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35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35A
KR20240051635A KR1020220131537A KR20220131537A KR20240051635A KR 20240051635 A KR20240051635 A KR 20240051635A KR 1020220131537 A KR1020220131537 A KR 1020220131537A KR 20220131537 A KR20220131537 A KR 20220131537A KR 20240051635 A KR20240051635 A KR 2024005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ce
wall
tra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창호
이동훈
박종영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35A/en
Priority to PCT/KR2023/013559 priority patent/WO2024080576A1/en
Publication of KR2024005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빙실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 및 상기 제빙실에 수용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위하여 작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형성벽은,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마주보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을 연결하는 후측벽과, 상기 후측벽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상측벽과, 상기 후측벽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벽 또는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로 공급될 냉기가 통과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될 냉기가 통과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구동부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space forming wall provided on the door and forming an ice-making room; and an ice maker accommodated in the ice-making chamber and including a tray forming an ice-making cell for producing ice, and a driving unit operating to move the tray, wherein the space forming wall includes a first side wall, and the a second side wall facing the first side wall, a rear wall connecting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An in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wall or the first side wall, and an out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is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inlet is formed in the ice-making chamber. It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iving par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can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keeping the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You can.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Typically, an ice maker for making ice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he ice maker collec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and then cools the water to create ic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may be stored in an ice bin.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Ice stored in the ice bin is discharged through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or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access the ice bin, and take out the ice from the ice bin.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65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A refrig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6659, a prior document.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 하방의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좌우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며, 어느 일측에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메인 워터탱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추가 냉각시키는 서브 워터탱크; 상기 정수장치, 메인 워터탱크, 서브 워터탱크,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를 연통시키는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지 밸브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one side is equipped with an ice maker and dispenser; a main water tank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oling supplied water; A wate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purifying the supplied water; a sub-water tank provided 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o additionally cool supplied water;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main water tank, sub water tank, dispenser, and ice maker; I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includes a branch valve that selectively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dispenser or ice maker.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의 후측에 서브 워터탱크와 분지 밸브가 구비되므로,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을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제빙실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a sub-water tank and a branch valve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pace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cannot be used as a separate storage space or ice-making room.

본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에서 구 형태의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This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ducing spherical ice in the refrigerator door.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Optionally or additionally, a refrigerator capable of forming an ice-making chamber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is provided.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장고 도어의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로 냉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Optionally or additionally, a refrigerator is provided in which col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an ice maker provided in an ice-mak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door.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빙실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 중에서 제 1 트레이 측으로 냉기를 안내하여, 필요에 따라서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Optionally or additionally, a refrigerator is provided that is capable of producing transparent ice as needed by guiding cold air toward the first tray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y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ce-making chamber.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빙실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실에 수용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pace forming wall provided on the door and forming an ice-making chamber.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accommodated in the ice making compartment.

상기 제빙기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위하여 작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may include a tray forming an ice-making cell for producing ice. The ice maker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to move the tray.

상기 공간 형성벽은, 제 1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은 상기 제 1 측벽과 마주보는 제 2 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 forming wall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The space forming wal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de wall facing the first side wall.

상기 공간 형성벽은,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을 연결하는 후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은, 상기 후측벽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상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은 상기 후측벽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하측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 forming wall may further include a rear side wall connecting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space forming wall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The space forming wall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상기 상측벽 또는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로 공급될 냉기가 통과하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in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wall or the first side wall.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될 냉기가 통과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out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상기 입구는 상기 구동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inle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driving unit.

상기 출구는 상기 구동부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outlet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driving unit.

상기 입구는 상기 제빙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inle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ice-making cell.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후측벽과 이격되며,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측벽과 상기 급수부 사이 공간을 바라볼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that guides water to the ice-making cell. The water suppl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may overlook the space between the rear wall and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입구는 상기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inlet may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pusher for separating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cell from the tray.

상기 입구는 상기 후측벽과 상기 푸셔 사이 영역을 바라볼 수 있다. The inlet may overlook the area between the rear wall and the pusher.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a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y forming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tra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located above the first tray and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operate to move the second tray.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supporting the first tray.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가이드하는 냉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may include a cold air guide that guides cold ai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상기 냉기 가이드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구 측에서 멀어지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air guide may have a lower height as it moves away from the inlet side.

상기 냉기 가이드는 상기 후측벽과 이격되어 냉기가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후측벽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The cold air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so that cold air can flow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rear wall.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가이드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cold air guide.

상기 브라켓은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후측벽 사이의 냉기를 상기 제 1 트레이 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that guides cold air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rear wall toward the first tray.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에 안착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may include a tray cover mounted on the first tray.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트레이 커버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 guid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ray cover.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입구와 인접한 제 1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guide may include a first guide adjacent to the inlet. The lower guid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oward the first tray.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입구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of the inlet or may be located lower.

상기 제 1 가이드의 일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함몰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함몰 바닥의 하측에 상기 구동부가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may be depressed downward to form a depressed floor. The driving unit may be located below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상기 후측벽은, 상기 제 1 트레이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경사벽과 상기 냉기 가이드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 The rear wall may include an inclined wall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may flow between the inclined wall and the cold air guide.

상기 후측벽은, 상기 경사벽과 경사지며 냉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벽을 바라볼 수 있다. The rear wall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all that is inclined toward the inclined wall and guides cold air. At least a portion of the entrance may overlook the guide wall.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경사벽에서 상기 냉기 가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guide wall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ld air guide.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의 유로 폭은 상기 경사벽과 상기 냉기 가이드 사이의 유로 폭 보다 클 수 있다. A passage width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guide wall may be larger than a passage width between the inclined wall and the cold air guide.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duct that guides cold air into the ice-making chamber. The cold air duct may include an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제 2 측벽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에 상기 냉기 덕트의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에 상기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wall may include a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A portion of the cold air duct may contact the depression. The entrance may be formed in the depression.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에서 구 형태의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in the refrigerator door.

상기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서 상측에 제빙실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종류의 얼음의 생성이 가능하거나 단일 종류의 얼음을 다량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Since an ice-making chamber can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when the ice-making chamber is provided above the dispens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multiple types of ice or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a single type of ic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브라켓의 냉기 가이드와 제빙실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의 가이드 벽에 의해서 제빙기로 냉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ld ai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ice maker by the cold air guide of the bracket and the guide wall of the space forming wall forming the ice making chamber.

제빙실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 중에서 제 1 트레이 측으로 냉기가 먼저 유동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투명한 얼음의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ld air can flow toward the first tray first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y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ce-making room, allowing transparent ice to be created as need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가 도어 라이너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의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의 제 2 공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에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 3 덕트 측에서 바라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 1 덕트 측에서 바라본 냉기 덕트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 3 덕트가 도어 라이너의 제 1 공간 형성벽과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9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8은 제 3 덕트가 도어 라이너의 제 2 공간 형성벽과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도 12의 19-19를 따라 절개한 도면.
도 20은 도 4의 20-2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1은 도 4의 21-21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
도 22는 도 5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24는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in Figure 3.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old air flow path i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of this embodiment.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d air duct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door liner.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pace of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bracket is coupled to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as seen from the third duct side.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of Figure 12.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as seen from the first duct side.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of Figure 14.
Figur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duc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of the door liner.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ure 9.
Figure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duc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of the door liner.
FIG. 19 is a view taken along line 19-19 of FIG. 12.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0 of Figure 4.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21-21 in Figure 4.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22 in Figure 5.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4-24 of Figure 22.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abinet 2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The storage compartment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19).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For example, Figure 2 show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a freezing compartment 19.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5. The freezer compartment 19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freezer doors 30.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a dispenser 11 for dispensing water and/or ice. Of course, depending on the type of refrigerator, the freezer door 30 may be equipped with the dispenser 11.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one or more ice makers.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will be described. Of course, if necessary, an ice make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r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At this time, the dispenser 11 and the ice maker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door.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includes a plurality of ice makers.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2 exemplarily shows that the refrigerator 1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but unlike this, it is revealed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or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put it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ide-by-side type or top-mount type refrigerat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1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a portion of the dispenser 11 may be recessed toward the rea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container can be placed.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include a first ice maker 200.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er 500.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ice maker 200. Of course, this embodiment does not exclude that a plurality of ice makers 200 and 500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dispenser 11 may discharge at least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To this end,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If the dispenser 11 is capable of discharging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als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Alternatively, even i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at the same level or lower than the dispenser 11,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penser 11 by a separate transfer mechanism.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first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discharged. do.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hind the dispenser 11.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01 to form a front exterior.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liner 102 coupled to the outer case 101. The door liner 102 can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door liner 102 are coupled, an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door liner 102.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ing space.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a first space 122 in which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The first space 12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ice-making room. The door liner 10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ace 124 in which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The second space 124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ice-making room.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omitted, and even in this case, the second space 124 may exist. At this time, the second space 124 may function as a door storage room used for a specific purpose.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refrigerator,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In this case, the second space 124 may exist or the second space 124 may be omitted.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The first space 122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For example,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pressed toward the dispenser 11.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first ice bin 28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stored.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bin 60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tored. Of course, i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omitted, the second ice bin 600 may also be omitted.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The first ice bin 2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22 together with the first ice maker 200.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24 together with the second ice maker 500.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Cold generated in a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The cooler may be defined as a means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frigerant cycl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example,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Cold generated in a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For example,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has a supply passage 2a that guides the cold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the cold air of the space where the evaporator that generates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is located to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2b that guides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to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a space where the evaporator is located. The supply flow path (2a) and the discharge flow path (2b)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2).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cold air inlet 123a.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inlet 123a may communicate with the supply passage 2a.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outlet 123b.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assage 2b.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The cold air inlet 123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Although not limiting,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faces the wall where the supply passage 2a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d air inlet 123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Although not limiting,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faces the wall where the discharge passage 2b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orm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200. For example, the second ice maker 200 can form ice in a spherical shape.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spherical shape” means not only a spherical shape but also a shape similar to a spherical shape geometrically.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For example, the transparency of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higher than that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and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ice maker 200 for producing ice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is separated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ice maker 500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eparated. can be different.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When the structures and/or moving methods of the ice makers are different, the shape of the first space 122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second space 124 where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The form may be different.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space 122.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Due to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22 and 124, the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102a and a second side portion 102b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front-back direction. You can.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ortion 102a. Due to the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ce maker 200.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500 is located may be thick.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of the cold air inlet 123a an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of the door liner 102.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tha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oor 130 (or first spac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122. The first door 130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oor 132 (or a second spac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124. The second door 130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Even i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omitted, the second door 132 may exist.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heat transfer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22 and 124 can be minimized by the first and second doors 130 and 132.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oor 13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The second door 132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13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basket 136 capable of storing foo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oor 130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30,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on the first door 130,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er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32 is clo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i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ice bin 600. May overlap.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32 is clo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overlaps the second door 13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Meanwhile, a filt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103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lter may be covered by a filter cover 142.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in Figure 3.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ice maker 200 may include an ice tray 210 forming an ice-making cell.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ice tray 210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tray 210. The first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to the ice tray 210.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The ice tray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Water discharged from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and dropped into the ice tray 210 may be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When ice production in the ice tray 210 is completed, th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210 as the ice tray 210 is rotated (twisted) by the driving unit.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2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ice bin 280.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include a first tray 510.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the second tray 550. The first tray 510 and the second tray 550 may form an ice-making cell 501. The second tray 55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 For example,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may move linearly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or may perform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rotating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of the second tray 550. After completion of water supply,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to the ice-making position.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linear movement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550.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contact the first tray 510 at the ice making position to complete the ice making cell 501.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a.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form a receiving space. A container such as a cup may be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Water or ice may b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space 124 is greater than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rst space 122 by the dispenser housing 11a. The horizontal distance is large.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pace 122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pace 124.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may overlap the first space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ice making cell 501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overlap the dispenser housing 11a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An ice chute 700 may be placed below the first space 122. The ice chute 7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900.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An ice guide 800 may be located below the ice chute 700.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The ice chute 700 may guide ice discharged from the first ice bin 280 to the ice guide 800.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1)로 안내할 수 있다. The ice guide 800 may guide ice to the dispenser 11.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pace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A water tank 34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the water tank 3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ice-making cell 501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second ice bin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basket 136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ice guide 800 may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의 냉기 덕트가 도어 라이너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의 제 2 공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의 도어 라이너에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old air flow path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f this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d air duct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door liner,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pace of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and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bracket is coupled to the door liner of this embodiment.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냉기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400)는 일례로 도어 라이너(102)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to 11 ,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duct 400 that forms a flow path for cold air to flow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The cold air duc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liner 102, for example.

상기 냉기 덕트(400)는 제 1 냉기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include a first cold air flow path (P1).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는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제 1 공간(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guide cold air supplied from the cabinet 2 to the first space 122.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서 냉기는 상승하여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1 제빙기(20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ld air may rise in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and be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pace 122. For example, cold air guided by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flow toward the first ice maker 200.

상기 냉기 덕트(400)는 제 2 냉기 유로(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may guide cold air in the first space 122 to the second space 124.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부의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Cold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pace 12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기(5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Cold air may descend from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and be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For example, cold air guided by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may flow toward the second ice maker 500.

상기 냉기 덕트(400)는 제 3 냉기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ld air flow path (P3).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may guide cold air in the second space 124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상기 제 2 공간(124)의 하측부의 냉기가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Cold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flow through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냉기 덕트(400)는,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를 형성하는 제 1 덕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include a first duct 410 forming the first cold air flow path P1.

상기 냉기 덕트(400)는 상기 제 1 덕트(410)와 함께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를 형성하는 제 2 덕트(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uct 430 that forms the first cold air flow path (P1) together with the first duct 410.

상기 제 1 덕트(410)의 일부는 상기 냉기 입구(123a)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430)의 일부는 제 1 입구(491)와 정렬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duct 410 may be aligned with the cold air inlet 123a. A portion of the second duct 430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inlet 491.

상기 제 1 덕트(410)의 일부와 상기 제 2 덕트(430)의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형성하는 제 1 공간 형성벽(122a)과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둘레벽(102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430)는 상기 제 1 벽(122a)과 접촉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duct 41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duct 430 include a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forming the first space 122 and a peripheral wall 102c of the door liner 102. ) can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duct 430 may contact the first wall 122a.

상기 냉기 덕트(400)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를 형성하는 제 3 덕트(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덕트(450)는 단독으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 2 덕트(430)와 함께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덕트(430)와 상기 제 2 덕트(450)가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uct 450 forming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The third duct 450 may form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alone or together with the second duct 430 may form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Hereinafter, the second duct 430 and the second duct 450 forming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 3 덕트(450)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3 덕트(45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제 2 공간 형성벽(124g)과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duct 450 may contact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The third duct 450 may contact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상기 제 3 덕트(450)의 일부는 제 1 출구(492)와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3 덕트(450)의 다른 일부는 제 2 입구(493)와 정렬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third duct 450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outlet 492. Another part of the third duct 450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inlet 493.

상기 제 1 덕트(410)의 다른 일부와 상기 제 2 덕트(430)의 다른 일부는 상기 둘레벽(102c)과 제 2 벽(124g)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nother part of the first duct 410 and another part of the second duct 4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102c and the second wall 124g.

상기 제 2 덕트(430)의 일부는 상기 제 1 덕트(410)와 상기 제 3 덕트(4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second duct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ct 410 and the third duct 450.

상기 냉기 덕트(400)는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형성하는 제 4 덕트(470)(또는 리턴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ld air duct 4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duct 470 (or return duct) forming the third cold air flow path P3.

상기 제 4 덕트(470)는 제 2 냉기 출구(494)와 정렬될 수 있다. The fourth duct 470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cold air outlet 494.

상기 제 4 덕트(470)는 상기 둘레벽(102c)과 제 2 벽(124g)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덕트(470)는 상기 제 1 덕트(4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ourth duct 470 may be locat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102c and the second wall 124g. The fourth duct 47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duct 410.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은 제 1 측벽(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122c)에 상기 제 1 냉기 입구(491)와 제 1 냉기 출구(4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입구(491)는 상기 제 1 냉기 출구(49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122c. The first cold air inlet 491 and the first cold air outlet 492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22c. The first cold air inlet 491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cold air outlet 492.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은 상기 제 1 측벽(122c)과 마주보는 제 2 측벽(122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de wall 122d facing the first side wall 122c.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은 제 1 후측벽(1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측벽(122b)은 상기 제 1 측벽(122c)과 제 2 측벽(122d)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ar wall 122b. The first rear side wall 122b may connect the first side wall 122c and the second side wall 122d.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은 제 1 상측벽(122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은 제 1 하측벽(122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upper side wall 122e.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ower side wall 122f.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은 제 1 측벽(12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124)에는 제 2 입구(49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124)에서 상기 제 2 입구(493)의 하측에는 제 2 출구(49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124a. A second inlet 493 may be formed in the first side wall 124. A second outlet 494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24 below the second inlet 493.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은 상기 제 1 측벽(124a)과 마주보는 제 2 측벽(12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ide wall 124d facing the first side wall 124a.

상기 제 1 측벽(124a)은 일부가 상기 제 2 측벽(124d)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124a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4a1)는 상기 제 2 공간(124) 측면에서는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The first side wall 124a may further include a recessed portion 124a1, a portion of which is recess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124d. The depression 124a1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second space 124 on the side of the second space 124 .

상기 함몰부(124a1)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124a1)와 상기 둘레부(102c) 사이에 상기 제 3 덕트(43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덕트(430)는 상기 함몰부(124a1)와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duct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epression 124a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02c by the depression 124a1. The third duct 430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124a1.

상기 제 2 입구(493)는 상기 함몰부(124a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inlet 493 may be formed in the depression 124a1.

따라서, 상기 제 2 입구(493)와 상기 제 2 측벽(124d)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출구(494)와 상기 제 2 측벽(124d) 간의 거리 보다 짧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let 493 and the second side wall 124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utlet 494 and the second side wall 124d.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은 상기 제 1 측벽(124a)과 상기 제 2 측벽(124d)을 연결하는 제 2 후측벽(12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ar side wall 124c connecting the first side wall 124a and the second side wall 124d.

상기 제 2 후측벽(124c)은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후측벽(124c)의 일부는 수직면일 수 있다. 상기 후측벽(124c)의 다른 일부는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후측벽(124c)의 또 다른 일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A portion of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be a vertical surface. Another part of the rear wall 124c may be inclined. Another part of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be rounded.

상기 제 2 후측벽(124c)은 경사벽(124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벽(124c1)에는 제 1 홀(49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튜브(489)는 상기 제 1 홀(495)을 관통할 수 있다.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include an inclined wall 124c1. A first hole 495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wall 124c1. The tube 489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ice maker 500 flows may pass through the first hole 495.

상기 경사벽(124c1)에는 제 2 홀(49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에 연결되기 위한 와이어는 상기 제 2 홀(496)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495)과 상기 제 2 홀(496)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A second hole 496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wall 124c1. A wir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hole 496. The first hole 495 and the second hole 496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 2 후측벽(124c)은 일부가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벽(124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further include a recessed wall 124c2 formed by partially recessing into the second space 124.

상기 제 1 홀(495)의 일부는 상기 함몰부(124c)에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hole 495 may b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24c.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은 제 2 상측벽(124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측벽(124e)은 상기 제 2 후측벽(123c)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pper side wall 124e. The second upper side wall 124e may extend from the second rear side wall 123c.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은 제 2 하측벽(12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측벽(124b)은 상기 제 2 후측벽(123c)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wer side wall 124b. The second lower side wall 124b may extend from the second rear side wall 123c.

상기 경사벽(124c1)은 상기 제 2 상측벽(124e)에 연결될 수 있다. The inclined wall 124c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side wall 124e.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에는 가이드 브라켓(4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상기 튜브(489) 및/또는 와이어를 가이드할 수 있다. A guide bracket 48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The guide bracket 480 may guide the tube 489 and/or wire.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제 1 브라켓 바디(4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481)는 상기 함몰벽(124c2)에 접촉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480 may include a first bracket body 481. The first bracket body 481 may contact the recessed wall 124c2.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48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브라켓 바디(4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482)는 상기 경사벽(124c1)에 접촉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4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racket body 482 obliquely extending from the first bracket body 481. The second bracket body 482 may contact the inclined wall 124c1.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481)에는 디스펜서 체결부(48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body 481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fastening portion 483.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상기 튜브(489)가 관통하기 위한 튜브 홀(48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홀(485)은 상기 제 1 홀(495)과 정렬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480 may include a tube hole 485 through which the tube 489 passes. The tube hole 485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hole 495.

상기 튜브 홀(485)의 일부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481)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482)에 형성될 수 있다. Part of the tube hole 485 may b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body 481 and another par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body 482.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상기 튜브(489)를 가이드하는 튜브 가이드(4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은 상기 튜브 가이드(484)는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482)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480 may further include a tube guide 484 that guides the tube 489. The tube guide 484, which is not limited, may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bracket body 482.

상기 가이드 브라켓(480)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4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와이어 가이드(486)는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482)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guide bracket 480 may further include a wire guide 486 that guides the wire. Although not limited, the wire guide 486 may extend from the second bracket body 482.

도 12는 제 3 덕트 측에서 바라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덕트 측에서 바라본 냉기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냉기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as seen from the third duct side, and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of Figure 12.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as seen from the first duct side, and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d air duct of Figure 14.

도 9,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410)는 제 1 덕트 바디(41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1 to 15 , the first duct 410 may include a first duct body 411.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는 제 1 개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412)는 상기 냉기 입구(123a)와 정렬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body 41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412. The first opening 412 may be aligned with the cold air inlet 123a.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412)는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body 4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opening 41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uct body 411.

상기 제 1 덕트(411)는 상기 제 1 덕트(411)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 바디(4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uct 411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body 413 extending around the first duct 411 .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에는 상기 제 2 덕트(41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415)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body 41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415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o the second duct 410 passes.

상기 제 1 연장 바디(413)에는 상기 제 2 덕트(410)와 결합되기 위하여 제 1 후크(4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 바디(413)에는 일례로 복수의 제 1 후크(41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ded body 41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ook 416 to be coupled to the second duct 410. For example, the first extended body 41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oks 416.

상기 제 2 덕트(430)는 제 2 덕트 바디(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는 제 2 개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434)는 상기 제 1 입구(491)와 정렬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430 may include a second duct body 431. The second duct body 431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434. The second opening 434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inlet 491.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434)는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body 43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opening 434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uct body 431.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과 접촉되는 플랜지(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35)는 상기 제 2 개구(434) 주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body 431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435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The flange 435 may extend around the second opening 434 .

상기 제 2 덕트(430)는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의 일면 둘레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 바디(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 바디(433)는 상기 제 1 연장 바디(413)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 바디(411)는 상기 제 2 연장 바디(413)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 바디(411)와 상기 제 2 연장 바디(413)에 의해서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와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덕트 바디(411)와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 사이에 상기 제 1 냉기 유로(P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43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body 433 extending around one surface of the second duct body 431. The second extended body 433 may contact the first extended body 413. The first extension body 411 may contact the second extension body 413. The first duct body 411 and the second duct body 431 may be spaced apart by the first extension body 411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413. Accordingly, the first cold air flow path P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uct body 411 and the second duct body 431.

상기 제 2 연장 바디(433)에는 상기 제 1 후크(416)가 결합되는 제 1 후크 결합부(43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body 43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ook coupling portion 437 to which the first hook 416 is coupled.

상기 제 2 연장 바디(433)는 상기 체결홀(41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 1 체결 돌출부(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 돌출부(436)는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body 433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436 to which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415 is fastene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436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duct body 431.

상기 제 2 덕트(430)는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의 타면에서 연장되는 제 3 연장 바디(4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에는 제 2 후크 결합부(438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4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xtension body 438 exten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body 431. The third extended body 438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ook coupling portion 438a.

상기 제 2 연장 바디(433)는 상기 제 3 덕트(430)와의 체결을 위한 제 2 체결 돌출부(4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돌출부(439)는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의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ded body 43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439 for fastening with the third duct 430.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439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body 431.

상기 제 3 덕트(450)는 제 3 덕트 바디(4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duct 450 may include a third duct body 451.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는 제 3 개구(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454)는 상기 제 1 출구(492)와 정렬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body 451 may include a third opening 454. The third opening 454 may be aligned with the first outlet 492.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는 제 4 개구(4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개구(457)는 상기 제 2 입구(493)와 정렬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body 451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opening 457. The fourth opening 457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inlet 493.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에서 상기 제 4 개구(457)는 상기 제 3 개구(45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개구(457)는 상기 제 2 덕트(430)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third duct body 451, the fourth opening 457 may be located below the third opening 454. The fourth opening 457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uct 430.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는 제 4 연장 바디(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연장 바디(452)는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와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duct body 451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extended body 452. The fourth extended body 452 may contact the third extended body 438.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와 상기 제 4 연장 바디(452)에 의해서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와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덕트 바디(431)와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 사이에 상기 제 2 냉기 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body 431 and the third duct body 451 may be spaced apart by the third extension body 438 and the fourth extension body 452. Accordingly,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duct body 431 and the third duct body 451.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에는 상기 제 2 후크 체결부(438a)에 체결되기 위한 제 2 후크(45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third extension body 438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ook 453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hook fastening portion 438a.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는 제 1 접촉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455)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493)는 일례로 상기 제 1 접촉부(455)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body 451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455.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may contact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For example, the third opening 493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상기 제 1 접촉부(455)는 라운드부(455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may include a round portion 455a.

상기 제 3 덕트(450)는 상기 제 1 접촉부(455)에서 연장되는 체결 바디(4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에 체결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45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ody 456 extending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It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상기 제 3 덕트 바디(451)는 제 2 접촉부(4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부(458)는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에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duct body 45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ct portion 458.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may contact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상기 제 4 개구(494)는 일례로 상기 제 2 접촉부(45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덕트(451)는 상기 제 2 접촉부(458)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접촉부(4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부(459)는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에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urth opening 49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The third duct 451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tact portion 459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The third contact portion 459 may contact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상기 제 4 덕트(470)는, 제 4 덕트 바디(4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덕트 바디(471)는 제 3 냉기 유로(P3)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ourth duct 470 may include a fourth duct body 471. The fourth duct body 471 may form a third cold air flow path (P3).

상기 제 4 덕트 바디(471)는 제 5 개구(4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개구(472)는 상기 제 2 출구(494)와 정렬될 수 있다. The fourth duct body 471 may include a fifth opening 472. The fifth opening 472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outlet 494.

상기 제 4 덕트 바디(471)는 제 6 개구(4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개구(473)는 상기 냉기 출구(123b)와 정렬될 수 있다. The fourth duct body 471 may further include a sixth opening 473. The sixth opening 473 may be aligned with the cold air outlet 123b.

상기 제 5 개구(472)와 상기 제 6 개구(473)는 상기 제 4 덕트 바디(470)에서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볼 수 있다. The fifth opening 472 and the sixth opening 473 may face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fourth duct body 470.

상기 제 4 덕트(470)는 연결부(477)에 의해서 상기 제 2 덕트(4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덕트(470)는 상기 제 2 덕트(4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덕트(470)는 상기 제 2 덕트(43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사익 연결부(477)에는 체결 보스(478)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ourth duct 47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430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477. For example, the fourth duct 47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duct 430. The fourth duct 470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duct 430. The private connection portion 477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boss 478.

상기 제 6 개구(473)의 크기는 상기 제 5 개구(471)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The size of the sixth opening 473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fth opening 471.

상기 제 4 덕트 바디(471)의 유로 단면적은 일례로 상기 제 5 개구(472)에서 제 6 개구(473) 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ourth duct body 471 may increase from the fifth opening 472 to the sixth opening 473.

도 16은 제 3 덕트가 도어 라이너의 제 1 공간 형성벽과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9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제 3 덕트가 도어 라이너의 제 2 공간 형성벽과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third duct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of the door liner,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 9, and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third duct in contact with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of the door liner. This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1 접촉부(455)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의 제 1 측벽(122c)에 접촉할 수 있다. 16 to 18,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of the third duct 450 may contact the first side wall 122c of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상기 제 1 접촉부(455)의 라운드부(455a)는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의 제 1 후측벽(122b)에 접촉할 수 있다. The round portion 455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may contact the first rear wall 122b of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상기 제 1 후측벽(122b)에는 상기 체결 바디(456)가 안착되는 바디 안착부(122b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안착부(122b1)는 상기 제 1 후측벽(122b)의 일부가 상기 제 1 공간(122)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body seating portion 122b1 on which the fastening body 456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first rear wall 122b. The body seating portion 122b1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first rear wall 122b is depressed toward the first space 122.

상기 바디 안착부(122b1)에는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 안착홈(122b)이 형성될 수 있다. A head seating groove 122b may be formed in the body seating portion 122b1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can be seated.

상기 헤드부 안착홈(122b)은 상기 바디 안착부(122b1)의 일부가 상기 제 1 공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122)에서 체결 부재가 상기 헤드부 안착홈(122b)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바디(456)에 체결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seating groove 122b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body seating portion 122b1 is de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pace. Accordingly, in the first space 122, the fasten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head seating groove 122b and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dy 456.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1 접촉부(455)가 상기 제 1 공간 형성벽(122a)의 제 1 측벽(122c)에 접촉하면 상기 제 3 개구(454)는 상기 제 1 출구(492)와 정렬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455 of the third duct 450 contacts the first side wall 122c of the first space forming wall 122a, the third opening 454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492. can be sorted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2 접촉부(458)는 상기 제 2 공간 형성벽(124g)의 제 1 측벽(124a)에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접촉부(458)는 상기 제 1 측벽(124a)에 형성된 함몰부(124a1)에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of the third duct 450 may contact the first side wall 124a of the second space forming wall 124g. For examp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124a1 formed in the first side wall 124a.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3 접촉부(459)는 상기 제 2 후측벽(124c)과 제 2 상측벽(124e)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contact portion 459 of the third duct 450 may contact one or more of the second rear side wall 124c and the second upper side wall 124e.

상기 제 3 접촉부(459)는 제 1 파트(45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459a)는 상기 제 2 후측벽(124c)에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contact portion 459 may include a first part 459a. The first part 459a may contact the second rear wall 124c.

상기 제 3 접촉부(459)는 제 1 파트(459a)에서 연장되는 제 2 파트(45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459b)는 상기 제 1 파트(459a)와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459b)는 상기 제 2 후측벽(124c)에서 경사면에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contact portion 459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459b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459a. The second part 459b may be inclined with the first part 459a. The second part 459b may contact an inclined surface at the second rear wall 124c.

상기 제 3 접촉부(459)는 제 2 파트(459b)에서 연장되는 제 3 파트(45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459c)는 상기 제 2 파트(459b)와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459c)는 상기 제 2 상측벽(124e)에 접촉할 수 있다. The third contact portion 459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 459c extending from the second part 459b. The third part 459c may be inclined with the second part 459b. The third part 459c may contact the second upper side wall 124e.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2 접촉부(458)가 상기 제 1 측벽(124a)에 접촉하면 상기 제 4 개구(457)는 상기 제 2 입구(493)와 정렬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458 of the third duct 450 contacts the first side wall 124a, the fourth opening 457 may be aligned with the second inlet 493.

도 19는 도 12의 19-19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FIG. 19 is a view cut along line 19-19 of FIG. 12.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덕트(410)의 제 1 연장 바디(413)와 상기 제 2 덕트(430)의 제 2 연장 바디(433)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 1 연장 바디(413)와 제 2 연장 바디(433)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one of the first extension body 413 of the first duct 410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433 of the second duct 430 is inserted into the other. The extension body 413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433 may be combined.

일례로 상기 제 1 연장 바디(413)에는 제 1 삽입홈(4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 바디(433)는 상기 제 1 삽입홈(413a)에 삽입되는 제 1 삽입 돌기(433a)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연장 바디(413)가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장 바디가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 first insertion groove 413a may be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body 413. The second extended body 433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433a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3a.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extension body 413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body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상기 제 1 삽입 돌기(433a)가 상기 제 1 삽입홈(413a)에 삽입됨에 따라서 제 1 냉기 유로(P1)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삽입 돌기(433a)와 상기 제 1 삽입홈(413a)이 실링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As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33a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3a,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433a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3a may serve as a sealing member.

상기 제 2 덕트(430)의 제 3 연장 바디(438)와 상기 제 3 덕트(450)의 제 4 연장 바디(45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와 제 4 연장 바디(452)가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extension body 438 is configured such that one of the third extension body 438 of the second duct 430 and the fourth extension body 452 of the third duct 450 is inserted into the other. and the fourth extended body 452 may be combined.

일례로 상기 제 3 연장 바디(438)에는 제 2 삽입 돌기(43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연장 바디(452)는 상기 제 2 삽입 돌기(438a)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452a)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3 연장 바디(413)가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장 바디가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38a may be formed on the third extension body 438. The fourth extended body 452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groove 452a into which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38a is insert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hird extension body 413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and the fourth extension body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상기 제 2 삽입 돌기(438a)가 상기 제 2 삽입홈(452a)에 삽입됨에 따라서 제 2 냉기 유로(P2)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삽입 돌기(438a)와 상기 제 2 삽입홈(452a)이 실링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As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38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52a,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38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52a may serve as a sealing member.

도 20은 도 4의 20-2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4의 21-21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5의 22-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24-2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0 of Figure 4, and 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21-21 of Figure 4.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22 in Figure 5.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ure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4-24 of Figure 22.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0 to 24, the second ice maker 5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y case supporting the first tray 510.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case may include a bracket 520 that supports the first tray 510 from the upper side.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 1 서포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case may include a first supporter 530 that supports the first tray 510 from the lower side.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case supporting the second tray 550.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커버(5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case may include a second tray cover 560 that supports the second tray 550 on the upper side.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 2 서포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tray case may include a second supporter 570 that supports the second tray 550 from the lower side.

상기 브라켓(52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 1 트레이 커버(5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520 may include a first tray cover 521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y 510 .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는 개구(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일부는 상기 개구(523)를 관통할 수 있다. The first tray cover 521 may include an opening 523. The first tray 51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y cover 521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ray cover 521 . A portion of the first tray 510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523.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부(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52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portion 522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tray cover 521.

상기 브라켓(520)은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 가이드(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524)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524)는 냉기를 상기 개구(523)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bracket 520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guide 524 that guides cold air. The cold air guide 524 may extend upward from the first tray cover 521. The cold air guide 524 may guide cold air toward the opening 523.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일부가 개구(523)를 관통하므로, 상기 냉기 가이드(524)에 의해서 가이드된 냉기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할 수 있다. Since a portion of the first tray 510 penetrates the opening 523, cold air guided by the cold air guide 524 may contact the first tray 510.

상기 브라켓(520)은 하측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상기 둘레부(522) 사이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 1 트레이(510)(또는 개구)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bracket 52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The lower gui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d air guide 524 and the peripheral portion 522 to guide cold air toward the first tray 510 (or opening).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이드는 단차질 수 있다. The lower guid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cover 521. The lower guide may be stepped.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제 2 입구(493)와 인접한 제 1 가이드(5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guide may include a first guide 525 adjacent to the second inlet 493.

상기 제 1 가이드(525)는 상기 제 2 입구(493)의 하단(493a)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525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493a of the second inlet 493 or positioned lower.

상기 제 1 가이드(525)의 일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함몰 바닥(525a)을 형성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525 may be depressed downward to form a depressed bottom 525a.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525)에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5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526)는 상기 제 2 입구(49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lower guid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526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525. The second guide 526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inlet 493.

상기 제 2 가이드(526)는 상기 함몰 바닥(525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526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recessed bottom 525a.

따라서, 냉기가 상기 하측 가이드에 의해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으면서, 냉기의 일부는 상기 함몰 바닥(525a) 주변에서 정체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cold air may be guided to flow by the lower guide, some of the cold air may stagnate around the depression bottom 525a.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함몰 바디(525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동부(580)의 상면은 상기 함몰 바닥(525a)과 접촉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580 may be located below the recessed body 525a.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580 may contact the recessed bottom 525a.

상기 함몰 바닥(525a) 주변에 냉기가 정체되어 있으면, 냉기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580)의 냉각이 가능하므로,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If cold air stagnates around the cave bottom 525a, the driving unit 580 can be cooled by the cold air, so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 제 2 가이드(526)는 상기 제 1 가이드(525)에서 상기 함몰 바닥(525a)을 제외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526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portion of the first guide 525 excluding the recessed bottom 525a or may be positioned lower.

상기 제 2 가이드(526)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526)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일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uide 526 may be a horizontal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uide 526 may be an inclined surface.

상기 냉기 가이드(524)의 상면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기 가이드(525)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입구(493)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air guide 524 may be variable.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air guide 525 may become lower in height as it moves away from the second inlet 493.

상기 냉기 가이드(524)는 일례로 제 1 상면(524a)과 상기 제 1 상면(524a)에서 하향 경사지는 제 2 상면(524b)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d air guide 524 may include a first upper surface 524a and a second upper surface 524b that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524a.

상기 제 1 상면(524a)은 상기 둘레부(522)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rface 524a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peripheral portion 522.

상기 브라켓(520)은 급수부(546)가 결합되는 결합부(5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8)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8)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bracket 52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528 to which the water supply portion 546 is coupled. The coupling portion 528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tray cover 521. The coupling portion 528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tray cover 521.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급수부(5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46)는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부(546)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the water supply unit 546. The water supply unit 546 may guide the supplied water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546.

상기 급수부(546)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급수부(546)는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 설치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546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tray case.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unit 546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tray cover 521.

상기 급수부(546)가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5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546)과 상기 둘레부(522)는 이격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unit 546 is installed on the first tray cover 521, the water supply unit 546 and the peripheral portion 522 may be spaced apart.

상기 제 2 입구(493)는 상기 구동부(58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inlet 49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driving unit 580.

상기 제 2 입구(493)는 상기 제빙셀(50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inlet 49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ice-making cell 501.

상기 제 2 입구(4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푸셔(54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let 49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pusher 540.

상기 제 2 입구(4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가이드(52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let 49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cold air guide 524.

상기 제 2 입구(49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개구(124f) 보다 상기 제 2 후측벽(124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inlet 493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rear wall 124c than the opening 124f of the second space 124.

상기 제 2 입구(493)는 상기 제 2 후측벽(124c)과 상기 제 1 푸셔(540) 사이 영역을 바라볼 수 있다. The second entrance 493 may view the area between the second rear wall 124c and the first pusher 540.

상기 제 2 입구(4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546)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입구(4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급수부(546)와 상기 둘레부(522)(또는 제 2 후측벽(124c) 사이 공간을 바라볼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let 493 may overlap the water supply unit 54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nlet 493 may view the space between the water supply portion 546 and the peripheral portion 522 (or the second rear wall 124c).

상기 제 2 후측벽(124c)에서 경사벽(124c1)은 상기 제 1 트레이(51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사벽(124c1)은 상기 둘레부(52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nclined wall 124c1 of the second rear wall 124c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510. For example, the inclined wall 124c1 may be located above the peripheral portion 522.

상기 경사벽(124c1)은 상기 하측 가이드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nclined wall 124c1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guide.

상기 제 2 후측벽(124a)은 상기 경사벽(124c1)과 경사지며 냉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124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구(49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벽(124c2)을 바라볼 수 있다. The second rear wall 124a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all 124c2 that is inclined with the inclined wall 124c1 and guides cold ai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ntrance 493 may face the guide wall 124c2.

상기 가이드 벽(124c2)은 상기 경사벽(124c1)에서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guide wall 124c2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ld air guide 524 at the inclined wall 124c1.

따라서, 상기 냉기 가이드(524)와 상기 가이드 벽(124c2) 사이의 유로 폭은 상기 경사벽(124c1)과 상기 냉기 가이드(524) 사이의 유로 폭 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flow path between the cold air guide 524 and the guide wall 124c2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low path between the inclined wall 124c1 and the cold air guide 524.

상기 제 2 입구(493)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 벽(124c2)을 따라 상기 경사벽(124c1)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입구(493)를 통해 유입된 냉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냉기 가이드(524)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Some of the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493 may be guided toward the inclined wall 124c1 along the guide wall 124c2. Another part of the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493 may flow along the cold air guide 524.

따라서, 상기 제 2 입구(493)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524), 바닥 가이드, 상기 가이드 벽(124c2) 및 경사벽(124c1)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제 1 트레이(5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124 through the second inlet 493 is guided by the cold air guide 524, the floor guide, the guide wall 124c2, and the inclined wall 124c1 to the It may flow toward the first tray 510.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제 1 트레이(510)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냉기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상측부로 안내될 수 있다. Since the lower guid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510, cold air can be gui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tray 510.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와 인접한 위치에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히터가 작동하면 얼음은 제빙셀(501)의 상측에서부터 얼어서 하측으로 성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기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상측부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투명한 얼음의 생성에 유리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ice maker 500 is an ice maker that produces transparent ice, a heater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tray 550. When the heater operates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ice may freeze from the upper side of the ice-making cell 501 and grow downwar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ld air can be gui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tray 510,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producing transparent ice.

상기 제 2 출구(494)는 상기 구동부(580)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utlet 494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driving unit 580.

상기 제 2 출구(494)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개구(124f) 보다 상기 제 2 후측벽(124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utlet 494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rear wall 124c than the opening 124f of the second space 124.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제 2 입구(493)와 상기 제 2 출구(494)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580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area between the second inlet 493 and the second outlet 494.

Claims (22)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제빙실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 및
상기 제빙실에 수용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셀을 형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위하여 작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형성벽은,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마주보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을 연결하는 후측벽과,
상기 후측벽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상측벽과,
상기 후측벽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벽 또는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로 공급될 냉기가 통과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에 상기 제빙실에서 배출될 냉기가 통과하는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구동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cabinets with storage compartment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space forming wall provided on the door and forming an ice-making room; and
A tray accommodated in the ice-making chamber and forming an ice-making cell for producing ice, and an ice maker including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to move the tray,
The space forming wall includes a first side wall, a second side wall facing the first side wall, and
a rear side wall connecting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It includes a lower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An in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supplied to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is formed in the upper wall or the first side wall,
An outlet through which cold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ice-making chamber passes is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구동부 보다 낮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lower than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제빙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higher than the ice-making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셀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후측벽과 이격되며,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후측벽과 상기 급수부 사이 공간을 바라보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that guides water to the ice-making cell,
A refrigerator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faces a space between the rear wall and the water supply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급수부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4,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inlet horizontally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후측벽과 상기 푸셔 사이 영역을 바라보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er for separating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cell from the tray,
The refrigerator has the entrance facing an area between the rear wall and the pus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며,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includes a first tray forming part of the ice-making cell,
a second tray located above the first tray and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making cell;
The driving unit operates to move the second tray,
A refrigera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is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레이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가이드하는 냉기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supporting the first tray,
The bracket is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ld air guide that guides cold ai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구 측에서 멀어지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A refrigerator wherein the heigh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d air guide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inlet si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는 상기 후측벽과 이격되어 냉기가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후측벽 사이로 유동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The cold air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so that cold air flows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rear wa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가이드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A refrigera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let is located higher than the cold air gui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후측벽 사이의 냉기를 상기 제 1 트레이 측으로 안내하는 하측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0,
The bracket further includes a lower guide that guides cold air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rear wall toward the first tr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트레이에 안착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트레이 커버 보다 높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bracket includes a tray cover mounted on the first tray,
A refrigerator in which the lower guid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tray cov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이드는, 상기 입구와 인접한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lower guide includes a first guide adjacent to the inlet,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oward the first tra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는 상기 입구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보다 낮게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4,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guide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inlet or is located low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의 일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함몰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 바닥의 하측에 상기 구동부가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4,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is depressed downward to form a depressed bottom,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located below the recessed flo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은, 상기 제 1 트레이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경사벽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경사벽과 상기 냉기 가이드 사이를 유동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8,
The rear wall includes an inclined wall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tray,
A refrigerator in which col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flows between the inclined wall and the cold air gui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벽은, 상기 경사벽과 경사지며 냉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벽을 바라보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7,
The rear wall further includes a guide wall that is inclined toward the inclined wall and guides cold air.
A refrigera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ntrance faces the guide wall.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경사벽에서 상기 냉기 가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8,
A refrigerator wherein the guide wall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ld air guide on the inclined wall.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벽 사이의 유로 폭은 상기 경사벽과 상기 냉기 가이드 사이의 유로 폭 보다 큰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8,
A refrigerator in which the passage width between the cold air guide and the guide wall is greater than the passage width between the inclined wall and the cold air guide.
제 1 항에 있어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는 냉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ld air duct that guides cold air to the ice making room,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ld air duct include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제 2 측벽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냉기 덕트의 일부가 접촉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입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1,
The first side wall includes a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A portion of the cold air duct contacts the depressio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entrance is formed in the depression.
KR1020220131537A 2022-10-13 2022-10-13 Refrigerator KR2024005163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7A KR20240051635A (en) 2022-10-13 2022-10-13 Refrigerator
PCT/KR2023/013559 WO2024080576A1 (en) 2022-10-13 2023-09-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7A KR20240051635A (en) 2022-10-13 2022-10-13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35A true KR20240051635A (en) 2024-04-22

Family

ID=9088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537A KR20240051635A (en) 2022-10-13 2022-10-13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3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436B1 (en) Refrigerator
KR101584806B1 (en) Refrigerator
KR101584805B1 (en) Refrigerator
US8336330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ompartment having an improved air flow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EP2519793B1 (en) Refrigerator
US20080034779A1 (en) Refrigerator
KR20120080722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11273A (en) Refrigerator
US10527335B2 (en) Slimline ice compartment having side-by-side ice maker and ice bucket
KR20100113193A (en) Refrigerator
KR20170096326A (en) A refrigerator
KR20240051635A (en) Refrigerator
KR20240051628A (en) Refrigerator
KR20240051625A (en) Refrigerator
AU2022203947B2 (en) Refrigerator
CN115218594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KR20100113192A (en) Refrigerator
KR20110078656A (en) Refrigerator
KR20240051629A (en) Refrigerator
JP2010071563A (en) Refrigerator
KR20240051634A (en) Refrigerator
KR20240051637A (en) Refrigerator
KR20240051639A (en) Refrigerator
KR20210089545A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