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827A - 장치 유형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한 소규모 데이터 송신 개시 - Google Patents

장치 유형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한 소규모 데이터 송신 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827A
KR20240052827A KR1020247010890A KR20247010890A KR20240052827A KR 20240052827 A KR20240052827 A KR 20240052827A KR 1020247010890 A KR1020247010890 A KR 1020247010890A KR 20247010890 A KR20247010890 A KR 20247010890A KR 20240052827 A KR20240052827 A KR 20240052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s
device type
data transmission
small data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시-페카 코스키넨
사물리 헤이키 투르티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4005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장치 유형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한 소규모 데이터 송신 개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연결 설정으로부터의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키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에서 소량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추구되는 보호 범위는 독립항에 의해 설명된다. 독립항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및 피쳐는, 존재하는 경우,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게 하고-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요소는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상기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고;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요소는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상기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고; 및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여기서
도 1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9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다음 실시예는 예시이다. 본 명세서는 본문의 여러 위치에서 "하나의(an)", "하나의(one)" 또는 "일부(some)" 실시예(들)를 언급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각각의 참조가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졌다거나 특정 특징이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의 단일 특징은 또한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 아키텍처의 예로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LTE Advanced, LTE-A) 또는 새로운 라디오(NR, 5G)에 기반한 무선 액세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며,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를 그러한 아키텍처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파라미터 및 절차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수단을 갖는 다른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적합한 시스템을 위한 다른 옵션의 일부 예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또는 E-UTRAN), 롱텀 에볼루션(LTE, E-UTRA와 실질적으로 동일),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또는 Wi-Fi),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iMAX)에 대한 전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 Bluetooth®, 개인 통신 서비스(PCS), ZigBee®,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초광대역(UWB)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임시 네트워크(MANET) 및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은 모두 논리 유닛(logical unit)인 일부 요소와 기능적 엔티티를 보여주는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도시하며 이들의 구현은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도 1에 eh시된 연결은 논리적 연결이며; 실제 물리적 연결은 다를 수 있다.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기능 및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제공된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필요한 속성을 갖춘 다른 통신 시스템에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은 셀을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e/g)NodeB)(104)와 셀의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해 무선 연결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 (100 및 102)를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로부터 (e/g)NodeB로의 물리적 링크(physical link)는 업링크 또는 리버스 링크(reverse link)로 지칭될 수 있고, (e/g)NodeB에서 사용자 장치 로의 물리적 링크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e/g)NodeB 또는 그 기능은 그러한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노드, 호스트, 서버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의 엔티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e/g)Node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e/g)NodeB는 해당 목적을 위해 설계된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링크는 시그널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e/g)NodeB는 자신이 결합된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e/g)NodeB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중계국(relay station)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싱 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e/g)NodeB는 트랜시버를 포함하거나 그에 결합될 수 있다. (e/g)NodeB의 트랜시버로부터, 사용자 장치에 대한 양방향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안테나 유닛에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안테나 유닛은 복수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e/g)NodeB는 코어 네트워크(110)(CN 또는 차세대 코어 NGC)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 CN 측의 상대방(counterpart)은 서빙 게이트웨이(S-GW, 사용자 데이터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일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 (UE)를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 등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장치 (UE, 사용자 장비, 사용자 단말, 단말 장치 등으로도 지칭됨)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자원이 배분되고 할당될 수 있는 장치의 한 유형을 예시하며, 따라서 사용자 장치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릴레이 노드(relay node)와 같은 대응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 노드의 예로는 기지국을 향한 계층 3 릴레이(자체 백홀 릴레이)가 있을 수 있다. 자체 백홀 릴레이 노드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IAB 노드는 두 개의 논리적 부분, 즉 백홀 링크(들)(즉, IAB 노드와 상위 노드(parent node)라고도 알려진 기증자 노드(donor node) 간의 링크(들))를 관리하는 MT(mobile termination) 부분과 액세스 링크(들), 즉 IAB 노드와 UE(들) 사이 및/또는 IAB 노드와 다른 IAB 노드 사이(다중 홉 시나리오)의 하위 링크(들)를 관리하는 DU(distributed uni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모바일 스테이션(휴대전화), 스마트폰, 개인휴대단말기(PDA), 핸드셋, 무선 모뎀을 사용하는 장치(경보 또는 측정 장치 등), 노트북 및/또는 터치 스크린 컴퓨터, 태블릿, 게임 콘솔, 노트북, 멀티미디어 기기의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있거나 없이 동작하는 무선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또한 거의 배타적인 업링크 전용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을 네트워크에 로딩하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자 장치는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는 인간 대 인간 또는 인간 대 컴퓨터 상호 작용을 요구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객체에 제공할 수 있는 시나리오이다. 사용자 장치는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장치는 무선 부품(예를 들어, 시계, 이어폰 또는 안경)이 있는 소형 휴대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계산은 클라우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또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계층 3 릴레이 노드)는 사용자 장비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또한 몇 가지 이름이나 장치만 언급하면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물리적 엔티티를 제어하는 계산 요소가 협력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CPS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물리적 객체에 내장된 대량의 상호 연결된 ICT 장치(센서, 액추에이터, 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등)를 구현하고 활용할 수 있다. 문제의 물리적 시스템이 고유한 이동성을 가질 수 있는 모바일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은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의 서브카테고리이다. 모바일 물리적 시스템의 예로는 인간이나 동물이 운반하는 모바일 로봇공학과 전자장치가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가 단일 엔티티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유닛,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 유닛(도 1에 모두 도시되지는 않음)이 구현될 수 있다.
5G는 다중 입력-다중 출력(MIMO) 안테나, 소규모 스테이션과 협력하여 동작하고 서비스 요구 사항, 사용 사례 및/또는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에 따라 다양한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매크로 사이트를 포함하는 LTE보다 더 많은 기지국 또는 노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소위 소형 셀 개념). 5G 모바일 통신은 비디오 스트리밍, 증강 현실, 다양한 데이터 공유 방식 및 다양한 형태의 머신 유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차량 안전, 다양한 센서 및 실시간 제어를 포함한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MTC))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사용 사례와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5G는 6GHz 미만, cmWave 및 mmWave 등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LTE와 같은 기존 레거시 무선 액세스 기술과 통합될 수도 있다. LTE와의 통합은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매크로 커버리지는 LTE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5G 무선 인터페이스 액세스는 LTE에 대한 집계를 통해 소규모 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5G는 RAT 간 운용성(LTE-5G 등)과 RI 간 운용성(6GHz 미만 - cmWave, 6GHz 미만 - cmWave - mmWave 등 무선 간 인터페이스 운용성)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개념 중 하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일 수 있으며, 다중의 독립적인 전용 가상 서브 네트워크(네트워크 인스턴스)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프라 내에 생성되어 대기 시간, 안정성, 처리량 및 이동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서로 다른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의 현재 아키텍처는 무선에 완전히 분산되고 핵심 네트워크에 완전히 중앙 집중화될 수 있다. 5G의 대기 시간이 짧은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콘텐츠를 무선에 가깝게 가져와 로컬 브레이크 아웃 및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MEC)으로 이어질 수 있다. 5G를 사용하면 데이터 소스에서 분석 및 지식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접근법에서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센서 등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자원을 활용해야 할 수도 있다. MEC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호스팅을 위한 분산 컴퓨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위해 셀룰러 가입자와 가까운 곳에 콘텐츠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에지 컴퓨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데이터 수집, 모바일 서명 분석, 협력적 분산 P2P 임시 네트워킹 및 처리와 로컬 클라우드/포그 컴퓨팅 및 그리드/메시 컴퓨팅으로 분류 가능, 듀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렛, 분산 데이터 저장 및 검색, 자율 자가 치유 네트워크, 원격 클라우드 서비스, 증강 및 가상 현실, 데이터 캐싱, 사물 인터넷(대규모 연결 및/또는 대기 시간이 중요함), 중요한 통신(자율주행 차량, 교통 안전, 실시간 분석, 시간이 중요한 제어, 의료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광범위한 기술을 포괄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또한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인터넷(112)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거나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핵심 네트워크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수행될 수 있다(이는 도 1에서 "클라우드"(114)로 표시됨). 통신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스펙트럼 공유에서 협력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자의 네트워크를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엔티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을 활용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로 가져올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는 것은 원격 무선 헤드(RRH) 또는 무선 유닛(RU) 또는 무선 부품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액세스 노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동작이 복수의 서버, 노드 또는 호스트에 분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RAN 측(분산 유닛, DU(104))에서 RAN 실시간 기능을 수행하고 중앙 집중식 방식으로 비실시간 기능(중앙 유닛, CU(108)에서)을 수행하는 것은 예를 들어 cloudRAN 아키텍처를 적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핵심 네트워크 동작과 기지국 동작 간의 노동력 분배가 LTE의 그것과 다를 수도 있고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술 발전으로는 빅 데이터(Big Data) 및 All-IP가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관리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5G(또는 새로운 무선, NR) 네트워크는 다중 계층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MEC 서버는 코어와 기지국 또는 nodeB(gN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MEC는 4G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5G는 또한 위성 통신을 활용하여 백홀링을 제공하는 등에 의해 5G 서비스의 적용 범위를 강화하거나 보완할 수도 있다. 가능한 사용 케이스로는 기계 간(M2M) 또는 사물 인터넷(IoT) 장치나 차량 탑승 승객을 위한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거나 중요한 통신 및 미래의 철도/해상/항공 통신에 대한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 있다. 위성 통신은 정지 지구 궤도(GEO) 위성 시스템뿐만 아니라 저지구 궤도(LEO) 위성 시스템, 특히 메가 위성(수백 개의 (나노) 위성이 배치된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다. 메가 위성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106)은 지상 셀을 생성하는 여러 위성 지원 네트워크 엔티티를 커버할 수 있다. 지상 셀은 지상 릴레이 노드(104)를 통해 생성되거나, 지상이나 위성에 위치한 gN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일부의 예일 뿐이며 실제로 시스템은 복수의 (e/g)NodeB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는 복수의 무선 셀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시스템은 또한 물리적 계층 릴레이 노드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 등과 같은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e/g)NodeB 중 적어도 하나는 또는 Home(e/g)nodeB일 수 있다.
또한 (e/g)nodeB 또는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분할될 수도 있다: 무선 트랜시버(TRX), 즉 송신기(TX)와 수신기(RX)를 포함하는 무선 유닛(RU); 소위 계층 1(L1) 처리 및 실시간 계층 2(L2)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산 유닛(DU); 및 비실시간 L2 및 계층 3(L3)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중앙 유닛(CU) 또는 중앙 집중식 유닛. CU는 예를 들어 F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DU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은 셀 사이트 및 DU와 관련하여 CU의 중앙 집중화를 가능하게 하는 반면, DU는 더 분산될 수 있으며 셀 사이트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다. CU와 DU는 함께 베이스밴드 또는 베이스밴드 유닛(BBU)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CU와 DU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RAP)에 포함될 수도 있다.
CU는 (e/g)nodeB 또는 기지국의 무선 자원 제어(RRC),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및/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과 같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호스팅하는 논리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DU는 (e/g)nodeB 또는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RLC),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및/또는 물리적(PHY) 계층을 호스팅하는 논리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DU의 동작은 CU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CU는 제어 평면(CU-CP)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e/g)nodeB 또는 기지국에 대한 CU의 PDCP 프로토콜의 RRC 및 제어 평면 부분을 호스팅하는 논리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CU는 사용자 평면(CU-UP)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e/g)nodeB 또는 기지국에 대한 CU의 PDCP 프로토콜 및 SDAP 프로토콜의 사용자 평면 부분을 호스팅하는 논리 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하여 CU 및/또는 DU를 운영할 수도 있다. CU는 가상화된 CU(vCU)로 지칭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에서 운영될 수 있다. vCU 외에도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가상화 DU(vDU)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고객별 표준 제품(CSSP) 시스템 온 칩(SoC) 솔루션과 같은 DU가 소위 베어 메탈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는 조합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기지국 유닛 간의 노동 분배, 또는 서로 다른 핵심 네트워크 동작 및 기지국 동작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지리적 영역에서, 복수의 무선 셀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셀이 제공될 수도 있다. 무선 셀은 최대 수십 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대형 셀일 수 있는 매크로 셀(또는 우산 셀)이거나 마이크로 셀, 펨토 셀 또는 피코 셀과 같은 더 작은 셀일 수 있다. 도 1의 (e/g)NodeB는 모든 종류의 이러한 셀을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셀을 포함하는 다계층(multilayer)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다계층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액세스 노드가 한 종류의 셀(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e/g)NodeB가 필요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전개 및 성능 개선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플러그 앤 플레이"(e/g)NodeB 개념이 도입될 수 있다. "플러그 앤 플레이"(e/g)NodeB를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Home (e/g)NodeB(H(e/g)nodeB) 외에도 홈 노드 B 게이트웨이 또는 HNB-GW(도 1에는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 설치될 수 있는 HNB 게이트웨이(HNB-GW)는 다수의 HNB에서 핵심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집계할 수 있다.
(대규모) 기계형 통신을 위한 센서, 액추에이터 및 유사한 장치 또는 소량의 데이터를 자주 또는 드물게 생성(송신)하는 채팅 앱이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위 목록은 소량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의 예에 대한 비제한적인 목록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연결 설정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5G 이상에서는 장치는 소규모 데이터 전송(SDT) 절차(소규모 데이터 전송 절차)라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비활성 상태에서 적은 양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비활성 상태의 장치는 특정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데이터 양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양은 데이터 볼륨 또는 데이터 수량이라고도 한다. 즉, 5G 용어를 사용하면, SDT는 RRC_INACTIVE 상태(즉, RRC_CONNECTED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를 유지하면서 데이터 송신을 허용하는 절차이다. 따라서, SDT 절차는 RRC_INACTIVE 상태에서 RRC_CONNECTED 상태로의 전환과 연관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지연을 피할 수 있다. SDT는 무선 베어러 기반으로 활성화되고 UE에 의해 개시될 수 있으며, 구성된 양보다 적은 업링크(UL) 데이터가 SDT가 활성화된 무선 베어러를 통한 송신을 기다리는 경우, 셀에서 측정된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이 구성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SDT 전송을 위한 유효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RRC_INACTIVE는 UE가 CM-CONNECTED 상태를 유지하고 RAN에 알리지 않고 RAN에 의해 구성된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CM은 연결 관리의 약어이다. RRC_INACTIVE 상태에서, 마지막 서빙 gNB는 서빙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및 사용자 평면 기능(UPF)과의 UE 컨텍스트 및 UE 관련 연결을 유지한다. RRC_INACTIVE 상태는 RRC 상태 변경 시 필요한 제어 평면(CP) 절차 및 관련 지연 시간을 완화하여 UE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UE가 RRC_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무선 연결은 중단되지만 핵심 네트워크 연결은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즉, UE는 CM-CONNECTED 상태를 유지한다). 데이터/시그널링 송신에 사용되는 최신 무선 베어러 구성은 물론 무선 인터페이스의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를 위한 보안 키 및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중단된 연결을 신속하게 재개하기 위해 UE 액세스 계층(AS) 컨텍스트(UE 비활성화 AS 컨텍스트라고도 함)가 UE와 RAN 측 모두에 저장된다. 이렇게 보관된 정보를 기초로, UE는 무선 및 코어 네트워크 모두에 대한 새로운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RRC_IDLE 상태의 UE와 비교할 때 훨씬 낮은 지연 및 관련 시그널링 오버헤드로 무선 연결을 재개할 수 있다.
SDT 절차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자원 또는 유형 1 구성 승인(CG) 자원에서 발생할 수 있다. CG의 경우, SDT 자원은 초기 대역폭 부분(BWP) 또는 전용 BWP에서 구성될 수 있다. RACH의 경우, 네트워크는 2-단계 및 4-단계 랜덤 액세스 유형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도 구성할 수 있다. 두 가지 랜덤 액세스 유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 경우, UE는 두 가지 랜덤 액세스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단 개시되면, SDT 절차는 UE가 RRC_IDLE 또는 RRC_INACTIVE 상태(RRCRelease를 통해) 또는 RRC_CONNECTED 상태(RRRCresume을 통해)로 명시적으로 지시되지 않는 한 지속될 수 있다. 초기 SDT 송신 후, 후속 송신은 구성된 자원 유형에 따라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CG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동적 승인을 사용하여 후속 UL 송신을 예약하거나 다음 CG 자원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RACH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된 후 각각 동적 승인 및 할당을 사용하여 후속 UL 및 다운링크(DL)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목적은 예를 들어 초기 액세스, 핸드오버, 스케줄링 요청, 타이밍 동기화 등이 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CBRA) 또는 경쟁 없는 랜덤 액세스 절차(CFRA)일 수 있다. CFRA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라고도 할 수 있다. CFRA에서, 특정 UE는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전용(즉, UE 특정)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갖는 반면, CBRA에서는 UE는 셀의 다른 UE와 공유되는 프리앰블 풀에서 프리앰블을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CFRA는 현재 RACH를 통한 SDT에 대해 지원되지 않다. CBRA에서, 둘 이상의 UE가 동일한 자원에 대해 동일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도하는 경우 경쟁(또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CBRA에서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RACH 프리앰블은 그룹 A와 그룹 B의 두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UE가 사용될 그룹을 선택하면, UE는 선택된 그룹에서 네트워크로 송신될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그룹 A는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 및/또는 UE의 커버리지가 좋지 않은 경우(예, RSRP가 낮은 경우) 일반 UL 자원을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룹 B는 Msg3에서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많고, UE의 커버리지가 좋은 경우(예, RSRP가 높은 경우) 더 큰 자원을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5G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초신뢰성 저지연 통신(URLLC) 및 데이터 속도, 대기 시간, 신뢰성, 적용 범위, 에너지 효율성 및 연결 밀도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 사항을 갖는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과 같은 광범위한 사용 사례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mMTC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및 기계 유형 통신(LTE-MTC)을 위한 롱텀 에볼루션과 같은 셀룰러 저전력 광역(LPWA) 기술을 커버할 수 있다. 5G의 또 다른 사용 사례는 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 사례 사이에는 산업용 무선 센서 네트워크, 비디오 감시 및 웨어러블(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반지, eHealth 관련 장치, 개인 보호 장비, 의료 모니터링 장치 등) 등과 같은 다른 중간급 사용 사례도 있다. 즉, 이러한 중간급 사용 사례의 요구 사항은 LPWA보다 높지만 eMBB 및 URLLC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중간급 사용 사례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는 NR 릴리스 17(Rel-17)에 축소된 기능(RedCap) 장치를 도입하였다. RedCap 장치는 RedCap UE, NR-Lite 장치 또는 NR-Light 장치라고도 한다.
RedCap 장치는 eMBB 및 URLLC 장치와 같은 고급 NR UE보다 복잡성이 낮고(예를 들어, 대역폭 및 안테나 수 감소) 배터리 수명이 길며 폼 팩터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edCap 장치는 1개의 수신기 분기와 1개의 송신기 분기(1Rx/1Tx)를 포함하거나, 주파수 범위 1(FR1)과 주파수 범위 2(FR2) 모두에서 2개의 수신기 분기와 1개의 송신기 분기(2Rx/1Tx)를 포함할 수 있다. RedCap 장치는 주파수 분할 이중화(FDD) 및 시분할 이중화(TDD)를 위해 모든 FR1 및 FR2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산업용 무선 센서 및 액추에이터는 RedCap 장치의 한 예이다.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운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5G 무선 액세스 및 핵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산업용 무선 센서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온도계, 모션 센서 및/또는 가속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산업용 무선 센서 네트워크 사용 사례는 요구 사항이 매우 높은 URLLC 서비스뿐만 아니라 또한 소형 장치 폼 팩터를 요구하거나 및/또는 배터리 수명이 몇 년인 완전 무선 기능을 갖춘 비교적 저가형 서비스도 포함한다. 이러한 저가형 서비스는 RedCap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저가형 서비스와 관련된 산업용 무선 센서에는 다음과 같은 사용 사례별 요구 사항이 있을 수도 있다: 통신 서비스 가용성은 99.99%이고 종단 간 대기 시간은 100ms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사용 사례에 대해 기준 비트 전송률은 2Mbps 미만(잠재적으로 비대칭, 예를 들어, UL 과도한 트래픽)일 수 있으며 장치는 고정되어 있다. 안전 관련 센서의 경우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이 더 낮을 수 있다(예를 들어, 5 내지 10ms).
비디오 감시 카메라는 RedCap 장치의 또 다른 예이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를 배치하면 도시/공장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공장 및 산업뿐만 아니라 스마트 시티 사용 사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결된 산업과 마찬가지로, 5G 연결은 차세대 스마트 시티 혁신의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디오 감시 사용 사례에는 다음 요구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경제적인 기준 비디오 비트 전송률은 2 내지 4Mbps, 대기 시간은 500ms 미만, 안정성은 99% 내지 99.9%이다. 고급 비디오(예를 들어, 농업용)에는 7.5 내지 25Mbps의 비디오 비트 전송률이 필요할 수 있다. 트래픽 패턴은 UL 송신에 의해 지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스마트 시계, 반지, eHealth 관련 장치, 개인 보호 장비 및/또는 의료 모니터링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는 RedCap 장치의 또 다른 예이다. 이 사용 사례의 한 가지 특징은 장치 크기가 작다는 것이다. 웨어러블에는 다음 요구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의 기준 비트 전송률은 DL에서 5 내지 50Mbps, UL에서 2 내지 5Mbps일 수 있고 장치의 최대 비트 전송률은 다운링크의 경우 최대 150Mbps, 업링크의 경우 최대 50Mbps로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배터리는 며칠 동안 지속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최대 1 내지 2주).
초기 액세스 중 및 이후 FR1 RedCap 장치의 최대 대역폭은 20MHz일 수 있다. 초기 액세스 중 및 이후 FR2 RedCap 장치의 최대 대역폭은 100MHz일 수 있다.
레거시 NR UE가 최소 2개의 Rx 안테나 포트를 장착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의 경우, RedCap 장치에 지원되는 최소 Rx 분기 수는 1일 수 있다. 또한 이 사양은 이러한 대역의 RedCap 장치에 대해 2개의 Rx 분기를 지원한다. Rx는 수신기의 약어이다.
레거시 NR UE(2-Rx 차량용 UE 제외)가 최소 4개의 Rx 안테나 포트를 장착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의 경우, RedCap 장치에 대해 지원되는 최소 Rx 분기 수는 1일 수 있다. 사양은 이러한 대역의 RedCap 장치에 대해 2개의 Rx 분기를 지원할 수도 있다.
1개의 Rx 분기가 있는 RedCap 장치의 경우 1개의 DL MIMO 계층이 지원될 수 있다. 2개의 Rx 분기가 있는 RedCap 장치의 경우 2개의 DL MIMO 계층이 지원될 수 있다. gNB는 UE의 Rx 분기 수를 알 수 있다. FR1 RedCap 장치에 대해서 DL에서 256QAM(직교 진폭 변조) 지원이 선택 사항(필수 사항 아님)일 수 있다.
RedCap 장치는 캐리어 집계, 이중 연결 및 더 넓은 대역폭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 중에, RedCap 장치는 메시지 1(Msg1, 즉 RACH 프리앰블) 및/또는 메시지 3(Msg3) 및 지원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조기 표시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메시지 A(MsgA)의 조기 표시를 통해 네트워크에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Msg1과 Msg3은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고, MsgA는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다.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Msg1과 Msg3이 하나의 메시지(즉, MsgA)로 결합될 수 있다.
RedCap 장치가 셀/주파수에 캠핑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시스템 정보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는 RedCap 장치의 Rx 분기 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RedCap 장치는 최대 10.24초의 eDRX 주기를 사용하여, 페이징 시간 창(PTW) 및 페이징 하이퍼프레임(PH)를 사용하지 않고, RRC_INACTIVE 및 RRC_IDLE 상태에 대해 확장된 불연속 수신(eDRX)을 지원할 수 있다. RRC_INACTIVE와 RRC_IDLE 사이에는 공통 설계(예를 들어, 공통 eDRX 값 세트)가 있을 수 있다. 일부 RedCap 장치는 최대 10485.76초의 eDRX 주기를 사용하여 RRC_INACTIVE 및 RRC_IDLE 상태에 대해 eDRX를 지원할 수 있다. SDT는 적어도 10.24초 이하의 eDRX 주기로 사용될 수 있다.
RRC_INACTIVE/RRC_IDLE 및/또는 RRC_CONNECTED에 대한 RedCap 장치의 인접 셀에 대한 무선 자원 관리(RRM) 완화가 있을 수 있다. RRM 완화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는 네트워크의 제어 하에 있을 수 있으며 방송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RedCap 장치는 비-RedCap UE와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즉, 특정 셀에 RedCap 장치와 비-RedCap UE가 모두 있을 수 있음).
그러나 RedCap 장치의 제한된 기능(예를 들어, 안테나 수 감소, 대역폭 지원 감소 등)은 현재 SDT 절차에서 고려되지 않으므로, SDT 절차는 현재 RedCap 장치에 대해 차선책이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가 적은 RedCap 장치는 SDT 세션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전력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SDT를 수행하는 다른 장치에 지속적인 오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RedCap 장치에 대한 SDT 절차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RedCap 장치와 같은 장치에 대한 SDT 자원 선택 및/또는 SDT 허용 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edCap 장치에 대한 SDT 허용 결정 및 자원 선택 기준은 RedCap 장치의 제한된 기능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RedCap 장치가 SDT에 대한 조건을 조정하는 방법을 명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표시를 하나 이상의 UE에 송신하고(201), 여기서 표시는 RedCap 장치에 특정하다(즉, 비-RedCap UE는 표시를 무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UE는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는 gNB와 같은 기지국일 수 있다.
표시(201)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 및/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규칙 및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RedCap 장치에 특정할 수 있다(즉, 비-RedCap UE는 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표시(201)는 하나 이상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SDT 허용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량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값, SDT 허용에 대한 RSRP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RSRP 임계값, 및/또는 자원 선택을 위한 RACH 프리앰블 그룹(A 또는 B) 데이터량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임계값은 RedCap 장치에 특정할 수 있다.
표시(201)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즉, 장치 특정 표시를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시(201)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SIB)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비-RedCap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예를 들어, 셀 내의 모든 UE)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은 복수의 UE의 서브세트가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UE의 서브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RedCap이 아닌 UE는 서브세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표시(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포함)는 RedCap 장치와 비-RedCap UE 모두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지만, RedCap 장치만이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해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유형의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만 SDT 조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는 규칙,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 및/또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표시에서 수신된 오프셋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202)한다.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가 조정된 하나 이상의 조건이 충족된다고 결정하면(203), 적어도 하나의 RedCap 장치는 SDT 절차를 개시하고(204)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한다.
조정된 하나 이상의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으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원래의(조정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RedCap 장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은 또한 다른 유형의 장치/UE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SDT에 대한 조건의 서로 다른 세트를 서로 다른 유형의 UE에 시그널링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는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제1 표시를 하나 이상의 제1 UE(UE1로 표시됨)에 송신한다(301). 네트워크 요소는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표시하는 제2 표시를 하나 이상의 제2 UE(UE2로 표시됨)에 송신한다(302).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1 UE를 포함하는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다.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2 UE를 포함하는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거나 특정하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과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업링크 데이터 양 임계치 및/또는 SDT 허용에 대한 제1 RSRP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2 업링크 데이터 양 임계치 및/또는 SDT 허용에 대한 제2 RSRP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 및/또는 제2 RSRP 임계치의 값은 각각 제1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 및/또는 제1 RSRP 임계치의 값과 다를 수 있다.
제1 장치 유형은 제2 장치 유형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장치 유형은 RedCap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1 UE는 RedCap 장치(들)일 수 있다. 제2 장치 유형은 비-RedCap UE를 포함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UE는 비-RedCap UE(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는 gNB와 같은 기지국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장치 유형은 1Rx RedCap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1 UE는 1Rx RedCap 장치(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치 유형은 2Rx RedCap 장치 및/또는 Non-RedCap UE를 포함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UE는 2Rx RedCap 장치(들) 및/또는 비-RedCap UE를 포함할 수 있다. 1Rx RedCap 장치는 단일 수신기로 구성된 RedCap 장치를 지칭한다. 2Rx RedCap 장치는 두 개의 수신기로 구성된 RedCap 장치를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하나 이상의 제1 UE에서 충족되면, 하나 이상의 제1 UE는 SDT 절차를 개시하고(303) 제1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한다.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이 하나 이상의 제2 UE에서 충족되면, 하나 이상의 제2 UE는 SDT 절차를 개시하고(304) 제2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RedCap 장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장치 유형은 RedCap 장치가 아닌 일부 다른 장치 유형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기능은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요소에 포함되거나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는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UE에 송신되며(401), 여기서 제1 표시는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다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제1 장치 유형은 예를 들어 RedCap 장치를 지칭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1 UE는 하나 이상의 RedC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 유형은 예를 들어 비-RedCap UE를 지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장치 유형은 1Rx RedCap 장치를 지칭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1 UE는 1Rx RedCap 장치(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치 유형은 2Rx RedCap 장치 및/또는 비-RedCap UE를 포함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UE는 2Rx RedCap 장치(들) 및/또는 비-RedCap U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401)는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값, RSRP 임계값, 및/또는 RACH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표시(401)는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오프셋 값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표시(4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UE와 제2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2 UE를 포함하는 복수의 UE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은 표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 및/또는 오프셋 값을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에 적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제1 UE가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시(401)는 전용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UE들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5는 SDT 허용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5에 예시된 기능은 단말 장치(UE)(예를 들어, RedCap 장치)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획득되고(501),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업링크 데이터 양에 대한 조건 및/또는 RSRP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 유형은 예를 들어 RedCap 장치를 지칭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1 UE는 하나 이상의 RedCap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 유형은 예를 들어 비-RedCap UE를 지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장치 유형은 1Rx RedCap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1 UE는 1Rx RedCap 장치(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치 유형은 2Rx RedCap 장치 및/또는 비-RedCap UE를 포함하거나 이를 지칭할 수 있고,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UE는 2Rx RedCap 장치(들) 및/또는 비-RedCap UE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장치에서 지원되는 대역폭),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의 수, 장치에 포함된 수신기의 수, 및/또는 장치의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장치 유형(예를 들어, 비-RedCap 장치)과 비교하여 제1 장치 유형(예를 들어, RedCap 장치)의 제한 사항을 고려한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3GPP 사양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네트워크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수신함으로써(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현재 설정된 값을 나눗셈, 곱셈, 가산, 감산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셀 내의 모든 UE에 대해 미리 정의된 3GPP 사양에 의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설정된 디폴트 조건(들) 또는 기존 조건(들)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은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다르게 만든다.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규칙은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3GPP 사양에 정적으로 지정됨) 네트워크로부터 표시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조건(하나 이상의 제1 조건으로 구성됨)은 SDT 절차가 개시되도록 허용하는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와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중) 업링크 데이터 양에 대한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연관된 업링크 데이터 양 임계치를 조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는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즉, 업링크 데이터 양 임계치는 비-RedCap UE와 비교하여 RedCap 장치의 제한(예를 들어, 안테나 및 대역폭 제한) 때문에 제2 장치 유형(예를 들어, 비-RedCap UE)보다 제1 장치 유형(예를 들어, RedCap 장치)에 더 적은 데이터가 허용되도록 축소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칙 및/또는 값은 미리 정의될 수 있고(예를 들어, 3GPP 사양에 정적으로 지정됨)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표시될 수도 있다.
RSRP에 대한 조건(하나 이상의 제1 조건으로 구성됨)은 SDT 절차가 개시되도록 허용하는 RSRP 임계치와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중) RSRP에 대한 조건은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연관된 RSRP 임계치를 조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SRP 임계치를 증가시켜 RSRP 임계치가 조정될 수 있어서, SDT 절차가 개시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제1 장치 유형(예를 들어, RedCap 장치)에 대한 RSRP 임계치가 제2 장치 유형(예를 들어, 비-RedCap UE)에 대한 RSRP 임계치보다 높도록 한다. RSRP 임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규칙 및/또는 값은 미리 정의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3GPP 사양에 정적으로 지정됨) 네트워크로부터 표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RRC_INACTIVE) 또는 무선 자원 제어 유휴 상태(RRC_IDLE)에 있는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가 개시된다(502).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의 업링크 데이터량 값(즉, SDT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볼륨)이 조정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조건(하나 이상의 제1 조건으로 구성됨)이 충족될 수 있다. 반면, 업링크 데이터량 값이 (조정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보다 큰 경우, RedCap 장치에 대해 SDT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RSRP에 대한 조건(하나 이상의 제1 조건으로 구성됨)은 장치에 의해 측정된 RSRP 값이 조정된 RSRP 임계치 이상인 경우 충족될 수 있다. 반면, 측정된 RSRP 값이 조정된 RSRP 임계치보다 낮으면 RedCap 장치에 대해 SDT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RSRP 값은 SDT 절차를 개시하기 전에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1Rx RedCap 장치 및 2Rx RedCap 장치에 의해 서로 다른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Rx RedCap 장치만이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 조정을 수행할 수 있고, 2Rx RedCap 장치는 비-RedCap 장치에 대한 구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2Rx RedCap 장치에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을 측정한 경우 이 경우 1Rx RedCap 장치는 SDT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SDT에 대한 조건(들)을 구성하고 결정할 때 서로 다른 장치의 피쳐(예를 들어, 수신기 수)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즉, SDT에 대한 조건(들)은 장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장치 유형에 대한 SDT 조건(들)을 얻는 한 가지 방법은 다른 장치 유형의 SDT 조건(들)을 조정하는 것이다. 조정은 미리 정의된 기준 또는 기준들에 따라, 또는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구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SDT 허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정하고 조정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하여 SDT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규칙을 도시한다. 도 6에 예시된 기능은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SDT 허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값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로부터 수신되면(601: 예), SDT 허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값을 적용(예를 들어, 더하기 또는 빼기)함으로써 조정(602)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조건 및/또는 RSRP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값은 양수 또는 음수 값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SRP 임계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RSRP 조건의 RSRP 임계치에 +3dB의 오프셋 값이 추가될 수 있다.
반면, SDT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오프셋 값이 수신되지 않으면(601: no), SDT는 허용되지 않는다(605). 즉, 네트워크가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에 대한 전용 또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을 통해 조정 및/또는 오프셋 값(들)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 장치에 대해 SDT가 허용되지 않는다. 한 예에서 이 제한은 1Rx RedCap 장치에만 적용되고 2Rx RedCap 장치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면(603: 예), SDT 절차가 개시된다(604). 예를 들어,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량이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조정된 조건의 조정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및/또는 측정된 RSRP 값이 RSRP에 대한 조정된 조건의 조정된 RSRP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반면에,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603: no), SDT는 허용되지 않는다(605).
도 7은 SDT 자원 결정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7에 도시된 기능은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RACH 프리앰블 그룹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임계치가 조정된다(701). 예를 들어,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는 RACH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치 및/또는 RSRP 임계치를 제2 장치 유형(예를 들어 비-RedCap UE)에 대한 것보다 높거나 낮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는 제2 장치 유형(예를 들어, 비-RedCap UE들)에 비해 RACH 프리앰블 그룹 B를 선택할 가능성이 더 낮거나(임계치를 증가시킨 후) 더 가능성이 높게 된다(임계치를 감소시킨 후).
RACH 프리앰블 그룹은 조정된 하나 이상의 임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다(702). 선택된 RACH 프리앰블 그룹은 예를 들어 그룹 A 또는 그룹 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량이 작은 경우, 즉 조정된 RACH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및/또는 장치가 열악한 커버리지에 있을 때(예를 들어, 측정된 RSRP 값이 조정된 RSRP 임계치보다 낮음) 그룹 A가 선택될 수 있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 양이 더 클 때, 즉 조정된 RACH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치보다 높을 때 및/또는 장치가 양호한 커버리지에 있을 때(예를 들어, 측정된 RSRP 값이 조정된 RSRP 임계치보다 높거나 같을 때) 그룹 B가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치는 그룹 B로부터 RACH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된 RACH 프리앰블 그룹으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SDT를 위한 업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 송신된다(703). 업링크 자원은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SDT에 대한 업링크 자원을 표시하는 표시,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응답(즉, Msg2)에 포함된 업링크 승인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다(704).
표시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SDT 절차가 시작된다(705). 즉, 표시된 업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소규모 데이터 송신이 송신될 수 있다.
도 2 내지 7을 통해 위에 설명된 기능 및/또는 블록은 절대적인 연대순이 아니며, 그 중 일부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설명된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기능 및/또는 블록도 이들 사이 또는 내부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이점은 장치(예를 들어, RedCap 장치)의 한계를 고려한 개선된 SDT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RedCap 장치와 같은 장치에 대한 UL 및 DL SDT 송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무선 상태가 좋지 않거나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은 경우 SDT 절차가 시도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와 같은 장치일 수 있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800)를 도시한다. 단말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UE, 사용자 장비, 또는 RedCap 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다. 장치(800)는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810)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내장된 펌웨어를 갖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 결합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82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82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과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유닛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또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전자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광학 저장소 또는 자기 저장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81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의 임시 저장을 위해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메모리(8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자기 반송파 신호를 통해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물리적 실체로부터 복사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의 실행은 장치(800)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한다.
본 문서의 맥락에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와 같은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치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해 명령어를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비일시적 미디어 또는 매체 또는 수단일 수 있다.
장치(800)는 입력 유닛(830)를 더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830)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온도, 모션 및/또는 방향 센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 하나 이상의 마이크, 하나 이상의 버튼 및/또는 하나 이상의 터치 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830)은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800)는 또한 출력 유닛(84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또는 실리콘 온 액정(LCoS)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적 콘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유닛(840)은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은 예를 들어 확성기일 수 있다.
장치(800)는 연결 유닛(850)을 더 포함한다. 연결 유닛(850)은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유닛(850)은 장치(800)에 통합될 수 있거나 장치(800)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연결 유닛(850)은 장치(800)에 무선 통신 능력을 제공하는 집적 회로 또는 집적 회로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연결은 배선된 주문형 집적 회로(ASIC)일 수 있다. 연결 유닛(850)은 대응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전력 증폭기, 디지털 프론트 엔디(DFE),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주파수 변환기, (역)변조기 및/또는 인코더/디코더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800)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양한 컴포넌트는 하드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9의 장치(900)는 기지국과 같은 또는 기지국에 포함된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요소, RAN 노드, NodeB, LTE eNB(evolved NodeB), gNB, NR 기지국, 5G 기지국, 액세스 노드, 액세스 포인트(AP), 분산 유닛(DU), 중앙 유닛(CU), 베이스밴드 유닛(BBU), 라디오 유닛(RU), 라디오 헤드, 원격 무선 헤드(RRH) 또는 송신 및 수신 지점(TRP)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일부를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에 적용 가능한 회로부 또는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900)는 하나 이상의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장치(9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같은 통신 제어 회로부(910)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소프트웨어)(92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소프트웨어)(9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900)가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일부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920)에 결합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92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92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과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유닛이 있을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또는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전자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광학 저장소 또는 자기 저장소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의 임시 저장을 위해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는 메모리(9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자기 반송파 신호를 통해 장치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물리적 엔티티로부터 복사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의 실행은 장치(900)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한다.
메모리(920)는 반도체 기반 메모리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자기 메모리 장치 및 시스템, 광학 메모리 장치 및 시스템, 고정 메모리 및/또는 이동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는 구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이웃 셀 목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이웃 셀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저장할 수 있다.
장치(9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연결성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장치(900)에 통합될 수 있거나 장치(900)가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TX)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RX)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능력을 장치에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900)는 네트워크 조정자 장치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노드에 대한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900)는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회로부(circuitry)"는 다음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의미할 수 있다: a) 하드웨어 전용 회로 구현(예를 들어,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부로만 구현); 및 b) 하드웨어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예를 들어(해당하는 경우): i)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들)와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조합 및 ii)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하드웨어 프로세서(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포함)의 모든 부분, 소프트웨어 및 휴대폰과 같은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께 동작하는 메모리(들); 및 c) 하드웨어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펌웨어)가 필요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일부, 그러나 동작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소프트웨어가 없을 수도 있다.
회로부의 이러한 정의는 모든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출원에서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적인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회로부라는 용어는 단지 하드웨어 회로나 프로세서(또는 다중 프로세서)의 구현, 또는 하드웨어 회로나 프로세서의 일부 및 이에 수반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도 포함한다. 회로부라는 용어는 또한 예를 들어 특정 청구항 요소에 적용 가능한 경우 기저대역 집적 회로 또는 모바일 장치용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장치, 기타 컴퓨팅 또는 네트워크 장치의 유사한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 및 방법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술은 하드웨어(하나 이상의 장치), 펌웨어(하나 이상의 장치),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예시적인 실시예의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그래픽 처리 장치(GPU),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의 모듈을 통해 구현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그에 관해 설명된 다양한 양태 등의 달성을 촉진하기 위해 추가 컴포넌트에 의해 재배열 및/또는 보완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이는 주어진 도면에 제시된 정확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단어와 표현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시적인 실시 예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computer program cod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게 하고-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게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적어도 업링크(uplink) 데이터량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추가로:
    소규모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threshold)를 조정함으로써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상기 조건을 획득하게 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에 포함되고;
    상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의 업링크 데이터량 값이 상기 조정된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업링크 데이터량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정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적어도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대한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추가로: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대한 조건을 획득하게 되고,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에 포함되며;
    측정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값이 상기 조정된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치는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조정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가로: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치를 조정하게 되고;
    상기 조정된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게 되고;
    상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위한 업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그룹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게 되고; 및
    상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위한 상기 업링크 자원을 나타내는 표시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는 상기 표시된 업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개시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의 구성된 값을 나누거나, 곱하거나, 더하거나, 빼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값(offset value)을 수신하게 되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값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게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값이 수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가 개시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상기 장치의 대역폭, 안테나의 수, 수신기의 수, 배터리 수명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획득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가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획득하게 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유형은 능력이 감소된 장치를 지칭하고, 상기 장치는 능력이 감소된 장치이거나 그에 포함되는,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은 업링크 데이터량 임계값,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임계값,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그룹 데이터량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2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 브로드캐스팅되고(broadcasted);
    상기 브로드캐스팅은 상기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게 하는,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되는,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유형은 능력이 감소된 장치를 지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능력이 감소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8. 방법에 있어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방법에 있어서,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는, 방법.
  20.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1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적어도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를 적어도 상기 제1 장치 유형의 단말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표시는 상기 제1 장치 유형에 특정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은 소규모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조건과 비교하여 상이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조건은 상기 제1 장치 유형과 다른 제2 장치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표시를 수신하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조건이 충족되면, 무선 자원 제어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소규모 데이터 송신 절차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247010890A 2021-09-02 2022-08-17 장치 유형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한 소규모 데이터 송신 개시 KR20240052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215926 2021-09-02
FI20215926A FI129915B (en) 2021-09-02 2021-09-02 Starting a small data transmission based on one or more conditions specific to the device type
PCT/EP2022/072936 WO2023030883A1 (en) 2021-09-02 2022-08-17 Initiating small data transmission based on one or more conditions specific to device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827A true KR20240052827A (ko) 2024-04-23

Family

ID=8323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890A KR20240052827A (ko) 2021-09-02 2022-08-17 장치 유형에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건에 기초한 소규모 데이터 송신 개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240052827A (ko)
CN (1) CN117897993A (ko)
AU (1) AU2022336788A1 (ko)
CA (1) CA3230396A1 (ko)
FI (1) FI129915B (ko)
WO (1) WO20230308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389B2 (en) * 2019-12-20 2023-05-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d switching UE capabilities
KR20210093766A (ko) * 2020-01-17 2021-07-28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기반 소규모 데이터 전송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158162A1 (en) * 2020-02-05 2021-08-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ation for ue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36788A1 (en) 2024-04-04
CN117897993A (zh) 2024-04-16
CA3230396A1 (en) 2023-03-09
FI20215926A1 (en) 2022-10-31
WO2023030883A1 (en) 2023-03-09
FI129915B (en)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552B1 (en) Offset value for paging early indication
US20240049091A1 (en) Determining handover command transmission based on survival time
US20240008127A1 (en) Establishing multiple non-access stratum connections over a single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JP2018523382A (ja) 多重接続性
FI129915B (en) Starting a small data transmission based on one or more conditions specific to the device type
US20240172058A1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mobility
US20230379975A1 (en) Restric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US20240172300A1 (en) Data transmission in inactive state connection
US20240155508A1 (en) Power headroom report
US20240137907A1 (en) Determining random-access resources for group paging
US2024018791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ll data transmission on uplink
WO2024068131A1 (en) Delayed access to primary cell of secondary cell group
WO2023156124A1 (en) Suspending random-access procedure
EP4335152A1 (en) Methods for semi-flexible gaps and gap sharing
WO2023096644A1 (en) Slice-specific cell re-direction
EP4324289A1 (en) Radio bearer reconfiguration
WO2022233694A1 (en) Handling rejection or partial rejection of gap request by user equipment
CA3228990A1 (en) Triggering beam failure recovery upon secondary cell group activation
WO2023131451A1 (en) Up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WO2023158419A1 (en) Timing-based control for relaxed measurement
WO2023227216A1 (en) Message transmission based on bandwidth supported by user device
JP2023547377A (ja) データ到着指示
WO2023099142A1 (en) Timing advance value for overlapping uplink transmissions
WO2023274494A1 (en) Determining random-access channel transmission occasions
CN118120151A (zh) 在辅小区组激活时触发波束故障恢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