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160A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 Google Patent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160A
KR20240061160A KR1020220142511A KR20220142511A KR20240061160A KR 20240061160 A KR20240061160 A KR 20240061160A KR 1020220142511 A KR1020220142511 A KR 1020220142511A KR 20220142511 A KR20220142511 A KR 20220142511A KR 20240061160 A KR20240061160 A KR 2024006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medical
insurance
medical recor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2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승
Original Assignee
김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승 filed Critical 김대승
Priority to KR102022014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160A/en
Publication of KR2024006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16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문서식별코드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하는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저장위치와 연관지어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저장위치를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요청하는 보험금 지급 요청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omprising: a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medical record request for a user's insurance claim from a user terminal; a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search unit that searches the storage lo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location; and an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that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nd requests payment of the insurance payment to the user.

Description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본 발명은 개인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험금 청구를 위해 필요한 진료기록문서에 직접 접근하는 대신 저장위치를 조회하여 보험금 청구 문서를 전송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that searches the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s insurance claim documents instead of directly accessing the medical record documents required for insurance claims. .

최근 보험산업에서 보험금 청구의 편이성을 제고하고 보험금 관련 안내를 강화하며 보험금 지급기준을 구체화하면서 보험금 지급 단계에서 소비자 보호를 개선하는 등 보험금 청구와 지급 관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시행되고 있다.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consistently in the insurance industry to resolve inconveniences related to insurance claims and payments, such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laims, strengthening insurance payment-related information, specifying insurance payment standards, and improving consumer protection at the insurance payment stage.

다만, 이러한 제도 개선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험금 청구와 지급 관련 민원은 보험민원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despite these system improvements and efforts, complaints related to insurance claims and payment still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insurance complaints.

특히, 보험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보험을 통해 보장되는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개인이 보험금을 청구하는 과정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의 보험금 청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as the types of insurance benefits diversify and the scope of coverage through insurance expands, the process of individuals claiming insurance benefit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nd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support individuals' insurance claims.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68648호(2021.06.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8648 (2021.06.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험금 청구를 위해 필요한 진료기록문서에 직접 접근하는 대신 저장위치를 조회하여 보험금 청구 문서를 전송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that searches the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s insurance claim documents instead of directly accessing the medical record documents required for insurance claims.

실시예들 중에서,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문서식별코드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하는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저장위치와 연관지어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저장위치를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요청하는 보험금 지급 요청부;를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includes a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that receives a medical record request for a user's insurance claim from a user terminal; a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search unit that searches the storage lo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location; and an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that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nd requests payment of the insurance payment to the user.

상기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승인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the medical record request o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during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상기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는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위치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저장위치를 상기 승인된 개인정보와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receives the storage location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it can link the storage location with the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상기 개인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상기 승인된 개인정보가 아닌 나머지 정보를 영구 삭제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permanently delete the remaining information that is not the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상기 보험금 지급 요청부는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하여 상기 보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may generate an insurance claim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상기 보험금 지급 요청부는 상기 보험금 청구서에 대응되는 파일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보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may create a fil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surance claim and transmit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이때, 상기 파일 객체는 오픈 시 상기 저장위치를 기초로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접근하여 상기 진료정보를 수집한 다음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험금 청구서로 실체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e object may be implemented to access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storage location when opened, collect the medical information, and then be materialized into the insurance claim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는 보험금 청구를 위해 필요한 진료기록문서에 직접 접근하는 대신 저장위치를 조회하여 보험금 청구 문서를 전송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the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 the insurance claim document instead of directly accessing the medical record document required for insurance clai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n FIG. 1.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f FIG. 1.
Figure 4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of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a database 150.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 ..., 제n(상기 n은 자연수) 사용자는 제n 사용자 단말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device operated by a u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understood as one or more users, and each of the one or more users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That is, in Figure 1, it is represented as one user terminal 110, but the first user is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is the second user terminal, ..., the nth (where n is a natural number) user is the first user terminal. n may each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의료기관 단말, 보험사 단말, 환자 단말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단말은 병원, 의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운용하는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하게 보험사 단말은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단말 장치로 해석되고 환자 단말은 환자가 운용하는 단말 장치로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onstitute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insurance company terminal, patient terminal, etc. depending on the user's role. . For example,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server operated by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hospital or clinic, and similarly, an insurance company terminal may be interpreted as a terminal device operated by the insurance company, and a patient terminal may be operated by the patient. Of course, it can be interpreted as a terminal device. Mean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of medical record documents.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포함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laptop, or computer that can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variety of devices, including tablet PCs, etc. there is.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를 위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기 위해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can input relevant information to manage personal information of medical record documents provid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and may us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to link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You can install and run it.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LT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erform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LTE, etc.,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

또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독자적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보험사에게 보험금을 청구하거나 또는 의료기관에게 진료기록을 청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독립된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에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can provide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n independent platform. For exampl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a platform to claim insurance money from an insurance company or medical records from a medical institution on behalf of a user, and for this purpose, an independent external system (not shown in FIG. 1) may be used. It can be implemented to operate by being connected to a .

데이터베이스(15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보험금 청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For example,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insurance claims or store user personal inform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can be stored in various forms.

또한,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5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저장장치로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1, the database 150 is shown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logical storage device includ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You can.

도 2는 도 1에 있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a memory 230,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an execut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rocedure of the medical record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can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in the process.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memory used to store all data required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230 can store a set of instructions that are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to execut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input adapter such as, for example,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including a device and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cas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perform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N (Value Added Network). Additionally,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WiFi and Bluetooth o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of 4G or higher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도 3은 도 1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 개인정보 관리부(350),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a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310, a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an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90. may include.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에 접근하여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진료기록이 포함된 진료기록문서를 직접 수집하는 대신 의료기관 단말과 연동하여 의료기관 단말이 보험사 단말에 진료정보를 직접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민감한 정보에 해당하는 개인의 진료정보를 직접 취득하지 않고 연관된 기관 사이에 진료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중개할 수 있다.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may receive a medical record request for the user's insurance claim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e user can acces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request medical records for insurance claims. In this case, instead of directly collecting medical record documents containing medical record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link with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o allow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o directly provide medical inform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can mediate so that the medical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without directly acquiring the individual's medical information, which is sensitive information.

이를 위하여,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진료기록 요청을 위한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용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설치되어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에서 생성된 진료기록 요청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may provide a dedicated interface for requesting medical records, and the dedicated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installed and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10. The medical record request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by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진료기록 요청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문서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생년월일, 주민번호, 생체정보(지문, 홍채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문서식별코드는 진료기록문서를 식별하는 고유 식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식별코드는 진료기록문서에 부여된 차트번호, 바코드, QR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dical record request entered by the user may includ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name, date of birth,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biometric information (fingerprint, iris, etc.), etc.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may correspond to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medical record document. For example,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a chart number, bar code, QR code, etc. assigned to the medical record document.

일 실시예에서,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진료기록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승인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무분별한 진료기록 요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에게 정당한 요청 권한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증 수단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증 수단의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requesting medical records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during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to prevent indiscriminate medical record requests. Here, user authentication may correspond to a procedure to check whether the user has legitimate request authority.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may provide an authentication mean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the authentication means may be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110. At this time, the user can perform authentication by enter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또한,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활용에 관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증과 함께 자신의 개인정보가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사전에 승인할 수 있다.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개인정보만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개인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approval for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during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The user may approve in advance that his/her personal information be us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long with authentication.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310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only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by the user amo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can store and manage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by the user for each user.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는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문서식별코드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차트번호를 기초로 진료기록문서를 저장하고 있는 의료기관 단말에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의료기관 단말은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와 연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의 조회 요청에 따라 문서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된 진료기록문서의 진료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위치를 조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는 의료기관 단말에 의해 제공된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can search the storage lo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For example,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can search the storage loc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at stores the medical record document based on the chart number entered by the user. To this end,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can be implemented to be interoperabl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record document identified by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s stored according to the inquiry request of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The current storage location can be provided as a response to an inquiry request.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can receive and store the storage lo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는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저장위치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저장위치를 승인된 개인정보와 연결할 수 있다. 즉,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는 의료기관 단말에 의해 제공된 저장위치를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승인된 개인정보와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별 진료정보의 접근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receiving a storage loc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may connect the storage location with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can build a database on access information on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linking the storage location provid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by the user during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위치와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암호화한 다음 진료정보의 저장위치와 연결할 수 있다. 즉,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암호화된 개인정보와 저장위치 간의 매칭 테이블을 구축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sto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location. At this tim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encryp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connect it to the storage loc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build a matching table between the encrypted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승인된 개인정보가 아닌 나머지 정보를 영구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승인이 없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사용자에게 승인받지 못한 개인정보는 영구적으로 삭제하여 외부 유출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이름, 생년월일, 주소, 주민번호, 생체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이름과 생년월일에 대한 사용 승인을 수신한 경우,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나머지 주소, 주민번호, 생체정보는 영구 삭제하여 해당 정보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permanently delete the remaining information that is not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freely use or sto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the user's approval,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ermanently delete personal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approved by the user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external leakage. . For example, if approval is received from the user for the use of name, date of birth, addres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amo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provides the remaining addres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biometric information. You can prevent reuse of the information by permanently deleting it.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개인정보와 저장위치를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대신하여 보험사 단말에 요청할 수 있으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에 접근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의료기관 단말이 제공한 저장위치 정보를 보험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험사는 보험사 단말을 통해 수신한 개인정보와 저장위치를 이용하여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직접 해당 사용자의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후 보험금 청구를 위한 심사 및 관련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request insurance payment for the user while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age loc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In other words,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can make a reques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on behalf of the user's insurance claim, and the storage location provided by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as link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insurance claim.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ccordingly, the insurance company can receive the user's medical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age location received through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nd can then process the screening and related procedures for insurance claims.

일 실시예에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개인정보와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하여 보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필요에 따라 개인정보와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저장위치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를 참조하여 청구서 양식에 따라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generate an insurance claim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dditionally,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generate an insurance claim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10, if necessary. Specifically,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can receive medical inform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storage location, and generate an insurance claim according to a claim form by referring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이를 위하여,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보험사 단말별 보험금 청구 템플릿(template)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보험금 청구서의 생성하기 전 단계에서 보험금 청구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험금 청구 템플릿은 보험금 청구서의 문서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보험금 청구 템플릿은 보험금 청구서에 포함되는 진료항목에 관한 정보(진료정보)와, 문서 내에서 진료항목 및 항목값의 표시 위치 및 문서 디자인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can store an insurance claim template for each insurance company terminal and determine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at a stage before generating an insurance claim. Here,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may correspond to the document layout of the insurance claim. In other words,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may be defined to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items included in the insurance claim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reatment items and item values within the document, and document design.

구체적으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선택된 보험금 청구 템플릿에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진료정보를 진료항목 별로 배치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에 의해 생성된 보험금 청구서는 암호화되거나 또는 전자서명이 추가된 후 보험사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generate an insurance claim by arrang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for each treatment item in the selected insurance claim template. The insurance claim generated by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be encrypted or have an electronic signature added thereto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or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보험금 청구서에 대응되는 파일 객체를 생성하여 보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파일 객체는 오픈 시 저장위치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에 접근하여 진료정보를 수집한 다음 개인정보와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서로 실체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보험금 청구서는 파일 형태의 오브젝트(object)인 파일 객체로 구현되어 객체 단위로 보험사 단말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보험사 단말은 해당 파일 객체를 실행하여 오픈(open)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청구서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 객체로부터 실체화된 보험금 청구서는 편집이 불가능하도록 암호화된 문서(encrypted document) 또는 전자서명된 문서(electronically signed document)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create a fil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surance claim and transmit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At this time, the file object can be implement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storage location when opened and then materialized into an insurance claim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insurance claim can be implemented as a file object, which is an object in the form of a file, and provided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on an object basis, and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executes and opens the file object to issue an insurance claim for the user. It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insurance claim materialized from the file object may be implemented as an encrypted document or an electronically signed document so that it cannot be edited.

제어부(390)는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 개인정보 관리부(350) 및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and includes a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310, a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and an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You can manag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of medical record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330)를 통해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문서식별코드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단계 S430).Referring to FIG. 4,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 medical record request for the user's insurance claim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er 310 (step S410).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can search the storage loc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through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30 (step S430).

또한,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개인정보 관리부(350)를 통해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위치와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50).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를 통해 개인정보와 저장위치를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470).Additionall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sto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location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step S450).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request insurance payment for the user while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storage loc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through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step S470).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 장치(130)는 개인정보 관리부(350)를 통해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개인정보를 제외한 복수의 진료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는 개인정보가 비식별화된 진료기록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비식별화 동작은 개인정보를 제3자가 식별하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사용자의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보험금 청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민번호 등의 개인정보는 비식별화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진단내역이나 치료내역 등의 진료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30 may extract a plurality of medical items excluding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thr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Here,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may correspond to a medical record document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de-identified. In other words, a de-identification operation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that processes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it cannot be identified by a third part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extract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insurance claims from the user's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At this time, in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gender, age,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may be de-identified or removed, and only medical information such as diagnosis or treatment details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추출되는 진료항목에는 진료 날짜, 진료 부위, 진료 내용, 치료 내용 및 처방 내용 등의 진료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 포함된 다양한 진료항목들 중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medical treatment items extracted from a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may include medical information such as treatment date, treatment area, treatment details, treatment details, and prescription detail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selectively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medical items included in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의 표준 템플릿을 기초로 표준 진료항목들을 계층화된 메타데이터로 분류하고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의 진료항목들을 메타데이터에 매핑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준 템플릿은 각 병원마다 사용되는 다양한 진료기록문서들을 표준화한 템플릿 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표준 템플릿은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필수적이고 공통된 항목들을 정의하는 표준 진료항목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lassifies standard medical items into hierarchical metadata based on the standard template of the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and maps the medical items of the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to the metadata. . Here, the standard template may correspond to a template document that standardizes various medical record documents used in each hospital. In particular, the standard template may include only standard treatment items that define essential and common items despite their various forms.

또한, 메타데이터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 포함된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 포함되는 다양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원시데이터(Raw data)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구조화 혹은 표준화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 포함된 진료항목들을 표준 진료항목의 메타데이터에 매핑하여 비식별 진료기록문서 별로 다양하게 표현된 항목을 표준화된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metadata is structured data about the data included in de-identified medical records, and raw data is structured or standardized according to certain rules to efficiently manage the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de-identified medical records. It may correspond to one piece of inform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map the medical items included in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to the metadata of standard medical items and classify the items expressed in various ways for each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into standardized information.

예를 들어, 표준 진료항목 중 하나인 “날짜”와 관련하여 A 병원에서 사용하는 진료차트에는 '진료날짜'로 표현된 반면, B 병원에서 사용하는 진료차트에는 '방문날짜'로 표현된 경우,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해당 진료차트들에 표현된 진료항목을 표준 진료항목인 “날짜”에 동일하게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진료기록문서와의 매핑에 사용되는 표준 진료항목들은 계층화된 메타데이터로 사전에 분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relation to “date,” which is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 items, if the medical chart used at hospital A is expressed as ‘treatment date’, while the medical chart used at hospital B is expressed as ‘visit dat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equally map the medical treatment items expressed in the corresponding medical charts to the standard medical treatment item “date.” At this time, standard medical items used for mapping with medical record documents can be classified in advance using stratified metadata.

여기에서, 계층화된 메타데이터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각 항목의 메타데이터를 집합(set), 클래스(class), 도메인(domain) 및 변수(valuable)의 순으로 계층화하여 정의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관리부(350)에 의해 메타데이터와 매핑된 진료항목은 해당 메타데이터의 계층 구조에 따라 다른 진료항목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합으로 계층화된 메타데이터 X에 매핑된 진료항목 a, 클래스로 계층화된 메타데이터 Y에 매핑된 진료항목 b에 있어서, 진료항목 a와 b는 '집합 - 클래스'의 계층 구조에 따라 연결된 결과 'a - b'의 계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Here, stratified metadata is defined by stratifying the metadata of each item in the order of set, class, domain, and variabl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s. It may apply. Accordingly, medical treatment items mapped to metadata b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be linked to other medical treatment item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metadata. For example, in treatment item a mapped to metadata As a result of the connectio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 b' can be formed.

또한, 계층화된 메타데이터는 진료기록문서의 진료항목들과 매핑되어 진료항목을 식별하고 진료항목 간의 계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료항목에 관한 식별 정보와 계층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코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는 특정 길이의 이진화코드(binary code)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stratified metadata can be expressed as a unique code tha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hierarchical information about medical items in order to map them to medical items in medical record documents to identify medical items and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medical items. . For example, metadata may be expressed as a binary code of a specific length,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expressed in various formats.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텍스트 인식을 통해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의 워드(word)들을 추출하고 각 진료항목 별로 워드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서 추출되는 워드(word)는 진료항목에 대응되는 항목값에 해당할 수 있으며, 텍스트 또는 숫자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 “진료날짜” 항목에 '20.01.01'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20.01.01'을 텍스트 또는 숫자로 추출하여 해당 진료항목의 항목값으로 매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extract words from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through text recognition, match the words for each medical treatment item, and store them. Here, words extracted from the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may correspond to item values corresponding to medical treatment items and may be expressed as text or numbers. For example, if '20.01.01' is recorded in the “treatment date” section of the non-identifying medical record docu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extracts '20.01.01' as text or number and enters the corresponding medical treatment item. You can match by value.

또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워드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텍스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인식을 위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식별 진료기록문서가 문서 파일 형태로 저장된 경우,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파서(parser)를 통해 문서 파일에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비식별 진료기록문서가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된 경우,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perform text recognition using various methods to extract words from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selectively apply a method for text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For example, when a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is stored in the form of a document fil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extract text from the document file through a parser. If the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is stored in the form of an image fil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can extract text from the image throug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일 실시예에서,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텍스트 인식에 실패한 경우 비식별 진료기록문서에서 각 진료항목에 매칭되는 항목 영역의 항목 이미지를 추출하고 각 진료항목 별로 항목 이미지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텍스트 인식에 실패한 경우, 텍스트 인식에 실패한 진료항목이 기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항목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항목 영역에 대한 항목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항목 영역은 사각형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항목 이미지는 진료항목이 기록된 위치를 중심으로 정의되는 사각형 영역 내의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부(350)에 의해 추출된 항목 이미지는 이후 단계에서 진료항목에 대응되는 텍스트 대신 보험금 청구서에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ext recognition fails,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extract an item image of an item area that matches each medical treatment item from the de-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match the item image for each medical treatment item, and store it. If text recognition fails from a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set an item area centered on the location where the medical item for which text recognition failed was recorded and extract an item image for the item area. At this time, the item area may be defined 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the item image may correspond to an image within a rectangular area defined around the location where the medical item is recorded. The item image extract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50 may be included in the insurance claim instead of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treatment item at a later stage.

일 실시예에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보험금 청구 템플릿의 메타데이터를 복수의 진료항목들 각각의 메타데이터와 매칭한 후 각 진료항목에 매칭된 워드를 각 템플릿 항목의 항목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추출된 진료항목들은 표준 템플릿의 표준 진료항목들에 매핑된 결과 표준 진료항목들에 관한 메타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해당 매칭 정보를 활용하여 보험금 청구 템플릿 상에 진료항목의 실제 항목값을 배치할 수 있다.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보험금 청구 템플릿 상에 모든 진료항목들이 배치되면 해당 템플릿 정보를 기초로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험금 지급 요청부(370)는 비식별 진료기록문서로부터 텍스트 인식에 실패하여 항목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 보험금 청구 템플릿 상에 진료항목 대신 항목 이미지를 배치하여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tches the metadata of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with the meta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dical treatment items and then determines the word matched to each medical treatment item as the item value of each template item. there is. Medical care items extracted from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s can be linked to metadata about standard medical items as a result of being mapped to standard medical items of a standard template, and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uses the matching information to claim insurance money. Actual item values of medical treatment items can be placed on the claim template. When all medical treatment items are placed on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can generate an insurance claim based on the template information. Additionally, if the item image is extracted from the non-identified medical record document due to text recognition failure,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370 may generate an insurance claim by placing the item image instead of the medical treatment item on the insurance claim templ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개인정보 관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 330: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
350: 개인정보 관리부 370: 보험금 지급 요청부
390: 제어부
100: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330: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350: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370: Insurance payment request department
390: Control unit

Claims (6)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금 청구를 위한 진료기록 요청을 수신하는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문서식별코드를 기초로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진료정보의 저장위치를 조회하는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
상기 진료기록 요청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저장위치와 연관지어 저장하는 개인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저장위치를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을 요청하는 보험금 지급 요청부;를 포함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A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medical record request for the user's insurance claim from the user terminal;
a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search unit that searches the storage lo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document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in association with the storage location; and
An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that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to an insurance company terminal and requests insurance payment for the use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a medical record documen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기록 요청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진료기록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승인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dical record request receiving uni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for requesting the medical record on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approved during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 위치 조회부는
상기 의료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저장위치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저장위치를 상기 승인된 개인정보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dical information location inquiry uni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orage location is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the storage location is linked to the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상기 승인된 개인정보가 아닌 나머지 정보를 영구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information other than the approved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permanently de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금 지급 요청부는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서를 생성하여 상기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unit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 insurance claim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torage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금 지급 요청부는
상기 보험금 청구서에 대응되는 파일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보험사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파일 객체는 오픈 시 상기 저장위치를 기초로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접근하여 상기 진료정보를 수집한 다음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험금 청구서로 실체화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기록문서의 개인정보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nsurance payment request department
Create a fil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surance claim and transmit it to the insurance company terminal,
The file object is a medical record document characterized in that when opened, it is implemented to access the medical institution terminal based on the storage location, collect the medical information, and then materialize the insurance claim inclu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1020220142511A 2022-10-31 2022-10-31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KR202400611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11A KR20240061160A (en) 2022-10-31 2022-10-31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2511A KR20240061160A (en) 2022-10-31 2022-10-31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160A true KR20240061160A (en) 2024-05-08

Family

ID=9107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2511A KR20240061160A (en) 2022-10-31 2022-10-31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16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48A (en)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에임스 System And Method For Inputing Insurance Claim Docu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48A (en)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에임스 System And Method For Inputing Insurance Claim Docu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4798B2 (en) Focused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redaction
US10454932B2 (en) Search engine with privacy protection
US88987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with deidentification and reidentification
US20200043579A1 (en) Diagnositic and treatmetnt tool and method for electronic recording and indexing patient encounters for allowing instant search of patient history
CN101441686B (en) Information abstracting and format conversion system of medical document based on natural language compile
US20130218599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US20090150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toring, displaying, organizing electronic, and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CN101176114A (en) Medical guide system
WO2004081816A1 (en) Secure database access through partial encryption
US20160306999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e-identifying information
US11947706B2 (en) Token-based data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with embeddable markers in unstructured data
JP2015533437A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using de-identification and re-identification
US10726152B1 (en) Computing system that facilitates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healthcare records
Gonçalves-Ferreira et al. OpenEHR and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evaluation of principles and requirements
US11062048B1 (en) Data structure that facilitates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240061160A (e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KR20240061164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nsurance claim document using public data
Al-Fedaghi Software engineering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regulations
KR20150037169A (en)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KR2024006115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identifying medical record documents
KR20240061151A (en) Automatic format processing device for medical record documents
KR20220091926A (en) Apparatus and method unidentifying personal information for providing inter-hospital transfer service for patient
KR1025676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hospital transfer service for patient
US20230197213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lin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Handler Data Sharing Defined—Re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