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70A - 종이 컵홀더 - Google Patents

종이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70A
KR20240051670A KR1020220131622A KR20220131622A KR20240051670A KR 20240051670 A KR20240051670 A KR 20240051670A KR 1020220131622 A KR1020220131622 A KR 1020220131622A KR 20220131622 A KR20220131622 A KR 20220131622A KR 20240051670 A KR20240051670 A KR 20240051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ing
holder body
body member
fold lin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주)대일티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티피씨 filed Critical (주)대일티피씨
Priority to KR102022013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70A/ko
Publication of KR2024005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홀더 몸체부재 및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양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위치되고 서로 맞붙어 접합되는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여 본 발명은 제조 시 접착 공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기계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접착부분이 일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장식미를 증대시키고, 돌출되는 부분에 다양한 장식 모양을 추가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종이 컵홀더{PAPER CUP HOLDER}
본 발명은 종이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조과정에서 접착 작업을 기계를 사용하여 용이할 수 있게 개선하고, 접착부분이 돌출되는 독특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종이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등의 음료를 야외에서 마시기 위해 일회용 컵이 사용되며, 일회용 컵은 종이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일회용 종이컵은 주로 뜨거운 음료를 넣는 용도로 사용되고, 뜨거운 음료를 넣었을 때 사용자의 손에 뜨거운 온도가 전달되어 잘 잡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 플라스틱컵은 주로 차가운 음료를 넣는 용도로 사용되고, 얼음을 포함한 차가운 음료를 넣었을 때 컵의 외면에 온도 차이에 의한 물방울이 생겨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회용 종이컵과 일회용 플라스틱컵 등의 일회용 컵은 뜨거운 음료 또는 차가운 음료를 담아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외벽의 일부분을 감싸는 별도의 종이 컵홀더가 사용된다.
종래의 종이 컵홀더는 일회용 컵의 외측면 중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중앙 부분을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종이 컵홀더는 회용 컵의 외측면 중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중앙 부분을 감싸는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에 음료 판매처의 로고 등을 인쇄하는 것 이외에 별도의 특징이 없어 외관 상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종이 컵홀더는 아래쪽으로 갈수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일회용 컵의 형상에 맞게 아래로 갈수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개된 상태에서 윗면과 아랫면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제조 시 양 단부를 접착시키는 작업을 기계로 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2-0108696호 "홀더가 장착된 종이컵"(2012.10.05.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시 접착 공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기계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종이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부분이 일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장식미를 증대시키고, 돌출되는 부분에 다양한 장식 모양을 추가할 수 있는 종이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홀더 몸체부재 및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양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위치되고 서로 맞붙어 접합되는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1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상기 홀더 몸체부재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2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상기 홀더 몸체부재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일회용 컵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 컵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직선형상의 직선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중앙에 중앙 접힘선이 구비되어 중앙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지고,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중앙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서로 포개져 접합되며, 상기 중앙 접힘선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상단부 측 상기 직선부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 사이의 전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 측에 하향 경사진 제1상부 테이퍼부와 제2상부 테이퍼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직선부는 양단부 측에 위치된 상기 제1상부 테이퍼부와 kdrl 제2상부 테이퍼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상단부 전체 길이 중 70%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하단부에 곡선형태의 곡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곡선부의 양 단부 측에는 상부 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하부 테이퍼부와 제2하부 테이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가 각각 장식미를 증대시키는 제1장식부재와 제2장식부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 시 접착 공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기계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접착부분이 일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장식미를 증대시키고, 돌출되는 부분에 다양한 장식 모양을 추가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컵 등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컵홀더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는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홀더 몸체부재(100) 및 홀더 몸체부재(100)의 양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위치되고 서로 접합되는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가 전개된 상태에서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홀더 몸체부재(100)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홀더 몸체부재(100)와의 경계부분에 접히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이 위치된다.
제1접합부재(200)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1접합용 접힘선(101)을 경계로 홀더 몸체부재(100)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제2접합부재(300)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2접합용 접힘선(102)을 경계로 홀더 몸체부재(100)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을 경계로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홀더 몸체부재(100)가 일회용 컵을 감싼 상태에서 일회용 컵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서로 맞붙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홀더 몸체부재(100)가 일회용 컵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한다.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양단부 측에서 대칭되는 형상을 가져 접합 시 서로 완전하게 포개져 접합된다.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서로 완전하게 포개져 접착제로 맞붙어 접착되어 홀더 몸체부재(100)를 일회용 컵을 감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하고, 홀더 몸체부재(100)가 일회용 컵을 감싼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홀더 몸체부재(100)가 일회용 컵을 감싼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져 독특한 장식미를 제공함과 아울러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서로 포개져 접합되므로 접합공정에서 접합 기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컵홀더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몸체부재(10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직선형상의 직선부(110)가 위치되어 홀더 제작 시 커팅 공정 및 접합 공정에서 기계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홀더 몸체부재(100)가 전개된 상태에서 직선부(110)는 상단부의 전체 길이 즉,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 사이의 전체 길이로 형성된다.
홀더 몸체부재(100)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직선형상의 직선부(110)가 위치되어 홀더 제작 시 커팅 공정 및 접합 공정에서 기계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한 형상일 뿐 아니라 일회용 컵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단부 측이 접합부분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면서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홀더 몸체부재(100)는 전개된 상태에서 하단부에 곡선형태의 곡선부(120)가 위치되어 일회용 컵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때 하단부 측이 일회용 컵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는 안정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 몸체부재(100)는 중앙에 중앙 접힘선(103)이 구비되어 중앙 접힘선(103)을 기준으로 접혀져 2부분으로 포개지며 이 때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는 서로 포개져 접착제를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중앙 접힘선(103)은 홀더 몸체부재(100)의 상단부 측 직선부(110)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은 각각 직선부(110)의 양 단부 측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의 접합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홀더 몸체부재(100)는 하단부에 위치된 곡선부(120)는 홀더 몸체부재(100)가 원통 형상으로 일회용 컵을 감쌀 때 바닥면과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는 곡률로 형성된다.
곡선부(120)의 양 단부 측에는 상부 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하부 테이퍼부(121)와 제2하부 테이퍼부(122)가 구비된다.
제1하부 테이퍼부(121)와 제2하부 테이퍼부(122)는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의 접합 면적을 확보하기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일 실시예가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독특한 장식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의 양 측단은 각각 중앙 접힙선과 나란한 즉, 직선부(110)와 수직인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다른 실시예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상단부에 위치된 직선부(110)에서 양 단부 측에 각각 하향 경사진 제1상부 테이퍼부(111)와 제2상부 테이퍼부(112)가 위치된 예이다.
그리고, 홀더 몸체부재(100)의 하단부에 위치된 곡선부(120)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하단부 전체 길이, 즉,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 사이의 전체 길이(M)로 형성된다.
직선부(110)의 길이(L2)는 양단부 측에 위치된 제1상부 테이퍼부(111)와 제2상부 테이퍼부(112)의 사이에 위치되고, 홀더 몸체부재(100)의 상단부 전체 길이(L1) 중 70%이상의 길이, 즉, 제1접합용 접힘선(101)과 제2접합용 접힘선(102) 사이의 전체 길이(L1) 중 70%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다.
직선부(110)의 길이(L2)는 홀더 몸체부재(100)의 상단부 전체 길이(L1) 중 70%이상의 길이 이상을 가질 때 홀더 제작 시 커팅 공정 및 접합 공정에서 기계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70%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홀더 제작 시 커팅 공정 및 접합 공정에서 기계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가 하트 형상의 장식부재로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컵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1접합부재(200)와 제2접합부재(300)가 각각 장식미를 증대시키는 제1장식부재(210)와 제2장식부재(3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몸체부재(100)의 상단부에 위치된 직선부(110)에서 양 단부 측에 제1상부 테이퍼부(111)와 제2상부 테이퍼부(112)가 위치되고, 곡선부(120)의 양 단부 측에는 상부 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하부 테이퍼부(121)와 제2하부 테이퍼부(122)가 구비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장식부재(210)와 제2장식부재(31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일 수도 있고,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회사의 로고 형상일 수도 있으며, 만화 또는 영화 등의 캐릭터일 수도 있다.
제1장식부재(210)와 제2장식부재(3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컵홀더의 장식미를 증대시킴으로써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 시 접착 공정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기계를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한다.
본 발명은 접착부분이 일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장식미를 증대시키고, 돌출되는 부분에 다양한 장식 모양을 추가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홀더 몸체부재
101 : 제1접합용 접힘선
102 : 제2접합용 접힘선
103 : 중앙 접힘선
110 : 직선부
111 : 제1상부 테이퍼부
112 : 제2상부 테이퍼부
120 : 곡선부
121 : 제1하부 테이퍼부
122 : 제2하부 테이퍼부
200 : 제1접합부재
210 : 제1장식부재
300 : 제2접합부재
310 : 제2장식부재

Claims (8)

  1.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일회용 컵의 외측둘레를 감싸는 홀더 몸체부재; 및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양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위치되고 서로 맞붙어 접합되는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1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상기 홀더 몸체부재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일 측단부에서 접혀지는 위치를 표시하는 제2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상기 홀더 몸체부재와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을 경계로 각각 바깥쪽으로 접혀져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일회용 컵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 컵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단부에 직선형상의 직선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중앙에 중앙 접힘선이 구비되어 중앙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지고,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는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중앙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혀질 때 서로 포개져 접합되며,
    상기 중앙 접힘선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상단부 측 상기 직선부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제1접합용 접힘선과 상기 제2접합용 접힘선 사이의 전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양 단부 측에 하향 경사진 제1상부 테이퍼부와 제2상부 테이퍼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직선부는 양단부 측에 위치된 상기 제1상부 테이퍼부와 kdrl 제2상부 테이퍼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상단부 전체 길이 중 70%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는 전개된 상태에서 하단부에 곡선형태의 곡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곡선부의 양 단부 측에는 상부 측으로 경사진 형태의 제1하부 테이퍼부와 제2하부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재와 상기 제2접합부재가 각각 장식미를 증대시키는 제1장식부재와 제2장식부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컵홀더.
KR1020220131622A 2022-10-13 2022-10-13 종이 컵홀더 KR20240051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622A KR20240051670A (ko) 2022-10-13 2022-10-13 종이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622A KR20240051670A (ko) 2022-10-13 2022-10-13 종이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70A true KR20240051670A (ko) 2024-04-22

Family

ID=9088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622A KR20240051670A (ko) 2022-10-13 2022-10-13 종이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96A (ko) 2011-03-25 2012-10-05 박광서 홀더가 장착된 종이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96A (ko) 2011-03-25 2012-10-05 박광서 홀더가 장착된 종이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US4261501A (en) Laminated insulated hot drink cup
US10604307B2 (en) Lid for a beverage cup, cup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d
US6557751B2 (en) Recyclable beverage container handle
US20100200647A1 (en) Embossed paperboard cup holder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US20110042451A1 (en)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KR20240051670A (ko) 종이 컵홀더
US20150090731A1 (en)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Sleeve and Label
KR101344745B1 (ko) 손잡이가 내장된 일회용 컵홀더
CN106061332A (zh) 折叠式杯子
CN212048234U (zh) 一种强化盖合的纸杯
WO2009057867A1 (en) Cup holder
US20120145731A1 (en) Thermal protective sleeve for a drinking cup
KR20150117242A (ko) 단열성이 향상된 컵 홀더
KR200303324Y1 (ko) 절첩식 종이컵 홀더
CN102475477B (zh) 纸杯之隔热结构
US8479974B2 (en)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CN111284804B (zh) 一种强化盖合的纸杯
TWM299141U (en) Hand-bag structure for beverages cup
KR20150103441A (ko) 컵 커버
CN214608170U (zh) 塑料包装杯
TWI734547B (zh) 飲用容器
CN212606843U (zh) 一种强化锲合的纸盖及纸杯
KR20190002956U (ko) 티백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