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471A -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471A
KR20240055471A KR1020220135784A KR20220135784A KR20240055471A KR 20240055471 A KR20240055471 A KR 20240055471A KR 1020220135784 A KR1020220135784 A KR 1020220135784A KR 20220135784 A KR20220135784 A KR 20220135784A KR 20240055471 A KR20240055471 A KR 2024005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personalized
new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현철
김승환
전진영
Original Assignee
윤현철
김승환
전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철, 김승환, 전진영 filed Critical 윤현철
Priority to KR102022013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471A/en
Publication of KR2024005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47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는,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를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복수 회 측정할 수 있다.Disclosed is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The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measuring an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a fixing strip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part and capable of being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wherein the measuring part adjusts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for pulling the connecting strip part by the handle part to a constant level. Measurements can be made multiple times over a time period.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별 운동 강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반복 운동 시에 기준 강도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근력 운동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nd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that enables effective strength exercise by precisely measuring individual exercise intensity and using it as a reference intensity during repetitive exercise. It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of strength training using the same.

코로나 19 펜데믹 등의 외부 환경과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홈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홈 트레이닝은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이 덜하다는 장점과, 혼자도 충분히 운동할 수 있도록 홈 트레이닝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가 개발되어 공유되고 있다. 집안에서 홈 트레이닝용 컨텐츠를 참조할 경우에 운동 방법이나 운동 자세 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로 따라할 수 있다.Interest in home training is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external environments and social awarenes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ome training has the advantage of being less restricted by location and time, and various contents for home training are being developed and shared so that people can exercise sufficiently on their own. When referring to home training content at home, you can follow the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posture to some extent.

다만 홈 트레이닝의 경우에 운동 강도 및 운동 효과 등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개인별 운동 능력의 차이가 있음에도 획일화된 홈 트레이닝 영상을 참고하여 운동을 할 경우에 정확한 근육의 사용이나 사용가능한 최대 근력에 대해서 측정할 수 없으므로 운동자가 어느 정도의 운동을 하였는지 알 수 없어서, 운동 결과를 기록하기 어렵고,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home training,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quantitatively measure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effectiveness. In particular,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individual exercise abilities, when exercising with reference to standardized home training video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exact muscle use or maximum available strength, so it is impossible to know how much exercise the exerciser has done. It is difficult to record exercise results, and problems are being pointed out in establishing exercise plans.

따라서, 홈 트레이닝을 수행함에 있어서 근력 사용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운동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muscle strength used and quantitatively confirm the amount of exercise when performing home training, and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97846호(공개일:2022.07.08.)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97846 (Published Date: 2022.07.08.)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277220호(공고일:2021.07.16.)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2277220 (Announcement Date: 2021.07.16.)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842514호(공고일:2018.03.27.)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842514 (Announcement Date: 2018.03.27.)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457353호(공고일:2014.11.03.)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No. 10-1457353 (Public Notice Date: 2014.11.03.) 특허문헌 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720호(공고일:2014.03.14.)Patent Document 5: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1720 (Announcement Date: 2014.03.14.)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최대 근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최대 근력에 맞춰서 반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운동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운동 효과 및 운동 계획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need, can precisely measure the maximum strength of each user and systematically manage exercise effects and exercise plans by presenting exercise targets to the user to perform repetitive exercises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maximum strengt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는,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를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복수 회 측정할 수 있다.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measuring an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a fixing strip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part and capable of being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wherein the measuring part adjusts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for pulling the connecting strip part by the handle part to a constant level. Measurements can be made multiple times over a time period.

이 경우에,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by correcting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trip portion and the force pulled by the fixing strip portion.

한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the maximum value and measurement tim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calculates the user's 1 RM (1 Repetition Maximum).

이 경우에,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1RM 데이터를 머신 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unit may predict new 1RM data based on the user's past 1RM data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이 경우에, 상기 연산부는, 예측된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반영하여 수립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unit may visually provide the predicted new 1RM data to the user and establish the new 1RM data by reflecting it in the user's exercise plan.

이 경우에, 상기 연산부는, 새로 수립된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운동 중 측정 근력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1RM 미도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measured muscle strength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user's exercis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wly established exercise plan, the calculation unit may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1RM not being reach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은,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 새로 측정된 힘의 최대값 및 측정 시간을 이용하여 머신 러닝 모델에 따라 신규 1RM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신규 1RM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는,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portion that a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a connection strip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and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connection strip unit, a fixed strip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unit and can be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and the maximum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that includes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time and calculates the user's 1RM (1 Repetition Maximum), wherein the measuring unit is pulled by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the fixing strip unit. measu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by correcting the losing force; The calculation unit predicts a new 1RM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the user's past 1RM data, the maximum value of the newly measured force, and the measurement time; The calculation unit establishes a new exercise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new 1RM; and providing, by the calculation unit, a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이 경우에, 상기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예측된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의 기존 운동 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new exercise plan, the calculation unit may establish a new exercise plan by reflecting the predicted new 1RM data to the user's existing exercise plan.

이 경우에, 상기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새로 수립된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운동 중 측정 근력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1RM 미도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if the measured muscle strength during the user's exercis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wly established exercise plan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value, the calculation unit determines the 1RM not reached. A further step may be performed to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notifies the user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을 실행하는 코드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 새로 측정된 힘의 최대값 및 측정 시간을 이용하여 머신 러닝 모델에 따라 신규 1RM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신규 1RM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는,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A storage medium for storing code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handle portion that a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 a measurin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part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connection strip part, and a fixing strip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part so that it can be fixed by hanging on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 part of an object, and the The code for executing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including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the maximum value and measurement tim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calculates the user's 1RM (1 Repetition Maximum) is the measurement unit, the connection measu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by correcting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strip portion and the force pulled by the fixed strip portion; The calculation unit predicts a new 1RM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the user's past 1RM data, the maximum value of the newly measured force, and the measurement time; The calculation unit establishes a new exercise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new 1RM; And the calculation unit executes a step of providing a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별로 최대 근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최대 근력에 맞춰서 반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운동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strength of each user can be precisely measured, and the exercise effect is improved by presenting an exercise target to the user to perform repetitive exercises according to the measured maximum strength,

또한, 사용자의 최대 근력에 따라 운동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함으로써 근력 발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monitoring strength development by systematically establishing exercise plans according to the user's maximum streng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의 연산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을 운영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럭도에서 머신 러닝 모델을 갱신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블럭도에서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asuring unit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unit of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updating a machine learning model in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ure 7, and
FIG. 9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xercise plan in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7.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100)는 손잡이부(110), 연결 스트립부(120), 측정부(130) 및 고정 스트립부(14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측정부(130)에 내장되도록 연산부(1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연산부(150)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부(130)의 내부에 제어 보드(132)에 내장된 실행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연산부(1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제어 보드(132)에 구비된 저장 매체에 연산부(15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실행가능한 코드 형태로 미리 설치되서 실행되는 설치형 애플리케이션 구현 방식을 의미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includes a handle portion 110, a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a measuring portion 130, and a fixing strip portion 14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alcul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be built into the measurement unit 130. Alternatively, the calcula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lculation unit 150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execution application built into the control board 132 inside the measurement unit 130.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n installation type applicatio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a computer executable code is pre-installed and executed on a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control board 132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unit 150.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연결 스트립부(120)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손잡이부(110)는 손가락과 손바닥이 접촉하는 그립 부재(111)와 그립 부재(111)의 양 측면에 연결되서 연결 스트립부(120)에 그립 부재(111)를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11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andle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pull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The handle portion 110 includes a grip member 111 where the fingers and the palm contact and a connection member 112 that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rip member 111 and secures the grip member 111 to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It can be configured.

연결 스트립부(120)는 탄성 소재의 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스트립부(120)는 일 측면이 연결 부재(112)와 연결되서 손잡이부(110)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면이 측정부(130)의 연결 고리(13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스트립부(120)는 미리 결정된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탄성력은 연결 스트립부(120)를 길이 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장력에 대응한 복원력을 의미한다. 즉, 연결 스트립부(120)의 종류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기 결정된 길이로 늘리기 위 해서 요구되는 장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스트립부(120)의 종류와 길이 방향으로 늘릴 경우에 요구되는 탄성력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연산부(150)의 저장 부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may be made of a string of elastic material. The connection strip part 12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2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110,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135 of the measuring part 130. .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Here,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refers to the restor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tension required to vary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necting strip portion 120, the tension required to extend i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vary.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and the elastic force required when extend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separately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of the calculation unit 15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s provided below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측정부(130)는 일 측이 연결 스트립부(12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 측이 고정 스트립부(140)의 일단과 연결된다. 측정부(130)는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부(110)가 잡아 당겨지면, 연결 스트립부(120)를 통해서 측정부(130)에 전달되는 당기는 힘과, 측정부(130)에 연결된 고정 스트립부(140)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계적 외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기계적 외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당기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측정부(130)는 로드셀(Load Cell)을 이용하여 기계적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One side of the measuring unit 1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strip unit 1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strip unit 140. When the handle unit 110 is pulled by the user, the measuring unit 130 receives a pulling force transmitted to the measuring unit 130 through the connecting strip unit 120 and a fixed strip unit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130 ( 140), a mechanical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and this device converts this mechanical extern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measure the user's pulling force. The measuring unit 130 may be designed to convert mechanic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using a load cell. A mor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고정 스트립부(14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다른 물체 내지 다른 운동 기구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 스트립부(140)는 탄성력이 적은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카본,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strip unit 140 performs the function of hanging and fixing a part of the user's body, another object, or a part of another exercise equip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strip portion 140 is made of a material with low elasticity. Preferably, it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carbon, metal,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측정부(130)는 PCB 기판(131), 제어 보드(132), 증폭 모듈(133), 변위 모듈(134), 연결 고리(135) 및 통신 모듈(136)을 포함한다. PCB 기판(131)은 제오 보드(132), 증폭 모듈(133) 및 통신 모듈(136) 등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보드이다. 제어 보드(132)는 증폭 모듈(133), 변위 모듈(134), 통신 모듈(13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보드(132)는 저장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1RM(One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고, 연산된 1RM과 기존의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연산부(150)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보드(132)는 엣지(Edge) 컴퓨팅 방식으로 기계 학습 모델을 로딩하고, 로딩된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서 1RM을 예측할 수 있다. 증폭 모듈(133)은 변위 모듈(134)에 의해서 기계적 외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기계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 고리(135)은 일 측이 변위 모듈(134)의 일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이 연결 스트립부(120)의 일 측에 연결된다. 손잡이부(110)에 의해서 연결 스트립부(120)가 당겨지면 연결 고리(135)도 함께 당겨지면서 기계적 외력이 변위 모듈(134)에 작용하게 된다. 연결 고리(135)에 작용하는 기계적 외력은 변위 모듈(134)에서 변위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 모듈(133)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통신 모듈(136)은 증폭 모듈(133)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패킷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136)은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36)운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미리 학습된 기계 학습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asuring unit shown in FIG. 1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measurement unit 130 includes a PCB board 131, a control board 132, an amplification module 133, a displacement module 134, a connection ring 135, and a communication module 136. . The PCB board 131 is a board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Zeo board 132,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The control board 13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displacement module 134, and communication module 136. The control board 132 is equipped with a storage module (not shown), calculates 1RM (One Repetition Maximum) using a pre-installed application, and operates a calculation unit 150 that establishes an exercise plan using the calculated 1RM and existing exercise data. ) can also function as. This control board 132 can load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an edge computing method and predict 1RM based on the load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performs the function of amplifying a signal and converting the mechan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order to convert the mechanical external fo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displacement module 134. One side of the connection ring 13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cement module 134,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When the connection strip part 120 is pulled by the handle part 110, the connection ring 135 is also pulled, and a mechanical external force acts on the displacement module 134. The mechanical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link 135 is converted into a displacement signal in the displacement module 134 and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in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into a transmission packet for transmiss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ervice server 300.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operates with low power. For long-distance transmission, long-distan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user terminal 200 located nearby.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36 may receive a pre-trained machine learning model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rvice server 3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의 연산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연산부(150)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코드 형식으로 측정부(130)의 제어 보드(132)에 미리 설치되서 실행될 수 있다. 연산부(150)는 최대 근력 연산 모듈(151), 과거 최대 근력 데이터베이스(152), 머신 러닝 모듈(153) 및 운동 계획 수립 모듈(154)를 포함한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unit of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alculation unit 150 may be pre-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control board 132 of the measurement unit 130 in a computer-executable code format. The calculation unit 150 includes a maximum strength calculation module 151, a past maximum strength database 152, a machine learning module 153, and an exercise plan establishment module 154.

최대 근력 연산 모듈(151)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복수회의 근력 정보와 반복 회수를 이용하여 1RM(One Repetition Maximum)을 산출한다. 즉, 사용자가 최대 근력 측정을 요청한 뒤, 사용자에 의해서 복수 회의 근력 입력이 이루어지면 입력 횟수와 최대 근력을 이용하여 1RM을 산출하게 된다.The maximum strength calculation module 151 calculates 1RM (One Repetition Maximum) using the strength information and number of repetitions of multiple repetitions input by the user. That is, after the user requests maximum strength measurement, if the user inputs strength multiple times, 1RM is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inputs and maximum strength.

과거 최대 근력 데이터베이스(152)는 사용자에 의해서 이전에 산출된 1RM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신규 1RM을 측정하기 위한 요청을 하기 전까지 저장된 사용자의 1RM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연결 스트립부(12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연결 스트립부(120)의 탄성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스트립부(120)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하면 해당 연결 스트립부(120)의 미리 정해진 탄성력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연결 스트립부(120)를 교체하여 1RM을 새롭게 측정하고자 한다면 해당 연결 스트립부(120)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측정부(130)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연결 스트립부(120)의 특징에 따라 얼만큼 늘리는지 인지하지 않더라도 1RM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 past maximum strength database 152 refers to a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1RM previously calculat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it means the user's 1RM database stored until the user makes a request to measure a new 1RM.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can be replaced, so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if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is input into the user terminal 200,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can be known. If the user wants to measure 1RM anew by replacing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the user can measure the measurement unit 13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by calibrating the measurement unit 130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You can measure your 1RM even if you are not aware of how much you are increasing it.

머신 러닝 모듈(153)은 미리 훈련된 머신 러닝 모델로써, 입력값으로써 사용자의 복수개의 근력 정보, 반복 횟수 및 연결 스트립부(120)에 관한 정보이고 출력값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1RM 예측값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머신 러닝 모델은 서포트 벡터 머신, 로지스틱 회귀 모델, 결정 나무 모델, 랜덤 포레스트 모델, 인공 신경망 모델 등의 다양한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 모델을 적용할 경우에는 시계열적 예측이 가능한 RNN 모델 계열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용자의 복수개의 근력 정보와 과거 1RM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1RM을 예측할 경우에는 결정 나무 모델,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조합하는 앙상블 모델로 구축할 수도 있다.The machine learning module 153 is a pre-trained machine learning model. As input values, the user's plural strength information, number of repetit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strip unit 120 are used, and as output values, the user's 1RM predicted value can be calculated. . Here, various models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 logistic regression model, decision tree model, random forest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can be applied as the machine learning model. When apply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t is desirable to apply a RNN model series capable of time series prediction. However, when predicting a new 1RM using the user's multiple strength information and past 1RM information, an ensemble model that combines a decision tree model and a random forest model can be constructed.

머신 러닝 모듈(153)은 제어 보드(132)에서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훈련하는 모델이 아니고,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서비스 서버(300)에서 미리 학습된 학습 모델을 로딩하여 사용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어 보드(132)에서 머신 러닝 모델(15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1RM을 예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1RM의 예측값을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과 동시에 머신 러닝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별도의 자원을 소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 소모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The machine learning module 153 is not a model that is directly trained using training data from the control board 132, but is a model that is used by loading a learning model previously learn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or service server 300. am.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1RM prediction value by predicting the user's 1RM using the machine learning model 153 in the control board 132,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device for learning the machine learning model. It has the advantage that resource consumption is not larg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resource consumption.

운동 계획 수립 모듈(154)은 신규 1RM을 산출하면 산출된 1RM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력 운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기준값(신규 1RM)에 못미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운동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피드백을 알림으로 전달하고,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1RM을 측정하기 위한 피드백을 알림으로 전달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hen the exercise plan establishment module 154 calculates the new 1RM, it evaluates the user's strength exercise based on the calculated 1RM, and if it falls below the standard value (new 1RM), provides feedback to the user to improve the exercise method. It is delivered as a notification, and if the standard value is exceeded, feedback to measure the new 1RM is delivered to the user as a notificatio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근력 측정 장치(100)로 근력 측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01). 사용자가 근력 측정 장치(100)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근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02). 사용자 정보 요청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근력 측정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03). 근력 측정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확인한다(S404).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근력 측정 장치(100)로 사용자 근력을 입력하는 액션을 행할 수 있다(S405).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아 당겨서 연결 스트립부(120)에 연결된 연결 고리(135)를 당겨서 변위 모듈(134)을 잡아 당겨지면 증폭 모듈(133)에 의해서 기계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서 사용자 근력 정보가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사용자 근력 정보는 근력 측정 장치(100)에서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S406). 또한 근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근력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근력 정보에 따른 1RM을 연산할 수 있다(S407). 근력 측정 장치(100)는 1RM을 산출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될때까지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근력 입력 추가 요청을 할 수 있다(S408).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사용자 근력 입력 추가 요청을 받으면 손잡이부(110)를 잡아 당겨서 반복적으로 사용자 근력 정보를 입력한다(S409). 근력 측정 장치(100)는 이렇게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근력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근력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ML 모델을 새로운 ML 모델로 학습시킨다(S411). 이러한 ML 모델 학습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진행될 수 있고, 사용자 근력 정보를 전달받은 후 일정한 데이터가 축적된 경우에 ML 모델 학습을 진행한다. 근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근력 정보를 분서하여 1RM을 산출한다(S412). 서비스 서버(300)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ML 모델을 갱신할 수 있다(S413). 서비스 서버(300)는 갱신된 새로운 ML 모델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414).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일정한 시간 주기로 갱신되는 ML 모델을 일정한 주기로 근력 측정 장치(100)로 전달하여 ML 모델을 갱신시킨다(S415). 근력 측정 장치(100)는 이미 로딩된 ML 모델을 이용하여 1RM을 예측하여 생성한다(S416). 근력 측정 장치(100)로 새로운 운동 활동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맞춤형 운동 계획 정보를 제공한다(S417) 또는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새로운 운동 계획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418).Figure 4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user may transmit a request for muscle strength measurement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401). When the user uses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for the first time,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transmit a user informa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200 (S402).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request, the user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403).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analyz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identifies the user (S404). The user may perform an action of inputting the user's muscle strength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405).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portion 110 and the displacement module 134 by pulling the connection ring 135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the mechan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amplification module 133. As it is converted,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is input. The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input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to the service server 300 (S406). Additionally,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analyze the user's muscle strength information and calculate 1RM according to the muscle strength information (S407).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request additional user strength input to the user terminal 200 until the conditions for calculating 1RM are met (S408). When the user receives a request to add user strength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pulls the handle part 110 and repeatedly inputs the user strength information (S409).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transmit the repeatedly input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0 (S410). The service server 300 trains the existing ML model into a new ML model using the user's muscle strength information (S411). This ML model learning can proceed at a certain time period, and ML model learning is performed when certain data is accumulated after receiving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analyzes the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and calculates 1RM (S412). The service server 300 may update the ML model at a certain time period (S413). The service server 300 transmits the updated new ML model to the user terminal 200 (S414). The user terminal 200 updates the ML model by transmitting the ML model, which is updated at a constant time perio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at a constant period (S415).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predicts and generates 1RM using an already loaded ML model (S416). When a new exercise activity is input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user-customized exercise pla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S417) or the service server 300 establishes a user-customized exercise plan and new exercise pla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S418).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연결 스트립부 설정 화면을 통해서 근력 측정 장치(100)에 연결되는 연결 스트립부(120)의 컬러, 재질, 길이, 제조사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연결 스트립부(120)의 탄성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운동 강도 설정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의 최대근력, 반복횟수, 운동시간 및 총칼로리 정보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1RM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a), the user selects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connection strip section 120 connected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ion strip section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elastic force of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trip portion 120 can be set in advance by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length, manufacturer, etc.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b), the user inputs the user's maximum strength, number of repetitions, exercise time, and total calorie information through the exercise intensity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Basic data for the user's 1RM can be set in advanc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을 참고하면, 도 5(b)에 의해서 설정된 사용자의 1RM이 10.0KG으로 연산된 경우에, 해당 1RM(10KG)을 알림 설정의 목표치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근력 측정을 요청한 뒤,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아 당겨서 측정부(130)에 의해서 사용자의 근력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0KG이 측정되면 미리 설정된 알림 설정 값보다 낮은 값으로 측정된 것이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좀더 강하게 당겨야 운동 효과가 있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Pop_1)이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 도 6(c)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아 당겨서 측정부(130)에 의해서 11KG이 측정되면 알림 설정으로 설정한 10.0KG을 초과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d)에서 근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기록이 갱신된 것이므로 사용자의 1RM을 새롭게 측정하도록 안내하는 팝업 메시지(Pop_2)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도록 한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ersonalized strength exercis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a), when the user's 1RM set in Figure 5(b) is calculated as 10.0KG, the corresponding 1RM (10KG) is set as the target value for notification settings, and after the user requests muscle strength measurement , the user pulls the handle unit 110 and the user's muscle strength information can b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30. For example, if 9.0KG is measured, the value is lower than the preset notification setting value, so as shown in FIG. 6(b), a pop-up message (Pop_1) is displayed (210) informing the user that he or she must pull harder to achieve an exercise effect. ) is displayed. In Figure 6(c),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110 and the measurement unit 130 measures 11K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eight exceeds the 10.0KG set in the notification setting. In FIG. 6(d),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displays a pop-up message (Pop_2) on the display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to guide the user to measure the user's 1RM again since the user's record has been upda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을 운영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근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근력 측정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서 원격의 서비스 서버(300)와도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력 측정 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서 일정한 시간 주기로 사용자의 근력 정보를 측정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근력 측정 장치(100)는 저전력 통신 방식으로 측정된 사용자 근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사용자 근력 정보를 사용자 근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사용자 근력 정보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N)를 통해서 연결된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근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ML 모델을 학습시켜서 1RM 예측을 위한 ML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이렇게 생성된 ML 모델을 네트워크(N)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ML 모델을 근력 측정 장치(100)로 로딩하여 1RM을 예측하기 위한 머신 러닝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performs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using a short-range, low-power communication method. Additionally,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can als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ith a remot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N).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measure the user's muscle strength information at regular time periods through the network N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server 300. Alternatively, th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measured using a low-power communication method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the received user strength information in local storage as a user strength information database.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received user strength information along with the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N). The service server 300 may generate an ML model for predicting 1RM by training an ML model for the user using user information and user muscle strength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300 may transmit the ML model created in this way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N). The user terminal 200 may load the ML model in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to configure a machine learning module for predicting 1RM.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럭도에서 머신 러닝 모델을 갱신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근력 측정 장치(100)는 연산부(150)의 머신 러닝 모듈(153)을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근력 측정 장치(100)는 연산부(150)의 머신 러닝 모듈(153)에 대한 갱신을 위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신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신규 데이터를 네트워크(N)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신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ML 모델을 신규 학습시켜서 신규 ML모델로 갱신시킬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신규 ML 모델을 네트워크(N)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신규 ML 모델을 저전력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서 근력 측정 장치(100)로 전송하여 연상부(150)의 머신 러닝 모듈(153)을 갱신시킬 수 있다. FIG. 8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updating a machine learning model in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7. Referring to FIG. 8,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non-temporarily store the machine learning module 153 of the calculation unit 150.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may measure data for updating the machine learning module 153 of the calculation unit 150 and transmit new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new data to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N). The service server 300 can learn an existing ML model using new data and update it into a new ML model. The service server 300 transmits the new ML model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N). The user terminal 200 may update the machine learning module 153 of the association unit 150 by transmitting the new ML model to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through a low-power local area network.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블럭도에서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근력 측정 장치(100)에 새로운 운동 활동이 기록되면, 기존의 운동 계획 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신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신규 데이터를 네트워크(N)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신규 데이터에 따라 기존에 저장된 운동 계획 정보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동 계획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운동 계획 정보와 신규 데이터 정보를 비교하여 운동 계획에 따른 운동 활동인지 확인하고, 적절한 경우에는 운동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만약 적절하지 않은 운동 활동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운동 활동이 적절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FIG. 9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 exercise plan in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7. Referring to FIG. 9 , when new exercise activity is recorded in th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100, the new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for comparison with existing exercise pla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new data to the serv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N). The service server 300 searches previously stored exercise plan information according to new data and transmits the retrieved exercise pla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N. The user terminal 200 compares the received exercise plan information with the new data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exercise activity is according to the exercise plan, and, if appropriate,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xercise effect is positive to the user. If the exercise activity is not appropriate, the user terminal 200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exercise activity is not appropri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just becaus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mputer programs can be stored i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ies. do.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stored and provided on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et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110 : 손잡이부
120 : 연결 스트립부
130 : 측정부
140 : 고정 스트립부
150 : 연산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서비스 서버
100: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110: handle part
120: Connection strip part
130: measuring unit
140: Fixed strip part
150: calculation unit
200: user terminal
300: service server

Claims (10)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를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일정한 시간 주기로 복수 회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In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A handle that the user can hold with one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measuring an external force pulled by the connection strip unit; and
A fixing strip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unit and can be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The measur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force pulling the connection strip unit by the handle unit is measured multiple times at a certain time period,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by correcting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trip portion and the force pulled by the fixing strip portion,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the maximum value and measurement tim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calculates the user's 1RM (1 Repetition Maximum).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1RM 데이터를 머신 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calculation unit predicts new 1RM data based on the user's past 1RM data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예측된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반영하여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alculation unit visually provides the predicted new 1RM data to the user and establishes the new 1RM data by reflecting it in the user's exercise plan.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새로 수립된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운동 중 측정 근력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1RM 미도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alcul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easured muscle strength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user's exercis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wly established exercise plan, it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regarding 1RM not reached,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 새로 측정된 힘의 최대값 및 측정 시간을 이용하여 머신 러닝 모델에 따라 신규 1RM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신규 1RM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는,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
A measurement that measures an external force pulled by a handle portion that a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a connection strip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A fixed strip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unit and can be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and receives the maximum value and measurement tim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to determine the user's 1RM (1 Repetition Maximum) In a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a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including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easuring unit measures a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by correct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trip portion and a force pulled by the fixing strip portion;
The calculation unit predicts a new 1RM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the user's past 1RM data, the maximum value of the newly measured force, and the measurement time;
The calculation unit establishes a new exercise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new 1RM; and
The calculation unit includes providing a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Strength training method using a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예측된 신규 1RM 데이터를 사용자의 기존 운동 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7,
In the step of establishing the new exercise plan, the calculation unit establishes a new exercise plan by reflecting the predicted new 1RM data to the user's existing exercise plan.
Strength training method using a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산부는, 새로 수립된 사용자의 운동 계획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운동 중 측정 근력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1RM 미도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if the measured muscle strength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user's exercis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wly established exercise plan, the calculation un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1RM not reached to the user. Characterized by further performing the step of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notify,
Strength training method using a personalized strength measurement device.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측에 연결되는 기 결정된 탄성력을 갖는 연결 스트립부,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상기 연결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외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타측에 연결되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일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트립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최대값과 측정 시간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1RM(1 Repetition Maximum)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근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근력 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연결 스트립부의 기 결정된 탄성력과 상기 고정 스트립부에 의해서 당겨지는 힘을 보정하여 상기 당기는 힘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사용자의 과거 1RM 데이터, 새로 측정된 힘의 최대값 및 측정 시간을 이용하여 머신 러닝 모델에 따라 신규 1RM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신규 1RM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는, 새로운 운동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저장 매체.
A measurement that measures an external force pulled by a handle portion that a user can hol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a connection strip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and a connection strip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A fixed strip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easuring unit and can be fix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or an object, and receives the maximum value and measurement tim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to determine the user's 1RM (1 Repetition Maximum) In the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a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measuring unit corrects the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strip portion and the force pulled by the fixing strip portion to obtain a maximum value of the pulling force. measuring; The calculation unit predicts a new 1RM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the user's past 1RM data, the maximum value of the newly measured force, and the measurement time; The calculation unit establishes a new exercise plan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new 1RM; and providing, by the operation unit, a new exercise plan to the user.
KR1020220135784A 2022-10-20 2022-10-20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KR202400554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84A KR20240055471A (en) 2022-10-20 2022-10-20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784A KR20240055471A (en) 2022-10-20 2022-10-20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471A true KR20240055471A (en) 2024-04-29

Family

ID=9088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784A KR20240055471A (en) 2022-10-20 2022-10-20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471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20Y1 (en) 2012-03-09 2014-03-14 (주)코디아트 Flash Stretching Athletic Device
KR101457353B1 (en) 2012-08-16 2014-11-03 김민준 muscular exercise equipment
KR101842514B1 (en) 2016-12-20 2018-03-2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Elastic band
KR102277220B1 (en) 2019-09-05 2021-07-16 정유경 Compression band
KR20220097846A (en)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퓨런헬스케어 Smart exercise device capable of real-tim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20Y1 (en) 2012-03-09 2014-03-14 (주)코디아트 Flash Stretching Athletic Device
KR101457353B1 (en) 2012-08-16 2014-11-03 김민준 muscular exercise equipment
KR101842514B1 (en) 2016-12-20 2018-03-27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Elastic band
KR102277220B1 (en) 2019-09-05 2021-07-16 정유경 Compression band
KR20220097846A (en) 2020-12-31 2022-07-08 주식회사 퓨런헬스케어 Smart exercise device capable of real-tim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870C2 (en) System for obtain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method for obtaining biological information
US9171482B2 (en) Providing diet and exercise plans with real time tracking, modification, and notification
US11163853B2 (en) Sensor design support apparatus, sensor design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0077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elzenmüller et al. Assessing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spatially managed areas
Runacres et al. The reliability of force-velocity-power profiling during over-ground sprint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R102398319B1 (en) Method for, device for, and system for recommending education contents
US11933857B2 (en) Battery residual value determination system
KR20240055471A (en)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measurement device and strength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EP2816331A1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system
US20190160333A1 (en) Adaptive fitness training
KR102284441B1 (en) Exercise support device using guide ui for personalized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9135507A (en) Learn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KR20210023114A (en) System for recommending exercise
Maghazeh et al. Perception-aware power management for mobile games via dynamic resolution scaling
CN110689781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children education
KR20130102886A (en) System for managing exercise and method therefor
KR102221287B1 (en) Game system using hitting detection and LSTM model
KR20160015808A (en)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Wireless Jump Rope Apparatus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Millner What is the true value of forecasts?
JPWO2017150224A1 (en) Prediction device and prediction system
JP6795867B1 (en) Online study room system, online study room provision method, and online study room provision program
KR102198148B1 (en) User action pattern recommend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whole-rounded education
KR20200028922A (en)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Sequential Probability Ratio Testing algorithm for learning operation by question bank and learner level
CN102217943B (en) Test method and system during general 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