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785A -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785A
KR20240051785A KR1020230008656A KR20230008656A KR20240051785A KR 20240051785 A KR20240051785 A KR 20240051785A KR 1020230008656 A KR1020230008656 A KR 1020230008656A KR 20230008656 A KR20230008656 A KR 20230008656A KR 20240051785 A KR20240051785 A KR 2024005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various embodiments
information
crops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길모
강성모
오상현
노시정
Original Assignee
퓨처커넥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처커넥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처커넥트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58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80817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는, 복수의 수조층들,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수조층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한 경우, 복수의 연결관들 중 제1 관의 제1 위치와 제2 관의 제2 위치가 서로 다르고,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돌출 부분의 특정 높이에 의해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되는 관수 자원의 상한 높이가 결정되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다른 수조층으로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CULTIVATION DEVICE INCLUDING PROTRUDING PART,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CULTIVATION DEVICE}
본 개시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농산물 산업은 소비자의 먹거리와 연관된 주요 산업으로서, 타산업과 비교하여 보다 철저하게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한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생산자와 소비자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최근 도입되고 있는 스마트 팜(또는 버티컬 팜)은, 작물의 생육 정보와 환경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점검하고 적기 처방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의 농산물 산업과 비교하여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 변화와 펜데믹 등과 같은 농작물 시장 및 생산 환경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들, 그리고 도심에 인구가 집중되고 농가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보다 더 급변하는 외부 요인에 강인하며, 효율적으로 신선도가 높은 농작물을 생육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구현이 필요한 시점이다.
종래의 스마트 팜은, 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 재배 장치에서 생육되는 작물의 생육 정보와 환경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팜은 소비자들이 대부분 거주하는 도심의 외곽 지역에 구축되기 때문에, 여전히 먼 스마트 팜과 도심 간의 물리적 거리로 인해 작물의 공급 과정에서 작물이 손실되는 양이 많게 되며, 도심 내에서의 소비 환경의 변화에 기민하게 작물의 생산량을 제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시설 뿐만 아니라 작물과 연관된 판매 시설 내에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매 시설과 상기 재배 시설 간의 작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수단 내에, 상기 시설들에 구비되는 재배 장치의 재배 구조물과 동일한 재배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운송 수단을 통한 작물 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판매 시설 간의 실질적인 물리적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작물의 공급 과정에서의 작물의 손실양을 저감하고, 도심 내의 소비 환경의 변화에 기반하여 기민하게 작물의 생산량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스마트 팜을 이용하는 재배 시설 또는 판매 시설은 제한된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재배 장치들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복수의 재배 장치들은 독립된 재배 장치로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재배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이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전력 소비 및 자원 낭비가 크고, 제한된 재배 시설 또는 판매 시설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들은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을 공유함으로써 작물 재배 시 필요한 자원을 절약하고, 전력 소비를 줄이며, 재배 장치의 사용자가 작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배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재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를 공유함으로써, 제한된 재배 시설 및 판매 시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종래의 스마트 팜에서 이용하는 재배 장치는, 박막 수경(NFT, nutrient film technique, 이하 NFT) 방식 또는 담액 수경(DWC, deep water technique 이하 DWC, 또는 DFT, deep flow technique)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재배 장치는 완만한 경사가 구비된 평면 상에 관수 자원을 소량씩 흐르게 하고, 작물의 뿌리 등을 공기 중 및 양액 중에 배치하는 NFT 방식 만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작물의 뿌리 등을 관수 자원에 담그는 DWC 방식만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작물 재배 방식에 제한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는, 하나의 재배 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재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작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는 NFT 방식 및 DWC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NFT 방식 또는 DWC 방식만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 보다 효율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스마트 팜은, 스마트 팜과 연관된 정보(예: 생육 환경 정보, 스마트 팜의 생산량)에 기반하여, 스마트 팜 내의 작물에 대한 생육 환경을 자동 제어하고, 제어 결과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팜의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팜은, 작물이 판매되는 판매 시설의 정보(예: 작물 수요량)와 연계하여 생육 환경을 제어하지는 못하기에, 스마트 팜에서의 작물의 생산량과 판매 시설로의 작물의 분배량을 소비 환경에 더 적합하게 계획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에서의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에서의 작물의 생산량과, 생산된 작물의 복수의 판매 시설들로의 최적 분배량을 계획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계획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작물의 작업에 대한 지시 사항이 재배 시설내의 작업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더 기민하게 소비 환경에 적합한 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스마트 팜은, 작물의 생육 정보와 환경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에 따라 작물의 생육 환경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팜은, 작물이 판매되는 판매 시설의 정보(예: 작물 수요량)와 연계하여 생육 환경을 제어하지 못하기에, 소비 환경에 더 적합하게 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에서의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작물의 재배와 연관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 제공 시스템은, 소비 환경에 보다 더 기민한 농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작물과 연관된 제품(예: 샐러드와 같음 음식물)을 판매하는 매장은, 매장으로 운송된 작물을 제품으로 제조하여 판매하는 행위가 이루어질 뿐, 매장 내에서 작물이 수확되어 제품으로 제조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매장 내의 재배 장치를 통해 수확된 작물을 제품으로 제조하도록 미리 주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 제공 시스템은, 더 싱싱한 작물로 구성되는 제품을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다른 기업에 의해 구독 서비스를 수신하는 경우, 작물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해당 기업이 수혜 받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는, 복수의 수조층들,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수조층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한 경우, 복수의 연결관들 중 제1 관의 제1 위치와 제2 관의 제2 위치가 서로 다르고,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돌출 부분의 특정 높이에 의해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되는 관수 자원의 상한 높이가 결정되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다른 수조층으로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은, 재배 장치에 포함된 워터 펌프를 통해 재배 장치에 포함된 관수통에 보관된 관수 자원을 재배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수조층들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수조층으로 끌어올리는 동작 및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복수의 수조층들의 상부에서 하부 및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을 통해,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특정 높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시설 뿐만 아니라 작물과 연관된 판매 시설 내에 재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상기 판매 시설과 상기 재배 시설 간의 작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수단 내에, 상기 시설들에 구비되는 재배 장치의 재배 구조물과 동일한 재배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운송 수단을 통한 작물 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판매 시설 간의 실질적 물리적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작물의 공급 과정에서 작물이 손실되는 양을 저감하고, 도심 내의 소비 환경의 변화에 기반하여 기민하게 작물의 생산량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들은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을 공유함으로써 작물 재배 시 필요한 자원을 절약하고, 전력 소비를 줄이며, 재배 장치의 사용자가 작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배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재배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를 공유함으로써, 제한된 재배 시설 및 판매 시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는, 하나의 재배 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재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작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는 NFT 방식 및 DWC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NFT 방식 또는 DWC 방식만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 보다 효율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에서의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에서의 작물의 생산량과, 생산된 작물의 복수의 판매 시설들로의 최적 분배량을 계획할 수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계획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작물의 작업에 대한 지시 사항이 재배 시설내의 작업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더 기민하게 소비 환경에 적합한 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에서의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작물의 재배와 연관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 제공 시스템은, 소비 환경에 보다 더 기민한 농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계획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작물의 작업에 대한 지시 사항이 재배 시설내의 작업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더 기민하게 소비 환경에 적합한 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은, 재배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에서의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작물의 재배와 연관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 제공 시스템은, 소비 환경에 보다 더 기민한 농작물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의 재배 시설로부터 운송 수단을 통해 판매 시설로 작물이 공급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과 재배 시설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시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의 센서부 및 전자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들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에 포함된 돌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가 서버로부터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시설로부터 운송 수단을 통해 판매 시설로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구조물이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의 작물의 운송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의 작물의 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식 체적에 대응하는 복수의 재배 커버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식 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및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 제2 프로그램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또는 모듈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의 생산량 및 분배량을 계획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및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계획 정보 및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과 재배 시설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과 재배 시설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계획 정보를 표시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생육 계획 정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최적 분배 정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및/또는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 및/또는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생육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기-저장된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복수의 환경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최적 값을 식별(또는 설정)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함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식별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머신러닝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룰 정보를 갱신(예: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장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생장 계수의 식별 및 그에 기반한 복수의 환경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최적 값을 설정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최적 값을 설정하기 위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이슈 알람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이슈 알람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제공된 이슈 알람과 연관된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의 KPI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 내에서 주문 제품 생산자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프로그램의 섭취 영양 정보의 제공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주문 제품과 관련하여 추가 재료로서 작물을 추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작물 추천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결제 동작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멤버십 서비스와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온라인 스토어 서비스와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는, 복수의 수조층들,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한 경우,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 중 제1 관의 제1 위치와 상기 제2 관의 제2 위치가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되는 관수 자원의 상한 높이가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다른 수조층으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에 안착되는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 각각은, 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재배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해 상기 관수 자원을 흡수하기 위해 작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재배 베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의 삽입을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재배 베드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재배 장치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자 부품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자 부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작물의 생육 환경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값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경값에 기반하여 생성된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고, 및 상기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부품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재배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관수 자원을 보관하는 관수통 및 상기 관수통에 연결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펌프는, 상기 관수통에 보관된 상기 관수 자원을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수조층의 높이까지 끌어올리고, 상기 워터 펌프를 통해 끌어올려진 관수 자원 중에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은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의 상부에서 하부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워터 펌프가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워터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공급된 관수 자원 중에서 상기 상한 높이 이하의 관수 자원은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특정 높이는, 상기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에 대응하는 돌출 부분들의 특정 높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박막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상기 상한 높이 미만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상기 박막 수경 재배 방식에 더하여 담액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은,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워터 펌프를 통해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관수통에 보관된 관수 자원을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수조층들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수조층으로 끌어올리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의 상부에서 하부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기 특정 높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박막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동작, 상기 상한 높이 미만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상기 박막 수경 재배 방식에 더하여 담액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재배 시설((20)로부터 운송 수단(30)을 통해 판매 시설(10)로 작물이 공급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소비자(또는 고객)와 가장 가까운 지역(예: 도 2의 타겟 지역(T))(또는 위치)에서 신선한 작물(또는 식물) 및/또는 작물로 구성되는 제품(예: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또는 구축)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물은, 바질, 카이파라, 이자벨, 제페토, 케일 등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은 샐러드, 주스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및/또는 그 자체로 판매되는 작물(예: 포장재로 포장된 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주문과 동시에 살아 있는 채소를 바로 수확하여, 타겟 지역(T)의 소비자에게 판매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지역(T)은, 생활(또는 거주)하는 소비자의 수가 많은 지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심일 수 있다. 다만,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타겟 지역(T)은, 소비자가 작물 또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예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을 참조하면,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판매 시설(10), 재배 시설(20), 및 운송 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및/또는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판매 시설(10)은 판매자가 소비자로 다양한 종류의 작물 및/또는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시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 시설(10)은 샐러드 가게, 레스토랑, 식음료 매장, 마트, 등 작물 및/또는 작물을 포함하는 제품의 판매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매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시설(10)은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을 운용(또는 운영)하는 특정 기업의 매장일 수 있으나,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 대한 서비스를 구독하는 다른 기업의 매장일 수도 있다. 상기 매장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판매 시설(10)은 소비자가 작물 및/또는 제품의 구매를 위해 방문하는 타겟 지역(T) 내에 복수의 판매 시설들(10a, 10b, 10c)로 구축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및/또는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단일로 구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판매 시설(10)은, 상기 판매 시설(10) 내에서 작물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 시설(10)은, 작물의 재배(또는 생육, 또는 생산)를 수행하기 위한 재배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설(예: 판매 시설(10)) 내의 생산자(또는 판매자)는 재배 장치로부터 신선하게 수확되는 작물 및/또는 작물로 구성되는 제품을 생산하여, 생산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수확되는 작물 및/또는 작물로 구성되는 제품을 판매 시설(10)에서 소비자가 취식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매 시설(10)로부터 지정된 범위의 지역(r1, r2, r3) 내의 소비자(B2C) 및/또는 기업(B2B)으로 작물 및/또는 제품을 배달할 수 있다. 기업으로 작물 및/또는 제품이 배달되는 경우, 기업 내 및/또는 기업과 연관된 지역에 배달된 작물 및/또는 제품이 제공(또는 배치)되는 구조물이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시설(20)은 다양한 종류의 작물의 재배(또는 생육, 또는 생산)가 수행되는 시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배 시설(20)은, 타겟 지역(T) 이외의 인구 밀집도가 낮은 지역(예: 교외 지역)에 위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작물의 재배를 위해 복수의 재배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 시설(20)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 시설(10)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배 시설(20)은 타겟 지역(T) 내의 지정된 수의 판매 시설(10)로 작물을 공급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정된 수는 3개 소일 수 있으나, 기재된 숫자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재배 시설(20) 내에는 작물 재배를 위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작업자가 배치되며, 상기 작업자가 작물을 생육하고, 수확된 작물을 상기 재배 시설(20)과 연관된 판매 시설(10)로 운송(예: 운송 수단(30)에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재배 시설(20) 내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환경(예: 생육 환경, 및/또는 관수 환경)을 최적으로 조성하고, 재배 시설(20)과 연관된 판매 시설(10)들 별 작물 예측 소비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20)의 재배와 관련된 업무(예: 이식/정식/수확, 분배)를 계획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운송 수단(30)은 재배 시설(20)로부터 재배 시설(20)과 연관된 판매 시설(10)로 재배 시설(20)에서 재배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과 같은 육상 운송 수단, 선박과 같은 해상 운송 수단, 항공기와 같은 항공 운송 수단, 및/또는 복합 운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 수단은, 재배 시설(20)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구조물(예: 후술되는 재배 베드, 재배 커버)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거치 구조물은, 상기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 상기 재배 시설(20) 내의 재배 장치(400), 및 상기 운송 수단(30)의 거치 장치(미도시) 각각에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물 상에 작물의 재배를 위한 표준화된 재배 구조물(예: 재배 커버(1410), 및/또는 재배 베드(1420))이 안착된 상태에서 판매 시설(10) 및/또는 재배 시설(20)에서의 재배, 그리고 운송 수단(30)을 통한 운송이 수행됨에 따라, 작물의 재배와 작물의 운송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며, 타겟 지역(T)의 수요자가 더 싱싱한 작물을 소비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에서 작물에 대한 생육과 생산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생육은 작물의 파종, 이식, 정식, 및 수확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수확 단계는, 작물의 생육이 완료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생산은 작물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작물 자체가 포장되어 제공되거나, 작물로 구성되는 제품(예: 샐러드, 음료)으로 가공되어 제공되는 것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a)를 참조하면,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 각각에서 작물의 생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시설(20)에서 작물이 파종, 이식, 정식, 및 수확되며, 수확된 작물이 운송 수단(30)을 이용하여 판매 시설(10)로 제공(예: 운송)될 수 있다. 운송된 작물은 제품으로 생산되어 소비자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재배 시설(20)과 별도로 판매 시설(10)에 구비된 재배 장치를 통해 작물이 파종, 이식, 정식, 및 수확되어, 수확된 작물이 제품으로 생산되어 소비자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재배 시설(20)에서만 작물의 생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시설(20)에서만 작물이 파종, 이식, 정식, 및 수확되며, 수확된 작물이 운송 수단(30)을 이용하여 판매 시설(10)로 제공(예: 운송)되어,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된 작물이 제품으로 생산되어 소비자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c)를 참조하면, 재배 시설(20)에서 생육된 작물이 판매 시설(10)로 운송되어, 판매 시설(10)에서 연속적으로 생육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재배 시설(20)에서 작물의 수확 전 생육(예: 파종, 이식 정식)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되어, 작물이 판매 시설(10)로 제공될 수 있다. 판매 시설(10)에서는 상기 적어도 일부 생육이 수행된 작물의 생육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결과적으로 작물이 판매 시설(10)에서 수확될 수 있다. 상기 수확된 작물은, 제품으로 생산되어 소비자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유통 과정에서 물리적 거리로 인한 생육 단절에 의해, 폐기되는 음식물의 양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에서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은,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 제어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장치들의 일 예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장치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재배 장치(400), 거치 장치(405),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 제2 전자 장치(430), 환경 장치(440), 및 판매 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및/또는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더 많은 장치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더 적은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재배 시설(20) 내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400)는 작물의 생육을 위한 장치로서, 작물의 재배를 위한 구조물(예: 후술되는 도 14의 재배 커버(1410), 및 재배 베드(1420)), 상기 구조물이 거치되는 거치 구조물, 작물 생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팬, 펌프, LED 조명 등), 작물 생육과 연관된(예: 영향을 주는)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검측(또는 검출, 또는 측정, 또는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장치(400)는 판매 시설(10)에 구비되는 재배 장치(400a), 및 재배 시설(20)에 구비되는 재배 장치(400b)를 포함하며, 두 재배 장치들(400a, 400b)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두 재배 장치들(400a, 400b) 각각 거치 구조물이 동일하되, 나머지 부분은 상이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 장치(405)는, 운송 수단(30)에 구비되며, 작물의 재배를 위한 구조물(예: 재배 커버(1410), 및 재배 베드(1420))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구조물은 전술한 재배 장치(400)의 거치 구조물과 동일하도록 구현되어, 작물의 재배를 위한 구조물(예: 재배 베드, 재배 커버)이 효율적으로 판매 시설(10)로부터, 운송 수단(30)을 통해, 재배 시설(20)로 운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예: 재배 장치(400), 제1 전자 장치(420), 제2 전자 장치(430), 환경 장치(440), 및 판매 장치(450))과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송신 및/또는 상기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작물의 생육 또는 작물의 운송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판매 시설(10)의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작물들 별 수요량을 예측하는 동작, 수요량에 기반하여 작물들 별 생육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재배 시설(20) 내의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동작, 재배 시설(20)로부터 판매 시설(10)로 작물들을 최적으로 분배하고, 이를 재배 시설(20) 내의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동작, 또는 재배 시설(20) 내의 작물 재배를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데, 각각의 동작의 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재배 시설(20) 내의 작업자가 이용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 작업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420)는, 작업자로 작물들 별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작물의 재배와 관련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작물들에 대한 운송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재배 시설(20) 내의 다른 작업자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 또는 알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제1 전자 장치(420)에 설치되는 제1 프로그램(또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수행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서버(410)에 의해 배포되어 제1 전자 장치(420)에 설치될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430)는, 판매 시설(10)을 방문하는 소비자의 전자 장치일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 소비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430)는 판매 시설(10) 내의 작물 및/또는 제품을 미리 주문하는 기능, 또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추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제2 전자 장치(430)에 설치되는 제2 프로그램(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수행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서버(410)에 의해 배포되어 제2 전자 장치(430)에 설치될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장치(440)는, 작물 재배와 연관된 생육 환경(예: 온도, 습도, 조도, CO2 농도)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재배 장치로 생육을 위한 자원(예: 물, 양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판매 장치(450)는, 판매 시설(10)로부터 판매되는 작물들의 판매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서버(410)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 장치(450)는 POS(point of sales) 장치일 수 있으며,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품의 판매와 연관된 정보를 입력하고 제품의 결제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 판매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판매 시설(10), 재배 시설(20), 그리고 각각의 시설들 별로 구비되는 장치들의 일 예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1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시설(2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판매 시설(10)은 복수의 영역들(A1, A2, A3, A4)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a)는, 판매 시설(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영역들(A1, A2, A3, A4)은 제품(예: 작물, 또는 샐러드)의 판매가 수행되도록 판매 장치(450)가 구비되는 제1 영역(A1), 작물의 생육을 위한 재배 장치(400)가 구비되는 제2 영역(A2), 작물이 제품으로 가공되는(예: 작물이 샐러드 및/또는 음료로 제조됨) 제3 영역(A3), 및 제품을 취식하기 위한 가구들(F)이 배치되는 제4 영역(A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는, 판매 시설(10)를 외부에서 바라본 전경을 나타낸다. 상기 판매 시설(10) 내의 복수의 영역들(A1, A2, A3, A4) 중 적어도 일부는, 판매 시설(10)의 외관의 투명 유리창(W)을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소비자를 통해 의해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재배 장치들(400)이 외부로 시인됨에 따라, 소비자는 해당 판매 시설(10)에서 작물이 생육되어 신선한 제품으로 가공되는 경험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5의 (c)는, 판매 시설(10)의 내부를 나타낸다. 상기 판매 시설(10)의 재배 장치들(400)과 인접한 위치에 제품을 취식하기 위한 가구들(F)이 배치되며, 소비자는 제품의 취식과 함께 더불어 판매 시설(10)의 내부에서 작물이 생육되고 제품화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면, 재배 시설(20)은 복수의 재배 장치들(400) 및 복수의 환경 장치들(440)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재배 장치들(400) 각각은 서로 관수 자원(또는 관수 환경)(예: 물, 양액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복수의 환경 장치들(440) 각각은 재배 장치(40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재배 장치(400)로 자원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재배 환경(예: 생육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재배 시설(20) 내에는 환기를 위한 환풍기와 팬, 대기 환경(예: 습도, CO2)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예: 난방 장치, 냉방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와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중계기(미도시)(예: AP(access point)), 관리 서버(미도시) 등이 더 구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700)의 구조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700)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700)(예: 도 4의 재배 장치(400a), 재배 장치(400b))가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도 4의 재배 시설(20) 또는 도 4의 판매 시설(10)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또는 생육, 또는 생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에 연결되는 복수의 수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은, 작물의 재배를 위한 구조물인 재배 구조물(780)을 거치하기 위한 물리적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조층에 대한 설명은, 재배 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작물의 생육을 위한 장치로서, 작물의 재배를 위한 구조물(예: 재배 베드(1420), 재배 커버(14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를 위한 구조물에 대한 설명은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재배 장치(700)는 프로세서(710), 전자 부품(720), 센서부(730), 통신 회로(740), 카메라(750), 관수통(760), 연결 구조물(770), 및/또는 재배 구조물(7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재배 장치(7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재배 장치(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다양한 테이터의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및 이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720)은 재배 장치(700)를 통해 생육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720)은 팬, 펌프 및/또는 LED 조명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전자 부품(720)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장치(700)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들의 생장을 위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부품(720) 구성 및 전자 부품(720)의 제어는 적어도 도 9,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는 재배 장치(700)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환경 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환경 장치(45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센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장치(450)는 센서부(730)와 구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센서부(730)의 동작은 환경 장치(450)의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는 재배 장치(7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을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0)는 작물의 생장을 위한 온도, 습도, 조도, CO2(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같은 생육 환경, 및 수온, EC(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pH(수소이온농도) 및/또는 관수통(760)의 수위를 포함하는 관수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환경 중 적어도 일부(예: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는 재배 장치(700)와 별도로 구현된 재배 시설(20)에 구비되는 환경 장치(440)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부(730)의 구성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통신 회로(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740)는 서버(410) 또는 제1 전자 장치(42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또는, 제1 전자 장치(420))로부터 획득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회로(74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74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카메라(7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조층들 별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카메라(750)를 포함하기 위한 카메라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750)는 재배 장치(700)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정지 영상(예: 이미지)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750)는 작물의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75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750)는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750)는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는 카메라(750) 또는 재배 장치(700)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카메라(750)는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는 카메라(75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750) 또는 재배 장치(7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카메라(750)의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4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관수통(7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관수통(760)을 통하여 재배 장치(700)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공급 이동되고 난 뒤 남는 여분의 양액이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재배 장치(700)에 연결된 펌프(예: 워터 펌프)를 통해 재배 장치(700)의 상부로 이동한 양액이 작물에 공급되고 난 뒤 남아 낙하하는 양액을 관수통(760)을 이용하여 집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서로 다른 재배 장치와 연결되어 재배 장치(700)에서 재배되는 작물과 관련된 자원(예: 관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서로 다른 재배 장치와 관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 구조물(7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연결 구조물(770)을 통해 다양한 재배 장치들과 플렉서블(flexible)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연결 구조물(770)을 통해 서로 다른 재배 장치와 수조층을 연결하고, 각각의 수조층을 통해 제공되는 관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워터펌프(예: 도 9의 워터 펌프(724))를 통해 관수통(760)의 물 및/또는 양액을 끌어올리고, 상부에서 하부 및 일단에서 타단의 지그재그 방식으로 물 및/또는 양액이 서로 다른 재배 장치들 사이에서 연결 구조물(770)을 통해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 구조물(770) 및 연결 구조물(770)을 통해 서로 다른 재배 장치들(예: 재배 장치(700))이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을 공유하는 것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의 센서부 및 전자 부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재배 장치(700)는 프로세서(710), 센서부(730) 및/또는 전자 부품(7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제1 프로세서(711) 및 제2 프로세서(7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720)은 팬(721), 냉각기(722), 광원(723), 워터 펌프(724) 및/또는 양액 공급기(7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730)는, 온도 센서(731), 습도 센서(732), CO2 센서(733), pH센서(734), EC 센서(735) 및/또는 조도 센서(7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열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서(710), 전자 부품(720), 센서부(73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기재된/도시된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에 포함된 프로세서(710), 전자 부품(720) 및/또는 센서부(730)의 연결을 위한 배선은, 프로세서(710)를 통해 출력되는 명령 신호의 전달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배선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자 부품(720) 및/또는 센서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재배 장치(700)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하여 전자 부품(720) 및/또는 센서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획득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 및/또는 센서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710)는 제1 프로세서(711) 및/또는 제2 프로세서(7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와 직접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수립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프로세서(7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재배 장치(7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전자 부품(720), 센서부(730), 카메라(750))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7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프로세서(710)는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재배 장치(70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711)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와 통신 채널을 수립하여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기술되는 “신호”는 “데이터” 또는 “정보”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 및 디지털 데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711)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로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711)는 센서부(730)를 통해 획득되는 관수 환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수 환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는 제1 프로세서(711)를 통해 서버(410)에 업로드(예: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711)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로부터 재배 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711)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로부터 전자 부품(7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712)는 재배 장치(7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712)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재배 장치(7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기본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712)는 전자 부품(720)의 구동을 제어하고, 센서부(730)를 통해 관수 환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카메라(750)를 통해 재배 장치(700)의 작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700)는 통신 연결을 위한 제1 프로세서(711)와 보다 저전력을 소비하는 제2 프로세서(712)를 별도로 구성하여, 재배 장치(700)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프로세서(710)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 장치(700)의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720)은 재배 장치(700)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을 위한 것으로, 전자 부품(720)의 작동에 따라 작물의 환경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720)은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환경의 온도 및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팬(721), 작물이 재배되는 환경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기(722), 작물에 광을 출사하여 작물이 생장하도록 하는 광원(723)(예: LED 조명), 관수통(760)으로부터 획득되는 하부의 양액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워터 펌프(724) 및/또는 재배 장치(700)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공급기(7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720)은 기재된/도시된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720)은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환경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기, 냉각된 CO2를 배출하는 CO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73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732), 내부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 센서(733), 양액의 pH를 측정하는 pH센서(734), 양액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EC 센서(735), 및 재배 장치(700)의 광원(723)을 통해 방출되는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7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는 기재된/도시된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30)는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유량계(flowme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다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부(73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들은 각각의 기능과 용도에 따라 재배 장치(700) 및 재배 장치(700)가 배치된 시설물 내 일 위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센서(734) 및/또는 EC 센서(735)는 재배 장치(700)에 공급되는 양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양액의 이동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pH센서(734) 및/또는 EC 센서(735)는 양액이 집수되는 관수통(76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들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는 각각에 포함된 연결 구조물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재배 장치(700)와 동일 및/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재배 장치(700) 중복 또는 유사한 설명은 이하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각각 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재배 구조물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조층들(1010~11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복수의 재배 구조물(예: 재배 구조물(780))이 안착되는 제1 수조층(1010), 제2 수조층(1020), 제3 수조층(1040) 및/또는 제4 수조층(10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재배 장치(1100)는 복수의 재배 구조물(예: 재배 구조물(780))이 안착되는 제5 수조층(1110), 제6 수조층(1120), 제7 수조층(1140) 및/또는 제8 수조층(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가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4개의 수조층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기재 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도시/기재된 형상 또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수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각각의 재배 장치와 연관된 작물 재배를 위한 자원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재배 장치에 공유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구조물(예: 연결 구조물(7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수조층에 대응하여 연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연결 구조물(1011), 제2 연결 구조물(1021), 제3 연결 구조물(1031) 및/또는 제4 연결 구조물(104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재배 장치(1100)는 수조층에 대응하여 연결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재배 장치(1100)는 복수의 연결 구조물(예: 연결 구조물(7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연결 구조물(1111), 제6 연결 구조물(1221), 제7 연결 구조물(1131) 및/또는 제8 연결 구조물(1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가 각각 제1 내지 제4 연결 구조물들(1011~1041) 및 제5 내지 제8 연결 구조물들(1111~1141)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도시/기재된 형상 또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수조층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관수통(10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재배 장치(1100)는 제2 관수통(1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또는 제2 재배 장치(1100)는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1 관수통(1050) 또는 제2 관수통(1150)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에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는 관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는 각각에 포함된 연결 구조물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수조층들(1010~1140) 중 서로 대응되는 수조층들(예: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수조층)은 각각의 수조층들에 대응되는 연결 구조물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제1 수조층(1010)과 제2 재배 장치(1100)의 제5 수조층(1110)은 각각에 포함된 제1 연결 구조물(1011) 및 제2 연결 구조물(11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1 재배 장치(1000)의 제2 내지 제4 수조층들(1020~1040)은 각각의 수조층들에 대응되는 제2 재배 장치(1100)의 제6 내지 제8 수조층들(1120~114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의 제2 내지 제4 수조층들(1020~1040)은 각각의 수조층들에 대응되는 제2 재배 장치(1100)의 제6 내지 제8 수조층들(1120~1140)은 각각의 수조층들에 대응되는 제2 내지 제4 연결 구조물(1021~1041) 및 제6 내지 제8 연결 구조물(1121~114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에 포함된 복수의 수조층들(1010~1140)이, 복수의 수조층들(1010~114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는 하나의 관수통(예: 제2 관수통(1150))을 통해 관수 자원을 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가 연결됨에 따라, 제2 재배 장치(1100)가 제2 관수통(1150) 으로부터 워터펌프(예: 도 9의 워터 펌프(724))를 통해 끌어올린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은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의 상부에서 하부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그재그 방식으로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가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관수 자원은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 전반에 걸쳐 관수 자원의 흐름(WF)에 따라 흐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에 상부에서 하부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그재그 방식으로 흐르는 관수 자원의 흐름(WF)은 도시/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의 제1 관수통(1050)으로부터 워터펌프를 통해 관수 자원을 끌어올리는 경우, 관수 자원의 흐름(WF)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은 연결 인터페이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은, 관수 자원이 누수 없이 제1 재배 장치(1000) 및 제2 재배 장치(1100)의 작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은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의 재배 장치(예: 재배 장치(7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결 구조물(예: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한된 공간을 가진 판매 시설(10) 또는 재배 시설(20)에 적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재배 장치(예: 재배 장치(7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결 구조물(예: 복수의 연결 구조물들(1011~1141))을 통해 연결되어 한정된 관수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관수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에 포함된 돌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재배 장치(1000)(예: 재배 장치(700))는 복수의 수조층들,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재배 장치(1000)는 복수의 연결관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내지 제3 수조층들(1010~1030), 제1 내지 제3 수조층들(1010~103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관(1102) 및 제2 연결관(1104), 제1 수조층(1010)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1102)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제1 돌출 부분(1101) 및 제2 수조층(1020)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1103)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제2 돌출 부분(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 부분(1101)은 제1 연결관(1102)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돌출 부분(1103)은 제2 연결관(1104)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관(1102)의 일 단에 제1 돌출 부분(1101)이 형성되고, 제2 연결관(1104)의 일 단에 제2 돌출 부분(1103)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수조층(1010) 및 제2 수조층(1020) 각각에 안착되는 재배 베드(1420) 내에 돌출 부분들(1101, 110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의 제1 재배 장치(1000)가 복수의 수조층들(1010~1030)들 중 제1 내지 제3 수조층들(1010~10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재배 장치(1000)는 도시/기재된 형상 또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수조층들 각각에 대응하는 연결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재배 장치(1000)에 포함된 돌출 부분들만을 도시/기재 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재배 장치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재배 장치는 도 11의 돌출 부분과 동일/유사한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수조층(1010)과 제2 수조층(102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관(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2 수조층(1020)과 제3 수조층(103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관(11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수조층들이 서로 연결되었다는 것은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이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구조를 가졌음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워터 펌프(예: 도 7의 워터 펌프(724))를 작동시켜 제1 관수통(1050)에 집수되는 관수 자원이 복수의 수조층들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는 관수 자원이 복수의 수조층들을 돌아 제1 관수통(1050)에 집수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워터 펌프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워터 펌프가 동작함에 따라, 관수 자원이 제1 수조층(1010)에서 제1 연결관(1102)으로, 제1 연결관(1102)에서 제2 수조층(1020)으로, 제2 수조층(1020)에서 제2 연결관(1104)으로, 제2 연결관(1104)에서 제3 수조층(1030)으로 관수 자원 흐름(WF)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연결관(1102)에 대응하여 제1 돌출 부분(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조층(1010)과 연결된 제1 연결관(110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돌출 부분(1101)을 포함할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연결관(1102)과 연결되지 않는 형태로 상기 제1 돌출 부분(1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 부분(1101)의 높이(h1)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수조층(1010)에 흐르는 관수 자원은 제1 돌출 부분(1101)을 통과하여 제1 연결관(1102)을 통해 제2 수조층(10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돌출 부분(1101)은, 제1 수조층(1010)의 바닥으로부터 제1 높이(h1)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조층(1010)에 흐르는 관수 자원 중에서 제1 돌출 부분(1101)의 제1 높이(h1)보다 높은 관수 자원이 제1 연결관(1102)을 통해 제2 수조층(10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조층(10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관수 자원 중 제1 높이(h1) 이상의 관수 자원을 통해 NFT 방식으로 재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수조층(1010)에 흐르는 관수 자원 중 제1 높이(h1) 이상의 관수 자원이 제1 돌출 부분(1101)을 통과하여 제2 수조층(1020)으로 이동함에 따라, 관수 자원 중 제1 높이(h1) 이하의 높이인 제2 높이(h2)의 관수 자원은 제2 수조층(1020)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수조층(1010)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조층(10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제2 높이(h2)의 관수 자원의 적어도 일부에 잠긴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조층(10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제1 높이(h1) 이하(예: 제2 높이(h2))의 관수 자원을 통해 DWC 방식으로 재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수조층(1020)에 포함되며 제2 연결관(1104)에 대응하는 제2 돌출 부분(1103)은, 제1 돌출 부분(1101)과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출 부분들(1101, 1103)의 높이는 도시/기재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복수의 수조층들이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복수의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조층(1010) 및 제2 수조층(1020)을 연결하는 제1 연결관(1102)과 제2 수조층(1020) 및 제3 수조층(1030)을 연결하는 제2 연결관(1103)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배 장치(1000)의 워터 펌프가 동작함에 따라, 관수 자원이 수조층들에 대해 상부에서 하부 및 일단에서 타단의 지그재그 방식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예: 제1 높이(h1))는 작물의 크기 및/또는 재배 구조물(예: 재배 구조물(780))의 홀의 개수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크기는 작물의 종류 및/또는 작물의 재배 단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 재배 장치(1000)는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하나의 재배 장치에서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수조층들(1010, 1020) 별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에 따라서, DWC 방식으로 이용될 관수 자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물의 크기이 큰 경우, 상기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가 비교적 높도록 조절되고, 작물의 크기이 작은 경우, 상기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가 비교적 낮도록 조절되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조층들(1010, 1020) 별로 구현되는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수조층(10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이 제2 수조층(102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수조층(1010)의 돌출 부분(1101)의 높이가 상기 제2 수조층(1020)의 돌출 부분(1103)의 높이 보다 높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예: 제1 높이(h1))는 제1 재배 장치(1000)의 워터 펌프(예: 워터 펌프(724))의 동작/상태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의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예: 제1 높이(h1))는 워터 펌프가 관수 자원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정도, 워터 펌프가 동작하는 시간 등 워터 펌프의 동작 또는 워터 펌프의 상태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의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예: 제1 높이(h1))는 워터 펌프의 동작 및/또는 워터 펌프의 상태에 기반하여 오토 컨트롤 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는 서버(410)로부터 획득되는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예: 제1 높이(h1))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오토 컨트롤 신호는 워터 펌프의 동작 및/또는 워터 펌프의 상태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재배 장치(1000)는 돌출 부분(1101, 1103)을 포함함에 따라, 제1 재배 장치(1000)에 포함된 전자 부품(예: 워터 펌프)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배 장치(1000)는, 제1 재배 장치(1000)에 포함된 워터 펌프의 동작이 중단되어 관수 자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돌출 부분(1101, 1103)의 높이만큼 (예: 제1 높이(h1)) 관수 자원이 보존되어 작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재배 장치(700)(예: 도 4의 재배 장치(400a, 400b), 도 10의 제1 재배 장치(1000), 제2 재배 장치(1100))에 의한 동작은 전자 장치(700)의 프로세서(710)(예: 도 9의 제1 프로세서(711) 또는 제2 프로세서(712))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01에서, 재배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센서부(730)를 통해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값은 작물의 생장을 위한 온도, 습도, 조도, CO2(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같은 생육 환경, 및 수온, EC, pH 및/또는 관수통(760)의 수위를 포함하는 관수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203에서, 재배 장치(70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서버(4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센서부(730)를 이용하여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4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205에서, 재배 장치(700)는 서버(410)로부터 획득된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되는 오토 컨트롤 신호를 서버(4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410)가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은 이하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장치(7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장치가 서버로부터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재배 장치(700)는, 동작 1301에서, 카메라(750)를 통해 재배 장치(700) 내에 재배되는 작물과 관련된 생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카메라(750)를 통해 지정된 주기별로 작물과 관련된 생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작물의 생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의 생장은, 카메라(750)를 통해 획득되는 생장 이미지에 기반하여, 작물의 크기에 비례하는 픽셀값을 측정함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생장 이미지에 기반하여 작물의 생장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은 이하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03에서, 재배 장치(700)는 센서부(730)를 통해 환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환경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센서부(730)를 통해 재배 장치(7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700)는 메모리(미도시)에 작물과 관련된 생장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는 상기 생장 이미지 및 생장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경 값을 매핑(mapping)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05에서, 재배 장치(70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생장 이미지를 서버(1300)(예: 서버(4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07에서, 재배 장치(70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환경 데이터를 서버(13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09에서, 서버(1300)는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0)는 서버의 제1 프로그램(예: 도 21의 제1 프로그램(2117))을 통해 생장 이미지 또는 환경 데이터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700)의 전자 부품(72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11에서, 서버(130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전자 부품(720)으로 오토 컨트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313에서, 재배 장치(700)는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장치(700)의 프로세서(710)는 통신 회로(740)를 통해 서버(1300)로부터 전자 부품(720)을 제어하기 위한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고,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1300)로부터 획득되는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부품(720)이 제어됨에 따라, 재배 장치(700) 내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1300)가 전자 부품(720)을 제어하는 동작은 도 41 내지 도 47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의 운송 방법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시설(20)로부터 운송 수단(30)을 통해 판매 시설(10)로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구조물(1400)이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재배 구조물(1400)(예: 재배 커버(1410) 및 재배 베드(1420))은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b), 재배 시설(20) 내의 재배 장치(400a), 및 운송 수단(30)의 거치 장치(405) 상에 동일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배 시설(20) 내의 재배 장치(400a)에서 재배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물이, 운송 수단(30)을 통해 운송되어, 판매 시설(10)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재배 구조물(1400)의 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의 운송 방법의 동작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작물의 운송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의 작물의 운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물의 운송 방법은, 재배 시설(20) 내의 적어도 하나의 거치 구조물(미도시)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재배 장치들(400a) 상에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1400)이 거치되도록 하는, 150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후술되는 생육 계획 모듈(2117c))는 작업자(U1)의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복수의 작물들 별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육 계획 정보는, 후술하겠으나, 작업자(U1)가 특정 작물을 특정 재배 장치(400)에서 생육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U1)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20) 내의 제1 재배 장치(400a) 상에 작물이 삽입된 재배 구조물(1400)을 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물의 운송 방법은,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1400)(예: 재배 커버(1410), 및 재배 베드(1420)) 중 적어도 일부가, 운송 수단(30)의 동일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기구물(예: 거치 장치(405)) 상에 거치되도록 하는, 150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후술되는 최적 분배 모듈(2117e))는 작업자(U1)의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복수의 작물들 별 분배 계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배 계획 정보는, 후술하겠으나, 작업자(U1)가 특정 작물을 특정 판매 시설로 작물을 운송하게 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U1)는 상기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20) 내의 제1 재배 장치(400a) 상에서 재배 구조물(1400)을 탈거하여 운송 수단(30)의 거치 장치(405)의 거치 구조물 상에 재배 구조물(1400)을 거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운송 수단(30) 내에는 환기를 위한 환풍기와 팬, 대기 환경(예: 습도, CO2)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예: 난방 장치, 냉방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 및/또는 구조물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물의 운송 방법은, 상기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1400) 중 적어도 일부가, 판매 시설(10)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재배 장치들(400b) 상에 거치되도록 하는, 150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시설(10) 내의 판매자는, 운송 수단(30)을 통해 운송된 재배 구조물(1400)을, 판매 시설(10) 내의 제2 재배 장치(400b) 상으로 옮겨 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예들과 같이, 이에 따라, 판매 시설(10) 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작물들이 생육 및/또는 생산되어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구조물(1400)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구조물(14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구조물(1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7을 참조하면, 재배 구조물(1400)은 재배 커버(1410), 및 재배 베드(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재배 커버(1410)는 상기 재배 베드(142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커버(1410)는 복수의 홀들(1710)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해, 관수 자원을 흡수하기 위한 작물의 부분(예: 뿌리)이 삽입되어 재배 베드(1420) 내부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재배 커버들(1410a, 1410b, 1410c, 1410d) 중 특정 재배 커버에는, 관수 자원(예: 물, 양액)의 공유를 위한 구조물(예: 관)의 삽입을 위한 홀(17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 커버(1410)는 복수의 재배 커버들(1410a, 1410b, 1410c, 1410d)을 포함할 수 있으나, 기재된 및/또는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단일의 개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커버(1410)는 상기 재배 베드에 안착되기 위한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배 커버(1410)의 플레이트의 하면 방향을 돌출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부위가 재배 베드(14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재배 커버(1410)가 상기 재배 베드(14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재배 베드(1420)는, 상부 면이 개방된 복수의 측면들(1420a, 1420b, 1420c, 1420d)을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1420)의 상기 복수의 측면들(1420a, 1420b, 1420c, 1420d)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관수 자원(예: 물, 양액 등)이 제공되며, 재배 베드(14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홀(1820)을 통해서 상기 관수 자원이 재배 장치(400)의 다른 층에 구비되는 재배 베드(142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1820)은, 다른 층에 구비되는 재배 베드(1420)와 연결되는 관(18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배 커버(1410)의 작물의 크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의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재배 커버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작물의 크기는, 작물의 생장 단계 및/또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의 생장 단계가 수확에 가까운 단계일수록 작물의 크기가 크고, 파종에 가까운 단계일수록 작물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작물의 종류가 다른 작물의 종류와 비교하여 생장 크기가 큰 종류인 경우, 동일한 생장 단계이더라도 작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반대로 생장 크기가 작은 종류인 경우 작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작물의 크기(또는, 재식 체적)에 대응하도록, 재배 구조물(1400)의 물리적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a) 내지 (c)를 참조하면, 재배 구조물(1400)는, 상기 작물의 크기 별로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커버(1410)는, 재배되는(또는 대응하는) 작물의 크기 (c)에 따라서 설계되는, 홀(1710a, 1710b, 1710c)의 개수(n), 재배 커버(1410)의 면적(s)(또는 홀(1710a, 1710b, 1710c) 간의 거리), 또는 홀(1710a, 1710b, 1710c)의 깊이(h)(또는, 재배 베드(1420)의 측면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물의 크기가 클수록, 홀(1710)의 개수가 작고, 및/또는 재배 커버(1410)의 면적이 크고, 홀(1710)의 깊이가 커지도록, 상기 재배 구조물(1400)(예: 재배 커버(1410), 재배 베드(1420))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 각각은 서로 다른 작물의 크기, 작물의 생장 단계, 및/또는 작물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재배 면적 포화도가 특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물리적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도 20의 (a)를 참조하면, n은 재배 커버(1410)의 홀(1710)의 개수, c는 재배 커버(1410)에 대응하는 작물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작물 크기 값), s는 재배 커버(1410)의 면적(w·l)을 나타내는 값(재배 커버 면적 값)임.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작물 크기 값(c) 및 상기 재배 커버 면적 값(s)은, 이차원 영역에서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물 크기 값(c) 및 상기 재배 커버 면적 값(s)은, 재배 커버(1410)로부터 특정 높이(h)에 위치된 카메라(2001)(예: 카메라(7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픽셀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높이(h)는 300mm 이상이고, 310m 이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작물 크기 값(c)은 카메라(20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특정 홀에 재식된 특정 작물의 픽셀의 개수(예: 특정 작물의 경계선 내부의 픽셀 개수) 및/또는 카메라(20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내의 모든 작물들의 픽셀의 개수를 작물의 수 만큼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 일 예로, 상기 재배 커버 면적 값(s)은 카메라(20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재배 커버(1410)에 대응하는 픽셀 개수일 수 있다.
도 20의 (b)는,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 별 재배 면적 포화도(nc/s)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물의 크기의 값(c1, c2, c3)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의 (b)을 참조하면, 복수의 종류의 재배 커버들(1900a, 1900b, 1900c)의 종류 별 상기 재배 면적 포화도(nc/s)의 상한 값은 1.0이고, 하한 값은 0.5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상기 상한 값은 0.95이고, 하한 값은 0.6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상한 값은 0.9이고, 하한 값은 0.78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작물 제공 시스템(100)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기능, 프로그램, 및/또는 동작의 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 제1 전자 장치(420)(예: 재배 시설(20) 내의 작업자의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 제1 전자 장치(420)의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통신 회로(2111), 프로세서(2113), 및 메모리(2115)(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제1 전자 장치(420)는, 통신 회로(2121), 디스플레이(2123), 프로세서(2125), 및 메모리(2127)(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재된 및/또는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410), 및 제1 전자 장치(420)는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2111, 2121)는, 전자 장치들(예: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2111, 2121)는 프로세서(2113, 2125)(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111, 2121)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들(예: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을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들(예: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113, 2125)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113, 2125)에 연결된 전자 장치들(예: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13, 2125)의 동작의 예에 대해서는 더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113, 2125)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13, 2125)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 (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2115, 2127)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5, 2127) 각각은 실행 가능한(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컴퓨터 코드, 모듈, API, 함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115, 2127)에 저장된 각각의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의 실행에 기반하여, 후술하는 서버(410), 및 제1 전자 장치(420)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들(예: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의 동작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전술한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의 실행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서(2113, 2125)에 의한 제어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로그램(2117)은, 실행되는 경우, 서버(410)의 동작을 유발하므로, 백-엔드(back-end) 프로그램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로그램(2129)은, 실행되는 경우, 작업자의 제1 전자 장치(420)의 동작을 유발하므로, 프론트-엔드(front-end) 프로그램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 각각은 서버(410) 및/또는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410), 제2 전자 장치(420))에 의해 실행 가능한(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복수의 프로그램들(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컴퓨터 코드, 모듈, API, 함수)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들(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또는 모듈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프로그램(2129)의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프로그램(2129)의 실행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프로그램(2117)은, 수요 예측 모듈(2117a), 제품 별 작물 정보(2117b)(또는 작물 정보 데이터베이스), 생육 계획 모듈(2117c), 생육 모니터링 모듈(2117d), 최적 분배 모듈(2117e), 생장 측정 모듈(2117f), 환경 정보 수집 모듈(2117g), 에러 검출 모듈(2117h), 룰 정보(2117i), 빅 데이터(2117j) 및 머신 러닝 메커니즘(2117k)를 포함하고, 제2 프로그램(2129)은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 최적 분배 표시 모듈(2129b),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f), 에러 정보 표시 모듈(2129h), 및 KPI 표시 모듈(2129i)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생육 정보 입력 모듈(2129c) 및 작업 정보 입력 모듈(2129d)을 포함하는 입력 모듈, 및 매뉴얼 제어 모듈(2129f)을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요 예측 모듈(2117a)은, 특정 재배 시설(20)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 시설(10) 별 작물 판매량 정보 및/또는 제품 판매량 정보와 제품 별 작물 정보(2117b)에 기반하여, 지정된 기간(예: 현재 시점으로부터 n주 뒤의 기간)의 복수의 작물들 별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기간은, 5주 뒤의 기간일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품 별 작물 정보(2129b)는, 제품(예: 샐러드, 음료)에 포함되는 작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요량과 상기 작물의 양은, 상기 작물의 양은 무게이거나, 및/또는 수확 단계의 작물을 기준으로 한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육 계획 모듈(2117c)은, 예측된 복수의 작물들 별 수요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20)에서의 복수의 작물들 별 생육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육 계획 정보는, 복수의 작물들 별로 재배될 양, 재배될 위치와 같은 재배를 위한 작업을 지시(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은, 생육 계획 정보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작업을 지시(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작물 재배를 위한 작업(예: 특정 재배 장치 상에 작물을 파종, 이식, 정식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육 정보 입력 모듈(2129c)은, 복수의 작물들 별 실제 생육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실제 생육 정보를 서버(410)(예: 생육 모니터링 모듈(2117d))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육 모니터링 모듈(2117d)은, 특정 재배 시설(20)에서 수확되는 복수의 작물들 별 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생육 모니터링 모듈은, 제2 프로그램의 생육 정보 입력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적 분배 모듈(2117e)은, 특정 재배 시설(20)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별로 운송될 최적의 복수의 작물들 별 양을 나타내는 분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분배 모듈(2117e)은, 재배 시설(20)에서 실제로 생육 완료(예: 수확)된 복수의 작물들의 양을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각각의 복수의 작물들 별 수요량에 기반하여 판매 시설들 별로 최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적 분배 표시 모듈(2129b)은, 최적 분배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분배 정보에 기반하여, 분배를 지시(또는 가이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작물 분배를 위한 작업(예: 특정 판매 시설(10)로 운송될 양만큼의 작물을 운송 수단에 적재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장 측정 모듈(2117f)은, 재배 시설(20) 내의 재배 장치(400)에서 생육되는 작물의 생장 정도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생장과 연관된 정보는, 작물의 생장 크기, 생장 속도, 및/또는 생장 품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은, 도 24를 참조하면, 생장 측정 모듈로부터 획득되는 생장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2400d)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장 관리 표시 모듈은, 작물이 정상적으로 생장 중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비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정보 수집 모듈(2117g)은, 재배 장치(400) 및/또는 환경 장치(440)로부터 생장을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환경 정보 수집 모듈(2117g)로부터 수집되는 생장을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생장을 위한 환경은, 온도, 습도, 조도, CO2의 농도와 같은 생육 환경, 및 수온, EC, Ph, 수위와 같은 관수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생육 환경은 환경 장치(440)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관수 환경은 재배 장치(400)에 구비된 센서 및/또는 검측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3을 참조하면,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재배 시설(20) 내의 환경들 별 평균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평균 값을 통해, 작업자는 재배 시설(20) 내의 전반적인 이상 상황을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평균 값을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2129)의 표시 모드의 종류는, 전체 뷰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도 24를 참조하면,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재배 시설(20) 내의 복수의 재배 장치들 중 특정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환경들 별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도 24에 도시된 드랍 다운 타입(2400a), 및/또는 맵 타입(2400b)과 같이, 복수의 재배 장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표시하고,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특정 재배 장치(4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선택된 특정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재배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값을 포함하는 제1 영역(2401c) 및 환경 제어(예: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전자 부품, 및/또는 환경 장치(440)의 제어)를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예: 토글 버튼)를 포함하는 제2 영역(2403c)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2400c)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예: 토글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전자 부품, 및/또는 환경 장치(440)의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서버(410)로 전송하며, 서버(4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전자 부품, 및/또는 환경 장치(44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전자 장치(420)와 재배 장치(400) 및/또는 환경 장치(450)가 직접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420)가 재배 장치(400) 및/또는 환경 장치(450)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영역(2401c)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과 제2 영역(2403c)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행 화면(2400c) 상에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2 프로그램(2129)(예: 환경 정보 표시 모듈(2129g))은, 전술한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에 의해 제공되는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2400d)으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실행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러 검출 모듈(2117h)은, 생장을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와 룰 정보로서 기-저장된 환경의 정상 범위 값과 비교한 것에 기반하여, 특정 환경 요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특정 환경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팬, 펌프, LED 등)을 오토 제어할 수 있다. 또, 에러 검출 모듈(2117h)은, 상기 오토 제어 이후, 계속해서 특정 환경 요소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에러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머신러닝 메커니즘은, 빅-데이터에 축적된 생장을 위한 환경에 대한 정보와 작물의 생장 정도와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머신러닝을 수행함으로써, 룰 정보에 기-저장된 환경(예: 생육 환경, 관수 환경) 별 정상 범위의 값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 메커니즘은, 빅-데이터에 축적된 정보 뿐만 아니라, 실시간 작물 별 수요량(또는 소비량)에 기반하여 환경 별 정상 범위 값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러 정보 표시 모듈(2129h)은, 생성된 에러 알람을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KPI 표시 모듈(2129i)은, 재배 시설(20)의 작물 생육과 연관된 지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 정보 입력 모듈(2129d)은, 작업자들 간에 재배 시설(20) 내에서 공유를 위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정보는, 제2 프로그램(2129)에 의해 제공되는 대시 보드(미도시)를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매뉴얼 제어 모듈(2129f)은, 재배 장치(400)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로그램(2129)(예: 매뉴얼 제어 모듈(2129f))은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값을 포함하는 제1 영역(2401c) 및 환경 제어를 위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2 영역(2403c)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2400c)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의 활성화에 기반하여, 제2 프로그램(2129)는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특정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예: LED, 펌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및/또는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프로그램(2117)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전자 장치(420)에 구현되고, 제2 프로그램(2129)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410)에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서버(410)의 적어도 일부 동작이 제1 전자 장치(420)에 의해 수행되거나,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의 적어도 일부 동작이 서버(4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5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5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도 25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10)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기반하여 재배 시설(20)의 생산량 및 분배량을 계획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계획 정보 및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501에서, 복수의 판매 시설들과 연관된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또는 수요량)과 연관된 소비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비량은 수요량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는, 특정 재배 시설(2610) 및 특정 재배 시설(2610)과 연관된 복수의 판매 시설들(2620a, 2620b, 2620c)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는, 복수의 판매 시설들(2620a, 2620b, 2620c)(예: 판매 장치(450)) 각각으로부터 지정된 기간 동안의 복수의 작물들 별 판매량 및/또는 복수의 제품들 별 판매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기간 동안(예: n 주 뒤, n=1, 2, 3, 4, 5, …)의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는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별 작물 정보 및 복수의 제품들 별 판매량에 기반하여,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품 별 작물 정보는, 제품을 구성하는 작물들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제품의 작물들 별 양에 판매량을 곱하여, 작물의 실제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410)는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대한 제2 정보를 복수의 작물들 별 판매량과 합하여, 결과적으로 복수의 판매 시설들(2620a, 2620b, 2620c) 별로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소비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로부터 작물이 수확되어 생산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10)는, 상기 획득된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서 식별된 특정 재배 시설(2610)에서 복수의 작물들 별 생육량을 차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505에서, 소비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정된 기간 동안의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각각의 상기 복수의 작물들 별 예측 소비량과 연관된 소비 예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는, 획득된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에 기반하여, 지수 평활법(exponential smoothing method), 인과형법-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과 같은 수요 예측 모델에 기반하여, 지정된 기간(예: 5주 뒤의 주간)의 복수의 판매 시설들(2620a, 2620b, 2620c) 별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을 예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예: 생육 계획 모듈(2117c))는, 동작 2505에서, 소비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작물들 별 재배와 연관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생육 계획 정보를 획득하고,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육 계획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작물의 종류, 작물이 재배될 위치(예: 재배 장치(400)의 식별 정보, 및/또는 재배 장치(400)의 층수), 작물의 재배 단계(예: 파종, 이식, 정식)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 또는 작물의 수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재재배 장치 층층수 재배 단계 별 일자 판매 일자 작물
종류
수량 상태
파종 이식 정식 예측 실제
A 1층 7/21 7/30 8/16 9/10 9/10 카이피라 200
2층 7/21 7/30 8/16 9/10 9/10 카이피라 200
-이하 생략-
후술하겠으나, 상기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작업자의 제2 전자 장치(430)가 특정 작물에 대핸 재배 작업을 지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재배 시설(20) 내에서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507에서,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한 것에 기반하여, 실제 생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생육 계획 모듈(2117c)는 상기 생육 계획 정보를 제2 전자 장치(430)로 전송하고, 상기 생육 계획 정보를 전송한 것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430)(예: 재배 계획 표시 모듈(2117c))로 하여금 생육 계획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재배 시설(20) 내에서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전자 장치(430)(예: 재배 정보 입력 모듈(2129c))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작업자로부터 특정 날짜에 실제 수확되어 운송된 작물에 대한 정보(예: 키이피라 208개)를 포함하는 실제 생육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실제 생육 정보를 서버(410)(예: 생육 모니터링 모듈(2127d))로 전송할 수 있다.
재배 시설 종류 예상 실제
특정 날짜 오늘 특정 날짜 오늘
A 카이피라 320 208 208 96
-이하 생략-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509에서, 상기 소비 예측 데이터 및 상기 실제 생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시설들 각각과 연관된 최적 분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최적 분배 모듈(2127e))는, 실제 생육 정보와 전술한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별 작물 별 수요량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실제 수확된 작물의 양을 판매 시설들(10) 별로 최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재배 시설(20)로부터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별로 특정 날짜에 제공될 작물의 제공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410)는 상기 분배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특정 작물 별 실제 생육 완료량(예: 수확량)을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별 특정 작물에 대한 전체 수요량에 대한 특정 판매 시설의 특정 작물에 대한 수요량의 비를 반영하여, 특정 판매 시설의 특정 작물에 대한 제공량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분배 정보를 제1 전자 장치(420)(예: 최적 분배 표시 모듈(2117e))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장치(420)(예: 최적 분배 표시 모듈(2117e))가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별로 분배될 작물들 별 양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표시된 정보에 기반하여, 수확된 작물들이 표시된 양만큼 복수의 판매 시설들(10) 각각으로 운송되도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8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8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9를 참조하여, 도 28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2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801에서, 복수의 판매 시설들 각각의 제품 판매량 데이터 및 작물들 별 제1 판매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동작 2803에서, 기-저장된 제품 별 작물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품 판매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물들 별 제2 판매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410)의 동작 2801은, 전술한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의 동작 2501의 적어도 일부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 시설(10)에서는, 작물 자체로 판매되거나, 작물이 제품으로 가공되어 판매될 수 있으므로, 서버(410)는 작물 자체의 판매량 뿐만 아니라, 제품으로 구성된 작물의 판매량 또한 계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3]과 같이, 제품 별 작물 정보(2117b)는, 판매 시설(10)에서 판매되는 제품 별로 포함되는 작물의 종류 및 작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품 작물 종류 무게
제1 샐러드 바질 제1 무게
카이파라 제2 무게
- 이하 생략 -
서버(410)(예: 수요 예측 모듈(2117a))는, 상기 제품 별 작물 정보(2117b) 중 판매된 제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작물들 별 판매량(예: 판매된 무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품 별 작물 정보(2117b)는, 작물의 무게가 아닌, 작물 1개를 기준으로 제품을 구성하는 작물의 상대적인 수치(예: 2, 0.8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2805에서, 복수의 판매 시설들 각각의 작물들 별 생산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동작 2807에서, 상기 제1 판매량 데이터, 상기 제2 판매량 데이터, 및 상기 생산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비 예측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의 (a)를 참조하면, 재배 시설(20)과 판매 시설(10) 모두에서 작물이 재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410)는, 재배 시설(20)에서 재배될 작물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소비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특정 기간 동안의 복수의 작물들 별 소비량(또는 판매량)에서 상기 판매 시설(10)에서 특정 기간 동안 생육되는 복수의 작물들 별 양을 차감하고, 생육양이 차감된 소비량에 기반하여 소비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도 29의 (b)와 같이 재배 시설(20)에서만 작물의 생육이 수행되는 경우(즉, 판매 시설(10)에서 생육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410)는 상기 판매 시설(10)에서 특정 기간 동안 생육되는 복수의 작물들 별 양을 차감하는 동작을 삼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0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0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1을 참조하여, 도 3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판매 시설(10)과 재배 시설(20)에서의 작물의 생육과 생산의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3001에서, 운송 계획 일자 정보 및 생육 완료 일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하고, 동작 3003에서, 상기 생육 계획 정보를 제공한 것에 기반하여, 실제 생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 시설(20)에서 생육 단계의 일부가 수행되고, 나머지 생육 단계가 판매 시설(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10)는 전술한 [표 1]의 생육 계획 정보에 운송 계획 일자 정보 및 생육 완료 일자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제1 전자 장치(4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상기 생육 계획 정보에 포함된, 운송 계획 일자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특정 일자에 생육 단계의 일부가 완료된 작물들을 판매 시설(10)로 운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판매 시설(10)의 판매자의 제1 전자 장치(420)(또는 판매 장치(450))는 상기 생육 계획 정보에 포함된, 생육 완료 일자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특정 일자에 생육 단계의 나머지가 완료되어 작물들을 수확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계획 정보를 표시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계획 정보를 표시하고, 최적 분배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3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도 32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제1 전자 장치(420)에 의해 표시되는 생육 계획 정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제1 전자 장치(420)에 의해 표시되는 최적 분배 정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동작 3201에서 생육 계획 정보를 획득하고, 동작 3203에서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작업을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시간(예: 날짜), 재배 장치의 식별 정보, 층수, 재배 단계, 작물 종류, 수량, 또는 인력(작업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배 시설(20)의 작업자(U1)는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특정 날짜(예: 작업이 수행될 날짜)에, 특정 재배 장치의 층에, 수행되어야 할 특정 작물에 대한 특정 재배 단계의 작업을 인식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짜를 기준으로 수행될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작업이 필요한 재배 장치의 식별 정보, 층수, 재배 단계, 작물 종류, 수량, 또는 인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 장치를 기준으로 수행될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특정 재배 장치를 기준으로, 작업이 필요한 날짜, 층수, 재배 단계, 작물 종류, 수량, 또는 인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작업자(U1)를 기준으로 수행될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특정 작업자를 기준으로, 작업이 필요한 재배 장치의 식별 정보, 층수, 재배 단계, 작물 종류, 수량, 또는 날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육 계획 표시 모듈(2129a))는, 작물 종류를 기준으로, 작업이 필요한 재배 장치, 작업이 필요한 날짜, 층수, 재배 단계, 작물 종류, 수량, 및 인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205에서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작업을 위한 정보를 표시에 기반하여 실제 생육 정보를 제공하고, 동작 3207에서 특정 일자에 대한 상기 복수의 판매 시설들 별로의 상기 복수의 작물들 별 제공량에 대한 최적 분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420)(예: 최적 분배 표시 모듈(2129b))는, 특정 날짜, 작물의 종류, 판매 시설의 식별 정보, 제공(또는 운송)될 수량, 또는 인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의 작물의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이하, 생장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5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5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6을 참조하여, 도 35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501에서, 생육 계획 정보 또는 작물에 대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생장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을 참조하면,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는 생육 계획 모듈(2117c)의 동작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생육 계획 정보 또는 재배 장치(4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장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생장 관리 정보는, 생장 크기, 생장 속도, 또는 생장 품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는, 생육 계획 정보의 재배 단계의 시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재배 단계를 식별하고, 식별된 재배 단계에 대응하는 크기를 생장 크기로서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는,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작물에 대응하는 픽셀 개수에 기반하여 생장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는, 식별된 생장 크기의 시간 당 변화량을 계산함에 기반하여 생장 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는, 이미지로부터 식별되는 작물에 대응하는 픽셀의 값에 기반하여 작물의 품질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 및/또는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503에서, 생장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생장 측정 모듈(2117f))은 획득된 생장 관리 정보를,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장치(420)가 생장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장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예: 재배 장치의 특정 층), 작물의 종류, 수량, 생장 크기에 대한 정보, 재배 단계 별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재배 단계에 대응하는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예: 생장 퍼센트) 또는 수확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작물의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이하, 생장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7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7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8을 참조하여, 도 37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701에서, 복수의 재배 장치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동작 3703에서,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 중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420)는, 도 2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재배 장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드랍 다운 타입의 실행 화면(2400a) 및/또는 맵 타입의 실행 화면(4200b)을 표시하고,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 중 선택되는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재배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705에서,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특정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특정 작물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상기 특정 작물의 현재 생장 정도를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상기 특정 작물에 대한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상기 특정 작물의 예측 생장 정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420)는, 식별된 재배 장치(4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작물의 재배 크기를 제1 정보로서 획득하고,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생장 단계에 대응하는 재배 크기를 제2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정보는 현재 실제 작물의 생장 크기를 나타내고, 제2 정보는 현재 날짜에서 예상되는 작물의 생장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707에서,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의 비교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작물의 생장 정도 또는 수확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420)는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생장 단계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예측되는 생장 단계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3803) 표시할 수 있으나,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예측한 생장 정도와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환경 값을 매뉴얼 제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실시간 소비량 정보에 기반하여 작물의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이하, 생장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3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0을 참조하여, 도 3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생육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901에서, 복수의 재배 장치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동작 3903에서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 중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20)의 동작 3901 내지 3903은, 전술한 제1 전자 장치(420)의 3701 동작 내지 3703 동작과 같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420)는, 동작 3905에서, 상기 특정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특정 작물과 연관된 생장 관리 정보를 표시하고, 동작 3907에서, 상기 특정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특정 작물에 대한 소비량의 실시간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재배 장치(400)의 환경과 연관된 전자 부품을 제어함에 기반하여, 상기 생장 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겠으나, 서버(410)는, 작물의 실시간 소비량의 변화에 기반하여, 작물의 재배를 위한 환경(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의 값의 최적 범위(예: 최적 상한 값 이하, 그리고 최적 하한 값 이상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작물의 소비량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최적 범위가 변경되는 경우, 서버(410)는 특정 환경 값이 상기 최적 범위에 포함되도록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팬, 펌프, LED 등)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의 제어에 기반하여 작물의 재배를 위한 환경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작물의 생장 속도, 또는 수확일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생장 관리 정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작물의 생장 속도의 변경 또는 상기 수확일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생장 관리 정보를 갱신하여 제1 전자 장치(420)로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갱신된 생장 관리 정보는, 갱신된 수확일에 대한 정보, 상기 갱신된 수확일에 기반하여 갱신되는 현재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 또는 갱신된 재배 단계의 시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420)(예: 생장 관리 표시 모듈(2129e))는, 상기 갱신된 생장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변화 전 소비량에 대응하는 제1 생장 정도(4001a) 및 제1 수확일(4001b)을 포함하는 제1 실행 화면(4001) 대신에, 변화 후 소비량에 대응하는 제2 생장 정도(4003a) 및 제2 수확일(4003b)을 제2 실행 화면(4003)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410)는, 상기 갱신된 생장 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아래의 [표 4]와 같이 환경들 별 값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생장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미리-저장된 정보와 환경들 별 값의 변화량을 비교한 것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갱신을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장 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수확일, 생장 속도, 현재 생장 단계 등)를 갱신할 수 있다.
작물 종류 환경 값 변경 정도 갱신 정보
환경 종류 변경 정도 생장 관리 정보 변경 정도
이자벨 LED(또는 lux) -1000 수확일 +0.5일
+1000 수확일 -0.5일
- 이하 생략 -
상기 [표 4]에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작물 종류, 환경 값 변경 정도, 및/또는 갱신 정보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예를 들어, 서버(410)는 미리-저장된 정보 중 특정 작물 종류에 대해서 환경 값 변경에 대응하는 갱신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갱신 정보에 기반하여 생장 관리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수확일)를 갱신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서버(410)는, 상기 갱신된 생장 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생장 관리 정보의 갱신을 위한 인공 지능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공 지능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갱신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수확일, 생장 속도, 현재 생장 단계 등)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작물 종류 또는 환경 값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데이터로 하고, 상기 갱신 정보를 출력 데이터로 하여,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인공 지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인공 지능 모델에 상기 작물 종류 또는 환경 값 변경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함에 기반하여, 갱신되는 갱신 정보에 기반하여 생장 관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기-저장된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오토 컨트롤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기-저장된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1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1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도 41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룰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101에서,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예: 에러 검출 모듈(2117h))은, 재배 시설(20)에 구비된 복수의 재배 장치들(400)(예: 통신 회로)로부터 재배 장치(400)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획득된 관수 환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환경 장치(440)로부터 생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103에서, 획득된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한 것에 기반하여, 특정 재배 장치의 특정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재배 시설(20)의 작업자가 제1 전자 장치(42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은 매뉴얼 컨트롤로 정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410)에 의해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전자 부품이 제어되는 동작은, 작업자의 작업 없이 수행된다는 측면에서, 오토 컨트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10)는, 미리 저장된 룰-정보와 수신된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예: 팬, 모터, LED)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복수의 환경들 별로 상한 값 및/또는 하한 값과 같은 조건과 그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룰-정보로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서버(410)는, 룰-정보와 상기 수신된 환경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또는 불만족)(예: 상기 상한 값 보다 크거나 및/또는 상기 하한 값 보다 작은 것)하는 환경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환경 값이 상기 조건을 불만족(또는 만족)하는 값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10)는,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별로 구현되는 복수의 룰-정보(4301)와 수신된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예: 팬, 모터, LED)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룰-정보(4301)는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물의 조합은, 각 층 별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를 의미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 별로 작물이 동일(예: 바질로 동일)하거나, 및/또는 각 층 별로 작물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예: 바질 및 카이파라). 서버(410)는 상기 재배 장치(400)로부터 환경에 대한 정보와 함께 재배 장치(4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410)에 미리 저장된 정보(예: 생육 계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복수의 룰-정보(4301) 중 식별된 작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룰-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수요량과 생산량에 기반하여, 복수의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식별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4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복수의 환경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최적 값을 식별(또는 설정)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4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4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5를 참조하여, 도 44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함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식별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401에서, 수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동작 4403에서,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복수의 판매 시설들(10)의 작물들 별 수요량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판매 시설들(10)과 연관된 특정 재배 시설(20)의 작물들 별 생산량(예: 생육 완료량에 대한 정보(예: 실제 생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서버(410)의 복수의 판매 시설들(10)의 작물들 별 수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작물들 별 생육 완료량에 대한 정보(예: 실제 생육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405에서,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함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식별하고, 동작 4407에서, 식별된 최적 값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도 45의 4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환경들 별 함수(4532a, 4532b, 4532c, 4532d, 4532e)를 식별하고, 수요량과 생산량(예: 생육 완료량)의 차이(demand-production)에 대한 함수(4531)에 기반하여 복수의 환경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최적 값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환경들 별 함수(4532a, 4532b, 4532c, 4532d, 4532e)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생장 범위 내에 존재하면서,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함수(4531)가 최소가 되도록 설정(예: 생장 범위의 특정 부분(op) 과 교차)되는 경우, 결정되는 환경의 값이 최적의 환경 값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함수(4531)가 최소가 되는 경우, 상기 함수(4531)와 복수의 환경들 별 함수(4532a, 4532b, 4532c, 4532d, 4532e)의 교차되는 값이 최적의 값이 되며, 상기 최적의 값은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를 0(또는 0에 가까운 값)이 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서버(410)는, 도 45의 4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예: 생육 환경, 관수 환경)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환경에 대응하는 생장 정도를 나타내는 생장 관리 정보를 빅-데이터로서 축적하고, 상기 축적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머신 러닝을 수행함에 기반하여 상기 최적의 값을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6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머신러닝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룰 정보를 갱신(예: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4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머신러닝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룰 정보를 갱신(예: 환경들 별 최적 값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장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6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6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7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도 46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4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생장 계수의 식별 및 그에 기반한 복수의 환경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최적 값을 설정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최적 값을 설정하기 위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601에서, 특정 작물의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생장 정도와 연관된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정보(예: 생장 관리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정보가 획득된 시점과 연관된 복수의 재배 환경들(예: 생육 환경, 관수 환경)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예: 빅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603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러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생장 정도와 상기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생장 계수(α)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10)(예: 생장 계수 획득 모듈(4701))는 축적된 제1 정보를 출력 데이터로 하고, 상기 제1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머신러닝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생장 계수(α)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생장 계수(α)는, 상기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정보와 특정 환경의 값에 대한 제2 정보와의 연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서버(410)는, 복수의 환경들 별로, 상기 복수의 생장 계수들(α)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605에서, 실시간으로, 특정 재배 장치의 상기 특정 작물에 대한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4607에서, 상기 소비량에 기반하여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최적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물 제공 시스템(100)은, 판매 시설(10)에서의 작물의 수요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작물이 생육 되도록 함으로써, 수요량과 생산량의 차이에 의해 폐기되는 작물의 양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8의 (a)는, 시간에 따라서 작물의 생산량(예: 생육 완료량)과 작물의 소비량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하는, 재배 환경에 대한 값(X)의 최적 값으로서 상한 값을 계산하는 서버(410)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8의 (a)를 참조하면, 서버(410)(예: 최적화 모듈(4703))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작물에 대한 소비량의 정보에 기반하여, 지정된 기간(예: n 주 뒤)의 목표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서버(410)(예: 최적화 모듈(4703))는, 상기 목표 생산량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지정된 기간(예: n 주 뒤)의 목표 생산량에 대응하는 생장 정보(예: 크기, 생장 속도)를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최적 값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즉,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최적 값은 작물이 지정된 기간 동안 목표 생산량 만큼 생육(예: 수확) 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예: 최적화 모듈(4703))는, 특정 단위로 상기 목표 생산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월, 주, 일 단위로 상기 목표 생산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주 단위로, 현재 주로부터 n주뒤의 목표 생산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서버(410)는, 목표 생산량을 계산하는 단위 보다 작은 단위의 소비량(예: 단위가 주인 경우, 현재 주 내의 일간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기간의 목표 생산량을 갱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609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장 파라미터 및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최적 값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제2 최적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8의 (a)를 참조하면, 서버(410)(예: 최적화 모듈(4703))는 계산된 생장 계수(α)에 기반하여, 생장 정도에 대한 제1 최적 값을 출력 값(Y)가 되는 경우 특정 재배 환경의 값(X)에 대한 값을 입력 값(X)에 대한 제2 최적 값을 식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최적 값은 상한 값이 될 수 있다. 서버(410)는, 전술한 복수의 생장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복수의 재배 환경들 별로 상기 제2 최적 값을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기재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예: 최적화 모듈(4703))는 제2 최적 값으로서 작물의 생산 품질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복수의 재배 환경들 별 최적 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8의 (b)는, 작물의 품질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재배 환경에 대한 값(X)의 최적 값으로서 하한 값을 계산하는 서버(410)의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8을 참조하면, 서버(410)는, 최적 품질에 대응하는 생장 정도에 대한 제3 최적 값을 계산하고, 복수의 재배 환경들 별 값(X)에 대한 값을 입력 값(X)에 대한 제4 최적 값을 식별 할 수 있다. 상기 제4 최적 값은 하한 값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611에서, 획득된 복수의 재배 환경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제2 최적 값을 비교한 것에 기반하여, 특정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복수의 재배 환경들에 대한 룰-정보를, 계산된 복수의 재배 환경들 별 최적 값의 범위(예: 상한 값 보다 낮거나, 또는 하한 값 보다 높은 범위)로 갱신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룰-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410)는 룰-정보와는 별도의, 상기 복수의 재배 환경들 별 최적 값의 범위에 기반하여 특정 재배 장치(400)의 특정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410)는, 입력 데이터로서 환경 정보(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값)과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출력 데이터로서 전자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여, 학습되는 인공 지능 모델(미도시)을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인공 지능 모델(미도시)는 환경 정보(예: 관수 환경, 생육 환경에 대한 값)과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인풋 데이터, 그리고 전자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아웃풋 데이터로 하여, 트레이닝이 수행됨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인공 지능 모델(미도시)에,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환경 정보와 생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인공 지능 모델(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장치(400)의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이슈 알람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4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이슈 알람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0을 참조하여, 도 49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5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420)의 이슈 알람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901에서, 환경 값을 수신하고, 동작 4903에서, 환경 값이 널(null) 값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널 값은 재배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환경 값이 오류임을 나타내도록 지정된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상기 환경 값이 널 값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4903-N), 동작 4905에서 환경 값이 미리 저장된 룰 정보에 기반하여, 환경 값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예: 기-설정된 상한 값을 초과하거나, 및/또는 기-설정된 하한 값 미만임)를 판단하고, 상기 환경 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4905-Y), 동작 4907에서, 오토 컨트롤 횟수가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상기 환경 값이 널 값에 대응하거나(4903-Y), 또는 상기 오토 컨트롤 횟수가 특정 값 이상인 경우(4907-Y), 동작 4909에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환경 값이 에러를 나타내는 경우 전자 부품에 이상이 발생된 것이므로 즉시 알람이 필요하며, 및/또는 이미 재배 장치(400)의 전자 부품의 제어 횟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더 이상 오토 컨트롤에 의한 이상이 해소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므로, 서버(410)는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특정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4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는, 복수의 재배 장치들(400)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실행 화면(예: 드랍 다운 타입의 실행 화면(5101), 맵 타입의 실행 화면(5103)) 상에서, 복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들 중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특정 재배 장치(400)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와 연관된 위치에 알람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버(410)는,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에 대한 정보(예: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장치(4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는, 상기 이상이 발생된 재배 장치(400)에 대응하는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환경들 중 이상이 발생된 환경에 대응하는 위치에 알람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치(410)는 상기 정보들에 기반하여 알람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4911에서, 상기 이상이 발생된 환경에 대한 이슈가 해결이 되는 것으로 식별하고, 동작 4913에서,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제1 전자 장치(420)에 의해 제공되는 알람 인디케이터를 시인하고, 제1 전자 장치(420)를 이용하여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을 제어하기 위해 대응하는 재배 장치(40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매뉴얼 제어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매뉴얼 제어에 기반하여, 환경 값이 정상 범위의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예: 상한 값 이하이거나, 및/또는 하한 값 이상으로 변경됨), 상기 이상이 발생된 재배 장치(400)에 대한 정보,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제어된 전자 부품과 제어된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히스토리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제공된 이슈 알람과 연관된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5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제공된 이슈 알람과 연관된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1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1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5101에서, 선택된 환경 값과 연관된 제어 히스토리들 식별하고, 동작 5103에서, 나머지 환경 값과 제어 히스토리들의 나머지 환경 값 간 유사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미리-저장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환경 값들과 현재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과 비교함으로써,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5105에서, 유사도 기반 제어 히스토리들 나열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계산된 유사도에 기반하여, 지정된 개수의 상위 유사도를 갖는 히스토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상기 식별된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상이 발생된 재배 장치(400)에 대한 정보, 이상이 발생된 환경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제어된 전자 부품과 제어된 정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면서, 계산된 유사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가장 적합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매뉴얼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5107에서, 상기 이상이 발생된 환경에 대한 이슈가 해결이 되는 것으로 식별하고, 동작 5109에서,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상 상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KPI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5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410)의 KPI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5201에서, KPI 파라미터 정보 획득하고, 동작 5203에서, KPI를 계산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5205에서, KPI 파라미터 및 계산된 KPI를 시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 판매량 정보, 생육 계획 정보, 실제 생육 정보)에 기반하여, 아래의 [표 5]에 기재된 KPI를 계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KPI Equation 의미
산출량 (Throughput) Vdaily 작물의 일 별 실제 생산량
일 수요량(Daily Demand Volume) Ddaily 작물의 일 별 수요량
월 생산량
(Monthly Production Volume)
Vmonthly 작물의 월 별 실제 생산량
월 생산 비용
(Monthly Production Cost)
Cprod = Crent + Celectricity + Clabor + Cmaterial 월 별 시설 사용 비용(Crent), 전기 사용 비용(Celectricity), 연구 비용(Clabor), 자재(예: 작물 씨앗) 비용(Cmaterial) 등 비용의 합산
생산 단가
(Unit Cost)
Cunit = Cpord / Vmonthly 1개의 작물을 생육 하기 위한 비용
사이클타임(Cycle Time) CT = Tharvest - Tseeding 파종 시기(Tharvest)부터 수확 시기(Tseeding)까지 생육이 완료되는 시간
가동률
(Capacity Utilization Rate)
Utilizattion = Vmonthly / VFullcapacity 최대 생산량 대비 월 별 실제 생산량 비율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 Repair datet - Repair datet-1 오류 발생에 의한 수리 주기
폐기율(충족률) |Vdaily - Ddaily|/Vdaily 초과 생산량에 대한 일별 생산량 비율
한편, 위의 [표 5]에 기재된, KPI는 모든 종류의 작물에 대한 통합 개념의 KPI일 수 있으나,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정 종류의 작물에 대한 KPI일 수도 있다.예를 들어, 서버(410)는, 예측된 수요량에 기반하여, 일 수요량(Vdaily)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실제 생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산출량(Vthrouput) 및 상기 월별 생산량(Vmonthly)을 식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작업자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리 시간들(Repair date)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서버(41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비용들(Crent, Celectricity, Clabor, Cmaterial)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상기 획득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계산되는 정보(예: 월 생산 비용, 생산 단가, 사이클 타임, 가동률, MTBF, 폐기율)를 제1 전자 장치(420)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420)는 상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수요량의 실시간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KPI와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갱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410)는, 상기 수요량의 실시간 변화에 기반하여, 환경 값을 최적화함으로써 재배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10)는, 산출률(Vdaily) 및/또는 월별 생산량(Vdaily)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산출률(Vdaily) 및/또는 월별 생산량(Vdaily)에 기반하여, 가동률 및/또는 폐기율을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42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420)는 결과적으로 상기 수요량의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 화면상에 제공되는 KPI 중 적어도 일부(예: 산출률(Vdaily), 월별 생산량(Vdaily), 가동률, 및/또는 폐기율)을 갱신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버(410)를 통해 제공된 제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전자 장치(43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예를 설명한다.
도 5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5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는 판매 시설(10)을 방문하는 소비자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 판매 시설(10)을 방문하는 소비자는 제2 전자 장치(5300)에 대해서는 사용자로 표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 내에서 수확 가능한 작물 및/또는 상기 작물을 이용한 제품을 미리 주문하는 기능, 또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추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능은 제2 전자 장치(5300)에 설치되는 제3 프로그램(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제2 전자 장치(530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은 제3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3 프로그램을 단일 프로그램을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프로그램들이 결합하여 제3 프로그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 소비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프로세서(5310), 디스플레이(5320), 메모리(5330) 및/또는 통신 회로(5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작동적으로(operatively)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제2 전자 장치(5300)의 구성 요소들은 일 예로서 일부가 변형되거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센서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53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531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 (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디스플레이(5320), 메모리(5330) 및/또는 통신 회로(5340)과 전기적으로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메모리(53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5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531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 허브, 보조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NPU(Neur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디스플레이(5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320)는 제2 전자 장치(530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320)는 각종 콘텐트(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3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32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기재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전자 장치(5300)에 포함된 다양한 입력 장치(예: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제3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제3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53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5310)가 제3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표시하는 콘텐츠는 이하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5330)는 프로세서(5310)가 실행 시에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제2 전자 장치(53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533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30)는 판매 시설(10) 내의 작물 및/또는 제품을 미리 주문하는 기능, 또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추천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53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3 프로그램(또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서버(410)에 의해 배포되는 제3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메모리(5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53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3 프로그램을 메모리(5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533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330) 각각은 실행 가능한(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들(예: 제3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컴퓨터 코드, 모듈, API, 함수)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5330)에 저장된 각각의 프로그램들(예: 제3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반하여,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술되는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전술한 프로그램(예: 제3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서(5310)에 의한 제어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534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전자 장치(5300)와 서버(410), 제1 전자 장치(420) 및/또는 판매 장치(450)와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5340)는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회로(2111, 212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회로(2111, 212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센서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홍채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TOF(time of flight)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센서 모듈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또는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310)는 센서 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센서 모듈로부터 PPG 신호 및 ECG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자 장치(5300)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미리 주문(또는 요청, 또는 구매)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는 디스플레이(5320)가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하는 것과 관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31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획득되는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판매 시설(10)과 관련된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달하여 주문을 완료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획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하 제2 전자 장치(53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획득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5300)와 관련된 다양한 구성 요소(예: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펜))를 통해 획득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판매 시설(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판매 시설(10)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판매 시설(10)에서 구매 가능한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작물 및/또는 제품을 미리 주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5300)의 사용자는 판매 시설(10)에 도착하기 전 미리 원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제2 전자 장치(5300)를 통해 주문하고, 판매 시설(10)에 도착하여 주문한 작물 및/또는 제품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주문한 작물 및/또는 제품은 통칭하여 주문 제품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가 주문한 작물 및/또는 제품이 획득되는 동작은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변경한 제품(이하, 고객 맞춤 제품(custom product) 또는 고객 제작 제품(customer-made product))을 미리 주문(또는 요청, 구매)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는 디스플레이(5320)가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하는 것과 관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화면은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추가 재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31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상기 추가 재료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주문 정보를 획득하고,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고객 맞춤 제품 또는 고객 제작 제품의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추가 재료 정보에 추천 재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 품질에 기반하여 특정 작물에 대한 정보를 추천 재료 정보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을 판단하여, 상기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에 기반하여 추천 재료 정보를 획득하고, 추가 재료 정보에 상기 추천 재료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5300)가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 맞춤 제품(custom product) 또는 고객 제작 제품(customer made product)에 대한 주문을 완료하고, 판매 시설(10)에서 재배되는 작물 중 하나를 추천하는 동작은 이하 도 57 내지 63을 통해 후술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의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에 응답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과 관련된 멤버십 서비스 및 판매 시설(10)과 연결된 온라인 스토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4 내지 66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도 54,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판매 시설(예: 도 4의 판매 시설(10))을 방문하는 소비자가, 소비자의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의 제3 프로그램(예: 제3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을 주문하고 제공받는 예를 설명한다.
도 5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판매 시설 내에서 주문 제품 생산자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4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4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에 의한 동작은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4를 참조하면, 동작 5401에서, 판매 시설(10) 내의 제1 영역(A1)에서 주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문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는 제2 전자 장치(530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는 판매 시설(10)을 방문한 소비자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는 판매 시설(10)을 방문한 소지자를 통해 판매 시설(10) 내에 구비된 전자 장치(예: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획득된 주문 정보는 판매 시설(10) 내의 판매 장치(45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판매 시설(10)로부터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하는 것과 관련된 주문 실행 화면(56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 리스트(5611) 및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5612)를 포함하는 주문 실행 화면(56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이 제공되는 시간을 지정하여 제품 주문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품 리스트(561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주문하기 GUI(5612)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의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제품 리스트(5611)에 포함된 다양한 작물 및/또는 제품들 중 특정 제품(예: 멕시칸 포크 볼)을 주문하는 경우, 주문 제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판매 시설(10)과 관련된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에 전달하여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정보를 서버(410) 및/또는 판매 시설(10)에 포함된 판매 장치(4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정보를 서버(410)로 전송하고, 서버(410)는 판매 장치(450)로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거나, 및/또는 제2 전자 장치(5300)가 판매 장치(450)로 주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 시설(10) 내의 제1 영역(A1)에서 주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판매 시설(10) 내의 판매 장치(450)가 구비되는 제1 영역(A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를 통한 주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주문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주문 완료 실행 화면(56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정보(5621), 주문 현황(5622) 및/또는 주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GUI(5623)를 포함하는 주문 완료 실행 화면(56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문 제품 정보(5621)는 사용자가 주문한 제품의 이름(예: 멕시칸 포크볼) 및 주문 제품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기재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주문 제품에 대한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문 현황(5622)은 사용자가 제품을 주문한 이후부터 주문 제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까지 주문 제품과 관련된 주문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현황(5622)은 주문이 접수되었는지 여부, 주문 제품이 제조 중인지 여부 및/또는 주문 제품의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문 현황(5622)은 다양한 시각적 객체(예: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완료 실행 화면(5620)에 주문 현황(5622)을 포함시킴으로써, 제품을 주문한 사용자에게 주문 제품의 조리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완료 실행 화면(5620)에 주문 현황(5622)을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판매 시설(10)로부터 주문 제품이 제공되는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GUI(56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주문한 주문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제품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주문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예: 메뉴, 시간, 결제 금액, 판매 시설(10)의 위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문 정보는 판매 시설(10) 내의 제1 영역(A1)에 구비된 판매 장치(45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시설(10)을 방문한 사용자가 판매자로 제품을 주문하는 경우, 판매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판매 장치(450)를 통해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403에서,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주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들의 종류 및 작물들 별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주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들의 종류 및 작물들 별 수량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5300), 서버(410), 판매 장치(45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판매 시설(10)이 제공하는 제품 별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작물의 종류 및 수량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통해 획득되는 주문 정보에 기반하여 주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들의 종류 및 작물들 별 수량은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405에서, 작물들의 종류 및 작물들 별 수량에 기반하여, 판매 시설(10) 내의 제2 영역(A2)에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이 수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주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을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서 생육될 수 있다. 따라서, 결정된 작물들의 종류 및 작물들 별 수량에 기반하여, 판매 시설(10) 내의 작물의 생육을 위한 재배 장치(400)가 구비되는 제2 영역(A2)에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이 수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407에서, 수확된 작물들을 이용하여 판매 시설(10) 내의 제3 영역(A3)에서 주문 제품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주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수확된 적어도 하나의 작물을 이용하여, 판매 시설(10)에서 주문 제품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확된 작물들을 이용하여 판매 시설(10) 내의 작물이 제품으로 가공되는(예: 작물이 샐러드 및/또는 음료로 제조됨) 제3 영역(A3)에서 주문 제품이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409에서, 주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주문 제품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비자는 제공된 주문 제품을 판매 시설(10) 내의 제품을 취식하기 위한 가구들(F)이 배치되는 제4 영역(A4)에서 취식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주문 제품은 판매 시설(10)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문 제품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자는 주문 제품을 판매 시설(10)에서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비자는 주문 제품을 다양한 서비스(예: 배달 서비스,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배달 서비스)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제품은 판매 시설(10)로부터 지정된 범위의 지역(r1, r2, r3) 내의 소비자(B2C) 및/또는 기업(B2B)으로 배달될 수 있다.
즉, 주문 제품은 판매 시설(10) 내의 제4 영역(A4)에서 소비될 수 있고, 판매 시설(10) 외부의 공간(예: 소비자의 집, 소비자의 회사 등)에서 소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요청에 따라 주문 제품을 제공하는 판매 시설(10)은, 주문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영역(A1) 및 주문 제품이 제조되는 제3 영역(A3)뿐만 아니라 주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작물을 생육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판매 시설(10) 내에서 소비자에게 주문 제품을 제공하는 판매 시설(10)의 관리인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으로 이동하는 이동 경로(5500)에 따라 이동하며 주문 제품을 획득하고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판매 시설(10)의 복수의 영역들(A1, A2, A3, A4)은 도시/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들(A1, A2, A3, A4)중 일부 영역이 결합되어 하나의 영역으로 제공되거나 일부 영역이 더 분리되어 추가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5300)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5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 프로그램의 섭취 영양 정보의 제공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7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7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에 의한 동작은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동작 570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디스플레이(53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메모리(5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실행 화면(58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행 화면(5810)은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생년월일, 성별, 키, 몸무게, 기타 특이사항)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 입력 영역(58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정보 입력 영역(58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사용자 정보로 메모리(53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703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및/또는 기타 특이사항에 따라 사용자가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영양 성분을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전자 장치(5300)가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만을 판단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705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의 영양 성분을 고려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의 달성 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영양 성분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을 비교하여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 중 사용자가 섭취한 채소량에 대한 정보인 달성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영양 성분은, 사용자가 섭취/섭취 예정으로 선택한 제품의 영양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의 달성량 및/또는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을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707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영양 성분 달성량, 샐러드별 영양 성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을 제공하기 위한 실행 화면(58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실행 화면(5820)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예: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사용자가 섭취한/섭취 예정인 제품에 포함된 영양 성분을 비교한 정보인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을 표시하는 영역(58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과 사용자가 섭취한/섭취 예정인 제품에 포함된 영양 성분을 비교한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은 다양한 시각적 객체(예: 그래프)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9, 도 60 및 도 6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판매 장치(450)로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2 전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추가 재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의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5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제품 주문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9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9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에 의한 동작은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동작 590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리스트가 포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로부터 판매 시설(10)에서 제공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의 주문을 획득하기 위해,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된 주문 제품 리스트(5611)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903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리스트(56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주문하면서 주문 제품의 일부를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905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나만의 메뉴 만들기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에 대한 입력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제품이 아닌 판매 시설(10)에서 생육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고객 제작 제품(이하, 나만의 메뉴)을 주문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만의 메뉴 만들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아닌 경우(동작 5905-N), 동작 5907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선택된 제품에 추가 가능한 제1 재료 리스트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0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제품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한 고객 맞춤 제품의 주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실행 화면(6010), 제2 실행 화면(6020) 및 제3 실행 화면(60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정보 (6011), 퍼스널 옵션 카테고리(6012) 및/또는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graphical user interface)(6013)(예: 주문하기 GUI(5612))를 포함하는 제1 실행 화면(60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퍼스널 옵션 카테고리(60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에 포함된 작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변경(추가 또는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퍼스널 옵션 카테고리(60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실행 화면(60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정보 (6011), 제1 재료 리스트(6022), 주문하기 GUI(6013) 및/또는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023)을 포함하는 제2 실행 화면(60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재료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재료 리스트(60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재료 리스트(6022)는 주문 제품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퍼스널 옵션 카테고리(6012) 중 베이스 추가(예: 제품에 포함되는 베이스 작물)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베이스 추가와 관련된 재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909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재료 리스트(60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에 추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재료 리스트(6022)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재료 리스트(602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작물을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가 다른 작물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0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주문 제품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재료가 추가된 고객 맞춤 제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재료 리스트(602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물(예: 로메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추가하기 GUI(60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물이 추가된 고객 맞춤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인 멕시칸 포크볼에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작물인 로메인, 케일, 닭가슴살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나열된 재료들이 추가된 고객 맞춤 제품을 식별하여 주문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동작 5915에서, 주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고객 맞춤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판매 시설(10)과 관련된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달하여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고객 맞춤 제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실행 화면(60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정보 (6011), 추가 재료 리스트(6031),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6013) 및/또는 이전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이전 GUI(6032)를 포함하는 제3 실행 화면(60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만의 메뉴 만들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획득된 경우(동작 5905-Y), 동작 591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에 대한 제2 재료 리스트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1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제작하는 나만의 메뉴인 고객 제작 제품의 주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4 실행 화면(6110), 제5 실행 화면(6120) 및 제6 실행 화면(61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 리스트(6111)(예: 도 56의 제품 리스트(5611)), 나만의 메뉴 만들기 GUI(6112) 및/또는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6113)(예: 주문하기 GUI(5612))를 포함하는 제4 실행 화면(61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 만들기 GUI(61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이 아닌 새로운 제품을 제작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나만의 메뉴 만들기 GUI(61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만의 메뉴 만들기 GUI(61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5 실행 화면(61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 만들기 GUI(6112), 작물 카테고리 리스트(6121) 주문하기 GUI(6113) 및/또는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122)를 포함하는 제5 실행 화면(60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작물 카테고리 리스트(61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에 포함될 작물을 추가하기 위해 작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작물 카테고리 리스트(61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재료 리스트(6131), 주문하기 GUI(6113) 및/또는 추가하기 GUI(6023)을 포함하는 제6 실행 화면(61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를 만들기 위해,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재료 리스트(61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재료 리스트(6131)는 작물 카테고리 리스트(61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작물 카테고리 리스트(6121)에 포함된 카테고리 중 베이스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재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591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재료 리스트(613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를 제작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를 포함하는 제2 재료 리스트(6131)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재료 리스트(613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작물을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가 다른 작물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1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제작된 나만의 메뉴에 대한 주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재료 리스트(613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추가하기 GUI(60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재료 리스트(6131)에 대한 입력 및 추가하기 GUI(6122)에 대한 입력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나만의 메뉴의 구성 작물을 포함하여 나만의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동작 5915에서, 주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나만의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판매 시설(10)과 관련된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에 상기 주문 정보를 전달하여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만의 메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제품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 시설(10)은 주문 정보에 포함된 나만의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제작한 나만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2 및 도 63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판매 시설(10) 내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상태에 기반하여 추가 재료의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주문 제품과 관련하여 추가 재료로서 작물을 추천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작물 추천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2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2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제2 전자 장치(5300)(예: 도 4의 제2 전자 장치(430))에 의한 동작은 제2 전자 장치(5300)의 프로세서(5310)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5300)의 동작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2를 참조하면, 동작 6201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리스트(예: 도 56의 제품 리스트(5611))가 포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도 54 및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판매 시설(10)에서 제공하는 작물 및/또는 제품의 주문을 획득하기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6203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리스트(예: 도 56의 제품 리스트(5611))에 포함된 복수의 제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300)는 도 54 및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판매 시설(1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품 리스트(561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제품 리스트(5611) 및 주문하기 GUI(예: 도 56의 주문하기 GUI(5612))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6205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에 대한 추가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3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문 제품에 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에 대한 추가 재료 정보에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 제공하기 위한 제7 실행 화면(6310), 제8 실행 화면(6320) 및 제9 실행 화면(63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 정보 (6311), 추천 재료 GUI(6013)를 포함하는 퍼스널 옵션 카테고리(6312) 및/또는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6314)를 포함하는 제7 실행 화면(631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실행 화면(6010)을 표시하는 것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제7 실행 화면(6310)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중복되거나 유사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주문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에 추가할 수 있는 작물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추천 재료 GUI(60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에 포함된 작물들 중 적어도 일부를 추천 작물에 기반하여 변경(추가 또는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추천 재료 GUI(60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6207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하고자 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판매 시설 내의 재배 장치에 의해 재배되는 제1 추천 작물의 상태가 기준 상태를 만족하는 경우,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추가 재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추천 재료 GUI(60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추천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제8 실행 화면(602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가 표시하는 제8 실행 화면(6320)은 영양 섭취 달성량(6321),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 의해 재배되는 추천 작물에 대한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2, 6323), 사용자의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또는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의 달성량)에 기반한 추천 작물에 대한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4, 6325),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326) 및/또는 판매 시설(10) 내에 재배되는 작물들에 대한 생장 상태 정보의 제공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생장 상태 보기 GUI(632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내에서 생육되는 작물의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작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 및/또는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하고자 하는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을 제공하는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 의해 재배되는 작물로서 주문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작물들 중 생육 상태가 일정 수준 이상인 추천 작물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5300)는 상기 식별된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예: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2, 6323))를 포함한 추가 재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주문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작물 중에서 기준 상태를 만족하는 작물을 제1 추천 작물로 식별하고,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2, 6323)를 제8 실행 화면(63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 들 중 사용자가 제품을 주문하는 일자를 기준으로 가까운 일자에 수확한 채소를 제1 추천 작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2, 6323)는 제1 추천 작물로 식별한 기준에 대한 정보(6322) 및 상기 기준 상태를 만족하는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천 작물로 식별한 기준에 대한 정보(6322)는 “오늘 수확한 싱싱한 채소 리스트”라는 시각적 메시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232)는 기준 상태의 만족 여부에 따라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32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 경우, 주문 제품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추가 재료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 의해 재배되는 작물로서 주문 제품에 추가될 수 있는 작물들 중 생육 상태가 일정 수준 이상인 추천 작물을 식별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로부터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 의해 재배되는 작물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주문하고자 하는 제품(예: 멕시칸 포크볼)에 추가될 수 있는 작물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또는 일일 섭취 권장 채소량의 달성량)에 기반하여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4, 6325)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정보(6324, 6325)는 제2 추천 작물로 식별한 기준에 대한 정보(6324) 및 상기 기준 상태를 만족하는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3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추천 작물로 식별한 기준에 대한 정보(6324)는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에 기반하여 지방 섭취가 부족함을 나타내는 시각적 메시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325)는 기준 상태의 만족 여부에 따라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일 섭취 권장 영양 성분의 달성량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양 성분이 다량 포함된 작물이 제2 추천 작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추천 작물에 대한 시각적 객체(632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함에 따라 주문 제품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추가 재료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추가 재료를 포함한 주문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326)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10) 내에 재배되는 작물들에 대한 생장 상태 정보의 제공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생장 상태 보기 GUI(6327)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생장 상태 보기 GUI(6327)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9 실행 화면(63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9 실행 화면(6330)은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재배 작물에 대한 정보(63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003)는 사용자가 선택한 판매 시설(10)의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나타내는 작물의 시각적 객체(6332) 및 각 작물의 생장 상태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6333)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에 대한 정보(6331)를 제9 실행 화면(633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재배 작물에 대한 정보(6331)를 외부 전자 장치(예: 판매 장치(450), 서버(4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9 실행 화면(6330)은 재료의 추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하기 GUI(6334) 및 제품의 주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주문하기 GUI(63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추가하기 GUI(6334) 및/또는 주문하기 GUI(632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판매 시설(10) 내의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특정 주문 제품에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주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장치(5300)는 사용자가 제품을 주문하고 획득하는 판매 시설(10)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장 상태를 제공하고, 생장 상태에 따라 작물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싱싱한 작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성 및/또는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예를 설명한다.
도 6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결제 동작과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멤버십 서비스와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3 프로그램의 온라인 스토어 서비스와 관련된 실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결제 실행 화면(6410) 및 제2 결제 실행 화면(64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도 54 내지 도 64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판매 시설(10)에서 제공되는 작물 및/또는 제품에 대한 주문을 완료한 경우 제3 프로그램을 통해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결제 실행 화면(6410)은 주문 제품에 대한 정보(6411), 결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결제 GUI(6412) 및/또는 이전 실행 화면으로 돌아가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전 GUI(64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1 결제 실행 화면(64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결제 실행 화면(6410)은 결제 수단 리스트(6421), 쿠폰 사용 시각적 객체(6422), 결제 GUI(6412) 및/또는 이전 GUI(64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2 결제 실행 화면(64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결제 수단 리스트(64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결제 수단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3 프로그램과 연관하여 기-저장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5300)는 쿠폰 사용 시각적 객체(64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에 있어서 쿠폰을 적용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6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결제 방법 외에도 제2 전자 장치(530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여 주문 제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결제 완료에 따라 주문 제품에 대한 주문이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5를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멤버십 서비스와 관련된 멤버십 실행 화면(650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멤버십 실행 화면(6500)은 포인트 정보(6501),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쿠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쿠폰함 GUI(6502), 판매 시설(예: 판매 시설(10))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6503), 사용자의 주문 이력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나만의 메뉴 바로 주문하기 GUI(6504), 결제 GUI(6505) 및/또는 이전 GUI(6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결제 GUI(6505) 및/또는 이전 GUI(6506)는 동일한 용어를 통해 상술된 예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작물 및/또는 제품을 주문한 이력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제3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포인트를 결정하고, 포인트 정보(6501)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3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쿠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쿠폰함 GUI(6502)를 표시하고, 쿠폰함 GUI(650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쿠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판매 시설(예: 판매 시설(10))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6503)를 외부 장치(예: 서버(410), 판매 장치(45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프로모션 정보(6503)를 시각적으로 멤버십 실행 화면(65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도 59 및 도 61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의 나만의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사용자가 나만의 메뉴를 주문하기 위한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생략할 수 있도록 나만의 메뉴 바로 주문하기 GUI(6504)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나만의 메뉴에 대한 주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온라인 스토어 서비스와 관련된 온라인 서비스 실행 화면(660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판매 시설(10)은, 판매 시설(10)에 대한 방문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외에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시설(10)은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판매되는 온라인 상품의 구매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에서 구매하여 제3 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프티콘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라인 서비스 실행 화면(6600)은 온라인 스토어 제품이 표시되는 제품 영역(6601) 및 기프티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프티콘 영역(6602), 결제 GUI(6505) 및/또는 이전 GUI(6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주문하기 GUI(6604) 및/또는 이전 GUI(6603)는 동일한 용어를 통해 상술된 예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제품 영역(660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가 온라인 판매 제품을 구매하도록 주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5300)는 기프티콘 영역(660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기프티콘(예: 쿠폰)을 구매하고 제3 자에게 선물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재배 장치, 어플리케이션(예: 도 21의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 또는 모종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를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서비스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서비스 패키지(6700)에 포함된 서비스들 중 적어도 일부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패키지(6700)는 재배 장치(예: 재배 장치(400)) 대여 서비스(671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 및/또는 모종 제공 서비스(67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 제공 서비스(6710)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재배 장치(400)의 제공 및/또는 재배 장치(400)를 이용할 수 있는 일부 공간의 제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배 장치 제공 서비스(6710)에 가입한 사용자는 본 개시의 재배 장치(4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재배 장치(400) 이외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공간의 제공 서비스는 전술한 판매 시설(10) 내의, 판매 영역(A1), 재배 장치(400)가 구비되는 영역(A2), 제품 제조 영역(A3), 또는 취식 영역(A4) 중 적어도 하나를 설계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는, 서비스 가입자가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 및/또는 제3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권한을 허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프로그램에 대한 구독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에 가입한 사용자는 본 개시의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가입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을 통해 재배 장치(400)를 이용한 영업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종 제공 서비스(6730)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재배 장치(400)에서 재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물에 대한 모종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종 제공 서비스(6730)는 서비스 가입자의 시설과 특정 재배 시설(20)을 연관시키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및 서비스 가입자의 작물 소비량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재배 시설(20)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시설 내의 재배 장치(400)로 모종을 제공(예: 재배 장치(400)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자는 모종 제공 서비스(6730)를 통해 재배 시설(20)로부터 운송 수단(30)을 통해 모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서, 상기 모종은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구조물(1400), 뿐만 아니라 작물을 생육하기 위한 씨앗, 및/또는 특정 생육 단계의 작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의 서비스 패키지(6700)는 도시/기재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패키지(6700)에 포함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8에 도시되는 동작들은 도시되는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68에 도시되는 동작들 보다 더 많은 동작들이 수행되거나, 더 적은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각각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동작들 중 서버(예: 서버(410))에 의한 동작은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8을 참조하면, 서비스 패키지(6700)에 대한 사용자 가입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운용하는 서버(예: 서버(410))는, 동작 6801에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사용자 장치(예: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예: 이름, 나이, 성별 등)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르면, 서버(410)는, 동작 6803에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작물 재배 장치의 제공(예: 재배 장치 제공 서비스(6710)), 작물 재배 장치의 작물의 재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에 대한 원격 관리(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 및 작물 소비량에 기반하여 작물 재배 자치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의 제공(예: 모종 제공 서비스(6730))을 위한 복수의 서비스들에 대한 구독 또는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410)는, 동작 6805에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제1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패키지(67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들 중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4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제1 서비스(예: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6720))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6807에서, 서버(410)는 제1 서비스가 식별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로 제1 서비스가 식별됨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1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 제1 프로그램(2117). 제2 프로그램(2129) 및/또는 제3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재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수조층들;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한 경우,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 중 제1 관의 제1 위치와 제2 관의 제2 위치가 서로 다르고,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되는 관수 자원의 상한 높이가 결정되며,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다른 수조층으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되는,
    재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에 안착되는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배 구조물들 각각은:
    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는 재배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홀들을 통해 상기 관수 자원을 흡수하기 위해 작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재배 베드;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의 삽입을 위한 홀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재배 베드 내에 형성되는 재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재배 장치를 통해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부;
    상기 작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전자 부품;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자 부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재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작물의 생육 환경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값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경값에 기반하여 생성된 오토 컨트롤 신호를 획득하고, 및
    상기 오토 컨트롤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부품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재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재배 장치에 공급되는 상기 관수 자원을 보관하는 관수통 및 상기 관수통에 연결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펌프는, 상기 관수통에 보관된 상기 관수 자원을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수조층의 높이까지 끌어올리고,
    상기 워터 펌프를 통해 끌어올려진 관수 자원 중에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은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의 상부에서 하부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공되는 재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워터 펌프가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워터 펌프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동안,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공급된 관수 자원 중에서 상기 상한 높이 이하의 관수 자원은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에 유지되는 재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는 조절 가능한 재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정 높이는, 상기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재배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에 대응하는 돌출 부분들의 특정 높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재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는,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박막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고,
    상기 상한 높이 미만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상기 박막 수경 재배 방식에 더하여 담액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 장치.
  13.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워터 펌프를 통해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관수통에 보관된 관수 자원을 상기 재배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수조층들 중 가장 높은 위치의 수조층으로 끌어올리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중 서로 인접한 수조층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의 상부에서 하부 및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 자원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의 하면의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특정 높이를 갖는 돌출 부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수조층들 각각으로 상기 특정 높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이 제공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작물의 재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장치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돌출 부분의 상기 특정 높이를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작물의 재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한 높이 이상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박막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동작;
    상기 상한 높이 미만의 특정 관수 자원을 통해 상기 박막 수경 재배 방식에 더하여 담액 수경 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작물의 재배 방법.

KR1020230008656A 2022-10-13 2023-01-20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KR2024005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5807 WO2024080817A1 (ko) 2022-10-13 2023-10-13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1557 2022-10-13
KR1020220131557 2022-10-13
KR1020220151677 2022-11-14
KR20220151677 2022-11-14
KR1020220155287 2022-11-18
KR20220155287 2022-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785A true KR20240051785A (ko) 2024-04-22

Family

ID=9088148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657A KR20240051786A (ko) 2022-10-13 2023-01-20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60A KR20240051789A (ko) 2022-10-13 2023-01-20 실시간 수요량, 및 작물과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58A KR20240051787A (ko) 2022-10-13 2023-01-20 거치 구조물에 기반한 작물의 생육과 운송을 위한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56A KR20240051785A (ko) 2022-10-13 2023-01-20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KR1020230008662A KR20240051791A (ko) 2022-10-13 2023-01-20 작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61A KR20240051790A (ko) 2022-10-13 2023-01-20 작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원격 주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59A KR20240051788A (ko) 2022-10-13 2023-01-20 작물의 생육 계획 및 작물의 최적 분배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657A KR20240051786A (ko) 2022-10-13 2023-01-20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60A KR20240051789A (ko) 2022-10-13 2023-01-20 실시간 수요량, 및 작물과 연관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58A KR20240051787A (ko) 2022-10-13 2023-01-20 거치 구조물에 기반한 작물의 생육과 운송을 위한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662A KR20240051791A (ko) 2022-10-13 2023-01-20 작물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61A KR20240051790A (ko) 2022-10-13 2023-01-20 작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원격 주문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230008659A KR20240051788A (ko) 2022-10-13 2023-01-20 작물의 생육 계획 및 작물의 최적 분배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2024005178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786A (ko) 2024-04-22
KR20240051787A (ko) 2024-04-22
KR20240051788A (ko) 2024-04-22
KR20240051791A (ko) 2024-04-22
KR20240051789A (ko) 2024-04-22
KR20240051790A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Opportun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the food industry
US20210144908A1 (en) Method for recommending seeding rate for corn seed using seed type and sowing row width
JP2022166231A (ja) モジュール式農場の制御及び監視システム
WO201716409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Su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cision agriculture
US100681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roduct distribution and data hub for connecting and integrating related systems
AU2016344427A1 (en) Computer-implemented calculation of corn harvest recommendations
CN110337239A (zh) 农用管理系统
CN112585643A (zh) 将杂交种或种子自动分配给田地用于种植
US2017006139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Facilitate Changes to a Fresh Produce Display
AU2013201297A1 (en) Programmable plant system
CN113226010B (zh) 利用空间统计模型实现农艺试验
Kempenaar et al. Big data analysis for smart farming: Results of TO2 project in theme food security
JP2020024703A (ja) 生産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4702A (ja) 生産流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4701A (ja) 生産流通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62241A (ja) 屋内農場を遠隔で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11252878B2 (en) Self-service modular plant cultivation and storage systems
KR20240051785A (ko)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재배 장치 및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KR102150535B1 (ko) 생산자 주문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소비자 맞춤형 주문 생산 시스템
KR20200105055A (ko) 모듈형 다품종 식물 재배를 위한 농장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38160B1 (en) Data hub for repurposing of nutrients and reverse distribution system
JP706404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umar et al. Research Article Opportun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the Food Industry
CN116847732A (zh) 收获物产品中的植物保护剂残留的预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