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479A -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479A
KR20240057479A KR1020220137051A KR20220137051A KR20240057479A KR 20240057479 A KR20240057479 A KR 20240057479A KR 1020220137051 A KR1020220137051 A KR 1020220137051A KR 20220137051 A KR20220137051 A KR 20220137051A KR 20240057479 A KR20240057479 A KR 2024005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manufacturing
removal filter
virus removal
highl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클라시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시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라시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479A/ko
Publication of KR2024005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3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66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biodegradable or bio-solubl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2~20nm 나노입자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가 포함된 PLA 소재 마스터 배치를 준비하는 1공정; PLA 칩에 나노입자 2~20nm의 균일한 코팅을 실시하는 2공정; 모노 6 데니아급 항바이러스/항균제 기능이 포함된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방사하는 3공정; PLA 소재 마스터 배치에 항바이러스/항균제를 함유하여 방사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방사된 원사를 냉각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의 냉각된 원사를 직조하여 항바이러스/항균성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6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High-functional virus removal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생활환경 정화 분야인 에어컨, 공기청정기 분야에서 에어필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정수기 등의 수요 증가에 따라 액체필터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 필터류는 주로 부직포 형태로 제조되는데, 섬유소재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부직포 필터 소재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 등 미립자를 제거하는 에어필터와 오일 등 액체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액체필터가 주류이다.
실용적으로는 대기 등의 공기정화, 수처리, 연료정제 등을 위한 액체필터 등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개발되었고, 소재 복합화 및 기능성 가공을 통하여 필터 용도에 맞도록 제품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COVID-19 펜더믹 이후 방역분야에서 필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기존 마스크용 에어필터는 미세먼지 제거용으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방역용 마스크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능, 즉 코로나 바이러스/세균/곰팡이균 등 생물학적 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항균 기능과 착용 쾌적성 등의 추가적인 기능성들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었다.
현재까지 COVID-19의 특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여러 연구 논문에 따르면 COVID-19 바이러스는 에어로졸 상태로 3시간, 천과 나무에서 1일, 유리에서 2일, 스테인레스와 플라스틱에서 4일, 의료용 마스크 겉면에서 7일까지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OVID-19의 유행이 지속되며 비말을 막아줄 수 있는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었으나, 교체주기에 대한 인식 부족 및 비용 부담 등으로 착용한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 표면에 장기간 생존할 수 있는 COVID-19의 특성을 고려할 때, 마스크 사용시 마스크 표면을 만지는 등의 행위가 반복되면 바이러스의 감염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스크는 자주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나, 잦은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마스크 폐기물 증가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새로운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마스크의 성능을 보면, 착용 시 쾌적성 등은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상당히 발전하였으나, 항바이러스 및 항균 성능은 아직 요구수준에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마스크 반복 사용에도 안전한 항바이러스 성능을 가진 마스크 개발이 필요하며, 마스크 사용후 폐기물에 의한 감염 및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었으나, 여전히 하루 400∼500명대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종교시설, 실내 체육시설, 단체생활시설, 요양원, 노래주점 등 밀집도가 높으나 환기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마스크 착용이 부실한 실내공간에서의 비말 또는 공기에 의한 감염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용 항바이러스 필터 개발의 필요성도 크게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20-013796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 안전성이 높은 무기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고, 나노 입자의 무기항균제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PP(Polypropylene)/PLA(Polylactic acid) 섬유 방사 시 직접 혼입 방사를 진행하여 항 바이러스성 물질이 단섬유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섬유방사 기술을 활용하여 필터의 여과효율을 증가시키고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 발현을 최대화하기 위해 섬유의 단면을 원형이 아닌 이형의 단면으로 생산하여, 이를 공기청정기용 프리필터(pre-filter) 및 산업용 마스크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항균, 항바이러스를 구현할 수 있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2~20nm 나노입자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가 포함된 PLA 소재 마스터 배치를 준비하는 1공정; PLA 칩에 나노입자 2~20nm의 균일한 코팅을 실시하는 2공정; 모노 6 데니아급 항바이러스/항균제 기능이 포함된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방사하는 3공정; PLA 소재 마스터 배치에 항바이러스/항균제를 함유하여 방사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방사된 원사를 냉각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의 냉각된 원사를 직조하여 항바이러스/항균성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6공정;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1공정의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는 구리, 은, 아연, 구리-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공정의 부직포에 크림프 부여 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부직포는 카딩, 니들 펀칭, 스프레잉과 디핑, 서멀 본딩, 카렌더링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공정의 부직포는 나노섬유 레이어가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섬유 레이어는 PVDF, PU 소재에 DMF, DMAC, 아세톤 중 택일되는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입자 코팅기술은 보건의료용외에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에너지, 자동차, 촉매, 제약 소재 분야에 폭넓게 활용되는 기반 기술이기 때문에, 타 산업에서도 기술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PLA(Polylactic acid)소재는 향후 발전 전망이 큰 녹색 친환경 재료의 하나로서 자연상태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성 조절이 타 플라스틱 소재 대비 자유로워 필름 및 패키징 용도뿐만 아니라 섬유 산업군에도 다양한 분야로 용도 전개가 진행되고 있는 소재이며, 특히 고기능성 10nm급 나노 무기물을 첨가한 이형단면의 바이러스 제거 PLA 단섬유는 다양한 필터제품 중에서 고기능성 친환경 항균 바이러스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마스크는 항바이러스 성능이 발현될 수 있어 바이러스의 전파 및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대한 단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항바이러스/항균 마스크 레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대한 단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항바이러스/항균 마스크 레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은,
2~20nm 나노입자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가 포함된 PLA 소재 마스터 배치를 준비하는 1공정(S1);
PLA 칩에 나노입자 2~20nm의 균일한 코팅을 실시하는 2공정(S2);
모노 6 데니아급 항바이러스/항균제 기능이 포함된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방사하는 3공정(S3);
PLA 소재 마스터 배치에 항바이러스/항균제를 함유하여 방사하는 4공정(S4);
상기 4공정(S4)에서 방사된 원사를 냉각하는 5공정(S5);
상기 5공정(S5)의 냉각된 원사를 직조하여 항바이러스/항균성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6공정(S6);을 포함한다.
상기 1공정(S1)의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는 구리, 은, 아연, 구리-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된다.
금속 나노입자의 항균 및 살균력 메커니즘은 나노입자가 박테리아의 세포벽에 대한 전이 포텐셜에 의한 세포벽의 붕괴시키고, 나노입자가 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세포의 대사진행을 방해해서 세균을 죽인 후 나노입자에 의한 세포의 Adenosine Triphosphate(ATP)결핍을 유도하여 항균, 살균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기존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은 화학적 처리법과 전기폭발법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기존 제조방법은 대량 생산이 어렵고 입자크기 조절이 불가능하며 PP나 PLA 고분자에의 적용이 어려웠고, 고가격, 나노입자의 불균형성, 저순도, 낮은 분산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증착법(PVD)과 담체(Carrier Powder or Chip)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미세한 나노입자 제조 방법인 NPP 공법을 자체 개발하게 되었다.
NPP(Nano Particles on Powder)공법은 기존 화학적 제조방법이 갖고 있던 문제점들 즉, 고가격(나노입자 및 설비), 나노입자의 불균형성, 저순도, 분산성의 어려움까지 모두 해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NPP 공법은 높은 균일도의 미세한 나노입자 (1∼20nm 비율〉95%)를 수득한다. 나노입자의 높은 생산 효율(90%)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노입자의 높은 순도 (99.99%)를 얻을 수 있다. 친환경적인 나노 공정법(일체의 유해한 화학 원료를 사용하지 않음)이며, 분산제 사용 없이 나노 입자의 첨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NPP 기술을 활용하여 항바이러스 기능성 나노 무기물을 제조하는 방법 무기항균제별 특성 조사(Ag, Zn, Cu, Cu/Zn alloy)하여 화학적으로 만든 항바이러스/항균 무기물에서의 상대적 살균도를 살펴보면,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리스테리아균에 대해 1시간 후 구리는 모든 균을 99% 살균하였고, 은은 황색 포도상구균 46%, 대장균 99%, 리스테리아균 34% 살균력을 갖는다.
대체적으로 구리 > 은 > 아연 순으로 살균도를 발휘한다.
상기 6공정(S6)의 부직포에 크림프 부여 공정이 포함된다. 최적 크림프(Crimp) 부여를 위해 크림핑 온도 80~90, 노즐 압력, 칼날 각도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전술한 1공정(S1) 내지 6공정(S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PLA 원사 및 항바이러스 함유 PLA 이형 단면사를 적용한 공기청정기 PRE-FILTER용 부직포를 수득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딩, 니들 펀칭, 스프레잉과 디핑, 서멀 본딩, 카렌더링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항바이러스 및 항균성 최적화 및 형태안정성 등을 고려한 원사 적정 혼합비 선정한다.
필터여재 통기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카딩(carding) 공정을 확립한다.
여과효율 및 사용주기를 고려한 최적 포어 사이즈(pore size)를 선정 및 제어한다.
섬도, 섬유장, 크림프(crimp) 형태 등과 니들펀칭과의 물리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니들의 침심(needle depth), 니들펀칭 평균 스트로크 횟수 등 최적화한다.
상기 3공정(S3)의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는 단면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의 단면으로 된 형상이다.
상기 6공정(S6)의 부직포는 나노섬유 레이어가 복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나노섬유 레이어는 PVDF, PU 소재에 DMF, DMAC, 아세톤 중 택일되는 용매가 혼합되는 것이다.
6공정(S6)에서 제조된 부직포의 탈취성능에 의해 VOCs,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할 수 있다.
먼저, 고분자 부직포내에 일상 생활의 수분 침투와 이를 통한 항균 금속이온과 반응한다.
반응 공정 a.
나노 입자(Nano Particle)의 경우 금속의 활성도 우수하여 쉽게 구리이온 방출 만들어진 금속이온의 고분자 표면으로의 이동 → 금속이온과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간의 접촉을 통한 미생물의 손상 → 미생물의 사멸
반응 공정 b.
금속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활성기 OH radical 발생 → 지속적으로 미생물, cell membrane lipids, proteins, DNA, RNA, and other biomolecules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의 손상을 통한 유해 미생물의 사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는 항바이러스 제1층(100)과 나노섬유 제2층(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항바이러스/항균 마스크 레이어는 인너 레이어(L1), 필터 레이어(L2), 아우터 레이로(L3)의 삼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인너 레이어는 항바이러스성의 서멀본드, 필터 레이어는 항바이러스성 멜트 블로운, 아우터 레이어는 항바이러스성 스펀본드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S1 : 1공정 S2 : 2공정
S3 : 3공정 S4 ; 4공정
S5 : 5공정 S6 : 6공정

Claims (5)

  1. 2~20nm 나노입자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가 포함된 PLA 소재 마스터 배치를 준비하는 1공정;
    PLA 칩에 나노입자 2~20nm의 균일한 코팅을 실시하는 2공정;
    모노 6 데니아급 항바이러스/항균제 기능이 포함된 이형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방사하는 3공정;
    PLA 소재 마스터 배치에 항바이러스/항균제를 함유하여 방사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방사된 원사를 냉각하는 5공정;
    상기 5공정의 냉각된 원사를 직조하여 항바이러스/항균성능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6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공정의 무기계 항바이러스/항균제는 구리, 은, 아연, 구리-아연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일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공정의 부직포에 크림프 부여 공정이 포함되고,
    상기 부직포는
    카딩, 니들 펀칭, 스프레잉과 디핑, 서멀 본딩, 카렌더링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공정의 부직포는 나노섬유 레이어가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레이어는 PVDF, PU 소재에 DMF, DMAC, 아세톤 중 택일되는 용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제조방법.
KR1020220137051A 2022-10-24 2022-10-24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7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51A KR20240057479A (ko) 2022-10-24 2022-10-24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51A KR20240057479A (ko) 2022-10-24 2022-10-24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479A true KR20240057479A (ko) 2024-05-03

Family

ID=9107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51A KR20240057479A (ko) 2022-10-24 2022-10-24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4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62A (ko) 2020-03-11 2020-12-09 윤형중 태양광 패널용 지주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62A (ko) 2020-03-11 2020-12-09 윤형중 태양광 패널용 지주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tolassi et al. Efficient nanoparticles removal and bactericidal action of electrospun nanofibers membranes for air filtration
CN106455553B (zh) 表面长期消毒用抗微生物涂层
Zille et al.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antimicrobial finishing of biomedical textiles
Jadoun et al. Modification of textiles via nano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Vanangamudi et al. Synthesis of hybrid hydrophobic composite air filtration membranes for antibacterial activity and chemical detoxification with high particulate filtration efficiency (PFE)
CN111172749A (zh) 一种抗菌抗病毒无纺布及其制备方法、包含其的口罩
CN101597860A (zh) 一种络合型抗菌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CN113152101B (zh) 一种抗病毒聚乳酸无纺布的制备方法
KR100536459B1 (ko) 은이 함유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나노섬유 웹
Abazari et al. Fabrication of silver nanoparticles-deposited fabrics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reusable facemasks and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Chen et al. A review on recent trends of the antibacterial nonwovens air filter materials: Classification, fabrication, and application
CN103911907B (zh) 一种多元合金纳米氧化物杀菌空气过滤纸及其制作方法
KR20240057479A (ko) 고기능성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16829A (zh) 防霉防菌防过敏防病毒四合一空气滤材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11841149A (zh) 一种自抗菌消毒口罩用滤材及其制造方法
WO2010015801A2 (en) Biocidal composition
El-Kheir et al. Potential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In Functionalization of Synthetic Fibres (A Review)
CN105088774B (zh) 一种长效抗菌织物的制备方法
CN203507708U (zh) 一种新型汽车空调滤芯
Gadkari et al. Nanoparticles: a novel use in bioactive textiles
CN114680128B (zh) 一种抗微生物水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18389867U (zh) 一种抗病毒口罩
Aloufy et al. Nano-silver embeded nanofibrous face-mask for infection control
Huang et al. Hierarchically Porous, Superhydrophobic PLLA/Copper Composite Fibrous Membranes for Air Filtration
KR102609452B1 (ko) 항균력을 갖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