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839A -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839A
KR20240055839A KR1020247011992A KR20247011992A KR20240055839A KR 20240055839 A KR20240055839 A KR 20240055839A KR 1020247011992 A KR1020247011992 A KR 1020247011992A KR 20247011992 A KR20247011992 A KR 20247011992A KR 20240055839 A KR20240055839 A KR 2024005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delivery device
housing
actuator
retain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카 알렉산더슨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5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 용기(15)로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1)의 서브 조립체(11, 11'). 서브 조립체(11, 11')는,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 3'b)를 구비하는 하우징(3, 3')과, 하우징(3, 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편향되고 로킹 부재(30, 31)를 포함하는 유지 슬리브(9, 9')와, 활성화 시에,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약물 용기(15)에 작용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사전 인장된 플런저 로드(13)와,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아암(17a, 17b)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17)로서, 액추에이터(17)는 활성화 시에, 아암을 이동시켜서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상기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하고, 유지 슬리브(9, 9')는 유지 슬리브(9, 9')가 로킹 부재(30, 31)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가요성 약물 용기로부터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에 관련된다. 특히,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에 관련된다.
다수의 의료 질환은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약물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약물은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 내의 약물 용기에 포함되며, 약물 용기는 바늘 또는 노즐과 같은 일부 유형의 전달 부재를 통해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유형의 주사기(예를 들면, 펜 주사기, 자동 주사기, 온바디 장치(on-body device))를 포함하여 다수의 약물 전달 장치가 존재한다. 많은 이러한 장치가 다수의 의료 질환의 관리에 주요한 개선을 가능하게 했지만, 현재 기술에는 여전히 다양한 단점이 존재한다.
많은 약물 전달 장치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의 하나의 유형은 약물 전달 장치를 활성화, 예를 들면, 전달 부재를 노출하거나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약물을 배출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의 다른 유형은 2개 구성요소가 예를 들면,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에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함으로써, 또는 로킹 요소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한 후 상대 이동을 피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즉, 약물 전달 장치의 최종 상태에서,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러한 상대 이동은 약물 전달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동작은 예를 들면, 구성요소의 만족스럽지 않은 상대적 고정의 결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할 때, 출원인은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약물 전달 장치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했으며,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전달 부재를 통해 약물 용기로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가 제공되며, 서브 조립체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근위 단부를 향해 편향되고,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유지 슬리브와, 활성화 시에,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약물 용기에 작용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사전 인장된 플런저 로드와, 플런저 로드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아암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액추에이터는 활성화 시에, 아암을 이동시켜서 플런저 로드를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유지 슬리브는 액추에이터의 아암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플런저 로드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아암과 접하도록 배열된 표면을 포함하고, 유지 슬리브는 약물 전달 작동 동안에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아암이 유지 슬리브의 단부 부분을 지나서 해제되게 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의 해제를 야기하며, 유지 슬리브는 유지 슬리브가 로킹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로크아웃(lockout) 작동 동안에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유지 슬리브의 로크아웃이 개선되는 것이다. 즉, 사용 후, 유지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최종 상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로크아웃 작동 이후에는 유지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유지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로킹되면, 유지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과 직접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의 이동을 방해한다.
본 개시에서, "원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원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약물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구성요소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근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동안에, 약물 전달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근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약물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또한, "종방향", "종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장치 또는 그 구성요소를 따라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 방향으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유사하게는, "횡방향" 및 "횡방향으로"라는 용어는 대체로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원주방향", "원주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축(일반적으로는,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에 대한 원주 또는 원주방향을 나타낸다. 유사하게는,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는 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회전", "회전의" 및 "회전적으로"는 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로크아웃 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로크아웃 구조체는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로킹 결합으로 로킹 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이에 의해, 유지 슬리브의 로킹 부재는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로크아웃 구조체와 로킹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크아웃 구조체는 유지 슬리브와 상이한 서브 조립체의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아웃 구조체는 액추에이터 또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유지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유지 슬리브는 하우징의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액추에이터 또는 액추에이터의 아암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하우징 및 액추에이터 중 하나에 로크아웃 구조체를 배열함으로써 유지 슬리브의 축방향 로킹을 용이하게 된다. 즉, 액추에이터 및 하우징은 유지 슬리브에 인접하여 배열되므로, 로킹 부재와 로크아웃 구조체는 서로 인접한 서브 조립체의 구성요소에 배열된다. 따라서 유지 슬리브가 근위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즉, 하우징 및/또는 액추에이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킹 부재는 로크아웃 구조체와 맞물려서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액추에이터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에 배열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로크아웃 구조체는 유지 슬리브에 대면하는 액추에이터의 부분과 같은 액추에이터에 구성된다. 이에 의해, 로킹 부재는 로크아웃 구조체와 맞물려서 유지 슬리브를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로킹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은 서브 조립체의 중심축에 대면하는 내부 대향 부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고, 유지 슬리브에 대면하는 액추에이터의 부분은 서브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외부 대향 부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축방향 리브이다. 이에 의해, 로킹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체가 제공된다. 축방향 리브는 축방향의 연장부와 반경방향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의 연장부는 반경방향의 연장부보다 크다. 예를 들어, 축방향 리브는 액추에이터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 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액추에이터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의 아암은 플런저 로드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제 1 후크 부분과, 제 1 후크 부분의 반대측에 배열된 제 2 후크 부분을 구비하는 단부 후크를 포함하며, 제 2 후크 부분은 로크아웃 구조체를 형성하고 로킹 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도록 배열된다. 이에 의해, 로크아웃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구조체가 제공된다. 게다가, 액추에이터의 아암에 로킹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아암은 이중 목적의 역할을 하는데, 하나는 플런저 로드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유지 슬리브의 로킹 부재와 로킹 결합하여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하우징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에 배열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로크아웃 구조체는 유지 슬리브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부분 상에와 같이, 하우징에 구성된다. 이에 의해, 로킹 부재는 로크아웃 구조체와 맞물려서 유지 슬리브를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로킹할 수도 있다. 하우징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은 서브 조립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외부 대향 부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고, 하우징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은 서브 조립체의 중심축을 향하는 내부 대향 부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로크아웃 구조체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로킹 부재를 수용하여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도록 배열된다. 이에 의해, 로크아웃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구조체가 제공된다. 로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돌출부 또는 탄성 텅부로 배열된다. 게다가, 하우징에 로킹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은 이중 목적의 역할을 하는데, 하나는 서브 조립체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유지 슬리브의 로킹 부재와 로킹 결합하여 유지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는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이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있는 로크아웃 기능성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또는 탄성 텅부로서 배열된다. 근위 방향으로 유지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돌출부 또는 탄성 텅부는 돌출부 또는 탄성 텅부가 하우징의 개구부와 맞닿을 때까지 하우징의 내부면을 따라 안내되어서, 돌출부 또는 탄성 텅부가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스냅 끼워맞춤된다. 이에 의해, 유지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로킹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슬리브는 원위 탄성 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근위 단부를 향해 편향되고, 원위 탄성 부재는 로크아웃 작동 시에 로킹 부재를 통해 액추에이터 또는 하우징에 대해 유지 슬리브를 가압한다. 따라서, 근위 방향의 편향력은 유지 슬리브와 로킹 부재 및 로크아웃 구조체를 통해 액추에이터 또는 하우징으로 전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플런저 로드를 하우징의 근위 단부를 향해 편향시키는 구동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 아암에 의해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제 1 축방향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플런저 로드가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해제될 때 구동 스프링의 편향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조립체는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의 근위 단부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 부재 커버를 더 포함하며, 전달 부재 커버는 약물 전달 작업 동안에, 신장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커버가 하우징에 추가로 수용되는 후퇴 위치로 하우징에 대해 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약물 전달 작동 이후, 전달 부재 커버는 근위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신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전달 부재는 전달 부재 커버 내부에서 보호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부재 커버의 후퇴 위치에서, 전달 부재 커버의 근위 단부는 신장 위치에 비해 하우징의 근위 단부에 더 근접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후퇴 위치에서, 전달 부재 커버의 근위 단부는 하우징의 근위 단부로부터 제 1 축방향 거리만큼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 제 1 축방향 거리는 신장 위치에서의 전달 부재 커버의 근위 단부와 하우징의 근위 단부 사이의 제 2 축방향 거리보다 짧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슬리브는 전달 부재 커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전달 커버 부재의 축방향 로크아웃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유지 슬리브는 전달 부재 커버에 대해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전달 부재 커버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전달 멤버 커버는 약물 전달 작동 후에 신장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로킹되어서, 전달 멤버 커버에서 전달 멤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즉, 사용 후, 유지 슬리브는 전달 부재 커버와 함께 축방향으로 로킹된 최종 상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유지 슬리브 및 전달 부재 커버는 로크아웃 작동 후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전달 부재 커버가 축방향으로 로킹되므로, 전달 부재는 다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개시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전달 부재를 통해 약물 용기로부터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되며, 약물 전달 장치는 본 개시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효과 및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관점과 관련하여 상술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과 관련하여 언급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2 관점과 대체로 양립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청구항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부재, 장비,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참조는 명시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부재, 장비,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지칭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발명적인 개념의 특정 실시예는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약물 전달 장치의 일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의 서브 조립체 중 적어도 일부의 상세 단면도로서, 서브 조립체는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에 있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전달 부재 커버가 연장된 위치에 있는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의 도 3a의 서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3c는 전달 부재 커버가 후퇴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서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4a는 캡을 제거한 후의 기본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약물 전달 작동이 시작될 때 활성화된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약물 전달 작동 동안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약물 전달 작동 후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서브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해 90도의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약물 전달 장치의 또 다른 서브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이제, 발명적인 개념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발명적인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발명적인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된다. 유사한 숫자는 명세서 전체에서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약물 전달 장치(1)의 하우징(3)에 로딩된 약물 용기(15)로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다. 하우징(3)은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와, 약물 용기(15)의 육안 검사를 위해 근위 단부(3a)와 원위 단부(3b) 사이에 배열되는 창(3c) 또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달 부재 커버(5)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하우징(3)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달 부재 커버(5)에 제거 가능하게 배열되는 캡(2)을 더 포함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하우징(3)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커버(5)가 하우징(3) 내로 더 수용되는 후퇴 위치로 선형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전달 부재 커버(5)는 근위 방향에서 신장 위치를 향해 편향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달 부재 커버(5)를 하우징(3) 내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약물을 후퇴 위치를 향해 배출하도록 트리거링된다.
도 2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먼저, 약물 전달 장치(1)의 일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다양한 서브 조립체(10, 11, 11')의 실시예 및 특정 관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약물 전달 장치(1)의 서브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1)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함으로써 한정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4a)로부터 원위 단부(4b)까지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약물 용기 캐리어(4)를 포함한다. 약물 용기 캐리어(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스냅 로크 또는 다른 종래의 결합 수단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1)의 하우징(3)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약물 용기 캐리어(4)는 하우징(3)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약물 용기 캐리어(4) 및 하우징(3)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약물 용기 캐리어(4)는 약물 전달 장치(1) 내부에 약물 용기(15)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용기 캐리어(4)는 활성화 로크(6)를 더 포함하며, 이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전달 부재 커버(5)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근위 단부(5a) 및 원위 단부(5b)를 포함한다. 약물 용기 캐리어(4)의 활성화 로크(6)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부재 커버(5)의 근위 단부(5a)와 원위 단부(5b) 사이에 배열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캡(2)을 포함한다. 캡(2)은 전달 부재 커버(5)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캡(2)은 파지 부분(2b)과, 파지 부분(2b)의 길이 방향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a)를 포함한다. 파지 부분(2b)은 사용자가 캡(2)을 전달 부재 커버(5)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도 있는 파지면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돌출부(2a)는 돌출 슬리브(2a)이다. 돌출 슬리브(2a)는 종방향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활성화 시에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 로드(1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3)는 하우징(3) 내부 및 약물 용기 캐리어(4)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전달 작동 동안에, 플런저 로드(13)는 약물 배출을 위해 제 1 축방향 위치로부터 약물 용기(15)를 향해 이동한다. 플런저 로드(13)는 원통형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플런저 로드(13)를 근위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스프링(12)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13)는 약물 전달 작동 전에 전달 부재 커버(5)가 신장 위치에 있을 때,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약물 용기 캐리어(4) 및 하우징(3)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아암(17a)을 구비하고 활성화 시에,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기 위해 아암(17a)을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기 위해, 전달 부재 커버(5)의 원위 단부(5b)는 액추에이터(17)와 맞물려서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아암을 이동시켜서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하우징(3) 내부에서 전달 부재 커버(5)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유지 슬리브(9)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지 슬리브(9)는 전달 부재 커버(5)에 대해 축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전달 부재 커버(5)가 신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해 이동되면, 전달 부재 커버(5)의 선형 이동은 유지 슬리브(9)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된다. 유지 슬리브(9)는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7)의 아암(17a)과 접하도록 배열된 표면을 포함하며, 유지 슬리브(9)는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가압되어서 액추에이터(17)의 아암(17a)이 유지 슬리브(9)의 단부(9a)를 지나서 해제되어서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할 때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원위 탄성 부재(20)를 포함한다. 원위 탄성 부재(2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일 수도 있다. 원위 탄성 부재(20)는 근위 방향으로 전달 부재 커버(5)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원위 탄성 부재(20)는 유지 슬리브(9)를 통해 전달 부재 커버(5)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하우징(3)의 원위 단부(3b)에서 하우징(3)을 폐쇄하도록 배열된 후방 단부(19)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용기(15)가 로딩될 수 있다. 약물 용기(15)는 일반적으로 바늘(22)과 같은 전달 부재(22)와, 전달 부재(22)를 보호하기 위해 배열된 링 니들 쉴드(RNS, 23)를 포함한다. 약물 용기(15)는 RNS 바늘 커버 및 RNS 플라스틱 캡(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캡(2)의 돌출부(2a)는 전달 부재 커버(5)로부터 캡을 제거할 때 RNS(23)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RNS 제거기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a는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1)의 서브 조립체(10) 중 적어도 일부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서브 조립체(10)는 적어도 약물 용기 캐리어(4), 전달 부재 커버(5) 및 캡(2)을 포함한다. 도 3a의 상세도에서, 약물 용기 캐리어(4)의 활성화 로크(6)는 캡(2)의 돌출부(2a) 또는 돌출 슬리브(2a)에 인접하여 도시된다. 도 3a에서, 서브 조립체(10)는 돌출부(2a)가 활성화 로크(6)에 인접하여, 활성화 로크(6)가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로 도시된다. 보다 상세하게, 활성화 로크(6)에 인접하여 공간(80)이 배열되고, 도 3a에 도시된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에서, 돌출부(2a)는 그 공간(80)에 배열되어서, 활성화 로크(6)의 반경방향으로 유도된 이동은 돌출부(2a)에 의해 정지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커버(5)의 윈위 대향면(5c)은 활성화 로크(6)에 접하도록 배열되어서 활성화 로크(6)를 넘어서 전달 부재 커버(5)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원위 대향면(5c)은 전달 부재 커버(5)의 슬리브 부분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원위 대향면(5c)은 슬리브 부분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 활성화 로크(6)는 원위 대향면(5c)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근위 대향면(6a)을 포함한다. 근위 대향면(6a) 및 원위 대향면(5c)의 정렬로 인해, 전달 부재 커버(5)의 후퇴 위치로의 축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도 3b로 돌아가면, 도 3a와 동일한 상세 단면도이지만 캡(2)이 전달 부재 커버(5)로부터 제거된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를 도시한다. 캡(2)을 제거하면, 돌출부(2a)는 공간(80)으로부터 후퇴된다. 게다가, RNS(23)는 돌출부(2a)와 함께 약물 용기(15)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전달 부재(22)를 커버하지 않는다. 도 3b에서, 공간(80)은 활성화 로크(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활성화 로크(6)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유도력은 활성화 로크(6)를 공간(80) 내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시켜서 전달 부재 커버(5)를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3c에 도시됨). 따라서, 서브 조립체(10)는 돌출부(2a)가 활성화 로크(6)에 인접하여 활성화 로크(6)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 3a에 도시된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로부터, 활성화 로크(6)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전달 부재 커버(5)를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도 3b에 도시된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화 로크(6)는 가요성있고, 서브 조립체(10)의 중심축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화 로크(6)는 약물 용기 구조체(4)의 근위 단부(4a)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로크(6)는 약물 용기 캐리어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배열된 종방향 아암(4c, 4d)을 포함한다. 종방향 아암(4c, 4d) 각각은 대응하는 근위 대향면(6a)으로 구성되며, 서브 조립체(10)의 중심축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용기 캐리어의 주요 부분은 약물 용기 본체(1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대향 배치된 종방향 아암(4c, 4d) 각각은 공간(80)에 대해 가요성있게 배열된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대향면(6a)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따기된다. 이에 의해, 활성화 로크(6)를 공간(80) 내로 밀어넣는 동작이 용이해진다. 즉, 근위 대향면(6a)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따기됨으로써, 원위 방향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은 원위 대향면(5c)과 근위 대향면(6a)의 상호작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의 힘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대향면(6a)은 원위 대향면(5c)으로부터 멀리 경사지도록 모따기된다.
일반적으로, 전달 부재 커버(5)의 근위 단부(5a)는 전달 부재 커버(5)가 축방향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겪고, 그에 따라 원위 대향면(5c)이 활성화 로크(6)와, 근위 대향면(6a)에 접하여, 활성화 로크(6)를 공간(80) 내로 밀어낸다. 따라서, 원위 대향면(5c)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활성화 로크(6)를 공간(80) 내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시킨다. 따라서, 원위 대향면(5c)은 활성화 로크(6)를 넘어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를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3c에 도시된다. 전달 부재 커버(5)의 후퇴 위치에서, 전달 부재(22)는 노출되어 약물을 배출할 준비가 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약물 용기 캐리어(4)의 외부에 배열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전달 부재 커버(5)를 수용한다. 따라서, 전달 부재 커버(5)는 게다가 하우징(3)에 대해, 도 3b에 도시된 신장 위치로부터, 전달 부재 커버(5)가 하우징(3) 내에 더 수용되는 도 3c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 선형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약물 전달 장치(1)의 작동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비록 그 특정 구성요소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된 약물 전달 장치(1)의 서브 조립체(10)에 속할 수도 있거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브 조립체(11, 11') 중 임의의 것에 속할 수도 있더라도, 주로 약물 전달 장치(1)에 대해 참조한다.
도 4a는 약물 전달 전, 그리고 캡(22)을 제거한 후의 기본 상태에서의 약물 전달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서브 조립체(10)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로 배열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원위 탄성 부재(20)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편향된 신장 위치에 있다. 전달 부재 커버(5)는 유지 슬리브(9)를 통해 원위 탄성 부재(20)에 의해 편향된다. 전달 멤버 커버(5)는 약물 용기(15)의 전달 멤버(22)를 커버한다.
플런저 로드(13)는 제 1 축방향 위치에서 약물 용기 캐리어(4) 및 하우징(3)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구동 스프링(12)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편향된다.
액추에이터(17)는 아암(17a)이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에서 로킹하도록 배열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7)는 서로 대향 배열된 2개의 종방향 연장 아암(17a, 17b)(이하,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이라 함)을 포함한다. 2개의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의 구조와 기능은 유사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 중 하나만 가끔 설명된다.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은 유지 슬리브(9)에 의해 제 위치에 로킹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유지 슬리브(9)의 표면은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에 접하도록 배열된다. 유지 슬리브(9)는 전달 부재 커버(5)의 원위 단부(5b)와 맞물리고, 그에 따라 유지 슬리브(9)는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전달 부재 커버(5)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도 4b는 플런저 로드(13)가 해제되는 시점에서의 활성화 상태에서의 약물 전달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오퍼레이터가 주사 부위에 대해 가압시킨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도 3c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22)는 조직을 관통하기 위해 노출된다. 따라서, 전달 부재 커버(5)의 근위 단부(5a)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가 축방향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원위 대향면(5c)이 활성화 로크(6)와 접하고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근위 대향면(6a)이 활성화 로크(6)를 공간(80) 내로 밀어내게 한다. 유지 슬리브(9)는 전달 부재 커버(5)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함께 이동 가능하며,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유지 슬리브(9)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이 유지 슬리브(9)의 단부 부분(9a)을 지나서 해제되어서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게 된다.
도 4c는 약물 전달 작동 동안에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플런저 로드(13)는 도 4b에 도시된 제 1 축방향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약물 용기(15)를 향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13)는 구동 스프링(12)의 편향력에 의해,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그리고 약물 용기 캐리어(4)의 근위 단부(4a)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근위 이동은 플런저 로드(13)가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 용기의 내용물을 밀어냄으로써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약물 용기(15)에 접하게 한다.
약물 배출이 시작될 때, 플런저 로드(13)는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며, 따라서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은 유지 슬리브(9)에 의해 가해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힘과 유지 슬리브(9)에 제공되는 원위 탄성 부재(20)로부터의 편향력을 견뎌낸다. 플런저 로드(13)가 근위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약제 용기(15)의 내용물이 배출되면, 플런저 로드(13)는 더 이상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지 않으며,
유지 슬리브(9)에 의해 가해진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힘과 원위 탄성 부재(20)의 편향력은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강제시킨다. 이에 의해, 유지 슬리브(9)는 도 4d에 도시된 같이, 전달 부재 커버(5)와 함께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로크아웃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d는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이 플런저 로드(13)에 의해 남겨진 보이드(도 5b에도 도시됨) 내로 들어갔을 때의 약물 전달 장치(1)를 도시한다. 그 결과, 유지 슬리브(9)는 원위 탄성 부재(20)로부터의 편향력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달 부재(22)는 사용 후의 약물 전달 장치(1)의 최종 상태를 도시하는 전달 커버 부재(5)에 의해 다시 커버된다. 따라서, 전달 부재 커버(5)는 다시 신장 위치로 이동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달 부재(22)가 전달 부재 커버(5) 내부에서 보호되는 이 최종 상태로 폐기될 수도 있다. 전달 부재 커버(5)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30, 31) 및 로크아웃 구조체(42, 50)에 의해 신장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로킹된다.
도 5a는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1)의 서브 조립체(11) 중 적어도 일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해 90도 각도로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약물 전달 장치(1)의 최종 상태, 즉, 도 4d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약물이 약물 용기로부터 배출된 사용 후의 상태가 도시된다.
서브 조립체(11)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를 갖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원위 단부(3b)를 포함하는 하우징(3)의 부분만 도시된다. 서브 조립체(11)는 하우징(3)에서 근방으로 편향된 유지 슬리브(9)를 더 포함한다. 유지 슬리브(9)는 하우징(3)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의 부분(9c)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돌출부(31)의 형태의 로킹 부재(31)를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11)는 이전에 설명되고 도 5b에 가장 잘 도시된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과 함께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11)는 또한 플런저 로드(13)를 포함하며, 도 5a 및 도 5b에서, 약물 용기(도시되지 않음)와 상호작용하도록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13)가 근위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약제 용기(15)의 임의의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플런저 로드(13)는 더 이상 도 5b에서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지 않으며, 유지 슬리브(9)에 의해 가해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된 힘과 원위 탄성 부재(20)로부터의 편향력에 의해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강제시킨다. 이에 의해, 유지 슬리브(9)는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플런저 로드(13)로부터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으로의 지지부가 제거됨에 따라, 액추에이터(17)는 구동 스프링(12)에 의해 하우징(3)의 원위 단부(3b)를 향해 밀어내진다. 액추에이터(17)가 약물 전달 장치(1)의 후방 단부(19)에 충격을 가하면, 사용자에게 청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서브 조립체(11)는 플런저 로드(13)를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편향시키는 구동 스프링(1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서, 유지 슬리브(9)는 유지 슬리브(9)가 로킹 부재(31)(본 명세서에서는 로킹 돌출부(31)의 형태임)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유지 슬리브(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로킹 결합으로 로킹 돌출부(31)와 상호작용하는 로크아웃 구조체(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크아웃 구조체(50)는 하우징의 개구부(50)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부(50)는 로킹 돌출부(31)를 수용하여 유지 슬리브(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도록 배열된다. 즉, 로킹 돌출부(31)가 하우징(3)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9)의 일부분(9c)에 배열되므로, 로킹 돌출부(31)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유지 슬리브(9)의 축방향 및 근위 방향 이동 동안에 개구부(50)와 접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돌출부(31)는 개구부(50) 내로 스냅 끼워맞춤된다.
도 5c는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서브 조립체(11')의 적어도 일부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c의 서브 조립체(11')는 주로 도 5a 및 도 5b의 서브 조립체(11)에 대응하며, 그 차이점은 이하에 주로 설명된다. 따라서, 서브 조립체(11')는 도 2의 약물 전달 장치(1)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7), 플런저 로드(13) 및 선택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의 서브 조립체(11)의 구동 스프링(12)은 도 5c의 서브 조립체(11')에 포함된다. 도 5c에서, 약물 전달 장치의 최종 상태, 즉, 도 4d에 도시된 상태에 대응하는 약물이 약물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사용 후의 상태가 도시된다.
서브 조립체(11')는 하우징(3')이 유지 슬리브(9)의 로킹 부재(31)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개구부(50)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서브 조립체(11')는 하우징(3')에 근위 방향으로 편향된 유지 슬리브(9')를 더 포함한다. 유지 슬리브(9')는 주로 도 5a 및 도 5b의 유지 슬리브(9)에 대응하지만, 하우징(3)에 대면하는 부분(9c)에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대신에, 로킹 부재(30)는 액추에이터(17)에 대면하는 유지 슬리브(9')의 부분(9'c)에 배열된다. 도 5c에서, 로킹 부재(30)는 축방향 리브(30)에 의해 형성된다. 축방향 리브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지 슬리브(9')의 일부분(9'c)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 각각은 단부 후크(40)를 포함한다. 단부 후크(40)가 2개의 액추에이터 아암(17a, 17b)에 대해 유사하거나 대응하므로, 이는 제 1 액추에이터 아암(17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부 후크(40)는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구성된 제 1 후크 부분(41)(대응적으로 도 4a에 도시됨)과, 제 1 후크 부분(41)의 반대측에 배열된 제 2 후크 부분(42)을 포함한다. 제 2 후크 부분(42)은 로크아웃 구조체(42)를 형성하며, 따라서 축방향 리브(30)와 상호작용하여 유지 슬리브(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조립체(1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후크 부분(41, 42)과 함께, 동일한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조립체(11, 11')는 이전에 설명된 원위 탄성 부재(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원위 탄성 부재(20)는 로킹 부재(30, 31)를 통해 액추에이터(17)(도 5c의 실시예의 경우) 또는 하우징(3)(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의 경우)에 대해 대응하는 유지 슬리브(9, 9')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서브 조립체(11, 11')는 이전에 설명된 전달 부재 커버(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유지 슬리브(9, 9')는 전달 부재 커버(5)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전달 부재 커버(5)를 축방향으로 로킹할 수도 있다.
발명적인 개념은 주로 몇 가지 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가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첨부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발명적인 개념의 범위 내에서 상술된 것 이외의 다른 실시예가 동등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 부재는 예를 들면, 자동 스프링 부하식 구조체 대신에 모터 구동식 또는 수동 구동식일 수 있다.
일부 관점은 이하의 항목으로 요약된다.
항목 1. 약물 전달 장치(1)용 서브 조립체(10)에 있어서, 근위 단부(4a)로부터 원위 단부(4b)까지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활성화 로크(6)를 포함하는 약물 용기 캐리어(4)와, 약물 용기 캐리어(4)의 근위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전달 부재 커버(5)로서, 전달 부재 커버(5)는 약물 용기 캐리어(4)에 대해 신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달 부재 커버(5)와, 전달 부재 커버(5)의 근위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배열되고, 돌출부(2a)를 포함하는 캡(2)을 포함하고, 서브 조립체(10)는, 돌출부(2a)가 활성화 로크(6)에 인접하여 활성화 로크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의 후퇴 위치로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로부터, 캡이 제거되어서 돌출부(2a)가 활성화 로크(6)로부터 멀어져서 활성화 로크(6)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이에 의해 전달 부재 커버(5)의 수축 위치로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전달 부재 커버(5)는 원위 대향면(5c)을 포함하고, 활성화 로크(6)는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에서 전달 부재 커버(5)의 후퇴 위치로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원위 대향면(5c)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근위 대향면(6a)을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활성화 로크(6)는 가요성이고,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에서, 활성화 로크(6)는 서브 조립체(10)의 중심축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활성화 로크(6)에 인접한 공간(80)을 더 포함하며, 사전 활성화 방지 상태에서, 돌출부(2a)는 상기 공간(80)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에서, 상기 공간(80)은 상기 활성화 허용가능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활성화 로크(6)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6. 항목 2 및 항목 5에 있어서, 전달 부재 커버(5)는 원위 방향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원위 대향면(5c)을 근위 대향면(6a)과 접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활성화 로크(6)를 상기 공간(80) 내로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근위 대향면(6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따기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약물 용기 캐리어 및 활성화 로크(6)는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3)의 일부를 형성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활성화 시에, 약물 용기 캐리어(4)의 근위 단부(4a)를 향해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 로드(13)를 더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아암을 구비하고, 활성화 시에,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기 위해 아암을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달 부재 커버(5)는 근위 단부(5a) 및 원위 단부(5b)를 포함하고, 활성화 로크(6)는 전달 부재 커버(5)의 근위 단부(5a)와 원위 단부(5b) 사이에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2. 항목 10 또는 항목 11에 있어서, 전달 부재 커버(5)의 원위 단부(5b)는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기 위해, 아암을 이동시키도록 액추에이터(17)와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3. 항목 12에 있어서, 전달 부재 커버(5)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유지 슬리브(9)를 더 포함하고, 유지 슬리브(9)는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7)의 아암과 접하도록 배열된 표면을 포함하며, 유지 슬리브는 전달 부재 커버(5)가 후퇴 위치로 가압되어서 액추에이터(17)의 아암이 유지 슬리브(9)의 단부 부분(9a)을 지나서 해제되어서 플런저 로드(13)를 해제됨에 따라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
항목 14.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 용기(15)로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1)에 있어서, 약물 전달 장치(1)는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서브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Claims (14)

  1.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 용기(15)로부터 약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약물 전달 장치(1)용 서브 조립체(11, 11')에 있어서,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 3'b)를 구비하는 하우징(3, 3')과,
    상기 하우징(3, 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편향되고, 로킹 부재(30, 31)를 포함하는 유지 슬리브(9, 9')와,
    활성화 시에,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약물 용기(15)에 작용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된 사전 인장된 플런저 로드(13)와,
    상기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아암(17a, 17b)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17)로서, 상기 액추에이터(17)는 활성화 시에, 상기 아암을 이동시켜서 상기 플런저 로드(13)를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상기 액추에이터(17)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슬리브(9, 9')는 상기 액추에이터(17)의 아암(17a, 17b)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17)의 아암(17a, 17b)과 접하도록 배열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슬리브(9, 9')는 약물 전달 작동 동안에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17)의 아암(17a, 17b)이 상기 유지 슬리브(9, 9')의 단부 부분(9a)을 지나서 해제되게 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13)의 해제를 야기하며, 상기 유지 슬리브(9, 9')는 상기 유지 슬리브(9, 9')가 상기 로킹 부재(30, 31)에 의해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로크아웃 작동 동안에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아웃 구조체(42, 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크아웃 구조체는 상기 유지 슬리브(9, 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로킹 결합으로 상기 로킹 부재(30, 31)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아웃 구조체(42, 50)는 상기 액추에이터(17) 또는 상기 하우징(3)에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30)는 상기 액추에이터(17)에 대면하는 상기 유지 슬리브(9')의 부분(9'c)에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축방향 리브(30)인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6. 제 3 항과,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7)의 아암은 단부 후크(40)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후크(40)는 상기 플런저 로드(13)를 사전 인장된 상태로 로킹하도록 배열된 제 1 후크 부분(41)과, 상기 제 1 후크 부분(41)의 반대측에 배열된 제 2 후크 부분(42)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후크 부분(42)은 상기 로크아웃 구조체(42)를 형성하고, 상기 유지 슬리브(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상기 로킹 부재(30)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하우징(3)에 대면하는 상기 유지 슬리브(9)의 부분(9c)에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8. 제 3 항 및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은 로크아웃 구조체(50)를 형성하고 상기 유지 슬리브(9)를 축방향으로 로킹하기 위해 상기 로킹 부재(31)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개구부(5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31)는 상기 하우징(3)의 개구부(50) 내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슬리브(9, 9')는 원위 탄성 부재(20)에 의해 상기 하우징(3, 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편향되고, 상기 원위 탄성 부재(20)는 로크아웃 작동 시에 상기 로킹 부재(30, 31)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17) 또는 상기 하우징(3)에 대해 상기 유지 슬리브(9, 9')를 가압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조립체(11, 11')는 상기 플런저 로드(13)를 상기 하우징(3, 3')의 근위 단부(3a)를 향해 편향시키는 구동 스프링(12)을 더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 3')에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3, 3')의 근위 단부(3a)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 부재 커버(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 커버(5)는 약물 전달 작동 동안에, 신장 위치로부터, 상기 전달 부재 커버(5)가 상기 하우징(3, 3') 내에 더 수용되는 후퇴 위치로 상기 하우징(3) 내`에 대해 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슬리브(9, 9')는 상기 전달 부재 커버(5)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14. 전달 부재(22)를 통해 약물 용기(15)로부터 약물을 배출하기 위한 약물 전달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 장치(1)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브 조립체(11, 11')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247011992A 2021-10-14 2022-09-30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KR20240055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02765.0 2021-10-14
EP21202765 2021-10-14
US202263305325P 2022-02-01 2022-02-01
US63/305,325 2022-02-01
PCT/EP2022/077253 WO2023061769A1 (en) 2021-10-14 2022-09-30 Sub-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839A true KR20240055839A (ko) 2024-04-29

Family

ID=8404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992A KR20240055839A (ko) 2021-10-14 2022-09-30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5839A (ko)
WO (1) WO20230617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3213B2 (en) * 2009-10-16 2016-01-12 Janssen Biotech, Inc. Palm activated drug delivery device
EP2399633A1 (en) *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80082552A (ko) * 2015-12-14 2018-07-18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약물 전달 장치
US11331432B2 (en) * 2017-07-12 2022-05-17 Shl Medical Ag Administration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7271536B2 (ja) * 2017-10-30 2023-05-11 サノフイ 注射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1769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432B2 (en) Administration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232351B1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DK2175916T3 (en) An injection device
CN110325234B (zh) 医疗输送装置的安全组件
AU2008285447A1 (en) Injection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for syringe carrier
TWI605846B (zh) 藥物輸送裝置
KR102414668B1 (ko) 운송 로크 조립체, 및 운송 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송달 장치
KR10241464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CA2695410C (en) Injection device
US20140243760A1 (en) Needle safety device
US20230024440A1 (en) Safety cap
US20210220564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13164692B (zh) 防激活护帽组件
TW201815433A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子組合體
KR20240055839A (ko) 약물 전달 장치용 서브 조립체
EP4072625B1 (en) Assembly,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18103095A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子组件
US20230082704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EP4299090A1 (en) Autoinjector with resilient adjustment means between plunger rod and barrel
WO2023031000A1 (en) A subassembly of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20230110782A (ko) 약물 전달 장치
WO2021185478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