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758A -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758A
KR20240052758A KR1020247007060A KR20247007060A KR20240052758A KR 20240052758 A KR20240052758 A KR 20240052758A KR 1020247007060 A KR1020247007060 A KR 1020247007060A KR 20247007060 A KR20247007060 A KR 20247007060A KR 20240052758 A KR20240052758 A KR 2024005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b
khz
transmitting
sib1
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옌 장
신 왕
레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장치는 제1 송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에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정보(SI)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포함하고, 최소 시스템 정보(SI) 및 다른 시스템 정보로 분할된다. 최소 SI는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 정보 및 단말 장비에 의해 다른 SI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소 SI는 MIB 및 SIB1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 절차 동안 또는 서빙 셀의 자동 이웃 셀 관계(ANR)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단말 장비는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Block, SSB)을 수신하고, 수신된 SSB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SIB1을 운반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수신하여, SIB1을 획득한다.
배경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위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 설명된다는 것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더 큰 이용가능한 대역폭들을 갖는 더 높은 주파수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이용하기 위해, 뉴 라디오(NR)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하도록 지원된다.
예를 들어, 3GPP 릴리스 17(Rel-17)에서, 지정된 주파수 범위 FR2는 24.25 GHz 내지 71 GHz를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고, 여기서 주파수 범위 FR2-1은 24.25-52.6 GHz를 커버하고 주파수 범위 FR2-2는 52.6-71 GHz를 커버한다.
표 1은 SSB의 후보 서브캐리어 간격(SCS)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 # 0)의 주파수 범위 지정,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 및 후보 서브캐리어 간격들(SCS들) 사이의 대응관계들의 리스트이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위의 FR2-2에 대해, SSB가 사용할 수 있는 SCS들은 120 kHz, 480 kHz, 및 960 kHz를 포함하고, SIB1이 사용할 수 있는 SCS들은 120 kHz, 480 kHz, 및 960 kHz를 포함한다. 그러나, FR2-2이 대응하는 지정된 주파수 범위에서 SSB 또는 SIB1을 송신 및 수신하는 방식에 대한 결정 방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송신되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SSB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1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2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2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3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3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4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4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고-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SSB와 연관된 SIB1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5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5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6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6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고-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7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7 송수신 유닛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고;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8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8 송수신 유닛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고;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표시 정보는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함 -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한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9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9 송수신 유닛은
SSB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에,
하나의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하나의 슬롯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2개 초과의 불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송신된다는 점에 존재하며, 이는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SSB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용어들의 사상들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한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기 위해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SSB가 대응하는 리소스 블록(RB)들과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주파수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초기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ANR 기능의 개략도이다.
도 5는 ANR 절차에서 단말 장비에 의해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제3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제3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제6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7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동작 1402의 구현 1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동작 1402의 구현 2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20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1은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23은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5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6은 제10 양태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제10 양태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동작 1402의 구현 3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대응하여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용어들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들은 명칭들에 관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되어 열거된 용어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들 "포함하다(contain)", "포함하다(include)" 및 "갖다(have)"는 언급된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수 형태들("a" 및 "the" 등)은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고, 넓은 의미에서 "한 종류의" 또는 "한 유형의"로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지 않아야 하고; 정관사("the")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 및 복수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에 따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HSPA(high-speed packet access) 등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 1G(세대), 2G, 2.5G, 2.75G, 3G, 4G, 4.5G, 5G 및 뉴 라디오(NR) 등, 및/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스테이지의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자 장비에 액세스하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IAB 아키텍처에서의 노드 및/또는 도너,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수신 포인트(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 게이트웨이, 서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는 RRH(remote radio head), RRU(remote radio unit), 릴레이, 또는 (펨토 및 피코와 같은) 저전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그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용어 "셀"은 용어의 문맥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사용자 장비(UE)" 또는 "단말 장비(TE)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한다. 단말 장비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고, 이동국(MS), 단말, 가입자국(SS), 액세스 단말(AT), 및 액세스 단말(AT)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 디바이스, 랩톱, 무선 전화,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사물 인터넷(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단말, 차량 탑재 통신 단말, D2D(device to device) 단말, 및 M2M(machine to machine)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네트워크 측"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것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일 수 있는 네트워크의 측을 지칭한다. 용어 "사용자 측" 또는 "단말 측" 또는 "단말 장비 측"은 UE일 수 있는 사용자 또는 단말의 측을 지칭하고,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혼동을 야기하지 않고, "업링크 제어 신호" 및 "업링크 제어 정보(UCI)"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이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고,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 "업링크 데이터 정보" 또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이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다.
용어들 "다운링크 제어 신호"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상호교환가능하고, 용어들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정보"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은 상호교환가능하다.
또한, PUSCH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은 PUSCH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PUCCH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은 PUSCH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PRACH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은 PRACH에 의해 운반되는 프리앰블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데이터 신호 및/또는 업링크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업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정보 또는 업링크 채널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업링크 리소스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송신하는 것은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을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운링크 데이터/신호/채널/정보는 대응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RRC 메시지라고 지칭되고, MIB, 시스템 정보, 및 전용 RRC 메시지를 포함하거나, RRC IE(RRC information element)라고 지칭되는 것과 같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일 수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또한, 예를 들어,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MAC CE(MAC control element)라고 지칭될 수 있지만;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시나리오들이 예들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들로서 취해지는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본 개시내용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및 단말 장비(102)를 포함할 수 있다(간결성을 위해, 하나의 단말 장비만을 갖는 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주어져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존 트래픽들 또는 미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단말 장비(1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들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비(102)는, 예컨대, 무승인(grant-free)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비(102)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정보와 같은 정보를 단말 장비(1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단말 장비(102)는 송신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확인응답할 수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비(102)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접속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시스템 정보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비(102)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비(102)는 수신된 정보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화를 달성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0~100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한 글로벌 동기화 래스터가 NR에서 정의된다. 이에 기초하여, 동기화 래스터들에 대한 SCS들 및 SSB들이 동작 대역들에 대해 추가로 정의된다.
표 2는 글로벌 주파수 래스터에 대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파라미터들의 리스트이다.
표 2에서, SSREF는 동기화 블록의 참조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2는 SSB가 대응하는 리소스 블록들(RB들)과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주파수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초기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 장비가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 장비(102)가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동작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301: 동기화 래스터 상에서 SSB가 검출 및 수신된다;
동작 302: SSB의 cellBar 필드가 금지(barred)되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만일 그렇다면, (SSB가 연관된 SIB1을 갖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SSB에 따라 SIB1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며, intraFrequencySelection 필드가 허용되지 않는지 여부가 추가로 결정되고, 만일 그렇다면,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다른 SSB들을 검출 및 수신할 필요가 없고(즉, UE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가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송신된 SSB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없다고 고려함); 그렇지 않으면(즉, intraFrequencySelection이 허용됨),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다른 SSB들을 검출 및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하며; 또한, 동작 302에서, cellBar 필드가 금지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동작 303으로 진행한다;
동작 303: SSB가 SIB1과 연관되는지(또는 Type0-PDCCH CSS에 대한 CORESET(CORESET # 0)(즉, Type0-PDCCH CSS에 대한 CORESET, 여기서 CSS는 공통 검색 공간임)가 있는지, 또는 셀이 SIB1을 브로드캐스팅하는지)가 결정되고, 만약 그렇다면, 동작 3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SSB들을 검출 및 수신한다;
동작 304: Type0-PDCCH CSS에 대한 CORESET가 결정된다;
동작 305: Type0-PDCCH CSS에서, SIB1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가 모니터링 및 수신된다;
동작 306: SIB1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수신되어 SIB1을 획득한다.
도 4는 ANR 기능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R 기능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 단말 장비(예를 들어, UE)는 셀 B에 대한 측정 보고를 셀 A에 송신하고, 여기서 셀 B의 물리적 CID(Phy-CID)는 5이다;
동작 2: 셀 A는 글로벌 CID 보고 요청을 UE에 송신하여, UE에게 Phy-CID = 5인 셀 B의 글로벌 CID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즉, 셀 A는 UE에게 셀 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NCGI(들)/ECGI(들), TAC(들), RANAC(들), 및 PLMN ID(들) 등(이들 모두가 반드시 브로드캐스트되는 것은 아님)을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동작 2b: UE는 셀 B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SIB1에 포함된) NCGI(들)/ECGI(들), TAC(들), RANAC(들), 및 PLMN ID(들) 등을 판독하기 위해, 셀 B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채널(BCCH)을 획득하고(즉, UE는 셀 B로부터 MIB 및 SIB1을 수신함); 구체적으로, UE는 SSB의 SSB에 의해 운반되는 MIB에 따라 셀이 SIB1을 브로드캐스트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 UE는 셀 B의 글로벌 CID를 셀 A에 송신한다(구체적으로, 셀 B가 SIB1을 브로드캐스트하지 않을 때, noSIB1이 보고된다).
도 5는 ANR 절차에서 단말 장비가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R 절차 동안, 단말 장비(102)의 SSB 및 SIB1을 수신하는 동작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501: 기지국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기지국에 의해 표시된 물리적 셀 식별에 따라 SSB가 검출 및 수신된다;
동작 502: 동작 301에서 수신된 SSB가 연관된 SIB1을 갖는지(또는 Type0-PDCCH CSS에 대한 CORESET(CORESET # 0)이 존재하는지, 또는 셀이 SIB1을 브로드캐스팅하는지)가 결정되고, 그렇다면, 동작 5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동작 501로 돌아간다;
동작 503: Type0-PDCCH CSS에 대한 CORESET가 결정된다;
동작 504: Type0-PDCCH CSS에서, SIB1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가 모니터링 및 수신된다;
동작 505: SIB1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수신하여 SIB1을 획득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서브캐리어 간격(SCS)의 SSB가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또는 SCS의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의 사용은 단말 장비(예를 들어, UE)가 SCS의 SSB가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것(예를 들어,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의 시그널링시, 검출 및 수신)을 지칭한다.
제1 양태의 실시예
제1 양태의 실시예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6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송신된다.
동작 601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즉,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미리 결정된 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와 상이하다(즉, 주파수-도메인 위치일 수 없거나 그렇지 않아야 한다).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또한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이 SCS가 960 kHz인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때, 미리 결정된 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표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가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 값(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 kHz 및/또는 480 kHz의 SSB에 의해 정의되는 동기화 래스터(즉, SCS가 120 kHz인 SSB를 블라인드 검출하기 위한 동기화 래스터, 및/또는 SCS가 480 kHz인 SSB를 블라인드 검출하기 위한 동기화 래스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이 SCS가 960 kHz인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때, 120 kHz 및/또는 480 kHz의 GSCN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표시될 수 없다. 따라서, 순방향 호환성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순방향 호환성에 관한 고려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Rel-17에서 960kHz를 사용하는 SSB는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 안에 포함된 MIB 및/또는 연관된 SIB1은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SIB1은 inservingCellConfigCommon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SSB는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즉, UE가 초기 액세스에서 SSB를 수신할 수 있더라도, SSB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초기 액세스를 완료할 수 없다. 현재 릴리스(Rel-17)에서, SSB가 임의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송신할 수 있는 반면, 후속 릴리스(예를 들어, Rel-18)가 960 kHz에 기초하여 SSB의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는 경우(즉, 후속 릴리스에서, UE는 SCS가 960 kHz인 SSB를 블라인드 검출함), 후속 릴리스에서의 UE의 초기 액세스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속 릴리스에서의 UE는 초기 액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SCS가 960kHz인 SSB를 수신할 수 있지만, SSB에 기초하여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고, 그에 의해 SSB에 기초하여 초기 액세스를 완료할 수 없고, 초기 액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UE의 레이턴시 및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현재 릴리스에서 사용될 수 없는 주파수-도메인 위치에 기초하여 후속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가 블라인드 검출될 가능성이 유지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후속 릴리스에 대한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의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회피하고 순방향 호환성을 보장한다.
특정 예에서, RRC 시그널링은 MeasObjectN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easObjectNR에서의 ssbSubcarrierSpacing가 960 kHz를 표시할 때, MeasObjectNR에서의 ssbFrequency는, 아래의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120 kHz 및/또는 480 kHz에 대응하는 GSCN 값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수 없다.
다른 특정 예에서, RRC 시그널링은 ServingCellConfigComm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ervingCellConfigCommon에서의 ssbSubcarrierSpacing가 960kHz를 표시할 때, ServingCellConfigCommon에서의 (frequencyInfoDL에서의) DownlinkConfigCommon에서의 absoluteFrequencySSB는 120kHz 및/또는 480kHz에 대응하는 GSCN 값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수 없다.
적어도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 값(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예를 들어,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가 정의되는 경우, RRC 시그널링이 SCS가 960 kHz인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때, 960 kHz에 대응하는 GSCN 값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표시되지 않고(예를 들어, 표시될 수 없고), SSB는 960 kHz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 상에서 송신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송신될 수 없다).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02: SSB가 송신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 값(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와 상이하다.
동작 602에서 송신된 SSB는 동작 601에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SSB이다.
그리고 또한, 동작 602에서 SSB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셀은 동작 601에서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된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제한하여,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가 단말 장비 측에 있는, 미리 결정된 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와 상이하게 한다. 이는 단말 장비가 현재 릴리스에서 사용될 수 없는 주파수-도메인 위치에 기초하여 후속 릴리스에서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SCS가 960 kHz인 SSB가 블라인드 검출될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에 의해 후속 릴리스에 대한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의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회피하고 순방향 호환성을 보장한다.
제2 양태의 실시예
적어도 제1 양태의 실시예와 동일한 문제에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대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7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수신된다.
동작 701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 kHz 및/또는 480 kHz의 SSB(들)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을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된다. 또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수신되고, 이는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SSB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순방향 호환성을 보장한다.
제3 양태의 실시예
제3 양태의 실시예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8은 제3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8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송신된다.
동작 801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cellbar) 필드이고,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이다.
MIB에 포함된 정보 필드들에서, cellBarred 및 intraFreqSelection은 셀 선택 및 재선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의 기술들에서, SCS의 SSB가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 이들 2개의 정보 필드는 효과가 없으며, 이는 이들 2개의 정보 필드가 임의의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CS가 960 kHz인 SSB가 아마도 셀 선택 및 재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없는 경우, 기존의 기술들에 따르면, 이 2개의 정보 필드들은 또한 임의의 값들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순방향 호환성을 고려하면, SCS가 960kHz인 SSB 내의 2개의 정보 필드의 값들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SSB에서의 MIB의 cellBarred는 금지를 표시해야 하고/하거나 intraFreqSelection은 허용을 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SSB 내의 MIB의 cellBarred는 금지를 표시해야 하고, intraFreqSelection은 허용을 표시해야 한다.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는 (제1 양태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한될 수 있거나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구현에서 조합될 수 있고, 또한,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개별적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ellBarred는 금지가 1에 설명된 순방향 호환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식이라는 것을 표시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속 릴리스에서의 UE가 초기 액세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 없는 SCS가 960 kHz인 SSB를 수신하더라도, 그 cellBarred가 금지를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UE는 SSB의 표시에 기초하여 그 연관된 SIB1을 추가로 수신하지 않고, 그에 의해 후속 릴리스에서의 UE의 초기 액세스에 대한 영향을 어느 정도 감소시킨다.
그리고 intraFreqSelection이 허용을 표시해야 하는 이유는, 종래의 방법에서, 최고 순위 셀의 MIB에서 cellBarred가 금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intraFreqSelection이 허용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가 인트라-주파수 셀들의 선택 또는 재선택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고려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이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SSB들을 송신하는 셀들은 모두 액세스가 금지되기 때문이다.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가 임의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송신되고 intraFreqSelection의 값이 임의적인 경우, 후속 릴리스에서의 UE가 초기 액세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양태의 실시예에서, intraFreqSelection의 값은 제2 미리 결정된 값(허용)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송신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다.
도 9는 제3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9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송신된다-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동작 902: SSB와 연관된 SIB1이 송신된다.
동작 901에서,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에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후속 릴리스에 대한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kHz인 SSB의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이 회피될 수 있고, 순방향 호환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동작 901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수신된다. 또한, 동작 901에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후속 릴리스에 대한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kHz인 SSB의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이 회피될 수 있고, 순방향 호환성이 보장될 수 있다.
제4 양태의 실시예
적어도 제3 양태의 실시예와 동일한 문제에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제4 양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4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제3 양태의 실시예에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대응한다.
도 10은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10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수신된다.
동작 1001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cellbar) 필드이고,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고,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이다.
도 11은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1101: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수신된다-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동작 1102: SSB와 연관된 SIB1이 수신된다.
동작 1101에서,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에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동작들(1001 및 1101)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동작 1001 및 동작 1101에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후속 릴리스에 대한 현재 릴리스에서 SCS가 960 kHz인 SSB의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이 회피될 수 있고, 순방향 호환성이 보장될 수 있다.
제5 양태의 실시예
제5 양태의 실시예는 도 1의 단말 장비(102)와 같은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2는 제4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1201: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수신된다;
동작 1202: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은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결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동작 1203: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PDCCH가 결정된 CORESET#0에 따라 수신된다.
동작 1201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된다.
동작 1202에서, 관련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제5 양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SCS가 960 kHz인 SSB(즉, 제1 SSB)를 수신할 시에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즉, 제2 SSB)가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CORESET # 0을 결정한다. 제2 SSB는 실제로 송신될 수 있거나(즉, 실제로 송신된 SSB임), 또는 제2 SSB는 또한 실제로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즉, 실제로 송신된 SSB가 아님).
제6 양태의 실시예
제6 양태의 실시예는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은 제6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1301: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이 송신된다;
동작 1302: 표시 정보가 송신된다- 표시 정보는 SCS와의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가 120 kHz 또는 480 kHz임을 표시함 -.
동작 1301에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된다.
동작 1302에서, 관련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제6 양태의 실시예에서, 동작 1302에서 송신된 표시 정보는 SCS와의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가 120 kHz 또는 480 kHz(즉, 제2 SSB)인 것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SCS가 960 kHz인 SSB(즉, 제1 SSB)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비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즉, 제2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CORESET#0을 결정한다. 즉, SCS가 960kHz인 SSB(즉, 제1 SSB)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비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SCS가 120kHz 또는 480kHz인 SSB(즉, 제2 SSB)가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위치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
제7 양태의 실시예
제7 양태의 실시예는 도 1의 단말 장비(102)와 같은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4는 제7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동작 1401: SSB 및 SSB와 연관된 SIB1이 수신된다;
동작 1402: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하나의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PDCCH는 2개의 연속적인 슬롯에서 모니터링되지 않는다.
동작 1401에서, SSB 및 SIB1은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된다.
동작 1402의 구현 1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인덱스(SSB 인덱스, 또는 후보 SSB 인덱스와 같은, 송신 윈도우에서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UE는 하나의 슬롯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UE는 표 5에 제시된 방법에서 결정된 슬롯 n_0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슬롯은 상기 PDCCH의 SCS에 기초하거나, 슬롯이 대응하는 SCS는 PDCCH의 SCS이다.
도 15는 동작 1402의 구현 1의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6의 구성에 기초하여, M = 1/2, M = 1 및 M = 2인 경우,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단말 장비는 하나의 슬롯에서 PDCCH만을 모니터링한다고 가정된다.
동작 1402의 구현 2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기 위한 PDC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인덱스(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단말 장비는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에 걸쳐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PDCCH는 슬롯들 n_0 및 n_0+k(k >= 2)에서 모니터링된다. 여기서, 슬롯은 상기 PDCCH의 SCS에 기초하거나, 즉, 슬롯이 대응하는 SCS는 상기 PDCCH의 SCS이다.
도 16은 동작 1402의 구현 2의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k=2라고 가정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 = 1/2, M = 1 및 M = 2인 경우,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단말 장비는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에 걸쳐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1402의 구현 2에서,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은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동작 1401에서 수신된 SSB에 의해 표시된다.
동작 1402에서, 2개 초과의 불연속적인 슬롯들에서, 슬롯들 사이에 이격된 다수의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고, 슬롯들의 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동작 1401에서 수신된 SSB에 의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k의 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MIB SSB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슬롯들 n_0 및 슬롯 n_0+k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동작 1402는 아래의 구현 3의 동작들로 대체될 수 있다. 구현 3에서,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기 위한 PDC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슬롯은 참조 SCS(예를 들어, 120 kHz)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참조 SCS는 SIB1을 운반하기 위한 PDCCH(즉, 모니터링될 PDC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SCS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표 7의 방법은 참조 SCS에 기초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제1 슬롯들 n_0 및 n_0+k(예를 들어, k = 1)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될 상기 PDCCH의 SCS에 기초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제1 슬롯들 n_0 및 n_0+k에 포함된 슬롯들 n_0 및 n_(0+m)이 결정될 수 있고, PDCCH는 모니터링될 상기 PDCCH의 SCS에 기초하여 슬롯들 n_0 및 n_(0+m)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28은 동작 1402의 구현 3의 개략도이다. 도 28에서, 참조 SCS는 120kHz이고, PDCCH의 SCS는 480kHz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현 1, 구현 2 및 구현 3의 방법들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인덱스들의 구성들에 대해 상이한 방법들이 각각 채택되고; 다른 예에 대해, M의 상이한 값들에 대해 상이한 방법들이 각각 사용된다. 제7 양태의 실시예에서,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결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식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제8 양태의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7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700)는 제1 송수신 유닛(1701)을 포함하고, 제1 송수신 유닛(17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7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18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800)는 제3 송수신 유닛(1801)을 포함하고, 제3 송수신 유닛(18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8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3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19는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추가 개략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900)는 제4 송수신 유닛(1901)을 포함하고, 제4 송수신 유닛(19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19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3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0은 제8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000)는 제8 송수신 유닛(2001)을 포함하고, 제8 송수신 유닛(2001)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송신하고;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표시 정보는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함 - 구성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0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6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제9 양태의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21은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100)는 제2 송수신 유닛(2101)을 포함하고, 제2 송수신 유닛(21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1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2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200)는 제5 송수신 유닛(2201)을 포함하고, 제5 송수신 유닛(22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2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4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3은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추가 개략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300)는 제6 송수신 유닛(2301)을 포함하고, 제6 송수신 유닛(2301)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고-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3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4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4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400)는 제7 송수신 유닛(2401)을 포함하고, 제7 송수신 유닛(2401)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B)을 수신하고;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3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5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도 25는 제9 양태의 실시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500)는 제9 송수신 유닛(2501)을 포함하고, 제9 송수신 유닛(2501)은
SSB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하나의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하나의 슬롯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2개 초과의 불연속적인 슬롯에 걸쳐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250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7 양태의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제10 양태의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감소된 능력의 UE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6은 제10 양태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2600)는 프로세서(2610) 및 메모리(262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620)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2610)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이 구조를 보충하거나 대체하고 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10)는 제2, 제4, 제5 및 제7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2600)는 통신 모듈(2630), 입력 유닛(2640), 디스플레이(2650), 및 전원(26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분야의 것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 장비(2600)는 도 26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컴포넌트들은 필수적이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말 장비(2600)는 도 26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도 27은 제10 양태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700)는 (중앙 처리 유닛(CPU)과 같은) 프로세서(2710) 및 메모리(272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720)는 프로세서(2710)에 결합된다. 메모리(27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2730)을 저장하고, 프로세서(271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273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10)는 제1, 제3 및 제6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700)는 송수신기(2740), 및 안테나(27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분야의 것들과 유사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700)는 도 27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2700)는 도 27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서 실행될 때, 단말 장비로 하여금 제2, 제4, 제5 및 제7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로 하여금 제2, 제4, 제5 및 제7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제3 및 제6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제3 및 제6 양태들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디바이스가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단계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펌웨어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형태들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서가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메모리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거나; 또는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이동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플러그가능 이동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과 같은) 장비가 비교적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소프트 모듈들은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본 출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또한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 DSP와 통신 조합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를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사상들 및 원리에 따라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위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구현들에 관하여, 다음의 보충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제1 보충 그룹)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2.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3.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kHz 및/또는 480kHz의 SSB(들)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4.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5.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된다.
6.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7.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8. 보충 7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 필드이고,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고,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이다.
9.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는 단계-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 보충 9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에 대해서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 보충 그룹)
1.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는다.
2.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3.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kHz 및/또는 480kHz의 SSB(들)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4.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다.
5.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된다.
6.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7.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8. 보충 7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 필드이고,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고,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이다.
9.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는 단계- SSB의 MIB는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 -;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 보충 9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에 대해서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3 보충 그룹)
1.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는 단계; 및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결정된 CORESET#0에 따라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된다.
4.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래스터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제4 보충 그룹)
1a.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인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는 단계; 및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른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함 -를 포함한다.
2a. 보충 1a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된다.
(제5 보충 그룹)
1.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SSB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는 단계; 및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하나의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하나의 슬롯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2개 초과의 불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은 미리 정의되거나 SSB에 의해 표시된다.
3.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2개 초과의 불연속적인 슬롯들에서, 슬롯들 사이의 이격 슬롯들의 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SSB에 의해 표시된다.
4. 보충 1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신된다.
1a.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SSB 및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는 단계; 및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120 kHz와 같은) 참조 SCS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슬롯을 결정하는 단계- 참조 SCS는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SCS와 상이함 -를 포함한다.

Claims (20)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 유닛은
    상기 동기화 신호/PBCH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음 -; 또는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SCS)이 960 kHz일 때,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상기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른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함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kHz 및/또는 480kHz의 SSB(들)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되고; 및/또는
    상기 동기화 래스터는 상기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상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 필드이고,
    상기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고,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MIB는 상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수신 유닛은
    상기 SSB와 연관된 시스템 정보 블록 1(SIB1)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에, 상기 SSB와 연관된 상기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를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상기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장치.
  10.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2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유닛은
    동기화 신호/PBCH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 유닛은
    상기 동기화 신호/PBCH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가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표시하지 않음 -; 또는
    SCS가 120 kHz 또는 48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에 따라 제어 리소스 세트 0(CORESET#0)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120kHz 및/또는 480kHz의 SSB(들)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이거나;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값)를 갖는 동기화 래스터는 SCS가 960 kHz인 SSB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인,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SB는 FR2-2의 주파수 범위에서 송신되고; 및/또는
    상기 동기화 래스터는 상기 FR2-2의 주파수 범위에 있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960 kHz인 경우, 상기 SSB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에서, 셀 선택 관련 필드가 제1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고 및/또는 셀 재선택 관련 필드가 제2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 관련 필드는 셀바 필드이고,
    상기 셀 재선택 관련 필드는 인트라-주파수 셀 재선택(intraFreqReselection) 필드이고,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값은 금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값은 허용을 나타내는 값인,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MIB는 상기 SSB와 연관된 SIB1의 내용들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수신 유닛은
    상기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SSB의 SCS가 960 kHz인 경우, 상기 SSB와 연관된 상기 SIB1의 내용들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상기 SIB1이 자동 이웃 관계 보고 또는 셀 글로벌 식별자 보고(ANR/CGI 보고)에 대해서만 사용된다는 것, 또는 상기 SIB1이 초기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 유닛은
    상기 SSB와 연관된 SIB1을 수신하고;
    상기 SSB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이거나 및/또는 상기 SIB1을 운반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되는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 kHz 또는 960 kHz인 경우,
    하나의 시간 인덱스를 갖는 SSB에 대해, 하나의 슬롯에서만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에 걸쳐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하나의 슬롯 또는 상기 2개 이상의 슬롯이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SCS)은 상기 PDCCH의 서브캐리어 간격(SCS)임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들은 미리 정의되거나 상기 SSB에 의해 표시되고; 및/또는
    2개 이상의 불연속적인 슬롯에서, 상기 슬롯들 사이의 이격 슬롯들의 수는 미리 정의되거나 상기 SSB에 의해 표시되는, 장치.
KR1020247007060A 2021-08-04 2021-08-04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240052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0690 WO2023010368A1 (zh) 2021-08-04 2021-08-04 收发信号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758A true KR20240052758A (ko) 2024-04-23

Family

ID=8515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60A KR20240052758A (ko) 2021-08-04 2021-08-04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2758A (ko)
CN (1) CN117796090A (ko)
WO (1) WO20230103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0050B2 (en) * 2018-03-28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arge subcarrier spacing for SS/PBCH block
KR102499121B1 (ko) * 2018-11-02 2023-02-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신호 전송 방법, 신호 수신 방법,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0368A1 (zh) 2023-02-09
CN117796090A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779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es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36643A1 (en) Downlink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20200304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d Receiving Signal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409387B (zh) 一种无线接入方法、ue和基站
KR102594392B1 (ko) 다운링크 신호 모니터링 및 전송 방법, 및 파라미터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190273600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ressing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21510951A (ja) 参照信号リソースの送信位置の指示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P4106434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785661B2 (e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failure recovery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50921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signal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56779A1 (en)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20022072A1 (en) Ssb-based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49599A (ko) 사이드링크 송신 및 수신 방법들 및 장치들
US20220385511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1856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10136833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ata reception method, apparatuses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55325A (ko)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40052758A (ko)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EP4319010A1 (e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EP4231766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3131923A1 (en) Gaps for si reading in multi-usim
WO2019134072A1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