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467A -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467A
KR20240057467A KR1020220136599A KR20220136599A KR20240057467A KR 20240057467 A KR20240057467 A KR 20240057467A KR 1020220136599 A KR1020220136599 A KR 1020220136599A KR 20220136599 A KR20220136599 A KR 20220136599A KR 20240057467 A KR20240057467 A KR 2024005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de
inflow detection
detection device
infl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복
Original Assignee
(주)인터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버드 filed Critical (주)인터버드
Priority to KR102022013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467A/ko
Publication of KR2024005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01F23/0015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with a whistle or other sonorous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밀물 유입감지장치로부터 감지된 바닷물의 밀물 유입 상태 및 수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실시간 통보받음으로써, 해루질하는 사람들이 밀물의 유입에 따른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간조 시 접하는 갯벌 면과 만조 시 접하는 갯벌 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의한 알람 통보를 전송하여 사람들의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갯벌에서의 인명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Tide inflow detection device and tidal inflow management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얕은 바다나 갯벌에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 상태 및 수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실시간 통보받음으로써, 해루질하는 사람들이 밀물의 유입에 따른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증과 같은 전염성 질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 사람들은 헬스장과 같이 실내에서 여러 명이 모여서 하는 운동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해외여행이 제한됨에 따라 이러한 경향으로 대면 접촉 없는 등산, 낚시, 해루질 등과 같은 야외 레저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이 야외 레저를 즐기는 과정에서 종종 위험한 상황에 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특히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한 서해 및 남해 등의 얕은 바다나 갯벌 등에서 낮에 어패류를 채취하는 해루질은 인기가 높아지는 만큼 안전사고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해루질은 주로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한 해역의 얕은 바다나 갯벌에서 간조 시간인 2~3시간 사이에 주로 이루어는 활동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바다에서 발생하는 안개인 해무가 끼게 되면 1m 앞도 안 보여서 길을 잃고 헤매는 경우가 허다하며, 해안가 쪽으로 밀려오는 바닷물을 육안으로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해루질을 하던 사람들이 바닷물의 만조에 의해 갯벌에 고립되어 방향을 찾지 못해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갯벌에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위급상황에 대처하고자, 스마트폰, 나침판, 호루라기 등과 같은 안전용구를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호루라기를 불더라도 인근에 사람들이 없을 경우나 나침판을 사용하더라도 밀물과 썰물이 오고 가면서 생긴 물길의 고랑인 갯골에 의해 위험에 처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갯벌에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위급 상황에 대처하고자, 나침판, 호루라기 등과 같은 안전용구를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소판 및 조차판의 확인에 의해 만조 및 간조가 발생하는 시각을 확인하는 구조로서, 사람들이 해루질에 몰입할 경우 시계를 확인하는 시간의 때를 놓침에 따라 위험에 처해 질 수도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33768호(2002년 04월 10일 등록)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얕은 바다나 갯벌에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 상태 및 수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실시간 통보받음으로써, 해루질하는 사람들이 밀물의 유입에 따른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갯벌에서 간조시 접하는 갯벌 면과 만조 시 접하는 갯벌 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의한 알람 통보를 전송하여 사람들의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갯벌에서의 인명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는, 복수 개의 날개 프레임(111)의 외측 말단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된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10);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밀물 유입감지센서(121) 및 바닷물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측정센서(122)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에서 측정한 바닷물의 수심 및 온도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0);와, 밀물의 유입시 갯벌에서 해루질 하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알람부(140);와, 상기 발전부(110)에 의해 발전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부(150); 및, 상기 발전부(110)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부(150)의 전압을 체크하고, 상기 수심측정부(120)와 통신부(130) 및 알람부(140)의 사용 전력을 절전하기 위해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발전부(110)는, 회전체(113)에 코일을 감은 코일부(114)를 케이스(115) 내에 설치하고, 코일부(114)의 외측에 설치되되 케이스(115)의 내측면에 영구자석(116)이 고정설치된 구조이고, 센서부(120)는, 바닷물 유입감지센서가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복수 개의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로 이루어진 발전부(110)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유입 감지 및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0)로 이루어지고, 갯벌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200);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의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받은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수신받아 바닷물의 유입 및 수온 상태의 정보를 파악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추적을 위해 GPS 신호를 송출하는 GPS 위성(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 상태 및 수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실시간 통보받음으로써, 해루질하는 사람들이 밀물의 유입에 따른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조 시 접하는 갯벌 면과 만조 시 접하는 갯벌 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의한 알람 통보를 전송하여 사람들의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갯벌에서의 인명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루질 안전용구인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발전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밀물 유입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갯벌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특성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사항이다. 즉,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 형태들은 단지 본 명세서를 완전히 개시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명세서를 전달하기 위한 설명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여럿 있는 경우에는, 이들 방법 중 특정한 것 또는 이와 동일성 있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으로든 본 명세서의 구현이 가능함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맥락에 따라 일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그 의미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가 아니라면,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설명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발전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밀물 유입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 2 내지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0)와 수직 프레임(170) 및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를 갯벌 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90)로 이루어진다.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발전부(10) 및 수직 프레임(170)은 바닷가의 갯벌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내식성이 강한 소재인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소재의 외부에 내염수성 특성이 우수한 방식성 도료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의 소재에만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소재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일 경우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또한, 고정부재(190)의 경우에는 바닷물에서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내염수성 특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의 소재에만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소재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일 경우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발전부(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날개 프레임(111)의 외측 말단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된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반구형 바람받이(112)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회전체(113)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발전부(110)의 내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3)에 코일을 감은 코일부(114)를 케이스(115) 내에 설치하고, 코일부(114)의 외측에 설치되되 케이스(115)의 내측면에 영구자석(116)이 고정설치된 구조이다.
발전부(100)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은 바람을 맞는 반구형 바람받이(112)의 회전에 의한 회전체(113)의 회전에 의해 코일부(114)가 영구자석(116)의 외측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생산된 전력은 전선(도면에는 미도시)을 통해 배터리부(150)에 충전되어 진다.
그리고 발전부(100)는 자체 생산하는 전력을 배터리부(150)에 충전하여 사용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 100b, ·· 100n)에서 밀물이 갯벌로 밀려올 시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짧은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 제어부(160)의 절전 제어에 의한 전력 수요가 충당되지만, 배터리부(150)에 충전된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전력 부족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별도로 충전된 배터리를 교체할 수도 있다.
수직 프레임(170)은 상부의 내부에 장착홈(171)이 형성된 구조로서, 장착홈(171)은 통신부(130), 알람부(140), 배터리부(150) 및 제어부(160)가 장착되는 공간이며, 상기에 열거한 디바이스들을 장착홈(171) 내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된 개방구(175)는 덮개(176)로 덮고 체결구(177)를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상기 수직 프레임(170)은 도 2에서는 편의상 사각 프레임 형상의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통형 형상의 구조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170)의 외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와 수온 측정센서(122)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20)가 장착되며,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는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 아래로 이격된 위치의 외면을 따라 돌출되게 복수 개가 장착되어 갯벌 면의 방향을 향해 초음파를 발산하여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을 감지하며, 수온 측정센서(122)는 고정부재(190)와 접하는 위치인 수직 프레임(170)의 하부 외면에 장착되어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수온을 측정한다.
밀물 유입감지장치(100)가 설치된 갯벌은 주변 갯벌 면의 높이와 갯벌에 바닷물의 유입시 파도 등에 의한 바닷물의 수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는 수직 프레임(170)의 주변부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는 구체적으로는 비접촉식 센서인 초음파 센서가 바람직하며,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센로로 부터 갯벌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산하여 갯벌의 거리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과의 거리의 차이를 측정하여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흐름을 감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를 이용한 밀물 유입 감지 과정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의 밀물 유입을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간조 시 갯벌 면에서 바닷물이 빠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갯벌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 면에서 바닷물이 빠진 상태에서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로부터 초음파를 발산하여 센서와 갯벌 면의 거리(h1)를 측정한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에서 센서와 바닷물의 거리(h2)를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의 차이(△h)를 인식하여 갯벌에 밀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밀물 유입 감지센서(121)를 이용한 밀물 유입 감지 알고리즘은 아래 수학식 1의 내용과 같다.
(수학식 1) △h = h2 - h1
상기 수학식 1에서,
△h는 바닷물 수위와 갯벌 면의 거리차(cm)
h1은 센서와 바닷물의 거리(cm)
h2는 센서와 갯벌 면의 거리(cm), 즉, 기준 거리임.
밀물 유입감지장치(100)가 설치된 갯벌은 주변 갯벌 면의 높이와 밀물의 수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170)의 주변부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를 이용한 갯벌 면의 높이 측정시에는 갯벌에 밀물이 유입되기 전의 일정 시각에서 센서와 갯벌 면의 거리는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1회 측정한 값을 합산하여 초음파 센서의 갯수로 나눈 값으로 기준값이라 한다.
그리고,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를 이용한 밀물의 수위 측정시에는 갯벌에 밀려드는 밀물의 수위가 파동에 의해 일정하지 않으므로 한정된 시간 내에 센서와 바닷물의 수위 면의 거리는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5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을 합산하여 초음파 센서의 갯수 및 5회 측정반복횟수로 나눈 값으로 한다.
또한, 수온 측정센서(122)는 갯벌 내에 밀물이 유입되면서 높아지는 수면에 의해 센서가 바닷물에 잠기게 되므로 수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바닷물 수위와 갯벌 면의 거리차(△h) 정보 및 수온 측정 정보는 통신부(130)로 전송되어 네트워크(2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 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면, 1회 측정 주기가 완료되며, 밀물이 완전하게 밀려 들어와 만조가 된 다음 썰물에 의해 바닷물이 갯벌에서 완전하게 빠져나간 간조의 상태에서 반복하여 갯벌에 바닷물이 밀려드는 밀물의 조건에서 다시 측정을 시작한다.
통신부(130)는 상기 센서부(120)에서 측정한 바닷물의 수심 및 온도 정보를 내부 디바이스 및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내부 디바이스인 발전부(110), 센서부(120), 알람부(140), 배터리부(150) 및 제어부(160) 간의 통신은 예를 들면 유선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무선통신인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수단은 후술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하기로 한다.
알람부(140)는 밀물의 유입시 갯벌에서 해루질 하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사람들의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써, 갯벌에서의 인명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람부(140)는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LED 점멸등의 경우 수직 프레임(170) 상부의 프레임 외주면을 따라 서리될 수 있고, 경고 방송용 스피커의 경우에도 수직 프레임(170)의 상단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배터리부(150)는 상기 발전부(110)에 의해 발전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과충전에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용량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배터리부(150)는 센서부(120), 통신부(130) 및 알람부(140)가 하루 중 갯벌에 밀물이 밀려들어는 시각에만 작동되도록 전력이 공급되며, 특히 제어부(160)에 의해 절전 전력이 사용되도록 제어되므로 24시간 바람에 의해 가동되는 풍력 발전부(110)에서 생산되는 전력으로 상기 디바이스들의 사용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만, 배터리부(150)의 충전 전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에 배터리부(150)의 전력 부족 정보를 전송하여 외부에서 배터리부(1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발전부(110)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부(150)의 전압을 체크하고, 상기 센서부(120)와 통신부(130) 및 알람부(140)의 사용 전력을 절전하기 위해 제어하는 수단으로, 상기 디바이스들에 공급되는 전원의 절약을 위해서 갯벌에 밀물이 밀려오는 상황의 경우에만 상기 디바이스들 중에서 해당 디바이스만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배터리부(15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150)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첨부한 도면 6 및 도면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갯벌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이하,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이라 한다.)은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네트워크(200), 관리서버(300) 및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는 복수 개의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로 이루어진 발전부(110)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유입 감지 및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0)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200)는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 LTE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또한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의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받은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갯벌에서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스마트폰을 들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앱을 다운받아 실시간으로 갯벌에 대한 밀물의 유입 및 수온 상태의 정보를 수신받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7을 참조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도 7의 도면에서 갯벌에서 간조시 바닷물과 접하는 갯벌 면을 A라 하고, 만조 시 바닷물이 접하는 갯벌 면을 B라 하면, 해루질은 주로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한 해역인 서해안이나 남해안 해역의 갯벌에서 간조 시에 한정된 시간인 2~3시간 사이에 A와 B 사이의 갯벌 면에서 하는 활동으로 제한된다.
이때, 사람들이 갯벌에서 해루질에 의한 조개류 또는 해산물의 채취에 몰입할 경우, 특히 바다에서 발생하는 해무가 심한 날씨 또는 흐린 날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만조 시에 갯벌에 고립되어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분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 면의 A면과 B면 사이의 공간에 해수면에서 육지면의 방향으로 밀물이 밀려오는 갯벌의 (a)면 위치에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 (b)면 위치에 밀물 유입감지장치(100b), (n)면 위치에 밀물 유입감지장치(100n)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 100b, ·· 100n)를 배열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a)면 위치의 갯벌에 밀물이 밀려들게 되면 (a)면 위치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에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b)면 위치의 갯벌에 밀물이 밀려들면 (b)면 위치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b)에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a)면 위치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에서는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이 중단됨에 따라 (a)면 위치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최대한 절전을 할 수 있다.
또한, (n)면 위치의 갯벌에 밀물이 밀려들면 밀물 유입감지장치(100n)에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b)면 위치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b)에서는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이 중단된다.
따라서, 갯벌 면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한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a, 100b, ·· 100n)는 순차적으로 밀물과 접하면서 순차적으로 LED 점멸 및 경고 방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해루질을 하는 사람들이 반복적인 알람 통보에 의해 갯벌에 밀려드는 밀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동시에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400)에 의한 알람 통보를 전송함으로써, 갯벌에서 해루질하는 사람들이 갯벌에 밀려드는 밀물에 의한 인명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갯벌에 설치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는 해수면에서 육지면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한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밀물 유입감지장치는 해수면과 갯벌이 접하는 방향으로도 설치하여 갯벌에서 사방으로 일정한 간격에 의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추적을 위해 GPS 신호를 송출하는 GPS 위성(700)을 더 포함하여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위급시에는 신속한 구조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100 : 밀물 유입감지장치
110 : 발전부 111 : 날개 프레임
112 : 반구형 바람받이 113 : 회전체
114 : 코일부 115 : 케이스
116 : 영구자석 120 : 센서부
121 : 밀물 유입감지센서 122 : 수온측정센서
130 : 통신부 140 : 알람부
150 : 배터리부 160 : 제어부
170 : 수직 프레임 171 : 장착홈
190 : 고정부재 200 : 네트워크
300 : 관리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00 : GPS 위성

Claims (5)

  1. 복수 개의 날개 프레임(111)의 외측 말단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된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의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110);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밀물 유입감지센서(121) 및 바닷물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측정센서(122)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에서 측정한 바닷물의 수심 및 온도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30);와,
    밀물의 유입시 갯벌에서 해루질 하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알람부(140);와,
    상기 발전부(110)에 의해 발전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부(150); 및,
    상기 발전부(110)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부(150)의 전압을 체크하고, 상기 수심측정부(120)와 통신부(130) 및 알람부(140)의 사용 전력을 절전하기 위해 제어하는 제어부(160);
    을 포함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110)는, 회전체(113)에 코일을 감은 코일부(114)를 케이스(115) 내에 설치하고, 코일부(114)의 외측에 설치되되 케이스(115)의 내측면에 영구자석(116)이 고정설치된 구조인 밀물 유입감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바닷물 유입감지센서가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
  4. 복수 개의 반구형 바람받이(112)가 장착된 회전체(113)로 이루어진 발전부(110)와 갯벌로 유입되는 밀물의 유입 감지 및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120)로 이루어지고, 갯벌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200);
    상기 밀물 유입감지장치(100)의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받은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바닷물의 유입 감지 정보 및 수온 정보를 수신받아 바닷물의 유입 및 수온 상태의 정보를 파악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400);
    을 포함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은 밀물 유입감지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추적을 위해 GPS 신호를 송출하는 GPS 위성(500)을 더 포함하는 밀물 유입감지장치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KR1020220136599A 2022-10-21 2022-10-21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KR2024005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99A KR20240057467A (ko) 2022-10-21 2022-10-21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99A KR20240057467A (ko) 2022-10-21 2022-10-21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467A true KR20240057467A (ko) 2024-05-07

Family

ID=9107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599A KR20240057467A (ko) 2022-10-21 2022-10-21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4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768B1 (ko) 1999-05-19 2002-04-25 홍성용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768B1 (ko) 1999-05-19 2002-04-25 홍성용 만조-간조를 측정할 수 있는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216B2 (en) Land and water based flash flood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CN105092810A (zh) 一种智能多参数监测浮标装置
CN108116621B (zh) 一种海洋声学实时观测浮标系统
KR102000483B1 (ko)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AU2017227975A1 (en) A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2116093B2 (en) Fishing tool lo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203869755U (zh) 水位自动监测无线报警装置
CN204882535U (zh) 一种智能多参数监测浮标装置
KR102055583B1 (ko)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
KR20240057467A (ko) 밀물 유입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물 유입감지 관리시스템
WO200306204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derwater conditions
CN202929801U (zh) 一种搜救终端
KR101506646B1 (ko) 이상상황 알림을 위한 원형형태의 가두리 양식장
CN205499256U (zh) 一种海上浮标
CN208125221U (zh) 一种用于防洪的水文遥测遥感设备
CN206954454U (zh) 一种便于定位寻找的浮标
CN212843847U (zh) 一种具有防沉没功能且具有洪水警报功能的水位监测浮标
CN102077815B (zh) 多控型无线传感自动报警电子渔漂
KR101851229B1 (ko) 실시간 해양환경 및 고래류 관측 시스템
CN110758647B (zh) 浮标平台与感应耦合传输系统驳接装置
CN209785218U (zh) 儿童防溺水警报器
CN208264507U (zh) 一种近岸海表测流浮标
CN219625711U (zh) 浮标数据采集传输终端及系统
CN212302745U (zh) 一种应用于地磁车位检测器lora天线
CN222393626U (zh) 一种快速潮位观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