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697A - 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697A
KR20240057697A KR1020220138201A KR20220138201A KR20240057697A KR 20240057697 A KR20240057697 A KR 20240057697A KR 1020220138201 A KR1020220138201 A KR 1020220138201A KR 20220138201 A KR20220138201 A KR 20220138201A KR 20240057697 A KR20240057697 A KR 2024005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horizontal beam
column
vertic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종철
윤경열
김종식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테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테크 filed Critical (주)포스-테크
Publication of KR2024005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6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 및 그 조립/분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일 양태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 칼람;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수평 빔; 및 상기 수평 빔의 양단을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수직 칼람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 및 상기 고정 플랜지의 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평 빔의 단부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서로 대칭 및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fence and its assembly/disassembly method. One aspect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vertical colum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one horizontal beam connecting the adjacent vertical columns; and a fixing flange that respectively fixe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eam to the adjacent vertical column and is fixed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and extend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flange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is inserted therein. At least two fixing brackets including a fixing frame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nd the fixing bracket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that are formed in shapes that are symmetrical and congruent with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Description

조립식 펜스 및 그 조립/분해 방법{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Prefabricated fence and its assembly/disassembly method {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ence.

펜스란, 공간을 구분하거나 공간 사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펜스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수직 부재 및 인접하는 수직 부재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수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부재 및 수평 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브라켓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체결구에 의하여 수직 부재 및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부재가 다른 체결구에 의하여 브라켓에 고정된다. A fence is used to separate spaces or restrict movement between spaces, and is mainly used to separate sidewalks and driveways. Such a fence may include two or more vertical member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one or more horizontal members connecting adjacent vertical members. And a bracket is used to fix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Generally, while the vertical member and the bracket are fixed by a fastener, the horizontal member is fixed to the bracket by another fasten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is prior art.

먼저, 종래에는, 수직 부재에 대하여 수평 부재 및 브라켓이 일체로 거동한다. 따라서, 브라켓이 수직 부재로부터 분리된 후 수평 부재로부터 브라켓이 분리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면, 수평 부재의 양단이 고정되는 2개의 브라켓 중 어느 일방에 대한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2개의 브라켓을 모두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수평 부재의 양단이 고정되는 브라켓 중 1개가 수직 부재로부터 분리된 후 나머지 1개의 브라켓의 분리를 위해서는, 수평 부재를 대략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여야 하므로, 2인 이상의 작업자가 분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First, conventionally,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bracket move as one bod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ember. Therefore, since the bracket must be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member after the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member, for example, even if repair or replacement of one of the two brackets to which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is fixed is required, the two brackets must be separated. It is a hassle to separate them all. 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remaining bracket after one of the brackets to which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is fixed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member, the horizontal member must be supported in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te, so two or more workers must perform the separation work. do.

그리고 종래에는, 수평 부재의 단부가 브라켓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 후 체결구에 수평 부재 및 브라켓이 고정된다. 따라서, 제조 공차나 작업 공차에 의하여 수평 부재의 단면과 삽입 공간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펜스가 정확하게 조립되지 못하거나, 재조립되어야 하는 불편이 다르게 된다.And in the related art, the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 the bracket, and then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bracket are fixed to the fastener. Accordingly, if the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he size of the insertion space do not match due to manufacturing or work tolerances, the fence may not be assembled accurately, o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reassembled will be differ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6341호(명칭: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Republic of Korea Patent No. 2016341 (Name: Design-type fence with enhanced impact resistance and strength)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47678호(명칭: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Republic of Korea Patent No. 2347678 (Name: Design-type fence bracket with easy angle adjust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0988호(명칭: 펜스용 브라켓)Republic of Korea Patent No. 1250988 (Name: Bracket for fen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296634호(명칭: 펜스 장대 설치용 브라켓 어셈블리)Republic of Korea Patent No. 2296634 (Name: Bracket assembly for fence pol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도로 구성되는 조립식 펜스 및 그 조립/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that can be assembled / disassembled more simply and easi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 disassembling the sa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공차나 작업 공차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펜스 및 그 조립/분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configured to enable correction of manufacturing tolerances or working tolerances, and a method of assembling/disassembl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일 양태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 칼람;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수평 빔; 및 상기 수평 빔의 양단을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수직 칼람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 및 상기 고정 플랜지의 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평 빔의 단부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서로 대칭 및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t least two vertical colum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one horizontal beam connecting the adjacent vertical columns; and a fixing flange that respectively fixe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eam to the adjacent vertical column and is fixed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and extend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flange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is inserted therein. At least two fixing brackets including a fixing frame that are fix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nd the fixing bracket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that are formed in shapes that are symmetrical and congruent with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일방은,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된 후 상기 수평 빔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일방에 상기 수평 빔이 고정된 후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n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And the horizontal beam is fixed to one of the second fixing brackets and then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일방이 메인 칼람 체결구 및 제1빔 체결구 또는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 및 제2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된 후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타방이 제1서브 칼람 체결구 및 제1빔 체결구 또는 제2서브 칼람 체결구 및 제2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by the main column fastener and the first beam fastener or the main column fastener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After being fixed 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horizontal beam by the first sub-column fastener and the first beam fastener or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do.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 플랜지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In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defining a portion and a remainder of the fixing flange and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defining a portion and a remainder of the fixing frame. Includes a second fixed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는, 그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1 및 제2돌출부 및 그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1 및 제2함몰부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가 결합되면,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제2함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제1함몰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플랜지가 형성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at protrude by a preset length with respect to one edge and first protrusions that are recessed by a preset length with respect to on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and a second depression,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are combined,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depres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depression. Thus, the fixing flange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 칼람에 체결되는 메인 칼람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를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의 타측에는, 상기 수직 칼람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일방은,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 중 일방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된다. In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mains through which a main column fastener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penetrates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 column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ex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arts,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ing holes are formed through which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가 결합되면 상기 삽입 공간이 정의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ar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is defi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are combin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에는, 상기 수직 칼람에 체결되는 메인 칼람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은, 상기 삽입 공간의 내부에 위치된다. In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through which a main column fastener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passes,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The main column fastening hole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수평 빔과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빔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스토퍼가 구비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toppers supporting ends of the horizontal beam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beam and the main column fastener.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의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이 중 일방에 대하여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되기 전의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중 타방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형합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 단차부가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opposite corner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is positioned before being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In order to maintai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n a coupled state, first and second coupling step portions are provided that are join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수평 빔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빔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빔 체결공이 형성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beam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fastened to the horizontal beam pas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구가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공을 보강하는 제1 및 제2보강 보스가 구비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includ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osses that reinforce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pass.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 방법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펜스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에 접촉되는 제1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에 고정되는 제2단계; 상기 수평 빔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에 접촉되는 제3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평 빔에 고정되는 제4단계;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접촉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되는 제6단계; 를 포함한다. One aspect of the method of assembling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fen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first fixing bracket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Level 1; A second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 third step in which the horizontal beam contacts the first fixed frame; A four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A fif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contacts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And a six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horizontal beam;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평 빔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step, the horizontal beam is supported by the first fixed frame whil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칼람에 접촉되면,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이 형합되어 결합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step, when the second fixing bracket contacts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colum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facing each other are joined and coup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분해 방법의 일 양태는, 제 10 항에 의하여 조립된 조립식 펜스를 분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으로부터 분리되는 제7단계;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8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평 빔으로부터 분리되는 제9단계; 상기 수평 빔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0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1단계; 및 상기 제1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단계; 를 포함한다. One aspect of the method of disassembling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isassembling a prefabricated fence assemble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step; An eigh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A nin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beam; A tenth step in which the horizontal beam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ed frame; An 11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and a twelfth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fixing bracket from the vertical column.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는,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이 상기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수평 빔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ighth step, even if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the horizontal beam remains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 및 그 조립/분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fence and its assembly/dis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칼람에 제1고정 브라켓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빔이 제1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후 제2고정 브라켓이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수평 빔이 제1고정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고정 브라켓의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에의 고정/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하고 용이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분해, 특히 1인의 작업자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Firs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rst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the horizontal beam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then the second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xing bracket can be fixed to/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and the horizontal beam while the horizontal beam is substantially fix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making it simpler and easier. Assembly/disassembly of a prefabricated fence, especially assembly/disassembly of a prefabricated fence by a single worker, become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칼람 및 수평 빔이 고정된 제1고정 브라켓에 대한 제2고정 브라켓의 상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식 펜스의 조립/분해 과정에서 제조 공차 및 작업 공차에 따른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bracket to which the vertical column and horizontal beam are fixed may be variable.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ion according to manufacturing tolerances and work tolerances is possible during the assembly/disassembly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f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9 are work state diagram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1)는, 적어도 2개의 수직 칼람(100), 적어도 1개의 수평 빔(200) 및 적어도 2개의 고정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칼람(100)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 빔(200)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수직 칼람(10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0)은, 상기 수평 빔(200)의 양단을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한다. 1 to 3, the prefabricated fen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vertical columns 100, at least one horizontal beam 200, and at least two fixing brackets 300. . The vertical columns 1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beam 200 connects two adjacent vertical columns 100. And the fixing bracket 300 fixe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eam 200 to the adjacent vertical column 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 칼람(100)은, 기둥 외장재(110), 기둥 코어(120), 데코 캡(130) 및 베이스 커버(14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 외장재(110)는, 적어도 인접하는 다른 수직 칼람(100)과 대향되는 면을 포함하는 다각 기둥, 예를 들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둥 외장재(110)는 목재, 예를 들면, 원목으로 제작되고, 상기 기둥 외장재(11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삽입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 코어(120)는,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둥 코어(120)에 의하여 목재 재질인 상기 기둥 외장재(110)가 보강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캡(130)은, 상기 기둥 외장재(110)의 상단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 기둥(100)의 상단 외관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140)는, 상기 기둥 외장재(110) 및 기둥 코어(120)의 하단 일부를 차폐한다.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column 100 includes a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a pillar core 120, a deco cap 130, and a base cover 140.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for example, a square pillar, including at least a surface facing another adjacent vertical column 100. In particular,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is made of wood, for example, solid wood, and an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in the column exterior materia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llar core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1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ccordingly,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made of wood can be reinforced by the pillar core 120. The deco cap 130 shields the top of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and at the same time defines the top appearance of the vertical pillar 100. And the base cover 140 shields a lower portion of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and the pillar core 120.

또한, 상기 기둥 외장재(110)에는, 다수개의 체결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3)은, 상기 기둥 외장재(110)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 외장재(110)의 측면에서 상기 삽입홀(111)과 연통되도록 연장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3 are formed in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The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by dri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column exterior material 110, and extend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hole 111 on the side of the column exterior material 110.

다음으로, 상기 수평 빔(20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다각 기둥, 예를 들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빔(200)은, 상기 기둥 외장재(110)와 동일한 목재, 즉 원목 또는 금속으로 재작되거나, 원목의 외부를 금속 커버가 둘러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Next, the horizontal beam 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having a preset length, for example, a square pillar. The horizontal beam 200 may be made of the same wood as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that is, wood or metal, or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 metal cover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wood.

상기 고정 브라켓(300)은, 고정 플랜지(310) 및 고정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랜지(310)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는 곳이고, 상기 고정 프레임(320)은, 상기 고정 플랜지(310)의 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평 빔(2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공간(320S)을 정의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칭 및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을 포함한다. The fixing bracket 300 includes a fixing flange 310 and a fixing frame 320. The fixing flange 310 is fixed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fixing frame 320 extend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flange 31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 defines an insertion space (320S) into which the end is inserted and fixed.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that are formed in shapes that are symmetrical and conformal to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은,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후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에 상기 수평 빔(200)이 고정된 후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후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에 상기 수평 빔(200)이 고정된 후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이 서로 대칭 및 협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은 상기 고정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2개의 구성 중 어느 일방을 정의하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그 위치에 따라서 가변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n to the horizontal beam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2 The other of the fixing brackets (301) (302) is, after the horizontal beam (200) is fix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302),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 2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n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horizontal beam 200 is fixed to 301 and then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Substantial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formed in a shape that is symmetrical and align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300.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an absolute concept that defines one of the two components that make up, but a relative concept that changes depending on its lo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은,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후 제1빔 체결구(Sb1)에 의하여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은,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제1빔 체결구(Sb1)에 의하여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된 후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및 제2빔 체결구(Sb2)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후 상기 제1빔 체결구(Sb1)에 의하여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및 제2빔 체결구(Sb2)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의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의 고정은, 특별한 순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은, 각각 상기 체결홀(113)에 체결된다. 그런데, 상기 체결홀(113)이 상기 기둥 외장재(110)에 기천공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이 상기 기둥 외장재(1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한 상기 기둥 외장재(1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n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by the first beam fastener (Sb1). is fixed to And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a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after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by the first beam fastener (Sb1). And it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by the second beam fastener (Sb2).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n is fixed to the horizontal column by the first beam fastener (Sb1). It is fixed to the beam 200.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by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Sb2. do. Here,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can b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without any particular order. Substantially, the main column fasteners (Scm) are each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13). However, since the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by pre-perforating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connected to the column exterior material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In the process of being fixed to (110), damage to the pillar exterior material 110 caused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은,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와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는, 상기 고정 플랜지(310)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은, 상기 고정 프레임(320)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이 서로 형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에 의하여 상기 고정 플랜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 의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320)이 형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nd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define a portion and the remainder of the fixing flange 31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the fixing frames ( 320) defines some and the remainder. Substantially,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fixing flange 310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nd the The fixed frame 320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21 and 322.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는,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와 제1 및 제2함몰부(311B)(312B)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의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311B)(312B)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의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가 결합되면, 상기 제1돌출부(311A)가 상기 제2함몰부(312B)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출부(312A)가 상기 제1함몰부(311B)에 삽입됨으로써, 예를 들면, 장방형의 판상인 상기 고정 플랜지(310)가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ding portions 311A and 312A and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311B and 312B.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11A and 312A protrude from on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 311B) (312B) is depressed by a preset length with respect to on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re combined, the first protrusion 311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12B, and the second protrusion 312A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312A. By inserting into the recessed portion 311B, the fixing flange 31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에는,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과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1h)(312h)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은,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가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1h)(312h)은,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가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 및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311B)(312B)를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의 타측에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과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1h)(312h)은,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hav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312H) and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ing holes (311h) (312h).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ers (311H) (312H) are places where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penetr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ers (311A) (312A)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11A) (312A).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nd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311h) (312h) are places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Scs2) pass through,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11A) (312A) )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excluding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311B and 312B. Substantially,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312H) and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ing holes (311h) (312h) are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o.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은, 상기 제1메인 칼람 체결공(311H)을 관통하는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은, 상기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2h)을 관통하는 상기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은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중 일방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2H)을 관통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제1서브 칼람 체결공(311h)을 관통한 상기 제1서브 칼람 체결구(Scs1)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penetrating the first main column fastening hole (311H), and 2. The fixing bracket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penetrating the second sub-column fastening hole 312h. That is,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The other of the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Scs2. Therefore,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penetrating the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 (312H), and the first fixing bracket ( 301)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first sub-column fastener Scs1 penetrating the first sub-column fastening hole 311h.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가 결합되면 상기 삽입 공간(320S)이 정의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이 결합됨으로써, 'ㅁ'자 형성의 단면을 갖는 다면체 형상의 상기 고정 프레임(3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320)의 내부에 육면체 형상의 상기 삽입 공간(320S)이 정의될 것이다.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320S is defi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re combined.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each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with a 'ㄷ'-shaped cross s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 (322) are combined to form the fixing frame 320 in the shape of a polyhedron having a 'ㅁ'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insertion space 320S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is defined inside the fixing frame 320. It will b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이 상기 삽입 공간(320S)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 중 일방을 관통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는, 상기 삽입 공간(320S)에 삽입된 상기 수평 빔(200)에 의하여 차폐될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and 312H are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320S. Accordingl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penetra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ers (311H) (312H) is moved by the horizontal beam 2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20S). It will be shielded.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제1 및 제2빔 체결공(321H)(322H)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공(321H)(322H)은,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구(Sb2)가 관통하는 곳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First and second beam fastening holes 321H and 322H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321H and 322H are place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Sb2 pass,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제1 및 제2보강 보스(321B)(322B)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보강 보스(321B)(322B)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구(Sb1)(Sb2)가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공(321H)(322H)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osses 321B and 322B.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osses 321B and 322B hav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321H and 322H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Sb1 and Sb2 pass. It plays a reinforcing role.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 제1 및 제2스토퍼(321S)(322S)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321S)(322S)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의 대향되는 면 일부가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빔(200)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321S)(322S)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321S)(322S)가 상기 수평 빔(20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평 빔(200)과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 중 일방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체결된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first and second stoppers 321S and 322S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21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21S) (322S) are such that a portion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21) (322) protrudes,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200) is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21S) (322S). It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21S) (322S). And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21S and 322S support the ends of the horizontal beam 200, so that the horizontal beam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 312H), interference with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is prevented.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제1 및 제2결합 단차부(321D)(322D)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 단차부(321D)(322D)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의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단차부(321D)(322D)가 서로 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소정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first and second coupling step portions 321D and 322D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tep portions 321D and 322D are formed by recessing opposing corner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nd are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teps 321D and 322D. As the step portions 321D and 322D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not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while being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assembling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펜스의 조립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이다. Figures 4 to 9 are work state diagram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고정 브라켓(301)이 수직 칼람(100)에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수직 칼람(100)의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 실질적으로 제1고정 플랜지(311)가 접촉될 것이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4,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substantially the first fixing flange 311, will be in contact with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two adjacent vertical columns 100.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칼람 체결구(Scm)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가 제1메인 칼람 체결공(311H) 및 제1서브 칼람 체결공(311h)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다. And referring to Figure 5,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More specificall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penetrate the first main column fastener hole (311H) and the first sub-column fastener hole (311h), respectively, to form the vertical column ( By being fastened to 100,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수평 빔(200)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 실질적으로 제1고정 프레임(321)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수평 빔(200)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 실질적으로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의하여 지지된다. Next, referring to FIG. 6, the horizontal beam 2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frame 321, substantially the first fixed frame 321.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eam 200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first fixed frame 321 whil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frame 321 .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빔 체결구(Sb1)가 제1빔 체결공(321H)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 빔(2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And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eam fastener Sb1 passes through the first beam fastener hole 321H and is fasten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so that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is fixed to

도 8을 참조하면,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제2고정 플랜지(312) 및 제2고정 프레임(32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각각 접촉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접촉되면,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가 형합되어 결합될 것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Substantially, the second fixing flange 312 and the second fixing frame 322 will b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opposed to each other, Substantiall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will be joined to each other.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및 제2빔 체결구(Sb2)가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2h) 및 제2빔 체결공(322H)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될 수 있다. Lastly,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Substantially,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Sb2) penetrate the second sub-column fastener hole (312h)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hole (322H) to for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By being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can b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상기 조립식 펜스(1)의 분해는, 상술한 조립의 반대 순서로 진행된다. 즉, 먼저,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된 후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평 빔(200)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빔(200)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펜스(1)가 분해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수평 빔(200)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is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fence 1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assembly. That is, first,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separa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and then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beam 200. do. Next, when the horizontal beam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frame 321,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separa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thereby forming the prefabricated fence (1). ) is decomposed.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horizontal beam 200 is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frame 321. The status quo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0: 수직 칼람 110: 기둥 외장재
110: 삽입홀 120: 기둥 코어
200: 수평 빔 300: 고정 브라켓
310: 고정 플랜지 320: 고정 프레임
320S: 삽입 공간 301: 제1고정 브라켓
311: 제1고정 플랜지 311A: 제1돌출부
311B: 제1함몰부 311H: 제1메인 칼람 체결공
311h: 제1서브 칼람 체결공 321: 제1고정 프레임
321H: 제1빔 체결공 321B: 제1보강 보스
321S: 제1스토퍼 321D: 제1결합 단차부
302: 제2고정 브라켓 312: 제2고정 플랜지
312A: 제2돌출부 312B: 제2함몰부
312H: 제2메인 칼람 체결공 312h: 제2서브 칼람 체결공
322: 제2고정 프레임 322H: 제2빔 체결공
322B: 제2보강 보스 322S: 제2스토퍼
322D: 제1결합 단차부 Scm: 메인 칼람 체결구
Scs1: 제1서브 칼람 체결구 Scs2: 제2서브 칼람 체결구
Sb1: 제1빔 체결구 Sb2: 제2빔 체결구
100: Vertical column 110: Column exterior material
110: Insertion hole 120: Pillar core
200: horizontal beam 300: fixing bracket
310: fixed flange 320: fixed frame
320S: Insertion space 301: First fixing bracket
311: first fixed flange 311A: first protrusion
311B: First depression 311H: First main column fastening hole
311h: 1st sub-column fastening hole 321: 1st fixed frame
321H: 1st beam fastening hole 321B: 1st reinforcement boss
321S: First stopper 321D: First coupling step portion
302: Second fixing bracket 312: Second fixing flange
312A: second protrusion 312B: second depression
312H: 2nd main column fastening hole 312h: 2nd sub-column fastening hole
322: 2nd fixed frame 322H: 2nd beam fastening hole
322B: 2nd reinforcement boss 322S: 2nd stopper
322D: First coupling step Scm: Main column fastener
Scs1: 1st sub-column fastener Scs2: 2nd sub-column fastener
Sb1: 1st beam fastener Sb2: 2nd beam fastener

Claims (17)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 칼람(100);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100)을 연결하는 적어도 1개의 수평 빔(200); 및
상기 수평 빔(200)의 양단을 인접하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각각 고정하고, 상기 수직 칼람(100)에 일면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310) 및 상기 고정 플랜지(310)의 타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평 빔(200)의 단부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20)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브라켓(300);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300)은, 서로 대칭 및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을 포함하는 조립식 펜스.
At least two vertical columns 10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one horizontal beam (200) connecting the adjacent vertical columns (100);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eam 20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adjacent vertical column 100, and a fixed flange 310 fixed with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fixed flange 310 At least two fixing brackets 300 extending from the other surface and including a fixing frame 320 in which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200 is inserted and fixed; Including,
The fixing bracket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that are formed in shapes that are symmetrical and aligned with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A prefabricated f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은,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후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에 상기 수평 빔(200)이 고정된 후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n to the horizontal beam 200,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vertical column 100 after the horizontal beam 200 is fix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 and a prefabricated fence fixed to a horizontal beam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이 메인 칼람 체결구(Scm) 및 제1빔 체결구(Sb1) 또는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 및 제2빔 체결구(Sb2)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된 후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타방이 제1서브 칼람 체결구(Scs1) 및 제1빔 체결구(Sb1) 또는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및 제2빔 체결구(Sb2)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 first beam fastener (Sb1) or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the second beam fastener (Sb2). ) After being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astened to the first sub-column fastener Scs1 and the first beam. A prefabricated fence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by a sphere (Sb1) or a second sub-column fastener (Scs2) and a second beam fastener (Sb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은, 상기 고정 플랜지(310)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 및 상기 고정 프레임(320)의 일부 및 나머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을 포함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ar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that define a portion and the remainder of the fixing flange 310 and the fixing frame 320. A prefabricated fen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fixed frames (321) (322) defining a portion and the remaind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는, 그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 및 그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기설정된 길이만큼 함몰되는 제1 및 제2함몰부(311B)(312B)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가 결합되면, 상기 제1돌출부(311A)가 상기 제2함몰부(312B)에 삽입되고, 상기 제2돌출부(312A)가 상기 제1함몰부(311B)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플랜지(310)가 형성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hav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11A and 312A that protrude by a preset length with respect to one edge thereof and are recessed by a preset length with respect to one edge thereof. 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cluding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311B and 312B,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re combined, the first protrusion 311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12B, and the second protrusion 312A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ed portion 312B. A prefabricated fence that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311B to form the fixing flange 3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체결되는 메인 칼람 체결구(Scm)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311A)(312A) 및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311B)(312B)를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의 타측에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공(311h)(312h)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일방은,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 중 타방은, 상기 제1 및 제2서브 칼람 체결구(Scs2) 중 일방에 의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5,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11A and 312A, a main column fastener (Scm) is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and 312H are formed through which
The vertical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ing holes 311h and 312h are formed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Scs2 fastened to the column 100 pas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 prefabricated fence in which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b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lumn fasteners (Scs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가 결합되면 상기 삽입 공간(320S)이 정의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prefabricated fences that ar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320S is defi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are combin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플랜지(311)(312)에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체결되는 메인 칼람 체결구(Scm)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메인 칼람 체결공(311H)(312H)은, 상기 삽입 공간(320S)의 내부에 위치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langes 311 and 312 hav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and 312H through which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fasten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passes.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main column fastening holes (311H) (312H) are a prefabricated fence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320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상기 수평 빔(200)과 상기 메인 칼람 체결구(Scm)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빔(2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스토퍼(321S)(322S)가 구비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include a first frame supporting the end of the horizontal beam 200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beam 200 and the main column fastener (Scm). and a prefabricated fence provided with second stoppers (321S) (322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의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2)이 중 일방에 대하여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기 전의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2) 중 타방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형합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결합 단차부(321D)(322D)가 구비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7,
At the opposite corner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2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re attached to one of the vertical columns ( A prefabricated typ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upling step portions 321D and 322D that are fitt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2 in a coupled state before being fixed to 100). fen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상기 수평 빔(200)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빔 체결구(Sb2)가 관통하는 제1 및 제2빔 체결공(321H)(322H)이 형성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hav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ing holes 321H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Sb2 fasten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pass. (322H) Prefabricated fence form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프레임(321)(322)에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구(Sb1)(Sb2)가 관통하는 상기 제1 및 제2빔 체결공(321H)(322H)을 보강하는 제1 및 제2보강 보스(321B)(322B)가 구비되는 조립식 펜스.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fixing frames 321 and 32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321H and 322H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beam fasteners Sb1 and Sb2 pass. A prefabricated fenc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osses (321B) (322B).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펜스(1)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에 접촉되는 제1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에 고정되는 제2단계;
상기 수평 빔(200)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접촉되는 제3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제4단계;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접촉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고정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펜스 조립 방법.
As a method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fence (1)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 first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 second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 third step in which the horizontal beam 200 contacts the first fixed frame 321;
A four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00;
A fif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and
A six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Prefabricated fence assembly method includ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수평 빔(200)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의하여 지지되는 조립식 펜스 조립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In the third step,
The horizontal beam (200) is supported by the first fixed frame (32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frame (3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에 접촉되면,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301)(302)이 형합되어 결합되는 조립식 펜스의 조립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In the fifth step,
When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301 and 302 facing each other are joined to form a prefabricated fence. Assembly method.
제 13 항에 의하여 조립된 조립식 펜스(1)를 분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으로부터 분리되는 제7단계;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8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평 빔(200)으로부터 분리되는 제9단계;
상기 수평 빔(200)이,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0단계;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제11단계; 및
상기 제1고정 브라켓(301)이, 상기 수직 칼람(10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2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식 펜스 분해 방법.
As a method of disassembling the prefabricated fence (1) assembled according to claim 13:
A seven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An eighth step in which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A nin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beam 200;
A tenth step in which the horizontal beam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ed frame 321;
An 11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A twelfth step in which the first fixing bracket 301 is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Method for disassembling a prefabricated fence includ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제2고정 브라켓(302)이 상기 수직 칼람(100) 및 수평 빔(200)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수평 빔(200)은 상기 제1고정 프레임(32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립식 펜스 분해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In the eighth step,
Even if the second fixing bracket 302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column 100 and the horizontal beam 200, the horizontal beam 200 maintains a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frame 321. A prefabricated fence How to disassemble.
KR1020220138201A 2022-10-25 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 KR20240057697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697A true KR20240057697A (en) 2024-05-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9720C (en) Escalator support structure
KR20090050963A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mbling a tower
KR102027992B1 (en) Prefabricated multipurpose table with excellent precision and durability
JP2012046897A5 (en)
WO2007070636A2 (en) Integral form panel for concrete form system
KR20240057697A (en) Prefabricated fences and method for assembling/disassembling
CA2556055C (en) Concrete form systems with concrete ties
US7331560B2 (en) Concrete form systems
JP7171399B2 (en) Strut install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108290B1 (en) Combined structure of post and base plate for pence
JP2008014123A (en) Vertical lumber member installation hardware
KR100976934B1 (en)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KR200386274Y1 (en) Fence
JP4759240B2 (en) Building unit connection structure
KR101320940B1 (en) Wooden construction modular uni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022618A1 (en) Concrete form system with skin panel
KR101787246B1 (en)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JP4232681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horizontal members
KR102663918B1 (en) Profile connecting device and partition with the same
JP7410504B2 (en) Fastening fittings
KR200433303Y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wist of switch fixing plate
JP6777795B1 (en) Building materials using CLT panels
KR200354388Y1 (en) Sandwich panels and wall fabricated using them
KR200233659Y1 (en) Bracke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orm Work
JP6385686B2 (en) Wood fram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