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248A -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248A
KR20240055248A KR1020220135315A KR20220135315A KR20240055248A KR 20240055248 A KR20240055248 A KR 20240055248A KR 1020220135315 A KR1020220135315 A KR 1020220135315A KR 20220135315 A KR20220135315 A KR 20220135315A KR 20240055248 A KR20240055248 A KR 2024005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dvertising
advertisement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앤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앤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앤플래닛
Priority to KR102022013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248A/ko
Publication of KR2024005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G06Q30/0266Vehicular advertiseme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ADVERTISING SYSTEM USING LARGE DISPLAYS INSTALLED ON TRUCKS}
본 발명은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스 지하철, 택시, 트럭 등과 같은 움직이는 차량(Vehicle)의 외부에 부착되는 광고는 고정된 위치의 옥외 광고판(billboard)에 비교하여 불특정 다수에 대한 광고 노출 빈도가 높다. 따라서, 차량들은 움직이는 광고 매체로써 종래부터 활용되고 있다. 종래 차량을 이용한 광고는 차량 내부에 광고물을 부착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광고물을 차량의 외부에 부착하거나 차량에 광고물을 래핑하는 형태로 수행되어 왔다.
다만, 이러한 차량 외부를 이용한 광고는 고정된 형태의 광고물을 차량 외부에 표시하는 것에 국한되었으며, 급변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하여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차량 외부에서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보행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광고물을 차량 외부에 데칼이나 도장 등으로 시공하고, 탈거하는 데에 많은 인력과 자원이 발생하여 차량 외부를 이용한 광고 시장의 발달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차량 외부에 용이하게 표시하여 높은 광고 전달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표시 차량; 상기 광고 표시 차량 및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광고 제공 장치; 상기 광고 제공 장치 및 광고 제공 표시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차량의 외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는, 상기 광고 표시 차량 및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 미리 제작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메모리;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 서버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서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표시 장치, 상기 위치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에 대한 감지 정보를 더 생성하며, 상기 광고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에 대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스템은 광고 표시 차량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광고 표시 차량 주변 환경에 적합하고,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외부를 이용한 광고 전달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광고 표시 차량 및/또는 광고 제공 장치의 제어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하고, 안전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상 상태 발생 상황을 여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차량의 이상 상태가 신속하게 해결되도록 한다. 즉, 더욱 안전하고 용이한 환경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은 차량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소비자의 관심 및 집중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은 광고 표시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광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e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은 광고 제공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120)를 포함한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광고 제공 장치(100),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가 서로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한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으로부터 광고 표시 차량(110)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위치 정보, 광고 표시 차량(110)이 운행 지역 정보,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는 외부 서버(120)로부터 광고 결정에 기초가 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120)는 소비자들의 관심사, 쇼핑과 관련된 정보 등과 같은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과 같은 웹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지역의 기후 정보, 날씨 정보 등과 같은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기상청 서버일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은 버스, 지하철, 택시, 트럭과 같이 움직이는 차량으로, 차량의 외부에 정보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11)가 부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11)는 차량의 외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1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유리창이 아닌 차량의 외부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정보 컨텐츠를 차량 주변의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표시 차량(110)은 화물 트럭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111)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의 외벽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11)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표시 장치(111)는 차량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빛을 투과하는 차량의 유리창으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컨텐츠 제공 장치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11)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11)의 정보 컨텐츠는 광고 표시 차량(110)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표시 차량(110)이 속하는 소속 집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정보(노선 정보를 나타내는 버스 번호 등) 등이 표시 장치(11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종래 데칼이나 도장 등을 통해 제공되던 고정된 정보였으며, 상기 정보의 변경을 위해서는 데칼이나 도장 등이 변경되어야 했고,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었다. 이와 달리, 이러한 표시 장치(111)에서 제공되는 정보 컨텐츠는 차량 외부에 종래 제공되었던 데칼이나 도장 등과 달리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고 표시 차량(110)은 표시 장치(111)를 통해 유동적인 정보 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유동적인 활용이 가능해진다. 즉, 다양한 집단들은 하나의 광고 표시 차량(110)를 공유할 수 있고, 하나의 광고 표시 차량(110)이 복수의 버스 노선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광고 표시 차량(110)의 활용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위치한 장소, 환경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광고 표시 차량(110)이 상이한 장소에 있는 경우, 출력하는 광고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표시 차량(110)이 서울에 위치하고, 현재 서울에 유명 가수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위치 정보를 광고 표시 차량(110)으로부터 수집하고, 유명 가수의 공연 정보를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하여 유명 가수의 공연과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서울에 위치한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표시 차량(110)이 해변을 포함하는 부산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광고 제공 장치(100)는 해변 용품에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부산에 위치한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표시 차량(110)이 바비큐 축제가 열린 홍천에 있는 경우, 광고 제공 장치(100)는 바비큐 축제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를 홍천에 위치한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광고 표시 차량(110)은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를 표시 장치(111)를 통해 제공하여 해당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즉, 광고 표시 차량(110)과 광고 제공 장치(100)는 디지털 지능화된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광고 제공 장치(100) 및 광고 표시 차량(1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표시 차량(110)은 표시 장치(111), 송수신부(112), 표시 제어부(113), 위치 센서(114), 감지 센서(115), 메모리(116) 및 음향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즉, 광고 표시 차량(110)은 주행을 위한 차량(vehicle)외에 상술한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11)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는 표시 장치(11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17)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외부에 부착되어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는 음향 출력부(117)를 통해 출력된다.
송수신부(112)는 광고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광고 표시 차량(110)은 송수신부(112)를 통해 위치 정보 및 감지 정보를 광고 제공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광고 제공 장치(10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12)는 외부 서버(120)와 네트워크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으며, 표시 제어부(113)의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120)에서 검색,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센서(114)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센서(114)는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광고 표시 차량(11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위치 정보는 송수신부(112)를 통해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 환경의 음향을 취득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한 영상 데이터 및 주변 환경에서 획득되는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감지 정보는 송수신부(112)를 통해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3)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술한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제어부(113)는 위치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 및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를 표시 장치(111)를 통해 표시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16)는 표시 제어부(11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위치 정보, 감지 정보 또는 광고 컨텐츠)의 임시 저장 또는 저장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1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송수신부(101), 제어부(102) [0036] 및 메모리(103)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1)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광고 제공 장치(101)는 송수신부(101)를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로부터 위치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수집하며, 송수신부(101)를 통해 외부 서버(120)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광고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 제공 장치(100)에 적합한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제어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10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3)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템플릿은 복수의 템플릿 영상, 복수의 템플릿 이미지, 복수의 템플릿 사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광고 표시 차량(110)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감지 정보 및 외부 서버(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메모리(103)에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2)는 위치 정보에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의 위치한 지역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정보는 행정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시도별 단위 또는 더 세부적인 행정 단위인 읍면동 단위로 지역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감지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의 오브젝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건물, 예를 들어, 마트, 쇼핑몰, 영화관, 백화점, 공연장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2)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건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딥 러닝 기반의 제1 영상 분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인물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부(102)는 감지 정보의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딥 러닝 기반의 제2 영상 분석 모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상 분석 모델은 적어도 영상 데이터 내에 인물의 존재 여부, 인물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분석 모델은 상기 영상 데이터 내에 인물의 연령대를 분석하고, 인물의 성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분석 모델은 인물의 접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인물의 연령대, 성별 및 접촉 여부를 고려하여 복수의 인물의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 내에 비슷한 연령대의 남녀 커플이 서로 손을 잡고 있는 경우, 제2 영상 분석 모델은 이들 인물의 관계를 커플 관계로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상술한 제1 및 제2 영상 분석 모델을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건물 정보 및 인물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생성된 광고 표시 차량의 지역 정보 및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주요 키워드로 외부 서버(120)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02)는 지역을 키워드로 설정하고, 외부 서버(120)에서 상기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결과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날씨, 지역 이슈, 지역 이벤트, 지역 행사, 지역과 관련된 상품 등에 관한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로 설정하고, 외부 서버(120)에서 상기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결과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표시 차량(110) 주변에 위치한 마트(오브젝트)와 관련된 이벤트, 프로모션, 할인 정보 또는 영화관(오브젝트)과 관련된 이벤트, 상영 시간 등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차량 주변의 인물들이 20대 남녀 커플로 추정된 경우, 20대 남녀 커플을 키워드로 설정하여 20대 남녀 커플과 관련된 이벤트, 여행, 쇼핑, 영화 정보 등을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광고 컨텐츠 콘티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광고 표시 차량(110) 주변의 자외선이 강하다는 정보를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한 경우, 자외선 차단 제품을 선전하는 광고 컨텐츠 콘티를 광고 표시 차량(110)이 출력하도록 광고 컨텐츠 콘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위치하는 지역에 지역 행사가 있다는 정보를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한 경우, 상기 지역 행사를 선전하는 광고 컨텐츠 콘티를 광고 표시 차량(110)이 출력하도록 광고 컨텐츠 콘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표시 차량(110)이 마트 주변에 위치하며, 마트의 할인 정보를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한 경우, 상기 마트의 할인 정보를 전달하는 광고 컨텐츠 콘티를 광고 표시 차량(110)이 출력하도록 광고 컨텐츠 콘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20대 남녀 커플이 위치하며, 20대 남녀 커플이 선호하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한 경우, 상기 상품을 선전하는 광고 컨텐츠 콘티를 광고 표시 차량(110)이 출력하도록 광고 컨텐츠 콘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 콘티는 광고 컨텐츠를 제작할 때 장면 구도의 기본적인 뼈대를 구성하는 설계도를 의미하며, 광고 컨텐츠 제작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메모리(103)에서 조회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메모리(10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를 독출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전송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메모리(10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2)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제작,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복수의 템플릿 영상, 복수의 템플릿 이미지 및 복수의 템플릿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2)는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템플릿 영상, 템플릿 이미지, 및 템플릿 사운드 등을 메모리(103)로부터 도출한다. 여기서, 템플릿 영상은 광고 컨텐츠 영상의 제작을 위해 미리 만들어진 영상일 수 있으며, 광고영상 또는 이미지가 템플릿 영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 영상은 시작 영상, 홍보 영상 및 종료 영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홍보 영상에 광고 상품 영상이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시작 영상 및 종료 영상에는 광고 상품의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템플릿 이미지는 광고 컨텐츠 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미리 만들어진 이미지일 수 있으며, 광고 이미지가 템플릿 이미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템플릿 사운드는 상기 템플릿 영상과 템플릿 이미지와 함께 광고 컨텐츠를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미리 만들어진 사운드일 수 있다.
제어부(102)는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결정된 광고 컨텐츠 콘티와 대응하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수집된 정보, 템플릿 영상, 템플릿 이미지 및 템플릿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 콘티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는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지역 날씨와 관련된 영상, 템플릿 영상 및 템플릿 사운드를 조합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이 위치한 지역 날씨를 전달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마트(오브젝트)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템플릿 이미지 및 템플릿 사운드를 조합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마트의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는 광고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새롭게 제작, 생성된 광고 컨텐츠를 메모리(103)에 저장하며,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 외부 서버(1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고 표시 차량(110)은 주변 환경에 적합하고,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 외부를 이용한 광고 전달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은 광고 표시 차량(110) 및/또는 광고 제공 장치(100)을 제어하고, 광고 표시 차량(110)과 광고 제공 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는 광고 표시 차량(110) 및/또는 광고 제공 장치(100)을 제어하고, 광고 표시 차량(110)과 광고 제공 장치(1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가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App) 환경 및 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상기 서비스가 구현되는 웹 환경에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에 표시할 광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의 출력 순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 및 광고 제공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상기 서비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예를 들어, 표시 장치, 스피커)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광고 표시 차량(110) 및/또는 광고 제공 장치(100)의 제어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하고, 안전해질 수 있다.
즉, 더욱 안전하고 용이한 환경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의 광고 표시 차량(110)은 차량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동작 상태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110)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영상을 재생하는 것이 일부 국가의 법률에서 위법일 수 있으며, 주행 중인 상태에서는 정지된 상태의 이미지를 표시하여 정보를 압축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주행 중인 차량을 관측하게 되는 소비자에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의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운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주행 중인지 또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정차 중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를 표시 제어부(113)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에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 제어부(113)는 복수의 광고 컨텐츠의 표시 순서 또는 표시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3)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주행 중인 상태인 경우, 영상이 아닌 이미지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13)는 광고 표시 차량(110)이 정차 중인 상태인 경우, 영상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차량(110)은 차량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동작 상태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광고 컨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의 광고 표시 차량(110)은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상 상태 발생 상황을 여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차량의 이상 상태가 신속하게 해결되도록 한다. 즉, 광고 표시 차량(110)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광고 표시 차량(110)의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차량의 상태를 더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정상 동작 상태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115)는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요 부품의 고장 여부, 화재 여부 또는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비정상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13)는 상기 비정상 동작 정보에 대응하여 광고 표시 차량(110)의 비정상 동작 상태를 표시 장치(111)와 음향 출력부(117)를 통해 주변에 알릴 수 있다. 즉,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소비자들에게 광고 표시 차량(110)의 고장 상태를 전달하여 주변 소비자들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위험 상황으로부터 소비자들의 대피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상 동작 정보 또한 감지 정보에 포함되어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비정상 동작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상 동작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표시 차량(110)에 대한 구조 요청을 119 또는 미리 제휴된 차량의 서비스 센터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비정상 동작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광고 표시 차량(110)의 문제 발생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표시 차량(110)은 이상 상태 발생 사실을 여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차량의 이상 상태가 신속하게 해결되도록 하며, 광고 표시 차량(110)의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10)의 광고 표시 차량(110)은 데이터분석 및 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주변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이 정차된 상태에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광고 표시 차량(110)의 주변에 위치한 소비자들은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게 된다.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소비자들은 광고 컨텐츠가 선전하는 상품에 대한 문의 사항(가격 또는 판매하는 매장 위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은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주변 소비자들의 문의 사항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미도시)는 소비자가 터치할 수 있는 터치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미도시)는 소비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음성 분석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고 표시 차량(110)의 표시 제어부(113)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제공되는 소비자의 문의 사항을 분석하고, 분석된 문의사항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표시 장치(111) 또는 음향 출력부(117)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소비자의 문의 사항(상품의 가격 및 매장 위치)이 수신되고, 표시 제어부(113)는 소비자의 문의 사항을 외부 서버(120)에서 검색, 수집하며, 수집된 결과(상품의 가격 및 매장 위치)를 표시 장치(111) 또는 음향 출력부(117)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피드백에 광고 표시 차량(110)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광고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광고 표시 차량;
    상기 광고 표시 차량 및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상기 광고 제공 장치 및 광고 제공 표시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차량의 외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 제공 장치는, 상기 광고 표시 차량 및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 미리 제작된 복수의 광고 컨텐츠 또는 광고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메모리; 및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서 수신된 위치 정보, 감지 정보 및 상기 외부 서버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표시 차량에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고 제공 장치에서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
    상기 광고 표시 차량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표시 장치, 상기 위치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에 대한 감지 정보를 더 생성하며, 상기 광고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에 대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표시 장치의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시스템.
KR1020220135315A 2022-10-20 2022-10-20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240055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315A KR20240055248A (ko) 2022-10-20 2022-10-20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315A KR20240055248A (ko) 2022-10-20 2022-10-20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248A true KR20240055248A (ko) 2024-04-29

Family

ID=9088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315A KR20240055248A (ko) 2022-10-20 2022-10-20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740B2 (en) Real time navigation and advertising platform for public transportation
US20190130450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ing and on-demand information to user communication devices
US100493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digital signage
KR101229078B1 (ko) 실내외 상황인식 기반의 모바일 혼합현실 콘텐츠 운용 장치 및 방법
US20100036717A1 (en) Dynamic Information System
US20060089870A1 (en) Intelligent and time varying out of home information or advertising system
JP2002325069A (ja) 対象を絞った広告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074849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156714A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EP29873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JP2017162374A (ja) 情報表示効果測定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効果測定方法
US2013009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broadcast media events
JP20231657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4494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황인지형 컨텐츠 추천장치
KR20230074441A (ko)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4945543B2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40055248A (ko) 트럭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1615330B1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240055249A (ko) 차량의 상태와 소비자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증대시킨 광고트럭용 광고시스템
CA2893050A1 (en) Method for making a profit using individual shops,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210224855A1 (en) FOCO Device
WO2024047842A1 (ja) 広告管理装置、広告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90036176A (ko) 차량 광고 시스템
KR20140107719A (ko) 버스용 전자 포스터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