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215A - 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 Google Patents

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215A
KR20240051215A KR1020247010069A KR20247010069A KR20240051215A KR 20240051215 A KR20240051215 A KR 20240051215A KR 1020247010069 A KR1020247010069 A KR 1020247010069A KR 20247010069 A KR20247010069 A KR 20247010069A KR 20240051215 A KR20240051215 A KR 2024005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psheet layer
fibers
topsheet
natural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상희 라
규영 유
서연 손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5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21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피부 옆에 개선된 편안함의 느낌 및 젖음 및 재습윤의 느낌 감소를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은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that can have an improved feeling of comfort next to the wearer's skin and a reduced feeling of wetting and rewetting. The absorbent article can have a wearer-facing, liquid-permeable topsheet layer and a garment-facing, liquid-impermeable backsheet layer. The absorbent cor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The topsheet layer may be formed from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Description

흡수 용품용 상면시트층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본 발명은 흡수 용품용 상면시트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psheet layers for absorbent articles.

흡수 용품과 같은 제품은, 예를 들어 소변, 생리혈 및/또는 혈액을 함유하는 신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편안함, 흡수성, 및 분별성이 세 가지의 주요 제품 속성이며 착용자의 관심 영역이다. 특히, 착용자는 종종 그의 속옷, 겉옷, 또는 침대 시트를 얼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품들이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상당한 양의 신체 삼출물을 흡수할 것이며, 이러한 제품이 착용자가 이러한 얼룩에 의해 유발되는 이후의 당혹감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지 알아보는 데에 관심이 있다.Products such as absorbent articles are often used to collect and retain body exudates containing, for example, urine, menstrual fluid and/or blood. Comfort, absorbency, and discretion are three key product attributes and areas of interest to the wearer. In particular, the wearer will often protect his underwear, outerwear, or bed sheets from stains, as these products will absorb significant amounts of body exudates while minimizing leakage, and the wearer will avoid the subsequent embarrassment caused by these stains. I am interested in finding out if it will help me avoid.

현재, 신체 삼출물의 흡수를 위한 매우 다양한 제품이 여성용 패드, 생리대, 팬티 실드, 팬티 라이너, 실금 의류, 기저귀, 배변연습 팬티, 청소년 팬츠, 수영 팬츠 등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일반적으로 신체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과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갖는다.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의 에지는 종종 그들의 주변부에서 함께 접합되어 상면시트층을 통하여 제품 내로 수용된 신체 삼출물 및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기 위한 밀봉부(seal)를 형성한다.Currently, a wide variety of products for absorption of body exudates are available in the form of feminine pads, sanitary napkins, panty shields, panty liners, incontinence clothing, diapers, training panties, youth pants, swim pants, etc. These products generally have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a body-facing, liquid-permeable topsheet layer and a garment-facing, liquid-impermeable backsheet layer. The edges of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are often joined together at their periphery to form a seal to contain the absorbent core and body exudates contained through the topsheet layer and into the product.

이러한 종래의 흡수 제품들의 착용자들은 사용 중에 제품이 더럽혀지거나 배설물이 묻으면 이러한 제품이 감소된 습한 느낌을 보이도록 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제품이 오염되면, 상면시트층은 종종 사용 기간 전반에 걸쳐서 일부 시간 동안 축축함을 유지하거나 적어도 축축함을 느낀다. 상면시트층은 흔히 흡수성일 수도 있는데, 이는 친수성 구성 물질, 예를 들어 천연 섬유로부터 만들어진다. 이들 물질은 종종 그들의 표면에서 오염 후에 약간의 뚜렷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제품의 연속적인 사용 중에 불편하고 축축한 감각이 생기게 한다.Wearers of these conventional absorbent products are interested in having these products exhibit reduced wetness if they become soiled or soiled during use. Unfortunately, when these products become contaminated, the topsheet layer often remains damp, or at least feels damp, for some time throughout the period of use. The topsheet layer may often be absorbent, being made from hydrophilic constituent materials, such as natural fibers. These materials often retain some noticeable moisture on their surfaces after contamination, resulting in an uncomfortable, wet sensation during continued use of the product.

장기간 사용 중에 (피부-건강 근거뿐만 아니라 물리적 편안함 양쪽 모두를 위해) 제품으로부터 감소된 축축한 감각을 경험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요구 결과로서, 제조사들은 제품의 오염 다음에 이러한 느낌을 다루기 위한 다수의 기술적 접근법을 탐구하였다. 제조사는 축축함의 초기 느낌과 또한 "재습윤"의 지속적인 감각 모두를 감소시키려고 시도하였는데, 여기서 제품은 유체 또는 액체, 예컨대 생리혈 또는 소변을 상면시트층을 통해 흡수하고 그것을 흡수 용품의 내부 층에 전달한 다음, 연속 착용 압력 하에 유체 또는 액체를 내부 층으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 다시 방출한다. 상면시트층으로의 재차 유체/액체의 이러한 방출은 종종 연속되는 축축함의 착용자 인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제품 제조사들은 소수성 특성을 갖는 상면시트층을 제공하기 위해 상면시트층에 대한 화학적 강화에 기초하여, 감소된 축축함 (및 재습윤)을 위해 개별적인 상면시트층들을 특별히 설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소수성 상면시트층은 흡수 제품이 제품의 피부 접촉 표면에서 확장된 건조감을 나타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내부층들 내에 보유되는 액체/유체는, 상면시트층의 소수성 내부 표면 특성의 결과로서, 상면시트층을 통해 착용자의 피부로 다시 통과하려는 성향이 덜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따라서, 상면시트층은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여, 수분을 일 방향으로 통과시켜 사용자 대향, 피부-접촉면 아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으로 강화된 소수성 상면시트층은 민감한 피부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천연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가질 수 있는 소비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As a result of the wearer's desire to experience a reduced wet sensation from the product during long-term use (both for physical comfort as well as skin-health reasons), manufacturers have developed a number of technological approaches to deal with this sensation following contamination of the product. explored. Manufacturers have attempted to reduce both the initial sensation of wetness and also the ongoing sensation of "rewetting", where the product absorbs fluid or liquid, such as menstrual blood or urine, through the topsheet layer and transfers it to the inner layer of the absorbent article. , releasing the fluid or liquid from the inner layer back to the topsheet layer under continuous wearing pressure. This release of fluid/liquids back into the topsheet layer often leads to the wearer's perception of subsequent wetness. Manufacturers of these products have specifically designed the individual topsheet layers for reduced wetting (and rewetting), based on chemical strengthening of the topsheet layer to provide the topsheet layer with hydrophobic properties. In this regard, a hydrophobic topsheet layer can help an absorbent product exhibit an extended dryness at the product's skin-contacting surface. Additionally, liquid/fluid retained within the inner layers of the product may have less tendency to pass through the topsheet layer back to the wearer's skin as a result of the hydrophobic inner surface properties of the topsheet layer. In some instances, the topsheet layer thus acts as a one-way valve, allowing moisture to pass in one direction and remain below the user-facing, skin-contacting surface. However, these chemically enhanced hydrophobic topsheet layers are not suitable for consumers who may have sensitive skin and/or may have a preference for absorbent products with natural topsheet layers.

그 결과, 상면시트층에 대한 화학적 강화가 필요 없이 착용자의 피부에 개선된 편안함 느낌을 가지며 젖음 및 재습윤 느낌을 감소시키는 흡수 용품과 같은 개선된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As a result, there remains a need for improved products, such as absorbent articles, that have an improved feeling of comfort on the wearer's skin and reduce the feeling of wetting and rewetting without the need for chemical strengthening of the topsheet layer.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상면시트층은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면 섬유이다.In various embodiments, topsheet layer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can have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In various embodiments, the natural fiber is cotton fiber.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50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75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한다.In various embodiments, natural fibers are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In various embodiments, natural fibers are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7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90o 내지 150o의 수접촉각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130o 내지 140o의 수접촉각을 갖는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is hydrophobic.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 water contact angle of 90o to 150o .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 water contact angle of 130o to 140o .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70 미만의 백색도 지수를 갖는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 whiteness index of less than 70.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본원에 설명된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가질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n absorbent article can have a topsheet layer, a backsheet layer,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as described herein.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원에 설명된 상면시트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60o - 100oC의 온도에서, 30 내지 240분 동안 수산화나트륨 용액(0.1 내지 10g/L)에서 천연 섬유를 끓여서 천연 섬유를 정련하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의 정련은 80o - 90oC의 온도에서 120 내지 180분 동안 수산화나트륨 용액(0.5 내지 2.0 g/L)에서 천연 섬유를 끓여서 수행된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method of making the topsheet layer described herein involves boiling the natural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1 to 10 g/L) at a temperature of 60 o - 100 o C for 30 to 240 minutes. There may be a refining step. In various embodiments, refining of natural fibers is accomplished by boiling the natural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5 to 2.0 g/L) at a temperature of 80 o - 90 o C for 120 to 180 minutes.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표백되지 않는다.In various embodiments, natural fibers are not bleache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피부 옆에 개선된 편안함의 느낌 및 젖음 및 재습윤의 느낌 감소를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모두는, 흡수성 코어의 최외곽 둘레 에지들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고, 밀봉된 둘레 영역을 형성하도록 알려져 있는 결합 기술들을 이용하여 둘레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은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방법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은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that can have an improved feeling of comfort next to the wearer's skin and a reduced feeling of wetting and rewetting. The absorbent article can have a wearer-facing, liquid-permeable topsheet layer and a garment-facing, liquid-impermeable backsheet layer. The absorbent cor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Both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may extend beyond the outermost perimeter edges of the absorbent core and may be fully or partially joined together circumferentially using known bonding techniques to form a sealed perimeter area. . For example,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can be bonded together by adhesive bonding, ultrasonic bonding, or any other suitable bonding method known in the art. The topsheet layer may be formed from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정의:Justi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흡수 용품"은 생리대, 여성용 패드, 팬티 라이너, 팬티 쉴드, 실금 의류,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청소년 팬츠, 수영 팬츠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의복 또는 기타 최종 용도의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bsorbent article" refers to clothing or other end-use produc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anitary napkins, feminine pads, panty liners, panty shields, incontinence clothing, diapers, training panties, youth pants, swim pants, etc. refers to personal hygiene absorbent produc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레이드(airlaid)"는 본 명세서에서 에어레잉 공정에 의해 제조된 웹을 지칭한다. 에어레잉 공정에서, 약 3 내지 약 52㎜ 범위의 통상적인 길이를 갖고 있는 작은 섬유들의 다발은 공기 공급원에서 분리되고 내포(entrain)되며, 그후 일반적으로 진공 공급원의 도움으로 포밍 스크린 상에 용착된다. 무작위로 피착된 섬유는 그후,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 또는 라텍스 접착제를 활성화하도록 핫 에어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에어레잉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전체 내용이 참고로 원용되는 Laursen 등의 미국특허 제4,640,810호에 교시되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irlaid” refers herein to a web made by an airlaying process. In the airlaying process, bundles of small fibers, with a typical length ranging from about 3 to about 52 mm, are separated and entrained in an air source and then deposited onto a forming screen, usually with the aid of a vacuum source. The randomly deposited fibers are then bonded together, for example using hot air to activate the binder component or latex adhesive. Airlaying is taught, for example, in U.S. Pat. No. 4,640,810 to Laursen et al.,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for all purposes.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합된(bonded)"은 본 명세서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지칭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요소에 접합될 때와 같이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착되고, 연결되고, 부착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압력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바느질, 봉합, 및/또는 용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bonded” refers to the joining, adhesion, connection, attachment, etc. of two elements. Two elements will be considered to be joined together when they are joined, glued, connected or attached to each other,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uch as when bonded to an intermediate element. Bonding may occur, for example, through adhesives, pressure bonding, thermal bonding, ultrasonic bonding, stitching, suturing, and/or weldin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디드 카디드 웹"은, 스테이플 섬유들을 분리하거나 떨어지게 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여 대략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성 부직 웹을 형성하는 코밍(combing) 또는 카딩(carding) 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로 제조되는 웹을 지칭한다. 이 물질은, 점 접합, 통기 접합, 초음파 접합, 접착제 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bonded carded web" refers to combing or carding (combing or carding) that separates or separates staple fibers and aligns them in the machine direction to form a fibrous nonwoven web oriented approximately in the machine direction. Refers to a web manufactured from staple fibers that are passed through a carding unit. The materials may be bonded together by methods that may include point bonding, vent bonding, ultrasonic bonding, adhesive bonding, etc.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친수성"은 90o 미만의 수접촉각을 갖는 표면을 가리킨다.As used herein, the term “hydrophilic” refers to a surface having a water contact angle of less than 90o .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소수성"은 90o 내지 150o의 수접촉각을 갖는 유체를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표면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ydrophobic” refers to a surface that has the property of repelling fluids with a water contact angle of 90 o to 150 o .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초소수성"은 150o 초과의 수접촉각을 갖는 표면을 가리킨다.As used herein, the term “superhydrophobic” refers to a surface having a water contact angle greater than 150o .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MD)는, 섬유가 제조되는 방향에 있어서 섬유의 길이를 지칭하며, 이는, 기계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섬유의 폭을 지칭하는 "교차 기계 방향"(CD)에 대조적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machine direction" (MD) refers to the length of a fib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ber is made, and the term "cross machine direction" refers to the width of the fiber in a direction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direction. “In contrast to (CD).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본원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용융 섬유로서 다수의 미세한, 대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압출되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감쇄시키는 수렴하는 고속의 가스(예를 들어, 공기) 흐름 내로 압출되어 그들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일 수도 있는 직경으로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을 말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해 운반되며 수집면 상에 용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고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으로 용착될 때 일반적으로 접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meltblown web" refers to a converging, high-velocity web in which a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is extruded as molten fibers through a plurality of fine, usually circular die capillaries, thereby attenuating the fibers of the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refers to nonwoven webs formed by extrusion into a gas (e.g., air) stream to reduce their diameter to a diameter that may be the diameter of a microfiber. The meltblown fibers are then transported by a high-velocity gas flow and deposited on the collecting surface, forming a web of randomly dispersed meltblown fibers. This process i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 No. 3,849,241 to Butin et al.,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for all purposes. In general, meltblown fibers may be microfibers that are substantially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enerally less than 10 μm in diameter, and are generally tacky when deposited onto a collection surfac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본 명세서에서 편물에서처럼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상호 연결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들이나 실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많은 공정,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드 공정,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BCW 및 TABCW로도 알려짐) 공정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부직 웹의 평량은 약 5, 10 또는 20gsm 내지 약 120, 125 또는 150gsm과 같이, 일반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nonwoven” or “nonwoven web” refers herein to a web that has a structure of individual fibers or yarns that are interlaid, although not in a discernible manner as in a knitted fabric. Nonwovens or webs are formed by many processes, such as meltblown processes, spunbond processes, through-air bonded carded web (also known as BCW and TABCW) processes, etc.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web may generally vary, such as from about 5, 10, or 20 gsm to about 120, 125, or 150 gsm.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펀본드 웹(spunbond web)"은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인 방적돌기(spinnerette)의 모세관들로부터 압출시키고 그후 압출된 섬유의 직경을 예를 들어 추출성 신장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메커니즘에 의하여 급속히 감소시킴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의한 제3,802,817호, Kinney에 의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의한 제3,502,763호, Levy에 의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의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의한 제5,382,400호에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피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미만, 종종, 약 5 내지 약 20㎛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punbond web” refers to a web containing small diameter, substantially continuous fibers. Fibers are made by extruding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from the capillaries of a plurality of fine, generally circular spinnerettes and then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fibers by, for example, extractive stretching and/or other known spunbonding mechanisms. It is formed by rapid reduction. The manufacture of spunbond webs includes, for example, U.S. Patents 4,340,563 to Appel et al., 3,692,618 to Dorschner et al., 3,802,817 to Matsuki et al., 3,338,992 to Kinney, 3,341,394 to Kinney, and 3,341,394 to Hartman. Nos. 3,502,763, 3,502,538 to Levy, 3,542,615 to Dobo et al., and 5,382,400 to Pike et al., each of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for all purposes. Spunbond fibers are generally not sticky when deposited on a collecting surface. Spunbond fibers may sometimes have a diameter of less than about 40 μm, often from about 5 to about 20 μm.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초흡수체" 또는 "SAP"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그들 자신의 중량에 대하여 극도로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할 것이다. 가교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로서 분류되는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 및 다른 극성 힘을 통해 수용액을 흡수한다. SAP의 수분 흡수 능력은 부분적으로 이온화도(수용액의 이온 농도의 인자) 및 물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SAP의 기능성 극성기를 기초로 한다. SAP는 통상적으로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산화나트륨과 혼합된 아크릴산의 중합화로 제조되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때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라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물질을 사용하여, 초흡수성 고분자를 제조하는데,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전분 접합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SAP는 입자 또는 섬유 형태로 또는 다른 물질 또는 섬유 상의 코팅층으로서 흡수 용품에 존재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superabsorbent polymer”, “superabsorbent” or “SAP”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and refer to a polymer that is capable of absorbing and retaining extremely large amounts of liquid relative to its own weight. will refer to polymers. Water-absorbing polymers, classified as crosslinkable hydrogels, absorb aqueous solutions through hydrogen bonds and other polar forces with water molecules.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SAP is based in part on the degree of ionization (a factor of ion concentration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functional polar groups of SAP that have an affinity for water. SAP is typically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mixed with sodium hydroxide in the presence of an initiator to form sodium polyacrylate salt (sometimes referred to as sodium polyacrylate). Other materials are also used to prepare superabsorbent polymers, such as polyacrylamide copolymers, ethyl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s, cross-linked carboxymethylcellulose, polyvinyl alcohol copolymers, cross-linked polyethylene oxide, and A starch-conjugated copolymer of polyacrylonitrile is prepared. SAP may be present in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orm of particles or fibers or as a coating layer on other materials or fibers.

흡수 용품:Absorbent Suppli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피부 옆에 개선된 편안함의 느낌 및 젖음 및 재습윤의 느낌 감소를 가질 수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모두는, 흡수성 코어의 최외곽 둘레 에지들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고, 밀봉된 둘레 영역을 형성하도록 알려져 있는 결합 기술들을 이용하여 둘레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트층 및 배면시트층은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방법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은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that can have an improved feeling of comfort next to the wearer's skin and a reduced feeling of wetting and rewetting. The absorbent article can have a wearer-facing, liquid-permeable topsheet layer and a garment-facing, liquid-impermeable backsheet layer. The absorbent cor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Both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may extend beyond the outermost perimeter edges of the absorbent core and may be fully or partially joined together circumferentially using known bonding techniques to form a sealed perimeter region. . For example,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can be bonded together by adhesive bonding, ultrasonic bonding, or any other suitable bonding method known in the art. The topsheet layer may be formed from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상면시트층: Top sheet layer:

상면시트층은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고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도록 액체 투과성인 흡수 용품의 착용자 대향면을 정의한다.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함과 순응성을 위해 제공되며, 그 자체 구조를 통해 그리고 흡수성 코어를 향해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신체 삼출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면시트층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아서 흡수 용품의 착용자의 피부 옆에 비교적 편안하고 자극시키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The topsheet layer defines a wearer-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and is liquid permeable to receive body exudates. The topsheet layer preferably provides for comfort and compliance and functions to direct body exudates away from the wearer's body through its own structure and towards the absorbent core. The topsheet layer preferably retains little or no liquid in its structure to provide a relatively comfortable, non-irritating surface next to the skin of the wearer of the absorbent article.

상면시트층은, 상면시트층의 신체 대향면과 접촉할 수 있는 신체 삼출물이 용이하게 관통하는 임의의 직물, 부직포 시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수력엉킴 스펀레이스 웹 또는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과 같은 다양한 부직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천연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섬유의 예는 면 섬유, 레이온 섬유, 밀짚 섬유, 볏짚 섬유, 아마 섬유, 대나무 섬유, 황마 섬유, 대마 섬유, 사이잘 섬유, 바가스 섬유, 헤스페라로에 섬유, 억새, 해양 또는 담수 조류/해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면 섬유, 대나무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천연 섬유는 면 섬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적어도 50, 60, 75, 95, 99, 또는 100중량%의 천연 섬유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적어도 75, 95, 99, 또는 100중량%의 천연 섬유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적어도 95, 99, 또는 100중량%의 천연 섬유를 갖는다.The topsheet layer may be comprised of any woven, non-woven sheet material that is readily penetrable to body exudates tha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dy facing side of the topsheet lay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be comprised of various nonwoven webs, such as hydroentangled spunlace webs or vented bonded carded webs.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be comprised of natural fibers. Examples of suitable natural fibers include cotton fibres, rayon fibres, wheat straw fibres, rice straw fibres, flax fibres, bamboo fibres, jute fibres, hemp fibres, sisal fibres, bagasse fibres, hesperae fibres, silver grass, marine or fresh water algae. /seaweed, and combination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various embodiments, the natural fibers can be cotton fibers, bamboo fibers, or combinations thereof. In various embodiments, the natural fiber can be cotton fib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t least 50, 60, 75, 95, 99, or 100% natural fiber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t least 75, 95, 99, or 100% natural fiber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has at least 95, 99, or 100% natural fiber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여전히 미가공 형태(즉, 정제 단계를 거치지 않음)인 천연 섬유는 소수성이다. 일반적인 정제 단계는, 조면, 카딩, 코밍, 정련, 및 표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면 섬유와 관련하여, 조면은, 원료 면을 정제하고 면 씨앗 및 다른 이물질 부스러기(예를 들어, 식물 대, 식물 줄기, 및 식물 잎)로부터 면 보푸라기를 분리하는 첫 단계이다. 그런 다음, 면 보푸라기는 카딩을 거쳐 면 보푸라기 내의 엉킴을 제거하고, 면 보푸라기 내의 면 섬유를 개별화하고 정렬시키고, 조면 단계를 통과하는 이물질 부스러기를 제거한다. 카딩된 면 섬유는 임의의 최종 잔류 이물질 부스러기가 제거되고 면 섬유가 평활화되는 코밍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조면, 카딩 및 코밍 후에, 면 섬유는 여전히 소수성이고 면 섬유를 코팅하는 일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정련 공정을 거칠 것이다. 예를 들어, 면 섬유와 관련하여, 셀룰로오스는 면 섬유의 주요 성분이고 면 섬유의 대략 94% 건조 중량이다. 면 섬유의 다른 성분(면 섬유의 대략 건조 중량%)은 단백질(1.3%), 펙틴 물질(1.2%), 회분(1.2%), 왁스(0.6%), 총 당류(0.3%), 안료(미량),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1.4%)이다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11(2-3):173-178, March 2000). 정련은 면 섬유로부터 단백질, 펙틴 물질, 왁스,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을 제거하여 친수성 면 섬유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통상적인 정련 공정은 120oC 초과의 온도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수산화나트륨(20 내지 50g/리터) 용액에서 면 섬유를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련 공정 후, 셀룰로오스는 면 섬유의 주요 잔류 물질인 반면, 단백질, 펙틴 물질, 왁스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은 제거된다. 정련 공정 후에, 면 섬유는 매우 친수성이고, 면 섬유의 외관은 깨끗하고 부드럽다. 이러한 친수성 면 섬유는 양호한 신체 삼출물 취득, 양호한 통기성, 및 양호한 연성을 갖는다. 통상적인 정련 공정 후에, 면 섬유의 천연 안료가 면 섬유에도 남아 있고 면 섬유는 황갈색으로 보일 수 있다. 면 섬유의 표백은 면 섬유에 백색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면 섬유의 전체 흡수성을 증가시키고 임의의 최종 잔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Natural fibers that are still in their raw form (i.e. have not gone through a purification step) are hydrophobic. Common refining steps include ginning, carding, combing, refining, and bleaching. For example, with respect to cotton fiber, ginning is the first step in refining the raw cotton and separating the cotton fluff from cotton seeds and other foreign debris (e.g., plant stems, plant stems, and plant leaves). Then, the cotton lint goes through carding to remove tangles within the cotton lint, individualize and align the cotton fibers within the cotton lint, and remove foreign debris passing through the ginning stage. The carded cotton fibers are processed through a combing step where any residual debris is removed and the cotton fibers are smoothed. After ginning, carding and combing, the cotton fibers are still hydrophobic and will undergo a scouring process to remove some of the "impurities" that coat the cotton fiber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cotton fibers, cellulose is the major component of cotton fibers and accounts for approximately 94% of the dry weight of cotton fibers. Other components of cotton fiber (approximately % dry weight of cotton fiber) include proteins (1.3%), pectic substances (1.2%), ash (1.2%), waxes (0.6%), total sugars (0.3%), and pigments (trace amounts). ), and other non-cellulosic materials (1.4%) (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 11(2-3):173-178, March 2000). Scouring is the process of removing proteins, pectic substances, waxes, and other non-cellulosic substances from cotton fibers to produce hydrophilic cotton fibers. A typical scouring process involves boiling cotton fibers in a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20 to 50 g/liter) for 1 to 8 hours at a temperature above 120 o C. After the scouring process, cellulose is the main remaining material of cotton fiber, while proteins, pectic substances, waxes and other non-cellulosic materials are removed. After the scouring process, the cotton fiber is very hydrophilic, and the appearance of the cotton fiber is clean and smooth. These hydrophilic cotton fibers have good body exudate absorption, good breathability, and good softness. After the conventional scouring process, the natural pigments of the cotton fibers remain in the cotton fibers and the cotton fibers may appear tan. Bleaching of cotton fibers not only gives the cotton fibers a white appearance, but also increases the overall absorbency of the cotton fibers and can remove any final residual impurities.

정제 공정 후에, 면 섬유는, 예를 들어 스펀레이싱, 에어 본딩, 공기 레잉, 웨트 레잉 등과 같은 제조 공정을 통해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용품의 상면시트층과 같은 흡수 용품에서의 사용에 대한 적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제된 면 섬유로 형성된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은,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이 화학적으로 강화되어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의 친수성 특성을 변경하는 마무리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정제 공정 후, 면 섬유는 친수성이 높다. 친수성은 정제된 면 섬유를 함유하는 흡수 용품의 상면시트층을 통한 신체 삼출물의 흡수 및 침투를 용이하게 하지만, 이러한 상면시트층은 통상적으로 상면시트층에 남아 있는 잔류 신체 삼출물 및 흡수성 코어와 같은 상면시트층 아래의 구성요소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및 상면시트층을 통해) 다시 통과하는 신체 삼출물 때문에 습윤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면 섬유와 같은 정제된 천연 섬유를 함유하는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의 착용자는, 상면시트층에 남아 있고 흡수성 코어와 같은 상면시트층 아래의 구성요소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및 상면시트층을 통해) 다시 통과하는 잔류 신체 삼출물로 인해 흡수 용품에 대한 불편함 및 신뢰 부족을 경험할 수 있다. 장기간 사용 중에 (피부-건강 근거뿐만 아니라 물리적 편안함 양쪽 모두를 위해) 제품으로부터 감소된 축축한 감각을 경험하고자 하는 착용자의 요구 결과로서, 제조사들은 제품의 오염 다음에 이러한 느낌을 다루기 위한 다수의 기술적 접근법을 탐구하였다. 제조사는 축축함의 초기 느낌과 또한 "재습윤"의 지속적인 감각 모두를 감소시키려고 시도하였는데, 여기서 제품은 유체 또는 액체, 예컨대 생리혈 또는 소변을 상면시트층을 통해 흡수하고 그것을 흡수 용품의 내부 층에 전달한 다음, 연속 착용 압력 하에 유체 또는 액체를 내부 층으로부터 상면시트층으로 다시 방출한다. 상면시트층으로의 재차 유체/액체의 이러한 방출은 종종 연속되는 축축함의 착용자 인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제품 제조사들은 소수성 특성을 갖는 상면시트층을 제공하기 위해 상면시트층에 대한 화학적 강화에 기초하여, 감소된 축축함 (및 재습윤)을 위해 개별적인 상면시트층들을 특별히 설계하였다. 면 섬유와 같은 정제된 천연 섬유를 함유하는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의 친수성 특성을 화학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파라핀계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과 같은 소수성 화학 화합물이 직조 또는 부직포 물질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화학적으로 강화된 소수성 상면시트층은 흡수 용품이 흡수 용품의 피부 접촉 표면에서 연장된 건조 느낌을 나타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흡수 용품의 내부층들 내에 보유되는 신체 삼출물은, 상면시트층의 소수성 내부 표면 특성의 결과로서, 상면시트층을 통해 착용자의 피부로 다시 통과하려는 성향이 덜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따라서, 상면시트층은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여, 수분을 일 방향으로 통과시켜 사용자 대향, 피부-접촉면 아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으로 강화된 소수성 상면시트층은 민감한 피부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완전히 천연(즉,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제품을 선호할 수 있는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After the refining process, cotton fibers can be formed into woven or non-woven materials through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spunlacing, air bonding, air laying, wet laying, etc. For example, to increase suitability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such as the topsheet layer of an absorbent article, woven or nonwoven materials formed from purified cotton fibers may be chemically strengthened to enhance the woven or nonwoven materials. It may undergo a finishing process to change its hydrophilic properties.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cotton fiber has high hydrophilicity. Although hydrophilicity facilitates the absorption and penetration of body exudates through the topsheet layer of a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purified cotton fibers, such topsheet layer typically retains any residual body exudates remaining in the topsheet layer and the topsheet layer, such as the absorbent core. It remains wet due to body exudates passing from components beneath the sheet layer back to (and through) the topsheet layer. For example, a wearer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opsheet layer containing purified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may retain the topsheet layer and absorb moisture from components beneath the topsheet layer, such as the absorbent core, into the topsheet layer (and Discomfort and lack of confidence in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experienced due to residual body exudates passing back (through the topsheet layer). As a result of the wearer's desire to experience a reduced wet sensation from the product during long-term use (both for physical comfort as well as skin-health reasons), manufacturers have developed a number of technological approaches to deal with this sensation following contamination of the product. explored. Manufacturers have attempted to reduce both the initial sensation of wetness and also the ongoing sensation of "rewetting", where the product absorbs fluid or liquid, such as menstrual blood or urine, through the topsheet layer and transfers it to the inner layer of the absorbent article. , releasing the fluid or liquid from the inner layer back to the topsheet layer under continuous wearing pressure. This release of fluid/liquids back into the topsheet layer often leads to the wearer's perception of subsequent wetness. Manufacturers of these products have specifically designed the individual topsheet layers for reduced wetting (and rewetting), based on chemical strengthening of the topsheet layer to provide the topsheet layer with hydrophobic properties. To chemically modify the hydrophilic properties of woven or non-woven materials containing purified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hydrophobic chemical compounds such as paraffin-based or silicone-based compounds have been used to treat woven or non-woven materials. In this regard, a chemically enhanced hydrophobic topsheet layer can help the absorbent article exhibit an extended dry feel at the skin-contacting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Additionally, body exudates retained within the inner layers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less likely to pass through the topsheet layer back to the wearer's skin as a result of the hydrophobic interior surface properties of the topsheet layer. In some cases, the topsheet layer therefore acts as a one-way valve, allowing moisture to pass in one direction and remain below the user-facing, skin-contacting surface. However, these chemically enhanced hydrophobic topsheet layers are suitable for wearers of absorbent articles who may have sensitive skin and/or may prefer absorbent products with an all-natural (i.e., non-chemically enhanced) topsheet layer. don't do it

흡수 용품의 착용자에게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면서 여전히 소수성 특성을 갖는 상면시트층을 갖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기 위해, 천연 섬유, 특히 면 섬유의 정제 공정은 본원에 기술된 통상적인 정제 공정으로부터 변경될 수 있다. 면과 같은 원료 천연 섬유는, 원료 면을 정제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적 단계이기 때문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여전히 조면, 카딩 및 코밍을 거칠 수 있다. 그러나, 정련 단계는, 면 섬유의 천연 소수성 특성을 친수성 특성을 갖는 면 섬유로 변경하기 위해 면 섬유의 구조가 변형되는 통상적인 정제 공정 내의 일차 단계이다. 통상적인 정련 공정은 120°C 초과의 온도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수산화나트륨(20 내지 50g/리터) 용액에서 면 섬유를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련 공정 후, 셀룰로오스는 면 섬유의 주요 잔류 물질인 반면, 단백질, 펙틴 물질, 왁스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은 제거된다. 왁스는 면 섬유에 소수성 특성을 제공하는 천연 면 섬유의 주요 요소이다. 면 섬유로부터 왁스를 제거하면 면 섬유가 소수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부터 친수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변한다. 왁스 이외에, 단백질, 펙틴 물질,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을 포함하는 다른 불순물이 면 섬유에 남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정제 공정으로부터 정련 공정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다. 이들 불순물은 왁스의 존재를 유지하면서 면 섬유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련 공정은, 면 섬유로부터 단백질, 펙틴 물질, 및 다른 비-셀룰로오스 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면 섬유의 소수성 특성을 유지하는 왁스를 유지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변경된 정련 공정 단계는 면 섬유를 수산화나트륨 용액(0.1 내지 10g/L)에서 60 내지 100oC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변경된 정련 공정 단계는 면 섬유를 수산화나트륨 용액(0.5 내지 2.0g/L)에서 80 내지 90oC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경된 정련 공정은 소수성 특성을 갖는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면 섬유를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면 섬유는 90o - 150o의 수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면 섬유는 130o - 140o의 수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변경된 정련 공정에 따라, 면 섬유와 같은 이러한 천연 섬유로 제조된 상면시트층은 소수성 특성을 갖는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를 가질 수 있어서, 흡수 용품의 착용자가 느낄 수 있는 젖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Purification of natural fibers, particularly cotton fibers, to provide the wearer of the absorbent article with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opsheet layer formed from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while still having hydrophobic properties. The process may vary from the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described herein. Raw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can still undergo ginning, carding, and combing as described herein, as these are the mechanical steps used to refine the raw cotton. However, the refining step is the primary step within the conventional refining process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cotton fiber is modified to change its natural hydrophobic properties into cotton fibers with hydrophilic properties. A typical scouring process involves boiling cotton fibers in a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20 to 50 g/liter) for 1 to 8 hours at a temperature above 120 ° C. After the scouring process, cellulose is the main remaining material of cotton fiber, while proteins, pectic substances, waxes and other non-cellulosic materials are removed. Wax is a major element of natural cotton fiber that provides hydrophobic properties to cotton fiber. Removing wax from cotton fiber changes the cotton fiber from having hydrophobic properties to having hydrophilic properties. Because in addition to wax, other impurities including proteins, pectic substances, and other non-cellulosic substances will remain in the cotton fiber, it is not fea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scouring process from the refining process. These impurities need to be removed from the cotton fiber while retaining the presence of wax. Accordingly, the scouring process can be modified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proteins, pectic substances, and other non-cellulosic substances from the cotton fibers while retaining the wax that maintains the hydrophobic properties of the cotton fibers. In various embodiments, the modified scouring process step includes boiling the cotton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1 to 10 g/L)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o C for 30 minutes to 4 hours. In various embodiments, the modified scouring process step includes boiling the cotton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5 to 2.0 g/L) at a temperature of 80 to 90 o C for 2 to 3 hours. This modified scouring process can result in non-chemically strengthened cotton fibers with hydrophobic properties. In various embodiments, non-chemically reinforced cotton fibers can have a water contact angle of 90 o - 150 o . In various embodiments, non-chemically reinforced cotton fibers can have a water contact angle of 130 o - 140 o . Depending on the modified scouring process, the topsheet layer made from these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can have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with hydrophobic properties, which can reduce the wetness that can be felt by the wearer of the absorbent article. there is.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정제 공정 내에서, 표백 단계는 통상적인 정련 공정 후에 임의의 최종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 황갈색으로 보일 수 있는 천연 안료로부터 변화되는 백색 외관을 면 섬유에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정제 공정의 표백 단계가 면 섬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할 수도 있고, 화학적 강화 없이 면 섬유의 소수성 특성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변경된 정제 공정에서, 표백 단계는 완전히 우회될 수 있다. 표백 단계가 완전히 우회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기술된 변형된 정제 공정에 따라, 면 섬유와 같은 비표백된 천연 섬유로 제조된 상면시트층은 Konica Minolta에 의해 제조된 CR-20 컬러 판독기에 의해 측정했을 때 70 미만의 백색도 지수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herein, within a conventional refining process, the bleaching step, in addition to removing any final residual impurities after the conventional refining process, provides the cotton fiber with a white appearance that changes from the natural pigment, which may appear tan. can do. The bleaching step of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may remove impurities from the cotton fibers, and in modified purification processes, the bleaching step may be bypassed entirely, with the goal of maintaining the hydrophobic properties of the cotton fibers without chemical strengthening. Because the bleaching step can be completely bypassed, according to the modified purification process described herein, the topsheet layer made from unbleached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fibers, can be scanned using a CR-20 color reader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When measured, it may have a whiteness index of less than 70.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성 코어 내로 더욱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천공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천공들은 무작위로 또는 균일하게 상면시트층 전체를 통해 배열될 수 있고, 또는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열된 좁은 길이방향 밴드 또는 스트립에 위치할 수도 있다. 구멍의 크기, 형상, 직경 및 개수는 흡수 용품의 특정 필요에 맞게 달라질 수도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contai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med to allow body exudates to more easily pass into the absorbent core. The perforations may be arranged randomly or uniformly throughout the topsheet layer, or may be located in narrow longitudinal bands or strip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size, shape, diameter and number of holes may vary to suit the specific needs of the absorbent article.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약 5, 10, 15, 20 또는 25gsm 내지 약 50, 100, 120, 125 또는 1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약 15gsm 내지 약 1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은 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약 25gsm 내지 약 35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have a basis weight ranging from about 5, 10, 15, 20, or 25 gsm to about 50, 100, 120, 125, or 150 gsm. For example, in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be constructed from a through air bonded carded web having a basis weight ranging from about 15 gsm to about 100 gsm. In various embodiments, the topsheet layer may be comprised of a cotton material and may have a basis weight of about 25 gsm to about 35 gsm.

흡수성 코어:Absorbent Core:

흡수성 코어는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압축성, 순응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임의의 단일층 구조 또는 층 구성 요소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일 수 있고 액체 그리고 다른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는 다양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개수의 원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는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 다른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조 또는 부직 시트, 스크림 편직(scrim netting)이나 기타 안정화 구조체, 초흡수성 물질, 결합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냄새 억제제 등 및 이들 조합의 흡수성 웹 물질의 하나 이상의 층(예를 들어, 2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웹 물질은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흡수성 물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예는 Weyerhaeuser Corp.에서 입수 가능한 NB 416이라는 상표로 확인될 수 있으며, 주로 연목재 섬유들을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목재 펄프이다.The absorbent cor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The absorbent core can generally be any single layer structure or combination of layer components that can exhibit some level of compressibility, compliance, can be non-irritating to the wearer's skin, and can absorb and retain liquids and other body exudates. there is. In various embodiments, the absorbent core may be formed from a variety of different materials and may include any number of layers desired. For example, the absorbent core may include cellulosic fibers (e.g., wood pulp fibers), other natural fibers, synthetic fibers, woven or non-woven sheets, scrim netting or other stabilizing structures, superabsorbent materials, bonding materials, and interfaces. It may include one or more layers (e.g., two layers) of absorbent web material of active agents, selected hydrophobic and hydrophilic materials, pigments, lotions, odor suppressants, etc., and combinations thereof. In one embodiment, the absorbent web material may include a matrix of cellulose fluff and may also include a superabsorbent material. Cellulose fluff may comprise a mixture of wood pulp fluff. An example of wood pulp fluff can be identified under the trademark NB 416, available from Weyerhaeuser Corp., which is a bleached, highly absorbent wood pulp containing primarily softwood fibers.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흡수성 코어는 선택적인 양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의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α-올레핀을 갖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그리고 염과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초흡수성 물질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된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알지네이트, 잔탄 검, 로커스 빈 검과 같은 천연 검 등과 같은 미개질된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흡수성 코어 내에 존재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if desired, the absorbent core may include an optional amount of superabsorbent material. Examples of suitable superabsorbent materials include poly(acrylic acid), poly(methacrylic acid), poly(acrylamide), poly(vinyl ether), maleic anhydride copolymer with vinyl ether and α-olefin, poly(vinyl pyrroli). money), poly(vinylmorpholinone), poly(vinyl alcohol) and salts and copolymers thereof. Other superabsorbent materials include hydrolyzed acrylonitrile-grafted starch, acrylic acid grafted starch, methyl cellulose, chitosan, carboxy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and natural gums such as alginate, xanthan gum, and locus bean gum. It may include unmodified natural polymers and modified natural polymers. Blends of natural superabsorbent polymers and fully or partially synthetic superabsorbent materials may also be useful. Superabsorbent material may be present in the absorbent core in any amount as desired.

흡수성 코어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질의 조합에 상관없이, 종래의 다양한 방법들과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흡수성 물질은 웹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웹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폼 형성 기술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of absorbent materials used in the absorbent core, the absorbent materials can be formed into a web structure by employing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and techniques. For example, the absorbent web may be formed by techniqu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dry forming techniques, air forming techniques, wet forming techniques, foam forming techniques, etc., as well as combinations thereof. Methods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se techniques are known in the art.

흡수성 코어의 형상은, 필요시 달라질 수 있으며,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의 치수는 흡수 용품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내부에 적절하게 포함되도록 전체 흡수 용품의 치수보다 종종 작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The shape of the absorbent core may vary as desired and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y of a variety of shap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riangular, rectangular, dog-shaped, or oval. In various embodiments, the absorbent core can have a shape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overall shape of the absorbent article. While the dimensions of the absorbent core may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imensions of the absorbent artic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imensions of the absorbent core, while similar, are often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entire absorbent article so as to be properly contained therein.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에 적절한 물질 및/또는 구조는 Weisman 등의 미국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특허 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참고로 원용된다.For example, suitable materials and/or structures for absorbent cores include U.S. Pat.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174260, and each of these documents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는 단일층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플러프 및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는 착용자 대향층과 의복 대향층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물질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층은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상이한 흡수 특성을 흡수 용품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의 신체 대면층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성 코어의 의복 대면층은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40 내지 약 2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는 티슈 캐리어(tissue carrier)로 둘러싸이면서 약 40 내지 약 400gsm의 평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SAP의 조합일 수 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기반 물질일 수 있다.As not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the absorbent core may be of a single layer structur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atrix of cellulose fluff and superabsorbent material. In various embodiments, the absorbent core may have at least two layers of material, such as a wearer facing layer and a garment facing lay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wo layers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In various embodiments, the two layers may be different. In these embodiments, the two layers can provide the absorbent article with different absorbent properties as deemed appropriate. In various embodiments, the body-facing layer of the absorbent core may be comprised of an airlaid material, and the garment-facing layer of the absorbent core may be comprised of a compressed sheet containing a superabsorbent polymer. In this embodiment, the airlaid material may have a basis weight of about 40 to about 200 gsm, and the superabsorbent polymer-containing compressed sheet may be comprised of cellulosic pulp and SAP having a basis weight of about 40 to about 400 gsm while surrounded by a tissue carrier. It may be a cellulose fluff based material which may be a combination of.

배면시트층:Back sheet layer:

배면시트층은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착용자의 의복을 향하는 흡수 용품의 부분이다. 배면시트층은 액체의 통과는 여전히 차단하면서 흡수 용품을 벗어나는 공기 또는 증기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이용하여 배면시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시트층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도 있는 적절한 물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폴리올레핀 필름, 부직 및 부직 적층체 및 필름/부직 적층체같은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일 수도 있다. 배면시트층의 구체적인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들 및/또는 직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구체적인 물질은,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성, 심미성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2 내지 0.5밀 내지 약 3.0 또는 5.0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시트층의 예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의 Pliant Corporation에서 구입가능한 것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탄산칼슘 충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면시트층은 부직 적층체 같은 수분 장벽 특성을 갖는 소수성 부직 재료일 수 있으며, 그 예는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4층 적층체일 수 있다. 따라서, 배면시트층은 다중 필름층 또는 필름의 적층체 및 부직 섬유상 층의 구성과 같은 단일 또는 다중 층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적합한 배면시트층은 Whitehead 등의 미국 특허 제4,578,069호, Tusim 등의 미국 특허 제4,376,799호, Shawver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 특허 제6,376,09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The backsheet layer is generally liquid impermeable and is the por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at faces the wearer's clothing. The backsheet layer can allow passage of air or vapor to leave the absorbent article while still blocking passage of liquid. In general, any liquid impermeable material can be used to form the backsheet layer. The backsheet layer may be comprised of a single or multiple layers, with one or more of these layers themselves comprising similar or different materials. Suitable materials that may be used may be microporous polymer films such as polyolefin films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nonwovens and nonwoven laminates, and film/nonwoven laminates. The specific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backsheet layer may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known films and/or fabrics, with the specific material selected as appropriate to provide the desired level of liquid barrier,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tactility, aesthetics, etc. is selected. In various embodiments, polyethylene film may be used, which may have a thickness ranging from about 0.2 to 0.5 mils to about 3.0 or 5.0 mils. An example of a backsheet layer may be a polyethylene film, such as available from Pliant Corporation, Schaumburg, Illinois. Another example may include calcium carbonate filled polypropylene film. In another embodiment, the backsheet layer may be a hydrophobic nonwoven material with moisture barrier properties, such as a nonwoven laminate, such as spunbond, meltblown, meltblown, spunbond, or a four-ply laminate. Accordingly, the backsheet layer may have a single or multi-layer configuration, such as a configuration of multiple film layers or a laminate of films and non-woven fibrous layers. Suitable backsheet layers include US Patent No. 4,578,069 to Whitehead et al., US Pat. No. 4,376,799 to Tusim et al., US Pat. No. 5,695,849 to Shawver et al., US Patent No. 6,075,179 to McCormack et al., and US Patent No. 6,376,095 to Cheung et al. , each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간략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발명에서 설명하는 값들의 임의의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고려하며, 문제의 특정 범위 내의 모두 수치 값들인 종말점을 갖는 임의의 부범위를 인용하는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가상적인 예로서, 1 내지 5 범위의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범위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 3 내지 5; 3 내지 4; 및 4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청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and brevity, any range of values set forth in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consider all values within the range, and is intended to support claims reciting any subrange with endpoints that are all numerical values within the particular range in question. must be interpreted. As a hypothetical example, the disclosure of the range 1 to 5 would include the following ranges 1 to 5; 1 to 4; 1 to 3; 1 to 2; 2 to 5; 2 to 4; 2 to 3; 3 to 5; 3 to 4; and 4 to 5.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들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밀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 각각은 인용된 값 및 이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라고 개시된 치수는 "약 40㎜"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Dimensions and value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strictly limited to the exact numerical values recited. Instea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se dimensions is intended to mean both the recited value and a functionally equivalent range surrounding that value. For example, a dimension disclosed as “40 mm” is intended to mean “about 40 mm.”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모순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All document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 relevant part,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Citing any literat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is is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 meaning or definition of a term in this specification is inconsistent with any meaning or definition of a term in a document incorporated by reference, the meaning or definition assigned to a term in this specification will apply.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발명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When introducing elements of the subject matter o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the phrases "a", "one", "the", and "the" mean that one or more of the elements are present. will be. The terms “comprising,” “comprising,” and “having” are inclusive and mean that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those listed may be presen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should not be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상면시트층으로, 상기 상면시트층은 비-화학적으로 강화된 천연 섬유를 포함하는, 상면시트층.A topsheet layer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the topsheet layer comprising non-chemically reinforced natural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는 면 섬유인, 상면시트층.The topsheet layer of claim 1, wherein the natural fibers are cotton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는 상기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50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상면시트층.The topsheet layer of claim 1, wherein the natural fibers are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는 상기 상면시트층의 총 중량 기준 75중량% 초과의 양으로 존재하는, 상면시트층.The topsheet layer of claim 3, wherein the natural fibers are present in an amount greater than 7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pshee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층은 소수성인, 상면시트층.The topsheet layer of claim 1, wherein the topsheet layer is hydrophobic.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층은 90o 내지 150o의 수접촉각을 갖는, 상면시트층.The top sheet layer of claim 5, wherein the top sheet layer has a water contact angle of 90 o to 150 o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층은 130o 내지 140o의 수접촉각을 갖는, 상면시트층.The top sheet layer of claim 6, wherein the top sheet layer has a water contact angle of 130 o to 140 o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층은 70 미만의 백색도 지수를 가지는, 상면시트층.The topsheet layer of claim 1, wherein the topsheet layer has a whiteness index of less than 70. 제1항의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면시트층과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topsheet layer of claim 1, the backsheet layer,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layer and the backsheet layer. 제1항의 상면시트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60o - 100oC의 온도에서 30 내지 240분 동안 수산화나트륨 용액(0.1 내지 10 g/L)에 천연 섬유를 끓여서 상기 천연 섬유를 정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p sheet layer of claim 1, comprising the steps of boiling natural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1 to 10 g/L) at a temperature of 60 o - 100 o C for 30 to 240 minutes to refine the natural fibers. Including,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의 정련은 80o - 90oC의 온도에서, 120 내지 180분 동안, 수산화나트륨 용액(0.5 내지 2.0 g/L)에서 상기 천연 섬유를 끓여서 수행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fining of the natural fibers is carried out by boiling the natural fibers in a sodium hydroxide solution (0.5 to 2.0 g/L) at a temperature of 80 o - 90 o C for 120 to 180 minut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섬유는 표백되지 않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tural fibers are not bleached.
KR1020247010069A 2021-08-31 2021-08-31 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KR2024005121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48347 WO2023033796A1 (en) 2021-08-31 2021-08-31 Topsheet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215A true KR20240051215A (en) 2024-04-19

Family

ID=8541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069A KR20240051215A (en) 2021-08-31 2021-08-31 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1215A (en)
CN (1) CN117835946A (en)
WO (1) WO2023033796A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94888A1 (en) * 2000-09-29 2002-04-08 Cotton Incorporated Cellulosic substrates with reduced absorbent capacity having the capability to wick liquids
JP3520990B2 (en) * 2002-02-22 2004-04-19 丸三産業株式会社 Undefatted bleaching method of natural fiber
CN213993945U (en) * 2017-10-19 2021-08-20 宝洁公司 Absorbent article and topsheet for use with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35946A (en) 2024-04-05
WO2023033796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416315B2 (en) Improved acquisition distribution laminate
CN107645945B (en) Absorbent article with mechanical clothes attachment
CN109310554B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ystem with an opening
KR102557730B1 (en) absorbent supplies
KR102648623B1 (en) absorbent supplies
CN108882997B (en) Absorbent article
CN108472164A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KR102361331B1 (en) absorbent article
EP3384888B1 (en) Absorbent article
JP2020156754A (en) Absorbent article
KR20240051215A (en) Top sheet layer for absorbent articles
JP2003265529A (en) Disposable paper diaper
JP2020081623A (en) Absorbent article
US20220133555A1 (e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o-formed layer
KR102596728B1 (en) Absorbent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KR20190065363A (en) Self-Supporting Absorbent Goods System
KR20240004612A (en) absorbent supplies
KR20240036077A (en) Absorbent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CN113811274A (en) Absorbent article
KR20230146569A (en) absorbent supplies
JP2022190277A (en) Incontinence absorbent article
JP2020137764A (en) Absorbent article
JP2020103608A (en) Absorbent article
JP2017196289A (en) Absorbent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