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054A - 캐리지용 댐퍼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지용 댐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6054A KR20240056054A KR1020220136209A KR20220136209A KR20240056054A KR 20240056054 A KR20240056054 A KR 20240056054A KR 1020220136209 A KR1020220136209 A KR 1020220136209A KR 20220136209 A KR20220136209 A KR 20220136209A KR 20240056054 A KR20240056054 A KR 202400560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carriage
- damper device
- hous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캐리지용 댐퍼 장치는, 일측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일 중심축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부 내부를 탄성 가압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가로 막아 상기 탄성부에 맞닿거나,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해제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며 상기 탄성부로부터 이격되는 완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조절부가 폐쇄하는 상기 관통홀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상기 하우징부에 전달되는 수가 감소하여 완충력이 감소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제조할 때는 소부재를 용접하여 작은 블록을 만들고, 작은 블록을 용접하여 대형블록을 만들며, 대형블록을 도크에서 용접하여 선체를 완성한다.
블록을 제조할 때는 베이스 표면에 용접되는 보강부재/플레이트를 용접하여 강성을 보강한다. 이때는 베이스에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그를 설치하고,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와 베이스의 연결부위를 용접한다.
즉 선박 건조는, 다양한 캐리지(용접 장치)를 사용하여 소단위에서 대단위 블록으로 조립하는 용접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캐리지는 바퀴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바닥의 장애물(용접 비드 및/또는 단차)로 인해 캐리지 주행시 흔들림 및 전자기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캐리지가 경로를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용접 품질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용접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캐리지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쇠력(완충력)을 조절하여 바닥의 장애물에 대응할 수 있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일 면(aspect)은, 일측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일 중심축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부 내부를 탄성 가압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가로 막아 상기 탄성부에 맞닿거나,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해제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며 상기 탄성부로부터 이격되는 완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조절부가 폐쇄하는 상기 관통홀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상기 하우징부에 전달되는 수가 감소하여 완충력이 감소한다.
상기 완충 조절부는,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탄성부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홈에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을 선형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으로 이격되거나 서로 근접되며, 각각이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블록 각각에 결합되게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제1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지는 제2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거나, 상기 리니어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평행한 방향에서 이물림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브라켓이 나사산 결합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이동을 지지하는 볼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로부터 벗어나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탄성부가 교체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탈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는, 완충을 위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캐리지의 완충이 가능하면서도, 캐리지의 자력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의 수를 조절하여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가 마련되는 캐리지가 간섭물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스프링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고정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근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슬라이딩 부재 일부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가 간섭물을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스프링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고정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근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슬라이딩 부재 일부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가 간섭물을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가 마련되는 캐리지가 간섭물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스프링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불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고정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에서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와 제1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완충 조절부의 작동으로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근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10)는 자동 용접기로서, 작업자의 입력 및/또는 제어 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행, 정지 및 용접 작업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작업 현장의 맵(map) 데이터가 활용되어 좌표 인식으로 주변 구조물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캐리지(10)는 자율 주행 기술로 이동 및 용접 작업이 가능하며, 이는 공지기술에 갈음하여 이동, 정지 및 용접 작업의 메카니즘은 생략한다.
캐리지(10)는 용접부(도시하지 않음) 및 댐퍼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지(10)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내부에 자석(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주행 중 주행면(철 구조물)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어, 천장 또는 벽면과 같이 중력이 작용되는 바닥면과 어긋나는 방향에서도 용접이 가능하다.
용접부는 토치 및 용접 와이어를 공급하는 피드(feed)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크 용접, 가스 용접, 저항 용접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용접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용접, 레이저용접, 초음파용접 등의 용접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접부를 통한 용입이 완료되면, 즉 판재 위에 용접재가 용접되면, 판재와 용접재가 만나는 지점에 용접 비드가 만들어진다. 용접 비드는 길이가 긴 삼각형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단면은 용접 적층 과정에서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용접 비드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면, 용접 비드로 인해 판재 주변이 울퉁불퉁해질 수 있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용접 환경은 평면이 아닌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해서 판재와 같은 작업 대상물의 바닥은 용접 비드와 같은 간섭물(YB)이나 높이 편차로 인해 완전한 평면이 아닌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간섭물(YB)을 만날 경우 캐리지(10)의 구동바퀴가 간섭물(YB)을 타고 넘는 중 자력이 약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주행 경로를 이탈할 우려가 있어, 본 실시예는 댐퍼 장치(100)의 완충력을 조절한다.
간략하게 본 실시예의 댐퍼 장치(100)는, 캐리지(10)가 간섭물(YB)을 만나서 타고 넘더라도 일정한 자력을 유지하여 주행 경로 이탈방지 및/또는 수직 용접의 경우 캐리지(YB)가 벽면에서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는, 하우징부(110), 탄성부(120), 완충 조절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간략하게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는, 완충 조절부(130)가 폐쇄하는 관통홀(111)(도 7 참조)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부(120)에서 발생되는 탄성 가압이 하우징부(110)에 전달되는 수가 감소하여 완충력이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10)는 중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 개의 탄성부(120)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탄성부(1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바(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바(112)는 하우징부(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탄성부(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하우징부(110)는 일측(하단)에 복수 개의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완충 조절부(130)에 의해 가로막히거나 개방되어, 탄성부(120)의 탄성 가압은 유지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10)의 일측에는 휠(H)이 마련될 수 있다. 휠(H)은 자력 on/off가 가능하며, 휠(H)과 탄성부(120)의 완충력 조절에 의해 간섭물(YB) 상태에 대한 높이 변화가 가능하여 자력을 이용해 주행면과 밀착되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더불어 휠(H)은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주행면에 맞닿아 마찰에 의해 회전되거나, 모터와 같은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고정 브라켓(113)이 마련되어 탄성부(120)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에 고정 브라켓(113)이 마련되면, 탄성부(120)의 하부인 관통홀(111)이 개방되더라도, 탄성부(120)는 하우징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탄성부(120)의 하부는 지지되지 않아, 완충 작용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제3 실시예와 같이 고정 브라켓(113)이 생략되거나, 가이드바(112) 및/또는 탄성부(120)가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바(112) 및/또는 탄성부(120)는 한 쌍의 브라켓(113)이 이격되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에서 고정 브라켓(113)이 분리된 상태이면, 관통홀(111)이 개방시 탄성부(120)는 하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40)를 하우징부(110)로부터 분리하여 탄성부(120)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탄성부(120)는 캐리지(10)에 발생된 충격을 완충하는 구성으로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 내에서 하우징부(11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120)의 수에 따라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 내부를 탄성 가압하는 수가 감소되면, 완충력이 감소될 수 있고,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를 탄성 가압하는 수가 증가하면, 완충력이 상승하여 캐리지(1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부(120)는, 작업 환경의 변화에 적용되도록 예시적으로 용접 품질이 우선시되는 환경에서는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를 탄성 가압하는 완충력을 줄여 캐리지(10)의 이탈 방지에 중점을 두고, 캐리지(10)가 단순히 이동만을 수행하면 완충력을 높이도록 탄성 가압이 작용되는 탄성부(120)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 내부를 탄성 가압하는 수의 조절은, 탄성부(120)의 하단이 지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시로 하우징부(110)의 관통홀(111)을 통해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120)는, 하우징부(110)에서 관통홀(111)과 동일 중심축 상에 마련될 수 있고, 관통홀(111)을 기준으로 하우징부(110)의 내부에서 양측이 하우징부(110) 내부에 맞닿아 하우징부(110)를 탄성 가압함으로써, 하우징부(110)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반면 하우징부(110)의 관통홀(111)을 기준으로 탄성부(120)가 빠져나오거나 지지되지 않으면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와 맞닿지 않게 되어 탄성 가압을 이루지 못하므로, 완충작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탄성부(120)는 하우징부(110)의 관통홀(111)을 기준으로 하우징부(110)의 내측에 밀착되게 마련되거나 밀착되지 않는 상태로 마련되어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20)는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120)는, 탄성계수가 상이한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어,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120)의 수 조절만 아니라, 탄성계수가 상이한 스프링의 교체로 완충력을 조절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완충 조절부(130)는 탄성 가압 작용을 이루는 탄성부(120)의 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탄성부(120)의 탄성 가압을 지지하도록 관통홀(111)을 가로 막아 탄성부(120)에 맞닿거나, 탄성부(120)의 탄성 가압을 해제하도록 관통홀(111)을 개방하며 탄성부(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로 완충 조절부(130)는, 슬라이딩 부재(131), 제1 브라켓(132) 및 리니어 모터(133M)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는 관통홀(111)과 대향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부(120)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홈(131H)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로 슬라이딩 부재(131)는 관통홀(111)의 양측으로 이격되거나 근접되며, 각각이 결합홈(131H)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은 제1 브라켓(132)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돌출구조에 결합홈(131H)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블록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른 예를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브라켓(132)은 슬라이딩 부재(131)의 결합홈(131H)에 연결되는 돌기(132D)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재(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가 한 쌍의 블록을 포함하면, 제1 브라켓(132)은 한 쌍의 블록 각각에 결합되게 쌍으로 구비되어, 관통홀(11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멀어지거나(도 11 참조), 가까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1 브라켓(132)은 리니어 모터(133M)와 탄성부(120)가 서로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도 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이고, 도 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일 수 있음).
리니어 모터(133M)는 제1 브라켓(132)을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로 리니어 모터(133M)는 제1 회전축(133S1) 및 제2 회전축(133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133S1)은,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이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제1 방향의 나사산(축 방향에서 볼 때 반시계바늘 방향, 좌회전일 수 있음)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31)에서 하나의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축(133S2)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지는 제2 방향의 나사산(축 방향에서 볼 때 시계바늘 방향, 우회전일 수 있음)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부재(131)에서 다른 하나의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회전축(133S1)과 제2 회전축(133S2)은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나의 리니어 모터(133M)에 의해 한 쌍의 블록이 양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회전축(133S1)과 제2 회전축(133S2)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가이드 봉이 마련되어 제1 브라켓(13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브라켓(132)은 가이드 봉에 의해 선형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제1 회전축(133S1)과 제2 회전축(133S2)의 회전으로 선형 이동을 이룰 수 있다.
지지부(140)는, 탄성부(120)가 슬라이딩 부재(131)로부터 벗어나되 하우징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부(120)를 가로지를 수 있다. 더불어 지지부(140)는 탄성부(120)가 교체되도록 하우징부(110)에 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40)의 탈착은, 볼팅 결합 또는 자석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가 하우징부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탄성부의 탄성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하우징부(110), 탄성부(120), 완충 조절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완충 조절부(130)는 제1 실시예의 슬라이딩 부재(131)가 한 쌍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하나의 블록/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회전축(133S1)과 제2 회전축(133S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블록을 선형 이동시키지 않고 하나의 블록만 선형 이동시키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부재(131)는 제1 실시예외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관통홀(111)과 대향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부(120)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홈(131H)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로 슬라이딩 부재(131)는 관통홀(111)로부터 벗어나거나 근접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은 제1 브라켓(132)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돌출구조에 결합홈(131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131)는 도 1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관통홀(111)을 가로막아 탄성부(120)가 하우징부(110)를 탄성가압하거나,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관통홀(111)로부터 벗어나 탄성부(120)의 탄성가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하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에서 슬라이딩 부재 일부 위치가 가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불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가 간섭물을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는, 제1,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하우징부(110), 탄성부(120), 완충 조절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완충 조절부(13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슬라이딩 부재(131), 제1 브라켓(132) 및 리니어 모터(133M)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32)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슬라이딩 부재(131)의 결합홈(131H)에 연결되는 돌기(132D)를 포함하며 슬라이딩 부재(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31)가 한 쌍의 블록을 포함하면, 제1 브라켓(132)은 한 쌍의 블록 각각에 결합되게 쌍으로 구비되어, 관통홀(111)(도 7 참조)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멀어지거나(도 16 참조), 가까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7 참조, 도 16에 대비하여 위치가 가변된 상태).
다만 본 실시예의 제1 브라켓(132)은 제1 실시예와 달리, 한 쌍의 블록이 개별로 이동할 수 있어, 한 쌍 중 하나의 블록은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하나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의 리니어 모터(133M)는 슬라이딩 부재(131)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리니어 모터(133M)는 나사산 방향이 반대로 마련되는 2개의 축(제1 회전축(133S1)과 제2 회전축(133S2))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3 실시예는, 하나의 리니어 모터(133M)가 하나의 제1 브라켓(13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니어 모터(133M)는, 리니어 모터(133M)의 축에 연결된 제1 기어(133G1), 제1 기어(133G1)에 평행한 방향에서 이물림되는 제2 기어(133G3), 제2 기어(133G3)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마련되며 슬라이딩 부재(131)의 이동을 조작하는 볼스크류(133BS)가 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리니어 모터(133M)의 회전력이, 제1 기어(133G1), 제2 기어(133G3), 볼스크류(133BS)에 차례로 전달되고, 볼스크류(133BS)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31)가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브라켓(13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가변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볼스크류(133BS)에 의해 제1 브라켓(132)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은, 슬라이딩 부재(131)가 볼스크류(133BS)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하우징(110)에서 수평 방향의 이동으로 제한되는 제1 브라켓(132)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 실시예의 가이드 봉의 기능이 하우징에 구속된 제1 브라켓(1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16은 8개의 리니어 모터(133M)가 8개의 제1 브라켓(132)을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4쌍의 제1 브라켓(132)이 서로 이격되어 탄성부(120)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8개의 리니어 모터(133M)는 개별 가동되어, 제1 브라켓(132)을 개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이 서로 근접된 상태를 이루면, 탄성부(120)의 탄성 가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재(150)는 가이드바(112)와 결합(고정)되어, 간섭물(YB)에 의해 하우징부(110)(휠(H)과 연결됨)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1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은 가이드바(112) 및/또는 탄성부(120)를 지지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 한 쌍의 제1 브라켓(132)이 서로 근접되어, 가이드바(112) 및/또는 탄성부(120)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탄성부(120)의 탄성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캐리지용 댐퍼 장치(100)는, 완충을 위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캐리지(10)의 완충이 가능하면서도, 캐리지(10)의 자력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의 수를 조절하여 완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캐리지용 댐퍼 장치
110: 하우징부
120: 탄성부 130: 완충 조절부
140: 지지부
120: 탄성부 130: 완충 조절부
140: 지지부
Claims (5)
- 일측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기 관통홀과 동일 중심축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부 내부를 탄성 가압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가로 막아 상기 탄성부에 맞닿거나, 상기 탄성부의 탄성 가압을 해제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며 상기 탄성부로부터 이격되는 완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조절부가 폐쇄하는 상기 관통홀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상기 하우징부에 전달되는 수가 감소하여 완충력이 감소하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조절부는,
상기 관통홀과 대향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탄성부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결합홈에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을 선형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으로 이격되거나 서로 근접되며, 각각이 상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블록 각각에 결합되게 쌍으로 구비되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한 쌍의 제1 브라켓이 이격되거나 근접되도록 제1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지는 제2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을 이동시키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거나,
상기 리니어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평행한 방향에서 이물림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조작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로부터 벗어나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탄성부가 교체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탈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용 댐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6209A KR20240056054A (ko) | 2022-10-21 | 2022-10-21 | 캐리지용 댐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6209A KR20240056054A (ko) | 2022-10-21 | 2022-10-21 | 캐리지용 댐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6054A true KR20240056054A (ko) | 2024-04-30 |
Family
ID=9088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6209A KR20240056054A (ko) | 2022-10-21 | 2022-10-21 | 캐리지용 댐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6054A (ko) |
-
2022
- 2022-10-21 KR KR1020220136209A patent/KR2024005605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22134A (ko) | 팬터 그래프를 구비한 서스펜션 장치 | |
KR101789673B1 (ko) | 로봇 가공부하 진동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저감방법 | |
KR101220105B1 (ko) | 차량조립용 부품이송장치 | |
EP1792694A1 (en) | Arm structure for robot | |
US11331817B2 (en) | Maintenance apparatus of robot and maintenance method of robot | |
JP4138858B2 (ja) | ステージ装置 | |
JP4317204B2 (ja) | エレベーターの制振制御装置 | |
KR20240056054A (ko) | 캐리지용 댐퍼 장치 | |
KR101884819B1 (ko) | 전 방향 이동 장치 및 정렬 방법 | |
KR101826328B1 (ko) | 리벳팅 건에 작용하는 수직 및 수평 방향 하중을 상쇄하는 리벳팅 장치 | |
JP2000000673A (ja) | スラグ除去装置 | |
KR101081581B1 (ko) |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용 머니퓰레이터의 3차원 공중 조심 장치 | |
KR101924262B1 (ko) | 유연가이드기구가 적용된 반력보상모듈을 갖는 생산장비 및 이를 이용한 진동 제어방법 | |
CN101909811B (zh) | 焊接用台架 | |
JP4964853B2 (ja) | ステージ装置 | |
KR101106044B1 (ko) | 영구자석을 이용한 표면 부착 이동장치 | |
CN101454234B (zh) | 电梯的防振装置 | |
CN110027966B (zh) | 电梯轿厢动态下垂阻尼系统 | |
US7766300B2 (en) | Machine with support elements | |
CN111746579B (zh) |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 |
KR200479621Y1 (ko) | 수평 용접 캐리지용 레일 | |
KR101802394B1 (ko) | 용접슬래그비산방지 및 균질한 용접을 위한 쇽업쇼버용 부품 용접장치 | |
CN220659541U (zh) | 激光切割机z轴机构及激光切割机 | |
JP2996596B2 (ja) | 吊下走行式自動溶接装置 | |
KR102232324B1 (ko) | 부품 지지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