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292A -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292A
KR20240052292A KR1020220132137A KR20220132137A KR20240052292A KR 20240052292 A KR20240052292 A KR 20240052292A KR 1020220132137 A KR1020220132137 A KR 1020220132137A KR 20220132137 A KR20220132137 A KR 20220132137A KR 20240052292 A KR20240052292 A KR 2024005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rrosion
sensing
receiving groov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지이노텍
조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지이노텍, 조규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지이노텍
Priority to KR102022013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292A/ko
Publication of KR2024005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관과, 상기 제1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감지 수단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제1 배관의 부식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부식 유도부가 손상될 경우 수용홈측으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홈과, 상기 감지 몸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며 제1 배관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경우 손상이 유도되는 부식 유도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식 유도부가 부식됨으로써 이송홈 및 수용홈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제1 배관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결합되며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감지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내부 부식 유무를 외부에서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corrosion prevention monitoring piping system}
본 발명은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이 외부로 드러나는 환경에서 배관의 내부 부식 유무를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이라 함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관은 물을 이용하는 스프링클러(Sprinkler) 또는 소화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이송됨에 있어서, 배관의 내부에 물과 함께 공기가 존재할 경우 산화 작용에 의하여 배관의 부식이 발생되고, 부식에 의하여 배관으로부터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6894호에서는, 지중에 매설된 배관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누수 감지 장치는, 배관이 외부로 드러나는 노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689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관이 외부로 드러나는 환경에서 배관의 내부 부식 유무를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관과, 상기 제1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감지 수단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제1 배관의 부식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부식 유도부가 손상될 경우 수용홈측으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홈과, 상기 감지 몸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며 제1 배관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경우 손상이 유도되는 부식 유도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식 유도부가 부식됨으로써 이송홈 및 수용홈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제1 배관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감지부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결합되며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감지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감지 캡과 수용홈을 구획하면서 감지 캡을 통해 수용홈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와, 상기 투명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지 캡과 투명 부재 또는 감지 몸체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밀폐 부재와, 상기 투명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면서 물과 반응될 경우 제거되는 제1 표시 부재와, 상기 제1 표시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부재와, 상기 제2 표시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투명 부재, 제1 밀폐 부재, 제1 표시 부재, 제2 표시 부재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에는, 이송홈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관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결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에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의 일측에는 연결 배관을 통해 제2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배관의 다른 일측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에는 상기 제2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공기 배출 수단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연장부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은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배출 수단은, 상기 제3 연장부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면서 제2 배관으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구와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 몸체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에서도 유입구측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로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기포 방지 부재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 부재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에서도 배출구측에 구비되며 배출구의 일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밸브와, 상기 제3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밸브와 함께 배출구를 폐쇄하면서 플로트 부재가 하강될 경우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밀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외부에서도 배관의 부식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 배출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제1 배관 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배관이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감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 배출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감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 배출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관(100)과, 상기 제1 배관(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감지 수단(2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장부(110)와, 상기 제1 연장부(110)와 결합되며 제1 배관(100)의 부식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배관(100)은, 복수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이며, 여타 배관과 연결됨으로써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관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러한, 제1 배관(10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양면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배관(100)은 내부에는 물과 함께 공기가 수용됨을 예로 한다.
물론, 여기서 제1 배관(100)의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것은, 의도하여 수용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을 유발함에 따라 제거가 요구되는 대상이다.
그리고, 제1 배관(100)의 외륜에는 제1 연장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10)는, 제1 배관(100)의 외륜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배관(100)과는 직각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연장부(110)는 제1 배관(100)이 분기되는 것에 해당하므로, 제1 배관(100)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에, 제1 연장부(110)도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양면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연장부(110)의 내륜에는 제1 탭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탭부(111)는, 제1 연장부(110)의 내륜에서도 상단(도 2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감지 수단(200)과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1 연장부(110)에는 감지 수단(200)이 결합된다.
상기 감지 수단(200)은, 상기 제1 연장부(110)와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감지 몸체(210)와, 상기 감지 몸체(210)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홈(211)과, 상기 수용홈(21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부식 유도부(213)가 손상될 경우 수용홈(211)측으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홈(212)과, 상기 감지 몸체(21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며 제1 배관(100)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경우 손상이 유도되는 부식 유도부(213)와, 상기 수용홈(211)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식 유도부(213)가 부식됨으로써 이송홈(212) 및 수용홈(21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제1 배관(100)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감지부(220)와, 상기 수용홈(211)의 일측에 결합되며 일면에 관통홀(231)이 형성됨으로써 감지부(2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캡(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 몸체(210)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감지 캡(230)과 함께 감지 수단(2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감지 몸체(210)는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도 2에서)이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연장부(110)와의 결합 과정에서 제1 연장부(110)측으로의 체결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감지 몸체(210)의 확장된 상단의 하측에는 제2 탭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탭부(215)는, 감지 몸체(210)의 외륜 중에서도 확장된 상단의 바로 아랫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탭부(111)와 체결됨으로써 제1 연장부(110)와 감지 몸체(2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감지 몸체(210)의 상단(도 2에서)에는 수용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11)은, 감지 몸체(21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수용홈(211)의 하단(도 2에서)에는 확장홈(214)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확장홈(214)은, 수용홈(211)의 하단부가 확장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될 필터 부재(226)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확장홈(214)은 필터 부재(226)의 안착을 위한 것으로, 필터 부재(226)의 폭을 줄임으로써 형성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므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한편, 수용홈(211)의 하측(도 2에서)에는 이송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홈(212)은, 수용홈(211)의 하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부식 유도부(213)가 손상될 경우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송홈(212)은 수용홈(211)과 연결되면서 수용홈(211)보다는 작은 지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송홈(212)은 감지 몸체(210)의 하단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부식 유도부(2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감지 몸체(210)의 내부에 이송홈(212)이 형성됨에 따라 감지 몸체(210)의 하단에는 부식 유도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부식 유도부(213)는, 감지 몸체(210)의 하단(도 2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감지 몸체(210)의 내부에 이송홈(212)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즉, 부식 유도부(213)는 감지 몸체(210)의 하단으로부터 이송홈(212)까지의 얇은 두께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부식 유도부(213)는 감지 몸체(210)와 일체를 이루면서 이송홈(212)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막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
즉, 제1 배관(100)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경우 부식 유도부(213)도 함께 부식될 것이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식 유도부(213)의 손상이 제1 배관(100)보다 더 빠르게 발생되게 될 것이고, 부식 유도부(213)의 손상에 의하여 이송홈(212)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한편, 수용홈(211)의 내부에는 감지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220)는, 상기 수용홈(211)의 내부에 구비되며 감지 캡(230)과 수용홈(211)을 구획하면서 감지 캡(230)을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221)와, 상기 투명 부재(221)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지 캡(230)과 투명 부재(221) 또는 감지 몸체(210)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밀폐 부재(222)와, 상기 투명 부재(221)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면서 물과 반응될 경우 제거되는 제1 표시 부재(223)와, 상기 제1 표시 부재(223)의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부재(224)와, 상기 제2 표시 부재(224)의 일측에 구비되며 투명 부재(221), 제1 밀폐 부재(222), 제1 표시 부재(223), 제2 표시 부재(224)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2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 부재(221)는, 수용홈(211)의 내부에서도 상측(도 2에서)에 위치되는 것으로, 감지 캡(230)과 수용홈(211)이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투명 부재(221)는 이송홈(212)을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송홈(212)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명 부재(221)는 유리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며, 이에 따라 감지 캡(230)을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투명 부재(221)의 상측(도 2에서)에는 제1 밀폐 부재(2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밀폐 부재(222)는, 투명 부재(221)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 캡(230)의 저면 및 투명 부재(221)의 상면 사이에서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밀폐 부재(222)는 일종의 오링(O-Ring)에 해당되는 것으로, 투명 부재(221)와 감지 캡(230) 또는 감지 몸체(210)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제1 밀폐 부재(222)에 의하여 수용홈(2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감지 캡(230) 또는 감지 몸체(210)측으로 누설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투명 부재(221)의 하측(도 2에서)에는 제1 표시 부재(2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표시 부재(223)는, 투명 부재(221)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투명 부재(221)를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를 투시함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다.
즉, 제1 표시 부재(223)가 제거되지 않을 경우 투명 부재(221)를 통해 투시되는 수용홈(211)은 제1 표시 부재(223)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제1 표시 부재(223)는 PVA(Polyvinyl Alcohol) 재질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며, PVA 재질의 특성상 물과 반응될 경우 녹아서 제거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부식 유도부(213)가 손상됨으로써 이송홈(212) 및 수용홈(21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제1 표시 부재(223)는 물과 반응하여 제거되게 되고, 제1 표시 부재(223)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 표시 부재(224)가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1 표시 부재(223)가 노출될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표시하고, 제2 표시 부재(224)가 노출될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제1 표시 부재(223)는 부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인지의 편의를 위하여 녹색과 같은 색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표시 부재(223)의 하측(도 2에서)에는 제2 표시 부재(2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표시 부재(224)는, 제1 표시 부재(223)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표시 부재(223)가 제거될 경우 투명 부재(221)를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를 투시함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다.
즉, 제1 표시 부재(223)가 제거될 경우 투명 부재(221)를 통해 투시되는 수용홈(211)은 제2 표시 부재(224)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제2 표시 부재(224)는 제1 표시 부재(223)와는 달리 물과 반응하여도 제거되지 않는 성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2 표시 부재(224)가 부직포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더불어, 제2 표시 부재(224)는 부식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인지의 편의를 위하여 적색과 같은 색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표시 부재(224)의 하측(도 2에서)에는 탄성 부재(22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225)는, 제2 표시 부재(224)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수용홈(211)의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제1 밀폐 부재(222), 투명 부재(221), 제1 표시 부재(223), 제2 표시 부재(224)를 항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225)에 의하여 제1 밀폐 부재(222)에 의한 밀폐력 향상과 함께 제1 표시 부재(223)가 물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과정에서 제2 표시 부재(224)가 투명 부재(221)와 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211)에는, 이송홈(212)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부재(226)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필터 부재(226)는, 탄성 부재(225)의 하측(도 2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홈(212)을 통해 수용홈(211)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필터 부재(226)는 수용홈(211)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탄성 부재(225)의 오작동 또는 제1 표시 부재(223), 제2 표시 부재(224)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감지부(220)에 의하여 제1 배관(100) 내부의 부식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지 몸체(210)의 상단(도 2에서)에는 감지 캡(23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 캡(230)은, 감지 몸체(2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 몸체(210)와 결합됨으로써 감지 몸체(210)의 일부를 폐쇄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감지 캡(230)은 다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31)은, 감지 캡(23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감지 캡(230)이 감지 몸체(210)와 결합됨에 있어서 수용홈(211)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감지 캡(230)은 저면 일부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감지 몸체(2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지 캡(230)과 감지 몸체(210)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체결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배관(100)에는, 상기 제1 배관(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결 배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연장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20)는, 제1 배관(100)의 외륜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배관(100)과는 직각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연장부(120)는 제1 배관(100)이 분기되는 것에 해당하므로, 제1 배관(100)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에, 제2 연장부(120)도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양면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연장부(120)의 내륜에는 제3 탭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탭부(121)는, 제2 연장부(120)의 내륜에서도 상단(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 배관(300)과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연장부(120)에는, 제1 배관(100)과 제2 배관(400)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30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 배관(300)은, 제2 연장부(120)와 결합되면서 제2 배관(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1 배관(100)과 제2 배관(4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연결 배관(300)은 일종의 엘보 배관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 배관(300)의 내륜에는 제4 탭부(310) 및 제5 탭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4 탭부(310)는, 연결 배관(300)의 내륜에서도 하단(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연장부(120)와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5 탭부(320)는, 연결 배관(300)의 내륜에서도 우측단(도 3에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배관(400)과의 나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배관(300)의 일측에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관(40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배관(400)은, 연결 배관(300)의 우측(도 3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배관(100)과 같이 유체의 수용 및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2 배관(400)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양면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배관(400)은 제1 배관(100)과 같이 내부에는 물과 함께 공기가 수용됨을 예로 한다.
그리고, 제2 배관(400)의 좌측단(도 3에서)에는 제6 탭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제6 탭부(440)는, 제2 배관(400)의 좌측단에서도 외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5 탭부(320)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연결 배관(3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2 배관(400)의 일측에는, 연결 배관(300)을 통해 제2 배관(4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밸브(4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밸브(410)는, 제2 배관(400)의 좌측부(도 3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 배관(300)을 통해 제2 배관(4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1 밸브(410)의 개폐에 따라 연결 배관(300)으로부터 제2 배관(400)으로의 유체 유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밸브(410)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수동 밸브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2 배관(400)의 다른 일측에는, 제2 배관(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밸브(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밸브(420)는, 제2 배관(400)의 우측부(도 3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배관(400)으로 유입된 유체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2 밸브(420)의 개폐에 따라 제2 배관(4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2 밸브(420)의 개방을 통해 제2 배관(40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 또는 물은 제2 밸브(4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며, 제2 밸브(420)의 폐쇄를 통해 제2 배관(400)의 내부로부터 공기 또는 물이 배출되는 것은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배관(400)은 연결 배관(30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2 배관(400)이 연결 배관(30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연결 배관(300)이 제2 배관(4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배관(400)을 기준으로 연결 배관(300)이 경사지게 위치되거나 또는 연결 배관(300)을 기준으로 제2 배관(400)이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의 전체 높이는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2 배관(400)이 연결 배관(300)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있어서 누설이 방지되지 않도록 제2 배관(400)과 연결 배관(300) 사이에는 밀폐 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밀폐 부재는 상대적으로 두꺼우면서 탄성을 가짐으로써 제2 배관(4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결 배관(300)과의 결속이 보다 견고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배관(400)에는, 상기 제2 배관(4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공기 배출 수단(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 연장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제3 연장부(430)는, 제2 배관(400)의 외륜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배관(400)과는 직각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3 연장부(430)는 제2 배관(400)이 분기되는 것에 해당하므로, 제2 배관(400)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에, 제3 연장부(430)도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양면이 개방된 원 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상기 제3 연장부(430)에는, 제2 배관(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 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 배출 수단(500)은, 상기 제3 연장부(430)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면서 제2 배관(400)으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구(511)와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12)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 몸체(510)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서도 유입구(511)측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로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기포 방지 부재(520)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배관(40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 부재(530)와,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에서도 배출구(512)측에 구비되며 배출구(512)의 일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밸브(540)와, 상기 제3 밸브(5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밸브(540)와 함께 배출구(512)를 폐쇄하면서 플로트 부재(530)가 하강될 경우 배출구(512)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밀폐 부재(5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는, 제3 연장부(430)와 결합되는 것으로, 공기 배출 수단(5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
여기서, 공기 배출 몸체(513)와 제3 연장부(43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사 체결됨으로써 결합됨을 예로 한다.
물론, 공기 배출 몸체(513)와 제3 연장부(43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기 배출 몸체(510)는 내부가 중공되면서 하측에는 유입구(511)가 관통 형성되고 우측 상단에는 배출구(5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511)는 제3 연장부(430)를 통해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배출구(512)는 제3 연장부(43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원추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가 원추와 유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서 플로트 부재(530)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면서 내부 용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는, 기포 방지 부재(520)가 구비된다.
상기 기포 방지 부재(520)는,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서도 하측(도 4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배관(400)으로부터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기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포 방지 부재(520)는 상면(도 4에서)이 개방되면서 내부가 중공되는 원형 평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플로트 부재(530)의 임시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는, 플로트 부재(530)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트 부재(530)는,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서도 기포 방지 부재(52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 배관(40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플로트 부재(530)의 상단(도 4에서)에는 걸림부(53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31)는, 플로트 부재(530)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플로트 부재(530)의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제2 밀폐 부재(550)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플로트 부재(530)는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서 유동되게 구비되나, 제2 밀폐 부재(550)와 접촉됨으로써 임시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기포 방지 부재(520)와 접촉됨으로써 임시적으로 지지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 중에서도 플로트 부재(530)의 상측 부위에서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게 될 경우 플로트 부재(530)가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며, 이처럼 플로트 부재(530)의 하강이 유도되는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될 경우 플로트 부재(530)는 기포 방지 부재(520)의 내부로 이송됨으로써 걸림부(531)가 제2 밀폐 부재(550)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2 밀폐 부재(550)의 이송 또는 틀어짐이 발생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512) 및 제2 밀폐 부재(5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 몸체(510)에 형성되는 배출구(512)측에는 제3 밸브(54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밸브(540)는, 공기 배출 몸체(510)에서도 배출구(512)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배출구(512)의 일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3 밸브(540)는 배출구(512)의 직경이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부위이다.
이러한, 제3 밸브(540)의 좌측(도 4에서)에는 제2 밀폐 부재(55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밀폐 부재(550)는, 제3 밸브(540)의 좌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부가 제3 밸브(54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밀폐 부재(550)는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플로트 부재(530)가 하강될 경우 플로트 부재(530)와 접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2 밀폐 부재(550)는 제3 밸브(540)와 함께 배출구(512)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것으로, 플로트 부재(530)와 접함으로써 이송되거나 또는 비틀림에 따라 개방되면서 공기 배출 몸체(51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 배출 수단(500)에 의하여 제2 배관(4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서는 감지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외부에서도 배관의 부식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서는 공기 배출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제1 배관 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에서는 제2 배관이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제1 배관 110. 제1 연장부
111. 제1 탭부 120. 제2 연장부
121. 제3 탭부 200. 감지 수단
210. 감지 몸체 211. 수용홈
212. 이송홈 213. 부식 유도부
214. 확장홈 215. 제2 탭부
220. 감지부 221. 투명 부재
222. 제1 밀폐 부재 223. 제1 표시 부재
224. 제2 표시 부재 225. 탄성 부재
226. 필터 부재 230. 감지캡
231. 관통홀 300. 연결 배관
310. 제4 탭부 320. 제5 탭부
400. 제2 배관 410. 제1 밸브
420. 제2 밸브 430. 제3 연장부
440. 제6 탭부 500. 공기 배출 수단
510. 공기 배출 몸체 511. 유입구
512. 배출구 520. 기포 방지 부재
530. 플로트 부재 531. 걸림부
540. 제3 밸브 550. 제2 밀폐 부재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감지 수단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제1 배관의 부식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제1 연장부와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감지 몸체;
    상기 감지 몸체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부식 유도부가 손상될 경우 수용홈측으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홈;
    상기 감지 몸체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며, 제1 배관의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될 경우 손상이 유도되는 부식 유도부;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식 유도부가 부식됨으로써 이송홈 및 수용홈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제1 배관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감지부;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결합되며, 일면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감지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감지 캡과 수용홈을 구획하면서 감지 캡을 통해 수용홈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부재;
    상기 투명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감지 캡과 투명 부재 또는 감지 몸체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밀폐 부재;
    상기 투명 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면서 물과 반응될 경우 제거되는 제1 표시 부재;
    상기 제1 표시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부식이 발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 표시 부재;
    상기 제2 표시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투명 부재, 제1 밀폐 부재, 제1 표시 부재, 제2 표시 부재를 항시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이송홈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결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제1 배관과 제2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배관의 일측에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며 내부를 통해 유체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의 일측에는, 연결 배관을 통해 제2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배관의 다른 일측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에는, 상기 제2 배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공기 배출 수단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연장부에는, 제2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배관은 연결 배관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수단은,
    상기 제3 연장부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면서 제2 배관으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입구와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기 배출 몸체;
    상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에서도 유입구측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로 물 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기포 발생을 방지하는 기포 방지 부재;
    상기 공기 배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 부재;
    상기 공기 배출 몸체에서도 배출구측에 구비되며, 배출구의 일부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밸브;
    상기 제3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3 밸브와 함께 배출구를 폐쇄하면서 플로트 부재가 하강될 경우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밀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KR1020220132137A 2022-10-14 2022-10-14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KR2024005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137A KR20240052292A (ko) 2022-10-14 2022-10-14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137A KR20240052292A (ko) 2022-10-14 2022-10-14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292A true KR20240052292A (ko) 2024-04-23

Family

ID=9088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137A KR20240052292A (ko) 2022-10-14 2022-10-14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2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894B1 (ko) 2019-01-18 2019-07-05 프라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지중 온수 배관 누수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894B1 (ko) 2019-01-18 2019-07-05 프라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지중 온수 배관 누수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515A (en) Test system for fluid tight integrity of installed pipeline
US5076095A (en) Plumbing leak testing apparatus
CA1229053A (en) Plumbing test plug apparatus
US10132425B2 (en) Dual air admittance valve and method of detecting leaks in the same
CN104321628B (zh) 一种检测流体泄露的装置
US7264020B2 (en) Accessible test fitting for a plumbing system
US6082183A (en) Test assembly for fluid tight integrity of pipeline joint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US9091362B2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US5656766A (en) Underground drain tank
US5318075A (en) Drip stop plug
US4932241A (en) Reusable plumbing test pipe
KR20240052292A (ko) 부식 방지 모니터링 배관 시스템
JP4872867B2 (ja) 洗面ボウルの排水構造
US5960811A (en) Sensing valve for automatic shutoff when a substance is present in a flow of fluid
US20080184783A1 (en) Test tee
CN205225174U (zh) 灌浆装置
JP7068984B2 (ja) ポンプ設備
US20060162775A1 (en) Valve assembly
US5501243A (en) Liquid storage tank sump
US20140251441A1 (en) Flow isolation system
CN107218513A (zh) 一种旋转密封监测系统
JP518352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及びこの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に使用されるスプリンクラヘッド
CN109336042A (zh) 双层卸油手孔井
CN220888845U (zh) 存水弯管件和管道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