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570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570A
KR20240055570A KR1020220136031A KR20220136031A KR20240055570A KR 20240055570 A KR20240055570 A KR 20240055570A KR 1020220136031 A KR1020220136031 A KR 1020220136031A KR 20220136031 A KR20220136031 A KR 20220136031A KR 20240055570 A KR20240055570 A KR 2024005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holes
housing
chamber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철
이록행
강정훈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570A/ko
Priority to PCT/KR2023/015356 priority patent/WO2024085510A1/ko
Publication of KR2024005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모터, 흡입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흡입모터와 흡입팬을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개시한다. 진공 청소기는 본체 하우징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소음기를 포함한다. 소음기는 기류와 접촉하도록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접촉면에 의해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구획된 소음챔버를 포함한다. 소음기는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소음챔버가 연통되도록 접촉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본 개시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오물(rubbish)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로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과 업라이트형(upright type)이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청소기 또한 대중화되고 있다.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고성능의 모터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모터와 모터에 부착된 팬에서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터 주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적용하여 소음 저감을 시도가 지속적으로 존재하였으나, 최근 청소기의 소형화로 인해 모터 주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게 되었다.
또한, 과거에 고려된 소음 저감 기술은 머플러 형태나 다공형 구조를 활용하여 모터에서 토출되는 유동의 속도를 저감하는 방식인데, 이는 유동의 속도 감소에 의한 청소기 성능 하락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례에 따르면 본체의 부피증가를 최소화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모터 주변에 추가적인 구조물을 적용하지 않고 소음을 저감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만을 저감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특정 대역의 소음 주파수만을 제거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제거하고자 하는 소음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청소기의 성능을 유지시키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유동의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르면 유동이 통과하지 않는 소음기가 부착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모터,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소음기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기류와 접촉하도록 상기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접촉면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구획된 소음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접촉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들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류의 방향으로 상기 배기홀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미세다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미세다공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메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는 메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제1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슬릿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원형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로부터 흡입된 상기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이물질 여과장치의 상부에 마련되고,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수용하며, 일측면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소음기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류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접촉면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구획되는 소음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접촉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미세다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제1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슬릿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메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원형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소음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에 별도로 장착되는 소음기를 개시하여 청소기 자체의 본체 부피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사용 중에 소음기를 조작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대역의 소음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공들로 유동이 통과하지 않아 유동의 속도가 감소하지 않게 되어 진공 청소기 성능을 하락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A-A'를 따라 도 2의 진공 청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B-B'를 따라 도 6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소음기의 챔버 내부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C-C'를 따라 도 10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D-D'를 따라 도 15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슬릿 커버를 제거한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서 슬릿 커버가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E-E'를 따라 도 18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소음기의 구성 중 피스톤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F-F'를 따라 도 22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등의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 시계방향은 제1 방향,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반시계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통용될 수 있으나, 이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회전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14) 및 흡입 헤드(14)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되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흡입 헤드(14)와 본체(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장관(1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헤드(14)는 흡입 브러시(미도시)를 포함하며,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피청소면의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 헤드(14)는 연장관(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관(13)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파이프 또는 플렉시블한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13)은 본체 내부의 흡입모터(173)(도 4 참조)를 통해 발생된 흡입력을 흡입 헤드(14)로 전달하고, 흡입 헤드(14)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먼지 등 이물질을 후술할 이물질 여과부(12) 및 본체(100)로 안내할 수 있다.
본체(100)는 손잡이(1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5)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는 진공 청소기(1)의 부품에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에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되는 이물질 여과부(12)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소음기(200)가 장착될 수 있다. 소음기(20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A-A'를 따라 도 2의 진공 청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분해하여 대각선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대각선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체(1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의 구조와 서로간의 위치관계에 대해 살핀다.
본체 하우징(100')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배기 유로관(120)이 결합된 구성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베이스 하우징(110)의 내부란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 또한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모두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본체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베이스 하우징 바디(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베이스 하우징 바디(113)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베이스 하우징 바디(113)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베이스 하우징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111)와 제2 베이스 하우징 개구(112)는 서로 연통되어 베이스 하우징 바디(13)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 바디(113)의 일측면에는 손잡이(15)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5)의 일측면에는 배터리(11)가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111)는 제2 베이스 하우징 개구(112)보다 지름이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공 청소기(1)는 모터 어셈블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70)는 흡입모터(17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70)는 회로판(171)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판(171)은 배터리(11)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회로판(171)은 흡입모터(1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회로판(171)은 흡입모터(173)를 작동시킬 수 있다.
흡입모터(173)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70)는 모터 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커버(172)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판(171)과 흡입모터(173)는 모터 커버(17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70)의 모터 커버(172)는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는 모터 어셈블리 커버 바디(18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 커버 바디(183)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는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1)와 제2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2)는 서로 연통되어 모터 어셈블리 커버 바디(183)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는 베이스 하우징(110)의 제2 베이스 하우징 개구(112)를 통해 삽입되어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 내부에는 모터 커버(172)가 위치할 수 있고, 모터 커버(172) 내부에는 흡입모터(173)와 회로판(171)이 위치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흡입모터(172)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5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151)에는 회전축(152)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축(152)은 흡입모터(17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회로판(171)에 의해 흡입모터(173)가 작동되면 회전축(152)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팬(151)은 회전하게 되어 흡입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팬(151)이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흡입팬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의 일부는 모터 커버(172)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흡입팬 커버 개구(161)측의 흡입팬 커버(160) 일부는 모터 커버(172)에 삽입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는 베이스 하우징(1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흡입모터(173)와 흡입팬(151)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배기 유로관(12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하우징(100')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와 모터 커버(17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는 지름이 점점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대략 중공의 원뿔곡선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입팬 커버(160)는 대략 모래시계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는 흡입모터(173)와 대향되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흡입팬 커버 개구(16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는 타측에 마련되는 제2 흡입팬 커버 개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팬 커버 개구(161)와 제2 흡입팬 커버 개구(162)는 서로 연통되어 흡입팬 커버(16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팬 커버(160)와 모터 커버(172)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흡입팬 커버(160)와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는 디퓨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164)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164)는 디퓨저(164)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디퓨저 유로(165)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저(164)는 흡입팬 커버(160)의 제2 흡입팬 커버 개구(16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퓨저(164)와 흡입팬 커버(160)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164)와 흡입팬 커버(16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배기 유로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은 베이스 하우징(110)의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111)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은 대략 원통 형상의 배기 유로관 바디(125)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 바디(125)는 배기홀(12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배기 유로관 바디(125)의 일단은 연결부(123)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23)의 지름은 배기 유로관 바디(125)의 지름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기 유로관(120)은 타측에 마련되는 제1 배기 유로관 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은 일측에 마련되는 제2 배기 유로관 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 유로관 개구(121)와 제2 배기 유로관 개구(122)는 서로 연통되어 배기 유로관 바디(125)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베이스 하우징(110)의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유로관(120)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결합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은 베이스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0)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필터 바디(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 바디(133)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필터 개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 바디(133)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필터 개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 개구(131)와 제2 필터 개구(132)는 서로 연통되어 필터 바디(133)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130)는 배기 유로관(120)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필터 개구(131) 혹은 제2 필터 개구(132)의 지름은 제1 배기 유로관 개구(12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필터는 배기홀(124)들을 커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 여과부(12)에서 여과된 공기는 배기홀(124)들을 지나 다시한번 필터(130)에서 걸러져서 깨끗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 바디(13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배기 유로관(12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에 필터(130)가 장착되는 경우, 필터(130)의 제1 필터 개구(131)로 배기 유로관(120)의 타단이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배출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하우징(140)은 대략 원통형상의 배출 하우징 바디(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하우징(140)은 베이스 하우징(110)과 대향되는 일측에 마련되는 제2 배출 하우징 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하우징(140)은 타측에 마련되는 제1 배출 하우징 개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 하우징 개구(141)와 제2 배출 하우징 개구(142)는 서로 연통되어 배출 하우징 바디(143)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140)은 배출 하우징 바디(143)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배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하우징(140)은 필터(13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 필터 개구(131)의 지름보다 제2 배출 하우징 개구(142)의 지름이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 바디(14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필터 바디(13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에 배출 하우징(140)과 필터(130)가 장착되는 경우, 배출 하우징(140)은 필터(130)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하우징 바디(14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배기 유로관(12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에 배출 하우징(140)과 배기 유로관(120)이 장착되는 경우, 배출 하우징(140)의 제1 배출 하우징 개구(141)로 배기 유로관(120)의 타단이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베이스 하우징(110)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마련되는 소음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기(200)는 배기 유로관(120)의 제1 배기 유로관 개구(121)에 삽입되어 배기 유로관(1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소음기(200)는 본체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소음기(200)가 배기 유로관(120)의 일단에 장착되도록 마련하게 되어 진공 청소기(1)의 본체(100)의 부피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소음기(2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방식 및 작동원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공기가 진공 청소기(1) 내부에 흡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상기 구성들과의 관계에서 살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가 작동할 경우, 회로판(171)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흡입모터(173)가 구동될 수 있다. 흡입모터(173)가 구동되는 경우 흡입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흡입압력은 흡입 헤드(14)에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해당 흡입력에 의해 공기는 이물질과 함께 흡입 헤드(14)에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흡입 헤드(14)에서 연장관(13)을 통해 이물질 여과부(1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물질 여과부(12)에서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여과부(12)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이물질 여과부(12)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 여과부(12)의 상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베이스 하우징(11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하우징(110) 내에 수용된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의 제2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2)에 인입될 수 있다. 제2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182)에 인입된 공기는 제2 흡입팬 커버 개구(162)에 인입되어 모터 어셈블리 커버(180)와 연통되어있는 흡입팬 커버(16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흡입팬 커버(160) 내부로 인입된 공기는 흡입팬(151)을 지나 흡입팬 커버(160)와 연통되어있는 디퓨저(164)에 인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퓨저(164)의 디퓨저 유로(165)에 인입될 수 있다. 디퓨저(164)의 디퓨저 유로(165)로 인입된 공기는 디퓨저 유로(165)를 통과하여 배기 유로관(12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배기 유로관(12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소음기(20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흡입팬(151)으로부터 베이스 하우징(110)의 외부로 기류를 안내하는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소음기(200)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소음대역의 주파수가 제거되어 흡입모터(173) 및 흡입팬(15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음기(200)와 접촉하여 소음이 저감된 유동은 배기홀(124)을 통해 배기 유로관(12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기(200)는 유동과 접촉하도록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관통공(202)들은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에서 기류의 방향으로 배기홀(124)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 유로관(120) 외부로 배기된 유동은 필터(13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 여과부(12)를 거친 공기는 더욱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필터(130)를 통과한 유동은 배출 하우징(14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배출 하우징 바디(143)에 마련된 배출구(144)를 통해 공기는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음기(200)를 이루는 구성 및 구조와 소음기(200)에 의한 소음저감원리를 살핀다.
소음기(200)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제1 소음기 하우징(203)을 포함한다. 소음기(200)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제2 소음기 하우징(204)을 포함한다. 제1 소음기 하우징(203)은 제2 소음기 하우징(20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음기 하우징(203)과 제2 소음기 하우징(204)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음기 하우징(203)의 일측에는 접촉면(201)이 마련될 수 있다. 소음기(200)는 접촉면(201)이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접촉면(201)과 배기 유로관(120)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각도를 갖도록 접하거나 서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접촉면(201)에는 복수의 관통공(202)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통공(202)들은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와 소음기(200) 내부의 소음챔버(215) (도 7 참조)가 연통되도록 접촉면(201)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면(201)은 미세다공패널(MPP)로 마련되어 미세다공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헬름홀츠 공명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소음기(200)의 구체적인 종류와 그에 따른 복수의 관통공(202)들에 관한 형태 및 배치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소음기(200)와 접촉한 공기는 복수의 관통공(202)에 직접적으로 인입되지 않는다. 즉, 소음기(200)의 접촉면(201)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202)에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고, 제거 대상 대역 주파수를 가진 소음만이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유동은 통과하지 않고 음파만이 복수의 관통공(202)에 통과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유동이 직접적으로 복수의 관통공(202)들을 통과하지 않아 유동의 진행상 장애물이 없으므로 유동의 속도는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 유동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진공 청소기(1)의 성능이 하락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202)들을 통해 소음기(200) 내부로 인입된 제거대상 대역 주파수를 가진 음파는 소음기(200) 내에서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파가 갖는 소리에너지는 열에너지 혹은 기타 에너지로 전환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소리에너지를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소음 하우징(20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소음 하우징(204)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의 합은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의 파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소음 하우징(20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소음 하우징(204)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의 합은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가진 음파의 파장길이의 10분의1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B-B'를 따라 도 6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소음기의 챔버 내부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소음기(210)는 미세다공패널(MPP)를 포함하는 소음기(210)일 수 있다. 소음기(210)는 제1 소음 하우징(21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기(210)는 제2 소음 하우징(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음 하우징(213)은 제2 소음 하우징(214)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음 하우징(213)의 지름은 제2 소음 하우징(214)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음 하우징(213)은 접촉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기(210)는 접촉면(211)에 의해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로부터 구획된 소음챔버(2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촉면(211)에 의해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와 소음챔버(215)는 구분될 수 있다. 소음기(220)는 소음기(220)내부를 복수의 챔버(222)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챔버들(222)로의 구획을 통해 소음기(220) 내부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접촉면(211)은 미세다공(212)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다공(212)은 구멍의 지름이 1mm 혹은 그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세다공(212)은 접촉면(211)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미세다공패널(MPP)을 포함하는 소음기(210)는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다공(212)의 지름, 접촉면(211)의 두께, 소음챔버(215)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 소음챔버(215)의 부피 및 유공률(접촉면(211)의 면적 대비 미세다공(212)의 면적의 비율)등을 설계인자로 하여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챔버(215)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수록, 유공률이 작을수록 더 낮은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음기(230)는 접촉면(231)에 메시커버(23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커버(235)는 접촉면(231)에 마련되는 미세다공(232)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음기(230)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킴에 있어, 공기는 직접적으로 미세다공(232)을 통과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공기는 접촉면(231)과 접촉은 할 수 있다. 공기와 접촉면(231)이 접촉하게 되어 접촉면(231)에 마련되는 미세다공(232)들과 공기는 상호작용을 하여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한 와류에 의해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소음은 오히려 증가하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이때, 미세다공(232)을 커버하도록 메시커버(235)를 배치하는 경우, 공기는 메시커버(235)에 가로막혀 미세다공(232)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나, 소음대역의 음파는 미세다공(232)에 여전히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미세다공(232)들간의 상호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추가소음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C-C'를 따라 도 10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소음기(240)는 공명기형 소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명기형 소음기는 헬름홀츠 공명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면(241)은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들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음기(240)의 내부는 챔버 내부벽(245)에 의해 복수의 챔버들(242a', 242b', 242c', 242d')로 구획될 수 있다. 접촉면(241)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들 각각은 복수의 챔버(242a', 242b', 242c', 242d')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챔버(242a', 242b', 242c', 242d')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를 활용한 소음기(240)는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소음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의 단면적,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이 형성되는 접촉면(241)의 두께, 소음기(240) 내부의 부피등을 설계인자로 하여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이 형성되는 접촉면(241)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소음기(242a, 242b, 242c, 242d240) 내부의 부피가 클수록 더 낮은 대역의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다.
헬름홀츠형 소음기(240)는 복수의 관통공(242a, 242b, 242c, 242d)의 크기와 각 관통공(242a, 242b, 242c, 242d)과 연통되는 복수의 챔버들(242a', 242b', 242c', 242d')의 부피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자들을 조절하여 하나의 헬름홀츠형 소음기(240)를 장착하는 경우라도 동시에 다양한 주파수대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헬름홀츠형 소음기(250)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252a, 252b, 252c, 252d)에도 공기는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접촉면(251)과 공기의 유동이 상호작용을 함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추가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존재함은 미세다공패널(MPP)를 포함하는 소음기(210)(도 6 참조)에서와 같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음기(250)는 복수의 관통공(252a, 252b, 252c, 252d)들을 커버하는 메시커버(2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커버(252)가 복수의 관통공(252a, 252b, 252c, 252d)들을 커버하는 경우, 공기의 유동과 복수의 관통공(252a, 252b, 252c, 252d)들간의 상호작용을 방지할 수 있어 추가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메시커버(251)를 포함하는 방법 이외에도 헬름홀츠형 소음기에서 추가적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소음기는 복수의 관통공(262)들을 커버하도록 접촉면(261)에서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26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 가드(263)가 복수의 관통공(262)들을 커버함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복수의 관통공(262)들과 상호작용하지 않게 되고 소음대역의 음파만이 복수의 관통공(262)들로 인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음을 저감하는 동시에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 가드(263)는 접촉면(261)과 수직하게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 지지대(265)와 결합하여 소음기(2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D-D'를 따라 도 15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통공(272a, 272b, 272c)들은 제1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공들(27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272a, 272b, 272c)들은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공(27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공(272a, 272b, 272c)들 중에는 서로 같은 지름을 갖는 관통공들도 존재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관통공들도 존재할 수 있다.
소음기(270)는 소음기(270) 내부를 복수의 챔버(272a', 272b', 272c')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2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272a, 272b, 272c)들은 복수의 챔버(272a', 272b', 272c')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슬릿 커버를 제거한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서 슬릿 커버가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E-E'를 따라 도 18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제1 관통공(292a)들과 제2 관통공(292c)들은 접촉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관통공(292a, 292b, 292c)들은 서로 다른 세가지 지름을 갖는 종류로 도시되었으나, 해당 종류의 수는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소음기(290)는 복수의 관통공(292a, 292b, 292c)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제1 관통공들(292a)과 제2 관통공(292c)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슬릿 커버(29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 커버(293)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유동과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292a, 292b, 292c)들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공 청소기(1)의 흡입모터(173)의 출력에 따라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해당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292a, 292b, 292c)들을 배기 유로관(120)의 내부에 노출시켜 변화하는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슬릿 커버(293)가 회전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F-F'를 따라 도 22의 소음기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원형의 결합구(306)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하우징(3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기(300)는 피스톤 하우징(305)과 연통되도록 결합구(306)에 삽입될 수 있다. 소음기(300)는 소음챔버(307)의 부피를 변화시키도록 피스톤 하우징(305)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소음기(300)가 피스톤 하우징(305)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소음챔버(307)의 부피가 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거대상 대역의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소음기(300)가 피스스톤 하우징(305) 내에서 이동하는 동력의 경우, 흡입팬(151)에 의한 흡입압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 내지 도 23에는 미세다공패널(MPP)로 마련되는 형태의 소음기에 피스톤 하우징(305)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고 헬름홀츠형태의 소음기뿐만 아니라라 기타 소음기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진공 청소기
11: 배터리
12: 이물질 여과장치치
13: 연장관
14: 흡입 헤드
15: 손잡이
100: 본체
100': 본체 하우징
110: 베이스 하우징
111: 제1 베이스 하우징 개구
112: 제2 베이스 하우징 개구
113: 베이스 하우징 바디
120: 배기 유로관
121: 제1 배기 유로관 개구
122: 제2 배기 유로관 개구
123: 연결부
124: 배기홀
125: 배기 유로관 바디
126: 배기 유로관의 내부
130: 필터
131: 제1 필터 개구
132: 제2 필터 개구
133: 필터 바디
140: 배출 하우징
141: 제1 배출 하우징 개구
142: 제2 배출 하우징 개구
143: 배출 하우징 바디
144: 배출구
150: 흡입팬 어셈블리
151: 흡입팬
152: 회전축
160: 흡입팬 커버
161: 제1 흡입팬 커버 개구
162: 제2 흡입팬 커버 개구
163: 흡입팬 커버 바디
164: 디퓨저
165: 디퓨저 유로
170: 모터 어셈블리
171: 회로판
172: 모터 커버
173: 흡입모터
180: 모터 어셈블리 커버
181: 제1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
182: 제2 모터 어셈블리 커버 개구
183: 모터 어셈블리 커버 바디
200: 소음기
201: 접촉면
202: 복수의 관통공
203: 제1 소음 하우징
204: 제2 소음 하우징
210: 소음기
211: 접촉면
212: 미세다공
213: 제1 소음 하우징
214: 제2 소음 하우징
215: 소음챔버
220: 소음기
221: 챔버 내부벽
222: 복수의 챔버
223: 제1 소음 하우징
224: 제2 소음 하우징
230: 소음기
231: 접촉면
232: 미세다공
233: 제1 소음 하우징
234: 제2 소음 하우징
235: 메시커버
240: 소음기
241: 접촉면
242: 복수의 관통공
242': 복수의 챔버들
243: 제1 소음 하우징
244: 제2 소음 하우징
245: 챔버 내부벽
250: 소음기
251: 접촉면
252: 메시커버
253: 제1 소음 하우징
254: 제2 소음 하우징
260: 소음기
261: 접촉면
262: 복수의 관통공
263: 관통공 가드
264: 소음 하우징
265: 관통공 가드 지지대
270: 소음기
271: 접촉면
272: 복수의 관통공
272a: 제1 관통공
272b: 제2 관통공
272c: 제3 관통공
272': 복수의 챔버
272a': 제1 챔버
272b': 제2 챔버
272c:'제3 챔버
273: 제1 소음 하우징
274: 제2 소음 하우징
275: 챔버 내부벽
280: 소음기
281: 접촉면
282: 복수의 관통공
282a: 제1 관통공
282b: 제2 관통공
282c: 제3 관통공
283: 제1 소음 하우징
284: 제2 소음 하우징
285: 메시 커버
290: 소음기
291: 접촉면
292: 복수의 관통공
292a: 제1 관통공
292b: 제2 관통공
292c: 제3 관통공
293: 슬릿 커버
294: 소음 하우징
295: 챔버 내부벽
296: 복수의 챔버
300: 소음기
301: 접촉면
302: 복수의 관통공
303: 제1 소음 하우징
304: 제2 소음 하우징
305: 피스톤 하우징
306: 결합구
307: 소음챔버

Claims (20)

  1. 흡입모터;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팬을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기류와 접촉하도록 상기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구획된 소음챔버;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접촉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들; 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류의 방향으로 상기 배기홀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미세다공으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미세다공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메시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는 메시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제1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공들 및
    상기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마련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슬릿 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4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원형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며,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한 진공 청소기.
  13.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헤드;
    상기 흡입헤드로부터 흡입된 상기 이물질을 여과하는 이물질 여과장치;
    상기 이물질 여과장치의 상부에 마련되고,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기류를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수용하며, 일측면에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의 소음을 저감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소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흡입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류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에 의해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구획되는 소음챔버;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챔버가 연통되도록 상기 접촉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공들; 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미세다공으로 마련되고, 상기 접촉면의 일면에 균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촉면에서 이격되어 마련되는 관통공 가드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제1 지름을 갖는 제1 관통공들 및
    상기 제1 지름과 다른 제2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를 복수의 챔버들로 구획하는 챔버 내부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의 챔버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챔버에 연통되는 진공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접촉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마련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제2 관통공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슬릿 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들을 커버하는 메시커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20. 제14항,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원형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피스톤 하우징과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며,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챔버의 부피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한 진공 청소기.
KR1020220136031A 2022-10-20 2022-10-20 진공 청소기 KR20240055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31A KR20240055570A (ko) 2022-10-20 2022-10-20 진공 청소기
PCT/KR2023/015356 WO2024085510A1 (ko) 2022-10-20 2023-10-05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31A KR20240055570A (ko) 2022-10-20 2022-10-20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570A true KR20240055570A (ko) 2024-04-29

Family

ID=9073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31A KR20240055570A (ko) 2022-10-20 2022-10-20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5570A (ko)
WO (1) WO20240855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5257A (en) * 1996-08-01 1998-06-16 Emerson Electric Co. Muffler
JP4942716B2 (ja) * 2008-08-29 2012-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吸音構造体、電気機器、電気掃除機、及び、吸音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964644B1 (ko) * 2012-05-10 2019-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부가 구비된 가전기기
CN114607645A (zh) * 2020-12-04 2022-06-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消声结构和家电设备
CN114677996A (zh) * 2020-12-25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防风噪设备及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510A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91B1 (ko) 진공청소기
JP2934598B2 (ja) 騒音減少システム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20110122699A (ko) 소음 장치
GB2413062A (en) Vacuum cleaner brush head with noise attenuating aperture
US11937759B2 (en) Vacuum cleaner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RU2662024C2 (ru) Всасы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о звукоотраж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4937984B2 (ja) 電気掃除機
KR20240055570A (ko) 진공 청소기
CN103381080A (zh) 吸尘器的低噪音电机盒
GB2406043A (en) Vacuum cleaner exhaust arrangement
KR10063157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CN115089047A (zh) 配备有消声腔的家用吸尘器
JPH07250789A (ja) 電気掃除機の消音装置
CN111588303A (zh) 吸尘器
KR20030058054A (ko) 이중 필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240048008A (ko) 흡음벽을 구비한 휴대용 진공 청소기
KR20240024688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5819687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23123071A (ja) 消音装置及び低騒音掃除機
KR20240045905A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H11318780A (ja) 電気掃除機用吸い込み具
KR200205691Y1 (ko) 진공청소기 흡음케이스의 소음저감구조
JP2013063117A (ja) 電気掃除機
JP2001061725A (ja) 床用吸込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