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260A -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260A
KR20240052260A KR1020220132057A KR20220132057A KR20240052260A KR 20240052260 A KR20240052260 A KR 20240052260A KR 1020220132057 A KR1020220132057 A KR 1020220132057A KR 20220132057 A KR20220132057 A KR 20220132057A KR 20240052260 A KR20240052260 A KR 2024005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shoe
diy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22013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260A/ko
Priority to PCT/KR2023/015552 priority patent/WO2024080711A1/ko
Publication of KR2024005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2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아이와이로 와이어 패스너 장치를 조립시에 와이어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신발 구목 삽입시에는 구목에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 후에는 신발 구목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끼움 삽입 후에는 신발을 조이는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굽어진 구목 인입 가이드부,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Wire guide apparatus for DIY foot wear}
본 발명은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아이와이로 와이어 패스너 장치를 조립시에 와이어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신발 구목 삽입시에는 구목에 잘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 후에는 신발 구목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신은 후에 신발을 조이기 위해서는 끈으로 된 신발 끈을 조여맨다. 이러한 신발 끈을 통한 신발 조임은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는 불편하고 어려울 뿐만아니라 성인들에게도 불편함이 따르는 일이다.
한편, KR 10-2015-0087519(발명의 명칭 :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도록 하는 신발의 개조방법)에 개시된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반원 형상(연결부,43)으로서 와이어를 일측에서 삽입하여 타측으로 꺼내기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반복적인 와이어의 조임에 따라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반원 형상의 연결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KR 10-2015-0087519 KR 10-1984511 KR 20-048023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신발 구목에 삽입시에는 쉽게 삽입이 되도록 하면서 신발 구목에 삽입 후에는 잘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며, 와이어와 신발 가피를 서로 분리 격리하여 서로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끼움 삽입 후에는 신발을 조이는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굽어진 구목 인입 가이드부,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목 인입 가이드부가 끼움 삽입된 후에 2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가이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이탈 방지부는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
또한, 구목 인입 가이드부는 1차적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면서 신발 구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의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소정 길이 몸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다.
또한,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몸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사용자의 발과 접촉을 줄여 이물감을 최소화한다.
또한, 구목 인입 가이드부는 1차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도록 몸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가이드 이탈 방지부는 2차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도록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경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다.
또한,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의 일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개방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는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 구목 인입 가이드부가 신발 구목에 삽입된 후에 신발 가피에 접촉 지지되는 가피 지지판, 와이어 삽입 공간이 마련되도록 가피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또한, 가피 지지판과 덮개판의 결합에 의해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피 지지판이 신발 가피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와이어 삽입 공간에 삽입된 와이어가 신발 가피와 격리된다.
또한, 덮개판은 와이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와이어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 이탈방지 턱을 포함한다.
또한,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끼움 삽입 후에는 신발을 조이는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면서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 형성되며, 삽입된 와이어와 신발 가피가 서로 분리 격리되어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끼움 삽입 후에 2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구목에 삽입시에는 쉽게 삽입이 되도록 하고, 신발 구목에 삽입 후에는 잘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삽입 공간에 삽입된 와이어와 와이어 삽입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가피와 와이어가 서로 분리 격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10)를 포함한다. 기존의 신발에는 각 신발 구목(12)에 끈으로 된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끈으로 된 와이어를 신발 구목(12)에서 제거하고, 후술하는 와이어 가이드부(100)를 끼움 삽입함으로써 다아이와이(DIY, Do It Yourself)로 신발 조임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가이드부(10)는 신발 구목(11)에 삽입되어 신발 구목(11) 내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와이어 가이드부(10)에 와이어(13)가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가이드부(10)는 두 개의 신발 구목(12)에 동시에 끼움 삽입된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한 개의 신발 구목(12)에 하나씩 끼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후술하는 제1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가 신발 구목(12)에 끼움 삽입되며, 제1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제1 가이드 이탈 방지부(310)와 가피 지지판(210) 및 덮개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를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결합하여 신발 구목(12)에 동시에 끼움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필요에 따라 구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부(10)에 삽입 지지되는 와이어(13)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와이어 패스너는 본 출원인이 종래 출원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창작의 범위내에서 참조될 수 있다. 와이어 패스너(도면 미도시)는 일측에서 와이어가 인입되고, 타측에서 와이어가 인입되어 릴(도면 미도시)을 통해 감김 또는 풀림될 수 있다. 와이어 패스너는 하부면의 접착 테이프에 의해 신발의 설포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와이어 패스너 및 와이어 패스너에 조임 또는 풀림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패스너와 와이어 패스너에 미리 폐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는 제1 디아이와이 조립부 일 수 있고, 와이어 가이드부(10)는 제2 다아이와이 조립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아이와이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는 일예로서 제1,2 디아이와이 조립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기존의 끈으로 이루어진 신발끈을 제거하고 제2 디아이와이부를 먼저 모든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한다. 그 후에 폐쇄적으로 구성된 와이어를 하측 신발 구목에서부터 상측 신발 구목방향으로 이미 끼움 삽입된 제2 디아이와이부에 순차적으로 크로스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신발 구목은 신발의 좌측부에 복수의 신발 구목이 형성되고, 신발의 우측에 복수의 신발 구목이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하측 신발 구목에서 상측 신발 구목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좌측 신발 구목에서 우측 신발 구목 방향 또는 우측 신발 구목 방향에서 좌측 신발 구목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크로스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10)는 두 개의 신발 구목(12)에 동시에 끼움 삽입되며, 와이어 가이드부(10)는 와이어(13)의 조임에 의해 와이어에 강한 장력이 걸려도 신발 구목(12)으로 빠지지 않도록 신발 구목(12) 내측에서 삽입 지지된다. 이를 위해 와이어 가이드부(10)는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 또는 제1 이탈 방지부),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1200), 가이드 이탈 방지부(300, 또는 제2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 또는 제1 이탈 방지부)는 신발 구목(12)에 인입시에 인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또한 신발 구목(12)에 인입된 후에는 와이어(13)의 조임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12)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는 인입 가이드부(100a)와 인입 가이드 돌출부(100b)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가이드부는 굽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인입 가이드부의 상부면은 신발 구목(12)에 끼움 삽입되면 신발 가피(11)에 접촉 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가이드 돌출부는 신발 구목(12)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끼움 삽입되는 것으로서, 신발 구목(12)으로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입 가이드부로부터 몸체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의 단부면을 따라 가상의 수직선(21)을 내린 경우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의 단부면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는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의 일측 단부면보다 더 돌출되기 때문에 신발 구목(12)의 인입이 용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신발 구목(12)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신발 구목으로부터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입 가이드 돌출부를 인입 가이드부에서 더 돌출 연장 형성하면 신발 구목(12)에 첫번째로 삽입되는 인입 가이드 돌출부(112)의 끼움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안입 가이드부(100a) 및 인입 가이드 돌출부(100b)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 가이드 돌출부가 하향 경사지면 신발 구목(12)에 인입이 용이하다. 다만, 경사 각도는 와이어(13)가 조임되었을 때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어 이물감을 주지 않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발과 접촉되어 이물감을 주지 않기 위해 몸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두께(w)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는 제1,2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120)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하향 경사지면서 굽어진 형상이다. 또한, 제1,2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120)는 일정 거리 떨어지면서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와 결합된다.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제1,2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와이어(13)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 공간(200a)이 형성되며, 와이어 삽입 공간(200a)에 삽입된 와이어(13)를 삽입 가이드 한다. 또한,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일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삽입된다(도 3의 화살표 참조). 삽입된 와이어는 와이어 삽입 공간(200a)에 삽입된다.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가피 지지판(210)과 덮개판(220)을 포함한다. 가피 지지판(210)은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와 덮개판(220)의 사이공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가피 지지판(210)은 제1,2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12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1,2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120)가 신발 구목(12)으로 인입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피 지지판(210)의 하부면이 신발 가피(11)에 접촉 지지된다. 가피 지지판(210)이 신발 가피(11)에 접촉 지지되기 때문에 와이어 삽입 공간(200a)에 삽입된 와이어와 신발 가피(11)를 서로 격리(가피 지지판과 덮개판에 의해 와이어와 가피의 분리 공간이 마련됨)할 수 있다. 가피 지지판(210)이 없는 경우에는 삽입된 와이어와 신발 가피(11)가 서로 접촉될 수 있어 와이어와 마찰이 발생될 수 있다.
덮개판(220)은 가피 지지판(2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가피 지지판(210)과 덮개판(220)의 결합에 의해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대략 'ㄷ'자로 형성된다. 덮개판(220)의 하부에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삽입 공간(200a)으로 삽입된 와이어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절곡된 와이어 이탈방지 턱(221)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200)는 와이어(13)가 쉽게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개방면 측으로 와이어(13)가 끼움 삽입된다.
가이드 이탈 방지부(300)는 1차적으로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가 삽입된 후에 2차적으로 신발 구목(12)에 삽입된다. 가이드 이탈 방지부(300)가 신발 구목(12)에 삽입된 후에는 신발 가피(11)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이탈 방지부(300)는 이탈방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탈방지 돌출부는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의 후방으로 돌출 연장된다. 이탈방지 돌출부의 상부면은 신발 구목(12)에 삽입시에 신발 가피(11)에 접촉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된 구목 인입 가이드부(110)에 의해 신발 구목(12)으로부터 1차 이탈이 방지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이탈 방지부(130)에 의해 신발 구목(12)으로부터 2차 이탈이 방지된다. 이탈방지 돌출부의 하부면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이탈 방지부(300)가 신발 구목(12)에 2차적으로 인입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목 인입 가이드부(100)는 신발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으로 향하도록 신발 구목(12)에 인입 삽입되며, 가이드 이탈 방지부(130)는 신발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신발 구목(12)에 인입 삽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와이어 가이드
11 : 신발 가피
12 : 신발 구목
13 : 와이어
21 : 가상의 수직선
31 : 신발 가피 외부공간
32 : 신발 가피 내부공간
100 : 구목 인입 가이드부(또는 제1 이탈 방지부)
100a : 인입 가이드부
100b : 인입 가이드 돌출부
110 : 제1 구목 인입 가이드부
120 : 제2 구목 인입 가이드부
200 :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
200a : 와이어 삽입 공간
210 : 가피 지지판
220 : 덮개판
221 : 와이어 이탈방지 턱
300 : 가이드 이탈 방지부(또는 제2 이탈 방지부)
310 : 제1 가이드 이탈 방지부
320 : 제2 가이드 이탈 방지부

Claims (12)

  1.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끼움 삽입 후에는 신발을 조이는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굽어진 구목 인입 가이드부,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가 끼움 삽입된 후에 2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가이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탈 방지부는,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는,
    1차적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면서 신발 구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의 일측 단부의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소정 길이 몸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상기 몸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 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사용자의 발과 접촉을 줄여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는,
    1차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이탈 방지부는,
    2차 가이드 인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경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의 일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개방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는,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 상기 구목 인입 가이드부가 신발 구목에 삽입된 후에 신발 가피에 접촉 지지되는 가피 지지판,
    상기 와이어 삽입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가피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피 지지판과 덮개판의 결합에 의해 상기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피 지지판이 신발 가피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삽입 공간에 삽입된 와이어가 상기 신발 가피와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상기 와이어 삽입 공간으로 삽입된 와이어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 이탈방지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신발 구목에 끼움 삽입시에 1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끼움 삽입 후에는 신발을 조이는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면서 상기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와 결합 형성되며, 삽입된 와이어와 신발 가피가 서로 분리 격리되어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와이어 삽입 가이드부,
    상기 복수의 구목 인입 가이드부의 끼움 삽입 후에 2차적으로 가이드 인입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서도 신발 구목으로 다시 빠지지 않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20220132057A 2022-10-14 2022-10-14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20240052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057A KR20240052260A (ko) 2022-10-14 2022-10-14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PCT/KR2023/015552 WO2024080711A1 (ko) 2022-10-14 2023-10-11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057A KR20240052260A (ko) 2022-10-14 2022-10-14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260A true KR20240052260A (ko) 2024-04-23

Family

ID=9066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057A KR20240052260A (ko) 2022-10-14 2022-10-14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2260A (ko)
WO (1) WO20240807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519A (ko) 2014-01-22 2015-07-30 김남흥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도록 하는 신발의 개조방법
KR200480235Y1 (ko) 2015-09-16 2016-04-27 소윤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1984511B1 (ko) 2017-07-21 2019-05-3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3289B (zh) * 2008-02-21 2013-11-06 刘兴棋 鞋带扣及鞋子
WO2015035257A2 (en) * 2013-09-05 2015-03-12 Boa Technology Inc. Alternative lacing guides for tightening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EP3510887A1 (en) * 2013-09-20 2019-07-17 Hickies, Inc. Fastening device
EP3595481A4 (en) * 2017-03-15 2021-01-13 NIKE Innovate C.V. AUTOMATIC LACING SHOE WITH CORD AND SHAFT TENSIONERS
CN211984098U (zh) * 2020-03-26 2020-11-24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鞋扣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519A (ko) 2014-01-22 2015-07-30 김남흥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도록 하는 신발의 개조방법
KR200480235Y1 (ko) 2015-09-16 2016-04-27 소윤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1984511B1 (ko) 2017-07-21 2019-05-3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711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8373A (en) Laced shoe and method for tieing shoelaces
US7343701B2 (en) Footwear having an interactive strapping system
US5956868A (en) Dance shoe with elastic midsection
US7441348B1 (en) Leisure shoe
US9480299B2 (en) Slip-on footwear with foot securing system
US7624518B2 (en) Slip on athleisure shoe
JP7418034B2 (ja) 履物閉鎖システム
US20070068041A1 (en) Footwear with improved heel support
US20100269373A1 (en) Shoe tying aid and method
US5388315A (en) Lacing system
EP3005895B1 (en) Footwear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8316563B2 (en) Shoe and interchangeable shoe cover systems
US20160360835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US20050044749A1 (en) Boot liner with ankle and heel volume control
CN114158252A (zh) 线卷曲调整装置及卷线盘
US7464491B2 (en) Packaged shoes
KR20240052260A (ko)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US20210219662A1 (en) Footwear With One or More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Panels
KR20230095730A (ko)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2455011B1 (ko) 신발
US20070039145A1 (en) Shoelace holder
KR200188558Y1 (ko) 신발끈의 매듭덮판구조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