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94A - 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 Google Patents

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94A
KR20240058094A KR1020247007252A KR20247007252A KR20240058094A KR 20240058094 A KR20240058094 A KR 20240058094A KR 1020247007252 A KR1020247007252 A KR 1020247007252A KR 20247007252 A KR20247007252 A KR 20247007252A KR 20240058094 A KR20240058094 A KR 2024005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lange
membrane
transvers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리스 즈보우드지
나자트 부잠부
다니엘 아베글랑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4005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1)로서, 상기 캡슐은,

Figure pct00009
챔버(21)를 한정하는 캡슐 몸체(2) - 상기 캡슐 몸체는, 상단 개구(23)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들(22),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24), 및 상기 원주방향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상단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캡슐 내로의 액체 주입을 위해 천공되도록 적응된 상단 멤브레인(3) - 상기 상단 멤브레인 및 상기 플랜지는 공통 평면(P)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됨 -, 상기 챔버(21) 내측에 제공된 하단 멤브레인(4) - 상기 상단 멤브레인(3)과 상기 하단 멤브레인 사이에 성분 챔버를 한정하게 함 -, 및 챔버 내측에 제공되고 챔버를 개방하도록 적응된 개방 디바이스(5)를 포함한다.A capsule (1) for us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said capsule comprising:
Figure pct00009
A capsule body 2 defining a chamber 21 - the capsule body comprising: one or more side walls (22) extending axially toward the top opening (23), and a circumferential flange (24)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one or more side walls, and A top membrane (3)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241) of the circumferential flange and closing the top opening, adapted to be perforated for injection of liquid into the capsule, the top membrane and the flange having a common plane. extending entirely along (P) -, a bottom membrane (4) provided inside the chamber (21), defining a component chamber between the top membrane (3) and the bottom membrane, and It comprises an opening device (5) provided inside the chamber and adapted to open the chamber.

Description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및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본 발명은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밀봉 다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psules for use i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methods for making capsules, and sealing dies.

음료 제조 기계는 소비자가 다양한 유형들의 음료들, 예를 들어 커피-기반 음료들을 가정에서 제조할 수 있게 한다.Beverage making machines allow consumers to prepare various types of beverages at home, such as coffee-based beverages.

오늘날, 가정 내 음료 제조를 위한 대부분의 음료 제조 기계들은 음료의 제조를 위한 부분형 성분(portioned ingredient)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기계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부분들은 연질의 포드들 또는 패드들, 또는 봉지(sachet)들일 수 있지만, 점점 더 많은 시스템들이 경질의 포드들 또는 캡슐들과 같은 반경질 또는 경질 부분들을 사용하고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음료 기계는 경질 캡슐과 함께 작동하는 음료 제조 기계인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Today, most beverage making machines for home beverage preparation include a system consisting of machines capable of receiving portioned ingredient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Such parts may be soft pods or pads, or sachets, but more and more systems are using semi-hard or hard parts, such as hard pods or capsules. In the following, the beverage machine of the invention will be considered to b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operating with hard capsules.

기계는 상기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및 유체,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압 하에서 상기 캡슐 내로 주입하기 위한 유체 주입 시스템을 포함한다. 커피 음료의 제조를 위해, 캡슐 내에 가압 하에서 주입된 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온, 즉 70℃ 초과의 온도에 있다. 그러나, 일부 특정 경우에, 이는 또한 주위 온도일 수 있다. 캡슐 내용물의 추출 및/또는 용해 동안의 캡슐 챔버 내측의 압력은, 전형적으로, 제품의 용해의 경우(우유 분말, 초콜릿 분말, 인스턴트 커피 또는 인스턴트 차와 같은 가용성 성분의 용해의 경우)에는 약 1 내지 8 바(bar)이고,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의 추출의 경우에는 약 2 내지 12 바이다.The machine includes a receptacle for receiving the capsule, and a fluid injection system for injecting fluid, preferably water, into the capsule under pressure. For the production of coffee beverages, the water injected under pressure into the capsule is preferably at a high temperature, i.e. above 70°C. However, in some specific cases, this may also be ambient temperature. The pressure inside the capsule chamber during extraction and/or dissolution of the capsule contents is typically between about 1 and 1 in the case of dissolution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dissolution of soluble ingredients such as milk powder, chocolate powder, instant coffee or instant tea). 8 bars, and for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about 2 to 12 bars.

가압 하의 폐쇄된 캡슐의 내용물을 추출 및/또는 용해하는 원리는 공지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 기계의 리셉터클 내에 캡슐을 구속하는 것, 일반적으로 기계 상에 장착된 유체 주입 바늘과 같은 관통 주입 요소로 캡슐의 일 면을 관통한 후에, 물질을 추출하거나 또는 그를 용해하고 이어서 추출된 물질 또는 용해된 물질을 캡슐을 통해 방출하도록 캡슐 내측에 가압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 일정 양의 가압수를 캡슐 내로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의 응용을 허용하는 캡슐이 예를 들어, EP 1472156호 및 EP 1784344 B1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캡슐은 물이 주입되는 상단 멤브레인에 의해 그리고 챔버 내측의 수압의 증가로 추가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하단 멤브레인에 의해 폐쇄된 챔버 내에 음료 성분을 둘러싸는 특정 특징부를 제공한다. 챔버 내측에 액체 주입 시, 압력은 하단 멤브레인을 변형시켜, 상기 하단 멤브레인에 근접하게 위치된 개방 요소가 변형된 멤브레인을 관통하게 하고, 챔버 내측에서 제조된 음료가 캡슐의 외측을 향하는, 예를 들어 컵 내로 향하게 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principle of extracting and/or dissolving the contents of a closed capsule under pressure is known and typically involves restraining the capsule within a receptacle of a machine, typically by inserting the capsule with a penetrating injection element such as a fluid injection needle mounted on the machine. After penetrating one side of the capsule, a certain amount of pressurized water is injected into the capsule to extract or dissolve the substance and then create a pressurized environment inside the capsule to release the extracted or dissolved substance through the capsule. It comes true. Capsules allowing the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have already been described, for example, in EP 1472156 and EP 1784344 B1. These capsules provide specific features that enclose the beverage ingredients within a chamber closed by a top membrane into which water is injected and by a bottom membrane configured to open further with an increase in water pressure inside the chamber. Upon injection of liquid inside the chamber, the pressure deforms the bottom membrane such that an opening element located proximate to the bottom membrane penetrates the deformed membrane and the beverage prepared inside the chamber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psule, e.g. Provides a passage into the cup.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캡슐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경질 캡슐이다. 이들 캡슐의 재활용가능성 또는 퇴비화가능성 중 어느 하나를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목적에 응답하는 새로운 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se capsules are typically hard capsules made of plastic materials. To improve either the recyclability or compostability of these capsules, new materials that answer these objectives must be used.

특히, 2개의 상이한 해법이 개발될 수 있다:In particular, two different solutions can be developed:

- 하나는 폴리프로필렌(PP) 재료만으로 제조된 캡슐을 제안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재활용가능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실제로, 현재 기존 캡슐에서, 캡슐의 상이한 부분들은 대체적으로 상이한 유형의 재료들로 제조되며, 이는 재활용 공장의 능력에 따라 사용된 캡슐의 재활용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PP로 제조된 몸체 및 상단 멤브레인을 갖는 캡슐은 재활용하기가 더 용이할 것이다.- One is to enable the recyclability of capsules by proposing capsules made only from polypropylene (PP) materials. In fact, in currently existing capsules, different parts of the capsule are typically manufactured from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which can make recycling of used capsules difficult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recycling plant. Capsules with a body and top membrane made of PP will be easier to recycle.

- 다른 하나는 생분해성 재료만으로 제조된 캡슐을 제안함으로써 상기 캡슐의 생분해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other is to enable biodegradability of the capsule by proposing a capsule manufactured only from biodegradable materials.

둘 모두의 상황에서, 재료의 속성이 변경될 때 문제를 직면하였다.In both situations, problems were encountered whe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changed.

100% PP 재료로 제조된 캡슐의 문제는, PP만으로 제조된 상단 멤브레인만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PP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 몸체에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온도가 이러한 PP 멤브레인을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220℃로부터 170 내지 175℃로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는 캡슐의 제조 라인의 열 밀봉 단계에서 적용된다. 열 밀봉은 캡슐의 개방된 상단을 멤브레인으로 덮는 것, 및 이어서 절단 및 가열 헤드를 멤브레인에 대해 밀어내어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의 치수로 절단하고 동시에 멤브레인을 컵에 열 밀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제조 라인에서 이러한 새로운 캡슐을 제조하는 동안, 새로운 제조된 캡슐은 음료 추출 동안 캡슐 내에서 발생된 압력에 대해 더 낮은 저항을 제공한 것으로 관찰되었다.The problem with capsules made of 100% PP material is that by using only top membranes made entirely of PP, the temperature used to seal these PP top membranes to the capsule body must be between 220°C and 170°C to avoid damaging these PP membranes. It should be reduced to 175℃. These temperatures are applied at the heat sealing stage of the capsule manufacturing line. Heat sealing consists of covering the open top of the capsule with a membrane, and then pushing a cutting and heating head against the membrane to cut the top membrane to the dimensions of the capsule and simultaneously heat sealing the membrane to the cup. While manufacturing these new capsules on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line, it was observed that the new produced capsules provided lower resistance to the pressure developed within the capsule during beverage extraction.

상기 언급된 캡슐에 의한 음료 제조의 원리에 기초하여, 하단 개방 수단이 하단 멤브레인을 천공할 때까지, 물의 도입에 추가하여 압력이 캡슐 내측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상단 멤브레인은 하단 멤브레인보다 더 높은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제조 라인으로 제조된 새로운 재활용가능 캡슐에 의해서는, 상단 멤브레인이 음료 추출 동안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Based on the principle of beverage production by capsule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water, the pressure increases inside the capsule until the bottom opening means punctures the bottom membrane. Therefore, to achieve this effect, it is essential that the top membrane can resist higher pressures than the bottom membrane. However, with new recyclable capsules made on current manufacturing lines, the top membrane has been observed to separate from the capsule body during beverage extraction.

밀봉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첫 번째 해법은 170 내지 175℃에서의 열 밀봉의 단계를 연장시키는 것이었지만, 이는 즉시 제조 라인의 다른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조 라인의 속도의 문제를 일으켰고, 무엇보다 시간당 제조된 캡슐의 수를 감소시켰다.One first solution to improve sealing was to extend the stage of heat sealing at 170 to 175°C, but this immediately created problems with the speed of the manufacturing line, which affected other stages of the manufacturing line and, above all, The number of capsules produced was reduced.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된 다른 캡슐의 문제는 또한 캡슐 몸체 상에 상단 멤브레인을 밀봉하는 것이다. 멤브레인 및 캡슐 몸체의 퇴비화가능 재료는 음료 제조 동안 캡슐 내측에서 압력이 증가할 때 쉽게 분리되어, 음료의 정확한 제조를 방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Another problem with other capsules made from biodegradable materials is sealing the top membrane onto the capsule body.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compostable materials of the membrane and capsule body easily separate when pressure increases inside the capsule during beverage preparation, preventing accurate preparation of the beverage.

결과적으로, 캡슐이 제조되는 재료의 속성이 어떠할지라도, 상단 멤브레인은 최소 압력까지 챔버 내의 압력의 상승 동안 어떠한 누설도 없이 챔버를 적절히 폐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음료 성분의 추출 또는 용해 동안 정의된 압력이 보장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As a result, whatever the nature of the material from which the capsule is made, the top membrane needs to properly close the chamber without any leakage during the rise of the pressure within the chamber to a minimum pressure. This is important because a defined pressure needs to be ensured during extraction or dissolution of the beverage ingredi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즉,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파열 저항의 관점에서 더 높은 저항성을 갖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 즉 각각의 음료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캡슐 내의 압력에 더 잘 저항하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disadvantages. That is, 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apsules with higher resistance in terms of burst resistance, i.e. capsules that better resist the pressure within the capsule required to produce the respective beverage.

하기의 설명을 읽을 시에 명백해지는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독립항의 요지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언급한다.These and other objects which will become apparent upon read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resolved by the subject matter of the independent claims. The dependent claims refer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이 제공되며, 상기 캡슐은 가용성 및/또는 추출가능 식품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은,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sule for us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the capsule comprising a soluble and/or extractable food ingredient, the capsule comprising:

- 챔버를 한정하는 캡슐 몸체 - 상기 캡슐 몸체는,- a capsule body defining a chamber - the capsule body comprising:

. 상단 개구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들, 및 . one or more side walls extending axially toward the top opening, and

. 하나 이상의 측벽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 및 . a circumferential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one or more side walls, and

. 하단 음료 출구를 포함함 -, . Includes lower beverage outlet -,

- 상기 원주방향 플랜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고 상단 개구를 폐쇄하고, 캡슐 내로의 액체 주입을 위해 천공되도록 적응된 상단 멤브레인 - 상단 멤브레인 및 플랜지는 공통 평면(P)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됨 -,- a top membrane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flange and closing the top opening, adapted to be perforated for injection of liquid into the capsule, - the top membrane and the flange extending entirely along a common plane (P),

- 챔버 내측에 제공된 하단 멤브레인 - 상단 멤브레인과 상기 하단 멤브레인 사이에 성분 챔버를 한정하게 함 -, 및- a bottom membrane provided inside the chamber, defining a component chamber between the top membrane and said bottom membrane, and

- 챔버 내측에 제공된 개방 디바이스 - 개방 디바이스는 상기 액체의 주입 동안의 성분 챔버의 액체 압력 증가의 영향 하에서 상기 개방 디바이스와 하단 멤브레인과의 상대적 맞물림에 의해 챔버를 개방하도록 적응됨 - 를 포함하고,- an open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he opening device being adapted to open the chamber by relative engagement of the opening device with the bottom membrane under the influence of an increase in liquid pressure in the component chamber during injection of the liquid,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섹션은 공통 평면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고,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ncludes at least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the fixed section exten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a common plane,

상단 멤브레인은 적어도 상기 고정 섹션에 부착된다.The top membrane is attached to at least the fixed section.

원주방향이란, 이러한 고정 섹션이 플랜지의 전체 원주 상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고정 섹션의 형상 형태는 전체 원주를 따라 동일하다.Circumferential means that this fixed section is present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In general, the geometric form of these fixed sections is the same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이러한 고정 섹션은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장된다.These fixed sections transverse to and extend from a common plane P.

이에 의해, 고정 섹션과 상단 멤브레인 사이의 고정 계면은 상단 멤브레인 메인 배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플랜지로부터 상단 멤브레인을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온다.By this, a fixation interface between the fixation section and the top membrane can be provid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top membrane main orientation. This advantageously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top membrane from the flange.

그 결과, 고정 섹션으로부터 상단 평면(P)을 따라 연장되는 상단 멤브레인을 인열하는 데 필요한 강도가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인열에 대한 생성된 힘이 상기 평면에 대해 횡단하기 때문이다.As a result, the strength required to tear the top membrane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section along the top plane P is increased, since the force generated for tearing is transverse to this plane.

고정 섹션으로부터 상단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데에 대한 저항은 멤브레인을 밀봉하기 위한 온도 또는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증가될 수 있다. 약한 부착을 갖는 캡슐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Resistance to removing the top membrane from the fastening section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temperature or time to seal the membrane. Capsule materials with weak adhesion may be used.

따라서, 파열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서의 캡슐의 저항은, 특히, 정의된 (높은) 압력에서의 음료 제조 동안, 매우 비용 효과적이고 용이한 방식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캡슐은 정의된 압력에 저항하는 캡슐의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재료를 선택하는 데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캡슐은 또한, 예컨대 특정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캡슐의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그의 환경 지속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정 섹션의 특정 형상에 의해, 한편으로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많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증가된 재활용가능성 또는 생분해성으로 인해, 더 큰 친환경적인 것과 같은 유리한 특징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멤브레인의 고정부를 개선하기 위해 캡슐의 제조 또는 생성 시 어떠한 추가적인 고정 단계 및/또는 고정하기 위한 추가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상단 멤브레인의 개선된 고정 및 저항의 효과가 특정 횡단 고정 섹션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캡슐의 제조 시 다른 파라미터들은 파열의 관점에서 캡슐의 저항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유리하게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밀봉에 필요한 온도는 열 밀봉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상단 멤브레인 및/또는 캡슐 몸체와 같은 고정 공정에 수반되는 캡슐의 부분들을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킨다.Accordingly, the resistance of the capsule in terms of resistance to rupture is increased in a very cost-effective and easy way, especially during beverage production at defined (high) pressures. Accordingly, the capsule offers great flexibility in material selec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capsule's ability to resist a defined pressure. Accordingly, the capsule also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it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example by selecting its materials in a specific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In particular, the specific shape of the fastening section makes it possible to create materials that, on the one hand, have a greater tendency to separate from the body, but on the other hand have advantageous features such as greater environmental friendliness, for example due to increased recyclability or biodegradability. You can use it. Additionally, no additional fixation steps and/or additional time for fixation are required in the manufacture or creation of the capsule to improve the fixation of the top membrane.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improved fixation and resistance of the top membrane is provided by specific transverse fixation sections. Moreover, other parameter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capsule can be modified to advantage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resistance of the capsule in terms of ruptur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heat sealing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time for heat sealing. This also reduces the risk of damaging parts of the capsule involved in the fastening process, such as the top membrane and/or the capsule body.

횡단 고정 섹션은 상단 개구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리세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recess and/or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protrusion around the top opening.

고정 섹션은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플랜지 상에 원주방향 돌출부, 예컨대 상단 개구 주위에 환형 범프 또는 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챔버의 상단 개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횡단 고정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바람직하게 배열된 복수의 (하나 초과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section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and may form a circumferential projection on the flange, such as an annular bump or ridge around the top opening. These protrusions extend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top opening of the chamber.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may comprise a plurality of (more than one) protrusions preferably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대안적으로, 고정 섹션은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플랜지의 상부 표면 내측에 리세스 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는 챔버의 상단 개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홈을 형성한다. 횡단 고정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바람직하게 배열된 복수의 (하나 초과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astening section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may form a recess or groove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This recess forms an annular groove extending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top opening of the chamber.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may comprise a plurality of (more than one) recesses preferably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다른 실시예에서, 횡단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verse fix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reces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Preferably,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ixation section is:

- 적어도 0.2 mm,- at least 0.2 mm,

- 바람직하게는 최대 0.5 mm의 길이 l만큼 연장되고,- preferably extends by a length l of at most 0.5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 mm로 구성된다.It preferably consists of 0.2 to 0.35 mm.

이러한 길이는 공통 평면(P)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횡단 고정 섹션의 가장 중요한 치수에 대응한다.This length corresponds to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the transverse fixed section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mmon plane P.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치수가 플랜지의 취성화(fragilizing)를 피하기에 매우 중요한 것은 아니다.Preferably, these dimensions are not critical to avoid fragilizing the flange.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0.8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 mm의 폭만큼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 mm로 구성된다.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extends by a width of at least 0.8 mm, preferably at most 2 mm, and preferably consists of 0.8 to 1.8 mm.

이러한 폭은 횡단 고정 섹션의 가장 중요한 치수에 대응한다. 이는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공통 평면(P)을 따라 연장된다.This width corresponds to the most important dimensions of the transverse fixed section. It extends radially and along a common plane (P).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내향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내향 단부에서,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45°의 각도만큼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방향 내향 단부에서,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챔퍼(chamfer)와 같은 스트레이트(straight) 형상을 따라 연장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comprises at least one radially inward end, wherein th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is inclined by an angle of at least 10°, preferably at most 45°. It extends transversely to a common plane (P). Preferably, at said radially inward end,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extends along a straight shape, such as a chamfe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플랜지의 반경방향 내향 단부와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향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radially inward end of the flange and the radially outward end of the flange.

따라서, 상단 멤브레인은 플랜지의 단부들 근처에 부착되지 않고,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이들 2개의 단부들 사이에서 플랜지의 상부 표면 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top membrane is not attached near the ends of the flange, but rather preferably on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between these two ends.

실제로, 제조 공구, 특히 상단 멤브레인을 플랜지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가열 밀봉 다이는 통상 이들 2개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 플랜지의 섹션 상에 열을 인가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동일한 단계에서 이러한 제조 공구가 캡슐 몸체 상의 상단 멤브레인을 가열 및 절단하기 때문이다.In practice, the manufacturing tools, especially the heat seal dies used to attach the top membrane to the flange, are usually designed to apply heat on the section of the flange located between these two ends, which means that in the same step these manufacturing tools This is because the top membrane on the capsule body is heated and cut.

따라서, 본 발명의 현재 구현예에서 그러한 제조 공구의 이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desirable to take advantage of such manufacturing tools in the curren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상단 멤브레인이 플랜지의 전체 상부 표면을 따라 대체적으로 - 내향 단부로부터 외향 단부까지 - 부착될 수 있지만, 상단 멤브레인은 횡단 고정 섹션에만 부착된다.Although the top membrane may be attached generally alo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 from the inward end to the outward end - the top membrane is only attached to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s.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공통 평면(P)에 대해 그리고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플랜지 내측으로 횡단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의 하단은 둥근 형상을 나타낸다.Preferably, th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ing section comprises at least one recess, said recess exten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a common plane P a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into the flange, the lower end of said recess having: It has a round shape.

그러한 형상은, 특히 캡슐 몸체의 제조 동안 몰드로부터의 제거 단계에서, 플랜지 내의 그러한 리세스를 갖는 캡슐 몸체의 용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Such a shape allows easy production of the capsule body with such a recess in the flange, especially at the stage of removal from the mold during production of the capsule body,

- 밀봉 시간을 제외하고는 형상이 캡슐에서 미리 제조되지 않는 경우에 재료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Facilitates material flow in cases where the shape is not pre-manufactured in the capsule, except during sealing time.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리세스의 반경방향 내향 면 및 반경방향 외향 면은 스트레이트 표면들을 나타낸다.Preferably, the radially inward and radially outward surfaces of this recess represent straight surfaces.

그러한 형상은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Such a shape allows:

- 특히 몰드로부터의 제거 단계 동안, 플랜지 내에 그러한 리세스를 갖는 캡슐 몸체의 용이한 제조,- easy production of the capsule body with such a recess in the flange, especially during the removal step from the mold,

- 리세스 내에 가열 및 밀봉 다이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 facilitating the introduction of heating and sealing dies in the recess,

- 밀봉 시간을 제외하고는 형상이 캡슐에서 미리 제조되지 않는 경우에 재료 유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 To facilitate material flow in cases where the shape is not pre-manufactured in the capsule, except during sealing time.

일 실시예에서, 리세스의 반경방향 내향 면 및/또는 반경방향 외향 면은 챔퍼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adially inward and/or radially outward surfaces of the recess may form a chamfer.

적어도 하나의 챔퍼는, 단면도에서, 리세스의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단면도에서, 반경방향 내향 및 반경방향 외향 챔퍼들은 리세스의 나머지에 대해 대칭일 수 있거나, 리세스의 나머지를 통해 지나가는 대칭축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chamfer may form, in cross-section,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shape of the recess. In cross-section, the radially inward and radially outward chamfers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mainder of the recess, or may have an axis of symmetry passing through the remainder of the recess.

대안적으로, 리세스는 반경방향 외향 챔퍼 또는 반경방향 내향 챔퍼만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비대칭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자의 다른 면에는 챔퍼가 형성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플랜지의 상부 편평한 표면에 수직이다.Alternatively, the recess may comprise only a radially outward chamfer or a radially inward chamfer, thereby forming an asymmetric shape. Accordingly, no chamfers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other faces, but are, for example, perpendicular to the upper flat surface of the flange.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이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상승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전술한 리세스에 대응하여 형상화되어, 리세스에 대한 상기 설명이 돌출부에 대응하여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전술한 리세스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If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comprises at least one protrusion rising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said protrusion is shaped correspondingly to the above-described recess, so that the above description of recesses applies correspondingly to protrusions. can do. Preferably, the protrusions are formed complementary to the aforementioned recesses.

통상적으로, 플랜지는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고, 그로부터 돌출부가 돌출되고/되거나 그로부터 리세스가 함몰된다.Typically, the flange comprises a flat surface, from which protrusions protrude and/or recesses recessed therefrom.

일 실시예에서, 캡슐 몸체 및 상단 멤브레인은 동일한 재활용가능 플라스틱으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In one embodiment, the capsule body and top membrane are made from the same recyclable plastic, such as polypropylene.

"재활용가능"은, 캡슐의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단일 유형의 재료로 또는 서로 분리되는 몇몇 유형의 재료들로 변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몸체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고, 상단 멤브레인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캡슐 몸체가 PP로 제조되지만 상단 멤브레인이 PP 및 다른 재료 특히 PET를 포함하는 다층 구성요소인 캡슐과 비교하여 특히 개선된 재활용가능성이 달성된다. 횡단 고정 섹션은 더 낮은 온도의 밀봉에서 서로 간에 PP 재료들의 상이한 부분들의 더 강한 부착을 보장한다.“Recyclable” means that at least part and preferably all of the capsule can be converted into a single type of material or into several types of materials separate from each other. Preferably, the capsule body is made of polypropylene and the top membrane is made of polypropylene. In this way, particularly improved recyclability is achieved compared to capsules where the capsule body is made of PP but the top membrane is a multilayer component comprising PP and other materials, especially PET.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ensures a stronger adhesion of the different parts of the PP materials to each other at lower temperature sealing.

다른 실시예에서, 캡슐 몸체 및 상단 멤브레인은 퇴비화가능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및/또는 퇴비화가능 재료"는 미생물(박테리아, 진균, 조류 등)과 같은 생물(의 작용)에 의해 환경적으로 무해한 생성물로 분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생분해성 재료가 분해되는 환경적으로 무해한 생성물은 물, 이산화탄소, 및 바이오매스일 수 있다. 생분해는 산소가 있는 (호기성) 환경에서 그리고/또는 달리 산소가 없는 (혐기성)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 국제 표준(예컨대, EU13432 또는 USASTMD6400)은, 재료의 퇴비화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적 요건 및 절차를 지정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capsule body and top membrane may be made from compostable and/or biodegradable materials. Here,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material” can be understood as any material that can be decomposed into environmentally harmless products by (the action of) living organisms such as microorganisms (bacteria, fungi, algae, etc.). Environmentally harmless products from which biodegradable materials break down can be water, carbon dioxide, and biomass. Biodegradation can occur in an oxygenated (aerobic) environment and/or in an otherwise oxygen-free (anaerobic) environment. International standards (e.g. EU13432 or USASTMD6400) specify technical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compostability of materials.

횡단 고정 섹션은 서로 간에 퇴비화가능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들의 상이한 부분들의 더 강한 부착을 보장한다.The transversal fastening sections ensure a stronger attachment of the different parts of the compostable and/or biodegradable materials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as described above, comprising:

- 챔버를 한정하는 캡슐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몸체는,- providing a capsule body defining a chamber, said capsule body comprising:

. 상단 개구(23)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들, 및 . one or more side walls extending axially toward the top opening (23), and

. 하나 이상의 측벽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평면(P)을 따라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 및 . a circumferential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one or more side walls and extending along a plane P, and

. 하단 출구를 포함하고, . Includes a bottom outlet,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섹션은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됨 -,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comprises at least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the fixed section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plane P,

- 캡슐 몸체 내측에 개방 디바이스를 도입하는 단계,- introducing an opening device inside the capsule body,

- 캡슐 몸체 내측에 그리고 개방 디바이스 위에 하단 멤브레인을 부착하는 단계,- attaching the bottom membrane inside the capsule body and over the opening device,

- 캡슐 몸체를 음료 성분으로 충전하는 단계,- Filling the capsule body with beverage ingredients,

-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상부 표면에 상단 멤브레인을, 플랜지를 따라 위치된 상단 멤브레인에 가열 다이로 열을 가함으로써,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열 다이는 플랜지의 횡단 고정 섹션과 상보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횡단 고정 섹션 내의 상단 멤브레인을 가열 및 가압한다.- attaching the top membran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body by applying heat to the top membrane positioned along the flange with a heating die, the heating die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transverse fixed section of the flange; The top membrane within at least one transverse fixed section of the capsule is heated and pressurized.

밀봉 다이는 열에 의해 밀봉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밀봉 다이는 열 전도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다이는 단일 또는 모놀리식 부분일 수 있는데, 예컨대 단일 블록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다이는 링의 형태를 갖는다. 밀봉 다이는 금속과 같은 단일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다이는 또한 캡슐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예컨대, 밀봉 섹션과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구 요소는 멤브레인 포일을 절단하거나 펀칭하여 이에 의해 상단 멤브레인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절단 요소를 포함한다. 밀봉 다이는 밀봉 헤드의 형태일 수 있다.The sealing die is adapted to seal by heat. Accordingly, the sealing die may include thermal conductivity. The sealing die may be a single or monolithic part, for example made from a single block of material. Preferably, the sealing die has the shape of a ring. The sealing die may be made of a single material, such as metal. The sealing die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tool elements (eg,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ling section) that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capsule. For example, the one or more tool elements include cutting elements adapted to cut or punch the membrane foil thereby providing a top membrane. The sealing die may be in the form of a sealing head.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 도 1a는 현재 기존 캡슐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기존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 도 2a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상부 부분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2b는 도 2a의 캡슐의 플랜지 내의 리세스의 확대된 부분이다.
-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상부 부분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밀봉 다이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밀봉 다이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 다이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ure 1a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urrently existing capsule, and Figure 1b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isting alternative embodiment.
- Figure 2a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2b is an enlarged part of the recess in the flange of the capsule of Figure 2a.
- Figure 3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4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aps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5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di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6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di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7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di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8 schematically shows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a는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하도록 적응된 기존의 캡슐(1)을 예시한다. 캡슐(1)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22)을 갖는 캡슐 몸체(2)를 포함한다. 측벽은 상단 개구(23)를 향해 연장된다. 상단 개구(23)에서, 몸체는 하나 이상의 측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24)를 포함한다. 플랜지(24)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측벽(22)과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링의 형태로 개구(23) 주위로 연장된다. 플랜지는 상단을 향하는 상부 표면(241)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한다. 하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다. Figure 1a illustrates an existing capsule 1 adapted for use i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The capsule 1 includes a capsule body 2 with one or more side walls 22 extending axially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The side wall extends towards the top opening (23). At the top opening 23, the body includes a circumferential flange 24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one or more side walls. Flange 24 is typically formed integrally with one or more side walls 22. The flange preferably extends around the opening 23 in the form of a closing ring. The flange includes an upper surface 241 facing upward and a lower surface. The lower surface preferably comprises or consists of a flat surface.

대체적으로, 캡슐 몸체의 횡단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원형이고, 플랜지도 또한 도 1b의 사시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다.Generally, the cross-section of the capsule body is circular from bottom to top, and the flange is also circular, as illustrated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1B.

하나 이상의 측벽은 가용성 및/또는 추출가능 음료 성분을 포함하기 위한 챔버(21)를 한정한다.One or more side walls define a chamber 21 for containing soluble and/or extractable beverage ingredients.

이러한 가용성 음료 성분은 수용성 분말 성분이고, 인스턴트 커피 분말, 우유 분말, 크림 분말, 인스턴트 차 분말, 코코아 분말, 수프 분말, 과일 분말 또는 상기 분말들의 혼합물의 목록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분말은 응집되거나 소결될 수 있다.These soluble beverage ingredients are water-soluble powder ingredients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list of instant coffee powder, milk powder, cream powder, instant tea powder, cocoa powder, soup powder, fruit powder or mixtures of the above powders. The powder may be agglomerated or sintered.

패키지 내에 담긴 이러한 음료 성분은 또한, 로스팅되고 분쇄된 커피 또는 찻잎과 같은 추출될 수 있거나 우려낼 수 있는 성분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물은 음료 성분을 추출한다.These beverage ingredients contained within the package may also be brewable or brewable ingredients, such as roasted and ground coffee or tea leaves. In such embodiments, water extracts the beverage ingredients.

캡슐은, 원주방향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거나 밀봉되거나 부착되고 따라서 상단 개구(23)를 덮고 폐쇄하는 상단 멤브레인(3)을 포함한다. 상단 멤브레인(3) 및 플랜지(24)는 상단 개구(23)의 평면에 대응하는 공통 평면(P)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된다.The capsule comprises a top membrane (3) which is fixed, sealed or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top surface (241) of the circumferential flange and thus covers and closes the top opening (23). The top membrane 3 and flange 24 extend entirely along a common plane P corresponding to the plane of the top opening 23 .

이러한 상단 멤브레인은 캡슐 내로 액체 주입을 위해 천공되도록 적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멤브레인은 챔버 내측에 또는 챔버 내로 가압 하에서 추출 액체를 주입하도록 적응된 음료 제조 기계의 주입 바늘에 의해 관통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천공 작업은 WO 2006/082064호 또는 WO 2008/10728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물 주입 바늘에 의해 하나의 단일 장소에서 행해진다.This top membrane is adapted to be perforated for injection of liquid into the capsule. Preferably, the top membrane is pierceable by an injection needle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dapted to inject extraction liquid under pressure into or into the chamber. Preferably, the drilling operation is carried out in one single location by means of a water injection needle as described in WO 2006/082064 or WO 2008/107281.

용어 "상단 멤브레인"은, 캡슐(1)의 반대편 측부 상에 위치된 멤브레인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하단 멤브레인"(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음)과는 대조적으로, 기계의 주입 바늘에 의해 관통되는 멤브레인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는, 캡슐 및 기계 둘 모두가 기능적 방식으로 맞물릴 때, "상단" 및 "하단" 멤브레인들이 기계 내의 캡슐(1)의 위치에 어떠한 위치든지 한정되도록 한다.The term "top membrane" refers to the membrane pierced by the injection needle of the machine, in contrast to the "bottom membrane" (as described below), which is to be understood as the membran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sule 1. It must be understood. This definition allows the “top” and “bottom” membranes to be defined at any position at the position of the capsule 1 within the machine, when both the capsule and the machine are engaged in a functional manner.

캡슐은 챔버(21)의 하단을 폐쇄하는 하단 멤브레인(4)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용성 및/또는 추출가능 음료 성분은 상단 멤브레인과 하단 멤브레인 사이에 둘러싸인다. 상단 및 하단 멤브레인들은 음료의 제조를 위해 음료 성분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챔버의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The capsule includes a bottom membrane (4) that closes the bottom of the chamber (21). Accordingly, the soluble and/or extractable beverage ingredients are surround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membranes. The top and bottom membranes define an interior space of the chamber configured to hold beverage ingredients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분배기 벽(9)은 성분을 위한 하위 서브-챔버 및 액체를 위한 상위 분배 챔버를 한정하는 챔버의 내부 단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분배기 벽은 성분 상에 액체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작은 구멍들을 포함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ributor wall 9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chamber defining a lower sub-chamber for the components and an upper distribution chamber for the liquid. This distributor wall contains small holes to distribute the liquid evenly over the ingredients.

캡슐은 상기 액체의 주입 동안 챔버 내의 액체 압력 상승의 영향 하에서 하단 멤브레인(4)과의 상대적 맞물림에 의해 챔버를 개방하도록 적응된 개방 디바이스(5)를 포함한다. 개방 디바이스(5)는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강성 플레이트는 하단 멤브레인(4)을 향해 상향으로 방향전환된 그의 표면 상의 스파이크와 같은 개방 요소를 포함한다. 개방 디바이스(5)는 대체적으로 "피라미드 플레이트"로 지칭될 수 있다. 챔버(4) 내측에 액체 주입 시, 하단 멤브레인이 관통될 때까지, 압력이 축적되어, 개방 수단(5)에 대해 하단 멤브레인(4)을 변형시켜, 캡슐(1) 각각의 챔버(21) 내측에서 제조된 음료가 개방 디바이스(5) 아래로 향하게 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capsule comprises an opening device (5) adapted to open the chamber by relative engagement with the bottom membrane (4) under the influence of a rise in liquid pressure in the chamber during injection of said liquid. The opening device 5 may comprise a rigid plate, which comprises opening elements such as spikes on its surface directed upward towards the bottom membrane 4 . The opening device 5 may alternatively be referred to as a “pyramid plate”. Upon injection of liquid inside the chamber (4), pressure builds up until the lower membrane is pierced, deforming the lower membrane (4) against the opening means (5), thereby forcing the capsule (1) inside each chamber (2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everage prepared in is directed downward to the open device (5).

캡슐 몸체는 그의 하단에 그리고 개방 디바이스(5) 아래에 하단 음료 출구(25)를 포함한다. 캡슐 몸체의 하단은 바람직하게는 개방 수단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개방 수단을 보유하고 음료를 이러한 음료 출구(25)에 수집하여, 음료를 캡슐(1)의 외측에, 예를 들어, 컵(예시되지 않음) 내로 분배하게 한다.The capsule body comprises a bottom beverage outlet (25) at its bottom and below the opening device (5). The lower end of the capsule body preferably extends below the opening means, which retains said opening means and collects the beverage into this beverage outlet 25, thereby placing the beverage on the outside of the capsule 1, for example in a cup (example (does not work) distributed within.

상단 멤브레인(3)은, 챔버(21) 내로 주입되는 추출 액체가 내부의 압력 증가를 이루고 개방 디바이스(5)에 의해 변형된 하단 멤브레인(4)의 관통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압력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플랜지(24)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단 멤브레인(3)은, 적어도 챔버 내측의 한정된 압력이 달성될 때까지 그것이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플랜지에 고정된다. 이러한 한정된 압력은 적어도 2 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바 또는 적어도 6 바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화는 캡슐(1)이 음료 제조 동안 플랜지와 상단 멤브레인 사이의 계면을 통해 누출되지 않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The upper membrane (3)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extraction liquid injected into the chamber (21) achieves an internal pressure increase and reaches the pressure necessary to achieve penetration of the lower membrane (4), which is deformed by the opening device (5). It is fixed to the flange (24). The top membrane 3 is thus fixed to the flange in such a way that it cannot be separated, at least until a defined pressure inside the chamber is achieved. This defined pressure may be at least 2 bar, preferably at least 3 bar or at least 6 bar. Thereby, the immobilization results in the capsule 1 not leaking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flange and the top membrane during beverage produc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상부 부분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캡슐의 나머지는 도 1의 캡슐과 유사하다. Figure 2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is shown. The remainder of the capsule is similar to the capsule in Figure 1.

이러한 캡슐에서,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은 상단 멤브레인(3)이 부착되는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을 포함한다. 원주방향이란, 이러한 고정 연장부가 단면도의 좌측 및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의 전체 원주 상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은 열 밀봉에 의해 상기 영역에 고정되며, 멤브레인은 캡슐 플랜지의 상부 표면을 향하는 그의 하부 면에 열 밀봉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In this capsule, the upper surface 241 of the flange comprises a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to which the top membrane 3 is attached. Circumferentially means that this fixed extension is present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as sho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oss-sectional view. Preferably, the membrane is secured to said area by heat sealing, the membrane comprising a heat sealant component on its lower sid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flange.

횡단 고정 섹션은 상단 멤브레인, 플랜지 및 상단 개구의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된다. 횡단은, 이러한 고정 섹션이 이러한 평면(P)에 있지 않지만, 상기 평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섹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71)은 평면(P)에 대해 비교적 기울어지거나 경사진다. 도 2b는 고정 섹션의 반경 방향 내향 단부(73)에서 평면(P)과 각도(α)를 형성하는 일부분(71)의 경사진 평면 표면을 예시한다.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extends transversely to a common plane (P) of the top membrane, flange and top opening. Transverse means that this fixed section is not in this plane P, but extend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is plane. As a result,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71 of the fixed section is tilted or tilted relative to the plane P. Figure 2b illustrates the inclined planar surface of the portion 71 forming an angle α with the plane P at the radially inward end 73 of the fastening section.

바람직하게는,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0.2 mm의 길이 l만큼 연장된다. 이러한 길이는 예시된 바와 같이 공통 평면(P)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횡단 고정 섹션의 가장 중요한 치수에 대응한다.Preferably,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extends by a length l of at least 0.2 mm. This length corresponds to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the transverse fixed section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mmon plane P as illustrated.

플랜지는 하나 이상의 편평한 섹션(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의 상부 부분은 하나 이상의 편평한 부분(6) 및 횡단 고정 섹션(7)으로 이루어진다. 편평한 부분들(6) 각각은 편평한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러한 편평한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평면(P)을 따라 연장된다. 하나의 제1 편평한 부분(6)은 횡단 고정 섹션(7)에 대해 반경방향 내향하고, 제2 편평한 부분(6)은 상기 고정 섹션(7)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한다. 선택적으로, 상단 멤브레인(3)은 하나 이상의 편평한 부분(6)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단 멤브레인(3)은 단지 횡단 고정 섹션(7)에만 고정될 수 있다.The flange may comprise one or more flat sections (6). Preferably, the upper part of the flange consists of one or more flat parts (6) and a transverse fixed section (7). Each of the flat portions 6 comprises a flat surface, which preferably extends along a plane P. One first flat portion 6 faces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and the second flat portion 6 faces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section 7 . Optionally, the top membrane (3) is not fixed to the one or more flat parts (6). Accordingly, the top membrane (3) can only be fastened to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도 2a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섹션(7)은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으로부터 플랜지(24) 내측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리세스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는, 단면도에서, 하단의 둥근 오목 형상(72)을 둘러싸는 2개의 스트레이트 챔퍼(71)를 가질 수 있고, 챔퍼(71) 및 오목 형상(72)은 바람직하게는 개구(23)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Figure 2a, the fastening section 7 is a recess extending transversely into the flange 24 from the upper surface 241 of the flange. As shown in Figure 2a, the recess can have, in cross-section, two straight chamfers 71 surrounding a bottom round concave shape 72, with the chamfers 71 and the concave shape 72 being preferred. It extends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23.

따라서, 상단 멤브레인(3)은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고정 섹션(7)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특히, 상단 멤브레인(3)이 개구(6)를 덮는 단일 평면(P)을 따라 고정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대신, 상단 멤브레인(3)은 부분들(71, 72)에 의해 제공되는 상이한 방향들을 따라 고정된다. 따라서, 그것이 파단되거나 분리될 때까지 고정부를 인열하는 데 필요한 강도가 증가된다. 특히, 물의 충전으로 인해 캡슐 내측에 압력이 증가할 때, 상기 물은 측벽(22)과 플랜지(24) 사이의 교차부(241a)에 힘을 가하고, 상기 힘은 화살표(A)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3)을 플랜지(24)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멀어지게 밀어낸다. 이러한 힘은 플랜지로부터 편평한 부분(6)을 따라 상단 멤브레인(3)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횡단 고정 섹션(7)에서, 이러한 고정 섹션의 새로운 배향은 멤브레인 및 플랜지의 밀봉에 대한 상향으로 배향된 힘의 영향을 감소시킨다.Accordingly, the top membrane 3 is fixed to the fastening section 7 in a very advantageous way. This fixation has the effect in particular that the top membrane 3 is not fixed along a single plane P covering the opening 6 . Instead, the top membrane 3 is fixed along the different directions provided by the parts 71, 72. Accordingly, the strength required to tear the fixture until it breaks or separates is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apsule increases due to the filling of water, the water exerts a force on the intersection 241a between the side wall 22 and the flange 24, and the force is illustrated by arrow A. As shown, the membrane 3 is pushed upward and away from the flange 24. This force may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top membrane 3 along the flat portion 6 from the flange. However, in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the new orientation of this fastening section reduces the influence of upwardly oriented forces on the sealing of the membrane and flang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섹션(7)은 반경방향 외향 챔퍼 및 반경방향 내향 챔퍼(71)를 포함하고, 상단 멤브레인(3)은 이들 둘 모두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랜지와 상단 멤브레인 사이의 고정은 훨씬 더 개선되는데, 이는 이러한 부분들 사이의 고정이 훨씬 더 상이한 방향들로 존재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ure 2a, the fastening section 7 comprises a radially outward chamfer and a radially inward chamfer 71, to which the top membrane 3 is fastened. In this way, the fastening between the flange and the top membrane is much improved, since the fastening between these parts is in much different directions.

캡슐은 특정 재료로 제한되지 않는다.Capsule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ingredients.

일 실시예에서, 캡슐 몸체(2)는 재활용가능하고/하거나 단일 재료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캡슐 몸체(2) 및 상단 멤브레인(3). 따라서, 이러한 둘 모두의 요소들은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을 구현함으로써 더 낮은 온도에서 열 밀봉에 의해 함께 강하게 밀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psule body 2 is recyclable and/or consists of a single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In particular, the capsule body (2) and the top membrane (3). Accordingly, both of these elements can be tightly sealed together by heat sealing at lower temperatures by implementing a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

다른 실시예에서, 캡슐, 특히 캡슐 몸체(2) 및 상단 멤브레인(3)은 퇴비화가능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둘 모두의 요소들의 퇴비화가능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들 사이의 밀봉이 약하더라도, 이들의 부착은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으로 보강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apsule, particularly the capsule body 2 and top membrane 3, may be made from compostable and/or biodegradable materials. Therefore, even if the seal between the compostable and/or biodegradable materials of both these elements is weak, their attachment can be reinforced with th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캡슐(1)은,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의 단면 형상이 상이한, 즉 반경방향 내향 챔퍼(71)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실시예에 대응한다. Figure 3 exemplarily shows a capsule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sule 1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2 a except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is different, ie the radially inward chamfer 71 is not present.

예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74)는 돌출부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플랜지 위로 횡단하여 연장된다.In other embodiments not illustrated, recess 74 may be replaced with a protrusion. That is, th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extends transversely over the flan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도 2a 및 도 3에서 평면(P)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의 상부 표면에 대해 함몰된 리세스 대신, 돌출부가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도 2a 및 도 3에 예시된 리세스의 형상에 상보적으로 형상화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개구(6)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리지와 같은 리지를 포함한다.2a and 3 instead of a recessed recess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extending along plane P, a protrusion protrudes. These protrusions may include shapes complementary to the shapes of the recesses illustrated in FIGS. 2A and 3 . Preferably, the protrusion comprises a ridge, such as an annular ridge, extending around the opening 6.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예시되지 않은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의 상부 표면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other embodiment not illustrated,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may include:

-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플랜지 위로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at least one projection as previously described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over the flange transversely to a common plane P; and

- 플랜지 위에서 플랜지의 상부 표면 내측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at least one recess as described above extending above the flange and transversely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돌출부(들) 및 리세스(들)는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다.The protrusion(s) and recess(s) are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상부 부분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Figure 4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capsule is shown.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은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고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향 단부(241b)에 위치된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7)은 상단 멤브레인(3)이 부착된 평면 챔퍼(71)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241 of the flange is transverse to the common plane P and comprises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7 located at the radially outward end 241b of the flange. The fixed section (7) consists of a flat chamfer (71) to which a top membrane (3) is attached.

이러한 실시예는, 대체적으로 제조 동안,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 몸체에 부착하는 것이 먼저 멤브레인을 원하는 치수로 절단하고 이어서 이를 리세스(7)에 부착하는 2개의 상이한 단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This embodiment is less preferred because, generally during manufacturing, attaching the top membrane to the capsule body requires two different steps: first cutting the membrane to the desired dimensions and then attaching it to the recess 7.

도 5는 도 2a에 예시된 캡슐의 제조에 사용되는 밀봉 다이(100A)의 단면을 도시한다. 밀봉 다이(100A)는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고정 섹션에 상단 멤브레인을 밀봉하고 따라서 고정하도록 적응된다. 밀봉 다이(100A)는 캡슐의 플랜지(241)에 대해 멤브레인을 가압 및 가열하여 상단 멤브레인(3)을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고정 섹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환형 밀봉 섹션(170A)을 포함한다. FIG. 5 shows a cross-section of a sealing die 100A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apsule illustrated in FIG. 2A. The sealing die 100A is adapted to seal and thus secure the top membrane to the fixed section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body. The sealing die 100A includes an annular sealing section 170A configured to press and heat the membrane against the flange 241 of the capsule to secure the top membrane 3 to the fixed section of the flange 241 of the capsule body.

밀봉 다이의 환형 가열 부분(170A)은 도 2a의 캡슐의 플랜지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에 보완적인 형상 및 상기 부분(170A)의 외부 표면이 캡슐의 횡단 고정 섹션의 외부 표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러한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상단 멤브레인이 횡단 고정 섹션의 전체 표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도록 직경을 갖는 환형 형상을 나타낸다.The annular heating portion 170A of the sealing die has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in Figure 2a and the outer surface of this portion 170A is loca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of the capsule. and has an annular shape with a diameter such that the top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se surfaces can be attached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이러한 이유로, 환형 가열 부분(170A)은 2개의 챔퍼(171) 그리고 2개의 챔퍼(71)의 네거티브 형상 또는 컨포멀 형상 및 도 2a의 캡슐의 횡단 고정 섹션(71)의 오목 형상(72)에 대응하는 중간 볼록 부분(17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낸다.For this reason, the annular heating part 170A corresponds to the two chamfers 171 and the negative or conformal shape of the two chamfers 71 and the concave shape 72 of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1 of the capsule in Figure 2a. It shows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middle convex portion 172.

캡슐의 캡슐 상단 개구 및 플랜지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P)을 따라 연장되는 상단 멤브레인(3) 상에 고온 가열 다이를 가압함으로써, 환형 가열 부분(170A)은 캡슐의 대응하는 횡단 고정 섹션(71) 내측에 진입하고 그것을 고정한다.By pressing the high-temperature heating die on the top membrane 3 extending along the plane P defined by the capsule top opening and flange of the capsule, the annular heating portion 170A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ransverse fixed section 71 of the capsule. Enter the medial side and secure it.

유사한 방식으로, 도 6은 예시적으로, 도 3에 예시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봉 다이(100B)의 단면을 도시한다.In a similar manner, Figure 6 exemplarily shows a cross-section of a sealing die 100B used to manufacture the capsule illustrated in Figure 3.

이러한 이유로, 환형 가열 부분(170B)은 단지 하나의 챔퍼(171) 그리고 챔퍼(71)의 네거티브 형상 또는 컨포멀 형상 및 도 3의 캡슐의 횡단 고정 섹션(71)의 오목 형상(72)에 대응하는 볼록 부분(17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낸다.For this reason, the annular heating part 170B has only one chamfer 171 and a negative or conformal shape of the chamfer 71 and a concave shape 72 of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1 of the capsule in FIG. 3 .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onvex portion 172 is shown.

유사한 방식으로, 도 7은 예시적으로, 다른 유형의 캡슐(예시되지 않음)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봉 다이(100C)의 단면의 일부분을 도시한다.In a similar manner, Figure 7 exemplarily shows a portion of a cross-section of a sealing die 100C used to manufacture other types of capsules (not shown).

환형 가열 부분(170C)은 하나의 볼록 부분(172) 및 반경방향 외향으로 위치된 평면 부분(173)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낸다.The annular heating portion 170C represents a cross-section comprising one convex portion 172 and a radially outwardly located planar portion 173.

이러한 가열 다이(170)로 상단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될 캡슐은 둥근 오목 형상인 환형 가열 부분(170C)의 네거티브 형상 또는 컨포멀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는 플랜지를 제공한다. 상단 멤브레인은 이러한 오목 형상을 따라 그리고 캡슐의 평면(P)을 따라 연장되고 오목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부분에 위치된 평면 부분을 따라 밀봉된다.The capsule to be sealed by the top membrane with this heating die 170 is provided with a flange contain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or conformal shape of the annular heating portion 170C, which is roundly concave in shape. The top membrane extends along this concave shape and along the plane P of the capsule and is sealed along a planar portion locat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oncave portion.

상단 멤브레인의 일부분이 캡슐의 플랜지의 상부 편평한 표면에 부착될 때, 이러한 부분은 횡단 고정 섹션과 비교하여 반경방향 외향으로 위치되는 플랜지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art of the top membrane is attached to the upper flat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this part is preferably attached to a part of the flange that is located radially outwardly compared to the transverse fixed section.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들인 환형 가열 부분(170A, 170B, 170C)이 리세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는 캡슐의 플랜지의 상부 표면에 돌출부의 형상에 상보적으로 형상화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nnular heating portions 170A, 170B, 170C, which are protrusions, may be replaced by recesses. For example, the recess may include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따라서 돌출부에 대한 상기 설명은 리세스에 유사하게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of protrusions therefore applies analogously to recesses.

도 8에서, 캡슐(1)을 제조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제조 장치(예컨대, 제조 라인)가 도시되어 있다. 캡슐(1)은 전술한 도 2a 또는 도 3의 캡슐일 수 있다. 제조 장치는 전술된 밀봉 다이들(100A, 100B) 중 하나 이상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100)를 적어도 포함한다.In Figure 8 , an exemplary manufacturing apparatus (eg manufacturing line) is shown carrying ou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apsules 1. The capsule 1 may be the capsule of FIG. 2A or FIG. 3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a holding device 100, such as one or more of the sealing dies 100A, 100B described above.

제1 단계(a)에서, 캡슐 몸체(2)가 제공된다. 단계(a) 전에, 개방 디바이스(5), 하단 멤브레인 및 음료 성분을 상단 개구를 통해 도입시켰다. 또한, 미가공 재료(30)가 캡슐 몸체(2)와 고정 디바이스(100) 사이에 제공된다. 미가공 재료(30)는 포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단계(a)에서, 고정 디바이스(100)가 초기 위치에 있다.In the first step (a), a capsule body (2) is provided. Before step (a), the open device (5), bottom membrane and beverage ingredients were introduced through the top opening. Additionally, raw material 30 is provided between the capsule body 2 and the fastening device 100 . Raw material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oil. In the first step (a), the stationary device 100 is in an initial position.

제2 단계(b)에서, 고정 디바이스(100)는 상단 멤브레인을 절단하고 캡슐 몸체(2)의 고정 섹션(7)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열 밀봉을 수행한다. 고정 단계는 고정 디바이스(100)에 의해 접촉되는 상단 멤브레인(3)에 열을 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단 멤브레인(3)이 고정 섹션(7)에 고정된다.In the second step (b), the fastening device 100 cuts the top membrane and performs heat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e fastening section 7 of the capsule body 2. The fixing step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heat to the top membrane 3 contacted by the fixing device 100 . In this way, the top membrane (3) is fixed to the fastening section (7).

일단 상단 멤브레인(3)이 고정 섹션(7)에 고정되면, 고정 섹션(7)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8)의 유리한 고정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달성된다.Once the top membrane 3 is fixed to the fastening section 7, an advantageous fastening of the top membrane 8 to the fastening section 7 is achieved as described above.

선택적인 제3 단계(c)에서, 고정 디바이스(100)는 이동 축을 따라 그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미가공 재료(20)의 나머지는 유지되고 후속적으로 추가의 캡슐(1)을 제조하기 위해 단계(a) 내지 단계(c)를 반복하도록 추가로 이동할 수 있다.In an optional third step (c), the stationary device 100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along the axis of movement. By this, the remainder of the raw material 20 is retained and can subsequently be moved further to repeat steps (a) to (c) to produce further capsules (1).

yes

하기에서, 캡슐이 본 발명에 따르는 예가 비교예와 비교하여 기술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of capsu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described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각각의 예에서, 파열에 대한 캡슐의 저항이 측정된다. 그러한 측정을 위한 절차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기밀 조건 하에서 벨 형상부(bell) 내에 테스트될 캡슐을 배치하는 단계; b) 벨 형상부 내측에 그리고 캡슐의 하단에서의 구멍을 통해 압축 공기(6 바)를 도입하고 벨 형상부 내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테스트되는 캡슐은 비어 있을 수 있거나(피라미드 플레이트가 없고 몸체의 하단에 하단 (알루미늄) 멤브레인이 없음), 또는 피라미드 플레이트 및 하단 (알루미늄) 멤브레인이 존재하는 경우, 하단 구멍을 통해 도입된 공기는 (알루미늄) 하단 멤브레인 또는 벽을 용이하게 관통하고; 이러한 경우들 둘 모두에서, 상단 멤브레인의 파열 저항의 관점에서의 결과는 동일하며; c) 상단 멤브레인의 파열을 기다리고 상응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In each example, the capsule's resistance to rupture is measured. The procedure for such measurements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placing the capsule to be tested in a bell under airtight conditions; b) introducing compressed air (6 bar) inside the bell shape and through a hole at the bottom of the capsule and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bell shape; The capsule being tested can be empty (no pyramid plate and no bottom (aluminum) membrane at the bottom of the body), or, if a pyramid plate and bottom (aluminum) membrane are presen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bottom hole is (aluminium) ) easily penetrates the bottom membrane or wall; In both of these cases, the results in terms of the rupture resistance of the top membrane are the same; c) Waiting for the rupture of the top membrane and measuring the corresponding pressure.

예 1 ― 비교예Example 1 - Comparative example

본 비교예에 따른 캡슐은 멤브레인을 위한 고정 섹션을 갖는 편평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섹션은 서로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는 어떠한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 섹션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220℃의 온도의 열로 수행한다. 상단 멤브레인은 재활용불가능하고 층 구조 PET/alu/PP를 갖는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확인될 개수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comprises a capsule body with a flat flange with a fastening section for the membrane. Accordingly, the fixed sections do not include any parts extending transversely to each other.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is fixed section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220°C. The top membrane is non-recyclable and has a layered structure of PET/alu/PP.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number to be determined)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

음료 제조 기계(예를 들어, NDG "

Figure pct00002
" 기계) 내측에서 정확하게 추출되기 위해,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저압에서 추출되는 제품에 대해 적어도 2.1 바 그리고 고압에서 추출되는 다른 제품에 대해 적어도 3.0 바의 파열 압력을 제공한다.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e.g. NDG "
Figure pct00002
In order to be extracted correctly from the inside (machine), the capsule preferably provides a bursting pressure of at least 2.1 bar for products extracted at low pressure and at least 3.0 bar for other products extracted at high pressure.

예 2 ― 비교예Example 2 - Comparative example

본 비교예에 따른 캡슐은 멤브레인을 위한 고정 섹션을 갖는 편평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섹션은 서로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는 어떠한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고정 섹션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175℃의 온도의 열로 수행한다. 상단 멤브레인은 PP로 제조된 재활용가능 다층 단일 재료 멤브레인이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확인될 개수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comprises a capsule body with a flat flange with a fastening section for the membrane. Accordingly, the fixed sections do not include any parts extending transversely to each other.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is fixed section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175°C. The top membrane is a recyclable multilayer single material membrane made of PP.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number to be determined)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압력이 너무 낮아 음료 기계에서 이들 캡슐의 추출을 할 수 없다. 멤브레인은 음료 제조 동안 탈층될 것이다.As can be derived from these results, the bursting pressure is too low for extraction of these capsules in beverage machines. The membrane will delaminate during beverage production.

예 3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3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예에 따른 캡슐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것과 같은 대칭 설계를 갖고 홈으로서 리세스를 포함하는 고정 섹션을 구비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이들 부분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220℃의 온도의 열로 수행된다. 상단 멤브레인은 재활용불가능 멤브레인이고 밀봉된 층 구조 PET/alu/PP를 갖는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였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has a symmetrical design as illustrated in Figures 2a and 2b and comprises a capsule body with a flange with a fixed section comprising a recess as a groove.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ese parts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220°C. The top membrane is a non-recyclable membrane and has a sealed layer structure of PET/alu/PP.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압력의 값은 비교예 1의 값에 필적한다.As can be seen, the values of burst pressure are comparable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예 4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4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예에 따른 캡슐은, 도 3의 동일한 대칭 설계를 갖는 홈으로서 리세스를 포함하는 고정 섹션을 구비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칭 설계는 서로에 대해 횡단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단 멤브레인은 이들 부분들에 밀봉되고 그에 따라서 고정된다. 이들 부분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175℃의 온도의 열로 수행된다. 상단 멤브레인은 재활용가능 다층 모노-재료 PP 멤브레인이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comprises a capsule body with a flange with a fixed section comprising a recess as a groove with the same symmetrical design as in FIG. 3 . Accordingly, the symmetrical design includes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transverse to each other, and the top membrane is sealed to these parts and secured accordingly.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ese parts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175°C. The top membrane is a recyclable multilayer mono-material PP membrane.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압력의 최소 값은 증가하였고 항상 2.1 바 초과이며, 이는 편평한 플랜지(비교예 2)를 갖는 동일한 캡슐의 값과 비교하여 명확한 증가를 의미한다.As can be seen, the minimum value of burst pressure increases and is always above 2.1 bar, which means a clear increase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same capsule with a flat flange (Comparative Example 2).

예 5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5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비교예에 따른 캡슐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비대칭 설계를 갖는 홈으로서 리세스를 포함하는 고정 섹션을 구비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섹션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220℃의 온도의 열로 수행한다. 상단 멤브레인은 층 구조 PET/alu/PP를 갖는 재활용불가능 멤브레인이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였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is comparative example includes a capsule body having a flange with a fixed section including a recess as a groove with an asymmetric design as illustrated in FIG. 3 .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is fixed section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220°C. The top membrane is a non-recyclable membrane with a layer structure PET/alu/PP.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압력의 값은 음료 기계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캡슐을 갖는 기준인 비교예 1의 값과 비교하여 개선된다.As can be seen, the values of burst pressure are improved compared to the values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baseline with capsules operating efficiently in beverage machines.

예 6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6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예에 따른 캡슐은, 도 3에 예시된 동일한 비대칭 설계를 갖는 홈으로서 리세스를 포함하는 고정 섹션을 구비한 플랜지를 갖는 캡슐 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섹션에 대한 상단 멤브레인의 밀봉은 175℃의 온도의 열로 수행한다. 상단 멤브레인은 재활용가능 다층 모노-재료 PP 멤브레인이다. 파열 압력 측정은 일련의 그러한 캡슐들에 대해 수행하고, 하기 결과를 제공하였다(압력은 캡슐이 파열되는 압력, 즉 상단 멤브레인이 캡슐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출을 초래하는 압력을 나타냄):The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comprises a capsule body with a flange with a fixed section comprising a recess as a groove with the same asymmetrical design illustrated in FIG. 3 . Sealing of the top membrane to this fixed section is carried out with heat at a temperature of 175°C. The top membrane is a recyclable multilayer mono-material PP membrane. Burst pressur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a series of such capsules and gave the following results (pressure represents the pressure at which the capsule ruptures, i.e. the pressure at which the top membrane separates from the capsule body, causing leakage):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열 압력의 최소 값은 증가하였고 평균이 항상 2.1 바 초과이며, 이는 편평한 플랜지(비교예 2)를 갖는 동일한 캡슐의 값과 비교하여 명확한 증가를 의미한다.As can be seen, the minimum value of the bursting pressure has increased and is always above 2.1 bar on average, which represents a clear increase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same capsule with a flat flange (Comparative Example 2).

예 7 ― 비교예Example 7 - Comparative example

생분해성 재료, 즉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로 제조된 캡슐 몸체, 및 PHA로 또한 제조된 120 마이크로미터 상단 멤브레인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완전히 편평한 고정 섹션에 고정시켰다. 평균 파열 압력은 8 바였다.Capsules were made with a capsule body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polyhydroxyalkanoate (PHA), and a 120 micrometer top membrane also made from PHA. The top membrane was fixed to a completely flat fixed section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body. The average burst pressure was 8 bar.

예 8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8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로 제조된 캡슐 몸체, 및 PHA로 또한 제조된 120 마이크로미터 상단 멤브레인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고정 섹션에 고정시켰는데, 여기서 고정 섹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내에 홈을 갖는 비대칭 형상을 포함한다. 평균 파열 압력은 10 바였다.Capsules were made with a capsule body made of polyhydroxyalkanoate (PHA), and a 120 micrometer top membrane also made of PHA. The top membrane was fixed to a fixed section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body, where the fixed section comprises an asymmetric shape with grooves in the flange as shown in Figure 3. The average burst pressure was 10 bar.

따라서, 상단 멤브레인이 고정되는 고정 섹션의 비대칭 형상은 비교예 7에서 8 바의 평균으로부터 10.5 바의 평균으로 파열 압력이 증가되게 한 효과를 가져왔다.Accordingly, the asymmetric shape of the fixing section to which the top membrane is fixed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urst pressure from an average of 8 bar to an average of 10.5 bar in Comparative Example 7.

예 9 - 본 발명에 따른 예Example 9 -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생분해성 재료, 즉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로 제조된 캡슐 몸체, 및 PHA로 또한 제조된 150 마이크로미터 상단 멤브레인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상단 멤브레인을 캡슐 몸체의 플랜지의 고정 섹션에 고정시켰는데, 여기서 고정 섹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내에 홈을 갖는 비대칭 형상을 포함한다. 예 8과 비교하여, 홈의 깊이를 2 mm로부터 0.5 mm로 변경하였다. 평균 파열 압력은 10 바로부터 11 바로 증가하였다.Capsules were made with a capsule body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 polyhydroxyalkanoate (PHA), and a 150 micrometer top membrane also made from PHA. The top membrane was fixed to a fixed section of the flange of the capsule body, where the fixed section comprises an asymmetric shape with grooves in the flange as shown in Figure 3. Compared to Example 8, the depth of the groove was changed from 2 mm to 0.5 mm. The average burst pressure increased from 10 bar to 11 bar.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캡슐, 밀봉 다이, 및 본 방법에 대한 제조 장치의 다른 설계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여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s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designs of capsules, sealing dies,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e present method may also be used.

도면 부호의 목록 :List of drawing symbols: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Claims (12)

음료 제조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1)로서, 상기 캡슐은 가용성 및/또는 추출가능 음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은,
- 챔버(21)를 한정하는 캡슐 몸체(2) - 상기 캡슐 몸체는,
. 상단 개구(23)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들(22), 및
.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24), 및
. 하단 음료 출구(25)를 포함함 -,

- 상기 원주방향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상단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캡슐 내로의 액체 주입을 위해 천공되도록 적응된 상단 멤브레인(3) - 상기 상단 멤브레인 및 상기 플랜지는 공통 평면(P)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됨 -,
- 상기 챔버(21) 내측에 제공된 하단 멤브레인(4) - 상기 상단 멤브레인(3)과 상기 하단 멤브레인 사이에 성분 챔버를 한정하게 함 -, 및
- 상기 캡슐 몸체(2) 내측에 제공된 개방 디바이스(5) - 상기 개방 디바이스(5)는 상기 액체의 주입 동안의 상기 성분 챔버의 액체 압력 증가의 영향 하에서 상기 개방 디바이스의 상기 하단 멤브레인(4)과의 상대적 맞물림에 의해 상기 성분 챔버를 개방하도록 적응됨 -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고,
상기 상단 멤브레인(3)은 적어도 상기 고정 섹션(7)에 부착되는, 캡슐(1).
Capsule (1) for us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said capsule comprising soluble and/or extractable beverage ingredients, said capsule comprising:
- a capsule body (2) defining the chamber (21) - the capsule body,
. one or more side walls (22) extending axially toward the top opening (23), and
. a circumferential flange (24)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one or more side walls, and
. Includes lower beverage outlet (25) -,
and
- a top membrane (3)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top surface (241) of the circumferential flange, closing the top opening and adapted to be perforated for injection of liquid into the capsule, - the top membrane and the flange having a common extending entirely along the plane (P) -,
- a bottom membrane (4) provided inside the chamber (21), which defines a component chamber between the top membrane (3) and the bottom membrane, and
- an opening device (5) provided inside the capsule body (2) - the opening device (5) is connected to the bottom membrane (4) of the opening device under the influence of an increase in liquid pressure in the component chamber during injection of the liquid. adapted to open the component chamber by relative engagement of -
The upper surface (241) of the flange comprises at least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7), the fixed section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common plane (P),
Capsule (1), wherein the top membrane (3) is attached to at least the fastening section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고정 섹션(7)은 상기 상단 개구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리세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캡슐(1).Capsule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may compris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recess and/or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protrusion around the top open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내향 단부(241a)와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향 단부(241b) 사이에 위치되는, 캡슐(1).Capsu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ixing section (7) is located between the radially inward end (241a) of the flange and the radially outward end (241b) of the flange. (On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0.2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0.5 mm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 mm로 구성되는, 캡슐(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extends by a length of at least 0.2 mm, preferably at most 0.5 mm, preferably between 0.2 and 0.35 mm. Consisting of a capsule (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0.8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 mm의 폭만큼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 mm로 구성되는, 캡슐(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extends by a width of at least 0.8 mm, preferably at most 2 mm, preferably between 0.8 and 1.8 mm. Consisting of a capsule (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내향 단부(73)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방향 내향 단부(73)에서 상기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최대 45°의 각도만큼 상기 공통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되는, 캡슐(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ation section (7) comprises at least one radially inward end (73), wherein the at least one radially inward end (73) Capsule (1), wherein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ixation section extends transverse to the common plane (P) by an angle of at least 10°, preferably at most 4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공통 평면(P)에 대해 그리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4) 내측으로 횡단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의 하단(72)은 둥근 오목 형상을 나타내는, 캡슐.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ircumferential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comprises at least one recess, said recess relative to the common plane (P) and at the top of the flange. extending transversely from the surface to the inside of the flange (24),
The capsule, wherein the lower end (72) of the recess exhibits a round concave sha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반경방향 내향 면 및 반경방향 외향 면(71)은 직선 표면들을 나타내는, 캡슐.Capsu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adially inward and radially outward surfaces (71) of the recess represent straight surface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멤브레인(3)은 열 밀봉에 의해 상기 횡단 고정 섹션(7)에 고정되는, 캡슐.Caps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top membrane (3) is fixed to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by heat sealing.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몸체(2) 및 상기 상단 멤브레인(3)은 동일한 재활용가능 플라스틱으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는, 캡슐(1A, 1B).Capsule (1A, 1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capsule body (2) and the top membrane (3) are made of the same recyclable plastic, for example polypropylen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몸체(2) 및 상기 상단 멤브레인(3)은 퇴비화가능 및/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는, 캡슐(1A, 1B).Capsule (1A, 1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capsule body (2) and the top membrane (3) are made of compostable and/or biodegradable material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1, 1A, 1B)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챔버(21)를 한정하는 캡슐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몸체는,
. 상단 개구(23)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들(22), 및
. 상기 하나 이상의 측벽들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평면(P)을 따라 연장되는 원주방향 플랜지(24), 및
. 하단 출구(25)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의 상부 표면(241)은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횡단 고정 섹션(7)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평면(P)에 대해 횡단하여 연장됨 -,
- 상기 캡슐 몸체(2) 내측에 개방 디바이스(5)를 도입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몸체 내측에 그리고 상기 개방 디바이스(5) 위에 하단 멤브레인(4)을 부착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몸체를 음료 성분으로 충전하는 단계,
- 상기 캡슐 몸체의 상기 플랜지(24)의 상부 표면에 상단 멤브레인(3)을, 상기 플랜지를 따라 위치된 상기 상단 멤브레인에 가열 다이로 열을 가함으로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다이는 상기 플랜지의 횡단 고정 섹션(7)과 상보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횡단 고정 섹션 내의 상기 상단 멤브레인을 가열 및 가압하는,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1, 1A, 1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omprising:
- providing a capsule body defining a chamber (21), said capsule body comprising:
. one or more side walls (22) extending toward the top opening (23), and
. a circumferential flange (24)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said one or more side walls and extending along a plane (P), and
. Comprising a bottom outlet (25),
The upper surface 241 of the flange comprises at least one circumferentially transverse fixed section 7, the fixed section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plane P,
- introducing an opening device (5) inside the capsule body (2),
- attaching a bottom membrane (4) inside the capsule body and on the opening device (5),
- filling the capsule body with beverage ingredients,
- fixing the top membrane (3)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4) of the capsule body by applying heat to the top membrane positioned along the flange with a heating die, the heating die Method for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top membrane in at least on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of the capsule and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to the transverse fastening section (7) of the flange.
KR1020247007252A 2021-08-30 2022-08-29 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KR2024005809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93690.1 2021-08-30
EP21193690 2021-08-30
PCT/EP2022/073908 WO2023031095A1 (en) 2021-08-30 2022-08-29 Capsule for producing a beve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s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94A true KR20240058094A (en) 2024-05-03

Family

ID=7754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252A KR20240058094A (en) 2021-08-30 2022-08-29 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8094A (en)
CN (1) CN117897346A (en)
WO (1) WO2023031095A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5842B1 (en) 2002-01-16 2007-10-29 Nestle Sa Capsule, method for preparing various beverage in the same machine and method for improving hygiene and reducing cross-contamination in the preparation of a baverage from a capsule
EP1784344B1 (en) 2004-08-23 2009-04-08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a drink by injecting a pressurized fluid into the capsule
PT1853142E (en) 2005-02-07 2009-05-05 Nestec Sa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PL1967099T3 (en) 2007-03-06 2010-06-30 Nestec Sa Device for preparing a food liquid from a capsule
WO2010116284A2 (en) * 2009-04-08 2010-10-14 Ethical Coffee Company Sa Brewing device and capsule for preparing a drink
EP3369677B1 (en) * 2014-02-28 2019-12-18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s
WO2019149875A2 (en) * 2018-02-01 2019-08-08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method for producing a portion capsule, machine for producing a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portion capsule
PT3829982T (en) * 2018-07-27 2022-11-17 Gcs German Capsule Solution Gmbh Method for producing a portio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with 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nd a portion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1095A1 (en) 2023-03-09
CN117897346A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9931B2 (en) Po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the potion capsule
EP2592021B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US8402883B2 (en) Capsule with delaminatable injection means
AU2010236108B2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JP6239614B2 (en) Capsule and system for beverage supply
JP5033179B2 (en) Coffee capsule having a deformable sealing element
DK2986514T3 (en) Single portion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a product brews
KR102491513B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portio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in a beverage making machine, a portion capsul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a beverage making machine and a portion capsule
JP2017508492A5 (en)
JP2017510339A (en) Beverage capsule
CN108601474B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using a capsule
AU2011342875A1 (en) Cartridge for preparing a liquid product
KR20160097185A (en) Capsule for making beverages
KR20210101211A (en) Capsules for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with a displaceable membrane for engagement with an opening means
KR20240058094A (en) Capsule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apsules
JP2022507576A (en) Capsules for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with oversized membranes
KR102082822B1 (en) Capsules for one serving, methods for producing capsules for one serv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beverages
EP3718925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230356924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in a device for making beverages
KR20240007122A (en) Biologically Degradable Portion Capsules
CN103228187B (en) For preparing the system of beverage from the infusion product being contained in interchangeable caps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