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067A -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067A
KR20240056067A KR1020220136237A KR20220136237A KR20240056067A KR 20240056067 A KR20240056067 A KR 20240056067A KR 1020220136237 A KR1020220136237 A KR 1020220136237A KR 20220136237 A KR20220136237 A KR 20220136237A KR 20240056067 A KR20240056067 A KR 20240056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pport frame
calculation
bridge
process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승희
Original Assignee
양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희 filed Critical 양승희
Priority to KR102022013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067A/en
Publication of KR2024005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06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또는 IoT)에 적용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교량 상판의 비틀림과 같은 변위의 정도를 4 자유도로 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4 자유도 교량 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상에 연결된 지점 간의 직선 변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들(31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교량상판 및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1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 연산 장치(30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량상판 및 상기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2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연산 장치(400) 및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제1 연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3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a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or IoT). Specifically,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is a 4-degree-of-freedom bridge displacement that calculates the degree of displacement, such as twisting of the bridge deck, with 4 degrees of freedom. It can be applied to real-time monitoring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them.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 plurality of sensors 310 are configured to measure the linear displacement between points connected on th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generate different sensing data, and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 on-site calculation device 300 that is connected and generates first calculation data calcul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sensing data, the plurality of sensors ( 310) and a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that generates second calculation data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using the sensing data and the sensing data. and a communication device 330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first calculation data to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Description

교량 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교량 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또는 IoT)에 적용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교량 상판의 비틀림과 같은 변위의 정도를 4 자유도로 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4 자유도 교량 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a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or IoT). Specifically,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is a 4-degree-of-freedom bridge displacement that calculates the degree of displacement, such as twisting of the bridge deck, with 4 degrees of freedom. It can be applied to real-time monitoring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them.

교량은, 다수 개의 교각을 세우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거더(girder)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박스형 거더(box girder) 등으로 형성된 교량 상판을 얹힌 후, 상기 교량 상판의 상부에 아스팔트를 도포시켜, 노선상의 하천, 계곡, 강 등과 같은 장애물에 가로질러 놓은 토목 구조물이다.Bridges are constructed by erecting a plurality of piers, placing a bridge deck made of girders and reinforced concrete slabs or box girders between the piers, and then applying asphalt to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deck to form a route. It is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placed across obstacles such as streams, valleys, and rivers.

복수 개의 교량 상판은 교각을 따라 연달아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교량 상판 간에는 일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교량 상판의 거동은 독립적으로 발생한다.Since a plurality of bridge decks are arranged in succession along the bridge piers, gap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each bridge deck. Therefore, the behavior of each bridge deck occurs independently.

구체적으로, 각각의 교량 상판에는,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의해 일정량 그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불균등한 하중 분배에 의해 도로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연달아 배치되는 교량 상판들 간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ngth of each bridge deck may increase or decrease by a certain amount due to temperature changes that occur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he road direction may be affected by uneven load distribution that occurs depending on the loa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bridge. A tilt to the left or right occurs based on , and as a result, torsion may occur between bridge decks placed in succession.

상기 비틀림에 따른 교량 구조 시스템에 불균형이 초래되어 교량 붕괴 등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torsion may cause imbalance in the bridge structural system, resulting in safety accidents such as bridge collaps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this and detect abnormal signs early.

아울러, 비틀림에 의해 전단력이 교량 상판들 사이에 설치된 조인트부에 발생하여 상기 조인트부가 변형 또는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량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 상판들간의 비틀림이 어느 정도 발생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hear force may be generated at the joint installed between the bridge decks due to torsion, causing the joint to be deformed or damag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ridge,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degree of twisting between bridge decks.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065042호에는 교량 상판에서 발생하는 4축 변위 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교량 변위 계측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21-0065042 discloses a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that enables measurement of 4-axis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bridge deck.

상기 교량 변위 계측 시스템은 현장에서 실시간 계측을 수행하며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들 및 센서들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향별 비틀림 정도를 연산하며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로 이루어진다. 연산부가 현장에 설치되는 경우, 환경적 요인, 전자파 및/또는 연산부의 버그, 오류 등에 의해서 연산 데이터의 송신이 불가능하거나, 연산 데이터 자체에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 한다.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consists of sensors that perform real-time measurement in the field and generate sensing data, and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degree of twist in each direction using the sensing data generated by the sensors and generates calculation data. When the comput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field, there is a risk that transmission of computation data may be impossible or errors may occur in the computation data itself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electromagnetic waves, and/or bugs and errors in the computation uni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변위 계측 시스템에 적용되어 현장여건에 따른 데이터의 손실 및 오류 등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applied to a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to provide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that can stably transmit data while preventing data loss and errors depending on field condi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상에 연결된 지점 간의 직선 변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들(31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교량상판 및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1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 연산 장치(30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량상판 및 상기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2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연산 장치(400); 및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제1 연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33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한다.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 plurality of sensors 310 that connect and measure linear displacement between points connect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generate different sensing data; An on-site operation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generates first calculation data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sensing data. device 300; A server calculation device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generates second calculation data by calcul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using the sensing data ( 400); And a communication device 330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sensing data and the first calculation data to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wherein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includes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first calculation data. 2 Different functions are executed depending on whether the operation data matches within the standard rang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장치(3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를 제1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망과 다른 제2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transmit the first calculation data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the sensing data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설정된 연산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연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로 전송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determines an error when the first computing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t computing time and transmits the second computing data to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may reset the system based on the second calculation dat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한 후 기준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 및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기준 시각까지 연산을 정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determines the reference time after resetting the system based on the second computing data, and the field processing device 300 and the server processing device 400 Calculation can be stopped until the reference tim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범위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하위 기준 범위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위 기준 범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sub-reference ranges, and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determines which of the sub-reference ranges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eld computing device. One can be selected, and whether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second calculation data match can be compared based on the selected on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가 시스템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도록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exceeds a reference time and the first computing data and the second computing data do not match, the field processing device 300 terminates the system and restarts the system. The on-site computing device 300 is remotely controlled to do so, and the reference time can be varied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on-site computing device.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동적 대상을 다중으로 연산 처리하여 교량의 상대적 변위를 정확하게 감지함과 아울러 기상에 따라 실시간 대응하는 효과를 갖는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y processing dynamic objects multiple times and respond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weather.

복수의 현장 연산 장치들은 IoT로 동작하며, 서버 연산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감시 및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트 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현장 연산 장치들을 서버 연산 장치가 실시간 감시하고, 가변되는 기상에 맞춤형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Multiple field computing devices operate as IoT and can be effectively monitored and managed through server computing devices. Specifically, a server computing device can monitor multiple field computing devices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ite in real time and manage them by applying customized standards to changing weather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변위 계측 장치 설치된 교량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 변위 계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중 연산처리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ridge on which a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al operation processing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of FIG. 3.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이 설치된 교량(10)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ridge 10 on which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량(10)은 제1 교량상판(11) 및 제2 교량상판(12)과, 제1 교각(13)과 제2 교각(14) 및 교좌(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bridge 10 includes a first bridge deck 11 and a second bridge deck 12, a first pier 13, a second pier 14, and an abutment 15. Includes.

제1 교량상판(11)과 제2 교량상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다.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상면에는 아스팔트 층이 구비되어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교량상판(11)과 제2 교량상판(1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되고, 제1 교량상판(11)과 제2 교량상판(12)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제1 면(11a)과 제2 면(12a)을 구비한다.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are arranged continuously along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may b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or steel. Additionally, an asphalt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to allow people or vehicles to pass through.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8a, a gap is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and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are each It has a first surface (11a) and a second surface (12a) facing each other.

제1 교각(13)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마주하는 각각의 일 단부가 얹혀지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pier 13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rests on each other, and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제2 교각(14)은 상기 제2 교량상판(12)이 얹혀지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교량상판(12)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bridge pier 14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bridge deck 12 rests on it,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bridge deck 12 located at the top.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 하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상대적 변위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 각각의 변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도 1의 좌측에 배치된 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도 1의 우측에 배치된 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nd measur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or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 11,12) Each displacement is measured.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or i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 And it can b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bridge deck (11, 12).

한편, 교량(1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제1 및 제2 교각(13,14)으로 전달하여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교좌(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좌(15)는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변위량이 제1 및 제2 교각(13,14)이나 교대(미도시)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bridge 10 has a bridge 15 that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by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or transmitting it to the first and second piers 13 and 14. It can be provided. The abutments 15 serve to prevent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ers 13 and 14 or abutments (not shown).

이하, 상기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제1 지지프레임(110), 제2 지지프레임(120), 제1 변위 측정 센서(130), 제2 변위 측정 센서(140), 제3 변위 측정 센서(150), 제4 변위 측정 센서(160) 및 연산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110, a second support frame 120, a first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30, a secon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40, and a thir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50. ), a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60, and a calculation unit (not shown).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0)은 각각의 일 면이 제1 교량상판(11)과 제2 교량상판(12)의 상기 제1 면(11a)과 제2 면(12a)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측에 위치하는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경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0)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에 위치하는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2 교량상판(12)의 하부에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0)이 각각 고정 설치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0 each have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11a and the second surface 12a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 a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0 may each be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located on the left,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0 ar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It shows a fixed installation form, respectively, and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located on the left side is located on the second bridge deck 12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0 are shown as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은 제1 교량상판(11) 및 제2 교량상판(1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의 사이에는 후술할 제1 내지 제4 변위 측정 센서(110,120,130,140)가 결합되고,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의 상부는 제1 교량상판(11) 및 제2 교량상판(12)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의 각각의 일 측에는,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을 제1 교량상판(11) 및 제2 교량상판(12)에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재(17a)와 제2 연결부재(17b)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In addition, first to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s 110, 120, 130, and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 The upper part of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12. On each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re attached to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bridge deck ( A first connecting member 17a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17b configured to be coupled to 12) may be formed.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은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일측과 타측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부(110)는 열과 같은 외부 환경에 변형이 잘 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은 고강도 강재 또는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에 결합될 수 있게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과 함께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은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과 따로 제작되어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be formed as plates and may for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2, a certai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easily deformed by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heat.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0 and 120 may be manufactured using high-strength steel or concret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0,120) may be manufactured independently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12),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12). It can be produced with In this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0 and 120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nd are shown to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은, 제1 교량상판(11) 또는 제2 교량상판(12)의 거동을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지지프레임(120)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의 변위값을 사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가 설치된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변위, 비틀림 등의 변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onitor the behavior of the first bridge deck 11 or the second bridge deck 12 as the first support frame 110. It can be reflected in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on which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re installed using the displacement valu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12)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btain displacement information such as displacement and twist.

제1 변위 측정 센서(130), 제2 변위 측정 센서(140), 제3 변위 측정 센서(150), 제4 변위 측정 센서(160)는, 각각 변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 변위 측정 센서(130,140,150,160)는,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상에 연결된 지점 간의 직선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변위 측정 센서(130,140,150,160)는 검출 센서 종류에 따라 포텐쇼미터(potentionmeter),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및 정전용량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위 측정 센서는 회전 변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30, the secon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40, the thir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50, and the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60, Each is configured to measure displacemen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0 and 120. The first to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s 130, 140, 150, and 160 are configured to measure linear displacement between points connect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Specifically, the first to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s 130, 140, 150, and 160 may be configured as a potentiometer,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or capacitance type, depending on the type of detection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rotational displacement as needed.

상기 연산부는, 제1 내지 제4 변위 측정 센서(110,120,130,140)로부터 측정되는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 간의 변위값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 각각의 변위값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의 상대적 변위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교량상판(11,12) 각각의 변위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alculation unit uses the displacement value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easured from the first to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s 110, 120, 130, and 140, o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 110,120) The relative displac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re calculated using the respective displacement values, or the displacement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11 and 12 are calculated.

제1 변위 측정 센서(130)는, 제1 교량상판(11)의 상기 제1 면(11a)과 평행한 제1 지지프레임(110)의 일 면상의 제1 지점(P1)과, 상기 제2 교량상판(12)의 상기 제2 면(12a)과 평행한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상의 제2 지점(P2)에 연결된다.The first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30 includes a first point P1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parallel to the first side 11a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a second point P2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parallel to the second side 12a of the bridge deck 12.

제2 변위 측정 센서(140)는, 제1 교량상판(11)의 상기 제1 면(11a)과 평행한 제1 지지프레임(110)의 일 면상의 제3 지점(P3)과, 상기 제2 교량상판(12)의 상기 제2 면(12a)과 평행한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상의 제4 지점(P4)에 연결된다.The secon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40 is located at a third point P3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parallel to the first side 11a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a fourth point P4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parallel to the second side 12a of the bridge deck 12.

제3 변위 측정 센서(150)는, 제1 교량상판(11)의 상기 제1 면(11a)과 평행한 제1 지지프레임(110)의 일 면상의 제5 지점(P5)과, 상기 제2 교량상판(12)의 상기 제2 면(12a)과 평행한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상의 제6 지점(P6)에 연결된다.The third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50 is located at a fifth point P5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parallel to the first side 11a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a sixth point P6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parallel to the second side 12a of the bridge deck 12.

제4 변위 측정 센서(160)는, 제1 교량상판(11)의 상기 제1 면(11a)과 평행한 제1 지지프레임(110)의 일 면상의 제1 지점(P7)과, 상기 제2 교량상판(12)의 상기 제2 면(12a)과 평행한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상의 제8 지점(P8)에 연결된다.The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60 is located at a first point P7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parallel to the first side 11a of the first bridge deck 11, and the second It is connected to an eighth point P8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parallel to the second side 12a of the bridge deck 12.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점(P1), 상기 제3 지점(P3), 상기 제5 지점(P5)은, 각각 제1 지지프레임(110)의 일 면상에서 제1 삼각형(T1)의 꼭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3 지점(P1,P3), 상기 제1 및 제5 지점(P1,P5), 상기 제3 및 제5 지점(P3,P5)을 각각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제1 삼각형(T1)의 제1 변(L1), 제2 변(L2), 제3 변(L3)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point (P1), the third point (P3), and the fifth point (P5) are each of the first triangle (T1)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he vertex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and third points (P1, P3), the first and fifth points (P1, P5), and the third and fifth points (P3, P5),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form the first side (L1), the second side (L2), and the third side (L3) of the first triangle (T1).

또한, 상기 제2 지점(P2), 상기 제4 지점(P4), 상기 제6 지점(P6)은, 각각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의 일 면상에서 제2 삼각형(T2)의 꼭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 지점(P2,P4), 상기 제2 및 제6 지점(P2,P6), 상기 제4 및 제6 지점(P4,P6)을 각각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제2 삼각형(T2)의 제4 변(L4), 제5 변(L5), 제6 변(L6)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point (P2), the fourth point (P4), and the sixth point (P6) each form a vertex of a second triangle (T2)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second triangle created by connecting the second and fourth points (P2, P4), the second and sixth points (P2, P6), and the fourth and sixth points (P4, P6), respectively. It is formed to form the fourth side (L4), the fifth side (L5), and the sixth side (L6) of (T2).

여기서, 상기 제7 지점(P7)은 상기 제3 변(L3)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제8 지점(L8)은 상기 제6 변(L6)의 중심과 상기 제2 지점(P2)을 연결한 수직선(V)상에서, 상기 제2 지점(P2)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Here, the seventh point (P7)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side (L3), and the eighth point (L8) connects the center of the sixth side (L6) and the second point (P2). It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point (P2) on one vertical line (V).

제1 실시 예의 경우, 제1 상판에 대하여 제2 상판(또는, 제2 상판에 대하여 제1 상판)의 솟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상판 또는 제2 상판의 θy축에 대한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ise of the second top p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top plate (or the first top pl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op plate) can be detected.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upper plate about the θy axis can be measured.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7 지점(P7)은 상기 제3 변(L3)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제8 지점(L8)은 상기 제6 변(L6)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1 상판에 대하여 제2 상판(또는, 제2 상판에 대하여 제1 상판)의 비틀림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상판 또는 제2 상판의 θx축에 대한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venth point P7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side L3, and the eighth point L8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ixth side L6. . In this case, the twist of the second top p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top plate (or the first top pl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can be detected.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upper plate about the θx axis can be measured.

4 자유도 측정이 가능하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특징에 따라 교량 변위 계측 장치의 제4 변위 측정 센서(160)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1 지지프레임(110)과 제2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지지프레임(120)에 제4 변위 측정 센서(160)가 연결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되는 변위가 달라진다. Since four degrees of freedom can be measured, the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60 of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to be measured. there is. In other words, the position at which the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 1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vary, and the measured displacement may vary accordingly.

한편, 상기 제1 삼각형(T1)은, 상기 제1 변(L1)과 상기 제2 변(L2)의 길이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삼각형(T2)은, 상기 제4 변(L4)과 상기 제5 변(L5)의 길이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riangle (T1) is made of an isosceles triangle in which the first side (L1) and the second side (L2)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second triangle (T2) has the fourth side ( It may be formed as an isosceles triangle where the lengths of the fifth side (L4) and the fifth side (L5) are the same.

또한, 상기 제1 삼각형(T1)은 상기 제2 삼각형(T2)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삼각형(T1,T2)은 서로 닮은 도형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닮은 도형은, 한 도형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다른 한 도형과 합동이 되게 할 수 있는 도형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first triangle (T1) is made to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triangle (T2), and the first and second triangles (T1, T2) can be formed to satisfy shapes that resemble each other. The similar figure refers to a figure that can be made congruent with another figure by enlarging or reducing one figure.

상기 제1 및 제4 변(L1,L4)과, 상기 제2 및 제5 변(L2,L5)과, 상기 제3 및 제6 변(L3,L6)은 각각 서로 평행을 이루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fourth sides (L1, L4), the second and fifth sides (L2, L5), and the third and sixth sides (L3, L6)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re is.

한편,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10,120)과 상기 제1 내지 제4 변위 측정 센서(130,140,150,16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힌지연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includes a hinge connection portion 170 that rotatab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0 and 120 and the first to fourth displacement measurement sensors 130, 140, 150, and 160, respectively. More may be included.

한편,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81) 및 메모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상대적 비틀림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측정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81 capable of performing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emory (not shown). The calculation unit can measure the relative twist regularly or irregularly, and store the measured data in the memory. Furthermore, the measur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a preset terminal or server.

또한,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도록 이루어지고, 만들어진 전력을 교량 변위 계측 장치(100)의 동작에 사용하는 태양광 모듈(1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produce power using sunlight, and may further include a solar module 183 that uses the generated power to operate the bridg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1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중 연산처리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explaining a double operation processing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of FIG. 3.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센서(310), 현장 연산 장치(300), 통신 장치(330) 및 서버 연산 장치(400)를 포함한다. The dual processing system includes a sensor 310, a field processing device 300, a communication device 330, and a server processing device 400.

센서(310)는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상에 연결된 지점 간의 직선 변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310)는 서로 다른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The sensor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 110) and a point connected on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o measure the linear displacement. The sensor 310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that generate different sensing data.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교량상판 및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1 연산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is configured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calc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sensing data. Generate computational data.

통신 장치(330)는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제1 연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장치(3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를 제1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망과 다른 제2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330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sensing data and the first calculation data to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transmit the first calculation data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 the sensing data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인(Line-1)은 현장에 설치된 현장 연산 장치(300)에 의해서 방향별 변위량을 산출하고 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버로 송신한다. 제2 라인(Line-2)는 현장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직접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웹서버로 송신하고 서버상에 있는 서버 연산 장치(400)로 방향별 변위량을 산출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line (Line-1) calculat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each direction by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installed in the field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by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econd line (Line-2) transmits data measured in the field to a web server by directly connect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displacement for each direction with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on the server.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량상판 및 상기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2 연산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은 웹 서버상에서, 제1 라인 산출값(또는, 제1 연산데이터)과 제2 라인의 산출값(또는, 제2 연산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산출값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is configured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provides second calculation data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using the sensing data. creates . The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es the calculated value to the user when the calculated value of the first line (or first calculated data) and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econd line (or second calculated data) are the same on the web server.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1 기능을 실행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1 기능은 제1 연산 데이터 및/또는 제2 연산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일 수 있다.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executes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second calculation data match within a reference rang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second calculation data match within a reference range, the first function is executed, and when they do not match,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is executed. For example, the first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transmitting first calculation data and/or second calcul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설정된 연산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연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로 전송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잔 연산 장치(300)는 연산 알고리즘의 변수를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잔 연산 장치(300)는 센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2 연산 데이터가 산출될때까지 변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If the first calculation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t calculation time,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determines an error and transmits the second calculation data to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and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may reset the system based on the second calculation data. For example, the current calculation device 300 may change the variables of the calculation algorithm based on the second calculation data. Specifically, the current calculation device 300 may vary the variables until the second calculation data is calculated based on the sensor data.

이경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한 후 기준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 및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기준 시각까지 연산을 정지할 수 있다. 이는 현장 연산 장치(300)와 서버 연산 장치(400)를 동기화하기 위함이다. In this case,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determines the reference time after resetting the system based on the second calculation data, and the field processing device 300 and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calculate up to the reference time. can be stopped. This is to synchronize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and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상기 기준 범위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하위 기준 범위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위 기준 범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 기상에 따라 기준 범위를 다르게 세팅함으로써, 사이트에 맞춤형 관리를 할 수 있다.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sub-reference ranges, and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selects one of the sub-reference ranges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eld computing device, and selects the selected sub-reference range. Based on one of the criteria, it can be compared whether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second calculation data match. By setting the standard rang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ather, you can provide customized management to your site.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가 시스템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도록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to terminate and restart the system when the first computing data and the second computing data exceed a reference time. 300) is controlled remotely, and the reference time can be varied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eld computing device.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동적 대상을 다중으로 연산 처리하여 교량의 상대적 변위를 정확하게 감지함과 아울러 기상에 따라 실시간 대응하는 효과를 갖는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y processing dynamic objects multiple times and respond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weather.

복수의 현장 연산 장치들은 IoT로 동작하며, 서버 연산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감시 및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트 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현장 연산 장치들을 서버 연산 장치가 실시간 감시하고, 가변되는 기상에 맞춤형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Multiple field computing devices operate as IoT and can be effectively monitored and managed through server computing devices. Specifically, a server computing device can monitor multiple field computing devices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ite in real time and manage them by applying customized standards to changing weather conditions.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regoing content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technical spirit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ividually or in any combination.

Claims (6)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0)을 연결하며, 제1 지지프레임(110) 및 제2 지지프레임(120)상에 연결된 지점 간의 직선 변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센서들(31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 제1 교량상판 및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1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장 연산 장치(300);
상기 복수의 센서들(3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량상판 및 상기 제2 교량상판의 상대적 변위를 연산한 제2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연산 장치(400); 및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제1 연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33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기준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 plurality of sensors 310 configured to measure linear displacement between points connected on the support frame 120 and generating different sensing data;
An on-site operation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generates first calculation data that calc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ridge de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the sensing data. device 300;
A server calculation device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310 and generates second calculation data by calcul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bridge deck and the second bridge deck using the sensing data ( 400); and
It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330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sensing data and the first calculation data to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operation data and the second operation data match within a referenc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300)는,
상기 제1 연산 데이터를 제1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망과 다른 제2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A dual arithmetic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alculatio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설정된 연산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연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에러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로 전송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If the first calculation data is not received within the set calculation time, the server calculation device 400 determines an error and transmits the second calculation data to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The field processing device 300 is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is reset based on the second operation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는 상기 제2 연산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스템을 재설정한 후 기준 시각을 결정하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 및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기준 시각까지 연산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eld calculation device 300 determines the reference time after resetting the system based on the second calculation data,
A dual arithmetic processing system wherein the field arithmetic device 300 and the server arithmetic device 400 stop calculating until the referenc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하위 기준 범위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하위 기준 범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sub-reference ranges,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selects one of the lower reference ranges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eld computing device, and uses the first calculation data and the second calculation based on the selected one.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characterized by comparing whether data matc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연산 장치(400)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제1 연산 데이터와 상기 제2 연산 데이터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가 시스템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도록 상기 현장 연산 장치(300)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현장 연산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상 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연산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rver computing device 400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eld computing device 300 to terminate and restart the system when the first computing data and the second computing data exceed a reference time. 300) is remotely controlled,
A dual operation processing system, wherein the reference time varies depending on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eld operation device.
KR1020220136237A 2022-10-21 2022-10-21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KR202400560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37A KR20240056067A (en) 2022-10-21 2022-10-21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37A KR20240056067A (en) 2022-10-21 2022-10-21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067A true KR20240056067A (en) 2024-04-30

Family

ID=9088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37A KR20240056067A (en) 2022-10-21 2022-10-21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0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309B1 (en) Bridg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Mehrani et al. Evaluation of fiber optic sensors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of bridge structures
KR20090112352A (en) System for measuring structure displacement
Shenton III et al. Indian river inlet bridge (part A): Description of the bridge and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200995B1 (en) Displacement measurment apparatus for bridge bearing and method of measuring the same
Sebastian et al. Load response due to local and global indeterminacies of FRP-deck bridges
KR20240056067A (en) Dual calculation processing system applied to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KR10196853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ridge deflection and system having the same
Bayraktar et al. Long-term strain behavior of in-service cable-stayed bridges under temperature variations
KR100879601B1 (en) Equipment for measuring displacement for construction using optical fiber sensor and Method thereof
Miskiewicz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suspension footbridge
Choi et al. Quasi-static responses estimation of a cable-stayed bridge from displacement data at a limited number of points
KR102392061B1 (en) 4 degree of freedom bridge displa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Zuk Jointless bridges
JP2020071157A (en) Inclination degree calculation device, structure, and program
US20210396625A1 (en) Building strain monitoring system
Inaudi et al. Bridge deformation monitoring with fiber optic sensors
Salamak et al.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the load testing of steel through arch bridges
Shan Analytical Research on Deformation Monitoring of Large Span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during Operation
KR20220116612A (en) Six axis displacement measurement apparatus and bridge safety monitor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Ou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research in China: trends and applications
KR102652367B1 (en) Method for structure deflection identification using strain sens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gression algorithm
CN205317387U (en) A device for $monitoring vehicle transverse load distribution effect of purlin formula combination arched bridge
Fausett et al. Live-load testing application using a wireless sensor system and finite-element model analysis of an integral abutment concrete girder bridge
Norouzi et al. Measuring Displacement of Tall Concrete Columns During Construction: Jeremiah Morrow Bridge, Interstate 71, Lebanon, Oh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