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594A - 토양 수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수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594A
KR20240061594A KR1020230126762A KR20230126762A KR20240061594A KR 20240061594 A KR20240061594 A KR 20240061594A KR 1020230126762 A KR1020230126762 A KR 1020230126762A KR 20230126762 A KR20230126762 A KR 20230126762A KR 20240061594 A KR20240061594 A KR 2024006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supply device
hole
soil moistur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마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즈텍 filed Critical (주)마이즈텍
Publication of KR2024006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몸체의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양 수분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soil}
본 발명은 수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장기간 토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후 변화에 따른 각종 기상이변으로 수많은 인력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런 기후 변화가 초래한 매우 중요한 문제의 한 가지 예로서 사막화를 들 수 있다.
사막화란 오랫동안의 가뭄과 인간의 과도한 개발로 숲이 사라지고, 토지가 사막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의미하며, 강우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지역인 사막과는 의미가 다르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1950년대의 경우 매년 1,560㎢의 면적이 사막화되었으나, 현재에는 매년 6만㎢의 면적이 사막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천만명 정도의 인구가 경작지를 잃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계절별로 상이하며 특히 여름철에만 집중되고 이외의 계절에는 강수량이 현저히 부족한 갈수기에 속한다. 그에 따라 갈수기에는 토양에 공급되는 수분의 양이 현저하게 부족해질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화분의 하부에는 화분 받침대가 설치되고, 화분 받침대에는 물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화분에 물을 주면, 일부는 흙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화분의 배수홀을 통해 물받이에 모아지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장기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장기간 화분을 관리하지 못할 경우, 화분에 수분 공급이 어려워서 식물이 말라 죽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분에 많은 물을 주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물은 흙이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받이의 물도 넘치게 되어, 실내가 더렵혀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팜의 수경재배의 경우, 과채류 식물의 뿌리가 스펀지나 코코피트에서 발육하여 양액에 담겨져 액비를 공급받아 성장하고 있는데, 토양의 미네랄 성분이 결핍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공관수 또는 빗물유입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을 심지를 통해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토양에 공기 공급이 가능한 토양 수분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를 포함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외측면 일측을 둘러싸도록,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의 관통홀에 상기 심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사이에 복수 개의 벤트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심지는 상기 복수 개의 벤트홀을 덮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심지는 상기 덮개의 상측을 감싸서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심지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공간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내부에 토양이 충전되며 상기 몸체의 덮개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심지와 접촉되는 내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심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된 심지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덮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측면은 테두리에 비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배수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하단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 화분과, 상기 제2 화분의 내부에 수용되며 토양이 충전되는 흡수성 재질의 내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된 심지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내통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화분의 일측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여 상기 내통의 일측에 가리개가 탈부착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에 의하면, 인공관수 또는 빗물유입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을 심지를 통해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에 의하면, 토양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설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는, 몸체(200)와, 몸체(20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0)과, 몸체(200)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200)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심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0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2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200)의 단면 형태는 사각형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에는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며, 몸체(200)의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여 급수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구(220)는 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지상으로 노출되며, 급수구(220)를 통해 몸체(20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0)의 일측에는 상수도나 하수도 등의 수도시설, 또는 배수로 등의 우수처리시설, 제철공정 등에 사용된 냉각수 처리시설 등과 연결된 공급관(230)이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관(230)을 통해 몸체(20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때, 급수구(220)와 공급관(230)은 둘 다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둘 중 어느 하나만이 몸체(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200)의 외측면에 관통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이 관통홀(210)은 지중으로 수분 및/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상부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0)에는 심지(3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심지(300)의 일단은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에 담기게 된다. 심지(300)는 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재질, 예컨대 섬유나 실, 천, 종이 또는 기타의 수분 흡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의 관통홀(210)에 끈 형태의 심지(300)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몸체(200)의 외측면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210)을 통해 몸체(200) 내부로 삽입된 심지(300)의 양단은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에 담기며, 심지(300)로 흡수된 물은 심지(300)를 따라 이동하다가 몸체(2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서 자연스럽게 지중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형태의 심지(300)는 몸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주변 토양에 수분을 분산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에 심지(300)의 일단을 담그고, 타단은 몸체(200) 주변의 지중으로 연장시켜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심지는 몸체(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결합되어, 주변 토양에 수분을 분산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a)는 몸체(200a)와 관통홀(210a) 및 흡수성 재질의 심지(300a)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며, 다만, 몸체(200a)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벤트홀(240)이 관통 형성되고, 벤트홀(240)들을 덮도록 심지(300a)가 소정 면적의 천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0a)의 외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의 관통홀(210a)이 형성되며, 한 쌍의 관통홀(210a) 사이 구간에 복수 개의 벤트홀(240)이 관통 형성된다. 복수 개의 벤트홀(240)은 지중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예컨대, 급수구(220)나 공급관(230)을 통해 몸체(200a)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벤트홀(240)을 통해 지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벤트홀(240)을 통해 토사나 나무뿌리가 몸체(200a)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면적을 갖는 천 형태의 심지(300a)가 벤트홀(240)이 형성된 구간을 덮게 된다. 예컨대, 몸체(20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벤트홀(240) 형성 구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210a)에 천 형태의 심지(300a)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복수 개의 벤트홀(240)을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벤트홀(240)을 통한 토사나 나무뿌리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심지(300a)를 통해서는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벤트홀(240)을 통해서는 지중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설치 개략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 토지의 관수 공급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100a)가 급수관(10)에 연결된 형태로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100a)는 공급관(230)을 통해 배수로(20)나 집수정(3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b)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b)와, 몸체(200b)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0b)과, 몸체(200b)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200b)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300b)를 포함한다.
몸체(200b)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조(201)와, 수조(201)의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수조(201)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202)를 포함하며, 덮개(202)에 복수 개의 관통홀(210b)이 형성된다.
몸체(200b)는 제1 화분(500)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제1화분(500)에 수용된 몸체(200b) 상부에 내통(700)이 안착된다. 즉, 내통(700)은 몸체(200b) 상부의 심지위로 안착되고, 내통(700)의 내부에 토양이 충전된다.
심지(300b)는 덮개(202)의 상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천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202)의 상측을 감싸는 심지(300b)에 의해 관통홀(210b)이 덮이므로, 관통홀(210b)을 통한 토사나 이물질의 수조(201) 내 유입이 방지된다. 이때, 심지(300b) 하단은 수조(201) 내부로 삽입되어, 수조(201)에 저장된 물에 담긴다.
이에 따라, 수조(201)에 저장된 물을 심지(300b)가 흡수하여 내통(700)의 토양으로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202)의 관통홀(210b)을 통해 토양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데, 이는 수조(201)의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급수구(220b)가 형성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급수구(220b)는 수조(2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지만 급수구(220b)를 통해 공기도 공급되므로, 수조(201)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관통홀(210b)을 통해 내통의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급수구(220b)의 상단은 내통(700)에 충전된 토양 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급수구(220b)는 뚜껑(221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화분(500)은 몸체(200b), 내통(700) 등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c)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c)와, 몸체(200c)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0c)과, 몸체(200c)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200c)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300c)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몸체(200c)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조(201c)와, 수조(201c)의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수조(201c)의 상측에 결합되며 관통홀(210c)이 형성되는 덮개(20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00c)의 상측면은 테두리에 비해 낮게 단차 형성된다. 예컨대, 덮개(202c)의 상측면이 수조(201c)의 테두리 상단에 비해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화분(600)의 몸체(200c) 상측 안착시, 제2 화분(600)이 몸체(200c)의 테두리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빗물을 받아서 저장하기 위함이다. 몸체(200c)의 상측면에 고인 빗물은 심지(300c)를 통해 후술하는 내통(700)으로 스며들게 된다.
또한, 몸체(200c)의 상측면 일측, 예컨대 덮개(202c)의 상측면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급수구(220c)가 형성된다. 급수구(220c)는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21c)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급수구(220c)를 통해 물과 공기가 몸체(200c)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몸체(200c)의 상단부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여 배수구(250)가 관통 형성되며, 몸체(200c) 내부에 물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배수구(250)를 통해 배수된다.
심지(300c)는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덮개(202c)의 관통홀(210c)을 통해 수조(201c)의 공간부로 일단이 삽입되어 수조(201c) 내부에 저장된 물에 담기게 된다. 이때, 덮개(202c)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심지(300c)의 타단 부분은 관통홀(210c)을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예컨대, 심지(300c)의 타단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10c)을 똬리 형태로 덮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10c) 위에 원추형으로 감겨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210c)을 통한 이물질 침입이 방지되며, 제2 화분(600)의 통공(610)을 통한 수분 공급이 가능해진다.
몸체(200c)의 상측면, 예컨대 덮개(202c)의 상측면에 제2 화분(600)이 안착되며, 제2 화분(600)의 하단 중앙에는 통공(610)이 관통 형성된다.
제2 화분(600)의 내부에 내통(700)이 수용된다. 이 내통(700)은 흡수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벨크로테이프(720)를 이용하여 소정 면적의 천을 통 형태로 만들고 제2 화분(60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내통(700)에는 토양이 충전되며, 내통(700)의 상단 양측에는 제2 화분(600)과의 결합 또는 분리 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내통(700)이 수용된 제2 화분(600)을 몸체(200c) 상측에 안착시키면, 덮개(202c)의 상측으로 연장된 심지(300c) 부분이 제2 화분(600)의 통공(610)을 통해 내통(700) 하단에 접촉하며, 따라서 심지(300c)에 흡수된 물이 흡수성 재질의 내통(700)으로 전달되어 내통(700)의 토양에 공급된다. 따라서 제2 화분(600)의 통공(610)은 덮개(202c) 상측으로 연장되어 관통홀(210c)을 덮는 심지(300c) 부분을 모두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관통홀(210c)을 통해 내통(700)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화분(600)은 하부의 심지(300c)와 접촉되어 수분 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심지(6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심지(620)는 제2 화분(600)의 통공(610) 상측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통공(610)을 통해 제2 화분(60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심지(300c)와 접촉되도록 똬리 형태로 되거나 원추형으로 감긴 형태일 수 있다. 제2 화분(600)에 추가 심지(620)를 구비할 것인지 여부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d)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c)와, 몸체(200c)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0c)과, 몸체(200c)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200c)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300c)와, 몸체(200c)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2 화분(600d)과, 제2 화분(600d)의 내부에 수용되는 흡수성 재질의 내통(700d)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d)는, 제2 화분(600d)의 일측에 제1 개구부(620)가 절개 형성되고, 내통(700d)의 일측에는 제1 개구부(620)와 대향하여 제2 개구부(73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화분(600d)은 상하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화분(600d)의 외측면 일측에 제1 개구부(620)가 절개 형성되고, 내통(700d)의 외측면 일측에는 제1 개구부(620)와 대향하여 제2 개구부(730)가 절개 형성된다.
이때, 제1 개구부(620)의 일측에는 제1 개구부(62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621)가 예컨대 경첩(622)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경첩(622) 등의 결합부재는 제1 개구부(620)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일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730)에는 제2 개구부(730)를 개폐하기 위한 가리개(731)가 벨크로테이프(720)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개구부(620)와 제2 개구부(730)는 감자나 고구마 등 토양 속에서 생장하는 작물을 쉽게 수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제1 개구부(620)의 도어(621)와 제2 개구부(730)의 가리개(731)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내통(700d)의 토양 속에 묻혀 있는 작물을 쉽게 수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e)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e)와, 몸체(200e)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0c,210e)과, 몸체(200e)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몸체(200e)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300c,300e)와, 몸체(200e)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2 화분(600,600d)과, 제2 화분(600,600d)의 내부에 수용되는 흡수성 재질의 내통(700,700d)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e)는, 몸체(200e)의 상측면에 동시에 복수 개의 제2 화분(600,600d)이 안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e)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0e)는 상측면에 복수 개의 제2 화분(600,600d)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화분(600,600d)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제2 화분(600),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제2 화분(600d)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모두 안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200e)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몸체(200e)의 외관 형태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200e)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조(201e)와, 수조(201e)의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수조(201e)의 상측에 결합되며 관통홀(210c,210e)이 형성되는 덮개(20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00e)의 상측면은 테두리에 비해 낮게 단차 형성된다. 예컨대, 덮개(202e)의 상측면이 수조(201e)의 테두리 상단에 비해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몸체(200e)의 상측면 일측, 예컨대 덮개(202e)의 상측면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급수구(220e)가 형성된다. 급수구(220e)는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21e)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급수구(220e)를 통해 물과 공기가 수조(201e)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0e)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캐스터(203)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수조(201e)의 상단부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하여 배수구(250e)가 관통 형성되며, 수조(201e) 내부에 물이 일정량 채워지면 이 배수구(250e)를 통해 배수된다. 한편, 배수구(250e)의 상측에는 덮개(202e)의 상측에 고인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홀(260)이 관통 형성된다.
몸체(200e)의 일 측면에 보조수조(8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보조수조(800)는 배수구(250e)와 오버플로우홀(26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보조수조(800)에 저장된 물을 급수구(220e)를 통해 수조(201e) 내부로 공급하거나, 덮개(202e) 위에 부어서 심지(300c,300e)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심지(300c,300e)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홀(210c,210e)을 덮는 끈 형태의 심지(300c), 또는 소정 면적을 갖는 천 형태의 심지(300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끈 형태의 심지(300c)는 일단이 관통홀(210c)을 통해 수조(201e) 내부로 삽입되어 물에 잠기고, 덮개(202e) 상측으로 노출된 타단 부분은 관통홀(210c)을 덮게 된다. 또한, 소정 면적을 갖는 천 형태의 심지(300e)는 한 쌍의 관통홀(210e)을 통해 양단이 수조(201e) 내부로 삽입되어 물에 잠기며, 덮개(202e) 상측으로 노출된 타단 부분은 덮개(202e)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벤트홀(240e)을 덮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공급장치(100f)는, 몸체(200f)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긴 파이프 형태로 된 것이고(통상의 수경재배용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음), 몸체(200f)의 측면 개구부를 막는 마감부(201f)가 마련되고 마감부(201f)에 수분 공급관(204f)이 결합된 것이라는 점 외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도 7 내지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 공급 장치(100~100e)에 의하면, 심지(300~300c)에 의해 토양으로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관통홀(210~210b,210c,210e) 또는 벤트홀(240,240e)을 통해 토양으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도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100c,100d,100e, 100f : 토양 수분 공급 장치
200,200a,200b,200c,200e, 200f : 몸체
201,201c,201e : 수조 202,202c,202e : 덮개
203 : 캐스터
210,210a,210b,210c,210e : 관통홀
220,220b,220c,220e : 급수구 221c,221e : 뚜껑
230 : 공급관 240,240e : 벤트홀
250,250e : 배수구 260 : 오버플로우홀
300,300a,300b,300c,300e : 심지 500 : 제1 화분
600,600d : 제2 화분 610 : 통공
620 : 제1 개구부 621 : 도어
622 : 경첩 700,700d : 내통
710 : 돌출부 720 : 벨크로테이프
730 : 제2 개구부 731 : 가리개

Claims (12)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일측이 노출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를 포함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면 일측을 둘러싸도록,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의 관통홀에 상기 심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사이에 복수 개의 벤트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심지는 상기 복수 개의 벤트홀을 덮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조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덮개의 상측을 감싸서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심지의 하단은 상기 수조의 공간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내부에 토양이 충전되며 상기 몸체의 덮개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심지와 접촉되는 내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심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공간부로 일단이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된 심지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은 테두리에 비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여 배수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안착되며 하단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 화분과, 상기 제2 화분의 내부에 수용되며 토양이 충전되는 흡수성 재질의 내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된 심지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내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분의 일측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여 상기 내통의 일측에 가리개가 탈부착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수분 공급 장치.
KR1020230126762A 2022-10-31 2023-09-22 토양 수분 공급 장치 KR20240061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2609 2022-10-31
KR1020220142609 2022-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594A true KR20240061594A (ko) 2024-05-08

Family

ID=9107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762A KR20240061594A (ko) 2022-10-31 2023-09-22 토양 수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5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08608U (zh) 一种用于栽种绿萝的储水自浇保湿花盆
CN106212223B (zh) 植物葆青罐
US20080313960A1 (en) Mobile planter
CN204598865U (zh) 干旱地区造林专用浇灌盒
CN107114136B (zh) 园林盆栽容器
TWM630051U (zh) 用於集水及防止蒸發的植物栽培裝置
CN108684281B (zh) 一种旱区组合型集水施肥灌溉装置及施肥灌溉方法
CN106718707A (zh) “灯芯”式给水园林集雨器
US3857196A (en) Moisture saving apparatus
CN210445184U (zh) 一种无灌溉植树装置及其储水容器
CN210406531U (zh) 一种花草园林自动灌溉装置
CN201375939Y (zh) 一种用于根灌的渗水管装置
KR20240061594A (ko) 토양 수분 공급 장치
JP2000188978A (ja) 降雨貯水植樹自水法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EP1124410B1 (fr) Dispositif pour remplacer les arbres, arbustes, fleurs et les entretenir
JPH06319378A (ja) 雨水貯留型植栽地盤
JP2009254369A (ja) 屋上緑化装置
JP2016073264A (ja) 底灌水多品種栽培システム
CN213662701U (zh) 一种盐碱地用育苗盆
CN220746829U (zh) 树池排水装置
CN213427374U (zh) 盆栽保水毯
TWI798089B (zh) 用於集水及防止蒸發的植物栽培裝置
CN216134882U (zh) 一种园林用自供水花盆
CN209185183U (zh) 一种容器苗承载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