 혹은 수분(moisture)에 노출시켜 의류의 주름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10 may include a clothing support portion 90 for holding cloth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10. The clothing support unit 90 can accommodate a hanger with clothing on it, and can be connected to a driving unit (not shown) that can reciprocate the clothing support unit 90 left and right. The movement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90 shakes the clothing, ultimately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fine dust, attached to the clothing. Additionally, wrinkles in the clothing can be removed to some extent by exposing the clothing mounted on the clothing support unit 90 to steam or moisture supplied from the auxiliary chamber 20 while shaking.

즉,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의류가 상기 제1챔버(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챔버(20)에서 공급되는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 및/또는 스팀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lothing support unit 90 allows clothing to be held in an unfolded state by its own weight inside the first chamber 10, using the dehumidified and heated ai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chamber 20 and/or This can be done to ensure even exposure to steam.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은 상기 보조챔버(20)의 내부에서 스팀유닛(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스팀과 히트펌프유닛(미도시)에 의해 제습되고 가열된 공기를 제1챔버(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 그리고, 송풍유닛(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챔버(1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포트(23)가 위치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 transfers steam generated by a steam unit (not shown)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20 and air dehumidified and heated by a heat pump unit (not shown) to the first chamber ( 10), an air supply port 21 and a steam supply port 22, and an air intake port 23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chamber 10 by a blowing unit (not shown). can be loca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 또는 상기 제1챔버 후면(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과 상기 제1챔버 후면(미도시)이 만나는 영역은 매끄럽게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스팀공급포트(22)는 상기 경사진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ir supply port 21 and the steam supply port 22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first chamber or the rear surface (not shown) of the first chamber.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1 and the back of the first chamber (not shown) meet may be provided in a smoothly sloping shape, and the air supply port 21 and the steam supply port 22 are It may also be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상기 공기흡입포트(23)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1)에서 상기 투입구(1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포트(21)와 상기 공기흡입포트(23)는 상기 캐비닛(15)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반면, 상기 의류지지부(90)는 상기 캐비닛(15)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친된다. 이는 상기 공기공급포트(21)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의류지지부(90)에 거치되는 옷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ir intake port 23 may be located close to the inlet 12 on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first chamber. Accordingly, the air supply port 21 and the air intake port 23 are dispos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5. On the other hand,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90 i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5. This is to ensure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upply port 21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clothes placed on the clothes support unit 90.

상기 제1챔버(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포트(21)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23)를 통해 흡입되어 순환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31)와 배수탱크(33)는 탱크모듈프레임(미도시)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급수탱크(31)와 배수탱크(33)가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에 탈부착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10 will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21, sucked in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23, and circulated. The water tank 31 and the drain tank 33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a tank module frame (not shown). However, unlike this, the water tank 31 and the drain tank 33 may be combined into one and provided to be detachable at the same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의류의 관리(care)만을 위한 장치이지, 의류의 관리를 포함하여 보관 혹은 전시하는 장치로써의 효용은 높지 않았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자치리하는 의류나 물품의 양이 작은 경우를 대비한 별도의 구분된 공간이 없어 투입되는 전기에너지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1, it is a device only for clothing care, and its utility as a device for storage or display, including clothing care, is not high. In addition, conventional clothing processing devices do not have a separate space for small amounts of clothing or articles, so the input electrical energy may not be utilized efficiently.

고가의 의류나 소품의 경우 진열의 목적뿐만 아니라,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통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전방에 상기 제1챔버(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온도 및 습도가 조절가능한 특징을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In the case of expensive clothing or accessories, it is not only for display purposes, but also requires management through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n this specification, reflecting this need, it is disclosed tha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has a spa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mber 10 at the front and has the featur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및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2챔버(550)를 포함한다.FIG. 2 show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Referring to FIG. 2,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cludes a cabinet 110 including a first input port 131 on the front, and is located inside the cabinet 110 to dispense clothing through the first input port 131. A first chamber 130 for accommodating goods, and an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inside the cabinet 110 and below the cabinet 110, forming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30. , and a door assembly 5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131 and is located inside the door assembly 500 to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It includes a second chamber 550 that accommodates clothing or articles.

상기 제1챔버(130)는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처리하는 공간이므로 처리실로 칭할 수도 있다.Since the first chamber 130 is a space for processing stored clothing or articles,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rocessing room.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후면(115), 상기 캐비닛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좌측면(113) 및 캐비닛 우측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좌측면(113) 및 상기 캐비닛 우측면(미도시)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것이다.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상기 캐비닛 좌측면(113) 및 상기 캐비닛 우측면(11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binet 110 includes a cabinet upper surface 11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0, a cabinet rear 115 forming the rear of the cabinet 110, and a left side of the cabinet forming both sides of the cabinet. It may include surface 113 and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not shown). The left side 113 of the cabinet and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not shown) will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cabinet upper side 112, the left side 113 of the cabinet, and the right side 114 of the cabinet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캐비닛(110)은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한다. 띠리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상기 제1챔버(130)에 접근가능하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1챔버(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입구(131)는 후술할 상기 제2투입구(512)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없이 투입구라 함은 상기 제1투입구(131)를 칭한다. 또한,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제1챔버(130)을 처리실로 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계실로 칭할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550)는 도어챔버로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투입구(512)는 상기 도어챔버의 투입구로 칭할 수 있다The cabinet 110 includes a first inlet 131 on the front. Tirisa. The first chamber 130 is accessible through the first inlet 131. The cabinet 110 may further include the first chamber 130 inside the cabinet 11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130. The first inlet 131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inlet 5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specification, if the inlet is referred to without special mention, it refers to the first inlet 131. Additionally, 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be referred to as a machine room, just as the first chamber 130 is referred to as a processing room. And the second chamber 550 may also be called a door chamber. Therefore, the second inlet 512 can be referred to as the inlet of the door chamber.

상기 제1챔버(13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영역(1301, 도 5(b) 참조)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영역(1302, 도 5(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13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1301 (see FIG. 5(b)) located above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in fron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the door assembly 500 ) may include a second area 1302 (see FIG. 5(b)) that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when the first inlet 131 is closed.

상기 제1챔버(130)는 의류를 수용하여 관리(care)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는 처리실(a treatment room)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열풍 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장치나 기계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는 기계실(machinery room)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별도로 분리된 공간으로 보조처리공간(auxiliary care room), 전시공간(showcase room) 또는 진열공간(display room)으로도 부를 수 있다.The first chamber 130 may be a space for receiving and caring for clothing. The first chamber 130 may also be called a treatment room. 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be a space where an electric device or mechanical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or steam to the first chamber 130 is installed. 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also be called a machinery room. The second chamber 550 is a space separate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serves as an auxiliary care room, showcase room, or display room. It can also be called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so the second chamber 550 is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챔버(130)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해야 할 것이다.The door assembly 500 may function a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user will have to open and close the door assembly 500 to access the first chamber 130.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의류나 물품을 관리, 전시 및 보관하는 제2챔버(5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 보관하고, 전시하는 공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oor assembly 500 may include a second chamber 550 for managing, displaying, and storing clothing or articles inside the door assembly 500. In other words, the door assembly 500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role of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131 as well as a space for managing, storing, and displaying clothing or articles stored therein.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 도3 참조)를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바디(510, 도 3참조) 및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쳄버의 도어(530)을 연 후,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The door assembly 500 includes a second inlet 512 (see FIG. 3) on the front, a receiving body 510 (see FIG. 3) forming the second chamber 550 inside, and the second inlet 512. ) may include a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at opens and closes. After open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e user can receive clothing or articles into the second chamber 550 through the second input port 512.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후면보다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to the rear of the first chamber 130. Considering that it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1302,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inlet 131,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at least the receiving body 510 Some will be located in the second area 1302.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will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inlet 131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You can.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second chamber 550 can be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there is. Accordingly, 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rearward from the first inlet 131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

한편, 내부에 상기 제2챔버(550)를 포함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달리, 별도의 내부공간이 없는 도어르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할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door assembly 500 including the second chamber 550 inside, the first inlet 131 can be opened and closed on a door without a separate internal spa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로 인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due to the auxiliary chamber 150 forming the bottom surface.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의류행어(830, 도 9참조)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챔버(5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의류나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assembly 500 can mount a clothing hanger 830 (see FIG. 9) to accommodate clothing in the second chamber 550. Alterna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shelf portion 58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550 and supports clothing or article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적어도 일부는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llows the interior of the second chamber 550 to be viewed. In other wo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llows visible light to pass through.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하면,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나 소품을 수용할 수 있다.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the door assembly 500 can accommodate clothing or small items into the second chamber 550 through the second inlet 512.

따라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전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전히 투명한 재질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반투명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may be made of a completely transparent material,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also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이를 위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에 의해 감싸져,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에 결합하는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ncludes an opening (not show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the door frame 533 of the second chamber forms the fram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 and a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that is surrounded by the door frame 533 of the second chamber and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533 of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은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거나, 반투명의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는 투명하나 색상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Additionally, the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is transparent but may have a color.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33)은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531)만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door frame 533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In contrast, the door frame 533 of the second chamber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so that only the door window 531 of the second chamber is connected to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t may be exposed forward.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자동걔방을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1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hat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for automatic cleaning of the door assembly 500.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lternatively,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하나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 뿐만 아니라,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135)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과 상기 캐비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On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sufficient, but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not only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but also on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10.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밀어주어 한쪽으로 힘이 집중되거나, 불필요한 토크가 발생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해주는 힌지구조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a plurality of opening/closing actuators 170 are provided is because the door assembly 500 is pushed from the top and bottom so that force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r unnecessary torque is generated, causing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assembly ( This is to prevent deformation from being applied to the hinge structure that connects 500) to the cabine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o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ng housing 559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510 to form the second chamber 550.

상기 수용바디(510)가 외측바디에 해당된다면,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내측바디에 해당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If the receiving body 510 corresponds to the outer body, the receiving housing 559 may correspond to the inner body. Ultimately, the receiving housing 559 may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0.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수용하우징(559)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빈 공간은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기계장치나 각종 전선등이 설치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body 510 and the receiving housing 559, where a mechanical device or various wires for conditioning the air of the second chamber 550 are installed. It can be.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550)를 형성하는 수용하우징(559)을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assembly 500 may include a second inlet 512 on the front and an accommodating housing 559 forming the second chamber 550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510.

상기 수용하우징(559)은 상기 제2챔버(55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챔버 상부면(551, 도 19참조), 상기 제2챔버(5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하부면(554), 상기 제2챔버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의 후방모서리와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의 후방모서리를 연결하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 그리고, 상기 제2챔버 상부면(551)과 상기 제2챔버 하부면(554), 및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을 연결하는 제2챔버 좌측면(552), 및 제2챔버 우측면(5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housing 559 includes a second chamber upper surface 551 (see FIG. 19)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hamber 550, and a second chamber lower surfac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0. (554),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5)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and connecting the rea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1) and the rear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4), And, a left side 552 of the second chamber, and a right side 553 of the second chamber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551 of the second chamber, the lower surface 554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 may include.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된 의류에 열풍이나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의 살균, 탈취, 구김제거 및 건조가 가능하다. 특히, 건조 및 스팀분사를 위해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단열이 중요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sprays hot air or steam on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chamber 130, enabl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and drying of the clothing. In particular, insul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may be important for drying and steam injection.

특히,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시광선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재가 없는 경우 전체적인 단열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스팀분사 또는 건조시 상기 도어에 손을 갖다 대는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수용하우징(559) 사이의 빈 공간에 단열재 혹은 공기를 이용한 단열층이 형셩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visible light to pass through, if there is no insulation material, the overall insulation performance may be reduced. Additionally, there may be a risk of burns if the user unintentionally touches the door during steam spraying or drying. To prevent this, the second chamber 550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In particular, the door assembly 500 may have an insulating layer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or air form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accommodating body 510 and the accommodating housing 559.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사이에 위치하여 후술한 행어바디부(610, 도 참조)를 왕복운동시키는 의류구동부(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에 공급되는 열풍, 스팀 또는 수분으로부터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구동부(640)와 같은 복잡한 구동장치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clothing driving unit 640 located betwee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which reciprocat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see FIG. 6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may further be included. This is to protect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from hot air, steam, or moisture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130 and to prevent complex driving devices such as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인출된 후,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제1힌지(120)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개방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방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힌지(520, 도 8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100 is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and then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 first hinge 120 that rotates and a second hinge that rotates to open the second inlet 512 through rotation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520, see FIG. 8) may further be included.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는 순서의 반대순서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움직이게 될 것이다.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door assembly 500 will move in the reverse order of opening the door assembly 500.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 시,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2투입구(512)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될 것이다.The first hinge 120 can move the door assembly 500 while maintaining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door assembly 500 and the first inlet 131. 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moved, the second inlet 512 of the first hinge 120 will always face forward.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 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가 유지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챔버(130)에서 이격시킨 후,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moved, the angle formed by the door assembly 500 with the front of the cabinet will be maintained. To this end, the first hinge 120 separates the door assembly 500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d moves i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o open the first inlet 131. You can do it.

사용자들의 사용패턴을 고려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단독으로 떨어져(isolated)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에서 빌트인(built-in) 타입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크기는 인접설치되는 옷장이나 가구의 표준사이즈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Considering the usage patterns of users,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may not be installed separately, but may be installed and used indoors as a built-in type. Accordingly, the size of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tandard size of a closet or furniture installed adjacent to it.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외형의 크기는 그대로인 반면, 상기 제2챔버(550)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500)의 크기는 커지게 되므로, 상기 제1챔버(130)의 부피는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Accordingly, while the external siz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remains the same, the size of the door assembly 500 including the second chamber 550 increases, so the volume of the first chamber 130 decreases. You can. 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500, it would be desirable for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510 to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이를 위해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시킬 수 있다.To this end,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furniture adjacent to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the first hinge 120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ssembly 50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반면, 후술할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이동시켜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방하게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inge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s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510 increases. Inlet 2 (512) will be opened.

즉, 일반적인 도어의 힌지와 유사하게,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제2투입구(512)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폐하는 동안 변할 수 있다. That is, similar to the hinge of a general door, the angle betwe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second inlet 512 may change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도 3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의 제2챔버의 도어(5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3 shows the interior of the first chamber 130 with the door assembly 500 open.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shown with the door 530 of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of the second chamber clos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130)는 상기 제1챔버(13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도 2참조), 상기 제1챔버(130)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과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을 연결하여 양 측면 및 배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기 제1챔버 좌측면(133), 상기 제1챔버 우측면(134) 및 상기 제1챔버 후면(13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hamber 130 includes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see FIG. 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bottom of the first chamber 130.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forming the first chamber top surface 132 and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to form both side and back surfaces, respectively ( 133),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hamber 134,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chamber 136.

상기 제1챔버(130)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상기 제1챔버(130)는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130 may be made of plastic or metal. In the case of plastic material, the first chamber 130 may be formed through injection molding.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에 열풍 및/또는 스팀을 분사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이 상기 보조챔버(1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장치의 구동은 진동이나 소음을 유발하는 점과 각종 기계장치들의 무게를 고려하면,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제1챔버(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mber 130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cabinet 110. Electrical or mechanical devices necessary for spraying hot air and/or steam into the first chamber 13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chamber 150. Considering that the driving of the mechanical device causes vibration or noise and the weight of various mechanical devices, it would be preferable for the auxiliary chamber 150 to be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130.

통상의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이 제1투입구(131)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의 하부 전체에 상기 보조챔버(15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보조챔버(150)가 상기 제1챔버(130)의 하측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case of a typical clothing processing device 1,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is formed to extend to the first inlet 131, and the auxiliary chamber ( 150) may be located.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considering that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the auxiliary chamber 150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130. It would be desirable.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마주보게 되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면인 보조챔버 전방면(151)은 상기 제1투입구(131)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1챔버(1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 단차(step height)가 형성됨을 뜻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chamber front surface 151, which is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facing the door assembly 500, will be located rearward of the first inlet 131. This may mean that a step heigh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130 on the side.

물론 이와 달리, 다른 일례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안으로 돌출된 형태를 띄게 될 것이다.Of course, unlike this,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inlet 131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above the auxiliary chamber 150.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closed, the second chamber 550 will protrude into the first chamber 130.

또한, 상기 다른 일례의 경우, 상기 제2챔버(550)가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있어 상기 보조챔버(150)와 상기 제2챔버(550)의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단차가 없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ther example, the second chamber 550 is above the auxiliary chamber 150, so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the second chamber 550, so the first chamber 550 The bottom surface 135 may have no steps.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마주보고, 상기 수용바디(510)의 상부는 상기 제1챔버 후면(136)과 마주보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510 faces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510 faces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The upper portion will face the rear 136 of the first chamber. 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second chamber 550 will be located ahead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

그러므로, 상기 제1챔버(130)에 삽입되는 상기 수용바디(510) 후면의 길이는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까지의 수직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까지의 수직 길이보다 작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body 510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varies from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to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 and is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to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따라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바닥면(1351) 및 제2바닥면(135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may be formed to be stepped.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may include a first bottom surface 1351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352 having different heights.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가열하는 공기공급부(410)와 연통되는 공기흡입포트(137) 및 공기배출포트(1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은 상기 제1챔버(130)에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공급부(450)와 연통되는 스팀배출포트(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a),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5 has an air intake port 137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unit 410 that circulates or heats the air of the first chamber 130. ) and an air discharge port 138.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5 may further include a steam discharge port 139 that communicates with the steam supply unit 450 that generates and supplies steam to the first chamber 130.

상기 제1바닥면(1351)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챔버(15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는 상기 제2바닥면(1352)보다 상기 제1바닥면(1352)에 위치할 수 있다.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Accordingly, the air intake port 137, the air discharge port 138,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may be located on the first bottom surface 1352 rather than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또한,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바닥면(1351)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ngth from the first chamber top surface 132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first chamber top surface 132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는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ir intake port 137 and the air discharge port 13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중 어느 하나의 포트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113, 114) 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137)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중 다른 하나의 포트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113, 114) 중 타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One of the air intake port 137 and the air discharge port 138 is located close to one of the two sides 113 and 114 of the cabinet 110, and the air intake port 137 and the Another one of the air discharge ports 138 may be located close to the other of the two sides 113 and 114 of the cabinet 110.

그리고,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보다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air discharge port 138 than the air intake port 137.

한편, 도 3 및 도 4(a)에서는 상기 스팀배출포트(139)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스팀배출포트(139)가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보다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응축수의 처리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챔버 후면(136)에서 생기는 응축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Meanwhile, Figures 3 and 4(a)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inlet 131. That is,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may be located ahead of the air discharge port 138.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to b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inlet 131 than the air discharge port 138 in terms of condensate treatment. This is to minimize condensation occurring at the rear 136 of the first chamber.

상기 제2바닥면(1352)의 전후 길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일부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at which a part of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131.

예를 들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6 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1/6이상이어야 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를 고려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도방지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 삽입되는 깊이는 1/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the depth at which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131 may be between 1/6 and 1/2 of the length of the cabinet 11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the depth into which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131 must be 1/6 or more, and the depth of the door assembly 500 must be 1/6 or more. Considering the weight, in order to prevent the cabinet 110 from tipping over, it is desirable that the depth into which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131 is less than 1/2.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통해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481) 및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배수탱크(485)가 상기 보조챔버(15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은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가 삽입되는 급수탱크삽입홀(미도시) 및 배수탱크삽입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탱크삽입홀 및 상기 배수탱크삽입홀을 통해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를 상기 보조챔버(150)에 삽입하거나 상기 보조챔버(150)에서 분리할 수 있다.A water supply tank 481 for supplying water for steam generation and a drain tank 485 for storing condensate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chamber 150 through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That is,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may include a water tank insertion hole (not shown) and a drain tank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are inserted,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can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chamber 150 through the water tank insertion hole and the drain tank insertion hol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탱크(481)및 상기 배수탱크(485)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탱크(481)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배수탱크(485)가 설치되는 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통상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하나의 탱크설치공간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수탱크(481)와 배수탱크(485) 중 하나의 탱크만 분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pace where the water tank 481 is installed and the space where the drain tank 485 is installed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typic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they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tank installation space, so the user may have difficulty separating only one of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To prevent this,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may have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는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이는 보조챔버(150)의 컴팩트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may have a length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is is to make full use of the compact sp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도 4(a)는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공급부(450), 공기공급부(410), 급수탱크(481) 및 배수탱크(48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가열하는 공기공급부(410) 및 상기 제1챔버(130)로 스팀을 생성시켜 공급하는 스팀공급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4(a) shows a steam supply unit 450, an air supply unit 410, a water tank 481, and a drain tank 485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is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provides steam to the first chamber 130 and an air supply unit 410 that circulates or heats the air in the first chamber 130. It may further include a steam supply unit 450 that generates and supplies steam.

상기 공기공급부(410)는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덕트(411), 상기 제1챔버(130)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덕트(419), 및 상기 급기덕트(411)와 상기 배출덕트(419)를 연결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연결덕트(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10)는 상기 제1챔버(130)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닛(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412)은 상기 연결덕트(413)와 상기 배출덕트(419)사이 또는 상기 급기덕트(411)와 상기 연결덕트(413)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410 includes an air supply duct 411 for sucking air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 exhaust duct 419 for discharging air to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ir supply duct 411. It may include a connection duct 413 that connects the discharge duct 419 and circulates air. The air supply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unit 412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to suck air from the first chamber 130. The blowing unit 412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duct 413 and the discharge duct 419 or between the air supply duct 411 and the connection duct 413.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와 연통될 것이고, 상기 배출덕트(419)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와 연통될 것이다.The air supply duct 411 will communicate with the air intake port 137, and the discharge duct 419 will communicate with the air discharge port 138.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와 상기 공기배출포트(138)가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점을 고려하면, 상기 급기덕트(411), 상기 연결덕트(413) 및 상기 배출덕트도 상기 너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30)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서 배출되어 상기 공기흡입포트(137)에서 유입될 때까지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Considering that the air intake port 137 and the air discharge port 138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the air supply duct 411, the connection duct 413, and the discharge duct are also It may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air circulating in the first chamber 130 is an air flow that circulat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until it is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38 and flows in from the air intake port 137. will be able to form.

즉,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일측면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로 유입될 것이다. That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38 located close to one of the two sides of the cabinet 110 rises along the one side and then along the other side of the cabinet 110. It will descend and flow into the air intake port 137.

상기 연결덕트(413)의 내부에는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히터(heater)로 구비될 수 있으나, 에너지의 효율측면에서 히트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위해 증발기와 응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duct 413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heat exchange with circulating air. The heat exchange unit may be provided as a heater, but may be provided as a heat pump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The heat pump may include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부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4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한 후, 다시 가열하여 고온 건조상태의 공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상기 고온건조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1챔버(130)에 거치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exchange unit can cool and dehumidify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411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heat exchange units, and then heat it again to create high-temperature dry air. The high-temperature dry air can be supplied back into the first chamber 130 to dry the clothes placed in the first chamber 130.

상기 보조챔버(150)의 공간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을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470), 상기 베이스부(470)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470)의 사이에서 소정의 설치영역을 형성하는 서포터부(4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rrange electric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as efficiently as possible in the sp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cludes a base portion 47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the bas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part 489 located in the part 470 to form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area between the base parts 470.

상기 설치영역에는 스팀공급부(450)가 위치하고, 상기 서포터부(489)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연결덕트(41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챔버(150)의 공간을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으로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 steam supply unit 450 may be located in the installation area, and a connection duct 413 including the heat exchange unit may be located above the supporter unit 489. The sp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dividing i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제어부(490)도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스팀공급부(450), 상기 공기공급부(410), 및 후술할 의류지지부, 개폐구동부, 각종 센서 및 입출력부, 제2챔버 조명부(590) 및 선반조명부(587)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90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control unit 490 controls the steam supply unit 450, the air supply unit 410, a clothing support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 opening/closing actuator unit, various sensors and input/output units, a second chamber lighting unit 590, and a shelf lighting unit 587. can do.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90)가 상기 스팀공급부(450)와 상기 베이스부(47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닛 후면(115)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control unit 490 is shown as being located between the steam supply unit 450 and the base unit 47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located elsewhere.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assembly 500.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close to the rear of the cabinet 115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는 상기 연결덕트(413) 및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덕트(419)의 높이로 인해 상기 연결덕트(413)위에 여유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급수탱크(481)와 상기 배수탱크(485)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duct 413 and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This is because an extra space is formed above the connection duct 413 due to the height of the discharge duct 419, and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can be installed using this space.

따라서,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밑에서부터, 상기 베이스부(470), 상기 스팀공급부(450), 상기 연결덕트(413),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ottom, the base part 470, the steam supply part 450, the connection duct 413,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can be placed in order.

도 4(b)는 기계장치에 포함되는 압축기(417)의 배치(lay-out)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순환시키 위함이다.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상기 제1챔버(130)를 순환하게 되는 공기는 고온 건조한 상태로 상기 제1챔버(130)로 공급될 것이다.Figure 4(b) shows the layout of the compressor 417 included in the mechanical device. This is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circulate it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The refrigerant will exchange heat with air circulating through the air supply unit 410. The air circulating in the first chamber 130 through the heat exchanger will be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130 in a high temperature and dry state.

상기 압축기(417)는 상기 서포터부(489)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17)의 크기 및 진동을 고려하여, 상기 압축기(417)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 또는 상기 제1투입구(131)보다 상기 캐비닛 후면(115)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compressor 417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er unit 489. Considering the size and vibration of the compressor 417, the compressor 417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rear of the cabinet 115 than to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or the first inlet 131.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부(489)는 상기 스팀공급부(450) 및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지지하기 위해 제1서포터(4891) 및 제2서포터(4892)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서포터(4891) 및 사익 제2서포터(4892)는 각각 2개의 다리와 상기 2개의 다리를 연결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supporter unit 489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er 4891 and a second supporter 4892 to support the steam supply unit 450 and the air supply unit 410. It is showing. The first supporter 4891 and the second supporter 4892 may each include two legs and a mounting portion connecting the two legs.

이와 달리, 상기 서포터부(489)는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구비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측면중 전방측면과 후방측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470)와 결합되는 전방거치면과 후방거치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포터(4891) 및 제2서포터(4892)와 같이 분리된 2개의 부재가 아니라 하나의 부재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부재가 상기 베이스부(470)와 함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에 상기 스팀공급부(450)가 위치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supporter part 489 extends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tangular holder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holder, respectively, and is coupled to the base part 470. It can be formed by a mounting surface and a rear mounting surface. In other words, it may be provided as one member rather than two separate members like the first supporter 4891 and the second supporter 4892. That is, one member form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gether with the base portion 470, and the steam supply unit 450 may be located insid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도 5(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어 상기 제1챔버(130)가 외부에 노출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 또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입출력부(7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700)인 사용자의 제어정보에 따라 수행중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수행상태(또는 현재 처리상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입출력부(700)의 일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입출력부(700)는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스피커, 햅틱장치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gure 5(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and the first chamber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Figure 5(a) shows an example of the input/output unit 70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front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e input/output unit 70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o driv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700 may inform the user of the performance status (or information of the current processing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information. The present disclosure shows an example of the input/output unit 700 being visually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but unlike this, the input/output unit 700 can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hearing or touch. It may further include speakers, haptic devices, etc.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를 손으로 터치함으로써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7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분되어 구비될 수 도 있다.The user can caus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700 by touching the input/output unit 700 with his/her hand. Alternatively, the user can caus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by pressing or touching a button provided on the input/output unit 700. The input/output unit 70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statu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수행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태나 결과를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90 can detect and perform user input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700 and display the status or result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700.

한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내부에 포함된 제2챔버(550)로 인해 일반 도어와 달리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울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디자인을 고려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을 수 도 있다.Meanwhile, the door assembly 500 may be relatively heavy, unlike a regular door, due to the second chamber 550 included therein.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n and close it manually. Additionally, considering design, the door assembly 500 may 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andle for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500.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키기 위해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hat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to open it when the user wants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 The control unit 490 can control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상기 입출력부(700)는 사용자의 도어개방명령을 감지하는 도어개방입력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부(700)에서 도어개방이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9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700 may include a door opening input unit 711 that detects a user's door opening command.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door opening menu on the input/output unit 700, the control unit 490 can detect this and operat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there is.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구비되는 근접센서부(7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근접센서부(791)의 소정의 감지영역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9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unit 791 provided in the door assembly 500. Through this, when the user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etection area of the proximity sensor unit 791, the control unit 490 detects the user's approach, and the control unit 490 operate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opened.

상기 근접센서부(79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 즉 제2챔버의 도어(530)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출력부(70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unit 791 may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that is, o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input/output unit 700.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앱(App)이나 원격제어기(remote controller)를 통해 도어개방을 입력시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동작시켜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ing through an app or a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490 operate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opened.

도 5(a)는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부개폐구동부(175) 및 하부에 위치한 하부개폐구동부(177)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개폐구동부(175) 및 상기 하부개폐구동부(177) 중 하나의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FIG. 5(a) shows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ing unit 170 including an upper opening and closing actuating unit 175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a lower opening and closing actuating unit 177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110. Alternatively, one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actuating units 175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actuating units 177 may be implemented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도 5(b)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공간을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영역(1301)과 상기 제2영역(1302)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단순히 상기 제1챔버(130), 상기 제2챔버(550)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FIG. 5(b) shows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hamber 130 divided into the first area 1301 and the second area 1302 when viewed from one side of the cabinet 110. . Figure 5(b) simply schematically shows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chamber 130, the second chamber 55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의 후면보다 상기 제1투입구(131)에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more than the rear of the first chamber 130. Considering that it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1302,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inlet 131,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receiving body 510 At least a portion of will be located in the second area 1302.

또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제1투입구(131) 및 상기 제2영역(1302)를 거쳐 상기 제1영역(1301)에 접근할 수 있다. 즉, 후술한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시, 상기 제1영역(1301)에 위치할 것이다.Additionally, in order to place clothing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the user can access the first area 1301 through the first input port 131 and the second area 1302. That is,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1301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closed.

따라서,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보조챔버(150)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inlet 131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It will be accepted.

이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후면, 즉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 도 7참조)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하부, 와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이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다른 일부,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상부는 상기 제1챔버 후면(136)과 마주보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500,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of the receiving body 5105 (see FIG. 7), specifically the lower part of the rear of the receiving body 5105,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chamber 151 face each other. can see. Another part of the rear surface 5105 of the receiving body,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rface 5105 of the receiving body, will face the rear surface 136 of the first chamber.

한편, 상기 제2챔버(550)가 상기 보조챔버(150)보다 위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챔버(550)의 아래에 위치한 공간은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는 정체영역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chamber 550 is located above the auxiliary chamber 150 can also be considered. However, the space located below the second chamber 550 may have the problem of forming a stagnant area in which air does not circulate well.

또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550)이 연통될수 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의류를 처리시,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위치한 의류도 함께 처리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된 의류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550)가 연통시키는 경우,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2챔버(550)의 온도차로 인해 생기는 응축수를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챔버(130)에 스팀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제2챔버(550)에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챔버(130)이 동작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챔버(550)에 발생한 응축수를 처리할 수 없다.Additionally,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in communication, but in this case, when processing clothing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550 Since the clothing located in must also be processed,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clothing stored in the second chamber 550 cannot be managed separately. In addition, when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second chamber 550 are simply communicated, there is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treat condensate generated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second chamber 550. there is. For example, when steam is injec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condensation water may enter the second chamber 550 and generate in the second chamber 550, but the first chamber 130 is not operated. Therefor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cannot be treated.

한편, 상기 제1영역(1301)의 하부면은 상기 단차진 제1챔버 바닥면(135) 중 제1바닥면(1351)에 해당되고, 상기 제2영역(1302)의 하부면은 상기 제2챔버 바닥면(1352)에 해당된다.Mean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rea 1301 corresponds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of the stepped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rea 1302 corresponds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1. Corresponds to the chamber bottom surface 1352.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를 감안하고,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전기장치 또는 기계장치들의 크기를 감안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길이(FR2)는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길이(FR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길이(FR2)의 길이가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길이(FR1)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전도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door assembly 500 and the sizes of various electric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accommod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second area is locat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e front-to-back length (FR2) of 1302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ront-to-back length (FR1) of the first region 1301. When the front-to-back length FR2 of the second area 1302 exceeds the front-to-back length FR1 of the first area 1301 due to the weight of the door assembly 500,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 because there is a risk of it being overturned.

또한, 상기 제2챔버(550)로 인해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보조챔버(150)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제2챔버(550)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시, 유동의 정체발 발생할 수 있는 정체영역(stagnant regopm)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second chamber 550 prevents an empty space between the receiving body 51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second chamber 550 Not only does it use space more efficiently, but it can also eliminate stagnant regions (stagnant regopm) that can cause flow stagnation when air circulates.

한편, 상기 제2챔버(550)의 높이는 상기 제1챔버(13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높이로 인해 상기 제1바닥면(1351)의 높이가 상기 제2바닥면(1352)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되는 의류보다 상대적으로 긴 옷을 수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ight of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chamber 130.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due to the heigh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Because of this, the second chamber 550 can accommodate clothes that are relatively longer than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first chamber 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2챔버(550)의 높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area 1301.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 (또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1바닥면(1351)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높이 (또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보조챔버(150)의 높이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5(b), the height of the first area 1301 (or the length from the top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is the second area 1302. It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r the length from the top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below the first area 1301 must be considered.

즉,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챔버(150)로 인해 상기 제1바닥면(1351)및 상기 제1바다면(1351)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제2바닥면(1352)을 포함하여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는 단차진 형태로 구비될 것이다.That is,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has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and the first sea surface 1351 due to the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below.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including the bottom surface 1352, will be provided in a stepped shape.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2영역(1302)에 수용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챔버(550)의 길이는 상기 제1영역(13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550)에는 상기 제1챔버(130)에 수용되는 의류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옷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길이의 옷을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수용한 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chamber 550 formed inside the door assembly 500 will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rea 1302.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area 1301. That is, the second chamber 550 can accommodate clothes that are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first chamber 130. Accordingly, the user will be able to manage clothes of various lengths after storing them in the clothes handling device 100.

또한,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더 이상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2바닥면(1352) 상에 위치하는 제2영역(1302)에 위치할 것이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외형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는 상기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마주보게 될 것이다. 결국 상기 보조챔버(15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의도치 않은 외력이 가해져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밀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보조챔버(150)에 의해 일정 깊이 이상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auxiliary chamber 150 may function as a stopper to prevent the door assembly 500 from being pushed back any further. The door assembly 500 will be located in the second area 1302 located on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510, which forms at least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door assembly 500, will face the front surface 151 of the auxiliary chamber. Ultimately, the auxiliary chamber 150 is operated by the auxiliary chamber 150 even if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assembly 500 and the door assembly 500 is push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movement into the first chamber 130 beyond a certain depth.

상기 제1영역(1301)에 의류가 수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제1영역(1301)의 높이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높이보다 클 것이다.Considering that clothing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rea 1301, the height of the first area 1301 will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무게로 인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영역(130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전후방향 길이 이상일 것이다.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ipping over due to the weight of the door assembly 500,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first area 130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second area 1302.

상기 제2챔버(5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영역(1302)의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제2영역(1302)의 너비 및 높이를 곱한 넓이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의 넓이보다 클 것이다. 즉, 상기 제1투입구(131)의 개구된 넓이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의 넓이보다 클 것이다.Considering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rea 1302, the area multiplied by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econd area 1302 is the area of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It will be bigger than That is, the open area of the first inlet 131 will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의 높이는 상기 제2영역(1302)의 높이보다 클 것이다. 즉, 상기 제1투입구(131)의 높이는 상기 제2챔버(550)의 도어(530, 도 2참조)의 전면높이보다 작을 것이다.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will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area 1302. That is, the height of the first inlet 131 will be smaller than the front height of the door 530 (see FIG. 2) of the second chamber 550.

도 6(a) 및 도 6(b)는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6(a)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ures 6(a) and 6(b) explai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FIG. 6(a) shows the door assembly 500 in a closed state, and FIG. 6(b) shows the door assembly 500 in an open state.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전방을 향해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상기 제1투입구(131) 사이의 생긴 틈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측면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push the door assembly 500 forward, causing the door assembly 500 to be pulled ou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Thereafter,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side of the door assembly 500 using the gap created between the door assembly 500 and the first inlet 131, so that the door assembly 500 is connected to the cabinet 110. ) can be moved to one side.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 도 5참조)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ssembly 500, it would be desirable to keep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facing forward at all times. This is because the input/output unit 700 (see FIG. 5)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always faces forward, so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input/output unit 700, and the second chamber ( This is because the air inside the second chamber 550 can be circulated to manage clothing or articles stored inside the second chamber 550.

즉, 상기 제1챔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의 관리모드를 수행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전“‡을 향하도록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하도록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기구학(kinematics)적으로 평행 4절링크(Parallelogram four-bar Linkages)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first chamber 130 is open, the user can perform the management mode of the second chamber 550. In other words, the door assembly 500 moves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so that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faces forward, and the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moves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It may be provided to move to one side of the cabinet 110 so as to be parallel to 131). To this end,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use a kinematics method of parallel four-bar links (Parallelogram four-bar linkages).

따라서,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개폐시 상기 제1투입구(131)에 나란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ssembly 500 while maintaining the first inlet 131 and the door assembly 500 fac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 door assembly 500 can mainta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inlet 131 when opening and closing.

즉,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사이의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챔버(13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투입구(131)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위치는 변하여도 항상 도어어셈블리(500)가 바라보는 방향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할 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한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을 바라보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and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maintained constant. To this end, the first hinge 120 moves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front of the first chamber 130 to separate it from the first inlet 131, and then moves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cabinet. It can be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110).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changes, the direction the door assembly 500 faces can always remain the sam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inlet 131. When the door assembly 500 opens the first inlet 131,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is the same as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is is because it moves while looking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그러나,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와 달리 상기 제2힌지(520)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을 개방시 상기 제2투입구(512)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되어 항상 상기 제2투입구(512)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이루는 각도가 변할 수 있다 (도 8 참조). However, considering the c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inlet 512,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faces may change. Unlike the first hinge 120, the second hinge ( When 520 opens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e second inlet 512 and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inlet 512 and the second chamber always rotate. The angle formed by the door 530 of chamber 2 may change (see FIG. 8).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주는 개폐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1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상부면(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중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drive unit 170 that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to open the door assembly 500.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0.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cabinet. Alternatively,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하나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및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사이 뿐만 아니라,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바닥면(135)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과 상기 캐비닛(11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On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sufficient, but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may be provided not only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but also on the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 which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13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10.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밀어주어 한쪽으로 힘이 집중되거나, 불필요한 토크가 발생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해주는 힌지구조에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a plurality of opening/closing actuators 170 are provided is because the door assembly 500 is pushed from the top and bottom so that force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r unnecessary torque is generated, causing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assembly ( This is to prevent deformation from being applied to the hinge structure that connects 500) to the cabinet.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수용바디(510)와 비접촉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4절링크(4 bar Linkage)방식의 제1힌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170 may be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receiving body 510.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inge 120 of a 4 bar linkage type. Figure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forward so that the door assembly 500 moves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외형을 형성하는 개폐바디(171), 상기 개폐바디(171)의 내부에 위치하는 개폐모터(173), 상기 개폐모터(173)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서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링크(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17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body 171 forming the outer shape, an opening and closing motor 173 locat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71, and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173 to form the door assembly ( It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link 172 that pushes the 500 to move i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상기 개폐링크(172)의 일면은 기어이빨(teeth)을 가져 랙-피니언(rack and pinon)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개폐링크(172)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여러 기어들이 상기 개폐모터(173)의 회전축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상기 여러 기어들 중 일부 기어가 상기 개폐링크(172)의 일면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이빨에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개폐링크(172)가 앞으로 전진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nk 172 has gear teeth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link 172 can move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abinet 110 in a rack and pinion manner. That is, when several gears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173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and some of the gears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gear teeth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nk 172, As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oves forward and protrudes,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도 6(a)는 상기 개폐링크(172)가 곡선의 형상으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개폐링크(17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고려하면,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전후길이가 커져서,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도어어셈블리(500)가 전방으로 인출시 제1힌지(120)의 양 링크(1251, 1252)가 회전하면서 서로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이동경로가 직선이 아닌 곡선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Figure 6(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link 172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This is to prevent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from increasing, taking up a lot of space inside the first chamber, considering the length at which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oves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pulled forward by the first hinge 120, both links 1251 and 1252 of the first hinge 120 rotate and the distance from each other becomes distant. At this time, the door assembly 120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path of (500) may be curved rather than straight. Even so,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can move while always facing forward.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어,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소정의 이격거리(또는 개방거리)가 발생되면, 사용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거나 당겨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and a gap or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or opening distance) is created between the first inlet 131 and the door assembly 500, the user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moved manually by pushing or pulling.

따라서, 상기 개폐링크(172)의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제1챔버(130)에 삽입되었던 상기 수용바디(51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인출될 때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ay be the distance until the receiving body 510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inlet 131.

상기 개폐링크(172)가 소정의 개방거리만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링크(172)가 다시 상기 개폐바디(171)의 안으로 삽입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개방과 달리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폐쇄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링크(172)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개폐링크(172)와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oves the door assembly 500 by a predetermined opening distance, the control unit 490 rotates the opening/closing motor 173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oves back to the opening/closing body. It can be moved to be inserted into (171). This is because, unlike opening, the closing of the door assembly 500 is performed by the user, and if the opening/closing link 172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door assembly 500 may collide with the opening/closing link 172. am.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개폐링크(17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refore,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user closes the door assembly 500, the control unit 490 can return the opening/closing link 172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the opening/closing motor 173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상기 개폐링크(172)를 초기위치인 제1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모터(173)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개폐링크(172)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제2위치로 이동 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 후 상기 개폐구동부(17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소정의 개방거리만큼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move the opening/closing link 172 from the initial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located ahead of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 unit 490 moves the opening/closing motor 173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rot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ning/closing link 172 does not contact the door assembly 500, bu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door assembly 500 while moving to the second position. Afterwards,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will move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10 by a predetermined opening distance.

이후, 상기 개폐모터(173)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된느 제2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개폐링크(172)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opening/closing motor 173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opening/closing link 172 may retur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을 경우에는 상기 개폐구동부(170)의 구동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개폐구동부(170)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에만 구동시킬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driv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closed, the control unit 490 will driv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only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닫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Even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assembly 500,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can always be maintained facing forward.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한 채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의 목적은 수용된 의류나 물품의 관리 및 보관의 목적뿐만 아니라, 진열 및 전시의 목적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항상 제2챔버(550)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챔버(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출력부(700)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70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130)의 개방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입출력부(700)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the door assembly 500 can be moved with its front face always facing forward.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e second chamber 550 is not only to manage and store the stored clothing or articles, but also to display and display them. Therefore,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always see the second chamber 550.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chamber 130 is open, the input/output unit 70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always faces forward, so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input/output unit 700. can do.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clothing or articles stored inside the second chamber 550, the user can access the inside of the second chamber 550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700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chamber 130 is opened. The air can be circulated.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평행 4절링크 방식의 제1힌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도, 항상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시킬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inge 120 of a parallel four-bar link type. That is, the first hinge 120 rotatably connects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cabinet 110 and always moves the door assembly 500 so that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faces forward. It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7(a) 및 도 7(b)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구(F1, F2)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빌트인타입으로 일반 가구들과 같이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도시한 것이다.7(a) and 7(b) show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nd furniture F1 and F2 arranged adjacent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his is illustrated considering that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is a built-in type and is placed together with general furnitur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0)의 전방에 상기 제2챔버(55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바디(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chamber 130. Additionally, since the door assembly 500 includes the second chamber 550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5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빌트인타입을 고려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높이 및 깊이(FD1)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구(F1, F2)의 사이즈를 고려해서 설계될 것이다. 여기서 깊이(FD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뜻한다. 상기 제2챔버(550)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옆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차지하는 너비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Considering the built-in type, the height and depth (FD1)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will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urniture (F1, F2) placed adjacent to it. Here, depth FD1 refers to the length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placed next 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but in this case, it is not desirable because the width occupied by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becomes too large.

또한, 상기 제2챔버(550)를 의류관리뿐만 아니라 진열 및 전시목적으로도 활용하기 위해서도,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second chamber 550 not only for clothing management but also for display and exhibition purposes, the second chamber 55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It would be desirable to do so.

또한, 상기 제2챔버(550)의 깊이방향으로 물건을 겹쳐서 배치하는 것이 진열 및 전시목적에 맞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깊이(FD1)보다는 작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arranging objects by overlapping them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does not suit the purpose of display and display, the depth SD1 of the door assembly 500 must be smaller than the depth FD1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will be.

다만, 상기 제2챔버(550)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은 인접하는 가구들과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깊이(FD1)을 변경하지 않기 위해, 상기 제2챔버(550)의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However, it may not be desirable for the second chamber 550 to protrude beyo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in consideration of unity with adjacent furniture. Accordingly, in order to not change the depth FD1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일부가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크기로 인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a)및 도 7(b)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을 중심으로 반경이 DR인 호(arc)를 도시하고 있다.When a por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problems may occur when opening the door assembly 500 due to the size of the door assembly 500. 7(a) and 7(b) show an arc with a radius of DR center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10.

만약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다고 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회전시,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서 IA로 표시되는 지점, 즉, 수용바디 후면(5105)과 수용바디 우측면(5103)이 만나는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상기 모서리가 상기 제1챔버(130)의 일측면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일 측면에 힌지결합하는 경우,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나 수용바디 후면(5105)의 너비가 줄어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door assembly 50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10, when the door assembly 500 rotates, the point indicated by IA on one side of the cabinet 110, that is, the receiving body The distance to the corner where the rear (5105) and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body (5103) meet must be considered. This is to prevent the edge from interfering with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Ultimately,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1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pth SD1 of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width of the rear side 5105 of the receiving body must be reduced. .

만약,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캐비닛(11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대 모서리가 간섭되는 것을 고려해야하나, 문제점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다.If the door assembly 500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binet 110, interference with the opposite edge must be considered. However, since the problem is the same, only the case where the door assembly 500 is hinged to one side i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또는 두께)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6 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를 고려해서이다. 예컨대, 성인여자가 소지하는 가방의 소형 표준사이즈 와 대형 표준사이즈를 고려해서 정해진 수치일 수 있다.The depth (or thickness) of the door assembly 500 may be 1/6 or more and 1/2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cabinet 1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For example, it may be a number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mall standard size and large standard size of bags carried by adult women.

이러한 수치를 고려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깊이(SD1)이나 상기 수용바디 후면(5105)의 너비(SW1)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Considering these figures, there may be a limit to reducing the depth (SD1) of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width (SW1) of the rear surface (5105) of the receiving body.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로 인해 IB로 표시된 영역에서 인접하는 가구(F2)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인접하는 가구(F2)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b), since the hinge causes interference with the adjacent furniture (F2) in the area indicated by IB, a certain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nd the adjacent furniture (F2). There is a problem with having to keep them apart.

설령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간섭없이 열린다고 하여도, 상기 수용바디(510)로 인해 상기 제1투입구(131)의 일부가 가려져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서 가려진다는 것은, 상기 제1투입구(131)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경우를 말할 것이다.Even if the door assembly 500 opens without interference, a portion of the first inlet 131 may be obscured by the receiving body 510,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Here, “obscured” refers to a case wher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let 131 and the door assembly 500 forms an acute ang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제1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와 분리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챔버(150),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50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시키는 제1힌지(1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수용바디(510),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30) 및 상기 보조챔버(150)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제2챔버(550),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상기 수용바디(510)에 연결시키는 제2힌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ferring to FIG. 8,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cludes a cabinet 110 including a first input port 131 on the front, and is located inside the cabinet 110 to provide the first input port 131. A first chamber 130 that receives clothes through the inlet 131, and an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110 and forming an installation space separate from the first chamber 130. , a door assembly 5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131, and a first hinge 120 that connects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cabinet, and the door assembly 500 is provided on the front. 2 A receiving body 510 including an inlet 512,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510 and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the second inlet ( A second chamber 550 for receiving clothing through 512, a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put port 512, and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body 510. It may include a second hinge 520 connected to.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상기 제2투입구(512)의 개구된 방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폐하고,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hinge 120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131 so that the open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512 is maintained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second hinge 520 The second inlet 51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2투입구(512)의 개구된 방향이 유지된다는 것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또는 폐쇄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방향이 그대로 유지된 채 이동한다는 것을 뜻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방에 위치한다면, 사용자는 상기 제2챔버(550)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방향이 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상기 제2챔버(550)를 확인할 수 있다.Maintaini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512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is maintained and moves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or closed. If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the user will face the second chamber 550. Even if th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assembly 500, the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does not change, so the user can always check the second chamber 550.

즉, 상기 제1힌지(120)에 구비되는 링크는 회전을 하지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회전 및 병진운동을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이 항상 전방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제1투입구(131)과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을 개폐하게 될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link provided in the first hinge 120 rotates, the door assembly 500 can always face the second chamber 550 forward through rotation and translation. Accordingly, the door assembly 500 will move in the front-back or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let 131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131.

다시 말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개방한 때, 폐쇄한 때, 또는 개폐도중,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임의(arbitrary)의 일 지점에서 임의의 다른 지점까지의 위치와 방향이 변하지 않을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door assembly 500 opens or closes the first inlet 131, or during opening and closing, from an arbitrary point of the door assembly 500 to another arbitrary point. The position and direction will not change.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캐비닛(110)에 연결시키는 제1힌지(120)를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면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 구비되는 제1상부힌지(128) 및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에 구비되는 제1하부힌지(1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hinge 120 connecting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cabinet 110 between both sides of the cabinet 110 . The first hinge 120 may be located at the top and/or bottom of the cabinet 110. Specifically. The first hinge 120 may include a first upper hinge 12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and a first lower hinge 129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You can.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은 단차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은 단차로 인한 단차면(1323, 도 1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의 사이에 및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may have a stepped shape.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may include a step surface 1323 (see FIG. 14) due to a step difference. This is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where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is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제1상부힌지(128)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서 상기 단차면(132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upper hinge 128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tep surface 1323 o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상기 제1하부힌지(129)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 또는 상기 제2바닥면(1352)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lower hinge 129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or on the second bottom surface 1352.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1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상부힌지(128) 및 상기 제1하부힌지(129)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연결하는 링크(1251, 1252)의 회전길이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를 연결하는 제2힌지(520)의 연결부재(5251, 5252)의 회전길이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시 또는 개방도중, 상기 캐비닛에서 완전히 이격시킴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들과의 간섭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투입구(131)를 가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upper hinge 128 and the first lower hinge 129 included in the first hinge 120 have a link 1251 connecting the cabinet and the door assembly 500.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length of 1252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s 5251 and 5252 of the second hinge 520 connect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receiving body 510.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door assembly 500 from the cabinet when opening or during opening. Additionally,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completely opened, this is to ensure that the first inlet 131 is not blocked.

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로 인해 인접하는 가구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방시에는 인접하는 가구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폐쇄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캐비닛(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while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does not occur due to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won't However,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opened while the door assembly 500 is closed,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may occur.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second hinge 520 to be provided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10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이를 위해, 도 10에서 후술할 상기 제1링크(1251, 도 10(b) 참조) 및 상기 제2링크(1252, 도 10(b) 참조)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1연결부재(5251, 도 12(c) 참조)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52, 도 12(c) 참조)의 길이보다 길수 있다.To this end,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251 (see FIG. 10(b)) and the second link 1252 (see FIG. 1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10, are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5251 (see FIG. 10(b)). 12(c))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5252 (see FIG. 12(c)).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전면에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고 내부에 제2챔버(550)를 포함하는 수용바디(510),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는 제2챔버의 도어(5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oor assembly 500 includes a receiving body 510 that includes a second inlet 512 on the front and a second chamber 550 inside,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let 512. It may include a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9를 팜조하면, 상기 제2챔버(55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하우징(55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에 접근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9 , the second chamber 550 may be formed by an accommodating housing 559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510. The user can access the second chamber 550 through the second inlet 51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에 결합하는 전방패널(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512)는 상기 전방패널(518)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o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anel 518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510. The second inlet 512 may be formed through the front panel 518.

따라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투입구(512)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559)과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는 전방패널(5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assembly 500 is formed to face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while surrounding the second inlet 512, and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housing 559 and the receiving body 510. 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anel 518 that is coupled.

이와 달리,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수용하우징(559)와 일체로 형성된 후 전면이 개구된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ront panel 518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eiving housing 559 and the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body 510 with an open front surface.

따라서,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수용바디(510) 및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전방패널(518)을 관통하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통해 상기 수용하우징(559)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챔버(550)에 의류나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panel 518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510 and the receiving housing 559,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inlet ( Clothes or articl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formed inside the housing 559 through 512).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제2투입구(512)를 둘러싼 상기 전방패널(518)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크기는 상기 제2투입구(51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Since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ront panel 518 surrounding the second inlet 512, the siz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the size of the second inlet 512. I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512).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은 폐쇄시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하여,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it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518 to close the second inlet 512.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전방패널(518) 또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hinge 5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518 or the receiving body 510.

즉,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전방패널의 상부를 형성하는 전방상부패널(5181), 상기 전방패널의 하부를 형성하는 전방하부패널(5184), 및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과 상기 전방하부패널(5184)의 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전방좌측패널(5182)과 전방우측패널(5183)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ront panel 518 includes a front upper panel 5181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nel, a front lower panel 5184 forming a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upper panel 5181 and the front. It may include a front left panel 5182 and a front right panel 5183 connecting the sides of the lower panel 5184, respectively.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 상기 전방하부패널(5184), 상기 전방좌측패널(5182)및 상기 전방우측패널(5183)에 의해 상기 제2투입구(5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패널(518)은 상기 제2투입구(512)의 둘레를 감싸면서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제2챔버(550)과 상기 수용바디(510)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전선, 회로기판 및 각종 장치들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econd inlet 512 may be formed by the front upper panel 5181, the front lower panel 5184, the front left panel 5182, and the front right panel 5183. That is, the front panel 518 will be positioned surrounding the second inlet 512. This is to prevent wires, circuit boards, and various devices that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chamber 550 and the receiving body 510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상기 제2투입구(512)는 사각형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512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은 상기 전방상부패널(518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51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제2챔버(550)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51813)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upper panel 5181 may include an air inlet 51813 formed through the front upper panel 5181. Air in the second chamber 550 may circulate through the air inlet 51813. The air inlet 51813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따라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폐쇄시, 상기 공기유입부(51813)는 상기 전방패널(518)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마주보게 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the air inlet 51813 will be located on the front panel 518 and face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상기 제2투입구(512)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 즉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는 적어도 상기 공기유입부(51813) 및 상기 제2투입구(512)를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패널(518)에 결합할 수 있다.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510, that is, the front panel 518 including the second inlet 512,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inlet 512. can do. That is,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518 to cover at least an area including the air inlet 51813 and the second inlet 512.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닫는 경우, 상기 제2챔버(550)는 공기유입부(51813)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510)와 상기 제2챔버(55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공간과 연통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the second chamber 550 is located between the receiving body 510 and the second chamber 550 through the air inlet 51813. It will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또한, 도 9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행어부(800) 및 선반거치부(5552)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행어부(8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의류행어(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행어(830)는 상기 제2챔버(55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2챔버 후면(555)에 거치시키거나 탈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9 shows an example of the hanger unit 800 and the shelf holder 5552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550. The hanger unit 800 may include a clothing hanger 830 that can hold clothing in the second chamber 550. The clothing hanger 830 can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555, which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0.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구비되는 행어거치부(5554)에 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는 일종의 액세서리로 상기 제2챔버(550)에서 탈착가능하다.The do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portion 800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550 to hold clothing. The hanger unit 800 may be mounted or coupled to a hanger holder 5554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550. The hanger portion 800 is a type of accessory and is detachable from the second chamber 550.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상기 행어부(800)를 설치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행어거치부(55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행어부(8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고리형태의 옷걸이의 외형을 갖는 행어부(800)의 경우,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서 후크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행어부(800)의 고리를 상기 후크에 걸어 의류를 진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o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holder 5554 that can install or mount the hanger 800 on the rear side 555 of the second chamber. The hanger holder 5554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anger 80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anger unit 800 hav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ring-shaped clothes hanger, the hanger holder 5554 may be in the form of a hook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The user can display clothing by hanging the hook of the hanger unit 800 on the hook.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되는 방식의 의류행어(830)의 경우, 상기 행어거치부(5554)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홈 이나 홀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행어(830)를 상기 행어거치부(5554)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in the case of a clothing hanger 830 coupled to the back of the second chamber 555, the hanger holder 5554 is a groove in the back of the second chamber 555. It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Accordingly, the clothing hanger 830 may be coupled to the hanger holder 5554 in a detachable manner.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챔버(55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550)에 수용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선반부(580, 도 2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하는 상기 선반부와의 결합을 위한 선반거치부(5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helf portion 580 (see FIG. 2) that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550 and supports article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550. You can. In additio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helf holder 5552 for coupling with the shelf coupled to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구체적으로, 상기 제2챔버 후면(555)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이나 홀 형태의 선반거치부(555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hamber 555 may include a shelf holder 5552 in the form of a groove or hole that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상기 선반부(580)는 직사각형 판(sheet)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부(580)의 후면에 상기 선반거치부(5552)와 결합하기 위한 선반결합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거치부(555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거치부(5552)에 결합하는 상기 선반부(580)또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helf portion 580 may have a rectangular sheet shape. The shelf unit 580 may include a shelf coupling part 811 on the rear side of the shelf unit 580 for coupling to the shelf holder 5552. The shelf holder 555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ly, a plurality of shelf units 580 coupled to the shelf holder 5552 may be provided.

상기 선반거치부(5552)는 상기 제2챔버 후면(555)에 결합되는데, 이는 후술할 제2챔버(550)의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선반부(580)의 양 측면을 상기 제2챔버의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다.The shelf holder 555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555 of the second chamber, which connects both sides of the shelf 580 to both sides of the second chamber 550 for air circulation in the second chamber 5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s to keep it away from the side.

도 9는 상기 행어부(800)를 상기 제2챔버(550)의 일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선반부(580)는 상기 선반지지부(5552)에서 분리시킨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부(800)에 거치되는 옷의 크기를 고려하면, 상기 행어부(800)의 하부에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일부만이 상기 복수 개의 선반거치부(5552)중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8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되는 물품이나 의류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가 조절하여 결합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즉, 수용되어 전시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챔버(550)의 후면에 결합하는 선반부(58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Figure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portion 80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550, and the shelf portion 580 is separated from the shelf support portion 5552.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lothes mounted on the hanger unit 800,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shelves at the lower part of the hanger unit 800 may be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shelf holders 5552. Even in a state where the hanger unit 800 is not coupled, the user may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helves and connect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article or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chamber. That 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duct being accommodated and displayed, the shelf portion 580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chamber 550 can be separated or coupled.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제1힌지(12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사용자가 왼손잡이인지 또는 오른손잡이인지에 따라 개폐방향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방향은 동일한 제1힌지(120)를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된 제1힌지(12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사용자의 좌측으로 이동시킬 것이고 도 10(b)에 도시된 제1힌지(120)는 상기 사용자의 우측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Figures 10(a) to 10(c) show the first hinge 120. The door assembly 500 may have different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left-handed or right-handed. Alternatively, the door assembly 500 may be set so that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ssembly 500 in a preferred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me first hinge 120 is installed. The first hinge 120 shown in FIGS. 10(a) and 10(c) will move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left of the user, and the first hinge 120 shown in FIG. 10(b) will move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left of the user. The hinge 120 can move the door assembly 500 to the right of the user.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결합하는 힌지결합부(127),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는 힌지수용부(121), 상기 힌지결합부(127) 및 상기 힌지수용부(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25)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시, 상기 힌지수용부(121)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b), the first hinge 120 includes a hinge coupling portion 127 coupled to the door assembly 500, a hinge receiving portion 121 coupled to the cabinet,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 127) and a link portion 125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The link portion 125 may be accommodated 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상기 링크부(125)는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링크(1251) 및 제2링크(12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portion 125 may include a first link 1251 and a second link 1252 that rotatably connect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27.

즉,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수용바디(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링크(1251) 및 제2링크(125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inge 120 may include a first link 1251 and a second link 1252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10 and the receiving body 510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 is.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hinge 120 moves the door assembly 500 forward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through rotation of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It can be moved parallel to the first inlet 131.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의 서로 다른 지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전체적인 윤곽은 4절링크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각각 상기 캐비닛(110) 및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만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평행 4절링크(Parallelogram 4 bar linkage)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are rotatably connected to different points of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27, the overall outline is in the form of a four-bar link. It can be. In particular,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27 are coupled and fixed to the cabinet 110 and the door assembly 50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 can only rotate. Therefore, it may have a mechanism similar to parallel 4 bar linkage.

즉,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회전시, 상기 힌지수용부(121) 및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결국,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도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회전할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rotate,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127 can only move in directions parallel to each other. Ultimately,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will also rotat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paced apart.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1투입구(131)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The door assembly 500 will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inlet 131.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항상 전방면을 향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시 상기 제2챔버(550)를 항상 볼 수 있다.The door assembly 500 can move with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lways facing the front. Accordingly, the user can always see the second chamber 55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500.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제1위치 또는 접힌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17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밀면,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120)에 의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최종적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 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may be arranged in a parallel direction and contact the door assembly 500. . 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position or folded state. When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pushes the door assembly 500, the door assembly 500 rotates and can be pulled forward by the first hinge 120. And, by the first hinge 120, the door assembly 500 will finally be moved to one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제1힌지(120)의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회전을 하는 것이지만,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된 후 옆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of the first hinge 120 rotate, but becaus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always faces forward. Accordingly, to the user, the door assembly 500 may appear to move sideways after being pulled ou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entrance 131.

엄밀히는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가 이격되어 회전하므로, 각각의 개별링크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전면이 항상 전방을 향해 고정되어 있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병진운동 (translational motion)을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Strictly speaking, since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rotate apart from each other, they are rotated by each individual link, but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500 is always fixed toward the front. The door assembly 500 may appear to be in translational motion.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개폐구동부(170)에 의해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된 후, 옆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도어의 형태를 글라이딩 도어(gliding door) 혹은 스윙도어(swing door)라 칭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door assembly 500 is mov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opening/closing actuator 170 and then moves to the side. This type of door can be called a gliding door or swing door.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의 길이를 고려하면, 상기 제1힌지(12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인접가구와 간섭되지 않게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일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투입구를 가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를 펼친상태라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시 또는 이동시에도 상기 입출력부(700)에 접근이 용이하게 하기 위힘이다.Considering the lengths of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the first hinge 120 is designed to prevent the door assembly 500 from interfering with adjacent furniture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can be opened. Additionally,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completely opened, the door assembly 500 moves to one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nd does not cover the first input port. This state can be called an unfolded state. This is to facilitate easy access to the input/output unit 700 even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or moved.

상기 접힌상태에서의 상기 펼친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may rotate at an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 and less than 180 degrees (°)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결합부(127)는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L자 형태의 힌지절곡부(12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힌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1251) 및 상기 제2링크(1252)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0(c), the hinge coupling portion 127 may include an L-shaped hinge bending portion 1275 that is formed by bending at one side.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link 1251 and the second link 1252 in the folded state.

도 11은 제2힌지(520)의 일례이다.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상기 수용바디(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2힌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11 is an example of the second hinge 520. The door assembly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inge 520 to rotatably couple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o the receiving body 510.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두께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수용바디(510)의 전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1힌지(120)처럼 동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120)가 상기 제1투입구(131)에서 멀어진 후 상기 제1투입구(131)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달리, 상기 제2힌지(520)는 일반적인 힌지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바디(5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개폐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assembly 500, and since i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ceiving body 510, the second hinge 520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120. ), there is no need to operate like this. Therefore, unlike the first hinge 120 that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inlet 131 after moving away from the first inlet 131, the second hinge 520 accommodates the same as a general hin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dy 510,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다만, 상기 제2힌지(5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내면, 즉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양 면 중 상기 제2투입구(512)를 향하는 면, 과 상기 수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를 닫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f the second hinge 52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may occur, so the second hinge 52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at is, the second hinge 5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wo sides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the side facing the second inlet 512 is provided on the receiving body,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losed. .

따라서, 상기 제2힌지(520)의 일부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고, 상기 제2힌지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에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econd hinge 52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body 510, and another portion of the second hinge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상기 제2힌지(520)가 회전하여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가 된 경우,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최대 개방각도(Θ)는 90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최대 개방각도가 180도(°)이상이면, 인접한 가구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second hinge 520 rotates and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chang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he maximum opening angle Θ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90 degrees (° ) may be more than 180 degrees (°). If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more than 180 degrees (°),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may occur.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제2힌지(520)의 일례이다. 상기 제1힌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힌지(520)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결합하는 부재수용부(521), 상기 제2챔버의 도어에 결합하는 부재결합부(527) 및 상기 부재수용부(521) 와 상기 부재결합부(527)를 연결하는 연결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5)는 상기 제1연결부재(5251) 및 상기 제2연결부재(5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수용부(521)는 상기 수용바디(51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시기키기 위한 수용부체결홈(5211)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s 12(a) to 12(c) are examples of the second hinge 520. Like the first hinge 120, the second hinge 520 includes a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coupled to the receiving body 510, a member coupling portion 527 coupled to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coupled to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525 connecting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and the member coupling portion 527. The connection part 525 may inclu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525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5252.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astening groove 5211 for coupling to the receiving body 510 using a fastening member.

상기 부재결합부(527)도 상기 부재수용부(521)와 유사하게 상기 부재결합부(527)를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인 제1체결홀(5271) 및 제2체결홀(5272)를 포함할 수 있다.Similar to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the member coupling portion 527 also has a first fastening hole 5271, which is a fastening hole for fixing the member coupling portion 527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a second fastening hole 5272.

상기 제2힌지(5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수용바디(5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상부힌지(528) 및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 및 상기 수용바디(5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하부힌지(5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상기 제2상부힌지(528)의 일례이고, 도 12(b)는 상기 제2하부힌지(529)의 일례이다. 상기 제2상부힌지(528) 및 상기 제2하부힌지(529)는 상기 제1체결홀(5271)의 위치가 서로 반대이다. 이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의 결합위치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2상부힌지(528)는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아래쪽에 체결영역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하부힌지(529)는 이와 반대일 것이다.The second hinge 520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and includes a second upper hinge 528 connecting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510 and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it may include a second lower hinge 529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body 510. FIG. 12(a) is an example of the second upper hinge 528, and FIG. 12(b) is an example of the second lower hinge 529. The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5271 of the second upper hinge 528 and the second lower hinge 529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s, because the second upper hinge 528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 fastening area is secured below. The second lower hinge 529 will be the opposite of this.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힌지(520)가 상기 제2챔버의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부재수용부(521) 및 상기 부재결합부(527)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거리(K1)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HA영역에서 상기 제2챔버의 도어(530)와 상기 수용바디(510)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2(b), when the second hinge 520 fully opens the door of the second chamber, there i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member receiving portion 521 and the member coupling portion 527. A distance K1 may exist.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530 of the second chamber and the receiving body 510 in the HA area shown in FIG. 11.

도 13(a)및 도 13(b)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일례이다. 전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제2챔버(550)를 수용하기 위해 부피가 커진 도어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반면, 도 1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챔버(550)를 포함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얇은 도어 두께를 갖는 도어(501)를 포함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챔버(130)의 공간이 상기 제1챔버 바닥면(135)의 단차로 인해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이다.Figures 13(a) and 13(b) are another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The above-described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door assembly 500 whose volume is increa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chamber 550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13 does not include the second chamber 550 and shows an example that includes a door 501 with a relatively thin door thickness. That is, this is an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 which the space of the first chamber 130 is not divided into two spaces due to the step of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즉, 제1챔버 바닥면(135)이 단차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501)는 제1투입구(또는 투입구, 13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어(501)는 전술한 제2힌지와 같은 구조를 가질수도 있으나 통상적인 힌지로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인접하는 가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구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사이에 소정의 이격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at is, since the bottom surface 135 of the first chamber is not stepped, the door 501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1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or inlet 131). At this time, the door 501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hinge described above, but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10 with a conventional hinge. Of course,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adjacent furniture.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투입구(13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 상기 투입구(131)를 개폐하는 도어(501),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31)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130),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3(a) and 13(b),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binet 110 including an input port 131 on the front,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put port 131 ( 501), a first chamber 130 locat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let 131,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130 and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t extends along and includes a hanger body portion 610 that holds the clothing, and a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at is located on an upper part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movably supports it.

그리고,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provided to be movable forward.

또한, 상기 제1챔버(130)의 하부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보조챔버(150)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보조챔버 전방면(151)을 통해 상기 급수탱크(481) 및 상기 배수탱크(485)를 상기 보조챔버(150)에 인입 및/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hamber 150 provided separately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hamber 130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481 and The drain tank 485 may be introduced into and/or withdrawn from the auxiliary chamber 150.

도 13(b)는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30)에 공기(가열공기 또는 미가열공기), 또는 스팀을 분사하는 기계장치 조립체(EMA, Electro-Mechanical Assembly)와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사이에 구비되어 의류지지부(600)를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의류구동부(640)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3(b) shows an electro-mechanical assembly (EMA) provid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spraying air (heated air or unheated air) or steam into the first chamber 130. ) and a clothing driving unit 640 provided betwee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to reciprocate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

또한, 상기 의류지지부(600)의 방향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상기 의류지지부(600)에 거치된 의류에 공기나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공기흡입포트(137)가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도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공기배출포트(138)와 마찬가지로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e air discharge port 138 is used to uniformly supply air or steam to the clothing mounted on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 and the air intake port 137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n addition,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is also located adjacent to the air discharge port 138, and may exten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like the air discharge port 138.

도 14는 제1챔버(130) 및 보조챔버(150)를 간단하게 도시 한 후, 공기의 순환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닥면(1351)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보조챔버(150)의 전후방향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기계장치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될 것이다.Figure 14 briefly shows the first chamber 130 and the auxiliary chamber 150 and then schematically shows the direction of air circulation. As described in FIGS. 3 and 4,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assembly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hamber 130. Accordingly, since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auxiliary chamber 150 located below the first bottom surface 1351 is reduced, the air supply duct 411 is installed in order to efficiently arrange mechanical devices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 will be located close to one of the two sides of the cabinet 110. That is, the air supply duct 411 will be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the one side.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3(a) 도 13(b)를 참조하여, 상기 제2챔버(55)가 없는 도어(501)의 경우에도,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의류지지부(6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의류지지부(600)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는 상기 의류지지부(600)의 방햐에 수직하게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거치되는 의류에 공기나 스팀을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S. 13(a) and 13(b), even in the case of the door 501 without the second chamber 55, the length of the cabinet 1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In order to reduce the load,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In any case, as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e air discharge port 138 and the air intake port 137 ar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t may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is is to uniformly supply air or steam to the clothes being placed.

이를 고려하여, 상기 보조챔버(150)의 내부에 기계장치(EMA)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캐비닛(110)의 양 측면 중 일 측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급기덕트(411)는 상기 일측면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될 것이다.Considering this, in order to efficiently place the mechanical equipment (EMA)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150, the air supply duct 411 will be located close to one of the two sides of the cabinet 110. That is, the air supply duct 411 will be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the one side.

상기 연결덕트(413)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 또는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duct 413 may also be arranged in the left-right or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상기 서포터부(489)도 상기 캐비닛(110)의 좌우방향을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er unit 489 may also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결국,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은 도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제1투입구(또는 투입구 131)에서 상기 제1챔버(130)를 바라본 모습이다.Ultimately, the flow of air circulating through the air supply unit 410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14. Figure 14 is a view of the first chamber 130 from the first inlet (or inlet 131).

도 14를 참조하면, 만약 상기 공기배출포트(138)가 상기 제1챔버의 양 측면 증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흡입포트(137)가 상기 제1챔버(130)의 양 측면 중 타측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공기공급부(4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를 통해 상기 제1챔버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을 향해 위로 이동할 것이다. 이후 공기는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에 의해 이동방향이 변하고, 다시 상기 제1챔버(130)의 타측면을 만나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14, if the air discharge port 138 is locat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air intake port 137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wo sides of the first chamber 130. Assuming that it is locate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410 will move upward along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through the air intake port 137 toward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Afterward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ir will change due to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air will mee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and move downward again.

결국 상기 제1챔버(130)의 타측면을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410)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Ultimately, the air moving alo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will move to the air supply unit 410 through the air intake port 137.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로 유입된 공기는 우선 상기 급기덕트(411)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후, 상기 송풍유닛(412)을 지나 다시 상기 연결덕트(413)를 향해 위로 올라가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연결덕트(413)가 상기 서포터부(489)의 상부에 위치한 반면, 상기 송풍유닛(412)은 상기 베이스부(470)에 위치하기 때문이다.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take port 137 will first move downward along the air supply duct 411. Afterwards, it will pass through the blowing unit 412 and go up again toward the connection duct 413.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duct 413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er part 489, while the blowing unit 412 is located at the base part 470.

즉, 상기 급기덕트(411)에서 상기 연결덕트(413)까지의 공기 이동은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위로 올라가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급기덕트(41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응축수가 열교환부(415)로 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응축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바뀌어 상기 송풍유닛(412)으로 유입되기 전 상기 급기덕트(411)의 하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movement from the air supply duct 411 to the connection duct 413 will go down and then go up again. This is to prevent condensed water that may flow through the air supply duct 411 from flowing into the heat exchange unit 415. Condensate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at the lower part of the air supply duct 411 befor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ir changes and flows into the blowing unit 412.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급기덕트(411)의 하부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응축수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섬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미도시)에 일시적으로 모인 응축수는 배수펌프(미도시)를 통해 배수탱크(485)에 모일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ump (not show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ndensed water inside or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supply duct 411. Condensate temporarily collected in the sump (not shown) may be collected in the drain tank 485 through a drain pump (not shown).

스팀공급부(450, 도 4 참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순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배출포트(138)대신 상기 스팀배출포트(139)를 통해 스팀이 배출된 후 상기 공기흡입포트(137)를 통해 순환하는 공기와 함께 상기 급기덕트(411)로 들어갈 수 있다.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unit 450 (see FIG. 4) may also circulate in the same manner. However, instead of the air discharge port 138, steam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and then enter the air supply duct 411 together with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137.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공기 및 스팀의 순환방향이 전후방향이 아닌 좌우방향으로 설정됨에 따라, 의류를 거치하는 의류지지부(600), 특히 행어바디부(610), 의 방향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air and steam in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is se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ather tha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especially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 holding clothing. The direction of , can also be set differently.

의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공기 및 스팀이 의류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해야 한다. 만약 행어바디부(610)가 너비방향으로 구비된다면, 상기 공기배출포트(138) 및 상기 스팀배출포트(139)에 가깝게 거치된 옷들만 관리가 되고, 멀게 거치된 옷들은 가깝게 거치된 옷들로 인해 관리가 잘 안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및 스팀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서,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o care for clothes, you need to ensure that air and steam ar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clothes. I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nly clothes placed close to the air discharge port 138 and the steam discharge port 139 can be managed, and clothes placed far away may be damaged by clothes placed close together. It may not be managed well. Therefore, in order to uniformly distribute air and steam,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to be provid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다만, 사용자는 상기 의류지지부(600)에 옷을 거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의류지지부(6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투입구(131)에서 행어홈(6111)까지의 거리가 모두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행어홈에 의류를 거치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hang clothes on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formed in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e distances from the input port 131 to the hanger groove 6111 are all different. Therefore, placing clothing in the deepest hanger groove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의류지지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지지부(600) 중 상기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하는 행어바디부(610)는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몸을 숙이거나 하는 불편 없이,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한 후 의류를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includes a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and the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among the clothing support portions 600 are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ncluded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orward. Through this, the user will be able to pull ou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through the first input port 131 and place clothing thereon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nd down.

도 15는 상기 제1챔버(130)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부(600)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5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130.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s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o hold clothes,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includ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t may include a hanger support portion 6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의류구동부(640) 및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동력변환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ncludes a clothing driving unit 640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a power conversion unit 660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into a reciprocating motion that mov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는 스팀 및 열풍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lothing drive unit 64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2 to prevent exposure to the user and to prevent failure due to steam and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It can be located in .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지지하는 행어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행어프레임도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캐비닛(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닛 프레임(미도시) 또는 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진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be supported by a hanger frame (not shown) that supports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The hanger frame is also located betwee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both ends of the hanger frame are a cabinet frame (not shown) or a cabinet (not shown) that forms the skeleton of the cabinet 110. 110) can be combined. This is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동력모터(641) 및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동력전달부(642)의 일례로 주동풀리(6423), 종동풀리(6422) 및 상기 주동풀리(6423)와 상기 종동풀리(6422)를 연결하는 벨트(642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include a power motor 64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42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motor and transmits power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Figure 15 shows a main pulley 6423, a driven pulley 6422, and a belt 6421 connecting the main pulley 6423 and the driven pulley 6422 as an exampl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42, but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무빙행어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를 지지하는 풀리고정부재(6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further include a pulley fixing member 6425 that is supported on the moving hanger frame and supports the driven pulley 6422.

상기 동력변환부(660)는 상기 종동풀리(6422)와 연결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회전부(661) 및 상기 회전부(661)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변환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61)는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축방향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661)에 의해 일정한 반경의 원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The power conversion unit 660 is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6422 and includes a rotating part 661 that rotates together when the driven pulley 6422 rotates, and a conversion member that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661 into reciprocating motion ( 662). The rotating part 661 may be capable of circular motion of a certain radius by the rotating part 661 provided to rotate at a distance from the rotating axis direction of the driven pulley 6422.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661)는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연결부재,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변환부재(662)와 연결되는 삽입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ng part 661 includes a rotation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t one end, an arm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axis,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ng shaft at the other end of the arm member. It may include an insertion rot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conversion member 662.

도 15는 상기 변환부재(662)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홀의 형태로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igure 15 shows that the conversion member 66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ger support part 620 in the form of a groove or hole form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622) 및 제2서포팅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팅부(622) 및 상기 제2서포팅부(624)는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변환부재(662)로 인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The hanger support part 620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part 622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624 that support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part. The first supporting part 62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624 support the hanger supporting part 620 when the hanger supporting part 620 reciprocate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e to the conversion member 662. It will be.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하측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may include a hanger body portion 61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holds clothing.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exten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결합하여 상기 의류구동부(640)에 의해 왕복운동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can be combined and reciprocated by the clothes driving part 640.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해어홈(6111)이 등간격이 아닌 간격으로 배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얇은 재질의 의류, 예켠대 와이셔츠, 와 같은 옷을 추가로 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도 15는 5개의 행어홈을 도시하고 있다. 이중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행어홈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이고, 두번째와 네번째 행어홈은 각가 첫번째와 다섯번째 행어홈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의 행어홈은 의류의 크기를 고려한 배열된 행어홈들이다. 반면, 두번째와 네번째의 행어홈은 의류를 추가적으로 거치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that can hold clothing. Figure 15 shows the plurality of hair grooves 6111 arranged at intervals other than equal intervals. This is to allow additional clothing such as thin clothing, dress shirts, etc. to be hung. For example, Figure 15 shows five hanger grooves. Among them,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third and fifth hanger grooves is equal, and the second and fourth hanger grooves are located close to the first and fifth hanger grooves, respectively. The first, third, and fifth hanger grooves ar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lothing.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nd fourth hanger grooves can be used to store additional clothing.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결합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다. 즉,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의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레일(6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이동레일(615)에 결합시키는 이동가이더(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더(617)가 상기 이동레일(615)위를 이동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이동레일(61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coupled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but can be withdrawn forward through the first inlet 131 when necessary. That is, the hanger support part 620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rail 615 for moving the hanger body part 610 forwar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r 617 that is located above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coupl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to the moving rail 615. When the moving guider 617 moves on the moving rail 615, the hanger body portion 610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moving rail 615.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하는 행어바(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행어홈(6111)에 거치시 상기 이동레일(615) 또는 상기 의류지지부(6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바(6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행어바디(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5 and 16 ,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bar 611 including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for holding the clothing.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anger bar 611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moving rail 615 or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when the user places clothing in the hanger groove 6111. I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hanger body 612.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키기 위해 접근 가능한 공간인 걸이공간(6101)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619)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side by side to form a hanging space 6101, which is a space accessible to the user for holding clothes. The hanger bar 611 and Both ends of the upper hanger body 61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body 619 that connects them.

즉, 상기 걸이공간(6101)은 상기 행어바(611), 상기 상부행어바디(612) 및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디(6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hanging space 6101 is connected to the hanger bar 611, the upper hanger body 612, and the connecting body 619 connecting both ends of 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can be formed by

달리 표현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공간(6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공간(6101)의 하면에는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위치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it may include a hanging space 6101 formed through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that can hold the clothing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ging space 6101.

도 16은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전방으로 인출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행어지지부(620)에서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옷을 거치하고, 다시 후방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Figure 1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ulled out in front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e user can pull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from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place clothes on it, and then pull it back in again.

구체적으로,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제1영역(1301)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는 상기 제1영역(1301)에 위치시에는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시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와 함께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이후,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시, 사용자는 상기 행어바(611)를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서 인출하여 상기 제1투입구(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may be locat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n the first area 1301. The hanger bar 611 is fixed to the upper hanger body 612 when located in the first area 1301, and when the clothes driving unit 640 rotates, it is held together with the upper hanger body 612 and the cabinet 110. ) will reciprocat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after,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the user can withdraw the hanger bar 611 from the upper hanger body 612 and move it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inlet 131.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시, 상기 행어바(611)는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에서 상기 제1투입구를 향해 인출되어, 상기 행어바(611)의 적어도 일부가 제2영역(1302)에 위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the hanger bar 611 is pulled out from the upper hanger body 612 toward the first inle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ger bar 611 is in the second area ( 1302).

한편,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같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입시, 상기 행어지지부(620)와의 결합이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이동레일(61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lothes driving unit 640 rotates, the hanger body unit 610 and the hanger support unit 620 will reciprocat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introduced, if the coupling with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is not fixe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unintentionally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moving rail 615. there is.

이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출입방향이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왕복운동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the same as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7(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613),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이동방지돌기(625)를 삽입할 수 있는 행어바스토퍼(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referring to FIG. 17(a),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ncludes a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provided in any on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It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can be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It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bar stopper 621.

도 17(b)는 행어바스토퍼(621)의 이동방지돌기(625)가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고정된 모습이다. 도 17(c)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가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된 모습이다.Figure 17(b) show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of the hanger bar stopper 621 being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so tha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fixed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Figure 17(c) show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625) 및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하기 위한 이동모터(6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ar stopper 621 includes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and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s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or fixes the hanger bar. It may include a movement motor 626 for separation from the groove 613.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hanger bar stopper 621 automatically insert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or separates it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You can do it.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7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킬 것이다.To this end,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ssembly 500, the control unit 490 drives the movement motor 626 to set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 6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detects that the door assembly 500 is closed, the control unit 490 drives the movement motor 626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to the hanger bar. It will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13).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후면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제1힌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793 is shown as being located at the rear of the door assembly 500. However, as long as it can detect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closed, it may be located anywhere. do.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hinge 120.

즉,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상기 제1투입구(131)를 폐쇄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결합시킬 것이다. 이는 향후 상기 의류지지부(600)의 왕복운동을 대비하기 위함이다.That is, when the door assembly 500 closes the first inlet 131, the control unit 490 insert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will be combined. This is to prepare for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n the future.

상기 도어어셈블리(500)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인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이동방지돌기(625)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When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will pull ou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so in preparation for this, the control unit 490 installs the anti-movement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It can be separated at (613). Therefore, even if the user mov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interference betwe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will not occur.

도 18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의류지지부(600)의 다른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전방으로 인출된후,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110)의 측면방향에서 상기 인출된 행어바디부(610)에 의류를 걸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에서 옷을 걸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된 의류지지부(600)의 일례는 행어바디부(610)가 행어지지부(620)에서 전방으로 인출 된 후 회전을 하여 다시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18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provided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ulled out forward, the user will hang clothing on the pulled out hanger body portion 610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n this case, the user may have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hang clothes in front of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100. To solve this, in an example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shown in FIG. 18, the hanger body unit 610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hanger support unit 620 and then rotated to be arranged agai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It was made to be so.

즉,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후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at i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oved forward, and then rotated relative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o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s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o hold clothes,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holds the hanger. It may include a hanger support part 62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610 and supporting the hanger body part 610.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의류구동부(640) 및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운동을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회전부(661) 및 변환부재(6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61)가 모터의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변환부재(662)가 회전운동을 상기 전후방향의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될 것이다. 이는 이른바 스카치-요크 메커니즘(Scotch-Yoke Mecahnism)을 이용한 것이다.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ncludes a clothing driving unit 640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a rotating unit 661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into a reciprocating motion that mov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662. When the rotating part 661 rotates away from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he conversion member 662 will convert the rotating motion into th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linear motion. This uses the so-called Scotch-Yoke Mecahnism.

상기 변환부재(662)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홀의 형태로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version member 662 is shown as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ger support unit 620 in the form of a groove or hole form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는 스팀 및 열풍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b),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first chamber to prevent it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and to prevent failure due to steam and hot air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And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지지하는 구동부프레임(64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프레임(649)도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프레임(649)의 양단은 상기 캐비닛(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닛 프레임(미도시) 또는 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진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be supported by a driving unit frame 649 that supports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The driving unit frame 649 is also located betwee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both ends of the driving unit frame 649 form a cabinet frame ( (not shown) or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10. This is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행어지지부(620)의 하측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may include a hanger body portion 61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holds clothing.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may exten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의류구동부(640)에 의해 왕복운동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reciprocate by the clothes driving part 640.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바(6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611)는 상기 행어바(611)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등간격이 아니어도 무방하다.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include a hanger bar 611 that can hold clothing. And the hanger bar 6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formed along the hanger bar 611. FIG. 18 shows the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However, the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may not be equally spaced.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결합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다. 즉, 상기 행어바디부(610)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상대적으로 전방으로의 이동시키고, 회전시키기 위한 운동안내부(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coupled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but can be withdrawn forward through the first inlet 131 when necessary. That i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portion 618 for moving and rotating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relative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연결되며, 상기 운동안내부(618)와 결합된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운동안내부(618)에 의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구비되는 행어바디안내부(629)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가능할 수 있다.The exercise guide part 618 is connected to the hanger support part 620 so as to move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combined with the exercise guide part 618 allows the exercise. The cabinet 11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guide portion 618. That is, the movement guide part 618 can move and rotate in a determined direction by the hanger body guide part 629 provided in the hanger support part 620.

즉,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에서 돌출되어 상기 행어바디안내부(619)와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movement guide part 618 may protrude from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be combined with the hanger body guide part 619.

상기 행어바디안내부(629)는 상기 행어지지바디(6201)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행어바디안내홀(6295), 및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의 일단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운동안내부(618)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결합안내부재(62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의 일단에 위치하는 결합안내부재(6293)에 수용시, 사용자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회전시켜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상술하였다.The hanger body guide part 629 has a hanger body guide hole 6295 that penetrates the hanger support body 6201 and extend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It may include a coupling guide member 6293 that rotatably accommodates the movement guide part 618 therein. By inserting the movement guide part 618 into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and movably coupled to it, the hanger body part 610 can mov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guide part 618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located at one end of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the user rotates the hanger body part 610 to move the cabinet 110. It can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 This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ures 20 to 22.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행어지지바디(8201)에 결합하는 행어바안내부재(62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안내부재(6291)는 상기 행어바안내부재(6291)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행어바디이동홀(62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의 일단에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행어지지부(620)와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구동되는 부품들(moving parts)이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18 and 19,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include a hanger bar guide member 6291 coupled to the hanger support body 820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there is. The hanger bar guide member 6291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through the hanger bar guide member 6291, and is a hanger body moving hole that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6292) may be further included. Additionally,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This is to improve durability since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re moving parts.

따라서,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은 상기 행어지지바디(6201)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행어바안내부재(6291)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may be located on the hanger support body 6201 or on the hanger bar guide member 6291.

마찬가지로, 상개 행어바디부(610)는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행어바(611)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행어바이동부재(6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행어바이동부재(6104)에 결합될 수 있다.Likewise, the upper hanger body portion 610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moving member 6104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hanger bar 611 in order to improve rigidity and durability. The movement guide unit 618 may be coupled to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스토퍼(621)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anger bar stopper 621. This is to preven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cabinet 110 reciproc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01)가 폐쇄시 상기 행어바스토퍼(621)에 의해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인 일례일 뿐이므로, 다른 방식으로 상개 행어바디부(610)및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상대적으로 고정시켜도 무방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501 is close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be fixed by the hanger bar stopper 621 to prevent them from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Since this is only a specific example, the upper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be relatively fixed in other ways.

도 19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결합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의류를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함께, 상기 의류구동부(640)에 의해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Figure 1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combined. I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performs the function of holding clothing,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ovably support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ogether with the hanger body portion 610, holds the clothing. The cabinet 110 can be recipr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driving unit 640.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상기 행어바(611)의 상부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행어지지바디(6201), 상기 행어지지바디(6201)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622) 및 제2서포팅부(6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팅부(622) 및 상기 제2서포팅부(624)는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변환부재(662)로 인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The hanger support part 620 includes a hanger support body 6201 provid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bar 611, a first supporting part 622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6201, and a first supporting part 622 that supports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6201. 2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part 624. The first supporting part 622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624 support the hanger supporting part 620 when the hanger supporting part 620 reciprocate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e to the conversion member 662. It will be.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행어홈(6111)에 거치시 상기 행어지지부(62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바(6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행어바디(612, 도 1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anger bar 611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when the user places clothing in the hanger groove 6111. I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hanger body (612, see FIG. 15).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행어바(611)와 상기 상부행어바디(612)는 사용자가 의류를 거치시키기 위해 접근 가능한 공간인 걸이공간(6101, 도 18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디(619)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side by side to form a hanging space (6101, see FIG. 18), which is a space accessible to the user for holding clothes.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body (619) connecting both ends.

즉, 상기 걸이공간(6101)은 상기 행어바(611), 상기 상부행어바디(612) 및 상기 행어바(611)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612)의 양단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바디(6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hanging space 6101 is connected to the hanger bar 611, the upper hanger body 612, and the connecting body 619 connecting both ends of the hanger bar 611 and the upper hanger body 612. can be formed by

달리 표현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공간(6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공간(6101)의 하면에는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행어홈(6111)이 위치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110, it may include a hanging space 6101 formed through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6111 that can hold the clothing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ging space 6101.

도 18 및 도 20(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동력모터(641) 및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동력전달부(642)의 일례로 주동풀리(6423), 종동풀리(6422) 및 상기 주동풀리(6423)와 상기 종동풀리(6422)를 연결하는 벨트(642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18 and 20(a),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includes a power motor 64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642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motor and transmits power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can do. Figure 15 shows a main pulley 6423, a driven pulley 6422, and a belt 6421 connecting the main pulley 6423 and the driven pulley 6422 as an exampl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42, but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또한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무빙행어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를 지지하는 풀리고정부재(6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further include a pulley fixing member 6425 that is supported on the moving hanger frame and supports the driven pulley 6422.

상기 동력변환부(660)는 상기 종동풀리(6422)와 연결되어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시 같이 회전하는 회전부(661) 및 상기 회전부(661)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변환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61)는 상기 종동풀리(6422)의 회전축방향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661)에 의해 일정한 반경의 원운동이 가능할 것이다. The power conversion unit 660 is connected to the driven pulley 6422 and includes a rotating part 661 that rotates together when the driven pulley 6422 rotates, and a conversion member that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661 into reciprocating motion ( 662). The rotating part 661 may be capable of circular motion of a certain radius by the rotating part 661 provided to rotate at a distance from the rotating axis direction of the driven pulley 6422.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661)는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전연결부재,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회전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변환부재(662)와 연결되는 삽입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ng part 661 includes a rotation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t one end, an arm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connect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axis,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ng shaft at the other end of the arm member. It may include an insertion rot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conversion member 662.

상기 의류구동부(640)는 상기 의류구동부(640)를 지지하는 구동부프레임(64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프레임(649)도 상기 제1챔버 상부면(132) 및 상기 캐비닛 상부면(11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프레임(649)의 양단은 상기 캐비닛(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닛 프레임(미도시) 또는 캐비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진동이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may be supported by a driving unit frame 649 that supports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The driving unit frame 649 is also located between the first chamber upper surface 132 and the cabinet upper surface 112, and both ends of the driving unit frame 649 form a cabinet frame ( (not shown) or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10. This is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lothing driving unit 6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hamber 130.

도 20(a)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개 행어바디부(610)의 중심이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중심과 일치하게 배치된 배열된 상태를 이를 제1배열(a first configuration)이라 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a),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overlapp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 arranged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upper hanger body portion 610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figuration.

도 2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길이가 같다면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양단과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양단은 일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게 될 것이다. 이때를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제1행어위치(M1)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b), in the first arrangement, if the lengths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the same,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e two ends will match. Even if the lengths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different, the centers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will coincid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located at the first hanger position (M1)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도 20(b)는 행어바디이동홀(6292), 행어바디안내홀(6295), 결합안내부재(6293)와 행어바디부(610)에 구비되는 행어바이동부재(6104) 및 운동안내부(618)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행어바안내부재(6291)는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이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도 20(b)에서는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과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이 중첩되어,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 및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을 통해 상기 행어바이동부재(6104)의 일부가 노출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의 양단중 일단(구체적으로는 후단(rear end))에 위치할 수 있다.Figure 20(b) shows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and the hanger by moving member 6104 and movement guide unit ( 618) is enlarged. The hanger bar guide member 6291 is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overlaps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so in Figure 20(b),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and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hanger body guide holes 6295 overlap and a portion of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is exposed through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and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At this time, the movement guide unit 618 may be located at one end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의 후단에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위치할 때를 제1위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행어위치(M1)에서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제1배열로 놓일 수 있다.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extend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first position is when the movement guide unit 618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You can. And, at the first hanger position M1,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may be placed in a first arrangement.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운동안내부(618)를 고정시키거나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는 개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과의 간섭을 피해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의 전단부분, 구체적으르는 후술할 제2행어위치(M2), 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으로 개구되었기 때문에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제1안내벽(6293a)과 제2안내벽(629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벽(6293a)과 상기 제2안내벽(6293b)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fix or movably accommodate the movement guide part 618.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may be provided in an open form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at is,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movement hole 6292, specifically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hanger body movement hole 6292. can do. Since the cabinet 110 is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may include a first guide wall 6293a and a second guide wall 6293b. The first guide wall 6293a and the second guide wall 6293b are formed as curved surfaces and may be arranged along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도 21(a)는 사용자가 도어(501)를 개방하고,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도중의 모습이다. 도 21(b)는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의 일단에서 타단(구체적으로 전단(front end))으로 이동된 모습이다. 도 21(c)는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행어바디이동홀(6292), 행어바디안내홀(6295), 결합안내부재(6293)와 행어바디부(610)에 구비되는 운동안내부(618) 및 행어바이동부재(6104)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21(a) shows a user opening the door 501 and pulling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Figure 21(b) shows the movement guide unit 618 being moved from one end of the hanger body movement hole 6292 to the other end (specifically, the front end). Figure 21(c) shows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oves relatively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is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the movement guide unit 618 and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provided in (6293)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도 21(b)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배열을 제2배열이라 칭하고,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상에서 상기 제1행어위치(M1)에서 제2행어위치(M2)로 이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b), the arrangement of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the hanger support part 620 is called a second arrangement,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is arranged in the first arrangement on the hanger support part 620. It can be said to move from the hanger position (M1) to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즉, 상기 제1배열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중심과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중첩되는 것을 뜻한다. 반면, 상기 제2배열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보다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뜻한다.That is, the first arrangement consists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such that the center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center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coincid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620) means overlapping.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arrangemen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oves forwar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 620) means that some parts overlap.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일단(구체적으로는 후단)이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양단사이에 위치하는 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타단(구체적으로는 전단)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양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In the second arrangement, one end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while the other end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 will be located ahead of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상기 제2행어위치(M2)는 상기 제1행어위치(M1)보다 전방에 위치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이동부재(6104)의 중간영역에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제2행어위치(M2)에 있게되면,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 및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를 통해 상기 행어바이동부재(6104)의 다른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will be located ahead of the first hanger position (M1). Preferably, the movement guide unit 618 will be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based o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erefore, when the movement guide unit 618 is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moves through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and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Some others may be exposed.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상기 제2행어위치(M2)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위치(M2)에서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탄성재질을 가짐으로써, 상기 운동안내부(618)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제2행어위치(M2)에 도달하면,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의 내부에 들어오게 되고, 상기 운동안내부(618)의 외측면에 구비된 양날개(wings)가 상기 제1안내벽(6293a)과 상기 제2안내벽(6293b)에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고, 외력이 없는 한 회전할수도 없다.Since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is provided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the movement guide unit 618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at the second position (M2). . Since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will be able to stably support the movement guide unit 618. When the movement guide unit 618 reaches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it enters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and both wing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unit 618 ( Since the wing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6293a and the second guide wall 6293b, the cabinet 110 cannot move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not rotate unless there is an external force.

상기 양날개의 방향은 상기 캐비닛(110)의 전후방향과 동일하게 즉,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618)이 상기 제2행어위치(M2)에 도달하면, 상기 제1안내벽(6293a)과 상기 제2안내벽(6293b)이 상기 운동안내부(618)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both wings may be the same as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Therefore, when the movement guide unit 618 reaches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the first guide wall 6293a and the second guide wall 6293b will fix the movement guide unit 618. You can.

도 22(a)는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90도(°) 회전시킨 모습이다. 도 22(b)는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상기 제2행어위치(M2)에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c)는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기준으로 90도(°) 회전시, 행어바디이동홀(6292), 행어바디안내홀(6295), 결합안내부재(6293)와 행어바디부(610)에 구비되는 운동안내부(618) 및 행어바이동부재(6104)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22(a) shows a user pulling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and then rotating it 90 degrees (°). Figure 22(b) shows the movement guide unit 618 rotating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Figure 22(c) shows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and the coupling guide member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rotated 90 degrees (°) with respect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is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the movement guide unit 618 and the hanger moving member 6104 provided in (6293) a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도 13과 같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전방으로만 인출된다면, 행어바디부(6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옷장의 경우 행어바가 너비방향으로 있는 점을 감안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pulled out only forward as shown in FIG. 13, the hanger body portion 610 will be exten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considering that in the case of a general wardrobe, the hanger bar is l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it would be preferable for the hanger body portion 610 to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for user convenience.

이를 위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제2행어위치(M2)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캐비닛(110)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제3배열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제2행어위치(M2), 즉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 내부, 에서 회전을 통해 상기 캐비닛(110)의 회전방향으로 배치될수 있다.To this en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by rotating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A case where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arrangemen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be arrang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binet 110 through rotation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M2, that is, inside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운동안내부(618)가 회전하면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는 탄성에 의해 다시 상기 운동안내부(618)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exercise guide 618 is rotated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can stably fix the exercise guide 618 again by elasticity.

상기 운동안내부(618)는 원통형이나, 반경반향으로 서로 반대의 위치에 날개(wing)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날개(wing)에 의해 상기 결합안내부재(6293)가 일종의 후크와 같이 안정적으로 상기 운동안내부(618)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movement guide unit 618 may be cylindrical, but may be provided with wings at radially opposite positions. The coupling guide member 6293 can stably fix the movement guide portion 618 like a kind of hook by the wing.

도 22(c)를 참조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90도 회전을 하였으므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상기 행어바디안내홀(6295) 및 상기 행어바디이동홀(6292)을 통해 상기 행어바이동부재(6104)가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c), since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hanger body part 610 is moved through the hanger body guide hole 6295 and the hanger body moving hole 6292,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moving member 6104 is not visible.

상기 제1배열은 상기 도어(501)가 개폐유무에 무관하게 가능한 배열인 반면, 상기 제2배열 및 상기 제3배열은 상기 도어(501)가 개방된 경우에 한해 가능한 배열이다. 이는 상기 도어(501)과 상기 의류지지부(600), 특히 행어바디부(61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501)를 폐쇄시에는 상기 제1배열만이 가능할 것이다.The first arrangement is an arrangement that is possi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501 is open or closed, while the second arrangement and the third arrangement are arrangements that are possible only when the door 501 is open.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501 and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especially the hanger body portion 610. Therefore, when the door 501 is closed, only the first arrangement will be possible.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다시 90도(°) 회전을 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보다 전방으로 이동한 형태로 상기 제2배열의 형태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여기서, 다시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면, 상기 제1배열의 형태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즉,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상기 제3배열에서 상기 제1배열로 바꾸기 위해서는 전술한 순서를 역순(reversen sequence)으로 진행하면 될 것이다.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rotated 90 degrees (°) agai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will return to the second arrangement in the form of moving forwar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 Here, i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moved rearward again, it will return to the first arrangement. That is, in order to change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rom the third arrangement to the first arrangement, the above-described sequence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상기 의류구동부(640)의 회전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는 같이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입시, 상기 행어지지부(620)와의 결합이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이동레일(615)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의도치 않게 움직일 수 있다. When the clothes driving unit 640 rotates, the hanger body unit 610 and the hanger support unit 620 will reciprocat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introduced, if the coupling with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is not fixe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unintentionally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moving rail 615. there is.

이는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인출입방향이 상기 행어바디부(610)의 왕복운동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the same as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3(a)를 참조하면, 행어바스토퍼(621)의 이동방지돌기(625)가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되어 상기 행어바디부(610)가 상기 행어지지부(620)에 고정된 모습이다. 도 23(b)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가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된 경우를 확대한 것이다.To solve this, referring to FIG. 23(a),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of the hanger bar stopper 621 is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so tha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is connected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 It is fixed at 620). Figure 2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se where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지지부(620)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6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ing support part 600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a fixing part that detachably couples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 616)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고정부의 일례이다. 즉,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613),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어셈블리(500)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이동방지돌기(625)를 삽입할 수 있는 행어바스토퍼(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ar stopper 621 is an example of the fixing part. That is, the clothing support part 600 includes a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provided in any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610, and the hanger support part 620 and the hanger body part ( 610), it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bar stopper 621 that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and can insert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is opened. there is.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625) 및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하기 위한 이동모터(626, 도 17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bar stopper 621 includes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and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s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or the hanger bar is fixed. It may include a movement motor 626 (see FIG. 17) for separation from the groove 613.

상기 행어바스토퍼(62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또는 상기 도어(501)의 개방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하거나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e hanger bar stopper 621 automatically insert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or fixes the hanger bar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501 is opened. It can be separated in the groove 613.

이를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또는 상기 도어(50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793, 도 5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 또는 상기 도어(501)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93)가 상기 도어어셈블리(500)또는 상기 도어(501)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모터(626)를 반대로 구동시켜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킬 것이다.To this end, the clothing process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see FIG. 5)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501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501, the control unit 490 drives the movement motor 626 to remove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t will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793 detects that the door assembly 500 or the door 501 is closed, the control unit 490 drives the movement motor 626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reate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 625) will be inserted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즉, 상기 도어(501)가 상기 투입구(131)를 폐쇄하면,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 삽입시켜,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결합시킬 것이다. 이는 향후 상기 의류지지부(600)의 왕복운동을 대비하기 위함이다.That is, when the door 501 closes the inlet 131, the control unit 490 insert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613, so tha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will be combined. This is to prepare for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clothing support unit 600 in the future.

상기 도어 (501)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인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625)를 상기 행어바고정홈(61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행어바디부(6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이동방지돌기(625)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When the door 501 is open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will pull out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so in preparation for this, the control unit 490 installs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 613). Therefore, even if the user mov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forward, interference betwe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625 will not occur.

도 24는 상기 고정부(616)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행어바스토퍼(621) 대신,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의류지지부(600)는 상기 행어바디부(610) 및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전단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행어바디부(610)및 상기 행어지지부(620)가 상기 제1배열에 있을 때 형성되는 후크수용부(614), 상기 후크수용부(614)에 수용되어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 상기 제1배열을 유지하도록 하는 후크(6161)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24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part 616. Referring to FIG. 24(a), instead of the hanger bar stopper 621, in order to fix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e clothing support portion 600 is connected to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a hook receiving portion 614 formed on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nd formed when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ing portion 620 are in the first arrangement, the hook receiving portion ( It may include a hook 6161 that is received in 614 and maintains the first arrangement of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상기 후크수용부(614)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도 24(b)는 상기 후크수용부(614)가 홈의 형태인 후크수용홈(6141)로 구비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The hook receiving portion 614 may have various shapes, but Figure 2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ok receiving portion 614 is provided with a hook receiving groove 6141 in the form of a groove.

상기 후크(6161)가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를 결합시킨 경우, 상기 후크(6161) 및 상기 행어바디부(610)와 상기 행어지지부(620)의 양 전단은 서로 공면(coplanar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6161)는 상기 후크수용홈(6151)에 구비되는 후크결합부(6143)에 결합하게 될 것이다.When the hook 6161 couples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the hook 6161, the hanger body portion 610, and both front ends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6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planar surface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hook 6161 will be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6143 provided in the hook receiving groove 6151.

상기 후크(6161)는 다시 터치함으로써 상기 후크결합부(6153)에서 분리되어 전방으로 튀어나오도록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616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hook coupling portion 6153 and protrudes forward when touched again.

도 24(C)는 상기 후크(6161)가 분리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후크(6161)이 분리되면 상기 행어바디부(610)는 상기 제2배열 및 상기 제3배열로 변형가능할 것이다.Figure 24(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ok 6161 is separated. When the hook 6161 is separated, the hanger body portion 610 may be transformed into the second arrangement and the third arrangement.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s scop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12: 캐비닛 상부면
120: 제1힌지 128: 제1상부힌지 129:제1하부힌지
130: 제1챔버 131: 제1투입구 132:제1챔버 상부면
135: 제1챔버 바닥면 1351: 제1바닥면 1352: 제2바닥면
137: 공기흡입포트 138: 공기배출포트 139: 스팀배출포트
150: 보조챔버 151: 보조챔버 전방면 170: 개폐구동부
490: 제어부 500: 도어어셈블리 510: 수용바디
518: 전방패널 512: 제2투입구 520: 제2힌지
528: 제2상부힌지 529: 제2하부힌지 530: 제2챔버의 도어
531: 제2챔버의 도어윈도우 533: 제2챔버의 도어프레임550: 제2챔버
600: 의류지지부 610: 행어바디부 611: 행어바
613: 행어바고정홈 615: 이동레일 617: 이동가이더
621: 행어바스토퍼 625: 이동방지돌기
100: Clothing processing device 110: Cabinet 112: Cabinet upper surface
120: first hinge 128: first upper hinge 129: first lower hinge
130: First chamber 131: First inlet 132: Upper surface of first chamber
135: First chamber bottom surface 1351: First bottom surface 1352: Second bottom surface
137: air intake port 138: air discharge port 139: steam discharge port
150: Auxiliary chamber 151: Front surface of auxiliary chamber 170: Opening/closing drive unit
490: Control unit 500: Door assembly 510: Receiving body
518: Front panel 512: Second inlet 520: Second hinge
528: Second upper hinge 529: Second lower hinge 530: Door of second chamber
531: Door window of the second chamber 533: Door frame of the second chamber 550: Second chamber
600: Clothing support part 610: Hanger body part 611: Hanger bar
613: Hanger bar fixing groove 615: Moving rail 617: Moving guider
621: Hanger bar stopper 625: Anti-movement protrusion

Claims (30)

전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와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including an inlet at the fro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put port;
a first chamber locat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put port;
a hanger body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d holding the clothes; and
A hanger support part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ody part and supporting the hanger body part to be movabl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부에서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를 연결시키는 운동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ovement guide provided in the hanger body part and connecting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support part so that the hanger body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art and move forward or rotate based on the hanger support part. Clothing process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안내부는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후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xercise guid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hanger bod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 portion, moved forward, and then rotated relative 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to b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행어바디부의 일단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의 타단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separated from the hanger supporter and moved forward, one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is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is located forward of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 및 제2서포팅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행어지지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행어지지바디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홈이나 홀 형상으로 구비되는 행어바디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ger support part
a hanger support body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to support the hanger body portion;
a first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and
Clothing comprising: a hanger body guide part extending from the hanger support bod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to move the hanger body unit from the hanger support uni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Proces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바디부가 상기 행어지지바디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바디에 연결시키는 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hanger body part
A clothing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movement guide provided in the hanger body and connected to the hanger body and the hanger support body so that the hanger body can move in the hanger support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안내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운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운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행어지지바디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exercise guide is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hanger body part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moves along the hanger body guide by the motion guide o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anger support body by the motion gu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는
상기 행어지지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동안내부가 삽입되는 행어바디안내홀; 및
내부에 상기 운동안내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결합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안내홀은
상기 운동안내부가 상기 행어바디안내홀을 따라 상기 행어지지바디 상의 제1행어위치 및 상기 제1행어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행어지지바디 상의 제2행어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제2행어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clause 7,
The hanger body guide section
a hanger body guide hole that penetrates the hanger support body and extend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into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is inserted; and
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uide member rotatably receiving the movement guide unit therein,
The hanger body guide hole is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cabinet so that the movement guide unit can move between a first hanger position on the hanger support body and a second hanger position on the hanger support body located ahead of the first hanger position along the hanger body guide hole. extends along,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안내부가 상기 제2행어위치에 위치시,
상기 행어바디부의 양단 중 일단은 상기 제1서포팅부 및 상기 제2서포팅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exercise guide is located at the second hanger position,
A laundry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안내부는
상기 행어지지바디에 결합되는 행어바안내부재; 및
상기 행어바안내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행어바디안내홀과 중첩되어 상기 행어바디를 제1행어위치 및 상기 제2행어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행어바디이동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행어바안내부재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hanger body guide section
A hanger bar guide member coupled to the hanger support body; and
It further includes a hanger body movement hole that passes through the hanger bar guide member and overlaps the hanger body guide hole to enable movement of the hanger body between the first hanger position and the second hanger position,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hanger bar guide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상기 행어바안내부재에서 돌출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It protrudes from the hanger bar guide member,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inet has an open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부재는
내부에 상기 운동안내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coupling guide member is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guide part can be rotatably accommodat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지지부와 상기 행어바디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hanger support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to detachably couple the hanger support part and the hanger body pa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행어바고정홈; 및
상기 행어지지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 중 다른 하나에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이동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fixing part
A hanger bar fixing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the hanger body portion; and
A clothing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the hanger body portion and insertable into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돌기는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행어바고정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movement prevention protrusion is
A clothing handling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hanger bar fixing groove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 또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와 결합하도록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 또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중 다른 하나의 전단에 구비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fixing part
A hook provided at eithe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o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A clothes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hook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or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to engage the hook.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의 전단의 일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전단의 일부가 함께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크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결합부에 결합시 상기 후크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The fixing part
It further includes a hook receiving groove formed by collapsing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anger body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hanger support portion,
The hook 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A clothing hand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received in the hook receiving groove when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며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어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배치가능한 행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ger support part
Includes a hanger support body that supports the hanger body portion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The hanger body part
A clothing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hanger bar that can be pla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to hold clot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는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 및
상기 행어바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행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ger body part
Hanger bar for holding clothing;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provided in the hanger bar.
제1항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A power conversion unit connected to the motor to reciprocate the hanger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구동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구동부프레임은
상기 제1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챔버상부면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0,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frame supporting the motor,
The motor and the driving unit frame are
A laundry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between a first chamber upper surfac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a cabinet upper surfac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행어지지부를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1,
The power conversion unit
a rotating part rotating away from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A transform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to reciprocate the hanger support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bine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재는
상기 행어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부프레임 및 상기 제1챔버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변환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2,
The conversion member is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support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rotating part penetrates the driving unit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hamber to be connected to the conversion memb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분리되어 위치하는 보조챔버;
상기 보조챔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로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연통하여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상기 제1챔버로 배출하는 공기배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uxiliary chamber located separately below the first chamber;
an air supply unit located inside the auxiliary chamber and circulating air in the first chamber;
an air intake por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and sucking air from the first chamber into the air supply unit; and
An air discharge por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hamber, and discharging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into the first chamb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포트 및 상기 공기배출포트는 상기 캐비닛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4,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take port and the air discharge port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바디부는
복수 개의 행어홈을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어바;
상기 행어바의 상부에 이격되어 상기 행어바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행어바디; 및
상기 상부행어바디의 양단과 상기 행어바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ger body part
a hanger bar including a plurality of hanger grooves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 upper hanger body spaced apart from an upper part of the hanger bar and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ar; and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hanger body and both ends of the hanger ba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지지하는 행어지지바디;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서포팅부 및 제2서포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6,
The hanger support part
a hanger support body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to support the hanger body portio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ger support body.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행어지지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는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행어바디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행어바디에 구비되는 이동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7,
The hanger support part
It includes a moving rail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ger support body to move the hanger body portion forward,
The hanger body part
A clothing handling device comprising a movement guider provided on the upper hanger body to move the hanger body along the movement rail.
전면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바디부; 및
상기 행어바디부와 나란하게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행어바디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행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의 양단이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제1배열;
상기 행어바디부를 상기 행어지지부로 분리하여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2배열; 및
상기 행어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행어바디부를 회전시켜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를 수직하게 배열하는 제3배열;로 변형가능한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including an inlet at the front;
a first chamber located inside the cabinet and receiving clothing or articles through the input port;
a hanger body portion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binet, and holding the clothes; and
A hanger support part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in parallel with the hanger body part and movably supporting the hanger body part,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 first arrangement in which both ends of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re coupled to coincide;
a second arrangement for separating the hanger body portion into the hanger support portion and moving the hanger body por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and
A third arrangement in which the hanger body part and the hanger support part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by rotating the hanger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hanger support part.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어바디부와 상기 행어지지부는
상기 도어를 폐쇄시 상기 제1배열로 배열되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2배열 및 상기 제3배열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29,
It further includes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put port,
The hanger body portion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Arranged in the first arrangement when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capable of changing from the first arrangement to the second arrangement and the third arrangement.
KR1020220143996A 2021-11-02 2022-11-0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6200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996A KR20240062004A (en) 2022-11-01 2022-11-0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CT/KR2022/017033 WO2023080634A1 (en) 2021-11-02 2022-11-02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996A KR20240062004A (en) 2022-11-01 2022-11-0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004A true KR20240062004A (en) 2024-05-08

Family

ID=9107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996A KR20240062004A (en) 2021-11-02 2022-11-0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0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0073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EP4123081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RU2432424C2 (en) Domestic appliance
EP348035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6783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141286A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CN116065371A (en) Clothes hanger and clothes processing device with same
EP424966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40062004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62003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62002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4005255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2238368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RU2757246C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KR20230063849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RU2807153C1 (en) Clothing management device
AU202238260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RU2811168C1 (en) Laundry handling device
KR20230063434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3011641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5663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12103397U (en) Storage rack and clothes nursing device
KR100873129B1 (en) laundry device
KR20230065662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6179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