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042A -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042A
KR20240060042A KR1020220141250A KR20220141250A KR20240060042A KR 20240060042 A KR20240060042 A KR 20240060042A KR 1020220141250 A KR1020220141250 A KR 1020220141250A KR 20220141250 A KR20220141250 A KR 20220141250A KR 20240060042 A KR20240060042 A KR 20240060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off
information
landing signal
drone
signal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한기남
김양훈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Priority to KR102022014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042A/ko
Publication of KR2024006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5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for taking-of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 G08G5/025Navigation or guidance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지상통제장치인 GCS에 드론의 이착륙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원격조종의 특성상 운영되는 물리 공간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가공하여 지상통제장치에 운영자의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시인성, 신뢰성 높은 정보의 UI를 체계적 제공할 수 있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SIGNAL GENERATION MODULE AND FLIGHT SIGNAL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통제장치인 GCS에 드론의 이착륙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원격조종의 특성상 운영되는 물리 공간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가공하여 지상통제장치에 운영자의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시인성, 신뢰성 높은 정보의 UI를 체계적 제공할 수 있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비행체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상용화 초기에는 주로 군용 및 여가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운송업, 영화, 방송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어지고 있으며,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정글이나 오지, 화산 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이 투입되어 운용되기도 한다.
또한, 드론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드론은 조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비행, 사진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종 장치를 통한 드론에 대한 제어는 수백 미터 내외의 근거리나 LTE통신 등을 활용한 비가시권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론의 사용 용도의 증가에 따라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드론을 제어하는 지상통제장치(GCS)는 드론의 현 상태 (공중, 지상)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드론(멀티콥터, 고정익, 회전익, 자동차, 배 등)의 개발 및 통제 정비 등을 하기 위해서는 GCS 프로그램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유인 비행체와 달리 드론은 사용 목적(정비, 조종, 임무통제 등)에 따라 GCS가 구분되어 개발되어있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제한적 감각(시각, 청각, 촉각 등)을 통해서만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즉, 기존의 GCS는 정보 콘텐츠가 고정된 단일 화면(UI, User Interfac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의 과밀로 인한 목적 중심의 정보전달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업에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GCS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모든 정보를 단순 나열하고 있기 때문에 유관정보의 연계성이 부족(시인성, 신뢰성 부족)하며, 이러한 UI를 가지는 GCS는 정보들의 과다한 노출과 운용자 목적에 맞춘 고급정보의 부재(우선순위 미흡)로 실시간 의사결정에 인지적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상통제장치인 GCS에 드론의 이착륙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원격조종의 특성상 운영되는 물리 공간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가공하여 지상통제장치에 운영자의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시인성, 신뢰성 높은 정보의 UI를 체계적 제공할 수 있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종자 식별정보, 기체식별정보 및 이착륙 신호 발생시간을 결합하여 비행경력을 생성하고 지상통제장치를 이용해 비행관리 서버로 제출하여 비행경력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의 기체별 비행시간을 누적하여 수리정비 및 활용실적 증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드론의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드론의 이동에 따른 방향과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기체이동 감지부; 상기 회전 감지부와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 조종사의 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정보 및 드론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설정부; 및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상통제장치는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별 필요 정보 및 우선순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평가하여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사용자의 요구 및 목적에 부합된 정보 UI를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프로펠러로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통과할 때의 반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통과함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날개수, 상기 송출된 신호와 상기 반사신호로부터 분당회전수(RPM)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한 신호와,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로부터 상기 드론의 이동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분단위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와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부는,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사 식별정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 상기 드론의 기체식별번호 또는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의 날개 갯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이용한 비행경력 생성 및 관리 방법은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자 식별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제1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이착륙 신호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조종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지상통제장치가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비행경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행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행관리 서버는 상기 비행경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비행경력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통제장치는 드론의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이용한 비행경력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비행전 설정, 이착륙 자료 수신, 이착륙 자료 열람 또는 비행경력 전송을 비행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상통제장치는 조종자가 비행전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지상통제장치과 드론에 탑재된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통신 연결하여 이착륙 신호정보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기초 정보를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기초 정보로는 조종사 식별정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 상기 드론의 기체식별번호 또는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의 날개 갯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상통제장치는 이착륙 자료 수신 메뉴를 통해 드론의 비행 종로 후에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저장된 이착륙 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은 기 저장된 기초 정보와 상기 기초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착륙 신호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상통제장치는 이착륙 자료 열람 메뉴를 통해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이착륙 신호정보의 목록 및 내용을 열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행경력 전송 메뉴를 통해 상기 기초 정보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결합하여 조종자의 비행경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행경력 데이터를 비행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파일 형태로 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에 탑재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지상통제장치인 GCS에 드론의 이착륙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지상통제장치가 드론의 원격조종의 특성상 운영되는 물리 공간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가공하여 지상통제장치에 운영자의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시인성, 신뢰성 높은 정보의 UI를 체계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종자 식별정보, 기체식별정보 및 이착륙 신호 발생시간을 결합하여 비행경력을 생성하고 지상통제장치를 이용해 비행관리 서버로 제출하여 드론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 조종자의 개인별 조종시간을 자동 기록하여 드론비행조종자격 실기시험에서 요구하는 비행시간 증빙자료로 사용하도록 하거나, 조종자 개인의 조종시간을 누적 기록하여 비행경력 산정의 증빙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의 기체별 비행시간을 누적하여 수리정비 및 활용실적 증빙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통제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장착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통제장치를 통한 비행경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에 기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한 각 구성 요소들의 크기와 형태는,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과장되어 표현한 것 일 수 있으며, 실제로 실시되는 발명의 크기와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드론(100)에 장착되며,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지상통제장치(200)에 저장되는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자 식별정보를 지상통제장치(200)로부터 전송 받는다(S210).
상기 지상통제장치(200)은 PC 또는 스마트 단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론의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이용한 비행경력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통제장치(200)는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별 필요 정보 및 우선순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평가하여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사용자의 요구 및 목적에 부합된 정보 UI를 제공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상통제장치(200)는 정보등급화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모듈화된 사용자중심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조종사인 경우, 비행에 관련된 기체의 위치, 좌표, 엔진상태, 공역정보 등의 UI가 표시되게 구성되고, 사용자가 임무장비계획사인 경우, 카메라 위주 정보인 타켓 좌표, 다음 미션정보 또는 현재 내가 보는 좌표를 다른 임무장비계획사에게 전달할 수 있는 UI가 표시되게 구성되며, 사용자가 정비사인 경우, 내부 정보나 임무장비들의 수명주기 설정 등의 UI가 표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지상통제장치(200)는 사용자별 필요 정보 및 우선순위 정보 선별 제공/접근 용이하고, 조종사, 임무장비계획사, 정비사 등 사용자의 요구/목적에 부합된 정보 UI 제공할 수 있으며, 명료한 시인성 제공하여 즉각적 정보 파악 및 필요 대응 시간 감소하고, 사용자 인적과오 발생 가능성의 현저한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이착륙 신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2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이착륙 신호 발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이착륙 신호 정보를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의 자체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상통제장치(200)과는 연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라 함은 항공기 이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의 정보로서, 프로펠러의 회전수와 기체의 이동을 토대로 드론이 이륙하여 비행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이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20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조종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은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200)에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암호화하여(S240), 상기 지상통제장치(200)로 전송한다(S250).
그에 따라, 상기 지상통제장치(200)은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비행경력 데이터를 생성하고(S260), 상기 생성한 비행경력 데이터를 비행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270).
따라서, 비행관리 서버(300)는 상기 비행경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S280), 드론의 현 상태 (공중, 지상)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에 탑재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통해, 조종자 식별정보, 기체식별정보 및 이착륙 신호 발생시간을 결합하여 비행경력을 생성하고 지상통제장치를 이용해 비행관리 서버로 제출하여 드론의 현 상태 (공중, 지상)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드론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장착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통제장치를 통한 비행경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구성 및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드론의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며, 회전 감지부(111), 기체이동 감지부(112), 중앙 처리부(113), 단말 통신부(114), 설정부(115) 및 전원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감지부(111)는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감지부(111)의 상부를 통과할 때 프로펠러 통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처리부(113)로 전달한다.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112)는 상기 드론의 이동에 따른 방향과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중앙 처리부(113)는 상기 회전 감지부(111)와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11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부(113)는 드론이 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분단위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통신부(114)는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200)로 전송하며, 이때 상기 단말 통신부(114)는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와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115)는 조종사의 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정보 및 드론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115)는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사 식별정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 상기 드론의 기체식별번호 또는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의 날개 갯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6)은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며, 별도의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또는 드론의 기체에 탑재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드론(100) 상에서 프로펠러(10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의 회전 감지부(111)는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회전 감지부(111)는 프로펠러(101)가 회전 감지부(111)를 통과할 때의 반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펠러(101)가 통과함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101)의 날개수, 상기 송출된 신호와 상기 반사신호로부터 분당회전수(RPM)를 계산할 수 있다.
이착륙 신호 정보의 발생기준은 모터 회전이 아닌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되어야 드론의 이륙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모터 공회전시의 모터 회전은 이착륙 신호 기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드론(기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보조로 사용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수와 기체 이동을 이착륙 신호의 발생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부(111)로는 근접센서(프록시미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를 프로펠러(101)의 아래의 위치에 부착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의 부착 위치는 프로펠러(10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이면 부착 위치의 제한은 없다.
또한, 프로펠러(101)의 회전수로부터 이착륙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의 부착위치는 프로펠러(101)와 드론의(100)의 암(102)의 사이가 될 수 있으며, 프로펠러(101)와 암(102)의 사이 간격이 좁으므로(보통 5cm 정도)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의 높이는 상기 간격보다 낮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110)은 고속회전하는 프로펠러(10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빠른 반응속도를 가져야 하며, 드론(100)의 기체진동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작동과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아울러, 이착륙 신호 발생의 기준치가 되는 최소 프로펠러의 회전수와 최소 기체이동 값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며, 최소 프로펠러 회전수와 최소 기체이동 값을 기체별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통제장치(200)는 드론의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이용한 비행경력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비행전 설정, 이착륙 자료 수신, 이착륙 자료 열람, 비행경력 전송 등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론의 조종자는 비행전 설정 메뉴를 통해 지상통제장치과 드론에 탑재된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통신 연결하여 이착륙 신호정보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기초 정보를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초 정보로는 조종사 식별정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 상기 드론의 기체식별번호 또는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의 날개 갯수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착륙 자료 수신 메뉴를 통해 드론의 비행 종로 후에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저장된 이착륙 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은 기 저장된 기초 정보와 상기 기초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착륙 신호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착륙 자료 열람 메뉴를 통해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이착륙 신호정보의 목록 및 내용을 열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행경력 전송 메뉴를 통해 상기 기초 정보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결합하여 조종자의 비행경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행경력 데이터를 비행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파일 형태로 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에 탑재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조종자 식별정보, 기체식별정보 및 이착륙 신호 발생시간을 결합하여 비행경력을 생성하고 지상통제장치를 이용해 비행관리 서버로 제출하여 비행경력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 조종자의 개인별 조종시간을 자동 기록하여 드론비행조종자격 실기시험에서 요구하는 비행시간 증빙자료로 사용하도록 하거나, 조종자 개인의 조종시간을 누적 기록하여 비행경력 산정의 증빙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드론의 기체별 비행시간을 누적하여 수리정비 및 활용실적 증빙에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드론
101: 프로펠러
110: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111: 회전 감지부
112: 기체이동 감지부
113: 중앙 처리부
114: 단말 통신부
115: 설정부
116: 전원부
200: 지상통제장치
300: 비행관리 서버

Claims (6)

  1. 드론의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드론의 이동에 따른 방향과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기체이동 감지부;
    상기 회전 감지부와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
    조종사의 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정보 및 드론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설정부; 및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상통제장치는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별 필요 정보 및 우선순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평가하여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사용자의 요구 및 목적에 부합된 정보 UI를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프로펠러로 지속적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통과할 때의 반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펠러가 통과함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펠러의 날개수, 상기 송출된 신호와 상기 반사신호로부터 분당회전수(RPM)를 계산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한 신호와, 상기 기체이동 감지부로부터 상기 드론의 이동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드론이 비행 중으로 판단되면 이착륙 신호정보를 분단위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기록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와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이착륙 신호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게 구성되고,
    상기 설정부는,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사 식별정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의 식별번호, 상기 드론의 기체식별번호 또는 상기 드론의 프로펠러의 날개 갯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5.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조종자의 전화번호와 조종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조종자 식별정보를 지상통제장치로부터 전송받는 제1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이착륙 신호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조종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이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지상통제장치에 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지상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지상통제장치가 상기 조종자 식별정보와 상기 이착륙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비행경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행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관리 서버는 상기 비행경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비행경력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을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KR1020220141250A 2022-10-28 2022-10-28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KR20240060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50A KR20240060042A (ko) 2022-10-28 2022-10-28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250A KR20240060042A (ko) 2022-10-28 2022-10-28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042A true KR20240060042A (ko) 2024-05-08

Family

ID=9107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50A KR20240060042A (ko) 2022-10-28 2022-10-28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00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846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Flight Planning System
US2023033499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uthorization And Geofence Envelope Determination
US20200082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bstacles in Aerial Systems
US9202318B2 (en) Ground fleet operations quality management system
US10810501B1 (en) Automated pre-flight and in-flight testing of aerial vehicles by machine learning
EP3637212B1 (en) Adaptable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210065560A1 (en) Utilizing visualization for manag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91266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presenting turbulence data via communication devices located on airplanes
WO2021046021A1 (en) Determining whether to service an unmanned aerial vehicle
AU20162140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presenting turbulence data via communication devices located on airplanes
US2022039235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module management
Nugroho et al. Avionic system desig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disaster area monitoring
US104900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voidance traversal analysis for flight-plan routing
US2022035163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response to object detection
KR20240060042A (ko) 이착륙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활용한 드론 이착륙 신호생성 및 사용 방법
US20220383762A1 (en) Increasing awareness of an environmental condition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410722A1 (en) Systems and Method for Aligning Augmented Reality Display with Real-Time Location Sensors
US11292606B1 (en) Systems and methods of airspeed control with dynamic asymmetric airspeed reference
US20230282121A1 (en) Displaying electromagnetic spectrum inform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navigation
KR102568394B1 (ko) 드론의 WoW 신호 발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행경력 생성 및 관리 방법
EP3767230B1 (en)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object locations during a search and rescue operation
KR20180066713A (ko) 무인비행체의 비행 가능성 확인방법 및 장치
WO2022231960A1 (en) Incentiviz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e
Mikó et al. UAV development at BHE Bonn Hungary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