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467A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5467A KR20240055467A KR1020220135772A KR20220135772A KR20240055467A KR 20240055467 A KR20240055467 A KR 20240055467A KR 1020220135772 A KR1020220135772 A KR 1020220135772A KR 20220135772 A KR20220135772 A KR 20220135772A KR 20240055467 A KR20240055467 A KR 20240055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unit
- inhalation
- exhalation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3019 respiratory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70833 Respiratory muscle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59 Dys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178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687 Respiratory distr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01 intercos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069 pulmonary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220 shortness of br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by moving the surrounding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3B2230/40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는, 사용자의 흉위를 감싸도록 착용하고,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착용부, 착용부의 내부 공간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고, 내면의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및 센서부의 복수의 압력 센서의 위치 정보 및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들숨 또는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contains fluid insid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changes locally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The sensor unit, which is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wearable unit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at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us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to detect the user's inhalation. Or,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exhale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or exhalation to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상의 흉위 체적 변위를 감지하는 사용자의 호흡 재활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A device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of the user that is worn on the user's chest and detects the volume displacement of the thoracic region during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using the same. It's about method.
우리나라의 경우에 폐렴,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의 질병으로 인한 사망율이 높다. 이러한 질병의 증상 중 폐기능 감소, 호흡근 위약,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호흡 재활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In Korea, the death rate due to diseases such as pneumoni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s high. Among the symptoms of these diseases, there is a need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s to relieve symptoms of decreased lung function, respiratory muscle weakness, and respiratory distress.
특히 코로나19의 후유증으로 폐의 섬유화와 호흡근 약화로 인하여 숨이 차는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호흡 재활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으로 요통, 경추통, 측만증에도 호흡 재활이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발휘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of shortness of breath due to lung fibrosis and respiratory muscle weakness as a side effect of COVID-19 is increasing. For these patients, respiratory rehabilitation is considered an essential method, not an option. In addition, respiratory rehabilitation has a fundamental therapeutic effect on musculoskeletal diseases such as back pain, cervical pain, and scoliosis.
문제는 이러한 호흡 재활 치료는 전문가의 도움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정에서도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호흡 재활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 problem is that such respiratory rehabilitation treatment is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experts, but in order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ect at hom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하고, 들숨과 날숨으로 인한 상체의 국소적인 체적 변위를 감지하여 들숨과 날숨의 패턴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로써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 재활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necessity, is worn by the user on the upper body, detects local volume displacement of the upper body due to inhalation and exhalation, analyzes changes in the pattern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perform rehabilitation on its own and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는, 사용자의 흉위를 감싸도록 착용하고,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 공간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고, 내면의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복수의 압력 센서의 위치 정보 및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들숨 또는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contains fluid inside, and has an inner surface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 wearing part where the pressure applied to it changes locally; A sensor uni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wearing unit a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at sense pressure applied to a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hales or exhales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inhale or exhale to the user.
이 경우에, 상기 착용부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면서 사용자의 등부위를 개방하도록 사용자의 흉위에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를 충진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earing part is made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is worn on the user's chest so as to surround the user's chest area and opens the user's back area, and the inside can be filled with gas or liquid.
한편,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양쪽 폐의 가쪽(lateral) 영역, 중간엽(mesenchymal)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착용부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may have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area and mesenchymal area of both lungs of the user, and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wearing unit.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에 따라 압력, 빛, 소리,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의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to enable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form of pressure, light, sound, vibr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nhales or exhales,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버튼에 따라 설정된 사용 모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button that receives a use mode from the user, and provides different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mode set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button. You can.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상기 모드 선택 버튼을 통해서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유체 충진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if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he wearer It further includes a fluid filling part that supplies air or fluid to the inside of the unit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through the wearing part worn by the user It further includes a vibrating unit tha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한쪽 폐 부분에만 진동자극을 가하는 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유체 충진 부재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the control uni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to only one lung part of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It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memb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t supplies air or fluid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to increase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nd further includes a fluid filling member that increases the resistance value. do.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들숨과 날숨의 횟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들숨과 날숨의 횟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호흡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inhalations and exhalations from the user,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relevant breathing method so that the user inhales and exhales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of inhalations and exhalation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흉위를 감싸도록 착용하고,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 공간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고, 내면의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복수의 압력 센서의 위치 정보 및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들숨 또는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유체 충진부 및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이용하는 호흡 재활 방법은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선택 버튼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사용 모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체 충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contains fluid insid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changes locally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 sensor unit consisting of a wearable unit,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wearable unit and sensing pressure a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haling or exhaling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ing or exhaling to the user, supplying air or fluid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to increase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includes a fluid-filled part that increases the resistance value and a vibration part tha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part worn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ser through a mode selection button that receives a usage mode from the user. receiving input of the type of use mode from; and providing, by the control unit, different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mode set by the user.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differently, the control unit: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when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nformation, the fluid filling unit is controlled to supply air or fluid into the wearing unit to be worn by the user. A step of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orn part can be perform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is present, a step of controlling the vibrating part and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part worn by the user can be performed.
이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체 충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differently, the control unit vibrates when the type of the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nformation. A step of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part worn on the user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par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controlled, the fluid filling part is controlled to supply air or fluid into the wearing part to Steps can be taken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들숨과 날숨을 수행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들숨과 날숨의 패턴을 분석하여 호흡 재활 운동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 재활 운동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고,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erforms inhalation and exhalation, this is detected, the pattern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s analyzed, and information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exercises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respiratory rehabilitation exercises on their own. There is convenience,
또한, 호흡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의 체적 변위를 감지하여 정확한 호흡근 사용을 안내함으로써 요통, 경추통, 측만증에 효과적인 재활 운동을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by detecting the volume displacement of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user wearing the breathing device and guiding the correct use of respiratory muscles, effective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back pain, cervical pain, and scoliosis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help of expe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를 착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착용부의 외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용부에 구비된 센서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중 날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제1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제2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날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wearing part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ensor unit provided in the wearing unit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inhalation state during the first mode of operation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an exhalation state during first mod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operation in the inhalation state during the second mode operation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operation in the inhalation state during the second mode operation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an exhalation state during second mod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변형 실시하는 범위까지도 권리 범위에 속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rights even to the extent of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를 착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100)의 착용부(110)를 사용자의 흉위 위치에 놓고, 착용부(110)의 개방 부위를 사용자의 흉위에 밀어넣어서 착용할 수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100)의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흉위를 둘러싸도록 착용될 수 있다.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100)의 착용부(11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흉위에 밀착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a),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00 can be worn by placing the wearing part 110 on the user's chest and pushing the open portion of the wearing part 110 onto the user's chest. . Referring to FIG. 1(b), the wearing portion 110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00 may be worn so as to surround the user's chest. The wearing portion 110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0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 can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100)는 착용부(110), 착용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센서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착용부(110)에 연결되는 유체 충진부(170) 및 착용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부(19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00 includes a wearing unit 110, a sensor unit 130 provided inside the wear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5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optionally include a fluid filling part 170 connected to the wearing part 110 and a vibrating part 190 provided inside the wearing part 110.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흉위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다. 착용부(110)의 내부에는 유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착용부(110)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면서 사용자의 등부위를 개방하도록 사용자의 흉위에 밀착되도록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를 충진시킬 수 있다.The wearing unit 110 can be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110 contains fluid,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may locally change depending on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The wearing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The wearing unit 110 i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so as to surround the user's chest area and open the user's back area, and the inside can be filled with gas or liquid.
센서부(130)는 사용자의 폐가 위치한 양쪽에 구분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0)는 기계적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복수의 개소에 위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양쪽 폐의 가쪽(lateral), 중간엽(mesenchymal)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30)는 착용부(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된 내벽에 고정되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3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ser's lungs. The sensor unit 130 is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echanical pressure and is loca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preferably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and mesenchymal lobes of both lungs of the user. It can b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130 is fixed and attached to the inner wall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wearing unit 110.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에 따라 압력, 빛, 소리,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의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정보(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유체 충진부 및/또는 진동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사용 모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 장치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서 제어부(1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control signal) to enable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form of pressure, light, sound, vibr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nhales or exhales, It can be output to the filling part and/or the vibrating part). The control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ion button that receives a usage mode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50 may provide different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mode selected by the user. This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or laptop, and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on such an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50.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센서부(130)로부터 센싱값 및 센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와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저전력 블루투스(BLE), 로라(LoR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sensor unit 130 and receive sensing values and senso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sensor unit 130 using Zigbee, WiFi, Bluetooth Low Energy (BLE), or LoRa.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호흡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호흡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을 화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has a display,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program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and has a mode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various setting commands for the respiratory rehabilitation program from the user as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유체 충진부(170)는 제어부(150)의 모드 선택 버튼을 통해서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제1 피드백 신호 수신), 착용부(11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 충진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착용부(110)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줄 수 있다. 또는 유체 충진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착용부(110)의 내부 유체 압력을 낮춰서 저항값을 낮출 수 있다.The fluid filling unit 170 monitors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50 while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control unit 150. If it is determined (the first feedback signal is received), air or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unit 110. The fluid filling unit 170 may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Alternatively, the fluid filling unit 170 may lower the resistance value by lower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또한, 유체 충진부(170)는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제4 피드백 신호 수신), 착용부(11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유체 충진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착용부(110)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줄 수 있다. 유체 충진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착용부(110)의 내부 유체 압력을 낮춰서 저항값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filling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50 while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receiving the fourth feedback signal), the fluid filling unit 170 ), air or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part 110. The fluid filling unit 170 may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The fluid filling unit 170 may lower the resistance value by lower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진동부(190)는 착용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부(190)는 제어부(150)의 모드 선택 버튼을 통해서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제2 피드백 신호 수신) 사용자에 착용된 착용부(110)로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의 흉위를 자극할 수 있다. The vibrating unit 19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earing unit 110. The vibration unit 190 adjusts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50 while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control unit 150. If it is determined (reception of the second feedback signal), vibr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wearing part 110 worn on the user to stimulate the user's chest area.
또한, 진동부(190)는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제3-1, 3-2 피드백 신호 수신), 사용자의 한쪽 폐 부분에만 진동을 발생시켜서 자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50 while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3-1, 3-2 Feedback signal reception), only one lung part of the user can be stimulated by generating vibra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착용부의 외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의 외형은 일부 영역이 절단된 도넛(Donut)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착용부(110)는 탄성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내부에 유체의 압력에 따라 사용자와의 밀착력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내부 유체 압력 변화를 센서부(130)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착용부(110)는 가슴 부위(+X 방향)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등 부위(-X 방향)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착용부(110)의 착용 부위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해당 착용 부위를 사용자의 몸통(흉위)에 밸크로와 같은 탈착 수단(111)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조절 후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수단(111)은 밸크로 이외에도 타겟과 탈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착용자의 개개인의 몸통 치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wearing portion shown in FIG. 2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outer shape of the wearing part 110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donut with some areas cut. The wearing unit 1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its adhesion to the user can vary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and changes in internal fluid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0. there is. Referring to FIG. 3(a), it can be seen that the wearing part 110 is configured to cover the chest area (+X direction) and can be configured to open the back area (-X direction). Referring to Figure 3 (b), since the wearing part of the wearing part 110 is open, the wearing part can be adjusted and worn by attaching it to the user's torso (chest area) using a detachment means 111 such as Velcro.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is detachment means 111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arget other than Velcro, and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individual torso.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착용부에 구비된 센서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착용부(110)의 안쪽 측면 영역에서 내부면에는 2개소에 복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30-1)는 사용자의 폐의 제1 측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압력 센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센서부(130-2)는 사용자의 폐의 제2 측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압력 센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2 센서부(130-1, 130-2)는 사용자 폐의 가쪽, 중간엽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sensor unit provided on the wearing unit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at two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area of the wearing unit 110. The first sensor unit 130-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o cover the first side of the user's lungs. The second sensor unit 130-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o cover the second side of the user's lungs.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130-1 and 130-2 are preferably arranged to cover the lateral and mesenchymal regions of the user's lu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100)는 착용부(110), 센서부(130), 제어부(150), 유체 충진부(170) 및 진동부(190)를 포함한다.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흉위에 밀착되도록 착용되고,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으로 인하여 흉위의 체적이 변화하면,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서 착용부(110)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센서부(130)는 들숨 또는 날숨에 따라 변화하는 유체 압력을 센싱하고, 위치값과 센싱값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00 includes a wearing unit 110, a sensor unit 130, a control unit 150, a fluid filling unit 170, and a vibration unit 190. The wearing part 110 is wor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nd when the volume of the chest changes due to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the pressure acting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10 is localiz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chest. It changes. The sensor unit 130 senses fluid pressure that changes depending on inhalation or exhalation, and transmits the position value and sens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해서 사용자가 들숨 또는 날숨의 횟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1 화상 버튼(UI_1)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1 화상 버튼(UI_1)을 통해서 들숨 또는 날숨의 시간, 횟수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들숨 3초, 날숨 6초를 설정하면, 1회의 들숨을 3초간 유지하는 것으로 날숨을 6초간 유지하는 것으로 설정한 것이며, 해당 시간을 카운트해서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provides a first image button (UI_1) as a user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number of inhalations or exhalations through the display 151. The user can preset the time and number of inhalation or exhalation through the first image button (UI_1). For example, if you set inhalation for 3 seconds and exhalation for 6 seconds, it is set to maintain one inhalation for 3 seconds and exhalation for 6 seconds, and the time can be counted and provided a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해서 사용자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2 화상 버튼(UI_2)을 제공한다. 제1 모드는 호흡 근육 강화 모드이고, 제2 모드는 측만증 치료 모드를 의미한다. 제1 모드에서는 호흡시 센서부(130)의 양쪽 모두를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양쪽 폐에 균등하게, 호흡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들숨을 쉬면, 착용부(110)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저항을 주어 호흡 근육을 강화시킨다. 사용자가 날숨을 쉬면, 착용부(110)의 내부에 진동부(190)를 이용하여 진동 자극을 줘서 근육을 활성화시킨다. 제2 모드에서는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휘어진 쪽의 반대의 폐에서 늑간이 좁아지면서 호흡근이 사용되기 힘들고, 폐에 공기가 잘 들어가지 못하는 생리학적 호흡 패턴을 교정하도록 센서부(130)의 일부(한쪽 폐 부분에 위치하는 센서부만 동작)만 작동하도록 설정되고, 한쪽 폐호흡을 인지함으로써 갈비뼈 변형, 및 척추 측만증 호흡 패턴을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들숨을 쉬면 한쪽 폐에 진동 자극을 하도로록 하고, 한쪽 폐에서 호흡이 이루어지면 이를 센서부(130)에서 인지하고, 날숨 시에는 착용부(110)의 내부에 유체 압력을 높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에 저항을 주어 근육의 신장성 수축을 유도하는 슈로스 호흡(Rotatory Breathing)을 하게 훈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하게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50 provides a second image button (UI_2) as a user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through the display 151. The first mode refers to a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and the second mode refers to a scoliosis treatment mode. In the first mode, pressure is sensed using both sides of the sensor unit 130 during breathing, and feedback information is provided to help the user increase breathing strength equally in both lungs. For example, when the user inhales,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unit 110 is increased to provide resistance to the user to strengthen the respiratory muscles. When the user exhales, the muscles are activated by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using the vibrating unit 190 inside the wearing unit 110. In the second mode, a part (one side) of the sensor unit 130 is used to correct a physiological breathing pattern in which breathing muscles are difficult to use due to narrowing of the intercostal space in the lungs opposite to the curved side due to deformation of the spine, and air cannot enter the lungs well. It is set to operate only the sensor part located in the lung area, and by recognizing one-lung breathing, rib deformation and scoliosis breathing patterns can be correc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hales, vibration stimulation is applied to one lung, and when breathing occurs in one lung, this is recognized by the sensor unit 130, and when the user exhales, the fluid pressure inside the wearing unit 110 By increasing , you can train the user to do Schroth breathing (rotatory breathing), which induces eccentric contraction of muscles by providing resistance to the user's breathing. Below,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에 밀착된 사용자의 흉위에서 체적의 변화(들숨으로 인하여 체적 증가)를 센서부(130-1, 130-2)에 의해서 감지하면, 센서부(130)는 감지된 센서값과 센서의 위치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흉위의 체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모드(호흡 근육 강화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들숨을 감지하였으므로 제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유체 충진부(170) 및/또는 진동부(190)로 전달한다. 유체 충진부(170)는 제1 피드백 신호에 따라 착용부(110)의 내부로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주고, 사용자는 착용부(110)와의 접촉면에서 더 커진 압박을 받게 됨으로써 호흡의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an inhalation state during a first mode of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when a change in volume (volume increase due to inhalation) in the chest area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ing unit 110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30-1 and 130-2, the sensor unit 130 Transfers the detected sensor value and the sensor posi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Since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user's inhalation in the first mod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by analyzing the volume change pattern of the chest area, it generates a first feedback signal to control the fluid filling unit 170 and/or the vibrating unit 190. ) is transmitted. The fluid filling unit 170 increases the internal fluid pressure by filling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first feedback signal, and the user receives greater pressur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wearing unit 110, thereby reducing breathing. Resistance increase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1 모드 동작 중 날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에 밀착된 사용자의 흉위에서 체적의 변화(날숨으로 인하여 체적 감소)를 센서부(130-1, 130-2)에 의해서 감지하면, 센서부(130)는 감지된 센서값과 센서의 위치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흉위의 체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모드(호흡 근육 강화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날숨을 감지하였으므로 제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유체 충진부(170) 및/또는 진동부(190)로 전달한다. 진동부(190)는 제2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1 진동 부재(190-1)과 제2 진동 부재(190-2)를 작동시켜서 사용자의 흉위로 진동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날숨)을 유지하도록 호흡 훈련 피드백을 제공한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an exhalation state during first mod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when a change in volume (volume reduction due to exhal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30-1 and 130-2 in the chest area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ing unit 110, the sensor unit 130 Transfers the detected sensor value and the sensor posi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Since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user's exhalation in the first mod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by analyzing the volume change pattern of the chest area, it generates a second feedback signal to control the fluid filling unit 170 and/or the vibrating unit 190. ) is transmitted. The vibration unit 190 operates the first vibration member 190-1 and the second vibration member 190-2 according to the second feedback signal to provide vibration stimulation to the user's ches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breathe (exhale). Provides breathing training feedback to maintain ret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제1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에 밀착된 사용자의 흉위에서 체적의 변화(둘숨으로 인하여 체적 증가)를 센서부(130-1, 130-2)에 의해서 감지하면, 센서부(130)는 감지된 센서값과 센서의 위치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흉위의 체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제2 모드(측만증 치료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들숨을 감지하였으므로 제3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되 제1 센서부(130-1) 또는 제2 센서부(13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센싱값과 위치값을 이용하여 제3-1 피드백 신호를 유체 충진부(170) 및/또는 진동부(190)로 전달한다. 진동부(190)는 제3-1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1 진동 부재(190-1)를 작동시켜서 사용자의 흉위로 진동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들숨)을 유지하도록 호흡 훈련 피드백을 제공한다.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operation in the inhalation state during the second mode operation of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when a change in volume (volume increase due to breathing)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30-1 and 130-2 in the chest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ing unit 110, the sensor unit 130 Transfers the detected sensor value and the sensor posi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analyzes the volume change pattern of the chest and detects the user's inhalation in the second mode (scoliosis treatment mode), so it generates a third feedback signal and uses the first sensor unit 130-1 or the second sensor unit. The 3-1 feedbac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luid filling unit 170 and/or the vibrating unit 190 using the sensing value and the position value depending on whether it is received from one of (130-2). The vibration unit 190 operates the first vibration member 190-1 according to the 3-1 feedback signal to provide vibration stimulation to the user's chest, thereby providing breathing training feedback so that the user maintains breathing (inhalation).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들숨 상태의 제2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8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에 밀착된 사용자의 흉위에서 체적의 변화(둘숨으로 인하여 체적 증가)를 센서부(130-1, 130-2)에 의해서 감지하면, 센서부(130)는 감지된 센서값과 센서의 위치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흉위의 체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제2 모드(측만증 치료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들숨을 감지하였으므로 제3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되 제1 센서부(130-1) 또는 제2 센서부(13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센싱값과 위치값을 이용하여 제3-2 피드백 신호를 유체 충진부(170) 및/또는 진동부(190)로 전달한다. 진동부(190)는 제3-2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제2 진동 부재(190-2)를 작동시켜서 사용자의 흉위로 진동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들숨)을 유지하도록 호흡 훈련 피드백을 제공한다.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in an inhalation state during a second mode of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9 and Figure 8, when a change in volume (volume increase due to breathing)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30-1 and 130-2 in the chest area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ing unit 110. , the sensor unit 130 transmits the detected sensor value and the sensor posi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analyzes the volume change pattern of the chest area and detects the user's inhalation in the second mode (scoliosis treatment mode), so it generates a third feedback signal and uses the first sensor unit 130-1 or the second sensor unit. The 3-2 feedbac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luid filling unit 170 and/or the vibrating unit 190 using the sensing value and the position value depending on whether it is received from one of (130-2). The vibration unit 190 operates the second vibration member 190-2 according to the 3-2 feedback signal to provide vibration stimulation to the user's chest, thereby providing breathing training feedback so that the user maintains breathing (inhalation).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의 제2 모드 동작 중 날숨 상태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착용부(110)에 밀착된 사용자의 흉위에서 체적의 변화(날숨으로 인하여 체적 감소)를 센서부(130-1, 130-2)에 의해서 감지하면, 센서부(130)는 감지된 센서값과 센서의 위치값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흉위의 체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제2 모드(측만증 치료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날숨을 감지하였으므로 제4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유체 충진부(170) 및/또는 진동부(190)로 전달한다. 유체 충진부(170)는 제4 피드백 신호에 따라 착용부(110)의 내부로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주고, 사용자는 착용부(110)와의 접촉면에서 더 커진 압박을 받게 됨으로써 호흡의 저항이 높아지게 된다.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an exhalation state during second mode operation of a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when a change in volume (volume reduction due to exhal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30-1 and 130-2 in the chest area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ing unit 110, the sensor unit 130 Transfers the detected sensor value and the sensor posi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150. Since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user's exhalation in the second mode (scoliosis treatment mode) by analyzing the volume change pattern of the chest area, it generates a fourth feedback signal to control the fluid filling unit 170 and/or the vibrating unit 190. Pass it to The fluid filling unit 170 increases the internal fluid pressure by filling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fourth feedback signal, and the user receives greater pressur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wearing unit 110, thereby reducing breathing. Resistance increase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불과하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내용을 참고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변형 실시 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통합 모듈로 구성되거나, 기존의 개별 구성 요소를 더 세부적인 구성 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se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In addition, although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individually configured, they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module, or existing individual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more detailed components.
100 :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110 : 착용부
111 : 탈착수단
130 : 센서부
150 : 제어부
170 : 유체 충진부
190 : 진동부100: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10: wearing part
111: Detachment means
130: sensor unit
150: control unit
170: Fluid filling part
190: Vibration unit
Claims (10)
사용자의 흉위를 감싸도록 착용하고,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위의 체적 변화에 따라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국소적으로 변화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내부 공간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고, 내면의 접촉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복수의 압력 센서의 위치 정보 및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들숨 또는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In th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 wearing part that is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contains fluid insid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changes locally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 sensor uni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wearing unit a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at sense pressure applied to a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hales or exhales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inhale or exhale to the user.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착용부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둘러싸면서 사용자의 등부위를 개방하도록 사용자의 흉위에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를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part is made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is worn on the user's chest so as to surround the user's chest area and opens the user's back area, and is filled with gas or liquid insid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양쪽 폐의 가쪽과 중간엽 2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착용부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regions of the lateral and middle lobes of both lungs of the user and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wearing unit,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여부에 따라 압력, 빛, 소리, 진동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의 동작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to enable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form of pressure, light, sound, vibr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nhales or exhales,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버튼에 따라 설정된 사용 모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button that receives a use mode from the user, and provides different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mode set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button.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의 상기 모드 선택 버튼을 통해서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유체 충진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through the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ir enters the wearable unit. Or, it further includes a fluid filling part that supplies fluid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ing unit tha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unit worn by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present.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한쪽 폐 부분에만 진동자극을 가하는 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흉위에 접촉되는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유체 충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rol unit,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determines that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a vibration member tha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to only one lung portion of the user It further inclu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determined, it further includes a fluid filling member that supplies air or fluid into the wearing part to increase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par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들숨과 날숨의 횟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들숨과 날숨의 횟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이 이루어지도록 관련 호흡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호흡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inhalations and exhalations from the user,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breathing method so that the user inhales and exhales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of inhalations and exhalations. Characterized by,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를 입력받는 모드 선택 버튼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 모드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사용 모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게 들숨과 날숨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호흡 근육 강화 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체 충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이용하는 호흡 재활 방법.
A wearing part that is worn to surround the user's chest, contains fluid insid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changes locally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chest according to the us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wearing part. A sensor unit that is attached and installed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that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ner contact surface,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haling or exhaling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in the sensor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haling or exhaling. A control unit that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on inhalation or exhalation to the user, a fluid filling unit that supplies air or flui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unit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able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and a fluid filling unit worn by the user. In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unit that applies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receiving a type of use mode from the user through a mode selection button that receives a use mode from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providing different feedback information about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mode set by the user,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different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uid fill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inhalation situation is based on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nformation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mode. A step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value by supplying air or fluid into the wearing part to increase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part worn by the us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controlled, the vibration unit is controlled to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step of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part,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모드의 종류가 측만증 치료 모드로 설정되면,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들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를 통해서 진동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날숨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체 충진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사용자에 착용된 상기 착용부의 내부 유체 압력을 높여서 저항값을 높여주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재활 장치를 이용한 호흡 재활 방법.According to clause 9,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different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control the user when the type of use mode is set to the scoliosis treatment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situation is the user's inhalation or exhalation information. A step of applying vibration stimulation through the wearing part worn on the user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xhalation situation is controlled, the fluid filling part is controlled to supply air or fluid into the wearing part to increase the internal fluid pressure of the wearing part worn by the user.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step of increasing the resistance value by increasing,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5772A KR20240055467A (en) | 2022-10-20 | 2022-10-20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5772A KR20240055467A (en) | 2022-10-20 | 2022-10-20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5467A true KR20240055467A (en) | 2024-04-29 |
Family
ID=9088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772A KR20240055467A (en) | 2022-10-20 | 2022-10-20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5467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989B1 (en) | 2013-09-16 | 2015-02-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es for rehabilitation using piezoelectric sensor |
KR101752904B1 (en) | 2016-06-29 | 2017-07-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Respiratory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
KR102000660B1 (en) | 2019-05-21 | 2019-07-16 |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 Breathing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ombines chest wall vibration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function |
KR20220103310A (en) | 2021-01-15 | 2022-07-22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
-
2022
- 2022-10-20 KR KR1020220135772A patent/KR20240055467A/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989B1 (en) | 2013-09-16 | 2015-02-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Clothes for rehabilitation using piezoelectric sensor |
KR101752904B1 (en) | 2016-06-29 | 2017-07-03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Respiratory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
KR102000660B1 (en) | 2019-05-21 | 2019-07-16 | (주)글로티스인터내셔널 | Breathing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that combines chest wall vibration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function |
KR20220103310A (en) | 2021-01-15 | 2022-07-22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3096B2 (en) | Ambulatory respiratory assist device | |
KR101967665B1 (en) | System for remotely diagnosing spine using wearable measuring device | |
JP5711661B2 (en) | Ventilator with biofeedback monitoring and controls to improve patient activity and health | |
CN102470230B (en) | System and method for entraining the breathing of a subject | |
KR101927113B1 (en) | Scoliosis correction system using wearable IOT device | |
CN109414557A (en) | Patient interface | |
JP6275033B2 (en) | Maternity labor guidance by breathing pace | |
US20170020776A1 (en) | Respiratory therapy systems, sensors arrangements and methods | |
WO2015008013A1 (en) |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sensors and methods | |
CN108635774A (en) | A kind of intelligence training abdominal respiration device | |
WO2020006355A1 (en)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networked devices | |
EP386043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leep staging | |
CN114126566A (en) | Medical vest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101653869B1 (en) | Auxiliary apparatus for treating hypertension with breathing inducing function | |
KR102222940B1 (en) |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 |
KR10231882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Hypertension through Respiratory Training | |
KR20240055467A (en) | Wearable 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and respiratory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18024B1 (en) | Waist support for control abdominal breathing | |
WO2020170108A1 (en) | A medical device for the exercise of a user's respiratory functions and non-therapeutic monitoring and data collection method | |
TW201904510A (en) | Detecting apparatus | |
US20240001069A1 (en) | Sleep aid apparatus and control thereof | |
KR101531196B1 (en) | Device of assisting breathing of user, and method thereof using the device | |
US20240001070A1 (en) | Sleep aid apparatus and control thereof | |
EP4299098A1 (en) | A sleep aid apparatus and control thereof | |
CN208574178U (en) | A kind of intelligence training abdominal respiration de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