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17A -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17A
KR20240061417A KR1020220143060A KR20220143060A KR20240061417A KR 20240061417 A KR20240061417 A KR 20240061417A KR 1020220143060 A KR1020220143060 A KR 1020220143060A KR 20220143060 A KR20220143060 A KR 20220143060A KR 20240061417 A KR20240061417 A KR 2024006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ject
user
filming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발한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발한사람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발한사람들
Priority to KR102022014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17A/en
Publication of KR2024006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1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영상 제작 관리 방법 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is disclosed.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user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It includes transmi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a device and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영상 제작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본 발명은 영상 제작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열 일정이나 촬영 작업에 참석하는 연기자 또는 스태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that can efficiently manage actors or staff attending filming schedules or filming operations.

영상 촬영은 연기자 뿐만 아니라 촬영 장비 등을 다루는 다수의 스태프들이 촬영 장소에 모여 한정된 시간안에 작업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활한 촬영 작업을 위해 촬영 당일의 구체적인 촬영 일정, 촬영 일정에 따른 스태프별 준비 완료 시간, 상황별 스태프들의 임무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을 필요로 하는바 이를 위해 촬영에 앞서 작성하는 문서를 콜 시트(Call sheet)라고 한다.Video shooting is done in the form of not only actors but also a number of staff members who handle filming equipment, etc., gathering at the filming location and working within a limited time. Therefore, for smooth filming,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manage the specific filming schedule on the day of filming, the preparation completion time for each staff member according to the filming schedule, and the duties of the staff for each situation. To this end, a document prepared prior to filming is called. It is called a call sheet.

콜 시트는 감독의 촬영 목록, 제작 일정, 참여 스태프 및 기타 물류 사항을 고려하여 작성되는 일종의 계획표이다.A call sheet is a type of plan created taking into account the director's shooting list, production schedule, participating staff, and other logistics.

도 1 및 도 2는 촬영에 앞서 작성되는 예시적인 콜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emplary call sheet prepared prior to film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 시트에는 프로젝트 명, 감독, 카메라 감독, 조감독 등 촬영 전반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이름과 연락처 들이 표시되고 해당 날짜에 촬영될 영상의 내용과 연기자들의 정보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all sheet displays the name and contact information of managers who manage overall filming, such as the project name, director, camera director, and assistant director, and displays the content of the video to be filmed on that date and information on the actors.

또한,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촬영에 임하게 될 스태프들의 이름과 임무에 따른 도착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ure 2, information about the names of the staff members who will be filming and their arrival times according to their duties is displayed.

촬영 작업에 임하는 배우자나 스태프들은 사전에 배포되는 콜 시트를 통해 촬영 당일 자신이 도착해야 하는 시간, 현장에서의 임무, 사전 준비 사항을 확인하게 된다.Spouses and staff working on filming confirm the time they must arrive on the day of filming, their duties on site, and prior preparations through a call sheet distributed in advance.

그러나, 종래의 콜 시트 작성 및 배포 방법은 콜 시트가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에 그치는바 관리자의 입장에서 촬영에 참석하는 연기자나 스태프가 콜 시트 내용을 명확하게 숙지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creating and distributing call sheets only delivers the call sheets in one direction,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for managers to check whether the actors and staff attending filming were clearly familiar with the contents of the call sheets.

또한, 다수의 연기자나 스태프들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의 촬영 작업의 경우 촬영에 참석하는 당사자들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large-scale filming operations that require a large number of actors or staff,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communicate smoothly between the parties attending the filming.

이에, 새로운 형태의 영상 제작 관리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ccordingly, the need for a new type of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emerg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참여자들에게 촬영에 관한 제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촬영 작업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convey all information related to photography to a plurality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photographing task and efficiently manage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photographing task. The goal is to provide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은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and sending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user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It includes receiving, transmi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confirm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일자별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별로 구분되는 촬영 업무인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촬영 일자, 촬영 장소 및 촬영 장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하위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cludes receiving a project creation request, which is a shooting task classified by date or video content to be shot, and shooting date, shooting location, and shooting. It may include receiving a request to create an individual sub-project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the scen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위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촬영 담당자 정보, 촬영 시작 시간, 촬영 종료 시간, 촬영 장소, 해당 일자의 시간대별 촬영 스케쥴, 촬영 콘티, 영상 제작을 의뢰한 고객사, 연기자 정보, 촬영 관련 공지 사항, 스태프별 준비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영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sub-project creation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erson in charge of filming, filming start time, filming end time, filming location, filming schedule for each time zone of the date, filming storyboard, and video production request. It may include receiving filming-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lient company, actor information, filming-related notices, and preparations for each staff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일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일정별로 구분되는 상기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includes receiving a project creation request,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included in the project, and the step of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included in the project, and It may include receiving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연락처, 사용자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ntaining user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name, the user's contact information, and the user's role. It may include receiving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연락처, 사용자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cludes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user who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he user's contact information, and the user's ro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인원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users who have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may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젝트에 참석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별 촬영 업무가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별 프로젝트 참석 여부 정보 및 근무 시간 정보를 관리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ttending the project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was received. 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ject comple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hooting task for each user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project attendance information and working hours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

상술한 영상 제작 관리 방법에 따르면 관리자로 하여금 촬영 작업에 참석할 사용자들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enabling the administrator to smoothly manage users who will attend the filming operation. Additionally,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re easily check the project information entered by the manager can be achiev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콜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와 관련한 하위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세부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세부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all sheet.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by which an administrator creates a new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sub-project related to a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where detailed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can b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where detailed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can be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또한, 본 개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that include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es not exclude presence or addition.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 장치(200),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1 내지 400-n)을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영상 제작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나낸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and user terminal devices 400-1 to 400-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100 illustrated in FIG. 3 are divided into functional elements,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form in an actual physical environment.

관리자 단말 장치(200)는 콜 시트를 생성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handheld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20)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is a terminal device used by a manager who creates a call sheet and may be implemented as a handheld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wearable devi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ser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computing devices.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may have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for execut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The administrator can connect 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콜 시트를 생성하는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촬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The manager who creates the call sheet can create a project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filming or manage a previously created projec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여기에서, "프로젝트"란 일자별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별로 구분되는 촬영 업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하위 프로젝트의 집합일 수 있다.Here, “project” refers to filming tasks divided by date or video content to be fil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ject” may be a set of sub-projects constituting a project.

예를 들어, 작품명 AAA라는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업무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AAA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작업일동안 복수의 촬영 장소에서 촬영 업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일자별로 개별적인 하위 프로젝트가 생성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하위 프로젝트의 집합이 "프로젝트"가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situation requires filming to create content with the title AAA, filming may be required at multiple filming locations over multiple working days to create AAA content. At this time, individual sub-projects can be created for each shooting date, and the set of sub-projects created in this way becomes a “project”.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위 프로젝트가 일자별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촬영 업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위 프로젝트는 촬영 장소별, 촬영 장면별로 구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sub-projects are individual shooting tasks divided by date, but sub-projects can also be implemented to be divided by shooting location and shooting scene.

예를 들어, BBB라는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장소 X, 장소 Y, 장소 Z에서 촬영이 필요한 경우 BBB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는 촬영 장소별로 구분된 촬영 업무일 수 있다.For example, if filming is required at Location

관리자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프로젝트 내에 촬영과 관련한 제반 정보를 하위 프로젝트 단위별로 입력할 수 있다.Administrators can create a new project and enter all information related to filming within the project by sub-projec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위 프로젝트 내에 포함되는 촬영과 관련한 정보에는 촬영 담당자 정보, 촬영 시작 시간, 촬영 종료 시간, 촬영 장소, 해당 일자의 시간대별 촬영 스케쥴, 촬영 콘티, 영상 제작을 의뢰한 고객사, 연기자 정보, 촬영 관련 공지 사항, 스태프별 준비 사항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filming included in the sub-projec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erson in charge of filming, filming start time, filming end time, filming location, filming schedule by time zone for the day, filming storyboard, and customer company that requested video production. , information about actors, filming-related notices, preparations for each staff member, etc. may be included.

다만, 하위 프로젝트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촬영과 관련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과 관련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른 정보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filming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ub-projec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other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filming.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관리자가 생성한 프로젝트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촬영 일정에 참석해야 당사자인 연기자 또는 스태프 등에게 공유할 수 있다.The manager can share information that allows access to the project created by the manager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with actors or staff members who must attend the filming schedule.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성성하고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경로를 사용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r may share with users a path to access the project creat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and stored in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사용자 단말 장치(400-1 내지 400-n)을 중개하고 관리자가 등록한 프로젝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관리자로부터 프로젝트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관리자가 생성한 프로젝트를 사용자들에게 전송한다.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mediates the user terminal devices 400-1 to 400-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and stores projec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administrator. Additionally, a project transmiss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and the project created by the administrator is transmitted to user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400-1 내지 400-n)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s 400-1 to 400-n through a network.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is all types of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etc. It can be implemented.

이하에서는,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Below,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ocess by which the manager creates a new projec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user confirms the project by accessing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Let's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by which an administrator creates a new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후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 관리 화면이 표시된다.When the manager accesses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and logs in with the manager account, a project management screen as shown in FIG. 4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화면은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ject managemen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410 and a second area 420.

제1 영역(410)은 기존에 생성된 프로젝트들의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410)에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및 종료된 프로젝트가 구분되어 표시된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촬영이 종료되지 않은 프로젝트이고 종료된 프로젝트는 촬영이 종료된 프로젝트이다.The first area 410 is an area that classifies and displays the status of previously created projects. In the first area 410, currently ongoing projects and completed projects are displayed separately. A project currently in progress is a project for which filming has not yet been completed, and a finished project is a project for which filming has ended.

제2 영역(420)은 각각의 단계에 속하는 개별적인 프로젝트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1 영역(410)에서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선택되면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리스트가 제2 영역(420)에 표시된다.The second area 420 is an area that displays individual projects belonging to each stage. For example, when “project in progress” is selected in the first area 410, a list of projects currently in progress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420.

관리자는 제1 영역(410) 및 제2 영역(420)에서 원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또는 종료된 프로젝트의 세부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anager can select a desired project from the first area 410 and the second area 420 and check the detailed status of the currently ongoing project or completed project.

예를들어,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하위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can check detailed information about multiple subprojects included in a project.

제2 영역(420)의 프로젝트 생성 버튼(430)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새로운 프로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project creation button 430 in the second area 420 is received, a screen for ente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new project is display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와 관련한 하위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sub-project related to a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제2 영역(420)의 프로젝트 생성 버튼(430)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트명과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일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미도시). 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project creation button 430 in the second area 420 shown in FIG. 4 is received, a screen for entering the project name and schedule related to the sub-project is displayed (not shown).

관리자가 프로젝트명 및 상기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일정을 입력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프로젝트가 관리자가 입력한 일자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When the manager enters a project name and a shooting schedule related to the project, sub-projects are displayed divided by the date entered by the manager, as shown in FIG. 5.

예를 들어, 관리자가 생성한 프로젝트가 AAA 컨텐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프로젝트이고 상기 AAA 컨텐츠를 촬영하기 위해 이틀간의 촬영 작업이 필요한 경우 하위 프로젝트(510, 520)가 일자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For example, if the project created by the administrator is for filming AAA content video and two days of filming are required to film the AAA content, sub-projects 510 and 520 are displayed separately by date.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위 프로젝트(510, 520)가 촬영 일자 별로 구분되어 생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위 프로젝트가 생성되는 기준은 촬영 장소, 촬영 내용 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sub-projects 510 and 520 are created separately by shooting date. However, the criteria for creating sub-project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ooting location, shooting content, etc.

하위 프로젝트의 생성 및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도 5에 도시된 화면에서는 하위 프로젝트의 촬영 일시, 하위 프로젝트 명 및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들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screen shown in FIG. 5 where you can check the creation and status of the sub-project, you can check the shooting date and time of the sub-project, the name of the sub-project, and the status of users who have confirmed the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세부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where detailed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can b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는 제1 정보 입력 영역(610), 제2 정보 입력 영역(620) 및 제3 정보 입력 영역(630)으로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다.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may be input divided into a first information input area 610, a second information input area 620, and a third information input area 630.

제1 정보 입력 영역(610)은 하위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회사나 담당자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다만, 제1 정보 입력 영역(610)에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information input area 610 is an area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companies or people in charge of sub-projects. However, the location on the screen displayed in the first information input area 610 is not limited to this.

제2 정보 입력 영역(620)은 하위 프로젝트명,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일시 및 중요 공지 사항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The second information input area 620 is an area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ub-project name, shooting date and time related to the sub-project, and important notices.

제3 정보 입력 영역(630)은 촬영 일시에 촬영 장소의 날씨 정보를 표시하고 연기자나 스태프별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태프별 도착 시간은 촬영 시작 예정 시간, 조식 시간, 중식 시간, 석식 시간, 촬영 종료 예정 시간 등으로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다.The third information input area 630 is an area that displays weather information at the filming location at the filming date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rrival time of each actor or staf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ival time for each staff member may be entered separately into the scheduled start time of filming, breakfast time, lunch time, dinner time, and scheduled end time of filming.

또한, 연기자나 스태프별 도착 시간은 직무별 또는 세부 촬영 일정별로 다르게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태프 직무를 카메라, 음향, 전기, 의상으로 구분하고 직무별로 서로 다른 도착 시간이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rrival time for each actor or staff member may be implemented to be entered differently for each job or detailed filming schedule. For example, staff duties can be divided into camera, sound, electricity, and clothing, and different arrival times can be entered for each job.

상술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가 화면상에서 구분되어 표시되는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개별적인 촬영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상의 영역이나 입력란의 개별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as explained as an example that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is received through a separately displayed area on the screen. However, the area on the screen where individual shooting information is input or the individual location of the input box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세부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where detailed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project can be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도 6에 도시된 화면 이외에 이하에서 설명할 도 7에 표시된 화면이 추가적으로 더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creen shown in FIG. 6, the screen shown in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as a screen for inputting shooting information.

제4 정보 입력 영역(64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정보 입력 영역(640)에서는 촬영 장소의 주소 정보, 주차장 정보 및 촬영 장소와 관련한 기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fourth information input area 640 is an area that receives filming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information input area 640 can receiv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hooting location, parking lot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ooting location.

제5 정보 입력 영역(65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일정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5 정보 입력 영역(650)에서는 촬영 당일 시간대별 촬영 일정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촬영 내용, 촬영 장소, 촬영신과 관련한 연기자 정보나 시간대별 촬영 내용과 관련한 특이사항들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fifth information input area 650 is an area that receives shooting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information input area 65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schedule for each time zone on the day of shooting. For example, you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filming content by time slot, filming location, act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ming scene, or information about special matters related to filming content by time slot.

제6 정보 입력 영역(66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공지 사항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지 사항에는 촬영과 관련하여 스태프나 연기자가 숙지해야할 사항, 스태프별 사전 준비 사항 등과 관련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ixth information input area 660 is an area that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notices related to sub-projects. The no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matters that staff or actors should be aware of in relation to filming, prior preparations for each staff, etc.

제7 정보 입력 영역(67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연기자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5 정보 입력 영역(650)에서는 연기자별 역할, 연기자에 대한 정보, 연기자별 촬영 장소 도착 시간이나 연기자와 관련한 기타 정보 등이 수신될 수 있다.The seventh information input area 670 is an area that receives act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each actor, information about the actor, arrival time at the filming location for each actor, or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tor may be received in the fifth information input area 650.

제8 정보 입력 영역(68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고객사 정보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5 정보 입력 영역(650)에서는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을 요청한 고객사 중 현장에 방문하는 고객사와 관련한 정보 등이 수신될 수 있다.The eighth information input area 680 is an area that receives custom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information input area 65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customer companies visiting the site among customer companies that have requested filming related to a sub-project.

제8 정보 입력 영역(680)은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파일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촬영시 필요한 이미지나 동영상. 콘티 파일, 대본 파일 등 촬영에 필요한 파일들이 제9 정보 엽력 영역(690)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The eighth information input area 680 is an area that receives files related to sub-projects. Images or videos required when shooting. Files necessary for filming, such as storyboard files and script files, can be received through the ninth information file area 690.

상술한 예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들이 화면상에서 구분되어 표시되는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개별적인 촬영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상의 영역이나 입력란의 개별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as explained as an example that shooting information related to sub-projects is received through areas that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screen. However, the area on the screen where individual shooting information is input or the individual location of the input box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관리자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 상기 프로젝트와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하위 프로젝트 별로 촬영과 관련한 정보들을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가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전송된다.The manager projects the project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ures 4 to 7. When at least one sub-project related to the project is created and information related to filming for each sub-project is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이후, 관리자가 프로젝트 또는 하위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스태프나 연기자를 지정하면 상기 스태프 또는 연기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들(400-1 내지 400-n)에 프로젝트 또는 하위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가 전송된다. Thereafter, when the manager designates a staff member or actor participating in a project or sub-projec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or sub-projec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s 400-1 to 400-n used by the staff member or actor.

이하에서는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스태프나 연기자에게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Below, we will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project-related information entered by the manager is transmitted to staff or actor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프로젝트 정보를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전송한다(S8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정보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manager transmits project information 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S810). Pro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FIGS. 4 to 7.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프로젝트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다(S820). 여기에서, 사용자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연기자나 스태프들을 의미한다.The user receives information enabling access to projec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S820). Here, users refer to actors or staff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도 8에서는 프로젝트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 장치(200)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직접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 8 , the case where information allowing access to project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200 t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method of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관리자가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 연락처 정보를 입력하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dministrator inputs user contact information in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may transmit acces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접속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에 관리자가 기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 요청 및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S830). 사용자 정보란 촬영 작업에 참석하는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역할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access information transmits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and user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by the administrator 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S830). User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about the name, contact information, role, etc. of the user participating in the shooting operation.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가 관리자가 기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에 전송한다(S840). 구체적으로, 촬영 작업에 참석할 사용자들은 관리자가 도 4 내지 도 7의 과정을 통해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4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project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by the manager to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S840). Specifically, users who will attend the shooting task can check the project information input by the manager through the processes of FIGS. 4 to 7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이후,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S850).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역할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자신이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project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S850). User information that confirms project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name, contact information, role, etc. ente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can check information on users who have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hey ent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는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들의 인원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that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may include only the number of users who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input by the administrator.

따라서, 관리자로 하여금 촬영 작업에 참석할 사용자들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llowing the administrator to smoothly manage users who will attend the shooting task. Additionally,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re easily check the project information entered by the manager can be achieved.

한편, 본원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촬영 작업 참석 여부 및 근무 시간 등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check whether users are attending filming work and working hour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촬영 작업에 다수의 사용자들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많은 보조 출연자를 필요로 하는 촬영이나 영상의 특성상 다수의 스태프들의 참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roject, there may be cases where multiple users are required for filming. For example, this applies to cases where filming or video requires a large number of auxiliary actors, and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staff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video.

이에,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는 참석의 대상이 되는 연기자나 스태프들이 실제 촬영 작업에 참여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ject manager,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confirm whether the actors or staff subject to attendance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filming work.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 관리 방법은 관리자가 기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실제 촬영 작업을 수행했는지 여부 및 실제 근로 시간을 명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perform actual filming tasks using the project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by the manager,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and the project comple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clearly calculate whether work has been performed and the actual working hours.

이를 위해,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S910).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이유는 참석 대상 사용자가 실제 촬영 현장에 출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는 사용자가 기 정해진 일시에 기 정해진 촬영 현장에 출석했음을 확인하는 신호이다.To this end,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S910). The reason for receiv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to check whether the user to attend is actually present at the shooting site. Additionally,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is a signal confirming that the user has attended a predetermined filming site at a predetermined date and time.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S920).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was received (S920).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한 프로젝트 정보에는 촬영 장소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별 도착 예정 시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가 수신된 시간 정보와 사용자 정보와 프로젝트 정보를 비교하면 참석 대상의 사용자가 실제 정해진 시간에 촬영 장소에 출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explained in FIGS. 4 to 7, the project information entered by the manager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about the shooting location but also the estimated arrival time for each user, s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are By comparing the received tim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projec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ser to attend actually attended the filming location at the designated time.

또한, 사용자별 촬영 업무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다시한 번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S930). 즉,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가 수신된 시점 이후 사용자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shooting task for each user is complet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ject completion signal are received agai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S930). In other words,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ject completion signal are received after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S92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와 기 등록된 프로젝트 정보를 비교하면 해당 사용자의 근무 시간 등을 명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S940).As described in step S920,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ject comple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400 with the pre-registered project information, the working hours of the corresponding user can be clearly calculated (S940).

이후, 영상 제작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 장치(200)에 사용자별 프로젝트 참석 여부 정보 및 근무 시간 정보를 관리자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Thereafter, the video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project attendance information and working hours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200.

따라서, 관리자 입장에서 다수의 스태프 또는 연기자들을 필요로 하는 촬영 업무라도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from the manager's perspective, even filming tasks that require a large number of staff or actors can be effectively managed.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removable recording medium (CD, DVD, Blu-ray disk, USB storage device, removable hard disk) or a fixed recording medium (ROM, RAM, computer-equipped hard disk). You can.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and thus can be us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oper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In certain situ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requiring such separation,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must understand that it exis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disclosure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technical ideas defined by this disclosure.

Claims (8)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user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일자별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별로 구분되는 촬영 업무인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촬영 일자, 촬영 장소 및 촬영 장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개별적인 하위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s:
Receiving a request to create a project, which is a filming task divided by date or video content to be filmed; and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to create an individual sub-project, distinguished by at least one of a shooting date, a shooting location, and a shooting sce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촬영 담당자 정보, 촬영 시작 시간, 촬영 종료 시간, 촬영 장소, 해당 일자의 시간대별 촬영 스케쥴, 촬영 콘티, 영상 제작을 의뢰한 고객사, 연기자 정보, 촬영 관련 공지 사항, 스태프별 준비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영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ep of receiving the sub-project creation request is,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on the person in charge of filming, start time of filming, end time of filming, filming location, filming schedule for each time zone on the day, filming storyboard, customer company that requested video production, actor information, filming-related announcements, and preparations for each staff member.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ilming-relat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일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일정별로 구분되는 상기 하위 프로젝트와 관련한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ceiving project information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is:
Receiving a project creation request;
Receiving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sub-projects included in the project; and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receiving film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projects divided by sche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연락처, 사용자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ceiving the project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user informatio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name, user's contact information, and user's r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연락처, 사용자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user who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he user's contact information, and the user's r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인원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at has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confirmed the projec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젝트에 참석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프로젝트 참석 확인 신호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별 촬영 업무가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프로젝트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별 프로젝트 참석 여부 정보 및 근무 시간 정보를 관리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작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Receiv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attended the project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project attendance confirmation signal was receive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ject comple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shooting task for each user is completed; and
A video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project attendance information and working time information for each user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KR1020220143060A 2022-10-31 2022-10-31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KR202400614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60A KR20240061417A (en) 2022-10-31 2022-10-31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60A KR20240061417A (en) 2022-10-31 2022-10-31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17A true KR20240061417A (en) 2024-05-08

Family

ID=9107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060A KR20240061417A (en) 2022-10-31 2022-10-31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763B2 (en) Virtual area communications
US20230155966A1 (en) Virtual Area Communications
US109843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llaborative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US8902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eeting recordings in a network environment
US20120150577A1 (en) Meeting lifecycle management
US20110258561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articipating in social media sites on behalf of entity
US9430762B2 (en) Fee management system, transmission system, and fee management method
EP3513367A2 (en) Live meetings for channels in a team collaboration tool
WO2012094738A1 (en) Method for coordinating resources for events and system employing same
US20240155010A1 (en) Integrated workspace on a communication platform
US9967349B2 (en) Integrated social media server and architecture
US200600260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auditions
US20160140464A1 (en) Event assistance device and event assistance method
CN106027969A (en) Mobile video monitoring platform
KR1025607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sk tracking
US11405435B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views of records in chat sessions between users of a collaboration environment
Tatiana et al. Organizational-information technology for providing and decisions making in situational management
KR20240061417A (en) Method for managing video production
US200901578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tunnelling for agile meetings
US20120079397A1 (en) Scheduling system
Ng et al. Information systems for large-scale event management: a case study
CN109784680A (en) Point behavior and emergency scheduling management system are visited in field operation scene
KR102663333B1 (en) Collabor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3d space using bim
WO2002010963A2 (en) Ethod for networking data and content management
US20230161737A1 (en) Hierarchical Data Object System with Hierarchical Chat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