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591A -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 Google Patents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591A
KR20240054591A KR1020220134764A KR20220134764A KR20240054591A KR 20240054591 A KR20240054591 A KR 20240054591A KR 1020220134764 A KR1020220134764 A KR 1020220134764A KR 20220134764 A KR20220134764 A KR 20220134764A KR 20240054591 A KR20240054591 A KR 2024005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eption
target
signal
hijacking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훈
안진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591A/ko
Publication of KR2024005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60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 H04K3/65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using deceptive jamming or spoofing, e.g. transmission of false signals for premature triggering of RCIED, for forced connection or disconnection to/from a network or for generation of dummy target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15Arrangements for jamming, spoofing or other methods of denial of service of such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GNSS 신호를 수신하는 항법신호 수신부;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하는 목표대상 탐지부; 상기 수신된 GNSS 신호와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기만 신호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DRONE HIJA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GNSS SPOOFING SIGNAL GENERATION TECHNOLOGY}
아래의 설명은 드론 하이재킹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경찰청)의 재원으로 과학치안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092021D75000000, AI 운전능력평가 표준화 및 평가 프로세스 개발).
최근에 크게 성장하고 있는 자율비행 드론 등에 사용되는 위성 항법 시스템은 민간 및 군사 영역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그 중요성이 전에 없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지구 어느 장소이든 상관없이 인공위성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러한 위성 신호는 지표상에서 매우 낮은 세기이므로 재밍이나 스푸핑(기만)에 취약하다.
스푸핑은 기만 신호를 생성하여 기만 대상이 실제 위성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하게 하고, 또한 신호를 임의로 조작하여 기만 신호 생성 주체의 목적에 따라 기만 대상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드론을 비롯한 다양한 위성항법 시스템 수신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기만에 적용 가능하여 위험물을 탑재한 대상을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안전하게 우회 시키거나 보안 구역의 내로의 침입을 막는 등의 대응이 가능하여 특히 군사 목적에서 중요성이 높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81697호에 위성항법신호 획득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성항법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수신한 GNSS 신호와 탐지한 드론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기만 신호를 생성하여 드론을 하이재킹하여 무력화하거나 다른 위치로 유도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항법신호 수신부;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하는 목표대상 탐지부; 상기 수신된 항법 신호와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기만 신호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하이재킹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하이재킹 목표 위치와 실제 목표 위치가 상기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1 끼인각과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와 상기 기만 대상의 실제 목표 위치가 상기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2 끼인각을 비교하여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제1끼인각이 상기 제2 끼인각보다 큰 경우, 상기 실제 목표 위치와 상기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가 이루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끼인각이 증가하도록 상기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제1끼인각이 상기 제2 끼인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끼인각이 감소하도록 상기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끼인각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와 실제 목표 위치가 일치할 때까지 상기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기만 신호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의 실제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기만 대상이 실제 신호 대신 상기 생성된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만 신호 송신부는,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RF 송신기를 통해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목표대상 탐지부는, 라이다, 카메라 또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원격 측정 센서를 통해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다.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기만 신호 생성 방법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성항법체의 동작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항법 신호와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GNSS신호를 사용하여 자율비행 드론에 대해서 작용하여 동작을 무력화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민간인 거주구나 공항과 같은 시설 및 군사 시설과 같은 중요지역에 대한 공격 시도를 무력화하여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만 대상에 대한 위치 및 동작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기만 신호를 생성하여 하이재킹을 통해 기만 대상의 궤도를 안전 지역으로 우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만 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의 하이재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푸핑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만 신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100)의 프로세서는 항법신호 수신부(110), 목표대상 탐지부(120),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 기만 신호 생성부(140) 및 기만 신호 송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도 2의 기만 신호 생성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210 내지 S250)을 수행하도록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만 신호 생성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항법신호 수신부(110), 목표대상 탐지부(120),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 기만 신호 생성부(140) 및 기만 신호 송신부(150) 각각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S210 내지 S25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단계(210)에서 항법신호 수신부(11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항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항법신호 수신부(11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위성 신호(예를 들면, GNS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항법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GNSS 신호를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목표대상 탐지부(120)는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다. 이때, 기만 대상은 위성항법체(예를 들면, GNSS)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자율주행 드론을 의미할 수 있다. 기만 대상은 수신된 GNSS 신호를 통해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목표대상 탐지부(120)는 라이다, 카메라 또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원격 측정 센서를 통해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대상 탐지부(120)는 라이다, 카메라 또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원격 측정 센서를 통해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수신된 항법 신호와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수신된 항법 신호와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기만 대상을 실시간으로 하이재킹하기 위한 하이재킹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하이재킹이 개시됨에 따라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를 탐지하고, 탐지된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계산된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하이재킹 목표 위치와 실제 목표 위치가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1 끼인각과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와 기만 대상의 실제 목표 위치가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2 끼인각을 비교하여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제1끼인각이 제2 끼인각보다 큰 경우, 실제 목표 위치와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가 이루는 선을 기준으로 제2 끼인각이 증가하도록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1끼인각이 제2 끼인각보다 작은 경우, 제2 끼인각이 감소하도록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계산된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에 따라 제2 끼인각을 갱신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와 실제 목표 위치가 일치할 때까지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기만 신호 생성부(140)는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만 신호 생성부(140)는 하이재킹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만 대상의 위치를 교란하는 기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만 신호 생성부(140)는 계산된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기만 대상의 실제 신호에 동기화하여 기만 대상이 실제 신호 대신 생성된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기만 신호 송신부(150)는 생성된 기만 신호를 기만 대상에게 송출할 수 있다. 기만 신호 송신부(150)는 생성된 기만 신호를 RF 송신기를 통해 기만 대상에게 송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의 개념도이다.
GNSS 기반의 기만 대상에 대한 실시간 기만 신호를 생성하여 기만 대상을 임의의 목표 지점까지 하이재킹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실시예에서는 기만(스푸핑) 대상으로 드론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스푸핑에 성공한 드론은 스푸핑에 성공한 시점에서의 실제 위치 P0 대신에 기만된 위치 정보 S0를 참고하여 자율비행을 수행한다. 여기서, 아래 첨자는 시간에 대한 지표이며 숫자가 커짐에 따라 시간이 흐르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의 하이재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하이재킹이 개시되면 기만 대상이 되는 드론의 위치 정보와 및 속도 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S410).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 목표 지점과 드론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S420).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 계산된 목표 지점과 드론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드론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도 3을 참고하면, 하이재킹 목표 위치 B와 실제 목표 위치 A가 하이재킹 대상 드론과 이루는 끼인각(제1 끼인각)을 라 하고,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기만 위치 S와 대상 드론이 실제 목표 위치와 이루는 끼인각(제2 끼인각)을 라 한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계산된 제1 끼인각과 제2 끼인각을 비교하여 새로운 기만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제1 끼인각()이 제2 끼인각()보다 큰 경우, 드론의 위치 정보 S를 실제 목표 위치와 이전의 기만 위치 S가 이루는 선을 기준으로 제2 끼인각()이 증가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S로 갱신할 수 있다(S451). 반대로,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제1 끼인각()이 제2 끼인각()보다 작은 경우, 제2 끼인각()이 감소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S로 갱신할 수 있다(S452). 제2 끼인각 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갱신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는 사용자가 지정한 스텝 길이이며, 를 만족하는 에 대해서 위와 같이 근사될 수 있다. 현재 기만 위치와 실제 목표 지점을 잇는 직선의 각도를 라고 할 때, 변화한 제2 끼인각 에 맞도록 계산된 새로운 기만 위치 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수학식 3: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갱신된 기만 위치 S에 대한 기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60).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130)는 단계(S410) 단계(460)의 과정을 드론의 기만된 위치가 실제 목표 위치와 같아질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하이재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끼인각 과 제2 끼인각 이 일치하게 되며 드론이 하이재킹 목표 위치로 수렴하게 된다(S430). 이때, 드론은 장애물이 없는 개방된 공중환경에서 목표물로 향해 직선으로 주행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푸핑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은 자율비행 드론에 대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여 드론의 제어권에 영향을 주어 강제적으로 드론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목표 위치까지 하이재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은 실제 GNSS 신호와 드론의 위치 및 동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교란에 취약한 GNSS 신호에 크게 의존하는 드론이 실제와 다른 기만된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드론의 제어권을 탈취하는 기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기만 신호를 드론에 송신함으로써 드론이 자신의 위치를 잘못 인식하게 하고, 이를 수정하고자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을 역으로 활용하여 특정 지역의 목표 위치로 드론을 하이재킹할 수 있다.
기만 신호가 드론에게 송출됨에 따라 드론이 기존에 추적하고 있던 실제 신호가 기만 신호로 바뀌어 인식되는 위치가 실제 위치가 아닌 기만된 위치가 된다. 기만된 위치를 참조하여 위성 항법을 수행하는 기만 대상은 기존의 목표지점이 아닌 공격자가 원하는 하이재킹 목표 위치로 경로를 수정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항법신호 수신부;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하는 목표대상 탐지부;
    상기 수신된 항법 신호와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기만 신호 송신부
    를 포함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하이재킹이 개시됨에 따라 상기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하이재킹 목표 위치와 실제 목표 위치가 상기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1 끼인각과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와 상기 기만 대상의 실제 목표 위치가 상기 기만 대상과 이루는 제2 끼인각을 비교하여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제1끼인각이 상기 제2 끼인각보다 큰 경우, 실제 목표 위치와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가 가리키는 위치 정보가 이루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끼인각이 증가하도록 상기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제1끼인각이 상기 제2 끼인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끼인각이 감소하도록 상기 기만 대상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지점을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기만 신호의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끼인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재킹 알고리즘 생성부는,
    새로운 기만 위치 정보와 실제 목표 위치가 일치할 때까지 상기 기만 대상과 목표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만 신호 생성부는,
    상기 계산된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의 실제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기만 대상이 실제 신호 대신 상기 생성된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추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만 신호 송신부는,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RF 송신기를 통해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대상 탐지부는,
    라이다, 카메라 또는 레이더를 포함하는 원격 측정 센서를 통해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만 대상의 동작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
  11. 기만 신호 생성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기만 신호 생성 방법에 있어서,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송출된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만 대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성항법체의 동작을 탐지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항법 신호와 상기 탐지된 기만 대상의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재킹을 수행하기 위한 기만 신호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기만 대상의 위치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만 대상의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기만 신호를 상기 기만 대상에게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만 신호 생성 방법.
KR1020220134764A 2022-10-19 2022-10-19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KR20240054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764A KR20240054591A (ko) 2022-10-19 2022-10-19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764A KR20240054591A (ko) 2022-10-19 2022-10-19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591A true KR20240054591A (ko) 2024-04-26

Family

ID=9088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764A KR20240054591A (ko) 2022-10-19 2022-10-19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711B2 (en) Flight control using computer vision
US20200273354A1 (en) Visibility event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WO2019067695A1 (en) FLIGHT CONTROL USING VISION BY COMPUTER
Feng et al. Efficient drone hijacking detection using onboard motion sensors
WO2017039747A1 (en) Magnetic wake detector
US8791836B2 (en) Reflexive response system for popup threat survival
US10222807B2 (e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11745871B2 (en) Method for anti-drone using GPS spoofing signal and system therefore
KR101695547B1 (ko) Gps 누설 신호를 이용한 무인기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57966A (ko) 레이다 추적 기반 위성항법 기만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US11681049B2 (en) Mobile body control system, mobile body control device, mobile bod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40519B1 (ko) 무인항공기 방어 시스템
US89900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 target
US89637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booster rockets by ballistic missiles
US11594141B1 (en) System and methods to neutralize an attacking UAV based on acoustic features
Chen et al. False data injection on EKF-based navigation control
KR101218150B1 (ko) 이기종 다중센서 위협 정보 통합 장치 및 방법
KR101750498B1 (ko) 관성 항법을 이용한 유도 무기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4591A (ko) Gnss 기만 생성 기술을 활용한 드론 하이재킹 방법
CN110275160A (zh) 针对无人机黑飞的网络防御技术
KR102541005B1 (ko) 전방향성 레이더 및 지향성 rf 방향 탐지를 조합 사용하여 침입드론의 위치를 측정 및 교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52823B1 (ko) 표적을 추적하고 탄두를 방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im et al.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Situational Awareness Software for Autonomous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877224B1 (ko) Uav 무력화 방법 및 장치
KR20190141941A (ko) 저공잠행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의 탐지/무력화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