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46A -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 Google Patents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46A
KR20240056946A KR1020220137071A KR20220137071A KR20240056946A KR 20240056946 A KR20240056946 A KR 20240056946A KR 1020220137071 A KR1020220137071 A KR 1020220137071A KR 20220137071 A KR20220137071 A KR 20220137071A KR 20240056946 A KR20240056946 A KR 20240056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user
server
image information
residenti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든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든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든랩스
Priority to KR102022013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946A/en
Publication of KR2024005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4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하고,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관련 가구 목록에서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제2 가구를 선정하는 단계 및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reflecting user tastes performed by a server, the steps include obtain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of a user terminal, Analyzing the first image information, recognizing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confirming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and creating a list of related furnitu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furniture through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Generating step, calculating user preference based 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second household having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househol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that reflect user preferences are provided, including the step of selecting and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furniture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that reflect user tastes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본 발명은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거 공간 내에 배 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하고,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하고,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하고,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 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고, 관련 가구 목록에서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제2 가구를 선정하고,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that reflect user tastes, and more specifically, to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of a user terminal and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hus,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is recognized,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is confirmed, a list of related furnitu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furniture is generated through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and a list of related furniture is created. Calculate user preferenc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household included, select the second household with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household from the list of related households, and select the second household.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about to a user terminal.

일반적으로 가구를 구입할 때, 가구를 배치할 공간의 사이즈를 기억하고 그 사이즈를 기반으로 가구를 구입한 후 배치하며, 때때로 배치 위치가 변경되기도 하는데, 이때도 역시 가구를 재배치하려는 공간의 사이즈를 측정 하고 이를 기억해야만 한다.In general, when purchasing furniture, remember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furniture will be placed, purchase the furniture based on that size, and then place it. Sometimes, the placement location may change, and in this case, also measure the size of the space where you want to rearrange the furniture. And we must remember this.

즉, 이사를 하거나 새로운 가구를 구입하는 경우, 기존에 배치되었던 가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등 인테리어 를 새로 진행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redecorating the interior, such as when moving, purchasing new furniture, or changing the position of previously placed furnitur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each item individually.

이에, 가상의 공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가구를 배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사용자 가 선택한 가구를 지정된 가상 공간에 배치해볼 수 있을 뿐, 사용자의 실제 주거 공간에 직접 배치해보는 기능 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Accordingly, a simulation service is provided that allows the user to place the furniture selected by the user in a virtual space. However, it only allows the user to place the selected furniture in a designated virtual space, and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directly place the furniture in the user's actual living space. There is a limit to what you can't do.

따라서, 사용자의 실제 주거 공간 내에서 인테리어를 변경시켜 이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취향을 반영하 여 인테리어를 추천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ervices that not only check the interior by changing it within the user's actual living space, but also recommend the interior by reflecting the user's taste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 구를 인식하고,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하고,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하고,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를 산출하고, 관련 가구 목록에서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제2 가구를 선정하고,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of a user terminal,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plac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n the residential space. Recognizes the existing first household, confirms the type of the first household, creates a list of related household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household through the type of the first household, and pre-registers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Calculate user preference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select the second household with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household from the list of related households, and se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usehold to the user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to provide 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are described below.

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clearly understandable from now 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에 배치된 가구를 통 해 추가될 가구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상기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 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 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련 가구 목록에서 상기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제2 가구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n the method of recommending furniture to be added through existing furniture, which is performed by a server, the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acquiring first image information; Analyz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recognizing first furniture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confirming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generating a list of related furnitu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household through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calculating user preferences based 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selecting a second household from the list of related households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household and has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A method of recommending additional households through existing households is provided, including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usehol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의 제공 단계는, 상기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가구 의 주변에 비어있는 공백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백 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2 가구의 크기 보다 큰 것 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가구의 주변에 상기 제2 가구의 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가구에 대 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household includes analyz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o identify an empty space around the first household; And if the size of the empty space is confi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furni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furniture can be placed around the first furniture, and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furniture is provided. It may include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상기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은, 상기 공백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가구가 배치될 위치가 선택되 면,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에 상기 제2 가구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상기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거 공간에 상기 제2 가구가 배치된 상기 제2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recommending additional furniture through the existing furniture includes, when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furniture is to be placed within the empty space is selected, the virtual object of the second furniture is added to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and synthesized. Generat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And i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showing the second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기존 가구를 통한 추가 가구 추천 방법은, 상기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거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및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미리 등록된 사용자 생활습 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가구의 종류 에 따라 상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상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 및 상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동선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 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동선 패턴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여, 상기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상기 제3 이미 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recommending additional furniture through the existing furniture includes the steps of analyz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o confir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lifestyle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cond furniture. ; Predicting a user movement pattern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Analyz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is necessary, re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to optimize the user movement pattern, and generating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 And i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third image inform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are rese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취향을 반영하여 인테리어를 추천하고, 추천된 인테리어를 사용자의 실 제 주거 공간의 이미지 상에서 변경시켜 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흥미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interest can be increased by recommending an interior that reflects the user's taste and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recommended interior by changing it on an image of the user's actual living spa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 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therefo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추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ior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며, 서버(10 0)와 사용자 단말(200)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0 interconnecting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테리어 추천 서비 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through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취향 정보, 라이프 스타일 정보 등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 용자의 주거 공간을 촬영하고, 촬영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 user interface that can registe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such a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lifestyl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0, and uses a camera modul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s living space can be photographed, and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photograph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주거 공간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분 석하여,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를 추천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receive and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alyze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recommend an interior suitable for the residential space.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거 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used to provide the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may be an application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200 or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 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 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 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 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n application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ny type of handheld computing device (e.g., PDA, email client, etc.), cell phone, or other type of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borrowed without limitation for terminals capable of mounting the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한편, 통신망(300)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 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 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serves to connect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connection path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100.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for example, a wired network such as Local Area Networks (LANs), Wide Area Networks (W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or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ISDNs), or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or satellite communication. It may cover wireless networks such a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 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memory 120, processor 130, and database 140.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 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receive a dat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data in response.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a device that includes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with other network devices.

메모리(120)는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 (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 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20 rec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Additionally, it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30. Here, the memory 1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processor 130 is a type of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providing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s. Each step performed by the processo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 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ll types of devices that can process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processor' may mean,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code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Examples of data processing devices built into hardware like this include micro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cessor core, multiprocessor, and application-specific (ASIC). It may encompass processing devices such as integrated circuits (ICs) and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취향 정보,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정보 등 사용 자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가구, 카펫, 커튼, 조명, 소품 등 인테리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14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such a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nd user lifesty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information related to interior design such as furniture, carpets, curtains, lighting, and props. You ca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메모리(220), 프로세서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a memory 220, and a processor.

(230), 디스플레이 모듈(240) 및 카메라 모듈(250)을 포함한다.230, a display module 240, and a camera module 250.

통신 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에 대한 설명에 있어,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memory 220, and processor 230, description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emory 120, and processor 1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omitted.

상세히, 통신 모듈(210)은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 이터 형태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210)은 서버(100)로 데이터 요청을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transmit a data request to the server 100 and receive data in response.

메모리(220)는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The memory 220 rec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Also, the processor

(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메모리(120) 및 메모리 (220)에 기록되는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단말용 및 서버용으로 상 이한 것일 수 있다.(230) performs the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the data processed. At this time, the memory 120 and the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recorded in the memory 220 may be different for the terminal and the server.

프로세서(2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The processor 230 is a type of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providing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s. processor

(230)는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버(100)를 통 해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230 may perform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on its own, but preferably, it may perform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 through the server 100.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기 능을 수행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구, 카펫, 커튼, 조명, 소품 등 인테리어와 관련하여 사용자 취향과 맞 는 제품들이 추천되면,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40 performs the function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for providing interior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rough the application, products such as furniture, carpets, curtains, lighting, and props that match the user's taste in relation to interior design. If they are recommended, a function to display them can be performed.

카메라 모듈(250)은 사용자의 주거 공간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주거 공간 내의 영역에 대한 이미지 정보, 영 상 정보 등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camera module 250 is a device for photographing a user's residential space, and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etc. about the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50)은 깊이 카메라로 구현되어, 주거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가 3차원 모 델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250 is implemented as a depth camera, so that image information captured in a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as a three-dimensional mode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가구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mmending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remain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first, in step S401, the server 100 creates a first image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포함된 다양한 공간 중 방, 거실, 화장실 등 어느 하나의 공간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촬영되면, 해당 공간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various spaces included in the user's home, such as a room, living room, or bathroom, is photograp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for the space is converted into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t can be obtained.

S4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4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4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403,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거 공간의 바닥, 벽 및 천장 영역을 인식 할 수 있으며, 인식된 바닥, 벽 및 천장 영역 각각에 대한 크기를 산출하여, 주거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 다.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주거 공간의 크기 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값을 주거 공간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the floor, wall, and ceiling areas of the residential space by analyzing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calculate the size for each of the recognized floor, wall, and ceiling areas. ,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calculated. Additionally, the server 100 can receive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et the received value a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주소를 기초로, 사용자 주소에 대응하는 설계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의 종 류로 방, 거실, 화장실 등 어느 하나의 공간이 선택되면, 선택된 공간의 크기를 설계도 상에서 확인하여, 주거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can obtain a blueprint corresponding to the user address based on the user address, and when any space such as a room, living room, or bathroom is selected as the type of residential space, the size of the selected space is displayed on the blueprint. By checking the above, you can calculate the size of the living space.

S404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 어떠한 가구들이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404, the server 100 can check whether any furniture is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S4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405,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size of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S4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크기에서 제1 가구의 크기를 차감하여 제1 잔여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406,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by subtracting the size of the first furniture from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제1 가구만 인식된 경우, 주거 공간의 크기에서 제1 가구의 크기를 차감하여, 제1 잔여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주거 공간 내에서 제1 가구 및 제2 가구가 인식된 경우, 주거 공간의 크기에서 제1 가구의 크기 및 제2 가구의 크기를 합산한 값을 차감하여, 제1 잔여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ly the first household is recogniz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by subtracting the size of the first household from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calculate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are recognized,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sum of the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from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즉,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가구 이외의 영역을 남는 공간으로 인식하여, 제1 잔여 공간의 크기를 산출 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areas other than furniture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as remaining space and calculate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S4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잔여 공간의 크기를 기초로, 제1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를 선정 할 수 있다.In step S407, the server 100 may select a second piece of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first remaining space, based on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즉, 서버(100)는 제1 잔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잔여 공간 보다 크기가 더 작은 가구를 제2 가구로 선 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can be placed in the first remaining space. Furniture that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remaining space can be selected as the second furnit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구를 선정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에 따라 주거 공간에 필요한 필수 가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selecting the second furniture, when a type of residential space is selected, the server 100 may generate a list of essential furniture required for the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selected typ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타입이 거실로 선택되면, 거실 타입에 따라 거실 공간에 필요한 소파, 의 자, 식탁 등을 포함하는 목록을 생성하여, 해당 목록을 거실 공간에 필요한 필수 가구 목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ype of residential space is selected as living room, the server 100 creates a list including sofas, chairs, dining tables, etc. required for the living space according to the living room type, and divides the list into essential items required for the living space. It can be set as a furniture list.

서버(100)는 필수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 출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calculate user preferences based 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essential household list.

예를 들어, 서버(100)는 필수 가구 목록에 포함된 소파, 의자, 식탁 등 각각의 가구 별로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취향 정보,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정보,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can calculate user preferences for each piece of furniture such as a sofa, chair, and dining table included in the essential furniture list, as well a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user lifestyl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can be calculated using, et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취향 정보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색상, 모양, 패턴, 재질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정보는 사용자의 취미, 가족 수, 결혼 여부, 가족 중 애기가 있는지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관심있어서 등록한 다른 사용자의 계정, 인테리어 웹 사이트, 브랜드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는 자주 사용하는 제 품, 출퇴근 시간, 집에 머무르는 시간, 수면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er p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favorite colors, shapes, patterns, materials, etc., and user lifestyl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hobbies, number of family members, marital status, and whether there are any children in the family. User intere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other users' accounts, interior design websites, brands, etc. registered by the user because they are interested in it. User lifestyle information may include frequently used products, commuting to and from work, etc. It can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ime of day, time spent at home, sleep time, etc.

서버(100)는 필수 가구 목록에서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가구를 제2 가구로 선정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select as the second household a household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household and has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from the list of required households.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서 제1 가구로 소파가 인식되었는데, 주거 공간의 타입이 거실로 선택되고, 거실 공간에 필요한 소파, 의자, 식탁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산출되면, 소파를 제외한 나머지 가For example, a sofa is recognized as the first furniture in the user's living space, the type of living space is selected as living room, and the user preference score is calculated for each sofa, chair, and dining table required for the living space, the sofa Except for

구 중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가구인 의자를 제2 가구로 선정할 수 있다.The chair, which is the furniture with the highest preference score among the districts, can be selected as the second furnit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구를 선정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최소 확보 공간의 크기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한 상태에서, 제1 잔여 공간의 크기에서 최소 확보 공간의 크기를 차감하여 제2 잔여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 으며, 제2 잔여 공간의 크기를 기초로, 제2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를 선정할 수 있다.즉, 서버(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최소 확보 공간의 크기가 넓게 설정되면, 제2 잔여 공간의 크기가 줄어들 어, 제2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는 소형 가구만 선정될 수 있으며, 가구가 배치되지 않는 공백 영 역은 넓게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selecting a second household, the server 100 sets and registers the size of the minimum secured space in advance, and then subtracts the size of the minimum secured space from the size of the first remaining space to determine the second remaining space. The size of the space can be calculated, and based on the size of the second remaining space, the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second remaining space can be selected. That is, the server 100 secures the minimum space according to user settings. If the size of the space is set wide, the size of the second remaining space is reduced, so only small furniture can be selected as the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second remaining space, and the blank area where furniture is not placed will be set wide. You can.

S4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408, the server 100 may provid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usehold to the user terminal 200.

즉 서버(100)는 제1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가구로 제2 가구를 선정하여,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 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may select the second furniture as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first remaining space and provid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furniture to the user terminal 200.

S409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잔여 공간 내에서 제2 가구가 배치될 위치가 선택되면,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에 제2 가구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09, when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furniture will be placed within the first remaining space is selected, the server 100 creates a second image of the residential space synthesized by adding the virtual object of the second furniture to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즉, 서버(100)는 제2 가구에 대한 추천을 통해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서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선택되면, 제2 가구의 배치 위치에 제2 가구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in the user's living space is selected through a recommendation for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synthesizes the second furniture to b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t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S4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에 제2 가구가 배치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410, the server 100 may provide second image information showing the second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200.

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1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 한 제2 가구를 선정하여 추천하고, 제2 가구가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잔여 공간에 제2 가구가 배치된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selects and recommends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placed in the remaining space based on the first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adds the second furniture so that it is displayed. In order to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and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confirmation in advance that second furniture is placed in the remaining space,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에 배치된 가구를 통해 추가될 가구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recommending furniture to be added through existing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설명하는데 있어,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FIG. 5,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first, in step S501, the server 100 may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by the user terminal 200.

S5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고,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 할 수 있다.In step S502, the server 100 analyze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ognizes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You can check the type of first furniture recognized.

S5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03, the server 100 may generate a list of related furnitu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household based on the type of the first household.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종류가 소파로 확인되면, 소파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의자, 식탁 등의 가구 를 포함하는 소파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type of furniture is confirmed to be a sofa, the server 100 may generate a sofa-related furniture list including furniture such as chairs and table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ofa.

S504 단계에서, 서버(100)는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 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504,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user preferences based 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서버(100)는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데 있어, 사용자 취향 정보,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정보,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서버(100)는 관련 가구 목록에서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When calculating user preferences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user preferences using user taste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user lifestyle information. In step S505, the server 100 has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household in the list of related households.

높은 제2 가구를 선정할 수 있다.A high second household can be selected.

S5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506, the server 100 may provid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usehold to the user terminal 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 를 분석하여, 제1 가구의 주변에 비어있는 공백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household,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check the empty space around the first household.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에 배치된 제1 가구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공백 공간이 있는지 여부 를 확인하고, 공백 공간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blank space in the left or right area of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calculate the size of the blank space.

서버(100)는 공백 공간의 크기가 제2 가구의 크기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구의 주변에 제2 가구의 배 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가구가 식탁이고, 제2 가구가 의자인 경우, 서버(100)는 식탁 옆에 공백 공간의 크기가 의자 크 기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의자의 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자에 대한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 (200)로 제공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empty space is confi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it is possible to place the second furniture around the first furniture, and sends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furniture to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if the first furniture is a dining table and the second furniture is a chair, the server 100 checks whether the size of the empty space next to the tabl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hair, If it is determined that placement is possible, recommended information about the chai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서버(100)는 공백 공간의 크기가 제2 가구의 크기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가구의 배치가 공간 부족으 로 인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empty space is confi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may provide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200 indicating that placement of the second furniture is impossible due to lack of space. .

S507 단계에서, 서버(100)는 공백 공간 내에서 제2 가구가 배치될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2 가구의 배치 위 치에 제2 가구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07, when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furniture will be placed in the empty space is selected, the server 100 creates a second image of the residential space synthesized by adding the virtual object of the second furniture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second furnitur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즉, 서버(100)는 제2 가구에 대한 추천을 통해 제1 가구의 주변의 공백 공간 내에서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선 택되면, 제2 가구의 배치 위치에 제2 가구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is selected within the empty space around the first furniture through recommend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displays the second furniture in augmented reality at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By compositing to be displayed,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S5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에 제2 가구가 배치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508, the server 100 may provide second image information showing the second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200.

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1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기존에 배치된 제1 가구를 통해 추가로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를 선정하여 추천하고, 제2 가구가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주거 공간에 제1 가구와 함께 제2 가구가 배치된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해,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selects and recommends a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additionally placed through the existing first furniture, based on the first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ommends the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additionally placed. In order to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by adding two households to be displayed, and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confirmation in advance that the second furniture is placed together with the first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200) ) can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에 배치된 가구를 통해 추가될 가구를 추천하는데 있어, 가구의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re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furniture in recommending furniture to be added through existing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FIG. 6,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주거 공간에 제2 가구가 배치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 후, S601 단계 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fter provid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showing the second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200, in step S601,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here is.

S6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2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가구별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602, the server 100 can confir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household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확인된 가구별로 종류를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를 기초로, 제1 가구의 종류에 따라 제1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제2 가구의 종류에 따라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check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etc.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In step S603, the server 100 checks the type of each furniture identified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lifestyle informati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can b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type of second furnitur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가 소파로 확인되면, 사용자 생활습관을 통해 소파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제2 가구가 식탁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생활습관을 통해 식탁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furniture is identified as a sofa, the server 100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ofa through the user's lifestyle habits, and when the second furniture is identified as a dining table, the server 100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ining table through the user's lifestyle habits. It can be calculated.

S604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제1 가구의 사용 빈도 및 제2 가구 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In step S604, the server 100 may predict the user's movement pattern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즉,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특정 영역에 배치된 제1 가구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제1 가구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 제2 가구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지를 예측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 측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predicts how much the first furniture placed in a specific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is used and how much the second furniture placed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first furniture is placed is used, and Through this, user movement patterns can be predicted.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사용 빈도가 높고, 제2 가구의 사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 구만 사용하는 동선, 제1 가구 사용 이후 제2 가구를 사용하는 동선, 제1 가구 사용 이후 제2 가구를 사용하고 다시 제1 가구를 사용하는 동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household is high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household is low,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movement route used only by the first household and the movement route used by the second household after the first household has been used. , the user movement pattern can be predicted by using the movement route of using the first furniture, then using the second furniture, and then using the first furniture again.

S6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동선 패턴을 분석하여, 주거 공간 내에 있는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 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605,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가 방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가 높아 제1 가구를 사용 하기 위해 방 안쪽까지 이동하는 동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 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furniture is placed inside the room and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is high and that there is a lot of movement to the inside of the room to use the first furnitur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furniture is placed inside the room. It can be judged that a change in placement location is necessary.

또한, 서버(100)는 제2 가구가 출입문 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가 낮아 제2 가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나가는 이동 동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furniture is placed near the entrance door and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is low and that many movement lines pass by without using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chang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It can be judged that this is necessary.

S6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6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동선 패턴이 최적화되도록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 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5,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is necessary, in step S606, the server 100 configures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to optimize the user movement pattern. You can reset the placement position for furnitur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가 방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가 높아 제1 가구를 사용 하기 위해 방 안쪽까지 이동하는 동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가구의 배치 위치를 출입문 쪽으로 변경하 여 재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furniture is placed inside the room and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is high and that there is a lot of movement to the inside of the room to use the first furnitur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first furniture is placed inside the room. It can be reset by changing the placement location toward the door.

또한, 서버(100)는 제2 가구가 출입문 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가 낮아 제2 가구를 사용하 지 않고 지나가는 이동 동선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2 가구의 배치 위치를 방 안쪽으로 변경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furniture is placed near the entrance door and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is low and that many movement lines pass by without using the second furniture, the server 100 determines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You can reset it by changing it inside.

S6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6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the server 100 returns to step S601 and re-acquires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t can be analyzed.

S6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여,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 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607, the server 100 may reset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and generate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즉, 서버(100)는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동선 패턴이 최적화되도록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제1 가 구 및 제2 가구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synthesizes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whose arrangement positions have been reset to optimize the user's movement pattern within the user's residential space, to b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nd provides the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created.

S6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 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608, the server 100 may provide third image inform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are reset to the user terminal 200.

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1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기존에 배치된 제1 가구를 통해 추가로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를 선정하여 추천하고, 제2 가구가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 후, 제2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제1 가구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최적의 위치인지 확인하여,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추천하고,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가구들이 새로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 하고, 주거 공간에서 제1 가구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변경된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 기 위해,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selects and recommends a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additionally placed through the existing first furniture, based on the first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ommends the second furniture that can be additionally placed. After creating second image information by adding 2 furniture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check whether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are optimal, change them to the optimal location, and recommend it. In order to create third image information by adding furniture whose arrangement positions have been reset to be newly displayed, and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check in advance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have changed, the third imag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에 배치된 가구의 위치 변경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mmend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existing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FIG. 7,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first, in step S701, the server 100 may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by the user terminal 200.

S7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7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7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구 를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703,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a plurality of furniture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예를 들어,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를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first and second furniture placed in a residential space.

S704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서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 다.In step S704, the server 100 may check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S7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를 기초로,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705,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is necessary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 위치의 변경에 대한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를 기초로, 제1 가구의 종류에 따라 제1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제2 가구의 종류에 따라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placement location is necessary, the server 100 calculat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lifestyle information.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can b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econd furniture.

서버(100)는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제1 가구의 사용 빈도 및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predict the user's movement pattern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서버(100)는 사용자 동선 패턴을 분석하여,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deter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rrangement lo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 위치의 변경에 대한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 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placement location is necessary,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the user group using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예를 들어,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별로 그룹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 자들이 그룹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 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households may be grouped according to users who use them, and in particular, users who use multiple households together may be grouped. At this time,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the user group that uses the first household and the second household together.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2 가구가 사용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으로 확인되면, 제1 가구의 배치 위치와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age patterns of the user group using the first household and the second household,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household has been used after using the first household is more than the standard numb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acement location and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can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2 가구가 사용된 횟수가 20번이고, 기준 횟수가 10회로 설정되 어 있으면,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2 가구가 사용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이기 때문에, 제1 가구와 제2 가구 를 이어서 사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가구의 인접한 영역에 제2 가구를 배치시키기 위해, 제1 가구의 배치 위치와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use of the first furniture is 20 and the standard number of times is set to 10,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use of the first furniture Since the number is more than the standard number,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will be used consecutively, and in order to place the second furniture in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furniture,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at of the second furniture are determin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placement locations can be calculated.

서버(100)는 제1 가구의 배치 위치와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간의 이격 거리를 기준 거리와 비교하여,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rver 100 compar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with a reference distance to determine whether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is necessary. You can.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와 제2 가구를 이어서 사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제1 가구와 제2 가구가 기준 거리 보다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기준 거리 내에 제1 가구 및 제2 가구가 모두 배치되도록,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has determin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using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in succession,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are located further apart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reference distanc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may be reset so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are placed within the unit.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7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주거 공간 내에서 최적화되도 록 재설정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5,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is necessary, in step S706, the server 100 changes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It can be reconfigured to optimize within your living space.

예를 들어, 서버(100)는 인테리어를 위한 레퍼런스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통 해, 소파가 벽에 맞닿아 배치되어 위치하고, 소파 앞에 탁자가 배치되어 위치하는 것이 주거 공간 내에서 사용 자 편의를 위한 최적의 위치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소파가 벽과 떨어져 배치되어 위치하 고, 탁자가 소파 앞에 배치되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소파를 벽에 맞닿아 배치되도록 위치를 재설성하고, 소파 앞에 탁자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can obtain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interio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hrough the information, the sofa is placed against the wall and the table is placed in front of the sofa, which is the living space. It can be seen that this is the optimal location for user convenience. At this time, when the sofa is placed away from the wall and the table is placed in front of the sofa, the server 100 repositions the sofa so that i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wall, and positions the server so that the table is placed in front of the sofa. It can be reset.

서버(100)는 배치 위치가 최적화되도록 가구의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는데 있어, 사용자 취향 정보, 사용자 라이 프 스타일 정보,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가구의 배치 위치 를 재설정할 수 있다.In re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urniture so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is optimized, the server 100 reset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urniture in a user-customized manner using user taste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user interest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etc. can do.

S7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다기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the server 100 returns to step S701 and acquire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t can be analyzed.

S7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 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07, the server 100 may reset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eholds and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가구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동선 패턴이 최적화되도록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여, 주거 공간 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generat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urniture arrangement position needs to be changed, the server 100 resets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so that the user movement pattern is optimized. Thus,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서버(100)는 가구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 거리 내에 제1 가구 및 제2 가구가 배치되도록,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 정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generat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urniture arrangement position needs to be changed, the server 100 arranges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within a reference distance, 2 By re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urnitur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즉, 서버(100)는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서 가구의 배치가 최적화되도록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제1 가구 및 제 2 가구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synthesizes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whose arrangement positions have been reset to optimize the arrangement of the furniture in the user's residential space, so that they ar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nd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You can.

S7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 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708, the server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second image inform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are reset.

서버(100)는 제2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면서,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된 가구의 위치 변경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provide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recommendation message regarding a change in the location of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제1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제1 가구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최적의 위치인지 확인하여, 최적의 위치로 변경하여 추천하고,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가구들이 새 로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주거 공간에서 제1 가구 및 제2 가구의 배치 위치가 변경 된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가구의 위치 변경에 대한 추천 메시지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are optimal based on the first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changes them to the optimal positions. To recommend and add furniture whose placement positions have been reset to be newly displayed to create second image information, and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you to check in advance that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have changed. , While provid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a recommendation message regarding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furniture can also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에 배치된 가구의 위치 변경을 추천하는데 있어, 가구의 교체에 대해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mmending replacement of furniture in recommend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existing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FIG. 8,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first, in step S801, the server 100 may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by the user terminal 200.

S8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8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8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를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803,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the first and second furniture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S804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제3 가구를 선정할 수 있다.In step S804, the server 100 may select a third household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household based on the type of the first household.

예를 들어, 제1 가구의 종류가 소파로 확인되면, 서버(100)는 소파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탁자를 제3 가구로 선 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ype of first furniture is confirmed to be a sofa, the server 100 may select a tabl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ofa as the third furniture.

S8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제2 가구 및 제3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 패턴을 분석 할 수 있다.In step S805, the server 100 may analyze usage patterns of user groups that u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holds together.

예를 들어,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 별로 그룹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 자들이 그룹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제1 가구, 제2 가구 및 제3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households may be grouped according to users who use them, and in particular, users who use multiple households together may be grouped. At this time, the server 100 may analyze usage patterns of user groups that u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holds together.

S8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가구, 제2 가구 및 제3 가구를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 패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806,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placement of the third household is necessa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usage patterns of the user group that 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holds together.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3 가구가 사용된 횟수와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2 가구가 사 용된 횟수를 비교하여,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3 가구 가 사용된 횟수가 제1 가구의 사용 이후 제2 가구가 사용된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주거 공간 내에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placement of the third furniture is necessary by comparing the number of times the third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first furnitur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first furnitur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third piece of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first piece of furnitur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piece of furniture has been used after the first piece of furniture, it may be determined that placement of the third piece of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is necessary. You can.

즉,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제2 가구 보다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3 가구가 더 많이 사 용될 것으로 예측되면,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f the server 100 predicts that the third furniture that is not placed will be used more than the second furniture that is already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it may determine that placement of the third furniture is necessary.

S8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S8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 간 내에 제3 가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잔여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6, it is determined that placement of a third household is necessary, in step S807, the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remaining space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a third household can be additionally placed. .

S80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3 가구의 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8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 (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6, if it is determined that placement of the third furniture is not necessary, the server 100 returns to step S801 and can re-acquire and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8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주거 공간 내에 제3 가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잔여 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면, S8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잔여 공간 내에 제3 가구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7,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remaining space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a third household can be additionally placed, in step S808, the server 100 adds the virtual object of the third household to the remaining space and synthesizes it. Third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S80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주거 공간 내에 제3 가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잔여 공간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면, S809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2 가구의 배치 위치에 제3 가구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 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807,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remaining space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a third household can be additionally placed, in step S809, the server 100 installs the virtual object of the third household at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second household. By adding ,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synthesized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즉, 서버(100)는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서 제3 가구를 잔여 공간 내에 새로 배치하거나, 제2 가구를 대신하여 제3 가구를 배치하여, 배치된 제3 가구가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newly arranges the third furniture in the remaining space within the user's residential space, or places the third furniture in place of the second furniture, and synthesizes the placed third furniture so that it is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generated.

S8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잔여 공간 내에 제3 가구가 새 로 배치된 경우,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된 제3 가구의 추가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추가로 제 공할 수 있으며, 제2 가구를 대신하여 제3 가구를 배치한 경우,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된 가구의 교체에 대한 추 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810, the server 100 provides thir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when a third furniture is newly placed in the remaining space,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adding the third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when a third furniture is placed in place of the second furniture,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replacement of the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is additionally sent to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provid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interi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FIG. 9,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first, in step S901, the server 100 may obtain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by the user terminal 200.

S9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9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9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 내에서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 장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903,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S904 단계에서, 서버(100)는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 각각의 색상 및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904, the server 100 may check the color and material of each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S905 단계에서, 서버(10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를 기초로,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 각각의 색상 및 재질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905,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lor and material of each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matches the user's tast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taste information.

S9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각각의 영역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S901 단계로 되돌아가, 서 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05, if it is determined that each area matches the user's preference, the server 100 returns to step S901, and the server 100 may re-acquire and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9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지 않는 것 으로 판단되면, S9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확인하여, 해당 영역의 색상 및 재질을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05, if it is determined that some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do not match the user's taste, in step S906, the server 100 selects the area determined to not match the user's taste. By checking, you can change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예를 들어, 바닥 영역의 색상이 흰색으로 확인되고, 사용자 취향이 회색으로 확인되면, 서버(100)는 바닥 영역 의 색상을 흰색에서 회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lor of the floor area is confirmed to be white and the user's preference is confirmed to be gray, the server 1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floor area from white to gray.

S9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취향에 따라 색상 및 재질이 변경된 것을 반영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 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907, the server 100 may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by reflecting changes in color and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즉, 서버(100)는 사용자 취향에 따라 색상 및 재질을 변경하여, 변경된 영역이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합성하여,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er 100 can change the color and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omposite the changed area to b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and generate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9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된 영 역의 바닥 장판, 벽지 및 천장 시트지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908, the server 100 may provide second im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additionally provide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floor coverings, wallpaper, and ceiling sheets in the changed area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예를 들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바닥 영역이 변경된 경우, 서버(100)는 바닥 영역이 변경된 제2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면서, 바닥 장판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oor are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 server 100 may provide second image information with the changed floor area and additionally provide a recommendation message about the floor covering.

도 10은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를 추천하는데 있어, 사용자 취향에 따라 카펫, 커튼 및 조명을 추천하는 과정 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recommending carpets, curtains, and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n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interior.

도 10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In describing FIG. 10,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10, first, in step S1001, the server 100 creates a picture of the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 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10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10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10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을 영역별로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거 공간 내에서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1003,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the residential space by area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recognize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

S1004 단계에서, 서버(100)는 바닥 영역에 카펫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벽 영역에 커튼이 있는지 여부를 확 인하고, 천장 영역에 조명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004, the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carpet in the floor area, check whether there is a curtain in the wall area, and check whether there is a light in the ceiling area.

S1004 단계의 판단 결과, 카펫, 커튼, 조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10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카펫, 커튼,조명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4,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arpet, curtain, and lighting, in step S1005,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match the user's taste.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바닥 영역에 카펫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카펫의 색상 및 모양이 사용자 취 향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벽 영역에 커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커튼의 색상 및 모양이 사 용자 취향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천장 영역에 조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확인된 조명의 색상 및 모양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arpet in the floor area, 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color and shape of the confirmed carpet matches the user's taste,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urtain in the wall area, th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confirmed curtain is present in the wall are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lor and shape of matches the user's taste,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lighting in the ceiling area,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color and shape of the confirmed light matches the user's taste.

S1005 단계의 판단 결과, 카펫, 커튼, 조명이 사용자 취향과 매칭된 것으로 판단되면, S1001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match the user's tast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1, and the server 100 may re-acquire and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1005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지 않는 카펫, 커튼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면, S1006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취향과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카펫, 커튼 및 조명의 모양을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하여,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5,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t least one of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that does not match the user's taste, in step S1006, the server 100 selects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that are confirmed to not match the user's taste. By changing the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an be created.

S1004 단계의 판단 결과, 카펫, 커튼, 조명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7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취향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그룹화된 사용자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4,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carpets, curtains, or lights, in step S1007, the server 100 may check user groups grouped according to user tastes and lifestyles.

예를 들어, 사용자 취향 정보,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정보,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 등을 이용 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그룹화될 수 있으며, 서버(100)는 사용자가 속해 있는 사용자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multiple users may be grouped us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user interest information, user lifestyle information, etc., and the server 100 may confirm the user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S10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속해 있는 사용자 그룹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카펫, 커튼 및 조 명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그룹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카펫, 커튼 및 조명을 선 별하여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008, the server 100 can check the carpets, curtains, and lighting used by other users in the user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t this time, the server 100 can select and check carpets, curtains, and lighting used by many users in the user group.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바닥 영역에 카펫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취향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 라 그룹화된 사용자 그룹 내에서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카펫을 확인하고, 벽 영역에 커튼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그룹 내에서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커튼을 확인하고, 천장 영역에 조명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그룹 내에서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조명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arpet in the floor area, the server 100 checks the carpet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of other users within the user group grouped according to user tastes and lifestyles, and curtains in the wall area.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no lights, check the curtains placed in the living spaces of other users within the user group.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no lights in the ceiling area, check the lights placed in the living spaces of other users within the user group. You can.

S1009 단계에서, 서버(100)는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카펫, 커튼 및 조명의 추가를 통해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1009, the server 100 may generate third image information by adding carpets, curtains, and lights placed in another user's living space.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카펫의 가상 객체를 바닥 영역에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커튼의 가상 객체를 벽 영역에 추 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 배치된 조명의 가상 객체 를 천장 영역에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100 generates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ynthesized by adding the virtual object of the carpet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of another user to the floor area, and the virtual object of the curtain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of another user is generated. Third image information of a composite residential space can be created by adding an object to the wall area, and third image information of a composite residential space can be created by adding a virtual object of lighting placed in another user's residential space to the ceiling area. You can.

S10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카펫, 커튼, 조명 변경을 통해 생성된 제3 이미지 정보 또는 카펫, 커튼, 조명 추 가를 통해 생성된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1010, the server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ird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changing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or third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adding the carpet, curtain, and lighting.

서버(100)는 카펫, 커튼, 조명의 변경을 통해 생성된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사용 자 취향에 따라 변경된 카펫, 커튼 및 조명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provides third imag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changes in carpets, curtains, and lighting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additionally provides recommendation messages about carpets, curtains, and lighting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You can.

서버(100)는 카펫, 커튼, 조명의 추가를 통해 생성된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사용 자 취향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추가된 카펫, 커튼 및 조명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provides third image information created through the addition of carpets, curtains, and lights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provides recommendation messages about the added carpets, curtains, and light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lifestyl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도 11은 사용자 맞춤형 인테리어를 추천하는데 있어,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 소품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recommending interior accessories suitable for a residential space when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interior.

도 11을 설명하는데 있어,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101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In describing FIG. 11,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11, first, in step S1101, the server 100 creates a picture of the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of the user terminal 200.

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 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S1102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1102,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1103 단계에서, 서버(100)는 제1 이미지 정보의 분석 결과를 통해, 주거 공간을 영역별로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거 공간 내에서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1103, the server 100 may recognize the residential space by area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recognize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

S1104 단계에서, 서버(100)는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 각각의 색상 및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S1105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가구를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1104, the server 100 can check the color and material of each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In step S1105, the server 100 analyzes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determines the color and material of each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The furniture that is placed can be recognized.

S1106 단계에서, 서버(100)는 가구의 색상 및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106, the server 100 can check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furniture.

S1107 단계에서, 서버(100)는 가구의 색상 및 재질과 바닥 영역, 벽 영역 및 천장 영역 각각의 색상 및 재질을 기초로, 주거 공간에 배치되기 적합한 인테리어 소품을 선정할 수 있다.In step S1107, the server 100 may select interior accessories suitable for placement in the residential space based on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furniture and the colors and materials of the floor area, wall area, and ceiling area, respectively.

즉,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각 영역에서 확인된 색상 및 재질과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된 가구의 색상 및 재질 을 비교하여, 주거 공간에 추가로 배치되는 것이 어울리다고 판단되는 인테리어 소품을 선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rver 100 compares the colors and materials identified in each area of the residential space with the colors and materials of the furniture placed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selects interior accessories that are judged to be suitable for additional placement in the residential space. You can.

S1108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 내에 인테리어 소품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잔여 공간이 있는지 여부 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108, the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remaining space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interior accessories can be additionally placed.

S11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잔여 공간 상에 인테리어 소품의 추가 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S1109 단 계에서, 서버(100)는 잔여 공간 상에 인테리어 소품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 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08, if it is confirmed that additional arrangement of interior accessories is possible on the remaining space, in step S1109, the server 100 adds virtual objects of the interior accessories to the remaining space to create a composite residential space. 3 Image information can be created.

S110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잔여 공간 상에 인테리어 소품의 추가 배치가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S1107 단계로 되돌아가, 서버(100)는 인테리어 소품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08, it is confirmed that additional arrangement of the interior props is not possible in the remaining space, the server 100 may reselect the interior props in step S1107.

S11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면서, 인테리어 소품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1110, the server 100 may provide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additionally provide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interior accessorie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second image information based on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generated through photography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제1 가구(1201)가 배치된 주거 공간을 촬영하여, 주거 공간의 제1 이미 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user terminal 200 may capture a residential space where the first furniture 1201 is placed and generat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서버(100)는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제1 가구(1201)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 가구(1201)가 배치되지 않은 잔여 공간의 크기를 확인하여, 잔여 공간에 배치가 가능한 제2 가구(1202)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rver 100 can recognize the first furniture 1201 by analyzing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check the size of the remaining space where the first furniture 1201 is not placed, and place the first furniture 1201 in the remaining space. An available second household (1202) can be selected.

서버(100)는 제1 가구(1201)와 이어서 많이 사용되는 가구를 제2 가구(1202)로 선정할 수 있으며, 제1 가구 (1201)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2 가구(1202)의 배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select the first furniture 1201 and subsequently the most frequently used furniture as the second furniture 1202, and arrange the second furniture 1202 so that it is plac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furniture 1201. You can set the location.

서버(100)는 잔여 공간에 제2 가구(1202)가 표시되도록 추가하여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가구(1202) 가 배치된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2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 여, 제2 가구(1202)가 증강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The server 100 generates second image information by adding the second furniture 1202 to be displayed in the remaining space, and provides a service to confirm in advance that the second furniture 1202 is placed, by add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to the remaining space. 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furniture 1202 can be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 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에 배치된 가구를 통해 추가될 가구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촬영을 통해 생성된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거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가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1 가구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구의 종류를 통해 상기 제1 가구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관련 가구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련 가구 목록에 포함된 가구 별로 미리 등록된 사용자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련 가구 목록에서 상기 제1 가구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은 제2 가구 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 method of recommending furniture to be added through existing furniture, performed by a server, comprising: acquir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residential space created through photography by a user terminal;
Analyz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recognizing first furniture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confirming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generating a list of related furnitu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furniture through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calculating user preferences based 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pre-registered for each household included in the related household list;
selecting a second household from the list of related households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household and has the highest user preference scor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reflecting user preferences, including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furniture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의 제공 단계는,
상기 주거 공간의 제1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가구의 주변에 비어있는 공백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백 공간의 크기가 상기 제2 가구의 크기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가구의 주변에 상기 제2 가 구의 배치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household is,
Analyz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o identify an empty space around the first furniture; and
If the size of the empty space is confi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furni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furniture can be placed around the first furniture, an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furniture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that reflect user tastes,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th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가구가 배치될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에 상기 제2 가구 의 가상 객체를 추가하여 합성한 상기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거 공간에 상기 제2 가구가 배치된 상기 제2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When a location in the empty space where the second furniture will be placed is selected, generat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synthesized by adding a virtual object of the second furnitur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furnitur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reflecting user preferences,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showing the second furniture arranged in the residential space to the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 공간의 제2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거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및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미리 등록된 사용자 생활습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 하고, 상기 제2 가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구의 배치 위치, 상기 제2 가구의 배치 위치, 상기 제1 가구의 사용 빈도 및 상기 제2 가구의 사용 빈도를 기초로, 사용자 동선 패턴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동선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배치 위치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동선 패턴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를 재설정하여, 상기 주거 공간의 제3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구 및 상기 제2 가구에 대한 배치 위치가 재설정된 상기 제3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 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을 반영한 가구추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Analyzing secon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to confirm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Based on pre-registered user lifestyle information,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furniture, and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cond furniture;
Predicting a user movement pattern based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furnitur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furnitu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cond furniture;
Analyz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n the arrangement position is necessary, re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s for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to optimize the user movement pattern, and generating third image inform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rniture recommendations reflecting user preferences,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the third image informa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furniture and the second furniture are reset to the user terminal.
KR1020220137071A 2022-10-24 2022-10-24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KR202400569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71A KR20240056946A (en) 2022-10-24 2022-10-24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071A KR20240056946A (en) 2022-10-24 2022-10-24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46A true KR20240056946A (en) 2024-05-02

Family

ID=9107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071A KR20240056946A (en) 2022-10-24 2022-10-24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94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743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deployable furniture in remaining space
JP64766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49732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07807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86419B1 (en) Virtual interior estimate calculation system of room unit and method therefor
KR1018133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use interior service
KR102493818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able interior
US20160379321A1 (en) Real estate or other search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05532A (en) E-apartment housing system capable of virtual interior design
KR102019299B1 (en) Home styling server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mage for the home styling
KR102472746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additional furniture through existing furniture
CN104281371B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115032A (en) Order support apparatus and order support method for custom-made furniture
US201600863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Measurement and Visualization
KR20240056946A (en) Furniture recommend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ref
KR102409031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change position of existing furniture
KR101724676B1 (en) System for record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interactive panoramic virturl reality
CN112344932A (en) Indoor navig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7499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tate plane figure service
CN110300181A (en) Content deliver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203184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of a building
KR102297010B1 (en) Method and server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exhibit using augmented reality
JP70327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JP2019040487A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JP2018045358A (en) Beauty parlor support system, beauty parlor support method, user terminal device, beauty parlor terminal device, computer program executable on user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executable on beauty parlor termin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