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183A -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183A
KR20240055183A KR1020220134530A KR20220134530A KR20240055183A KR 20240055183 A KR20240055183 A KR 20240055183A KR 1020220134530 A KR1020220134530 A KR 1020220134530A KR 20220134530 A KR20220134530 A KR 20220134530A KR 20240055183 A KR20240055183 A KR 2024005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personal
medical
data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욱
권민준
권기훈
Original Assignee
권용욱
권민준
권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욱, 권민준, 권기훈 filed Critical 권용욱
Priority to KR102022013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5183A/ko
Publication of KR2024005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저장하고, 필요기관으로부터 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결과를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개인으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제1 과정;
약국, 병원, 건강보험공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회원으로 가입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수행에 따라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제3 과정; 및
필요기관으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빅데이터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해당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결제과정을 진행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THE METHOD OF PROVIDING CHARGED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DATA}
본 발명은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고, 필요기관으로부터 빅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결과를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개인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부합하는 적절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복용 가이드 등을 포함한 다양한 헬스케어 정보를 얻기를 원하지만 신뢰할 수 있을 만한 정확도를 갖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다양한 의료기관들을 통하여 발생되는 개인의 의료 건강 관련 정보들은 각 의료정보 간의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해당 의료기관들에 의해 각각 독점 관리되어짐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는 환자가 방문하는 의료기관에서만 저장하고 있어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경우 해당 의료기관은 이전 의료기관에서 저장하고 있는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결국, 환자의 각종 의료정보들은 각 의료기관들에 의해 분산되어 저장되어 정보간의 교류와 통합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에 따라 환자들은 자신의 현재의 질병이나 향후 예상될 수 있는 질병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하여 제대로 정보를 제공받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질병의 치유 활동 및 예방 활동이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3806호에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화 처리된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은,
개인의료정보 관리모듈이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단일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정보데이터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의료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데이터 내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익명화 수행하는 단계;
상기 개인정보에 상응하는 환자의 단일키데이터를 탐색하여 매칭하는 단계;
상기 단일키데이터와 상기 의료정보데이터를 개인의료정보 분석/저장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개인의료정보 관리모듈이 제2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에 대한 OTP(One Time Password)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OTP발급요청수신단계;
상기 환자에 대한 단일키데이터를 탐색하여, 상기 단일키데이터에 매칭된 의료정보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OTP 생성을 상기 개인의료정보 분석/저장모듈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키데이터와 제3사용자의 연락처정보를 상기 개인의료정보 분석/저장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개인의료정보 분석/저장모듈에 상기 연락처정보로 생성된 OTP를 상기 제3사용자의 제3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익명화 처리를 통해 개인정보의 보호가 가능하고 환자에 대한 이전 의료기관의 의료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나, 환자의 의료정보를 다른 분야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특정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 의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치료제의 개발은 연구되는 후보 물질의 효능 및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유의미한 임상시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에 적합한 대상자를 모집하여야 하는 과정이 선행되는데, 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유효기간 이내에 적합한 대상자를 모집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병원 관계자들이 환자들의 의료기록을 확인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찾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 임상시험을 원하지 않는 환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여지가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통신 및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고, 인터넷을 통해 오픈되는 개인정보에 이름,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보험번호 등의 개인 신상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개인정보 노출에 따른 위험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 활용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어 개인정보의 노출에 보안이 더욱 필요한 실정인데, 개인정보를 무분별하게 활용하는 경우 보안사고 및 그에 따른 법정다툼까지도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데이터는 사람, 자본 등 기존의 생산요소를 능가하는 핵심 자원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전체 산업의 혁신성장(기존산업 혁신, 신산업 창출 등)을 가속화하고 있다.
빅데이터 산업분야가 점차 활성화되고, 데이터 거래소 서비스의 등장으로 개인 데이터에 대한 활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가치도 상승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개인이 데이터 권리를 보유하고, 자신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익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처럼 데이터 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자신의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와 관계된 데이터를 자신이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어, 데이터의 활용 및 가치 창출의 관점에서, 정작 정보 주체인 개인이 소외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개인의 의료정보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라 개인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거래 서비스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의 결과 각 개인들의 의료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빅데이터를 딥러닝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고, 필요기관으로부터 빅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결과를 유료로 제공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38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식별이 가능한 순수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환자의 연령, 성별, 병력, 치료경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성을 차단할 수 있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의료 기술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기관으로부터 빅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결과에 따라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 의료정보를 유료로 제공한 후 해당 개인에게는 개인 의료정보의 사용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의료기관들을 통하여 발생되는 개인의 의료 건강 관련 정보들을 클라우드(cloud) 시스템에 저장하여 현재 환자가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이전 의료기관에서 저장한 컴퓨터 단층촬영(CT:Computer Tomograph), 자기 공명영상(MRI:Magnetic Resonance Imagine)등의 의료 영상 자료들을 포함한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들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는 개인단말기;
회원으로 가입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의료정보 입력단말기;
키워드를 포함한 의료정보 요청신호를 입력하는 의료정보 요청단말기; 및
상기 개인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수집 동의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개인의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저장 관리하고,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로부터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의료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결제과정을 진행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는, 약국, 병원, 건강보험공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환자의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저장 관리되는 빅데이터 의료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기관에 설치되는데, 상기 필요기관은 병원 연구소, 의과대학 연구소, 의학논문 작성자, 제약회사, 건강보조식품 개발회사, 의료보조기구 개발회사, 화장품회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개인으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이 이루어진 후, 약국, 병원, 건강보험공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회원으로 가입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수행에 따라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과정이 이루어진 후, 필요기관으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빅데이터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해당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결제과정을 진행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 과정이 이루어진 후, 개인 회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제5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름,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보험번호 등 환자의 식별이 가능한 순수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환자의 연령, 성별, 병력, 치료경과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를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의료보조기구 등 다양한 연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기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기관으로부터 빅데이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검색결과에 따라 유료로 제공하고, 해당 개인에게는 개인 의료정보의 사용에 따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개인회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의료기관들을 통하여 발생되는 개인의 의료 건강 관련 정보들을 클라우드(cloud) 시스템에 저장하여 현재 환자가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이전 의료기관에서 저장한 컴퓨터 단층촬영(CT:Computer Tomograph), 자기 공명영상(MRI:Magnetic Resonance Imagine)등의 의료 영상 자료들을 포함한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들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의료기관에는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환자에게는 의료 영상 자료들을 직접 전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인 의료정보를 유료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은, 개인단말기(10). 의료정보 입력단말기(20),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 운영서버(40), 데이터베이스(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인단말기(10)는 일반 개인이 소지하고,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말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20)는 회원으로 가입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40)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약국에 설치되어 개인의 의약품 구매내역 등을 기록하는 약국단말기(22), 병원에 설치되어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의료정보 데이터를 기록하는 병원단말기(24), 약국 또는 병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개인의 의약품 구매내역 또는 의료정보 데이터에 따라 비용을 처리하고 그 기록을 저장 관리하는 건강보험공단서버(2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국단말기(22) 및 병원단말기(24)는 개인의 의약품 구매내역 및 의료정보 데이터를 직접 상기 운영서버(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보험공단서버(26)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4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는 검색 키워드를 포함한 의료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운영서버(40)로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운영서버(40)에서 저장 관리되는 빅데이터 의료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기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요기관은 병원 연구소, 의과대학 연구소, 의학논문 작성자, 제약회사, 건강보조식품 개발회사, 의료보조기구 개발회사, 화장품회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는 상기 개인단말기(10)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수집 동의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개인의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20)로부터 입력받아 군집화 및 분류 등을 수행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로부터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45)에서 의료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에 결제과정을 진행하도록 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운영서버(40)는 상기 개인단말기(10)로 보상내용을 제공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를 의미하는 것이며, 인터넷 상에 마련한 개인용 서버에 각종 문서 및 사진 등을 저장하여 두는 클라우드(cloud)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클라우드(cloud) 시스템에는 환자 개인의 의료 건강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여 현재 환자가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로그인하여 저장된 의료정보들을 용이하게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운영서버(40)에서는 상기 개인단말기(10)로부터의 접속신호에 따라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시켜 회원가입을 유도한다.(S10 참조)
이때, 회원가입시 각 개인으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받는데, 상기 개인정보에는 이름,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인 신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이유는 특정 질병의 임상시험에 적합한 것으로 분류되는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 연락을 취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운영서버(40)에서는 상기 약국단말기(22), 병원단말기(24) 또는 건강보험공단서버(26)로부터 회원으로 가입된 각 개인의 의약품 구매내역 및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0 참조)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에는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치료경과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운영서버(40)에서는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30 참조)
상기 과정이 이루어진 후, 상기 운영서버(40)에서는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된 빅데이터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해당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를 검색한다.(S40 참조)
이때, 상기 운영서버(40)에서는 검색결과에 따라 의료정보 데이터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에 결제과정을 진행하도록 한다.(S50 참조)
상기 결제과정이 이루어지면, 검색결과를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30)로 제공하게 된다.(S60 참조)
상기 과정이 이루어진 후, 개인회원에게 금전적 보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70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개인단말기 20 : 의료정보 입력단말기
22 : 약국단말기 24 : 병원단말기
26 : 건강보험공단서버 30 : 의료정보 요청단말기
40 : 운영서버 45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는 개인단말기;
    회원으로 가입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의료정보 입력단말기;
    키워드를 포함한 의료정보 요청신호를 입력하는 의료정보 요청단말기; 및
    상기 개인단말기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수집 동의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개인의 개인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저장 관리하고,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로부터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의료정보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결제과정을 진행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입력단말기는,
    약국, 병원, 건강보험공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기관에 설치되어 환자의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요청단말기는,
    상기 운영서버에서 저장 관리되는 빅데이터 의료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기관에 설치되는데,
    상기 필요기관은 병원 연구소, 의과대학 연구소, 의학논문 작성자, 제약회사, 건강보조식품 개발회사, 의료보조기구 개발회사, 화장품회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4. 각 개인으로부터 개인정보와 의료정보 수집동의 신호를 입력받고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제1 과정;
    상기 제1 과정이 이루어진 후, 약국, 병원, 건강보험공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료기관으로부터 회원으로 가입된 각 개인의 진료일자, 진료기관, 처방기록, 수술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과정;
    상기 제2 과정의 수행에 따라 수집된 개인 의료정보 빅데이터(Big data)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군집화 및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제3 과정이 이루어진 후, 필요기관으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저장된 빅데이터로부터 검색 키워드에 해당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용을 산출하여 결제과정을 진행한 후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이 이루어진 후, 개인 회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제5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방법.
KR1020220134530A 2022-10-19 2022-10-19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55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30A KR20240055183A (ko) 2022-10-19 2022-10-19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30A KR20240055183A (ko) 2022-10-19 2022-10-19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183A true KR20240055183A (ko) 2024-04-29

Family

ID=9088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530A KR20240055183A (ko) 2022-10-19 2022-10-19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1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06B1 (ko) 2019-07-10 2020-05-2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06B1 (ko) 2019-07-10 2020-05-2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866E1 (en) System for maintaining patient medical records for participating patients
Zima et al.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ninth revision, clinical modification and tenth revision pediatric mental health disorders
Weber et al. Finding the missing link for big biomedical data
US8260635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7533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74409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8321239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74284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Chisholm et al. Pharmaceutical manufacturer assistance programs
US20220051276A1 (en) Data Analytics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Health Insurance Claims and Targeted Advertisement-Based Healthcare Management
US200700277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200700277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WO20130328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health data record
US20150039341A1 (en)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Method and System for cloud-based critical Emergency and Discharge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Capturing, Maintaining, Accessing, Integrating and Communicating said information
West et al. The challenges of linking health insurer claims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Jindal et al. Electronic medical record use and perceived medical error reduction
CA3146318A1 (en) Data analytics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health insurance claims and targeted advertisement-based healthcare management
AU20062755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dividual electronic medical record
Poston et al. Technology solutions for improving accuracy and availability of healthcare records
Kurniadi et al. Patient Clinical Data Integration in Integra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or Health Care Facilities in Indonesia
KR20240055183A (ko) 개인 의료정보 유료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0192A (ko)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o et al. Sharing clinical research data—finding the right balance
Keikha et al. Development of Hospital-based Data Sets as a Vehicle for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Electronic Health Record
Sage Fraud and abuse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