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274A -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274A
KR20240053274A KR1020220133172A KR20220133172A KR20240053274A KR 20240053274 A KR20240053274 A KR 20240053274A KR 1020220133172 A KR1020220133172 A KR 1020220133172A KR 20220133172 A KR20220133172 A KR 20220133172A KR 20240053274 A KR20240053274 A KR 2024005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space
base station
network
cell area
airspa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274A/en
Publication of KR2024005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2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커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signal information about a signal generated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nd the obtained Based on signal information, it is performed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one of a cell area provid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overs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Description

상공망용 기지국 및 이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and method of determining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본 발명은 상공망용 기지국 및 이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thereof.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에 대해 종합실증을 수행한 바 있고 그 상용화를 앞둔 시점에 있다.Recently, interest in urban air mobility (UAM) has been increasing,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Korea has also conducted a comprehensive demonstration of Korean-style urban air traffic and is nearing commercialization.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의 기술 로드맵에 따르면 UAM 비행체의 운항 고도는 300 미터 내지 600 미터 정도이고, 최대 운항 속도는 320km/h 정도로 기대되며, 정해진 운항 경로를 따라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According to the Korean urban air transportation technology roadmap,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UAM aircraft i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300 to 600 meters, the maximum operating speed is expected to be approximately 320 km/h, and it is expected to be operated along a designated operating route.

UAM 비행체의 운항 경로에는 UAM 비행체에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상공망용 기지국이 설치될 예정이다. A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will be installed on the UAM aircraft's flight route to suppor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for the UAM aircraft.

이러한 상공망용 기지국에는 안테나가 설치된다. 이 때, 안테나는 소정의 각도로 틸트업 되어서 설치 내지 구현될 수 있다. Antennas are installed at thes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At this time, the antenna can be installed or implemented by tilting up at a predetermined angle.

안테나가 이처럼 틸트업(tilt-up)되어서 설치 내지 구현될 경우, 상공망의 설계에서는 여러가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컨대, 안테나의 틸트업된 각도로 인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윗부분, upper area)은 상공망용 기지국이 아닌, 상공망용 기지국에 인접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커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antenna is installed or implemented with a tilt-up like this, various factors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airspace network. For example, due to the tilted angle of the antenna, the upper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an be designed to be covered not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but by the airspace network adjacent base station (cell area) adjacent to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239호, 공개일자 2011년 02월 10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4239, published on February 10, 2011.

일 실시예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윗부분, upper area)을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커버하도록 설계된 상황에서,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실제 망 품질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서는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hat, in a situation where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designed to cover the upper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actual network quality in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If the cell area of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this may include proposing a solution.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제 1 관점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커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 first aspect is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nd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signal information about a signal generated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the acquisition Based on the signal information, it is performed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one of a cell area provid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overs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제 2 관점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실행됨으로써,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획득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이,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커버되도록 결정된다.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cludes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Here,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command by the processor, signal information about a signal generated from a neighboring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acquired, and based on the obtained signal information,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It is determined to be covered by either a cell area provid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network or a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서는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이 해당 상공을 커버하게 함으로써, 설계 당시의 수준과 동일 또는 이에 근사한 수준의 망 품질이 획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ven if the network quality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base station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due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overs the airspace. , network quality at the same or close to the level at the time of design can be obtained.

또한, 상공망용 기지국의 동작 중,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공망용 기지국의 망 품질이 관리 내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changes over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the network qualit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an be managed or maintained by chang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there is.

이를 통해, 비행체는 상공망용 기지국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ircraft can communicate smoothly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도 1에는, 복수의 상공망용 기지국 각각이 커버하는 셀 영역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안테나에서의 주엽빔(mainlobe beam)과 부엽빔(sidelobe beam)의 특성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을 설정하는 절차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을 변경하는 절차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순서도 중 일부의 절차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Figure 1, the cell area cove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is shown as an example.
Figure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exemplari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lobe beam and sidelobe beam of the antenn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FIG. 4 illustrate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exemplarily show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setting a basic be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exemplarily show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changing the basic be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exemplarily shows a detailed flowchart for some of the procedures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나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un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Includ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1에는, 복수의 상공망용 기지국 각각이 커버하는 셀 영역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Figure 1, the cell area covered by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is shown as an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3개의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은 비행체의 운항 항로를 따라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상공망용 기지국은 다른 상공망용 기지국에 대해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일 수 있음을 전제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1, thre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100A to 100C) are deployed. Thes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100A to 100C) may be arranged along the flight route of the aircraft. At this time, it will be explained below on the premise that on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be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with respect to another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여기서, 비행체에는 다양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UAM 비행체 등이 전술한 비행체의 예시이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aircraft may include various things. For example, the UAM aircraft i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aircraf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비행체의 운항 고도는 300 미터 내지 600 미터 정도일 수 있다. 이를 감안해서, 이들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은 이러한 운항 고도에서 상공망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비행체의 운항 고도 및 제공되는 상공망의 고도 내지 높이가 전술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ng altitude of these aircraft may be about 300 meters to 600 meters. Considering this, these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100A to 100C) can provide airspace networks at these operating altitudes. Of course, the operating altitude of the aircraft and the altitude or height of the airspace network provide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range.

각각의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의 상공(upper area)은, 설계 당시에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또는 셀 커버리지)에 의해 커버되도록 설계된다. 도 1을 살펴보면, 제2 상공망용 기지국(100B)의 상공은 제1 상공망용 기지국(100A)의 셀 영역(102A)이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3 상공망용 기지국(100C)의 상공은 제2 상공망용 기지국(100B)의 셀 영역(102B)이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어느 하나의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다른 하나의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이 커버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은 적어도 두 개의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 설명될 각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이러한 전제가 적용될 수 있다.The upper area of each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A to 100C) is designed to be covered by the cell area (or cell coverage) of the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t the time of design. Looking at Figure 1, the airspace of the second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B) is designed to be covered by the cell area (102A) of the firs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A), and the airspace of the third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C) is designed to cover the second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C). It is designed to cover the cell area (102B)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B). Here, the drawing shows that the airspace of on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another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example, of course, the airspace of on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may be covered by the cell areas of at least two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and this premise can also be applied to each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전술한 상공망용 기지국에 대한 설계 특성은 각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의 안테나가 그에 인접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상공을 향하도록, 지평면 대비 소정의 각도로 틸트업된 것이 반영된 결과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틸트업된 안테나에 의해, 각 안테나에서의 빔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상공을 향하도록, 지평면 대비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송출된다(101A, 101B,101C).The above-mentione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re the result of the antenna of each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A to 100C) being tilted up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orizon so that it faces the sky above the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s shown in FIG. 1, with the antenna tilted up in this way, the beam from each antenna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orizon so as to be directed toward the sky above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101A, 101B, 101C).

이하, 각각의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의 상공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되도록 설계된 것을 전제로, 각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에 대해 살펴보자.Hereinafter, let's look at the network quality in the airspace of each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A to 100C), assuming that the airspace is designed to be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airspace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상공망용 기지국과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간의 거리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 구비된 안테나의 틸트업 각도가 고려된다. In general, when designing the cell area of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tilt-up angle of the antenna provided in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re considered. do.

그런데, 실제 상공망은, 설계 의도와는 상이하게 구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공망용 기지국과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간의 실제 거리가, 설계에서 의도된 거리에 비해 멀 수 있다. 또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 구비된 안테나의 실제 틸트업 각도가, 설계에서 의도된 각도와는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은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the actual airspace network may be constructed differently from the design intention. For example, the actual distance between a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intended in the design. Alternatively, the actual tilt-up angle of the antenna provided in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be different from the angle intended in the design. In this case,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borne network base station may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이에,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과 동일하거나 근사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상공망용 기지국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even in this case, a technology can be provided that ensures that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the same or close to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Below, we will look at base stations for air and air networks to provide this technology.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상공망용 기지국(100) 및 그의 구성(110 내지 130)은 도 1에 도시된 상공망용 기지국(100A 내지 100C)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Figure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fore explaining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nd its configurations 110 to 130 shown in FIG. 2 can be applied to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100A to 100C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도 2에 도시된 구성도에 의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However,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 2 or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이러한 통신부(110)를 통해, 비행체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상공망용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implemented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communicate with the aircraft through this communication unit 110. In additio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may communicate with other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메모리(120)는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매체에는 ROM이나 RAM 등이 포함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mory 120 can be implemented by a medium that stores information. These medi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or RAM.

이러한 메모리(120)에는 데이터 또는 이하에서 설명될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저장된다. This memory 120 stores data or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갖는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CPU 또는 GPU 등을 포함하도록 프로세서(130)는 구현될 수 있다.Processor 13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ing device having at least one cor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one CPU or GPU.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전술한 데이터나 명령어를 읽어들일 수 있고, 또한 메모리(120)에 새로운 데이터나 명령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Additionally, the processor 130 can read the above-described data or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can also write new data or instructions into the memory 120. Additionally, the processor 130 can modify or delete already recorded data or instructions.

프로세서(130)에 의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30)에 의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The processor 130 allows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o this end, the processor 130 may execute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20. Hereinafter, we will look at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processor 130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사용될 기본빔(basic beam)을,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제공 가능한 빔들 중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기본빔이란,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비행체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빔을 지칭한다.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selects, by the processor 130, a basic beam to be used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from beam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Here, the basic beam refers to the beam us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for communication with the aircraft.

기본빔으로서 선택 가능한 빔들 각각은, 서로 간에 구분을 지어주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각 빔은 서로 간에 gain이 상이할 수 있으며, 또는 커버하는 각도(소정의 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각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 이렇게 특성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빔에는 예컨대 주엽빔(mainlobe beam)과 부엽빔(sidelobe beam)이 포함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의 명세서는, 기본빔으로서 선택 가능한 빔들에 주엽빔과 부엽빔이 포함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될 것이다.Each of the beams that can be selected as basic beam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For example, each beam may have a different gain, or the covering angle (an angle measured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rection) may be different. Beam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characteristics include, for example, mainlobe beams and sidelobe beam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following specification will be explained on the premise that beams that can be selected as basic beams include the main leaf beam and the secondary leaf beam.

주엽빔과 부엽빔은 서로 커버하는 각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구비된 안테나의 틸트업 각도를 기준으로, 주엽빔보다 부엽빔이 더 넓은 각도를 커버한다. 달리 말하면, 주엽빔은 대체적으로 안테나의 틸트업 방향을 집중적으로 향하는 반면, 부엽빔은 안테나의 틸트업 방향 대비 (또는 주엽빔이 커버하는 각도 대비) 더 높거나 더 낮은 각도를 향한다.The angles covering the main leaf beam and the secondary leaf beam are differ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tilt-up angle of the antenna provided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e side-lobe beam covers a wider angle than the main-lobe beam. In other words, the main lobe beam is generally oriented centrally in the antenna's tilt-up direction, while the side-lobe beams are oriented at higher or lower angles relative to the antenna's tilt-up direction (or relative to the angle covered by the main lobe beam).

도 3을 통해, 주엽빔과 부엽빔 각각의 커버 각도가 서로 상이한 점을 확인해볼 수 있다.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빔을 살펴보면, 이에 포함된 주엽빔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구비된 안테나의 틸트업 각도를 기준으로 330도에서 30도 까지를 커버하는 반면, 부엽빔은 310도와 50도 정도를 커버한다.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빔을 살펴보면, 이에 포함된 주엽빔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구비된 안테나의 틸트업 각도를 기준으로 350도~5도 까지를 커버하는 반면, 부엽빔은 330도에서 310도 사이와 15도에서 30도 사이를 커버한다. 물론, 주엽빔과 부엽빔의 커버 각도가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Through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cover angles of the main leaf beam and the secondary leaf bea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ooking at the beam shown as a solid line in FIG. 3, the main leaf beam included therein covers from 330 degrees to 30 degrees based on the tilt-up angle of the antenna provided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while the side leaf beam covers 310 degrees. Covers approximately 50 degrees. Looking at the beam shown in dotted lines, the main lobe beam included therein covers 350 degrees to 5 degrees based on the tilt-up angle of the antenna provided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while the side lobe beam covers 330 degrees to 310 degrees. Covers between degrees and between 15 and 30 degrees. Of course, the cover angles of the main leaf beam and the secondary leaf beam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3.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을 사용하는 경우, 이 때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제공하는 망 품질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비교적 멀지 않은 곳에서 좋은 경향이 있다.Wh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uses side lobe beams as the basic beam, the network quality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tends to be goo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relatively not far. There is.

즉,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부엽빔을 기본빔으로서 사용할 경우, 부엽빔의 넓은 커버리지 각도 범위로 인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비교적 멀지 않은 곳에서는, 부엽빔에 의한 망 품질이 국소적으로 좋은 지점이 넓게 존재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uses the sidelobe beam as the basic beam, in places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not relatively far due to the wide coverage angle range of the sidelobe beam, the network quality due to the sidelobe beam This locally good point exists widely.

이러한 각 빔의 특성을 고려해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기본빔이 주엽빔으로 선택된 경우와 부엽빔으로 선택된 경우 각각에 대해 살펴보자.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eam, let's look at the case where the basic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selected as the main leaf beam and the case where the basic beam is selected as the side leaf beam.

먼저, 기본빔으로서 주엽빔이 선택된 경우이다.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대한 설계에 따르면, 주엽빔이 선택됨으로써,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제공되는 셀 영역은, 자신의 상공이 아닌, 자신에게 인접해 있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게 된다. 아울러, 해당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또 다른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서 커버된다. 즉,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전술한 '또 다른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 의해 통신이 수행된다(=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서빙셀 기지국은 '또 다른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다.First, this is the case where the main leaf beam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main lobe beam is selected, so that the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covers the airspace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djacent to the airspace network, not the airspace itself. I do it. In addition, the airspace of the corresponding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another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by the above-mentioned 'another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serving cell base station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another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이와 달리,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이 선택된 경우이다. 부엽빔의 전술한 특성 때문에,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셀 영역에 의해서 커버된다. 즉,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의해 통신이 수행된다(=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서빙셀 기지국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이다).In contrast, this is the case where the side lobe beam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Because of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of the side lobe beam, the sky abov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n other word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e serving cell base station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은 주엽빔과 부엽빔 중 어느 하나를 기본빔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select one of the main leaf beam and the side leaf beam as the basic beam.

아울러, 이러한 선택에 의해,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주엽빔 선택)하거나 또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부엽빔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is selection,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cover the airspace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in leaf beam selection) or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side leaf beam selection).

이를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부엽빔 선택, 서빙셀 기지국은 상공망용 기지국)되거나 또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주엽빔 선택, 서빙셀 기지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based o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side-leaf beam selection, serving cell base station is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or by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adjacent base station. Cover (main leaf beam selection, serving cell base station can be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이하,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프로세서(120)에 의해, 기본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고려하는 파라미터에 대해 살펴보자. Hereinafter, let's look at the parameters that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consider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basic beam by the processor 120.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기본빔을 선택할 때 다양한 파라미터를 고려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consider various parameters when selecting a basic beam by the processor 120.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정보(또는 신호 세기)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발생된 신호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 측정된 결과를 신호 정보라고 한다면, 이러한 신호 정보가 전술한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These parameters may include signal information (or signal strength)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at is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Specifically, if the result of a signal generated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easured in the sky abov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referred to as signal information, such sig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parameters.

여기서 이러한 신호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된 것일 수 있다.Here, this signa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in various ways.

예컨대 신호 정보는 이러한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용 기기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signal information may be measured by a device dedicated to obtaining such signal information.

이와 달리, 신호 정보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는 비행체에서 생성된 피드백 리포트(feedback report)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는 비행체는 상공망용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행체는 이렇게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피드백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생성된 피드백 리포트는 비행체로부터 상공망용 기지국(100) 또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contrast, signa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feedback report generated from an aircraft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Looking at this in detail, an aircraft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can receive signals not only from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but also from an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ere is. The aircraft can generate a feedback repor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feedback report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transmitted from the aircraft to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or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전술한 파라미터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과 상공망용 기지국(100) 간의 이격 거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설계 당시 또는 실제 구축 당시에 측정된 것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mentioned parameters may includ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This separation distance may be measured at the time of design or actual construction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프로세서(120)에 의해, 기본빔을 선택할 때 전술한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 살펴보자. 다만, 이하에 기술되어 있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이하에 기술되는 각 방식과 상이한 방식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let's look at a specific 'method' in whic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parameters when selecting a basic beam by the processor 120. However, the methods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and methods different from the methods described below are not exclud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방식에서는, 전술한 신호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신호 정보(신호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이 선택되고, 그렇지 않으면 주엽빔이 선택될 수 있다.In the first scheme, the above-described signal information can be taken into account. For example, if the above-described signal information (signal siz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ide lobe beam may be selected as the basic beam, otherwise, the main lobe beam may be selected.

제2 방식에서는, 전술한 이격 거리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이격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이 선택되고, 그렇지 않으면 주엽빔이 선택될 수 있다.In the second scheme,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distance can be taken into account. For example, i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ide leaf beam may be selected as the basic beam, otherwise, the main leaf beam may be selected.

제3 방식에서는 전술한 신호 정보와 이격 거리 각각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신호 정보(신호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을 뿐 아니라 전술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보다 크면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이 선택되고, 전술한 신호 정보(신호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거나 또는 전술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기본빔으로서 주엽빔이 선택될 수 있다.In the third method, each of the above-described signal information and separation distance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if the above-mentioned signal information (signal siz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side lobe beam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and the above-described signal information (signal siz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hreshold. Alternatively, i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main leaf beam may be selected as the basic beam.

이하에서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를 하였는데, 실제 상공망에서는 설계된 것과는 상이하게 구축되었고, 따라서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 즉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제공하는, 상기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는 못한 상황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프로세서(120)를 통해서 수행하는 기능 내지 동작에 대해 살펴보자.In the following,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was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but in the actual airspace network, it was constructed differently from what was designed, and therefore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above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at is,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n a situation where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provided by the cell area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the function or operation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rough the processor 120 Let's take a look.

먼저,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통신부(110)를 통해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된 신호 정보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 측정된 결과이다. 이러한 신호 정보의 획득 방식은 전술한 바를 원용하기로 한다.First,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cquires signal information about signals generated from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ignal information obtained here is a result measured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used to obtain this signal information.

그러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20)를 통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사용될 기본빔을 선택한다. 선택 가능한 빔들에는 주엽빔과 부엽빔이 포함되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selects a basic beam to be used i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the processor 120. Selectable beams include main leaf beams and side leaf beam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이러한 기본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파라미터가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실제로 상공망이 구축된 것을 전제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측정 결과인 신호 크기가 고려될 수 있다.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과 상공망용 기지국(100) 간의 이격 거리 역시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various parameters may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is basic beam. For example, assuming that an airspace network is actually constructed, the signal size resulting from measurement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for signals generated from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be considered. Of cour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also be considered.

만약 이 신호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다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은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If this signal siz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borne network base station 100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20)를 통해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기본빔으로서 주엽빔이 아닌 부엽빔을 선택한다. 부엽빔을 선택함으로써,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더 이상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아닌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부엽빔은 주엽빔에 대비해서 커버리지 각도가 큰 특성,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서의 RSRP가 극대값을 갖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망 품질(또는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이거나 그에 근사한 수준)이 획득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selects, through the processor 120, a side lobe beam rather than the main leaf beam as the basic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By selecting the side lobe beam,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no longer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rather than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n addition, these side-lobe beams have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a larger coverage angle compared to the main-leaf beam, and the RSRP has the maximum value at a short distance.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relatively high network quality (or a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or a level close to it) can be obtained.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서는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이 해당 상공을 커버하게 함으로써, 설계 당시의 수준과 동일 또는 그에 근사한 수준의 망 품질이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행체는 원활하게 상공망용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ven if the network quality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due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overs the airspace. By doing so, network quality at the same or close to the level at the time of design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the aircraft can smoothly communicate wit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이하에서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프로세서(120)를 통해서 수행하는 다른 기능 내지 동작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Below, we will look at other functions or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rough the processor 120.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20)를 통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것으로 결정된 셀 영역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may, through the processor 120, maintain the cell area determi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or change from one cell area to anothe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본빔이 선택된 이후에,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는지는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될 필요가 있다. 체크 과정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과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측정 결과인 신호 정보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after the basic beam is selecte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eck whether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born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at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In the check process, signal information resulting from measurements in the sk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for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nd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

만약,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내지 조건 등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may be changed from one to another. We will look at the process and conditio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in more detail later.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정 이후에도, 이러한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공망용 기지국의 망 품질이 관리 내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공망용 기지국의 망 품질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도, 비행체는 상공망용 기지국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not only determine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but also, even after this decision, by chang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network quality of the base station can be managed or maintained. Therefore, even when the network qualit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hanges over time, the aircraft can smoothly communicate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지금까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공망용 기지국(100)에 의해 수행되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대한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base station 100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Below, we will look a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fo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which is perform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먼저, 도 4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 대한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순서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First, FIG. 4 exemplarily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ell area for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 this flow chart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shown in FIG. 4, or at least one step not shown in FIG. 4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or at least one of the steps shown in FIG. 4 may not be performed. Maybe not.

도 4를 참조하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여기서의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은 복수의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중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된 인접 기지국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여기서 획득된 신호 정보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 측정된 결과이다. 이 때, 이러한 신호 정보의 획득 방식은 앞서 설명된 바를 원용하고, 여기서는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 step (S100) of acquiring signal information about a signal generated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performed. Here,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be an adjacent base station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mong a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ignal information obtained here is a result measured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t this time, the previously described method of acquiring signal information will be used,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다음으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할 셀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이러한 단계 S20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step (S200) of determining a cell area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performed. This step S200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 S200을 세분화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00에서 획득된 신호 정보가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된다(S210). 실시예에 따라 이 단계(S210)에서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과 상공망용 기지국(100) 간의 이격 거리가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신호 정보의 임계값과의 비교 방식 또는 이격 거리의 임계값과의 비교 방식은 앞서 살펴본 3가지 방식, 즉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기본빔을 선택할 때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방식을 원용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S200 shown in FIG. 4. Referring to FIG. 5, the signal information obtained in S100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S21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 this step (S210),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desig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The comparison method with the threshold value of signal information or the comparison method with the threshold value of the separation distance is decided to use the three methods discussed above, that is, the method in whic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considers parameters when selecting the basic beam,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S210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기본빔이 주엽빔과 부엽빔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된다(S220, S230). 예컨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신호 정보가 임계값보다 크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으로서 주엽빔이 선택된다(S220). 아울러, 이 때의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이 커버하도록 결정된다(S221). 이와 달리,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신호 정보가 임계값 이하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으로서 부엽빔이 선택된다(S230). 아울러, 이 때의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셀 영역이 커버하도록 결정된다(S231). 여기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신호 정보와 임계값을 비교하는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방식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210, the basic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determined to be one of the main leaf beam and the side leaf beam (S220, S230). For example, if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main lobe beam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S220). In additio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t this time is determined to be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S221). In contrast, if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below the threshold, the side lobe beam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S230). In additio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t this time is determined to be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S231). Here, the method of comparing the signal information of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threshold is only an example, and other methods are not excluded.

이렇게 기본빔이 결정되고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이 결정되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는 통신이 수행된다. 또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체크된다. 이는 도 6과 7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Once the basic beam is determined in this way and the cell area covering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determin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n addition,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checked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This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in Figures 6 and 7.

도 6에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을 변경하는 절차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6 exemplarily shows a flowchart of a procedure for changing the basic beam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는 통신이 수행된다(S300). 이 때의 통신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결정된 셀 영역에 의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6,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S300). Communication at this time is performed by a cell area determi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그러면, 이후부터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유지할 것인지 또는 변경할 것인지 여부, 즉 변경 필요성이 판단된다(S400).Then, from now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or change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that is, whether change is necessary (S400).

만약,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S500),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것으로 결정된 셀 영역은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S600). 이와 달리, 변경이 필요없다고 판단되면(S500), S300부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S300 이하의 절차가 수행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change is necessary (S500), the cell area determi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may be changed from one to another (S600). In contrast, if it is determined that no change is necessary (S500), the procedures from S300 to S300 shown in FIG. 6 are performed.

그렇다면,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단계 S400과 S500 및 S600, 즉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해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변경을 수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지하는 절차에 대해 도 7과 8을 참조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n, in the following steps S400, S500, and S600 shown in FIG. 6, that is, the need to change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determined, and if change is necessary, change is performed. If not, change is performed. Let's look at the maintenance procedur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순서도 중 일부의 절차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7 exemplarily shows a detailed flowchart for some of the procedures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비행체의 위치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지 여부가 체크된다(S410). Referring to FIG. 7, first, it is checked whe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S410).

만약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면, 예컨대 비행체에 GPS 장비가 부착되어 있다면, 이로부터 이러한 비행체의 위치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S420), 따라서,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는지 여부가 파악될 수 있다.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can be estimated, for example, if a GPS device is attached to the aircraf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can be obtained (S420), and therefore, the aircraft is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exists or not.

이와 달리,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추정해야 한다. 추정 방식 중 하나는 해당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과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사이에서 핸드오버한 이력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S430). 구체적으로는, 비행체의 위치는,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과 상공망용 기지국(100) 사이에서 비행체가 핸드오버한 시점 및 상공망용 기지국(100)에서 이용되는 빔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In contrast, there may not be a means to directl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ircraft must first be estimated in various ways. One of the estimation methods is to use the information on the handover history of the aircraft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S430). Specifically, the location of the aircraft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ime when the aircraft handovers between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type of beam used in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Let’s look at it in more detail below.

우선,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부엽빔을 기본빔으로서 선택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비행체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상공망용 기지국(100)으로 핸드오버한 시점으로부터 미래를 향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면,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S431). First, this is a case where the side lobe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selected as the basic beam. In this case,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oward the future from the time the aircraft is handed over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t is presumed that the aircraft is in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 S431).

이와 달리,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주엽빔을 기본빔으로서 선택한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 이 경우에는 비행체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상공망용 기지국(100)으로 핸드오버한 시점으로부터 과거를 향하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서는,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S431). In contrast, let's look at a case wher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selects the main leaf beam as the basic beam. In this case, it is presumed that the aircraft was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acing past from the time the aircraft handed over from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o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S431).

이렇게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거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면, 그렇게 추정되는 시점에서의 피드백 리포트를 비행체로부터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리포트에는, 비행체가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 있을 때 받은 신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리포트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 비행체가 측정한 결과인,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및 상공망용 기지국(100) 각각의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S440).In this way, if the aircraft is estimated to be or has been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a feedback report at the estimated time can be received from the aircraft. In this feedback report, information about signals received when the aircraft is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recorded. For example, in this report, signal information for each signal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100, which is the result of measurement by an aircraft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recorded (S440).

그러면 상공망용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20)를 통해, 이들 신호 정보를 이용해서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을 체크한 뒤, 셀 영역을 변경하거나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00). 이러한 S500에서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기본빔이 부엽빔인지 아니면 주엽빔인지에 따라 그 결과가 상이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S500에 대해 각 케이스 별로 살펴보자.The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can check the network quality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using these signal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or 120, and then determine whether to change or maintain the cell area. (S500). In this S500, the resul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basic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the side leaf beam or the main leaf beam. Hereinafter, we will look at S500 for each case.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이 부엽빔으로 선택된 경우><When the primary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selected as the side-lobe beam>

이 경우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이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셀 영역이 커버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피드백 리포트로부터는, 상공망용 기지국(100) 및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상공망용 기지국(100) 상공에서의 신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100. From the feedback report in this case, signal information abov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be obtained for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case 1)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유지된다.(Case 1)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maintained as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case 2)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된다.(Case 2)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changed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do.

(case 3)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된다.(Case 3)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changed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do.

(case 4)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유지된다.(Case 4)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maintained as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여기서, case 3과 case 4는 상황에 따라 위와는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of course, case 3 and case 4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공망용 기지국의 기본빔이 주엽빔으로 선택된 경우><In case the basic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selected as the main leaf beam>

이 경우에는,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 커버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피드백 리포트로부터는, 상공망용 기지국(100) 및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상공망용 기지국(100) 상공에서의 신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is covered by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From the feedback report in this case, signal information abov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be obtained for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case 5)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된다.(Case 5)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changed to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case 6)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유지된다.(Case 6)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maintained as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do.

(case 7)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유지된다.(Case 7)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maintained as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do.

(case 8)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의 측정 신호 세기 > 임계값 : 상공망용 기지국(100)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은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된다.(Case 8) Measured signal strength of adjacent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 Measured signal strength of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Threshold: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00) is changed to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

여기서, case 5의 경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은 상공망용 기지국(100)과의 통신을 통해, 상공망용 기지국(100)이 기본빔으로서 주엽빔에서 부엽빔을 사용하도록 변경 요청을 할 수 있다.Here, in case 5,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may reques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to change the base station 100 for the airspace network from using the main leaf beam to the side leaf beam as the basic beam.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은 프로세서를 통해서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결정된 이후 상공망용 기지국의 동작 중에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공망용 기지국의 망 품질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도, 비행체는 상공망용 기지국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an not only determine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rough the processor, but also, after this determination,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You can change the area from one area to another. Therefore, even when the network quality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hanges over time, the aircraft can smoothly communicate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도록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 때,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implemented to include computer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At this time,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computer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in each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 chart. It creates the means to carry out these task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can als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generating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의 망 품질이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의해서는 설계 당시에 의도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이 해당 상공을 커버하게 함으로써, 설계 당시의 수준과 동일 또는 이에 근사한 수준의 망 품질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UAM 비행체를 운용하는 항공 시스템 및 관련 기술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ven if the network quality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base station does not reach the level intended at the time of design due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cell area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covers the airspace. , network quality at the same or close to the level at the time of design can be obtained.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viation systems that operate UAM aircraft and related technical fields.

100: 상공망용 기지국
110: 통신부
130: 프로세서
100: Base station for airspace network
1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30: processor

Claims (10)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커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s a method of determining a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Obtaining signal information about signals generated from adjacent base stations for airspace networks;
Based on the obtained signal information, determining that one of a cell area provid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covers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 대한 이격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의 결정에는,
상기 이격 거리 정보가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method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about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from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n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The separation distanc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considere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은,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주엽빔(mainlobe beam)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부엽빔(sidelobe beam)에 의해 제공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 area provided by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provided by the mainlobe beam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he cell area provided by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provided by the sidelobe beam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빔(beam)은,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빔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각도의 상공을 커버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used in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Covering the sky at a higher angle on average than the beam used in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도록 결정된 셀 영역을,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 area determined to cover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changed from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o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or from the cell area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to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which further includes steps to change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의 실행 여부는,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된 신호에 대한,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서 측정된 신호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Whether or not the above changing step is executed,
Determined according to signal information measured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for signals generated from each of the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공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비행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비행체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면 수행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above method i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stimating the location of an aircraft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airspace network,
The above changing steps are:
Performed when the aircraft is estimated to be in the airspace of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점은,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과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 사이에서 상기 비행체가 핸드오버한 시점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빔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aircraft is estimated to be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ime when the aircraft handovers between the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the type of beam used at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서 이용되는 빔이 주엽빔이면, 상기 비행체가 핸드오버한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상기 비행체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에서 시용되는 빔이 부엽빔이면, 상기 비행체가 핸드오버한 시점보다 이후 시점에 상기 비행체가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을 커버하는 셀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f the beam us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a main leaf beam, it is estimated that the aircraft is in the sky above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t a time prior to the time when the aircraft handovers,
If the beam used at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is a sidelobe beam, it is estimated that the aircraft is in the sky above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at a later time than the time when the aircraft handed ov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ell area covering the airspace of a base station for an airspace network.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실행됨으로써,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가 획득되며,
상기 획득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의 상공이, 상기 상공망용 인접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및 상기 상공망용 기지국이 제공하는 셀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커버되도록 결정되는
상공망용 기지국.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Contains a processor,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by the processor,
Signal information about signals generated from adjacent base stations for the airspace network is obtained,
Based on the obtained signal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space of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is covered by one of a cell area provid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and a cell area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for the airspace network.
Base station for commercial network.
KR1020220133172A 2022-10-17 2022-10-17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KR20240053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172A KR20240053274A (en) 2022-10-17 2022-10-17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172A KR20240053274A (en) 2022-10-17 2022-10-17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274A true KR20240053274A (en) 2024-04-24

Family

ID=9088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172A KR20240053274A (en) 2022-10-17 2022-10-17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27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239A (en) 2008-09-04 2011-02-10 알까뗄 루슨트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light broadband mobile commnunication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239A (en) 2008-09-04 2011-02-10 알까뗄 루슨트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light broadband mobile commnunication ser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8336B2 (en) Cell identification based on distance
US111840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aircraft
US7933610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an optimum site and/or sector to provide geo-location data
CN111294129B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signal radio wave distribution and estimating radio characteristics
JP7282081B2 (en) Passive collection of air-to-ground network parameters for network planning and control
KR20240053274A (en) Base station for aerial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cell coverage for covering upper area thereof
US2006014201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mobile station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ub-group of adjacent radio cells in 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KR1015783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base station
US94515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over information within femtocell network and terminal using the same
EP1427236A1 (en) A location map for selecting reception conditions for a mobile station depending on its present actual location
KR100548399B1 (en) Hand-off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108536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sible geographic positions of an assumed undetected target
CN116318317A (en) Switching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083585B1 (en) Cell 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40058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etwork information
US20230239783A1 (en) Techniques improving connection reliability during navigation in cellular networks
KR20230163928A (en) Aircraf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thereof,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thereof
KR202400335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US11876572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4531187B (en) Automatic antenna beam alignment
US20230370998A1 (en) Techniques for building digital twins of cellular networks and for navigating therewith
US20240172078A1 (en) Measurement triggering for networks with moving network nodes
KR20240002817A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thereof
US20220128354A1 (en) Esa based altimeter
CN104936198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lation of adjacent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