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089A -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089A
KR20240060089A KR1020220141339A KR20220141339A KR20240060089A KR 20240060089 A KR20240060089 A KR 20240060089A KR 1020220141339 A KR1020220141339 A KR 1020220141339A KR 20220141339 A KR20220141339 A KR 20220141339A KR 20240060089 A KR20240060089 A KR 2024006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ain body
brush
handle
clea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미량
박경서
Original Assignee
장미량
박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량, 박경서 filed Critical 장미량
Priority to KR102022014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089A/en
Publication of KR2024006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08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모 그룹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부를 통해 강도를 보강한 브러쉬부를 구비하여,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발명은 유체를 전달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일단에 결합된 기둥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는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판형상의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세척 돌기부를 포함하는 메인 세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부는 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미세모 그룹인 내측 미세모와, 상기 내측 미세모의 외측을 감싸며, 강도가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더 강한 외측 보강부로 이루어진 미세모 그룹이 다수개 구비한 다용도 세척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has a brush part whose strength is reinforced through an outer reinforcement part surrounding the outside of a fine bristle group, and which can improve cleaning power.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se that transmits fluid, a column-shaped handl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and a cleaning member mounted on the handle, wherein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brus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main body. The brush part includes a main clea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brush par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a cleaning protrusion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brush part is focused in a pillar shape. Disclosed is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ne bristle groups consisting of inner fine bristles, which are a group of fine bristles, and an outer reinforcement portion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inner fine bristles and has stronger strength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Description

다용도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용도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최근 들어, 인구의 고령화와 저출산, 1인 가족의 증가 추세에 따라, 외로움을 쉽게 느끼는 인간의 정서적인 불안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에 대한 개념도 가족의 일원으로서 "반려동물"로 인식되어 사람과의 밀착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low birth rate, and increase in single-person families, the number of families raising pe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o relieve the emotional anxiety of humans who easily feel lonely. In addition, the concept of pets is also recognized as a “companion animal” as a member of the family, and the bond with people is becoming stronger.

이러한 애완동물의 신체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종래 사람이 사용하는 샤워기와는 별도로 애완동물이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 세정장치가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애완동물용 샤워기는 사람의 신체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샤워기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동일한 욕실에서 애완동물의 신체를 세정하기 위해 샤워기 헤드를 갈아끼우거나, 별도로 분배기 등 별도의 전환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경제적 부담이 커지며, 애견 목욕을 위해서 사람용 샤워기에 애견용 샤워기 헤드를 교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clean the pet's body, a pet clean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pets is manufactured and sold separately from the shower device used by people. However, these pet shower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howers used to clean the human body, so in order to clean the pet's body in the same bathroom, the shower head must be replaced or a separate conversion device such as a distributor must be installed. Therefore,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the economic burden increases,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lace the dog shower head with the human shower to bathe the dog.

한편, 애견의 피부층은 3~5층으로 이루어져, 15층 내외로 이루어진 사람의 피부보다 1/3 정도 얇아 작은 자극에도 쉽게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애견을 목욕시킬 때, 사람이 손이나 강모브러시 등으로 문지르는 경우, 피부에 스크래치나 상처를 입힐 우려가 발생되었다. 또한, 애견의 신체구조상 발바닥, 안면부, 항문 및 생식기 주위 등은 더 민감하고, 많은 주름이 있어서 손가락이나 세척돌기로는 주름 내부까지 세밀하게 세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Meanwhile, a dog's skin layer consists of 3 to 5 layers, which is about 1/3 thinner than human skin, which has about 15 layers, so it can be easily injured by even minor irritation. For this reason, when bathing a pet dog, if a person rubs it with a hand or a bristle brush, there is a risk of scratching or injuring the skin. In addition, due to the body structure of a dog, the soles of the feet, the face, the anus, and the area around the genitals are more sensitive and have many wrinkles, making it difficult to thoroughly clean the inside of the wrinkles with fingers or cleaning protrusions.

또한 애견샴푸는 대인용 샴푸에 비해서 세정성분이 억제되어, 거품발생이 적고 가격도 높은 편이다. 따라서 견주의 손바닥에 샴푸를 발라 애견의 피모에 문지르는 경우, 거품발생이 적어 몸집이 크고 장모인 애견은 샴푸를 자주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목욕시간이 길어지고, 비싼 애견샴푸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og shampoo has fewer cleaning ingredients compared to adult shampoo, so it produces less foam and is more expensive. Therefore, when shampoo is applied to the owner's palm and rubbed into the dog's fur, the foam is low, so large and long-haired dogs have the hassle of having to apply the shampoo frequently, which increases bathing time and wastes expensive dog shampoo. there was.

또한, 촘촘한 피모 속에 숨은 비누거품을 깨끗이 씻어내지 않으면 연약한 피부에 피부병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장모를 가진 애견의 경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견주나 애완동물 모두가 목욕에 있어 지치고 힘들어 하는 실정이었다.In addition, if the soap bubbles hidden in the dense coat are not thoroughly washed away, it can cause skin diseases on the delicate skin. In the case of long-haired dogs,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making bathing both owners and pets tired and difficult. .

일반적으로 애견의 털은 길이에 따라 단일모와 이중모로 구분되고, 털의 굵기에 따라 장모종 및 단모종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장모종은 털이 거칠고 뻣뻣한 강모종과, 털이 곱슬곱슬한 권모종으로 나뉜다. 이와같은 다양한 견종에 따라 피모에 적합한 세척수단을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술들은 단순 형태의 브러쉬만을 제시하는 한계점이 있었다.In general, dog fur is divided into single and double fur depending on the length, and long-haired and short-haired typ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ur. Here, long-haired breeds are divided into bristle-haired breeds, which have coarse and stiff hair, and cirrus-haired breeds, which have curly hair. Althoug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leaning method suitable for the coat of various dog breeds, existing technologies have the limitation of providing only simple brushes.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의 피모를 세정함에 있어서 거품이 가장 풍부하게 발생하는 소재는 다공질 스펀지류이지만 이는 피모의 외측으로 풍부한 거품만을 발생시킬 뿐 피모의 내측으로는 거품이 침투하지 못하여 세정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브러쉬의 모의 직경이 가는 미세모일수록, 거품이 풍부하게 발생하고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약한 애완동물의 피부에 적합하고, 기타 사타구니, 생식기, 발가락 사이, 안면부 눈물자국 등 특히 연약한 부위의 세정에 적합하며, 애견의 피모 깊숙히 작용하여 모속 속까지 깔끔하게 세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미세모는 강도(강직도)가 약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촘촘하게 집속하는 경우 통기성이 떨어져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으며, 모의 직경이 가늘수록 강도(강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general, when cleaning a pet's fur, the materials that generate the most foam are porous sponges, but this only generates abundant foam on the outside of the fur, and the foam does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fur, which reduces the cleaning effect. there was. On the other hand, the finer the bristles of the brush, the more foam can be generated and maintained, making it suitable for the delicate skin of pets, and for cleaning especially delicate areas such as the groin, genitals, between the toes, and tear stains on the face. , it works deeply into your dog's coat and cleanses even the inside of the hair. However, the strength (stiffness) of these fine bristles is weak, and if they are tightly packed to reinforce them, the breathability is reduced and mold or bacteria can grow, and the thinner the diameter of the bristles, the lower the strength (stiffness).

또한, 애견을 목욕 시킨 후에는, 목욕과정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피부에 붙어있는 죽은 털들이 빠지고 날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after bathing your dog,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the dead hair attached to the skin falling out and blowing away, which cannot be removed during the bathing proces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5275호(2005.01.28) 및 미국 공개공보2002-0078902(2002.06.27)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5275 (January 28, 2005) and US Publication No. 2002-0078902 (June 27, 2002).

본 발명은 미세모 그룹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부를 통해 강도를 보강한 브러쉬부를 구비하여, 강도 보강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세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has a brush part whose strength is reinforced through an external reinforcement part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ne bristle group, and can enhance strength and improve cleaning power.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라 세척 돌기부를 장착하여 이용하거나, 분리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can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attached or separa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et.

또한, 본 발명은 반커플러를 적용하여, 다양한 세정 수단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다용도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various cleaning means by applying a half coup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는 유체를 전달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일단에 결합된 기둥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는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판형상의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세척 돌기부를 포함하는 메인 세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부는 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미세모 그룹인 내측 미세모와, 상기 내측 미세모의 외측을 감싸며, 강도가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더 강한 외측 보강부로 이루어진 미세모 그룹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se that transmits fluid, a column-shaped handl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and a cleaning member mounted on the handle, and the cleaning member is a plate-shaped main body part. A brush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the brush portion including a main clea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brush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cleaning protrusion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brush portion A plurality of fine bristle groups may be provided, consisting of inner fine bristles, which are a group of fine bristles concentrated in a column shape, and an outer reinforcement portion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inner fine bristles and has stronger strength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상기 외측 보강부는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직경이 더 두꺼운 브러쉬모, 탄성 부재, 실리콘, 플라스틱, 면 또는 다공질 스펀지일 수 있다.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may be brush bristles, an elastic member, silicone, plastic, cotton, or a porous sponge with a thicker diameter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상기 내측 미세모는 직경 0.02mm 내지 0.7mm의 미세모일 수 있다. The inner fine hairs may be fine hairs with a diameter of 0.02 mm to 0.7 mm.

상기 외측 보강부는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그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The outer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shorter in length than the inner fine hair.

상기 호스와 상기 손잡이 사이는 원터치 커플러에 의해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The hose and the handle may be attached and detached using a one-touch coupler.

상기 손잡이와 상기 메인 세척 부재 사이는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The handle and the main cleaning member may be mounted or separated by screw connection.

상기 세척 부재는 본체부의 외경이 25mm이하이고, 미세모가 일면에 집속된 서브 세척 부재를 다수개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세척 부재는 상기 메인 세척 부재가 상기 손잡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The cleaning member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of 25 mm or less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cleaning members with fine bristles concentrated on one surface, and the sub-cleaning member is screwed to the handle while the main clean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It may be possible to mount or detach by combining.

상기 세척 돌기부는 대략 링 형상의 플레이트상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The clean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substantially ring-shaped plate and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는 외측에 구비된 분사 조절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사 조절 스위치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상기 브러쉬부의 중심 또는 전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유체를 분사 가능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pray control switch provided on the outside, and the spray control switch can enable the fluid to be sprayed by selecting either the center or the entire brush part mounted on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는 미세모 그룹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 보강부를 통해 강도를 보강한 브러쉬부를 구비하여, 강도 보강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ush part whose strength is reinforced through an outer reinforcement part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ne bristle group, so that strength can be strengthened and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라 세척 돌기부를 장착하여 이용하거나, 분리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attached or separa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e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는 커플러를 적용하여, 다양한 세정 수단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upler, so that various cleaning means can be easily replac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을 도시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에서 세척 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척 부재에서 제1 및 제2 브러쉬부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c는 세척 부재에서 세척 돌기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에서 세척 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에서 세척 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에서 세척 부재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에서 커플러를 통해 손잡이를 호스에서 분리 후, 다른 세척 수단의 결합 가능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from various angles showing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ember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s 1A and 1B.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rush parts in the cleaning member of Figure 2.
FIGS. 4A and 4C are enlarged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cleaning protrusions in a cleaning member.
FIGS.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leaning member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S. 1A and 1B.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leaning member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s 1A and 1B.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leaning member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s 1A and 1B.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other cleaning means can be combined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shown in Figures 1A and 1B after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hose through a coupler.
Figure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a and 9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symbo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nect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not only to the case where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o the case where member C is interposed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to indirectly connect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dditionally, when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obvious that this cannot be done.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used to refer to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a drawing. It is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hese space-related term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states or usage stat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drawing is flipp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ottom” or “below” becomes “top” or “above.” Therefore, “below” is a concept encompassing “top” or “below.”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을 도시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a는 다용도 세척장치(100)에서 손잡이(110)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다용도 세척장치(100)에서 손잡이(110)의 연결부(112)의 후측을 기준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from various angles showing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handle 110 in the multi-purpose washing device 100, and Figure 1b is a rear view of the connection part 112 of the handle 110 in the multi-purpose washing device 100.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n as a standard.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손잡이(110), 세척 부재(120) 및 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may include a handle 110, a cleaning member 120, and a hose 130.

상기 손잡이(11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10)는 원기둥, 다각 기둥 또는 이의 혼합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기둥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손잡이(110)의 하측 단부에 제1연결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같은 제1연결부(111)는 호스(130)의 연결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손잡이(110)의 제1연결부(111)와 호스(130)의 연결부(131)사이의 결합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handle 110 may have a pillar shape extending to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handle 110 may have the shape of a cylinder, a polygonal column, or a mixture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lumn shape. Additionally,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1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10. This first connection part 111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131 of the hose 130.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of the handle 110 and the connection part 131 of the hos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손잡이(110)는 상하 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측면으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제2연결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10)의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12)는 손잡이(110) 내부의 유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연결부(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연결부(11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0)는 제1연결부(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연결부(112)를 통해 배출되는 흐름을 온오프 방식으로 차단하거나, 아날로그 형태로 유체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113)는 손잡이(110)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제2연결부(112)와 대칭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조절부(113)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절부(113)에 의해서 샤워기로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 목욕시 발생되는 다양한 변수의 상황에서 빠른 시간내에 물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The handle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12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handle 110 may be connected through a flow path inside the handle 110, and the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 can be discharged. The handle 110 blocks the flow of fluid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nd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in an on/off manner, or has a control unit 113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fluid flow in an analog form. ) may further be included. Here, the adjuster 113 may be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ral axis of the handle 110, but the position of the adjuster 113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water sprayed into the shower can be adjusted or turned off by the control unit 113, it is possible to quick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 various variable situations that occur when bathing a pet.

세척 부재(120)는 대략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일면에 구비된 브러쉬부(123)와, 본체부(121)의 타면에 구비된 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2)는 본체부(121)의 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같은 연결부(122)는 손잡이(110)의 제2연결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손잡이(110)의 제2연결부(112)의 내측에는 수 나사산(112a)이 구비되고, 세척 부재(120)의 연결부(122)의 내측에는 암 나사산(122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척 부재(120)의 연결부(122)가 손잡이(110)의 제2연결부(112)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 부재(120)와 손잡이(110)의 연결 구성은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으며, 나사산 결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세척 부재(120)의 연결부(122)와 손잡이(110)의 제2연결부(112)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본체부(121)의 일면에 구비된 홀(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The cleaning member 120 includes a body portion 121 having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 brush portion 12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21, and a connection portion 12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21. It can be included. Here,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protrude approximately verticall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21. This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2 of the handle 110. For example, a male screw thread 112a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handle 110, and a female screw thread 122a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122 of the cleaning member 120.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122 of the cleaning member 120 may be rotation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2 of the handle 110. Here,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handle 11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o enable mounting or detachment, and is not limited to threaded connection. Of course, an O-ring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22 of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of the handle 110, so that leakage of fluid can be prevented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can also be provided. . Additionally,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be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21.

즉, 본체부(121)의 일면에는 다수의 홀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홀과 평면상 중첩되지 않도록 브러쉬부(123)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브러쉬부(123)는 본체부(121)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브러쉬부(123a), 제1브러쉬부(123a)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브러쉬부(123b) 및 제2브러쉬부(123b)의 외측에 위치하는 세척 돌기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21)의 브러쉬부(123)의 구성을 도시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쉬부(123)에서 제1브러쉬부(123a) 및 제2브러쉬부(123b)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세척 돌기부(123c)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브러쉬부(123)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That is,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rush portion 123 is provided so as not to overlap the plurality of holes in a plane. This brush unit 123 includes a first brush unit 123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21, a second brush unit 123b located outside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a second brush unit. It may include a cleaning protrusion 123c located outside of (123b). Here, referring to FIG. 2, a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ush portion 123 of the main body 121 is shown. Also, referring to Figure 3,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rush part 123a and the second brush part 123b in the brush part 123 is shown, and referring to Figures 4a to 4d, the cleaning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123c is show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rush unit 1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A to 4D.

우선 제1브러쉬부(123a)는 직경 0.02mm 내지 0.7mm의 미세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제1브러쉬부(123a)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미세모 그룹이 다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부(121)의 일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러쉬부(123a)는 평면상 대략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원형, 다각형, 둥근 다각형, 일자형등으로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러쉬부(123a)는 대략20mm 내지 3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First, the first brush part 123a may be made of fine bristles with a diameter of 0.02 mm to 0.7 mm. This first brush unit 123a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ups of fine bristles concentrat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21. The first brush portion 123a is shown as approximately circular in plan, but may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such as oval, polygon, round polygon, or straight. The first brush part 123a may have a length of approximately 20 mm to 30 mm.

또한 제2브러쉬부(123b)는 직경 0.02mm 내지 0.7mm의 미세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브러쉬부(123b)의 직경은 제1브러쉬부(123a)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제2브러쉬부(123b)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미세모 그룹을 다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부(121)의 일면에서, 제1브러쉬부(123a)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브러쉬부(123b)는 제1브러쉬부(123a)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브러쉬부(123b)는 대략20mm 내지 3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브러쉬부(123b)는 제1브러쉬부(123a)의 길이와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brush unit 123b may be made of fine bristles with a diameter of 0.02 mm to 0.7 mm. Here, the diameter of the second brush unit 123b is preferably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rush unit 123a. This second brush unit 123b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e bristle groups concentrat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outside the first brush unit 123a. That is, the second brush unit 123b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brush unit 123a. Additionally, the second brush portion 123b may have a length of approximately 20 mm to 30 mm. Here, the second brush part 123b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brush part 123a.

추가적으로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브러쉬부(123)는 제2브러쉬부(123b)없이, 제1브러쉬부(123a)와 세척 돌기부(123c)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제1브러쉬부(123a)는 세척 돌기부(123c)의 내측을 모두 체울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the second brush unit 123b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brush unit 123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without the second brush unit 123b. Of course, at this time, the first brush portion 123a can fill the entire inside of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또한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는 각각의 미세모 그룹의 강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보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모 그룹이 미세모로 이루어진 내측 미세모(a1)와, 내측 미세모(a1)를 감싸는 1열 또는 2열의 외측 보강부(a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내측 미세모(a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외측 보강부(a2)는 내측 미세모(a1)에 비해서 강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일예로 외측 보강부(a2)는 내측 미세모(a1)에 비해서 직경이 더 두꺼운 브러쉬모, 탄성 부재, 실리콘, 플라스틱, 면, 다공질 스펀지 또는 이의 등가물질증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외측 보강부(a2)는 내측 미세모(a1)에 비해서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the second brush unit 123b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reinforcement means to improve the rigidity of each fine bristle group.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the second brush unit 123b have inner fine bristles (a1) composed of fine bristles in a group of fine bristles, and one row surrounding the inner fine bristles (a1).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two rows of outer reinforcement portions (a2). Of course, the inner fine hairs (a1) may be concentrated in a roughly cylindrical shape. Additionally, the outer reinforcement portion (a2)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strength than the inner fine hair (a1). For example, the outer reinforcement portion (a2)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brush bristles with a thicker diameter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a1), an elastic member, silicone, plastic, cotton, porous sponge, or an equivalent material thereof. This outer reinforcement portion (a2) may be shorter in length than the inner fine hair (a1).

상기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는 외측 보강부(a2)와 내측 미세모(a1)로 이루어진 미세모 그룹을 다수개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rush unit 123a and the second brush unit 123b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e bristle groups consisting of an outer reinforcing part (a2) and an inner fine bristle (a1).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본체부(121)의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121)의 일면에서 제2브러쉬부(123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일자로 배치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일면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만 지그 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이와같은 세척 돌기부(123c)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돌기부(123c)는 마찰에 의해 부드러운 마사지 및 세척 효과를 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That is,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cond brush portion 123b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21.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s 123c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r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in a zigzag shape.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The arrangement of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can provide a soft massage and cleaning effect through friction.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에 비해서 길이가 더 길거나 짧을 수 있다.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다수의 브러쉬모, 탄성부재, 실리콘, 플라스틱, 면, 다공질 스펀지류 또는 이의 등가물질증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유닛(b1)을 포함하고, 돌기 유닛(b1)의 외측을 감싸는 외측 브러쉬부(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브러쉬부(b2)의 길이는 돌기 유닛(b1)에 비해서 더 짧을 수 있다. 또한 세척 돌기부(123c)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 유닛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같은 세척 돌기부(123c)는 본체부(121)의 일면에서, 제2브러쉬부(123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브러쉬부(b2)는 직경이 0.5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세척 돌기부(123c)는 돌기 유닛(b1)을 구비하여,외측 브러쉬부(b2)와 피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first brush part 123a and the second brush part 123b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brush bristles, an elastic member, silicone, plastic, cotton, porous sponge, or an equivalent material thereof.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unit b1 and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brush portion b2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unit b1. Here, the length of the outer brush portion b2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unit b1. Additionally,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formed solely of a protrusion unit as shown in FIG. 4C. Such a cleaning protrusion 123c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1, outside the second brush portion 123b. Here, the outer brush part (b2) may have a diameter of 0.5 to 1.5 mm.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unit b1 to prevent damag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outer brush part b2 and the skin, and to effectively remove dead hair.

이와같은 다수의 세척 돌기부(123c)는 하나의 링 형상의 프레임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부(121)에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즉, 세척 부재(120)는 세척 돌기부(123c)가 분리된 상태로 이용가능하거나, 장착된 상태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세척 부재(120)에서 다소 강도가 높은 세척 돌기부(123c)를 착탈 가능하므로, 예민한 반려동물의 목욕 회피 또는 산책 후에 발 세정이 필요한 경우 세척 돌기부(123c)를 분리한 상태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Such a plurality of cleaning protrusions 123c may be fixed on a single ring-shaped fram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21. That is, the cleaning member 120 may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separated or may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installed. For example, the somewhat stronger cleaning protrusion 123c is detachable from the cleaning member 120, so if a sensitive pet avoids bathing or needs to wash its feet after a walk, it can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removed. You can.

추가적으로 본체부(121)는 외측에 분사 조절 스위치(12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 조절 스위치의 조절에 의해 본체부(121)의 중심 또는 전체에서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조절 스위치(124)의 조절에 의해 본체부(221)의 일면 중심으로만 유체가 분사되거나, 전체 방사형태로 분사될 수 도 있다. 상기 본체부(121)는 일면에 전체에 유체를 분사 가능하도록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ain body 121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spray control switch 124 on the outside, and fluid can be sprayed from the center or the entire body of the main body 121 by adjusting the spray control switch. Here, by adjusting the injection control switch 124, the fluid may be sprayed only to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221, or may be sprayed in an entire radial form. The main body portion 1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n one side to allow fluid to be sprayed throughout.

추가적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세척 부재(220, 32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examples showing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cleaning members 220 and 320 are show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부재(220)는 본체부(221), 연결부(미도시) 및 브러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미도시) 및 브러쉬부(123)는 도 1a, 도 2,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세척 부재(120)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척 부재(120)와 상이한 세척 부재(220)의 본체부(221)를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As shown in FIG. 5A, the cleaning member 220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221, a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and a brush portion 123. Here, the connection part (not shown) and the brush part 123 may be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 120 shown in FIGS. 1A, 2, 3, and 4A to 4D. Hereinafter, the main body portion 221 of the cleaning member 22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lean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부(221)는 가장자리 영역에 비해서 중심부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1)는 중심부의 폭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더 작을 수 있다. 즉, 본체부(121)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중심부에 비해서 폭이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1)는 상하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같은 본체부(121)는 평판형의 본체부(121)에 비해서, 사용자의 손에 그립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브러쉬부(123)의 세척 돌기부(123c)는 본체부(221)의 일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main body portion 221 may have a concave center area compared to the edge area.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1 may be small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21 may be wider than the central portion. Additionally, the main body 121 may have a shape in which both sides correspond to each other around a centr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type of main body 121 can improve the grip feeling in the user's hand compared to the flat main body 121. At this time,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of the brush portion 123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area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21.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부재(320)는 본체부(221), 연결부(미도시) 및 브러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미도시)는 도 1a에 도시된 세척 부재(12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21)는 도 5a에 도시된 세척 부재(220)의 본체부(221)와 동일할 수 있다. 물론 본체부(221)는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세척 부재(120)의 본체부(121)의 구성과 동일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세척 부재(120) 및 세척 부재(220)와 상이한 브러쉬부(323)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As shown in FIG. 5B, the cleaning member 320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221, a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and a brush portion 323. Here, the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 120 shown in FIG. 1A. Additionally, the main body 221 may be the same as the main body 221 of the cleaning member 220 shown in FIG. 5A. Of course, the main body 22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ain body 121 of the cleaning member 120 shown in FIGS. 1A and 2.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mber 120 and the brush unit 323 that is different from the cleaning member 220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브러쉬부(323)는 본체부(2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세척 돌기부(123c)와, 세척 돌기부(123c)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제1브러쉬부(323a)와 세척 돌기부(123c)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브러쉬부(323a)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브러쉬부(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브러쉬부(323a)는 상하방향을 따라 1열 또는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브러쉬부(323b)는 제1브러쉬부(323a)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brush unit 323 includes a cleaning protrusion 123c located at the edge of the main body 221, a first brush unit 323a located inside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and disposed along the centr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located inside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and may include a second brush part 323b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rush part 323a. That is, the first brush parts 323a may be arranged in one or two row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dditionally, the second brush unit 323b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the first brush unit 323a as the center.

도 6을 참조하면, 세척 부재(42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부재(420)는 본체부(421), 연결부(미도시) 및 브러쉬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미도시)는 도 1a에 도시된 세척 부재(120)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척 부재(120)와 상이한 세척 부재(420)의 본체부(421) 및 브러쉬부(423)를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member 420 is shown. As shown in FIG. 6, the cleaning member 420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421, a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and a brush portion 423. Here, the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 120 shown in FIG. 1A. Hereinafter, the main body portion 421 and the brush portion 423 of the cleaning member 420,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lean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상기 세척 부재(420)는 본체부(421)의 외경이 25mm크기 이하일 수 있다. 물론 본체부(221)의 일면에는 브러쉬부(423)가 배치될 있다. 물론 본체부(421)는 일면에 유체가 분사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 부재(420)는 반려동물의 눈물자국, 발가락 또는 치아등을 닦기 위한 용도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척 부재(420)가 다수개일 경우, 용도별 구별이 용이하도록 브러쉬부(423) 또는 본체부(421)의 색상이 다양할 수 있다. 이와같은 세척 부재(420)는 브러쉬부(423)가 직경 0.02mm 내지 0.7mm의 미세모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 도시된 브러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421 of the cleaning member 420 may be 25 mm or less. Of course, the brush portion 42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21. Of course, the main body 421 may be provided with a number of holes on one side through which fluid can be sprayed. A plurality of such cleaning members 420 may be provided to clean tear stains, toes, or teeth of a companion animal. Additionally, when there are multiple cleaning members 420, the colors of the brush portion 423 or the main body portion 421 may vary to facilitate differentiation by purpose. The brush portion 423 of this cleaning member 420 may be made of fine bristles with a diameter of 0.02 mm to 0.7 mm, or may be made of a brush structure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세척 부재가 다수의 세척 부재(120,220,320,42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세척 부재(120,220,320,420)는 연결부(122)를 통해 손잡이(11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 가능할 수 도 있다. 예를들어,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메인 세척 부재인 세척 부재(120,220,320)중 어느 하나와, 서브 세척 부재(420)를 여러개 교체하여 사용가능할 수 도 있다. 즉, 다용도 세척장치(100)에 사용될 수 있는 세척 부재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120, 220, 320, and 420, and the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120, 220, 320, and 420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handle 11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22. It may be possible. For example,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may be used by replacing any one of the main cleaning members 120, 220, and 320 and several sub-cleaning members 420. That is, the number of cleaning members that can be used i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상기 손잡이(110)의 하측 단부에 제1연결부(111)와, 호스(130)의 연결부(131)는 하나의 커플러 체결 수단일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는 공기나 액체 등을 이송하는 유로와 유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하는 공지의 커플러로 구성된다. 좀더 바람직하게 커플러는 원터치 체결 및 분리되는 커플러일 수 있다. 예를들어, 호스(130)에 구비된 연결부(131)는 암 커플러 일 수 있고, 손잡이(110)의 제1연결부(111)는 수 커플러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스(130)에 구비된 연결부(131)가 암커플러일 경우를 설명하고자 한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10 and the connection part 131 of the hose 130 may be one coupler fastening means. Here, the coupler consists of a flow path that transports air or liquid, and a known coupler that easily connects the flow path with a one-touch method. More preferably, the coupler may be a coupler that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with one touch.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31 provided on the hose 130 may be a female coupler,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1 of the handle 110 may be a male coupler. Of course, the opposite may also be possible.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part 131 provided in the hose 130 is a female coupler will be described.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30)의 연결부(131)에 다른 세척 장치(10,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른 세척 장치(10,20)에는 각각 수 커플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같은 다른 세척 장치(10, 20)는 커플러로 인해 손쉽게 다용도 세척장치(100)의 호스(130)에 구비된 연결부(131)에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세척 장치(10,20)는 예를 들면, 견주의 샤워기, 청소용 분사 장치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용도상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와같은 커플러로 이루어진 호스(130)의 연결부(131)로 인해, 다양한 세척 장치(10, 20)와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other cleaning devices 10 and 20 at the connection portion 131 of the hose 130, as shown in FIG. 7, and the other cleaning devices 10 and 20 each have A male coupler may be provided. These other cleaning devices 10 and 20 can be easily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31 provided on the hose 130 of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due to the coupler. Other cleaning devices 10 and 20 may be, for example, a dog shower, a cleaning spray device, etc.,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Due to the connection portion 131 of the hose 130 made of such a coupler,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various cleaning devices 10 and 20.

이와같은 다용도 세척장치(100)은 세척 부재(120)에 미세모로 이루어진 제1브러쉬부(123a) 및 제2브러쉬부(123b)에 의해 거품 및 세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미세모의 강직도를 보강하는 세척 돌기부(123c)로 인해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잔여 거품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세척 돌기부(123c)로 인해 반려동물의 표피상에 잔존하는 죽은 털들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This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can facilitate foaming and cleaning by using the first brush part 123a and the second brush part 123b made of fine bristles on the cleaning member 120, and reinforces the stiffness of the fine bristles. Due to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and residual foam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can also remove dead hair remaining on the pet's epidermis due to the cleaning protrusion 123c.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미세모로 이루어진 제1브러쉬부(123a)와 제2브러쉬부(123b)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외측 보강부(a2)를 더 구비하여, 세정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uter reinforcement part (a2)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first brush part 123a and the second brush part 123b made of fine bristles, so that the cleaning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 is.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라 세척 돌기부를 장착하여 이용하거나, 분리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세척장치(100)는 커플러를 적용하여, 다양한 세정 수단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can be used with the cleaning protrusion attached or separa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et. Additionally,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uses a coupler, making it easy to replace various cleaning means.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브러쉬부가 집속되기 이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efore the brush unit is focused in Figure 8a.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500)는 손잡이(510), 세척 부재(520) 및 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13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500 shown in FIGS. 8A and 8B may include a handle 510, a cleaning member 520, and a hose 130. Here, the hose 130 may be the same as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A and 1B.

상기 손잡이(51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손잡이(110)와 그 구조 및 동작이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제2연결부(미도시)가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andle 510 may be similar in structure and operation to the handle 110 shown in FIGS. 1A and 1B, except tha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may be located at the upper end.

또한 세척 부재(52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세척 부재(120)와 그 구조가 유사할 수 있으며, 연결부(522)가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다용도 세척장치(500)는 손잡이(510)와 세척 부재(520)의 연결 관계를 제외하고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세척 부재(520)는 손잡이(5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세척 부재(520)는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홀(520a)이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세척 부재(520)는 홀(520a)이 브러쉬부(123)에 의해서 막히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홀(520a)의 배치 형상은 일예로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dditionally, the cleaning member 520 may have a similar structure to the cleaning member 120 shown in FIGS. 1A and 1B, and the connection portion 522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That is,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500 may be the same as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A and 1B except fo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510 and the cleaning member 520. That is, the cleaning member 5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dle 510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approximat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dditionally, the cleaning member 5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520a on one surface for spraying fluid. Of course, the cleaning member 5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hole 520a is not blocked by the brush portion 123, and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hole 520a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척장치(6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세척 부재(120)이 결합되기 이전의 다용도 세척장치(6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9a에서 손잡이(610)이 연장된 구성을 도시한 다용도 세척장치(600)의 사시도이다.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6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600 before the cleaning member 120 in FIG. 9A is coupled. , FIG. 9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600 show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andle 610 is extended in FIG. 9A.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600)는 손잡이(610), 세척 부재(120) 및 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 부재(120) 및 호스(13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다용도 세척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세척 부재(1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세척 부재(220,320)와 동일할 수도 있다.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600 shown in FIGS. 9A to 9C may include a handle 610, a cleaning member 120, and a hose 130. Here, the cleaning member 120 and hose 130 may be the same as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A and 1B. Of course, the cleaning member 120 may be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s 220 and 320 shown in FIGS. 5A and 5B.

상기 손잡이(6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610)는 길이 조절 스위치(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같은 길이 조절 스위치(615)에 의해 손잡이(610)는 내측에 연장부(610a)가 슬라이드 형태로 연장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손잡이(610)의 내측 및 연장부(610a)의 외측에는 각각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610)의 내측의 스토퍼와 연장부(610a)의 외측에 스토퍼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장부(610a)는 고정될 수 있다. 이와같은 연장부(610a)는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안테나 형태로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되어 연장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handle 610 may be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handle 610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ment switch 615. By using this length adjustment switch 615, the extension portion 610a on the inside of the handle 610 can be extended and fixed in a slide shape. That is, stoppers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610 and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610a, respectively, and the extension portion (610a) is formed by coupling between the stopper inside the handle 610 and the stopper on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610a 610a) can be fixed. Although this extension part 610a is shown as one, it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nd may be sequentially slid and extended in the form of an antenna.

이와같은 손잡이(610)의 연장으로 인해, 대형견, 경주마, 조랑말등 몸집이 큰 동물들이나,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광고탑, 수족관, 태양광 패널, 버스등dml 세척에도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0)는 연장부(610a)가 손잡이(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그 길이가 연장되었을 때보다 감소되므로 소형견, 또는 몸집이 작은 동물들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Due to the extension of the handle 610, it can be used to clean large animals such as large dogs, racehorses, and ponies, as well as advertising towers, aquariums, solar panels, and buses that are out of reach of the user. Additionally, when the extension portion 610a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andle 110, the handle 110 has a length that is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handle 110 is extended, so it can be used by small dogs or small animal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세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i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500, 600: 다용도 세척장치
110, 610: 손잡이
120, 220, 320, 420, 520, 620: 세척 부재
130: 호스
100, 500, 600: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110, 610: handle
120, 220, 320, 420, 520, 620: No cleaning
130: hose

Claims (9)

유체를 전달하는 호스;
상기 호스의 일단에 결합된 기둥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는 세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부재는 판형상의 본체부의 일면에 구비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브러쉬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세척 돌기부를 포함하는 메인 세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부는 기둥 형상으로 집속된 미세모 그룹인 내측 미세모와, 상기 내측 미세모의 외측을 감싸며, 강도가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더 강한 외측 보강부로 이루어진 미세모 그룹이 다수개 구비된 다용도 세척장치.
A hose that delivers fluid;
A column-shaped handl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and
It includes a cleaning member mounted on the handle,
The cleaning member includes a brush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The brush portion includes a main cleaning member including a first brush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cleaning protrusion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brush unit is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ne bristle groups consisting of inner fine bristles, which are a group of fine bristles concentrated in a column shape, and an outer reinforcing part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inner fine bristles and has stronger strength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부는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직경이 더 두꺼운 브러쉬모, 탄성 부재, 실리콘, 플라스틱, 면 또는 다공질 스펀지인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reinforcing part is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made of brush bristles, an elastic member, silicone, plastic, cotton or a porous sponge with a thicker diameter than the inner fine brist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미세모는 직경 0.02mm 내지 0.7mm의 미세모인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fine bristles are multi-purpose cleaning devices having fine bristles with a diameter of 0.02mm to 0.7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부는 상기 내측 미세모에 비해서 그 길이가 더 짧은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reinforcement portion is a multi-purpose washing device whose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the inner fine brist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와 상기 손잡이 사이는 원터치 커플러에 의해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and separated between the hose and the handle with a one-touch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메인 세척 부재 사이는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r separat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main cleaning member by screw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는
본체부의 외경이 25mm이하이고, 미세모가 일면에 집속된 서브 세척 부재를 다수개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세척 부재는 상기 메인 세척 부재가 상기 손잡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leaning member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is 25 mm or less,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cleaning members with fine bristles concentrated on one surface,
The sub-cleaning member is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that can be mounted or detached by screwing to the handle while the main clean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돌기부는 대략 링 형상의 플레이트상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substantially ring-shaped plate, and is capable of being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측에 구비된 분사 조절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사 조절 스위치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상기 브러쉬부의 중심 또는 전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유체를 분사 가능한 다용도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pray control switch provided on the outside,
A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capable of spraying fluid by selecting either the center or the entire brush part mounted on the main body by the spray control switch.
KR1020220141339A 2022-10-28 2022-10-28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KR202400600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339A KR20240060089A (en) 2022-10-28 2022-10-28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339A KR20240060089A (en) 2022-10-28 2022-10-28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089A true KR20240060089A (en) 2024-05-08

Family

ID=9107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339A KR20240060089A (en) 2022-10-28 2022-10-28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08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75Y1 (en) 2004-11-24 2005-02-07 백길순 shower for he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75Y1 (en) 2004-11-24 2005-02-07 백길순 shower for he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807B2 (en) Scrubbing apparatus and method
US8336558B2 (en) Direct application brush having flow regulator assembly
US5649502A (en) Washing tool for pets
US6793434B1 (en) Brush
US6226811B1 (en) Epidermal scrubbing device
US8402979B2 (en) Hair wash and rinse brush
US8418654B2 (en) Direct application brush having flow regulator assembly
US20050257800A1 (en) Hair care equipment
US20090308951A1 (en) Washing device for humans and animals
KR20210147856A (en) Cleaning device for pet
EP2676544A1 (en) Pet grooming glove
ITRM980021A1 (en) PERFECTED DEVICE FOR WHIRLPOOL RELAXING MASSAGE SHOWER HANDLE OR FIXABLE TO THE EQUIPPED PART OR LESS AND / OR TO THE
JPH03201919A (en) Brush shower equipment
KR20240060089A (en) Cleaning apparatus for various purposes
KR102098692B1 (en) Portable cleaning device for pets
US5588160A (en) Total body brush shower
KR20220167865A (en) Multipurpose cleaning brush
US6179229B1 (en) Washing apparatus
KR101995534B1 (en) Bathing and drying apparatus of pet
CN108157215A (en) A kind of pet cleaning gloves
KR200375275Y1 (en) shower for head
JP4949574B2 (en) Cleaning device
KR20220113621A (en) Cleaning device for pet
CN101209158A (en) Cleaning brush with water outlet hole in bristles for human
KR102546642B1 (en) Pet bath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