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11A - a detachable trumpet - Google Patents

a detachable trum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11A
KR20240061411A KR1020220143051A KR20220143051A KR20240061411A KR 20240061411 A KR20240061411 A KR 20240061411A KR 1020220143051 A KR1020220143051 A KR 1020220143051A KR 20220143051 A KR20220143051 A KR 20220143051A KR 20240061411 A KR20240061411 A KR 2024006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ipe
bell
detachable
trumpe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원
Original Assignee
김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원 filed Critical 김남원
Priority to KR102022014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11A/en
Publication of KR2024006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1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트럼펫이 관한 것으로, 숨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리드파이프, 상기 리드파이프와 일선의 수평한 위치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벨,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 및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버튼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돌기에 리드파이프와 벨을 장착하는 것으로 부품의 탈착이 가능한 분리형 트럼펫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trumpet, which includes a mouthpiece for playing by breathing in, a lead pipe extending to one end of the mouthpiece and formed in a detachable form, and a lead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in a horizontal position. a bell, a slid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the bell, and a button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lead pipe and the bell, and attaching the lead pipe and the bell to a slid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utton portion. This is about a detachable trumpet that allows parts to be removed by mounting.

Description

분리형 트럼펫 {a detachable trumpet}detachable trumpet {a detachable trumpet}

본 발명은, 분리형 트럼펫에 관한 것으로, 트럼펫의 구비된 벨 및 리드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리드파이프 및 벨을 장착 가능 한 것으로서, 사용자 맞춤형 리드파이프 및 벨을 제공하는 분리형 트럼펫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trumpet, in which the bell and lead pipe provided in the trumpet can be separated, and various types of lead pipes and bells can be installed, and relates to a detachable trumpet that provides user-customized lead pipes and bells. will be.

일반적으로, 트럼펫, 트럼본, 튜바 등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마우스피스를 사용하는 금관악기는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접한 후에 입술을 진동(버징 Buzzing)시키며, 호흡을 불어넣거나 마우스피스에 접하는 연주자 입술의 최적의 모양 및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호흡(바람)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것이 금관악기 연주 주법의 기초이자 핵심이다.In general, brass instruments that use a mouthpiece to generate sound, such as trumpets, trombones, and tubas, vibrate the lips after touching the mouthpiece, and breathe or adjust the optimal level of the player's lips in contact with the mouthpiece. Maintaining the shape and contact state and playing with breath (wind) is the basis and core of playing brass instruments.

이러한 마우스피스의 경우 호흡의 길이 및 구강구조 등의 개인차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연주자 마다 다른 마우스피스를 구비해야 한다.Since these mouthpieces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breathing length and oral structure, each performer must be equipped with a different mouthpiece.

때문에, 마우스피스의 경우, 탈착되는 형식의 제품이 많으며, 종류 또한 다양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mouthpieces, there are many products that are detachable, and the types are also diverse.

이때, 마우스피스는 목관악기의 리드(Reed)처럼 관과 공명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소리의 높낮이는 마우스피스의 일단에 연결된 리드파이프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piece resonates with the pipe like the reed of a woodwind instrument to generate sound, and the pitch of the sound thus generated can be adjusted through a lead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uthpiece.

리드파이프는 마우스피스에서 12~13cm까지 부분으로 관의 길이를 변화시켜 전체 음높낮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연결관으로 연주자는 이부분을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음을 조율하게 된다.A lead pipe is a type of connector made to change the overall pitch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pipe in sections ranging from 12 to 13 cm from the mouthpiece. The performer adjusts the sound by pushing and pulling this part.

이에 따라, 연주자들은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리드파이프를 찾아 음의 높낮이 변화에 예민하게 대응해 왔다.Accordingly, performers have been sensitive to changes in pitch by finding the optimal lead pipe for each individual.

그러나, 종래의 트럼펫에 경우, 마우스피스의 탈착은 가능한 반면, 리드파이프의 경우는 탈착이 불가능 한 것으로, 기존 악기 판매점이나 전시장에 전시된 트럼펫을 구매한 후 연주해보면 자신이 원하는 음의 높낮이 변화를 야기하지못하는 트럼펫을 구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rumpet, the mouthpiece is removable, but in the case of a lead pipe, it is not removable. If you purchase a trumpet displayed at an existing musical instrument store or exhibition hall and then play it, you will be able to change the pitch of the note you want. There were often cases of purchasing trumpets that did not work properly.

이 때문에, 연주자들은 종종 새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지도 못한 채로 중고제품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했다.Because of this, performers often purchase new products and sell them as used products without even using them.

이에 따라, 리드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고, 이에 더해 벨 및 마우스피스까지 분리되어, 연주자의 필요에 맞는 커스텀형 트럼펫이 절실한 실정이었다.Accordingly, the lead pipe could be separated, and in addition, the bell and mouthpiece could be separated, creating a desperate need for a custom trumpet that suited the player's needs.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3842호 "벨 확장용 연결체 및 이를 구비한 트럼펫"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3842 “Bell expansion connector and trumpet equipped with the same”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트럼펫의 벨과 리드파이프를 용접해 버튼부에 부착하지 않고, 벨과 리드파이프에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버튼부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연주자 개개인에 맞는 리드파이프 및 벨을 구비한 트럼펫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stead of attaching the trumpet bell and lead pipe to the button part by welding them, the bell and lead pipe are provided with sliding grooves,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the button part. By doing so,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umpet equipped with a lead pipe and bell suitable for each play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은, 숨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리드파이프, 상기 리드파이프와 일선의 수평한 위치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벨,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 및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mouthpiece for playing by breathing in, a lead pipe extending to one end of the mouthpiece and formed in a detachable form, the lead pipe, and It may include a bell formed on one side of a horizontal position of a line, a slid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the bell, and a button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lead pipe and the bell.

또한, 상기 버튼부는, 슬라이딩 돌기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홈과 탈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utton portion has slid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slid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the bell.

또한, 상기 리드파이프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지는 리드파이프로 교체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ad pipe is detachable from the sliding protrusion and can be replaced with a lead pipe having various lengths and specifications.

또한, 상기 벨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지는 벨로 교체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ell is detachable from the sliding protrusion and can be replaced with bells of various lengths and specifications.

또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동시에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동시 교체 또는 단일 교체가 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d pipe and the bell can be simultaneous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sliding protrusion, allowing simultaneous replacement or single replacement.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벨 또는 상기 리드파이프와 일면이 연결되고 타면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맞닿은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상층부 및 상기 측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하층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groove further includes a side portion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ell or the lead pipe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rotrusion, an upper layer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a lower layer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side portion. can do.

상기 상층부는, 외면에 고정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스위치는 상기 위치 고정 완료 후 조임 나사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layer is provided with a fixing switch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ixing switch operates a tightening screw after the position is fixed, so that the lead pipe and the bell are not separated when the sliding groove and the sliding protrusion are coupled. can do.

또한, 상기 하층부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 핀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홈을 결합 할 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layer has a fixing pin formed on a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ing protrus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layer can be fixed when the sliding protrusion and the sliding groove are coupled.

또한,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방향을 일단에서 타단으로 제한하여 결합 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이 일단으로 역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xing pin limits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sliding protrus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reby preventing the lead pipe and the bell from moving back to one end and being separated when coupled.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은, 벨과 리드파이프를 분리하는 것으로 연주자 개개인에 맞는 형태의 트럼펫을 커스텀 제작할 수 있다.The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mean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can custom-manufacture a trumpet of a shape suitable for each player by separating the bell and lead pipe.

또한, 벨과 리드파이프의 교체만으로 기존과 다른 음을 구현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트럼펫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에 경제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different sounds than before just by replacing the bell and lead pipe, thereby increasing economy and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need to have several types of trumpets.

또한, 조임 나사를 통해 리드파이프와 벨을 슬라이딩 돌기에 고정 시 탈거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ad pipe and bell can be secured to the sliding protrusion to prevent them from being removed through the tightening scre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리드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벨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버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과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리드파이프와 벨에 구비된 슬라이딩 홈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병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버튼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7과 도8의 결합 단면도.
도 10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리드파이프 및 벨에 구비된 조임 나사의 동작 예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ad pip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ell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por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and the sliding protrus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groove provided in the lead pipe and bell of a separat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utton portion of 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s 7 and 8.
Figures 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tightening screws provided on the lead pipe and bell of 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ir meaning is not limited,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provide,” or “have” us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 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트럼펫 구조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리드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버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과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umpet Struct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ad pip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l,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tton por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and the sliding protrus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1)은 마우스피스(100), 리드파이프(200), 벨(300) 및 버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detachable trump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uthpiece 100, a lead pipe 200, a bell 300, and a button portion 400. .

마우스피스(100)는 분리형 트럼펫(1) 연주 시, 연주자가 숨을 불어 넣는(버징, Buzzing) 것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outhpiece 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player can play by blowing his/her breath (buzzing) when playing the detachable trumpet (1).

이때, 마우스피스(100)는 목관악기의 리드(Reed)처럼 관과 공명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piece 100 can generate sound by resonating with the pipe like a reed of a woodwind instrument.

이러한, 마우스피스(100)의 경우 호흡의 길이 및 구강구조 등의 개인차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연주하는 연주자 마다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mouthpiece 100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breathing length and oral structure, it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for each performer.

이때, 마우스피스(100)는 분리형 트럼펫(1)과 분리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연주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piece 100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trumpet 1, and various length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player.

또한, 마우스피스(100)는 일단에 마우스피스 리시버(110)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uthpie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mouthpiece receiver 110 at one end.

이때, 마우스피스 리시버(110)는 마우스피스(100)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piece receiver 110 extends to one end of the mouthpiece 100 and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또한, 마우스피스 리시버(110)는 일단에 리드파이프(200)를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uthpiece receiver 110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lead pipe 200 to one end.

리드파이프(200)는 마우스피스(100)를 통해 전달되는 숨의 세기와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lead pipe 200 can adjust the pitch of the sound generated depending on the intensity and degree of breath transmitted through the mouthpiece 100.

이때, 리드파이프(200)는 금속을 한번 꼬아서 만든 형태의 내부가 빈 금속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ad pipe 2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metal tube made by twisting metal once.

또한, 리드파이프(200)는 일면에 검지 고리가 형성되어 연주자가 연주 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d pipe 200 has an index finger ring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performer can easily hold it when playing.

이때, 리드파이프(200)는 측면에 제 1 슬라이딩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sliding groove 21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lead pipe 200.

제 1 슬라이딩 홈(210)은 일측이 리드파이프(200)의 측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되어 부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may be connected an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lead pipe 200 in a manner such as welding.

이때, 제 1 슬라이딩 홈(210)은 타측에 레일 형식의 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has a rail-type groove on the other side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제 1 슬라이딩 홈(210)은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에 결합 후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구비한 형태의 나사 홀(H)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hole H having a screw thread so that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can be coupled to and then fixed to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벨(300)은 리드파이프(200)와 일선의 수평한 위치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ell 3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200 and in a horizontal position.

또한, 벨(300)은 일측이 리드파이프(200)의 타측과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ell 30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ead pipe 200.

이때, 벨(300)은 리드파이프(200)로부터 전달된 소리를 타측 끝단에 구비된 나팔(310)로 발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ll 300 may emit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lead pipe 200 through the trumpet 310 provided at the other end.

또한, 벨(300)은 측면에 제 2 슬라이딩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ell 300 may have a second sliding groove 320 formed on its side.

제 2 슬라이딩 홈(320)은 일측이 벨(300)의 측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되어 부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may be connected an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ell 300 in a welding manner.

이때, 제 2 슬라이딩 홈(320)은 타측에 레일 형식의 홈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제 2 슬라이딩 돌기(420)와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has a rail-type groove on the other side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제 2 슬라이딩 홈(320)은 제 2 슬라이딩 돌기(420)에 결합 후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구비한 형태의 나사 홀(H)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hole H having a screw thread so that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can be coupled to and then fixed to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

버튼부(400)는 리드파이프(200)와 벨(300)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lead pipe 200 and the bell 300 to connect them.

이때, 버튼부(400)는 일측에 제 1 슬라이딩 돌기(410) 및 제 2 슬라이딩 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400 may include a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nd a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on one side.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는 리드파이프(200)에 구비된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provided in the lead pipe 200.

이때,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는 제 1 슬라이딩 홈(2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 1슬라이딩 홈에 구비된 나사 홀(H)에 나사 삽입 후, 나사를 조이는 것으로 버튼부(400)와 리드파이프(200)를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in a sliding manner, and the button portion 400 is connected by inserting a screw into the screw hole (H) provided 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n tightening the screw. and the lead pipe 200 can be connected and fixed.

또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는 리드파이프(200)와 연결되는 면을 제외한 면은 용접과 같은 방식을 통해 버튼부(4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excluding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lead pipe 200,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utton portion 400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이에 따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는 리드파이프(200)에 구비된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탈착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지는 리드파이프(200)로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s detached from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provided in the lead pipe 200, and can be replaced with a lead pipe 200 having various lengths and specifications.

또한, 연주자의 개인에 맞는 리드파이프(200)를 선택해 탈착하는 것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electing and detaching the lead pipe 200 that suits the individual performer.

제 2 슬라이딩 돌기(420)는 벨(300) 측면에 구비된 제 2 슬라이딩 홈(320)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ell 300.

이때, 제 2 슬라이딩 돌기(420)는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제 1 슬라이딩 홈(210)의 결합 방식과 동일하게 제 2 슬라이딩 홈(320)과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nd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또한, 제 2 슬라이딩 돌기(420) 또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같은 형태로, 버튼부(400)의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구비된 반대측 측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nd can be fixed to the side of the button portion 400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there is.

이에 따라, 제 2 슬라이딩 돌기(420)는 벨(300)에 구비된 제 2 슬라이딩 홈(320)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다양한 넓이 및 소리를 방출하는 벨(300)로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is coupled through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provided in the bell 300, and can be replaced with a bell 300 of various sizes and emitting sounds.

또한, 다양한 크기 및 길이의 벨(300)을 손쉽게 탈착하는 것으로써, 하나의 분리형 트럼펫(1)을 통해 다양한 벨(300)로 연주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bells 300 of various sizes and lengths, it is possible to play with various bells 300 through one detachable trumpet (1).

이때, 리드파이프(200)와 벨(300)은 제 1 및 제 2슬라이딩 돌기(410,420)에 동시에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동시 교체 또는 단일 교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d pipe 200 and the bell 300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rotrusions 410 and 420 at the same time, and can be replaced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이에 따라, 하나의 리드파이프(200)와 어울리는 다양한 벨(300)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역으로 하나의 벨(300)과 어울리는 다양한 리드파이프(200)를 교체 가능한 것으로 하나의 트럼펫을 통해 다양한 연주자가 자신의 습관이나 구강 구조에 알맞은 트럼펫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bells 300 that match one lead pipe 200 are used in combination, and conversely, various lead pipes 200 that match one bell 300 can be replaced, allowing various players to play through one trumpet. You can use it as a trumpet that suits your habits or oral structure.

또한, 리드파이프(200) 및 벨(300)에 손상이 발생 시, 손상 부위만을 탈거 하고, 새로운 리드파이프(200) 및 벨(300)을 부착하는 것으로써,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amage occurs to the lead pipe 200 and bell 300, it can be used without problems by removing only the damaged part and attaching a new lead pipe 200 and bell 300.

이에 따라, 분리형 트럼펫(1)의 경제성과 호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economics and compatibility of the detachable trumpet 1 can be in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리드파이프와 벨에 구비된 슬라이딩 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병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버튼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7과 도8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트럼펫의 리드파이프 및 벨에 구비된 조임 나사의 동작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groove provided on the lead pipe and bell of 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shows a slid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utton portion of a detachabl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9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s 7 and 8, and Figures 10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screw provided on the lead pipe and bell of a separate trump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형태를 가지는 제 1 슬라이딩 홈(210)은 측면부(211), 상층부(212) 및 하층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having a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portion 211, an upper layer 212, and a lower layer 213.

이때,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연결되는 방식은, 제 2 슬라이딩 홈(320)과 제 2 슬라이딩 돌기(420)가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하기에서 서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제 2 슬라이딩 홈(320)과 제 2 슬라이딩 돌기(420) 또한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re connected is the same as the method in which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and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are connect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pplied to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bu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and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in the same way. .

여기서는,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결합 방식만을 가지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2 슬라이딩 홈(320) 및 제 2 슬라이딩 돌기(420)에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ly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s describ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second sliding groove 320 and the second sliding protrusion 420. .

측면부(211)는 리드파이프(200)와 일면이 연결되고 타면은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맞닿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 211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ead pipe 200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이때, 측면부(211)는 마모가 적고 마찰력이 적은 재질의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ide portion 211 is preferably made of metal or plastic, a material that is less abrasive and has less fric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상층부(212)는 측면부(211) 상단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layer 2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side portion 211.

또한, 상층부(212)는 외면에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고정 스위치(5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 홈이 구비되고, 고정 스위치(500)는 위치 고정 완료 후 조임 나사(54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써,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결합 시, 리드파이프(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layer 212 is provided with a switch groove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fixing switch 5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can be connected, and the fixing switch 500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tightening screw 540 after completing the position fixation. , When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re coupled, the lead pipe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하층부(213)는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맞닿는 부분에 고정 핀 홀(213a) 이 형성되고, 고정 핀 홀(213a) 내부에 고정 핀(P)이 형성되어,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와 제 1 슬라이딩 홈(210)을 결합할 때, 위치 고정을 할 수 있다.The lower layer 213 has a fixing pin hole 213a formed in a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nd a fixing pin P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in hole 213a, so that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When combining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the position can be fixed.

또한, 고정 핀(P)은 옆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사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삽입되어 삼각형의 빗변 방향으로 진행 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에 고정 핀(P)이 눌림으로써, 걸림이 없이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P) is formed in a tetrahedral shape with side surface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so that wh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s inserted and moves in the hypotenuse direction of the triangle, the fixing pin is attached to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By pressing (P), you can proceed without interruption.

그러나, 고정 핀(P)은 역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진입할 때, 수직한 면으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으로 역방향 진행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enter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xing pin P may be formed to impede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n a vertical plane, making reverse progress impossible.

이에 따라, 고정 핀(P)은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결합 방향을 일단에서 타단으로 제한하여 결합 시, 리드파이프(200)가 일단으로 역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pin (P) limits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that when coupled, the lead pipe 200 moves backward to one end and is separated. It can be prevented.

또한, 고정 핀(P)은 하측에 스프링(S)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제 1 슬라이딩 홈(210)으로 진입할 때, 고정 핀(P)이 고정 핀 홀(213a) 내부로 삽탈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P) is provided with a spring (S) on the lower side, and wh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enters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the fixing pin (P) moves into the fixing pin hole 213a. )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inside.

또한, 고정 핀(P)은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탈거 시, 스프링(S)의 반발력에 의해 고정 핀 홀(213a)에서 자동으로 탈거되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is removed, the fixing pin P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fixing pin hole 213a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S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때,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는 상부 고정 홀(411) 및 하부 고정 홀 (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fixing hole 411 and a lower fixing hole 412.

상부 고정 홀(411)은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pper fixing holes 4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long the horizontal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부 고정 홀(411)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고정 돌기(530)를 삽탈하는 것으로 리드파이프(200)가 타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ixing hole 411 can prevent the lead pipe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by inserting and removing the fixing protrusion 5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상부 고정 홀(411)은 고정 돌기(530)의 형태와 비슷한 형태로 형성되되, 고정 돌기(5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 돌기(530)의 삽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fixing hole 411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xing protrusion 530, but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xing protrusion 530 to ensure smooth inser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530. .

하부 고정 홀(412)은 제 1 슬라이딩 돌기(410)의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면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wer fixing holes 41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하부 고정 홀(412)은 고정 핀(P)이 삽탈될 수 있도록 고정 핀(P)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wer fixing hole 412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xing pin (P) so that the fixing pin (P) can be inserted and removed.

또한, 하부 고정 홀(412)은 마찰이 적고 내구성이 좋은 금속이나 합성 소재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ower fixing hole 41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synthetic material that has low friction and good durabi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고정 스위치(500)는 상층부(21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xed switch 5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212.

이때, 고정 스위치(500)는 푸쉬부재(510), 눌림판(520), 고정 돌기(530) 및 조임 나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switch 500 may further include a push member 510, a pressing plate 520, a fixing protrusion 530, and a tightening screw 540.

푸쉬부재(510)는 상층부(212)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 홈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ush member 510 may be connected to a switch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212.

이때, 푸쉬부재(510)는 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스위치 홈 내부공간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 member 510 can move left and right in the inner space of the switch groove by applying pressure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푸쉬부재(510)는 눌림판(520)과 맞닿은 일면이 대각선 형태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이동할 때, 눌림판(520)에 압력을 가해 눌림판(520)을 하강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member 510 is formed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520 tilted diagonally, so that when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520 to lower the pressing plate 520. .

이와 같은, 눌림판(520)은 일면이 푸쉬부재(510)의 일면과 맞닿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sing plate 52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ush member 510.

이때, 눌림판(520)의 일면은 푸쉬부재(510)의 일면과 좌우가 대칭되고 상하가 대칭된 기울어진 형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520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and symmetrical top and bottom with one surface of the push member 510.

이에 따라, 눌림판(520)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ing plate 520 can move downward.

또한, 눌림판(520)은 하측에 다수 개의 눌림 스프링(521)의 일단과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52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a plurality of pressing springs 521 on the lower side and can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이때, 눌림판(520)은 눌림 스프링(521)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푸쉬부재(5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없을 때, 상승하는 것으로 원상복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late 520 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spring 521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rising when there is no pressure applied by the push member 510.

이때, 눌림 스프링(521)은 눌림판(520) 하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pressing springs 521 are formed below the pressing plate 520.

또한, 눌림 스프링(521)은 탄성력과 복원력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어 눌림판(520)의 원상복귀 시, 강한 힘으로 눌림판(520)을 상방으로 미는 것으로,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가 재결합 할 때, 걸림이나 막힘 없이 재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spring 521 is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nd pushes the pressing plate 520 upward with a strong force when the pressing plate 52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1 When the sliding protrusions 410 are reconnected, they can be reconnected without being caught or blocked.

고정 돌기(530)는 눌림 스프링(52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부 고정 홀(411)에 삽탈 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5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spring 521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upper fixing hole 411.

이때, 고정 돌기(530)는 눌림판(5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부 고정 홀(411)에 삽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530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upper fixing hole 411 as the press plate 520 moves up and down.

이때, 고정 돌기(530)는 눌림판(520)의 하강에 따라 압축되는 눌림 스프링(521)의 압축력에 의해 하단으로 이동하고, 하측에 상부 고정 홀(411)이 형성될 때,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530 moves to the bottom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pressing spring 521, which is compressed as the pressing plate 520 descends, and when the upper fixing hole 41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can be fixed.

이에 따라, 고정 돌기(530)는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를 결합 시킬 때, 더욱 강한 힘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서로 탈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530 can prevent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from being separated by fixing them with stronger force.

조임 나사(540)는 제 1 슬라이딩 홈(210)의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푸쉬부재(510)의 후면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ightening screw 54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be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push member 510.

이때 조임 나사(540)는 몸통(541) 및 푸쉬나사(54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ghtening screw 540 may include a body 541 and a push screw 542.

몸통(541)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541 may be formed as a cylinder with an empty interior.

이때, 몸통(541)의 타단은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body 541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또한, 몸통(541)은 푸쉬부재(510)의 후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54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push member 510 in a manner such as welding to prevent i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또한, 몸통(541)은 푸쉬부재(510)를 이동시키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몸통(541)을 잡아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푸쉬부재(510) 및 이에 의해 동작하는 눌림판(520)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541 can be used as a handle to move the push member 510, and the body 541 is held and moved laterally to hold the push member 510 and the pressing plate 520 operated by it. It can be operated.

이에 따라, 몸통(541)은 제 1 슬라이딩 홈(210)과 제 1 슬라이딩 돌기(410)를 결합 시킬 때,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dy 541 can be easily coupled when combining the first sliding groove 210 and the first sliding protrusion 410.

푸쉬나사(542)는 몸통(541)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ush screw 54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541.

이때, 푸쉬나사(542)는 몸통(541)과 별개로 회전하는 것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 screw 542 rotates independently from the body 541 and can move up and down.

이때, 푸쉬나사(542)는 고정 돌기(530)가 상부 고정 홀(411)에 삽입된 후, 스위치 홈에 구비된 나사 구멍에 타단이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 돌기(53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 screw 542 can fix the mov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530 by engaging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530 in the screw hole provided in the switch groove after the fixing protrusion 5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fixing hole 411. .

또한, 푸쉬나사(542)는 나사 구멍과 결합할 때, 일단을 잡고 회전 시키는 것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screw 542 can be coupled without a separate tool by holding one end and rotating it when coupled with the screw hole.

또한, 푸쉬나사(542)는 몸통(541)보다 길게 형성되어, 고정이 완료되고 난 후에도 별도의 공구 없이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 screw 542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body 541, so that it can be removed without a separate tool even after fixation is completed.

이때, 고정 스위치(500)는 상층부(212)의 일단에 구비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상층부(212)의 상면에 상기와 같이 원하는 위치 상에 하나 또는 다수 개로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switch 500 is not limited to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layer 212, but may be formed one or more times as nee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212 at a desired location as described above.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 분리형 트럼펫
100: 마우스피스
110: 마우스피스 리시버
200: 리드파이프
210: 제 1 슬라이딩 홈
211: 측면부
212: 상층부
213: 하층부
213a: 고정 핀 홀
300: 벨
310: 나팔
320: 제 2 슬라이딩 홈
400: 버튼부
410: 제 1 슬라이딩 돌기
411: 상부 고정 홀
412: 하부 고정 홀
420: 제 2 슬라이딩 돌기
500: 고정 스위치
510: 푸쉬부재
520: 눌림판
521: 눌림 스프링
530: 고정 돌기
540: 조임 나사
541: 몸통
542: 푸쉬나사
H: 나사 홀
P: 고정 핀
S: 스프링
1: Detachable trumpet
100: Mouthpiece
110: Mouthpiece receiver
200: lead pipe
210: first sliding groove
211: side part
212: Upper floor
213: lower level
213a: fixed pin hole
300: Bell
310: Trumpet
320: second sliding groove
400: Button part
410: first sliding protrusion
411: upper fixing hole
412: Lower fixing hole
420: second sliding protrusion
500: fixed switch
510: Push member
520: Pressing plate
521: Pressing spring
530: fixing protrusion
540: Tightening screw
541: torso
542: Push screw
H: screw hole
P: fixed pin
S: spring

Claims (9)

숨을 불어넣어 연주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며, 탈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리드파이프;
상기 리드파이프와 일선의 수평한 위치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벨;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 및
상기 리드파이프와 상기 벨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트럼펫.
A mouthpiece that is played by breathing into it;
a lead pipe extending to one end of the mouthpiece and formed in a detachable form;
a bell form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a line in a horizontal position;
A slid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the bell, and
A detachable trumpet including a button portion formed to connect the lead pipe and the b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슬라이딩 돌기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딩 홈과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1,
The button part,
A detachable trumpet, characterized in that sli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re detachable from the sliding groov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d pipe and the b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파이프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지는 리드파이프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1,
The lead pipe is,
A detachable trumpet that is attached to the sliding protrusion and can be replaced with a lead pipe of various lengths and specifica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탈착 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와 규격을 가지는 벨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1,
The bell is,
A detachable trumpet that is attached to the sliding protrusion and can be replaced with bells of various lengths and specifications.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동시에 탈착 가능한 것으로서, 동시 교체 또는 단일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lead pipe and the bell are,
A detachable trumpet that is simultaneously attachable and detachable from the sliding protrusion, allowing simultaneous replacement or single replac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벨 또는 상기 리드파이프와 일면이 연결되고 타면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맞닿은 형태로 형성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상층부 및
상기 측면부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하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1,
The sliding groove is,
a side portion formed in such a way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ell or the lead pipe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rotrusion;
An upp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side portion and
A detachable trump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owe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side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는
외면이 고정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스위치는 상기 위치 고정 완료 후 조임 나사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6,
The upper layer
A detachable trumpet whose outer surface is connected to a fixing switch, wherein the fixing switch operates a tightening screw after completing the position fixation, thereby preventing the lead pipe and the bell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sliding groove and the sliding protrusion are coupl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 핀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 홈을 결합할 때, 위치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6,
The lower layer,
A detachable trumpet,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n is formed on a portion connected to the sliding protrusion, so that the position can be fixed when the sliding protrusion and the sliding groove are combin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상기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결합 방향을 일단에서 타단으로 제한하여 결합 시, 상기 리드파이프 및 상기 벨이 일단으로 역행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형 트럼펫.

According to clause 8,
The fixing pin is,
A separable trumpet that restricts the direction of coupling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sliding protrus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to prevent the lead pipe and the bell from moving backwards to one end and being separated when coupled.

KR1020220143051A 2022-10-31 2022-10-31 a detachable trumpet KR20240061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51A KR20240061411A (en) 2022-10-31 2022-10-31 a detachable trum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051A KR20240061411A (en) 2022-10-31 2022-10-31 a detachable trum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11A true KR20240061411A (en) 2024-05-08

Family

ID=9107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051A KR20240061411A (en) 2022-10-31 2022-10-31 a detachable trum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473A1 (en) Mouthpiece for a wind instrument
US7847171B1 (en) Guitar with pick support
US20220189439A1 (en) Illuminating bow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9814999B2 (en) Aerophone builder
KR20240061411A (en) a detachable trumpet
US10854178B2 (en) Dual purpose percussion drumstick
JP5686923B1 (en) Bowed instrument
US8895828B1 (en) Clix stixs
KR100961435B1 (en) Wind instrument
KR200483190Y1 (en) Recorder ring
US20030154844A1 (en) Hands-free chromatic harmonica
JP4521666B1 (en) Brass instrument
WO1988007252A1 (en) A musical instrument, a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a key therefor
CN104835481A (en) Percussion mallet and percussion instrument
KR102504049B1 (en) Bamboo flute
US9495943B2 (en) Musical instrument
KR102507438B1 (en) Mouthpiece for musical instruments
KR102671686B1 (en) Wind instruments mounting tone hole hardwood key button
CN219225882U (en) Mounting structure of harmonica soundboard
US11568842B2 (en) Drumstick
KR102067532B1 (en) wind instrument
JP7425987B2 (en) Performance aids and air reed instruments
KR101242000B1 (en) Panflute
KR20180003648U (en) Wind instrument
CN201298344Y (en) Sound-mouthpiece b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