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708A -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 Google Patents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708A
KR20240053708A KR1020220133343A KR20220133343A KR20240053708A KR 20240053708 A KR20240053708 A KR 20240053708A KR 1020220133343 A KR1020220133343 A KR 1020220133343A KR 20220133343 A KR20220133343 A KR 20220133343A KR 20240053708 A KR20240053708 A KR 2024005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eiling
noise
sound insulation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진
곽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제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제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제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2013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708A/en
Publication of KR2024005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7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5Impact noise, e.g. from typewriter or prin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는 건물의 각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와,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에 결합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마감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차음유닛 및 제2차음유닛을 포함한다. 제1차음유닛은 슬래브의 하면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슬래브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제2차단유닛은 슬래브 및 천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 공간부에 구비되고, 천장 공간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제2차음유닛은 제1차음유닛 및 천장마감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inter-floor noise. Here,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is installed between the slab that divides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that is coupled to the ceiling fram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lab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and is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and a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and blocks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lab. The second blocking unit is provided in the cei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slab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blocks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ceiling space.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Description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inter-floor noise.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각 층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에 의해 나뉘며, 슬래브의 상부에는 경량 충진재와 함께 난방용 배관 등이 설치되는 배관층이 시공되고, 슬래브의 하부에는 달대(Hanger)가 설치되고 달대에 석고 보드가 조립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each floor in a building is divided by a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a piping layer with lightweight fillers and heating pipes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A hanger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slab, and a gypsum board is installed on the slab. is assembled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의 이러한 바닥구조에서는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쉽게 전달되므로 층간 세대의 소음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However, in this type of floor structure in apartments and other apartments, floor impact sounds are easily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s, so noise disputes between households between floors continu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닥 시공 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이나 완충재를 함께 시공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바닥 위를 걷거나 의자를 끌거나 하는 경량 충격음을 비롯하여 아이들이 바닥 위를 뛰어다니거나 물건을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저감 효과가 낮은 실정이다.To solve this problem, methods are being explored to construct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ayer or cushioning material during floor construction. However, this may cause light impact noise from walking on the floor or dragging a chair, as well as children running on the floor or dropping object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impact noise generated when using a vehicle is low.

그래서 일부 세대에서는 바닥 충격음을 줄이기 위해 방음 특성이 우수한 우레탄 또는 고무소재의 방음 시트(Sheet)를 별도로 구매하여 바닥에 깔고 생활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some households, in order to reduce floor impact noise, soundproofing sheets made of urethane or rubber with excellent soundproofing properties are purchased separately and placed on the floor.

따라서, 근본적인 층간 소음 및 충격 차단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fundamental inter-floor noise and shock insul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26686호(2021.03.1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226686 (announced on March 11, 202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inter-floor noi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의 각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에 결합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마감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로서, 상기 슬래브의 하면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상기 슬래브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제1차음유닛; 및 상기 슬래브 및 상기 천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 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장 공간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제2차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음유닛은 상기 제1차음유닛 및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slab dividing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that is coupled to a ceiling fram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lab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comprising: a first sound insulation unit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and blocking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lab; and a second sound-insulating unit provided in a cei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slab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blocking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ceiling space, wherein the second sound-insulating unit includes the first sound-insulating unit and the Provides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which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유닛은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차음판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may have a sound-absorbing material installed under the slab and a first sound-insulating plate installed under the sound-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바에 의해 상기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되고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을 가지는 패턴 프레임과,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공기의 음파를 탄성파로 변환하며, 상기 패턴 프레임에 장착되는 탄성막을 포함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와 상기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cludes a pattern frame having a central pattern area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attern area by a separation bar and dispos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an air It is installed to block the path in which air travels, converts sound waves in the air into elastic waves, and includes an elastic film mounted on the pattern fram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t a resonant frequency equal to the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blocked and Displacements of the elastic films with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의 면적의 합은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 of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may be equ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흡음재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변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1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djacent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with respect to the sides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It can be arrang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흡음재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흡음재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이 배치되고, 상기 흡음재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이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is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 plate may be disposed, and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may be disposed in an edge area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차음판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1차음판 및 상기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흡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s porous and can absorb vortices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and the slab due to vibration of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유닛은 상기 천장 공간부를 상기 슬래브 및 상기 제2차음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공간부와, 상기 제2차음유닛 및 상기 천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상부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하부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가 상기 천장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보다 고주파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ncludes an upper space formed between the ceiling space and the slab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a lower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By dividing it into parts,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upper space a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lower space can be made to have a higher frequency tha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eil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유닛은 제2차음판을 가지고, 상기 제2차음판은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바에 의해 상기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되고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을 가지는 패턴 프레임과,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공기의 음파를 탄성파로 변환하며, 상기 패턴 프레임에 장착되는 탄성막을 포함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와 상기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und insulating unit has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attern area by a central pattern area and a separation bar and is dispos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area. A patter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installed to block the path of air, converting sound waves of the air into elastic waves, and an elastic membrane mounted on the pattern frame, the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blocked and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의 면적의 합은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 of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may be equ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상기 상부 공간부에서의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may have a resonance frequency that is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noise in the upper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상기 하부 공간부가 상기 천장마감재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타깃 주파수를 가지도록 하는 부피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may be arranged to have a volume such that the lower space has a target frequency equ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천장 프레임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변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2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ceiling frame, an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djacent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with respect to the sides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It can be arranged to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천장 프레임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중앙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차음판이 배치되고, 가장자리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차음판이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ceiling frame, and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An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may be disposed in the edge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래브의 하부에 흡음재 및 제1차음판을 가지는 제1차음유닛이 구비되어 슬래브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고, 천장 마감재의 상측에 제2차음유닛이 구비되어 천장 공간부를 구획함으로써 천장 공간부로부터의 소음이 제2차음유닛 및 천장 마감재에 의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어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ound insulating unit hav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lab to block noise from the slab, and a second sound insulating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to protect the ceiling space. By dividing the space, noise from the ceiling space can be blocked by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thereby effectively blocking 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중앙 패턴영역 및 주변 패턴영역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에 요철부를 함께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2차음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ound insulation unit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hape in which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peripheral pattern area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have different sizes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uneven portions on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a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results of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는 건물의 각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20)와, 슬래브(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30)에 결합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마감재(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차음유닛(100) 및 제2차음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is combined with the slab 20 that divides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ceiling frame 3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lab 20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It is installed between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s 40 and may include a first sound insulation unit 100 and a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여기서, 슬래브(20)는 건물의 외벽(10)에 연결되어 각 층을 구획하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일 수 있으며, 상측에 형성되는 층의 바닥이 된다. Here, the slab 20 is connected to the exterior wall 10 of the building to partition each floor, and may be a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becomes the floor of the floor formed on the upper side.

그리고, 천장 프레임(30)은 행어(31) 및 수평바(32)를 가질 수 있다. 행어(31)는 상단부가 슬래브(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된다. 수평바(32)는 행어(31)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수평하게 배치된다.And, the ceiling frame 30 may have a hanger 31 and a horizontal bar 32. The hanger 31 has an upper e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lab 20 and extends downward. The horizontal bar 3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31 and arranged horizontally.

천장마감재(40)는 수평바(32)의 하부에 결합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한다. 천장마감재(40)는 예를 들면 석고보드일 수 있다.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bar 32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may be, for example, gypsum board.

슬래브(20) 및 천장마감재(40)의 사이에는 천장 공간부(50)가 형성되며, 제1차음유닛(100) 및 제2차음유닛(200)은 천장 공간부(50)에 설치될 수 있다.A ceiling space 50 is formed between the slab 20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and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100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the ceiling space 50. .

상세히, 제1차음유닛(100)은 흡음재(110)와 제1차음판(120)을 가질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100 may have a sound absorption material 110 and a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흡음재(110)는 슬래브(20)의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흡음재(110)는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음재(110)로는 예를 들면 스펀지, 펠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0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20. The sound-absorbing material 110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For example, sponge, felt, etc. may be used as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0.

제1차음판(120)은 흡음재(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슬래브(20)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may be installed below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0 and can block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lab 2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inciple of a sound insulation board.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음판(120)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턴 프레임(121) 및 탄성막(12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is intended to block noise and may include a pattern frame 121 and an elastic film 126.

상기 패턴 프레임(121)은 중앙 패턴영역(122)과,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frame 121 may include a central pattern area 122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123.

패턴 프레임(121)의 가장자리부에는 외곽틀(125)이 형성되어 있고, 외곽틀(125) 내부에 중앙 패턴영역(122)과,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123)이 형성될 수 있다.An outer frame 125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pattern frame 121, and a central pattern area 122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123 may be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125.

중앙 패턴영역(122)은 패턴 프레임(121)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중앙 패턴영역(122)은 분리바(124)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영역이다.The central pattern area 122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attern frame 121.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is surrounded by a separation bar 124 and is an area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주변 패턴영역(123)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중앙 패턴영역(122)의 둘레에 각각 배치된다. 주변 패턴영역(123)은 분리바(124)에 의해 중앙 패턴영역(122)과 분리되어 형성되며, 중앙 패턴영역(122)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영역이다.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123 are provided and each is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The peripheral pattern area 123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by a separation bar 124, and, like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is an area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본 실시예의 중앙 패턴영역(122)은 다각형 형상 중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변 패턴영역(123)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패턴영역(122)의 각 변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entral pattern area 122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mong polygonal shapes, and the peripheral pattern area 123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rranged to contact each side of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패턴 프레임(121)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아세탈, 아크릴, ABS(acrylonitrile-butadien-styrene) 등 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The pattern frame 121 may be made of 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carbonate (PC), acetal, acrylic, and acrylonitrile-butadien-styrene (ABS).

탄성막(126)은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공기의 음파를 탄성파로 변환하며, 패턴 프레임(121)에 장착된다.The elastic membrane 126 is installed to block the path of air, converts sound waves in the air into elastic waves, and is mounted on the pattern frame 121.

탄성막(126)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라텍스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rane 126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urethane (PU),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and latex. You can.

본 실시예의 제1차음판(120)의 경우, 패턴 프레임(121)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패턴 프레임(121)은 탄성막(126)의 일면, 타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attern frames 121 are provided, and the pattern frames 121 may be moun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rane 126,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제1차음판(120)의 공진 주파수에서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와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가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이때, 제1차음판(120)은 차단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깃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are opposite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is designed to have a resonance frequency that is the same as the target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blocked.

예를 들어, 제1차음판(120)의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어느 일 순간에는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가 공기의 진행 방향(A)을 향해 형성되고,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가 공기의 진행 방향(A)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순간에는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가 공기의 진행 방향(A)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가 공기의 진행 방향(A)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t a certain moment in the resonance frequency band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is formed toward the air moving direction A, and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central pattern area is formed. The displacement of (126a)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air movement (A). At the next moment,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is form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A of the air,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is in the direction A of the air. can be formed towards

이와 같이, 공기의 진행 방향(A)을 향해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가 양의 변위를 가질 때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는 음의 변위를 가지고, 공기의 진행 방향(A)을 향해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가 음의 변위를 가질 때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는 양의 변위를 가지는 공진 모드가 반복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has a positive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A of the air,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has a negative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has a negative displacement,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A has a negative displacement,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has a positive displacement, and a resonance mode is repeated.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a)의 변위와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126b)의 변위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면서, 탄성막(126)의 국소 위치에서의 변위를 합하여 평균한 개념인 탄성막(126)의 유효 변위는 거의 제로에 가까워질 수 있다.As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elastic film 126 is an average of the displacements at the local positions of the elastic film 126. )'s effective displacement can be close to zero.

탄성막(126)의 유효 변위가 제로가 되면, 탄성막(126)을 통해 공기의 음파 에너지가 거의 전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타깃 주파수 대역의 소음은 탄성막(126)을 통해 하류 측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차단될 수 있다.When the effectiv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126 becomes zero,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almost no sound wave energy of air is transmitted through the elastic film 126, and as a result, noise in the target frequency b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elastic film 126. It can be blocked without being transmitted downstream.

탄성막(126)의 유효 변위는 거의 제로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공기의 유효 밀도가 극대화되었다고 표현하는데, 공기의 유효 밀도가 극대화되면 제1차음판(120)이 매우 무거운 벽인 것처럼 음파가 반응함으로써 제1차음판(120)에 도달한 음파가 반사되면서 음파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The phenomenon in which the effectiv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rane 126 approaches almost zero is expressed as the effective density of air being maximized. When the effective density of air is maximized, sound waves react as i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is a very heavy wall, thereby As the sound waves that reach the primary sound insulation plate 120 are reflected,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waves can be blocked.

이때, 중앙 패턴영역(122)의 면적과,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123)의 면적의 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막(126)의 유효 변위가 제로가 되기 위해서는 양의 변위를 가지는 면적과 음의 변위를 가지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area of the central pattern area 122 and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123 are substantially equal.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 effectiv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rane 126 to be zero, the area with positive displacement and the area with negative displacement must be substantially equal.

제1차음판(120)의 공진 주파수는 패턴 프레임(121)의 패턴, 탄성막(126)의 두께, 장력 등을 변경하여 조정될 수 있다.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attern of the pattern frame 121, the thickness and tension of the elastic film 126, etc.

그리고, 제1차음판(120)의 공진 주파수는 슬래브(20)의 구조에 의한 노이즈(Structure Borne Noise)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슬래브(20)는 그 자체가 하나의 챔버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래브 고유의 공진 주파수(f1, 도 4 참조)가 있을 수 있는데, 제1차음판(120)은 슬래브(20) 고유의 공진 주파수, 즉, 타깃 주파수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로 형성됨으로써 슬래브(20)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noise caused by the structure of the slab 20 (Structure Borne Noise). That is, the slab 20 itself may function as a chamber, and therefore may have a unique resonance frequency (f1, see FIG. 4) of the slab, and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is the slab 20. By forming a unique resonance frequency, that is, a resonanc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arget frequency,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lab 20 can be block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sound insulation unit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a)는 제1차음유닛(100)이 흡음재(110)가 없이 제1차음판(120)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차음판(120)에서 중앙 패턴영역의 탄성막(126a)과 주변 패턴영역의 탄성막(126b)은 서로 반대 변위를 가지면서 반복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막(126a,126b)의 진동에 의해 슬래브(20)와 제1차음판(120)의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는 와류(B)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B)는 슬래브(20)로부터의 소음의 주파수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제1차음판(120)에서의 차음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First, (a) of FIG. 4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100 is made up of only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withou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Since the elastic film 126a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elastic film 126b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can be repeatedly deformed while having opposite displacements, the slab 20 and the slab 20 are separated by vibration of the elastic films 126a and 126b. A vortex B may occur in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s 120. Since this vortex B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noise from the slab 20,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may be reduced.

그러나, 도 4의 (b)에서와 같이, 슬래브(20) 및 제1차음판(120)의 사이에 다공성의 흡음재(110)가 배치되면, 탄성막(126a,126b) 진동 시에 공기가 흡음재(110)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흡음재(110)는 탄성막(126a,126b)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음재(110)가 와류를 흡수하게 되면, 슬래브(20)로부터의 소음의 주파수 변화가 없게 되고, 제1차음판(120)에서의 차음 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b) of FIG. 4, when the porous sound-absorbing material 110 is disposed between the slab 20 and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120, air flows into the sound-absorbing material when the elastic membranes 126a and 126b vibrate. You can go to (110). Then, the sound-absorbing material 110 can absorb the eddy current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elastic membranes 126a and 126b. In this way, wh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10 absorbs the eddy current, there is no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noise from the slab 20, and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중앙 패턴영역 및 주변 패턴영역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hape in which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peripheral pattern area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have different sizes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음판은 복수 개가 흡음재에 격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하고자 하는 슬래브 소음의 타깃 주파수의 대역에 따라 패턴 프레임의 크기는 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5,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may b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sound absorbing material. Additionally, the size of the pattern fram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arget frequency band of the slab noise to be blocked.

도 2의 (a)와 같은 형태를 제1차음판의 단위 셀이라고 할 때,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하고자 하는 슬래브 소음의 타깃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셀(C1)의 한 변의 길이(d1)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셀(C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shape shown in (a) of FIG. 2 is considered to be a unit cell of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target frequency of the slab noise to be blocked is relatively low, the cell (C1) Since the length d1 of one side is relatively long, the size of the cell C1 can be made relatively large.

반면에, 도 5의 (b)에서와 같이, 차단하고자 하는 슬래브 소음의 타깃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셀(C2)의 한 변의 길이(d2)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셀(C2)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ure 5, when the target frequency of the slab noise to be blocked is relatively high, the length (d2) of one side of the cell (C2) is formed relatively short,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cell (C2). can be formed small.

이때, 중앙 패턴영역(122a,122b)의 크기 및 주변 패턴영역(123a,123b)의 크기는 패턴 프레임(121a,121b)의 크기와 비례하여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size of the central pattern areas (122a, 122b) and the size of the peripheral pattern areas (123a, 123b) vary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pattern frames (121a, 121b).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에 요철부를 함께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uneven portions on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턴 프레임(121)은 테두리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웃하는 패턴 프레임(121)은 요철부(12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요철부(127)를 통해 다수의 패턴 프레임(121)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차음판(120)이 대면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attern frame 12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uneven portions 127 formed on the edge. In this case, since neighboring pattern frames 121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uneven portion 127, multiple pattern frames 121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neven portion 127, and the first The sound insulation plate 120 can be manufactured in a large area.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1차음판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a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차음판이 모두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 특정 주파수 전달이 잘 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1차음판이 균일성을 가지게 되면, 특정 공명음이 잘 전달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on plates arranged in a matrix all have the same resonant frequency, specific frequencies can be transmitted well. In other words, when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on plates has uniformity, a specific resonance sound can be transmitted well.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차음판(120a,120b) 중 변(E)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1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a) of FIG. 7, neighboring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120a and 120b with respect to the side E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It can be.

따라서, 복수 개의 제1차음판(120a,120b) 중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120a and 120b,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dispo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반면, 복수 개의 제1차음판(120a,120b) 중 꼭짓점(F)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1차음판, 즉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차음판끼리는 서로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120a and 120b, neighboring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based on the vertex F, that is,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rranged diagonally, may be arranged to have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

또는,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음재의 중앙 영역(G)에는 복수 개의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120a)이 배치되고, 흡음재의 가장자리 영역(H)에는 복수 개의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120b)이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7,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120a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G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the edg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120b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may be disposed in the area H.

건물의 외벽에 연결되는 슬래브의 가장자리는 슬래브의 중앙보다 진폭이 작을 수 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The edge of the slab connected 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may have a smaller amplitude than the center of the slab, and therefore relatively high frequency vibration may occur.

따라서, 슬래브의 중앙 영역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120a)이 배치되고 슬래브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120b)이 배치됨으로써, 슬래브로부터의 소음을 좀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a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lab and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120b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is disposed in the edge area of the slab, so that the slab Noise from the environment can be blocked more effectively.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차음유닛(200)은 슬래브(20) 및 천장마감재(40)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 공간부(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천장 공간부(50)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ceiling space 50 formed between the slab 20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and the ceiling space 50 Noise transmitted through can be blocked.

그리고 제2차음유닛(200)은 제2차음판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차음판은 제1차음판(120)과 동일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제2차음유닛(200) 및 제2차음판은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have a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Here,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is the same as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120, and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Hereinafter,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제2차음유닛(200)은 제1차음유닛(100) 및 천장마감재(4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100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이를 위해, 제2차음유닛(200)은 수평바(32)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차음유닛(200)은 천장마감재(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bar 32, and through this,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제2차음유닛(200)은 천장 공간부(50)를 슬래브(20) 및 제2차음유닛(200)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공간부(51)와, 제2차음유닛(200) 및 천장마감재(40)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부(52)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공간부(51)의 공진 주파수 및 하부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가 천장 공간부(50)의 공진 주파수보다 고주파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includes the ceiling space 50 with an upper space 51 formed between the slab 20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 It can be divided by a lower space 52 formed between 40). Accordingly,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upper space 51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lower space can be made to be high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space 5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제2차음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n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차음유닛(200)이 없는 경우, 천장 공간부(50)의 공진 주파수는 천장 공간부(50)에 채워진 공기에 의한 노이즈(Air Borne Noise)에 대응될 수 있다. 천장 공간부(50)는 그 자체가 하나의 챔버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천장 공간부 고유의 공진 주파수(f2)를 가질 수 있다. 천장 공간부 고유의 공진 주파수(f2)는 슬래브의 공진 주파수(f1)보다 작을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8, when there is no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space 50 is affected by noise caused by air filled in the ceiling space 50. can be responded to. The ceiling space 50 itself may function as a chamber, and therefore may have a resonance frequency (f2) unique to the ceiling space. The inherent resonance frequency (f2) of the ceiling space may be small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f1) of the slab.

그리고, 천장마감재(40)가 석고 보드인 경우를 예로 들면, 석고 보드의 강성에 의해 석고 보드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에 대해서는 차음 효과가 높지만, 저주파에 대해서는 차음 효과가 낮다. 그런데, 천장 공간부(50)의 공진 주파수(f2)는 슬래브의 공진 주파수(f1)보다 작은 저주파의 소음을 가지기 때문에 천장마감재(40)에서의 차음 효과는 낮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is gypsum board, gypsum board has a relatively high sound insulating effect for high frequencies due to the rigidity of the gypsum board, but has a low sound insulating effect for low frequencies. However, since the resonance frequency f2 of the ceiling space 50 has a low-frequency noise that is small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f1 of the slab, the sound insulation effect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may be low.

한편, 제2차음유닛(200)이 천장 공간부(50)를 상부 공간부(51) 및 하부 공간부(52)로 구획하게 되면, 상부 공간부(51)는 새로운 공진 주파수(f3)를 가지게 되고, 하부 공간부(52)도 새로운 공진 주파수(f4)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divides the ceiling space 50 into an upper space 51 and a lower space 52, the upper space 51 has a new resonance frequency f3. And the lower space 52 may also have a new resonance frequency (f4).

그리고, 상부 공간부(51)의 공진 주파수(f3) 및 하부 공간부(52)의 공진 주파수(f4)는 천장 공간부(50)의 공진 주파수(f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공간부(51) 및 하부 공간부(52)에서는 천장 공간부(50)에서보다 높은 고주파수의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sonance frequency f3 of the upper space 51 and the resonance frequency f4 of the lower space 52 may be great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f2 of the ceiling space 50. Accordingly, high-frequency noise higher than that in the ceiling space 50 may be transmitted in the upper space 51 and the lower space 52.

제2차음유닛(200)은 상부 공간부(51)에서의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차음유닛(200)은 상부 공간부(51)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resonance frequency equal to the frequency of the noise in the upper space 51, and through this,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transmits the noise from the upper space 51. It can effectively block noise.

그리고, 하부 공간부(52)에서의 소음은 천장마감재(40)에서 차단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제2차음유닛(200)은 하부 공간부(52)가 천장마감재(40)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타깃 주파수를 가지도록 하는 부피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noise in the lower space 52 be blocked by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and for this purpose,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is designed so that the lower space 52 is blocked by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It can be arranged to be formed in a volume that has a target frequency equ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of .

즉, 천장마감재(40)의 소재를 확인하여 천장마감재(40)의 공진주파수가 확인되면, 해당 공진주파수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하부 공간부(52)의 부피가 계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차음유닛(200)은 하부 공간부(52)가 계산된 부피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aterial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is confirm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40 is confirmed, the volume of the lower space 52 to have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resonance frequency can be calculated. Th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can be placed at a height so that the lower space 52 has the calculated volume.

그리고, 제2차음유닛(200)의 배치 위치가 계산되면, 상부 공간부(51)의 부피도 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공간부(51)의 공진 주파수도 계산될 수 있다. 그러면, 제2차음판이 상부 공간부(51)에서의 소음 주파수에 대응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And, when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200 is calculated, the volume of the upper space 51 can also be calculated, and therefor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upper space 51 can also be calculated. Th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resonanc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noise frequency in the upper space 51.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의 성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results of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차음판은 두께 6.5 mm, 밀도 230 kg/㎥, 면밀도 1500 gsm 으로 형성되었고, 제2차음판은 두께 2.5 mm, 밀도 270 kg/㎥, 면밀도 850 gsm 으로 형성되었으며, 천장마감재는 석고 보드이고, 두께 9.5 mm, 밀도 5650 kg/㎥, 면밀도 5370 gsm 이었다. 그리고, 슬래브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로서 두께 150 mm 였다.Here, the first sound insulation board was formed with a thickness of 6.5 mm, a density of 230 kg/㎥, and an area density of 1500 gsm,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board was formed with a thickness of 2.5 mm, a density of 270 kg/㎥, and an area density of 850 gsm,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was plaster. It was a board with a thickness of 9.5 mm, a density of 5650 kg/㎥, and a surface density of 5370 gsm. And, the slab was a reinforced concrete slab with a thickness of 150 mm.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음유닛, 제2차음유닛 및 천장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천장 구조(S1)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S2)에서, 슬래브에 중량 충격음을 가했을 때를 비교해보면, S1에서 보다 S2에서의 음압레벨(SPL: Sound Pressure Level)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a), in the ceiling structure (S1) in which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re not installed, and the ceiling structure (S2)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ng when a weight impact sound is applied to the slab,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Sound Pressure Level) is lower in S2 than in S1.

그리고,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음유닛, 제2차음유닛 및 천장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천장 구조(S1)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S2)에서, 슬래브에 경량 충격음을 가했을 때를 비교해봐도, S1에서 보다 S2에서의 음압레벨(SPL)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에서 층간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9 (b), a ceiling structure (S1) in which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re not installed, and a ceiling structure (S2)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comparing the case when light impact sound is applied to the slab,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is lower in S2 than in S1, and through this, in the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floor noise is reduced.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effectively reduc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슬래브
40: 천장마감재
50: 천장 공간부
51: 상부 공간부
52: 하부 공간부
100: 제1차음유닛
110: 흡음재
120: 제1차음판
200: 제2차음유닛
20: Slab
40: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Ceiling space part
51: upper space
52: lower space part
100: 1st sound insulation unit
110: Sound absorbing material
120: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200: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Claims (14)

건물의 각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와,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천장 프레임에 결합되어 아래층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마감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로서,
상기 슬래브의 하면에 접촉되어 배치되고, 상기 슬래브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제1차음유닛; 및
상기 슬래브 및 상기 천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 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장 공간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제2차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음유닛은 상기 제1차음유닛 및 상기 천장마감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installed between a slab that divides each floor of a building and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that is coupled to a ceiling frame installed below the slab to form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comprising:
A first sound insulation unit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and blocking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lab; and
It is provided in a cei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slab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includes a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that blocks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ceiling space,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wherei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유닛은
상기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흡음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차음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ound insulation unit is
A sound-absorbing material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lab,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nstalled below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바에 의해 상기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되고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을 가지는 패턴 프레임과,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공기의 음파를 탄성파로 변환하며, 상기 패턴 프레임에 장착되는 탄성막을 포함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와 상기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는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is
A pattern frame having a central pattern area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attern area by a separation bar and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area,
It is installed to block the path of air, converts sound waves of air into elastic waves, and includes an elastic membrane mounted on the pattern frame,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wherein at a resonant frequency that is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blocke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의 면적의 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3,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wherein the sum of the area of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is equ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흡음재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변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1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djacent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based on sides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Ceiling structure to block noi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흡음재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흡음재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이 배치되고, 상기 흡음재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차음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n edge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sound insulating plates is disposed in the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차음판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1차음판 및 상기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ound-absorbing material is porous and absorbs vortices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and the slab due to vibration of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유닛은
상기 천장 공간부를 상기 슬래브 및 상기 제2차음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공간부와, 상기 제2차음유닛 및 상기 천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상부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 및 상기 하부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가 상기 천장 공간부의 공진 주파수보다 고주파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is
The ceiling space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formed between the slab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a lower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are determined.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resonance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sp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유닛은 제2차음판을 가지고,
상기 제2차음판은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바에 의해 상기 중앙 패턴영역과 분리되고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을 가지는 패턴 프레임과,
공기가 진행하는 경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공기의 음파를 탄성파로 변환하며, 상기 패턴 프레임에 장착되는 탄성막을 포함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와 상기 주변 패턴영역 내의 탄성막의 변위는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8,
The second sound insulation unit has a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is
A pattern frame having a central pattern area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attern area by a separation bar and arranged around the central pattern area,
It is installed to block the path of air, converts sound waves of air into elastic waves, and includes an elastic membrane mounted on the pattern frame,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wherein at a resonant frequency that is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blocke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film in the peripheral pattern area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패턴영역의 면적과, 상기 복수의 주변 패턴영역의 면적의 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9,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wherein the sum of the area of the central pattern area and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pattern areas is equ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상기 상부 공간부에서의 소음의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9,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wherein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has a resonance frequency equal to the frequency of the noise in the upper sp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상기 하부 공간부가 상기 천장마감재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타깃 주파수를 가지도록 하는 부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9,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is,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wherein the lower space is arranged to have a volume that has a target frequency equ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천장 프레임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변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제2차음판끼리는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9,
A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ceiling frame, and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djacent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with respect to sides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Ceiling structure to block noise between flo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음판은 복수 개가 상기 천장 프레임에 격자 형태로 마련되되, 중앙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저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차음판이 배치되고, 가장자리 영역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차음판 중 상대적으로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차음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을 위한 천장 구조.
According to clause 9,
A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provided in a grid shape on the ceiling frame, wherein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low resonanc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is disposed in a central area, and a plurality of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disposed in an edge area. A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nance frequency is disposed among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KR1020220133343A 2022-10-17 2022-10-17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KR202400537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343A KR20240053708A (en) 2022-10-17 2022-10-17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343A KR20240053708A (en) 2022-10-17 2022-10-17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708A true KR20240053708A (en) 2024-04-25

Family

ID=9088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343A KR20240053708A (en) 2022-10-17 2022-10-17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70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686B1 (en) 2019-09-04 2021-03-11 권오태 Manufacture of eco-friendly non-combustible foam and construction machinery an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noise between hou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686B1 (en) 2019-09-04 2021-03-11 권오태 Manufacture of eco-friendly non-combustible foam and construction machinery and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noise between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47785B2 (en) soundproofing elements
EP1525356A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and sound-absorbing unit
WO2006080150A1 (en) Double-wall structure
JP2009293252A (en) Sound absorption structure body, sound absorption structure group, sound absorption structure, acoustic room, and noise reducing method
KR102077086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oor impact sound of building
KR102238144B1 (en) Sound insulation plate and Sound insu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40053708A (en)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KR100852791B1 (en) Panel for reducing floor impact noise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panel
KR20240059713A (en) Ceiling structure for blocking noise between floors
KR102361502B1 (en) A Panel for interlayer sound insulation
JP6179146B2 (en) Soundproof panel
KR100806728B1 (en) Insulation materials for reducing a noise and a impact sound
KR101481691B1 (en) Device for reducing noises through floor
KR101838718B1 (en) Panel vibration type sound absorptive material
KR102610597B1 (en) Sound insulation panel
KR101711100B1 (en)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System
KR101359609B1 (en) Stud for use of light wall structure
KR102483568B1 (en) Sound insulation panel and sound insula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JP3755442B2 (en) Interkita structure and floor structure
JP2006161416A (en) Sound absorbing plate and sound absorbing method
KR102531106B1 (en) Composite absorbing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with double air layers
JP7189857B2 (en) Damping structure
JP2018003303A (en) Rib material for sound insulation floor, and sound insulation floor structure
JP2013151806A (en) Soundproof insulation material
JP2017203372A (en) Soundproof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