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574A - Candle device - Google Patents

Cand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574A
KR20240057574A KR1020220137918A KR20220137918A KR20240057574A KR 20240057574 A KR20240057574 A KR 20240057574A KR 1020220137918 A KR1020220137918 A KR 1020220137918A KR 20220137918 A KR20220137918 A KR 20220137918A KR 20240057574 A KR20240057574 A KR 20240057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piece
deployment
wick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주)로이체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이체 filed Critical (주)로이체
Publication of KR2024005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574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02Candle holders for birthday or anniversary cakes

Abstract

본 발명은 캔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양초를 점화시키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개 편을 전개한 후, 각 전개 편을 본래 위치로 뒤돌려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목적으로, 중앙에 수직 포스트(21)가 기립한 베이스 부재(20); 중심부의 관형 블록(31)이 스프링(S)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강 부재(30); 각 편의 하단이 상기 승강 부재(30)의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측 면에 각각 양초(41)가 결속된 복수의 전개 편(40); 상단 중심에 점화 심지(52)가 직립한 커버체(50); 를 포함하되, 상기 전개 편(40)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양초(41)의 각 심지가 상기 점화 심지(52)에 맞댄 상태가 유지되고, 점화 심지(52)로의 점화에 의해서 상기 승강 부재(30)가 상승함과 동시에 각 전개 편(40)이 전개된 열림 상태에서 점화된 각 양초(41)가 직립되도록 한 캔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승강 부재(30)의 하강시 상기 관형 블럭(31)에 마련된 걸쇠 장치(32)가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마련된 고리(23)에 결속되어 각 전개 편(40)이 닫힘 위치로 유지 가능하게 된 캔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igniting a plurality of candles and deploying a plurality of deployment pieces at the same time, then returning each deployment piece to its original position to maintain a closed stat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 base member (20) on which the post (21) stands; A lifting member 30 in which the central tubular block 31 is supported by a spring S and is capable of being lift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deployment pieces (40), the lower ends of each piece being rotatably fastened around the elevating member (30) and each candle (41) being bound to an inner surface; A cover body (50) with an ignition wick (52) standing upright at the top center; Including,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eployment piece 40, each wick of the candle 41 is maintained against the ignition wick 52, and the lifting member 30 is ignited by the ignition wick 52. ) rises and at the same time each deployment piece 40 is deployed and open, and each ignited candle 41 is made to stand upright. In the candle device, when the lifting member 30 is lowered by the user, the tubular block ( It relates to a candle device in which a latch device (32) provided in (31) is fastened to a ring (23) provided in the base member (20) so that each deployment piece (40) can be maintained in the closed position.

Description

캔들 장치{CANDLE DEVICE}Candle device {CANDLE DEVICE}

본 발명은 생일파티나 모임에서 사용 가능한 캔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캔들의 전개에 따른 사용 후 본래 상태로 복귀 가능하게 하는 캔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 device that can be used at birthday parties or gatherings,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ndle device that allows the candl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fter use as it expands.

일반적으로 축하행사나 생일과 같은 파티 또는 결혼식 등의 행사에는 케익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행사용 케익에는 케익에 양초를 삽입한 후 양초를 점화하여 행사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킨다.In general, cakes are essential for events such as celebrations, birthday parties, or weddings, and in cakes for these events, candles are inserted into the cake and then lit to further enhance the atmosphere of the event.

그러나 단순히 케익에 양초를 점화하여 밝히는 것만으로는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고, 여러 개의 양초를 점화하기가 번거로우며, 양초를 점화한 후 끌 때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꺼야 하므로 비위생적일 뿐 아니라, 양초를 점화하고 마지막 양초를 점화할 때에 시간적 차이가 있어 촛물이 녹아 케익에 흘러드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mply lighting candles on a cake has limitations in creating a gorgeous atmosphere, lighting multiple candles is cumbersome, and when blowing out a candle after lighting it, it is not only unhygienic, but also unhygienic because you have to blow on it to extinguish it. There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lighting a candle and lighting the last candle, so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andle water melting and flowing into the cake.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등록 제10-0461026호(특허문헌 1)에서는, 소정 크기의 원형 몸체에 내장되며 수용되는 발화물이 연소되는 점화부와, 상기 점화부의 점화 부위에 위치하며 발화물의 연소작용에 의해 통전을 이루는 도전부와, 일측부가 상기 원형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점화부의 연소작용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체가 접착되는 다수의 점등부와, 상기 원형 몸체에 내장되며 도전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전부의 통전시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발성부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형 몸체 하단 축부에는 탄성스프링이 끼워지고 받침대로 탄성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형 몸체가 위로 상승되도록 하는 축하용 캔들이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61026 (Patent Document 1), an ignition unit is built into a circular body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mbusts the received ignition material, and is located at an ignition portion of the ignition unit. A conductive part that conducts electricity by the combustion action of an ignition, a plurality of lighting parts on one side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circular body and to which a luminous body that lights up by the combustion action of the ignition part is attached, and which are built into the circular body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arts It is composed of a vocalizat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and generates a melody when the conductive part is energized, and an elastic spring is inserted into the lower shaft part of the circular body, and the elastic spring is supported by a base so that the circular body is raised upward by the elastic spring. A dragon candle has been proposed.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2004-0108522(특허문헌 2)에서는, 지주 둘레에, 복수개의 꽃잎 모양편의 기단을 상하 방향으로 개폐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각 꽃잎 모양편의 선단부에 양초를 설치하며, 각 꽃잎 모양편이 닫힘 위치를 취할 때, 각 꽃잎 모양편의 양초차 눕혀져 심지가 맞대지는 상태로 보존유지되고, 심지로의 일제 점화로, 이 보존유지 상태가 해소되어 각 꽃잎 모양편이 전개하며, 열림 위치로 내려앉아서 점화된 양초를 각 꽃잎 모양편 위에 직립시킨 캔들 장치가 제안되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108522 (Patent Document 2), the base of a plurality of petal-shaped pieces is supported around a support so that it can open and clos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 candle is installed at the tip of each petal-shaped piece, and each petal-shaped piece is supported. When the petal pieces assume the closed position, the candle of each petal piece is laid down and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wicks are facing each other. When the wicks are ignited simultaneously, this state of holding is eliminated, and each petal piece unfolds and returns to the open position. A candle device was proposed in which a candle that was lowered and ignited was erected on top of each petal-shaped piece.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0094호(특허문헌 3)에서는, 하측으로는 스프링수용홈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회전홈을 형성하며 중앙으로는 회전공을 형성한 중앙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몸체의 스프링수용홈을 덮을 수 있도록 하측면 중앙으로 상기 회전공과 동일직선상에 형성된 연결공을 형성한 고정돌기를 형성하며 상측면 외경 일측에는 스프링고정돌기를 형성한 하부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고정판의 고정돌기에 다리몸체를 삽입고정하며 상기 회전공과 연결공의 스프링수용홈측으로는 회전단턱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단턱에 상하단이 삽입되며 외경에는 스프링홈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 내경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한 회전체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의 스프링홈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스프링고정돌기에 연결되어 스프링 수용홈에 수용되는 태엽스프링을 형성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체가 회전할 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외경에 형성한 결합봉을 하측에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승강홈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몸체의 회전홈에 삽입되도록 형성한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결합봉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며 하단에는 매듭공을 형성한 승강봉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봉 상측으로는 외측으로 상기 회전몸체의 승강홈에 하단이 삽입되는 승강몸체의 하단에는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승강몸체를 덮을 수 있도록 승강덮개를 형성하되 상기 승강덮게의 중앙에는 점화물질이 충진된 점화봉을 돌설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점화봉의 상단에 걸치며 승강덮개와 승강몸체, 회전몸체, 중앙몸체, 하부고정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여 승강봉의 매듭공에 매듭지어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이 해지되면 승강되는 승강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걸림돌기를 절곡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양초를 고정 형성한 다수의 촛불부로 구성된 회전식 케익용 초가 제안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0094 (Patent Document 3), a central body is formed with a spring receiving groove on the lower side, a rotating groove on the upper side, and a rotating hole in the center, and the central body is formed with a rotating hole in the center. A fixing protrusion having a connecting hole form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rota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to cover the spring receiving groove of the body, and a lower fixing plate having a spring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The leg body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rotating hole and the spring receiving groove side of the connecting hole, and the body portion forms a rotating step,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inserted into the rotating step of the body portion, forming a spring groove on the outer diameter and in the center. A mainspring sprin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and ha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groove of the rota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of the body and received in the spring receiving groove. A rotating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coupling rod having a coupling groove on the outer diameter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it can rotate when the rotating body of the rotating part rotates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lif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rotating body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groove of the central body, and a lifting rod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upling rod of the rotating body and elastically installed by a spring, and has a knot hole at the bottom,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ro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ing body, the lower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groove of the rotating body on the outside, and an elevating cov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cover the elevating body, and the center of the elevating cover is filled with an ignition material. It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ignition rod so that the elevating part is fixed in a lowered state, passes through holes formed in the elevating cover, elevating body, rotating body, central body, and lower fixing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knot hole of the elevating rod. A rotating cake candle was also proposed, which consists of a knotted fixing part and a plurality of candle parts with a locking protrusion bent to engage the coupling groove of the lifting part that is raised and lowered when the fixing part is released, and the candles are fixed on the inside.

그뿐 아니라, 한국 특허공개 제2008-0094662호(특허문헌 4)에서는, 지지대에 지지한 지주 둘레에, 복수개의 꽃잎 모양 편을 상하방향으로 개폐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각 꽃잎 모양 편이 닫힘위치를 취할 때에, 각 꽃잎 모양 편 선단부에 부착한 양초가 눕혀져 연소심지의 맞댄 상태로 유지되고, 연소심지로의 일제 점화로 각 꽃잎 모양 편이 전개하고, 열림위치에서 점화된 양초를 각 꽃잎 모양 편 위에 직립시키는 캔들 장치에 있어서, 지주 위에, 불꽃놀이 성분을 포함하는 도화약층을 심지선 둘레에 형성한 도화용 봉을 설치하고, 그 도화용 봉의 기부 근처의 도화약층 둘레에 각 양초의 연소심지를 맞댄 상태로 배열한 캔들 장치에 제안되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94662 (Patent Document 4), a plurality of petal-shaped pieces are supported freely to open and clos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ound a strut supported on a support, and each petal-shaped piece takes a closed position. At this time, the candle attached to the tip of each petal-shaped piece is laid down and maintained in a state facing the combustion wick, each petal-shaped piece is expanded by simultaneous ignition of the combustion wick, and the candle lit in the open position is made to stand erect on each petal-shaped piece. In the candle device, on a support, a fire rod is installed with a firework layer containing fireworks components formed around the wick wire, and the burning wick of each candle is placed against the firewood layer near the base of the fire rod. An arrayed candle device was proposed.

이와 같은 특허문헌들은 모두 한번의 점화로 여러 개의 양초를 점화할 수 있어 간편하고, 점화된 여러개의 양초가 회전을 하면서 멜로디를 냄으로써 축하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으며, 양초가 점화된 후 흐르는 촛물이 케익에 떨어지지 않아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All of these patent documents are convenient because they allow multiple candles to be ignited with a single ignition, and the atmosphere of celebration can be further enhanced by emitting a melody as several lit candles rotate, and the candle water flows after the candles are ignite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hygienic as it does not fall on the cake.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들은 양초를 점화시키는 동시에 전개 편을 전개시킨 다음, 전개 편을 본래 위치로 뒤돌릴 수 있는 복귀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캔들 장치를 한 번 사용 후 파티용품 등으로 재활용할 수 없고, 따라서 한번 사용한 캔들 장치를 그대로 버릴 수밖에 없어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캔들 장치를 버리지 않고 보관할 때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ignite the candle and deploy the deployment piece at the same time, and then do not provide a return means to return the deployment piece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e candle device cannot be recycled as party supplies, etc. after one use. Therefore, there is no choice but to discard the candle device once used, which is not only uneconomical,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easy to store when storing the candle device instead of discarding it.

1. 한국 특허등록 제10-0461026호 등록특허공보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61026 Registered Patent Gazette 2. 한국 특허공개 제2004-0108522 공개특허공보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108522 3.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0094호 등록실용신안공보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0094 Registered Utility Model Gazette 4. 한국 특허공개 제2008-0094662호 공개특허공보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94662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양초를 점화시키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개 편을 전개시켜 사용한 후 각 전개 편을 본래 위치로 뒤돌릴 수 있는 복귀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캔들 장치를 한 번 사용 후 파티용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캔들 장치를 보관하고자 할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캔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aims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above prior art, ignites a plurality of candles and deploys a plurality of deployment pieces at the same time, and provides a return means to return each deployment piece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providing a candle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andle device that can not only be recycled as party supplies after one use, but also minimizes the size and makes storage easier when storing the candle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들 장치는, The cand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캔들 장치용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포스트가 기립한 베이스 부재; 중심부의 관형 블록이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연에서 스프링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강 부재; 복수 개의 편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각 편의 하단이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측 면에 각각 양초가 구비된 전개 편; 상기 수직 포스트를 커버하고 상단 중심에 점화 심지가 직립한 커버체; 를 포함하되, 상기 전개 편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양초의 각 심지가 상기 점화 심지에 맞댄 상태가 유지되고, 점화 심지로의 점화에 의해서 상기 승강 부재가 상승함과 동시에 각 전개 편이 전개된 열림 상태에서 점화된 각 양초가 직립되도록 한 캔들 장치에 있어서,A base member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or the candle device and having a vertical post standing in the center; A lifting member in which a central tubular block is supported by a spring at the outer edge of the vertical post and is capable of being lift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radially, the lower end of each piece is rotatably fastened around the elevating member, and each piece is provided with a candle on its inner surface; a cover body that covers the vertical post and has an ignition wick erected at the top center; Including, each wick of the candle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ignition wick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eployment piece, and the elevating member is raised by ignition of the ignition wick and at the same time, each deployment piece is ignited in the deployed open state. In a candle device that allows each candle to stand upright,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승강 부재의 하강시 상기 관형 블럭에 마련된 걸쇠 장치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고리에 결속되어 각 전개 편이 닫힘 위치로 유지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lifting member is lowered by a user, a latch device provided on the tubular block is fastened to a ring provided on the base member so that each deployment piece can be maintained in the closed posi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걸쇠 장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하로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관형 블록의 외측에 힌지로 연결된 연결 바와, 상기 연결 바의 하단에서 돌출된 걸쇠 돌기와, 상기 연결 바의 내측 면에서 연장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관형 블록의 외면에 접한 지지 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돌기가 상기 고리에 결속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atch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bar tha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rranged up and down, the upper part of which is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block, a latch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It may include a support bar that extends and protrudes and an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lock, and the latch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fastened to the ring.

또한, 상기 승강 부재에는 사용자의 가압시 상기 걸쇠 장치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결속 해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inding release means that releases the binding of the latch device when a user presses it.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 해제 수단은, 상기 커버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커버체에서 상향 돌출된 누름 핀과, 상기 누름 핀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 부재에서 상향 돌출된 관형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관형 가이드 포스트 내에서 상기 누름 핀을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누름 핀의 외연에서 연장된 가압 핀을 포함하고,More specifically, the binding releasing means includes a push pin that penetrates the cover body up and down and whose upper part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body, and a tubular guide post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lifting member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push pin is inserted; Comprising an elastic body supporting the push pin within the tubular guide post and a pressure pin extending from an outer edge of the push pin,

상기 걸쇠 장치의 연결 바의 외측 면에는 상기 가압 핀과 접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누름 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연결 바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쇠 장치의 결속이 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An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i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of the latch device, so that the connecting bar rotates around the hinge due to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in, so that the binding of the latch device can be released.

한편, 상기 본체 외면에는 리본 끈을 고정하는 끈 결속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 string binding portion for fixing a ribbon string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캔들 장치에 따르면, 복수 개의 양초를 점화시키는 동시에 복수 개의 전개 편을 전개시켜 사용한 후 각 전개 편을 본래 위치로 뒤돌릴 수 있는 복귀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캔들 장치를 한 번 사용 후 파티 주인공이 머리에 쓰는 형태와 같이 꼬깔 모자 대용으로 사용하는 등 파티용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이며, 그로 인해 파티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nd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urn means is provided to ignite a plurality of candles and return each deployment piece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deploying and using a plurality of candles. Therefore, after using the candle device once, the party protagonist It is economical and efficient because it can be recycled as party supplies, such as by using it as a replacement for a hat like a hat worn on the head. This can further enhance the party atmosphere.

더욱이 사용한 캔들 장치를 기념하기 위해 보관할 때 전개 편을 닫힘 위치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동시에, 필요시 언제든지 열림 상태로 변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배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reover, when storing the used candle device, the deployment piece can be stored in the closed position, making it easy to store.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verted to the open state at any time when necessary, which has the advantage of doubling the user's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열림 상태에서 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닫힘 복귀 상태에서 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하부 관측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deployment portion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deployment unit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deployment piece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and returned stat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only the exemplified embodiments, and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mon changes, equivalents, and replacements of the exemplified forms.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거나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eans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 element. Includes,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ny componen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f them.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refor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열림 상태에서 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전개 편의 닫힘 복귀 상태에서 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osed state of the deployment unit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deployment unit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deployment piece,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3,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deployment piece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losed and return stat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들 장치는, 본체(10), 베이스 부재(20), 승강 부재(30), 복수의 전개 편(40) 및 커버체(50)를 포함한다.1 to 5, the cand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base member 20, an elevating member 30, a plurality of deployment pieces 40, and a cover body 50. .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승강 부재(30)의 상승시 승강 부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태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체(50) 내부에는 소정의 멜로디가 출력되게 하는 음향 발생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특허문헌들에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mainsp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rotate the lifting member 30 when the lifting member 30 rises, and a predetermined amoun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body 50. A sound generating device (not shown) that outputs a melody may be provided, and since technology known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may be appli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수직 포스트(21)가 기립하고 있으며, 수직 포스트(21)의 상부에는 승강 부재(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22)가 구비된다. The base member 20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post 21 stands in the center. A stopper 2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ost 21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lifting member 30. It is provided.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20)의 상단 일측에 고리(23)가 형성되는데, 이는 승강 부재(30)가 원 위치, 즉 전개 편(40)들이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승강 부재(30)의 상승과 전개 편(40)의 열림을 저지하기 위한 요소이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ng 23 is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base member 20, which is when the lifting member 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deployment pieces 40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It is an element to prevent the rise of (30) and the opening of the deployment section (40).

상기 승강 부재(30)는 그 중심부에 관형 블록(31)이 구비되고, 관형 블록(31)은 수직 포스트(21)의 외연에서 스프링(S)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부재(30)가 상승하고, 사용자의 외력(누름)에 의해 하강하게 마련된다.The lif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tubular block 31 at its center, and the tubular block 31 is supported by a spring S at the outer edge of the vertical post 21 and is capable of being lifted up and down. That is, the lifting member 30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and lowered by the external force (press) of the user.

상기 전개 편(40)은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각 전개 편(40)의 하단은 승강 부재(30)의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각 전개 편(40)의 내측 면에는 양초가 고정된다. 전개 편(40)의 모양은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익의 외형을 이룰 수 있으며, 그 형태나 모양은 제한이 없다.A plurality of the deployment pieces 40 are arranged radially, the lower end of each deployment piece 40 is rotatably fastened around the elevating member 30, and a candl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deployment piece 40. do. The shape of the deployment piece 40 can, for example, form the outline of a cake as shown, and its shape or shape is not limited.

전개 편(40)의 열림 위치시 캔들 장치의 화려함 내지 미감을 위해 상기 승강 부재(30)는 계단 형태로 층을 이룰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보조 전개 편(부호 미표시)의 각 하단이 승강 부재(30)의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개 편(40)이 열림 위치로 개방되는 동시에 보조 전개 편도 함께 펼쳐지게 된다.In order to add splendor or aesthetics to the candle device when the deployment piece 4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lifting members 30 may be layered in the form of steps, and each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ployment pieces (not marked) is a lifting member. It can be rotatably fastened on the inside of (30). In this case, the deployment piece (40) is opened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auxiliary deployment piece is also unfolded.

상기 커버체(50)는 기둥 형태의 연결부(51)를 통해서 승강 부재(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21)를 커버하게 마련되고, 커버체(50)의 상단 중심에는 점화 심지(52)가 고정된다.The cover body 50 is provided to cover the vertical post 21 while being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30 through a pillar-shaped connecting portion 51, and an ignition wick 52 is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cover body 50. ) is fixed.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전개 편(40)의 닫힘 위치에서 양초(41)의 각 심지는 점화 심지(52)에 맞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점화 심지(52)를 점화하면 점화 심지(52)가 연소하면서 복수의 양초(41)의 각 심지에 한꺼번에 불을 붙이게 되고, 동시에 승강 부재(30)를 고정하고 있던 실이 끊어지면서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부재(30)가 상승하여 각 전개 편(40)이 도 2와 같은 형태로 펼쳐지면서 불이 붙은 양초(41)가 직립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ach wick of the candle 41 is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ignition wick 52 at the closed position of the deployment piece 40 as shown in FIG. 1, and when the ignition wick 52 is ignited in this state, ignition occurs. As the wick 52 burns, each wick of the plurality of candles 41 is lit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the thread securing the lifting member 30 is broken and the lifting member 30 is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As it rises, each unfolding piece 40 unfolds in the form shown in FIG. 2 and the lit candle 41 stands upright.

물론 승강 부재(30)가 상승할 때 본체(10) 내부에 있던 태엽에 의해서 승강 부재(30)가 회전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소정의 멜로디가 출력되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기술은 전술한 특허문헌에서 제시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f course, when the lifting member 30 rises, the lifting member 30 can be rotated by the spring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predetermined melody by the sound generating device, such technology. Since is a known technology present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 편(40)의 열림 위치에서 양초에 붙은 불을 끈 후 사용자가 각 전개 편(40)을 오므리면서 승강 부재(30)를 누르면 관형 블럭(31)에 마련된 걸쇠 장치(32)가 베이스 부재(20)에 마련된 고리(23)에 결속되어 각 전개 편(40)이 닫힘 위치,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tinguishing the candle in the open position of the deployment piece 40, the user presses the lifting member 30 while retracting each deployment piece 40, and the latch device 32 provided on the tubular block 31 ) is fastened to the ring 23 provided on the base member 20 so that each deployment piece 40 can be maintained in the closed position, that is, the state shown in FIG. 5.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걸쇠 장치(32)는, 하부에 걸쇠 돌기(323)가 형성된 연결 바(32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바(322)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하로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관형 블록(31)의 외측에서 힌지(321)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걸쇠 돌기(323)는 상기 연결 바(322)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연결 바(322)의 내측 면에는 지지 바(325)가 내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지지 바(325)의 단부는 관형 블록(31)의 외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바(322)가 지지 바(325)에 의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latch device 32 includes a connecting bar 322 with a latch protrusion 323 formed at its lower portion. The connecting bar 32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rranged up and down, and its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hinge 321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block 31 and is rotatable. Meanwhile, the latch protrusion 323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322. At this time, a support bar 325 extends and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322, and the end of the support bar 32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lock 31, so that the connection bar 322 is a support bar. (325) It can be made to have a certain elasticity.

이를 위해 상기 걸쇠 장치(32)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캔들 장치의 제조시 실을 이용하여 걸쇠 장치(32)의 연결 바(322)를 관형 블록(31)에 묶어서 제품 사용 전, 즉 점화 전에는 걸쇠 돌기(323)가 고리(23)에 결속되지 않게 하고, 점화 심지(52)에 의해 양초(41)가 점화될 때 실이 연소되면서 걸쇠 장치(32)의 묶음 상태를 해제하게 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latch device 32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candle device, the connecting bar 322 of the latch device 32 is tied to the tubular block 31 using thread to prevent the latch protrusion 323 from being tied to the ring 23 before using the product, that is, before ignition. And, when the candle 41 is ignited by the ignition wick 52, the thread is burned and the binding state of the latch device 32 can be released.

한편, 상기 승강 부재(30)에는 사용자의 가압시 상기 걸쇠 장치(32)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결속 해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fting member 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inding release means that releases the binding of the latch device 32 when the user presses it.

상기 결속 해제 수단은, 누름 핀(60), 가압 핀(61) 및 가이드 포스트(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nding release means may include a push pin 60, a pressure pin 61, and a guide post 62.

누름 핀(60)은 커버체(50)의 상단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커버체(50)에서 상향 돌출되게 마련되고, 승강 부재(30)의 상단에는 관형 포스트(62)가 상향 연장되며, 승강 부재(30)의 내측 공간이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내입된다.The push pin 60 penetrates the upper part of the cover body 50 vertically so that the upper part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body 50, and a tubular post 62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member 30.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ifting member 30.

상기 누름 핀(60)의 하부는 가이드 포스트(62)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누름 핀(6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가압 핀(61)이 구비되며, 걸쇠 장치(32)의 연결 바(322)의 외측 면에는 상기 가압 핀(61)과 접하는 경사부(324)가 형성된다.The lower part of the push pin 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st 62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by elastic force, and a pressure pin 61 protruding and extending outwar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pin 60, An inclined portion 324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in 6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322 of the latch device 32.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개 편(40)이 닫힘 위치에서 사용자가 누름 핀(60)을 눌러서 가압하면 가압 핀(61)이 하강하면서 경사부(324)를 누르게 되고, 이때 연결 바(322)가 힌지(32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쇠 장치(32)와 고리(23)의 결속이 해제되어 전개 편(40)이 다시 열림 상태로 펼쳐지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pin 60 when the deployment piece 4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ush pin 61 descends and presses the inclined portion 324, an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r 322 is hinged. By rotating around 321, the binding between the latch device 32 and the ring 23 is released, and the unfolding piece 40 is opened agai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들 장치의 하부 관측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of the cand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캔들 장치의 본체(10) 외면에는 리본 끈(R)을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소에 끈 결속부(12)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f the candl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string binding portions 12 at at least two locations to secure the ribbon string R.

이 경우 캔들 장치와 함께 제공되는 리본 끈(R)을 끈 결속부(12)에 끼워서 고정한 후 리본 끈(R)을 행사 주인공의 머리에 묶어서 고정하면 캔들 장치를 꼬깔 모자를 대체하는 행사 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by inserting and fixing the ribbon string (R) provided with the candle device into the string fastening portion (12) and then tying and securing the ribbon string (R) to the head of the event protagonist, the candle device can be used as an event item replacing a cocked hat. You can.

또한, 도 1과 같이 본체(10)의 하부에는 다리가 구비된 브라켓(11)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브라켓(11)을 케익에 고정하는 형태로 하여 케익의 손상 없이 캔들 장치를 케익 위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a bracket 11 with legs may b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bracket 11 is fixed to the cake so that the candle device can be placed on the cake without damaging the cake. It is also possible to fix it.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is way,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explained according to limited embodiments show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shapes, and values, and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may be changed, mixed, etc.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outloo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10... 본체 11... 지지 브라켓
12... 끈 결속부 20... 베이스 부재
21... 수직 포스트 22... 스토퍼
23... 고리 30... 승강 부재
31... 관형 블록 32... 걸쇠 장치
321... 힌지 322... 연결 바
323... 걸쇠 돌기 324... 경사부
325... 지지 바 40... 전개 편
41... 양초 42... 보조 전개 편
50... 커버체 51... 연결부
52... 점화 심지 60... 승강 핀
61... 가압 핀 62... 가이드 포스트
R... 리본 끈 S... 스프링
10... Main body 11... Support bracket
12... string binding portion 20... base member
21... vertical post 22... stopper
23... hook 30... lifting member
31... tubular block 32... latch device
321... hinge 322... connecting bar
323... Clasp projection 324... Inclined portion
325... support bar 40... deployment
41... Candle 42... Auxiliary deployment
50... cover body 51... connection part
52... ignition wick 60... lifting pin
61... Pressure pin 62... Guide post
R... Ribbon string S... Spring

Claims (5)

캔들 장치용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수직 포스트가 기립한 베이스 부재; 중심부의 관형 블록이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연에서 스프링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강 부재; 복수 개의 편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각 편의 하단이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측 면에 각각 양초가 구비된 전개 편; 상기 수직 포스트를 커버하고 상단 중심에 점화 심지가 직립한 커버체; 를 포함하되, 상기 전개 편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양초의 각 심지가 상기 점화 심지에 맞댄 상태가 유지되고, 점화 심지로의 점화에 의해서 상기 승강 부재가 상승함과 동시에 각 전개 편이 전개된 열림 상태에서 점화된 각 양초가 직립되도록 한 캔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승강 부재의 하강시 상기 관형 블럭에 마련된 걸쇠 장치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고리에 결속되어 각 전개 편이 닫힘 위치로 유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장치.
A base member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or the candle device and having a vertical post standing in the center; A lifting member in which a central tubular block is supported by a spring at the outer edge of the vertical post and is capable of being lifted up and down;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radially, the lower end of each piece is rotatably fastened around the elevating member, and each piece is provided with a candle on its inner surface; a cover body that covers the vertical post and has an ignition wick erected at the top center; Including, each wick of the candle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ignition wick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eployment piece, and the elevating member is raised by ignition of the ignition wick and at the same time, each deployment piece is ignited in the deployed open state. In a candle device that allows each candle to stand upright,
A c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fting member is lowered by a user, a latch device provided on the tubular block is fastened to a ring provided on the base member so that each deployment piece can be maintained in the closed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쇠 장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상하로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관형 블록의 외측에 힌지로 연결된 연결 바와, 상기 연결 바의 하단에서 돌출된 걸쇠 돌기와, 상기 연결 바의 내측 면에서 연장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관형 블록의 외면에 접한 지지 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돌기가 상기 고리에 결속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장치.
In claim 1,
The latch device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up and down, and has a connecting bar whose upper part is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block, a latch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ar, and an end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and protruding. A candle device comprising a support bar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lock, wherein the latch protrusion is capable of being fastened to the r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에는 사용자의 가압시 상기 걸쇠 장치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결속 해제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장치.
In claim 2,
A c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inding release means that releases the binding of the latch device when a user presses 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속 해제 수단은, 상기 커버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커버체에서 상향 돌출된 누름 핀과, 상기 누름 핀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 부재에서 상향 돌출된 관형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관형 가이드 포스트 내에서 상기 누름 핀을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누름 핀의 외연에서 연장된 가압 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쇠 장치의 연결 바의 외측 면에는 상기 가압 핀과 접하는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누름 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연결 바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쇠 장치의 결속이 해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장치.
In claim 3,
The binding release means includes a push pin that penetrates the cover up and down and the top of which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a tubular guide post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lifting member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push pin is inserted, and the tubular guide. It includes an elastic body supporting the push pin within the post and a pressure pin extending from the outer edge of the push pin,
An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i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of the latch device, so that the connecting bar rotates around the hinge by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in, making it possible to release the binding of the latch device. Candl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면에는 리본 끈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2 이상의 끈 결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들 장치.
In claim 1,
A cand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two string binding parts for fixing the ribbon string.
KR1020220137918A 2022-10-25 Candle device KR20240057574A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574A true KR20240057574A (en) 2024-05-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313B1 (en) Candle with falling sections
US3885905A (en) Candle with automatic snuffer
KR20240057574A (en) Candle device
US20050207155A1 (en) Decorative candle
KR101514993B1 (en) Candle light
US6663258B1 (en) Portable illumination device
CN100565004C (en) Candle stick
JP3621085B2 (en) Candle equipment
JP4090481B2 (en) Candle equipment
KR200177770Y1 (en) An amusement structure of an using various
JP4403148B2 (en) Paper lantern
US20210016198A1 (en) Confetti launcher
KR200423169Y1 (en) Birthday Placard To Be Displayed Automatically
KR20100064507A (en) Melody candle for congratulalory cake
KR200320094Y1 (en) Candle for cake
JP3205241U (en) Incense sticks and incense holders
CN220958423U (en) Spray flower base candle
CN215951357U (en) Anti-collision candle holder
JP4099014B2 (en) Rod-shaped combustion body emitting colored light, its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control ring
WO2007125582A1 (en) Candle device
US20050239009A1 (en) Sound-producing candle assembly
KR200421859Y1 (en) Rolling down Celebration Message Screen
US745111A (en) Combination lamp attachment.
JP2523251Y2 (en) Simultaneous ignition device for decorative candles
KR200287161Y1 (en) a lamp sh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