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881A -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 Google Patents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881A
KR20240059881A KR1020220140919A KR20220140919A KR20240059881A KR 20240059881 A KR20240059881 A KR 20240059881A KR 1020220140919 A KR1020220140919 A KR 1020220140919A KR 20220140919 A KR20220140919 A KR 20220140919A KR 20240059881 A KR20240059881 A KR 2024005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nlet
flows
housing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상구
김무중
노경태
김민성
이해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881A/en
Publication of KR2024005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8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1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accumulator and another part of th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는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유입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 유입체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 및 상기 유동공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low space formed therein, a refrigeran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from a lower part of the housing flows into the flow space, and a refrigerant inle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It includes a first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flows, and a second refrigerant pipe installed on the flow spac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Description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Vehicle accumulator and vehicle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본 발명은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ccumul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accumulator for separating gaseous refrigerant and liquid refrigerant, and a vehicle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including the same.

차량은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HVAC : 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system)를 갖추고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온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거나, 냉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매체를 순환시키도록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 HVAC (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system to control the indoor air temperature. The air conditioning device generates warmth to keep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arm, or generates cold air to keep the interior of the vehicle cool. Her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pipes connecting them to circulate a heat exchange medium.

상기 공조장치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어큐뮬레이터에서는 저압부의 냉매 유동이 어큐뮬레이터 상부로 유입되어 사이클론을 통과하면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다. 그리고, 사이클론을 통과한 기상의 냉매는 파이프 하부로 이동한 후 다시 파이프와 사이클론 상부로 이동되고, 어큐뮬레이터 하부로 다시 유동하여 유출되는 경로를 가진다. The air conditioning device may include an accumulator that separates gaseous refrigerant and liquid refrigerant. In a conventional accumulator, th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accumulator and is separated into gas and liquid as it passes through the cyclone. And, the gaseous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yclone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then moves back 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and cyclone, and has a path where it flows back to the lower part of the accumulator and flows out.

이와 같이 기존의 어큐뮬레이터는 냉매의 저압부 유동이 복잡하여 냉매의 유동 저항이 증가하므로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As such, the existing accumulator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he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system becau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ncreases due to the complicated flow of the low-pressure part of the refrigerant.

본 발명은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를 순환할 때 보다 유동 경로를 최소화함으로써 냉매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that can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by minimizing the flow path when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in and circulates inside, and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액상의 냉매 수위를 유지하여 높은 건도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tha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high-dry refrigerant to flow into a compressor by maintaining a stable liquid refrigerant level, and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는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유입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 유입체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 및 상기 유동공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flow space is formed; a refrigeran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a lower part of the housing flows into the flow space; a first refrigerant pip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flows; and a second refrigerant pipe installed on the flow spac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제2 냉매 파이프와 연결되어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2 냉매 파이프로 공급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so that high-temperature refrigerant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out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housing.

상기 냉매 유입체는 상기 유동공간의 하면에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The refrigerant inlet may be in the shape of a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t the bottom of the flow space and extending upward.

상기 냉매 유입체의 선단부에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A bent portion bent in a later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refrigerant inflow body.

상기 제1 냉매 파이프는, 상기 유동공간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부 파이프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하단으로 냉매가 방향을 전환하여 유입되는 전환부가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frigerant pipe includes an internal pipe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space; And an outer surface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wherein an inlet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s formed at the upper part, and a switching part through which refrigerant changes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May contain pip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은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저온의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 및 상기 유동공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일면에 결합되고, 저온의 냉매와 고온의 냉매가 내부를 순화하도록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되며,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팽창밸브가 결합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flow space is formed; a first refrigerant pip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gaseous refrigerant flows among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n accumulator installed on the flow space and including a second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a manifold plate on which the accumulator is coupled to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so that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high-temperature refrigerant are purified inside, and on which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an expansion valve are coupled.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housing i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housing.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nifold plate, and the compresso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nifold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어 내부를 순환할 때 보다 유동 경로를 최소화함으로써 냉매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the flow path when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in and circulates in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액상의 냉매 수위를 유지하여 높은 건도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ble liquid refrigerant level is maintained so that high dryness refrigera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매니폴드 플레이트에서의 제1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in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first fluid in the manifol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connected" is used, this does not mean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rather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or physically connected. It can mean not only being connected but also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or being integrated although referred to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location or func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hicle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shown in the same drawings. Numbers will be assigned and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는 내부에 유동공간(12)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유입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동공간(12)으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체(3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 유입체(30)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40), 및 상기 유동공간(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accumula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10 with a flow space 12 formed therein, and a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flows into the flow space ( 12) a refrigerant inlet 30, a first refrigerant pipe 4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30 flows, and the flow space ( 12) It may include a second refrigerant pipe 50 installed on the top and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하우징(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공간(12)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하부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부(14)와 상단에 배치되는 덮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4)와 덮개부(16)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판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베이스부(14)와 덮개부(16)의 사이에 원주형태의 외면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덮개부(16))만 별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low space 12 in which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is formed therein.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4 forming a lower base and a cover portion 16 disposed at the top. The base portion 14 and the cover portion 16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provided to include additional structures on the disk. In this drawing, a cylindrical outer plate is shown coupled between the base portion 14 and the cover portion 16,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ntire housing 10 may be formed as one piece, and some components ( Only the cover portion 16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separately.

베이스부(14)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0) 및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24)가 형성된다. 제1 유입구(20)로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는 냉매 유입체(30)를 통해 유입되어 제1 냉매 파이프(40)를 유동하게 되고, 제2 유입구(24)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냉매 파이프(50)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된다. The base portion 14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20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and a second inlet 24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s.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20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30 and flows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and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24 It flows in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and flows.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입구(20) 및 제2 유입구(24)가 하우징(10)의 하부에 함께 형성되는 것은 이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40,160,180)가 어큐뮬레이터(150)와 나란하게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에 장착이 되고, 열교환기(140,160,180)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기 때문에 열교환기(140,160,180)의 하부에서 유출된 유체는 어큐뮬레이터(15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let 20 and the second inlet 24 are formed together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heat exchangers 140, 160, and 18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placed in parallel with the accumulator 150 on a manifold plate ( 101), and sinc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40, 160, 180)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luid flowing out from the bottom of the heat exchanger (140, 160, 180) flows into the bottom of the accumulator (150).

덮개부(16)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22) 및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26)가 형성된다. 제1 냉매 파이프(40)를 유동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제1 유출구(22)로 유출되고, 제2 냉매 파이프(50)를 유동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유출구(26)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4) 및 덮개부(16)에 냉매의 유입구(20,24) 및 유출구(22,26)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열교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16 is formed with a first outlet 22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out and a second outlet 26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s out.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flows out through the first outlet 22, and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outlet 26.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function can be maximized by arranging the refrigerant inlets 20 and 24 and outlets 22 and 26 together in the base part 14 and the cover part 16.

하우징(10)의 내부 즉 유동공간(12)에는 냉매 유입체(30)가 설치된다. 냉매 유입체(30)는 베이스부(1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동공간(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냉매 유입체(30)는 저온 제1 유입구(2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 유동공간(12)으로 유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유동공간(12)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냉매 유입체(30)는 본 도면에 도시된 파이프 형상이 아닌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고 적용될 수 있다. A refrigerant inlet 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hat is, in the flow space 12. The refrigerant inflow body 30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4 and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w space 12. The refrigerant inlet 30 is a part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low-temperature first inlet 20 passes to flow into the flow space 12, and has a pipe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space 12. You can have Of course, the refrigerant inlet 30 may be of any shape that allows refrigerant to flow, other than the pipe shape shown in this drawing.

냉매 유입체(30)의 선단부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유입체(30)로 유입된 냉매 중에 액상의 냉매는 유동공간(12)의 하부부터 채워지게 되고, 기상의 냉매는 상승하여 제1 냉매 파이프(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냉매 유입체(30)의 형상이 상방을 향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면 유입된 냉매 중에 액상의 냉매가 유동공간(12)의 하부 측으로 원활하게 채워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 유입체(30)의 선단부에 절곡부(32)를 형성하여 유동공간(12)의 하부 측부터 액상의 냉매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distal end of the refrigerant inflow body 30 may include a bent portion 32 that is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Among the refrigerants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30, the liquid refrigerant fills the flow space 12 from the bottom, and the gaseous refrigerant rises and flows in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At this time, if the shape of the refrigerant inflow body 30 is formed vertically upward, the liquid refrigerant among the inflow refrigerants may not be smoothly fill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flow space 12.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bent portion 3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efrigerant inlet 30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can be fill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ow space 12.

이상에서는 절곡부(32)가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절곡부(32)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bent portion 32 has been described as being bent in the side direc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ent portion 32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in the side direction and then bent downward again.

어큐뮬레이터로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에는 액상과 기상의 냉매를 포함하는데, 위와 같이 유동공간(12)의 하부에서 냉매 유입체(30)를 통해 냉매가 유입되면 액상의 냉매는 유동공간(12)의 하부부터 채워지면서 냉매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압축기(미도시)로 건도가 높은 기상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어 히트펌프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accumulator includes liquid and gaseous refrigerants. As shown above, when the refrigerant flows in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30 from the lower part of the flow space 12,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flow space 12. By filling from the bottom, the refrigerant level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high-dry refrigerant can flow into the compressor (not shown), improving heat pump system performance.

한편, 상방으로 이동되는 기상의 냉매는 제1 냉매 파이프(40)로 유입된다. 제1 냉매 파이프(40)는, 상기 유동공간(12)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42), 및 상기 내부 파이프(42)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부 파이프(42)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4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42)의 하단으로 냉매가 방향을 전환하여 유입되는 전환부(48)가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4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aseous refrigerant moving upward flows into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42,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ipe 42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space 1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42. An external pipe 44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which an inlet 46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formed, and at the lower part is a switching part 48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hanges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pipe 42. It can be included.

내부 파이프(42)는 유동공간(12)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내부 파이프(42)의 하단은 유동공간(12)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전환부(48)를 통해 냉매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internal pipe 42 is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low space 12 to the lower part. Since the lower end of the internal pipe 4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space 12 by a predetermined height, refrigerant can flow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witching part 48.

외부 파이프(44)는 유동공간(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데, 내부 파이프(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유동공간(12)의 상부로 이동한 기상의 냉매는 내부 파이프(42)와 외부 파이프(44)의 사이에 형성된 유입부(46)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46)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하강하였다가 전환부(48)를 통해 내부 파이프(42)로 유입된 후 다시 상승하여 제1 유출구(22)로 유출된다. 이때, 제1 유출구(22)는 고압으로 흡입력을 발휘하는 압축기와 연결되기 때문에 냉매는 상승 또는 하강을 반복하면 압축기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external pipe 44 is installed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flow space 12 to the upper part,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nal pipe 42. Accordingly, the gaseous refrigerant mov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 space 12 may flow in through the inlet 46 formed between the inner pipe 42 and the outer pipe 44.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46 descends, flows into the internal pipe 42 through the switch 48, then rises again and flows out through the first outlet 22.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outlet 22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that exerts suction force at high pressure, the refrigerant can flow toward the compressor when it repeatedly rises or falls.

한편, 유동공간(12)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50)가 설치된다. 제2 냉매 파이프(50)는 제1 냉매 파이프(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매 파이프(50)의 하부에는 유동공간(12)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제2 유입부(52)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제2 냉매 파이프(50)를 유동한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부(54)가 구비된다. Meanwhile, a second refrigerant pipe 50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is installed in the flow space 12.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is provided with a second inlet 52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space 12, and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flows out. A unit 54 is provided.

제2 냉매 파이프(50)로는 응축기(미도시)에서 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동하면서 제1 냉매 파이프(40)를 유동하는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not shown) flows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한편, 유동공간(12)에는 냉매 및 오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냉방성능 향상 및 동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품으로 내부에 건조제가 봉입되는 건조제팩(60)이 설치된다.Meanwhile, a desiccant pack 60 containing a desiccant contained therein is installed in the flow space 12 as a part to improve cooling performance and solve freezing problems by absorb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and o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in a vehicle accu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먼저 기상과 액상을 포함하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제1 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다. 제1 유입구(2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냉매 유입체(30)를 통해 유동공간(12)으로 유입된다. 이때, 저온 저압의 냉매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2)로 유출되고 액상의 냉매는 유동공간(12)의 하부부터 유동공간(12) 상에 채워진다. Referring to this, first,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containing a gaseous phase and a liquid phase flows in through the first inlet 20.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20 flows into the flow space 12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30. At this time,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bent portion 32 bent in the side direction, and the liquid refrigerant fills the flow space 12 from the bottom of the flow space 12.

기상의 냉매는 상부로 이동한 후 제1 냉매 파이프(40)의 유입부(46)로 유입된다. 유입부(46)로 유입된 기상의 냉매는 내부 파이프(42)와 외부 파이프(44)의 사이로 하강한 후 전환부(48)에서 다시 상승하여 내부 파이프(42)의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기상의 냉매는 제1 유출구(22)를 통해 압축기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gaseous refrigerant moves upward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46 of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The gaseous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let 46 descends between the inner pipe 42 and the outer pipe 44, then rises again at the switching portion 48 and flows inside the inner pipe 42. And, the gaseous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first outlet 22.

한편, 응축기 측에서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다. 제2 유입구(24)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유입부(52)를 통해 제2 냉매 파이프(50)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된다. 이때,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1 냉매 파이프(40)를 유동하는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냉매는 제2 유출구(26)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 from the condenser side flows in through the second inlet 24.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24 flows in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through the second inlet 52. At this time,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exchanges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And, the refrigerant may flow out through the second outlet 2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온 저압의 냉매는 액상의 냉매가 분리된 후에 상승, 하강, 상승을 거쳐 제1 유출구(22)로 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온 저압의 냉매는 기존의 어큐뮬레이터에서의 유동에 비하여 간단한 유동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As discussed above,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may flow out of the first outlet 22 through rising, falling, and rising after the liquid refrigerant is separated. In this way,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can implement a simpler flow structure compared to the flow in a conventional accumulato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매니폴드 플레이트에서의 제1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 first fluid in a manifol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일면에는 유로를 커버하도록 바텀 플레이트(102)가 결합될 수 있는데, 브레이징(Brazing), 구조용 접착제(Structural adhesives), 가스켓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재료는 제작방식에 따라, 알루미늄,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plastic), 스테인리스강 등 목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102)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 장착 프레임(104)에 설치될 수 있다. A bottom plate 102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nifold plate 101 to cover the flow path, and can be manufactured by joining using brazing, structural adhesives, gaskets, etc.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manifold plate 101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function, such as aluminum, thermo-plastic, or stainless steel,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bottom plate 102 may be installed on a mounting frame 104 that is structured to be mounted within a vehicle.

매니폴드 플레이트(101)는 대략 내부에 유체 유로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에는 열관리 시스템의 열교환 장치인 제1 열교환기(140), 제2 열교환기(160), 제3 열교환기(180), 어큐뮬레이터(150) 및 팽창밸브(170,190)가 결합되어 모듈화됨으로써 제품 제작 공수가 절감되고 차량 조립라인의 공수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01)는 배관, 피팅 및 하우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원가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anifold plate 101 is formed to have a fluid flow path substantially recessed therein and has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is way, the manifold plate 101 includes a first heat exchanger 140, a second heat exchanger 160, a third heat exchanger 180, an accumulator 150, and expansion valves 170 and 190, which are heat exchange devices of the heat management system. By being combined and modularized, product manufacturing man-hours can be reduced and the man-hours of the vehicle assembly line can also be reduced. In addition, the manifold plate 101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s of piping, fittings, and housing,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workability.

도 6을 참조하면,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후면에는 유체의 열교환, 팽창, 유입 및 유출에 있어서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후면에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각종 유체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 포트로서 제1 열교환기(140)에서 제1 유체가 유출되는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108), 어큐뮬레이터(15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10) 및 어큐뮬레이터 유출 포트(112), 제2 열교환기(16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113) 및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114), 제3 열교환기(180)에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117) 및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1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후면에는 제1 팽창밸브(170)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팽창밸브 포트(116), 제2 팽창밸브(190)로 제1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제2 팽창밸브 포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fluid flow path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the manifold plate 101 to guide movement in heat exchange, expansion, inflow, and outflow of fluid. Additionally, various fluid port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flui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of the manifold plate 101.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eat exchanger outlet port 108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out of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is a fluid port, and the accumulator inlet port 110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in and out of the accumulator 150. and an accumulator outlet port 112, a secon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3 and a secon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4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in and out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a third heat exchanger 180. ) may include a thir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7 and a thir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8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in and out. In addition, at the rear of the manifold plate 101, there is a first expansion valve port 116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in and out of the first expansion valve 170, and a first fluid flows into and out of the second expansion valve 190. A second expansion valve port 120 that flows out may be provide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일면, 즉 후면에는 압축기(130)가 결합된다. 압축기(130)는 제1 유체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제1 열교환기(14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일면, 즉 전면에는 열교환 장치로서 제1 열교환기(140),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가 결합된다. 제1 열교환기(140),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에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5, the compressor 130 is coupled to one side, that is, the back, of the manifold plate 101. The compressor 130 serves to compress the first fluid to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move it to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And, a first heat exchanger 140, a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a third heat exchanger 180 are combined as heat exchange devices on one side,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manifold plate 101. The first fluid and the second fluid may exchange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제1 열교환기(140)로는 수냉식 응축기, 제2 열교환기(160)로는 수냉식 증발기, 제3 열교환기(180)로는 칠러가 사용될 수 있다. 수냉식 응축기는 압축기 또는 내부 응축기에서 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유체(냉매)를 외부 열원과 열교환시켜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식 증발기는 팽창된 제1 유체(냉매)를 제2 유체(냉각수)와 열교환시켜서 증발시키고 제2 유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냉식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수냉식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제2 유체는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칠러는 저온 저압의 제1 유체가 공급되어 냉각수 순환라인(미도시)에서 이동하는 제2 유체(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장치로서, 칠러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제2 유체는 냉각수 순환라인을 순환하여 배터리와 열교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ater-cooled condenser can be used as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a water-cooled evaporator can be used as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a chiller can be used as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The water-cooled condenser serves to condense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fl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or internal condenser into a high-pressure liquid by exchanging heat with an external heat source. The water-cooled evaporator serves to evaporate the expanded first fluid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with the second fluid (coolant) and cool the second fluid. The second fluid heat-exchanged in the water-cooled condenser may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fluid heat-exchanged in the water-cooled evaporator may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chiller is a device in which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first fluid is supplied and exchanges heat with a second fluid (coolant) moving in a coolant circulation line (not shown). The cold second fluid heat-exchanged in the chiller circulates in the coolant circulation line to connect the battery and the battery. Heat can be exchanged.

한편, 제1 유체 및 제2 유체는 냉매, 냉각수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체로 냉매, 제2 유체로 냉각수가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 refrigerant, a coolant, etc. may be used as the first fluid and the second fluid. In this embodiment, a refrigerant may be used as the first fluid and coolant may be used as the second fluid.

제1 열교환기(140)는 상술한 압축기(130)와 직접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130)에서 별도의 매니폴드 플레이트(101) 상의 유로를 거치지 않게 되면, 압축기(13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제1 유체(열관리 시스템에서 가장 고온 고압임)가 매니폴드 플레이트(101)를 통해 열전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열관리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30)와 제1 열교환기(140)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에 각각 결합되기는 하지만, 매니폴드 플레이트(101)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지 않고 직접 제1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일부가 결합되는 것이다.The first heat exchanger 140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compressor 130 described above so that fluid can move. In this way, if the compressor 130 does not pass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on the manifold plate 101,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first fluid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130 (the highest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heat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plate 101. ), heat transfer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thermal management system can be improved. As well shown in FIG. 5, the compressor 130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are each coupled to the manifold plate 101, but are not coupled through the manifold plate 101 but directly to the first fluid. Some parts are combined to allow for movement.

제1 열교환기(140)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일측, 즉 좌측 또는 우측 끝에 배치되고, 다른 한쪽으로 어큐뮬레이터(150),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가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유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제한된 공간에 집적화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is disposed on one side, that is, at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manifold plate 101, and on the other side, the accumulator 150,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are sequentially placed on the other side. can be placed. In this way, by sequentially arranging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fluid flow, they can be integrated and modularized in the limited space of the manifold plate 101.

그리고, 제2 열교환기(160)의 상부 및 제3 열교환기(180)의 상부에는 각각 제1 팽창밸브(170) 및 제2 팽창밸브(190)가 배치된다. 제1 팽창밸브(170) 및 제2 팽창밸브(190)는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로 유입되는 제1 유체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Also, a first expansion valve 170 and a second expansion valve 190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the upper part of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respectively. The first expansion valve 170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190 serve to expand the first fluid flowing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어큐뮬레이터(150)는 제2 열교환기(160)를 통과한 제1 유체가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큐뮬레이터(15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의 일면에 결합되어 유체가 유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어큐뮬레이터(150)는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에 열교환기(140,160,180)와 함께 나란하게 장착되고 열교환기(140,160,180)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기 때문에 열교환기(140,160,180)의 하부에서 유출된 유체는 어큐뮬레이터(15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The accumulator 150 serves to separate the first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into a gaseous fluid and a liquid fluid. In this embodiment, the accumulator 150 h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nifold plate 101 to allow fluid to flow. That is, the accumulator 150 is mounted side by side with the heat exchangers 140, 160, and 180 on the manifold plate 101, and becaus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s 140, 160, and 180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ccumulator 150 is mounted side by side with the heat exchangers 140, 160, and 180. The leaked fluid flows into the lower part of the accumulator 150.

도 6에서 점선 화살표는 고온 고압의 제1 유체의 유동을 표시한 것이고, 실선 화살표는 저온 저압의 제1 유체의 유동을 표시한 것이다. In Figure 6, the dotted arrow indicates the flow of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first fluid, and the solid arrow indicates the flow of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first fluid.

이를 참조하면, 압축기(13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제1 유체는 제1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제1 열교환기(140)에서 제2 유체와 열교환된 제1 유체는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108)를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고온의 제1 유체는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10)(좌측 부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50)의 제2 유입구(24)로 유입된 후 제2 냉매 파이프(50)를 유동한다. 다음으로, 제1 유체는 제2 유출구(26) 및 어큐뮬레이터 유출 포트(112)(우측 부분)를 통해 유출된 후 제1 팽창밸브 포트(116) 및 제2 팽창밸브 포트(120)를 통해 제1 팽창밸브(170) 및 제2 팽창밸브(190)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this, the first fluid com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130 flows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The first fluid that has exchanged heat with the second flui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140 flows out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outlet port 108. Then, the high-temperature first fluid flows into the second inlet 24 of the accumulator 150 through the accumulator inlet port 110 (left portion) and then flows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pipe 50. Next, the first fluid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outlet 26 and the accumulator outlet port 112 (right portion) and then through the first expansion valve port 116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port 120. It flows into the expansion valve 170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190.

제1 팽창밸브(170) 및 제2 팽창밸브(190)로 유입된 제1 유체는 팽창되어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113) 및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117)를 통해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로 유입된다. 제2 열교환기(160) 및 제3 열교환기(180)에서 제2 유체와 열교환된 제1 유체는 각각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114) 및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118)를 통해 유출되고,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1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50)로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150)에서 기상 유체와 액상 유체로 분리된 제1 유체는 다시 압축기(130)로 유입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The first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expansion valve 170 and the second expansion valve 190 is expand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3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7 ( 160) and flows into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The first fluid heat-exchanged with the second flui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160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180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4 and the thir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8, respectively. , flows into the accumulator 150 through the accumulator inlet port 110. The first fluid separated into gaseous fluid and liquid fluid in the accumulator 150 may be introduced back into the compressor 130 and circulated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다음으로, 저온의 제1 유체는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110)(우측 부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50)의 제1 유입구(20)로 유입된 후 제1 냉매 파이프(40)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1 유체는 제1 유출구(22)를 유출된 후 압축기(13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Next, the low-temperature first fluid flows into the first inlet 20 of the accumulator 150 through the accumulator inlet port 110 (right portion) and then flows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pipe 40. And, the first fluid may flow into the compressor 130 after flowing out of the first outlet 2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어큐뮬레이터(150)가 압축기(130), 열교환기(140,160,180) 및 팽창밸브(170,190)가 장착된 매니폴드 플레이트(101)에 결합되어 유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ccumulator 150 is coupled to the manifold plate 101 on which the compressor 130, heat exchangers 140, 160, 180, and expansion valves 170, 190 are mounted so that fluid can circul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10: 하우징 12: 유동공간
14: 베이스부 16: 덮개부
20: 제1 유입구 22: 제1 유출구
24: 제2 유입구 26: 제2 유출구
30: 냉매 유입체 32: 절곡부
40: 제1 냉매 파이프 42: 내부 파이프
44: 외부 파이프 46: 유입부
48: 전환부 50: 제2 냉매 파이프
52: 제2 유입부 54: 제2 유출부
60: 건조체팩
101: 매니폴드 플레이트 102: 바텀 플레이트
104: 장착 프레임 108: 제1 열교환기 유출 포트
110: 어큐뮬레이터 유입 포트 112: 어큐뮬레이터 유출 포트
113: 제2 열교환기 유입 포트 114: 제2 열교환기 유출 포트
116: 제1 팽창밸브 포트 117: 제3 열교환기 유입 포트
118: 제3 열교환기 유출 포트 120: 제2 팽창밸브 포트
130: 압축기 140: 제1 열교환기
150: 어큐뮬레이터 160: 제2 열교환기
170: 제1 팽창밸브 180: 제3 열교환기
190: 제2 팽창밸브
10: Housing 12: Flow space
14: base part 16: cover part
20: first inlet 22: first outlet
24: second inlet 26: second outlet
30: refrigerant inlet 32: bent portion
40: first refrigerant pipe 42: inner pipe
44: external pipe 46: inlet
48: transition section 50: second refrigerant pipe
52: second inlet 54: second outlet
60: Dry body pack
101: manifold plate 102: bottom plate
104: Mounting frame 108: First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0: Accumulator inlet port 112: Accumulator outlet port
113: secon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4: secon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16: first expansion valve port 117: third heat exchanger inlet port
118: Third heat exchanger outlet port 120: Second expansion valve port
130: Compressor 140: First heat exchanger
150: Accumulator 160: Second heat exchanger
170: first expansion valve 180: third heat exchanger
190: Second expansion valve

Claims (13)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서 유입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 유입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 유입체로 유입된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 및
상기 유동공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 housing in which a flow space is formed;
a refrigeran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a lower part of the housing flows into the flow space;
a first refrigerant pip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flows; and
It is installed on the flow space and includes a second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t one side of the housing i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vehicle accumulator having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제2 냉매 파이프와 연결되어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2 냉매 파이프로 공급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inl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and high-temperatur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가 형성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vehicle accumulator in which a second outlet is formed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체는 상기 유동공간의 하면에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인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frigerant inlet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t the bottom of the flow space and has a pipe shape extending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체의 선단부에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ccumulator for a vehicle in which a bent portion bent in a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efrigerant inflow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파이프는,
상기 유동공간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부 파이프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하단으로 냉매가 방향을 전환하여 유입되는 전환부가 형성되는 외부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어큐뮬레이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efrigerant pipe,
an internal pipe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space; and
An external pip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pip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has an inlet part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 at the upper part, and a switching part at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hanges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A vehicle accumulator containing a.
내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저온의 냉매 중 기상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1 냉매 파이프; 및 상기 유동공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일면에 결합되고, 저온의 냉매와 고온의 냉매가 내부를 순화하도록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되며,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팽창밸브가 결합되는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A housing in which a flow space is formed; a first refrigerant pip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gaseous refrigerant flows among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an accumulator installed on the flow space and including a second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for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including a manifold plate on which the accumulator is coupled to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so that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high-temperature refrigerant are purified inside, and where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nd an expansion valve are coupl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1 유출구; 및 고온의 냉매가 유출되는 제2 유출구가 형성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According to clause 9,
At one side of the housing i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a second inlet is formed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ou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in which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s form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출구 및 제2 유출구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압축기가 연결되는 차량용 열관리 유체 모듈.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manifold plate,
A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a vehicle in which the compresso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nifold plate.
KR1020220140919A 2022-10-28 2022-10-28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KR202400598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919A KR20240059881A (en) 2022-10-28 2022-10-28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919A KR20240059881A (en) 2022-10-28 2022-10-28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881A true KR20240059881A (en) 2024-05-08

Family

ID=9107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919A KR20240059881A (en) 2022-10-28 2022-10-28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8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871B1 (en) Condenser for vehicle
CN110831796B (en) Refrigeration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refrigerant circuit with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for such a refrigeration device
US9951996B2 (en) Refrigerant evaporator
CN106123408B (en) Heat exchanger
KR20120044851A (en) Heat exchanger
US7051796B2 (en) Heat exchanger
KR20230068815A (en) Refrigerant moudule of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WO2013084469A1 (en) Heat exchanger
JP2011152827A (en) Cooling media accumulating structure of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N111196120A (en) Heat exchanger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120067406A (en) 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KR20240059881A (en) Accumulator for vehicle and fluid module for automotive thermal management
KR101619187B1 (en) Condenser for vehicle
CN211625782U (en) A liquid drop evaporation plant and cooling water set for cooling water set
CN114562832A (en) Evaporation unit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110100002A (en) With pcm(phase change material) dual evaporator
CN112944741A (en) A liquid drop evaporation plant and cooling water set for cooling water set
US20240131903A1 (en) Thermal management fluid module for vehicle
KR20230163105A (en) Manifold fluid module
KR20240018078A (en) Manifold fluid module
CN219687016U (en) Valve bank integrated modu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KR20230163106A (en) Manifold fluid module
KR20240010250A (en) Manifold fluid module integrated gas-liquid separator
CN220250164U (en) Fresh air conditioner
CN211233460U (en) Heat exchang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