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432A -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 Google Patents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432A
KR20240056432A KR1020230140036A KR20230140036A KR20240056432A KR 20240056432 A KR20240056432 A KR 20240056432A KR 1020230140036 A KR1020230140036 A KR 1020230140036A KR 20230140036 A KR20230140036 A KR 20230140036A KR 20240056432 A KR20240056432 A KR 20240056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outsole
cases
mold
so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마리 비달
로버트 에스. 벤토
Original Assignee
아쿠쉬네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970,817 external-priority patent/US20240130462A1/en
Application filed by 아쿠쉬네트 컴퍼니 filed Critical 아쿠쉬네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4005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0Producing footwear having preformed soles or heels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feeding or injecting plastics material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갑피 및 갑피에 연결된 밑창 조립체를 갖는 골프화가 개시된다. 밑창 조립체는 중창 및 겉창을 포함한다. 중창 또는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i) 발포 재료 및 (ii) 발포 재료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구조체는 발포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및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갖는 스파인리스 구조체를 포함한다.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Description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GOLF SHOE WITH INTERNAL STRUCTURE}
골프 스포츠는 골프 클럽 스윙, 골프 코스 걷기 및/또는 퍼팅 라인업(line up)을 위해 몸을 숙이는 것과 같은, 대상(예를 들어, 골퍼)이 수행할 수도 있는 다양한 동작을 수반할 수 있다. 골프를 플레이하기 위해 적절한 장비를 갖추는 것은 골퍼가 골프 관련 동작 또는 움직임을 얼마나 양호하게 수행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골프화는 골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비의 일 예이다. 예를 들어, 골퍼가 클럽을 스윙할 때, 골프화의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될 수 있는 다수의 힘이 있다. 이와 같이, 골프화는 골퍼가 최적의 스윙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편안하고 안정한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의 골프화 및 전통적인 골프화 제조 방법의 다양한 결점 및 단점이 인식된다. 몇몇 골프화는 밑창 조립체가 제조된 후 골프화의 밑창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의 제조 후에 밑창 조립체 내의 인서트의 배치는 추가 단계, 노동, 툴링/장비를 수반할 수 있는데, 이는 시간 및 자원 집약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의 제조 후 밑창 조립체 내의 인서트의 일체화는 인서트가 밑창 조립체와 적절하게 일체화되지 않으면 원래 밑창 조립체의 원하는 구조적 완전성을 손상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 내에 하나 이상의 원하는 구조적 특성을 부여하도록 최적화된 인서트로 신발을 제조하는 것과 관련된 기존 과제를 고려하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신발은 통상적으로 더 단순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또는 구성을 사용한다. 이러한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 및 구성은 밑창 조립체 내에 제한된 수의 유리한 재료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고성능 골프화에 필요한 전체 성능 특성의 범위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밑창 조립체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갖는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골프화 및 전통적인 골프화 제조 방법의 전술된 결점 및 단점을 해결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밑창 조립체의 중창 및/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되는 복잡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신발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현재 개시된 다양한 방법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가 제조될 때(예를 들어, 몰드 내에서) 복잡한 내부 구조체가 밑창 조립체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될 수 있는데, 이는 단일 제조 단계에서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몇몇 경우에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골프화의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중창 또는 겉창 내에 일체화하거나 매립되는 것이 불가능하고, 비실용적이고 그리고/또는 극단적으로 어려운 다양한 복잡한 3D 구조체(예를 들어, 인서트, 내골격 등)를 갖는 중창 및/또는 겉창을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복잡한 3D 구조체는 더 단순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및 구성을 갖는 다른 종래의 신발에 비교하여 광범위한 유리한 성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복잡한 3D 구조체는 (1)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된 하중을 편안하게 지지하고, (2) 밑창 조립체의 비틀림 강성도를 보존하고, (3)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유리한 굴곡 특성을 유지하고, (4) 다양한 지면과의 트랙션을 향상시키고 그리고/또는 (5)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중창 상에 인가된 하나 이상의 힘에 응답하여 중창의 변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중창은 (i)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대상의 발의 움직임 (ii) 골프 관련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거나 실행하기 위해 신발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힘의 분포, 및/또는 (iii) (a) 신발 또는 그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b) 신발 아래의 지면 상에 인가된 하나 이상의 힘의 방향 또는 크기를 제어, 안내 및/또는 관리하기 위해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1) 신발을 착용한 대상의 고유한 해부학적 또는 생물역학적 특성 및/또는 (2) 대상의 스윙의 고유한 특성 또는 특징에 기초하여 특정 방식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특정 대상의 스윙 유형, 스윙 속도, 해부학적 구조 또는 생물역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특정 대상에 최적인 방식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대상이 그 또는 그녀의 스윙 유형, 스윙 속도, 해부학적 구조 또는 생물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에 대해 준최적인 방식으로 골프 관련 동작을 실행하더라도 특정 대상에 대해 최적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골프 관련 동작의 준최적 실행이 (i) 최대 일관성, 예를 들어, 더 긴밀한 공 비산 및/또는 (ii) 최대 성능, 예를 들어 더 긴 캐리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움직임에서 벗어나는 대상에 의한 실제 움직임을 수반할 수도 있다. 실제 움직임 또는 최적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골프 스윙 중에 대상의 팔 또는 손목의 움직임, 대상의 신체(엉덩이, 허리 등)의 회전, 대상의 발을 가로지르는 체중 분포의 변화, 또는 대상의 발의 피봇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골프 관련 동작의 준최적 실행은 대상의 실제 자세와 (i) 최대 일관성 및/또는 (ii) 최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적 자세 사이의 편차를 수반할 수도 있다. 실제 자세 또는 최적 자세는 예를 들어, 골프공 또는 지면에 대한 대상의 발의 위치 또는 배향, 및/또는 대상의 제2 신체 부위에 대한 대상의 제1 신체 부위의 위치 또는 배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골프 관련 동작의 준최적 실행은 신발의 중창 또는 신발 아래의 지면에 대한 준최적 하중 프로파일과 연관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준최적 하중 프로파일은 골프 관련 움직임 전, 중 및/또는 후에 중창 또는 지면 상에 압력의 준최적 인가 또는 적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준최적 하중 프로파일은 소정 시간 기간에 걸쳐 지면 또는 중창의 다양한 부분 상의 압력의 인가 또는 적용의 준최적 변화를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준최적 하중 프로파일은 골프 관련 움직임 전, 중 및/또는 후에 중창의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영역 상의 압력의 준최적 인가 또는 적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압력의 준최적 압력 인가 또는 적용은 (i) 최대 일관성 및/또는 (ii) 최대 성능으로 골프 관련 움직임을 변환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 또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크기 또는 방향을 갖고 하나 이상의 힘(중창의 다양한 영역에서 또는 선택된 시간 기간에 걸쳐 다양한 시점에서)의 인가 또는 적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대상의 실제 움직임 또는 자세와 그 또는 그녀의 스윙 유형, 스윙 속도, 해부학적 구조 또는 생물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에게 최적이라고 고려될 수도 있는 움직임 또는 자세 사이의 임의의 편차에 무관하게, 대상의 골프 스윙을 지원하기 위해 제어되거나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각각의 대상의 스윙 유형, 스윙 속도, 해부학적 구조, 생물역학적 특성, 또는 골프 관련 움직임 또는 자세에 대한 개인적 선호도 사이의 임의의 차이 또는 변동에 무관하게, 그 골프 스윙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대상에 대해 제어되거나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인서트는 중창의 상이한 구역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상이한 서스펜션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서스펜션 특성은 예를 들어, 중창 상에 인가되는 압축력에 대한 중창 재료의 저항, 또는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중창 상에 인가되는 다양한 힘에 응답하여 중창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반동 스프링 힘과 연관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상이한 구역에 대한 서스펜션 특성은 대상의 신체 특성(예를 들어, 체중, 키, 발 형상 또는 프로파일, 무게 중심 또는 질량 중심 등) 및/또는 편안함, 맞춤 및/또는 성능에 대한 대상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상이한 구역에 대한 서스펜션 특성은 상이한 신체적 특성 또는 편안함, 맞춤 및/또는 성능에 대한 상이한 선호도를 갖는 광범위한 또는 다양한 상이한 대상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인서트 재료는 중창에 원하는 특성 또는 특징의 세트를 제공하거나 부여할 수도 있다. 원하는 특성 또는 특징의 세트는 예를 들어, 비틀림 강성도, 비틀림 강성, 굴곡 강성도, 굴곡 강성, 경도, 인장 강도,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인서트 재료는 중창에 대한 특정 세트의 비틀림 특성을 선호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특정 세트의 비틀림 특성은 외번시에 편향될 수도 있다(즉, 비틀림 특성은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신체의 정중선으로부터 이격하여, 외향으로 발의 발바닥의 기울어짐을 촉진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음). 다른 경우에, 특정 세트의 비틀림 특성은 내번시에 편향될 수도 있다(즉, 비틀림 특성은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신체의 정중선을 향해 내향으로 발의 발바닥의 기울어짐을 촉진하거나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음). 몇몇 경우에, 특정 세트의 비틀림 특성은 방향적으로 중립일 수도 있다(즉, 내번 또는 외번시에 편향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외번 및 내번시에 동등하게 편향될 수도 있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인서트 재료는 골퍼의 특정/고유한 스윙 특성을 지원할 수도 있고, 효과적으로 (1) 골퍼의 스윙을 최적의 스윙 경로 또는 궤도와 재정렬하고, (2) 골퍼의 신체 또는 움직임을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최적의 축 또는 평면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최적의 자세 및/또는 최적의 움직임 세트와 정렬하고, 그리고/또는 (3) (a) 골퍼의 실제 자세 또는 움직임과 (b) 골퍼를 위한 최적의 자세 또는 최적의 움직임 세트 사이의 임의의 편차 또는 변동을 보상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인서트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인서트 재료는 특정 골퍼의 실제 움직임 또는 자세(바람직하든 비의도적이든)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은 샷 궤도(예를 들어, 당김, 밀림, 훅, 및/또는 슬라이스)의 발생 또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갑피 및 갑피에 연결된 밑창 조립체를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는 중창 및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i) 발포 재료 및 (ii) 발포 재료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발포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및/또는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갖는 스파인리스(spineless)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구조적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단일 또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강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강성 부재는 빔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비틀림 바아, 아암, 아치 또는 날개 구조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골프화의 안정성과 트랙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창 조립체 또는 그 부분 상에 인가되는 힘을 골프화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트랙션 요소에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2개 이상의 축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밑창 조립체의 변형 또는 굴곡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제1 축에 완충 또는 서스펜션 지지를 제공하고 제2 축에 또는 그를 따라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격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는 제1 격자 특성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격자 특성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격자 특성 및 제2 격자 특성은 격자 기하학적 형상, 격자 밀도 및 격자 재료 조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적층 제조된 부분 또는 기계가공된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실제 사이즈(true to size) 인서트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가 몰드에 기초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성형제 및 발포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캡슐화되도록 몰드 내의 구조체의 위치 및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대응하는 몰드에 부착 가능하거나 고정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단일 1:1 스케일 몰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성형 프로세스 동안 열적 열화, 왜곡 또는 형상 변형에 저항하기 위해 발포 재료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내부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내부 구조체를 몰드 또는 몰드의 표면 특징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구조적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단일 제조 단계에서,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생성하기 위해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몰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기 위해 내부 구조체 주위로 유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구조체는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조성물과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스파인리스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단계는 몰드 내에서 조성물 또는 성형제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수반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은 내부 구조체를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하기 위한 임의의 후성형 제조 작업 없이 몰드를 포함하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1:1 스케일 몰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부 구조체는 실제 사이즈 인서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다른 실시예 및 상이한 실시예가 가능하고, 그 여러 상세는 모두 본 개시내용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명백한 관점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면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골프화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참조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밑창 조립체의 다양한 영역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밑창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부 중창 보강을 위한 구조체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밑창 조립체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는 내부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중창 또는 겉창에 대한 내부 비틀림 바아로서 작용할 수 있는 3차원 구조체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격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밑창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격자 구조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구조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i) 제1 축 내의 또는 제1 축을 따른 완충/지지를 향상시키고 (ii) 제2 축 내의 또는 제2 축을 따른 비틀림 강성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구조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되는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갖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개시내용이 이제 다양한 비한정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몇몇 구성요소의 두께 및 치수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뷰는 오른발 신발이고 몇몇 경우에, 왼발 신발의 구성요소는 오른발 신발의 경면 대칭 이미지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신발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따라서 신발의 구성요소 또는 특징(예를 들어, 내부 홈)의 크기는 신발 사이즈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단수 형태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복수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부착된", "결합된" 또는 "연결된" 것으로 언급될 때, 이는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는 것(개재 요소가 있거나 없음)이 이해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된", "직접 결합된" 또는 "직접 연결된" 것으로 언급될 때, 어떠한 개재 요소도 존재하지 않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양태 또는 특징은 상이한 실시예에 통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즉, 모든 실시예 및/또는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은 임의의 방식 및/또는 임의의 순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 방식으로 원래 청구되지 않았지만 임의의 다른 청구항의 임의의 특징을 종속하고 그리고/또는 통합하도록 임의의 원래 제출된 청구항을 보정하는 권리를 포함하여, 임의의 원래 제출된 청구항을 수정하거나 이에 따라 임의의 신규 청구항(들)을 제출할 권리를 보유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은 이하에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성능 관점으로부터, 골프화는, 골프화를 착용한 대상이 다양한 상이한 골프-특정 동작(예를 들어, 골프 코스 걷기, 골프공에 어드레스, 골프 클럽 스윙 등, 및/또는 샷을 라인업하기 위해 몸을 숙이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강성 및 가요성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골프화는 또한 충분한 지지, 완충 및 안정성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는 많은 골프 관련 움직임이 밑창 조립체에 인가되는 상당한 압력 및/또는 비틀림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내용은 강성도, 강성, 가요성 및/또는 발밑 완충 또는 지지와 같은 밑창 조립체의 다양한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창 조립체(예를 들어, 신발의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구조체(예를 들어, 3차원(3D)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의 다양한 예를 제공한다. 몇몇 경우에, 3차원(3D) 구조체는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되는(예를 들어,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힘을 신발의 상이한 부분 또는 영역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신발의 상이한 부분 또는 영역은 (i) 신발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 및/또는 (ii) 신발의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되는 힘은 신발의 겉창 영역(또는 신발의 겉창 영역에 결합된 트랙션 요소)에 분배되어 다양한 상이한 지면 상에서의 트랙션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3차원(3D) 구조체는 골퍼에게 편안한 고성능 밑창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i) 골프 관련 동작 동안 골퍼의 발의 움직임 및 (ii) 골프 관련 동작 중에 골퍼의 발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밑창 조립체의 변형 또는 굴곡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골프화의 중창 및/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골프화를 제공한다. 골프화는 골프와 같은 신체 활동, 또는 골프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동작 또는 움직임을 수반하는 임의의 다른 신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대상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예를 들어, 신발)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골프화는 대상에 의해 착용될 수도 있다. 대상은 예를 들어, 운동선수 또는 골프 플레이어일 수도 있다. 대상에 의해 착용될 때, 골프화는 대상이 그 또는 그녀의 게임에 집중하여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하는 편안함과 제어의 최적 균형을 제공할 수도 있다. 골프화는 (i) 편안함, (ii) 안정성 및/또는 (iii) 대상의 스탠스, 스윙, 안정성 또는 전체 성능(예를 들어, 정확성 또는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대상의 발을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대상의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또한 일반적으로 신발(100)이라고도 칭하는 예시적인 골프화(100)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100)은 신발 갑피(110) 및 밑창 조립체(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110)는 안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창은 안창 풋베드(footbed) 및/또는 안창 보드와 같은 안창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120)는 중창 및/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는 갑피에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골프화(100)는 갑피(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110)는 대상의 발의 적어도 전족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선포(vamp)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110)는 대상의 발의 하나 이상의 측면부 또는 후방부(예를 들어, 아킬레스 건, 뒤꿈치의 후방 및/또는 거골 및 종골에 인접한 영역, 둘러싸는 영역 및/또는 아래의 영역)을 커버하고 그리고/또는 지지하기 위한 측포(quar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포의 뒤꿈치 영역은 힐컵(heel cup)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힐컵은 성형된 힐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포의 적어도 일부는 성형된 힐컵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포는 힐컵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성형될 수 있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선포와 측포는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열적으로 또는 접착식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융착되는 개별 재료 단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 재료는 갑피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스티칭(stitched)되거나 접합되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선포 및 측포를 위한 연속적인 재료 단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연속적인 재료 단편은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각각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연속적인 재료 단편은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복수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영역 또는 복수의 재료와 연관된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밀도, 다공성, 흡수성/발수성, 강도, 가요성, 탄성, 연성, 내구성, 내화학성, 열전도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110)는 예를 들어, 천연 가죽, 합성 가죽, 니트, 부직포 재료, 천연 직물 및/또는 합성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갑피(110)는 통기성 메시 및/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고무, 발포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재료로부터 제조된 합성 텍스타일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갑피(110)의 재료는 통기성, 내구성, 가요성, 편안함 및/또는 내수성(water resistance)과 같은 원하는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 및/또는 최적화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100)은 방수성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의 적어도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은 내수성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층(예를 들어,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방수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신발(100)을 제조할 때 추가적인 특징부(예를 들어, 수분의 선택적 이동 또는 통과를 허용하는 비다공성 또는 반다공성 멤브레인)가 적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대상의 발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발등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등 영역은 설포 부재(tongue memb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개구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하는 힐 칼라(heel colla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힐 칼라는 향상된 편안함과 맞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안창 구성요소(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또는 안창 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안창 구성요소는 대상의 발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대상이 걷고, 달리고, 무릎을 꿇고, 쪼그리고 앉거나, 스윙을 실행하는 동안 안창에 힘을 인가할 때). 안창 구성요소는 가요성, 반강성 또는 강성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안창 구성요소는 신발(100)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인서트일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안창 구성요소는 신발(100) 내부에 착용될 수 있고 신발(100)을 착용하는 대상에게 완충 또는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의 전족부 영역은 선포에 부착될 수도 있는 아이 스테이(eye sta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아이 스테이는 설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아이 스테이는 하나 이상의 신발끈이 관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일릿(eyelet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발의 윤곽 주위로 신발(100)을 조이기 위해 다양한 조임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재료(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섬유, 금속 케이블)의 신발끈이 조임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신발(100)은 다이얼, 스풀, 및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는 금속 케이블(신발끈) 조임 조립체 및 케이블을 제자리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110)는 전통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갑피(110)는 비전통적인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골프화(100)는 밑창 조립체(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120)는 중창 및/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120)는 갑피(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120)는 중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창은 신발(100)에 완충 및/또는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교적 경량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은 예를 들어 발포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창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되는 재료(예를 들어, 성형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는 발포체 또는 발포체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는 하나 이상의 개방 또는 부분 개방 셀을 포함하는 개방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발포 재료는 하나 이상의 폐쇄 또는 부분 폐쇄 셀을 포함하는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탄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발포체는 예를 들어, 고무형 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탄성화된 폐쇄 셀 발포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점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점성 발포체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점탄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점탄성 발포체는 탄성 발포체의 탄성 특성과 점성 발포체의 점성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점탄성 발포체는 메모리 발포체 또는 메모리 발포체형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은 복수의 상이한 발포 재료(예를 들어, 발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조성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상기의 중창 또는 이하의 겉창과 관련하여 설명됨)는 발포제 및/또는 성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중창 또는 겉창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되는(예를 들어, 함께 압축, 용융 또는 융착되거나 접착식으로 결합됨) 발포된 재료의 입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할 필요가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120)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겉창은 신발에 지지 및 트랙션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겉창은 중창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창은 겉창과 융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겉창에 부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중창 및/또는 겉창에 대한 제조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몇몇 경우에, 중창은 개별 단편으로서 성형되고 이어서 스티칭, 접착제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겉창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창은 겉창의 상부면에 열 가압되고 접합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중창과 겉창은 '투샷(two-shot)'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은 중창의 적어도 일부가 대상의 발과 겉창 사이에 있도록 겉창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겉창의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발포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는 하나 이상의 개방 또는 부분 개방 셀을 포함하는 개방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발포 재료는 하나 이상의 폐쇄 또는 부분 폐쇄 셀을 포함하는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탄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발포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점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점성 발포체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는 점탄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점탄성 발포체는 탄성 발포체의 탄성 특성과 점성 발포체의 점성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점탄성 발포체는 메모리 발포체 또는 메모리 발포체형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겉창은 복수의 상이한 발포 재료(예를 들어, 발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조성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중창 또는 겉창과 관련하여 설명됨)는 발포제 및/또는 성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중창 또는 겉창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되는(예를 들어, 함께 압축, 용융 또는 융착되거나 접착식으로 결합됨) 발포된 재료의 입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할 필요가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겉창의 저부면은 신발(100)과 골프 코스의 상이한 표면 또는 다른 지면 사이에 트랙션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복수의 트랙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랙션 부재는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또한 조합하여 또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트랙션 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및/또는 아라미드를 포함하는 상이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트랙션 부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강성 폴리아미드 블록과 연성 폴리에테르 블록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랙션 부재는 스파이크(예를 들어, 하드 스파이크 또는 소프트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파이크는 지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거나 지면과 다른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계면 접촉하거나 접촉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랙션 부재는 어떠한 스파이크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랙션 부재는 신발의 밑창 조립체에 힘이 인가될 때 지면에 대한 신발의 측방향 또는 병진 이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홈이 있거나 텍스처가 있는 표면 또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홈이 있거나 텍스처가 있는 표면은 겉창의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은 마찰 계수(정적 및/또는 동적 마찰 계수)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랙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겉창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랙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겉창 또는 밑창 조립체의 다른 부분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겉창은 어떠한 트랙션 요소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갑피 및/또는 밑창 조립체 및/또는 그 임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안창 보드, 중창 및/또는 겉창)는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후족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후족부 영역의 각각은 대상의 발의 각각의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해부학적 구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 발의 해부학적 구조는 3개의 뼈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발의 후족부 영역은 발목(거골) 및 뒤꿈치(종골) 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의 중족부 영역은 발의 종방향 아치를 형성하는 입방골, 설상골, 및 주상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의 전족부 영역은 중족골과 발가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신발, 및 이에 따라, 갑피 및/또는 밑창 조립체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안창 보드, 중창 및/또는 겉창)는 후족부 및/또는 뒤꿈치 영역에 대응하는 후족부 영역, 중족부에 대응하는 중족부 영역, 및 전족부 및/또는 발가락 영역에 대응하는 전족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후족부 영역(및 뒤꿈치 영역)은 신발의 후방 단부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발가락 영역을 포함하는 전족부 영역은 신발의 전방 단부에 대응할 수 있다.
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전족부 영역을 갖는 것에 추가하여, 신발, 및 이에 따라, 갑피 및/또는 밑창 조립체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안창 보드, 중창 및/또는 겉창)는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내측면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의 내부 영역 및 착용자의 다른 발을 향해 지향하는 표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외측면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의 외부 영역 및 착용자의 다른 발로부터 이격하여 지향하는 표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외측면과 내측면은 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 전족부 영역의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내측면과 외측면은 신발의 주연부 또는 주변부 주위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좌측 및 우측 밑창 조립체(120)의 다양한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밑창 조립체(120)는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또는 후족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은 밑창 조립체(120)의 제1 치수(예를 들어, 폭)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은 밑창 조립체(120)의 제2 치수(예를 들어, 길이)의 상이한 부분 또는 섹션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120)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밑창 조립체(120)의 중심축(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중심축(200)은 밑창 조립체(120)의 후족부 영역의 최후방 부분으로부터 밑창 조립체(120)의 중족부 및/또는 전족부 영역을 향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심축(200)은 밑창 조립체(120)의 후족부 영역의 최후방 부분에 접하는 축에 수직이거나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중심축(200)의 부분(예를 들어, 밑창 조립체(120)의 적어도 후족부 및/또는 중족부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부분)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120)를 내측면 및 외측면으로 분할하거나 이등분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심축(200)의 부분(예를 들어, 밑창 조립체(120)의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120)의 전족부 영역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밑창 조립체(120)를 내측면 및 외측면으로 정밀하게 분할하거나 이등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의 전족부 영역의 내측면 ① 및 외측면 ②은 중심축(200)으로부터 벗어나는 만곡축(201)을 따라 분할될 수도 있다. 안창,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언급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축(200) 및/또는 만곡축(201)을 따른 안창 풋베드, 안창 보드,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묘사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갑피 및 갑피에 연결된 밑창 조립체를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는 밑창 조립체의 중창 및/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되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중창 또는 겉창의 발포 재료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는 중창 및/또는 겉창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과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는 예를 들어, EVA 및 몰드(본 명세서에 개시된 1:1 스케일 몰드와 같은) 내에서 발포될 수 있는 다른 발포 재료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임의의 발포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겉창 또는 그 임의의 부분을 형성하거나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발포 재료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매립은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가 발포 재료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커버되거나 캡슐화되는 구성을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일체화는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가 발포 재료에 인접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칭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일체화는 구조체를 발포 재료와 조합하거나 발포 재료를 구조체에 부착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 내의 구조체의 매립은 발포 재료가 구조체의 표면적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거나 캡슐화하게 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표면적의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이상이 발포 재료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표면적의 적어도 약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이상이 발포 재료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표면적의 100%가 발포 재료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즉, 구조체는 발포 재료에 의해 완전히 캡슐화되어 구조체가 모든 측면에서 절연되거나 발포 재료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게 됨).
몇몇 경우에, 구조체를 캡슐화하는 발포 재료는 다양한 두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두께는 (1) 구조체와 발포 재료 사이의 접촉 지점 및 (2a) 발포 재료와 신발의 다른 재료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접촉 지점 또는 (2b)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발포 재료의 외부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두께는 약 0.1 밀리미터(mm) 내지 약 10 m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 내의 구조체의 매립은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개별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구조체는 하나의 단편이고, 발포 재료는 다른 단편임). 구조체는 발포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도 있다. 2개의 개별 단편은 분리하기 위해 최소량의 힘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최소량의 힘은 약 1 뉴턴(N) 내지 약 100 뉴턴(N)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와 구조체의 일체화는 발포 재료의 적어도 일부로의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의 결합 또는 부착을 야기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와 구조체의 일체화는 구조체의 일부가 발포 재료의 내부 부분, 표면 또는 체적에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재료와 구조체의 일체화는 구조체의 일부가 발포 재료에 의해 봉입되거나 매립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와 발포 재료의 일체화는 구조체의 표면과 발포 재료 사이의 접촉을 야기할 수도 있다. 구조체와 발포 재료 사이의 접촉 표면적은 약 1 cm2 내지 약 100 cm2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와 발포 재료의 일체화는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개별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구조체는 하나의 단편이고, 발포 재료는 다른 단편임). 2개의 개별 단편은 분리하기 위해 최소량의 힘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단편을 분리하기 위한 최소량의 힘은 약 1 뉴턴(N) 내지 약 100 뉴턴(N)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신발 상에 인가되는 하중(예를 들어, 골프 관련 동작 중에)을 구조체의 상이한 부분, 밑창 조립체, 또는 전체 신발에 분배하거나 재지향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는 구조체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빔, 기둥, 브레이스, 지주, 로드, 포스트, 바아, 플레이트, 트러스, 프레임, 격자, 지지부 또는 신발의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되는 힘(압축, 회전/비틀림 등)을 분배하거나 재지향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강성 또는 가요성 구성요소 또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틀림 바아, 아암, 날개 또는 아치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은 부재의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평면을 따른 측방향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은 부재의 일부를 통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평면을 따른 측방향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평면은 구조 부재의 표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각도는 약 1도 내지 약 179도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평면은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의 표면에 직각, 직교 또는 수직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은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면 형상은 구조 부재의 측방향 또는 수직 단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원, 타원, 또는 3개 이상의 변을 갖는 임의의 다각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면 형상은 규칙적인 형상(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 이상의 변을 갖는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를 갖는 2개 이상의 변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 또는 비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부분 또는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곡선 또는 비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구조 부재의 치수를 따라 변경되는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의 치수는 또한 구조 부재의 부분을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치수는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의 길이, 폭 및/또는 높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재는 중실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실 단면은 단일 재료 또는 서로 옆에 또는 위에 적층된 복수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부재는 중공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공 단면은 재료의 내부 체적 내에 개구, 간극, 공극, 또는 채널을 갖는 재료 또는 복수의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 및/또는 전체 구조체는 편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 및/또는 전체 구조체는 상이한 높이(중창의 표면, 겉창의 표면, 또는 신발이 제공되는 지면에 대해)를 갖는 다수의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안창(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또는 안창 보드) 또는 중창의 폭, 길이 및/또는 높이에 걸쳐 있는 3차원 프레임 또는 내골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상향(예를 들어, 중창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경사지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하향(예를 들어, 중창의 저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경사지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연장되거나 경사지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상이한 부분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되거나 경사지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동일한 부분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되거나 경사지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동일한 부분 또는 영역에서 수렴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다수의 상이한 영역을 향해 분기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하중을 분배하거나 재지향하기 위해 단일의 연속 구조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재는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 및 배향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재는 하중 하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굴곡되거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단독의 단일편으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함께 결합되거나 결합되어야 하는 개별 서브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기계적으로 링크되고, 체결되거나, 결합되는 임의의 조인트 또는 힌지, 또는 임의의 회전 또는 굴절 구성요소 또는 구조적 특징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단독의 단일 구조체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독의 단일 구조체는 (i) 서로 결합되고(예를 들어, 체결구를 사용하여) 그리고/또는 (ii) 기계적 연결부(예를 들어, 힌지, 조인트, 슬라이드 또는 다른 서브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서브구성요소의 병진 및/또는 회전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임의의 개별 또는 별개의 서브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스파인리스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스파인리스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영역과 후족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스파인리스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영역과 후족부 영역 사이에 연장되는 세장형 부재에 결합되거나 고정되는 리브 부재를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독의 단일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구조 부재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영역과 후족부 영역 사이에 연장되는 임의의 세장형 부재에 연결되지 않거나 연결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부분은 (i) 구조체의 다른 부분 및/또는 (ii) 구조 부재가 일체화 또는 매립되어 있는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에 대해 고정된 위치 및/또는 고정된 배향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부분은 힘이 부재 상에 인가될 때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 부재에 인접하거나 근접한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은 구조 부재의 굴곡 또는 변형에 응답하여 굴곡되거나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굴곡되거나 변형되는 부재의 부분은 부재의 굴곡 또는 변형에 응답하여 굴곡되거나 변형되는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에 대해 비교적 고정된 위치 및 배향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부재의 부분은 부재의 가동 부분에 인접하거나 근접한 중창 또는 겉창의 표면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부재의 부분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발포 재료 내의 하나 이상의 윈도우, 공동 또는 공극 내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발포 재료는 하중 하에서 부재의 모션(예를 들어, 부재의 굴곡, 절곡, 비틀림, 신장 또는 압축)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윈도우, 공동 또는 공극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구조적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구조체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구조적 구성과 유사하게, 밑창 조립체의 저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곡선형 상부 표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표면의 곡률은 저부면 또는 대상의 발의 아치와는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구조체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구조적 구성과 유사하게, 밑창 조립체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향해 하향으로 만곡되는 아치형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치형 프로파일은 대상의 발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에 합치하지 않거나 합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도 5c에서, 구조체의 상부 부분은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몇몇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i)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및/또는 (ii)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의 측벽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에 합치하는 날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에서, 구조체의 상부 부분은 밑창 조립체의 중족부 영역에 비틀림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도 있고, 대상의 발의 저부면의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도 7, 도 8a 내지 도 8e,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조체의 상부 부분은 서스펜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향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 상부 부분의 곡률이 대상의 발의 저부면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에 합치하지 않거나 합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밑창 조립체의 제1 영역과 밑창 조립체의 제2 영역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밑창 조립체의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또는 후족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중창 또는 겉창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중창 또는 겉창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하나 이상의 부재의 연장은 중창 또는 겉창에 의해 제공된 강성도 및 지지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1)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과 (2)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및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을 통해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두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은 중창 또는 겉창의 중족부 영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은 중심축(200) 또는 만곡축(201)을 따르거나 근접한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에 대응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은, 중심축(200) 또는 만곡축(201)이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을 대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기준 지점 또는 프레임으로서 사용되는 한,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의 중심 영역은 중창 또는 겉창을 통해 또는 가로질러 연장하는 중심축(200) 또는 만곡축(201)과 또한 일치하거나 근접하는 중창 또는 겉창의 중족부 영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3차원(3D)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3D 구조체는 적층 제조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층 제조된 부분은 예를 들어, 3D 인쇄, 레이저 소결, 용접,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적층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기계가공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절삭 가공 프로세스(예를 들어, 밀링, 터닝, 레이저 절단, 전기 방전 가공(EDM), 카빙 등)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밑창 조립체(420)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구조체(45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밑창 조립체(420)를 도시하고 있다. 밑창 조립체(4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중창 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450)는 몰드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밑창 조립체(420)는 몰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420)는 구조체(450) 주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450)는 보강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강 부분은 내부 중창 보강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보강 부분은, 중창이 비틀림 또는 전단 응력 하에서 변형에 저항하도록 중창을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골퍼가 골프 스윙을 실행하고 그/그녀의 체중을 이동하거나 그/그녀의 발을 피봇할 때).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구조체(450)는 밑창 조립체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로드 또는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로드 또는 튜브는 중공 내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로드 또는 튜브의 내부 영역은 구조체(450)의 총 중량 또는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중공화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공 내부 영역은 구조체 또는 구조체가 매립되는 밑창 조립체의 강성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충전제 재료(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발포 재료)로 충전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420) 내에 매립된 구조체(450)는 밑창 조립체(42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화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450)는 밑창 조립체의 내측면 및 외측면의 모두에서 가시화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가시화 구조체(450)는 신발이 밑창 조립체(420)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보강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신발의 밑창 조립체(520)에 대한 내부 비틀림 바아로서 작용할 수 있는 구조체(550)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520)는 중창 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550)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직선형 또는 선형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곡선형 또는 아치형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하나 이상의 직선형 또는 선형 섹션과 하나 이상의 곡선형 또는 아치형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구조체(550) 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가 (i)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으로부터 (ii) 밑창 조립체(520)의 중심 영역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향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구조체(550) 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가 (i) 밑창 조립체(5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ii)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으로 연장함에 따라 하향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들)에서 상향으로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 있는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의 상향 곡률은 매립된 구조체(550)를 갖는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몰드의 표면의 곡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5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의 형상 또는 곡률은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에 구조체(55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 내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 또는 배향으로 구조체(55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520)의 상이한 내측 또는 외측 영역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외측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체(550)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560)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550)는 단독의 연속적인 재료 단편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밑창 조립체(520)의 치수(예를 들어, 길이, 폭 또는 높이)에 걸쳐 있는 구조체(550)의 중간 연결 영역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중간 연결 영역은 예를 들어, 부재(560)가 연장될 수 있는 척추 구조체(또는 부재(560)의 중심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연결 영역과 하나 이상의 부재(560)는 단독의 연속적인 재료 단편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550)는 하나 이상의 아치(5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아치(570)는 밑창 조립체(52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아치(570)는 밑창 조립체(520)의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520)의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아치(570)는 밑창 조립체(520)의 중족부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520)의 후족부 영역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아치(570)는 밑창 조립체(520)의 치수(예를 들어, 길이, 폭 또는 높이)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아치(570)는 밑창 조립체(520)를 더 강화 및/또는 보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550)는 밑창 조립체(5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520)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재(5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재(560)는 (i) 밑창 조립체(520)의 제1 부분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들)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트의 부재 및 (ii) 밑창 조립체(520)의 제2 부분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들)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트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520)의 제1 부분 및/또는 밑창 조립체(520)의 제2 부분은 밑창 조립체(520)의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및/또는 후족부 영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550)는 하나 이상의 날개(5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날개(580)는 하나 이상의 부재(560)의 말단 단부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날개(580)의 형상 및/또는 곡률은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의 곡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날개(580)는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에 구조체(55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날개(580)는 밑창 조립체(520)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 내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 또는 배향으로 구조체(55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날개(580)는 (1)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상부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날개 및 (2)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하부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날개는 제2 날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날개와 제2 날개 사이의 각도는 약 5도 내지 약 45도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상부 날개와 상부 날개 하에 또는 아래에 배치된 하부 날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상부 날개와 하부 날개 사이의 각도는 약 5도 내지 약 45도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구조체가 대상의 발을 지지하고 힘 또는 하중을 신발의 상이한 영역에 최적으로 분배하여 트랙션, 그립, 안정성 및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대상이 최적의 골프 관련 모션(예를 들어, 골프 스윙)을 실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신발의 중창에 대한 힘 또는 하중의 분포를 제어하고 상기 힘 또는 하중을 신발 내의 또는 지면 상의 하나 이상의 최적 위치 또는 구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i) 대상에 의한 실제 모션 경로 또는 스윙 궤도와 (ii) 대상에 대한 최적의 모션 경로 또는 스윙 궤도 사이의 임의의 편차 또는 변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기 위해 신발의 중창에 대한 힘 또는 하중의 분포를 제어하고 상기 힘 또는 하중을 신발 내의 또는 지면 상의 하나 이상의 최적 위치 또는 구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특성은 전체 구조체 또는 구조체의 다양한 부재의 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강도는 예를 들어,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또는 전단 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압축 강도는 압축 하중을 견디는 구조체 또는 재료의 능력을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인장 강도는 구조체 또는 재료가 변형 또는 파단 전에 신장되거나 견인되는 동안 견딜 수 있는 응력의 양을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전단 강도는 재료 또는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경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항복 또는 구조적 파괴에 대한 재료 또는 구성요소의 강도를 칭할 수도 있다. 전단 하중은 힘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재료에 슬라이딩 파괴를 생성하는 힘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재료의 내부 구조체의 일부가 그 자체에 대해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압축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전단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특성은 전체 구조체 또는 구조체의 다양한 부재의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강성도는 예를 들어, 굴곡 강성도 또는 비틀림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굴곡 강성도(또한 굴곡 강성으로서 알려져 있음)는 구조체 또는 재료를 곡률의 단위만큼 절곡시키는 데 요구되는 우력(force couple)을 칭할 수도 있다. 굴곡 강성도는 축을 중심으로 절곡 또는 굴곡 모션을 경험하는 동안 구조체 또는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비틀림 강성도는 물체 또는 재료를 단위 라디안 또는 도만큼 비틀림하는 데 요구되는 토크의 양을 칭할 수도 있다. 비틀림 강성도는 재료에 의한 각도 비틀림 경험에 대한 토크의 비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뉴턴-센티미터(N-cm) 내지 약 100 N-cm 이상의 범위의 굴곡 강성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도당 약 10 뉴턴-센티미터(N-cm/deg) 내지 약 100 N-cm/deg 이상의 범위의 비틀림 강성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격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자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위상적으로 정렬된 3차원 개방 셀 구조체의 집합 또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단위 셀은 셀 맵에 기초하여 3차원(3D) 공간에 배열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셀 맵은 격자의 하나 이상의 다른 셀에 대한 각각의 셀의 상대 위치 및 배향을 정의하거나 개략화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는 하나 이상의 수학식 또는 표현을 사용하여 발생되거나 모델링될 수 있는 표면 기반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자는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예를 들어, 로드 또는 빔)를 포함하는 지주 기반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격자는 2차원 평면에서 생성되고 압출되어 3D 구조체를 생성할 수 있는 평면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는 주기적 격자, 비주기적 격자, 또는 확률적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는 빔 격자, 플레이트 격자, 허니컴 격자, 또는 TPMS(3중 주기적 최소 표면) 격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는 삼각형 격자, 정사각형 격자, 직사각형 격자, 마름모형 격자, 경사 격자, 또는 육각형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는 격자 구조체를 가로질러 균일한 격자 특성을 갖는 균질 격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자는 격자 구조체의 상이한 영역 또는 섹션을 가로질러 변하는 격자 특성을 갖는 불균질 격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의 구조 부재는 단면 형상을 갖는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면 형상은 구조 부재의 측방향 또는 수직 단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원, 타원, 또는 3개 이상의 변을 갖는 임의의 다각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면 형상은 규칙적인 형상(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 이상의 변을 갖는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를 갖는 2개 이상의 변을 갖는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곡선 또는 비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단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부분 또는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곡선 또는 비선형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의 구조 부재는 구조 부재의 치수를 따라 변경되거나 변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의 상이한 구조 부재는 상이한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단면 형상의 치수는 구조 부재의 길이, 폭, 또는 높이를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복수의 치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i) 단면 형상의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높이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하나 이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은 단면 형상의 2개 이상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i) 단면 형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높이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복수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복수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은 제1 대각선 길이 또는 폭 및 제2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대각선 길이는 단면 형상의 제1 세트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제1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2 대각선 길이는 단면 형상의 제2 세트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제2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1 세트의 변 또는 정점은 제2 세트의 변 또는 정점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i) 단면 형상의 제1 대각선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제2 대각선 길이 또는 폭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의 구조 부재의 단면 형상은 하나 이상의 치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치수는 구조 부재의 길이, 폭 또는 높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길이는 약 1 mm 내지 약 10 m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폭은 약 1 mm 내지 약 10 m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 부재의 높이는 약 1 mm 내지 약 10 m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체 격자 구조체는 중창의 길이, 폭, 또는 높이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는 중창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1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30 cm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는 중창의 폭에 대응하는 제2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2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10 cm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는 중창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3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3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5 cm 범위일 수도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밑창 조립체(620)의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격자 구조체(650)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650)는 밑창 조립체(620)를 내부적으로 보강하고 강화하기 위해(예를 들어, 비틀림 또는 전단력으로 인한 변형, 굴곡 또는 마모에 저항하기 위해) 밑창 조립체(620)의 중족부 영역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650)는 밑창 조립체(620)의 중심 부분 또는 영역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650)는 밑창 조립체(620)의 내측면 및 외측면의 길이에 펼쳐서 걸쳐 있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격자의 측면은 밑창 조립체(620)의 내측면 및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격자의 내측 영역보다 밑창 조립체(620)의 더 큰 길이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650)의 두께는 격자가 밑창 조립체(6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6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으로 연장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격자 구조체(650)의 두께는 밑창 조립체(620)의 수직 높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650)의 체적은 격자가 밑창 조립체(62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6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으로 연장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체는 제1 격자 특성을 갖는 제1 영역 및 제2 격자 특성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격자 특성 및 제2 격자 특성은 신발의 상이한 부분 또는 영역에 상이한 재료 특성을 제공하거나 부여할 수도 있다. 제1 격자 특성 및/또는 제2 격자 특성은 격자 기하학적 형상, 격자 밀도 및 격자 재료 조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신발의 상이한 부분에 부여되는 상이한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갑피 또는 밑창 조립체(또는 그 임의의 부분 또는 층)의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의 강도(예를 들어,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또는 전단 강도) 또는 강성도(예를 들어, 굴곡 또는 비틀림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의 상이한 부분에 부여되는 상이한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갑피의 안창 구성요소 또는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의 강도(예를 들어,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또는 전단 강도) 또는 강성도(예를 들어, 굴곡 또는 비틀림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격자 특성은 격자 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자 강도는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또는 전단 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압축 강도는 압축 하중을 견디는 구조체 또는 재료의 능력을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인장 강도는 구조체 또는 재료가 변형 또는 파단 전에 신장되거나 견인되는 동안 견딜 수 있는 응력의 양을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전단 강도는 재료 또는 구조체가 전단 하중을 경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항복 또는 구조적 파괴에 대한 재료 또는 구성요소의 강도를 칭할 수도 있다. 전단 하중은 힘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재료에 슬라이딩 파괴를 생성하는 힘을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재료의 내부 구조체의 일부가 그 자체에 대해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압축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전단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격자 특성은 격자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자 강성도는 굴곡 강성도 또는 비틀림 강성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굴곡 강성도(또한 굴곡 강성으로서 알려져 있음)는 구조체 또는 재료를 곡률의 단위만큼 절곡시키는 데 요구되는 우력을 칭할 수도 있다. 굴곡 강성도는 축을 중심으로 절곡 또는 굴곡 모션을 경험하는 동안 구조체 또는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에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비틀림 강성도는 물체 또는 재료를 단위 라디안 또는 도만큼 비틀림하는 데 요구되는 토크의 양을 칭할 수도 있다. 비틀림 강성도는 재료에 의한 각도 비틀림 경험에 대한 토크의 비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약 10 뉴턴-센티미터(N-cm) 내지 약 100 N-cm 이상의 범위의 굴곡 강성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도당 약 10 뉴턴-센티미터(N-cm/deg) 내지 약 100 N-cm/deg 이상의 범위의 비틀림 강성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750)는 밑창 조립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의 복수의 상이한 외측 및/또는 내측 영역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부재(7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의 중심 영역은 밑창 조립체의 중심축(200)과 정렬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복수의 부재(760)는 밑창 조립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밑창 조립체의 복수의 상이한 외측 및/또는 내측 영역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복수의 상이한 외측 및/또는 내측 영역은 밑창 조립체의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부재(760)는 구조체(750)의 후방 및/또는 전방 단부에서 결합되어 폐쇄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폐쇄 형상은 렘니스케이트(∞) 또는 숫자-8의 형상과 근사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폐쇄 형상은 하나 이상의 만곡 섹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각형성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각형성 섹션은 구조체(750)의 중심 부분에서 또는 부근에서 분기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각형성 섹션은 구조체(750)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서 또는 부근에서 수렴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에서,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1 내부 구조체(851)에 유연하게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제2 내부 구조체(8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는 밑창 조립체의 중창 및/또는 겉창에 또는 그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예를 들어,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내부 구조체(852)는 제1 내부 구조체(851)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는 제2 내부 구조체(852)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는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위치(853)에 부착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착 위치(853)는 밑창 조립체의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에 또는 부근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는 하나 이상의 부착 위치(853)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는,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가 밑창 조립체 내에서 제1 섹션에서 조정 가능한 거리만큼 분리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위치되고 그리고/또는 배향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는,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가 밑창 조립체 내에서 제2 섹션에서 조정 가능한 거리(D2 )만큼 분리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되고, 위치되고 그리고/또는 배향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거리(D1) 및/또는 거리(D2)는, 밑창 조립체 상에 힘이 인가되고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가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서로에 대해 굴곡되거나 이동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a를 다시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 및 제2 내부 구조체(852)는 2개 이상의 축에서 또는 따른 밑창 조립체의 변형 또는 굴곡을 집합적으로 그리고 시너지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는 제1 축(801)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비틀림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내부 구조체(852)는 제2 축(802)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완충 또는 서스펜션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축(801)은 이전의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중심축(200)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축(801)은 중심축(200)에 대해 오프셋될 수도 있다. 오프셋은 예를 들어, 각도 오프셋 및/또는 오프셋 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축(802)은 밑창 조립체의 표면에 직각이거나 실질적으로 직각인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축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2 축(802)은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중선 축과 교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제2 축(802)은 밑창 조립체의 외측면 및 내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중선 축과 교차하지 않거나 교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정중선 축은 몇몇 경우에, 신발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의 중간 또는 대략 중간 거리에서 밑창 조립체의 중심축(200)과 교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축(801)과 제2 축(802)은 제1 축(801)과 제2 축(802)을 포함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평면 내에서, 제1 축(801)과 제2 축(802)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각도는 약 5도 내지 약 10도, 약 10도 내지 약 15도, 약 15도 내지 약 20도, 약 20도 내지 약 25도, 약 25도 내지 약 30도, 약 30도 내지 약 35도, 약 35도 내지 약 40도, 약 40도 내지 약 45도, 약 45도 내지 약 50도, 약 50도 내지 약 55도, 약 55도 내지 약 60도, 약 60도 내지 약 65도, 약 65도 내지 약 70도, 약 70도 내지 약 75도, 약 75도 내지 약 80도, 약 80도 내지 약 85도, 약 85도 내지 약 90도, 또는 90도 초과의 범위일 수도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내부 구조체(852)는 제2 내부 구조체(852) 아래에 위치된 제1 내부 구조체(851)에 대해 굴곡되거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제2 내부 구조체(852)의 굴곡 또는 이동은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축(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축(802))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제2 내부 구조체(852)의 굴곡 또는 이동은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축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루어질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는 밑창 조립체의 다양한 부분 또는 사분면에 서스펜션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는 밑창 조립체의 비틀림 강성도를 향상시키도록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는 밑창 조립체에 힘이 인가될 때 서로를 향해 굴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되는 힘은 압축력 및/또는 비틀림 또는 전단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의 굴곡은 대상의 발을 완충 및 지지하고(예를 들어, 골프 관련 동작 중에) 밑창 조립체 상에 인가된 힘을 흡수하거나 신발 또는 밑창 조립체의 상이한 구성요소 또는 섹션에 분배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의 굴곡은 제1 내부 구조체(851) 및/또는 제2 내부 구조체(852) 사이의 간극 거리(D1, D2)를 변경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부 구조체(851)와 제2 내부 구조체(852)의 배열 및 결합은 수직 스프링 힘 상수를 갖는 구조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수직 스프링 힘 상수는 약 0.01 N/m 내지 약 10 N/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완전히 맞춰지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만이 중창 또는 겉창의 외부 윤곽을 지나 노출되거나 가시화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성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구조체의 폭은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 사이의 중창 또는 겉창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폭의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이상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는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중창 또는 겉창의 길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전방 및 후방 단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길이의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있는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중창의 높이는 (i) 겉창과 접촉하는 중창의 부분과 (ii) 안창 또는 갑피와 접촉하는 중창의 부분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겉창의 높이는 (i) 지면에 근접한 겉창의 부분과 (ii) 중창, 안창 또는 갑피와 접촉하는 겉창의 부분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높이의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면 형상은 하나 이상의 치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치수는 하나 이상의 구조 부재의 길이, 폭 및/또는 높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의 길이 또는 폭은 약 1 cm 내지 약 10 c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의 높이는 약 1 cm 내지 약 5 cm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복수의 치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i) 단면 형상의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높이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하나 이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은 단면 형상의 2개 이상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i) 단면 형상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높이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형상은 복수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복수의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은 제1 대각선 길이 또는 폭 및 제2 대각선 길이 또는 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대각선 길이는 단면 형상의 제1 세트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제1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2 대각선 길이는 단면 형상의 제2 세트의 변 또는 정점 사이의 제2 거리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1 세트의 변 또는 정점은 제2 세트의 변 또는 정점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i) 단면 형상의 제1 대각선 길이 또는 폭과 (ii) 단면 형상의 제2 대각선 길이 또는 폭 사이의 치수 비는 약 10:1 내지 약 1:10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체는 중창의 길이, 폭, 또는 높이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30 cm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폭에 대응하는 제2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2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10 cm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3 거리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3 거리는 약 1 cm 내지 약 5 cm 범위일 수도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되거나 그 내에 삽입 또는 매립될 수 있는 실제 사이즈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실제 사이즈"는, 몰드 내에 배치될 때(일체화된 또는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기 위해) 구조체의 크기 및 형상이 중창 또는 겉창을 지지하고 안정화하는 구조체를 위해 필요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치수에 따라 크기 설정되고 성형된 구조체를 칭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몰드 내에 배치될 때 구조체의 크기 및 형상은 중창 또는 겉창을 지지하고 안정화하는 데 필요한 대략적인 크기 및 형상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몰드 내에 배치될 때 구조체의 크기 및 형상은 중창 또는 겉창을 지지하고 안정화하는 데 필요한 정확한 크기 및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1:1 스케일 성형과 같은 성형 기술과 조합하여, 실제 사이즈 구조체의 사용은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 또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를 갖는 골프화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를 크게 단순화하고 신속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현재 개시된 방법은 단일 성형 프로세스에서(몇몇 경우에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동시에 또는 일제히 (i) 발포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고 (ii) 발포 중창 또는 겉창 내에 실제 사이즈 구조체를 일체화하거나 매립하도록 1:1 스케일 성형과 실제 사이즈 구조체를 활용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발포 중창 또는 겉창 내의 내부 구조체를 일체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단순화함으로써(그리고 종래의 EVA 발포 방법에서 전통적으로 요구되는, 중창 또는 겉창과 내부 구조체를 일체화하기 전에 발포 재료가 완전히 팽창하는 것을 대기할 필요를 회피함으로써) 매립된 또는 일체화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갖는 골프화의 높은 처리량의 제조 및 생성을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변형 가능한 또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골프 관련 움직임 또는 동작 중에 대상(예를 들어, 골퍼)에 의해 신발 상에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절곡되거나 굴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바륨, 스칸듐, 티타늄, 바나듐, 크롬, 망간,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이트륨, 니오븀, 몰리브덴, 루테늄, 로듐, 은, 카드뮴, 악티늄 및/또는 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금속 재료는 희토류 원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희토류 원소는 스칸듐, 이트륨, 또는 원자 번호 57 내지 71을 갖는 란탄계 원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금속간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간 재료는 금속 결합, 정의된 화학량론 및 정렬된 결정 구조체(즉, 합금)를 나타내는 고상 화합물일 수도 있다. 금속간 재료는 예를 들어, 황동(구리 및 아연), 청동(구리 및 주석), 두랄루민(알루미늄, 구리, 망간 및/또는 마그네슘), 금 합금(금 및 구리), 로즈-골드 합금(금, 구리 및 아연), 니크롬(니켈 및 크롬) 및 스테인리스강(철, 탄소 및 망간, 니켈, 크롬, 몰리브덴, 붕소, 티타늄, 실리콘, 바나듐, 텅스텐, 코발트 및/또는 니오븀을 포함하는 추가 원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금속간 재료는 초합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초합금은 철, 니켈, 코발트,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 탄탈륨, 니오븀,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원소에 기초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세라믹 재료는 주로 이온 및/또는 공유 결합으로 유지된 원자를 갖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티타늄 등), 비금속(예를 들어, 산소, 질소 등) 및/또는 준금속(예를 들어, 게르마늄,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세라믹 재료의 예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이드, 붕화물, 베릴리아, 탄화물, 산화크롬, 수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멀라이트, 남정석, 페라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이트리아 및/또는 마그네시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복합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합 재료는 예를 들어, 탄소 복합 재료, 유리 섬유 복합 재료, 열가소성 복합 재료, 또는 신발의 중창 또는 겉창에 추가적인 구조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결합 폴리머 매트릭스 및 보강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나일론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보강 섬유는 하나 이상의 탄소 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소 섬유는 흑연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라미드(예를 들어, Kevlar™), 알루미늄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다른 섬유가 또한 탄소 섬유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 및/또는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발포 재료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될 수도 있다. 발포 재료 및 발포 재료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현재 설명되는 골프화의 중창 또는 겉창을 집합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구조체 및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발포 재료는 다양한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와 발포 재료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발포 재료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가질 수도 있고, 이는 발포 재료가 몰드 내에서 형성되거나 가공될 때(예를 들어, 물리적, 화학적, 열적 또는 하나 이상의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구조체가 용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발포 재료보다 더 큰 굴곡 및/또는 비틀림 강성도 또는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발포 재료보다 더 큰 압축 강도, 인장 강도 또는 전단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과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다수의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상이한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경도, 연성, 강성도, 강성, 인장 강도,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내부 구조체의 다수의 영역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 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내부 구조체의 다수의 영역은 상이한 재료 조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중창의 상이한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중창의 상이한 영역은 예를 들어, 중창의 전족부 영역, 중족부 영역, 후족부 영역, 내측면, 외측면, 전방 단부, 및/또는 후방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중창의 상이한 서브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중창의 상이한 서브영역은 예를 들어, 중창의 다양한 영역(예를 들어,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외측, 내측, 전방, 후방 등) 내의 상이한 섹션 또는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제1 부분과 구조체의 제2 부분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발의 전체 편안함, 맞춤 및/또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이한 경도, 연성, 강성도, 강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다양한 부분의 재료 특성은 구조체가 매립되거나 일체화되는 중창의 각각의 섹션의 재료 특성에 따라 변경되거나 달라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제1 부분은 중창의 제1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고, 구조체의 제2 부분은 중창의 제2 영역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제1 부분은, 중창의 제2 영역에 대한 중창의 제1 영역의 경도, 강성도, 강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체의 제2 부분보다 더 큰 경도, 강성도, 강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제2 부분은, 중창의 제1 영역에 대한 중창의 제2 영역의 경도, 강성도, 강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체의 제1 부분보다 더 큰 경도, 강성도, 강성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다양한 부분의 재료 특성은 중창의 다양한 영역의 재료 특성을 보충하거나 향상시켜,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발의 전체적인 편안함, 맞춤 및/또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최적화되거나 조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체는 대상이 골프 관련 움직임 중에 중창 또는 겉창 상에 하나 이상의 힘을 인가함에 따라 중창 또는 겉창에 대해 이동하도록(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축을 따라 또는 중심으로 굴곡, 절곡, 비틀림,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대상이 다양한 골프 관련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원하는 성능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힘이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될 때 제어된 방식으로 굴곡, 절곡, 비틀림,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골프 관련 동작에 대한 측방향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된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이 걷거나 달릴 때,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굴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제1 부재는 구조체의 제2 부재를 향해 굴곡되거나 절곡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구조체의 제1 부재는 구조체의 제2 부재로부터 이격하여 굴곡되거나 절곡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을 향해 굴곡되거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중창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을 향해 굴곡되거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중창 또는 겉창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을 향해 굴곡되거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 또는 부재의 굴곡 또는 절곡은 걷기 또는 달리기 모션 중에 대상의 발의 롤링 또는 전환을 촉진하는 탄성 스프링 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롤링 또는 전환은 대상의 발의 후족부 영역과 전족부 영역 사이의 방향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롤링 또는 전환이 대상의 발의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방향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측방향 지지 특성은 중창 또는 겉창의 강도와 연관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압축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인장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약 1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전단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비틀림 강도, 강성도 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형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힘으로 인한 변형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힘은 예를 들어, 측방향 또는 수직 힘 및/또는 비틀림 또는 전단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힘은 골프 관련 동작(예를 들어, 골프 스윙) 중에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힘은 백스윙 또는 다운스윙 중에 대상의 발의 체중 이동 또는 피봇과 연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압축으로 인한 변형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축을 따른 비틀림 또는 슬라이딩 모션으로 인한 변형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복수의 방향에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축을 따른 변형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i) 제1 세트의 방향에서 및/또는 제1 세트의 축을 따른 변형에 저항하고 (ii) 제2 세트의 방향에서 및/또는 제2 세트의 축을 따라 더 쉽게 변형되도록(예를 들어,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힘 프로파일이 변경될 때)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대상이 그린 위를 걷거나 샷을 라인업하기 위해 몸을 숙일 때, 구조체의 부분은 대상이 신발의 다양한 영역(예를 들어, 중창 또는 겉창의 전족부 및/또는 중족부 영역)을 서로에 대해 편안하게 굴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변형되거나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상이 골프 스윙을 실행하고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압축 및/또는 전단 응력을 인가할 때, 구조체는 이러한 응력으로 인한 변형에 저항하여, 이에 의해 최대 성능 및 제어를 위해 신발을 강화하고 안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굴곡 및/또는 비틀림 강도, 강성도 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굴곡 및/또는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약 10 뉴턴-센티미터(N-cm) 내지 약 100 N-cm 이상의 범위의 굴곡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약 100 메가파스칼(MPa) 내지 약 500 MPa 이상의 범위의 굴곡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약 5,000 MPa 내지 약 10,000 MPa 이상의 범위의 굴곡 모듈러스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약 10 뉴턴-센티미터(N-cm) 내지 약 100 N-cm 이상의 범위의 비틀림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도당 약 10 뉴턴-센티미터(N-cm/deg) 내지 약 100 N-cm/deg 이상의 범위의 비틀림 강성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은 약 0.1 MPa 내지 약 100 MPa 이상의 범위의 비틀림 전단 모듈러스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는 트랙션과 그립을 최대화하면서 대상의 발을 안정화하고 제어하기 위해 골프 관련 동작 또는 움직임 중에 중창 또는 겉창 상에 인가되는 힘을 흡수하고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현재 개시된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밑창 조립체 또는 그 부분 상에 인가된 힘을 골프화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배하여, 이에 의해 골프화의 안정성 및 트랙션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영역은 예를 들어, 골프화의 외측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 및/또는 골프화의 내측 전족부, 중족부 또는 후족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는 밑창 조립체 또는 그 부분 상에 인가되는 힘을 골프화의 2개 이상의 상이한 측면, 섹션 또는 사분면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부재는 밑창 조립체 또는 그 부분 상에 인가되는 힘을 골프화의 하나 이상의 트랙션 요소에 선택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랙션 요소는 힘이 구조체의 부재에 의해 분배되거나 재지향되는 방향에 대응하는 벡터와 정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조체가 몰드에 기초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성형제 및 발포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캡슐화되도록 몰드 내의 구조체의 위치 및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에 대응하는 몰드에 부착 가능하거나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몰드는 동시에 또는 일제히 (i) 중창 또는 겉창의 발포 재료를 형성하고 (ii) 발포 재료 내에 구조체(예를 들어, 내골격)를 일체화하는 데 사용 가능한 단일 1:1 스케일 몰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몰드의 표면 특징부와 계면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표면 특징부는 (1) 몰드의 공동의 표면 상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오목부 또는 (2) 몰드의 측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 자체는 몰드와 계면 접촉하기 위한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의 표면 특징부는 (1) 구조체의 표면 또는 부분 상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오목부 또는 (2)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부재의 측면 또는 곡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몰드의 대응 표면 특징부에 상보적인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조체 및 몰드의 상보적인 표면 특징부는 몰드 내에 구조체의 위치 또는 배향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는 중창 또는 겉창 몰드의 표면 특징부(예를 들어, 가이드 핀 또는 위치설정 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은, 가이드 핀 또는 위치설정 핀이 몰드 내에 구조체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때 밑창 조립체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은 밑창 조립체가 제조되거나 생성된 후에 충전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은 중창 또는 겉창의 구조적 또는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 설정되고 성형될 수 있다. 구조적 또는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강성도, 강도, 강성, 굴곡 및/또는 지지 또는 완충의 레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 핀 또는 위치설정 핀이 몰드 내에 구조체의 위치 또는 배향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밑창 조립체를 위한 제조 프로세스는 구조체가 초기에 제자리에 고정된 후 가이드 핀 또는 위치설정 핀을 제거하거나 재위치설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밑창 조립체는 그 내에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갖고, 그리고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 층에 임의의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될 구조체는 스냅 맞춤 또는 형상 맞춤 구성을 사용하여 중창 또는 겉창 몰드(예를 들어, 몰드의 측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밑창 조립체는 몰드의 표면 상에 제공된 상보적인 돌출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네거티브 영역 또는 공동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 부분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i) 신발의 중창 또는 겉창용 인서트와 계면 접촉하고, (ii) 중창 또는 겉창의 구조적 또는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서트를 몰드 내에 미리 결정된 위치 및 배향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조적 또는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중창 또는 겉창의 강성도, 강도 또는 강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적 또는 재료 특성이 중창 또는 겉창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 또는 완충의 레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그 내에 매립된 인서트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기 위한 성형제 및 발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몰드에 기초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인서트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성형제 및 발포제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서트의 위치 및 배향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예를 들어, 오목부(예를 들어, 공동, 개구, 구멍, 홈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돌출부(예를 들어, 범프, 융기 특징부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몰드의 부분(예를 들어, 몰드의 공동의 표면)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또는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몰드의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몰드는 그 내에 매립된 인서트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기 위한 성형제 및 발포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공동은 성형제 및 발포제를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전술된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는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가 인서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거나 캡슐화할 수 있도록(예를 들어, 성형 프로세스 중) 유로를 따라 인서트를 위치설정 및/또는 배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골프화의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구조체는 골프화의 중창 및/또는 겉창을 위한 제조 프로세스 동안 골프화의 밑창 조립체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현재 개시된 방법은 그렇지 않으면 전통적인 성형 방법 및/또는 전통적인 제조 조립 방법을 사용하여 밑창 조립체에 삽입 가능 또는 매립 가능하지 않을 것인 복잡한 3차원(3D) 구조체를 캡슐화하기(중창 및/또는 겉창 내에)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3D 구조체의 예는 예를 들어, 상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격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현재 개시된 방법은 또한 성형 및 발포 프로세스 동안 적층 제조된 부분(예를 들어, 3D 인쇄된 부분)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기계가공된 부분(또는 절삭 가공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된 임의의 다른 부분)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현재 개시된 방법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부분 및/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되고 언급된 것들과 같은, 다양한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복합 부분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TPU 부분은 예를 들어, 사출된 TPU 플라스틱 부분, 성형된 TPU 플라스틱 부분, 압출된 TPU 플라스틱 부분, 기계가공된 TPU 플라스틱 부분, 및/또는 3D 인쇄된 TPU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복합 부분은 예를 들어, 사출된 복합 부분, 성형된 복합 부분, 압출된 복합 부분, 기계가공된 복합 부분, 및/또는 3D 인쇄된 복합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중창 또는 겉창 내부에 매립된 구조체를 갖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의 다양한 상이한 구성요소, 부분, 섹션 또는 층은 별도로 성형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창 또는 겉창의 다양한 상이한 구성요소, 부분, 섹션 또는 층은 예를 들어, 중창 또는 겉창의 상부 부분 또는 층, 중창 또는 겉창의 저부 부분 또는 층, 및/또는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인서트 또는 내골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많은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의 각각의 이산 구성요소, 부분, 섹션 또는 층은 특정 툴링 세트를 필요로 할 수도 있고, 이는 설계, 구현 및 관리에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부분을 성형한 후, 중창 또는 겉창의 개별 구성요소 및 부분이 조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인데, 이는 비용 및 시간 집약적 및/또는 노동 집약적인 추가 제조 단계를 수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 내에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기 위한 간소화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경우에, 그 내에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창 또는 겉창은 단일 성형 단계에서 및/또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매립된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기 위한 현재 개시된 방법은 공장 및 제조 라인의 제조 능력을 증가시키고, 신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제조를 촉진하여 단축된 시간 프레임 내에 제품 수요 및/또는 제조 목표를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골프화의 중창 또는 겉창 내에 매립된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구조체를 중창 또는 겉창 몰드의 공동 영역 내에 배치하고 발포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포 프로세스는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발포제는 성형제와 상호 작용하여 골프화의 중창 또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골프화의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은 발포 프로세스 전에 중창 또는 겉창 몰드의 공동 영역 내에 배치된 구조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하거나 커버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골프화의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은 구조체를 완전히 캡슐화하거나 커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조체는 발포 프로세스 중에 형성된 발포 재료 내에 완전히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발포 프로세스 동안 발포 재료의 팽창 속도를 고려하기 위해 더 작은 크기로 설계된 전통적인 몰드(예를 들어, EVA 발포체용)를 이용하는 종래의 골프화 제조 방법과 연관된 여러 단점을 해결한다. 다른 종래의 방법(인서트를 EVA 재료와 일체화하기 전에 EVA가 완전히 팽창할 때까지 대기해야 할 것을 필요로 하여, 더 작은 크기의 몰드에 1:1 스케일 인서트를 삽입하는 것을 실현 불가능하게 하거나 비실용적이게 함)과 달리,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그 내에 일체화된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갖는 골프화를 직접 제조하기 위해 실제 사이즈 구조체가 1:1 스케일 중창 또는 겉창 몰드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제조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1:1 스케일 성형의 능력을 활용한다. 그 내에 일체화된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은 단일 성형 프로세스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성형 프로세스는 구조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거나 캡슐화하기 위해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현재 개시된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전통적인 EVA 발포 프로세스로는 달성 가능하지 않은 인서트 설계(현재 개시된 인서트 설계를 포함함)를 제조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현재 개시된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또한 전통적인 스톡 핏(stock fit) 조립 방법에 비교하여 비용 효율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툴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데, 이는 본 방법이 부분을 함께 스톡 핏하기 위한 임의의 후성형 제조 작업 없이, 단일 몰드로부터 직접 최종 부분(예를 들어, 그 내에 일체화된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골프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1:1 스케일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1:1 스케일 몰드는 몰드의 공동에 크기 및 형상이 대응하는 발포 재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몰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몰드 공동의 크기와 형상은 발포 재료의 최종 크기와 형상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의 형상과 몰드 공동의 형상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재료의 대응 치수와 몰드 공동의 대응 치수의 차이 또는 변동은 약 10% 이하 이내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중창 또는 겉창 몰드에 구조체(예를 들어, 인서트 또는 내골격)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몰드 공동의 표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도 있어 구조체가 몰드 내부에서 "부유"하게 된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위치설정 핀을 사용하여 몰드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위치설정 핀은 구조체 자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설정 핀은 몰드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구조체는 몰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예를 들어, 몰드의 측벽(또는 몰드 또는 몰드 공동의 임의의 다른 구조적 구성요소 또는 특징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몰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도 있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따라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도 있다.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구조체 주위로 유동하고 캡슐화하여 구조체를 둘러싸는 발포 재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그 내에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성형된 중창 또는 겉창을 생성하기 위해 성형 기계 또는 성형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성형 기계 또는 성형 시스템의 동작은 상기에 언급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성형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성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성형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성형제 또는 발포제의 유량, 내부 구조체에 대한 성형제 또는 발포제의 유동 방향, 또는 몰드 공동 전체에 걸친 성형제 또는 발포제의 유동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성형 파라미터는 처리 유닛(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성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성형 기계 또는 성형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성형 파라미터는 성형 기계 또는 성형 시스템의 조작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성형 파라미터는 알고리즘 또는 인공 지능 또는 기계 학습 기반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이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은 몰드의 공동 내의 하나 이상의 목표 영역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분무 또는 사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은 몰드의 공동 내의 하나 이상의 목표 영역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중창이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재료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경우에, 이는 몰드 공동 내로 유동될 수 있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노즐의 위치 및/또는 배향은 구동 유닛(예를 들어, 모터)을 사용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노즐 또는 하나 이상의 노즐에 동작식으로 결합된 임의의 다른 컴퓨터 또는 기계류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자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되거나 조절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발포 재료로부터 중창 또는 겉창 및 중창 또는 겉창을 위한 발포 재료를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 내에 제공된 구조체를 성형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도 있다. 성형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성형은 (i) 중창 또는 겉창의 형상으로 발포 재료를 형성하는 것과 (ii) 발포 재료 내에 구조체를 일체화하거나 매립하는 것을 동시에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단일 샷 작업(예를 들어, 단일 샷 사출) 또는 다중 샷 작업(예를 들어, 다중 샷 사출)을 통해 몰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몰드 내에 주입되거나 유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몰드 내의 단일 위치 또는 영역 내로 사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몰드 내의 다수의 위치 또는 영역 내로 사출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몰드 내의 다수의 위치 또는 영역에 동시에 또는 일제히 사출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는 연속적으로 또는 연속하여 몰드 내의 다수의 위치 또는 영역에 사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형성된 밑창 재료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이한 재료 특성은 예를 들어, 경도, 연성, 강성도(예를 들어, 굴곡 강성도 또는 비틀림 강성도), 강성, 인장 강도,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밑창 재료의 전족부 영역은 밑창 재료의 중족부 영역 및/또는 후족부 영역보다 더 큰 경도, 강성도 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밑창 재료의 경도, 강성도 또는 인장 강도는 밑창 재료의 치수를 가로질러 점진적으로 변경되거나 변할 수도 있다. 밑창 재료의 치수는 예를 들어, 밑창 재료의 길이, 폭 및/또는 깊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내부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몰드는 몰드와 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 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몰드는 본 개시내용에 현재 설명된 몰드의 임의의 특징부(예를 들어, 표면 특징부) 또는 구성요소와 관련한 임의의 특징 또는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내부 구조체를 몰드 또는 몰드의 표면 특징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구조체는 다양한 표면 특징부(예를 들어, 가이드 핀, 위치설정 핀, 돌출부, 오목부 등)를 사용하여 또는 스냅 맞춤 또는 형상 맞춤 부착을 통해 몰드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몰드로의 내부 구조체의 고정은 발포 재료 내의 내부 구조체의 매립 또는 캡슐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 구조체의 위치 및 배향을 고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생성하기 위해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몰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이 단일 제조 단계로 생성되거나 제조될 수도 있다. 단일 제조 단계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제조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일 몰드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1:1 스케일 몰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몰드에 제공하는 것은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기 위해 내부 구조체 주위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내부 구조체 주위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은 내부 구조체의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표면을 향해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조성물의 다양한 입자가 내부 구조체의 측면(들) 또는 표면(들)에 부딪히거나 충돌하는 각도는 0도 내지 약 90도 이상의 범위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내부 구조체 주위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은 내부 구조체의 복수의 측면 또는 표면을 향해 동시에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조성물은 (i) 제1 각도에서 제1 측면 또는 표면, 및 (ii) 제2 각도에서 제2 측면 또는 표면을 향해 유동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측면 또는 표면과 제2 측면 또는 표면은 서로 인접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제1 측면 또는 표면과 제2 측면 또는 표면은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또는 원격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동일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내부 구조체 주위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은 내부 구조체의 복수의 측면 또는 표면을 향해 순차적으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조성물은 (i) 제1 시간 인스턴스에 제1 측면 또는 표면, 및 (ii) 제2 시간 인스턴스에 제2 측면 또는 표면을 향해 유동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제1 측면 또는 표면과 제2 측면 또는 표면은 서로 인접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제1 측면 또는 표면과 제2 측면 또는 표면은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또는 원격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것은 내부 구조체 주위 및 중창 또는 겉창용 몰드 내에서 발생하는 발포 프로세스를 야기할 수도 있다. 발포 프로세스는 성형제로부터 발포 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는 중창 또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로부터 형성된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내부 구조체의 크기 및 형상에 상보적인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로부터 형성된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은 본 개시내용의 내부 구조체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거나 캡슐화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 프로세스는 성형제로부터 발포 재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발포제는 성형제와 상호 작용하여(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하나 이상의 셀 또는 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발포 재료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는 발포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의 압력 축적을 해제하거나 통기하여, 최종 발포 재료의 크기 및 형상이 몰드 또는 몰드 공동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단계는 몰드 내에 조성물 또는 성형제를 팽창시키는 것을 수반하지 않거나 수반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몰드는 최종 발포 재료의 크기 및 형상이 몰드 또는 몰드 공동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발포 프로세스 중에 압력 축적을 해제하거나 통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을 갖는 몰드를 이용하는 것은 제조자가 1:1 스케일 성형 작업 중에 실제 사이즈 인서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내부에 매립된 구조체를 갖는 중창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크게 단순화하고 가속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매립되거나 일체화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은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그리고 내부 구조체를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하거나 일체화하는 임의의 후성형 제조 작업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골프화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갑피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갑피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안창 또는 안창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다양한 부분 또는 구성요소는 함께 스티칭되고,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되어 갑피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의 풋베드는 갑피의 안창 보드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창 보드는 풋베드와 신발의 중창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는 시멘트 조립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중창에 연결되거나 융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밑창 조립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는 중창 및/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 또는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되거나 매립되는 내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구조체는 (1) 중창 또는 겉창에 대응하는 몰드의 공동 내에 내부 구조체를 배치하고, (2) 성형제와 발포제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생성된 발포 재료의 내부 구조체를 캡슐화하기 위해 내부 구조체 주위에 성형제 및 발포제를 유동시킴으로써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되거나 매립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상호 작용은 발포 재료에 다양한 유리한 특성을 부여하는(예를 들어, 골프 관련 동작 또는 움직임에 대한 안정성 또는 트랙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셀 또는 셀 구조체를 생성하는 발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i) 최종 발포 재료가 몰드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고, (ii) 몰드 내에 배치된 내부 구조체가 몰드 내에서 제조되는 발포된 중창 또는 겉창에 대해 적절하게 크기 설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발포 프로세스 중에 발생하는 압력 축적을 해제하거나 통기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단일 성형 단계에서 함께 형성되고 일체화되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은, 예를 들어 중창의 부분을 형성하는 발포 재료, 겉창의 부분을 형성하는 발포 재료, 및/또는 중창 또는 겉창의 부분을 형성하는 발포 재료에 매립될 내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은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시간에 또는 상이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내부 구조체는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에 대응하는 몰드 내에 배치되기 전에 먼저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의 내부 구조체의 일체화 또는 매립은 중창 또는 겉창의 발포 재료가 또한 동시에 또는 병렬로 생성되는 단일 성형 단계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을 구성하는 단계는 안창 풋베드 또는 안창 보드를 중창 또는 갑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창 보드는 중창의 상부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안창의 부분(예를 들어, 라스팅 보드 또는 안창 보드)은 라스팅 프로세스(예를 들어, 단일 라스팅 프로세스 또는 이중 라스팅 프로세스), 스트로벨(Strobel) 구성 방법 및/또는 개스킷 핫멜트를 사용하여 갑피의 부분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겉창을 중창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중창의 저부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섹션은 겉창의 상부면에 접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접착제, 아교, 시멘트, 체결구 또는 임의의 다른 부착 메커니즘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밑창 조립체를 갑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밑창 조립체에 부착 전에, 갑피는 라스트 상으로 견인될 수도 있고, 라스팅 보드가 접착제로 갑피에 부착될 수도 있다. 라스팅 보드는 이어서 밑창 조립체에 부착되어(예를 들어, 접착제, 아교 또는 시멘트로) 골프화를 형성할 수도 있다.
몇몇 대안 실시예에서, 방법은 갑피의 개방형 저부 상에 재료를 부착하여, 갑피의 개방형 저부를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양말형 구성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갑피의 부분(예를 들어, 안창 풋베드 또는 안창 보드)을 밑창 조립체의 부분 또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중창 및/또는 겉창)에 부착하여 골프화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최종 밑창 조립체는 지지, 구조적 강성, 안정성 및 굴곡 특성의 최적의 조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내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를 갖는 신발은 최적의 또는 원하는 강성도 및 굴곡 특성을 유지하면서 골프 관련 동작 또는 움직임 중에 골퍼의 발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편안하고 안정한 플랫폼을 골퍼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창 또는 겉창에 매립되거나 일체화될 내부 구조체(950)는 초기에 중창 또는 겉창을 형성하기 위해 몰드(91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몰드(910)는 몰드(910)에 대한 내부 구조체(950)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9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하나 이상의 표면 특징부(911)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가이드 핀 또는 위치설정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일단 내부 구조체(950)가 중창 또는 겉창 몰드(910) 내에 배치되면, 성형제 및/또는 발포제가 내부 구조체(950) 주위로 유동하여 일체화된 또는 매립된 내부 구조체(950)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920)를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밑창 조립체(920)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창 또는 겉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중창 또는 겉창이 내부 구조체(950) 주위에 생성되거나 형성됨에 따라 내부 구조체(950)는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되거나 매립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방법은 단일 성형 프로세스 및/또는 단일 중창 또는 겉창 몰드를 사용하여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내부 구조체 또는 내골격을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직접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수치 하한 및 수치 상한이 본 명세서에 설명될 때, 이들 값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동작예를 제외하고, 또는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으면, 명세서에서 재료의 양에 대한 것들과 같은 모든 수치 범위, 양, 값 및 백분율은, 용어 "약"이 값, 양 또는 범위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더라도, 단어 "약"이 앞에 있는 것처럼 독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대로 지시되지 않으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수치 파라미터는 본 기술에 의해 얻어지도록 추구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변할 수도 있는 근사치이다.
용어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제12", "상부", "저부", "상부", "하부", "상향", "하향", "우측", "좌측", "중심", "중간", "기단", "말단", "전방", "후방",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등은 하나의 관점에 기초하여 요소의 하나의 위치를 칭하는 데 사용되는 상대적인 용어이며, 기술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권 문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특허, 공보, 테스트 절차 및 다른 참고 문헌은 이러한 합체가 허용되는 모든 법역에 대해 그리고 이러한 개시내용이 이 기술과 불일치하지 않는 정도로 완전히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예시된 신발 재료, 디자인, 구성 및 구조체; 신발 구성요소; 및 신발 조립체 및 서브조립체는 단지 기술의 몇몇 실시예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양한 변경 및 추가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제품 및 재료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모든 이러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골프화이며,
    갑피; 및
    갑피에 연결된 밑창 조립체를 포함하고, 밑창 조립체는:
    중창; 및
    겉창을 포함하고,
    중창 또는 겉창 중 적어도 하나는 (i) 발포 재료 및 (ii) 발포 재료와 일체화되거나 매립된 구조체를 포함하고, 구조체는 발포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고, 구조체는 중창 또는 겉창의 측방향 지지 및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갖는 스파인리스 구조체를 포함하고,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구조적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골프화.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단일 또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골프화.
  3. 제1항에 있어서, 발포 재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골프화.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고, 강성 부재는 빔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골프화.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비틀림 바아, 아암, 아치 또는 날개 구조체를 포함하는, 골프화.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재는 골프화의 안정성과 트랙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창 조립체 또는 그 부분 상에 인가되는 힘을 골프화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트랙션 요소에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골프화.
  7.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2개 이상의 축 내에서 또는 그를 따라 밑창 조립체의 변형 또는 굴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골프화.
  8.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제1 축에 완충 또는 서스펜션 지지를 제공하고 제2 축에 또는 그를 따라 비틀림 강도 또는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골프화.
  9.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격자를 포함하는, 골프화.
  10. 제9항에 있어서, 격자는 제1 격자 특성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격자 특성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골프화.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격자 특성 및 제2 격자 특성은 격자 기하학적 형상, 격자 밀도 및 격자 재료 조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골프화.
  1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적층 제조된 부분 또는 기계가공된 부분을 포함하는, 골프화.
  13.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실제 사이즈 인서트를 포함하는, 골프화.
  14.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구조체가 몰드에 기초하는 성형 프로세스 중에 성형제 및 발포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캡슐화되도록 몰드 내에 구조체의 위치 및 배향을 고정하기 위해 중창 또는 겉창에 대응하는 몰드에 부착 가능 또는 고정 가능한, 골프화.
  15. 제14항에 있어서, 몰드는 단일 1:1 스케일의 몰드를 포함하는, 골프화.
  16. 제1항에 있어서, 구조체는 발포 재료보다 더 높은 용융 온도를 포함하는, 골프화.
  17. 내부 구조체를 갖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a) 밑창 조립체의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
    (b) 몰드 또는 몰드의 표면 특징부에 내부 구조체를 고정하는 단계로서, 내부 구조체는 대상의 발의 저부의 형상 또는 프로파일과는 상이한 구조적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 내부 구조체를 고정하는 단계; 및
    (c) 성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몰드에 제공하여, 단일 제조 단계에서 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성물은 내부 구조체 주위로 유동하여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고, 내부 구조체는 내부 구조체를 둘러싸거나 캡슐화하는 조성물과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스파인리스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중창 또는 겉창을 제조하는 단계는 몰드 내에서 조성물 또는 성형제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수반하지 않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중창 또는 겉창은 내부 구조체를 중창 또는 겉창과 일체화하기 위한 임의의 후성형 제조 작업 없이 몰드를 포함하는 단일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몰드는 1:1 스케일 몰드를 포함하고, 내부 구조체는 실제 사이즈 인서트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0140036A 2022-10-21 2023-10-19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KR20240056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70,817 US20240130462A1 (en) 2022-10-20 Golf shoe with internal structure
US17/970,817 202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432A true KR20240056432A (ko) 2024-04-30

Family

ID=9088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0036A KR20240056432A (ko) 2022-10-21 2023-10-19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4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6684B1 (en) Outsole and sports shoe
EP1954154B1 (en) Flexible shank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231510B2 (en) Customized footwea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same
US6722058B2 (en) Shoe cartridge cushioning system
EP2724634B1 (en) Base for a ski boot and ski boot incorporating such a base
EP3302121B1 (e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member with regional patterns
CN110650646B (zh) 具有带有拉胀结构的鞋底的鞋类
EP3229629A1 (en)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sole structure
EP3229637B1 (en) Sole structure for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ground engaging members
CN113287830A (zh) 包括可单独偏转的加强构件的鞋底、具有这种鞋底的鞋以及制造这种物品的方法
KR20240056432A (ko) 내부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CN114340436A (zh) 鞋类用分段式鞋底
US20240130462A1 (en) Golf shoe with internal structure
US20230255308A1 (en) Golf shoe with internal structure
US20240130466A1 (en) Golf shoe with spring plate
US20210392992A1 (en) Golf shoe having composite plate in midsole for providing flex and stability
US20240090613A1 (en) Golf sho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US11986048B2 (en) Golf shoe sole with localized sidewalls reinforcement structure
US20230309646A1 (en) Golf shoe sole with localized sidewalls reinforcement structure
US20240065375A1 (en) Golf shoe with longitudinal flexibility
US20240065370A1 (en) Golf shoe with internal longitudinal groove
EP4268659A1 (en) Outsole for a sh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