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060A -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060A
KR20240058060A KR1020240047022A KR20240047022A KR20240058060A KR 20240058060 A KR20240058060 A KR 20240058060A KR 1020240047022 A KR1020240047022 A KR 1020240047022A KR 20240047022 A KR20240047022 A KR 20240047022A KR 20240058060 A KR20240058060 A KR 2024005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user
swimming
assistance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7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ublication of KR2024005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0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63B31/12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arm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Abstract

본 발명은 종아리나 발목 등과 같은 하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발차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수영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좌우 반복 영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나 하지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수용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하지의 일부를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하지의 일부가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영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팔동작 또는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a part of the lower body, such as the calf or ankle, and provides buoyancy to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in the water so that kicking can be omitted, and is used to correctly correct swimming posture or strengthen upper body and back muscl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that assists the user to concentrat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mmodation assistance device that is useful for patients complaining of knee joint pain, back pain, or people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as it is configured to enable repeated left and right strokes of swimming by moving the waist left and right. For this purpose, a body made of a material floating in water o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floating in water;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pillar and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nd a cutout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sertion hole so that a part of the lower limb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hen the user swims with a part of the lower lim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user is pulled out of the water by the body.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may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re suspended.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effect in that beginners learning to swim can focus on arm movements or strokes that move their waist left and right.

Description

수영보조장치{SWIMMING ASSISTANCE APPARATUS}Swimming assistance device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수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영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that provides buoyancy to a part of the user's body underwater and assists the user in correctly correcting swimming posture or focusing on strengthening upper body and back muscles.

수영은 폐활량이나 지구력 등을 강화해주고, 전신을 강화시켜주는 전신운동의 하나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미국, 호주, 일본, 중국 등 전세계에서 수영은 생활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Swimming is one of the full-body exercises that strengthens lung capacity and endurance and strengthens the entire body. Therefore, swimming is in the spotlight as a lifestyle sport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Korea, the United States, Australia, Japan, and China.

종래의 수영보조장치에는 튜브, 부구, 보드 등이 있다. 튜브는 도넛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튜브가 허리를 감싸도록 착용하거나, 손으로 튜브의 일측을 감싸서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부구는 손잡이가 있는 구의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부구의 손잡이를 잡고 부력을 보조받게 된다. 보드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보드를 잡고 부력을 보조받게 된다.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include tubes, floats, boards, etc. The tube is constructed in a donut shape. The user can wear the tube so that it wraps around their waist, or they can wear it by wrapping one side of the tube with their hand to support the user's upper body. The floa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phere with a handle. The user receives buoyancy assistance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float. The board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plate. The user holds the board and receives buoyancy assistance.

한국특허 10-1212467Korean Patent 10-1212467 한국특허 10-1171002Korean Patent 10-1171002

그러나 튜브, 부구, 보드와 같은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수영을 할 때 손으로 잡고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사용자의 팔 동작을 저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는 이상 사용자는 수영 자세를 완전하게 수행할 수 없다.However, conventional swimming aids such as tubes, floats, and boards require users to hold them with their hands while swimming. Therefore, the overall movement of the user's arm is hindered. As a result, the user cannot perfectly perform the swimming posture when using a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됨으로서, 수영을 전혀 못하는 초보자에게는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손에서 놓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수영 초보자에게 이러한 경험은 물에 대한 기피감 또는 거부감을 제공하여, 수영 초보자의 머리 속에 오랜기간 트라우마로 남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wimming aid device easily falls out of the user's hand, so beginners who cannot swim at all may lose the conventional swimming aid device. For beginner swimmers, this experience provides a feeling of avoidance or rejection of water, which remains as a long-term trauma in the beginner's mind.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항상 팔의 근육을 긴장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쉽게 지치게 되어, 수영에 대한 자신감을 얻지 못하게 된다. 또한 근육이 긴장되어 있기 때문에 수영 자세가 부드럽게 교정되기 어려워진다.Additionally, when using a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always tense the arm muscles. As a result, the user gets tired easily and does not gain confidence in swimming. Additionally, because the muscles are tense, it becomes difficult to smoothly correct the swimming posture.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 중 부구, 보드의 경우, 상체를 제외한 하체만 단련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양 손으로 부구, 보드를 잡은 상태에서 양 팔과 신체를 곧게 뻗고 발차기 동작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게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loats and boards among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lower body can be trained, excluding the upper body. This is because the user holds the float and board with both hands, straightens both arms and body, and moves forward through a kicking motion.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 중 조끼형 부구의 경우, 영법에 한계가 있고 사용자가 수중에서 자세를 잡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조끼형 부구에 의해 사용자가 수중에서 수직으로 부유하게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est-type floatation among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there are limitations in swimming method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maintain a posture in the water. This is because the vest-type float allows the user to float vertically in the water.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할 때 실현할 수 있는 영법이 상당히 제한적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면 허리를 상하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영법만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영법은 허리 디스크 등으로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허리통증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swimming methods that can be realized when using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are significantly limited. In general, using a conventional swimming aid device, only the swimming stroke that involves moving the waist up and down is possible. This stroke can further aggravate back pain in patients who complain of back pain due to lumbar disc problems.

또한 하지마비 등과 같은 하지 장애인들의 경우에는 발차기를 하거나, 허리를 상하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지 장애인들은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없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people with lower limb disabilities such as paraplegia, it is impossible to kick or move the waist up and down to swim. Therefore, people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were unable to use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present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종아리나 발목 등과 같은 하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발차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수영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좌우 반복 영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나 하지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수용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such as the calf or ankle, to provide buoyancy to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in the water so that kicking can be omitted, to correctly correct swimming posture, or to improve upper body strength and waist strength. The goal is to provide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that assists users so that they can focus on strengthening their muscl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mmodation assistance device that is useful for patients complaining of knee joint pain, back pain, or people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that is configured to enable left and right repetitive swimming by moving the waist left and righ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되도록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하지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지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dy composed of a material that floats in water o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o float in water;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pillar and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nd a cutout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sertion hole so that a part of the lower limb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hen the user swims with a part of the lower lim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in which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re suspended in water by the body.

또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는, 종아리 또는 발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rt of the user's lower extremity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 may be the calf or ankle.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의해 상기 좌우 각각의 하지가 모아진 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insert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re gathered together by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fixed.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사이의 상기 몸체의 내측이 절단되며, 절단된 상기 몸체의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분리된 상기 몸체의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테잎, 마그네틱, 단추, 암수결합, 후크 또는 지퍼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insert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nd the inside of the body is cut betwee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t further includes; a detachment means formed on the inside of each of the cut bodies, wherein the detachment means is composed of Velcro tape, magnetic, button, male and female combination, hook or zipper type.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사용자가 하지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삽입홀의 외측벽에 상기 삽입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ci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insertio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to facilitate the user's insertion of the lower body.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삽입홀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삽입홀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제2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하지를 안착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상부측벽에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insert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nd the cut portion includes a first cu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cut por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cond cut part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 part and the second cut part i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lower limb, respectively, i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n incis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 각각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절개부는 상기 제1삽입홀의 상부측벽에 절개형성되고,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insert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nd the cutou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each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t includes a first incision and a second incision, wherein the first incision is formed in the upper side wall of the first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2삽입홀의 하부측벽에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cut may be formed in a lower side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 직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삽입되는 상기 하지에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하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diametric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configur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to provide comfort to the inserted lower extremit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lower extremity. It can be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 직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고, 구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삽입되는 상기 하지에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하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protruding in the diametric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hole, so as to provide comfort to the inserted lower limb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lower limb.

또한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 직경방향으로 돌출구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태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삽입되는 상기 하지에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하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diametric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configured to extend in a spir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providing comfort to the inserted lower limb and improving fixation of the lower limb.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날개; 및 상기 몸체의 중단부에 수직 상방 및 수직 하방 중 적어도 하나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핀;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wi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urved at the front, which is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and a fin that protrudes at least one of vertically upward a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and is curved at the front, in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wherein the us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force centered on the direction of swimming is canceled out.

또한 상기 몸체는 판상의 보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몸체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boar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body,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which is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is used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It may be characterized as further comprising: wings curv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사이의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으로 발생되는 수중 저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respectively insert the left and right lower limbs, and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body betwee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It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so that underwater resistance generated in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is reduced.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함몰 또는 관통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gripping part that is recessed or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so that at least one of the user's fingers can be inserted to grip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날개; 및 상기 몸체의 중단부에 수직 상방 및 수직 하방 중 적어도 하나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핀;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이 상쇄되고, 상기 날개 또는 상기 핀의 일측에 함몰 또는 관통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wi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urved at the front, which is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and a fin that protrudes at least one of vertically upward a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and is curved at the front, in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wherein the user At least one gripping part configured to offset the rotational force centered on the direction of swimming and to be recessed or penetrated into one side of the wing or the fin so that at least one of the user's fingers can be inserted to grip the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

또한 중공의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몸체의 비틀림을 완화하기 위한 판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low body may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partition wall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ody and relieving twisting of the body.

또한 중공의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몸체의 비틀림을 완화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되는 판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격벽은 각각 상호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haped partitions provided inside the hollow bod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ody and alleviate twisting of the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configured to intersect each other. can do.

또한 중공의 상기 몸체 내부에 상기 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몸체의 비틀림을 완화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되는 판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격벽은 각각 벌집 형태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haped partitions provided inside the hollow bod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ody and alleviate twisting of the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each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in a honeycomb shape.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한 상기 절개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구성되고, 삽입된 상기 하지가 상기 절개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mean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incision to close the incision,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inserted lower limb from escaping from the incis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벨크로테잎, 마그네틱, 단추, 암수결합, 후크 또는 지퍼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may be composed of Velcro tape, magnetic, button, male and female combination, hook or zipper ty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면 수영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팔동작 또는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using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beginners learning to swim to focus on arm movements or strokes that move the waist from side to side.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나, 하지 장애인의 경우에도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even for patients who complain of knee joint pain, back pain, or people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면서도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이 가능해지므로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상당히 단련되어 재활에 많은 도움이 되고 수영 실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i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waist left and right while using a swimming aid device, so the upper body strength and back muscles are significantly strengthened, which is greatly helpful in rehabilitation and greatly improves swimming skill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by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when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수영보조장치의 구성 및 연결관계Configuration and connection of swimming assistance devices

수영보조장치의 기본적 구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검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 삽입홀(20), 절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 an insertion hole 20, and a cutout portion 30.

몸체(10)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재질은 예를 들어 발포압축 스티로폼이나 스폰지 등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타원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floats in water, or may be made of a hollow tube shape that floats in water. For example,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foamed compressed Styrofoam or sponge. The shape of the body 10 may basically be in the form of an elliptical pillar,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as described below.

몸체(10)는 사용자의 하지에 부력을 제공한다. 몸체(10)의 부력은 수중에 잠기는 몸체(10)의 부피와 몸체(10)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수중에 잠기는 몸체(10)의 부피가 크고, 몸체(10)의 밀도가 작을수록 부력이 강해진다.The body 10 provides buoyancy to the user's lower extremities. The buoyancy of the body 10 is determined by the volume of the body 10 submerged in water and the density of the body 10. The larger the volume of the body 10 submerged in water and the smaller the density of the body 10, the stronger the buoyancy.

삽입홀(20)은 중공의 기둥 형태로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양 하지의 발목이 모두 삽입 고정되고, 수영보조장치(1)에 의해 감싸지도록 하나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좌측 발목과 우측 발목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각각 수영보조장치(1)에 의해 감싸지도록 두 개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삽입홀(20)이 두 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측 발목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을 제1삽입홀, 우측 발목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을 제2삽입홀로 정의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20 may be formed in the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pillar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It may be configured with one hole so that both ankles of the user's lower limbs are inserted and fixed and surrounded by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In addition, the user's left ankle and right ankle can be inserted and fixed, respectively, and may be composed of two holes so that each is surrounded by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When the insertion hole 20 is composed of two holes,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left ankle is inserted and fixed can be defined as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ight ankle is inserted and fixed can be defined as the second insertion hole.

삽입홀(20)은 사용자의 하지를 불편하지 않은 정도의 거리로 모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삽입홀와 제2삽입홀는 특정 이격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0)에 의해 수영을 하는 사용자의 다리가 고정되게 된다. 다리가 고정된 사용자는 수영 시 상체의 운동에 집중할 수 있고,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강화되며, 특히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하지 장애인도 수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영 초보자의 전형적인 문제인, 발장구치느라 상체의 자세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해소된다.The insertion hole 20 may be configured to bring the user's lower extremities together at a distance that is not uncomfortable. That is,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specific separation distance. The legs of the swimming user are fixed by the insertion hole 20. Users with fixed legs can focus on upper body exercises when swimming, upper body strength and lower back muscles are strengthened, and in particular, swimming techniques that move the lower back to the left and right are possible. In addition, people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enjoy swimming. It also solv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focus on the posture of the upper body due to foot tapping, which is a typical problem for beginner swimmers.

절개부(30)는 삽입홀(2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를 삽입홀(20)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다. 절개부(30)의 절개방향은 삽입홀(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30)의 위치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의 양측, 삽입홀(20)의 상측, 삽입홀(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30)에서 절개되는 부분의 너비는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하는 다리의 두께보다 얇아야 수영보조장치(1)의 예상치 못한 이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The cutout portion 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user's lower extremity into the insertion hol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direction of the cutting portion 30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20. The location of the incision 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the insertion hole 20, and below the insertion hole 20. The width of the cut portion of the cut portion 30 must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eg the user wishes to wear to prevent unexpected separation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절개부(30)는 다리를 삽입홀(20)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은 삽입홀(20)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절개부(30)에 의하면 수중에서 쉽게 다리와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마음만 먹으면 뺄 수 있게 된다. 결국 절개부(30)는 수영보조장치(1)의 효용성의 측면은 상승시키고, 위험성의 측면은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좌우측부에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보통 사용자가 수영을 할 때에는 양쪽 다리의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삽입홀(20)에서 다리를 일부러 이탈시키려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홀(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cutout portion 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leg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 portion 30 is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insertion hole 20, so that the leg does not easily separate from the leg underwater, and the user can remove it at will in an emergency situation. . Ultimately, the cut portion 30 serv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wimming aid device 1 and reduce the ri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 portion 3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ertion hole 20. However, usually when the user swims,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both legs, so the user's legs do not come out of the insertion hole (20)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tries to separate the leg from the insertion hole (20). .

절개부(30)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반드시 양쪽 삽입홀(20)에 형성되어야할 필요는 없고, 한쪽 삽입홀(20)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cutout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That is,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both insertion holes 20, and the purp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even if it is formed in only one insertion hole 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상기 제1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갖는다.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Example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의 중단이 절단되고, 몸체(10)를 이등분하여 삽입홀(20)이 각각 분리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탈부착수단의 일실시예로 암수결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Regarding the second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iddle part of the body 10 cut, and the body 10 is divided into two halves to form insertion holes 20, respectively. An example of an attachment/detachment means configured to enable separation may include a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 4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착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한쪽 다리씩 수영보조장치(1)를 착용하고 암결합부(41)에 수결합부(42)를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암수결합부(40)의 결합면에 마그네틱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된 몸체(10)의 중단 내면에 암수결합부(40)를 구성하지 않고 탈부착 수단으로서 벨크로 테잎, 똑딱이 단추, 마그네틱, 고리 또는 후크 형태, 지퍼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aring convenience is improved.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wears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on one leg at a time and inserts the male coupling portion (42) into the female coupling portion (41). Additionally, the coupling surface of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 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magnet. In additio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 40 is not formed on the middl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ed body 10, but it can be formed as a detachment means using Velcro tape, snap button, magnetic, ring or hook type, zipper type, etc.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에 관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에서는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Regarding the third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0)의 부력에 의해 삽입홀(20)의 하부측이 사용자의 다리와 밀착되어 수중에서 다리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가 삽입홀(20)의 상부측으로 다리를 들어올리면 다리가 삽입홀(20)에서 손쉽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마음만 먹으면 수영보조장치(1)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s due to the buoyancy of the body 10, so that it does not easily separate from the legs in water. At the same time, if the user lifts the leg to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hole (20), the leg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20), so that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t will in an emergency situation. do.

제4실시예Embodiment 4

제4실시예에 관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에서 어긋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삽입홀에서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삽입홀(20)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삽입홀에서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삽입홀(2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삽입홀에서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삽입홀(20)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삽입홀에서는 절개부(30)의 위치가 삽입홀(20)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Regarding the fourth embodiment,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ut portion 30 is shifted from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For example, in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location of the incision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and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the location of the incision 30 may be in the lower part of the insertion hole 20. Can be formed on the side. Alternatively, in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position of the cut part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and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the position of the cut part 3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ertion hole 20. It can b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절개부(30)의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를 모두 채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제1삽입홀의 절개부(30)의 위치가 삽입홀(2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몸체(10)의 부력에 의해 삽입홀(20)의 하부측이 사용자의 다리와 밀착되어 수중에서 다리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삽입홀(20)의 상부측으로 다리를 들어올리면 다리가 삽입홀(20)에서 손쉽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마음만 먹으면 수영보조장치(1)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mploy all effects that occu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incision 30.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cutout part 30 of the first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due to the buoyancy of the body 10. At the same time, if the user lifts the leg to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hole (20), the leg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20), so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 provide swimming assistance if he or she wants to. The device (1)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제5실시예Embodiment 5

제5실시예에 관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의 중단부에서 몸체(10)의 횡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50)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50)는 몸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함몰구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함몰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몸체(10)의 내측을 향해 함몰구성될 수 있다. Regarding the fifth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6, 7, and 8,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pression 50 that is depres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10 at the middle part of the body 10. can be provided. The recessed portion 50 may be recess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to the lower side, or may be recess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to the upper side. Additionally, it may be recess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10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50)에 의해 수영보조장치(1)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10)의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수중에서의 수중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수영보조장치(1)는 함몰부(50)가 몸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함몰구성되고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상부측에 구비된 경우이다. 도 7에 도시된 수영보조장치(1)는 함몰부(50)가 몸체(10)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함몰구성되고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좌우측부에 구비된 경우이다. 도 8에 도시된 수영보조장치(1)는 함몰부(50)가 몸체(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서 몸체(10)의 내측을 향해 함몰구성되고 절개부(30)가 삽입홀(20)의 좌우측부에 구비된 경우이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is reduced by the depression 50.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derwater resistance in water is reduced as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10 is reduced.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shown in FIG. 6 is a cas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50 is rece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nd the cut portion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 I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shown in FIG. 7, the recessed portion 50 is rece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 and the cut portion 3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ertion hole 20. . I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shown in FIG. 8, the recessed portion 50 is recess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10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the cut portion 30 is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0. )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제6실시예Embodiment 6

제6실시예에 관하여,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핀 및 날개(62) 중 적어도 하나를 몸체(10)의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핀과 날개(62)는 모두 폭이 점점 좁아지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된다. 수영보조장치(1)의 전방에서 수중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유선형, 즉 타원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핀은 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몸체(10)의 외측에 형성되며 몸체(10)의 길이방향과 핀을 이루는 평면의 법선방향이 대체로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날개(62)는 좌우방향으로 몸체(10)의 외측에 형성되며 몸체(10)의 길이방향과 핀을 이루는 평면이 대체로 평행하도록 구성된다.Regarding the sixth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fin and a wing 62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Both the fin and the wing 62 are configured in a plate shape with a gradually narrowing width.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eamlined shape, that i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in front of the swimming aid device (1). The fi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the normal direction of the plane forming the fin are generally parallel. The wings 62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configur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the plane forming the fin are generally parallel.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 핀을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의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수영을 하게 되므로 핀이 물을 밀어내게 되면서 사용자의 추진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사용자가 핀을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운동효과가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핀이 수영보조장치(1)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수중에서의 진행방향을 축으로 수영보조장치(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equipped with fin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wims while moving his waist left and right, so the fins push the wat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propulsion. Ultimately, when a user uses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equipped with fi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exercise effect is doubled. In addition, the fin serves to hold the center of the swimming aid device (1),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wimming aid device (1) from rotating arou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water.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 날개(62)를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의 경우, 종래의 수영보조장치 중 하나인 보드에 2개의 삽입홀(20)을 구성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날개(62)를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의 경우에는 날개(62)에 의해 수중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늘어나게 되고 수영보조장치(1)에 작용하는 부력이 향상된다. 또한 수면과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수면의 표면장력을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힘이 증대되게 된다. 즉 수중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중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수중에서 사용자의 다리가 더욱 잘 떠오르게 된다. 결국 날개(62)는 수영 초보자의 다리에 좀더 많은 부력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62)는 수중에서의 진행방향을 축으로 수영보조장치(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with wings 62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with two insertion holes 20 on a board, which is one of the conventional swimming assistance devices. In the case of the swimming aid device (1) equipped with wings (62), the volume occupied in the water is increased by the wings (62) and the buoyancy acting on the swimming aid device (1) is improved. Additionally, a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expands, the force required to overcome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surface increases. In other words, because underwater resistance increa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water, the user's legs float better underwater. Ultimately, the wings 62 have the effect of providing more buoyancy to the legs of beginner swimmers. Additionally, the wings 62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from rotating arou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water.

제7실시예Embodiment 7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하여,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삽입홀(20)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70)의 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도 11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반구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수영보조장치(1)의 전후방향에 대한 다리와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사산과 같이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Regarding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70 protruding inwar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0. there is. The shape of the protrusion 70 may be straight as shown in FIG. 10, hemispherical as shown i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1, etc.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in a spiral shape like a screw thread to improve the gripping force with the leg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 돌기부(70)를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는 삽입홀(20)의 내측과 사용자의 다리와의 접지력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with the protrusion 70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and the user's legs.

제8실시예Embodiment 8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하여,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의 중심부에 수영보조장치(1)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관통홀(80)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80)의 단면 형태는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20)의 외곽에 균일한 두께의 벽이 형성되면서도, 구멍의 최대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오목한 형태의 직사각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Regarding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2,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80, which is a hole that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t the center of the body 10. This can be provid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rough hole 80 may be variously formed, such as circular, polygonal, or ova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a wall of uniform thickness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hole 20, and it may be configured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concave center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e.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라 관통홀(80)을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는 수중 저항을 감축시키고, 제조 단가를 감축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having a through hole 80 has the effect of reducing underwater resistance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제9실시예Example 9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하여,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의 중심부 외측에 몸체(10)와 수직으로 핀(60)이 구비되고, 핀(60)의 일측을 핀(60)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멍인 손잡이(9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90)는 총 1~5개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구멍에 손가락 각각 또는 복수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손잡이(90)는 몸체(10) 자체 또는 날개(62)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Regarding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3,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n 60 perpendicular to the body 10 outside the center of the body 10, and the fin 60 A handle 90, which i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pin 60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provided. The handle 90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1 to 5 holes, and is configured so that each finger or a plurality of fingers can be inserted into one hol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90 may b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itself or the wing 62.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라 손잡이(90)를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는 사용자가 수영보조장치(1)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equipped with a handle (90)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hold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제10실시예Example 10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하여,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15,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내부에 격벽(100)을 형성하여 수영보조장치(1)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격벽(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형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차형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벌집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garding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4, 15, and 16,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nd a partition wall 100 is formed inside the body 10. Thus, the overall strength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can be improved. The partition wall 100 may be configured in a planar shape as shown in FIG. 14, a cross shape as shown in FIG. 15, a honeycomb shape as shown in FIG. 16, etc.

본 발명의 제10실시에에 따라 격벽(100)을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는, 수영보조장치(1)의 내부 대부분이 중공으로 구성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부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벽(100)이 도 15와 같이 교차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4방향으로 수영보조장치(1)의 강도가 향상되므로 수영보조장치(1)의 비틀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격벽(100)이 도 16과 같이 벌집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수영보조장치(1)의 전체적인 강도가 가장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id device (1) equipped with a partition wall (100)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enhancing buoyancy because most of the interior of the swimming assist device (1) is hollow.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partition wall 100 is configured in a cross shape as shown in FIG. 15, the strength of the swimming aid device 1 is improved in four directions, thereby preventing the swimming aid device 1 from being twisted. In addition, when the partition wall 100 is configured in a honeycomb shape as shown in FIG. 16, the overall strength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is greatly improved.

제11실시예Example 11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하여,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 18,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개부(30)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수단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잎(110), 도 18에 도시된 제1변형예와 같은 단추(112) 등의 암수결합수단, 도 19에 도시된 제2변형예와 같은 지퍼(11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서는 이탈방지수단의 탈부착 수단으로서 마그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마그네틱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수단의 이용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Regarding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7, 18, and 19,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escape prevention means configured to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cision 3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t can be included. The escape prevention means include a Velcro tape 110 as shown in FIG. 17,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ans such as a button 112 as in the first modification shown in FIG. 18, and a zipper as in the second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19. (114) It may be composed of etc. In the first modification shown in FIG. 18, a magnet can be used as a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When magnetic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 of the escape prevention means becomes simpler.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라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수영보조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영보조장치(1)를 사용자의 다리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11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equipp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means has the effect of fixing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to the user's le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수영보조장치의 사용 양태Usage patterns of swimming assistance devices

수영보조장치(1)의 사용 양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수영보조장치(1)의 절개부(30)를 통해 삽입홀(20)에 사용자의 양쪽 다리를 각각 삽입하여 착용하게 된다. 수영보조장치(1)에 의해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인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는 종아리, 무릎, 허벅지 등에 수영보조장치(1)를 착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mode of use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0) by the user through the cut portion (30) of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It is worn by inserting both legs separately.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fixes both the user's legs together. The user can wear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on the calf, knee, thigh, etc., and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t can be worn on the ankle.

사용자는 수영보조장치(1)를 이용하여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팔을 휘저으면서 각종 영법을 훈련하게 된다. 수중에서는 수영보조장치(1)가 부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가 떠오르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하체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다양한 영법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중 허리를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번갈아 가면서 유동하는 영법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물고기가 꼬리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영을 하는 영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영법으로 사용자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강화됨은 물론, 사용자의 틀어진 골반을 바르게 교정해주는 효과가 더 발생될 수 있다.Using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the user trains various swimming techniques by moving the waist left and right or swinging the arms while keeping the legs fixed. In water,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causes the user's lower body to float due to buoyancy. This allows users to create a variety of stroke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lower body. The user can move forward with a swimming stroke that alternat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s body. This is the same swimming method in which a fish swims using its tail fin. This stroke method not only strengthens the user's upper body strength and back muscles, but also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user's distorted pelv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에 의하면 발차기를 하지 않고도 상체의 움직임만으로 수영을 할 수 있으므로, 하체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하지마비 장애인들이나 하체 힘이 약한 소인, 노인 등도 수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wimming assista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mming can be done only by moving the upper body without kicking, so even people with paraplegia who cannot move their lower body at all, children with weak lower body strength, and the elderly can swim.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영보조장치
10: 몸체
20: 삽입홀
30: 절개부
40: 암수결합부
41: 암결합부
42: 수결합부
50: 함몰부
60: 핀
62: 날개
70: 돌기부
80: 관통홀
90: 손잡이
100: 격벽
110: 벨크로 테잎
112: 단추
114: 지퍼
1: Swimming assistance device
10: body
20: Insertion hole
30: incision
40: Male and female junction part
41: female joint
42: male coupling part
50: depression
60: pin
62: wings
70: protrusion
80: Through hole
90: handle
100: Bulkhead
110: Velcro tape
112: button
114: zipper

Claims (1)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
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하지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
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날개; 및
상기 몸체의 중단부에 수직 상방 및 수직 하방 중 적어도 하나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수영 진행방향인 전방은 수중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는 핀;
중 적어도 두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지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
It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floats in water or is shaped like a hollow tube that floats in water.
The body that is formed;
Formed in the body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pillar,
an insertion hole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nd
One side wall of the insertion hole so that a part of the lower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 incision is formed in;
Including,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which is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Wings curv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and
Protruding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in at least one of vertically upward and vertically downward,
The front, which is the user's swimming direction, includes a fin curv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reduce underwater resistance;
Contains at least two more of
When the user swims with part of the lower lim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 swimm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lower extremities are suspended in water by the body.
KR1020240047022A 2024-04-06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20240058060A (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490A Division KR102658781B1 (en) 2021-03-28 2023-08-14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060A true KR20240058060A (en) 2024-05-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541B2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559659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809263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43852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658781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064093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37873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20240058060A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71415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930223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235680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900221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860700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860699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16642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860701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847203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37872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37874B1 (en)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KR20240002293A (en) Buoyancy control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