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773A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773A
KR20240061773A KR1020220143519A KR20220143519A KR20240061773A KR 20240061773 A KR20240061773 A KR 20240061773A KR 1020220143519 A KR1020220143519 A KR 1020220143519A KR 20220143519 A KR20220143519 A KR 20220143519A KR 20240061773 A KR20240061773 A KR 2024006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control unit
vo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소라
임형진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773A/en
Publication of KR2024006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7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통신부; 캐릭터 형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벨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character shape; A microphone that receives the user's voic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data;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doorbell including a camera,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person through the doorbell while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creates the character based on the person's movement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its shape is provided.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전자 디바이스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트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are becoming more diverse.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such as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y and video shooting using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Some electronic devices add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s or perform multimedia player functions. In particular, modern electronic device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broadcast and visual content such as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더불어,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Internet is evolving from a human-centered network where humans create and consume information to an IoT (Internet of Things) network that exchanges and processes information between distributed components such as objects. IoE (Internet of Everything) technology, which combines IoT technology with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through connection to cloud servers, etc., is also emerging.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To implement IoT, technological elements such as sensing technology,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and security technology are required. Recently, sensor networks for connection between objects and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have been developed. , M2M), and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researched.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In the IoT environment, intelligent IT (Internet Technology) services can be provided that create new value in human lif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generated from connected objects. IoT is used in fields such as smart home, smart building, smart city, smart car or connected car, smart grid, healthcare, smart home appliances, and advanced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convergence and combination of existing IT (information technology) technology and various industries. It can be applied to .

최근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통신 장치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및/혹은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을 연계하는 통신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조명 장치가 페어링을 수행하여 스마트 폰에서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에서 단순히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은 스마트 폰과 조명 장치에 일반적인 블루투스 기술만이 적용된 것에 불과하다. A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ecently developed, interest in communication methods that link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with the Internet of Things and/or the Internet of Everything is increasing. As an example, a technology is provided to control a lighting device from a smartphone by pairing a user's smartphone with a lighting device equipped with Bluetooth technology. However, the technology to simply control lighting devices from a smartphone is simply the application of general Bluetooth technology to smartphones and lighting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패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 an external device based on a user patter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통신부; 캐릭터 형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벨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character shape; A microphone that receives the user's voic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data;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doorbell including a camera,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person through the doorbell while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creates the character based on the person's movement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its shape is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입력받은 음성을 변조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control unit receives a voic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nd outputs sound data that modulate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door bel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N초 이상 감지되거나, 문을 두드리거나, 도어 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시도를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1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first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person is detected for more than N seconds, knocks on the door, or attempts to enter the door lock passwor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소리 종류 및 발화 내용을 입력받고, 상기 목소리 종류에 따른 상기 발화 내용을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voice type and speech content fro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the speech content according to the voice type through the door bell.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동 모드를 설정 받고, 상기 자동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자동으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automatic mode setting from the user, and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bell while the automatic mode is set, recognizes the person's voice, analyzes the person's voice, and rings the doorbell.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responding through.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선 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고,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를 현관 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무선 청소기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현관 문 방향을 녹화하도록 상기 무선 청소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wireless vacuum cleaner including a camera,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wireless vacuum cleaner toward the front door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and the front door is opened.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wireless vacuum cleaner to record the direction of the front door through a camera.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순찰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순찰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등록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순찰 모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patrol mod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based on user settings, and when the patrol mode is running, when a user registered through the door bell is recognized, the patrol unit sends the patrol to the user through the door bell.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mode.

상기 무선 청소기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의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반려 동물에게 사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반려 동물 전용 음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The wireless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peaker,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pre-recorded user's voice to the companion animal or music exclusive to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speaker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자주 방문하는 방문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도어 락의 오픈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도어 락을 오픈하는 경우,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인식된 사람에 대응하는 인사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the recognized person is included in the list of frequent visitors, the control unit asks the user whether the door lock is open, and when the door lock is opened, the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recognized person through the door bell. It is characterized by printing a greeting.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 받고, 상기 방해 금지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ligh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o-not-disturb mode from the user, and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a door bell while the do-not-disturb mode is set, the at least one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flashing.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의 조도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at least one of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at least one light based on time.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PIR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PI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1 데시벨(dB)로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2 데시벨(dB)로 상기 알람을 출력하되, 상기 제 2 데시벨은 상기 제 1 데시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further includes a PIR sensor that recognizes the distance to the user, and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distance to the user using the PIR sensor, and detects the distance to the user. If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 alarm is output at a first decibel (dB) through the speaker,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an alarm is output at a second decibel (dB) through the speaker. An alarm is output, wherein the second decibel is greater than the first decib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알람을 상기 제 1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alarm with the sound level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first decib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을 상기 제 2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커지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alarm with the sound level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second decibe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벨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캐릭터 형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 벨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람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상기 캐릭터 형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doorbell including a camera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character shap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doorbell, the doorbell is activated. Recognizing a person through; and controlling the character shape output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erson's mo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자 디바이스의 음성 변조를 이용하여 집 안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impossible to know who is inside the house by using voice modul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집을 비워도 사용자가 집에 있는 것처럼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빈 집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house, external devices are controlled as if the user is at home,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it appear as if the house is not empt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nderstood to be given only as examples. It has to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보이스 가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보이스 가드 기능의 실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선 청소기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도어 락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해 금지 모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해 금지 모드 기능의 실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재택 근무 모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피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voice guard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ctual use example of the voice guard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wireless vacuum cleaner from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door lock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do not disturb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ctual use of the do not disturb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explaining the work-from-home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a speaker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Electronic devic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and slate PCs. ,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there is.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pplicable only to electronic devices, it can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digital signage, etc., according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y technician will be able to figure this out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nd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n electronic device, so 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above compon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us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other electronic device 100, or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s.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touch keys, push keys (mechanical keys, etc.).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전자 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gravity sensor. Sensor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R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s (e.g., cameras (see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barometers, hygrometers, thermometers, radiation detection sensor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detection sensor, a gas detection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se sensors by combining them.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51), 스피커(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intended to generate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ation,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151, a speaker 152, a hap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The display 151 can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being integrated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user, and simultaneousl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way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is interface unit 160 connects devices equipped with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response to an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6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data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dditionally,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present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call incoming and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iving and send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 unit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80 can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examined with FIG. 1A in order to run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run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is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operation, control, or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dditionally,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by run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 도어 락(200b) 및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에서 상술한 방법(예를 들어,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door bell 200a, a door lock 200b, and at least one light 300.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FIG. 1 (eg, Wi-Fi or Bluetooth communication).

일 실시 예에서, 도어 벨(200a), 도어 락(200b)은 집의 현관 문에 붙어 있는 도어 락(200b) 및 현관 밖에 붙어 있는 비디어 폰을 포함하는 도어 벨(200a)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비디어 폰(200a) 및 도어 락(200b) 중 적어도 하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디어 폰(200a) 및 도어 락(200b)을 구분하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oor bell 200a and the door lock 200b may include a door lock 200b attached to the front door of a house and a door bell 200a including a video phone attached outside the front door. .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video phone 200a and the door lock 200b may include a camer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ideo phone 200a and the door lock 200b may not be distinguished.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조명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조명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자 디바이스(100)는 집 안에 위치하는 통신 가능한 모든 조명과 통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light 300 may correspond to a ligh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the embodiment of FIG. 2, only one light is shown, bu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all communicable lights located in the hous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락(200b)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의 점등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록 중 유효하지 않은 기록을 제거하고 사용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효하지 않은 기록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반적인 패턴이 아닌 특수한 패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상 일정한 시간에 출근하고 퇴근하는 직장인이 어느 한 날만 집에 물건을 놓고 와 잠깐 다시 들린 경우와 같은 기록은 제거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ord the lighting time of at least one light 300 when the door lock 200b is in an open or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move invalid records during recording and generate a user pattern. Here, the invalid record may correspond, for example, to a special pattern other than the user's general pattern. For example, records such as a case where an office worker who always comes to work and leaves at a certain time leaves something at home on one day and comes back briefly can be removed.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락(200b)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출퇴근 시간 감지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락(200b)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의 점등 시간 및 소등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etect commuting time and manage history by recogniz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lock 200b.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ord the turn-on time and turn-off time of at least one light 300 in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lock 200b.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환경 변수를 수신하고, 환경 변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환경 변수는 날씨 정보, 일출 시간 및 일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user pattern based on the record.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environmental variables from an external server and change the user pattern based o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Here, environmental variables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sunrise time, and sunset tim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사용자 패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200a, 200b, 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의 조도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external devices 200a, 200b, and 300 based on the generated user pattern.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at least one light 300 based on the user pattern.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제 1 사용자 패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사용자 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the first user pattern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can control at least one light 300 based on the first user pattern. there is.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도어 락(200b)의 열림 상태를 인식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제 1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data, recognize the open state of the door lock 200b, and output first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락(200a, 200b)이 등록된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 중 도어 락(200b)에 가장 가까운 조명의 전원을 온(on)할 수 있다. 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락(200a, 200b)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다른 외부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on)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ognizes a user registered with the door locks 200a and 200b, the electronic device 100 turns on the light closest to the door lock 200b among the at least one lights 300. )can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ognizes a user who is not registered with the door locks 200a and 200b,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urn on another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310)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지지 부재(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320)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310 that supports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image 3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can be output.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3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전자 디바이스(100)를 지지(support)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지지 부재(310)는 원뿔 형상의 하부 형태로 만들어져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31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member 310 may be made into a cone-shaped lower shape and placed on the floor.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 부재(310)의 형상을 고려하여 지지 부재(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32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310)의 형상이 원뿔 형상의 하부 형태인 경우, 원뿔 형상의 나머지 상부 형태를 나타내는 이미지(32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320)가 지지 부재(310)와 연결되어 하나의 원뿔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image 3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on the display unit 151 by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is a cone-shaped bottom, an image 320 showing the remaining cone-shaped top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 Through this, the user can understand that the image 3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310 to form a cone shape.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부재(310)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지 부재(310)의 형상을 고려하여, 지지 부재(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320)를 출력할 수 있다. Likewi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upport member 310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siders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and create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310. (320) can be outpu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보이스 가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voice guard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도 3에서 상술한 이미지(32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이미지는 캐릭터의 형상(320)일 수 있다. 캐릭터의 형상(320)은 상황에 맞게 제어되어 움직임(motion)과 사운드(sound)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전자 디바이스(100)의 보이스 가드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image 320 described above in FIG. 3 through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output image may be the shape 320 of a character. The character's shape 32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output motion and sound. Hereinafter, we will look at the voice guard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비다이스(100)는 도어 벨(200a)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 벨(200a)은 현관 문 밖에 설치되어 있으며, 현관 문 밖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bid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doorbell 200a. Here, the doorbell 200a is installed outside the front door and may include a camera that can capture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벨(200a)로부터 현관 문 밖의 상황을 수신할 수 있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캐릭터(320)의 아이들(idl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eive the situation outside the front door from the door bell 200a, and can maintain the idle state of the character 320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nothing happens.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벨(200a)를 통하여 복도에 사람이 지나다니는 소음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 중인 캐릭터(320)가 좌우로 무빙하는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캐릭터(320)가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집 밖에 사람이 돌아다니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the noise of people passing in the hallway through the door bell 200a,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movement of the character 320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oving left and right. there is. Accordingly, the user may notice that people are walking around outside the house as the character 32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oves left and right.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벨(200a)의 카메라를 통하여 N초 이상 외부 방문객이 어슬렁거리는 것을 감지하거나, 문을 두드리거나, 도어 락 비밀번호를 누르는 시도 등을 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개 짖는 소리나 남자 목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는 서버를 통하여 수신한 음향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방문객에게 집에 사람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an outside visitor loitering around for more than N seconds through the camera of the door bell 200a, knocks on the door, attempts to press the door lock password, etc.,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ound of a dog barking or a man's voice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0). At this time, sound data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sound data received through the server. Accordingly, it can give external visitors the same effect as if there is someone at home.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below.

일 실시 예에서, 외부 방문객이 도어 벨(200a)을 누르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는 “띵동~ 밖에 누가 왔어요”와 같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캐릭터(320)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어 벨(200a)에서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n outside visitor rings the doorbell 200a,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sound data such as “Ding dong~ Someone is outside.”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form the character 320 on the display unit.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camera image captured at the doorbell 200a on the display unit.

이후,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 받은 음성을 변조한 음향 데이터를 도어 벨(200a)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조한 음향 데이터는 기계음이거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한 다른 사람의 목소리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eive a voice input from the user and output sound data modulated by the input voice through the door bell 200a. Here, the modulated sound data may be a machine sound or another person's voice downloaded from a server.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below.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누구세요?”라는 음성을 입력 받고, 변조된 음성으로 “누구세요?”라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도어 벨(200a)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어 벨(200a)을 통하여 외부 방문객이 “인석이 집 아닌가요?”라는 음성을 입력 받고,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아닙니다”라는 음성을 입력 받고, 변조된 음성으로 “아닙니다”라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도어 벨(200a)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door bell 200a to receive a voice input from a user asking “Who are you?” and output sound data asking “Who are you?” using a modulated voice. Thereafter, an outside visitor receives a voice input through the door bell 200a, saying “Isn’t Seok Seok hom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output this to the user as is. There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voice input of “No” from the user and control the doorbell 200a to output sound data “No” as a modulated voice.

이 과정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캐릭터(320)가 확성기를 들고 대화하는 것과 같은 형상을 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화가 종료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캐릭터(320)를 아이들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In this proces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trol the character 320 to take the shape of having a conversation while holding a loudspeaker. When the conversation end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witch the character 320 to an idle stat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보이스 가드 기능의 실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ctual use example of the voice guard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5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수동 모드를 설정해 놓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에 음성을 입력하고, 음성을 변조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고, 도 6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자동 모드로 설정해 놓은 경우, 전자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변조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modulate and output the user's voice in conjunction with the doorbell. At this time, Figure 5 illustrates an example of inputting a voice into the electronic device, modulating the voice, and outputting sound data when the user sets the electronic device to manual mode, and Figure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sets the electronic device to automatic mode. When set to ,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automatically outputs modulated sound data will be described.

이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보이스 가드(voice guard)에 대한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input from the user as to whether the voice guard is in a manual mode or an automatic mode.

전자 디바이스가 보이스 가드 수동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도 5의 왼쪽 도면과 같이 도어 벨이 눌릴 수 있다. With the electronic device set to voice guard manual mode, the door bell may be pressed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5.

이에 따라, 도 5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을 통하여 외부 방문객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방문객이 “택배입니다”라고 말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을 통하여 해당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ly,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FIG. 5, the electronic device can confirm the identity of the external visitor through the door bell.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visitor says, “I have a delivery,” the electronic device can transmit the voice to the user through the door bell.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 1 영역(151a) 상에 도어 벨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고, 제 2 영역(151b) 상에 목소리 종류(500) 및 내용 리스트(51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목소리 종류(500) 및 내용 리스트(510)는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내용 리스트(510)는 사용자가 기존 대화 내용을 학습하여 응답 메시지로 패턴화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 내용을 텍스트로 작성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내용을 내용 리스트(510)에 포함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can output the camera image and voice received from the doorbell on the first area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and display the voice type 500 on the second area 151b. and a content list 510 can be output. Here, the voice type 500 and content list 510 can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list 510 may include content that the user has learned from existing conversation content and patterned it into a response message. Additionally, the user can directly write content as text,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include the content input by the user in the content list 5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할 목소리 종류(500) 및 출력할 내용 리스트(510)를 선택(5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목소리 종류(500) 중 “A 보이스”를 선택하고, 내용 리스트(510) 중 “문 앞에 두고 가세요”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A 보이스”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을 TTS(Text to Speech)할 수 있다. 이때, A 보이스는 건장한 남성 목소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자 사는 사용자의 경우, 택배가 왔을 때 본인의 신분을 노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택배 기사와 대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520) the type of voice to be output (500) and the list of contents to be output (510).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Voice” from the voice types (500) and “Leave it at the door” from the content list (510).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text to speech (TT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A voice” received from the server. At this time, the A voice can respond to a strong male voice. Accordingly, users who live alone can chat with the delivery driver without revealing their identity when a delivery arrives.

다른 실시 예에서, 도 6의 왼쪽 도면과 같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보이스 가드 자동 모드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자동 모드를 설정하는 음성 인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방해하지 말고 알아서 해줘”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보이스 가드 자동 모드의 설정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보이스 가드 자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the left diagram of FIG. 6,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a voice guard automatic mode setting from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voice recognition from the user to set the automatic mod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a voice message from a user, such as “Don’t disturb, take care of it yourself.” Additionally, the user can input the setting time of the voice guard automatic mode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user can set the electronic device's Voice Guard automatic mode from 9 a.m. to 6 p.m.

이에 따라, 도 6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방문객이 도어 벨을 누르고,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발화된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ly,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FIG. 6, when an external visitor presses the door bell and utters a voice, the electronic device can recognize and analyze the voice uttered.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발화된 음성이 패턴화된 음성인 경우, 도어 벨을 통하여 자동으로 응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화된 음성이 “택배”라는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을 통하여 자동으로 “집 앞에 두고 가세요”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화된 음성이 “가스”라는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을 통하여 자동으로 “지금 집에 사람이 없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방문객의 발화된 음성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대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후 응답 메시지로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automatically respond through a doorbell when the uttered voice is a patterned voice. More specifically, if the uttered voice includes the text “delivery,” the electronic device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voice “Please leave it in front of the house” through the door bell. Additionally, if the uttered voice includes the text “gas,” the electronic device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voice “There is no one at home right now” through the doorbell.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can learn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voice uttered by the external visitor. Afterwards, the electronic device can later use it as a response message based on the learned content.

이에 따라, 외부 방문객에 대하여 목소리 노출이 꺼려지거나, 바로 대응이 힘든 상황에서 자동으로 외부 방문객을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여자 혼자 사는 집이거나 집에 아동만 있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you can automatically respond to external visitors in situations where you are reluctant to expose your voice to external visitors or when it is difficult to respond immediately. This can be useful when a woman lives alone or there are only children at hom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도어 벨을 통하여 응답 메시지를 발화할 때, 주변 소음을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가 도어 벨을 통하여 강아지 짖는 소리와 함께 응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을 통하여 여러 사람의 목소리와 함께 응답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 방문객은 사용자가 집에 혼자 있지 않은 것처럼 느낄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utters a response message through a doorbell, ambient noise may be additionally output.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can output a response message along with the sound of a dog barking through a doorbell.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may output a response message along with the voices of multiple people through a doorbell. This allows external visitors to feel as if the user is not alone at hom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과 무선 청소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doorbell 200a and the wireless cleaner 400.

도 7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연결된 도어 벨(200a)이 눌리고, 현관 문이 열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연결된 무선 청소기(400)를 현관 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청소기(400)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충전 중이거나, 청소 중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무선 청소기(400)는 전자 디바이스에 제어에 의해 현관 문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eft drawing of FIG. 7 , th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that the connected doorbell 200a is pressed and the front door is open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move the connected wireless vacuum cleaner 400 toward the front door. At this tim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may be charging or cleaning at the docking station. In either cas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can move to the front door under the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도 7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이동된 무선 청소기(400)의 카메라를 통하여 현관 문 방향을 녹화하도록 무선 청소기(400)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of FIG. 7, when the front door is opened, the electronic device can control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to record the direction of the front door through the camera of the moved wireless cleaner 400.

즉, 도어 벨(200a)이 눌리고,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해당 상황을 녹화함으로써 만일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청소기(400)는 녹화한 영상을 외부 저장 매체에 다운로드 받거나 사용자의 동의 하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무선 청소기(400)의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한 영상에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경찰(112) 또는 소방서(119)에 통화를 연결하여 무선 청소기(400)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doorbell 200a is pressed and the front door is opened, the situation can be recorded to provide a solution to problems that arise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can download recorded images to an external storage medium or transmit them to a server with the user's consent.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if an emergency occurs in the video recorded through the camera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s a call to the police 112 or the fire department 119 to use the camera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You can transmit the captured video.

도 8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청소기(400)를 집 안의 순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eft drawing of FIG. 8, the electronic device can us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for patrolling inside the house.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외출 모드, 외박 모드, 여행 모드와 같이 집을 비우는 모드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는 연동된 무선 청소기(400)를 이용하여 집 안을 순찰할 수 있다. 이를, 무선 청소기(400)의 순찰 모드라 지칭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settings for a mode for leaving the house, such as an outing mode, a stay-out mode, or a travel mode, from the user.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patrol the house using the linked wireless cleaner 400. 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 patrol mod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청소기(400)의 순찰 경로에 따라 집 안의 조명(미도시)의 전원을 온(on)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청소기(40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하에 집 안을 순찰하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청소기(400)가 순찰 중일 때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turn on lights (not shown) in the house according to the patrol rout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Additionally,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ile patrolling the house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can notify the user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f the front door is opened while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is pa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notify the user of this.

또한, 도 8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청소기(400)가 집 안을 순찰하고 있거나 순찰한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을 통하여 무선 청소기(400)가 집 안을 순찰했다는 상태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을 통하여 등록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무선 청소기가 집 안을 순찰했어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 도어 벨(200a)을 통하여 무선 청소기(400)가 순찰 모드임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 열기 직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of FIG. 8, when the wireless cleaner 400 is patrolling or patrolling the house, the electronic device outputs a status indication that the wireless cleaner 400 has patrolled the house through the door bell 200a. can do. In one embodiment, when a registered user is recognized through the door bell 200a, the electronic device may output a message such as “The wireless vacuum cleaner has patrolled the house.”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doorbell 200a includes a display unit, the electronic device may inform that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is in patrol mode through the doorbell 200a. Accordingly, the user can relieve anxiety just before opening the doo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무선 청소기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wireless vacuum cleaner from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9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미도시)는 도어 락(200b) 및 도어 빔(200c)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 빔(200c)는 현관 문 위에 부착되어 사용자를 감지하여 조명을 온(on)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어 빔(200c)은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left drawing of FIG. 9 ,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lock 200b and the door beam 200c. Here, the door beam 200c is attached to the front door and functions to detect the user and turn on the lighting. Additionally, the door beam 200c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전자 디바이스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락(200b)과 도어 빔(200c)을 통하여 사용자가 외출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집 안에 반려 동물이 있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무선 청소기(400)를 사용하여 반려 동물을 보살필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or user's mo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s.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can predict that the user will go out through the door lock 200b and the door beam 200c.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at there is a companion animal in the house, it can take care of the companion animal using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도 9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카메라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무선 청소기(400)의 경우, 사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별도로 학습된 반려 동물 전용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반려 동물 전용 음악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무선 청소기(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on the right of FIG. 9,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including a camera and a speaker can output a pre-recorded user's voice or output separately learned music exclusively for companion animals.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may download music exclusively for companion animals from the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외출 중인 상태에서 반려 동물이 현관 문 쪽에서 사용자를 기다리거나 의미 없이 짖는 경우, 무선 청소기(400)를 사용하여 반려 동물 전용 음악을 출력하거나 사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out and the pet is waiting for the user at the front door or barking meaninglessly, the electronic device uses the wireless vacuum cleaner 400 to output music exclusively for the pet or output the user's pre-recorded voice. can do.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도어 락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10 is a diagram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 door lock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0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을 통하여 외부 방문객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을 통하여 외부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을 통하여 외부 방문객에게 “누구세요”라고 질의하고, 외부 방문객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벨(200a)의 카메라를 통하여 외부 방문객을 인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first drawing of FIG. 10, the electronic device can recognize an external visitor through the door bell 200a.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can identify external visitors through the door bell 200a.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can ask the outside visitor, “Who are you?” through the door bell 200a and recognize the outside visitor’s voice.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can recognize external visitors through the camera of the doorbell 200a.

도 10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방문객을 인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도어 락(200b)의 오픈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지금까지 n번 방문한 수지님 문 열어 드릴까요?”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second drawing of FIG. 10, 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an external visitor, it may query the user whether the door lock 200b is open.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can output a voice message to the user, such as “Would you like me to open the door for Suji, who has visited n times so far?”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은 경우, 연동된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게 “지금까지 n번 방문한 수지님 문 열어 드릴까요?”와 같은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미리 연동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user is not at home, the electronic device may transmit an alarm to the connected user's smartphone, such as “Would you like me to open the door for Suji, who has visited n times so far?” For this purpos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linked in advance with the registered user's smartphone.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락(200b)을 오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으로 문을 열 것을 회신하거나 전자 디바이스에게 음성으로 문을 열라고 지시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도어 락(200b)을 오픈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open the door lock 200b based on the user response. For example, when the user responds with a smartphone to open the door or instructs the electronic device to open the door with a vo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open the door lock 200b.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집 안에 자주 방문하는 외부 방문객을 기억하여 원격으로 도어 락(200b)을 오픈하고, 방문자 맞춤 인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자주 방문하는 외부 방문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는 집 안의 사용자와 방문객을 개별적으로 인식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제외한 방문객들의 음성 및 얼굴을 인식하여 집을 방문하는 횟수를 기록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can remember external visitors who frequently visit the house, remotely open the door lock 200b, and output customized greetings for the visitors.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generate a list of frequently visited external visitors.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can individually recognize and record users and visitors in the house. An electronic device can recognize the voices and faces of visitors other than the user and record the number of times they visit the home.

일 실시 예에서, 외부 방문객이 자주 방문하는 외부 방문객 리스트 안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도어 락(200b)을 오픈하고, 도어 벨(200a)을 통하여 등록된 외부 방문객의 “이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수지님 안녕하세요, 저희 집을 n+1번째 방문하셨네요. 즐겁게 놀다 가세요”와 같은 인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외부 방문객의 방문 횟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방문객 맞춤형 인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무선 청소기(미도시) 등의 카메라를 활성화 시켜 외부 방문객이 현관 문 안으로 들어오는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n external visitor is included in the list of frequent external visitors, the electronic device automatically opens the door lock 200b and recognizes the “name” of the registered external visitor through the door bell 200a. can do.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might say, “Hello Suzy, this is your n+1st time visiting our house. You can print greetings such as “Have fun.”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a customized greeting to the visitor based on the number of visits by the external visitor. At this time, in preparation for an unexpected situation, a camera such as a wireless vacuum cleaner (not shown) can be activated to film a situation where an outside visitor enters the front door.

특히, 도 10의 실시 예는 지인이 집에 놀러 오기로 했는데, 집 주인보다 먼저 집에 도착한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Figure 10 can be useful when an acquaintance decides to come to the house to visit, but arrives home before the own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해 금지 모드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1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do not disturb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방해”라는 텍스트가 포함된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캐릭터(320)를 사용자 방향(발화 방향)으로 몸을 회전하는 것처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et to a do not disturb mode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voice input containing the text “disturbance”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character 320 as if its body is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direction of speech).

사용자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입력 받은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캐릭터(320)가 사용자의 말을 주의 깊게 듣는 형상을 취하고, 사용자 발화가 끝나면 오케이 모션을 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는 “방해 금지 모드를 실행할게요”와 같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which has received a Do Not Disturb mode input from the user, can control the character 320 to listen carefully to the user's word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make an OK motion when the user's speech ends.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may output voice data such as “I will activate Do Not Disturb mode.”

방해 금지 모드가 실행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캐릭터(320)가 헤드셋을 끼고 TV를 보고 있는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연동된 조명(300)의 조도를 낮출 수 있다. When the do not disturb mode is execu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image of the character 320 wearing a headset and watching TV through the display unit.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lower the illuminance of the linked lighting 300.

방해 금지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도어 벨(200a)이 눌리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조명(300)을 점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조명(300)을 맥박 속도로 깜빡 깜빡 껐다 켰다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모션이나 소리의 알람 없이도 조명(300)을 통하여 도어 벨(200a)이 눌린 것을 알 수 있다. With the do not disturb mode running, when the door bell 200a is pressed, the electronic device may flash the light 30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link the light 300 on and off at a pulse rate. Through this, the user can know that the door bell 200a has been pressed through the lighting 300 without any motion or sound alar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벨(200a)에 대한 응답으로, 보이스 가드 기능의 자동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동 모드 하에 외부 방문객에게 “누구세요?”라고 질의할 수 있고, 외부 방문객의 대화 패턴에 기초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때, 도어 벨(200a)을 통한 외부 방문객과의 대화는 사용자에게 들리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the door bell 200a, the automatic mode of the voice guard function may be executed.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sk an external visitor “Who are you?” under automatic mode and respond based on the external visitor's conversation pattern. At this tim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hear a conversation with an external visitor through the doorbell 200a.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방해 금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방해 금지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방해 금지 시간 내에서는 외부에서 도어 락(미도시)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도 없고, 카드 터치도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대한 알람을 최소화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t a do-not-disturb time. At this time, the do not disturb time can be set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set so that a password for a door lock (not shown) cannot be entered from outside and a card cannot be touched within the do-not-disturb time. Accordingly, in the do not disturb mod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minimize alarms to the user.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방해 금지 모드 기능의 실사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ctual use of the do not disturb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에게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하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나 게임할거야”, “나 TV볼거야”, “음악 들을게” 등의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 중 “게임”, “TV” 및 “음악”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12, the user can utter a voice setting the do not disturb mode to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 user can utter voices such as “I’m going to play a game,” “I’m going to watch TV,” or “I’m going to listen to music.”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extract keywords for “game,” “TV,” and “music” from the user’s spoken voice and set the do not disturb mod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게임 디바이스, TV 또는 음향 디바이스 등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게임 디바이스, TV 또는 음향 디바이스에 사용자가 접속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a game device, TV, or sound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automatically set the do not disturb mode when it detects that the user is accessing the game device, TV, or sound device.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방해 금지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부 방문객이 방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방문객이 도어 벨(200a)를 누를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2, with the do not disturb mode set, external visitors can visit. For example, an outside visitor may ring the door bell 200a.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외부 방문객이 방문했음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notify through the display unit that an external visitor has visit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ext on the display unit.

도 12의 (d)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조명(300)을 깜빡임으로써 외부 방문객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알림의 긴급함의 정도에 기초하여 조명(300)의 깜빡임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한 알림의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조명(300)을 평소보다 더욱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can notify an external visitor by blinking the light 300.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set the blinking rate of the light 300 differently based on the degree of urgency of the notification. For example, for urgent notifications, the electronic device may set the lights 300 more quickly than usual.

또한, 전자 디바이스가 단색이 아니라 다색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조명(300)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조명(300)의 색상을 조절하여 외부 방문객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조명(300)의 색상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배달이 온 경우에는 조명(300)을 파란색으로 변경하고, 친구가 온 경우에는 조명(300)을 녹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는 등록된 사용자가 온 경우에는 조명(300)을 빨간 색으로 빠르게 점멸할 수 있고, 미등록된 외부 방문객이 온 경우에는 조명(300)을 파란색으로 천천히 점멸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300 that can output multiple colors rather than a single color, the color of the lighting 300 can be adjusted to inform external visitors. 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lighting 300 can be set directly by the user.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change the light 300 to blue when a delivery arrives, and change the light 300 to green when a friend arrives. Additionally,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quickly flash the light 300 in red when a registered user arrives, and slowly flash the light 300 in blue when an unregistered external visitor arrives. there is.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방해 금지 모드를 설명하였으나, 해당 모드의 이름은 중요하지 않다. 즉, 전자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능으로 동작하는 재택 근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재택 근무 모드의 경우에도 방해 금지 모드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11 and 12 illustrate the do not disturb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but the name of the mode is not important.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can run a work-from-home mode that operates with the same functionality. Even in the case of work-from-home mode, it can operate in the same way as the do not disturb mode.

이하, 도 13 및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재택 근무 모드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work-from-home mode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IGS. 13 and 14.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디스플레부(151) 상에 캐릭터(320)가 재택 근무하고 있는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명(300)의 조도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오전에는 색 온도를 4500K로 설정하고, 오후에는 4000K로 설정하고, 늦은 오후에는 3500K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재택 근무 시 조금 더 편안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image of a character 320 working from home on the display unit 151 while the work-from-home mode is in effect.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adjust at least one of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at least one light 300 while the work-from-home mode is in effect.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t the color temperature to 4500K in the morning, 4000K in the afternoon, and 3500K in the late afternoon. Accordingly, users can perform their work more comfortably when working from home.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명(300)을 이용하여 휴식 시간 및 식사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휴식 시간 및 식사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식 시간으로 설정된 오전 10시 30분이 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조명(300)의 색을 변경하고, 15초 동안 지속 후 다시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심 시간으로 설정된 오후 12시가 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조명의 색을 변경하고, 15초 동안 지속 후 다시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se the lighting 300 to notify break times and meal times while the work-from-home mode is in effect. At this time, rest time and meal ti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For example, when 10:30 AM is set as the break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color of the lighting 300, lasts for 15 seconds,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color. Likewise, when 12 PM, which is set as lunch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changes the color of the lighting, lasts for 15 seconds,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color.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재택 근무 모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재택 근무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 중인 캐릭터(320)를 아이들 형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 종료 시간이 되면, 조명(300)의 색을 15초 동안 변경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end the telework mode when the set telework mode time elapses.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character 320 being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 to an idle shape.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lighting 300 for 15 seconds when the work-from-home mode ends.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6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바이스(600)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식기 세척기, 정수기, 에어컨, 청소기 등 집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가전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600. Here, the external device 600 may include all home appliances that can be used in the house, such as a washing machine, dryer, styler, dishwasher, water purifier, air conditioner, and vacuum cleaner.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600)의 동작 완료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건조기(601)는 동작 완료 알람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가 실행 중인 동안 외부 디바이스(600)가 소리 알람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n operation completion alarm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600 while the work-from-home mode is in effect. At this time, the dryer 601 may not output an operation completion alarm.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trol the external device 600 not to output a sound alarm while the telecommuting mode is in effect.

다만, 전자 디바이스(100)는 재택 근무 모드 중 알람 허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알람 허용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알람 허용 시간이 되면,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600)의 동작 완료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알람 허용 시간이 되면, 스피커를 통하여 건조기(601)의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However,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set an alarm allowable time during the work-from-home mode. At this time, the alarm allowable time can be set by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operation completion alarm of the external device 600 through a speaker when the alarm allowable time expires. For example, when the alarm time is allow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notify through a speaker that the operation of the dryer 601 has been completed.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피커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ontrols a speaker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외부 방문객이 도어 벨(200a)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알람의 데시벨(dB)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PIR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when an external visitor presses the door bell 200a,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different decibels (dB) of an alarm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To this e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IR sensor that recognizes the distance to the user.

여기에서,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는 수동(피동형) 적외선 센서로써 적외선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모션, 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를 나타낼 수 있다. PIR 센서는 프레넬 렌즈를 통해 일정 구간의 인체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는 PIR 센서를 통해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Here, the PIR sensor (passive infrared sensor) is a passive infrared sensor and can refer to a sensor that detects human movement (motion) through infrared rays. The PIR sensor can detect human movement in a certain section through a Fresnel lens.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etect the distance to the user through the PIR sensor.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방문객이 도어 벨(200a)을 누르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는 PIR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분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an outside visitor rings the doorbell 200a, the electronic device can analyze the distance to the user using a PIR sensor.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예를 들어, 1미터) 이하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 1 데시벨(dB)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의 거리 기준인 제 1 거리 및 소리의 크기인 제 1 데시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eg, 1 me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sends an alarm to the user at a first decibel (dB) through the speak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printed. At this time, the first distance, which is the standard for distance from the user, and the first decibel, which is the volume of sound, can be set by the user.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 2 데시벨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2 데시벨은 제 1 데시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데시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at a second decibel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t this time, the second decibel is characterized as being greater than the first decibel. Likewise, the second decibel can be set by the user.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더 큰 소리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loud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further away from the user, based on the user's distance.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외부 방문객은 도어 벨(200a)을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는 PIR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 기준을 제 1 거리(예를 들어, 1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16, an outside visitor can press the door bell 200a.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ognize the distance to the user through the PIR sensor. At this time, based on user setting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t the distance standard with the user to a first distance (eg, 1 meter).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 이하인 경우, 알람을 제 1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배달 왔어요”라는 음성 데이터의 크기를 처음으로 출력할 때는 제 1 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하고,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를 작게 출력하다가, 마지막으로 출력할 때는 제 1 데시벨-20 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6,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with the sound level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first decibel.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first outputs the volume of voice data saying “Delivery has arrived,” it outputs the volume at 1 decibel, gradually outputs the volume at a lower level, and finally outputs the volume at 1 decibel. It can be output at a size of 1 decibel-20 decibel.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 2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커지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배달 왔어요”라는 음성 데이터의 크기를 처음으로 출력할 때는 제 2 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하고,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를 크게 출력하다가, 마지막으로 출력할 때는 제 2 데시벨+20 데시벨의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16, w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n alarm with the sound volum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second decibel.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first outputs the volume of voice data saying “Delivery has arrived,” it outputs the volume at the second decibel level, gradually outputs the volume at a larger level, and finally outputs the volume at the second decibel level. It can be output at a size of 2 decibels + 20 decibels.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칩, 예를 들면 하나의 하드웨어 서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 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방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시키거나,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16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combined with memory,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Components of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chip, for example, as one hardware circuit. Additionally,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each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dditionally,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processors capable of executing one or more programs, and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hown in FIGS. 1 to 16. It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r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described electronic device operations/method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실시 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 예들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실시 예들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실시 예들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에 대한 설명은 서로 보완하여 적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drawing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design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s for executing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are recorded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embodiments.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Rather,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embodiment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ho hav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s or perspectives of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complement each other.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칩, 예를 들면 하나의 하드웨어 서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 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방법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방법들을 수행시키거나, 수행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Various components of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hardware,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hip, for example, one hardware circuit. Depending on the embodiments,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chips. Depending on the embodimen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processors capable of executing one or more programs, and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operations/methods, or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m.

이 문서에서 “/”와 “,”는 “및/또는”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로 해석되고, “A, B”는 “A 및/또는 B”로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A, B, C”도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이 문서에서 “또는”는 “및/또는”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A 또는 B”은, 1) “A”만을 의미하거나, 2) “B”만을 의미하거나, 3) “A 및 B”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문서의 “또는”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 and “,” are interpreted as “and/or.” For example, “A/B” is interpreted as “A and/or B”, and “A, B” is interpreted as “A and/or B”. Additionally, “A/B/C” means “at least one of A, B and/or C.” Additionally, “A, B, C” also means “at least one of A, B and/or C.” Additionally, in this document, “or” is interpreted as “and/or.” For example, “A or B” may mean 1) only “A”, 2) only “B”, or 3) “A and B”. In other words, “or” in this document may mean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위 용어들에 의해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에 불과하다.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제1사용자 인풋시그널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 예들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1사용자 인풋 시그널 및 제2사용자 인풋 시그널은 모두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이지만, 문맥 상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동일한 사용자 인풋 시그널들을 의미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s just a thing. For example, a first user input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user input signal. Similarly, the second user input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user input signal. The use of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user input signal and the second user input signal are both user input signals, but do not mean the same user input signals unless clearly indicated in the context.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시 예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명확하게 지칭하지 않는 한 단수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및/또는 표현은 용어 간의 모든 가능한 결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포함한다 표현은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고, 추가적인 특징들, 수들, 단계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 경우, ~때 등의 조건 표현은 선택적인 경우로만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때, 특정 조건에 대응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하거나, 관련 정의가 해석되도록 의도되었다.The terminology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claims, the singular is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expressions and/or are used in a sense that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between the terms. The expression includes describes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does not imply the absence of additional features, numbers, steps, elements, and/or components. . Conditional expressions such as when, when, etc.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optional cases. It is intended that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the relevant action is performed or the relevant definition is interpreted in response to the specific condition.

100: 전자 디바이스100: Electronic device

Claims (15)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통신부;
캐릭터 형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벨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사람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character shape;
A microphone that receives the user's voic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data; and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door bell including a camera,
The control unit
When connected to the doorbell, recognize a person through the doorbell,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character shape based on the person's move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고,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입력받은 음성을 변조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sound data that modulate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door b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이 N초 이상 감지되거나, 문을 두드리거나, 도어 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시도를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1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electronic device that outputs first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person is detected for more than N seconds, knocks on the door, or attempts to enter the door lock passw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소리 종류 및 발화 내용을 입력받고,
상기 목소리 종류에 따른 상기 발화 내용을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type of voice and content of speech ar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speech according to the type of voice is output through the door b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동 모드를 설정 받고,
상기 자동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람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자동으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Receive automatic mode settings from the user,
With the automatic mode se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person's voice is recognized,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the person's voice and automatically answers the door b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무선 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고, 현관 문이 열리는 경우, 상기 무선 청소기를 현관 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무선 청소기의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현관 문 방향을 녹화하도록 상기 무선 청소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 wireless vacuum cleaner including a camera,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bell and the front door opens, the wireless vacuum cleaner is moved toward the front door,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vacuum cleaner is controlled to record the direction of the front door through the camera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청소기의 순찰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순찰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등록된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순찰 모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Execute the patrol mode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based on user settings,
When the patrol mode is in effect and a registered user is recognized through the doorbell, the electronic device guides the user to the patrol mode through the doorbe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청소기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청소기의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반려 동물에게 사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반려 동물 전용 음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6,
The wireless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speaker,
The control unit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pre-recorded user's voice to a companion animal or music exclusive to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speaker of the wireless vacuum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자주 방문하는 방문객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도어 락의 오픈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도어 락을 오픈하는 경우,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상기 인식된 사람에 대응하는 인사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 recognized person is included in the list of frequent visitors, ask the user whether the door lock is open,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opening the door lock, a greeting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erson is output through the door b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설정 받고,
상기 방해 금지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식된 사람이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light,
The control unit
Receive Do Not Disturb mode from the user,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a door bell while the do not disturb mode is set, the at least one light flash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의 조도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at least one light based on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PIR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사람이 상기 도어 벨을 누르는 경우, 상기 PI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제 1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1 데시벨(dB)로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제 2 데시벨(dB)로 상기 알람을 출력하되, 상기 제 2 데시벨은 상기 제 1 데시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IR sensor that recognizes the distance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ognized person presses the door bell, the distance to the user is recognized using the PIR sensor,
If the distance from the user is less than a first distance, output an alarm at a first decibel (dB)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the alarm is output at a second decibel (dB) through the speaker, wherein the second decibel is greater than the first decibel.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알람을 상기 제 1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작아지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alarm is output with the sound level gradually decreasing from the first decib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가 상기 제 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을 상기 제 2 데시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커지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exceeds the first distance, the electronic device outputs the alarm with a sound level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second decibel.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 벨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캐릭터 형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 벨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벨을 통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람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상기 캐릭터 형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o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doorbell that includes a camera, and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character shape,
Recognizing a person through the doorbell while connected to the doorbel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character shape output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erson's motion.
KR1020220143519A 2022-11-01 2022-11-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202400617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19A KR20240061773A (en) 2022-11-01 2022-11-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19A KR20240061773A (en) 2022-11-01 2022-11-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773A true KR20240061773A (en) 2024-05-08

Family

ID=9107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519A KR20240061773A (en) 2022-11-01 2022-11-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7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373B2 (en) Garage door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30682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EP346077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senting appropriate actions for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US10733823B2 (en) Garage door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EP3025314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7371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US8823795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065987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EP3039659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172307A (en) Alarm clock jingle bell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971647A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cooperation system of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cooperation method of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CN106255071A (en) Send the method and device of distress signals
CN112150778A (en) Environmental sound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150090476A (en) A mobile device, a cradle for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managing them
KR20190106925A (en) Ai robo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891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video conferencing status with visual status indicator
CN106896917A (en) Aid in method and device, the electronic equipment of Consumer's Experience virtual reality
KR2024006177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90080458A1 (en) Interactive observation device
CN107018236A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device
CN106200515A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JP71762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dwelling unit terminal
KR2024006177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WO2023219649A1 (en) Context-based user interface
JP2020061050A (en)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